KR20120065174A -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접속 방법 및 사용자 단말 - Google Patents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접속 방법 및 사용자 단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65174A
KR20120065174A KR1020100126545A KR20100126545A KR20120065174A KR 20120065174 A KR20120065174 A KR 20120065174A KR 1020100126545 A KR1020100126545 A KR 1020100126545A KR 20100126545 A KR20100126545 A KR 20100126545A KR 20120065174 A KR20120065174 A KR 201200651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frequency band
terminal
base s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65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77837B1 (ko
Inventor
박경훈
정진기
김윤회
황정혜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265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7837B1/ko
Publication of KR201200651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51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78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78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12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6Discovering, processing 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접속 방법 및 사용자 단말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접속 방법은 제1 주파수 대역을 통해 이동통신 기지국에 접속된 상태에서 제2 주파수 대역을 통해 무선 AP(access point)에 접속 요청 신호를 전송하여 무선 AP에 접속하는 단계; 제2 주파수 대역을 통해 무선 AP에 접속된 상태에서 이동통신 모듈의 전원을 턴-오프시키는 단계; 및 무선 AP에 접속된 상태에서 제2 주파수 대역을 통해 단말 정보를 무선 AP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접속 방법 및 사용자 단말{Access method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user equipment}
본 발명은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접속 방법 및 사용자 단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종의 무선통신 시스템에 접속할 수 있는 사용자 단말의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접속 방법 및 사용자 단말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이동통신 기능과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기능을 결합한 스마트폰(smart phone)의 사용자가 급속히 증가하고 있다. 스마트폰은 기존의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음성 통신 기능과 함께 무선인터넷을 이용한 인터넷 접속 기능을 지원한다. 스마트폰은 여러 가지 브라우징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으며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에게 적합한 인터페이스를 구현할 수도 있다. 또한, 스마트폰은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와 같은 다양한 센서 등을 구비하고 이를 위한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지원한다. 이와 같이, 스마트폰은 사용자에게 통신 기능 이외에 여러 가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개인 필수품이 되고 있다.
스마트폰의 여러 가지 기능이 복합적으로 사용될수록 전력 소모가 증가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무선인터넷을 통한 동영상 재생과 같은 기능을 사용하는 경우 스마트폰의 전력 소모가 증가한다. 사용자가 스마트폰으로 이동통신 기능을 이용하여 음성 통신이나 문자를 송수신하지 않고 무선인터넷을 이용하는 경우에도 스마트폰의 이동통신 기능은 항상 동작하게 되는데, 이는 스마트폰의 전력 소모를 더욱 증가시키는 요인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이종의 무선통신 시스템에 접속할 수 있는 사용자 단말의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접속 방법 및 사용자 단말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주파수 대역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이동통신 모듈 및 제2 주파수 대역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무선랜 모듈을 포함한 단말의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접속 방법은 상기 제1 주파수 대역을 통해 이동통신 기지국에 접속된 상태에서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을 통해 무선 AP(access point)에 접속 요청 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무선 AP에 접속하는 단계,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을 통해 상기 무선 AP에 접속된 상태에서 상기 이동통신 모듈의 전원을 턴-오프시키는 단계, 및 상기 무선 AP에 접속된 상태에서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을 통해 단말 정보를 상기 무선 AP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 정보는 상기 무선 AP에서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전송되어 상기 제1 주파수 대역을 통한 상기 단말의 접속이 해제됨을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알린다.
상기 무선 AP에 접속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무선 AP에서 주기적으로 브로드캐스트(broadcast)되는 신호의 강도가 소정의 임계치 이상이 되면 상기 접속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 AP에 접속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무선 AP에서 주기적으로 브로드캐스트되는 신호는 상기 무선 AP의 시스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 AP의 시스템 정보를 통해 상기 무선 AP의 접속 가능성을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 AP로부터 상기 접속 요청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접속 승인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말이 상기 무선 AP에 접속된 상태에서,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이 상기 단말에게 전송할 하향링크 데이터를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을 통해 상기 무선 AP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향링크 데이터는 상기 제1 주파수 대역을 통해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에서 상기 무선 AP에 전송될 수 있다.
상기 단말 정보를 수신한 이동통신 기지국은 상기 단말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하향링크 데이터를 상기 무선 AP를 통하여 상기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단말이 상기 무선 AP에 접속된 상태에서, 상기 단말이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에게 전송할 상향링크 데이터를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을 통해 상기 무선 AP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는 상기 제1 주파수 대역을 통해 상기 무선 AP에서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에 전송될 수 있다.
상기 무선 AP에서 주기적으로 브로드캐스트되는 신호의 강도가 소정의 임계치 이하가 되면 상기 이동통신 모듈의 전원을 턴-온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은 제1 주파수 대역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이동통신 모듈, 제2 주파수 대역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무선랜 모듈, 및 상기 이동통신 모듈 및 상기 무선랜 모듈의 각각의 기능을 제어하고, 상기 무선랜 모듈을 통해 무선 AP에 접속되면 상기 이동통신 모듈의 전원을 턴-오프시키고, 상기 무선 AP의 신호 강도가 소정의 임계치 이하가 되면 상기 이동통신 모듈의 전원을 턴-온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랜 모듈을 통해 수신되는 상기 무선 AP의 신호 강도가 소정의 임계치 이상이 되면 상기 무선 AP와의 접속을 결정하고, 상기 무선랜 모듈을 통해 상기 무선 AP로 접속 요청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 AP에 접속되면 상기 무선랜 모듈을 통해 단말 정보를 상기 무선 AP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 AP에 접속된 상태에서 상기 무선랜 모듈을 통해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하향링크 데이터는 이동통신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제1 주파수 대역을 통해 상기 무선 AP에 전송된 후 상기 무선 AP에서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 AP에 접속된 상태에서 상기 무선랜 모듈을 제어하여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하고,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는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을 통해 상기 무선 AP에 전송된 후 상기 무선 AP에서 상기 제1 주파수 대역을 통해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전송될 수 있다.
무선 AP에 접속된 단말이 무선 AP를 통해 이동통신 시스템의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고, 이동통신 시스템과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이동통신 모듈의 전원을 턴-오프시켜 단말의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접속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여러 실시예들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으로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하고, 그 외의 실시예에서는 제1 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무선통신 시스템은 단말(user equipment, UE) 및 기지국(base station, BS)을 포함한다. 기지국은 일반적으로 단말과 통신하는 고정된 지점(fixed station)을 말하며, 노드-B(Node-B), BTS(Base Transceiver System),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 등 다른 용어로 불릴 수 있다. 단말은 고정되거나 이동성을 가질 수 있으며, MS(mobile station), UT(user terminal), SS(subscriber station), 무선기기(wireless device) 등 다른 용어로 불릴 수 있다.
단말(10)은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이종의 무선통신 시스템에 접속할 수 있는 다중 접속 기능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단말(10)은 이동통신 기술표준에 따른 제1 무선통신 시스템(이동통신 시스템) 및 무선랜 기술표준에 따른 제2 무선통신 시스템(무선랜 시스템)에 접속할 수 있다.
제1 무선통신 시스템은 단말(10) 및 이동통신 기지국(20)을 포함한다. 제1 무선통신 시스템은 이동통신 기술표준에 따른 무선 기술을 이용한다. 이동통신 기술표준은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 EDGE(Enhanced Data Rates for GSM Evolution),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IEEE 802.16e(WiMAX), IEEE 802.16m 등의 무선 기술을 포함한다.
이동통신 기지국(20)은 RNC(radio network control)(40)에 연결된다. RNC(40)는 적어도 하나의 이동통신 기지국(20)을 관리하는 개체(entity)로서, 이동통신 기지국(20)을 핵심망(core network, CN)(60)에 접속시킨다. 이동통신 기지국(20)은 핵심망(60)과 전용선으로 연결된다.
제2 무선통신 시스템은 단말(10) 및 무선 AP(access point)(30)를 포함한다. 제2 무선통신 시스템은 무선랜 기술표준에 따른 무선 기술을 이용한다. 무선랜 기술표준은 IEEE 802.11(Wi-Fi) 등의 무선 기술을 포함한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 무선통신 시스템은 3GPP 무선 기술을 이용하고, 제2 무선통신 시스템은 Wi-Fi 무선 기술을 이용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이동통신 기술표준(3GPP)에 따라 사용되는 주파수 대역을 제1 주파수 대역이라 하고, 무선랜 기술표준(Wi-Fi)에 따라 사용되는 주파수 대역을 제2 주파수 대역이라 한다. 예를 들어, 3GPP 무선 기술을 이용하는 제1 무선통신 시스템의 제1 주파수 대역은 2.1GHz일 수 있고, Wi-Fi 무선 기술을 이용하는 제2 무선통신 시스템의 제2 주파수 대역은 2.4GHz일 수 있다.
무선 AP(30)는 IP 네트워크를 통해 게이트웨이(gateway, GW)(50)에 연결된다. 게이트웨이(50)는 적어도 하나의 무선 AP(30)를 관리하는 개체로서, IP 네트워크를 통해 무선 AP(30)를 핵심망(60)에 접속시킬 수 있다. 게이트웨이(50)는 무선 AP(30)의 등록, 인증 및 보안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이동통신 기지국(20) 및 무선 AP(30)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셀(cell)을 포함한다. 셀은 통신 서비스가 제공되는 서비스 영역을 의미한다. 단말(10)은 이동통신 기지국(20)의 셀 내에서 제1 주파수 대역을 통해 이동통신 기지국(20)에 접속한다. 단말(10)은 무선 AP(30)의 셀 내로 진입하면 제2 주파수 대역을 통해 무선 AP(30)에 접속하고, 이동통신 기지국(20)과의 접속을 해제한다.
이하, 단말(10)에서 이동통신 기지국(20)으로 전송되는 사용자 데이터를 상향링크 데이터라 하고, 이동통신 기지국(20)에서 단말(10)로 전송되는 사용자 데이터를 하향링크 데이터라 한다. 사용자 데이터는 제1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단말(10)과 이동통신 기지국(20) 간에 송수신되는 음성 및 패킷 데이터를 포함한다.
무선 AP(30)에 접속 중인 단말(10)과 이동통신 기지국(20) 간의 데이터 송수신은 무선 AP(30)를 통해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 무선 AP(30)는 이동통신 기지국(20)이 이용하는 3GPP 무선 기술을 지원한다. 이동통신 기지국(20)은 하향링크 데이터를 제1 주파수 대역을 통해 무선 AP(30)에 전송하고, 무선 AP(30)는 하향링크 데이터를 제2 주파수 대역을 통해 단말(10)에게 전송한다. 그리고, 단말(10)은 제2 주파수 대역을 통해 상향링크 데이터를 무선 AP(30)에 전송하고, 무선 AP(30)는 제1 주파수 대역을 통해 상향링크 데이터를 이동통신 기지국(20)에 전송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단말(10)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 제어부(120), 메모리(130), 이동통신 모듈(140) 및 무선랜 모듈(150)을 포함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는 키패드나 터치스크린 등의 입력 장치 및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는 사용자에게 각종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 입력 신호를 제어부(120)에 전달한다.
메모리(130)는 단말 구동 시스템, 애플리케이션 및 일반적인 파일을 저장한다. 메모리(130)는 USIM(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을 포함하고 단말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40)은 이동통신 기술표준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즉, 이동통신 모듈(140)은 제1 주파수 대역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40)은 GSM, GPRS, EDGE, 3GPP, IEEE 802.16e(WiMAX), IEEE 802.16m 중 적어도 하나의 무선 기술을 이용할 수 있다. 단말(10)과 이동통신 기지국(20) 간의 데이터 송수신은 이동통신 모듈(140)을 통하여 수행된다.
무선랜 모듈(150)은 무선랜 기술표준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즉, 무선랜 모듈(150)은 제2 주파수 대역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무선랜 모듈(150)은 IEEE 802.11(Wi-Fi)의 무선 기술을 이용할 수 있다. 단말(10)과 무선 AP(30) 간의 데이터 송수신은 무선랜 모듈(150)을 통하여 수행된다.
제어부(12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 메모리(130), 이동통신 모듈(140) 및 무선랜 모듈(150)에 연결되어 각각의 기능을 제어한다. 특히, 제어부(120)는 무선랜 모듈(150)을 통해 수신되는 무선 AP(30)의 신호 강도를 측정하고 무선 AP(30)와의 접속 및 해제 여부를 결정한다. 즉, 제어부(120)는 무선 AP(30)의 신호 강도가 소정의 임계치 이상이 되면 무선 AP(30)와의 접속을 결정하고, 무선 AP(30)의 신호 강도가 소정의 임계치 이하가 되면 무선 AP(30)와의 접속 해제를 결정한다. 제어부(120)는 무선 AP(30)와의 접속을 결정하면 무선랜 모듈(150)을 통해 무선 AP(30)로 접속 요청 신호를 전송한다.
제어부(120)는 무선랜 모듈(150)을 통해 무선 AP(30)에 접속되면 이동통신 모듈(140)의 전원을 턴-오프(turn off)시킨다. 제어부(120)는 무선 AP(30)의 신호 강도가 소정의 임계치 이하가 되면 이동통신 모듈(140)의 전원을 턴-온(turn on)시킨다.
제어부(120)는 무선 AP(30)에 접속되면 무선랜 모듈(150)을 통해 단말 정보를 무선 AP(30)에 전송한다. 단말 정보는 제1 주파수 대역을 통한 단말(10)의 접속이 해제됨을 이동통신 기지국(20)으로 알리기 위해 무선 AP(30)에서 이동통신 기지국(20)으로 전송된다.
제어부(120)는 무선 AP(30)에 접속된 상태에서 무선랜 모듈(150)을 통해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한다. 하향링크 데이터는 이동통신 기지국(20)으로부터 제1 주파수 대역을 통해 무선 AP(30)에 전송된 후 무선 AP(30)에서 제2 주파수 대역을 통해 단말(10)에게 전송되는 데이터이다.
제어부(120)는 무선 AP(30)에 접속된 상태에서 무선랜 모듈(150)을 통해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한다. 이 경우, 제1 무선통신 시스템을 이용하는 경우, 상향링크 데이터는 제2 주파수 대역을 통해 무선 AP(30)에 전송된 후 무선 AP(30)에서 제1 주파수 대역을 통해 이동통신 기지국(20)으로 전송된다. 만일, 제2 무선통신 시스템을 이용하는 경우, 상향링크 데이터는 제2 주파수 대역을 통해 무선 AP(30)에 전송된 후, 무선 AP(30)에서 게이트웨이(50)로 전송된다.
이제, 이종의 무선통신 시스템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10)의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접속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접속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단말(10)은 제1 주파수 대역을 통해 이동통신 기지국(20)에 접속된 이동통신 접속 상태에서 무선 AP(30)의 신호 강도를 측정한다. 이때, 단말(10)의 이동통신 모듈(140) 및 무선랜 모듈(150)의 전원은 턴-온된 상태이다. 무선 AP(30)는 제2 주파수 대역을 통해 시스템 정보를 주기적으로 브로드캐스트(broadcast)할 수 있다. 단말(10)은 무선 AP(30)의 시스템 정보를 수신하여 무선 AP(30)의 신호 강도를 측정할 수 있다.
단말(10)이 무선 AP(30)의 셀 내로 이동되어 무선 AP(30)의 신호 강도가 소정의 임계치 이상이 되면, 단말(10)은 무선 AP(30)로 제2 주파수 대역을 통해 접속 요청 신호를 전송한다(S10). 접속 요청 신호는 무선랜 모듈(150)을 통해 전송된다. 한편, 무선 AP(30)는 임의의 모든 단말이 접속할 수 있는 공용 무선 AP 또는 정해진 단말만이 접속할 수 있는 개인 무선 AP일 수 있다. 단말(10)은 수신된 시스템 정보를 통하여 무선 AP(30)로의 접속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으며, 단말(10)은 공용 무선 AP 또는 접속 가능한 개인 무선 AP에 대하여 접속 요청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무선 AP(30)는 단말(10)의 접속 요청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제2 주파수 대역을 통해 접속 승인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S15). 무선 AP(30)에서 단말(10)로 전송되는 접속 승인 신호는 무선랜 모듈(150)을 통해 단말(10)에 수신된다. 한편, 무선 AP(30)는 단말(10)에게 접속을 위한 인증 정보를 요청할 수 있으며, 인증된 단말(10)에만 접속 승인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무선 AP(30)에 접속됨에 따라 단말(10)은 이동통신 모듈(140)의 전원을 턴-오프시킨다(S20). 이동통신 모듈(140)의 전원이 턴-오프됨에 따라 이동통신 기지국(20)과의 데이터의 송수신이 수행되지 않는다. 단말(10)은 무선 AP(30)의 접속 승인에 따라 무선 AP(30)에 접속된 무선랜 접속 상태가 된다.
단말(10)은 무선 AP(30)에 접속한 후 단말 정보를 제2 주파수 대역을 통해 무선 AP(30)에 전송한다(S30). 단말 정보는 단말 ID 및/또는 단말(10)이 이동통신 기지국(20)에 접속할 때 사용한 임의의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AP(30)는 단말 정보를 저장한다.
무선 AP(30)는 제2 주파수 대역을 통해 단말 정보를 수신한 후, 단말 정보를 제1 주파수 대역을 통해 이동통신 기지국(20)에 전송한다(S35). 이때, 무선 AP(30)는 단말 정보와 함께 자신의 고유 식별자를 이동통신 기지국(2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동통신 기지국(20)은 단말 정보 및 무선 AP(30)의 고유 식별자를 수신함에 따라 단말(10)이 제1 주파수 대역을 통한 접속을 해제하고 무선 AP(30)에 접속하였음을 알 수 있다. 이동통신 기지국(20)은 무선 AP(30)에 접속된 단말 리스트를 생성하여 단말 정보 및 무선 AP 정보를 대응시켜 저장할 수 있다. 이동통신 기지국(20)은 무선 AP(30)에 접속된 단말 정보를 RNC(40) 또는 핵심망(60)에 전달할 수 있다. 한편, 무선 AP(30)는 단말 정보 및 자신의 고유 식별자를 백본망(backbone network)을 통해 핵심망(60)에 전달할 수도 있다.
이동통신 기지국(20)은 단말(10)에게 전송할 패킷 데이터, 호출(call) 등을 포함하는 하향링크 데이터가 발생하면 단말(10)이 무선 AP(30)에 접속 중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동통신 기지국(20)은 무선 AP(30)에 접속된 단말 리스트를 참조하여 해당 단말(10)이 무선 AP(30)에 접속된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동통신 기지국(20)은 무선 AP(30)에 접속 중인 단말(10)에게 전송할 하향링크 데이터를 제1 주파수 대역을 통해 해당 무선 AP(30)에 전송한다(S40).
무선 AP(30)는 제1 주파수 대역을 통해 수신된 하향링크 데이터를 제2 주파수 대역을 통해 단말(10)에게 전송한다(S45). 단말(10)은 이동통신 모듈(140)의 전원이 턴-오프된 상태에서 무선랜 모듈(150)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20)의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는 단말(10)의 이동통신 모듈(140)의 전원이 턴-오프된 상태에서 이동통신 기지국(20)의 하향링크 데이터가 무선 AP(30)를 거쳐 단말(10)에게 전송되는 과정에 대하여 나타내었다. 단말(10)의 이동통신 모듈(140)의 전원이 턴-오프된 상태에서 단말(10)의 상향링크 데이터도 무선 AP(30)를 거쳐 이동통신 기지국(20)에게 전송될 수 있다. 단말(10)은 이동통신 기지국(20)에 전송할 상향링크 데이터가 발생하면, 제2 주파수 대역을 통해 무선 AP(30)에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한다. 이때, 단말(10)의 이동통신 모듈(140)의 전원이 턴-오프된 상태이다. 무선 AP(30)는 제1 주파수 대역을 통해 상향링크 데이터를 이동통신 기지국(20)에 전송한다.
이와 같이, 무선랜 접속 상태에서 단말(10)은 이동통신 모듈(140)의 전원을 턴-오프시키고 무선랜 모듈(150)을 통해 상향링크 데이터 및 하향링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단말(10)은 무선랜 접속 상태에서 이동통신 모듈(140) 및 무선랜 모듈(150)의 전원을 모두 턴-온 상태로 유지할 필요가 없이 무선랜 모듈(150)만을 이용할 수 있으므로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다.
무선랜 접속 상태에서 단말(10)은 주기적으로 무선 AP(30)의 신호 강도를 측정하고, 무선 AP(30)의 신호 강도가 소정의 임계치 이하로 낮아지면 이동통신 모듈(140)의 전원을 턴-온시킨다(S50).
이동통신 모듈(140)의 전원이 턴-온되면, 단말(10)은 제1 주파수 대역을 통해 이동통신 기지국(20)으로 접속 요청 신호를 전송한다(S60). 접속 요청 신호는 단말 ID 및/또는 임의의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통신 기지국(20)은 접속 요청 신호에 포함된 단말 ID를 확인하여 단말(10)이 무선 AP(30)와의 접속이 해제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동통신 기지국(20)은 단말 ID를 확인하여 무선 AP(30)에 접속된 단말 리스트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이동통신 기지국(20)은 접속 요청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접속 승인 신호를 제1 주파수 대역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S65). 이동통신 기지국(20)으로부터 접속 승인 신호를 수신한 단말(10)은 제1 주파수 대역을 통해 상향링크 데이터 및 하향링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이동통신 접속 상태가 된다.
단말(10)이 이동통신 기지국(20)으로 접속 요청 신호를 전송하고, 이동통신 기지국(20)으로부터 접속 승인 신호를 수신하는 과정을 이동통신 접속 절차라 한다. 이동통신 접속 절차는 이동통신 표준의 무선 기술에 따라 다양한 과정으로 수행될 수 있다.
지금까지 참조한 도면과 기재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단말
20 : 이동통신 기지국
30 : 무선 AP
40 : RNC
50 : 게이트 웨이(GW)
60 : 핵심망(CN)
110 :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120 : 제어부
130 : 메모리
140 : 이동통신 모듈
150 : 무선랜 모듈

Claims (11)

  1. 제1 주파수 대역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이동통신 모듈 및 제2 주파수 대역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무선랜 모듈을 포함한 단말의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접속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주파수 대역을 통해 이동통신 기지국에 접속된 상태에서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을 통해 무선 AP(access point)에 접속 요청 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무선 AP에 접속하는 단계;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을 통해 상기 무선 AP에 접속된 상태에서 상기 이동통신 모듈의 전원을 턴-오프시키는 단계; 및
    상기 무선 AP에 접속된 상태에서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을 통해 단말 정보를 상기 무선 AP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 정보는 상기 무선 AP에서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전송되어 상기 제1 주파수 대역을 통한 상기 단말의 접속이 해제됨을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접속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AP에 접속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무선 AP에서 주기적으로 브로드캐스트(broadcast)되는 신호의 강도가 소정의 임계치 이상이 되면 상기 접속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무선 AP에서 주기적으로 브로드캐스트되는 신호는 상기 무선 AP의 시스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 AP의 시스템 정보를 통해 상기 무선 AP의 접속 가능성을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접속 방법.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이 상기 무선 AP에 접속된 상태에서,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이 상기 단말에게 전송할 하향링크 데이터를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을 통해 상기 무선 AP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하향링크 데이터는 상기 제1 주파수 대역을 통해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에서 상기 무선 AP에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접속 방법.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정보를 수신한 이동통신 기지국은,
    상기 단말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하향링크 데이터를 상기 무선 AP를 통하여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접속 방법.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이 상기 무선 AP에 접속된 경우,
    상기 단말이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에게 전송할 상향링크 데이터를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을 통해 상기 무선 AP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는 상기 제1 주파수 대역을 통해 상기 무선 AP에서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에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접속 방법.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AP에서 주기적으로 브로드캐스트되는 신호의 강도가 소정의 임계치 이하가 되면 상기 이동통신 모듈의 전원을 턴-온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접속 방법.
  7. 제1 주파수 대역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이동통신 모듈;
    제2 주파수 대역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무선랜 모듈; 및
    상기 이동통신 모듈 및 상기 무선랜 모듈의 각각의 기능을 제어하고, 상기 무선랜 모듈을 통해 무선 AP에 접속되면 상기 이동통신 모듈의 전원을 턴-오프시키고, 상기 무선 AP의 신호 강도가 소정의 임계치 이하가 되면 상기 이동통신 모듈의 전원을 턴-온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랜 모듈을 통해 수신되는 상기 무선 AP의 신호 강도가 소정의 임계치 이상이 되면 상기 무선랜 모듈을 통해 상기 무선 AP로 접속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9.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 AP에 접속되면 상기 무선랜 모듈을 통해 단말 정보를 상기 무선 AP에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
  10.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 AP에 접속된 상태에서 상기 무선랜 모듈을 통해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하향링크 데이터는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제1 주파수 대역을 통해 상기 무선 AP에 전송된 후, 상기 무선 AP에서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을 통해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인 사용자 단말.
  11.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 AP에 접속된 상태에서 상기 무선랜 모듈을 제어하여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하고,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는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을 통해 상기 무선 AP에 전송된 후 상기 무선 AP에서 상기 제1 주파수 대역을 통해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KR1020100126545A 2010-12-10 2010-12-10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접속 방법 및 사용자 단말 KR1011778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6545A KR101177837B1 (ko) 2010-12-10 2010-12-10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접속 방법 및 사용자 단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6545A KR101177837B1 (ko) 2010-12-10 2010-12-10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접속 방법 및 사용자 단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5174A true KR20120065174A (ko) 2012-06-20
KR101177837B1 KR101177837B1 (ko) 2012-08-28

Family

ID=466850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6545A KR101177837B1 (ko) 2010-12-10 2010-12-10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접속 방법 및 사용자 단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783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03769A1 (en) * 2014-06-30 2016-01-07 Apple Inc. Methods and apparatus to support network-based ip flow mobility via multiple wireless accesses for a wireless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57095A1 (en) * 2014-10-07 2016-04-14 Intel IP Corporation Improved resumption of pdn connections for devices regaining wlan connectivity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03769A1 (en) * 2014-06-30 2016-01-07 Apple Inc. Methods and apparatus to support network-based ip flow mobility via multiple wireless accesses for a wireless device
TWI583154B (zh) * 2014-06-30 2017-05-11 蘋果公司 對無線裝置經由多個無線存取來支援基於網路之ip流移動率的方法及設備
US9930716B2 (en) 2014-06-30 2018-03-27 Apple Inc. Methods and apparatus to support network-based IP flow mobility via multiple wireless accesses for a wireless device
US10531509B2 (en) 2014-06-30 2020-01-07 Apple Inc. Methods and apparatus to support network-based IP flow mobility via multiple wireless accesses for a wireless device
US11438949B2 (en) 2014-06-30 2022-09-06 Apple Inc. Methods and apparatus to support network-based IP flow mobility via multiple wireless accesses for a wireless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77837B1 (ko) 2012-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280363A1 (en)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and system
US20190379469A1 (en) Network symbol display in dual connectivity regions
US10433175B2 (en) Access control method, user equipment, and network device
CN108990038B (zh) 运营商辅助的设备到设备(d2d)发现
US1042598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necting to access point in portable terminal
US12133190B2 (en) Core network node, UE, access network node and controlling method
EP2865221B1 (en) System and method for online sign up provider selection
KR101288865B1 (ko) 통신 방법 및 무선기기
JP7354189B2 (ja) 移動通信ネットワークに通信可能に接続されるユーザー装置(ue)により実行される方法およびユーザー装置(ue)
JP2007189658A (ja) 無線セキュリティーの設定方法
CN110574407A (zh) 用于保护初始非接入层消息的装置和方法
TW202005437A (zh) 處理進接類型限制資訊的裝置及方法
KR20110120253A (ko) 무결성 보호없이 라우팅 영역(ra) 업데이트 프로시져 또는 부착 프로시져에 대한 타이머들을 처리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N116471699A (zh) 系统信息请求的用户设备及其方法
US20220303937A1 (en) Communication method,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mmunication system
US20160007276A1 (en) Wi-Fi Support Awareness
EP4054253A1 (en) Communication method and communication apparatus
KR101177837B1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접속 방법 및 사용자 단말
KR20130004752A (ko) 통신망 전환 시스템 및 방법
US10051671B2 (en) Terminal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EP273399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necting to an access point in portable terminal
US20140071816A1 (en) Apparatuses and methods for switching data traffic between heterogeneous networks
US1006419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llocating device-to-device D2D communication resource
EP4048000A1 (en) Paging method and apparatus
KR20240110301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사용자 기기의 가입자 식별 모듈을 설정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