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60940A - 다중 반송파 지원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중계기 백홀 링크 및 액세스 링크 상의 반송파 할당 방법 - Google Patents

다중 반송파 지원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중계기 백홀 링크 및 액세스 링크 상의 반송파 할당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60940A
KR20120060940A KR1020117027299A KR20117027299A KR20120060940A KR 20120060940 A KR20120060940 A KR 20120060940A KR 1020117027299 A KR1020117027299 A KR 1020117027299A KR 20117027299 A KR20117027299 A KR 20117027299A KR 20120060940 A KR20120060940 A KR 201200609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link
downlink
subframe
access
backhau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272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재훈
권영현
문성호
박규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200609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094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04B7/15528Control of operation parameters of a relay station to exploit the physical medium
    • H04B7/15542Selecting at relay station its transmit and receive resour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1/00Orthogonal multiplex systems, e.g. using WALSH c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22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involving configuration of automatic repeat request [ARQ] with parallel proces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29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receiver end
    • H04L1/1854Scheduling and prioritis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29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receiver end
    • H04L1/1861Physical mapp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 H04L5/001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the frequencies being arranged in component carr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91Signaling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divided path
    • H04L5/0094Indication of how sub-channels of the path are allocat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53Resources in frequency domain, e.g. a carrier in FD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3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regulatory allocation polic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04B7/2603Arrangements for wireless physical layer control
    • H04B7/2606Arrangements for base station coverage control, e.g. by using relays in tu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2001/0092Error 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opology of the transmission link
    • H04L2001/0097Rel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04Large scale networks; Deep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042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 H04W84/047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using dedicated repeater stations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 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중 반송파를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중계기의 백홀 링크 및 액세스 링크 상의 반송파를 할당하는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반송파 지원 무선 통신 시스템의 중계기에서 자원을 할당하는 방법은, 제 1 상향링크 구성반송파 상에서 중계기로부터 기지국으로의 백홀 상향링크 전송을 위해 할당되는 서브프레임 패턴을 결정하는 단계, 동기식(synchronous) HARQ 동작에 따라서 상기 제 1 상향링크 구성반송파 상에서 단말로부터 상기 중계기로의 액세스 상향링크 수신이 요구되는 서브프레임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 1 상향링크 구성반송파 상에서 상기 액세스 상향링크 수신이 요구되는 서브프레임이 상기 백홀 상향링크 전송을 위해 할당되는 서브프레임과 동일한 것으로 결정되는 경우에, 반송파 스위칭 지시 정보를 포함하는 자원 할당 제어 정보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다중 반송파 지원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중계기 백홀 링크 및 액세스 링크 상의 반송파 할당 방법{METHOD IN WHICH A RELAY ALLOCATES CARRIERS ON A BACKHAUL LINK AND AN ACCESS LINK IN A MULTI-CARRIER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이하의 설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 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중 반송파를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중계기의 백홀 링크 및 액세스 링크 상의 반송파를 할당하는 방법 및 장치에 대한 것이다.
도 1은 무선 통신 시스템(100)에서 하나의 기지국(eNodeB; eNB, 110) 영역 내에 존재하는 중계기(Relay Node; RN, 120) 및 단말(User Equipment; UE, 131 및 132)들을 도시한다. 중계기(120)는 기지국(110)으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중계기 영역 내의 단말(132)에게 전달하고, 중계기 영역 내의 단말(132)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기지국(110)에게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중계기(120)는 고속 데이터 레이트 영역을 확장하고, 셀 경계(edge)에서의 통신 품질을 높이고, 건물 내부 또는 기지국 서비스 영역을 초과하는 영역에 통신을 제공하는 것을 지원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단말(131)과 같이 기지국으로부터 직접 서비스를 받는 단말(이하, Macro-UE라 함)과, 단말(132)과 같이 중계기(120)로부터 서비스를 받는 단말(이하, Relay-UE라 함)이 존재하는 것을 도시한다.
기지국과 중계기 사이의 무선 링크를 백홀 링크(Backhaul Link)라 칭한다. 기지국으로부터 중계기로의 링크를 백홀 하향링크라고 칭하고, 중계기로부터 기지국으로의 링크를 백홀 상향링크라고 칭한다. 또한, 중계기와 단말 사이의 무선 링크를 액세스 링크(Access Link)라 칭한다. 중계기로부터 단말로의 링크를 액세스 하향링크라고 칭하고, 단말로부터 중계기로의 링크를 액세스 상향링크라고 칭한다.
한편, 일반적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는 상향링크와 하향링크간의 대역폭은 서로 다르게 설정되더라도 주로 하나의 반송파(carrier)만을 고려하고 있다. 예를 들어, 단일 반송파를 기반으로, 상향링크와 하향링크를 구성하는 반송파의 수가 각각 1개이고, 상향링크의 대역폭과 하향링크의 대역폭이 일반적으로 서로 대칭적인 무선 통신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ITU(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에서는 IMT-Advanced의 후보기술이 기존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 비하여 확장된 대역폭을 지원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그러나, 전세계적으로 일부 지역을 제외하고는 큰 대역폭의 주파수 할당이 용이하지 않다. 따라서, 조각난 작은 대역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기술로 주파수 영역에서 물리적으로 다수 개의 밴드를 묶어 논리적으로 큰 대역의 밴드를 사용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내도록 하기 위한 반송파 집성(Carrier Aggregation; 대역폭 집성(Bandwidth Aggregation) 또는 스펙트럼 집성(Spectrum Aggregation)이라고도 함)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반송파 집성은 증가되는 수율(throughput)을 지원하고, 광대역 RF 소자의 도입으로 인한 비용 증가를 방지하고, 기존 시스템과의 호환성을 보장하기 위해 도입되는 것이다. 반송파 집성이란 기존의 무선 통신 시스템(예를 들어, LTE-A 시스템의 경우에는 LTE 시스템, 또는 IEEE 802.16m 시스템의 경우에는 IEEE 802.16e 시스템)에서 정의되는 대역폭 단위의 반송파들의 복수개의 묶음을 통하여 단말과 기지국간에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다. 여기서, 기존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정의되는 대역폭 단위의 반송파를 구성반송파(Component Carrier; CC)라고 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반송파 집성 기술은 하나의 구성반송파가 5MHz, 10MHz 또는 20MHz의 대역폭을 지원하더라도 최대 5 개의 구성반송파를 묶어 최대 100MHz까지의 시스템 대역폭을 지원하는 기술을 포함할 수 있다.
위와 같은 반송파 집성 기술은, 전술한 기지국과 중계기 간의 백홀 링크 및/또는 중계기와 단말 간의 액세스 링크 송수신 기술에 적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이들 두 기술의 결합(combination) 및/또는 정합(adaptation)을 지원하는 시스템 전송 자원 구성(configuration) 및 할당(assignment)에 관련한 방안에 대해서는 방안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구체적으로 정하여진 바 없다.
본 발명은, 백홀 링크 및 액세스 링크의 송수신에 있어서 반송파 구성 및 할당 방안을 제공하고, 백홀 링크와 액세스 링크의 효율적인 다중화(multiplexing) 방안을 제공하며, 전송 피드백 동작에서 백홀 링크 송수신과 액세스 링크 송수신의 충돌을 방지하는 방안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반송파 지원 무선 통신 시스템의 중계기에서 자원을 할당하는 방법은, 제 1 상향링크 구성반송파 상에서 중계기로부터 기지국으로의 백홀 상향링크 전송을 위해 할당되는 서브프레임 패턴을 결정하는 단계, 동기식(synchronous) HARQ 동작에 따라서 상기 제 1 상향링크 구성반송파 상에서 단말로부터 상기 중계기로의 액세스 상향링크 수신이 요구되는 서브프레임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 1 상향링크 구성반송파 상에서 상기 액세스 상향링크 수신이 요구되는 서브프레임이 상기 백홀 상향링크 전송을 위해 할당되는 서브프레임과 동일한 것으로 결정되는 경우에, 반송파 스위칭 지시 정보를 포함하는 자원 할당 제어 정보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반송파 스위칭 지시 정보는, 상기 동기식 HARQ 동작에 따른 상기 액세스 상향링크 수신을 위한 서브프레임이 제 2 상향링크 구성반송파 상에 할당되는 것을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반송파 스위칭 지시 정보는, 상기 제 2 상향링크 구성반송파의 인덱스 정보, 또는 상기 반송파 스위칭 트리거링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상향링크 구성반송파 상에서 상기 액세스 상향링크 수신이 요구되는 서브프레임은, 상기 동기식 HARQ 동작에 따라서 액세스 상향링크 데이터의 재전송을 수신하기 위한 서브프레임이고, 상기 자원 할당 제어 정보는 상향링크 그랜트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상향링크 구성반송파 상에서 상기 액세스 상향링크 수신이 요구되는 서브프레임은, 상기 동기식 HARQ 동작에 따라서 액세스 하향링크 데이터 전송에 대한 피드백을 수신하기 위한 서브프레임이고, 상기 자원 할당 제어 정보는 상기 백홀 하향링크 데이터 전송에 대한 하향링크 할당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상향링크 구성반송파 상에서 상기 백홀 상향링크 전송을 위해 할당되는 서브프레임 패턴은, 제 1 하향링크 구성반송파 상에서 백홀 하향링크 수신을 위해 할당되는 서브프레임 패턴과 HARQ 동작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하향링크 구성반송파 상에서 상기 백홀 하향링크 수신을 위해 할당되는 서브프레임 패턴은, MBSFN 서브프레임의 설정이 제한되는 서브프레임을 제외한 서브프레임들에서, 10ms 주기의 패턴 또는 40ms 주기의 패턴을 가질 수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중 반송파 지원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 할당을 수행하는 중계기는, 기지국으로부터 백홀 하향링크 및 단말로부터 액세스 상향링크를 수신하는 수신 모듈, 상기 기지국으로 백홀 상향링크 및 상기 단말로 액세스 하향링크를 전송하는 전송 모듈, 및 상기 수신 모듈 및 상기 전송 모듈을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제 1 상향링크 구성반송파 상에서 상기 백홀 상향링크 전송을 위해 할당되는 서브프레임 패턴을 결정하고, 동기식(synchronous) HARQ 동작에 따라서 상기 제 1 상향링크 구성반송파 상에서 액세스 상향링크 수신이 요구되는 서브프레임을 결정하며, 상기 제 1 상향링크 구성반송파 상에서 상기 액세스 상향링크 수신이 요구되는 서브프레임이 상기 백홀 상향링크 전송을 위해 할당되는 서브프레임과 동일한 것으로 결정되는 경우에, 반송파 스위칭 지시 정보를 포함하는 자원 할당 제어 정보를 상기 전송 모듈을 통하여 상기 단말로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반송파 스위칭 지시 정보는, 상기 동기식 HARQ 동작에 따른 상기 액세스 상향링크 수신을 위한 서브프레임이 제 2 상향링크 구성반송파 상에 할당되는 것을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반송파 스위칭 지시 정보는, 상기 제 2 상향링크 구성반송파의 인덱스 정보, 또는 상기 반송파 스위칭 트리거링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상향링크 구성반송파 상에서 상기 액세스 상향링크 수신이 요구되는 서브프레임은, 상기 동기식 HARQ 동작에 따라서 액세스 상향링크 데이터의 재전송을 수신하기 위한 서브프레임이고, 상기 자원 할당 제어 정보는 상향링크 그랜트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상향링크 구성반송파 상에서 상기 액세스 상향링크 수신이 요구되는 서브프레임은, 상기 동기식 HARQ 동작에 따라서 액세스 하향링크 데이터 전송에 대한 피드백을 수신하기 위한 서브프레임이고, 상기 자원 할당 제어 정보는 상기 백홀 하향링크 데이터 전송에 대한 하향링크 할당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상향링크 구성반송파 상에서 상기 백홀 상향링크 전송을 위해 할당되는 서브프레임 패턴은, 제 1 하향링크 구성반송파 상에서 백홀 하향링크 수신을 위해 할당되는 서브프레임 패턴과 HARQ 동작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하향링크 구성반송파 상에서 상기 백홀 하향링크 수신을 위해 할당되는 서브프레임 패턴은, MBSFN 서브프레임의 설정이 제한되는 서브프레임을 제외한 서브프레임들에서, 10ms 주기의 패턴 또는 40ms 주기의 패턴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대하여 전술한 일반적인 설명과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예시적인 것이며, 청구항 기재 발명에 대한 추가적인 설명을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백홀 링크 및 액세스 링크에 있어서 효율적으로 다중 반송파 구성 및 할당이 이루어질 수 있고, 백홀 링크와 액세스 링크의 효율적인 다중화(multiplexing) 방안이 제공되며, 전송 피드백 동작에서 백홀 링크 송수신과 액세스 링크 송수신의 충돌이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도면은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형태들을 나타내고 명세서의 기재와 함께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기지국, 중계기 및 단말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3GPP LTE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무선 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하향링크 슬롯에서의 자원 그리드(resource grid)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FDD 모드 중계기의 송수신부 기능 구현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다중반송파 지원 시스템의 물리계층 및 MAC 계층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하향링크/상향링크 구성반송파(CC)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백홀 링크와 액세스 링크의 자원분할(resource partitioning)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백홀 링크와 액세스 링크의 자원분할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백홀 링크와 액세스 링크의 자원분할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백홀 링크와 액세스 링크의 자원분할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중계기 장치, 기지국 장치 및 단말 장치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구성요소들과 특징들을 소정 형태로 결합한 것들이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별도의 명시적 언급이 없는 한 선택적인 것으로 고려될 수 있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다른 구성요소나 특징과 결합되지 않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일부 구성요소들 및/또는 특징들을 결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설명되는 동작들의 순서는 변경될 수 있다. 어느 실시예의 일부 구성이나 특징은 다른 실시예에 포함될 수 있고, 또는 다른 실시예의 대응하는 구성 또는 특징과 교체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기지국과 단말 간의 데이터 송신 및 수신의 관계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여기서, 기지국은 단말과 직접적으로 통신을 수행하는 네트워크의 종단 노드(terminal node)로서의 의미를 갖는다. 본 문서에서 기지국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 설명된 특정 동작은 경우에 따라서는 기지국의 상위 노드(upper node)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즉, 기지국을 포함하는 다수의 네트워크 노드들(network nodes)로 이루어지는 네트워크에서 단말과의 통신을 위해 수행되는 다양한 동작들은 기지국 또는 기지국 이외의 다른 네트워크 노드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기지국(BS: Base Station)'은 고정국(fixed station), Node B, eNode B(eNB), 액세스 포인트(AP: Access Point) 등의 용어에 의해 대체될 수 있다. 중계기는 Relay Node(RN), Relay Station(RS) 등의 용어에 의해 대체될 수 있다. 또한, '단말(Terminal)'은 UE(User Equipment), MS(Mobile Station), MSS(Mobile Subscriber Station), SS(Subscriber Station) 등의 용어로 대체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특정 용어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이며, 이러한 특정 용어의 사용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몇몇 경우, 본 발명의 개념이 모호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공지의 구조 및 장치는 생략되거나, 각 구조 및 장치의 핵심기능을 중심으로 한 블록도 형식으로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 전체에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무선 접속 시스템들인 IEEE 802 시스템, 3GPP 시스템, 3GPP LTE 및 LTE-A(LTE-Advanced)시스템 및 3GPP2 시스템 중 적어도 하나에 개시된 표준 문서들에 의해 뒷받침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명확히 드러내기 위해 설명하지 않은 단계들 또는 부분들은 상기 문서들에 의해 뒷받침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서 개시하고 있는 모든 용어들은 상기 표준 문서에 의해 설명될 수 있다.
이하의 기술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C-FDMA(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등과 같은 다양한 무선 접속 시스템에 사용될 수 있다. CDMA는 UTRA(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나 CDMA2000과 같은 무선 기술(radio technology)로 구현될 수 있다. TDMA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EDGE(Enhanced Data Rates for GSM Evolution)와 같은 무선 기술로 구현될 수 있다. OFDMA는 IEEE 802.11 (Wi-Fi), IEEE 802.16 (WiMAX), IEEE 802-20, E-UTRA(Evolved UTRA) 등과 같은 무선 기술로 구현될 수 있다. UTRA는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의 일부이다.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는 E-UTRA를 사용하는 E-UMTS(Evolved UMTS)의 일부로써, 하향링크에서 OFDMA를 채용하고 상향링크에서 SC-FDMA를 채용한다. LTE-A(Advanced)는 3GPP LTE의 진화이다. WiMAX는 IEEE 802.16e 규격(WirelessMAN-OFDMA Reference System) 및 발전된 IEEE 802.16m 규격(WirelessMAN-OFDMA Advanced system)에 의하여 설명될 수 있다. 명확성을 위하여 이하에서는 3GPP LTE 및 3GPP LTE-A 시스템을 위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3GPP LTE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무선 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하나의 무선 프레임은 10 개의 서브프레임을 포함하고, 하나의 서브프레임은 시간 영역에서 2 개의 슬롯을 포함한다. 하나의 서브프레임을 전송하는 시간은 전송시간간격(Transmission Time Interval; TTI)으로 정의된다. 예를 들어, 하나의 서브프레임은 1ms의 길이를 가질 수 있고, 하나의 슬롯은 0.5ms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하나의 슬롯은 시간 영역에서 복수개의 OFDM 심볼들을 포함할 수 있다. 3GPP LTE 시스템은 하향링크에서 OFDMA 방식을 이용하므로, 상기 OFDM 심볼은 하나의 심볼 길이(period)를 나타낸다. 하나의 심볼은 상향링크에서 SC-FDMA 심볼 또는 심볼 길이로 칭하여질 수 있다. 자원블록(Resource Block; RB)은 자원 할당 단위로서, 하나의 슬롯에서 복수개의 연속하는 부반송파를 포함한다. 위와 같은 무선 프레임의 구조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다. 따라서, 하나의 무선 프레임에 포함되는 서브프레임의 개수, 하나의 서브프레임에 포함되는 슬롯의 개수, 또는 하나의 슬롯에 포함되는 OFDM 심볼의 개수는 다양한 방식으로 변경될 수도 있다.
도 3은 하향링크 슬롯에서의 자원 그리드(resource grid)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하나의 하향링크 슬롯은 시간 영역에서 7 개의 OFDM 심볼을 포함하고, 하나의 자원블록(RB)은 주파수 영역에서 12 개의 부반송파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일반 CP(Cyclic Prefix)의 경우에는 하나의 슬롯이 7 OFDM 심볼을 포함하지만, 확장된 CP(extended-CP)의 경우에는 하나의 슬롯이 6 OFDM 심볼을 포함할 수 있다. 자원 그리드 상의 각각의 요소는 자원 요소(resource element)라 한다. 하나의 자원블록은 12×7 자원 요소를 포함한다. 하향링크 슬롯에 포함되는 자원블록들의 NDL의 개수는 하향링크 전송 대역폭에 따른다. 상향링크 슬롯의 구조는 하향링크 슬롯의 구조와 동일할 수 있다.
도 4는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하나의 서브프레임 내에서 첫 번째 슬롯의 앞 부분의 최대 3 개의 OFDM 심볼은 제어 채널이 할당되는 제어 영역에 해당한다. 나머지 OFDM 심볼들은 물리하향링크공유채널(Physical Downlink Shared Chancel; PDSCH)이 할당되는 데이터 영역에 해당한다. 3GPP LTE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하향링크 제어 채널들에는, 예를 들어, 물리제어포맷지시자채널(Physical Control Format Indicator Channel; PCFICH), 물리하향링크제어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 물리HARQ지시자채널(Physical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Indicator Channel; PHICH) 등이 있다. PCFICH는 서브프레임의 첫 번째 OFDM 심볼에서 전송되고 서브프레임 내의 제어 채널 전송에 사용되는 OFDM 심볼의 개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PHICH는 상향링크 전송의 응답으로서 HARQ ACK/NACK 신호를 포함한다. PDCCH를 통하여 전송되는 제어 정보를 하향링크제어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라 한다. DCI는 상향링크 또는 하향링크 스케줄링 정보를 포함하거나 임의의 단말 그룹에 대한 상향링크 전송 전력 제어 명령을 포함한다. PDCCH는 하향링크공유채널(DL-SCH)의 자원 할당 및 전송 포맷, 상향링크공유채널(UL-SCH)의 자원 할당 정보, 페이징채널(PCH)의 페이징 정보, DL-SCH 상의 시스템 정보, PDSCH 상으로 전송되는 임의접속응답(Random Access Response)과 같은 상위계층 제어 메시지의 자원 할당, 임의의 단말 그룹 내의 개별 단말에 대한 전송 전력 제어 명령의 세트, 전송 전력 제어 정보, VoIP(Voice over IP)의 활성화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PDCCH가 제어 영역 내에서 전송될 수 있다. 단말은 복수의 PDCCH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PDCCH는 하나 이상의 연속하는 제어채널요소(Control Channel Element; CCE)의 조합으로 전송된다. CCE는 무선 채널의 상태에 기초한 코딩 레이트로 PDCCH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되는 논리 할당 단위이다. CCE는 복수개의 자원 요소 그룹에 대응한다. PDCCH의 포맷과 이용가능한 비트 수는 CCE의 개수와 CCE에 의해 제공되는 코딩 레이트 간의 상관관계에 따라서 결정된다. 기지국은 단말에게 전송되는 DCI에 따라서 PDCCH 포맷을 결정하고, 제어 정보에 순환잉여검사(Cyclic Redundancy Check; CRC)를 부가한다. CRC는 PDCCH의 소유자 또는 용도에 따라 무선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 RNTI)라 하는 식별자로 마스킹된다. PDCCH가 특정 단말에 대한 것이면, 단말의 cell-RNTI(C-RNTI) 식별자가 CRC에 마스킹될 수 있다. 또는, PDCCH가 페이징 메시지에 대한 것이면, 페이징 지시자 식별자(Paging Indicator Identifier; P-RNTI)가 CRC에 마스킹될 수 있다. PDCCH가 시스템 정보(보다 구체적으로, 시스템 정보 블록(SIB))에 대한 것이면, 시스템 정보 식별자 및 시스템 정보 RNTI(SI-RNTI)가 CRC에 마스킹될 수 있다. 단말의 임의 접속 프리앰블의 전송에 대한 응답인 임의접속응답을 나타내기 위해, 임의접속-RNTI(RA-RNTI)가 CRC에 마스킹될 수 있다.
도 5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은 주파수 영역에서 제어 영역과 데이터 영역으로 분할될 수 있다. 제어 영역에는 사양링크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물리상향링크제어채널(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PUCCH)이 할당된다. 데이터 영역에는 사용자 데이터를 포함하는 물리상향링크공유채널(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PUSCH)이 할당된다. 단일 반송파 특성을 유지하기 위해서, 하나의 단말은 PUCCH와 PUSCH를 동시에 전송하지 않는다. 하나의 단말에 대한 PUCCH는 서브프레임에서 자원블록 쌍(RB pair)에 할당된다. 자원블록 쌍에 속하는 자원블록들은 2 슬롯에 대하여 상이한 부반송파를 차지한다. 이를 PUCCH에 할당되는 자원블록 쌍이 슬롯 경계에서 주파수-호핑(frequency-hopped)된다고 한다.
중계기 구성
도 1을 다시 참조하면, 중계기(120)는 기지국(110)과 단말(131) 사이의 송수신을 전달(forwarding)하는 역할을 하며, 각각의 반송파 주파수 대역에 속성이 상이한 두 종류의 링크(백홀 링크 및 액세스 링크)가 적용된다. 기지국(110)과 중계기(120) 간의 백홀 링크가 하향링크 주파수 대역 또는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자원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백홀 하향링크로 표현하고, 상향링크 주파수 대역 또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 자원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백홀 상향링크로 표현할 수 있다. 여기서, 주파수 대역은 FDD(Frequency Division Duplex) 모드에서 할당되는 자원이고, 서브프레임은 TDD(Time Division Duplex) 모드에서 할당되는 자원이다. 유사하게, 중계기(120)와 단말(들) (131) 간의 액세스 링크가 하향링크 주파수 대역 또는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자원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액세스 하향링크로 표현하고, 상향링크 주파수 대역 또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 자원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액세스 상향링크로 표현할 수 있다. 도 1은 FDD 모드 중계기의 백홀 상향링크/하향링크 및 액세스 상향링크/하향링크의 설정을 도시하고 있다.
기지국에는 상향링크 수신 및 하향링크 전송의 기능이 요구되고, 단말에게는 상향링크 전송 및 하향링크 수신의 기능이 요구된다. 한편, 중계기에는 기지국으로의 백홀 상향링크 전송, 단말로부터의 액세스 상향링크 수신, 기지국으로부터의 백홀 하향링크 수신 및 단말로의 액세스 하향링크 전송의 기능이 모두 요구된다. 즉, 이하의 표 1과 같이, 중계기에는 상향링크 및 하향링크 각각에 대하여 송수신 기능이 모두 요구된다.
Figure pct00001
도 6은 FDD 모드 중계기의 송수신부 기능 구현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중계기의 수신 기능을 개념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기지국으로부터의 하향링크 수신 신호는 듀플렉서(611)를 거쳐 FFT(Fast Fourier Transform) 모듈(612)로 전달되고 OFDMA 기저대역(Baseband) 수신 프로세스(613)가 수행된다. 단말로부터의 상향링크 수신 신호는 듀플렉서(621)를 거쳐 FFT 모듈(622)로 전달되고 DFT-s-OFDMA(Discrete Fourier Transform-spread-OFDMA) 기저대역 수신 프로세스(623)가 수행된다. 기지국으로부터의 하향링크 신호 수신 프로세스와 단말로부터의 상향링크 신호 수신 프로세스는 동시에 병렬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중계기의 전송 기능을 개념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기지국으로의 상향링크 전송 신호는 DFT-s-OFDMA 기저대역 전송 프로세스(633), IFFT(Inverse FFT) 모듈(632) 및 듀플렉서(631)를 통해 전송된다. 단말로의 하향링크 전송 신호는 OFDM 기저대역 전송 프로세스(643), IFFT 모듈(642) 및 듀플렉서(641)를 통해 전송된다. 기지국으로의 상향링크 신호 전송 프로세스와 단말로의 하향링크 신호 전송 프로세스는 동시에 병렬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일방향으로 도시된 듀플렉서들은 하나의 양방향 듀플렉서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듀플렉서(611)와 듀플렉서(631)는 하나의 양방향 듀플렉서로 구현될 수 있고, 듀플렉서(621)와 듀플렉서(641)는 하나의 양방향 듀플렉서로 구현될 수 있다. 양방향 듀플렉서인 경우에, 하나의 양방향 듀플렉서에서 특정 반송파 주파수 대역 상의 송수신에 연관되는 IFFT 모듈 및 기저대역 프로세스 모듈 라인이 분기되는 것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한편, 백홀 링크가 액세스 링크와 동일한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하는 경우를 '인-밴드(in-band)'라고 하고, 백홀 링크와 액세스 링크가 상이한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하는 경우를 '아웃-밴드(out-band)'라고 한다. 인-밴드 중계기의 경우에, 예를 들어, 소정의 주파수 대역에서 기지국으로부터의 백홀 하향링크 수신과 단말로의 액세스 하향링크 전송이 동시에 이루어지면, 중계기의 송신단으로부터의 전송 신호가 중계기의 수신단에서 수신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중계기의 RF 전단(front-end)에서 신호 간섭 또는 RF 재밍(jamming)이 발생할 수 있다. 유사하게, 소정의 주파수 대역에서 단말로부터의 액세스 상향링크의 수신과 기지국으로의 백홀 상향링크의 전송이 동시에 이루어지면, 중계기의 RF 전단에서 신호 간섭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신호 간섭을 회피하기 위해서 중계기에서 동일 주파수 대역에서의 송신 및 수신이 동시에 일어나지 않도록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계기에서 소정의 주파수 대역에서 소정의 시간 구간 동안에는 백홀 하향링크를 수신하고, 다른 시간 구간 동안에는 액세스 하향링크를 전송하는 것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도록, 백홀 하향링크 전송과 액세스 하향링크 전송 간 TDM(Time Division Multiplexing) 방식을 이용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백홀 상향링크 전송과 액세스 상향링크 전송 간 TDM 방식을 이용할 수도 있다.
반송파 집성
반송파 집성 (또는 다중반송파) 기술은 임의의 전송시간간격(TTI) 동안에 하나 이상의 구성반송파의 묶음을 통하여 신호를 교환하는 기술이다. 하향링크 반송파 병합은, 기지국이 단말로 어떤 시간영역 자원(서브프레임 단위)에서 하나 이상의 반송파 대역 상의 주파수영역 자원(부반송파 또는 PRB(Physical Resource Block))을 이용하여 하향링크 전송을 지원하는 것으로 설명할 수 있다. 유사하게, 단말이 기지국으로 어떤 시간영역 자원(서브프레임 단위)에서 하나 이상의 반송파 대역 상의 주파수영역 자원(부반송파 또는 PRB)을 이용하여 상향링크 전송을 지원하는 것으로 설명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기지국과 단말 간의 상향링크/하향링크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지만, 기지국(donor cell)과 중계기 간의 백홀 상향링크/하향링크, 및 중계기와 단말간의 액세스 상향링크/하향링크에도 동일한 내용이 적용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여 다중반송파 지원 시스템의 물리계층(제1계층, L1) 및 MAC 계층(제2계층, L2) 구성을 설명한다. 단일 반송파를 지원하는 기존의 무선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에는 하나의 반송파를 지원하는 하나의 물리계층(PHY) 개체가 존재하고, 하나의 PHY 개체를 제어하는 하나의 MAC(Medium Access Control) 개체가 제공될 수 있다. PHY 계층에서는, 예를 들어, 기저대역 프로세싱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MAC 계층에서는, 예를 들어, 송신부에서 MAC PDU(Protocol Data Unit) 생성 및 MAC/RLC 서브 계층을 포괄하는 L1/L2 스케쥴러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MAC 계층의 MAC PDU 패킷 블록은 논리적인 전송 계층(transport layer)을 거쳐 전송 블록(transport block)으로 변환되어 물리계층 입력 정보 블록으로 매핑된다.
한편, 다중반송파 지원 시스템에서 MAC-PHY 개체가 복수개 제공될 수 있다. 즉, 도 7a와 같이 n 개의 구성반송파 각각마다 하나씩의 MAC-PHY 개체가 대응되는 형태로 다중반송파 지원 시스템의 송신부와 수신부가 구성될 수 있다. 구성반송파 별로 독립된 PHY 계층과 MAC 계층이 구성되므로, MAC PDU로부터 물리 계층에서 구성반송파 별로 PDSCH가 생성된다.
또는, 다중반송파 지원 시스템에서 하나의 공통 MAC 개체와 복수개의 PHY 개체로서 구성될 수도 있다. 즉, 도 7b와 같이 n 개의 구성반송파 각각에 대응하는 n 개의 PHY 개체가 제공되고, n 개의 PHY 개체를 제어하는 하나의 공통 MAC 개체가 존재하는 형태로 다중반송파 지원 시스템의 송신부와 수신부가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하나의 MAC 계층으로부터의 MAC PDU가 전송 계층 상에서 복수개의 구성반송파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개의 전송 블록으로 분화될 수 있다. 또는 MAC 계층에서의 MAC PDU 생성 시 또는 RLC 계층에서의 RLC PDU 생성 시에, 각각의 구성반송파 별로 분기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물리 계층에서 구성반송파에 별로 PDSCH가 생성된다.
MAC 계층의 패킷 스케쥴러로부터 생성되는 L1/L2 제어 시그널링의 제어정보들을 전송하는 PDCCH는 개별 구성반송파 마다의 물리 자원에 매핑되어 전송될 수 있다. 여기서, 특정 단말에 대한 PDSCH 또는 PUSCH 전송을 위한 제어정보(채널 할당 또는 하향링크/상향링크 그랜트)를 포함하는 PDCCH는, 해당 PDSCH/PUSCH가 전송되는 구성반송파마다 별도로 인코딩될 수 있다. 이러한 PDCCH를 구분 코딩된(separate coded) PDCCH라 칭할 수 있다. 한편, 복수개의 구성반송파들의 PDSCH/PUSCH 전송을 위한 제어 정보들은 하나의 PDCCH로 구성되어 전송될 수도 있으며, 이를 조인트 코딩된(joint coded) PDCCH라 칭할 수 있다.
반송파 집성을 지원하기 위해서, 제어채널(PDCCH 또는 PUCCH) 및/또는 공유채널(PDSCH 또는 PUSCH)이 전송될 수 있도록 기지국과 단말 (또는 중계기) 사이의 연결이 설정되어 있거나 연결 설정을 위한 준비가 필요하다. 특정 단말 (또는 중계기) 별로 위와 같은 연결/연결설정을 위하여 반송파에 대한 측정(measurement) 및/또는 보고(reporting)가 필요하고, 이러한 측정 및/또는 보고의 대상이 되는 구성반송파들을 할당(assign)할 수 있다. 즉, 구성반송파 할당이란, 기지국에서 구성되는 하향링크/상향링크 구성반송파들 중 특정 단말 (또는 중계기)의 성능(capability)과 시스템 환경을 고려하여 하향링크/상향링크 전송에 이용되는 구성반송파를 설정(구성반송파의 개수 및 인덱스를 지정)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때 구성반송파 할당을 제3계층(L3)인 RRM(Radio Resource Management) 계층에서 제어하는 경우에, 단말-특정(UE-specific) 또는 중계기-특정(RN-specific) RRC 시그널링을 이용할 수 있다. 또는, 셀-특정(cell-specific)이나 셀 클러스터-특정(cell cluster-specific) RRC 시그널링을 이용할 수 있다. 구성반송파 할당에 동적인(dynamic) 제어가 필요한 경우에는 L1/L2 제어 시그널링으로서 소정의 PDCCH를 이용하거나, 구성반송파 할당 제어정보 전용의(dedicated) 물리제어채널 또는 L2 MAC 메시지 형태의 PDSCH를 이용할 수도 있다. 한편, 구성반송파 할당을 패킷 스케쥴러에서 제어하는 경우에는 L1/L2 제어 시그널링으로서 소정의 PDCCH를 이용하거나, 구성반송파 할당 제어정보 전용의(dedicated) 물리제어채널을 이용하거나, 또는 L2 MAC 메시지 형태의 PDSCH를 이용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기지국과 단말간의 송수신의 전달을 위해 중계기가 도입됨에 따라 백홀 링크와 액세스 링크가 하향링크 자원(반송파 주파수 대역 또는 서브프레임)과 상향링크 자원(반송파 주파수 대역 또는 서브프레임) 상에서 정의된다. 백홀 링크 및 액세스 링크에서 채널 상황 및 트래픽에 대한 QoS(Quality-of-Service)에 따라 요구되는 전송율을 고려하여 다중반송파 기술이 적용될 수 있다. 백홀 링크 및 액세스 링크에서 구성반송파 설정에 대하여 이하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상위계층 시그널링은 예를 들어 RRC 시그널링일 수 있고, L1/L2 제어 시그널링은 예를 들어 소정의 PDCCH, 전용(dedicated) 물리제어채널 또는 L2 MAC 메시지 형태의 PDSCH일 수 있다.
백홀 링크 구성반송파 할당
이하에서는 기지국과 중계기 사이의 백홀 하향링크 및/또는 백홀 상향링크에 대한 구성반송파 할당(CC assignment)에 대하여 설명한다.
방안 1
중계기 별로 고유하게 하향링크 및/또는 상향링크 구성반송파에 대한 설정(구성반송파 할당)을 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해당 중계기와 백홀 링크가 설정되어 있는 셀(또는 기지국)은 중계기-특정 상위계층 시그널링 (즉, RRC 시그널링) 또는 중계기-특정 L1/L2 제어 시그널링(즉, PDCCH 또는 전용 물리제어채널 또는 L2 MAC 메시지 형태의 PDSCH)을 통하여 구성반송파 할당 정보를 각각의 중계기에게 시그널링할 수 있다.
방안 2
셀 (또는 기지국) 또는 셀 클러스터 내에 존재하는 중계기들에 대하여 공통적인 하향링크 및/또는 상향링크 구성반송파들에 대한 설정(구성반송파 할당)을 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셀(또는 기지국)은 셀-특정 (또는 셀 클러스터-특정) 상위계층 시그널링(즉, RRC 시그널링) 또는 셀-특정 (또는 셀 클러스터-특정) L1/L2 제어 시그널링(즉, PDCCH 또는 전용 물리제어채널 또는 L2 MAC 메시지 형태의 PDSCH)을 통해 구성반송파 할당 정보를 중계기들에 시그널링할 수 있다. 한편, 백홀 하향링크 상에서 셀-특정 RRC 시그널링 또는 셀-특정 L1/L2 제어 시그널링 물리 채널 구성이 용이하지 않은 경우에는, 중계기-특정 상위계층 시그널링(즉, RRC 시그널링) 또는 중계기-특정 L1/L2 제어 시그널링(즉, PDCCH 또는 전용 물리제어채널, L2 MAC 메시지 형태의 PDSCH)을 이용하여 공통적인 구성반송파 할당 제어정보를 개별 중계기로 시그널링할 수 있다.
방안 3
셀 (또는 기지국) 또는 셀 클러스터 내에 존재하는 중계기들을 복수개의 그룹으로 그룹화하고, 중계기 그룹 단위로 고유하게 하향링크 및/또는 상향링크 구성반송파들에 대한 설정(구성반송파 할당)을 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별도의 시그널링 없이 그룹 단위 공통 정보를 이용하여 묵시적으로(implicitly) 구성반송파를 설정할 수 있다. 또는, 중계기-특정 상위계층 시그널링(즉, RRC 시그널링) 또는 중계기-특정 L1/L2 제어 시그널링(즉, PDCCH 또는 전용 물리제어채널, L2 MAC 메시지 형태의 PDSCH)을 이용하여 해당 구성반송파 할당 제어정보를 중계기 별로 시그널링할 수 있다. 만약 중계기 그룹에 대한 고유한 시그널링 채널이 적용되는 경우에는, 중계기 그룹-특정(RN group-specific) 상위계층 시그널링(즉, RRC 시그널링) 또는 중계기 그룹-특정 L1/L2 제어 시그널링(즉, PDCCH 또는 전용 물리제어채널, L2 MAC 메시지 형태의 PDSCH)을 통해 구성반송파 할당 정보를 해당 중계기 그룹에 시그널링할 수 있다.
백홀 링크 주구성반송파 ( primary CC ) 할당
백홀 링크 주구성반송파(primary CC) 할당에 대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주구성반송파의 정의에 대하여 설명한다.
중계기의 백홀 하향링크에서 정의되는 하향링크 주구성반송파(downlink primary CC)는, 기본적으로 모든 셀-특정 (즉, 중계기-공통(RN-common)) 제어 시그널링이 기지국으로부터 중계기로 전송되는 (중계기가 기지국으로부터의 제어 시그널링의 수신을 기대하는) 구성반송파를 의미한다. 이때 셀-특정 중계기-공통 제어 시그널링은, 셀 내 중계기-공통 제어정보 또는 시스템 정보를 중계기들이 공통으로 수신할 수 있는 PDCCH 또는 L2 MAC 메시지 형태의 PDSCH 또는 상위계층 시그널링(즉, RRC 시그널링)으로서의 PDSCH로 전송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한편, 백홀 하향링크 주구성반송파의 확장된 의미는, 셀-특정(중계기-공통) 제어 시그널링 뿐만 아니라 중계기-특정 제어 시그널링이 전송되는 구성반송파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중계기-특정 제어 시그널링은, 전체 백홀 하향링크 구성반송파 상의 PDSCH 전송에 대한 하향링크 채널 할당 PDCCH, 및 전체 백홀 상향링크 구성반송파 상의 PUSCH 전송에 대한 상향링크 그랜트 PDCCH일 수 있다. 또한 중계기-특정 제어 시그널링은, 중계기-특정 상위계층(즉, RRC) 제어 정보 또는 L2 MAC 메시지로서의 제어 정보를 개별적으로 중계기에게 전송하는 방법을 의미할 수 있으며, 이때 백홀 하향링크 또는 백홀 상향링크의 전송을 위한 구성반송파 할당 정보 및/또는 백홀 링크 주구성반송파 할당 정보가 시그널링될 수 있다.
주구성반송파(Primary CC)는 주-셀(Primary-Cell)로 칭할 수도 있다. 주구성반송파 이외에 부가적으로 할당될 수 있는 구성반송파들을 보조구성반송파(Secondary CC) 또는 보조-셀(Secondary-Cell)이라 할 수 있다.
단말 또는 중계기에 복수개의 구성반송파가 할당된 경우에, 확장된 의미로서의 하향링크 주구성반송파를 통하여 나머지 구성반송파에 대한 하향링크 채널 할당 또는 상향링크 그랜트가 전송될 수 있다. 즉, 하향링크 주구성반송파 상에서 전송되는 하향링크 채널 할당 PDCCH 및 상향링크 그랜트 PDCCH의 DCI 포맷 상에서 소정의 구성반송파에 대한 반송파 지시자 필드(CIF; Carrier Indicator Field)가 정의되어, 크로스-캐리어 스케줄링(cross-carrier scheduling)이 수행될 수 있다. 만약 크로스-캐리어 스케줄링이 활성화되지 않은 경우에는, 단말 또는 중계기에 복수 개의 구성반송파가 할당된 경우에 해당 단말 또는 중계기로 전송되는 하향링크 채널 할당 PDCCH 및 상향링크 그랜트 PDCCH의 DCI 포맷에는 반송파 지시지 필드가 정의되지 않을 수 있고, 하향링크 주구성반송파에서는 같은 반송파로의 하향링크 물리 데이터 채널(PDSCH) 또는 하향링크 주구성반송파와 연계(linkage) 된 상향링크 구성반송파 또는 주구성반송파에 대한 상향링크 물리 데이터 채널(PUSCH)에 대한 각각의 하향링크 채널 할당 PDCCH 또는 상향링크 그랜트 PDCCH가 전송된다.
한편, 중계기의 백홀 상향링크에서 정의되는 상향링크 주구성반송파(uplink primary CC)는, 상향링크 제어정보(UCI; Uplink Control Information)의 전송의 관점에서 채널품질지시자(CQI; Channel Quality Indicator), 프리코딩행렬인덱스(PMI; Precoding Matrix Index), 랭크지시자(RI; Rank Indicator) 또는 채널상태정보(CSI; Channel Status Information) 피드백이 전송되는 상향링크 구성반송파를 의미할 수 있다. 또는, 전술한 상향링크 주구성반송파의 의미에 부가적으로 또는 독립적으로, 중계기에 대해 스케줄링 요청(SR; Scheduling Request)이 정의된다면, 스케줄링 요청이 전송되는 구성반송파를 상향링크 주구성반송파라 할 수도 있다. 또는, 전술한 상향링크 주구성반송파의 의미에 부가적으로 또는 독립적으로, 하향링크 PDSCH 전송에 대한 상향링크 ACK/NACK 피드백이 전송되는 상향링크 구성반송파를 상향링크 주구성반송파라 할 수도 있다.
중계기의 백홀 상향링크에서 정의되는 상향링크 주구성반송파(uplink primary CC)는, 하향링크 주구성반송파에 대하여 하향링크/상향링크 연계(linkage)에 따라 대응 상향링크 구성반송파로 묵시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는, 셀-특정 또는 중계기-특정 상위계층 시그널링 또는 L1/L2 제어 시그널링(예를 들어, LTE Rel-8 형식의 PDCCH)을 통해 상향링크 주구성반송파가 설정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기지국과 중계기 사이의 백홀 하향링크 및/또는 백홀 상향링크에 대하여 주구성반송파를 할당하는 방안에 대하여 설명한다.
방안 1
기지국이 중계기 별로 고유하게 및/또는 독립적으로 하나 이상의 하향링크 구성반송파 및/또는 상향링크 구성반송파를 주구성반송파로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설정은 별도의 시그널링 없이 기지국 또는 중계기의 식별자 (Physical cell ID 또는 Physical RN ID) 등과 같이 이미 공유하고 있는 정보를 이용하여 묵시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중계기-특정 상위계층 시그널링(즉, RRC 시그널링) 또는 중계기-특정 L1/L2 제어 시그널링(PDCCH 또는 전용 물리제어채널 또는 L2 MAC 메시지 형태의 PDSCH)을 이용하여 해당 정보를 개별 중계기에 시그널링할 수도 있다.
방안 2
셀 (또는 기지국) 또는 셀 클러스터 내에 존재하는 중계기들에 대하여 공통적으로 하나 이상의 하향링크 구성반송파 및/또는 상향링크 구성반송파를 주구성반송파로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설정은 별도의 시그널링 없이 셀 (또는 기지국) 또는 셀 클러스터 내에서 공통인 제어 정보 또는 시스템 제어 정보를 이용하여 묵시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셀-특정 상위계층 시그널링 또는 셀-특정 L1/L2 제어 시그널링을 통해 주구성반송파 할당 정보를 중계기들에 시그널링할 수 있다. 또는, 백홀 하향링크 상에서 적절한 셀-특정 상위계층 시그널링 또는 셀-특정 L1/L2 제어 시그널링 채널 구성이 용이하지 않은 경우에는, 중계기-특정 상위계층 시그널링 또는 중계기-특정 L1/L2 제어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공통된 백홀 하향링크 및/또는 백홀 상향링크 주구성반송파 할당 정보를 셀 내의 개별 중계기들에 시그널링할 수 있다.
방안 3
셀 (또는 기지국) 또는 셀 클러스터 내에 존재하는 중계기들을 복수개의 그룹으로 그룹화하고, 중계기 그룹 단위로 고유하게 공통된 하향링크 구성반송파 및/또는 상향링크 구성반송파를 주구성반송파로서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설정은 별도의 시그널링 없이 그룹 단위 공통 정보를 이용하여 묵시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중계기-특정 상위계층 시그널링 또는 중계기-특정 L1/L2 제어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위와 같은 주구성반송파 설정 정보를 개별 중계기에 시그널링할 수 있다. 만약 중계기 그룹에 대한 고유한 시그널링 채널이 적용되는 경우에는, 중계기 그룹-특정(RN group-specific) 상위계층 시그널링 또는 중계기 그룹-특정 L1/L2 제어 시그널링을 통해 백홀 하향링크 및/또는 백홀 상향링크 주구성반송파 설정 정보를 중계기 그룹 별로 시그널링할 수도 있다.
액세스 링크 구성반송파 할당
전술한 바와 같은 다양한 방안에 따른 백홀 링크 구성반송파 할당 및 주구반송파 할당이 적용되는 것을 기반으로 하여, 백홀 링크의 구성반송파 할당과 관련된 액세스 링크에 대한 구성반송파 할당을 설명한다.
방안 1
중계기는, 중계기가 속한 셀 또는 기지국 또는 중계기 개별 또는 중계기 그룹 단위로 백홀 하향링크 및/또는 상향링크에 대하여 설정되어 있는 구성반송파 할당과 동일한 형태 또는 백홀 링크 구성반송파 할당의 소정의 부분집합(subset)의 형태로 액세스 하향링크 및/또는 상향링크 구성반송파를 구성하거나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액세스 하향링크 및/또는 액세스 상향링크 구성반송파 할당 정보를 시그널링하기 위하여 중계기와 연결되어 있는 단말(UE)들에 대하여 중계기-특정(즉, 단말-공통) 상위계층 시그널링(즉, RRC 시그널링) 또는 중계기-특정 L1/L2 제어 시그널링(PDCCH 또는 전용 물리제어채널 또는 L2 MAC 메시기 형태의 PDSCH)을 사용할 수 있다.
또는, 중계기는, 백홀 하향링크 및/또는 상향링크에 대하여 설정되어 있는 구성반송파 할당과 동일한 형태 또는 백홀 링크 구성반송파 할당의 소정의 부분집합(subset)의 형태로 해당 중계기와 전송 연결이 설정된 단말 별로 액세스 하향링크 및/또는 상향링크 구성반송파를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액세스 하향링크 및/또는 액세스 상향링크 구성반송파 할당 정보를 시그널링하기 위하여, 단말-특정 상위계층 시그널링(즉, RRC 시그널링) 또는 단말-특정 L1/L2 제어 시그널링(PDCCH 또는 전용 물리제어채널 또는 L2 MAC 메시기 형태의 PDSCH)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백홀 하향링크 및/또는 상향링크 상의 주구성반송파 설정과 동일하게 액세스 하향링크 및/또는 상향링크 상의 주구성반송파 설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백홀 하향링크 및/또는 상향링크 상의 주구성반송파 설정의 부분집합(subset)의 형태로도 액세스 링크 주구성반송파 설정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액세스 하향링크 및/또는 액세스 상향링크 주구성반송파 설정이 중계기 내의 단말들에게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경우에는, 중계기-특정(단말-공통) 상위계층 시그널링 또는 L1/L2 제어 시그널링을 사용할 수 있다. 또는, 액세스 하향링크 및/또는 액세스 상향링크 주구성반송파가 단말 별로 설정되는 경우에는 단말-특정 상위계층 시그널링 또는 L1/L2 제어 시그널링을 사용할 수도 있다.
방안 2
기지국이 중계기에 대하여 설정한 하향링크 및/또는 상향링크 구성반송파 할당과 독립적으로, 중계기가 구성할 수 있는 하향링크 및/또는 상향링크 구성반송파들 중에서 중계기 고유(또는 단말 고유)의 하향링크 및/또는 상향링크 구성반송파들을 할당할 수 있다.
중계기 고유의 구성반송파 할당인 경우, 중계기-특정(단말-공통) 상위계층 시그널링(즉, RRC 시그널링) 또는 L1/L2 제어 시그널링(PDCCH 또는 전용 물리제어채널 또는 L2 MAC 메시기 형태의 PDSCH)을 사용하여 액세스 하향링크 및/또는 액세스 상향링크 구성반송파 할당 정보를 단말들에게 시그널링할 수 있다. 또는, 액세스 하향링크 및/또는 상향링크 구성반송파의 설정(또는 할당)을, 중계기에 연결되어 있는 단말 별로 고유하게 할당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단말-특정 상위계층 시그널링 또는 L1/L2 제어 시그널링을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방안 2에서는 백홀 링크와 독립적으로 액세스 링크에서의 구성반송파 설정이 이루어지므로, 액세스 링크 상에 할당된 구성반송파들의 개수 및 인덱스(주파수 영역 상의 위치)가 백홀 링크 상에 할당된 구성반송파들의 개수 및 인덱스와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하향링크 또는 상향링크 반송파 대역 상에서 백홀 링크 및 액세스 링크가 완전히 상이한 구성반송파에 의하여 구성되거나 설정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도 있다. 이러한 백홀 하향링크 및/또는 상향링크와 액세스 하향링크 및/또는 액세스 상향링크 간 완전히 상이한 하나 이상의 구성반송파로 설정하는 것을, 백홀 링크와 액세스 링크간 TDM기반 자원 분할로 인하여 발생하는 추가적인 물리 채널 설계(즉, R-PDCCH 및 R-PDSCH의 설계)의 부담을 막기 위하여 의도적으로 구성하거나 설정하게 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전체적인 반송파 병합을 포함한 무선 전송 자원을 백홀 링크와 액세스 링크 간에서 효과적으로 제어하고 관련 정보를 시그널링하는 관점에서 후술하는 백홀 링크와 액세스 링크 간의 TDM(Time Division Multiplexing), FDM(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또는 TDM/FDM 방식의 자원분할(resource partitioning) 기법을 지원하기 위하여, 액세스 링크 구성반송파 중 일부는 백홀 링크 구성반송파와 동일한 구성반송파로 설정되는 것이 요구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방안 2는, 하향링크의 P(P≥1)개 및/또는 상향링크의 Q(Q≥1)개의 구성반송파들을 디폴트(default) 구성반송파로 지정하여, 백홀 링크 및 액세스 링크 상에서 적어도 이들 디폴트 구성반송파들은 동일하게 할당되도록 설정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한편, 디폴트 구성반송파의 전체 또는 그 일부를 백홀 하향링크 및/또는 상향링크 상의 주구성반송파로 할당할 수 있다. 액세스 하향링크 및/또는 상향링크에서의 주구성반송파도 마찬가지로 전술한 디폴트 구성반송파의 전체 또는 그 일부에서 설정될 수 있는데, 액세스 링크 상의 주구성반송파는 백홀 링크 상의 주구성반송파의 설정과 독립적으로 중계기에 의해 단말로의 시그널링을 통해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액세스 액세스 링크 상의 주구성반송파 설정은 백홀 링크 상의 주구성반송파의 설정과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도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이러한 주구성반송파의 설정이 중계기 내의 단말들에게 공통으로 적용되는 경우에, 주구성반송파 설정에 대한 제어정보는 중계기-특정(단말-공통) 상위계층 시그널링 또는 중계기-특정(단말-공통) L1/L2 제어 시그널링을 통하여 시그널링될 수 있다. 또는, 주구성반송파 설정이 단말 별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주구성반송파 설정에 대한 제어정보는 단말-특정 상위계층 시그널링 또는 단말-특정 L1/L2 제어 시그널링을 통해 시그널링될 수 있다.
방안 3
기지국에 의하여 백홀 하향링크 및/또는 상향링크 상에 할당되는 구성반송파와 상이한 구성반송파가 액세스 하향링크 및/또는 상향링크 상에 할당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액세스 링크의 구성반송파 전부가 백홀 링크의 구성반송파와 상이하게 설정될 수도 있다. 후술하는 백홀 링크와 액세스 링크 간의 TDM, FDM 또는 TDM/FDM 방식의 자원분할 기법을 지원하기 위하여, 액세스 링크 구성반송파 중 일부만이 백홀 링크 구성반송파와 상이하게 설정되는 것이 요구될 수 있다. 따라서, 하향링크에서 S(S≥1)개의 구성반송파가 백홀 링크와 액세스 링크에서 상이하게 할당되도록 하고, 상향링크에서 T(T≥1)개의 구성반송파가 백홀 링크와 액세스 링크에서 상이하게 할당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백홀 링크와 액세스 링크 상에서 하향링크 및/또는 상향링크에 단일 구성반송파가 구성되거나 설정되는 경우에 대해서 본 방안 3은 각각의 백홀 링크와 액세스 링크의 하향링크 및/또는 상향링크의 구성반송파가 다르게 할당됨을 의미한다.
액세스 링크 주구성반송파 할당
액세스 하향링크에서 정의되는 주구성반송파는, 기본적으로 모든 중계기-특정(단말-공통) 제어 시그널링이 중계기로부터 단말로 전송되는 (단말이 중계기로부터의 제어 시그널링의 수신을 기대하는) 구성반송파를 의미한다. 한편, 액세스 하향링크 주구성반송파의 확장된 의미는, 중계기-특정(단말-공통) 제어 시그널링 뿐만 아니라 단말-특정 제어 시그널링이 전송되는 구성반송파라고 할 수 있다. 이때 중계기-특정(단말-공통) 제어 시그널링은, 중계기 내 단말-공통 제어정보 또는 시스템 정보를 단말들이 공통으로 수신할 수 있는 PDCCH 또는 L2 MAC 메시지 형태의 PDSCH 또는 상위계층 시그널링(즉, RRC 시그널링)으로서의 PDSCH로 전송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단말-특정 제어 시그널링은, 전체 액세스 하향링크 구성반송파 상의 PDSCH 전송에 대한 하향링크 채널 할당 PDCCH, 및 전체 액세스 상향링크 구성반송파 상의 PUSCH 전송에 대한 상향링크 그랜트 PDCCH일 수 있다. 또한 단말-특정 제어 시그널링은, 단말-특정 상위계층(즉, RRC) 제어 정보 또는 L2 MAC 메시지로서의 제어 정보를 개별적으로 중계기에게 전송하는 방법을 의미할 수 있으며, 이때 액세스 하향링크 또는 액세스 상향링크의 전송을 위한 구성반송파 할당 정보 및/또는 액세스 링크 주구성반송파 할당 정보가 시그널링될 수 있다.
복수개의 구성반송파가 할당된 경우에, 확장된 의미로서의 하향링크 주구성반송파를 통하여 나머지 구성반송파에 대한 하향링크 채널 할당 또는 상향링크 그랜트가 전송될 수 있다. 즉, 하향링크 주구성반송파 상에서 전송되는 하향링크 채널 할당 PDCCH 및 상향링크 그랜트 PDCCH의 DCI 포맷 상에서 소정의 구성반송파에 대한 반송파 지시자 필드(CIF)가 정의되어, 크로스-캐리어 스케줄링(cross-carrier scheduling)이 수행될 수 있다. 만약 크로스-캐리어 스케줄링이 활성화되지 않은 경우에는, 단말이 복수 개의 구성반송파가 할당된 경우에 해당 단말로 전송되는 액세스 하향링크 채널 할당 PDCCH 및 액세스 상향링크 그랜트 PDCCH의 DCI 포맷에는 반송파 지시지 필드가 정의되지 않을 수 있고, 하향링크 주구성반송파에서는 같은 반송파로의 하향링크 물리 데이터 채널(PDSCH) 또는 하향링크 주구성반송파와 연계(linkage) 된 상향링크 구성반송파 또는 주구성반송파에 대한 상향링크 물리 데이터 채널(PUSCH)에 대한 각각의 하향링크 채널 할당 PDCCH 또는 상향링크 그랜트 PDCCH가 전송된다.
한편, 중계기의 액세스 상향링크에서 정의되는 주구성반송파는, 상향링크 제어정보(UCI)의 전송의 관점에서 채널품질지시자(CQI; Channel Quality Indicator), 프리코딩행렬인덱스(PMI; Precoding Matrix Index), 랭크지시자(RI; Rank Indicator) 또는 채널상태정보(CSI; Channel Status Information) 피드백이 전송되는 상향링크 구성반송파를 의미할 수 있다. 또는, 전술한 상향링크 주구성반송파의 의미에 부가적으로 또는 독립적으로, 단말에 대해 스케줄링 요청(SR; Scheduling Request)이 정의된다면, 스케줄링 요청이 전송되는 구성반송파를 상향링크 주구성반송파라 할 수도 있다. 또는, 전술한 상향링크 주구성반송파의 의미에 부가적으로 또는 독립적으로, 하향링크 PDSCH 전송에 대한 상향링크 ACK/NACK 피드백이 전송되는 상향링크 구성반송파를 상향링크 주구성반송파라 할 수도 있다.
액세스 상향링크 주구성반송파는, 액세스 하향링크 주구성반송파에 대하여 하향링크/상향링크 연계(linkage)에 따라 대응 상향링크 구성반송파로 묵시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는, 중계기-특정 또는 단말-특정 상위계층 시그널링 또는 L1/L2 제어 시그널링(예를 들어, LTE Rel-8 형식의 PDCCH 또는 전용 물리제어채널 또는 L2 MAC메시지 형태의 PDSCH)을 통해 액세스 상향링크 주구성반송파가 설정될 수도 있다.
도 8은 하향링크/상향링크 구성반송파(CC) 구성을 나타낸다. 도 8에서는 하향링크 구성반송파들의 개수가 N 이고, 상향링크 구성반송파들의 개수는 M 인 경우를 가정한다.
우선, 전술한 액세스 링크 구성반송파 설정의 방안 1과 관련하여, 기지국의 임의의 중계기에 대한 백홀 하향링크 및/또는 백홀 상향링크 구성반송파 할당와 연관하여 해당 중계기의 액세스 하향링크 및/또는 액세스 상향링크 구성반송파 할당이 결정될 수 있다. 이 때, 기지국이 중계기에 대하여 액세스 하향링크 및/또는 상향링크 상의 구성반송파를 설정하고 추가적으로 단말-특정 상위계층 시그널링(즉, RRC 시그널링) 또는 L1/L2 제어 시그널링(즉, PDCCH 또는 전용 물리제어채널 또는 L2 MAC메시지 형태의 PDSCH)을 통해 단말 별로 액세스 하향링크 및/또는 상향링크의 구성반송파들을 할당하거나, 또는 중계기 내의 단말별로 직접적으로 액세스 하향링크 및/또는 상향링크의 구성반송파들을 할당할 수도 있다. 이러한 방식을 적용함에 있어서 다음과 같은 사항을 선택적으로 고려할 수 있다.
(1) 기지국이 백홀 하향링크에서 중계기에 대해 설정하는 N개의 하향링크 구성반송파(DL CC0 ~ DL CCN -1) 중 J(J=1,2,...,N)개의 구성반송파를 중계기의 성능(capability)에 따라 액세스 하향링크에서 사용할 하향링크 구성반송파로 설정할 수 있다.
(2) 기지국이 백홀 상향링크에서 중계기에 대해 설정하는 M개의 상향링크 구성반송파(UL CC0 ~ UL CCM -1) 중 K(K=1,2,...,M)개의 구성반송파를 중계기의 성능에 따라 액세스 상향링크에서 사용할 상향링크 구성반송파로 설정할 수 있다.
(3) 구성반송파의 구성(configuration)은 중계기의 초기 설정 시 중계기의 성능에 따라 기지국이 설정하거나, 중계기가 직접 설정할 수도 있다.
(4) 구성반송파의 설정에 대한 정보는 중계기의 초기 설정 시 중계기-특정 상위계층 시그널링(즉, RRC 시그널링)을 통해 기지국으로부터 각각의 중계기로 전송되거나 (기지국이 중계기에 대한 구성반송파를 설정하는 경우), 각각의 중계기로부터 기지국으로 전송될 수 있다 (중계기가 직접 설정하는 경우).
(5) 액세스 하향링크 상의 J개의 하향링크 구성반송파들은 백홀 하향링크 구성반송파와 동일하거나 그 부분집합일 수 있고, 액세스 상향링크 상의 K개의 상향링크 구성반송파들은 백홀 상향링크 구성반송파와 동일하거나 그 부분집합일 수 있다. 한편, J개의 액세스 하향링크 구성반송파들과 K개의 액세스 상향링크 구성반송파들 중, 중계기 영역 내의 각각의 단말에 대하여 구성반송파 할당이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즉, 각각의 단말별로 하향링크 및/또는 상향링크 구성반송파의 개수 및 인덱스가 독립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단말-특정 상위계층 시그널링(즉, RRC 시그널링) 또는 L1/L2 제어 시그널링(즉, PDCCH 또는 전용 물리제어채널 또는 L2 MAC메시지 형태의 PDSCH)이 사용될 수도 있다. 경우에 따라, 임의의 중계기의 액세스 하향링크 및/또는 액세스 상향링크에 설정되는 각각의 구성반송파들은 상기 J개의 액세스 하향링크 구성반송파들 및/또는 K개의 액세스 상향링크 구성반송파들의 전체 또는 일부 부분집합을 사용하는 것에 추가적으로 구성반송파들을 부가하여 해당 중계기의 전송 가능하게 구성되는 전체 액세스 하향링크 구성반송파들 및/또는 액세스 상향링크 구성반송파들을 구성할 수 있다.
(6) 상기 방안과 다르게 백홀 링크와 액세스 링크의 하향링크 및/또는 상향링크 구성반송파 할당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향링크/상향링크 구성반송파(들)를 백홀 링크와 액세스 링크에서 동일하게 설정할 수 있다.
(7) 액세스 하향링크 및/또는 상향링크 상의 주구성반송파 설정은, 백홀 하향링크 및/또는 상향링크에서 설정되어 있는 소정의 주구성반송파의 전부 또는 일부(즉, 부분집합(subset)의 형태)로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액세스 하향링크 및/또는 상향링크 상의 주구성반송파 설정은, 백홀 하향링크 및/또는 상향링크에서 설정되어 있는 소정의 주구성반송파를 포함하는 확대집합(superset)의 형태로 설정될 수도 있다.
(8) 구성반송파 설정(주구성반송파 설정 포함)은 백홀 하향링크 및/또는 상향링크의 경우 기지국이 중계기에 대하여 셀-특정 또는 중계기-특정하게 설정하거나, 액세스 하향링크 및/또는 액세스 상향링크의 경우 중계기 자체가 중계기-특정하게 설정하거나, 중계기 영역 내의 개별 단말 별로 단말-특정하게 설정될 수도 있다. 위와 같은 구성반송파 설정 및/또는 주구성반송파 설정은, 초기 설정 이후 별도의 시그널링 없이 영속적으로(permanently) 설정될 수도 있고, 반-정적(semi-static) 또는 동적(dynamic)으로 변화될 수도 있다. 이러한 설정은 셀-특정, 중계기-특정 또는 단말-특정 상위계층 시그널링(즉, RRC 시그널링) 또는 L1/L2 제어 시그널링(즉, PDCCH 또는 전용 물리제어채널 또는 L2 MAC메시지 형태의 PDSCH)을 통하여 수신측(백홀 링크에 대해서는 중계기, 액세스 링크에 대해서는 단말)으로 시그널링될 수 있다.
(9) 기지국에 의해 백홀 링크 상에서 설정되는 중계기에 대한 하향링크 및/또는 상향링크 반송파 설정에 기초하여, 그 중계기가 액세스 링크에 대한 하향링크 및/또는 상향링크 반송파 설정을 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르면 액세스 링크의 반송파 설정을 백홀 링크의 반송파 설정과 동일하게 하고, 설정된 하향링크 및/또는 상향링크 구성반송파들 내에서 중계기 영역 내의 단말들에 대해 공통적으로 하향링크 및/또는 상향링크 구성반송파를 설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중계기-특정 상위계층 시그널링 또는 L1/L2 제어 시그널링이 이용될 수 있다. 한편, 백홀 링크와 동일하게 설정된 액세스 하향링크 및/또는 상향링크 구성반송파들 내에서, 중계기 영역 내의 단말들에 대해 개별적으로 액세스 하향링크 및/또는 상향링크 구성반송파 설정을 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하여 단말-특정 상위계층 시그널링 또는 L1/L2 제어 시그널링이 이용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달리 기지국이 설정하는 백홀 링크 구성반송파 할당과 독립적으로 중계기가 액세스 링크 상의 구성반송파 할당을 설정할 수도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방식에 대하여 이하에서 설명한다.
방식 1
액세스 하향링크 및/또는 상향링크에 대한 구성반송파를 설정함에 있어, 액세스 링크 구성반송파의 일부는 백홀 하향링크 및/또는 상향링크에 설정된 구성반송파들의 전체 또는 부분집합으로 설정하고, 추가적으로 액세스 링크 구성반송파의 나머지는 백홀 링크에 설정된 구성반송파들과 상이한 구성반송파들로 구성할 수 있다. 이 때, 중계기 영역 내의 단말 별로 고유하게 액세스 링크 구성반송파를 구성하거나 설정할 수 있다.
중계기에 의한 액세스 하향링크 상의 구성반송파 설정은, 중계기가 구성하는 구성반송파의 설정, 또는 중계기가 특정 단말에 대해 설정하는 구성반송파의 설정을 포함한다. 백홀 링크와 액세스 링크 간의 연동을 지원하기 위하여, J(J=1,2,...,N)개의 액세스 하향링크 구성반송파들 중 A(A=1,2,...,J-1)개의 하향링크 구성반송파와 K(K=1,2,...,M)개의 액세스 상향링크 구성반송파들 중 B(B=1,2,...,K-1)개의 상향링크 구성반송파는, 기지국에 의하여 백홀 하향링크 또는 상향링크 상에 설정되는 구성반송파의 전부 또는 일부와 동일하게(중복되게) 설정될 수 있다. J개의 액세스 하향링크 구성반송파들 중 나머지 J-A 개의 하향링크 구성반송파와 K개의 액세스 상향링크 구성반송파들 중 나머지 K-B 개의 상향링크 구성반송파들은, 기지국에 의하여 백홀 하향링크 또는 상향링크 상에 설정되는 구성반송파와 독립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독립적인 구성반송파의 설정은, 액세스 링크 상의 구성반송파가 백홀 링크 상의 구성반송파와 동일하거나 상이한 것을 포함하는 임의의 설정을 의미한다.
기본적으로는 백홀 하향링크 및/또는 상향링크 상에 설정되는 모든 구성반송파들을 통해 백홀 링크 송수신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백홀 링크와 액세스 링크에서 중복되게(동일하게) 설정되는 A 개의 하향링크 구성반송파 및/또는 B 개의 상향링크 구성반송파를 통해 백홀 링크 송수신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이때 전송하는 정보 또는 물리채널에 따라 구분할 수 있는데, 일례로 데이터(PDSCH 또는 PUSCH를 통해 전송됨)는 모든 설정되는 구성반송파들을 통해 백홀 링크 송수신이 이루어지고 제어정보(하향링크의 경우 PDCCH 또는 PDSCH를 통해 전송되고 상향링크의 경우 PUCCH 또는 PUSCH를 통해 전송됨)는 백홀 링크와 액세스 링크에서 중복되게 설정되는 A 개의 하향링크 구성반송파 및/또는 B 개의 상향링크 구성반송파를 통해 백홀 링크 송수신이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일례로서 PDSCH 및/또는 PUSCH는 모든 설정되는 구성반송파들을 통해 백홀 링크 송수신이 이루어지고 PDCCH 및/또는 PUCCH는 백홀 링크와 액세스 링크에서 중복되게 설정되는 A 개의 하향링크 구성반송파 및/또는 B 개의 상향링크 구성반송파를 통해 백홀 링크 송수신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제안하는 백홀 링크 송수신 상의 제안들과 실시예들은 액세스 링크 송수신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위와 같은 백홀 링크 및 액세스 링크 상의 하향링크 및/또는 상향링크 구성반송파 할당은, 중계기의 타입 또는 중계기의 초기 설정 시 알려지는 중계기의 성능(capability)에 따라 기지국이 전체적으로 설정할 수도 있고, 그 중 액세스 링크 구성반송파 설정은 해당 중계기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액세스 하향링크 및/또는 상향링크에서의 구성반송파 설정에 대한 정보의 전송과 관련하여, 중계기가 액세스 하향링크 및/또는 상향링크 구성반송파들을 직접 설정하는 경우에는 중계기의 초기 설정 시에 중계기가 단말-특정 또는 중계기?특정하게 상위계층 시그널링 또는 L1/L2 제어 시그널링을 통해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고, 또는, 기지국이 중계기의 성능에 따라 액세스 하향링크 및/또는 상향링크에서의 구성반송파들을 설정하는 경우에는 기지국이 중계기-특정 또는 셀-특정하게 상위계층 시그널링 또는 L1/L2 제어 시그널링을 통해 중계기로 전송할 수 있다.
유사하게, 백홀 하향링크 및/또는 상향링크에서의 구성반송파 설정에 대한 정보의 전송과 관련하여, 중계기가 백홀 하향링크 및/또는 상향링크 구성반송파들을 직접 설정하는 경우에는 중계기의 초기 설정 시에 중계기가 상위계층 시그널링 또는 L1/L2 제어 시그널링을 통해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고, 또는, 기지국이 중계기의 성능에 따라 백홀 하향링크 및/또는 상향링크에서의 구성반송파들을 설정하는 경우에는 기지국이 중계기-특정 또는 셀-특정하게 상위계층 시그널링 또는 L1/L2 제어 시그널링을 통해 중계기로 전송할 수 있다.
기지국에 의한 백홀 링크 또는 액세스 하향링크 및/또는 상향링크 상의 구성반송파의 설정(또는 할당)은, 초기 설정 이후 별도의 시그널링 없이 영속적으로(permanently) 설정될 수도 있고 반-정적(semi-static) 또는 동적(dynamic)으로 변화될 수도 있는데, 이러한 설정 정보는 백홀 링크의 경우 중계기-특정 또는 셀-특정, 액세스 링크의 경우 중계기-특정 또는 단말-특정하게 상위계층 시그널링 또는 L1/L2 제어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수신측(중계기 또는 단말)에 시그널링될 수 있다. 또한, 기지국에 의한 백홀 링크 또는 액세스 링크 구성반송파 설정과 병행하거나 또는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중계기에 의한 백홀 링크 또는 액세스 링크 구성반송파 설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중계기에 의한 백홀 링크 또는 액세스 하향링크 및/또는 상향링크 상의 구성반송파 설정은, 초기 설정 이후 별도의 시그널링 없이 영속적으로 설정될 수도 있고 반-정적 또는 동적으로 변화될 수도 있는데, 이러한 설정 정보는 중계기-특정 또는 단말-특정 상위계층 시그널링 또는 L1/L2 제어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수신측(기지국 또는 단말)에 시그널링될 수 있다.
방식 2
액세스 링크 상의 구성반송파를 백홀 링크 상의 구성반송파 설정과 완전히 독립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 때, 액세스 하향링크 및/또는 상향링크에 대한 구성반송파들 중 일부를, 백홀 하향링크 및/또는 상향링크 상에 설정된 구성반송파와 우선적(preemptive)으로 상이한 구성반송파들로 설정하고, 나머지를 독립적으로(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또는, 백홀 링크 상의 구성반송파 설정과 무관하게 중계기 영역 내의 단말에 대해 고유하게 액세스 링크 구성반송파를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에 의하면, 백홀 링크와 액세스 링크 간에 완전히 상이한 하향링크 구성반송파 및/또는 상향링크 구성반송파들이 설정될 수 있고, 또는 백홀 하향링크 및/또는 상향링크 구성반송파 중 일부와 액세스 하향링크 및/또는 상향링크 구성반송파 중 일부가 겹치게(overlap) 될 수도 있다.
임의의 중계기에 의한 액세스 하향링크 및/또는 상향링크에 대한 구성반송파 구성 또는 설정과 이에 부가할 수 있는 주구성반송파 구성 또는 설정의 기본적인 방안들은, 중계기에 의한 액세스 링크 상의 구성반송파 할당에 대한 상기 방식 1에서 제안되고 기술되는 사항들을 기지국 주체에서 중계기 주체로 치환하고 백홀 링크를 액세스 링크로 치환하여 적용할 수 있다.
백홀 링크와 액세스 링크의 전송 자원의 분할( resource partitioning )
전술한 바와 같이 백홀 링크 및 액세스 링크의 구성반송파 설정과 주구성반송파 설정에 대한 방안들을 적용함에 있어서, 설정된 하향링크 및/또는 상향링크 구성반송파 상에서의 백홀 링크와 액세스 링크 간의 전송 자원을 분할(partitioning) 또는 다중화(multiplexing)하는 방안이 고려될 필요가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백홀 하향링크 및/또는 상향링크와 액세스 하향링크 및/또는 상향링크 간의 전송 자원 분할 방안에 대하여 설명한다. 자원 분할은 시간 영역 (예를 들어, 서브프레임 단위) 및/또는 주파수 영역 (예를 들어, 구성반송파 단위)에서 고려될 수 있다.
TDM 방식 자원분할
TDM 방식 자원분할에 따르면, 백홀 링크와 액세스 링크 상에서 설정되는 모든 하향링크 및/또는 상향링크 구성반송파들에 대하여, 시간 영역 자원(서브프레임) 단위로 백홀 링크 송수신 또는 액세스 링크 송수신이 할당될 수 있다. 즉, 어떤 서브프레임에서는 백홀 링크에 할당된 구성반송파들 상에서 백홀 링크 송수신이 수행되고, 다른 서브프레임에서는 액세스 링크에 할당된 구성반송파들 상에서 액세스 링크 송수신이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백홀 링크 및/또는 액세스 링크 구성반송파가 어떠한 형태(상호 연관되어 설정되거나 독립적으로 설정되는 형태를 모두 포함)로 할당되더라도, 특정 서브프레임에서 상기 할당된 구성반송파를 통하여 백홀 링크 또는 액세스 링크 송수신 동작 중 하나가 수행되는 방식이다. 다시 말하면, 중계기에 대하여 예를 들어 서브프레임 #0이 백홀 링크 전송(또는 수신)을 위하여 할당되면 그 서브프레임 상에서는 백홀 상향링크(또는 하향링크) 전송을 위해 설정되어 있는 구성반송파들을 이용하여 백홀 링크 전송(또는 수신)이 수행되고, 예를 들어 서브프레임 #1이 액세스 링크 전송(또는 수신)을 위하여 할당되면 그 서브프레임 상에서는 액세스 하향링크(또는 상향링크) 전송을 위해 설정되어 있는 구성반송파들을 이용하여 액세스 하향링크 전송(또는 수신)이 수행된다.
백홀 링크 및 액세스 링크 상에서 설정되는 모든 구성반송파들에 대하여 시간 영역 자원 상에서 백홀/액세스 하향링크/상향링크 상의 공통적인 서브프레임 할당 패턴이 적용될 수 있다.
백홀 하향링크 및/또는 백홀 상향링크 서브프레임 패턴 (서브프레임 할당(allocation))은 10ms 단위 또는 40ms 단위로 정의될 수 있다. 이러한 백홀 링크 서브프레임 패턴 설정 정보는 기지국으로부터 중계기에게 제공될 수 있으며, 서브프레임 패턴은 개별 중계기 마다 설정되거나, 기지국 영역 내의 모든 중계기에게 공통으로 설정되거나, 또는 기지국 영역 내의 중계기의 일부 그룹 단위로 설정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기지국은 각각 중계기-특정, 셀-특정 (중계기-공통) 또는 중계기 그룹-특정하게 상위계층 시그널링(즉, RRC 시그널링) 또는 L1/L2 제어 시그널링(즉, PDCCH 또는 전용 물리제어채널 또는 L2 MAC메시지 형태의 PDSCH)을 이용하여 백홀 하향링크 및/또는 상향링크 상의 서브프레임 패턴 정보를 중계기(들)에게 시그널링할 수 있다.
유사하게, 액세스 하향링크 및/또는 액세스 상향링크 서브프레임 패턴 (서브프레임 할당)은 10ms 단위 또는 40ms 단위로 정의될 수 있으며, 액세스 링크 서브프레임 패턴은 개별 단말 마다 설정되거나, 중계기 영역 내의 모든 단말에게 공통으로 설정되거나, 또는 중계기 영역 내의 단말의 일부 그룹 단위로 설정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기지국은 각각 단말-특정, 중계기-특정 (단말-공통) 또는 단말 그룹-특정하게 상위계층 시그널링 또는 L1/L2 제어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액세스 하향링크 및/또는 상향링크 상의 서브프레임 패턴 정보를 단말(들)에게 시그널링할 수 있다.
FDM 방식 자원분할
FDM 방식 자원분할에 따르면, 전술한 바와 같이 기지국 또는 중계기에서 설정하는 J개의 하향링크 구성반송파(들)와 K개의 상향링크 구성반송파(들) 중에서, 일부 구성반송파(들)이 백홀 하향링크 및/또는 상향링크 송수신 전용으로 설정(dedication)되거나, 일부 구성반송파(들)가 액세스 하향링크 및/또는 상향링크를 송수신 전용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일부 구성반송파(들)이 백홀 하향링크 및/또는 상향링크 송수신 전용으로 설정(dedication)되는 경우 해당 구성반송파들은 기지국과 연결되어 있는 매크로 단말과 기지국 사이의 하향링크 및/또는 상향링크 전송에 대비하여 기지국과 중계기 간 전송을 위해 구성반송파(들)이 전용으로 설정되어 있다는 의미를 가질 수도 있고, 이와 다르게 액세스 링크 전송 대비 전용으로 설정되어 있다는 의미로서 백홀 하향링크 및/또는 상향링크 송수신 전용으로 설정된 구성반송파들 상에서 기지국과 중계기 간 전송과 매크로 단말과 기지국 간 전송이 FDM 형태로 다중화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본 의미성은 이하 본 발명 전반에 걸쳐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반송파 단위의 자원 분할은, 구성반송파가 백홀 링크 또는 액세스 링크 중 어느 하나의 링크에만 우선적(preemptive)으로 설정되고 다른 링크를 위해서는 설정되지 않는 경우, 및 백홀 링크 구성반송파와 액세스 링크 구성반송파가 일부 중복되는(동일한) 경우에도 모두 적용될 수 있다.
FDM 방식의 자원분할 방식에 있어서도, 단일 반송파 지원 인밴드 중계기의 경우와 같이 하나의 구성반송파 주파수 대역 상에서의 동시 송수신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TDM 방식 자원분할에서와 같이, 백홀 하향링크 수신 및 액세스 하향링크 전송 서브프레임이 구분되어 할당되고, 백홀 상향링크 전송 및 액세스 상향링크 수신 서브프레임이 구분되어 할당될 수도 있다.
한편, 구성반송파들이 백홀 링크 또는 액세스 링크 전용으로 서로 구분되어 설정되는 상태에서, 특정 서브프레임 상에서 해당 설정된 구성반송파들을 통해 중계기가 백홀 하향링크 수신 및 액세스 하향링크 전송을 동시에 수행하거나, 백홀 상향링크 전송 및 액세스 상향링크 수신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설정될 수 있다.
FDM 방식의 자원 분할에서 중계기가 백홀 하향링크 및 액세스 하향링크 동시 송수신(또는 백홀 상향링크 및 액세스 상향링크 동시 송수신)을 지원하기 위한 구성반송파 설정에 있어서, 중계기에서의 송수신 관점에서의 간섭 (또는 RF 재밍) 유발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백홀 하향링크 상의 구성반송파와 액세스 하향링크 상의 구성반송파(또는 백홀 상향링크 상의 구성반송파와 액세스 상향링크 상의 구성반송파)들이 서로 다른 RF 단을 사용하여 송수신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는, 중계기에서의 송수신 관점에서의 간섭이 충분이 배제될 수 있도록, 백홀 하향링크 상의 구성반송파와 액세스 하향링크 상의 구성반송파(또는 백홀 상향링크 상의 구성반송파와 액세스 상향링크 상의 구성반송파)들 간에 주파수 영역 상 충분한 이격(separation)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반송파가 설정될 수 있다.
중계기 영역 내 단말들의 입장에서는 이러한 FDM 방식의 자원분할이 아웃-밴드(out-band) 중계기 방식으로 간주될 수 있다. 한편, 전체 중계기 관점에서는, 복수개의 구성반송파에 의한 반송파 집성이 적용되는 상황이므로, 백홀 링크 구성반송파와 액세스 링크 구성반송파가 동일한 주파수 대역에 할당되는 인-밴드(in-band) 중계기 방식으로 간주될 수 있다.
백홀/액세스 하향링크 및/또는 상향링크 전용으로 구성반송파를 할당하기 위한 정보는, 백홀/액세스 링크 전송 서브프레임 할당 정보에 부가하여 시그널링될 수 있다. 백홀 링크 전송 자원 설정 정보는, 셀-특정, 셀 클러스터-특정 또는 중계기-특정 상위계층 시그널링(즉, RRC 시그널링) 또는 L1/L2 제어 시그널링(즉, PDCCH 또는 전용 물리제어채널 또는 L2 MAC메시지 형태의 PDSCH)으로 중계기들에게 시그널링될 수 있다. 한편, 액세스 링크 전송 자원 설정 정보는, 중계기-특정 (단말-공통) 또는 단말-특정 상위계층 시그널링 또는 L1/L2 제어 시그널링으로 중계기들에게 시그널링될 수 있다.
TDM / FDM 방식 자원분할
TDM/FDM 방식으로 백홀 링크와 액세스 링크 전송 자원을 다중화하는 방안은, 기지국 또는 중계기에 의해 설정되는 백홀 하향링크 및/또는 상향링크의 서브프레임 및 구성반송파의 구성(configuration) 및 할당(또는 설정, assignment), 및 중계기 또는 기지국에 의해 설정되는 액세스 하향링크 및/또는 상향링크의 서브프레임 및 구성반송파 구성 및 할당에 의하여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구성(connfiguration)이란 전송 자원으로 할당될 수 있는 후보(candidate) 자원을 설정한다는 의미이고, 할당(또는 설정, assignment)란 실제 전송을 위해 사용될 자원을 설정한다는 의미이다.
본 TDM/FDM 방식 자원분할은 하향링크 및/또는 상향링크 구성반송파 설정이 백홀 링크와 액세스 링크 상에서 상이하게 설정되는 경우에 보다 적합하게 적용될 수 있다.
백홀 하향링크 구성반송파와 액세스 하향링크 구성반송파가 중복되거나 일부가 중복되고 일부가 구분되는 경우에, 해당 구성반송파 상에서 백홀 하향링크 수신이 할당된 서브프레임에서는 액세스 하향링크에 대하여 MBSFN 서브프레임(액세스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의 처음 두개의 OFDM 심볼만 전송하고 나머지 OFDM 심볼 영역에서는 전송이 배제되는 형태의 서브프레임)을 구성함으로써 TDM 방식으로 백홀 링크와 액세스 링크 자원이 다중화(즉 분할)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백홀 상향링크 구성반송파와 액세스 상향링크 구성반송파가 중복되는 경우에, 해당 구성반송파 상에서 백홀 상향링크 전송이 할당된 서브프레임에서는 액세스 상향링크에 대하여 블랭크 서브프레임(해당 서브프레임 구간의 전송이 배제되는 형태의 서브프레임)을 구성함으로써 TDM 방식으로 백홀 링크와 액세스 링크 자원이 다중화(분할)될 수 있다.
한편, 백홀 하향링크 및/또는 상향링크 구성반송파와 액세스 하향링크 및/또는 상향링크 구성반송파가 서로 상이한 구성반송파(백홀 링크 전용 또는 액세스 링크 전용 구성반송파)로 설정되는 경우에는 전술한 FDM 방식의 자원분할이 구성된다.
위와 같은 두 가지 형태의 자원분할 방법은 설정되는 구성반송파들에 대해 특정 서브프레임 상에서 동시에 적용될 수 있다.
TDM 방식 백홀 링크 및 액세스 링크 간 자원분할이 적용되는 하향링크 및/또는 상향링크 구성반송파(들)는 백홀 링크와 액세스 링크에 중복 설정된 구성반송파(또는 동일한 구성반송파 인덱스)인 것으로 주로 설명되었으나, 각각의 백홀 링크와 액세스 링크 간 구성반송파들의 자원 설정 관계, 연계(linkage) 관계, 개별적인 주파수 영역에서의 이격 오프셋(separation offset) 등에 따라서 상이한 인덱스의 구성반송파들에 대해서도 TDM 방식의 자원분할이 적용될 수도 있다. 유사하게, FDM 방식 자원분할이 적용되는 하향링크 및/또는 상향링크 구성반송파(들)는 백홀 링크와 액세스 링크 간에 서로 구분되는 인덱스의 구성반송파들인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백홀 링크와 액세스 링크의 구성반송파들의 연계(linkage) 관계 등에 따라서 동일한 인덱스의 구성반송파들 내에서 각각의 링크에 대해 전용으로 사용되는 주파수 대역을 서로 구분되게 정의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TDM 방식 자원분할이 적용되는 백홀 링크와 액세스 링크 상의 구성반송파들의 개수는 서로 같을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 백홀 링크와 액세스 링크 상에서 서로 다른 개수의 구성반송파들에 대해서도 TDM 방식 자원분할이 적용될 수 있다. 유사하게, FDM 방식 자원분할이 적용되는 백홀 링크와 액세스 링크 상의 구성반송파들의 개수는 서로 같을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 백홀 링크와 액세스 링크 상에서 서로 다른 개수의 구성반송파들에 대해서도 FDM 방식 자원분할이 적용될 수 있다.
TDM/FDM 방식 자원분할이 적용되는 경우에 백홀 링크와 액세스 링크 간의 TDM 방식으로 설정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하향링크 및/또는 하나 이상의 상향링크 구성반송파(들)에 대해서, 시간 영역 상에서 특정 서브프레임에서 백홀 링크 또는 액세스 링크 전송이 배제 또는 제한될 수 있다. 여기서, FDM 방식의 자원분할이 적용되는 다른 구성반송파(들)가, 상기 TDM 방식으로 설정된 구성반송파(들)와 하나의 중계기의 상이한 RF 단에 의하여 구분되거나, 간섭(또는 RF 재밍)이 충분히 제거될 수 있도록 주파수 영역 상에서 이격되어 있는 경우에는, 해당 구성반송파 상에서 상기 특정 서브프레임에서 MBSFN 서브프레임 또는 블랭크 서브프레임의 적용을 배제하고, 상기 특정 서브프레임에서 백홀 링크 및 액세스 링크의 동시 전송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TDM/FDM 방식 자원분할의 설정은 백홀 링크와 액세스 링크의 상황을 전체적으로 고려하여, TDM 방식과 FDM 방식의 자원분할이 특정 시간에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셀-특정 또는 중계기 특정 상위계층 시그널링 또는 L1/L2 제어 시그널링을 통해 TDM 방식과 FDM 방식 간의 스위칭을 지시(indication)하거나, 하나 이상의 무선 프레임 상에서의 주기적인 패턴으로서 미리 정의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TDM/FDM 방식 자원분할을 예시를 통하여 설명한다.
우선, A(A≥2)개의 하향링크 구성반송파가 하나의 중계기의 상이한 RF 단에 의하여 구분되거나, 간섭(또는 RF 재밍)이 충분히 제거될 수 있도록 주파수 영역 상에서 이격되어 있는 경우를 가정한다. A개의 하향링크 구성반송파는 백홀 하향링크에 설정되고, 그 중에서 B(1≤B≤A)개의 하향링크 구성반송파가 액세스 하향링크에 설정된다. 이 경우 백홀 하향링크와 액세스 하향링크에서 중복 설정되는 B개의 하향링크 구성반송파 상에서는 MBSFN 서브프레임을 이용한 TDM 방식의 백홀 링크와 액세스 링크 간의 자원분할이 설정된다. 한편, 백홀 링크에서만 설정되는 A-B개의 하향링크 구성반송파 상에서는 어떤 서브프레임에서 액세스 하향링크 전송 유무에 관계 없이 백홀 하향링크 수신이 수행된다.
또한, C(C≥2)개의 상향링크 구성반송파가 하나의 중계기의 상이한 RF 단에 의하여 구분되거나, 간섭(또는 RF 재밍)이 충분히 제거될 수 있도록 주파수 영역 상에서 이격되어 있는 경우를 가정한다. C개의 상향링크 구성반송파는 백홀 상향링크에 설정되고, 그 중에서 D(1≤B≤A)개의 상향링크 구성반송파가 액세스 상향링크에 설정된다. 이 경우 백홀 상향링크와 액세스 상향링크에서 중복 설정되는 D개의 상향링크 구성반송파 상에서는 블랭크 서브프레임을 이용한 TDM 방식의 백홀 링크와 액세스 링크 간의 자원분할이 설정된다. 한편, 백홀 링크에서만 설정되는 C-D개의 상향링크 구성반송파 상에서는 어떤 서브프레임에서 액세스 상향링크 수신의 유무에 관계 없이 백홀 상향링크 전송이 수행된다.
한편, 전술한 예시에서 백홀 링크와 액세스 링크에 대한 구성반송파 설정을 반대로 적용한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즉, A개의 하향링크 구성반송파는 액세스 하향링크에 설정되고, 그 중에서 B(1≤B≤A)개의 하향링크 구성반송파가 백홀 하향링크에 설정된다. 이 경우 백홀 하향링크와 액세스 하향링크에서 중복 설정되는 B개의 하향링크 구성반송파 상에서는 MBSFN 서브프레임을 이용한 TDM 방식의 백홀 링크와 액세스 링크 간의 자원분할이 설정된다. 한편, 액세스 링크에서만 설정되는 A-B개의 하향링크 구성반송파 상에서는 어떤 서브프레임에서 백홀 하향링크 수신 유무에 관계 없이 액세스 하향링크 전송이 수행된다.
또한, C개의 상향링크 구성반송파는 액세스 상향링크에 설정되고, 그 중에서 D(1≤D≤C)개의 상향링크 구성반송파가 백홀 상향링크에 설정된다. 이 경우 백홀 상향링크와 액세스 상향링크에서 중복 설정되는 D개의 상향링크 구성반송파 상에서는 블랭크 서브프레임을 이용한 TDM 방식의 백홀 링크와 액세스 링크 간의 자원분할이 설정된다. 한편, 액세스 링크에서만 설정되는 C-D개의 상향링크 구성반송파 상에서는 어떤 서브프레임에서 백홀 상향링크 전송의 유무에 관계 없이 액세스 상향링크 수신이 수행된다.
전술한 하향링크 구성반송파 설정과 상향링크 구성반송파 설정은 동시에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전술한 예시들에 있어서 반송파 집성되는 구성반송파들의 개수가 특정 개수로 설정되는 경우들 각각을 모듈화하여, 해당 경우에 따라 자원분할 방식이 모듈방식으로 그룹 단위로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TDM/FDM 방식의 자원분할의 적용에 있어서 고려할 수 있는 사항들에 대하여 설명한다.
(1) 백홀 하향링크 (또는 백홀 상향링크) 상에서 설정된 모든 구성반송파들에 대하여 단일한 형태의 백홀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할당(또는 백홀 상향링크 서브프레임 할당)이 구성(configure)될 수 있다. 서브프레임 할당의 구성은 서브프레임 패턴의 설정을 의미한다.
또는, 백홀 하향링크 (또는 백홀 상향링크) 상에서 설정된 구성반송파들 간에 상이한 형태의 백홀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할당(또는 백홀 상향링크 서브프레임 할당)이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구성반송파들 간에 상이한 형태의 백홀 링크 서브프레임 설정은, 각각의 구성반송파마다 별도로 설정되거나, 또는 구성반송파를 그룹화하여 각각의 그룹별로 별도로 설정되는 것을 포함한다.
이 경우 특정 서브프레임에서 어떤 하향링크 구성반송파(또는 상향링크 구성반송파)는 백홀 링크를 위해 설정되고, 다른 하향링크 구성반송파(또는 상향링크 구성반송파)는 액세스 링크를 위해 설정될 수도 있다.
각각의 백홀 하향링크/상향링크 서브프레임 및 구성반송파 설정에 대한 정보는 기지국 또는 중계기에 의해 셀-특정, 중계기-특정 (단말-공통) 또는 단말-특정 상위계층 시그널링 또는 L1/L2 제어 시그널링을 통하여 전송될 수 있다.
(2) J개의 하향링크 구성반송파와 K개의 상향링크 구성반송파 중 백홀 서브프레임이 할당될 수 있는 백홀링 구성반송파(Backhauling CC)를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하향링크/상향링크 백홀링 구성반송파는 기지국에 의하여 개별 중계기마다 별도로 설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중계기-특정 상위계층 시그널링 또는 L1/L2 제어 시그널링을 이용할 수 있다. 또는, 하향링크/상향링크 백홀링 구성반송파는 기지국 영역 내의 모든 중계기들에 동일하게 설정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하여 셀-특정 상위계층 시그널링 또는 L1/L2 제어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기지국 영역 내의 모든 중계기들에게 상기 설정 정보가 브로드캐스팅될 수 있다.
하향링크/상향링크 구성반송파들 중에서 백홀링 구성반송파를 통해서만 백홀 링크 서브프레임이 할당될 수 있고, 백홀링 구성반송파가 아닌 나머지 구성반송파들에 있어서는 모든 서브프레임 상에서 액세스 링크 송수신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하향링크/상향링크 백홀링 구성반송파 내에서 백홀 링크와 액세스 링크 전송 자원 분할은 서브프레임 단위로 TDM 방식으로 설정될 수 있다.
하향링크/상향링크 백홀링 구성반송파의 설정에 있어서, 백홀링 구성반송파로 설정되는 구성반송파의 인덱스 및 백홀 링크 서브프레임 패턴(구성반송파 별로 설정되거나 구성반송파들에 공통으로 설정될 수도 있음)에 대한 정보는, 셀-특정 또는 중계기-특정 상위계층 시그널링 또는 L1/L2 제어 시그널링을 통하여 전송될 수 있다.
TDM / FDM 방식 자원분할의 실시예
도 9 내지 12를 참조하여, 백홀 링크와 액세스 링크의 TDM/FDM 방식 자원분할(또는 다중화)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9 내지 12에서는 하향링크와 상향링크 구성반송파가 각각 3개인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하향링크와 상항링크 구성반송파의 개수는 동일할 수도 있고 상이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인-밴드 중계기가 어떤 서브프레임에서 기지국으로부터의 백홀 하향링크를 수신하는 경우에 단말로의 액세스 하향링크를 전송할 수 없지만, 단말은 모든 서브프레임에서 제어 채널의 수신을 기대하게 된다. 따라서, 중계기는 MBSFN 서브프레임(서브프레임의 처음 2 OFDM 심볼만을 전송하고 나머지 OFDM 심볼은 전송하지 않음)을 이용하여, 단말로의 액세스 링크 전송이 할당되지 않는 심볼 영역(처음 2 OFDM 심볼을 제외한 나머지 OFDM 심볼 영역)에서 기지국으로부터의 백홀 하향링크 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중계기가 백홀 하향링크를 수신할 수 있는 서브프레임은 MBSFN 서브프레임으로 할당될 수 있는 서브프레임으로 제한된다.
도 9 내지 12 의 하향링크 구성반송파의 하나의 무선 프레임은 10개의 서브프레임(서브프레임 번호 0 내지 9)으로 구성된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무선 프레임 구조가 FDD 타입인 경우에는, 하나의 무선 프레임의 서브프레임 번호 0, 4, 5 및 9 에서 동기신호(synchronization signal), 물리방송채널(Physical Broadcast CHannel; PBCH), 페이징 지시자 또는 페이징 채널이 전송되는 것으로 설정된다. 따라서, 서브프레임 번호 0, 4, 5 및 9 는 MBSFN 서브프레임으로 설정될 수 없으므로, 백홀 하향링크 수신을 위한 서브프레임으로 설정될 수 없다. 한편, 무선 프레임 구조가 TDD 타입인 경우에는, 서브프레임 번호 0, 1, 5 및 6 에서 동기신호, PBCH, 페이징 지시자 또는 페이징 채널이 전송되므로, 이들 서브프레임들은 백홀 하향링크 수신에 할당될 수 없다. 이하에서는, FDD 타입의 무선 프레임 구조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고 TDD 타입의 무선 프레임 구조에도 유사한 원리에 따라서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다.
한편, 백홀 링크 전송에 대한 HARQ 피드백(ACK/NACK) 및 재전송 주기가 기존의 8 TTI로 유지되는 경우에, 위와 같이 백홀 하향링크 수신으로 할당될 수 없는 서브프레임이 존재함으로 인하여 HARQ 동작이 올바르게 수행되지 않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9의 하향링크 구성반송파 번호 0 (DL CC0) 의 N 번 무선프레임의 서브프레임 번호 2에서 백홀 하향링크가 수신되면, 4 TTI 이후인 상향링크 구성반송파 번호 0 (UL CC0) 의 N번 무선프레임의 서브프레임 번호 6에서 백홀 상향링크 HARQ 피드백, 예를 들어, NACK 메시지가 전송된다. 이에 따라, 4 TTI 후인 N+1 번 무선프레임의 서브프레임 번호 0에서 DL CC0 상에서 백홀 하향링크가 수신되어야 하는데, 이는 MBSFN 서브프레임으로 할당될 수 없는 서브프레임이므로, 기존의 HARQ 동작을 그대로 적용할 수는 없다.
이에 대하여, 백홀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번호 n 은 백홀 상향링크 서브프레임 번호 n+4 에서 ACK/NACK 피드백을 받고, 백홀 상향링크 서브프레임 번호 n 은 백홀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n+6 에서 ACK/NACK 피드백을 받는 것으로 설정하는 방안(백홀 하향링크 또는 백홀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이 10ms 주기로 할당되는 방안이며, 이하의 실시예 1 관련됨)이 있다. 또는, 백홀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이 서브프레임 번호 4 또는 9에 해당하면 한 서브프레임 앞으로 시프팅하여 (즉, 서브프레임 번호 3 또는 8에) 백홀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을 할당하고, 백홀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이 서브프레임 번호 0 또는 5에 해당하면 한 서브프레임 뒤로 시프팅하여 (즉, 서브프레임 번호 1 또는 6에) 백홀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을 할당하는 방안(백홀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을 시프팅하는 방안이며, 이하의 실시예 2 및 3과 관련됨)이 있다. 또는, 백홀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이 서브프레임 번호 0, 4, 5 및 9에 해당하면, 백홀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및 그 대응하는 백홀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을 4 서브프레임 뒤에 할당하는 방안(백홀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을 펑처링하는 방안) 등이 있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사항을 고려하여 TDM/FDM 방식의 백홀 링크와 액세스 링크의 자원분할 방안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백홀 및 액세스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이 DL CC0 상에서 설정되어 있고, 이에 대응하는 백홀 및 액세스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이 UL CC0 상에 설정되어 있으며, 전술한 HARQ 타이밍과 관련하여 백홀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911, 912, 913, 914) 또는 백홀 상향링크 서브프레임(921, 922, 923, 924)이 10ms 주기로 할당되는 것을 가정한다.
한편, 중계기 도입을 고려하지 않은 기존의 단말(예를 들어, LTE Release-8 시스템에 따른 단말)에 대해서는 기존의 LTE 시스템에서 정의되어 있는 8ms 주기의(왕복시간(Round Trip Time; RTT)이 8ms인) 동기식(synchronous) 비-적응적(non-adaptive) HARQ 동작이 수행된다. 예를 들어, 중계기가 단말로부터 UL CC0 상에서 액세스 상향링크를 수신하면(931) 이에 대하여 4 TTI 이후에 DL CC0 상에서 HARQ 피드백을 전송한다(912). 하향링크 서브프레임(912)은 MBSFN 서브프레임으로서 하나의 서브프레임의 처음 2 OFDM 심볼 영역에 포함되는 PHICH를 통하여 HARQ 피드백이 단말로 전송될 수 있다. 만약 HARQ 피드백이 NACK인 경우에, 단말은 4 TTI 이후의 서브프레임(922)에서 액세스 상향링크 재전송을 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서브프레임(922)는 백홀 상향링크 전송을 위해 할당된 서브프레임이므로, 액세스 상향링크 전송과 충돌(collision)이 발생하게 된다. UL CC0 의 서브프레임(931, 932, 933, 934)는 액세스 상향링크가 첫번째 재전송시에 (즉, 최초 전송으로부터 8ms 후의 서브프레임에서) 백홀 상향링크 전송과의 충돌이 발생할 수 있는 서브프레임들을 도시한 것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TDM/FDM 방식의 백홀 링크와 액세스 링크 간 자원분할이 수행될 수 있다. 즉, 동기식 적응적(adaptive) HARQ 동작의 형태로서, 상기 충돌되는 액세스 상향링크 전송(즉, 첫번째 재전송)을 위한 상향링크 구성반송파를 다른 구성반송파(UL CC1 또는 UL CC2)로 스위칭하는 정보를 상향링크 그랜트(UL grant)를 통하여 지시할 수 있다. 이러한 상향링크 그랜트는 4 서브프레임 이전에 단말로 전송될 수 있다. LTE-A 단말들에 대해서는 별도의 상향링크 그랜트 DCI 포맷을 정의하여, DCI 포맷의 페이로드 내에 구성반송파 스위칭을 지시하는 필드를 정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세스 상향링크 전송에 할당되는 구성반송파가 UL CC0 에서 UL CC1로 스위칭되는 경우에, UL CC0 상의 서브프레임(931, 932, 933)에서 단말에서 전송한 PUSCH는, UL CC1 상의 각각 서브프레임(941, 942, 943)에서 재전송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내용의 구체적인 사항에 대하여 설명한다.
(1) 동기식 비-적응적 HARQ 동작에서 문제가 되는 서브프레임(931, 932, 933, 934)은 LTE-A 단말들에게만 액세스 상향링크 전송 자원(PUSCH의 최초 전송 또는 재전송을 위한 자원)을 할당하고, 기존의 LTE 단말에 대해서는 자원을 할당하지 않을 수도 있다.
(2) 액세스 상향링크 서브프레임(931, 932, 933, 934)을 통해 수신한 데이터의 피드백이 NACK인 경우에는, 동기식 적응적 HARQ 동작에 따라서 상향링크 그랜트를 통해 재전송을 위한 액세스 상향링크 자원에 대한 스케줄링 정보를 단말에게 전송한다.
(3) 이 때, 상향링크 그랜트 PDCCH는 DL CC0의 MBSFN 서브프레임 (912, 913, 914) 상에서 액세스 하향링크 전송이 허용된 PDCCH 물리 자원 영역 (서브프레임의 처음 2 OFDM 심볼 영역)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또는, 미리 설정된 규칙(rule)이나 상위계층(RRC) 설정 제어정보로서의 시그널링을 통해, 상기 상향링크 그랜트 PDCCH는 DL CC0 이 아닌 DL CC1 또는 DL CC2의 PDCCH 물리 자원 영역을 통해 전송될 수도 있다.
(4) 상기 상향링크 그랜트에 포함되는 정보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향링크 그랜트를 통해, 반송파스위칭지시 비트(carrier switching indication bit)를 전송한다. 반송파 스위칭은 액세스 상향링크 데이터의 초기 전송시에 사용된 UL CC와 상이한 UL CC 를 통하여 재전송을 수행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때 해당 DCI 포맷은 액세스 링크가 설정되어 있는 LTE-A 단말들을 위한 포맷으로 정의될 수 있다. 반송파스위칭지시 비트의 크기는 상향링크 반송파 스위칭에 대한 대상 구성반송파를 지시하는 비트맵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또는 미리 정해진 규칙 또는 상위계층(RRC) 시그널링에 의해 스위칭될 UL CC가 정의되어 있는 경우에는, 반송파 스위칭이 필요하다는 것만을 알리는 (즉, 반송파 스위칭을 트리거링하는) 1 비트의 필드로서 정의될 수 있다.
(5) 반송파 스위칭 지시 비트들은 비트맵 또는 UL CC 들에 대한 논리적 순서에 대한 간접적인 반송파 인덱스 순서 정보로서 정의될 수도 있다. 상기 상향링크 그랜트를 통해 스위칭될 UL CC의 인덱스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최초 전송은 UL CC0 상에서 수행되었지만 UL CC1으로 스위칭되어 재전송될 때에는 '1' 을, UL CC2로 스위칭되어 재전송될 때에는 '2'를 시그널링할 수 있다.
(6) 또한, 상향링크 그랜트는, 재전송에 이용되는 UL CC에 대한 자원 할당, 전송 MCS(Modulation and Coding Scheme), HARQ 프로세스 구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HARQ를 설정함에 있어서 복수 개의 상향링크 구성반송파들 상에서 구분된 HARQ 설정을 알려줄 수 있도록 HARQ 프로세스가 정의될 수 있다.
실시예 2
도 10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DL CC0 상의 백홀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1011, 1012, 1013, 1014, 1015) 또는 UL CC0 상의 백홀 상향링크 서브프레임(1021, 1022, 1023, 1024, 1025)은 기본적으로 8ms HARQ 타이밍 관계를 고려하여 8ms 주기로 할당된다. 그러나, 백홀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중에서 MBSFN 서브프레임으로 할당될 수 없는 서브프레임(서브프레임 번호 0, 4, 5, 9)에서는 시프팅된 형태(서브프레임 4 및 9는 각각 3 및 8로, 서브프레임 5 및 0은 각각 6 및 1로)로 할당된다. 따라서, 백홀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의 할당 패턴은 40ms 주기(40ms 동안에 7, 8 또는 9 서브프레임 간격으로 5 개의 서브프레임이 할당)를 가지게 된다. 백홀 상향링크 서브프레임 패턴은 8ms 주기를 가지게 된다.
예를 들어, DL CC0의 서브프레임(1031 또는 1032)이 액세스 하향링크 데이터 (PDSCH) 전송을 위해 할당되는 경우, 전송된 액세스 하향링크 데이터에 대하여 UL CC0 상에서 4 TTI 이후에 (즉, 서브프레임 (1022 또는 1025)에서) 단말로부터의 HARQ 피드백이 수신될 수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백홀 상향링크 및 백홀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할당에 있어서 UL CC0 상의 서브프레임(1022 또는 1025)는 백홀 상향링크 전송을 위해 할당되어 있으므로, 단말로부터의 액세스 상향링크를 통한 상기 HARQ 피드백 수신과 충돌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ACK/NACK이 전송될 상향링크 구성반송파를 스위칭하여 지정할 수 있다. 즉, 하향링크 구성반송파 DL CC0 상의 서브프레임(1031 및 1032)에서의 액세스 하향링크 전송에 대한 ACK/NACK 피드백이 수신될 서브프레임으로 (단말이 ACK/NACK 피드백을 전송할 서브프레임으로), UL CC0 이 아닌 UL CC1 상의 서브프레임 (1041 및 1042) 을 지정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10의 문제가 되는 서브프레임(DL CC0의 서브프레임(1031, 1032))은 LTE-A 단말에 대해서만 자원을 할당할 수 있다. 이러한 액세스 하향링크 PDSCH 자원 할당과 관련하여, 하향링크 채널 할당(DL channel assignment) PDCCH의 DCI 포맷 내의 페이로드에 해당 PDSCH에 대한 액세스 상향링크 상으로 ACK/NACK이 전송될 구성반송파를 지정하는 비트 필드를 정의하여 포함시킬 수 있다. 구성반송파를 지정하는 비트의 크기는, ACK/NACK이 전송될 상향링크 구성반송파의 인덱스 정보 또는 위치에 대한 비트맵 형식을 지원할 수 있는 크기일 수 있다. 또는 소정의 묵시적 규칙 또는 상위계층(RRC) 시그널링을 통하여 구성반송파 지정에 대한 설정이 미리 이루어져 있는 경우에는, ACK/NACK 전송을 위한 반송파 스위칭만을 지시하는 1 비트로 구성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와 관련하여 고려할 사항은 다음과 같다.
(1) 도 10의 문제가 되는 서브프레임(DL CC0의 서브프레임(1031, 1032))은 LTE-A 단말에 대해서만 액세스 하향링크 수신 자원 (PDSCH 전송을 위한 자원)을 할당하고, 기존의 LTE 단말에 대해서는 해당 서브프레임에서 자원을 할당하지 않을 수 있다.
(2) 서브프레임(1022, 1025)가 백홀 상향링크를 위해 할당됨으로 인하여, DL CC0의 서브프레임(1031, 1032)을 통해 전송한 액세스 하향링크 PDSCH에 대한 액세스 상향링크 UL CC0을 통한 ACK/NACK 피드백의 수신이 불가능한 경우에, 해당 PDSCH에 대한 하향링크 채널 할당 PDCCH의 DCI 포맷 페이로드에 ACK/NACK 피드백이 전송될 액세스 상항링크 구성반송파 설정을 위한 반송파스위칭지시비트를 포함시킬 수 있다.
(3) 위와 같은 단말이 ACK/NACK를 전송하는 반송파의 스위칭이 수행될 때에, ACK/NACK 전송을 위해 지정되는 UL CC의 인덱스를 매번 하향링크 할당을 통해 시그널링할 수 있다. 이 때, 반송파스위칭지시비트를 통해 지정되는 UL CC의 인덱스 또는 논리적 구성반송파 순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도록 비트 사이즈가 정해질 수 있다. 또는, 지정되는 UL CC를 미리 설정하여, 모든 LTE-A 단말에게 상위계층(RRC) 시그널링의 형태로 브로드캐스팅할 수도 있다. 이 때, 반송파스위칭의 트리거링 만을 나타내는 1 비트의 반송파스위칭지시자(carrier switching indicator)로 정의될 수도 있다.
(4) ACK/NACK 전송을 위하여 지정된 상향링크 구성반송파에서, ACK/NACK 피드백 전송을 위한 추가적인 PUCCH를 RRC 구성된(configured) 형태로 설정할 수 있다. 또는, 묵시적인 자원할당의 방식을 그대로 이용하거나, ACK/NACK 전송과 백홀 전송과의 자원 충돌을 방지하기 위하여 자원 할당에 소정의 오프셋(offset)을 지정하는 수정된 묵시적 자원할당의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이를 위하여 ACK/NACK PUCCH 자원을 할당하거나, 또는 PUSCH에 피기백(piggyback) 방식으로 ACK/NACK을 전송하도록 할당할 수 있다. 이 때에는, 추가적인 상향링크 그랜트의 전송이 필요하다.
실시예 3
상기 실시예 2 에서 설명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다른 방안으로서, 도 11을 참조하여, 백홀 서브프레임 패턴에서 반송파 호핑(carrier hopping) 방식에 대하여 설명한다. 특정 주기를 가진 백홀 서브프레임 패턴에서, 백홀 서브프레임이 할당되는 구성반송파들이 상이하게 (구성반송파 호핑)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과 같은 40ms 주기의 백홀 서브프레임 할당에서는 40ms 동안에 백홀 서브프레임이 DL CC0 및 UL CC0에만 할당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40ms 동안에 DL CC0상의 서브프레임(1111, 1113, 1115)과 DL CC1상의 서브프레임(1112, 1114)으로 반송파 호핑되어 할당되고, UL CC0상의 서브프레임(1121, 1123, 1125)과 UL CC1상의 서브프레임(1122, 1124)으로 반송파 호핑되어 할당된다.
본 실시예 3에 따르면, 예를 들어, DL CC0의 서브프레임(1131)이 액세스 하향링크 데이터 (PDSCH) 전송을 위해 할당되는 경우, 전송된 액세스 하향링크 데이터에 대한 단말로부터의 HARQ 피드백이 UL CC0 상에서 4 TTI 이후에 (즉, 서브프레임(1141)에서) 수신될 수 있다. 백홀 상향링크 전송 서브프레임(1122)은 반송파 호핑에 따라서 UL CC1 상에 할당되고, 상기 액세스 링크 HARQ 피드백 서브프레임(1141)은 UL CC0 상에서 수신되므로, 동일한 서브프레임(즉, N+1 번 무선 프레임의 4번 서브프레임)에서 상이한 상향링크 구성반송파를 통하여 백홀 상향링크 전송 및 액세스 상향링크 수신이 수행될 수 있다.
실시예 4
도 12를 참조하여, 백홀 하향링크와 액세스 하향링크에 대한 구성반송파를 설정함에 있어서, LTE-A 전용 하향링크 구성반송파를 정의하는 방안에 대하여 설명한다. 예를 들어, 도 12의 DL CC0는 기존의 LTE (예를 들어, LTE Release 8) 시스템에서와 같은 제약을 가지지 않고, 전체 서브프레임이 백홀 하향링크 수신을 위하여 할당될 수 있는 구성반송파로서 정의될 수 있다. 즉, 기존 LTE 시스템에서 액세스 링크 상의 물리 동기신호, PBCH, 페이징 지시자 또는 페이징 채널의 전송을 위해서 MBSFN 서브프레임으로 설정되지 못하는 서브프레임들(예를 들어, FDD의 경우에 서브프레임 번호 0, 4, 5, 9)은, LTE-A 전용 하향링크 구성반송파에는 존재하지 않게 된다. 이러한 LTE-A 전용 구성반송파를 통해서만 백홀 서브프레임을 할당하는 경우에, 8ms RTT 동기식 HARQ 동작을 수정할 필요가 없고 기존의 8ms RTT HARQ 동작이 그대로 수행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도 12의 UL CC0 과 같이 LTE-A 전용 구성반송파로서 정의되어 백홀 상향링크 전송에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액세스 하향링크 또는 액세스 상향링크 전용 구성반송파를 정의하여 액세스 하향링크 또는 액세스 상향링크 서브프레임 할당에 이용할 수도 있다.
한편, 백홀 하향링크, 액세스 하향링크 및/또는 액세스 상향링크를 위하여 중계기-특정 또는 셀-특정(중계기-공통)으로 하나 이상의 구성반송파를 설정하는 경우에, 확장 구성반송파(extension CC)가 정의될 수 있다. 확장 구성반송파는 하향링크 구성반송파의 경우에 PDCCH 가 정의되지 않는 구성반송파라고 할 수 있다. 또는, PDCCH 뿐만 아니라 CRS(Cell-Specific Reference Signal), PSS(Primary Synchronization Signal), SSS(Secondary Synchronization Signal), PBCH(Primary Broadcast CHannel), DBCH(Dynamic BCH) 또는 PCH(Paging CHannel) 도 정의되지 않는 구성반송파를 확장 구성반송파라 할 수 있다. 즉, 확장 구성반송파는 독립적으로는 할당될 수 없고, 다른 완전한 구성반송파와 함께만 사용될 수 있다.
확장 구성반송파와 관련하여, 반송파 설정/구성 및 주구성반송파의 설정과 관련된 본 발명의 다양한 방안들 및 실시예들에 있어서 다음과 같은 사항을 추가적으로 고려할 수 있다.
하향링크 전송을 위해 설정되는 하향링크 구성반송파가 확장 구성반송파인 경우에, 백홀 하향링크 수신과 액세스 하향링크 전송 간의 TDM 방식 자원분할에 있어서 MBSFN 서브프레임을 적용할 수 없는 제약으로 인한 수정된 방안들을 고려하지 않아도 된다. 즉, 중계기 영역 내의 기존의 LTE 단말들의 측정(measurement)을 지원하는 역방향 호환성(backward-compatiblity)을 위하여, FDD의 경우 하나의 무선 프레임에서 동기 신호 등이 전송되는 서브프레임 번호 0, 4, 5, 9 를 MBSFN 서브프레임으로 설정할 수 없다. 그러나, 확장 구성반송파에서는 동기 신호 등의 전송이 불필요하므로, 확장 구성반송파 상의 모든 서브프레임에서 MBSFN 서브프레임의 구조를 빌려 백홀 하향링크 수신이 할당될 수 있다.
즉, MBSFN 서브프레임 구성에 대하여 10ms 주기의 서브프레임 패턴에서 6 비트 비트맵 파라미터로 주어지는 RRC 파라미터는, 확장 구성반송파에 대해서 10ms 주기의 서브프레임 패턴에서 10 비트 비트맵 파라미터로 설정될 수 있다. 유사하게, 40ms 주기의 서브프레임 패턴에서 24 비트 비트맵 파라미터로 주어지는 RRC 파라미터는, 확장 구성반송파에 대해서 40ms 주기의 서브프레임 패턴에서 40비트 비트맵 파라미터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백홀 하향링크 및 액세스 하향링크 상에서 PDCCH 가 정의되지 않은 구성반송파를 확장 구성반송파로서 설정하는 경우에, 주구성반송파(Primary CC) 설정 및 크로스 캐리어 스케줄링이 고려된다. 즉, 소정의 하향링크 주구성반송파가 설정되고, 주구성반송파를 통해서 CIF(Carrier Indicator Field)를 포함하는 DCI 포맷을 가지는 PDCCH(하향링크 채널할당 PDCCH 또는 상향링크 그랜트 PDCCH)를 통해서, 확장 구성반송파 상에서 액세스 하향링크 데이터(PDSCH) 전송, 백홀 하향링크 데이터(R-PDSCH) 수신, 액세스 상향링크 데이터(PUSCH) 수신, 백홀 상향링크 데이터(R-PUSCH) 전송에 대한 자원 할당 및 전송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중계기 장치, 기지국 장치 및 단말 장치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중계기(1310)는 기지국(1320)과 백홀 상향링크 및 백홀 하향링크를 통하여 제어 정보 및/또는 데이터의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중계기(1310)는 단말(1330)과 액세스 상향링크 및 액세스 하향링크를 통하여 제어 정보 및/또는 데이터의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중계기(1310)는, 수신모듈(1311), 전송모듈(1312), 프로세서(1313), 메모리(1314) 및 복수개의 안테나(516)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안테나는 다중입력다중출력(MIMO) 기법을 지원하는 중계기를 의미한다.
수신모듈(1311)은 기지국으로부터의 백홀 하향링크 및 단말로부터의 액세스 상향링크 상의 각종 신호, 데이터 및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전송모듈(1312)은 기지국으로의 백홀 상향링크 및 단말로의 액세스 하향링크 상의 각종 신호, 데이터 및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프로세서(1313)은 중계기(1310) 전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특히, 프로세서(1313)는 수신모듈(1311) 및 전송모듈(1312)을 통한 각종 신호, 데이터 및 정보의 송수신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중계기(1310)는 다중반송파를 통한 송수신을 지원한다. 즉, 중계기(1310)는 하나 이상의 구성반송파를 통하여 기지국(1320) 및 단말(1330)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백홀 링크 및/또는 액세스 링크의 상향링크와 하향링크 구성반송파의 구성 및 주구성반송파의 설정은 기지국(1320) 또는 중계기(1310)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백홀링크/액세스링크 상의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반송파 및 주구성반송파의 설정에 대한 전술한 다양한 실시예는 프로세서(1313)를 통하여 중계기(1310)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중계기(1310) 또는 기지국(1320)에 의하여 백홀 링크와 액세스 링크의 자원분할(resource partition)이 수행될 수 있다. 자원분할은 백홀링크와 액세스링크 송수신이 수행되는 주파수 영역 자원 (예를 들어, 구성반송파의 주파수 대역) 및 시간 영역 자원 (예를 들어, 서브프레임)을 할당하는 것을 의미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방식의 자원분할 방식은 프로세서(1313)를 통하여 중계기(1310)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반송파 지원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백홀 링크 및 액세스 링크 자원을 할당하는 중계기(1310)의 프로세서(1313)는 다음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프로세서(1313)는, 제 1 상향링크 구성반송파 상에서 백홀 상향링크 전송을 위해 할당되는 서브프레임 패턴을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백홀 링크 서브프레임 패턴은 기지국에 의하여 설정되어 중계기로 지시될 수 있다. 또한, 제 1 상향링크 구성반송파 상에서 백홀 상향링크 전송을 위해 할당되는 서브프레임 패턴은, 제 1 하향링크 구성반송파 상에서 백홀 하향링크 수신을 위해 할당되는 서브프레임 패턴과 HARQ 동작을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하향링크 구성반송파 상에서 백홀 하향링크 수신을 위해 할당되는 서브프레임 패턴은, MBSFN 서브프레임의 설정이 제한되는 서브프레임을 제외한 서브프레임들에서, 10ms 주기의 패턴 (도 9 의 DL CC0 및 UL CC0 상의 백홀 링크 서브프레임 패턴) 또는 40ms 주기의 패턴(도 10의 DL CC0 및 UL CC0 상의 백홀 링크 서브프레임 패턴)을 가질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313)는, 동기식(synchronous) HARQ 동작에 따라서 제 1 상향링크 구성반송파 상에서 액세스 상향링크 수신이 요구되는 서브프레임을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동기식 HARQ 동작은 8 TTI 의 왕복시간(RTT)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상향링크 구성반송파 상의 n 번째 서브프레임에서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에 대하여 제 1 하향링크 구성반송파 상의 n+4 번째 서브프레임에서 ACK/NACK이 단말로 전송될 수 있으며, NACK이 전송되는 경우 제 1 상향링크 구성반송파 상의 n+8 번째 서브프레임에서 단말로부터 상기 데이터가 재전송될 수 있다. 또는, 제 1 하향링크 구성반송파 상의 m 번째 서브프레임에서 단말로 데이터가 전송될 수 있고, 단말은 이에 대하여 제 1 상향링크 구성반송파 상의 m+4 번째 서브프레임에서 중계기로 ACK/NACK 피드백을 전송할 수 있다. 즉, 동기식 HARQ 동작에 따라서 제 1 상향링크 구성반송파 상에서 액세스 상향링크 수신이 요구되는 서브프레임이란, 전자의 경우에 첫 번째 액세스 상향링크 재전송이 요구되는 제 1 상향링크 구성반송파 상의 n+8 번째 서브프레임, 또는 후자의 경우에 ACK/NACK 전송이 요구되는 제 1 상향링크 구성반송파 상의 m+4 번째 서브프레임에 해당한다.
또한, 프로세서(1313)는, 제 1 상향링크 구성반송파 상에서 액세스 상향링크 수신이 요구되는 서브프레임과 백홀 상향링크 전송을 위해 할당되는 서브프레임이 동일한지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양자가 동일한 것으로 결정되는 경우에, 프로세서(1313)는, 반송파 스위칭 지시 정보를 포함하는 자원 할당 제어 정보를 전송 모듈을 통하여 단말로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반송파 스위칭 지시 정보는, 동기식 HARQ 동작에 따른 상기 액세스 상향링크 수신을 위한 서브프레임이 제 1 상향링크 구성반송파가 아닌 제 2 상향링크 구성반송파 상에 할당되는 것을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반송파 스위칭 지시 정보는, 제 2 상향링크 구성반송파의 인덱스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스위칭될 구성반송파 (즉, 제 2 상향링크 구성반송파)가 상위 계층 시그널링 등에 의하여 미리 결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반송파 스위칭 지시 정보는 반송파 스위칭 트리거링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프로세서(1313)에 의하여 단말로 전송되는 반송파 스위칭 지시 정보를 포함하는 자원할당 제어정보는, 액세스 상향링크 재전송이 전송될 구성반송파를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상향링크 그랜트 (UL grant), 또는 액세스 하향링크 데이터 전송에 대한 피드백(ACK/NACK)이 전송될 구성반송파를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하향링크 할당(DL assignment)일 수 있다.
중계기(1310)의 프로세서(1313)는 그 외에도 중계기가 수신한 정보, 외부로 전송할 정보 등을 연산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메모리(1314)는 연산 처리된 정보 등을 소정시간 동안 저장할 수 있으며, 버퍼(미도시) 등의 구성요소로 대체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수단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펌웨어(firmware), 소프트웨어 또는 그것들의 결합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 컨트롤러, 마이크로 컨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펌웨어나 소프트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이상에서 설명된 기능 또는 동작들을 수행하는 모듈, 절차 또는 함수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 유닛에 저장되어 프로세서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 유닛은 상기 프로세서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하여, 이미 공지된 다양한 수단에 의해 상기 프로세서와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개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구현하고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되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본 발명의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상술한 실시예들에 기재된 각 구성을 서로 조합하는 방식으로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할 수 있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들은 다양한 이동통신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Claims (14)

  1. 다중 반송파 지원 무선 통신 시스템의 중계기에서 자원을 할당하는 방법으로서,
    제 1 상향링크 구성반송파 상에서 중계기로부터 기지국으로의 백홀 상향링크 전송을 위해 할당되는 서브프레임 패턴을 결정하는 단계;
    동기식(synchronous) HARQ 동작에 따라서 상기 제 1 상향링크 구성반송파 상에서 단말로부터 상기 중계기로의 액세스 상향링크 수신이 요구되는 서브프레임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 1 상향링크 구성반송파 상에서 상기 액세스 상향링크 수신이 요구되는 서브프레임이 상기 백홀 상향링크 전송을 위해 할당되는 서브프레임과 동일한 것으로 결정되는 경우에, 반송파 스위칭 지시 정보를 포함하는 자원 할당 제어 정보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원 할당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파 스위칭 지시 정보는,
    상기 동기식 HARQ 동작에 따른 상기 액세스 상향링크 수신을 위한 서브프레임이 제 2 상향링크 구성반송파 상에 할당되는 것을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자원 할당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파 스위칭 지시 정보는,
    상기 제 2 상향링크 구성반송파의 인덱스 정보, 또는 상기 반송파 스위칭 트리거링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자원 할당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상향링크 구성반송파 상에서 상기 액세스 상향링크 수신이 요구되는 서브프레임은, 상기 동기식 HARQ 동작에 따라서 액세스 상향링크 데이터의 재전송을 수신하기 위한 서브프레임이고,
    상기 자원 할당 제어 정보는 상향링크 그랜트인, 자원 할당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상향링크 구성반송파 상에서 상기 액세스 상향링크 수신이 요구되는 서브프레임은, 상기 동기식 HARQ 동작에 따라서 액세스 하향링크 데이터 전송에 대한 피드백을 수신하기 위한 서브프레임이고,
    상기 자원 할당 제어 정보는 상기 백홀 하향링크 데이터 전송에 대한 하향링크 할당인, 자원 할당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상향링크 구성반송파 상에서 상기 백홀 상향링크 전송을 위해 할당되는 서브프레임 패턴은,
    제 1 하향링크 구성반송파 상에서 백홀 하향링크 수신을 위해 할당되는 서브프레임 패턴과 HARQ 동작을 구성하는, 자원 할당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하향링크 구성반송파 상에서 상기 백홀 하향링크 수신을 위해 할당되는 서브프레임 패턴은,
    MBSFN 서브프레임의 설정이 제한되는 서브프레임을 제외한 서브프레임들에서, 10ms 주기의 패턴 또는 40ms 주기의 패턴을 가지는, 자원 할당 방법.
  8. 다중 반송파 지원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 할당을 수행하는 중계기로서,
    기지국으로부터 백홀 하향링크 및 단말로부터 액세스 상향링크를 수신하는 수신 모듈;
    상기 기지국으로 백홀 상향링크 및 상기 단말로 액세스 하향링크를 전송하는 전송 모듈; 및
    상기 수신 모듈 및 상기 전송 모듈을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제 1 상향링크 구성반송파 상에서 상기 백홀 상향링크 전송을 위해 할당되는 서브프레임 패턴을 결정하고,
    동기식(synchronous) HARQ 동작에 따라서 상기 제 1 상향링크 구성반송파 상에서 액세스 상향링크 수신이 요구되는 서브프레임을 결정하며,
    상기 제 1 상향링크 구성반송파 상에서 상기 액세스 상향링크 수신이 요구되는 서브프레임이 상기 백홀 상향링크 전송을 위해 할당되는 서브프레임과 동일한 것으로 결정되는 경우에, 반송파 스위칭 지시 정보를 포함하는 자원 할당 제어 정보를 상기 전송 모듈을 통하여 상기 단말로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자원 할당 수행 중계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파 스위칭 지시 정보는,
    상기 동기식 HARQ 동작에 따른 상기 액세스 상향링크 수신을 위한 서브프레임이 제 2 상향링크 구성반송파 상에 할당되는 것을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자원 할당 수행 중계기.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파 스위칭 지시 정보는,
    상기 제 2 상향링크 구성반송파의 인덱스 정보, 또는 상기 반송파 스위칭 트리거링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자원 할당 수행 중계기.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상향링크 구성반송파 상에서 상기 액세스 상향링크 수신이 요구되는 서브프레임은, 상기 동기식 HARQ 동작에 따라서 액세스 상향링크 데이터의 재전송을 수신하기 위한 서브프레임이고,
    상기 자원 할당 제어 정보는 상향링크 그랜트인, 자원 할당 수행 중계기.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상향링크 구성반송파 상에서 상기 액세스 상향링크 수신이 요구되는 서브프레임은, 상기 동기식 HARQ 동작에 따라서 액세스 하향링크 데이터 전송에 대한 피드백을 수신하기 위한 서브프레임이고,
    상기 자원 할당 제어 정보는 상기 백홀 하향링크 데이터 전송에 대한 하향링크 할당인, 자원 할당 수행 중계기.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상향링크 구성반송파 상에서 상기 백홀 상향링크 전송을 위해 할당되는 서브프레임 패턴은,
    제 1 하향링크 구성반송파 상에서 백홀 하향링크 수신을 위해 할당되는 서브프레임 패턴과 HARQ 동작을 구성하는, 자원 할당 수행 중계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하향링크 구성반송파 상에서 상기 백홀 하향링크 수신을 위해 할당되는 서브프레임 패턴은,
    MBSFN 서브프레임의 설정이 제한되는 서브프레임을 제외한 서브프레임들에서, 10ms 주기의 패턴 또는 40ms 주기의 패턴을 가지는, 자원 할당 수행 중계기.
KR1020117027299A 2009-06-08 2010-06-08 다중 반송파 지원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중계기 백홀 링크 및 액세스 링크 상의 반송파 할당 방법 KR2012006094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8518809P 2009-06-08 2009-06-08
US61/185,188 2009-06-08
US26650909P 2009-12-04 2009-12-04
US61/266,509 2009-12-04
PCT/KR2010/003666 WO2010143867A2 (ko) 2009-06-08 2010-06-08 다중 반송파 지원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중계기 백홀 링크 및 액세스 링크 상의 반송파 할당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0940A true KR20120060940A (ko) 2012-06-12

Family

ID=433093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7299A KR20120060940A (ko) 2009-06-08 2010-06-08 다중 반송파 지원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중계기 백홀 링크 및 액세스 링크 상의 반송파 할당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811262B2 (ko)
KR (1) KR20120060940A (ko)
WO (1) WO2010143867A2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03358A1 (ko) * 2012-06-24 2014-01-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간 직접 통신 수행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WO2014077583A1 (en) * 2012-11-14 2014-05-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uplink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operation in an asymmetric multicarrier communication network environment
US9660788B2 (en) 2012-11-14 2017-05-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uplink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operation in an asymmetric multicarrier communication network environment
KR20220063538A (ko) * 2020-11-10 2022-05-17 주식회사 큐셀네트웍스 5g 무선 백홀 시스템의 데이터 신뢰성 향상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352266A4 (en) * 2008-10-29 2016-03-23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EFFICIENT TRANSMISSION OF PHYSICAL CHANNELS IN A MULTI-CARRIER AGGREGATION STATE TO A SUPPORTING BROADBAND
WO2010104957A2 (en) * 2009-03-12 2010-09-16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and reselecting an uplink primary carrier
US8861424B2 (en) 2009-07-06 2014-10-14 Qualcomm Incorporated Downlink control channel for relay resource allocation
JP4989692B2 (ja) 2009-07-29 2012-08-01 シャープ株式会社 移動通信システム、基地局装置、移動局装置、および、通信方法
US8804601B2 (en) * 2009-08-05 2014-08-12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signal relay method, and signal allocation method
KR20110036479A (ko) 2009-10-01 2011-04-07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harq 피드백을 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750371B1 (ko) * 2009-12-24 2017-07-03 삼성전자 주식회사 크로스 캐리어 스케쥴링을 지원하는 tdd 통신시스템에서 물리채널의 송수신 타이밍을 정의하는 방법
WO2011083983A2 (ko) 2010-01-08 2011-07-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반송파 집성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신호 수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EP2532201A1 (en) * 2010-02-02 2012-12-12 Nokia Corp. Methods and apparatuses for resource mapping for multiple transport blocks over wireless backhaul link
CN102835163B (zh) * 2010-02-11 2016-08-10 爱立信(中国)通信有限公司 类型ii中继网络中的链路自适应
JP5172885B2 (ja) * 2010-04-05 2013-03-27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無線中継局装置、無線基地局装置及びリレー周波数割り当て方法
US9392608B2 (en) 2010-04-13 2016-07-12 Qualcomm Incorporated Resource partitioning information for enhanced interference coordination
US8411631B2 (en) * 2010-06-11 2013-04-02 Intel Corporation Response mechanisms for wireless networks using wide bandwidth
CN102378325B (zh) * 2010-08-13 2016-03-30 索尼公司 对终端的副小区的上行链路进行激活和去激活的方法及装置
EP2421321B1 (en) * 2010-08-16 2017-12-27 BlackBerry Limited Methods and mobile station for reestablishing a connection by way of NAS procedures
US8797896B2 (en) * 2010-08-25 2014-08-05 Futurewei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assigning backhaul resources
WO2012041897A2 (en) * 2010-09-28 2012-04-05 Nokia Siemens Networks Oy Carrier indicator field usage and configuration in carrier aggregation
WO2012082763A1 (en) * 2010-12-16 2012-06-21 Powerwave Technologies, Inc. Improving data throughput for cell-edge users in a lte network using down-link repeaters and up-link harq relays
CN102594435B (zh) * 2011-01-11 2014-11-05 华为技术有限公司 中继站点子帧配置方法、装置和通信系统
WO2012118281A2 (ko) * 2011-03-01 2012-09-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반송파 집성 기법이 적용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릴레이 노드가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WO2012124432A1 (en) * 2011-03-11 2012-09-20 Nec Corpor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relay station, and base station
US8493353B2 (en) * 2011-04-13 2013-07-23 Longsand Limited Methods and systems for generating and joining shared experience
US20140098785A1 (en) * 2011-07-04 2014-04-10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s and apparatuses for an extended bandwidth carrier
US9160513B2 (en) 2011-07-28 2015-10-13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signaling control data of aggregated carriers
US9083517B2 (en) * 2011-08-17 2015-07-14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aggregating carriers of a backhaul connection
CN103108392B (zh) * 2011-11-10 2017-12-15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中继节点物理下行控制信道的资源分配方法及装置
US10154442B2 (en) * 2012-01-12 2018-12-11 Futurewei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wireless link configuration
JP5945007B2 (ja) * 2012-01-29 2016-07-05 アルカテル−ルーセント 時分割複信無線通信システムの高干渉インジケータ(hii)
US9143984B2 (en) * 2012-04-13 2015-09-22 Intel Corporation Mapping of enhanced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R201820348T4 (tr) 2012-05-11 2019-01-21 Ericsson Telefon Ab L M Downlink programlaması için aygıt ve usul.
CN103580833B (zh) * 2012-07-25 2018-08-14 上海诺基亚贝尔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配置载波聚合的方法和设备
US9295048B2 (en) 2012-09-24 2016-03-22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hybrid carrier aggregation
US9397819B2 (en) 2012-10-02 2016-07-1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Extension carrier for ARQ
US20150296509A1 (en) * 2012-11-23 2015-10-15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ceiving control signal, and apparatus therefor
US9231681B2 (en) * 2013-01-21 2016-01-05 Intel Corporatio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of wireless backhaul and access communication via a common antenna array
US9419700B2 (en) 2013-03-18 2016-08-16 Electronics &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for wireless communication based on relay and apparatus for the same
US9848364B2 (en) * 2015-01-29 2017-12-19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Wireless data transmission
US10383136B2 (en) * 2015-08-24 2019-08-13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 apparatus for backhaul and access link scheduling in integrated access and backhaul network and synchronized networks
EP3361798B1 (en) 2015-10-06 2020-12-30 Sony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US10541785B2 (en) 2016-07-18 2020-01-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Carrier aggregation with variable transmission durations
US10375707B2 (en) 2016-08-04 2019-08-06 Qualcomm Incorporated Dynamic resource allocation in wireless network
CN108811097B (zh) * 2017-05-02 2021-02-23 华为技术有限公司 资源指示方法及通信设备
CN108811173B (zh) * 2017-05-05 2021-09-03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随机接入方法、基站设备及用户设备
CN110493874B (zh) * 2017-11-02 2020-12-04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通信方法及装置
US20200359391A1 (en) * 2017-11-16 2020-11-12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Feedback signaling processes for radio access networks
CN110380813A (zh) * 2018-04-12 2019-10-25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信息接收、发送,帧结构的配置方法及装置
CN110691416B (zh) * 2018-07-05 2023-06-09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资源调度的方法和装置
US20210345322A1 (en) * 2018-09-27 2021-11-04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Method and apparatus for resource allocation
CN116530164A (zh) * 2020-10-15 2023-08-01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确定用于控制信道传输的载波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31583B2 (en) * 2005-03-30 2011-10-04 Motorola Mobilit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round trip latency and overhead within a communication system
US7990906B2 (en) * 2006-11-03 2011-08-02 Fujitsu Semiconductor Limited Frame structure for a relay station operating in mobile networks
KR101485977B1 (ko) * 2007-11-21 2015-01-23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이중 중계방식을 기반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자원할당을 위한 프레임 구조, 방법 및 장치
KR100884744B1 (ko) * 2007-11-21 2009-02-1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 통신 시스템의 프레임 구성 방법
US8934417B2 (en) * 2009-03-16 2015-01-13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Resource allo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03358A1 (ko) * 2012-06-24 2014-01-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간 직접 통신 수행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9648623B2 (en) 2012-06-24 2017-05-09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device for performing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terminal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14077583A1 (en) * 2012-11-14 2014-05-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uplink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operation in an asymmetric multicarrier communication network environment
US9660788B2 (en) 2012-11-14 2017-05-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uplink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operation in an asymmetric multicarrier communication network environment
US10200180B2 (en) 2012-11-14 2019-02-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uplink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operation in an asymmetric multicarrier communication network environment
KR20220063538A (ko) * 2020-11-10 2022-05-17 주식회사 큐셀네트웍스 5g 무선 백홀 시스템의 데이터 신뢰성 향상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811262B2 (en) 2014-08-19
WO2010143867A3 (ko) 2011-03-31
US20120069795A1 (en) 2012-03-22
WO2010143867A2 (ko) 2010-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99837B2 (en) Method for setting dynamic subfram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therefor
US8811262B2 (en) Method in which a relay allocates carriers on a backhaul link and an access link in a multi-carrier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848597B2 (en) Channel status information feedback method and apparatu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ith relay station
US918569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wireless resource allocation for relay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602249B2 (en) Method and device for setting backhaul link subfram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having carrier aggregation technique applied thereto
JP6370861B2 (ja) 制御情報を伝送する方法及びそのための装置
KR101789630B1 (ko) 다중 반송파 지원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중계기의 신호 송수신 방법
KR101919780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확인응답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781871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수신 장치가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
US923697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receiving control inform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that supports carrier aggregation
US8989079B2 (en)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uplink backhaul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US9143294B2 (en) Method of using component carrier by relay station in multi-carrier system and relay station
US868748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in relay system
US953851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control inform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065647B2 (en) Method and apparatus of transmitting control inform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12115364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channel status information to macro base station by relay nod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to which carrier aggregation is applied
US20120236783A1 (en) Repeater apparatus for simultaneously transceiving signal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same
WO2014163415A1 (ko) 동일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복수의 사이트들에 자원을 할당하는 방법 및 장치
EP2683097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signal through a relay nod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in which a carrier aggregation method is applied
US9119174B2 (en) Method and device for user equipment transmitting ACK/NACK signals to relay nod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130148622A1 (en) Method and device for relay node retransmitting backhaul uplink to base st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