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62307A - 노이즈성분을 위한 공간영역에서의 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노이즈성분을 위한 공간영역에서의 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62307A
KR20120062307A KR1020100123514A KR20100123514A KR20120062307A KR 20120062307 A KR20120062307 A KR 20120062307A KR 1020100123514 A KR1020100123514 A KR 1020100123514A KR 20100123514 A KR20100123514 A KR 20100123514A KR 20120062307 A KR20120062307 A KR 201200623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encoding
domain
residual block
quantiz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35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63113B1 (ko
Inventor
송진한
임정연
김기백
정제창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235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3113B1/ko
Priority to CN201180058561.1A priority patent/CN103238327B/zh
Priority to PCT/KR2011/009391 priority patent/WO2012077959A2/ko
Priority to CN201610018196.6A priority patent/CN105611292B/zh
Publication of KR201200623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2307A/ko
Priority to US13/910,367 priority patent/US9521427B2/en
Priority to US14/958,999 priority patent/US9510017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31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31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17Filters, e.g. for pre-processing or post-proces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5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 H04N19/593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involving spatial prediction techniqu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03Selection of coding mode or of prediction mode
    • H04N19/105Selection of the reference unit for prediction within a chosen coding or prediction mode, e.g. adaptive choice of position and number of pixels used for predi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03Selection of coding mode or of prediction mode
    • H04N19/107Selection of coding mode or of prediction mode between spatial and temporal predictive coding, e.g. picture refres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2Selection from among a plurality of transforms or standards, e.g. selection between discrete cosine transform [DCT] and sub-band transform or selection between H.263 and H.264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24Quantis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29Scanning of coding units, e.g. zig-zag scan of transform coefficients or flexible macroblock ordering [FM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34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criterion affecting or controlling the adaptive coding
    • H04N19/136Incoming video signal characteristics or properties
    • H04N19/14Coding unit complexity, e.g. amount of activity or edge presence esti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6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 H04N19/17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 H04N19/176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the region being a block, e.g. a macroblo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6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 H04N19/18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 set of transform coeffici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8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adaptation method, adaptation tool or adaptation type used for the adaptive co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46Embedding additional information in the video signal during the compression proc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5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 H04N19/503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involving temporal prediction
    • H04N19/51Motion estimation or motion compens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5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 H04N19/5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involving spatial sub-sampling or interpolation, e.g. alteration of picture size or resolu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6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transform co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6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transform coding
    • H04N19/61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transform coding in combination with predictive co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85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processing or post-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video compre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85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processing or post-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video compression
    • H04N19/86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processing or post-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video compression involving reduction of coding artifacts, e.g. of blockin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iscrete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 Compression Of Band Width Or Redundancy In Fax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노이즈성분을 위한 공간영역에서의 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현재블록을 예측하여 예측블록을 생성하여 상기 현재 블록에서 상기 예측블록을 감산하여 잔차블록을 생성하고 상기 잔차블록의 노이즈성분 갯수가 기설정 범위의 갯수만큼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부호화도메인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부호화도메인이 주파수도메인인 경우 상기 잔차블록을 변환 및 양자화하고 상기 결정된 부호화도메인이 공간도메인인 경우에는 상기 잔차블록을 양자화하여 결정된 부호화도메인에 대한 정보와 생성된 양자화 블록을 부호화하거나 상기 노이즈성분을 양자화하고 양자화된 노이즈성분, 상기 노이즈성분의 갯수 및 상기 노이즈성분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부호화하고 복호화하는 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노이즈성분을 위한 공간영역에서의 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Video Encoding/Decoding Method and Apparatus for Noise Component in Spatial Domain}
본 발명의 실시예는 노이즈성분을 위한 공간영역에서의 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영상을 인트라 또는 인터 예측을 수행하여 부호화하는데 있어서 잔차신호에 예측이 잘 되지 않아 큰 값을 갖는 성분이 일부 포함되어 있는 경우 해당 성분을 공간 영역에서 적응적 부호화를 수행하여 부호화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공간영역에서의 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반드시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동영상 데이터는 크기가 커서 저장하거나 전송하기 위해 압축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통상적으로 동영상 데이터를 부호화하는 경우, 동영상 데이터의 각 픽처를 블록 단위로 인트라 예측 또는 인터 예측, 변환, 양자화 및 엔트로피 코딩 등을 수행하여 부호화한다. 동영상에서 데이터의 중복성을 줄이기 위해 예측을 수행하는데 공간적 중복성을 이용하여 주변 블록으로부터 예측을 수행하는 인트라 예측, 시간적 중복성을 이용하여 움직임 추정과 움직임 보상을 수행하는 인터 예측을 사용하여 데이터의 중복성을 줄일 수 있다. 이때, 예측을 수행하여 생성한 잔차신호에 예측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큰 값을 갖는 일부 성분이 포함될 수 있다. 위와 같이 예측이 잘 되지 않은 일부 성분이 있는 경우 이로 인해 압축성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영상을 인트라 또는 인터 예측을 수행하여 부호화하는데 있어서 잔차신호에 예측이 잘 되지 않아 큰 값을 갖는 성분이 일부 포함되어 있는 경우 해당 성분을 공간 영역에서 적응적 부호화를 수행하여 부호화 성능을 향상시키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영상을 부호화/복호화하는 장치에 있어서, 현재블록을 예측하여 예측블록을 생성하여 상기 현재 블록에서 상기 예측블록을 감산하여 잔차블록을 생성하고 상기 잔차블록의 노이즈성분 갯수가 기설정 범위의 갯수만큼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부호화도메인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부호화도메인이 주파수도메인인 경우 상기 잔차블록을 변환 및 양자화하고 상기 결정된 부호화도메인이 공간도메인인 경우에는 상기 잔차블록을 양자화하여 결정된 부호화도메인에 대한 정보와 생성된 양자화 블록을 부호화하거나 상기 노이즈성분을 양자화하고 양자화된 노이즈성분, 상기 노이즈성분의 갯수 및 상기 노이즈성분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부호화하는 영상 부호화기; 및 비트스트림으로부터 부호화도메인 정보 및 양자화 블록을 복원하고 상기 부호화도메인 정보가 "주파수도메인 부호화"를 의미하면 상기 양자화 블록을 역양자화하고 역변환하여 잔차블록을 복원하고 상기 부호화도메인 정보가 "공간도메인 부호화"를 의미하면 기설정범위의 갯수의 노이즈성분을 포함하는 상기 복호된 양자화 블록을 역양자화하여 잔차블록을 복원하거나 상기 비트스트림으로부터 추출한 양자화된 노이즈성분, 노이즈성분의 갯수 및 노이즈성분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잔차블록을 복원하여 복원된 잔차블록과 현재블록을 현재 블록을 생성된 예측 블록을 가산하여 상기 현재 블록을 복원하는 영상 복호화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부호화/복호화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영상을 부호화하는 장치에 있어서, 현재블록을 예측하여 예측블록을 생성하는 예측부; 상기 현재 블록에서 상기 예측블록을 감산하여 잔차블록을 생성하는 감산부; 상기 잔차블록의 노이즈성분 갯수가 기설정 범위의 갯수만큼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부호화도메인을 결정하는 노이즈판별부; 상기 결정된 부호화도메인이 주파수도메인인 경우 상기 잔차블록을 변환하는 변환부; 상기 변환된 잔차블록을 양자화하는 제1양자화부; 상기 결정된 부호화도메인이 공간도메인인 경우 상기 잔차블록을 양자화하는 제2양자화부; 및 결정된 부호화도메인에 대한 정보와, 상기 제1양자화부 또는 상기 제2양자화부에서 생성된 블록을 부호화하는 부호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부호화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영상을 부호화하는 장치에 있어서, 현재블록을 예측하여 예측블록을 생성하는 예측부; 상기 현재 블록에서 상기 예측블록을 감산하여 잔차블록을 생성하는 감산부; 상기 잔차블록의 노이즈성분 갯수가 기설정 범위의 갯수만큼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부호화도메인을 결정하는 노이즈판별부; 상기 결정된 부호화도메인이 주파수도메인인 경우 상기 잔차블록을 변환하는 변환부; 상기 변환된 잔차블록을 양자화하는 제1양자화부; 상기 결정된 부호화도메인이 공간도메인인 경우 상기 노이즈성분을 양자화하는 제2양자화부; 및 상기 제1양자화부에서 양자화된 블록을 부호화하거나, 상기 제2양자화부에서 양자화된 노이즈성분, 상기 노이즈성분의 갯수 및 상기 노이즈성분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부호화하는 부호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부호화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영상을 복호화하는 장치에 있어서, 비트스트림으로부터 부호화도메인 정보 및 양자화 블록을 복원하는 복호화부; 상기 부호화도메인 정보가 "주파수도메인 부호화"를 의미하면 상기 양자화 블록을 역양자화하여 변환된 잔차블록을 복원하는 제1역양자화부; 상기 변환된 잔차블록을 역변환하여 잔차블록을 복원하는 역변환부; 상기 부호화도메인 정보가 "공간도메인 부호화"를 의미하면 기설정범위의 갯수의 노이즈성분을 포함하는 상기 복호된 양자화 블록을 역양자화하여 잔차블록을 복원하는 제2역양자화부; 현재 블록을 예측하여 예측 블록을 생성하는 예측부; 및 복원된 잔차블록과 상기 예측 블록을 가산하여 상기 현재 블록을 복원하는 가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복호화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영상을 복호화하는 장치에 있어서, 비트스트림으로부터 부호화도메인 정보 및 양자화된 블록을 복원하고 상기 부호화도메인 정보가 "공간도메인 부호화"를 의미하면 양자화된 노이즈성분, 상기 노이즈성분의 갯수 및 상기 노이즈성분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복호하는 복호화부; 상기 부호화도메인 정보가 "주파수도메인 부호화"를 의미하면 상기 양자화된 블록을 역양자화하여 변환된 잔차블록을 복원하는 제1역양자화부; 상기 변환된 잔차블록을 역변환하여 잔차블록을 복원하는 역변환부; 상기 양자화된 노이즈성분, 상기 노이즈성분의 갯수 및 상기 노이즈성분의 위치에 대한 정보로부터 잔차블록을 복원하는 제2역양자화부; 현재 블록을 예측하여 예측 블록을 생성하는 예측부; 및 복원된 잔차블록과 상기 예측 블록을 가산하여 상기 현재 블록을 복원하는 가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복호화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영상을 부호화/복호화하는 방법에 있어서, 현재블록을 예측하여 예측블록을 생성하여 상기 현재 블록에서 상기 예측블록을 감산하여 잔차블록을 생성하고 상기 잔차블록의 노이즈성분 갯수가 기설정 범위의 갯수만큼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부호화도메인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부호화도메인이 주파수도메인인 경우 상기 잔차블록을 변환 및 양자화하고 상기 결정된 부호화도메인이 공간도메인인 경우에는 상기 잔차블록을 양자화하여 결정된 부호화도메인에 대한 정보와 생성된 양자화 블록을 부호화하거나 상기 노이즈성분을 양자화하고 양자화된 노이즈성분, 상기 노이즈성분의 갯수 및 상기 노이즈성분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부호화하는 영상 부호화단계; 및 비트스트림으로부터 부호화도메인 정보 및 양자화 블록을 복원하고 상기 부호화도메인 정보가 "주파수도메인 부호화"를 의미하면 상기 양자화 블록을 역양자화하고 역변환하여 잔차블록을 복원하고 상기 부호화도메인 정보가 "공간도메인 부호화"를 의미하면 기설정범위의 갯수의 노이즈성분을 포함하는 상기 복호된 양자화 블록을 역양자화하여 잔차블록을 복원하거나 상기 비트스트림으로부터 추출한 양자화된 노이즈성분, 노이즈성분의 갯수 및 노이즈성분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잔차블록을 복원하여 복원된 잔차블록과 현재블록을 현재 블록을 생성된 예측 블록을 가산하여 상기 현재 블록을 복원하는 영상 복호화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영상을 부호화하는 방법에 있어서, 현재블록을 예측하여 예측블록을 생성하는 예측단계; 상기 현재 블록에서 상기 예측블록을 감산하여 잔차블록을 생성하는 감산단계; 상기 잔차블록의 노이즈성분 갯수가 기설정 범위의 갯수만큼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부호화도메인을 결정하는 노이즈판별단계; 상기 결정된 부호화도메인이 주파수도메인인 경우 상기 잔차블록을 변환하는 변환단계; 상기 변환된 잔차블록을 양자화하는 제1양자화단계; 상기 결정된 부호화도메인이 공간도메인인 경우 상기 잔차블록을 양자화하는 제2양자화단계; 및 결정된 부호화도메인에 대한 정보와, 상기 제1양자화단계 또는 상기 제2양자화단계에서 생성된 블록을 부호화하는 부호화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부호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영상을 부호화하는 방법에 있어서, 현재블록을 예측하여 예측블록을 생성하는 예측단계; 상기 현재 블록에서 상기 예측블록을 감산하여 잔차블록을 생성하는 감산단계; 상기 잔차블록의 노이즈성분 갯수가 기설정 범위의 갯수만큼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부호화도메인을 결정하는 노이즈판별단계; 상기 결정된 부호화도메인이 주파수도메인인 경우 상기 잔차블록을 변환하는 변환단계; 상기 변환된 잔차블록을 양자화하는 제1양자화단계; 상기 결정된 부호화도메인이 공간도메인인 경우 상기 노이즈성분을 양자화하는 제2양자화단계; 및 상기 제1양자화단계에서 양자화된 블록을 부호화하거나, 상기 제2양자화단계에서 양자화된 노이즈성분, 상기 노이즈성분의 갯수 및 상기 노이즈성분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부호화하는 부호화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부호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영상을 복호화하는 방법에 있어서, 비트스트림으로부터 부호화도메인 정보 및 양자화 블록을 복원하는 복호화단계; 상기 부호화도메인 정보가 "주파수도메인 부호화"를 의미하면 상기 양자화 블록을 역양자화하여 변환된 잔차블록을 복원하는 제1역양자화단계; 상기 변환된 잔차블록을 역변환하여 잔차블록을 복원하는 역변환단계; 상기 부호화도메인 정보가 "공간도메인 부호화"를 의미하면 기설정범위의 갯수의 노이즈성분을 포함하는 상기 복호된 양자화 블록을 역양자화하여 잔차블록을 복원하는 제2역양자화단계; 현재 블록을 예측하여 예측 블록을 생성하는 예측단계; 및 복원된 잔차블록과 상기 예측 블록을 가산하여 상기 현재 블록을 복원하는 가산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복호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영상을 복호화하는 방법에 있어서, 비트스트림으로부터 부호화도메인 정보 및 양자화된 블록을 복원하고 상기 부호화도메인 정보가 "공간도메인 부호화"를 의미하면 양자화된 노이즈성분, 상기 노이즈성분의 갯수 및 상기 노이즈성분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복호하는 복호화단계; 상기 부호화도메인 정보가 "주파수도메인 부호화"를 의미하면 상기 양자화된 블록을 역양자화하여 변환된 잔차블록을 복원하는 제1역양자화단계; 상기 변환된 잔차블록을 역변환하여 잔차블록을 복원하는 역변환단계; 상기 양자화된 노이즈성분, 상기 노이즈성분의 갯수 및 상기 노이즈성분의 위치에 대한 정보로부터 잔차블록을 복원하는 제2역양자화단계; 현재 블록을 예측하여 예측 블록을 생성하는 예측단계; 및 복원된 잔차블록과 상기 예측 블록을 가산하여 상기 현재 블록을 복원하는 가산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복호화 방법을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영상을 인트라 또는 인터 예측을 수행하여 부호화하는데 있어서 잔차신호에 예측이 잘 되지 않아 큰 값을 갖는 성분이 일부 포함되어 있는 경우 해당 성분을 공간 영역에서 적응적 부호화를 수행하여 부호화 성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부호화 장치를 간략하게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예측이 잘된 경우 잔차신호(A) 및 양자화블록(B)을 간략히 예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예측후 노이즈성분이 있는 경우의 잔차신호(A) 및 양자화블록(B)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잔차 신호 중 노이즈 성분으로 판단된 H, K가 존재하는 경우 및 이를 제외한 나머지를 임의의 값으로 패딩하는 경우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스캔방법 후보가 두 종류인 경우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지그재그 스캔 이외의 스캔방법 후보가 있는 경우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복호화 장치(700)의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부호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 부호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복호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 복호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 후술할 영상 부호화 장치(Video Encoding Apparatus), 영상 복호화 장치(Video Decoding Apparatus)는 개인용 컴퓨터(PC: Personal Computer), 노트북 컴퓨터, 개인 휴대 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휴대형 멀티미디어 플레이어(PMP: Portable Multimedia Player), 플레이스테이션 포터블(PSP: PlayStation Portable), 무선 통신 단말기(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스마트폰(Smart Phone), TV 등과 같은 사용자 단말기이거나 응용 서버와 서비스 서버 등 서버 단말기일 수 있으며, 각종 기기 또는 유무선 통신망과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 모뎀 등의 통신 장치, 영상을 부호화하거나 복호화하거나 부호화 또는 복호화를 위해 인터 또는 인트라 예측하기 위한 각종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연산 및 제어하기 위한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을 구비하는 다양한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영상 부호화 장치에 의해 비트스트림으로 부호화된 영상은 실시간 또는 비실시간으로 인터넷, 근거리 무선 통신망, 무선랜망, 와이브로망, 이동통신망 등의 유무선 통신망 등을 통하거나 케이블, 범용 직렬 버스(USB: Universal Serial Bus)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영상 복호화 장치로 전송되어 영상 복호화 장치에서 복호화되어 영상으로 복원되고 재생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동영상은 일련의 픽처(Picture)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각 픽처들은 프레임 또는 블록(Block)과 같은 소정의 영역으로 분할될 수 있다. 영상의 영역이 블록으로 분할되는 경우에는 분할된 블록은 부호화 방법에 따라 크게 인트라 블록(Intra Block), 인터 블록(Inter Block)으로 분류될 수 있다. 인트라 블록은 인트라 예측 부호화(Intra Prediction Coding) 방식을 사용하여 부호화되는 블록을 뜻하는데, 인트라 예측 부호화란 현재 부호화를 수행하는 현재 픽처 내에서 이전에 부호화되고 복호화되어 복원된 블록들의 화소를 이용하여 현재 블록의 화소를 예측함으로써 예측 블록을 생성하고 현재 블록의 화소와의 차분값을 부호화하는 방식이다. 인터 블록은 인터 예측 부호화(Inter Prediction Coding)를 사용하여 부호화되는 블록을 뜻하는데, 인터 예측 부호화란 하나 이상의 과거 픽처 또는 미래 픽처를 참조하여 현재 픽처 내의 현재 블록을 예측함으로써 예측 블록을 생성하고 현재 블록과의 차분값을 부호화하는 방식이다. 여기서, 현재 픽처를 부호화하거나 복호화하는데 참조되는 프레임을 참조 프레임(Reference Frame)이라고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부호화 장치를 간략하게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부호화 장치(100)는 영상을 부호화하는 장치로서, 예측부(110), 감산부(120), 노이즈판별부(130), 변환부(140), 제1양자화부(150), 제2양자화부(160), 제1역양자화부(170), 제2역양자화부(172), 역변환부(174), 가산부(180), 디블록킹필터(182), 부호화부(190) 및 메모리(19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패딩값생성부(162)가 추가될 수 있다. 위의 구성 중 일부는 반드시 포함되지 않을 수 있으며, 구현에 따라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
부호화하고자 하는 입력 영상은 블록(Block) 단위로 입력이 되는데, 본 발명에서, 블록은 M×N 형태일 수 있으며 M과 N은 다양한 크기를 가질 수 있으며, M과 N이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다.
예측부(110)는 영상에서 현재 부호화하고자 하는 대상 블록을 인트라 예측 또는 인터 예측 방식을 사용하여 예측하여 예측블록을 생성한다. 즉, 예측부(110)는 인트라 예측(Intra Prediction) 또는 인터 예측(Inter Prediction) 등을 이용하여 입력 영상에서 현재 블록을 예측함으로써 예측 화소값(Predicted Pixel Value)을 각 화소의 화소값으로 가지는 예측 블록을 생성한다.
감산부(120)는 부호화할 대상 블록(즉, 현재 블록)에서 예측 블록을 감산하여 잔차 블록(Residual Block)을 생성한다. 즉, 감산부(120)는 부호화하고자 하는 대상 블록의 각 화소의 화소값과 예측부(110)에서 예측한 예측 블록의 각 화소의 예측 화소값의 차이를 계산하여 블록 형태의 잔차 신호(Residual Signal)를 포함하는 잔차 블록을 생성한다.
노이즈판별부(130)는 잔차블록의 노이즈성분 갯수가 기설정 범위의 갯수만큼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별한다. 즉, 노이즈판별부(130)는 잔차블록 내의 각 잔차신호 성분에 대하여 해당 잔차신호의 절대값이 문턱치 이상인 경우는 노이즈일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예측을 수행하여 잔차블록을 구한 후에도 큰 크기의 성분이 잔차블록에 남아있으면 남아있는 큰 크기의 성분은 노이즈일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기설정 범위는 하한선과 상한선으로 설정될 수 있으며, 하한선은 1 이상의 값, 상한성은 잔차블록 내 전체 화소 갯수 이하의 값을 가질 수 있다. 만일, 하한선보다 적은 갯수의 노이즈 성분이 잔차블록 내에 존재하는 경우에는 공간도메인으로 부호화하는 것이 비효율적일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고, 상한선 이상의 갯수의 노이즈 성분이 잔차블록 내에 존재하는 경우에는 해당 부호화할 블록이 원래 복잡한 영상일 가능성이 높아서 공간도메인으로 부호화하는 것이 비효율적일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도 2는 예측이 잘된 경우 잔차신호(A) 및 양자화블록(B)을 간략히 예시한 도면이다.
잔차 블록의 잔차 신호를 주파수 영역으로 변환하여 주파수 계수를 생성하면, 잔차 신호는 저주파와 고주파 성분으로 분해된다. 이와 같이, 분해된 주파수 계수를 양자화하였을 경우, 도 2의 (A)와 같이 잔차 블록에 노이즈 성분이 포함되어 있지 않고 예측이 잘 수행되었을 경우에는, 도 2의 (B)와 같이 양자화블록에 DC 성분를 포함한 저주파 주파수 계수 위치에 값들이 몰리며, 고주파 성분의 주파수 계수들은 작은 값을 갖게 된다. 양자화를 수행하고 나면 DC 성분를 포함한 저주파 주파수 계수 위치에 '0'이 아닌 값이 몰려 양자화 주파수 계수를 부호화할 경우 높은 압축 효율을 얻을 수 있다. 도 2의 (B)는 잔차 블록에 노이즈 성분이 포함되어 있지 않고 예측이 잘 수행되었을 경우 변환과 양자화를 거치고 나서의 부호화 해야 하는 '0'이 아닌 양자화 계수를 빗금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3은 예측후 노이즈성분이 있는 경우의 잔차신호(A) 및 양자화블록(B)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3의 (A)와 같은 잔차 블록에 노이즈 성분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도 3의 (B)와 같이 '0'이 아닌 양자화 계수가 불규칙한 분포를 보일 수 있다. 잔차블록 내에 있는 노이즈 성분의 잔차 신호 때문에 변환 후 고주파 계수의 위치에 값이 발생하여 '0'이 아닌 양자화 계수가 고주파 영역까지 발생하게 되어 이를 스캔하게 되면 양자화 계수열의 마지막 부분까지 '0'이 아닌 값이 발생하게 되어 비트스트림의 데이터량이 커질 수 있다. 즉, 예측이 잘 된 경우에는 부호화된 비트스트림의 데이터 크기를 줄일 수 있지만, 일부의 노이즈 성분이 발생하게 되면 고주파수 성분의 양자화 계수가 큰 값을 가지게 되어, 부호화된 비트스트림의 데이터 량이 증가하고 그에 따라 압축 효율이 저하된다. 따라서, 잔차 블록에 일부의 노이즈 성분이 포함되어 있을 경우, 효율적으로 부호화할 필요성이 있다.
또한, 노이즈판별부(130)는 잔차블록의 노이즈성분 갯수가 기설정 범위의 갯수만큼 존재하는 경우 잔차블록의 부호화도메인을 적응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노이즈판별부(130)는 잔차블록 내의 노이즈성분 갯수가 너무 적거나 너무 많은 경우에는 잔차블록의 부호화도메인을 적응적으로 결정하지 않고, 잔차블록 내의 노이즈성분 갯수가 기설정 범위만큼 존재하는 경우에 잔차블록의 부호화를 주파수도메인에서 할지 공간도메인에서 할지 여부를 적응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잔차블록 내의 노이즈성분 갯수가 기설정 범위만큼 존재하는 경우에 적응적으로 부호화도메인을 결정하는 방법으로는 잔차블록에 대하여 주파수도메인(잔차블록을 변환 및 양자화하여 부호화) 또는 공간도메인(잔차블록을 변환하지 않고 양자화하여 부호화)에 대하여 부호화비용을 계산하여 율-왜곡 성능이 우수한 경우가 선택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부호화비용을 비교하는 방법으로 율-왜곡 성능을 예로 들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변환부(140)는 결정된 부호화도메인이 주파수도메인인 경우 주파수 영역으로 변환하여 잔차블록의 각 화소값을 주파수 계수로 변환한다.여기서, 변환부(140)는 하다마드 변환(Hadamard Transform), 이산 코사인 변환 기반 변환(DCT based Transform: Discrete Cosine Transform Based Transform) 등과 같은 공간축의 화상 신호를 주파수축으로 변환하는 다양한 변환 기법을 이용하여 잔차 신호를 주파수 영역으로 변환할 수 있는데, 주파수 영역으로 변환된 잔차 신호가 주파수 계수가 된다.
제1양자화부(150)는 변환된 잔차블록을 양자화한다. 제1양자화부(150)는 변환부(130)에 의해 주파수 영역으로 변환된 주파수 계수를 갖는 잔차 블록을 양자화(Quantization)한다. 여기서, 제1양자화부(150)는 변환된 잔차 블록을 데드존 균일 경계 양자화(DZUTQ: Dead Zone Uniform Threshold Quantization, 이하 'DZUTQ'라 칭함) 또는 이를 개량한 양자화 기법 등을 사용하여 양자화할 수 있다.
제2양자화부(160)는 결정된 부호화도메인이 공간도메인인 경우 잔차블록을 양자화한다. 제2양자화부(160) 역시 제1양자화부(150)와 유사하게 변환된 잔차 블록을 데드존 균일 경계 양자화(DZUTQ: Dead Zone Uniform Threshold Quantization, 이하 'DZUTQ'라 칭함), 양자화 가중치 매트릭스(Quantization Weighted Matrix) 또는 이를 개량한 양자화 기법 등을 사용하여 양자화할 수 있다.
이때, 제2양자화부(160)는 노이즈성분을 제외한 나머지 성분을 임의의 값으로 패딩하고 잔차블록을 양자화한 블록을 생성할 수 있는데, 임의의 값은 기설정된 값일 수 있으며, 예컨대 '0'이 될 수도 있다.
도 4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잔차 신호 중 노이즈 성분으로 판단된 H, K가 존재하는 경우, 도 4의 (B)와 같이 H, K를 제외한 나머지 잔차신호는 임의의 값인 'z'로 설정될 수 있으며, 노이즈 성분인 H, K는 양자화를 수행하여 양자화블록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잔차 신호가 2일 때, 변환 및 양자화 후에 역양자화 및 역변환을 하면, 양자화 에러가 추가될 수 있는데 '-' 방향으로 양자화 에러가 추가되어 복원된 값이 -1이 될 수도 있고, '+' 방향으로 양자화 에러가 추가되어 복원된 값이 3이 될 수도 있다. 위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노이즈 성분을 제외한 나머지 잔차 신호를 임의의 값 '0'으로 설정하였을 경우, 위의 예에서 '+' 방향으로 양자화 에러가 추가되면 변환 및 양자화 후에 역양자화 및 역변환을 하였을 경우 절대값 1이라는 에러를 발생시키는 반면 임의의 값 '0'으로 설정하였을 경우는 절대값 2라는 에러를 발생시켜서 변환 및 양자화 후에 역양자화 및 역변환을 하였을 경우가 더 좋은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한편 '-' 방향으로 양자화 에러가 추가되면 변환 및 양자화 후에 역양자화 및 역변환을 하였을 경우 절대값 3이라는 에러를 발생시키는 반면, 임의의 값 '0'으로 설정하였을 경우는 절대값 2이라는 에러를 발생시켜서 오히려 변환 및 양자화 후에 역양자화 및 역변환을 하였을 경우가 더 큰 에러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러한 예처럼 절대값이 작은 잔차 신호는 변환 및 양자화 후에 역양자화 및 역변환을 통해 복원되면 복원된 값이 '+'에서 '-'로 또는 '-'에서 '+'로 변경될 수 있기 때문에, 일부의 노이즈 성분의 잔차 신호를 판별하기 위해 소정의 크기를 적절히 설정하면, 노이즈 성분을 제외한 나머지 잔차 신호들을 임의의 값(예를 들면 0)으로 설정함으로써, 그 나머지 잔차 신호들은 따로 부호화하지 않아도 손실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제2양자화부(160)는 패딩값생성부(162)로부터 패딩값을 수신하여 패딩값을 설정할 수 있다.
패딩값생성부(162)는 패딩값에 대한 정보를 발생하여 제2양자화부로 전송한다. 발생된 패딩값에 대한 정보는 부호화부(190)로도 전송되어 비트스트림으로 부호화될 수 있다. 패딩값에 대한 정보는 외부로부터 패딩값을 입력받을 수도 있고, 영상을 분석하여 패딩값을 설정하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패딩값을 설정할 수 있다. 패딩값에 대한 정보는 영상의 시퀀스, 픽처, 슬라이스, 블록 및 서브블록 중에서 어느 하나의 단위로 생성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부호화부(190)는 결정된 부호화도메인에 대한 정보와, 제1양자화부(150) 또는 제2양자화부(160)에서 생성된 블록을 부호화한다.
부호화부(190)는 양자화 주파수 계수열 또는 공간도메인으로 양자화된 블록을 엔트로피 부호화(Entropy Coding) 기법 등을 이용하여 부호화함으로써 비트스트림을 출력한다. 이러한 부호화 기술로서는 엔트로피 부호화(Entropy Encoding) 기술이 사용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지 않고 다른 다양한 부호화 기술을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부호화부(180)는 양자화 블록을 부호화한 비트열뿐만 아니라 부호화된 비트열을 복호화하는 데 필요한 다양한 정보들을 부호화 데이터에 포함시킬 수 있다. 즉, 부호화 데이터는 부호화된 블록 형태(CBP: Coded Block Pattern), 델타 양자화 계수(Delta Quantization Parameter) 및 양자화 블록이 부호화된 비트열 및 예측에 필요한 정보를 위한 비트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부호화부(180)는 제2양자화부에서 생성된 양자화 블록의 계수를 스캔함 있어서 복수의 스캔방법 후보 중에서 가장 우수한 방법을 사용할 수 있으며, 사용된 스캔방법에 대한 정보를 부호화하여 비트스크림에 포함시킬 수 있다. 부호화부(180)는 복수의 스캔방법 후보에 대하여 각각 부호화비용을 계산하여 율-왜곡 성능이 우수한 스캔방법을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부호화비용을 비교하는 방법으로 율-왜곡 성능을 예로 들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부호화부(180)는 패딩값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영상의 시퀀스, 픽처, 슬라이스, 블록 및 서브블록 중에서 어느 하나의 단위로 부호화할 수 있다.
도 5는 스캔방법 후보가 두 종류인 경우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5의 (A)와 같이 좌상측으로부터 스캔하는 방법과 도 5의 (B)와 같이 우하측에서 스캔하는 방법을 후보로 두는 경우 부호화부(180)는 두가지 후보방법 중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H.264/AVC에서는 주파수변환블록의 DC 자리에 해당하는 위치에서부터 zig-zag 순서로 계수를 코딩하는 반면, 본 실시예에서는 스캔의 시작위치를 zig-zag 스캔을 포함한 여러 가지 방법 중에서 하나 선택할 수 있다. 이는 도 5의 경우처럼 주파수도메인에서 고주파 위치에 해당하는 부분에 노이즈 성분이 발생하면 기존의 왼쪽 위에서부터 계수를 코딩하는 것은 비효율적이기 때문이다.
노이즈 성분을 제외하고는 z에 해당하는 성분은 모두 임의의 값(여기에선 '0'으로 예시)으로 채워서 복원하는데 z성분 위치는 추가적으로 부호화해야 할 정보가 없는 부분을 의미한다. 만약 일부의 노이즈 성분이 도 5와 같이 블록의 오른쪽 아래 부분에 발생하게 되면 블록의 왼쪽 위의 위치에서부터 스캔하여 부호화하면 부호화해야 할 계수가 많아져서 효율이 안 좋아질 수 있다. 만약 스캔을 시작하는 순서를 후보군 2개로 두었다고 가정할 경우(왼쪽 위 및 오른쪽 아래의 두가지) 도 5의 (B)와 같이 오른쪽 아래부터 스캔을 시작하여 부호화할 계수가 줄어들도록 만들고 스캔 시작 위치 정보만 부호화하면 영상 복호화 장치로 보내주면 더 효율적일 수 있다.
도 6은 지그재그 스캔 이외의 스캔방법 후보가 있는 경우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6과 같이 기존의 지그재그 스캔(zig-zag scan) 말고 다른 스캔 방법의 후보군을 두어 그 중에서 선택하여 부호화할 수 있게 하는 방법 또한 적용할 수 있다. 즉, 도 6에서와 같이 스캔의 시작 위치를 여러 시작 위치 후보군 중에서 선택하여 부호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스캔방법의 후보군은 도 5 및 도 6에서 예시한 것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스캔방법 후보군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제2양자화부(160)는 결정된 부호화도메인이 공간도메인인 경우 노이즈성분을 양자화하여 부호화부(190)으로 전송할 수 있으며, 이때, 부호화부(190)는 스캔방법을 이용하여 부호화하는 것이 아니라 노이즈성분을 부호화하고, 노이즈성분의 갯수 및 노이즈성분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부호화함으로써 공간도메인에서 양자화블록을 부호화할 수 있다. 즉, 부호화부(190)는 제2양자화부(160)로부터 양자화된 노이즈성분과, 노이즈성분의 갯수 및 노이즈성분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부호화할 수 있다.
제1역양자화부(170)는 부호화도메인 정보가 "주파수도메인 부호화"를 의미하면 상기 양자화 블록을 역양자화하여 변환된 잔차블록을 복원할 수 있다. 제1역양자화부(170)는 제1양자화부(150)에 의해 양자화된 잔차 블록을 역양자화(Inverse Quantization)한다. 즉, 제1역양자화부(170)는 양자화된 잔차 블록의 양자화 주파수 계수들을 역양자화하여 주파수 계수를 갖는 잔차 블록을 생성한다.
역변환부(174)는 제1역양자화부(170)에 의해 생성된 변환된 잔차블록을 역변환(Inverse Transform)한다. 즉, 역변환부(170)는 주파수변환된 잔차 블록의 주파수 계수들을 역변환하여 화소값을 갖는 잔차 블록 즉, 복원된 잔차 블록을 생성한다. 여기서, 역변환부(170)는 변환부(140)에서 사용한 변환한 방식을 역으로 사용하여 역변환할 수 있다.
제2역양자화부(172)는 제2양자화부(160)가 기설정범위의 갯수의 노이즈성분을 포함하는 양자화 블록을 발생하는 경우에는 제2양자화부(160)에서 발생된 양자화블록을 역양자화하여 잔차블록을 복원한다.
제2역양자화부(172)는 제2양자화부(160)가 양자화된 노이즈성분과, 노이즈성분의 갯수 및 노이즈성분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발생하는 경우에는 제2양자화부(160)에서 발생된 양자화된 노이즈성분과, 노이즈성분의 갯수 및 노이즈성분의 위치에 대한 정보로부터 잔차블록을 복원한다.
가산부(180)는 예측부(110)에서 예측된 예측 블록과, 역변환부(174)에 의해 복원된 잔차 블록 또는 제2역양자화부(172)에서 복원된 잔차블록을 가산하여 대상 블록인 현재블록을 복원한다. 복원된 대상 블록은 디블록킹필터(182)를 거칠 수 있는데, 디블록킹필터(182)는 복원된 현재 블록을 디블록킹 필터링하여 블록 왜곡 등을 제거하며, 메모리(192)는 디블록킹 필터링한 현재 블록을 저장하여 대상 블록의 다음 블록이나 향후 다른 블록을 부호화할 때 참조 픽처로서 사용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복호화 장치(700)의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복호화 장치(700)는 복호화부(710), 제1역양자화부(720), 역변환부(730), 제2역양자화부(740), 예측부(750), 가산부(760) 및 메모리(78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복호화부(710)는 비트스트림으로부터 부호화도메인 정보 및 양자화 블록을 복원한다. 만일, 추출된 부호화도메인 정보가 "주파수도메인 부호화"를 의미하면 제1역양자화부(720)는 양자화 블록을 역양자화하여 변환된 잔차블록을 복원하고, 역변환부(730)는 변환된 잔차블록을 역변환하여 잔차블록을 복원한다. 제1역양자화부(720)와 역변환부(730)는 도 1을 통해 전술한 제1역양자화부(170)와 역변환부(174)의 기능과 각각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복호화부(710)는 비트스트림으로부터 부호화도메인 정보를 복원하여 복원된 부호화도메인 정보가 "공간도메인 부호화"를 의미하면 스캔방법에 대한 정보를 추가로 복호할 수도 있으며 복호된 스캔방법에 대한 정보가 의미하는 방법으로 비트스트림에 포함된 양자화계수열을 역스캔하여 공간도메인에서 양자화된 블록을 복원할 수 있다.
한편, 복호화부(710)는 양자화된 블록을 복원함에 있어서, 노이즈성분을 제외한 나머지 성분은 기설정된 패딩값으로 패딩하여 양자화된 블록을 복원할 수 있다. 이때, 패딩값은 '0'으로 설정될 수도 있으며, 패딩값에 대한 정보를 영상 부호화 장치와 영상 복호화 장치간에 주고받기로 약속되어 있으면, 복호화부(710)는 패딩값에 대한 정보를 비트스트림으로부터 복호하고, 복호된 패딩값으로 노이즈성분을 제외한 나머지 성분을 패딩하여 양자화블록을 복원할 수도 있다. 이때, 패딩값에 대한 정보는 영상의 시퀀스, 픽처, 슬라이스, 블록 및 서브블록 중에서 어느 하나의 단위로 복호할 수 있다. 여기서, 노이즈성분은 해당 잔차신호의 절대값이 문턱치 이상인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영상 부호화 장치와 약속된 값을 사용할 수 있으며, 적용되는 문턱치는 실시예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제2역양자화부(740)는 추출된 부호화도메인 정보가 "공간도메인 부호화"를 의미하면 기설정범위의 갯수의 노이즈성분을 포함하는 복원된 양자화 블록을 역양자화하여 잔차블록을 복원한다.
예측부(750)는 현재 복호화하고자 하는 대상 블록을 인트라 예측 또는 인터 예측 방식을 사용하여 예측하여 예측블록을 생성한다. 즉, 예측부(750)는 복호화부(710)에서 복호된 인트라 예측모드 또는 인터 예측모드 등을 이용하여 예측 블록을 생성한다.
가산부(760)는 복원된 잔차블록과 예측 블록을 가산하여 현재 블록을 복원한다. 가산부(760)에서 복원된 복호화 대상 블록은 메모리(780)에 저장되어 대상 블록의 다음 블록이나 향후 다른 블록을 복원할 때 참조 픽처로서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호화부(710)는 비트스트림으로부터 부호화도메인 정보 및 양자화된 블록을 복원하고 복호된 부호화도메인 정보가 "공간도메인 부호화"를 의미하면 양자화된 노이즈성분, 노이즈성분의 갯수 및 노이즈성분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추가로 복호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역양자화부(740)는 양자화된 노이즈성분, 노이즈성분의 갯수 및 노이즈성분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잔차블록을 복원할 수 있다. 여기서 복원되는 잔차블록은 노이즈성분을 제외한 나머지 성분은 기설정 패딩값을 패딩하여 양자화블록을 복원할 수 있다. 여기서, 기설정 패딩값은 '0'으로 설정될 수도 있으며, 패딩값에 대한 정보를 영상 부호화 장치와 영상 복호화 장치간에 주고받기로 약속되어 있으면, 복호화부(710)가 패딩값에 대한 정보를 비트스트림으로부터 복호한 값을 이용할 수도 있다. 이때, 패딩값에 대한 정보는 영상의 시퀀스, 픽처, 슬라이스, 블록 및 서브블록 중에서 어느 하나의 단위로 복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부호화/복호화 장치는 도 1의 영상 부호화 장치(100)의 비트스트림 출력단을 도 7의 영상 복호화 장치(700)의 비트스트림 입력단에 연결함으로써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부호화/복호화 장치는, 현재블록을 예측하여 예측블록을 생성하여 현재 블록에서 예측블록을 감산하여 잔차블록을 생성하고 잔차블록의 노이즈성분 갯수가 기설정 범위의 갯수만큼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부호화도메인을 결정하고 결정된 부호화도메인이 주파수도메인인 경우 잔차블록을 변환 및 양자화하고 결정된 부호화도메인이 공간도메인인 경우에는 잔차블록을 양자화하여 결정된 부호화도메인에 대한 정보와 생성된 양자화 블록을 부호화하거나 노이즈성분을 양자화하고 양자화된 노이즈성분, 노이즈성분의 갯수 및 노이즈성분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부호화하는 영상 부호화기; 및 비트스트림으로부터 부호화도메인 정보 및 양자화 블록을 복호하고 복호된 부호화도메인 정보가 "주파수도메인 부호화"를 의미하면 복호된 양자화 블록을 역양자화하고 역변환하여 잔차블록을 복원하고 복호된 부호화도메인 정보가 "공간도메인 부호화"를 의미하면 기설정범위의 갯수의 노이즈성분을 포함하는 복호된 양자화 블록을 역양자화하여 잔차블록을 복원하거나 비트스트림으로부터 추출한 양자화된 노이즈성분, 노이즈성분의 갯수 및 노이즈성분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잔차블록을 복원하여 복원된 잔차블록과 현재블록을 현재 블록을 생성된 예측 블록을 가산하여 현재 블록을 복원하는 영상 복호화기를 포함한다.
여기서 영상 부호화기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부호화 장치(100)로 구현 가능하며, 영상 복호화기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복호화 장치(700)로 구현 가능하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부호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부호화 방법은, 현재블록을 예측하여 예측블록을 생성하는 예측단계(S810), 현재 블록에서 예측블록을 감산하여 잔차블록을 생성하는 감산단계(S820), 잔차블록의 노이즈성분 갯수가 기설정 범위의 갯수만큼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부호화도메인을 결정하는 노이즈판별단계(S830), 결정된 부호화도메인이 주파수도메인인 경우 잔차블록을 변환하는 변환단계(S840), 변환된 잔차블록을 양자화하는 제1양자화단계(S850), 결정된 부호화도메인이 공간도메인인 경우 잔차블록을 양자화하는 제2양자화단계(S860) 및 결정된 부호화도메인에 대한 정보와, 제1양자화단계(S850) 또는 제2양자화단계(S860)에서 생성된 블록을 부호화하는 부호화단계(S870)를 포함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 부호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 부호화 방법은, 현재블록을 예측하여 예측블록을 생성하는 예측단계(S910), 현재 블록에서 예측블록을 감산하여 잔차블록을 생성하는 감산단계(S920), 잔차블록의 노이즈성분 갯수가 기설정 범위의 갯수만큼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부호화도메인을 결정하는 노이즈판별단계(S930), 결정된 부호화도메인이 주파수도메인인 경우 잔차블록을 변환하는 변환단계(S940), 변환된 잔차블록을 양자화하는 제1양자화단계(S950), 결정된 부호화도메인이 공간도메인인 경우 노이즈성분을 양자화하는 제2양자화단계(S960) 및 제1양자화단계에서 양자화된 블록을 부호화하거나, 제2양자화단계에서 양자화된 노이즈성분, 노이즈성분의 갯수 및 노이즈성분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부호화하는 부호화단계(S970)를 포함한다.
여기서 예측단계(S810, S910)는 예측부(110)의 동작에, 감산단계(S820, S920)는 감산부(120)의 동작에, 노이즈판별단계(S830, S940)는 노이즈판별부(130)의 동작에, 변환단계(S840, S940)는 변환부(140)의 동작에, 제1양자화단계(S850, S950)는 제1양자화부(150)의 동작에, 제2양자화단계(S860, S960)는 제2양자화부(160)의 동작에, 부호화단계(S870, S970)는 부호화부(190)의 동작에 각각 대응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복호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복호화 방법은, 비트스트림으로부터 부호화도메인 정보 및 양자화 블록을 복원하는 복호화단계(S1010), 복호된 부호화도메인 정보가 "주파수도메인 부호화"를 의미하면 복호된 양자화 블록을 역양자화하여 변환된 잔차블록을 복원하는 제1역양자화단계(S1020), 변환된 잔차블록을 역변환하여 잔차블록을 복원하는 역변환단계(S1030), 복호된 부호화도메인 정보가 "공간도메인 부호화"를 의미하면 기설정범위의 갯수의 노이즈성분을 포함하는 복호된 양자화 블록을 역양자화하여 잔차블록을 복원하는 제2역양자화단계(S1040), 현재 블록을 예측하여 예측 블록을 생성하는 예측단계(S1050) 및 복원된 잔차블록과 예측 블록을 가산하여 현재 블록을 복원하는 가산단계(S1060)를 포함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 복호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 복호화 방법은, 비트스트림으로부터 부호화도메인 정보 및 양자화된 블록을 복호하고 복호된 부호화도메인 정보가 "공간도메인 부호화"를 의미하면 양자화된 노이즈성분, 노이즈성분의 갯수 및 노이즈성분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복호하는 복호화단계(S1110), 부호화도메인 정보가 "주파수도메인 부호화"를 의미하면 양자화된 블록을 역양자화하여 변환된 잔차블록을 복원하는 제1역양자화단계(S1120), 변환된 잔차블록을 역변환하여 잔차블록을 복원하는 역변환단계(S1130), 양자화된 노이즈성분, 노이즈성분의 갯수 및 노이즈성분의 위치에 대한 정보로부터 잔차블록을 복원하는 제2역양자화단계(S1140), 현재 블록을 예측하여 예측 블록을 생성하는 예측단계(S1150) 및 복원된 잔차블록과 예측 블록을 가산하여 현재 블록을 복원하는 가산단계(S1160)를 포함한다.
여기서, 복호화단계(S1010, S1110)는 복호화부(710)의 동작에, 제1역양자화단계(S1020, S1120)는 제1역양자화부(720)의 동작에, 역변환단계(S1030, S1130)는 역변환부(730)의 동작에, 제2역양자화단계(S1040, S1140)는 제2역양자화부(740)의 동작에, 예측단계(S1050, S1150)는 예측부(750)의 동작에, 가산단계(S1060, S1160)는 가산부(760)의 동작에 각각 대응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부호화 방법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복호화 방법을 결합하여 구현함으로써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은, 현재블록을 예측하여 예측블록을 생성하여 현재 블록에서 예측블록을 감산하여 잔차블록을 생성하고 잔차블록의 노이즈성분 갯수가 기설정 범위의 갯수만큼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부호화도메인을 결정하고 결정된 부호화도메인이 주파수도메인인 경우 잔차블록을 변환 및 양자화하고 결정된 부호화도메인이 공간도메인인 경우에는 잔차블록을 양자화하여 결정된 부호화도메인에 대한 정보와 생성된 양자화 블록을 부호화하거나 노이즈성분을 양자화하고 양자화된 노이즈성분, 노이즈성분의 갯수 및 노이즈성분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부호화하는 영상 부호화단계; 및 비트스트림으로부터 부호화도메인 정보 및 양자화 블록을 복호하고 복호된 부호화도메인 정보가 "주파수도메인 부호화"를 의미하면 양자화 블록을 역양자화하고 역변환하여 잔차블록을 복원하고 복호된 부호화도메인 정보가 "공간도메인 부호화"를 의미하면 기설정범위의 갯수의 노이즈성분을 포함하는 복호된 양자화 블록을 역양자화하여 잔차블록을 복원하거나 비트스트림으로부터 추출한 양자화된 노이즈성분, 노이즈성분의 갯수 및 노이즈성분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잔차블록을 복원하여 복원된 잔차블록과 현재블록을 현재 블록을 생성된 예측 블록을 가산하여 현재 블록을 복원하는 영상 복호화단계를 포함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영상을 인트라 또는 인터 예측을 수행하여 부호화하는데 있어서 잔차신호에 예측이 잘 되지 않아 큰 값을 갖는 성분이 일부 포함되어 있는 경우 해당 성분을 공간 영역에서 적응적 부호화를 수행하여 부호화 성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어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38)

  1. 영상을 부호화/복호화하는 장치에 있어서,
    현재블록을 예측하여 예측블록을 생성하여 상기 현재 블록에서 상기 예측블록을 감산하여 잔차블록을 생성하고 상기 잔차블록의 노이즈성분 갯수가 기설정 범위의 갯수만큼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부호화도메인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부호화도메인이 주파수도메인인 경우 상기 잔차블록을 변환 및 양자화하고 상기 결정된 부호화도메인이 공간도메인인 경우에는 상기 잔차블록을 양자화하여 결정된 부호화도메인에 대한 정보와 생성된 양자화 블록을 부호화하거나 상기 노이즈성분을 양자화하고 양자화된 노이즈성분, 상기 노이즈성분의 갯수 및 상기 노이즈성분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부호화하는 영상 부호화기; 및
    비트스트림으로부터 부호화도메인 정보 및 양자화 블록을 복원하고 상기 부호화도메인 정보가 "주파수도메인 부호화"를 의미하면 상기 양자화 블록을 역양자화하고 역변환하여 잔차블록을 복원하고 상기 부호화도메인 정보가 "공간도메인 부호화"를 의미하면 기설정범위의 갯수의 노이즈성분을 포함하는 상기 복호된 양자화 블록을 역양자화하여 잔차블록을 복원하거나 상기 비트스트림으로부터 추출한 양자화된 노이즈성분, 노이즈성분의 갯수 및 노이즈성분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잔차블록을 복원하여 복원된 잔차블록과 현재블록을 현재 블록을 생성된 예측 블록을 가산하여 상기 현재 블록을 복원하는 영상 복호화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부호화/복호화 장치.
  2. 영상을 부호화하는 장치에 있어서,
    현재블록을 예측하여 예측블록을 생성하는 예측부;
    상기 현재 블록에서 상기 예측블록을 감산하여 잔차블록을 생성하는 감산부;
    상기 잔차블록의 노이즈성분 갯수가 기설정 범위의 갯수만큼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부호화도메인을 결정하는 노이즈판별부;
    상기 결정된 부호화도메인이 주파수도메인인 경우 상기 잔차블록을 변환하는 변환부;
    상기 변환된 잔차블록을 양자화하는 제1양자화부;
    상기 결정된 부호화도메인이 공간도메인인 경우 상기 잔차블록을 양자화하는 제2양자화부; 및
    결정된 부호화도메인에 대한 정보와, 상기 제1양자화부 또는 상기 제2양자화부에서 생성된 블록을 부호화하는 부호화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부호화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양자화부는,
    상기 노이즈성분을 제외한 나머지 성분을 패딩값으로 패딩하고 상기 잔차블록을 양자화한 블록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부호화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패딩값은,
    기설정된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부호화 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부호화 장치는,
    상기 패딩값에 대한 정보를 발생하여 제2양자화부로 전송하는 패딩값생성부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부호화부는 상기 패딩값에 대한 정보를 영상의 시퀀스, 픽처, 슬라이스, 블록 및 서브블록 중에서 어느 하나의 단위로 부호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부호화 장치.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부호화부는,
    상기 제2양자화부에서 생성된 블록의 계수를 스캔함 있어서 복수의 스캔방법에 대하여 부호화비용을 계산하여 성능이 우수한 스캔방법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스캔방법에 대한 정보를 부호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부호화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되는 스캔방법은,
    상기 제2양자화부에서 생성된 블록에 대한 스캔의 시작 위치를 여러 시작 위치 후보군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부호화 장치.
  8. 영상을 부호화하는 장치에 있어서,
    현재블록을 예측하여 예측블록을 생성하는 예측부;
    상기 현재 블록에서 상기 예측블록을 감산하여 잔차블록을 생성하는 감산부;
    상기 잔차블록의 노이즈성분 갯수가 기설정 범위의 갯수만큼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부호화도메인을 결정하는 노이즈판별부;
    상기 결정된 부호화도메인이 주파수도메인인 경우 상기 잔차블록을 변환하는 변환부;
    상기 변환된 잔차블록을 양자화하는 제1양자화부;
    상기 결정된 부호화도메인이 공간도메인인 경우 상기 노이즈성분을 양자화하는 제2양자화부; 및
    상기 제1양자화부에서 양자화된 블록을 부호화하거나, 상기 제2양자화부에서 양자화된 노이즈성분, 상기 노이즈성분의 갯수 및 상기 노이즈성분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부호화하는 부호화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부호화 장치.
  9. 제 2항 또는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노이즈판별부는,
    상기 잔차블록의 노이즈성분 갯수가 기설정 범위의 갯수만큼 존재하는 경우, 상기 잔차블록의 부호화도메인을 적응적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부호화 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부호화 도메인은,
    상기 잔차블록에 대하여 주파수도메인 또는 공간도메인에 대하여 부호화비용을 계산하여 성능이 우수한 것으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부호화 장치.
  11. 제 2항 또는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노이즈성분은,
    해당 잔차신호의 절대값이 문턱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부호화 장치.
  12. 영상을 복호화하는 장치에 있어서,
    비트스트림으로부터 부호화도메인 정보 및 양자화 블록을 복원하는 복호화부;
    상기 부호화도메인 정보가 "주파수도메인 부호화"를 의미하면 상기 양자화 블록을 역양자화하여 변환된 잔차블록을 복원하는 제1역양자화부;
    상기 변환된 잔차블록을 역변환하여 잔차블록을 복원하는 역변환부;
    상기 부호화도메인 정보가 "공간도메인 부호화"를 의미하면 기설정범위의 갯수의 노이즈성분을 포함하는 상기 복호된 양자화 블록을 역양자화하여 잔차블록을 복원하는 제2역양자화부;
    현재 블록을 예측하여 예측 블록을 생성하는 예측부; 및
    복원된 잔차블록과 상기 예측 블록을 가산하여 상기 현재 블록을 복원하는 가산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복호화 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복호화부는,
    상기 노이즈성분을 제외한 나머지 성분을 패딩값으로 패딩하여 상기 양자화 블록을 복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복호화 장치.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복호화부는,
    상기 부호화도메인 정보가 "공간도메인 부호화"를 의미하는 경우, 스캔방법에 대한 정보를 상기 비트스트림으로부터 복호하고 상기 복호된 스캔방법에 따라 상기 비트스트림에 포함된 양자화계수열을 역스캔하여 공간도메인에서 상기 양자화된 블록을 복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복호화 장치.
  15. 영상을 복호화하는 장치에 있어서,
    비트스트림으로부터 부호화도메인 정보 및 양자화된 블록을 복원하고 상기 부호화도메인 정보가 "공간도메인 부호화"를 의미하면 양자화된 노이즈성분, 상기 노이즈성분의 갯수 및 상기 노이즈성분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복호하는 복호화부;
    상기 부호화도메인 정보가 "주파수도메인 부호화"를 의미하면 상기 양자화된 블록을 역양자화하여 변환된 잔차블록을 복원하는 제1역양자화부;
    상기 변환된 잔차블록을 역변환하여 잔차블록을 복원하는 역변환부;
    상기 양자화된 노이즈성분, 상기 노이즈성분의 갯수 및 상기 노이즈성분의 위치에 대한 정보로부터 잔차블록을 복원하는 제2역양자화부;
    현재 블록을 예측하여 예측 블록을 생성하는 예측부; 및
    복원된 잔차블록과 상기 예측 블록을 가산하여 상기 현재 블록을 복원하는 가산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복호화 장치.
  16. 제 12항 또는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노이즈성분은,
    해당 잔차신호의 절대값이 문턱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복호화 장치.
  17.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역양자화부는,
    상기 노이즈성분을 제외한 나머지 성분을 패딩값으로 패딩하여 상기 잔차블록을 복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복호화 장치.
  18. 제 13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패딩값은,
    기설정된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복호화 장치.
  19. 제 13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복호화부는,
    상기 비트스트림으로부터 상기 패딩값에 대한 정보를 영상의 시퀀스, 픽처, 슬라이스, 블록 및 서브블록 중에서 어느 하나의 단위로 복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복호화 장치.
  20. 영상을 부호화/복호화하는 방법에 있어서,
    현재블록을 예측하여 예측블록을 생성하여 상기 현재 블록에서 상기 예측블록을 감산하여 잔차블록을 생성하고 상기 잔차블록의 노이즈성분 갯수가 기설정 범위의 갯수만큼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부호화도메인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부호화도메인이 주파수도메인인 경우 상기 잔차블록을 변환 및 양자화하고 상기 결정된 부호화도메인이 공간도메인인 경우에는 상기 잔차블록을 양자화하여 결정된 부호화도메인에 대한 정보와 생성된 양자화 블록을 부호화하거나 상기 노이즈성분을 양자화하고 양자화된 노이즈성분, 상기 노이즈성분의 갯수 및 상기 노이즈성분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부호화하는 영상 부호화단계; 및
    비트스트림으로부터 부호화도메인 정보 및 양자화 블록을 복원하고 상기 부호화도메인 정보가 "주파수도메인 부호화"를 의미하면 상기 양자화 블록을 역양자화하고 역변환하여 잔차블록을 복원하고 상기 부호화도메인 정보가 "공간도메인 부호화"를 의미하면 기설정범위의 갯수의 노이즈성분을 포함하는 상기 복호된 양자화 블록을 역양자화하여 잔차블록을 복원하거나 상기 비트스트림으로부터 추출한 양자화된 노이즈성분, 노이즈성분의 갯수 및 노이즈성분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잔차블록을 복원하여 복원된 잔차블록과 현재블록을 현재 블록을 생성된 예측 블록을 가산하여 상기 현재 블록을 복원하는 영상 복호화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
  21. 영상을 부호화하는 방법에 있어서,
    현재블록을 예측하여 예측블록을 생성하는 예측단계;
    상기 현재 블록에서 상기 예측블록을 감산하여 잔차블록을 생성하는 감산단계;
    상기 잔차블록의 노이즈성분 갯수가 기설정 범위의 갯수만큼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부호화도메인을 결정하는 노이즈판별단계;
    상기 결정된 부호화도메인이 주파수도메인인 경우 상기 잔차블록을 변환하는 변환단계;
    상기 변환된 잔차블록을 양자화하는 제1양자화단계;
    상기 결정된 부호화도메인이 공간도메인인 경우 상기 잔차블록을 양자화하는 제2양자화단계; 및
    결정된 부호화도메인에 대한 정보와, 상기 제1양자화단계 또는 상기 제2양자화단계에서 생성된 블록을 부호화하는 부호화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부호화 방법.
  22.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양자화단계에서는,
    상기 노이즈성분을 제외한 나머지 성분을 패딩값으로 패딩하고 상기 잔차블록을 양자화한 블록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부호화 방법.
  23.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패딩값은,
    기설정된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부호화 방법.
  24.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부호화 방법은,
    상기 패딩값에 대한 정보를 발생하여 제2양자화단계로 진행하는 패딩값생성단계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부호화단계에서는 상기 패딩값에 대한 정보를 영상의 시퀀스, 픽처, 슬라이스, 블록 및 서브블록 중에서 어느 하나의 단위로 부호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부호화 방법.
  25.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부호화단계에서는,
    상기 제2양자화단계에서 생성된 블록의 계수를 스캔함 있어서 복수의 스캔방법에 대하여 부호화비용을 계산하여 성능이 우수한 스캔방법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스캔방법에 대한 정보를 부호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부호화 방법.
  26.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되는 스캔방법은,
    상기 제2양자화단계에서 생성된 블록에 대한 스캔의 시작 위치를 여러 시작 위치 후보군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부호화 방법.
  27. 영상을 부호화하는 방법에 있어서,
    현재블록을 예측하여 예측블록을 생성하는 예측단계;
    상기 현재 블록에서 상기 예측블록을 감산하여 잔차블록을 생성하는 감산단계;
    상기 잔차블록의 노이즈성분 갯수가 기설정 범위의 갯수만큼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부호화도메인을 결정하는 노이즈판별단계;
    상기 결정된 부호화도메인이 주파수도메인인 경우 상기 잔차블록을 변환하는 변환단계;
    상기 변환된 잔차블록을 양자화하는 제1양자화단계;
    상기 결정된 부호화도메인이 공간도메인인 경우 상기 노이즈성분을 양자화하는 제2양자화단계; 및
    상기 제1양자화단계에서 양자화된 블록을 부호화하거나, 상기 제2양자화단계에서 양자화된 노이즈성분, 상기 노이즈성분의 갯수 및 상기 노이즈성분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부호화하는 부호화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부호화 방법.
  28. 제 21항 또는 제 27항에 있어서, 상기 노이즈판별단계에서는,
    상기 잔차블록의 노이즈성분 갯수가 기설정 범위의 갯수만큼 존재하는 경우, 상기 잔차블록의 부호화도메인을 적응적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부호화 방법.
  29. 제 28항에 있어서, 상기 부호화 도메인은,
    상기 잔차블록에 대하여 주파수도메인 또는 공간도메인에 대하여 부호화비용을 계산하여 성능이 우수한 것으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부호화 방법.
  30. 제 21항 또는 제 27항에 있어서, 상기 노이즈성분은,
    해당 잔차신호의 절대값이 문턱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부호화 방법.
  31. 영상을 복호화하는 방법에 있어서,
    비트스트림으로부터 부호화도메인 정보 및 양자화 블록을 복원하는 복호화단계;
    상기 부호화도메인 정보가 "주파수도메인 부호화"를 의미하면 상기 양자화 블록을 역양자화하여 변환된 잔차블록을 복원하는 제1역양자화단계;
    상기 변환된 잔차블록을 역변환하여 잔차블록을 복원하는 역변환단계;
    상기 부호화도메인 정보가 "공간도메인 부호화"를 의미하면 기설정범위의 갯수의 노이즈성분을 포함하는 상기 복호된 양자화 블록을 역양자화하여 잔차블록을 복원하는 제2역양자화단계;
    현재 블록을 예측하여 예측 블록을 생성하는 예측단계; 및
    복원된 잔차블록과 상기 예측 블록을 가산하여 상기 현재 블록을 복원하는 가산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복호화 방법.
  32. 제 31항에 있어서, 상기 복호화단계에서는,
    상기 노이즈성분을 제외한 나머지 성분을 패딩값으로 패딩하여 상기 양자화 블록을 복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복호화 방법.
  33. 제 31항에 있어서, 상기 복호화단계에서는,
    상기 부호화도메인 정보가 "공간도메인 부호화"를 의미하는 경우, 스캔방법에 대한 정보를 상기 비트스트림으로부터 복호하고 상기 복호된 스캔방법에 따라 상기 비트스트림에 포함된 양자화계수열을 역스캔하여 공간도메인에서 상기 양자화된 블록을 복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복호화 방법.
  34. 영상을 복호화하는 방법에 있어서,
    비트스트림으로부터 부호화도메인 정보 및 양자화된 블록을 복원하고 상기 부호화도메인 정보가 "공간도메인 부호화"를 의미하면 양자화된 노이즈성분, 상기 노이즈성분의 갯수 및 상기 노이즈성분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복호하는 복호화단계;
    상기 부호화도메인 정보가 "주파수도메인 부호화"를 의미하면 상기 양자화된 블록을 역양자화하여 변환된 잔차블록을 복원하는 제1역양자화단계;
    상기 변환된 잔차블록을 역변환하여 잔차블록을 복원하는 역변환단계;
    상기 양자화된 노이즈성분, 상기 노이즈성분의 갯수 및 상기 노이즈성분의 위치에 대한 정보로부터 잔차블록을 복원하는 제2역양자화단계;
    현재 블록을 예측하여 예측 블록을 생성하는 예측단계; 및
    복원된 잔차블록과 상기 예측 블록을 가산하여 상기 현재 블록을 복원하는 가산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복호화 방법.
  35. 제 31항 또는 제 34항에 있어서, 상기 노이즈성분은,
    해당 잔차신호의 절대값이 문턱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복호화 방법.
  36. 제 34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역양자화단계에서는,
    상기 노이즈성분을 제외한 나머지 성분을 패딩값으로 패딩하여 상기 잔차블록을 복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복호화 방법.
  37. 제 32항 또는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패딩값은,
    기설정된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복호화 방법.
  38. 제 32항 또는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복호화단계에서는,
    상기 비트스트림으로부터 상기 패딩값에 대한 정보를 영상의 시퀀스, 픽처, 슬라이스, 블록 및 서브블록 중에서 어느 하나의 단위로 복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복호화 방법.
KR1020100123514A 2010-12-06 2010-12-06 노이즈성분을 위한 공간영역에서의 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 KR1017631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3514A KR101763113B1 (ko) 2010-12-06 2010-12-06 노이즈성분을 위한 공간영역에서의 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
CN201180058561.1A CN103238327B (zh) 2010-12-06 2011-12-06 针对噪声分量在空间域对图像编码/解码的方法和装置
PCT/KR2011/009391 WO2012077959A2 (ko) 2010-12-06 2011-12-06 노이즈성분을 위한 공간영역에서의 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
CN201610018196.6A CN105611292B (zh) 2010-12-06 2011-12-06 视频解码设备和视频解码方法
US13/910,367 US9521427B2 (en) 2010-12-06 2013-06-05 Method and apparatus for encoding/decoding image in spatial domain for noise component
US14/958,999 US9510017B2 (en) 2010-12-06 2015-12-04 Method and apparatus for encoding/decoding image in spatial domain for noise compon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3514A KR101763113B1 (ko) 2010-12-06 2010-12-06 노이즈성분을 위한 공간영역에서의 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2307A true KR20120062307A (ko) 2012-06-14
KR101763113B1 KR101763113B1 (ko) 2017-08-01

Family

ID=462075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3514A KR101763113B1 (ko) 2010-12-06 2010-12-06 노이즈성분을 위한 공간영역에서의 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9521427B2 (ko)
KR (1) KR101763113B1 (ko)
CN (2) CN103238327B (ko)
WO (1) WO2012077959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03423A1 (ko) * 2012-06-29 2014-01-0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104610A1 (en) * 2015-06-10 2016-12-14 Thomson Licensing Method and device for encoding color differences for color picture data
US20200388003A1 (en) * 2017-10-09 2020-12-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Producing 360 degree image content on rectangular projection in electronic device using padding information
EP3709658A4 (en) 2018-11-12 2021-03-10 LG Electronics Inc. HIGH-FREQUENCY RESET BASED TRANSFORMATION COEFFICIENT CODING PROCESS AND APPARATUS THEREFOR
FR3089036B1 (fr) 2018-11-28 2020-10-30 In Idt dispositif et procédé d’authentification d’un individu
WO2020108574A1 (en) * 2018-11-28 2020-06-04 Beijing Bytedance Network Technology Co., Ltd. Improving method for transform or quantization bypass mode
WO2020125798A1 (en) 2018-12-22 2020-06-25 Beijing Bytedance Network Technology Co., Ltd. Intra block copy mode with dual tree partition
KR20230154085A (ko) * 2018-12-17 2023-11-07 엘지전자 주식회사 고주파 제로잉을 기반으로 변환 계수 스캔 순서를 결정하는 방법 및 장치
CN113892261A (zh) * 2019-03-13 2022-01-04 现代自动车株式会社 利用差分编码的影像解码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6762B1 (ko) * 1992-02-29 1996-05-23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부호화를 위한 효율적인 2차원 데이타의 주사선택회로
US5844608A (en) * 1996-12-12 1998-12-01 Thomson Consumer Electronics, Inc. Picture element processor for a memory management system
KR100846769B1 (ko) * 2002-02-19 2008-07-16 삼성전자주식회사 고정 연산량을 갖는 동영상 부호화 방법 및 그 장치
EP1536647A1 (en) * 2003-11-26 2005-06-01 STMicroelectronics Limited A video decoding device
US20090028239A1 (en) * 2005-05-03 2009-01-29 Bernhard Schuur Moving picture encoding method, moving picture decoding method and apparatuses using the methods
KR100716999B1 (ko) * 2005-06-03 2007-05-10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의 대칭성을 이용한 인트라 예측 방법, 이를 이용한영상의 복호화, 부호화 방법 및 장치
KR101365445B1 (ko) * 2007-01-03 2014-02-19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역 및 국부 움직임 보상을 순차적으로 이용하는 움직임보상 방법, 복호화 방법, 장치, 인코더 및 디코더
JP5095337B2 (ja) * 2007-10-02 2012-12-12 シャープ株式会社 コンテンツ配信装置、コンテンツ配信方法、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該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JP2009089267A (ja) * 2007-10-02 2009-04-23 Canon Inc イントラ予測符号化装置、イントラ予測符号化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1257630B (zh) * 2008-03-25 2012-06-06 浙江大学 结合三维滤波的视频编码方法和装置
CN101271583B (zh) * 2008-04-28 2010-04-21 清华大学 一种基于深度图的快速图像绘制方法
KR101432775B1 (ko) * 2008-09-08 2014-08-22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서브블록 내 임의 화소를 이용한 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
KR20100079037A (ko) * 2008-12-30 2010-07-08 삼성전자주식회사 비디오 영상 부호화 방법 및 장치

Cited B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03423A1 (ko) * 2012-06-29 2014-01-0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
KR101527444B1 (ko) * 2012-06-29 2015-06-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
US9497465B2 (en) 2012-06-29 2016-11-15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and device for encoding/decoding images
TWI563836B (en) * 2012-06-29 2016-12-21 Korea Electronics Telecomm Video decoding method
US9628799B2 (en) 2012-06-29 2017-04-18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and device for encoding/decoding images
US9635363B2 (en) 2012-06-29 2017-04-25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and device for encoding/decoding images
US9641845B2 (en) 2012-06-29 2017-05-02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and device for encoding/decoding images
US9723311B2 (en) 2012-06-29 2017-08-01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and device for encoding/decoding images
US10341661B2 (en) 2012-06-29 2019-07-02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and device for encoding/decoding images
US10827177B2 (en) 2012-06-29 2020-11-03 Electronics And Telecommun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and device for encoding/decoding images
US11399184B2 (en) 2012-06-29 2022-07-26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and device for encoding/decoding images
US11399185B2 (en) 2012-06-29 2022-07-26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and device for encoding/decoding images
US11399181B2 (en) 2012-06-29 2022-07-26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and device for encoding/decoding images
US11399183B2 (en) 2012-06-29 2022-07-26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and device for encoding/decoding images
US11399186B2 (en) 2012-06-29 2022-07-26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and device for encoding/decoding images
US11399182B2 (en) 2012-06-29 2022-07-26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and device for encoding/decoding images
US11595655B2 (en) 2012-06-29 2023-02-28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and device for encoding/decoding images
US11765356B2 (en) 2012-06-29 2023-09-19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and device for encoding/decoding images
US11770534B2 (en) 2012-06-29 2023-09-26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and device for encoding/decoding imag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521427B2 (en) 2016-12-13
WO2012077959A3 (ko) 2012-08-02
US20130259133A1 (en) 2013-10-03
US9510017B2 (en) 2016-11-29
CN103238327B (zh) 2016-08-10
CN105611292B (zh) 2018-12-14
CN105611292A (zh) 2016-05-25
US20160088314A1 (en) 2016-03-24
WO2012077959A2 (ko) 2012-06-14
CN103238327A (zh) 2013-08-07
KR101763113B1 (ko) 2017-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09072B2 (en) Method of coding and decoding images, coding and decoding device and computer programs corresponding thereto
KR101997604B1 (ko) 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
KR101763113B1 (ko) 노이즈성분을 위한 공간영역에서의 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
KR101444667B1 (ko) 양방향 인트라 예측을 이용한 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
US947377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ncoding frequency transformed block using frequency mask table,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encoding/decoding video using same
KR101807170B1 (ko) 적응적 2차예측 기반 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 장치 및 기록 매체
KR101955374B1 (ko) 고속 코딩 단위(Coding Unit) 모드 결정을 통한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
KR20120058379A (ko) 인트라예측모드의 중복성을 최소화하기 위한 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
KR20130051384A (ko) 스킵모드를 이용한 동영상 부호화 및 복호화 방법 및 장치
KR20120074534A (ko) 주변블록의 특징벡터를 이용한 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
KR20120049110A (ko) 예측모드에 따라 필터링된 화소값으로 인트라예측을 수행하는 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
KR20120011428A (ko) 블록 분할예측을 이용한 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
KR101418104B1 (ko) 움직임 벡터 해상도 조합을 이용한 움직임 벡터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와 그를 이용한 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
KR102072124B1 (ko) 세밀한 예측 단위를 사용하는 효과적인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
KR20120066741A (ko) 움직임정보 병합을 이용한 부호움직임정보생성/움직임정보복원 방법 및 장치와 그를 이용한 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
KR101449683B1 (ko) 움직임 벡터 해상도 제한을 이용한 움직임 벡터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와 그를 이용한 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
KR101539045B1 (ko) 양자화 계수 결정 방법 및 장치와 그를 이용한 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
KR101943058B1 (ko) 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
KR101377529B1 (ko) 적응적 움직임 벡터 부호화/복호화를 이용한 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
KR101997599B1 (ko) 비균등 양자화를 이용한 효과적인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
KR101943425B1 (ko) 비균등 양자화를 이용한 효과적인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
KR101658585B1 (ko) 툴 셋을 이용한 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
KR101693284B1 (ko) 전역움직임을 기반하여 결정된 부호화구조를 이용한 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
KR20120033546A (ko) 영상의 구조적 정보를 이용한 적응적 움직임 벡터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와 그를 이용한 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
KR101997655B1 (ko) 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