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64571A -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walking assist robot using an electromyograph signals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walking assist robot using an electromyograph signal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64571A
KR20120064571A KR1020100125854A KR20100125854A KR20120064571A KR 20120064571 A KR20120064571 A KR 20120064571A KR 1020100125854 A KR1020100125854 A KR 1020100125854A KR 20100125854 A KR20100125854 A KR 20100125854A KR 20120064571 A KR20120064571 A KR 201200645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walking
emg
emg signal
inten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585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장은혜
지수영
조영조
김재홍
손주찬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001258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64571A/en
Publication of KR201200645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457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58Sensors or detect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PURPOSE: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waking assist robot is provided to assist the walk of a user by recognizing the walking intention of a user by using electromyography signals. CONSTITUTION: Apparatus for controlling waking assist robot comprises a sensor unit(110), a generating unit(120), and a control unit(130). The sensor unit comprises an electromyography sensor, and an analysis part(112). The electromyography sensor is attached to a human body for obtain signals. The analysis section analyzes signals generated from the sensor unit. The signal generating unit generates a walk intention signal by sensing the contraction change of muscle over specific value through electromyography signal. The control unit set and controls the walking mode of the waking assist robot through the generated signal.

Description

근전도 신호를 이용한 보행보조로봇 제어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WALKING ASSIST ROBOT USING AN ELECTROMYOGRAPH SIGNALS}Ambulatory assist robot control device and method using EMG signal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WALKING ASSIST ROBOT USING AN ELECTROMYOGRAPH SIGNALS}

본 발명은 보행보조로봇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근전도 신호를 활용하여 보행보조로봇을 이용하는 사용자의 보행의도를 인식하여 사용자의 보행을 보조하는 근전도 신호를 이용한 보행보조로봇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lking aid robot,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walking aid robot using an EMG signal for assisting a user's walking by recognizing a walking intention of a user using a walking aid robot. .

해마다 질병이나 사고에 의한 후천적 하지마비환자의 수가 증가하는 가운데, 이들의 재활 및 정상 생활로의 복귀에 관한 문제가 세계적으로 대두되고 있다. 최근 하지 마비환자들을 위한 사용자와 로봇의 동기화를 이용한 입는 형태의 보행보조로봇이 개발되고 있으며, 특히 안정성과 신뢰성을 높이기 위하여 사용자의 의도를 기반으로 시스템을 제어하고자 하는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사용자의 의도를 인식하기 위하여 영상, 음성 등에 기반한 인터페이스가 활용될 수 있으나, 3족 보행 시 버튼을 이용한 인터페이스의 경우 사용자가 보행하는 동안 양손에 크럿치를 잡고 있기 때문에 버튼을 누르고자 할 때마다 멈추어야 한다는 단점이 있으며, 음성 기반의 인터페이스를 주위의 잡음이나 주변 환경의 영향을 쉽게 받기 때문에 실제로 적용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As the number of patients with acquired paraplegia due to diseases and accidents increases year by year, problems related to their rehabilitation and return to normal life are emerging worldwide. Recently, a walking aid robot using a synchronization between a user and a robot for paraplegic patients has been developed, and in particular, a study for controlling a system based on a user's intention to improve stability and reliability has been made. In order to recognize the user's intention, an interface based on video and audio may be used. However, in case of an interface using a button for triangular walking, the user is required to stop each time the button is pressed because the user is holding the clutch on both hands while walking. There are disadvantages, and since the voice-based interface is easily affected by the ambient noise and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t is difficult to apply it in practice.

이러한 이유로, 최근에 사용자의 의도 인식을 위하여 근전도, 뇌파 등의 생체신호를 활용하고 있다. 이러한 생체신호 중에서 근전도 신호는 다른 생체 신호에 비하여 진폭이 크고, 잡음에 강하다는 장점 때문에 재활 시스템에 많이 적용되고 있다. For this reason, recently, biosignals such as electromyography and brain waves have been utilized to recognize the intention of the user. Among these biosignals, EMG signals have been widely applied to rehabilitation systems because of their advantages of greater amplitude and stronger noise than other biosignals.

이와 같이, 근전도 신호란 신체의 움직임에 따라 근육 표면으로부터 근섬유를 따라 일어나는 전기적 신호를 말한다. 이러한 근전도 신호의 크기는 대부분 10mV 이하이며 주파수 범위는 500Hz 미만으로 바늘을 근육에 직접 꽂아 측정하거나, 근육 근처의 피부 표면에 전극을 붙여 측정할 수도 있다. 컴퓨터 또는 이동 기기의 제어를 목적으로 근전도를 사용할 때는 실용성을 고려하여 표면 근전도 측정법을 이용한다. 표면 근전도 측정법은 피부 표면에서 근전도 신호를 측정하는 방법을 말한다.As such, the EMG signal refers to an electrical signal generated along the muscle fibers from the muscle surface as the body moves. Most of these EMG signals are less than 10mV and the frequency range is less than 500Hz, which can be measured by inserting the needle directly into the muscle or by attaching an electrode to the skin surface near the muscle. When using EMG for the control of a computer or mobile device, the surface EMG method is used in consideration of practicality. Surface EMG is a method of measuring the EMG signal on the skin surface.

또한, 근전도 신호는 보행을 위한 사용자 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목적으로 활용되고 있으나, 대부분의 연구에서 이들 신호는 허벅지 또는 무릎 근처의 하지 근육에 근전도 센서를 부착하여 다리 근육의 변화를 감지한다. In addition, EMG signals are used for the purpose of detecting a user signal for walking, but in most studies, these signals attach an EMG sensor to the lower extremity muscles near the thighs or knees to detect changes in leg muscles.

그런데, 종래에는 하지 마비환자들이 이러한 근전도 신호를 이용하여 보행의도를 보다 정확하게 감지할 수 없었으며, 보행시 하지 마비환자가 의도적으로 별도의 행위를 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장소에 구해 받을 뿐만 아니라, 쉽게 휴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in the related art, paraplegic patients could not detect walking intention more accurately by using the EMG signal, and there was an inconvenience in that the paralyzed patient should intentionally perform a separate action when walking. In addition, conventionally, not only can be obtained at a place, but also has a problem that cannot be easily carried.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근전도 신호를 활용하여 보행보조로봇을 이용하는 사용자의 보행의도를 인식하여 사용자의 보행을 보조하는 근전도 신호를 이용한 보행보조로봇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the gait assist robot control apparatus using the EMG signal to assist the user walking by recognizing the walking intention of the user using the gait assist robot using the EMG signal And providing a method.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는 보행보조로봇 제어 장치에 있어서, 입력되는 근전도 신호를 감지하고, 감지된 근전도 신호를 분석하는 센서부와, 상기 분석된 근전도 신호를 통해서 근육 수축의 변화 정도에 따라 보행신호를 생성하는 신호 생성부와, 상기 생성된 보행신호를 이용하여 보행보조로봇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As a technical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walking aid robot control apparatus, a sensor unit for detecting an input EMG signal, and analyzing the detected EMG signal, and the analyzed A signal generator for generating a walking signal according to the degree of change of muscle contraction through the EMG signal,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walking aid robot using the generated walking signal.

바람직하게, 상기 센서부는 상기 입력되는 근전도 신호를 증폭하여 필터링하고, 상기 필터링된 근전도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송신하며, 인체에 부착되는 근전도 센서와, 상기 변환된 디지털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디지털 신호를 증폭하여 필터링하고, 상기 필터링된 디지털 신호를 통해서 근전도 신호를 분석하는 분석부를 포함한다.Preferably, the sensor unit amplifies and filters the input EMG signal, converts the filtered EMG signal into a digital signal, and transmits the converted EMG signal to the human body, when the digital signal is received and the received digital signal is received. Amplifying and filtering the digital signal, and analyzing the EMG signal through the filtered digital signal.

바람직하게, 상기 신호 생성부는 보행을 위해 크럿치를 들어 앞으로 지면을 짚는 경우 근육 수축으로 발생되는 제1 근전도 신호와 상기 크럿치를 움직이지 않고 지면을 계속 짚는 경우 근육 수축으로 발생되는 제2 근전도 신호에 따라서 서로 다른 보행신호를 생성한다.Preferably, the signal generation unit according to the first EMG signal generated by muscle contraction when the ground is pushed forward by the crutch for walking and by the second EMG signal generated by muscle contraction when the ground is continued without moving the crutch. Generate different walking signals.

바람직하게, 상기 제1 근전도 신호는 보행을 위해 오른발을 동작시킬 경우 발생되는 제3 근전도 신호와 왼발을 동작시킬 경우 발생되는 제4 근전도 신호를 포함한다.Preferably, the first EMG signal includes a third EMG signal generated when operating the right foot for walking and a fourth EMG signal generated when operating the left foot.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부는 보행의 경우, 상기 제3 근전도 신호와 상기 제4 근전도 신호의 크기를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따라 해당 발을 먼저 동작시킨다.Preferably, in case of walking, the controller compares the magnitudes of the third EMG signal and the fourth EMG signal, and operates the corresponding foot first according to a comparison result.

또한,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보행보조로봇 제어 방법에 있어서, 입력되는 근전도 신호를 감지하고, 감지된 근전도 신호를 분석하는 과정과, 상기 분석된 근전도 신호를 통해서 근육 수축의 변화 정도에 따라 보행신호를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생성된 보행신호를 이용하여 보행보조로봇을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한다.In addition, as a technical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described technical problem,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walking aid robot control method, detecting the input EMG signal, and analyzing the detected EMG signal, and the analysis And generating a walking signal according to the degree of change of muscle contraction through the used EMG signal, and controlling the walking assistance robot using the generated walking signal.

바람직하게, 상기 분석과정은 상기 입력되는 근전도 신호를 증폭하여 필터링하고, 상기 필터링된 근전도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송신하는 과정과, 상기 변환된 디지털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디지털 신호를 증폭하여 필터링하고, 상기 필터링된 디지털 신호를 통해서 근전도 신호를 분석하는 과정을 포함한다.Preferably, the analyzing process includes amplifying and filtering the input EMG signal, converting the filtered EMG signal into a digital signal and transmitting the digital signal, and amplifying the received digital signal when the converted digital signal is received. Filtering and analyzing the EMG signal through the filtered digital signal.

바람직하게, 상기 생성 과정은 보행을 위해 크럿치를 들어 앞으로 지면을 짚는 경우 근육 수축으로 제1 근전도 신호가 발생되는 과정과, 상기 크럿치를 움직이지 않고 지면을 계속 짚는 경우 근육 수축으로 제2 근전도 신호가 발생되는 과정을 포함한다.Preferably, the generating process is a process in which the first EMG signal is generated by muscle contraction when the ground is pushed forward by the crutch for walking, and by the muscle contraction when the ground is continuously applied without moving the crutch. It includes the process that occurs.

바람직하게, 상기 제1 근전도 신호는 보행을 위해 오른발을 동작시킬 경우 발생되는 제3 근전도 신호와 왼발을 동작시킬 경우 발생되는 제4 근전도 신호를 포함한다.Preferably, the first EMG signal includes a third EMG signal generated when operating the right foot for walking and a fourth EMG signal generated when operating the left foot.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 과정은 보행의 경우, 상기 제3 근전도 신호와 상기 제4 근전도 신호의 크기를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따라 해당 발을 먼저 동작시킨다.
Preferably, the control process compares the magnitudes of the third EMG signal and the fourth EMG signal in the case of walking, and operates the corresponding foot first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근전도 신호를 활용하여 보행보조로봇을 이용하는 사용자의 보행의도를 인식하여 사용자의 보행을 보조하는 근전도 신호를 이용한 보행보조로봇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보행의도를 표현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의도적으로 별도의 행위를 하지 않고도 보행의도를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problem solv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the EMG signal to recognize the walking intention of the user using the walking aid robot by providing a walking aid robot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using the EMG signal to assist the user walking In order to express the degree, the user can check the walking intention without intentionally performing a separate ac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보행보조로봇 제어 장치를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근전도 신호를 분석하는 센서부의 세부 구성도를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근육 수축 변화 정도에 따라서 다르게 생성되는 보행의도 신호를 나타낸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근전도 신호를 이용한 보행보조로봇 제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walking aid robot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 sensor unit for analyzing an EMG sig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walking intention signal generat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degree of muscle contraction chan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walking assist robot control method using EMG signal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and like reference numerals designate like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part, it includes not only "directly connected" but also "electrically connected" with another part in between . In addition, when a part is said to "include" a certain component, which means that it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except to exclude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보행보조로봇 제어 장치를 나타낸 구성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walking aid robot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보행보조로봇 제어 장치(100)는 근전도 신호를 획득하기 위하여 인체에 부착되는 근전도 센서(111)와 상기 센서부로부터 생성된 신호를 분석하는 분석부(112)로 구성되는 센서부(110)와, 상기 센서부(110)로부터 분석된 근전도 신호를 통해 일정값 이상의 근육 수축 변화를 감지하여 보행의도 신호를 생성하는 신호 생성부(120)와, 상기 생성된 신호를 통해서 보행보조로봇의 보행 모드를 설정 및 제어하는 제어부(130)를 포함한다.As shown, the walking aid robot control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EMG sensor 111 attached to the human body in order to obtain an EMG signal and an analysis unit for analyzing the signal generated from the sensor unit ( A sensor unit 110 including a sensor unit 110, a signal generator unit 120 generating a walking intention signal by detecting a change in muscle contraction by a predetermined value or more through an EMG signal analyzed by the sensor unit 110, and And a controller 130 for setting and controlling a walking mode of the walking assistance robot through the generated signal.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보행보조로봇 제어 장치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referring to FIG. 1, a walking assistance robot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발명에 따른 보행보조로봇 제어 장치는 근육의 움직임으로 발생되는 근전도 신호를 이용한다. 예를 들어, 보행보조로봇을 이용하여 보행을 하는 경우, 보행 중일 경우의 근육 수축과 정지해 있을 경우 근육 수축은 다르며, 각각의 경우에 따라서 다른 근전도 신호가 발생된다. 다시 말하면, 근전도 신호는 보행을 시작(이하, 제1 보행의도라 칭함)하게 될 때 발생되는 근전도 신호와 보행을 정지(이하, 제2 보행의도라 칭함)하게 될 때 발생되는 근전도 신호로 크게 구분할 수 있다. 제 1보행 의도는 사용자가 보행을 위하여 크럿치를 들어 앞으로 지면을 짚는 동작이며, 제 2보행의도는 사용자가 보행을 정지하기 위하여 일정시간 동안 크럿치를 움직이지 않고 지면을 계속 짚고 있는 동작이다. Walking aid robot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ses the EMG signal generated by the movement of the muscle. For example, when walking using a walking aid robot, muscle contraction when walking and muscle contraction when stationary are different, and different EMG signals are generated according to each case. In other words, the EMG signal is roughly divided into EMG signals generated when walking is started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first walking intention) and EMG signals generated when stopping walking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second walking intention). Can be. The first walking intention is an operation in which the user pushes the ground forward by lifting the clutch for walking, and the second walking intention is an operation in which the user keeps touching the ground without moving the clutch for a predetermined time to stop walking.

그리고, 제 1보행의도는 오른발을 먼저 동작하여 보행하고자 하는 제 1-1보행의도와 왼발을 먼저 동작하고자 하는 제1-2보행의도로 구분된다. 본 발명이 적용될 보행보조로봇은 오른발 보행이라는 것을 전제로 하나, 경우에 따라 오른발과 왼발 보행의도신호가 요청될 때는 제1 보행의도시 발생되는 제1 근전도 신호와 제2 보행의도시 발생되는 제2 근전도 신호값의 크기를 비교하여 오른발이 먼저 나가는지 아니면 왼발이 먼저 나가는지를 구분한다. 제 1근전도 신호가 제 2근전도 신호보다 클 때는 오른발이 먼저 나가는 제 1-1보행의도로 판단하고, 제 2근전도 신호가 제 1근전도 신호보다 클 때는 왼발이 먼저 나가는 제 1-2보행의도로 보행의도로 판단한다.In addition, the first walking intention is divided into a first-first walking intention to walk by operating the right foot first and a second-walking intention to operate the left foot first. On the premise that the walking aid robo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s a right foot walking, in some cases, when the right foot and left foot walking intention signal is requested, the first EMG signal generated by the first walking city and the second walking city are generated. 2 Compare the magnitude of EMG signal values to distinguish whether the right foot is going out first or the left foot is going out first. When the first EMG signal is greater than the second EMG signal, the right foot is determined to be the first walking gait first, and when the second EMG signal is greater than the first EMG signal, the left foot is first walking the 1-2 gait intention Judging by intention

이와 같이, 근전도 신호는 사용자가 보행시, 서 있을 경우에 따라 각각 다를 뿐만 아니라, 보행시 왼발을 먼저 나가는 경우와 오른발을 먼저 나가는 경우에 따라서도 다르다.In this way, the EMG signal is different depending on the case where the user is walking and standing, as well as when the left foot first walks out and the right foot first goes out when walking.

근전도 센서(111)는 이러한 다양한 경우에 따라 사용자의 근육으로부터 발생되는 근전도 신호를 감지한다. 이러한, 근전도 센서(111)는 보행을 위하여 크럿치에 힘을 가할 때 나타나는 근육 수축 신호를 획득하기 위하여 팔꿈치에서 팔목 사이에 포함되는 제 1근육과 제 2근육에 부착된다. 이러한 근전도 센서는 근육이 이완 또는 수축이 되면, 이를 감지하여 근전도 신호를 발생한다. 이를 위해, 보행 동안 생성되는 제 1근육의 제 1근전도 신호와 제 2근육의 제 2근전도 신호는 무선 통신을 통해서 분석부(110)로 입력된다. 상기 분석부(110)는 신호 처리 과정을 거쳐 수신된 근전도 신호를 분석하고, 보행의도 신호를 생성하는 신호 생성부(120)로 전송한다. The EMG sensor 111 detects EMG signals generated from the muscles of the user according to various such cases. The EMG sensor 111 is attached to the first and second muscles included between the elbows and the cuffs to obtain muscle contraction signals that appear when a force is applied to the clutch for walking. The EMG sensor detects when the muscle is relaxed or contracted and generates an EMG signal. To this end, the first EMG signal of the first muscle and the second EMG signal of the second muscle generated during walking are input to the analysis unit 110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The analyzer 110 analyzes the EMG signal received through the signal processing process and transmits the signal to the signal generator 120 generating the walking intention signal.

보다 상세하게 상기 분석부(112)는 근전도 센서(111)로부터 수신된 근전도 신호를 증폭하고, 증폭된 신호를 필터링한다. 즉, 증폭된 신호를 고대역 통과 필터링하여 10Hz 이하의 주파수를 차단하거나 또는 저대역 통과 필터링하여 60Hz 또는 500Hz 이상의 주파수를 차단한다. 이러한 필터링을 통해 출력된 신호를 A/D변환하고, 신호 생성부(120)로 전송한다. 그리고, 이러한 센서부(110)의 보다 상세한 설명은 도 2에서 후술한다.In more detail, the analyzer 112 amplifies the EMG signal received from the EMG sensor 111 and filters the amplified signal. In other words, the amplified signal is blocked by a high pass filtering to cut a frequency below 10 Hz or by a low pass filtering to cut a frequency above 60 Hz or 500 Hz. A / D conversion of the signal output through this filtering, and transmits to the signal generator 120. A mor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ensor unit 110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2.

상기 신호 생성부(120)는 센서부(110)로부터 수신된 근전도 신호를 통해 보행의도 신호를 생성하는 장치이다. 즉, 피부에 부착된 근전도 센서를 통해서 근육의 움직임을 파악하고, 근육 움직임으로 인해 발생되는 근전도 신호를 이용하여 보행의도 신호를 생성한다. 이와 같이, 보행 중일 경우의 근육 수축과 정지해 있을 경우 근육 수축은 다르며, 각각의 경우에 따라서 다른 근전도 신호가 발생 된다. The signal generator 120 is a device for generating a walking intention signal through the EMG signal received from the sensor unit 110. That is, the muscle movement is detected through the EMG sensor attached to the skin, and the walking intention signal is generated using the EMG signal generated by the muscle movement. In this way, muscle contraction when walking and muscle contraction when stationary are different, and different EMG signals are generated in each case.

예를 들어, 사용자가 보행을 위하여 크럿치를 들어 앞으로 지면을 짚는 경우와, 사용자가 보행을 정지하기 위하여 일정시간 동안 크럿치를 움직이지 않고 지면을 계속 짚고 있는 경우, 서로 다른 근전도 신호가 발생된다. 뿐만 아니라, 오른발을 먼저 동작하는 경우와 왼발을 먼저 동작하는 경우 역시 서로 다른 근전도 신호가 발생된다.For example, different EMG signals are generated when the user pushes the ground forward by lifting the crutch for walking and when the user keeps touching the ground without moving the clutch for a certain time to stop walking. In addition, different EMG signals are generated when the right foot is operated first and the left foot is operated first.

상기 보행의도 신호는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보행시, 서 있을 경우에 따라 각각 다를 뿐만 아니라, 보행시 왼발을 먼저 나가는 경우와 오른발을 먼저 나가는 경우에 따라 다르다.As described above, the walking intention signal is different depending on the case where the user is walking and standing, and also depends on the case of leaving the left foot first and the case of leaving the right foot first.

보다 상세하게, 상기 신호 생성부(120)는 근육 수축 변화 정도에 따라서 보행신호를 생성한다. 도 3에서는 이러한 근육 수축 변화 정도에 따라서 다르게 생성되는 보행의도 신호를 설명한다.
In more detail, the signal generator 120 generates a walking signal according to the degree of muscle contraction change. 3 illustrates a walking intention signal generat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degree of change in muscle contrac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근전도 신호를 분석하는 센서부의 세부 구성도를 나타낸 블록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 sensor unit for analyzing an EMG sig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센서부(110)는 근전도 센서(210)와 분석부(220)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근전도 센서는 도 2a와 같이, 입력되는 근전도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부(211)와, 증폭된 근전도 신호를 필터링하는 필터부(212)와, 상기 필터링된 근전도 신호를 디지탈 신호로 변환하는 변환부(213)와, 변환된 디지탈 신호를 분석부(112)로 송신하는 송신부(214)로 구성된다. 이러한 근전도 센서(210)는 인체에 직접적으로 부착되며, 분석부(220)과 유무선 통신으로 신호를 송수신한다. 그리고, 분석부(220)는 도 2b와 같이, 상기 근전도 센서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221)와, 수신된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부(222)와, 증폭된 신호를 디지털 필터링하는 필터부(223)와, 필터링된 디지털 신호를 통해서 근전도 신호를 분석하는 분석부(224)로 구성된다.As shown, the sensor unit 1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the EMG sensor 210 and the analysis unit 220. And, the EMG sensor, as shown in Figure 2a, the amplifying unit 211 for amplifying the input EMG signal, the filter unit 212 for filtering the amplified EMG signal, and converts the filtered EMG signal into a digital signal The converter 213 and the transmitter 214 which transmits the converted digital signal to the analyzer 112 are comprised. The EMG sensor 210 is directly attached to the human body, and transmits and receives a signal through the wired and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analysis unit 220. In addition, as illustrated in FIG. 2B, the analyzer 220 may include a receiver 221 for receiving a signal received from the EMG sensor, an amplifier 222 for amplifying the received signal, and a filter for digitally filtering the amplified signal. A unit 223 and an analysis unit 224 for analyzing the EMG signal through the filtered digital signal.

상기 근전도 센서(210)의 필터부(212)는 증폭된 신호를 저대역 또는 고대역으로 필터링하여 원하는 신호를 통과시킨다. 그리고, 변환부(213)는 필터링된 신호를 샘플링 과정을 통해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The filter unit 212 of the EMG sensor 210 filters the amplified signal into a low band or a high band to pass a desired signal. In addition, the converter 213 converts the filtered signal into a digital signal through a sampling process.

그리고, 분석부(220)의 증폭부(222)는 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디지털 신호를 증폭하고, 필터부(223)는 근전도 센서의 필터부(212)와 마찬가지로 증폭된 신호를 저대역 또는 고대역으로 필터링하여 원하는 신호를 통과시킨다. 그리고, 분석부(224)는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통해 생성된 신호를 통해서 근전도 신호를 분석한다. 근전도 신호를 분석하는 과정은 전술하였기 때문에 생략한다.
In addition, the amplifying unit 222 of the analysis unit 220 amplifies the digital signal received through the receiving unit, and the filter unit 223, like the filter unit 212 of the EMG sensor, low or high band amplified signal Filter through to pass the desired signal. In addition, the analyzer 224 analyzes the EMG signal through the signals generated through the series of processes. The process of analyzing the EMG signal is omitted because it has been described above.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근육 수축 변화 정도에 따라서 다르게 생성되는 보행의도 신호를 나타낸 예시도이다.3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walking intention signal generat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degree of muscle contraction chan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근전도 신호값은 근육 수축 정도에 따라 작다(+), 보통이다(++), 크다(+++)의 조건으로 구성할 수 있는데, 제 1보행의도에 해당되는 근전도 신호값은 일정시간 동안 제 1과 2근전도의 신호값이 작아졌다가(+) 커지고(+++), 제 2보행의도에 해당되는 근전도 신호값은 일정시간 동안 제 1과 2근전도의 신호값이 변화 없이 보통이거나(++) 또는 크도록(+++) 형성된다. 또한 제 1-1보행의도의 근전도 신호값은 제 1근전도 신호값(+++) > 제 2근전도 신호값(++)의 조건을, 제 1-2보행의도의 근전도 신호값은 제 1근전도 신호값(++) < 제 2근전도 신호값(+++)의 조건을 만족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신호 생성부(120)에서 형성된 보행의도신호는 제어부(130)에 전달되어 보행의도에 따라 보행보조로봇의 보행모드를 설정하여 로봇이 구동되도록 한다.As shown, the EMG signal value may be configured to be small (+), normal (++), large (+++) conditions according to the degree of muscle contraction, the EMG signal corresponding to the first walking intention The value of the EMG signal decreases (+) and increases (+++) of the first and second EMG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the EMG signal valu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walking intention is the signal value of the first and second EMG for a certain time. It is formed to be normal (++) or large (+++) without this change. In addition, the EMG signal value of the 1-1 walking intention is the condition of the first EMG signal value (+++)> the second EMG signal value (++), the EMG signal value of the 1-2 walking intention is It is formed so as to satisfy the condition of 1 EMG signal value (++) <2nd EMG signal value (+++). The walking intention signal formed by the signal generator 120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130 to set the walking mode of the walking assistance robot according to the walking intention so that the robot is driven.

상기 제어부(130)에서는 제1 및 제2 근전도 신호값이 일정시간 (+)에서 (+++)로 변화하는 보행의 시작의도신호를 입력 받아 보행보조로봇을 구동시킨다. 보행의 시작신호가 입력되면 보행보조로봇은 오른발을 먼저 동작하게 되고 동일한 보행시작신호가 입력되면 왼발이 동작하게 되고, 보행 동안에는 상기 과정이 계속적으로 반복된다. 본 발명은 동일한 방향의 발이 반복해서 동작하지 않아야 한다는 전제를 가진다. 제 1근전도 신호값(+++)이 제 2근전도 신호값(++)보다 큰 제 1-1보행의도 신호가 제어부(130)에 입력되면 보행보조로봇은 오른발을 먼저 동작하여 오른발-왼발-오른발-... 의 순서로 보행이 진행되면, 반대로 제 2근전도 신호값(+++)이 제 1근전도 신호값(++)보다 큰 조건인 제 1-2보행의도 신호가 입력되면 왼발-오른발-왼발-오른발-... 의 순서로 보행이 진행된다. 제 1과 2근전도 신호값이 일정시간 동안 (++) 또는 (+++)로 변화가 없을 때 신호 생성부(120)에서는 보행보조로봇의 제어부(130)로 정지신호를 출력하게 되고, 제어부(130)에서는 보행 동안 동작하는 보폭의 1/2만 동작하여 동작하는 발이 반대편 발의 위치와 동일한 위치에 닿게 하여 처음의 정지자세가 되도록 동작한다.
The control unit 130 receives the intention signal of the start of the gait that the first and second EMG signal values change from a predetermined time (+) to (+++) to drive the walking assistance robot. When the walking start signal is input, the walking aid robot operates the right foot first, and when the same walking start signal is input, the left foot operates. During the walking, the process is continuously repeated.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premise that the feet in the same direction should not be repeatedly operated. When the first-first walking intention signal having the first EMG signal value (+++) is greater than the second EMG signal value (++) is input to the controller 130, the walking assistance robot operates the right foot first to operate the right foot-left foot. If the walking proceeds in the order of-right foot-..., on the contrary, if the second 1-2 walking intention signal is input, the condition that the second EMG signal value (+++) is greater than the first EMG signal value (++) The walk proceeds in the order of left foot-right foot-left foot-right foot ... When the first and second EMG signal values do not change to (++) or (+++) for a predetermined time, the signal generator 120 outputs a stop signal to the controller 130 of the walking aid robot. In step 130, only one half of the stride length that is operated during walking is operated so that the foot that is in operation reaches the same position as that of the opposite foot so as to be the first stop position.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근전도 신호를 이용한 보행보조로봇 제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walking assist robot control method using EMG signal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근전도 신호를 이용한 보행보조로봇 제어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referring to FIG. 4, a walking assistance robot control method using EMG signal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사용자의 근육에 부착된 근전도 센서로부터 근전도 신호가 입력되면, 입력된 근전도 신호를 신호처리하여 근전도 신호를 분석한다(S410, S412). 즉, 상기 입력된 근전도 신호는 보행자가 크럿치를 드는지, 아니면 짚는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그 강도 역시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근전도 신호가 입력되면, 입력된 근전도 신호를 증폭하고, 증폭된 신호를 저대역 통과 필터 또는 고대역 통과 필터를 통해서 필터링한다. 그리고, 필터링된 신호를 A/D 변환을 수행하여 근전도 신호를 분석한다. When the EMG signal is input from the EMG sensor attached to the muscle of the user, the EMG signal is processed to analyze the EMG signal (S410 and S412). That is, the input EMG signal not only includes information on whether the pedestrian lifts or stops, but also includes its strength. When the EMG signal is input, the input EMG signal is amplified and the amplified signal is filtered through a low pass filter or a high pass filter. The EMG signal is analyzed by performing A / D conversion on the filtered signal.

상기 과정(S412)에서 분석된 근전도 신호를 통해 근육 수축 변화 정도를 감지한다(S414). 다시 말하면, 상기 입력된 근전도 신호는 보행자가 크럿치를 드는지, 아니면 짚는지에 따른 세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전방으로 향하는지 후방으로 향하는지에 대한 정보도 포함하고 있다. 신호 생성부(120)는 이러한 정보를 통해서 감지된 결과를 통해 보행의도 신호를 생성한다(S416). 상기 생성된 보행의도 신호는 전술한 바와 같이, 보행을 시작하는지 아니면 정지하는지 또는 보행 중인지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오른발을 먼저 동작하게 하는지 아니면 왼발을 먼저 동작하게 하는지에 대한 신호로서 근전도 신호를 통해서 파악이 가능하다.The degree of muscle contraction change is detected through the EMG signal analyzed in step S412 (S414). In other words, the input EMG signal not only includes information on the strength according to whether the pedestrian lifts or depresses the clutch, but also includes information on whether the user faces forward or backward. The signal generator 120 generates a walking intention signal through the result detected through the information (S416). As described above, the generated walking intention signal not only indicates whether to start walking, stops, or walking, but also through the EMG signal as a signal for operating the right foot first or the left foot first. This is possible.

그리고, 상기 과정(S416)에서 생성된 보행의도 신호를 통해 보행보조로봇의 보행모드를 제어한다(S418). Then, the walking mode of the walking aid robot is controlled through the walking intention signal generated in step S416 (S418).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 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also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recording medium including instructions executable by a computer, such as a program module executed by a computer. Computer readable media can be any available media that can be accessed by a computer and includes both volatile and nonvolatile media, removable and non-removable media. In addition, the computer-readable medium may include both computer storage media and communication media. Computer storage media includes both volatile and nonvolatile, removable and non-removable media implemented in any method or technology for storage of information such as computer readable instructions, data structures, program modules or other data. Communication media typically includes computer readable instructions, data structures, program modules, or other data in a modulated data signal such as a carrier wave, or other transmission mechanism, and includes any information delivery media.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The forego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for illustration, and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asily modif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entity may be distributed and implemented, and components described as being distributed may also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are to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

110: 센서부 111: 근전도 센서
112: 분석부 120: 신호 생성부
130: 제어부
110: sensor unit 111: EMG sensor
112: analyzer 120: signal generator
130:

Claims (1)

보행보조로봇 제어 장치에 있어서,
입력되는 근전도 신호를 감지하고, 감지된 근전도 신호를 분석하는 센서부와,
상기 분석된 근전도 신호를 통해서 근육 수축의 변화 정도에 따라 보행신호를 생성하는 신호 생성부와,
상기 생성된 보행신호를 이용하여 보행보조로봇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보행보조로봇 제어 장치.
In walking aid robot control device,
A sensor unit for detecting an input EMG signal and analyzing the detected EMG signal;
A signal generator configured to generate a walking signal according to the degree of change in muscle contraction through the analyzed EMG signal;
A walking aid robot control device including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walking aid robot by using the generated walking signal.
KR1020100125854A 2010-12-09 2010-12-09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walking assist robot using an electromyograph signals KR20120064571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5854A KR20120064571A (en) 2010-12-09 2010-12-09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walking assist robot using an electromyograph signal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5854A KR20120064571A (en) 2010-12-09 2010-12-09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walking assist robot using an electromyograph signal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4571A true KR20120064571A (en) 2012-06-19

Family

ID=466846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5854A KR20120064571A (en) 2010-12-09 2010-12-09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walking assist robot using an electromyograph signal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64571A (en)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84962A (en) * 2014-05-30 2014-08-13 河北工业大学 Exoskeleton walking mode identification method based on electromyographic signals
KR20170014553A (en) 2015-07-30 2017-02-08 창명제어기술 (주) Electric Prosthesis based on EMG(Electromyogram) method and the Remote Control Appraratus thereof
US10456317B2 (en) 2013-12-27 2019-10-29 Korea Polytechnic University Industry 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joint angle of knee-joint type walking training robot
US10556335B2 (en) 2013-11-14 2020-02-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Wearable robot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10576619B2 (en) 2014-12-26 2020-03-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Assisting torque setting method and apparatus
KR20210064976A (en) 2019-11-26 2021-06-03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Artificial leg apparatus possible for user intention decision and method using the same
KR20210064975A (en) 2019-11-26 2021-06-03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Pressure sensing apparatus in artificial leg apparatus possible for user intention decision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56335B2 (en) 2013-11-14 2020-02-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Wearable robot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10456317B2 (en) 2013-12-27 2019-10-29 Korea Polytechnic University Industry 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joint angle of knee-joint type walking training robot
CN103984962A (en) * 2014-05-30 2014-08-13 河北工业大学 Exoskeleton walking mode identification method based on electromyographic signals
CN103984962B (en) * 2014-05-30 2017-03-29 河北工业大学 A kind of ectoskeleton walking mode recognition methods based on electromyographic signal
US10576619B2 (en) 2014-12-26 2020-03-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Assisting torque setting method and apparatus
US11865709B2 (en) 2014-12-26 2024-01-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Assisting torque setting method and apparatus
KR20170014553A (en) 2015-07-30 2017-02-08 창명제어기술 (주) Electric Prosthesis based on EMG(Electromyogram) method and the Remote Control Appraratus thereof
KR20210064976A (en) 2019-11-26 2021-06-03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Artificial leg apparatus possible for user intention decision and method using the same
KR20210064975A (en) 2019-11-26 2021-06-03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Pressure sensing apparatus in artificial leg apparatus possible for user intention decis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64571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walking assist robot using an electromyograph signals
KR101448106B1 (en) Analisys Method of Rehabilitation status using Electromyogram
Zheng et al. Gait phase estimation based on noncontact capacitive sensing and adaptive oscillators
KR101680740B1 (en) Recognition method of human walking speed intention from surface electromyogram signals of plantar flexor and walking speed control method of a lower-limb exoskeleton robot
KR102133933B1 (en) Method for walking assist, and device operating the same
Kundu et al. Design of wearable, low power, single supply surface EMG extractor unit for wireless monitoring
US10575772B2 (en)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ement of muscle stiffness
CN112040852B (en) Blood pressure measuring device
CN105286804A (en) Wearable knee-crawling movement physiological parameter detection device
CN110538048A (en) Circular orbit walking rehabilitation training instrument
KR20140128487A (en)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fes) system for affected side in symmetry structure of physical using muscle activity of non-affected side and fes control method thereof
US20180228437A1 (en) Lower limb rehabilitation system
Ye et al. An adaptive method for gait event detection of gait rehabilitation robots
KR102261608B1 (en)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Wearable Walk Assist Robot
RU2562761C2 (en)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exoskeleton configured to capture object of interest
JP2019141263A (en) Blood glucose level measuring system and blood glucose level measuring device
KR20120072249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walk aid robot using user walking intention detection
KR101038434B1 (en) Heart rate systolic blood pressure measurement device using belt type ECG and band type pulse wave measuring device
KR101038425B1 (en) Blood pressure change measuring device that detects patient&#39;s movement
LeMoyne et al. Implementation of machine learning with an iPod application mounted to a cane for classifying assistive device usage
KR100554173B1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electronic instruments using human features and method thereof
CN210932582U (en) Circular orbit walking rehabilitation training instrument
Zheng et al. A wearable capacitive sensing system with phase-dependent classifier for locomotion mode recognition
WO2017187658A1 (en) Motion assist device
US20190274605A1 (en) Concentration measurement device and concentration measurement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