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60565A - 콘텐츠-중심적인 네트워크로의 점진적인 전환을 위한 방법 및 이를 기반으로 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 Google Patents

콘텐츠-중심적인 네트워크로의 점진적인 전환을 위한 방법 및 이를 기반으로 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60565A
KR20120060565A KR1020100122132A KR20100122132A KR20120060565A KR 20120060565 A KR20120060565 A KR 20120060565A KR 1020100122132 A KR1020100122132 A KR 1020100122132A KR 20100122132 A KR20100122132 A KR 20100122132A KR 20120060565 A KR20120060565 A KR 201200605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request packet
agent
information
p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21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태완
최훈규
서준호
권태경
최양희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001221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60565A/ko
Publication of KR201200605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056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60Scheduling or organising the servicing of application requests, e.g. requests for application data transmissions using the analysis and optimisation of the required network resources
    • H04L67/63Routing a service request depending on the request content or contex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현재의 네트워크로부터 콘텐츠 중심적 속성을 가지는 네트워크로의 점진적인 변화를 위한 콘텐츠 인지 엔티티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콘텐츠 소비자 단말로부터 콘텐츠 요청 패킷을 수신하고, 콘텐츠 식별자를 이용하여 콘텐츠 제공자를 검색하여 콘텐츠 요청을 보내는 콘텐츠 인지 에이전트, 및 콘텐츠 정보에 따라 콘텐츠 라우팅 또는 인터넷 프로토콜 라우팅을 가능하게 하는 콘텐츠 인지 라우터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는, 기존 네트워크와 호환이 가능하도록 콘텐츠 인지 엔티티들이 콘텐츠 정보가 포함된 콘텐츠 요청 패킷 및 콘텐츠 전송 패킷을 전달하는 방법 및 그러한 네트워크 시스템 구조를 제안한다.

Description

콘텐츠-중심적인 네트워크로의 점진적인 전환을 위한 방법 및 이를 기반으로 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Method and System for Smooth Migration toward Contents-aware Networking Architecture}
본 발명은 통신 네트워크에 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인터넷 프로토콜 기반 네트워크에서 호환될 수 있는 콘텐츠-중심적인 네트워크 패킷 전송 방법 및 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기존의 호스트 기반 네트워킹 기술은 최근 DONA(Data-Oriented Network Architecture) 또는 CCN(Content Centric Networks)와 같은 콘텐츠 중심의 네트워킹 기술로의 변화를 모색하고 있다.
콘텐츠-중심적 네트워크란 일반적으로 콘텐츠 중심적 속성을 만족시켜 콘텐츠 전달을 용이하게 하는 네트워크를 의미한다. 여기에서 콘텐츠 중심적 속성이란 콘텐츠의 가용성, 보안성 및 위치독립적인 성격을 포함한다. 콘텐츠 가용성이란 네트워크가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요청된 콘텐츠를 전송하는 것을 의미한다. 콘텐츠 보안성이란 크게 두 가지를 의미할 수 있다. 하나는 콘텐츠 자체의 무결성이고, 다른 하나는 신뢰성 즉 콘텐츠를 제공하는 제공자가 믿을만한지에 대한 것을 의미한다. 콘텐츠 위치독립적인 성격을 갖는다는 의미는 콘텐츠 제공자의 위치와 무관하게 네트워크는 효율적으로 콘텐츠를 제공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콘텐츠-중심적 네트워크는 콘텐츠의 가용성, 보안성, 위치 독립적인 성격 등 많은 장점을 가질 뿐만 아니라 네트워크의 효율성도 높일 수 있다. 그러나 현재 네트워크는 인터넷 프로토콜 기반으로 구축되어 있는 바, 이를 콘텐츠 중심적 속성을 충족시키도록 하기 위해서는 급진적인 네트워크 기술의 변화를 필요로 한다는 문제가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예와 관련한 패킷 전송 방법 및 장치에서는, 콘텐츠 소비자 단말로부터 콘텐츠 요청 패킷을 수신하고, 콘텐츠 요청 패킷으로부터 요청된 콘텐츠를 나타내는 콘텐츠 식별자를 획득하고, 콘텐츠 식별자에 기초하여 요청된 콘텐츠를 제공하는 콘텐츠 에이전트를 검색하여, 검색된 콘텐츠 에이전트의 주소를 이용하여 상기 콘텐츠 요청 패킷의 헤더를 수정하고, 수정된 콘텐츠 요청 패킷을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검색된 콘텐츠 에이전트로 전송한다.
본 발명의 일 예와 관련한 패킷 전송 방법 및 장치에서는, 송신지 정보 및 콘텐츠 식별자를 포함하는 콘텐츠 요청 패킷을 수신하고, 콘텐츠 요청 패킷으로부터 상기 송신지 정보 및 상기 콘텐츠 식별자를 획득한다. 콘텐츠 식별자가 나타내는 콘텐츠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에는 바로 콘텐츠를 전송하고,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콘텐츠 라우팅 정보가 콘텐츠 라우팅 테이블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상기 콘텐츠 라우팅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콘텐츠-중심 네트워크로 콘텐츠 라우팅을 하고, 그렇지 않으면, 인터넷 프로토콜 라우팅을 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패킷 전송 방법의 일 예에 있어서는, 콘텐츠 요청 패킷의 헤더에는 상기 콘텐츠 요청 패킷의 송신지 및 목적지 정보가 포함되고, 이를 송신할 때 송신지는 상기 콘텐츠 요청 패킷을 수신한 노드의 주소로, 상기 목적지는 상기 검색된 에이전트의 주소로 수정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구성된 전송 네트워크에서는, 콘텐츠 소비자 단말로부터 콘텐츠 요청 패킷을 수신하는 제 1 에이전트 및 콘텐츠 요청 패킷을 이용하여 콘텐츠 제공자 단말에게 콘텐츠를 요청하는 제 2 에이전트가 포함된다. 에이전트들은 각각 콘텐츠 소비자 및 제공자 단말과 논리적으로 한 홉 떨어진 곳에 존재하여 콘텐츠 요청 패킷의 처리 및 전송을 담당하게 된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와 이점을 제공한다.
첫째, 콘텐츠-중심적인 전송 방법을 이용함으로써 보다 빠르고 효율적인 패킷 전송을 가능하게 한다.
둘째, 현재의 인터넷 프로토콜 네트워크와 호환성을 유지하면서, 콘텐츠 중심 엔티티들을 추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현재의 네트워크에서 급진적 기술 변화나 인프라 교체 없이도 콘텐츠-중심 네트워크로의 점진적인 변화가 가능하게 한다.
셋째, 콘텐츠 인지 엔티티들에서 콘텐츠 관리를 통해 신뢰성 있는 콘텐츠만 단말로 전달 할 수 있다.
넷째, 단말은 콘텐츠 인지 에이전트 간에 연결을 형성하고, 단말의 요청 및 응답 과정을 콘텐츠 인지 에이전트가 대신 수행함으로써, 단말이 연결된 네트워크의 형태와 무관하게 콘텐츠-중심 네트워킹을 할 수 있도록 한다.
다섯째, 콘텐츠 인지 엔티티를 통해 신뢰성이 보장되지 않은 패킷 요청을 차단할 수 있으며, 트래픽 관리를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네트워크 트래픽을 이용한 공격(예를 들어, DOS) 으로부터 콘텐츠 공급자를 보호할 수 있다.
여섯째, 네트워크 내의 복수의 콘텐츠 인지 엔티티들이 한번 전송된 콘텐츠를 저장하여, 콘텐츠 제공 역할을 분산시켜 네트워크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중심 네트워크 레이어 구조 및 패킷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콘텐츠 소비자가 콘텐츠를 요청할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소비자 및 콘텐츠 인지 에이전트간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콘텐츠 소비자가 콘텐츠를 요청할 경우,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소비자 및 콘텐츠 인지 에이전트간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콘텐츠 요청 패킷을 수신할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제공자 및 콘텐츠 인지 에이전트간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콘텐츠 요청 패킷을 수신할 경우,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제공자 및 콘텐츠 인지 에이전트간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인지 라우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인지 라우터의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콘텐츠 소비자에서 콘텐츠 제공자까지 패킷이 이동되는 과정과 패킷 변화를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콘텐츠'란 텍스트, 이미지, 오디오 및/또는 비디오들과 같은 임의의 형태의 모든 데이터를 포함하는 용어이다. 본 명세서에서 콘텐츠란 용어는 하나의 콘텐츠 전체 또는 그 일부분을 지칭할 수 있다. '레거시(Legacy)'란 과거에 개발되어 현재에도 사용되는 기술을 의미하는 용어로, 본 명세서에서는 특별히 현재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중인 인터넷 프로토콜(Internet Protocol, IP) 기반 네트워크에서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를 지칭할 수 있지만,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콘텐츠 소비자'는 콘텐츠를 요청하거나 수신하는 네트워크 상의 엔티티를 의미하며, '콘텐츠 제공자'는 콘텐츠를 제공하거나 송신하는 네트워크 상의 엔티티를 의미한다. 말단에서의 콘텐츠 소비자 또는 제공자는 컴퓨터, 사람 또는 자동화된 프로세스 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을 도시한 것이다. 네트워크의 각각의 노드들은 하나 이상의 다른 노드들에 결합된다. 도면에서 네트워크 결합이 하나의 실선으로 도시되었더라도, 각 실선들은 두 노드들을 결합할 수 있는 서브네트워크 또는 슈퍼 네트워크들을 나타낼 수도 있을 것이다. 네트워크 접속은 유선 및/또는 무선의 모든 유형의 접속(예를 들어, 광대역 통신망, 무선 인터넷, 전화, 위성, 적외선 통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노드들은 호스트(컴퓨터 시스템), 호스트들의 클러스터 또는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 및/또는 임의의 엔티티일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인터넷 프로토콜 기반 네트워크(150) 및 콘텐츠-중심 네트워크(160)와 같이 서로 다른 방식의 네트워크가 연결될 수 있다. 인터넷 프로토콜 기반 네트워크(150)에서는 IP 주소를 이용하여 말단에서 말단으로의 통신이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송신자 측에서는 자신의 IP 주소 및 패킷을 전달하려는 목적지 IP 주소를 패킷에 기록하여 전송한다. 네트워크 내의 각 노드들은 패킷을 수신하면, 수신한 패킷의 정보를 확인하여 요청된 목적지로 패킷을 전송하게 된다. 반면에, 콘텐츠-중심 네트워크(160)에서는 단말 대 단말이 아닌 요청된 콘텐츠를 중심으로 통신이 이루어진다.
콘텐츠-중심 네트워크에서는 특정 콘텐츠를 구분하기 위하여 콘텐츠 아이디(Content identifier, CID)를 이용할 수 있다. 콘텐츠 아이디는 개개의 콘텐츠에 부여되는 고유의 식별자를 의미한다. 이러한 콘텐츠 아이디는 예를 들어 웹 탐색을 통해 얻거나, 콘텐츠 데이터 베이스를 검색하거나 콘텐츠 자체의 내용을 이용하여 획득할 수 있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콘텐츠 아이디의 형태는 문자, 숫자 및/또는 기호 등 형태의 제한이 없으며 바람직하게는, 도메인 정보, IP 주소, 포트 번호, 콘텐츠 이름 및/또는 이를 암시할 수 있는 것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콘텐츠 소비자(102 또는 104)가 네트워크 상에 특정 콘텐츠를 요청하면, 그러한 요청을 받게 되는 콘텐츠 제공자(106)가 이를 제공하고, 다시 네트워크를 통해 콘텐츠를 요청한 소비자(102 또는 104)에게 전달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각 콘텐츠 소비자(102, 104)은 인터넷 프로토콜 기반 네트워크(150)를 이용하면서도 콘텐츠-기반 네트워크(160)와도 연결되며, 기존의 IP 기반 뿐만 아니라 콘텐츠-중심의 네트워킹이 가능하다. 이러한 네트워크 시스템을 위하여, 기존의 인터넷 프로토콜 기반 네트워크 구조를 크게 변형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콘텐츠 인지 에이전트(112, 114, 116) 및 콘텐츠 인지 라우터(122, 124) 라는 새로운 엔티티가 포함 된다. 이처럼 기존 네트워크 구조에 호환되는 새로운 엔티티를 추가하여 콘텐츠-중심 네트워킹을 구현함으로써, 인터넷 프로토콜 기반 네트워크에서 콘텐츠-중심 네트워크로의 점진적인 변화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물론 네트워크 내에는 기존 IP 기반 네트워크의 도메인 네임 시스템(130), 레거시 라우터(152) 등도 포함될 수 있다. 콘텐츠 인지 에이전트(124)는 레거시 라우터(152) 및 콘텐츠-중심 네트워크 라우터(162) 모두와 통신이 가능하며, 구체적인 기능 및 동작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3 내지 도 9 등을 참조하여 상술한다.
이하에서는, 현재의 인터넷 프로토콜 기반 네트워크 인프라에서 이러한 콘텐츠-중심 네트워크로의 점진적인 변화를 구현하기 위한 네트워크 구조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중심 네트워크 레이어 구조 및 패킷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콘텐츠-중심 네트워크 레이어(200)에서는 Transit 계층(214) 및 Global 계층(216)을 포함하고, 물리(physical) 계층(210), 연결(Link) 계층(212) 및 응용(Application) 계층(218)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현재 이용되고 있는 인터넷 프로토콜 기반 네트워크 레이어 구조와 비교할 때, Transit 계층(214)은 IP 계층, Global 계층(216)은 Transport 계층에 대응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네트워크에서 전송되는 패킷(250)의 Transit 헤더(252)에는 IP 헤더가, Global 헤더(254)에는 TCP(또는 UDP) 헤더가 포함된다. IP 헤더에는 패킷의 송신지 및 목적지의 IP 주소가 포함되어 패킷이 어디에서 어디로 전달될지를 알려준다. 따라서 이러한 네트워크 레이어 구조는 기존 인터넷 프로토콜 기반 네트워크와도 호환성(backward-compatibility)를 가지게 된다. 콘텐츠-중심 네트워크 레이어(200)에는 콘텐츠 정보 처리를 위한 콘텐츠(Content) 계층(220)이 추가 된다.
Global 헤더(254)에는 추가적으로 콘텐츠 아이디 및 기타 콘텐츠와 관련된 정보들이 포함될 수 있다. 하지만, 일반적인 인터넷 프로토콜 구조는 콘텐츠 레이어를 포함하지 않으므로, 이를 기반으로 설계된 엔티티(예를 들면, 레거시 라우터)들은 이러한 콘텐츠 정보들을 인식하지 못한다. 따라서 콘텐츠 정보 인식을 위한 새로운 엔티티로써 콘텐츠 인지 에이전트 및 콘텐츠 인지 라우터를 이용할 수 있다. 기존의 인터넷 프로토콜 기반 네트워크에서 IP 계층의 송신지 및 목적지 정보가 각각 패킷이 처음 송신된 노드 및 최종 목적지 노드, 즉 단말에서 단말의 관계를 나타내는 것에 반하여, 본 발명에서의 transit 계층의 송신지 및 목적지 정보는 패킷 전송(transit) 순간의 송신지 및 목적지를 나타낸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최종 목적지를 식별하기 위하여 콘텐츠 정보를 이용하게 된다. 이 때 콘텐츠 아이디가 이용 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콘텐츠 아이디에는 도메인 네임, IP 주소, 포트 번호 및/또는 이를 암시하는 것 등이 포함된다. 이러한 콘텐츠 아이디를 이용하여 네트워크 내의 엔티티들이 IP 라우팅 및 DNS 검색을 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인지 에이전트는 콘텐츠 소비자 또는 제공자로부터 논리적으로 한 홉(hop)만큼 떨어진 곳에 위치할 수 있다. 콘텐츠 인지 에이전트에는 연결된 단말 노드으로부터 콘텐츠 요청을 인식하여 이에 대해 응답할 수 있는 기능이 추가되고, 콘텐츠 소비자 또는 제공자는 콘텐츠 인지 에이전트를 통해서만 네트워크와 연결된다. 따라서 콘텐츠 인지 에이전트는 네트워크 내에서 콘텐츠 소비자 또는 제공자를 대신하여 콘텐츠 요청 및 전달을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네트워크에서의 패킷 이동은 콘텐츠 인지 에이전트를 거쳐서 이루어지므로, 신뢰성이 보장되지 않은 패킷 요청을 차단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콘텐츠 인지 에이전트가 트래픽 관리를 할 수 있어서, 예를 들어 서비스 거부 공격 (Denial of Service attack, DoS) 또는 분산 서비스 거부 공격 (Distributed DoS) 등과 같은 네트워크 트래픽을 이용한 공격으로부터 콘텐츠 공급자를 보호할 수 있다.
도 3은 콘텐츠 요청 패킷을 전송할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소비자 및 콘텐츠 인지 에이전트간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콘텐츠 소비자(102) 및 콘텐츠 인지 에이전트(112)간에는 연결이 이루어진 상태, 즉 콘텐츠 인지 에이전트(112)가 기본적으로 콘텐츠를 전달 받을 수 있는 서버로 이용된다고 가정한다. 이러한 연결은 콘텐츠 인지 에이전트(112)가 콘텐츠 소비자(102)에게 자신의 IP 주소를 알리면 콘텐츠 소비자(102)는 이를 기본 게이트웨이로 설정하여 생성할 수 있다.
콘텐츠 소비자(102)가 콘텐츠가 필요할 경우, 원하는 콘텐츠에 대한 콘텐츠 아이디를 획득한다. 예를 들면, 웹검색을 통해 URL(Uniform Resource Locator) 또는 URN(Uniform Resource Name)과 같은 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 형태의 콘텐츠 아이디를 획득할 수 있다. 콘텐츠 소비자(102)는 Transit 헤더(252)의 송신지 필드에 자신의 IP 주소를, 목적지 필드에 콘텐츠 인지 에이전트(112)의 IP 주소를 기록하고, Global 헤더(254)에는 요청하는 콘텐츠에 대한 콘텐츠 아이디를 기록한 콘텐츠 요청 패킷을 전송한다(S312). 이러한 패킷은 목적지인 콘텐츠 인지 에이전트(112)로 전달된다(S352).
콘텐츠 인지 에이전트(112)는 자신이 관리하는 콘텐츠 정보 베이스(Content Information Base, CIB)에 요청된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추가한다(S356). 콘텐츠 정보 베이스에서 관리되는 정보로는 콘텐츠 소비자(102)의 주소 및 요청된 콘텐츠 아이디가 포함된다. 특정 콘텐츠 인지 에이전트에 .콘텐츠 요청이 몰리게 되어 선형적으로 메모리를 차지하게 되면 확장성(scalability)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인지 에이전트에서는 콘텐츠 정보 베이스 유지 정책을 적용한다. 콘텐츠 정보 베이스 유지 정책은 도착한 콘텐츠 요청에 대하여 메모리상의 어떤 부분을 비우고 새로 도착한 콘텐츠 요청 정보를 넣느냐 하는 문제에 대한 것이다. 예를 들면, 최근에 가장 적게 사용된 콘텐츠 정보를 삭제하거나, 특정 키들로 서명된 패킷에 대한 정보를 삭제할 수 있다. 또한, 각 콘텐츠 별로 콘텐츠 정보 베이스에 유지되는 타이머를 설정하고, 현재 진행 중인 콘텐츠 전송 또는 요청이 많은 콘텐츠에 대하여는 타이머를 길게 하는 방식을 이용할 수도 있다.
한편, 콘텐츠 인지 에이전트(112)는 콘텐츠 소비자(102)가 요청한 콘텐츠를 제공하는 콘텐츠 제공자(106)의 콘텐츠 인지 에이전트(116)의 위치를 검색한다(S358). 예를 들면, 콘텐츠 아이디로 URI(예를 들어 acme.com/figure.jpg)를 사용하는 경우 해당 식별자의 특정 부분(상기 예에서는 acme.com이 된다)이 콘텐츠 제공자(106)의 콘텐츠 인지 에이전트(116)를 나타낼 수 있고, 이에 대한 IP 주소를 도메인 네임 시스템(DNS, 130)에 요청하여 얻을 수 있다. 콘텐츠 인지 에이전트(112)는 콘텐츠 요청 패킷의 Transit 헤더를, 자신의 IP 주소를 송신지로 획득한 콘텐츠 인지 에이전트(116)의 IP 주소로 목적지로 변경한다(S360). 콘텐츠 인지 에이전트는 이렇게 수정된 콘텐츠 요청 패킷을 네트워크로 전송한다(S362). 기존의 IP 라우터에서는 목적지 IP 주소를 보고 패킷을 전달하므로, 이 패킷은 기존의 IP 기반 네트워크를 통과하여 목적지로의 전달이 가능하다. 이 패킷이 콘텐츠 인지 라우터를 통과할 경우의 처리 방법은 도 7내지 8과 함께 상술한다. 요청된 콘텐츠에 대한 콘텐츠 전달 패킷이 도착하면(S364), 콘텐츠 정보 베이스에서 해당 콘텐츠를 요청한 콘텐츠 소비자가 누구였는지를 검색한다(S366). 콘텐츠 전달 패킷의 헤더는 송신지를 콘텐츠 인지 에이전트(112), 목적지를 검색된 콘텐츠 소비자(102)로 하여 전송되고(S374), 콘텐츠 소비자는 콘텐츠 인지 에이전트로부터 요청한 콘텐츠를 수신한다(S314).
만약 DNS 등이 해당 콘텐츠를 가지는 콘텐츠 제공자(106)의 콘텐츠 인지 에이전트(116)를 직접적으로 알 수 없는 경우, 해당 콘텐츠가 네트워크 상에 존재하지 않거나 접근할 수 없는 경우로 처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이 경우 목적지를 임의의 콘텐츠 인지 에이전트 또는 콘텐츠 인지 라우터로 설정할 수 있다. 패킷을 전달받은 임의의 콘텐츠 인지 엔티티들은 앞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콘텐츠 제공자를 검색하여 콘텐츠 요청 패킷을 전달할 수 있다.
한편, 콘텐츠 인지 에이전트는 콘텐츠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가질 수 있다. 도 4는 저장부가 추가된 콘텐츠 인지 에이전트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저장부에 저장된 콘텐츠에 대한 정보는 콘텐츠 정보 베이스를 이용하여 관리 될 수 있다. 저장부 메모리 관리를 위하여, 상기에서 설명한 콘텐츠 정보 베이스 유지 정책이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콘텐츠에도 적용 될 수 있다. 콘텐츠 인지 에이전트(112)는 콘텐츠 요청 패킷을 수신한 경우, 콘텐츠 정보 베이스에서 기존이 이미 수신된 적이 있어 저장된 콘텐츠인지를 먼저 확인한다(S354). 저장되어 있지 않은 콘텐츠의 경우 앞서 설명한 콘텐츠 요청 패킷을 송신하여 콘텐츠 전달 패킷을 수신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S356 내지 S366). 콘텐츠 인지 에이전트가 콘텐츠 전송 패킷을 전달 받을 경우, 콘텐츠를 저장부에 저장한다(S368). 저장되어 있는 콘텐츠인 경우 다시 콘텐츠 요청을 하지 않고 해당 콘텐츠를 바로 전송할 수 있다. 저장된 콘텐츠의 콘텐츠 아이디, 저장 위치 및/또는 요청 빈도 등이 콘텐츠 저장 정보로써 관리될 수 있다(S370). 콘텐츠 저장 정보는 콘텐츠 정보 베이스에 포함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에이전트가 저장된 콘텐츠를 바로 전송하므로 반복적으로 요청되는 콘텐츠의 경우에 다음번 요청에 대해서는 좀 더 짧은 네트워크 경로 이용, 즉 좀 더 빠른 콘텐츠 전송이 가능하다. 또한 콘텐츠 제공자의 입장에서는 수신되는 콘텐츠 요청이 줄어들기 때문에 트래픽 감소의 효과가 있다.
도 5는 콘텐츠 제공자의 콘텐츠 인지 에이전트가 콘텐츠 요청 패킷을 받았을 경우의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콘텐츠 인지 에이전트(116)가 네트워크로부터 콘텐츠 요청 패킷을 수신하면(S552), 요청 받은 정보로 콘텐츠 정보 베이스를 업데이트 한다(S556).
콘텐츠 인지 에이전트(116)는 자신과 연결된 콘텐츠 제공자의 모든 콘텐츠 정보를 자신의 콘텐츠 디렉토리 시스템(Content Directory System, 120)을 통해서 관리한다. 콘텐츠 디렉토리 시스템(120)은 콘텐츠 제공자들의 IP 주소 및 각 콘텐츠 제공자가 제공하는 콘텐츠들의 콘텐츠 아이디를 관리하는 기능을 포함한다. 콘텐츠 인지 에이전트(116)는 콘텐츠 디렉토리 시스템(120)을 통해 요청된 콘텐츠를 제공하는 콘텐츠 제공자(106)를 검색할 수 있다(S558).
해당 콘텐츠가 존재하는 경우, 콘텐츠 요청 패킷의 송신지를 자신의 IP 주소로, 목적지를 콘텐츠 제공자(106)의 IP 주소로 수정한다(S560). 수정된 콘텐츠 요청 패킷을 검색된 콘텐츠 제공자(106)에 전송한다(S562). 콘텐츠 제공자(106)는 콘텐츠 요청 패킷을 수신 받으면(S512) 요청 받은 콘텐츠를 콘텐츠 인지 에이전트(116)에 전송한다(S514). 콘텐츠 전달 패킷의 경우, 콘텐츠 요청 패킷과 유사한 방법으로 전달된다. 즉, 콘텐츠 제공자(106)의 IP 주소를 송신지, 콘텐츠 제공자와 연결된 콘텐츠 인지 에이전트(116)의 IP 주소를 목적지로 하여 패킷을 전송한다. 콘텐츠 전달 패킷을 수신하면, 콘텐츠 인지 에이전트(116)는 콘텐츠 정보 베이스를 참조하여 해당 콘텐츠를 요청한 콘텐츠 소비자가 어디였는지를 검색한다(S566). 다음으로, 패킷의 송신지를 자신의 IP주소, 목적지를 검색된 콘텐츠 소비자의 IP 주소로 수정하고(S572) 이렇게 수정된 콘텐츠 전달 패킷을 네트워크로 전송하게 된다(S574).
한편, 콘텐츠 제공자는 자신이 제공하는 콘텐츠 아이디를 콘텐츠 디렉토리 시스템에 등록할 수 있다. 특히 특별한 콘텐츠 요청 없이도 자신의 콘텐츠를 분산시키고자 할 때 이를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시간에 대규모의 인기 있는 콘텐츠 들이 존재하는 경우에 너무 많은 요청이 해당 콘텐츠 제공자의 콘텐츠 인지 에이전트에 몰려들게 되므로, 이를 막기 위해 콘텐츠를 여러 곳에 분산시키고 콘텐츠 디렉토리 시스템에 등록한다. 만약 분산 저장의 필요가 없어지면 콘텐츠 디렉토리 시스템에서 이를 삭제하면 다시 원래의 시스템으로 동작하게 된다. 콘텐츠 요청을 받은 콘텐츠 제공자(106)의 콘텐츠 인지 에이전트(116)가 콘텐츠 인지 디렉토리 시스템(120)을 검색하여 같은 콘텐츠를 분산 저장했다는 정보를 얻게 되면, 콘텐츠 제공자(106)로부터 콘텐츠를 받는 것보다 콘텐츠를 요청한 콘텐츠 인지 에이전트(112)의 위치와 가까운 곳에 있는 분산 저장된 제공자로부터 콘텐츠를 제공 받는 것이 받는 것이 성능 향상에 도움이 되므로, 가까운 분산 저장된 제공자를 검색하여 그 곳으로 콘텐츠 요청을 전달 할 수 있다. 이 경우 콘텐츠 요청을 하기 위해 거쳐온 콘텐츠 인지 라우터들의 콘텐츠 정보 베이스에 저장된 경로를 이용한다. 이 경로를 따라가며 해당 콘텐츠 인지 라우터들의 콘텐츠 정보 베이스를 리셋하는 응답을 보내고, 그 응답에 따라 소비자의 에이전트(112)의 콘텐츠 정보 베이스를 재 조정해서 새로운 콘텐츠 요청을 검색된 분산 저장된 제공자를 향해 보내면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일정한 신뢰도를 가진 콘텐츠 제공자가 제공한 콘텐츠 또는 안정성이 검증된 콘텐츠에 한하여 콘텐츠 디렉토리 시스템에 등록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 안정성이 검증되었다는 것은, 콘텐츠 자체가 결함이 없고 완전하거나, 바이러스나 악성 코드 등의 위험요소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예를 들면, 콘텐츠 제공자가 특별한 서명을 이용한다거나, 콘텐트 인지 에이전트가 콘텐츠를 검사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콘텐츠 인지 에이전트가 이러한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콘텐츠-중심 네트워크 상에서 이동되는 콘텐츠들의 신뢰성 및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마찬가지로, 콘텐츠 제공자(106)에 연결된 콘텐츠 인지 에이전트(116) 역시 콘텐츠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가질 수 있다. 도 6은 저장부가 추가된 경우의 콘텐츠 제공자 및 콘텐츠 인지 에이전트 간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저장부의 관리 및 동작과 관련해서는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다. 콘텐츠 인지 에이전트(112)는 콘텐츠 요청 패킷을 수신한 경우, 콘텐츠 정보 베이스에서 기존이 이미 수신된 적이 있어 저장된 콘텐츠인지를 먼저 확인하고(S554). 저장되어 있는 콘텐츠는 콘텐츠 제공자에게 요청하고 저장하는 과정 없이(S556 내지 S568) 해당 콘텐츠를 바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인지 라우터는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거나, 전송 및 콘텐츠 라우팅을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 7는 콘텐츠 인지 라우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8은 콘텐츠 인지 라우터의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7에 따르면 콘텐츠 인지 라우터(700)는 패킷 수신부(710), 패킷 분석부(720), 제어부(730), 콘텐츠 정보 베이스 관리부(740), 콘텐츠 라우팅 테이블 관리부(750), 콘텐츠 저장부(760) 및 패킷 송신부(77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패킷 수신부(710)에서 콘텐츠 요청 패킷을 수신하면(S810), 패킷 분석부(720)에서는 기존의 IP 기반 네트워크와 동일하게 송신지 및 목적지에 대한 주소를 분석한다. 따라서 콘텐츠 인지 라우터는 IP 기반 네트워크에서 호환되어 동작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패킷 분석부(720)는 콘텐츠에 대한 추가적인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S820).
콘텐츠 인지 라우터(700)에 제어부(730)는 패킷 분석부(720)에서 입력 받은 정보들에 대하여 어떤 동작을 할 것인지 결정한다. 콘텐츠 인지 라우터(700)는 조건에 따라서 요청 받은 콘텐츠를 전송하는 응답을 하거나, 인터넷 프로토콜 네트워크로 인터넷 프로토콜 라우팅 하거나, 콘텐츠-중심 네트워크로 콘텐츠 라우팅 할 수 있다.
제어부(730)에서는 우선 콘텐츠 정보 베이스 관리부(740)를 통해 요청된 콘텐츠가 저장부에 존재하는지를 확인한다(S830). 요청된 콘텐츠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에는, 저장된 콘텐츠를 송신지로 바로 전송한다(S840). 이 경우 송신부(770)에서는, transit 헤더의 송신지 정보를 콘텐츠 인지 라우터 자신의 IP 주소로 치환하고, 목적지를 패킷에서 획득한 송신지로 하여 패킷을 송신한다. 또한, 저장된 콘텐츠 유지 정책을 위하여 콘텐츠 요청 정보를 업데이트 하는 과정이 추가될 수 있다.
저장된 콘텐츠가 없는 경우, 콘텐츠 정보 베이스 관리부(740)에서는 콘텐츠 정보 베이스를 업데이트 한다(S850). 여기에는 요청 받은 콘텐츠 아이디 및 송신지 측의 IP 주소가 저장된다. 이렇게 저장한 콘텐츠 정보는 요청한 콘텐츠가 도착하였을 경우, 콘텐츠 요청을 한 콘텐츠 소비자까지 콘텐츠를 전송하는데 이용된다.
콘텐츠 라우팅 테이블 관리부(750)를 통해 요청된 콘텐츠에 대한 정보가 콘텐츠 라우팅 테이블에 존재하는지 확인한다(S860). 만약 콘텐츠 라우팅 정보가 존재하면 콘텐츠-중심 네트워크로 콘텐츠 요청을 보낸다(S870). 이를 콘텐츠 라우팅이라고 한다. 만약 콘텐츠 라우팅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인터넷 프로토콜 라우팅을 한다(S880). 이 경우, 콘텐츠 요청 패킷의 transit 헤더의 송신지 정보는 콘텐츠 인지 라우터 자신의 IP 주소로 치환된다.
콘텐츠 정보 베이스 관리부(740)에서 관리되는 정보로는 콘텐츠 소비자의 주소 및 요청된 콘텐츠 아이디가 포함된다. 또한 저장부(760)에 포함된 콘텐츠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특정 콘텐츠 인지 라우터로 콘텐츠 요청 메세지가 몰리게 되면, 즉 선형적으로 메모리를 차지하게 되면, 확장성(scalability)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인지 라우터에서는 콘텐츠 정보 베이스 유지 정책을 적용한다. 콘텐츠 정보 베이스 유지 정책은 도착한 콘텐츠 요청에 대하여 메모리상의 어떤 부분을 비우고 새로 도착한 콘텐츠 요청 정보를 넣느냐 하는 문제이다. 예를 들면, 가장 최소로 최근에 사용된 콘텐츠 정보를 삭제하거나, 특정 키들로 서명된 패킷을 삭제할 수 있다. 또한, 각 콘텐츠 별로 콘텐츠 정보 베이스에 유지되는 타이머를 설정하고, 요청이 많은 콘텐츠에 대해서는 타이머를 길게 하는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저장부(760)는 콘텐츠 인지 라우터를 지나쳐간 콘텐츠들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다. 별도의 저장부에 콘텐츠를 저장함으로써, 동일한 콘텐츠 요청에 대하여 콘텐츠 제공자에게 다시 요청할 필요 없이 콘텐츠 인지 라우터가 바로 콘텐츠를 전송할 수 있다. 네트워크 내의 복수개의 콘텐츠 인지 라우터에 이러한 콘텐츠 저장소를 구축함으로써, 전체적인 네트워크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저장부(760)에서도 콘텐츠 정보 베이스 관리 정책과 유사하게 콘텐츠 저장 정책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콘텐츠의 사용 빈도 등에 따라서 콘텐츠의 저장 지속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이는 콘텐츠 정보 베이스를 통해서 동일하게 이루어질 수도 있고, 저장부 내부에서 별도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콘텐츠 소비자에서 콘텐츠 전송자 간에 패킷이 이동되는 과정과 패킷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에서는 인터넷 프로토콜 기반의 네트워크에 콘텐츠 인지 라우터 C1(940)과 기존의 IP 라우터 R1(930)이 공존할 경우 콘텐츠 중심 속성을 만족시키면서 콘텐츠 요청 및 전송을 하는지를 설명한다. 콘텐츠 요청 패킷 및 콘텐츠 전달 패킷의 transit 헤더에는 송신지 주소 및 목적지의 주소가 포함된다. 표기의 편의를 위하여, 헤더 및 콘텐츠 정보 베이스에 표기된 엔티티 기호는 해당 엔티티의 IP 주소를 의미한다.
도 9를 참조하면, 콘텐츠 소비자 H1(910)는 자신의 콘텐츠 인지 에이전트 A1(920)에게 콘텐츠를 요청한다. 콘텐츠 요청 패킷의 전송은 기존 인터넷 프로토콜 기반 패킷 전송과 동일하며, 이 경우 IP 헤더의 송신지는 H1(910), 목적지는 A1(920)이 된다. 요청 패킷에는 요청하는 콘텐츠를 나타내는 콘텐츠 아이디 CID가 포함된다(915). 패킷을 수신한 콘텐츠 인지 에이전트 A1(920)은, 해당 콘텐츠를 가진 콘텐츠 제공자 H2(960)의 콘텐츠 인지 에이전트 A2(950)의 위치를 검색하여, 송신지는 A1(920)의 IP 주소로 목적지는 상대방 콘텐츠 인지 에이전트 A2(950)의 IP 주소로 하여 패킷을 전송한다(925). 이때 콘텐츠 인지 에이전트 A1(920)의 콘텐츠 정보 베이스에는 <CID, H1의 IP주소>의 쌍이 업데이트 된다. 패킷이 기존의 IP 기반 라우터 R1(930)에 도착할 경우, R1(930)은 콘텐츠 정보를 인식할 수 없으므로, 기존 인터넷 프로토콜 기반 네트워크와 같이 송신지 및 목적지 정보만 보고 인터넷 프로토콜 라우팅한다(935). 따라서 목적지인 A2(950)로 라우팅된다. 패킷이 콘텐츠 인지 라우터 C1(940)에 도착할 경우, C1(940)은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콘텐츠를 전송하거나, 콘텐츠 라우팅하거나 또는 인터넷 프로토콜 라우팅 할 수 있다. 이 경우 일반 인터넷 프로토콜 라우팅과 다른 점은 송신지 정보를 C1의 IP 주소로 변경하고(945), 자신의 콘텐츠 정보 베이스를 (CID, A1의 IP주소)로 업데이트 한다는 점이다. 콘텐츠 제공자에 연결된 콘텐츠 인지 에이전트 A2(950)에 도착한 경우, A2(950)는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콘텐츠 제공자 H2(960)를 검색한다. A2(950)는 헤더의 송신지를 A2의 주소, 목적지를 H2의 주소로 하여 패킷을 전송하고(955), 최종 패킷을 전달받은 콘텐츠 제공자 H2(960)는 CID에 해당하는 컨텐츠를 전송한다.
콘텐츠 제공자 H2(960)가 전송한 콘텐츠 전달 패킷의 경로는 반대로 진행된다. 초기 콘텐츠 전달 패킷에는 송신지는 H2(960), 목적지는 콘텐츠 제공자의 콘텐츠 인지 에이전트 A2(950), 콘텐츠 정보로써 CID 및 요청된 콘텐츠 내용이 기록되어 전송된다(967). A2(950)에 패킷이 도착하면 A2(950)는 콘텐츠 정보 베이스를 통해 콘텐츠를 요청한 노드 위치를 검색한다. CID에 해당하는 목적지가 C1(940)이므로, 콘텐츠 전달 헤더의 송신지는 A2(950), 목적지는 C1(940)으로 변경 된다(957). 콘텐츠 인지 라우터 C1(940)에 콘텐츠 전달 패킷이 도착하면, C1(940)의 콘텐츠 정보 베이스에서 CID에 해당하는 콘텐츠를 요청한 정보를 검색한다. CID에 해당하는 목적지는 A1(920)이므로, 헤더 정보는 송신지는 C1(940), 목적지는 A1(920)으로 변경되어 전송된다(947). 이러한 콘텐츠 전달 패킷이 레거시 라우터 R1(930)을 통과하는 경우, R1(930)은 CID에 대한 정보는 얻을 수 없으므로 목적지 정보에 따라 패킷을 그대로 A1으로 전달한다(937). 콘텐츠 인지 에이전트 A1(920)은 수신된 콘텐츠 전달 패킷에서 CID 정보를 얻어, 콘텐츠 정보 베이스에서, 해당 콘텐츠를 요청한 노드가 H1(910)이라는 것을 검색하여, 패킷 헤더의 송신지를 A1(920), 목적지를 H1(910)으로 수정하여 패킷을 H1까지 전달한다(927). 결과적으로 H1까지 H2가 보낸 콘텐츠 전달 패킷이 도착하게 된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에 있어서, 콘텐츠 소비자 H1(910)은 자신의 콘텐츠 인지 에이전트 A1(920)의 IP 주소 및 콘텐츠에 대한 정보만 알고, 콘텐츠 제공자 H2(920)의 IP 주소 등은 알 필요가 없다.
만약 콘텐츠 소비자 H1(910)이 동일한 콘텐츠를 다시 필요로 하는 경우, 경로내의 콘텐츠 인지 엔티티(A1, A2, C1) 들은 해당 콘텐츠를 저장하고 있을 수 있으므로, H2(920)에게 요청하기 전에 직접 해당 콘텐츠를 H1(910)으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콘텐츠 소비자 또는 제공자는 콘텐츠 인지 에이전트와의 연결을 통해서 필요한 콘텐츠를 요청하거나 전달 받기 때문에, 네트워크의 방식, 즉 해당 네트워크가 콘텐츠를 인지할 수 있는지 여부와 무관하게 콘텐츠-중심 네트워킹을 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은 다른 방식의 네트워크를 콘텐츠-중심 네트워크로의 점진적으로 변화시키기 위해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내에서 콘텐츠를 전송하는 과정에서, 내부의 콘텐츠 인지 엔티티들이 해당 콘텐츠를 저장하고 다음번에 이용함으로써, 콘텐츠 소비자에 의해서 여러번 요청되는 콘텐츠는 네트워크 상에서 콘텐츠 소비자에게 보다 가까운 노드에서 전송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여러 콘텐츠 소비자들에게 빈번하게 요청되는 콘텐츠인 경우, 네트워크 내의 복수의 콘텐츠 인지 엔티티들이 이를 저장하고 있으므로, 콘텐츠 제공 역할을 분산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구성요소들과 특징들이 소정 형태로 결합된 것들이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별도의 명시적 언급이 없는 한 선택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다른 구성요소나 특징과 결합되지 않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일부 구성요소들 및/또는 특징들을 결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설명되는 동작들의 순서는 변경될 수 있다. 어느 실시예의 일부 구성이나 특징은 다른 실시예에 포함될 수 있고, 또는 다른 실시예의 대응하는 구성 또는 특징과 교체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데이터 구조 및 방법들은 컴퓨터에서 실행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제작되어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구조를 가지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도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저장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수단, 예를 들어, 하드웨어, 펌웨어(firmware), 소프트웨어 또는 그것들의 결합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이 제어부 자체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으로 소프트웨어 코드가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에 저장되고, 제어부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는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것이 아니다. 특히 본 명세서에서는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는 인터넷 프로토콜을 기준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새로운 엔티티들은 다른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네트워크 간에서 동작할 수 있으며, 인터넷 프로토콜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Claims (16)

  1. 콘텐츠 소비자 단말로부터 콘텐츠 요청 패킷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콘텐츠 요청 패킷으로부터 요청된 콘텐츠를 나타내는 콘텐츠 식별자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콘텐츠 식별자에 기초하여 상기 요청된 콘텐츠를 제공하는 콘텐츠 에이전트를 검색하는 단계;
    상기 검색된 콘텐츠 에이전트의 주소를 이용하여 상기 콘텐츠 요청 패킷의 헤더를 수정하는 단계; 및
    상기 수정된 콘텐츠 요청 패킷을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검색된 콘텐츠 에이전트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전달 방법.
  2. 콘텐츠 소비자 단말로부터 콘텐츠 요청 패킷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콘텐츠 요청 패킷으로부터 요청된 콘텐츠를 나타내는 콘텐츠 식별자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콘텐츠 식별자에 기초하여 상기 요청된 콘텐츠가 저장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단계;
    상기 요청된 콘텐츠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 상기 콘텐츠 소비자 단말로 상기 요청된 콘텐츠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콘텐츠가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콘텐츠 식별자에 기초하여 상기 요청된 콘텐츠를 제공하는 콘텐츠 에이전트를 검색하는 단계;
    상기 검색된 콘텐츠 에이전트 주소를 이용하여 상기 콘텐츠 요청 패킷의 헤더를 수정하는 단계; 및
    상기 수정된 콘텐츠 요청 패킷을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검색된 콘텐츠 에이전트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전달 방법.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헤더는 상기 콘텐츠 요청 패킷의 송신지 및 목적지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콘텐츠 요청 패킷의 헤더를 수정하는 단계는, 상기 송신지는 상기 콘텐츠 요청 패킷을 수신한 노드의 주소로, 상기 목적지는 상기 검색된 에이전트의 주소로 수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전달 방법.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된 콘텐츠 정보 및 상기 콘텐츠 소비자 단말의 주소를 이용하여 콘텐츠 요청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전달 방법.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콘텐츠 요청 패킷의 내용으로부터 콘텐츠 식별자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전달 방법.
  6. 콘텐츠 요청 패킷을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콘텐츠 요청 패킷으로부터 요청된 콘텐츠 정보를 획득하는 패킷 분석부;
    상기 요청된 콘텐츠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요청된 콘텐츠를 제공하는 콘텐츠 에이전트를 검색하는 검색부; 및
    상기 검색된 콘텐츠 에이전트 주소를 이용하여 상기 콘텐츠 요청 패킷의 헤더를 수정하고, 상기 수정된 콘텐츠 요청 패킷을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검색된 콘텐츠 에이전트로 전송하는 송신부
    를 포함하는 패킷 전송 장치.
  7. 콘텐츠 소비자 단말로부터 콘텐츠 요청 패킷을 수신하는 제 1 에이전트; 및
    상기 콘텐츠 요청 패킷을 이용하여 콘텐츠 제공자 단말에게 콘텐츠를 요청하는 제 2 에이전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에이전트는 상기 콘텐츠 소비자 단말로부터 논리적으로 한 홉 떨어진 곳에 존재하고,
    상기 제 2 에이전트는 상기 콘텐츠 제공자 단말로부터 논리적으로 한 홉 떨어진 곳에 존재하고,
    상기 제 1 에이전트는, 상기 제 2 에이전트의 위치를 검색하여, 상기 제 2 에이전트로 상기 콘텐츠 요청 패킷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요청 패킷은 송신지 및 목적지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에이전트는 상기 송신지를 상기 제 1 에이전트의 IP 주소로, 상기 목적지를 상기 제 2 에이전트의 IP 주소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에이전트는 상기 콘텐츠 제공자 단말로부터 상기 콘텐츠를 수신하여 상기 전체 네트워크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전체 네트워크는 인터넷 프로토콜 기반 네트워크 및 콘텐츠 중심 네트워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11. 송신지 정보 및 콘텐츠 식별자를 포함하는 콘텐츠 요청 패킷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콘텐츠 요청 패킷으로부터 상기 송신지 정보 및 상기 콘텐츠 식별자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콘텐츠 식별자가 나타내는 콘텐츠가 저장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단계;
    상기 콘텐츠가 저장되어 있지 않는 경우, 상기 콘텐츠 식별자에 대한 콘텐츠 라우팅 정보가 콘텐츠 라우팅 테이블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콘텐츠 라우팅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콘텐츠-중심 네트워크로 콘텐츠 라우팅을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전달 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식별자가 나타내는 콘텐츠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
    상기 송신지로 상기 콘텐츠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전달 방법.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라우팅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인터넷 프로토콜 라우팅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전달 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요청 패킷의 헤더를 수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콘텐츠 요청 패킷의 헤더는 상기 콘텐츠 요청 패킷의 송신지 및 목적지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송신지를 상기 콘텐츠 요청 패킷을 수신한 노드의 주소로 수정하고,
    상기 인터넷 프로토콜 라우팅은 상기 수정된 콘텐츠 요청 패킷을 라우팅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전달 방법.
  15.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지 및 상기 콘텐츠 식별자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전달 방법.
  16. 송신지 정보 및 콘텐츠 식별자를 포함하는 콘텐츠 요청 패킷을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콘텐츠 요청 패킷으로부터 상기 송신지 정보 및 상기 콘텐츠 식별자를 획득하는 패킷 분석부;
    상기 콘텐츠 송신지 정보 및 상기 콘텐츠 식별자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면 콘텐츠 정보 베이스 관리부;
    콘텐츠 식별자에 대한 콘텐츠 라우팅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는 콘텐츠 라우팅 테이블 관리부;
    수신된 콘텐츠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콘텐츠 요청 패킷에 대한 처리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콘텐츠 요청 패킷을 전송하는 송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저장부에 상기 콘텐츠 식별자가 나타내는 콘텐츠가 저장되어 있는지 확인하고, 상기 콘텐츠가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콘텐츠 식별자에 대한 콘텐츠 라우팅 정보가 콘텐츠 라우팅 테이블 관리부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콘텐츠 라우팅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콘텐츠-중심 네트워크로 콘텐츠 라우팅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전달 장치.
KR1020100122132A 2010-12-02 2010-12-02 콘텐츠-중심적인 네트워크로의 점진적인 전환을 위한 방법 및 이를 기반으로 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KR2012006056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2132A KR20120060565A (ko) 2010-12-02 2010-12-02 콘텐츠-중심적인 네트워크로의 점진적인 전환을 위한 방법 및 이를 기반으로 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2132A KR20120060565A (ko) 2010-12-02 2010-12-02 콘텐츠-중심적인 네트워크로의 점진적인 전환을 위한 방법 및 이를 기반으로 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0565A true KR20120060565A (ko) 2012-06-12

Family

ID=466114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2132A KR20120060565A (ko) 2010-12-02 2010-12-02 콘텐츠-중심적인 네트워크로의 점진적인 전환을 위한 방법 및 이를 기반으로 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60565A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54828A1 (ko) * 2012-10-05 2014-04-10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컨텐츠 중심 네트워크에서 컨텐츠의 전송 방법
KR101430882B1 (ko) * 2013-06-25 2014-08-18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콘텐츠 중심 네트워크에서 콘텐츠 제공 방법
KR101533511B1 (ko) * 2013-11-07 2015-07-02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콘텐츠 기반 네트워크에서 콘텐츠의 저장 방법
KR20160000575A (ko) * 2014-06-24 2016-01-05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콘텐츠 다중 전송 시스템 및 방법
KR20160000887A (ko) 2014-06-24 2016-01-06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모바일 클라우드 시스템에서 서비스 품질을 위한 상황인지 기반 콘텐츠 제공 시스템
US9326042B2 (en) 2012-06-11 2016-04-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Routing method for inter/intra-domain in content centric network
US9628378B2 (en) 2012-11-26 2017-04-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Packet format and communication method of network node for IP routing compatibility and network node therefor
US9661098B2 (en) 2013-06-11 2017-05-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mmunication method of node overhearing content in content centric network and node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26042B2 (en) 2012-06-11 2016-04-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Routing method for inter/intra-domain in content centric network
WO2014054828A1 (ko) * 2012-10-05 2014-04-10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컨텐츠 중심 네트워크에서 컨텐츠의 전송 방법
US9306850B2 (en) 2012-10-05 2016-04-05 University-Industry Cooperation Group Of Kyung-Hee University Method for transmitting content in content centric network
US9628378B2 (en) 2012-11-26 2017-04-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Packet format and communication method of network node for IP routing compatibility and network node therefor
US9661098B2 (en) 2013-06-11 2017-05-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mmunication method of node overhearing content in content centric network and node
US10666759B2 (en) 2013-06-11 2020-05-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mmunication method of node overhearing content in content centric network and node
KR101430882B1 (ko) * 2013-06-25 2014-08-18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콘텐츠 중심 네트워크에서 콘텐츠 제공 방법
KR101533511B1 (ko) * 2013-11-07 2015-07-02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콘텐츠 기반 네트워크에서 콘텐츠의 저장 방법
KR20160000575A (ko) * 2014-06-24 2016-01-05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콘텐츠 다중 전송 시스템 및 방법
KR20160000887A (ko) 2014-06-24 2016-01-06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모바일 클라우드 시스템에서 서비스 품질을 위한 상황인지 기반 콘텐츠 제공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60565A (ko) 콘텐츠-중심적인 네트워크로의 점진적인 전환을 위한 방법 및 이를 기반으로 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US904925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net protocol based content router
WO2009012725A1 (fr) Procédé, système de routage de message et équipement de nœud
US9959156B2 (en) Interest return control message
JP6371592B2 (ja) コンテンツ中心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ノードの通信方法及びそのノード
KR20120137726A (ko) 컨텐츠 기반 네트워크(ccn)에서 전송 노드, 수신 노드 및 그 통신 방법
JP2016005272A (ja) IPカプセル化によるCCNxメッセージフラグメントの横断転送
JP2009277234A (ja) コンテンツセントリック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通信を円滑化するための方法
JP2015204110A (ja) コンテンツ中心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簡単なサービス検出の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CN108293023B (zh) 支持信息为中心的网络中的上下文感知的内容请求的系统和方法
US20190089811A1 (en) Content centric message forwarding
US20170373974A1 (en) Method and system for interest groups in a content centric network
EP3128702B1 (en) Transferring state in content centric network stacks
JP2015197919A (ja) コンテンツ中心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動的名称設定の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US10841212B2 (en) Method and system for routable prefix queries in a content centric network
US7680130B2 (en) Method for finding resource and service in network and relay node apparatus
KR102376496B1 (ko) 서비스 스트림 분산 포워딩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140098819A1 (en) Convergence network based on identifier and communication method using the same
JP5918361B2 (ja) 解決による経路指定
JP2015198451A (ja) ネットワーク名を使用する、複数オブジェクトのインタレスト
US20140025775A1 (en) Content delivery system and method based on information-centric networking
US10033642B2 (en) System and method for making optimal routing decisions based on device-specific parameters in a content centric network
US10212196B2 (en) Interface discovery and authentication in a name-based network
KR20120060566A (ko) 콘텐츠 인식 네트워크 구조에서의 이동성 및 멀티 캐스트 지원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102397923B1 (ko) 정보 중심 네트워크(icn)에서 플로우 스위칭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