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63416A -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전송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전송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63416A
KR20120063416A KR1020110049209A KR20110049209A KR20120063416A KR 20120063416 A KR20120063416 A KR 20120063416A KR 1020110049209 A KR1020110049209 A KR 1020110049209A KR 20110049209 A KR20110049209 A KR 20110049209A KR 20120063416 A KR20120063416 A KR 201200634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multimedia data
packet
wireless network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92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원석호
권선형
김호겸
임종수
홍진우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US13/310,619 priority Critical patent/US20120144433A1/en
Publication of KR201200634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341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70Admission control; Resource allocation
    • H04L47/80Actions related to the user profile or the type of traffic
    • H04L47/805QOS or priority awa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66Channel or content management, e.g. generation and management of keys and entitlement messages in a conditional access system, merging a VOD unicast channel into a multicast channel
    • H04N21/2662Controlling the complexity of the video stream, e.g. by scaling the resolution or bitrate of the video stream based on the client capabil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231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based on communication condi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ultimedia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계층으로 구분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멀티미디어 계층 각각에 대해 서로 다른 무선 베어러 채널을 설정하되, 설정된 무선 베어러 채널 각각에 대한 서비스 품질 관련 파라미터는 서로 다르게 적용함으로써, 엔드-투-엔드(End-to-End) QoS 개선 효과를 최대화한다.

Description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전송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Multimedia Data in Wireless Networks}
본 발명은 멀티플 IP 스트림 및 무선 베어러를 이용한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전송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미디어 계층과 네트워크 계층을 통합한 QoS 개선을 위해 멀티플 IP 스트림 및 무선 베어러를 활용하는,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전송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모바일 네트워크 또는 무선망을 통한 비디오 데이터의 전송이 점차 확대되는 가운데, 이러한 네트워크 및 통신 시스템에서 현재 가능한 비트 레이트로부터 만족할만한 품질을 획득하는 데 여러 기술적 요소들이 필요하게 되었다.
한편, 적응적 비디오 스트리밍 기술을 위해, 여러 가지 확장가능 비디오 표준이 소개된 바 있다. H.264는 최근의 비디오 표준 중 하나이며, 가능한 비트 레이트에 따라 여러 종류의 스케일러빌러티(scalability)를 제공한다. H.264 SVC(Scalable Video Coding)의 프레임 또는 서브-레이어들은 그 계층적 구조로 인해 의존성(dependency)으로부터 우선순위를 가진다. 패킷 비디오는 TCP/IP 프로토콜로 캡슐화되는 것으로 가정된다.
비디오 레이어에서 SVC(Scalable Video Coding) 혹은 MVC(Multiview Video Coding)의 각 서브스트림은 유선망 특히 IP 망을 통하고, 무선망(예를 들어, 3GPP LTE망)을 통하여 단말기에 스트림 등의 형태로 서비스될 때, 종래는 각 부분 QoS 최적화 기법(부분 최적화)에 치중되어서 전체 통합된 최적화가 부족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체 통합 QoS를 증진시키기 위해 자원 최적화, 특히 QoS 개선을 위한 멀티플 IP 스트림 및 무선 베어러를 이용한,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전송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전송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계층으로 구분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멀티미디어 계층 각각에 대해 서로 다른 무선 베어러 채널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설정된 무선 베어러 채널 각각에 대한 서비스 품질 관련 파라미터는 서로 다르게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품질 관련 파라미터는 QCI(QoS Class Identifier) 및 A RP(Allocation Retention Priority)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필수 계층 및 향상 계층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상기 필수 계층 관련 데이터는, 상기 향상 계층 관련 데이터에 비하여 더 낮은 데이터 레이트의 코딩 기법 및 더 낮은 레벨의 변조 기법을 사용하여 전송될 수 있다.
상기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멀티미디어 전송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무선 베어러 채널을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으로 할당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수 계층 관련 데이터는 상기 향상 계층 관련 데이터에 비해 셀의 커버리지가 더 넓은 기지국으로 할당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계층으로 구분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스케일러블 비디오 코딩(SVC), 3D(3 Dimensional) 비디오 코딩, 멀티뷰 비디오 코딩(MVC) 중 적어도 하나의 코딩 방법으로 코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적어도 하나의 계층의 우선순위에 관한 정보는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 패킷의 헤더에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적어도 하나의 계층의 우선순위에 관한 정보는, IPv4 패킷의 서비스 타입 필드 또는 IPv6 패킷의 헤더 내에 위치하는 트래픽 클래스 비트에 의해 표현될 수 있다.
상기 필수 계층 관련 데이터는 GBR(Guaranteed Bit Rate)를 이용해 전송하고, 상기 향상 계층 관련 데이터는 Non-GBR(Guaranteed Bit Rate)를 이용해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전송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계층으로 구분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멀티미디어 계층 각각에 대해 서로 다른 무선 베어러 채널을 설정하되, 상기 설정된 무선 베어러 채널 각각에 대한 서비스 품질 관련 파라미터를 서로 다르게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예를 들어, 미디어 계층에서 SVC를 각각 필수 레이어 및 향상 레이어들로 나누어 전송할 때, 다양한 QoS, ARP 등을 적용하게 함으로써 네트워크 계층에서 전체 QoS를 최적화시키기 유리한 형태로 송수신되므로 엔드-투-엔드(End-to-End) QoS 개선 효과가 크다.
또한, 무선망에서 HARQ 및 스케쥴링 기법을 최적화함으로써 릴레이 및 무선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게 하고, 따라서 최대 용량 및 최고의 품질을 서비스할 수 있는 방안을 제공함으로써, 통상적인 방법에 따른 성능보다도 약 20% 이상 개선된 성능을 보인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H.264 SVC에서의 프레임들간 의존성(dependency)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레인지 확장(range extension)의 셀 개념도를 나타낸 도면.
도 3a 및 3b는 혼합 셀 환경에서 자원 파티셔닝을 적용한 경우 하향링크 및 상향링크에서의 쓰루풋 향상율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매크로-피코 셀 형상 및 자원 파티셔닝 기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레인지 확장 개념의 매크로-릴레이 셀에서의 자원 점유 빈도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레인지 확장(Range Extension)과 자원 파티셔닝(resource partitioning)을 기반으로 한 자동 재전송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레인지 확장과 자원 파티셔닝을 기반으로 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재전송 방법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레인지 확장과 자원 파티셔닝을 기반으로 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재전송 방법의 다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레인지 확장 개념의 매크로-릴레이 셀에서 자원 파티셔닝의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들을 나타낸 도면.
도 10은 레인지 확장 개념의 매크로-릴레이 셀에서 트래픽 상황에 따른 자원 파티셔닝의 유연한 응용 예를 나타낸 도면.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멀티미디어 전송 방법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출원에서 사용하는 '단말'은 이동국(MS), 사용자 장비(UE; User Equipment), 사용자 터미널(UT; User Terminal), 무선 터미널, 액세스 터미널(AT), 터미널, 가입자 유닛(Subscriber Unit), 가입자 스테이션(SS; Subscriber Station), 무선 기기(wireless device), 무선 통신 디바이스, 무선송수신유닛(WTRU; Wireless Transmit/Receive Unit), 이동 노드, 모바일 또는 다른 용어들로서 지칭될 수 있다. 단말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셀룰러 전화기, 무선 통신 기능을 가지는 스마트 폰, 무선 통신 기능을 가지는 개인 휴대용 단말기(PDA), 무선 모뎀, 무선 통신 기능을 가지는 휴대용 컴퓨터, 무선 통신 기능을 가지는 디지털 카메라와 같은 촬영장치, 무선 통신 기능을 가지는 게이밍 장치, 무선 통신 기능을 가지는 음악저장 및 재생 가전제품, 무선 인터넷 접속 및 브라우징이 가능한 인터넷 가전제품뿐만 아니라 그러한 기능들의 조합들을 통합하고 있는 휴대형 유닛 또는 단말기들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하는 '기지국'은 일반적으로 단말과 통신하는 고정된 지점을 말하며, 베이스 스테이션(base station), 노드-B(Node-B), e노드-B(eNode-B, eNB), BTS(base transceiver system),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등 다른 용어로 불릴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SVC / MVC 레이어별 QoS , ARP , 및 GBR 여부 매핑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H.264 SVC에서의 프레임들간 의존성(dependency)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1에 나타낸 실시예에서는 (d,t,q)max = (1,2,1)의 조건이 적용되었으며, 여기서 d는 공간, t는 시간, q는 품질을 각각 나타낸다. 비디오 레이어에서 SVC 혹은 MVC의 각 서브-스트림은 다음 예와 같은 우선순위를 가질 수 있다.
SVC 비디오의 레이어별로 비트스트림을 분류하면, D(spatial), T(Temporal), Q(Quality)의 각 스케일러빌러티(scalability)에 따라 분류가 가능한 것으로 가정한다. 도 1에서 L=0을 갖는 계층(layer) 또는 레이어는 디코딩시 반드시 있어야 하는 레이어로서 필수 레이어(Base layer)라 명명하고, L=1, 2, … 을 갖는 레이어들은 향상 레이어(Enhanced layer)라 명한다. 도 1에서는 L=4까지의 계층을 가지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인코딩된 각 비디오 레이어들은 비디오 디코딩시 의존성을 가지므로, 상술한 SVC 인코딩 레이어별로, 즉, 필수 레이어, 향상 레이어 1, 2, … 별로 우선순위를 갖고 수신 측에 도달된다. 따라서, 아래 표 1에 나타낸 실시예와 같이 각 레이어에 대해 QoS 매핑 및 ARP(Allocation Retention Priority) 할당이 이루어질 수 있다.
[표 1]
Figure pat00001

표 1과 관련하여 추가적으로 설명하면, IP 우선순위(IP precedence)는 3 비트를 가지며(note 1), 더 많은 차별화( differentiation)가 필요한 경우 추가 비트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PER(Packet Error/loss Rate) 및 지연의 주어진 요구사항에 따라, QCI 우선권(priority)을 위해 PER이 먼저 고려되고, 지연 속성이 다음으로 계산된다(note 2). 추가적으로, 1, 7, 12 및 13으로 넘버링된 ARP의 우선권은 서비스 제공자 또는 긴급 사용을 위해 예약되어(reserved) 있다(note 3).
SVC 미디어의 각 레이어 전송시 QoS, ARP와 함께 GBR 및 Non-GBR에 대해서도 다른 종류의 레이어가 설정될 수 있다. 즉, 필수 레이어인 경우, 가능한 한 GBR(Guaranteed Bit Rate)에 할당되고, 그 이상의 향상 레이어들은 Non-GBR에 할당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을 통해 결과적으로, 비디오 디코딩 필수 레이어는 채널의 상황이 열악한 경우에도 전달될 수 있도록 최대한의 우선권을 주고, 향상 레이어는 필수 레이어에 비해 상대적으로 우선권의 레벨이 낮도록 설정된다.
SVC / MVC 레이어별 멀티-라디오 베어러 ( Multi - Radio Bearer ) 할당 전송
상술한 서로 다른 QoS, ARP, GBR 등에 서로 다른 레이어들을 할당하여 전송할 경우, 비디오 레이어의 전송은 멀티-라디오 베어러(Multi-Radio bearer)를 이용하게 된다. 여기서, 멀티-라디오 베어러를 이용한다 함은 망 또는 기지국에서 하나의 사용자에게 두 개 또는 그 이상의 채널을 통하여 데이터를 전달하는 것을 의미한다.
각 라디오 베어러별로 RB(Resource Block)의 QoS 등급에 따른 우선순위에 따라 자원의 할당 여부를 결정하는 기능들은 이미 LTE 규격에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LTE 망을 통해 SVC 비디오 서비스를 제공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러한 LTE 규격을 이용하면 되기 때문에, 기능 개발 관점에서 추가적인 비용이 소요되지 않는다. 이러한 기능은 원래 한 단말에서 다양한 응용을 실행할 때를 대비한 기능으로, 예를 들어, 웹을 검색하면서 VoIP 통신을 하는 경우 QoS 레벨이 다른 여러 RB가 필요하게 된다.
또한, 각 RB마다 다른 QoS를 설정하고 지원하는 것은 처음 채널을 열 때 한 번 수행되는 동작이므로 자원이 크게 소모되지 않는다. 이 부분은 CQI를 보고 스케쥴러가 제어하는 부분이 아니고, 채널 설정시 RRC에 의해 제어되는 부분이다.
스케쥴러가 멀티미디어 스트림을 동적으로 제어하는 것에 대해서는 SVC와 연계하여 여러 가지 방안이 도출될 수 있다. 이때, 상황에 따라서 동적인 제어를 통해서 얻는 자원보다 잃는 자원이 더 많게 되는 방법도 있을 수 있으므로, 일반적인 스트리밍 서비스에 대해 MAC 스케쥴러에서 정의하고 있는 SPS(Semi-Persistent Scheduling) 기능을 활용하여 적절히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각 베어러별로 서로 다른 QoS를 할당하는 방법은 망에 따라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IP망과 3GPP LTE(Long Term Evolution)망에서 QoS는 IP 네트워크에서와 LTE가 다음과 같이 서로 다르다.
즉, IP 네트워크는 기본적으로 패킷 흐름을 단위로 관리하고, GBR에 대해서는 예약 및 허용 제어가 이루어지며, 라우터에서는 우선 순위 기반으로 패킷이 처리된다. 반면, LTE MAC 스케쥴러는 기본적으로 라디오 베어러 (더 상위에서는 EPC 베어러) 단위로 관리한다 (IP의 패킷 흐름과 일치). 따라서 IP에서 GBR로 부여된 링크는 무조건 할당해야 한다. 대신 허용 제어에 의해 사전에 용량을 확인하여 허용된다.
상향링크에서는 단말의 전송요구(SR(Scheduling Request) 또는 BSR(Buffer Status Report))에 따라 자원이 할당되고, RB의 QoS 등급에 따른 우선순위에 따라 자원의 할당 여부가 결정되며, 실제 할당 시에는 수신 성능 및 HARQ ACK/NACK를 분석하여 결정된다. 하향링크에서는 하향 링크 RLC 전송 버퍼의 상태에 따라 자원이 할당되며, RB의 QoS 등급에 따른 우선순위에 따라 자원 할당 여부가 결정된다. 실제 할당 시에는 HARQ ACK/NACK, CQI 등을 참조하여 결정한다.
IPv4인 경우 IP Header의 TOS(Type of Service) 8 비트를 이용하여 NAL 유닛 헤더의 D,T,Q 식별자(identifier)를 우선순위에 맞게 매핑할 수 있다. 또한 IPv6인 경우에는 IPv4의 TOS(Type of Service)와 같은 용도로 쓰일 수 있는 트래픽 클래스(Traffic class)의 8 비트를 사용할 수 있다.
SVC / MVC 레이어들의 효율적 전송
가장 최상의 서비스는 모든 비디오 코딩 데이터 레이어들을 모두 높은 QoS, ARP, 및 GBR로 전송하는 것이라 할 것이다. 하지만, 모든 사용자에게 이러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은 불가능하므로, 가능한 모든 사용자에게 최상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편으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방법을 고려한다.
즉, 본 발명에서는, 최악의 열악한 전송 상황에서도 서비스를 유지하기 위해 필수 레이어(base layer)만이라도 전송될 수 있도록, 비디오 코딩 데이터 레이어 중에서 필수 레이어는 GBR로 전송하고, 그 이외의 상위 향상 레이어 (enhanced layer) 들은 non-GBR로 전송하는 방법을 고려한다.
이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필수 레이어의 데이터율은 향상 레이어들의 총합보다는 상대적으로 낮고, 따라서 저 레벨 변조(예를 들어, QPSK)를 사용해 전송하고, 향상 레이어는 고 레벨 변조(예를 들어, 64-QAM)를 사용하여 전송한다.
필수 레이어만을 GBR로 전송하는 또 다른 이유로는, 한정된 자원을 반드시 보장받는 스트림이 최소한이 되도록 하여야 한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더구나, 필수 레이어는 안정적인 전송을 위해 데이터 레이트가 낮지만 코딩 레이트는 저 레벨로 전송되도록 AMC가 할당되어져야 한다. 반면, 향상 레이어는 높은 코딩 레이트라도 무방하며 데이터 레이트도 높게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결론적으로 필수 레이어는 낮은 데이터 레이트로 전송되고 반경이 긴 커버리지를 가지며, 향상 레이어는 높은 데이터 레이트로 전송되고 반경이 짧은 커버지리를 갖는다. 필수 레이어를 통해 낮은 데이터 레이트로 전송되는 데이터의 예로는 웹 브라우징 데이터 등을 들 수 있으며, 향상 레이어를 통해 높은 데이터 레이트로 전송되는 데이터의 예로는 모바일 비디오 폰 데이터 등을 들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레인지 확장(range extension) 셀 개념도를 나타낸다.
eNB가 가지는 송신 파워(Tx Power)는 일정하므로, 높은 데이터 레이트로 전송하기 위해서는 커버리지가 축소된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지국(100)이 64QAM으로 변조하여 전송하는 경우의 커버리지는 QPSK로 전송하는 경우의 커버리지에 비해 축소된다. 고레벨 변조 전송으로 인한 커버리지 축소를 만회하기 위한 레인지 확장을 위해 도 2에서와 같은 장치(200), 예를 들어 피코 셀 기지국, 릴레이, RRH(Remote Radio Head) 등이 사용될 수 있는데, 결국 eNB가 동일한 커버리지를 유지하면서 높은 데이터 레이트를 목표로 하는 경우에는 이러한 별도의 커버리지를 제공하는 장치가 필요하다 할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편의상 피코 셀 기지국, 릴레이, RRH, 펨토 셀 등 장치가 자신만의 고유 식별자를 가지는지 여부를 불문하고, 매크로 기지국에 비해 작은 커버리지를 가지는 장치에 의해 제어되는 셀을 마이크로 셀이라 칭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매크로 셀과 마이크로 셀, 또는 더 나아가 매크로 셀과 매크로 셀이 인접하는 무선 환경에서, 매크로 셀과 마이크로 셀에 대해 또는 복수의 마이크로 셀 각각에 대해, QCI, ARP 등의 QoS 관련 파라미터들의 다른 값들로 할당함으로써 다른 무선 베어러 채널을 할당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혹은 다수의 무선 베어러 채널, 즉 멀티 스트림 형태의 데이터 전송이 이루어지게 되고, 이 경우 각 무선 베어러 채널에 대해 별개의 독립적인 스케쥴러가 동작하게 되므로, 인접하는 셀간의 간섭 등을 피하기 위해 논의되는 CoMP(Cooperative Multi Point)/JP(Joint Processing) 등을 이용한 세밀한 코디네이션 동작이 별도로 필요없게 되고, 기지국과 기지국 사이에 교환되는 데이터로 인해 가해지는 기지국 간 인터페이스(3GPP의 경우 X2 인터페이스)의 부하 부담을 줄일 수 있다는 이점을 가지게 된다. 본 발명은 매크로 셀-마이크로 셀(예를 들어, 펨토 셀, 릴레이 셀, 피코 셀 등이 될 수 있음)뿐 아니라, 매크로 셀-매크로 셀 과의 관계에서도 적용될 수 있다 할 것이다.
이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QCI(QoS Class Identifier)로서 PER과 지연 제한사항(constraint)을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기본 레이어와 향상 레이어를 QCI로 구분하기보다는 ARP로 구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RP=2인 경우에는 필수 레이어, 그 외의 경우는 향상 레이어들로 분류할 수 있다. 저 변조레벨(예를 들어, QPSK)로 변조된 필수 레이어가 마이크로 셀을 통해 전송될 수 없는 것은 아니지만, 커버리지가 충분하고 또한 마이크로 셀에서 GBR을 위해서 반드시 자원을 할당해야 하므로 자원의 낭비가 될 수 있다.
레인지 확장과 자원 파티셔닝의 결합
레인지 확장을 위한 피코-셀에서 매크로 셀과 자원을 파티셔닝하여 사용할 경우, 약 2배의 쓰루풋을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즉, 더 높은 데이터 레이트는 더 짧은 커버리지를 가짐을 의미하므로 레인지 확장이 필요한데, 릴레이를 사용하여 레인지를 확장할 경우, 릴레이 셀은 도너 셀(혹은 매크로 셀)로부터 간섭을 받는 상황이 발생한다. 이 경우 자원 파티셔닝을 이용하면 매크로 셀과 릴레이 셀간의 간섭을 회피할 수 있다.
도 3a 및 3b는 혼합 셀 환경에서 자원 파티셔닝을 적용한 경우 하향링크 및 상향링크에서의 쓰루풋 향상율을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도 3a은 다운링크의 경우를 나타내는 것으로, 도 3a의 좌측에 나타난 그래프를 통해 셀 중간 영역에서, 매크로 셀 단독인 경우(310), 매크로 셀과 마이크로 셀의 동시 운용인 경우(311), 그리고 매크로 셀과 마이크로 셀을 동시 운용하면서 자원 파티션(resource partition)을 적용하여 매크로 셀과 마이크로 셀 각각을 스케쥴링한 경우(312)의 쓰루풋 개선량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3a의 우측에 나타난 그래프를 통해 셀 경계 영역에서, 매크로 셀 단독인 경우(320), 매크로 셀과 마이크로 셀의 동시 운용인 경우(321), 그리고 매크로 셀과 마이크로 셀을 동시 운용하면서 자원 파티션(resource partition)을 적용하여 매크로 셀과 마이크로 셀 각각을 스케쥴링한 경우(322)의 쓰루풋 개선량을 나타내고 있다.
한편, 도 3b는 업링크의 경우를 나타내는 것으로, 도 3b의 좌측에 나타난 그래프를 통해 셀 중간 영역에서, 셀 중간 영역, 그리고 셀 경계 영역 각각에서 매크로 셀 단독인 경우(330), 매크로 셀과 마이크로 셀의 동시 운용인 경우(331), 그리고 매크로 셀과 마이크로 셀을 동시 운용하면서 자원 파티션(resource partition)을 적용하여 매크로 셀과 마이크로 셀 각각을 스케쥴링한 경우(332)의 쓰루풋 개선량을 나타낸다. 도 3b의 우측에 나타난 그래프를 통해 셀 경계 영역에서, 매크로 셀 단독인 경우(340), 매크로 셀과 마이크로 셀의 동시 운용인 경우(341), 그리고 매크로 셀과 마이크로 셀을 동시 운용하면서 자원 파티션(resource partition)을 적용하여 매크로 셀과 마이크로 셀 각각을 스케쥴링한 경우(342)의 쓰루풋 개선량을 나타내고 있다.
다운링크의 경우인 도 3a 및 업링크의 경우인 도 3b 모두에서 최고 2.5배의 쓰루풋 개선량을 확인할 수 있다. 도 3의 실시예에서 마이크로 셀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는 릴레이 의해 제어되는 셀이 될 수 있다.
도 4는 매크로-릴레이 셀 형상 및 자원 파티셔닝 기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4에서 Mf(t)는 매크로 셀에서의 자원 할당을 표시하고, t는 시간 인덱스를 나타낸다. Pf(t)는 릴레이 셀에서의 자원 할당을 표시한다. 도 4에 나타낸 실시예에서는 주파수 자원이 {f1, f2, f3}의 형태로 존재하는 경우를 예로 들고 있다.
도 4에 실시예는 주파수 자원에 한정을 두지 않고 기지국(100)과 릴레이(200)가 주어진 주파수 자원을 적절히 선택 사용하도록 하되, 기본적으로 기지국과 릴레이간 자원 할당을 시간 기준으로 구분하고 있다.
도 4에 나타낸 실시예가 비록 1개의 매크로 셀 및 1개의 릴레이 셀이 혼재하는 상황을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가 다수의 매크로 셀 및 다수의 릴레이 셀이 혼재하는 상황으로 확장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도 4에서는 비록 릴레이의 형태로 나타난 마이크로 셀의 예를 들었으나, 펨토 셀, 피코 셀 등의 형태 또한 가능하다 할 것이다.
도 4의 도시된 실시예의 연장선상에서, 도 5는 레인지 확장(range extension) 개념의 매크로-릴레이 셀에서의 자원 점유 빈도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5는 시간이 t = 0, 1, 2,… 으로 경과함에 따른 자원(자원)의 할당 양상을 보여주고 있다. 도 5는 도 4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릴레이와 기지국이 각각에 할당된 시간 구간에서만 단말로의 전송을 수행한다. 도 5를 좀더 자세히 살펴보면, 시간 0, 2, 4, 6 은 기지국에 대해 할당된 시간 구간이며, 시간 1, 3, 5, 7 은 릴레이에 할당된 시간 구간이다.
기지국과 릴레이는 자신에게 할당된 시간 구간에서 주파수 자원 f1, f2, f3를 자신이 서비스하는 단말에 대해 적절히 할당하며, 도 5를 통해 이를 확인할 수 있다. UE4는 오직 기지국에 의해서만 서비스되며, UE1, UE2, UE3은 기지국 및 릴레이 양쪽을 통해 서비스를 받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6은 레인지 확장(Range Extension)과 자원 파티셔닝(resource partitioning)을 기반으로 한 자동 재전송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낸다.
즉, 도 6은 레인지 확장(range extension) 개념의 매크로-릴레이 셀에서 자원 파티셔닝 조건 하에서의 HARQ 방법의 일 예를 보여준다.
매크로 셀의 자원 Mf(t, i)에서 t는 시간 인덱스이고, i는 패킷의 순서를 나타내는 인덱스이다. 도 6의 동작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단계 1 : t=0에서 i=0 번째 패킷을 매크로 셀에서 자원 Mf(0,0)에 실어서 전송한다.
단계 2 : 상기 패킷은 전송 지연 시간이 경과한 후 릴레이 및 단말에 각각 도달한다. 릴레이에서는 t=0 시점에서 eNB로부터 수신한 패킷을 t=1 시점에서 다시 UE에 전달한다. 도 6에서는 이 패킷을 Pf(1,0)로 표시하였다.
단계 3 : UE에서는 t=0 에서 eNB로부터 수신한 패킷 Mf(0,0) 과 t=1에서 릴레이로부터 수신한 패킷 Pf(1,0)을 결합하여 최종 패킷 오류 여부를 판단하여 패킷 id = 0에 대한 ACK(0)를 eNB로 전송한다.
단계 4 : 만약 UE에서 수신하여 디코딩한 패킷이 오류인 경우를 예를 들자면, 패킷 i=0 에서 에러인 경우 그에 대한 NACK(1)을 eNB에 전송한다.
단계 5 : eNB는 HARQ 프로세스의 개수에 따라서 몇 번째 패킷을 전송 후, 오류가 발생한 패킷을 재전송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t=10에서 i=1인 패킷 Mf(10,1)을 재전송하게 된다.
도 6을 통해 설명한 레인지 확장 개념의 매크로-릴레이 셀 자원 파티셔닝에서의 HARQ 기법은 절차가 간단하고, 안정적인 패킷 송수신을 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 반면에, 저속의 데이터를 전송할 경우, 저 변조 레벨, 낮은 채널율을 갖는 패킷에 대해서는 필요없이 신뢰도를 높여서 자원의 낭비가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아래와 같은 레인지 확장 개념의 매크로-릴레이 셀에서 자원 파티셔닝을 기반으로 한 자동 재전송 방법을 활용하고자 한다.
이하, 도 7 및 도 8을 통해 레인지 확장(Range Extension)과 자원 파티셔닝(resource partitioning)을 기반으로 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재전송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살펴보기로 한다.
도 7은 레인지 확장(range extension) 개념의 매크로-릴레이 셀에서 자원 파티셔닝 조건 하에서의 자동 재전송(HARQ) 방법의 일 실시예를 보여준다. 즉, 도 7은 앞서 설명한 도 6에 나타낸 레인지 확장과 자원 파티셔닝에서 HARQ 적용 기법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eNB로부터 UE에 전달된 패킷이 오류가 없으면, 다음 패킷을 전송하고, eNB로부터 UE에 전달된 패킷이 오류가 있을 경우는 릴레이가 수신한 패킷을 UE로 전송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본 방법의 동작 예 중 이벤트 1에 대한 동작 예는 다음과 같다.
단계 1 : eNB가 t=0에서 제1 패킷 (i = 0)을 매크로 셀 자원 Mf(0,0)을 통해 전송한다.
단계 2 : 제1 패킷은 전송 지연 시간이 경과한 후 릴레이 및 UE에 각각 도달한다.
단계 3 : 릴레이는 제1 패킷을 디코딩하여 해당 패킷에 오류가 없는 경우 해당 패킷을 버퍼링한다.
단계 4 : UE는 Mf(0,0)을 통해 수신한 제1 패킷을 디코딩하여 오류 여부를 판단한다. 이때, 오류가 없으면 릴레이에게 ACKb(0)를 전송한다.
단계 5 : 릴레이가 UE로부터 ACKb(0)를 수신하는 경우 i=0 번째 패킷에 대한 ACKr(0)를 eNB로 전송한다.
다음으로, 이벤트 2에 대한 동작 예는 다음과 같다.
단계 1 : eNB가 t=2에서 제2 패킷 (i = 1)을 매크로 셀 자원 Mf(2,1)을 통해 전송한다.
단계 2 : 릴레이는 제2 패킷을 수신하고 디코딩하여 오류가 없는 경우 해당 제 패킷을 버퍼링한다.
단계 3 : UE가 t=2에서 i = 1인 자원에 실려온 제2 패킷에 오류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 릴레이에게 NACKb(1)를 전송한다.
단계 4 : 릴레이가 UE로부터 NACKb(1)를 수신하면 i=1 번째 패킷에 대한 ACKr(1)를 eNB로 전송하고, 자신이 버퍼링하고 있던 패킷 Pf(3,1)을 UE로 전송한다.
단계 5 : UE는 Pf(3,1)을 수신하여 오류가 없는 경우 ACKb(1)을 송신한다.
단계 6 : UE로부터 ACKb(1)를 받은 릴레이는 i=1에 해당되는 패킷이 UE로 오류없이 전달된 것을 인식하였기 때문에 재전송을 수행하지 않는다.
다음으로 이벤트 3에 대한 동작 예는 다음과 같다.
단계 1 : eNB는 t=4 에서 제3 패킷 (i = 2)를 매크로 셀 자원 Mf(4,2)을 통해 전송한다.
단계 2 : 제3 패킷은 전송 지연 시간이 경과한 후 릴레이 및 UE에 각각 도달한다.
단계 3 : 릴레이는 제3 패킷을 수신, 디코딩하여 오류가 있는 경우 해당 패킷을 폐기한다.
단계 4 : UE는 Mf(4,2)에 실려 전송된 패킷을 수신, 디코딩하여 오류 여부를 판단한다. 이때, 오류가 없으면 릴레이에게 ACKb(2)를 전송한다.
단계 5 : 릴레이가 UE로부터 ACKb(2)를 받으면 i=2 번째 패킷에 대한 ACKr(2)를 eNB로 전송한다.
마지막으로, 이벤트 4에 대한 동작 예는 다음과 같다.
단계 1 : eNB는 t=8에서 제5 패킷 (i = 4)를 매크로 셀 자원 Mf(8,4)을 통해 전송한다.
단계 2 : 상기 제5 패킷은 전송 지연 시간이 경과한 후 릴레이 및 UE에 각각 도달한다.
단계 3 : 릴레이는 제5 패킷을 수신, 디코딩하여 오류가 없는 경우 해당 패킷은 버퍼링한다.
단계 4 : 만약 UE가 t=8에서 i = 4인 자원에 실려온 패킷 Mf(8,4)가 오류라고 판단한 경우, 릴레이에게 NACKb(4)를 전송한다.
단계 5 : 릴레이가 UE로부터 NACKb(4)를 수신하는 경우 단계 3에서 버퍼링하고 있던 패킷을 t=9 시점에서 Pf(9,4)에 실어서 UE로 전송하고, i=4 번째 패킷에 대한 ACKr(4)를 eNB로 전송한다.
단계 6 : 만약, 릴레이로부터 Pf(9,4)에 실려 UE에 도달된 패킷을 디코딩한 결과 또 오류인 경우는 NACKb(4)를 다시 릴레이로 전송한다.
단계 7 : NACKb(4)를 수신한 릴레이는 i=4에 대한 패킷을 자원 스케쥴링을 하여 적당한 시기에 다시 UE로 전송한다. 도 7에 나타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t=11 시점에 재전송을 수행하는 예를 들고 있다. 즉, t=11에서 i=5에 대한 패킷이 eNB에서 UE로 바로 오류 없이 전달되었고, 이때 릴레이와 UE간 리소스의 여유가 있음을 파악한 릴레이가 t=11 시점에 UE로 Pf(11, 4)를 재전송한다.
단계 8 : UE가 단계 7에서 전송된 Pf(11,4)를 릴레이로부터 수신, 디코딩하였을 때 오류가 없다면 ACKb(4)를 릴레이로 전송하여 재전송을 수행하지 않도록 한다.
도 8은 도 7에 나타낸 레인지 확장 개념의 매크로-릴레이 셀에서 자원 파티셔닝 조건 하에서의 자동 재전송 방법에 연속되는 내용으로, 특히 이벤트 5를 상세히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8과 관련한 이벤트 5에 대한 동작 예는 다음과 같다.
단계 1 : eNB는 t=4에서 제3 패킷(i = 4)를 매크로 셀 자원 Mf(8,4)을 통해 전송한다.
단계 2 : 제3 패킷은 전송 지연 시간이 경과한 후 릴레이 및 UE에 각각 도달한다.
단계 3 : 릴레이는 제3 패킷을 수신, 디코딩하여 오류가 있는 경우 해당 패킷을 폐기한다.
단계 4 : UE는 Mf(4,2)에 실려 전송된 패킷을 디코딩하여 오류 여부를 판단한다. 이때, 오류가 있으면 릴레이에게 NACKb(2)를 릴레이에게 전송한다.
단계 5 : 릴레이는 UE로부터 NACKb(2)을 수신하고 단계 3에서와 마찬가지로 자신이 eNB로부터 받은 패킷도 오류이면 NACKr(2)를 eNB로 전송한다.
단계 6 : 릴레이로부터 NACK(2)를 받은 eNB는 i=2에 해당되는 패킷에 대해 eNB 자원 스케쥴링 혹은 HARQ 프로세스 운용 법칙 등을 고려한 상황에 따라서 재전송을 수행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t = 10에서 Mf(10, 2)에 실어서 i=2에 해당되는 패킷을 재전송하는 것으로 예를 든다.
단계 7 : 위의 단계 6에서 재전송된 패킷에 대한 처리는 앞서 기술된 절차에 따라 동일하게 처리된다.
도 9는 레인지 확장 개념의 매크로-릴레이 셀에서 자원 파티셔닝의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들을 나타낸다.
도 9의 (a), (b), (c), (d)는 시간 및 상황에 따른 UE의 분포에 따라서 자원의 분배 양상, 그리고 그에 따른 서비스 전송속도 및 트래픽 양에 따른 셀 반경의 변화(통상 Cell Breathing이라 함), 및 이때의 레인지 확장 개념의 매크로-마이크로 셀에서 자원 파티셔닝 기법을 나타낸다. 도 9에서는 마이크로 셀의 일 예로 릴레이 셀을 도시하고 있다.
(a)는 오전 3시의 셀 상황에 맞춘 자원 분배 양상을, (b)는 오전 9시의 셀 상황에 적합한 자원 분배 양상을 나타낸다. (c) 및 (d)는 모두 오후 6시의 셀 환경에서의 자원 분배 양상을 나타내는데, (c)는 모든 자원이 릴레이 셀에 접속된 단말에게 할당된 형태를, (d)는 자원이 매크로 셀 및 릴레이 셀에 분산되어 분배된 양상을 보여준다.
도 10은 레인지 확장 개념의 매크로-릴레이 셀에서 트래픽 상황에 따른 자원 파티셔닝의 유연한 응용 예를 나타낸다.
도 10의 (a), (b), (c)는 LTE-Advanced eNB 및 4G 기지국에 의해 제어되는 두 가지 형태의 매크로 셀 사이에 릴레이 셀이 위치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자원 파티셔닝의 예를 각각 보여준다. 즉, 도 10은 동일한 위치의 UE1에 대해 트래픽 상황에 따라, UE1이 LTE-Advanced eNB 및 릴레이에 의해 서비스되는 경우(a), UE1이 릴레이에 의해서만 서비스되는 경우(b), UE1이 4G 기지국 및 릴레이에 의해 서비스되는 경우가 있을 수 있음을 예시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멀티미디어 전송 방법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예를 들어, 3GPP LTE 이동통신망)가, 예를 들어, 연동된 IP 유선망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계층으로 구분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한다(S1101). 여기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필수 계층 및 향상 계층으로 구분될 수 있다.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한 무선 네트워크는 멀티미디어 계층 각각에 대해 서로 다른 무선 베어러 채널을 설정한다(S1102).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필수 계층 관련 데이터는, 향상 계층 관련 데이터에 비하여 더 낮은 데이터 레이트의 코딩 기법 및 더 낮은 레벨의 변조 기법을 사용하여 전송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는 이렇게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무선 베어러 채널을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으로 할당한다(S1102). 이때, 필수 계층 관련 데이터는 향상 계층 관련 데이터에 비해 셀의 커버리지가 더 넓은 기지국으로 할당될 수 있다.
이상 기술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IP 망과 LTE 이동통신망의 혼합망에서의 미디어 전송을 중심으로 하여 예로 들었으나, 반드시 이 영역에 국한되지 않고 범용적으로 적용 가능한 기술이며, 특허의 권리 또한 범용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일체의 방법을 모두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편의상 비디오 계층을 포함하는 전체 유무선 망과 연동되는 순서로 기술되었으나, 본 기술은 부분적 혹은 전체 연동하여 사용되어질 수 있다.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8)

  1. 무선 네트워크에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계층으로 구분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멀티미디어 계층 각각에 대해 서로 다른 무선 베어러 채널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설정된 무선 베어러 채널 각각에 대한 서비스 품질 관련 파라미터는 서로 다르게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전송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품질 관련 파라미터는 QCI(QoS Class Identifier) 및 ARP(Allocation Retention Priority)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전송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필수 계층 및 향상 계층으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전송 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필수 계층 관련 데이터는, 상기 향상 계층 관련 데이터에 비하여 더 낮은 데이터 레이트의 코딩 기법 및 더 낮은 레벨의 변조 기법을 사용하여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전송 방법.
  5. 청구항 3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무선 베어러 채널을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으로 할당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전송 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필수 계층 관련 데이터는 상기 향상 계층 관련 데이터에 비해 셀의 커버리지가 더 넓은 기지국으로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전송 방법.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계층으로 구분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스케일러블 비디오 코딩(SVC), 3D(3 Dimensional) 비디오 코딩, 멀티뷰 비디오 코딩(MVC) 중 적어도 하나의 코딩 방법으로 코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전송 방법.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적어도 하나의 계층의 우선순위에 관한 정보는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 패킷의 헤더에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전송 방법.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적어도 하나의 계층의 우선순위에 관한 정보는,
    IPv4 패킷의 서비스 타입 필드 또는 IPv6 패킷의 헤더 내에 위치하는 트래픽 클래스 비트에 의해 표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전송 방법.
  10.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필수 계층 관련 데이터는 GBR(Guaranteed Bit Rate)를 이용해 전송하고, 상기 향상 계층 관련 데이터는 Non-GBR(Guaranteed Bit Rate)를 이용해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전송 방법.
  11. 무선 네트워크에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전송하는 장치로서,
    적어도 하나의 계층으로 구분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멀티미디어 계층 각각에 대해 서로 다른 무선 베어러 채널을 설정하되,
    상기 설정된 무선 베어러 채널 각각에 대한 서비스 품질 관련 파라미터를 서로 다르게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전송 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품질 관련 파라미터는 QCI(QoS Class Identifier) 및 ARP(Allocation Retention Priority)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전송 장치.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필수 계층 및 향상 계층으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전송 장치.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필수 계층 관련 데이터는, 상기 향상 계층 관련 데이터에 비하여 더 낮은 데이터 레이트의 코딩 기법 및 더 낮은 레벨의 변조 기법을 사용하여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전송 장치.
  15.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계층으로 구분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스케일러블 비디오 코딩(SVC), 3D(3 Dimensional) 비디오 코딩, 멀티뷰 비디오 코딩(MVC) 중 적어도 하나의 코딩 방법으로 코딩된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전송 장치.
  16.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적어도 하나의 계층의 우선순위에 관한 정보는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 패킷의 헤더에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전송 장치.
  17.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필수 계층 관련 데이터는 GBR(Guaranteed Bit Rate)를 이용해 전송하고, 상기 향상 계층 관련 데이터는 Non-GBR(Guaranteed Bit Rate)를 이용해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전송 장치.
  18.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적어도 하나의 계층의 우선순위에 관한 정보는,
    IPv4 패킷의 서비스 타입 필드 또는 IPv6 패킷의 헤더 내에 위치하는 트래픽 클래스 비트에 의해 표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전송 장치.
KR1020110049209A 2010-12-07 2011-05-24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전송 장치 및 방법 KR2012006341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310,619 US20120144433A1 (en) 2010-12-07 2011-12-02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multimedia data in wireless networ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124549 2010-12-07
KR1020100124549 2010-12-0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3416A true KR20120063416A (ko) 2012-06-15

Family

ID=466839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9209A KR20120063416A (ko) 2010-12-07 2011-05-24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전송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6341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64872B2 (en) System and method for allocating resources for device-to-device communications
CN102369778B (zh) 移动通信系统中的缓冲状态报告
EP3051736B1 (en) Prioritization in the logical channel prioritization procedure for sidelink logical channels in ProSe direct communications
JP4958322B2 (ja) 高速のアップリンクデータ伝送のためのデータチャネルの制御情報伝送及び受信方法
US7447504B2 (en) HARQ process restriction and transmission of non-scheduled control data via uplink channels
US8908523B2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improved packet flow mobility
US9300431B2 (en)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for payload segmentation of wireless packet data transmissions
US2012014443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multimedia data in wireless network
US9178648B2 (en) Method to improve voice over IP capacity for user equipment employing variable rate vocoders
US20120120831A1 (en) Qos multiplexing via base station-relay node interface
US20140023008A1 (en) Method for establishing a device-to-device link connection and scheduling for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and terminal relaying
CA3042448A1 (en) Resource allocation method, terminal, apparatus and system
CN107079382B (zh) 支持多无线电接入技术的方法和装置
JP2008520125A5 (ko)
KR100884326B1 (ko) 이동 통신 시스템, 이동국 및 무선 기지국
JP2013504965A (ja) 基地局とユーザ端末の間の伝送をスケジュールするための方法ならびにそのための基地局および通信ネットワーク
KR20110111984A (ko) 이동통신시스템에서 효율적인 경쟁기반 역방향 전송 방법
JP6208756B2 (ja) ソフトセルアップリンク優先順位付けのための方法及びノード
US8520612B2 (en) Method for radio resource control and base station using the same
KR20120063416A (ko)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전송 장치 및 방법
CN107431940B (zh) 用于在无线通信系统中控制上行链路的覆盖的方法和装置
US10212729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implicit information transfer
KR20080015565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역방향 전송을 스케줄링하는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