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64459A - 멀티웨이 밸브 및 이를 이용한 재생성 세포 추출시스템 - Google Patents

멀티웨이 밸브 및 이를 이용한 재생성 세포 추출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64459A
KR20120064459A KR1020100125705A KR20100125705A KR20120064459A KR 20120064459 A KR20120064459 A KR 20120064459A KR 1020100125705 A KR1020100125705 A KR 1020100125705A KR 20100125705 A KR20100125705 A KR 20100125705A KR 20120064459 A KR20120064459 A KR 201200644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tube
outer ring
tubes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57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63821B1 (ko
Inventor
도병록
김지향
박승훈
김명진
강성구
김철근
김종훈
박상길
이정규
Original Assignee
도병록
주식회사 휴림바이오셀
이정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병록, 주식회사 휴림바이오셀, 이정규 filed Critical 도병록
Priority to KR10201001257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3821B1/ko
Publication of KR201200644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44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38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38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47/00Means for after-treatment of the produced biomass or of the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e.g. storage of biomass
    • C12M47/04Cell isolation or sort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Microbi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pparatus Associated With Microorganisms And Enzy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멀티웨이 밸브 및 이를 이용한 재생성 세포 추출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멀티웨이 밸브는 유체가 이송되는 복수의 튜브들이 상면에 놓여지며, 복수의 튜브들이 배치된 영역의 하부에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지지플레이트, 지지플레이트의 상면을 개방 및 폐쇄하는 덮개, 지지플레이트에 놓여진 튜브를 개방 및 폐쇄하도록 지지플레이트의 관통공에 끼워져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셔터부재 및 지지플레이트의 하부에 배치되어 셔터부재를 지지하는 것으로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중앙부와, 환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중앙부를 순차적으로 감싸도록 배치되며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외륜부를 구비하는 회전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중앙부와 외륜부의 상면은 제1높이에 배치되는 제1지지면과 제1지지면보다 낮은 제2높이에 배치되는 제2지지면으로 형성되어, 셔터부재가 제1지지면에 지지되는 경우 관통공으로부터 돌출되어 튜브를 폐쇄시킨다.

Description

멀티웨이 밸브 및 이를 이용한 재생성 세포 추출시스템{Multiway valve and System for extracting regenerative cell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멀티웨이 밸브 및 이를 이용한 재생성 세포 추출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지방조직 등의 세포조직을 원심분리하여 줄기세포와 같은 재생성 세포를 추출하기 위한 시스템 및 이 시스템에 사용되는 멀티웨이 밸브에 관한 것이다.
줄기세포는 특정 조건에서 복수의 세포 계통으로 분화가 가능한 클론원성(clonogenic)과 자기-재생 능력을 보유하는 세포로서 정의된다. 배아 줄기 세포는 배반포(blastocyst) 단계에서 포유동물 배아로부터 유래되고 체내에 존재하는 거의 모든 세포로 분화할 수 있는 능력을 보유하는 반면, 성체 줄기 세포는 출생후 분화된 조직에 극미량 존재하는 세포로서 줄기세포의 능력을 지니는 세포이다.
성체 줄기 세포는 배아 줄기 세포에 비하여 실제적인 이점을 제공한다. 즉, 성체줄기세포는 배아줄기세포와 달리 윤리적 문제를 유발하지 않고, 환자 자신으로부터 추출될 수 있다. 이들은 공급량이 풍부하고 인체의 다양한 조직에 내재한다. 성체 줄기 세포의 가장 가용한 공급원은, 최근의 연구에서 확인된 바와 같이, 골수, 말초혈, 제대/제대혈 및 지방 조직이다. 이들 세포는 생리학적 세포 생성(cell turnover) 또는 상처에 기인한 조직 손상의 결과로써, 그들 자신의 특이적인 조직 내에서 최종 분화된 세포를 유지하고 산출하고 대체할 수 있다.
세포 형성능(cell plasticity)이라고 하는 이런 능력은 손상된 기관의 생리 현상과 기능을 회복시키는 목적으로, 결함이 생긴 조직의 재생을 목표로 하는 치료적 적용의 개발을 이끌어냈다. 성체 줄기 세포는 수십 년 전부터 알려진 바와 같이 조혈 세포만이 아니라 다양한 조직에 분포하며, 최근에 밝혀진 바와 같이, 혈관, 근육, 뼈, 연골, 피부, 신경 등으로 분화될 수 있다. 이들 세포는 중간엽 줄기 세포(mesenchymal stem cell)로 알려져 있다. 이에 더하여, 혈소판 농축액은 상처 치유를 가속화시키는데 이용될 수 있고, 결과적으로, 뼈, 피부 또는 기타 조직과 같은 조직의 재구성에 도움을 주는 재생 의약에서 일정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최근, 지방 조직은 치료적 응용에 적합한 줄기 세포, 선조 세포 및 기질 물질을 다량 포함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지방 조직은 또한, 혈관 내피 세포의 풍부한 근원이며, 상기 혈관 내피 세포는 신 혈관의 성장을 촉진하고 줄기 및 선조 세포 성장을 자극함으로써 조직 재생에 기여할 수 있다.
지방 조직, 제대혈 등 다양한 조직으로부터 세포를 수집하기 위한 많은 장치가 개발되어 왔지만, 이들 장치는 조직의 수집에서 처리까지의 전 과정 중 일부가 수동으로 이루어지는 등 완전 자동화되어 있지 않다. 또한, 종래의 장치들은 밀폐가 완전하지 않아 지방 조직의 수집으로부터 처리까지의 전 과정에서 조직이 오염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조직의 수집으로부터 조직의 처리까지의 과정이 밀폐된 상태에서 프로그램에 의해서 완전히 자동화되어 진행되며, 조직으로부터 채취되는 재생성 세포의 순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장치의 개발이 요구된다.
또한 종래의 장치들은 다수의 연결관들과 저장백들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데, 각 연결관마다 밸브가 따로 설치되어야 하고 다수의 펌프가 필요하여 장치가 복잡해지고 사용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재생성 세포 추출시스템을 비롯하여 다수의 경로가 형성되어야 하는 장치에 사용가능한 멀티웨이 밸브 및 이 멀티웨이 밸브가 구비된 재생성 세포 추출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멀티웨이 밸브는 유체가 이송되는 복수의 튜브들이 상면에 놓여지며, 상기 복수의 튜브들이 배치된 영역의 하부에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지지플레이트;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상면을 개방 및 폐쇄하는 덮개;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상면에 대하여 돌출되어 상기 튜브를 압착하도록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관통공에 끼워져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셔터부재; 및상기 지지플레이트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셔터부재를 지지하는 것으로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중앙부와, 환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중앙부를 순차적으로 감싸도록 배치되며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외륜부를 구비하는 회전플레이트;를 구비하며, 상기 중앙부와 외륜부의 상면은 제1높이에 배치되는 제1지지면과 상기 제1지지면보다 낮은 제2높이에 배치되는 제2지지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셔터부재가 제1지지면에 지지되는 경우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대하여 돌출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재생성 세포 추출시스템은, 조직(tissue)을 분리하기 위한 것으로서, 외부로부터 회전력을 제공받아 회전되며 조직이 수용되는 공간부가 형성되어 있는 서브 용기와, 일단부가 상기 서브 용기의 하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서브 용기에 삽입되는 중공형의 출입관을 구비하는 제1유닛; 상기 제1유닛으로부터 이송된 분리대상물로부터 재생성 세포를 추출하기 위한 것으로서, 외부로부터 회전력을 제공받아 회전되며 상기 분리대상물이 수용되는 수용부가 형성되어 있는 메인 용기와, 일단부는 상기 메인 용기의 하부에 배치되고 타단부는 상기 메인 용기의 외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메인 용기에 삽입되는 중공형의 제1배출관을 구비하는 제2유닛;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유닛의 출입관, 상기 제2유닛의 제1배출관 및 복수의 저장백이 각각 연결되어 멀티웨이 밸브; 및 상기 멀티웨이 밸브에 연결된 펌프;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재생성세포 추출 시스템(300)은 전 과정이 자동화될 뿐만 아니라, 멀티웨이 밸브 2개를 이용하여 하나의 펌프로 모든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시스템도 단순하게 구성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재생성 세포 추출시스템은 제1유닛에서 1차적으로 교반, 세척 및 조직분해를 수행하여 줄기세포를 포함한 수용액을 형성하고, 제2유닛에서는 수용액에 대해서 2차적으로 원심분리를 수행함으로써, 줄기세포 추출작업이 효율적으로 수행되며, 줄기세포의 추출 수율이 향상된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재생성 세포 추출시스템은 전체적으로 밀폐되어 기밀이 유지되며, 필터에 의하여 외부의 오염원이 차단되므로 지방조직에서 줄기세포를 추출하거나 조직을 세척하는 과정에서 지방조직이나 세포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멀티웨이 밸브의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Ⅱ-Ⅱ선 개략적 단면도로서, 지지플레이트에 튜브가 놓여진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3의 도 1의 Ⅲ-Ⅲ선 개략적 단면도로서, 회전플레이트의 제1지지면과 제2지지면의 배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멀티웨이 밸브의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Ⅴ-Ⅴ선 개략적 단면도로서, 제2플레이트에 튜브가 놓여진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6은 도 4의 Ⅵ-Ⅵ선 개략적 단면도로서, 제1플레이트에 튜브가 놓여진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4의 Ⅶ-Ⅶ선 개략적 단면도로서, 회전플레이트의 제1지지면과 제2지지면의 배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멀티웨이 밸브가 구비된 재생성 세포 추출시스템의 개략적 구성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제1유닛의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제2유닛의 개략적 분리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12는 제2유닛에서 모음부재와 가이드부재를 이용하여 분리물을 수집 및 배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다중필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웨이 밸브의 변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웨이 밸브 및 이를 이용한 재생성 세포 추출시스템에 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멀티웨이 밸브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멀티웨이 밸브의 개략적 단면도이며, 도 2는 도 1의 Ⅱ-Ⅱ선 개략적 단면도로서 지지플레이트에 튜브가 놓여진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도 3의 도 1의 Ⅲ-Ⅲ선 개략적 단면도로서, 회전플레이트의 제1지지면과 제2지지면의 배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제1실시예에 따른 멀티웨이 밸브(500)는 본체(510), 덮개(520), 회전플레이트(530) 및 셔터부재(550)를 구비한다.
본체(510)는 베이스 플레이트(511)와 지지플레이트(512)를 구비한다. 베이스 플레이트(511) 위에 지지플레이트(512)가 얹어지며 나사(미도시)에 의하여 상호 결합된다. 본체(510)의 내부에는 후술할 회전플레이트(530)가 설치될 공간이 형성된다. 또한 베이스 플레이트(511)의 일측에는 회전플레이트(530)의 중앙부(535)와 외륜부(536,537)의 각 회전축(535a,536a,527a)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구(511a)가 형성된다.
지지플레이트(512)의 상면에는 복수의 튜브(600)가 놓여져 지지된다. 이 튜브(600)의 내부를 통해 유체가 이송되는데, 튜브(600)는 휘어질 수 있고 압착가능한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 튜브(600)는 2개의 세트로 구성되는데, 하나의 튜브 세트는 3개의 튜브(601,602,603)가 하나의 지점에서 상호 만나는 형태로 이루어지며, 다른 튜브세트는 하나의 튜브(604)가 지지플레이트(512)를 지나가고 다른 튜브(605)가 이 튜브(604)에 접속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도 2에 도시된 튜브들의 배치형태는 일 예에 불과하며, 필요에 따라 매우 다양한 형태로 튜브의 배치형태를 변경시킬 수 있다.
그리고 지지플레이트(512)의 상면에는 복수의 튜브(600)가 안착될 수 있는 안착홈부(513)가 형성된다. ,즉, 지지플레이트(512)의 상면에는 오목하게 홈부가 형성되며 튜브(600)는 이 안착홈부(513)에 수용된다.
한편, 지지플레이트(512)에는 복수의 관통공(514)이 형성된다. 이 관통공(514)은 복수의 튜브(600)들이 배치되는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보다 자세하게는, 각 관통공(514)은 튜브(600)들이 수용된 안착홈부(513)의 바닥면과 지지플레이트(512)의 하면 사이를 관통하여 형성된다. 그러나, 지지플레이트(512) 위에는 안착홈부가 형성되지 않고 후술할 덮개에 안착홈부가 형성되거나 안착홈부 자체가 없을 수도 있는데, 이러한 경우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플레이트의 상면 위에 바로 관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1의 확대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관통공(514)은 단차지게 형성되어 상부공(515)과 하부공(516)으로 나누어진다. 상부공(515)은 직경이 작게 형성되며, 하부공(516)은 직경이 크게 형성되어 상부공(515)과 하부공(516)의 경계에는 걸림턱(517)이 형성된다.
덮개(520)는 본체(510)의 상면을 외부로 개방시키거나 폐쇄시키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덮개(520)는 본체(510)의 일측에 힌지가능하게 결합되어, 일방향으로 회전시 본체(510)의 상면을 커버하고 타방향으로 회전시 본체(510)의 상면을 외부로 노출시킨다.
덮개(520)의 하면에는 볼록하게 돌출부(미도시)가 형성된다. 이 돌출부(미도시)는 지지플레이트(512)에 형성된 안착홈부(513)와 대응되게 형성되어, 안착홈부(513)에 튜브(600)가 수용된 상태에서 덮개(520)가 폐쇄되면 돌출부(미도시)가 튜브(600)의 상부에 밀착된다.
또한 덮개(520)는 본체(510)의 상면을 폐쇄한 상태에서 원치않는 외력 등에 의하여 열리는 것을 방지하고자 후크(미도시)를 구비한다. 후크(미도시)는 덮개(52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본체(510)에 형성된 걸개부(미도시)에 걸린다. 후크(미도시)가 힌지되는 부분에는 코일 스프링(미도시)이 장착되어 후크를 걸개부쪽으로 탄성가압하여, 덮개(520)와 본체(510) 사이의 결합을 유지하게 한다. 덮개(520)를 열고자 할 때에는 손잡이(미도시)를 이용하여 후크를 회동시켜 후크를 걸개부로부터 이탈시키면 된다.
그리고 덮개(520)는 본체(510)와는 달리 1회용 용품으로 사용될 수 있다. 즉, 1회용 덮개(520)가 본체(51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중요한 점은 덮개(520)의 하면에 튜브를 고정할 수 있는 안착홈부 또는 클램핑부재(미도시)를 구비하여, 튜브(600)들을 덮개(520)에 장착하여 사용한 후 덮개와 함께 튜브를 폐기하면 사용이 간편해진다는 것이다. 또한 덮개는 일회용으로 사용하지 않더라도 덮개의 하면에 부착되는 클램핑부재(예컨대 튜브가 끼워지는 고리 등)는 일회용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한편, 셔터부재(550)는 튜브(600)를 가압하거나 가압해제하여 튜브(600) 내의 관로를 개방 및 폐쇄시키기 위한 밸브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지지플레이트(512)에 형성된 관통공(514)에 끼워져 설치된다.
즉, 셔터부재(550)는 관통공(514)에 끼워져서 지지플레이트(512)의 상면에 대하여 돌출(안착홈부의 바닥면에 대하여 돌출)되어 유연한 소재의 튜브(600)를 돌출부(미도시)쪽으로 압착시킴으로써 튜브(600)를 폐쇄시킨다. 역으로 셔터부재(550)가 관통공(514)의 내부로 몰입되면 압착되었던 튜브(600)는 다시 원형으로 복원되어 내부의 관로를 개방한다.
셔터부재(550)는 지지플레이트(512)의 모든 관통공(514)에 설치될 수도 있지만, 필요에 따라 하나 이상의 관통공에는 설치하지 않음으로써 복수의 튜브(600) 중 일부의 튜브는 항시 관로가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게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셔터부재(550)는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데, 특히 상부에는 좁은 직경을 가지는 봉형태의 가압부(551)가 형성되며, 가압부(551)의 하측에는 넓은 직경의 몸체부(552)가 형성된다. 가압부(551)는 관통공(514)의 상부공(515)에 끼워질 수 있으며, 몸체부(552)는 관통공(514)의 하부공(516)에 끼워질 수 있다.
이렇게 가압부(551)와 몸체부(552)의 직경이 차이가 나므로 가압부(551)와 몸체부(552) 사이에는 단차부(553)가 형성된다. 단차부(553)는 관통공(514)의 걸림턱(517)에 걸리게 되므로 셔터부재(550)는 상방향으로의 이동 변위가 제한된다.또한 셔터부재(550)의 가압부의 끝 부분은 직선형으로 형성되어 튜브(600)를 효과적으로 가압할 수 있다.
셔터부재(550)의 하부에는 베어링(557) 또는 롤러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이 베어링(557)은 후술할 회전플레이트(530)와 구름접촉을 통해 회전플레이트(530)와의 마찰을 감쇄시키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셔터부재(550)의 단차부(553)와 관통공(514)의 걸림턱(517) 사이에는 스프링(519)이 끼워져 지지되는데, 이 스프링(519)는 셔터부재(550)를 하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구성의 셔터부재(550)를 지지하며 상하방향을 따라 승강시키기 위한 구동수단으로 회전플레이트(530)가 사용된다.
회전플레이트(530)는 중앙부(535)와 하나 이상의 외륜부로 이루어지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외륜부(536,537)가 2개 설치된다. 중앙부(535)는 베어링(535b)을 매개로 베이스 플레이트(51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외륜부(536)는 환형으로 형성되어 중앙부(535)를 감싸며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외륜부(536,537)에는 단차를 두고 상판부(p)와 하판부(k)가 형성되며, 이들 사이에는 연결부가 형성된다. 상판부(p)는 외륜부(536,537)의 상면을 형성하고, 하판부(k)는 외륜부(536,537)의 하면을 형성한다. 중앙부(535)에도 그 하부에 플랜지부(535f)가 형성되는데, 중앙부(535)의 플랜지부(535f)와 내측 외륜부(536)의 상판부(p) 사이에 베어링(535c)이 개재된다. 또한 내측 외륜부(536)의 하판부(k)와 외측 외륜부(537)의 상판부(p) 사이에 베어링(536b)이 개재되며, 베이스 플레이트(511)의 플랜지부(511f)와 외측 외륜부(537)의 하판부(k) 사이에도 베어링(537b)이 개재된다.
이렇게 중앙부(535)와 외륜부(536,537)들은 각각 베어링들을 매개로 베이스플레이트(511)와 지지플레이트(512) 사이에서 지지되며, 자세와 위치의 변화없이 안정적으로 회전될 수 있다.
중앙부(535)와 외륜부(536,537)를 회전시키기 위하여 모터(미도시)와 기어가 사용된다. 즉, 중앙부(535)와 외륜부(536,537)의 내주면 또는 외주면에는 기어이가 형성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중앙부(535)와 외륜부(536,537)의 각 내주면에 기어이가 형성된다. 원통형의 구동기어(538)는 상기 기어이에 기어결합된다. 원통형의 구동기어(538)는 회전축(539)을 통해 모터(미도시)와 연결된다. 모터의 정역회전에 따라 구동기어(538)가 회전되면 중앙부(535)와 외륜부(536,537)은 각자 개별적으로 회전된다.
회전플레이트(530)의 상면은 제1지지면(532)과 제2지지면(533)으로 나누어진다. 즉, 회전플레이트(530)의 회전축(531)을 중심점으로 하여 원주방향을 따라 회전플레이트(530)의 상면에는 제1지지면(532)과 제2지지면(533)이 형성된다. 제1지지면(532)은 제1높이에 배치되고, 제2지지면(533)은 제1높이보다 낮은 제2높이에 배치된다. 여기서, 제1높이란 셔터부재(550)가 관통공(514)으로부터 돌출되어 튜브(600)를 가압할 수 있도록 셔터부재(550)를 지지하는 높이이며, 제2높이란 셔터부재(550)가 관통공(514)의 내부로 몰입되도록 지지하는 높이를 말한다.
즉, 회전플레이트(530)가 회전하게 되면 셔터부재(550)는 회전플레이트(530)의 제1지지면(532)과 제2지지면(533)에 교대로 지지된다. 그런데 제1지지면(532)과 제2지지면(533)은 그 배치 높이에서 차이가 있기 때문에, 제1지지면(532)에 지지될 때는 셔터부재(550)는 상승하여 관통공(514) 위로 돌출되는 것이며, 제2지지면(533)에 지지될 때에 하강하여 관통공(514)의 내부로 몰입되는 것이다.
이렇게 셔터부재(550)를 상승 및 하강시킴에 따라 튜브(600)를 개방 및 폐쇄시킬 수 있다. 셔터부재(550)가 상승하면 튜브(600)는 압착되어 관로가 폐쇄되며, 하강하면 튜브(600)는 탄성적으로 원형복원되어 관로를 개방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부(535)와 두 개의 외륜부(536,537)에 각각 볼록하게 돌출된 제1지지면(532)과 상대적으로 오목한 제2지지면(533)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중앙부(535)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대략 250°각도 범위에서 제1지지면(532)이 형성되고 나머지에 제2지지면(533)이 형성된다. 그리고 내측 외륜부(536)의 상면을 반분하여 제1지지면(532)과 제2지지면(533)이 형성된다. 외측 외륜부(537)에는 180°각도 간격으로 제1지지면(532)이 서로 대칭되게 형성되고 제1지지면(532) 사이에 제2지지면(533)이 형성된다.
셔터부재(550)들은 중앙부(535) 또는 외륜부(536,537)가 회전함에 따라 제1지지면(532)과 제2지지면(533)에 교대로 지지되며 승강되는데, 제1지지면(532)과 제2지지면(533) 사이의 연결부는 완만한 경사로 이루어져 셔터부재(550)의 승강이 부드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제1지지면(532)과 제2지지면(533)은 일 예에 불과하며, 제1지지면(532)과 제2지지면(533)은 튜브(600)들이 배치되는 상황, 관통공(514)이 배치되는 상황 및 조건에 따라 매우 다양하게 할당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에 따른 회전플레이트(530)에서 중앙부(535)와 외륜부(536,537)에 각각 설치된 모터의 회전량을 조절하여, 특정한 셔터부재(550)를 제지지면(532) 또는 제2지지면(533)에 지지되게 함으로써 그 셔터부재(550)에 대응되는 튜브(600)의 관로를 개방 및 폐쇄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멀티웨이 밸브(400)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멀티웨이 밸브의 개략적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4의 Ⅴ-Ⅴ선 개략적 단면도로서, 제2플레이트에 튜브가 놓여진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도 6은 도 4의 Ⅵ-Ⅵ선 개략적 단면도로서, 제1플레이트에 튜브가 놓여진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7은 도 4의 Ⅶ-Ⅶ선 개략적 단면도로서, 회전플레이트의 제1지지면과 제2지지면의 배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2실시예와 제1실시예를 상호 비교하면, 제2실시예는 제1실시예와 달리 지지플레이트가 제1플레이트와 제2플레이트의 2개로 이루어진다는 점과, 외륜부가 1개만 배치된다는 점에서만 차이가 있을 뿐 대부분의 구성은 동일하다. 이에 제2실시예에 대해서 제1실시예와 차이 나는 부분에 대해서 주로 설명하며,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제1실시예에 대한 설명으로 대체하기로 한다.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제2실시예에 따른 멀티웨이 밸브(400)는 베이스 플레이트(411), 덮개(420)의 구성은 제1실시예와 동일하다.
제2실시예의 지지플레이트는 제1플레이트(412)와 제2플레이트(413)로 이루어진다. 제1플레이트(412)는 회전플레이트(430)와 상하방향으로 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베이스플레이트(411)에 고정되며, 제2플레이트(413)는 제1플레이트(412) 위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제1플레이트(412)와 제2플레이트(413) 위에도 안착홈부(h)가 형성되어 복수의 튜브들이 설치된다.
제1플레이트(412)에는 복수의 제1튜브가 안착홈부(h)에 끼워져 지지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10개의 제1튜브(651~660)가 마련된다. 이 10개의 제1튜브(651~660)은 모두 중앙지점에서 상호 연결되게 구성된다. 각각의 제1튜브(651~660)의 하부에는 관통공(414)이 형성된다. 이 관통공(414)도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셔터부재(450)와 스프링(419)이 끼워지는 것도 동일하다.
제2플레이트(413)에는 복수의 제2튜브(631~633)와 복수의 독립튜브(641~643)가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2튜브(631~633)는 3개 마련되며, 제2튜브들은 제2플레이트(413)의 중앙지점에서 상호 연통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제2튜브들과 개별적으로 독립튜브(641~643)가 3개 마련되며, 중앙에 배치된 독립튜브(642)에 양쪽에 배치된 독립튜브(641,643)이 각각 접속되도록 구성된다.
제2튜브들과 독립튜브의 하측에는 각각 관통공(418)이 형성되는데, 이 관통공(418)은 제1플레이트(412)에 형성된 관통공(414)과 상호 연통된다. 즉, 도 6을 참조하면, 제1플레이트(412)에는 상기한 제1튜브(651~660)의 하측에 배치된 관통공(414, 점선으로 표시)과 제1튜브의 외측에 배치된 관통공(414, 실선으로 표시)이 있는데, 제2플레이트(413)에 형성된 관통공(418)은 제1플레이트(412)에서 제1튜브의 외측에 배치된 관통공(414)과 상호 연통되게 배치된다.
제1플레이트(412)에서 제1튜브의 외측에 배치된 관통공(414)에도 셔터부재(450)가 끼워지는데, 이 셔터부재(450)의 가압부(415)는 길게 형성되어, 셔터부재(450)의 가압부(415)는 제1플레이트(412)의 관통공(414)으로부터 제2플레이트(413)의 관통공(418)까지 끼워진다. 이 셔터부재(450)가 상승하면 제2플레이트(413)의 상면에 대하여 돌출되어 제2튜브(631~633) 또는 독립튜브(641~643)를 압착시켜 관로를 폐쇄한다.
제2실시예의 회전플레이트(430)는 중앙부(435)와 하나의 외륜부(436)만 설치된다. 중앙부(435)와 외륜부(436)가 각각의 베어링(435b,435c,436b)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중앙부(435)와 외륜부(436)의 내주면에 기어이가 형성되어 구동기어(438)와 연결되는 점도 모두 제1실시예와 동일하다. 물론 구동기어(438)는 회전축(439)을 통해 모터(미도시)와 연결된다.
도 7을 참조하면, 제2실시예의 회전플레이트(430)에서 중앙부(435)와 외륜부(436)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각각 제1지지면(432)과 제2지지면(433)이 형성된다.
외륜부(436)에 형성된 제1지지면(432)과 2지지면(433)은 제1플레이트(412)에 놓여진 제1튜브(651~660)들을 개폐하는 셔터부재들을 지지한다. 즉, 제1튜브(651~660)들의 하부에 형성된 관통공(414)의 위치는 회전플레이트(430)에서 외륜부(436)가 위치하는 영역이므로, 이 관통공(414)에 끼워진 셔터부재들은 외륜부(436)의 상면에 지지된다.
도 7을 참조하면, 외륜부(436)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대부분의 면적이 제1지지면(433)에 할당되며 매우 작은 면적만이 제2지지면(433)으로 할당되어 있다. 외륜부(436)에 대응되는 영역에 형성된 복수의 관통공들, 즉 제1튜브(651~660)의 하부에 배치된 관통공(414)들 중 외륜부(436)의 제2지지면(433)의 상부에는 외륜부(436)의 회전위치와 무관하게 언제나 하나의 관통공(414)이 배치되도록 한 것이다. 즉, 외륜부(436)가 어떤 위치로 회전되든지 제2지지면(433)은 하나의 셔터부재(450)만을 지지하여 복수의 제1튜브(651~660)들 중 하나의 제1튜브만을 개방하며, 나머지 셔터부재(450)들은 외륜부(436)의 제1지지면(432)에 지지되므로 다른 제1튜브들은 모두 폐쇄된다.
그리고, 회전플레이트(430)의 중앙부(435)에 형성된 제1지지면(432)과 제2지지면(433)은 제2플레이트(413)에 놓여진 제2튜브(631~633)들과 독립튜브(641~643)를 개폐하는 셔터부재들을 지지한다. 제2튜브(631~633)들과 독립튜브(641~643)의 하부에 형성된 관통공(418)의 위치는 회전플레이트(430)에서 중앙부(435)가 위치하는 영역이므로, 이 관통공(418)에 끼워진 셔터부재들은 중앙부(435)의 상면에 지지된다.
본 실시예에서 중앙부(435)의 제1지지면(432)과 제2지지면(433)은 중앙부(435)에서 절반씩 할당되어 있다. 즉, 중앙부(435)의 상면은 원형 고리 모양인데, 제1지지면(432, 실선)은 그 중 절반을 제2지지면(433, 점선)은 나머지 절반을 차지한다.
따라서, 회전플레이트(430)의 중앙부(435)에 대응되는 영역에 형성된 복수의 관통공(418)들 중 중앙부(435)의 제1지지면(432)의 상부와 제2지지면(433)의 상부에는, 중앙부(435)의 회전위치와 무관하게 각각 절반씩의 관통공(418)들이 배치된다. 이렇게 제1지지면과 제2지지면이 중앙부를 반분하여 할당되어 있는 바, 제2플레이트(413)에 놓여진 제2튜브(641~643)와 독립튜브(641~643)들 중 복수의 튜브들이 함께 개방 및 폐쇄될 수 있다.
지금까지,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에 따른 멀티웨이 밸브(400,500)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며, 위 실시예들에서는 회전플레이트(430,530)의 중앙부와 외륜부 사이 또는 외륜부와 외륜부 사이에 베어링이 개재되는 것으로 설명 및 도시하였으나, 베어링이 반드시 상기한 바와 같이 개재될 필요는 없으며, 보다 간단하 방식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형태의 변형예가 도 14에 도시되어 있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웨이 밸브의 변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외륜부(436)가 중앙부(435)를 감싸고 있는 형태는 동일하지만, 앞의 실시예들과 같이 중앙부(435)와 외륜부(436)가 베어링에 의해서 서로 연결되어 있지 않고 독립적으로 배치되며, 중앙부(435)와 외륜부(436)의 하부에 각각 고리형의 평판 베어링(b1,b2)가 설치된다. 즉, 이 평판 베어링(b1,b2)의 상판은 중앙부(435) 또는 외륜부(436)에 결합되고, 하판은 베이스 플레이트(411)에 결합되어 회전플레이트(430)가 안정적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한다. 앞에 도시한 실시예와 같이 베어링들이 외륜부와 중앙부에 함께 연결되어 있는 경우, 중앙부와 외륜부가 상대회전될 때 회전속도가 너무 빠르게 될 수 있는 바, 위와 같이 중앙부와 외륜부가 서로 독립적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도 14에는 제2실시예가 도시되어 있으나, 상기의 구성은 제1실시예에서도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제1실시예와 같이 복수의 외륜부가 있는 경우 외륜부와 외륜부 사이에도 베어링이 개재되었는데, 본 변형예를 채용하는 경우 각각의 외륜부가 별도의 베어링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회전플레이트가 보다 안정적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하,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멀티웨이 밸브를 이용한 재생성 세포 추출시스템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은 멀티웨이 밸브가 구비된 재생성 세포 추출시스템의 개략적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생성 세포 추출시스템(300)은 제1유닛(100), 제2유닛(200) 및 멀티웨이 밸브(400) 및 패러스테틱 펌프(900)를 구비한다.
본 재생성 세포 추출시스템(300)은 조직(tissue)을 분리하거나, 조직을 분리하여 줄기세포와 같은 재생성 세포를 추출하기 위한 것이다. 분리대상이 되는 조직은 지방조직, 제대혈 등 다양하지만 이하에서는 지방조직(fat tissue)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제1유닛의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제1유닛(100)은 지방조직(fat tissue) 등의 세포조직을 교반 및 비중분리하기 위한 것으로서 서브 용기(110) 및 출입관(130)을 구비한다.
서브 용기(110)는 서브 용기 볼(111, bowl)과 서브 용기 볼(111)의 상부에 결합되는 서브 용기 캡(112)을 구비하며, 그 내부에 지방조직이 수용될 수 있는 공간부(113)가 형성된다.
서브 용기 볼(111)의 하부는 하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감소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서브 용기 볼(111)의 최하단부에는 오목하게 홈부(114)가 형성된다.
서브 용기 캡(112)의 중앙부에는 관통공(115)이 형성되며, 관통공(115)의 외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돌출벽부(116)가 형성된다.
또한 서브 용기 볼(111)의 하부의 내측벽에는 교반날개(117)가 형성된다. 이 교반날개(117)는 내측벽으로부터 공간부(113)를 향하여 돌출되게 형성되며, 서브 용기(110)의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90°각도 간격으로 4개가 대칭되게 배치된다. 물론 이 교반날개(117)는 한 개만 있을 수도 있으며, 반드시 대칭되지 않아도 된다. 교반날개(117)는 서브 용기(110)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되면서, 지방조직이 원활하게 교반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출입관(130)은 서브 용기(110)의 공간부(113)로 세척액, 효소 등을 이송하거나, 서브 용기(110) 내의 물질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유로로서 기능한다. 출입관(130)은 중공형으로 형성되어 서브 용기(110)의 관통공(115)을 통해 서브 용기(110)에 삽입된다. 출입관(130)의 하단부는 서브 용기(110)의 바닥과 근접된 상태로 서브 용기(110)의 홈부(114)에 배치되며, 출입관(130)의 상단부는 서브 용기(110)의 상부에 배치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출입관(130)과 독립된 경로로 서브 용기(110)의 내부와 외부를 상호 연통시키는 보조관(140)이 설치된다. 이 보조관(140)은 서브 용기(110) 내로 공기가 유출입되는 통로로 기능한다. 따라서 보조관(140)은 서브 용기(110)의 하단부까지 삽입될 필요가 없으며, 서브 용기(110)의 상단부까지만 삽입되면 족하다.
출입관(130)과 보조관(140)은 별도로 형성될 수도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즉, 출입관(130)은 상하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며 상부는 꺽어져서 형성되어 있고, 보조관(140)은 출입관(130)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어 출입관(130)을 감싸며 배치된다. 보조관(140)의 상부는 출입관(130)이 꺽어진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꺽어져서 형성된다. 보조관(140)의 내부, 보다 정확하게는 보조관(140)의 내주면과 출입관(130)의 외주면 사이의 공간이 공기가 유동될 수 있는 유로(145)를 형성한다. 그러나, 유로(145)가 반드시 공기의 유출입 용도로만 사용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혈액오염물 등의 물질 등을 배출하거나 세척액 등을 주입할 수 있는 등 다양한 물질의 유출입로로 사용될 수도 있다.
그리고, 출입관(130)의 상단에는 삽입구(135)가 형성되며, 삽입구(135)에는 마개(136)가 나사결합된다. 마개(136)를 제거하면 주사기 바늘(미도시)이 삽입구(135)를 통해 출입관(13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서브 용기(110)의 홈부(114)에 놓여진 액상 물질을 흡입할 수 있다. 주사기 바늘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마개(136)로 삽입구(135)를 폐쇄시켜 서브 용기(110) 내부의 공간부(113)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보조관(140)의 하측에는 차폐부재(147)가 출입관(130)에 끼워져 결합된다. 지방조직을 분리하기 위하여 서브 용기(110)가 회전하면, 혈액이나 세척액 등의 액상 물질이 서브 용기(110)의 상부로 급격하게 상승될 수 있으며, 이 물질들이 보조관(140)의 내부 또는 보조관(140)과 서브 용기(110) 사이의 관통공(115)으로 인입될 수 있다. 이에 차폐부재(147)로 관통공(115)과 보조관(140)을 감싸서 혈액오염물 등이 보조관(140) 등으로 인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다만, 보조관(140)은 공간부(113)와 통해 있어야 하므로, 여기서 감싼다고 하는 것은 완전히 밀폐시킨다는 것은 아니며 상부에는 공간부(113)와 통할 수 있도록 간극(d)이 형성된다.
또한, 출입관(130)의 외주면에는 스파이럴 형상의 보조 교반날개(미도시)들이 형성되어, 서브 용기(110)의 하측의 교반날개와 함께 지방조직을 교반할 수 있다.
한편, 서브 용기(110)는 출입관(130) 및 보조관(140)에 대하여 상대회전 되어야 하며, 출입관(130) 및 보조관(140)과 서브 용기(110) 사이는 실링되어 서브 용기(110)의 공간부(113)는 밀폐되어야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압축성 실링부재(150)와 마찰부재(160)를 채용하여, 서브 용기(110)가 회전되면서도 공간부(113)가 밀폐되도록 한다. 즉, 본 실시예에서 채용된 실링부재(150)는 고리형으로 형성되어 서브 용기 캡(112)의 돌출벽부(116)에 끼워지며, 보조관(140)의 외주면에 형성된 플랜지부(148)와 서브 용기 캡(112) 사이에 개재된다. 실링부재(150)는 탄성적으로 압축가능한 고무 소재로 이루어져, 보조관(140)의 플랜지부(148)와 서브 용기 캡(112) 사이에서 압착되면 관통공(115)과 보조관(140) 사이의 틈새는 완전히 실링가능하다.
그러나 서브 용기(110)와 함께 실링부재(150)가 회전되면, 고무 소재의 실링부재(150)는 마찰계수가 높아 플랜지부(148)와의 사이의 마찰에 의하여 원활한 회전이 이루어지지 않을 뿐만 아니라 높은 마찰열이 발생한다. 이에 실링부재(150)의 상측에는 마찰계수가 작고 열전달 계수가 높은 소재의 마찰부재(160)를 부착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세라믹 소재로 이루어지며 고리형으로 형성된 마찰부재(160)가 실링부재(150)의 상부에 부착되며, 마찰부재(160)는 보조관(140)의 플랜지부(148)와 밀착되어 면접촉된다.
다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리테이너링(미도시)과 베어링(미도시)을 사용하여 제2보조관(140)과 서브 용기(110) 사이의 상대회전과 실링을 도모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보조관(140)이 출입관(130)을 감싸는 형태로 출입관(130)과 보조관(140)이 일체로 형성된 구조였으므로, 보조관(140)의 외주면과 관통공(115) 사이의 실링이 문제되었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보조관(140)이 출입관(130)과 별도로 형성되어 있거나 채용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도 출입관(130)은 관통공(115)에 끼워지는 바, 출입관(130)과 관통공(115) 사이의 밀폐 및 상대회전의 보장을 위해서는, 출입관(130)의 외주면에 플랜지부(미도시)가 형성되고, 실링부재(150)와 마찰부재(160)는 출입관(130)의 외주면에 형성된 플랜지부(미도시)와 서브 용기 캡(112) 사이에 설치되면 된다.
이상에서 제1유닛(100)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며,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제2유닛(200)에 대하여 더욱 자세히 설명한다.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제2유닛의 개략적 분리사시도이며, 도 11은 도 8에 도시된 제2유닛이 결합된 상태의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제2유닛(200)은 제1유닛(100)으로부터 일차적으로 분리되어 줄기세포를 포함하고 있는 수용액을 전달받아, 이 수용액으로부터 줄기세포를 추출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기능을 수행하는 제2유닛(200)은 메인 용기(210), 제1배출관(220), 제2배출관(230)을 구비한다.
메인 용기(210)는 본체부(211)와 덮개(212)를 구비하여, 내부에 지방조직 또는 줄기세포를 포함하는 수용액 등의 분리대상물이 수용되는 수용부(213)가 형성된다. 본체부(211)의 하부는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게 형성되거나 일정한 직경으로 형성되며, 특히 수용부(213)의 최하단부에는 오목하게 홈부(214)가 형성된다.
덮개(210)의 상면 중앙에는 상면과 하면 사이를 관통하는 관통홀(215)이 형성되며, 관통홀(215)의 외주로부터 상방향으로 돌출되게 환형의 외벽부(216)가 형성된다.
또한 메인 용기(210)의 외측에는 볼록하게 돌출수용부(217)가 형성된다. 즉, 돌출수용부(217)는 메인 용기(210)의 회전중심축을 중심으로 반경방향을 따라 메인 용기(210)의 외측으로 볼록하며, 메인 용기(210)의 높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다.
또한 메인 용기(210)의 회전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돌출수용부(217)는 메인 용기(210)에 대칭되게 배치되어야 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메인 용기(210)의 회전중심축(c)을 기준으로 90°각도 간격으로 대칭되게 4군데 배치된다.
메인 용기(210)가 회전되면 분리대상물은 중량별로 분리되면서, 무거운 성분은 메인 용기(210) 내에서 외측에 배치되고 가벼운 성분은 내측에 배치된다. 돌출수용부(217)는 메인 용기(210)의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최외곽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가장 무거운 성분의 분리물이 돌출수용부(217)에 수용된다. 지방조직으로부터 분리된 줄기세포는 다른 성분들에 비하여 무거우므로 원심분리시 돌출수용부(217)에 수용된다. 이에 대해서는 뒤에서 상술하기로 한다.
한편, 돌출수용부(217)의 하단부는 차단부재(240)에 의하여 가로 막혀 있다. 즉, 원심분리에 의하여 돌출수용부(217)에는 줄기세포가 수용되어야 하는데, 돌출수용부(217)의 하단부가 메인 용기의 하단부와 상호 연통되어 있으면, 원심분리가 제대로 이루어지기 전에 분리대상물이 메인 용기(210)의 하단부로부터 돌출수용부로 올라오게 되며, 더욱이 수용액이 치고 올라오면서 돌출수용부(217)에 부착되어 있는 줄기세포가 유실될 수도 있다. 이렇게 돌출수용부(217)에 기부착된 줄기세포가 안정적으로 수용될 수 있게 하여, 줄기세포의 유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차단부재(240)가 설치된다.
제1배출관(220)과 제2배출관(230)은 모두 메인 용기(210)의 수용부(213)와 메인 용기(210)의 외부를 상호 연통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제1배출관(220)과 제2배출관(230)은 상호 독립된 경로를 형성한다. 제1배출관(220)과 제2배출관(230)은 메인 용기(210)와 동축적으로 배치되는데, 제1배출관(220)은 길게 형성되어 그 하단부가 메인 용기(210)의 하단부, 보다 정확하게는 홈부(214)에 배치되지만, 제2배출관(230)은 짧게 형성되어 그 하단부가 메인 용기(210)의 상단부에 배치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난다.
제1배출관(220)과 제2배출관(230)을 통해 유동되는 물질은 사용형태에 따라 변경될 수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 제1배출관(220)을 통해서는 제1유닛(100)으로부터 분리된 줄기세포를 포함하는 수용액 및 세척액 등이 유입될 수 있으며, 메인 용기(210)로부터 추출된 줄기세포나 세척액 등이 배출될 수도 있다. 또한, 제2배출관을 통해서는 공기가 유출입될 수 있으며, 사용 후의 세척액 등이 배출될 수도 있다.
제1배출관(220)과 제2배출관(230)의 구체적 구성은 제1유닛(100)에서의 출입관(130)과 보조관(140)과 완전히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즉, 제1배출관(220)은 제1유닛(100)의 출입관(130)과 동일하며, 제2배출관(230)은 보조관(140)과 동일하다.
제1배출관(220)과 제2배출관(230)은 별도로 형성될 수도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즉, 제1배출관(220)은 상하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며 상부는 꺽어져서 형성되어 있고, 제2배출관(230)은 제1배출관(220)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어 제1배출관(220)을 감싸며 배치된다. 제2배출관(220)의 상부는 제1배출관(220)이 꺽어진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꺽어져서 형성된다. 제2배출관(230)의 내부, 보다 정확하게는 제2배출관(230)의 내주면과 제1배출관(220)의 외주면 사이의 공간이 공기, 세척액 등의 유체가 유동될 수 있는 유로(235)를 형성한다.
그리고, 제1배출관(220)의 상단에는 삽입공(237)이 형성되며, 삽입공(237)에는 캡(236)이 나사결합된다. 캡(236)을 제거하면 보조배출관(미도시)이 삽입공(237)를 통해 제1배출관(22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메인 용기(210)의 홈부(214)까지 삽입된다. 보조배출관(미도시)은 주사기와 연결되어 메인 용기(210)의 홈부(214)에 놓여진 액상 물질을 흡입할 수 있다. 여기서, 보조배출관은 주사기에 연결된 바늘이 사용된다. 보조배출관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캡(236)으로 삽입공(237)을 폐쇄시켜 메인 용기(210) 내부의 수용부(213)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메인 용기(210)는 제1배출관(220) 및 제2배출관(230)에 대하여 상대회전 되어야 하며, 제1배출관(220) 및 제2배출관(230)과 메인 용기(210) 사이는 실링되어 메인 용기(210)의 수용부(213)는 밀폐되어야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매개부재(250)와 접촉부재(260)를 채용하여, 메인 용기(210)가 회전되면서도 수용부(213)가 밀폐되도록 한다. 즉, 본 실시예에서 채용된 매개부재(250)는 고리형으로 형성되어 메인 용기 덮개(212)의 외벽부(216)에 끼워지며, 제2배출관(230)의 외주면에 형성된 플랜지부(238)와 메인 용기 덮개(212) 사이에 개재된다. 매개부재(250)는 탄성적으로 압축가능한 고무 소재로 이루어져, 제2배출관(230)의 플랜지부(238)와 메인 용기 덮개(212) 사이에서 압착되면 관통홀(215)과 제2배출관(230) 사이의 틈새는 완전히 실링가능하다.
그러나 메인 용기(210)와 함께 매개부재(250)가 회전되면, 고무 소재의 매개부재(250)는 마찰계수가 높아 플랜지부(248)와의 사이의 마찰에 의하여 원활한 회전이 이루어지지 않을 뿐만 아니라 높은 마찰열이 발생한다. 이에 매개부재(250)의 상측에는 마찰계수가 작고 열전달 계수가 높은 소재의 접촉부재(260)를 부착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세라믹 소재로 이루어지며 고리형으로 형성된 접촉부재(260)가 매개부재(250)의 상부에 부착되며, 접촉부재(260)는 제2배출관(230)의 플랜지부(238)와 밀착되어 면접촉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제2배출관(230)이 제1배출관(220)을 감싸는 형태로 제1배출관(220)과 제2배출관(230)이 한 몸체에 형성된 구조였으므로, 제2배출관(230)의 외주면과 관통홀(215) 사이의 실링이 문제되었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2배출관(230)이 제1배출관(220)과 별도로 형성되어 있거나 채용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이렇게 제2배출관(230)이 채용되지 않은 경우의 실시예에서도 제1배출관(220)은 관통홀(215)에 끼워지는 구조이므로, 제1배출관(220)과 관통홀(215) 사이의 밀폐 및 상대회전의 보장을 위해서는 제1출관(220)의 외주면에 플랜지부(미도시)가 형성되고, 매개부재(250)와 접촉부재(260)는 제1배출관(220)의 외주면에 형성된 플랜지부(미도시)와 서브 용기 덮개(212) 사이에 설치되면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원심분리를 위해 메인 용기(210)가 회전하는 동안에 줄기세포 이외의 세척액 등을 제2배출관(230)을 통해 재생성 세포 추출유닛(100)의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한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메인 용기(210)의 회전을 정지시키고 메인 용기(210)의 하부로부터 제1배출관(220)을 통해 세척액 등을 배출시킬 수도 있지만, 메인 용기(210)가 회전하는 동안에도 후술할 모음부재(270) 및 가이드부재(280)에 의하여 세척액 등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도 있다.
모음부재(270)는 제1배출관(220)에 끼워져 설치되며, 후술할 가이드부재(280)에 의하여 가이드된 분리물을 일시적으로 수용할 수 있도록 오목하게 수집부(271)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모음부재(270)는 오목한 원반 형상으로 형성된다. 모음부재(270)는 메인 용기(210)의 상부에 배치되며, 보다 정확하게는 제2배출관(230)의 하단부에 밀접하게 배치된다. 또한 모음부재(270)의 직경은, 모음부재(270)의 외주면이 메인 용기(210)의 내주면과 근접될 수 있는 크기로 설정된다.
가이드부재(280)는 모음부재(270) 상에 배치되어 메인 용기(210)의 내부에서 원심분리된 상태로 회전되고 있는 분리물을 모음부재(270)의 수집부로 유도하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가이드부재(280)는 모음부재(270)의 상면으로부터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모음부재(270) 상에 90°각도 간격으로 대칭되게 4개 배치된다. 또한 복수의 가이드부재(280)는 모음부재(270)의 외주면으로부터 중심쪽으로 형성되되 곡선으로 휘어지게 배치된다. 이에 따라, 모음부재(270) 상에 배치된 복수의 가이드부재(280)는 전체적으로 회오리 형상으로 형성된다.
물론 이 가이드부재(280)가 반드시 곡선으로 휘어지게 배치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직선 형태일 수도 있으며, 모음부재(270)의 반경 전체에 걸쳐 형성되지 않고 분리물과 접촉되는 부분에 짧은 절편으로 형성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형태로 가능하다. 또한, 가이드부재의 개수도 하나에서 복수 개로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다.
메인 용기(210)에 수용된 분리대상물은 메인 용기(210)가 회전됨에 따라 원심력에 의하여 외측으로 밀리면서 함께 회전되는데, 앞에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무거운 성분인 줄기세포 등은 돌출수용부(217)에 수용되며, 세척액 등의 가벼운 성분은 메인 용기(210)의 내주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한다. 메인 용기가 회전되기 시작하면 분리대상물은 함께 회전되면서 메인 용기(210)의 하부로부터 상부로 수위를 높이게 되는데,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음부재(270)의 상부까지 수위가 높아진 분리물은 가이드부재(280)와 접촉 및 간섭되면서 가이드부재(280)를 따라 모음부재(270)의 중앙측으로 가이드된다. 펌프로부터 제2배출관(230)에 흡인력이 인가되면, 모음부재(270)의 중앙부로 가이드된 분리물은 이 흡인력에 의하여 제2배출관(23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구조이다.
또한, 모음부재(270)의 중앙부에는 복수의 유통홀(272)이 형성되는데, 이 유통홀(272)은 모음부재(270)에 가해지는 압력을 저하시키고 급격하게 많은 양의 분리물이 유입될 때 분리물이 오버플로우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재생성 세포 추출시스템(300)에서는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멀티웨이 밸브(400)가 채용된다. 따라서 재생성 세포 추출시스템(300)에 채용된 멀티웨이 밸브(400)에 대한 구성은 앞에서 설명한 것으로 갈음하기로 한다. 다만, 앞에서 설명한 제2실시예에 따른 멀티웨이 밸브와 재생성 세포 추출시스템에서 채용된 멀티웨이 밸브에서 한 가지 다른 점은 참조번호 632번으로 표시된 제2튜브와 참조번호 651로 표시된 제1튜브의 하측 관통공에는 셔터부재가 설치되어 있지 않다는 점이다. 따라서, 회전플레이트의 회전과 무관하게 참조번호 632번으로 표시된 제2튜브와 참조번호 651로 표시된 제1튜브는 언제나 개방된 상태를 유지한다. 참조번호 632번으로 표시된 제2튜브와 참조번호 651로 표시된 제1튜브는 상호 연결되므로, 결과적으로 복수의 제1튜브(651~660)와 복수의 제2튜브(631~633)은 상호 연통된다.
도 8을 참조하여, 재생성 세포 추출시스템(300)에서 멀티웨이 밸브(400)에 연결된 복수의 튜브들의 배치상황에 대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도 8에서는 제1플레이트(412)와 제2플레이트(413)가 서로 독립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각 튜브들의 연결상태에 대한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서, 실제로는 하나의 멀티웨이 밸브(400)에 결합되어 있는 것임을 첨언한다.
멀티웨이 밸브(400)의 제1플레이트(412) 위에 놓인 10개의 제1튜브(651~660)들은 상기한 바와 같이 모두 연통되게 설치되는데, 이 제1튜브들은 참조번호 651번부터 660번까지 순차적으로 패리스테틱 펌프(900), 제2유닛(200)의 제1배출관(220), 줄기세포 저장백(b1), 성숙지방세포 및 오일 저장백(b2), 세척액 저장백(b3), 효소저장백(b4), 냉동 줄기세포 보관백(b5), 처리대상이 되는 지방조직 저장백(b6), 세척된 지방조직 저장백(b7), 폐액저장백(b8)과 연결된다.
멀티웨이 밸브(400)의 제2플레이트(413)에 놓인 3개의 제2튜브(631~633)는 상호 연통되도록 설치되며, 참조번호 631로 표시된 제2튜브는 제1유닛(100)의 출입관(130)과 연결된다. 참조번호 632로 표시된 제2튜브는 펌프(900)로 연결됨으로써 참조번호 651로 표시된 제1튜브와 상호 연결된다. 참조번호 633으로 표시된 제2튜브는 참조번호 652로 표시된 제1튜브(제2유닛의 제1배출관과 연결)에 접속된다.
그리고 제2플레이트(413)에 놓인 3개의 독립튜브(641~643)는 서로 연통되게 설치되며, 참조번호 641로 표시된 독립튜브는 폐액저장백(b8)과 연결되며, 참조번호 642로 표시된 독립튜브는 제2유닛(200)의 제2배출관(230)과 연결되고, 참조번호 643으로 표시된 독립튜브는 필터(p2)와 연결된다. 필터(p2)는 제2유닛(200)으로 외부의 오염된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제1유닛(100)의 보조관(140)도 튜브를 통해 필터(p1)와 연결되어 외부로부터 제1유닛으로 오염된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재생성 세포 추출시스템(300)에서는 하나의 멀티웨이 밸브(400)를 이용하여 제1유닛(100), 제2유닛(200) 및 각종 저장백(b1~b8)들을 다양한 방식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다수의 튜브들(제1튜브, 제2튜브, 독립튜브)에 의해 튜브의 배치가 용이하지 않은 상황에서, 멀티웨이 밸브(400)를 제1플레이트(412)와 제2플레이트(413)로 2층으로 구성하고, 튜브들이 꼬이거나 엉키는 문제를 해결하였다. 또한, 제1플레이트(412)에 놓인 제1튜브(651~660)들은 외륜부(537)의 회전에 의하여 개폐하고, 제2플레이트(413)에 놓인 제2튜브(631~633) 및 독립튜브(641~643)는 중앙부(536)에 의하여 개폐함으로써 튜브들의 개폐를 용이하게 하였다.
또한 제2유닛(200)의 제1배출관(220)으로 연결된 제1튜브(652)에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덩어리 상태의 콜라겐과 같은 거대 조직을 필터링할 수 있는 다중 필터(f)가 설치된다. 이 다중 필터(f)는 그물조직으로 된 주머니 두 개가 겹쳐 있는 형태인데, 작은 주머니가 큰 주머니 속에 들어가 있다. 다중 필터(f)의 일측에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액체나 입자가 작은 물질은 다중 필터(f)를 통과할 수 있지만 콜라겐과 같은 거대 조직은 다중 필터(f)에 걸려 더 이상 유동될 수 없다.
한편, 참조번호 632로 표시된 제2튜브에는 포토센서(s)가 설치된다. 이 포토센서(s)는 제2튜브(632))를 유동하는 유체의 색체를 감지할 수 있으며, 특히 제1유닛(100)으로부터 출입관(130)을 통해 배출된 노란색의 지방조직 또는 지방세포의 색채를 감지하여 지방세포 또는 지방조직이 배출되고 있다는 신호를 후술할 콘트롤러(미도시)로 송출한다.
펌프(900)는 제1튜브(651~660), 제2튜브(631~633) 및 독립튜브(641~643)를 통해 유체가 이송될 수 있도록 흡인력을 제공한다. 즉, 효소, 세척액 등의 물질을 이송하거나, 지방세포나 폐액 등을 외부로 배출시키거나, 추출된 줄기세포를 저장백으로 이동시키는 등 모든 물질의 이송에 있어서 동력을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된 펌프는 일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되면서 흡인력을 제공하는 페리스테틱 펌프(perilstatic pump)이다.
한편, 본 재생성 세포 추출시스템(300)에는 제1유닛(100)과 제2유닛(200)은 회전지그(미도시)에 장착되어 회전된다. 그리고 회전지그(미도시), 펌프(900), 멀티웨이 밸브(400)의 회전플레이트(430) 및 각종 센서 등 구성요소의 동작을 제어하는 콘트롤러(미도시)가 마련된다.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재생성 세포 추출시스템(300)에서는 멀티웨이 밸브(400)의 회전플레이트(430)의 중앙부(435)와 외륜부(436)가 독립적으로 회전됨으로써 복수의 제1튜브(651~660), 복수의 제2튜브(631~633) 및 독립튜브(641~643)를 개폐할 수 있다. 이렇게 복수의 튜브들을 선택적으로 개폐한 상태에서 펌프(900)를 작동시켜 유체를 자유롭게 이송할 수 있다.
예컨대, 세척액 저장백(b3)로부터 세척액을 제1유닛(100)으로 이송하려고 한다면, 멀티웨이 밸브(400)의 회전플레이트(430)에 중앙부(435)를 회전시켜 참조번호 631로 표시된 제2튜브를 개방하고, 외륜부(436)를 회전시켜 참조번호 655로 표시된 제1튜브를 개방한 상태에서 펌프(900)를 구동하면, 세척액은 655 및 651로 표시된 제1튜브를 거친 후, 632와 631로 표시된 제2튜브를 거쳐 제1유닛(100)의 출입관(130)으로 유입된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참조번호 632 및 651로 표시된 제2튜브와 제1튜브는 그 하측에 셔터부재가 설치되지 않으므로, 회전플레이트의 회전 각도와 무관하게 언제나 개방된 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제1유닛(100)에서 줄기세포가 포함된 수용액을 제2유닛(200)으로 이송하는 과정을 예로 들어 본다. 우선, 콘트롤러를 통해 회전플레이트(430)의 중앙부(435)를 회전시켜 반원형의 제2지지면(433)이 제1플레이트(412)에 놓여진 참조번호 631, 641, 642로 표시된 튜브들의 하부에 배치된 셔터부재(450)를 지지하게 함으로써 위 튜브들을 개방시킨다. 또한, 외륜부(436)를 회전시켜 제2플레이트에 놓여진 참조번호 652로 표시된 제1튜브를 개방시킨다.
상기한 상태에서 펌프(900)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1유닛(100)의 하부의 수용액은 출입관(130)을 통해 배출되어, 참조번호 631, 632로 표시된 제2튜브를 통과한 후, 참조번호 651로 표시된 제1튜브로 이송되고, 다시 참조번호 652로로 표시된 튜브를 통해 제2유닛(200)의 제1배출관(220)으로 유입된다. 제1유닛(100)에서는 수용액이 배출될 때 필터(p1)를 통해 공기가 유입되며, 제2유닛(200)에서는 수용액이 유입될 때 참조번호 642로 표시된 독립튜브를 통해 배출된 공기는 참조번호 641로 표시된 독립튜브를 통해 폐액저장백(b8)으로 이동된다.
상기한 유체의 이송과정은 일 예이며, 멀티웨이 밸브(400)의 중앙부(435)와 외륜부(436)를 회전시켜 셔터부재(450)들을 승강시킴으로써 다양한 저장백(b1~b8)들과 제1유닛(100) 및 제2유닛(200) 사이에서 유체의 이송이 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 청구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제1분리유닛 200 ... 제2분리유닛
300 ... 재생성 세포 추출시스템 400,500 ... 멀티웨이 밸브
410,510 ... 본체 411,511 ... 베이스플레이트
412 ... 제1플레이트 413 ... 제2플레이트
420,520 ... 덮개 430,530 ... 회전플레이트
432,532 ... 제1지지면 433, 533 ... 제2지지면
435,535 ... 중앙부 436,536,537 ... 외륜부
450,550 ... 셔터부재 419,519 ... 스프링
651~660 ... 제1튜브 631~633 ... 제2튜브
641~643 ... 독립튜브 900 ... 펌프

Claims (22)

  1. 유체가 이송되는 복수의 튜브들이 상면에 놓여지며, 상기 복수의 튜브들이 배치된 영역의 하부에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지지플레이트;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상면을 개방 및 폐쇄하는 덮개;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놓여진 튜브를 가압하여 폐쇄시키거나 가압해제하여 개방시키도록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관통공에 끼워져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셔터부재; 및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셔터부재를 지지하는 것으로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중앙부와, 환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중앙부를 순차적으로 감싸도록 배치되며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외륜부를 구비하는 회전플레이트;를 구비하며,
    상기 중앙부와 외륜부의 상면은 제1높이에 배치되는 제1지지면과 상기 제1지지면보다 낮은 제2높이에 배치되는 제2지지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셔터부재가 상기 제1지지면에 지지되는 경우 상기 관통공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튜브를 폐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웨이 밸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플레이트는,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제1플레이트와, 상기 제1플레이트에 적층되며 상기 제1플레이트의 일부의 관통공과 연결되는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제2플레이트로 이루어지며,
    상기 복수의 튜브는 상기 제1플레이트와 제2플레이트 위에 각각 놓여지고, 상기 덮개는 상기 제2플레이트 상면을 개방 및 폐쇄하며,
    상호 연결되어 있는 상기 제1플레이트의 관통공과 상기 제2플레이트의 관통공에 함께 끼워지는 상기 셔터부재는 상기 제1플레이트의 관통공에만 끼워져 있는 셔터부재에 비하여 길게 형성되어 상기 회전플레이트의 제1지지면에 지지되는 경우 상기 제2플레이트에 대하여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웨이 밸브.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플레이트에 놓여진 튜브들을 개폐하는 상기 셔터부재는 상기 중앙부 또는 외륜부 중 어느 하나에 의하여 지지되며,
    상기 제2플레이트에 놓여진 튜브들을 개폐하는 상기 셔터부재는 상기 중앙부 또는 외륜부 중 다른 하나에 의하여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웨이 밸브.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부의 외주면 또는 내주면에는 기어이가 형성되고,
    상기 중앙부에 형성된 기어이에 기어결합되어 자전됨으로써 상기 중앙부를 회전시키는 구동기어와, 상기 구동기어를 회전시키는 모터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웨이 밸브.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륜부의 내주면 또는 외주면에는 기어이가 형성되고,
    상기 외륜부의 기어이에 기어결합되어 자전됨으로써 상기 외륜부를 회전시키는 구동기어와, 상기 구동기어를 회전시키는 모터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웨이 밸브.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륜부들의 사이 및 상기 외륜부와 중앙부 사이에는 베어링이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웨이 밸브.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외륜부는 상면을 형성하는 상판부와, 하면을 형성하는 하판부 및 상기 상판부와 하판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구비하며,
    상기 베어링은 일측의 외륜부의 상판부와 타측의 외륜부의 하판부 사이에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웨이 밸브.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형성된 관통공은 좁은 넓이로 형성되는 상부공과 상기 상부공보다 넓게 형성되는 하부공으로 이루어져, 상기 상부공과 하부공 사이에는 걸림턱이 형성되며,
    상기 셔터부재는 상기 상부공에 끼워지는 가압부와 상기 하부공에 끼워지되 상기 걸림턱에 걸려 상방으로 이동이 제한되는 몸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웨이 밸브.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 내부의 걸림턱과 상기 몸체부 사이에서 지지되어 상기 셔터부재를 하방으로 탄성바이어스 하는 스프링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웨이 밸브.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부재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플레이트의 회전시 상기 회전플레이트의 상면과 구름접촉되는 베어링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웨이 밸브.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형성된 복수의 관통공들 중 적어도 하나의 관통공에는 상기 셔터부재가 설치되지 않고 남겨두어,
    상기 셔터부재가 설치되지 않은 관통공의 상부를 통과하는 튜브는 항시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웨이 밸브.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상면 또는 상기 덮개의 하면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복수의 튜브가 안착되는 안착홈부가 오목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웨이 밸브.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상면 또는 상기 덮개의 하면 중 상기 안착홈부가 형성되지 않은 다른 하나에는 상기 안착홈부에 안착된 복수의 튜브를 향해 돌출된 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웨이 밸브.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는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덮개의 하면에는 상기 복수의 튜브들을 고정하기 위한 클램핑 부재가 설치되어,
    상기 덮개와 클램핑부재가 일회용으로 사용되거나 또는 상기 클랭핑부재가 일회용을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웨이 밸브.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부와 외륜부의 하측에는 각각 베어링이 개재되어, 상기 중앙부와 외륜부는 상호 연결되지 않고 독립적으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웨이 밸브.
  16. 조직(tissue)을 분리하기 위한 것으로서, 외부로부터 회전력을 제공받아 회전되며 조직이 수용되는 공간부가 형성되어 있는 서브 용기와, 일단부가 상기 서브 용기의 하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서브 용기에 삽입되는 중공형의 출입관을 구비하는 제1유닛;
    상기 제1유닛으로부터 이송된 분리대상물로부터 재생성 세포를 추출하기 위한 것으로서, 외부로부터 회전력을 제공받아 회전되며 상기 분리대상물이 수용되는 수용부가 형성되어 있는 메인 용기와, 일단부는 상기 메인 용기의 하부에 배치되고 타단부는 상기 메인 용기의 외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메인 용기에 삽입되는 중공형의 제1배출관을 구비하는 제2유닛;
    상기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유닛의 출입관, 상기 제2유닛의 제1배출관 및 복수의 저장백이 각각 연결되어 멀티웨이 밸브; 및
    상기 멀티웨이 밸브에 연결된 펌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성 세포 추출시스템.
  17. 제16항에 있어서,
    상호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제1튜브들과, 상기 제1튜브들과는 별도로 상호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제2튜브들이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설치되며,
    상기 제1튜브들 중 어느 하나의 튜브와 상기 제2튜브들 중 어느 하나의 튜브는 상기 펌프를 통해 상호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성 세포 추출시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튜브들은 상기 지지플레이트에서 상기 외륜부에 지지되는 셔터부재에 의하여 개폐되며,
    상기 제2튜브들은 상기 지지플레이트에서 상기 중앙부에 지지되는 셔터부재에 의하여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성 세포 추출시스템.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튜브들 중 상기 펌프와 연결되지 않은 튜브들 중 어느 하나의 튜브는 상기 제2유닛의 제1배출관과 연결되고, 다른 튜브들은 저장백들과 연결되며,
    상기 제2튜브들 중 상기 펌프와 연결되지 않은 튜브들 중 어느 하나의 튜브는 상기 제1유닛의 출입관과 연결되고, 다른 하나의 튜브는 상기 제2유닛의 제1배출관과 연결되는 상기 제1튜브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성 세포 추출시스템.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2유닛은 상기 제1배출관과 별도의 독립된 경로로 상기 메인 용기를 외부와 연통시키도록 상기 메인 용기에 삽입되는 중공형의 제2배출관을 더 구비하며,
    상호 연결되어 있는 3개의 독립튜브들은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설치되며, 상기 3개의 독립튜브들은 각각 상기 제2유닛의 제2배출관, 폐액저장백 및 필터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성 세포 추출시스템.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3개의 독립튜브들은 상기 지지플레이트에서 상기 중앙부에 지지되는 셔터부재에 의하여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성 세포 추출시스템.
  22.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플레이트에서 상기 회전플레이트의 중앙부에 대응되는 영역에 형성된 복수의 관통공들 중 상기 중앙부의 제1지지면의 상부와 상기 제2지지면의 상부에는, 상기 회전플레이트의 회전위치와 무관하게 각각 절반씩의 관통공들이 배치되도록 상기 회전플레이트 중앙부의 제1지지면과 제2지지면이 할당되며,
    상기 지지플레이트에서 상기 회전플레이트의 외륜부에 대응되는 영역에 형성된 복수의 관통공들 중 상기 외륜부의 제2지지면의 상부에는, 상기 회전플레이트의 회전위치와 무관하게 하나의 관통공이 배치되도록 상기 회전플레이트 외륜부의 제1지지면과 제2지지면이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성 세포 추출시스템.
KR1020100125705A 2010-12-09 2010-12-09 멀티웨이 밸브 및 이를 이용한 재생성 세포 추출시스템 KR1012638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5705A KR101263821B1 (ko) 2010-12-09 2010-12-09 멀티웨이 밸브 및 이를 이용한 재생성 세포 추출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5705A KR101263821B1 (ko) 2010-12-09 2010-12-09 멀티웨이 밸브 및 이를 이용한 재생성 세포 추출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4459A true KR20120064459A (ko) 2012-06-19
KR101263821B1 KR101263821B1 (ko) 2013-05-13

Family

ID=466845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5705A KR101263821B1 (ko) 2010-12-09 2010-12-09 멀티웨이 밸브 및 이를 이용한 재생성 세포 추출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3821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5004Y1 (ko) 2004-04-19 2004-07-01 메디칸(주) 지방 흡입과 주입 기능을 가지는 원심분리기
JP2006233987A (ja) 2005-02-22 2006-09-07 Fujikin Inc 流体流量調整方法及び流体流量調整用バルブ装置
KR200424255Y1 (ko) 2006-05-18 2006-08-17 주식회사 휴림바이오셀 오염방지용 조직채취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63821B1 (ko) 2013-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6573B1 (ko) 재생성 세포 추출유닛 및 재생성 세포 추출시스템
KR101466923B1 (ko) 재생성 세포 추출장치, 재생성 세포 추출 시스템, 이를 이용한 재생성 세포 추출방법
KR101679671B1 (ko) 재생성 세포 추출 시스템
JP4961354B2 (ja) 多血小板血漿濃縮装置および方法
US2006017524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paring platelet rich plasma and concentrates thereof
US8016736B2 (en) Methods for washing a red blood cell component and for removing prions therefrom
CN104363972A (zh) 离心动态过滤装置及利用其的细胞分离系统
KR101316574B1 (ko) 멀티웨이 밸브 및 이를 이용한 재생성 세포 추출시스템
US9440243B2 (en) Apparatus for centrifugation and methods therefore
CN201492455U (zh) 用于脂肪抽取、分离和移植的装置
KR101263821B1 (ko) 멀티웨이 밸브 및 이를 이용한 재생성 세포 추출시스템
KR101357160B1 (ko) 재생성 세포 추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재생성 세포 추출 방법
KR101263820B1 (ko) 재생성 세포 추출장치
CN204661734U (zh) 生物治疗用闭合式多功能集成系统
KR101316575B1 (ko) 페리스테틱 펌프 및 이를 이용한 재생성 세포 추출 시스템
KR20160045050A (ko) 재생성 세포 추출 시스템
CN104830682B (zh) 一种生物治疗用闭合式多功能集成系统
CN216755103U (zh) 密闭式膀胱冲洗回流液收集容器
CN217772888U (zh) 一种膀胱冲洗后的废液处理装置
CN208326316U (zh) 废药瓶回收盒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5

Year of fee payment: 7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