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60123A - 사용자 인증 리모컨 및 그 리모컨에서의 저전력 모드 구현 방법 - Google Patents

사용자 인증 리모컨 및 그 리모컨에서의 저전력 모드 구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60123A
KR20120060123A KR1020100129078A KR20100129078A KR20120060123A KR 20120060123 A KR20120060123 A KR 20120060123A KR 1020100129078 A KR1020100129078 A KR 1020100129078A KR 20100129078 A KR20100129078 A KR 20100129078A KR 20120060123 A KR20120060123 A KR 201200601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thentication
user
processing unit
pointing device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90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61544B1 (ko
Inventor
안건준
이승훈
Original Assignee
크루셜텍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크루셜텍 (주) filed Critical 크루셜텍 (주)
Priority to KR10201001290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1544B1/ko
Publication of KR201200601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01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15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15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04Q9/04Arrangements for synchronous oper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2User authentication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pri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4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인증 리모컨은, 사용자 인증을 위한 인증 데이터를 획득하는 포인팅 디바이스; 포인팅 디바이스로부터 인증 데이터를 입력받아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인증 처리부; 및 외부로부터 인증 이벤트 신호가 수신되면 인증 처리부에 동작 전원을 공급하여 인증 처리부에서 사용자 인증 과정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하고, 인증 처리부에서의 사용자 인증 과정이 완료되면 인증 처리부로 공급되는 전원의 레벨값이 임계값 이하가 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사용자 인증 리모컨 및 그 리모컨에서의 저전력 모드 구현 방법{Remote controller built-in fingerprint recognition function and method for embodying a low power mode}
본 발명은 사용자 인증 리모컨 및 그 리모컨에서의 저전력 모드 구현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 인증 모드 및 네비 모드를 지원하는 포인팅 디바이스를 탑재한 리모컨 및 그 리모컨에서 저전력 모드를 구현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 예인 지시장치로는 마우스 등과 같은 포인팅 디바이스가 있으며, 그 포인팅 디바이스 중에는 리모컨 또는 휴대폰 몸체에 직접 탑재되는 모바일 포인팅 디바이스(이하, '포인팅 디바이스')가 있다.
포인팅 디바이스의 경우에는 피사체(예, 손가락)를 포인팅 디바이스의 표면에서 움직여서 피사체의 변위값에 따라 포인터의 이동이 구현되도록 할 수도 있다. 결론적으로 포인팅 디바이스는 피사체의 상대적 움직임에 따라 포인터를 이동시킨다. 상기한 포인팅 디바이스는 컴퓨터의 광 마우스와 같이 전자기기와는 별도로 구비되어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될 수도 있으나, 리모트 컨트롤(리모컨) 또는 휴대폰과 같은 전자기기에 있어서는 본체에 직접 탑재될 수도 있다.
이러한 포인팅 디바이스는 피사체의 움직임을 감지 및 추적하기 위해 적외선(IR), 레이저(laser), 전기장(electric field) 등을 이용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손가락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포인팅 디바이스가 탑재된 리모트 컨트롤이 활발히 개발되고 있으며, 이러한 리모트 컨트롤은 사용자 손가락의 상대적 움직임에 따라 포인터를 TV(예, 인터넷 TV, 스마트 TV) 화면상의 표시된 포인터를 자유롭게 이동시키거나 화면상에 표시된 다수 개의 아이콘들을 선택적으로 활성화시킬 수 있는 기능(네비 모드)을 지원한다.
뿐만 아니라, 상기한 리모컨은 사용자 손가락의 지문을 인식하여 허가된 정당한 사용자인지를 인증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사용자 인증 모드)을 지원한다.
상기한 리모컨의 모드 별 소모전류를 살펴보면, 사용자 인증 모드로 동작시 소모전류가 약 97mA이고, 가장 많이 사용되는 네비 모드(Navi mode) 동작시 소모전류가 약 94mA이다.
사용자 인증 모드의 경우 사용자 선택 또는 외부로부터의 인증 이벤트 신호에 따라 한시적(예, 10~20초)으로 사용되기 때문에, 약 97mA의 소모전류가 리모컨의 배터리 수명에 크게 영향을 주지 않는다.
하지만, 네비 모드의 경우, 사용자에 의해 가장 많이 사용되어 지는 모드이기 때문에, 네비 모드 동작시 소모되는 약 94mA의 소모전류는 리모컨 배터리의 수명에 큰 영향으로 작용하며, 배터리 수명을 단축시키는 주요한 원인이 된다.
본 발명은 종래 사용자 인증 모드 및 네비 모드를 지원하는 포인팅 디바이스를 탑재한 리모컨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종래 포인팅 디바이스를 구비한 리모컨에서, 네비 모드 동작시 전류 소모가 상대적으로 많은 것은, 네비 모드로 동작하면서 사용자 인증을 처리하기 위한 인증 알고리즘이 탑재된 인증수단에 불필요하게 전원이 지속적으로 공급되기 때문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리모컨이 사용자 인증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에만, 사용자 인증을 처리하기 위한 인증수단에 제한적으로 전원을 공급해줌으로써, 불필요한 전류 소모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고 전류 소모를 효율적으로 제어하여 사용자 인증 모드 및 네비 모드를 지원하는 포인팅 디바이스를 탑재한 리모컨 배터리의 수명이 극대화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인증 리모컨은, 사용자 인증을 위한 인증 데이터를 획득하는 포인팅 디바이스; 상기 포인팅 디바이스로부터 인증 데이터를 입력받아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인증 처리부; 및 외부로부터 인증 이벤트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인증 처리부에 동작 전원을 공급하여 상기 인증 처리부에서 사용자 인증 과정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인증 처리부에서의 사용자 인증 과정이 완료되면 상기 인증 처리부로 공급되는 전원의 레벨값이 임계값 이하가 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특히, 상기 제어부는, 외부 장치 또는 사용자 요청에 따라 인증 이벤트 신호를 발생시키는 키 입력부로부터 상기 인증 이벤트 신호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외부 장치는, 셋탑박스(STB) 또는 스마트 TV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외부 장치와 통신하는 통신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증 처리부에 동작 전원이 공급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포인팅 디바이스로부터 사용자 손가락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변위 데이터를 입력받아 상기 통신부에 전달하는 것을 한다.
또한, 상기 인증 데이터는 사용자의 지문 데이터이고, 상기 포인팅 디바이스는, 전기장(electric field), 캐피시터(capacitaor), 및 서미스터(thermistor)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지문 데이터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포인팅 디바이스는, 사용자 손가락의 접촉면에 전기장을 형성하고, 손가락의 접촉에 의해 변화된 전기장을 수신한 뒤 수신한 전기장으로부터 패턴신호를 검출하여 상기 인증 데이터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인증 리모컨에서의 저전력 모드 구현 방법은, 포인팅 디바이스를 통해 획득한 인증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인증 처리부를 구비한 리모컨에서 저전력 모드를 구현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제어부가, 외부로부터 인증 이벤트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인증 처리부에 동작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는 단계; 상기 포인팅 디바이스를 통해 입력받은 인증 데이터가 상기 인증 처리부에 전달되도록 하는 단계; 상기 인증 처리부로부터 사용자 인증 과정에 따른 결과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결과 데이터가 외부 장치로 전송되도록 처리하고, 상기 인증 처리부에 공급되는 전원의 레벨값이 임계값 이하가 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포인팅 디바이스로부터 사용자 손가락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변위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외부 장치로 전송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리모컨이 사용자 인증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에만, 사용자 인증을 처리하기 위한 인증 수단에 제한적으로 전원을 공급해줌으로써, 불필요한 전류 소모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고 전류 소모를 효율적으로 제어하여 사용자 인증 모드 및 네비 모드를 지원하는 포인팅 디바이스를 탑재한 리모컨 배터리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인증 리모컨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인증 리모컨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인증 리모컨에서 저전력 모드를 구현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주요한 특징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또는 '구비'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 또는 구비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리모컨에 탑재되는 포인팅 디바이스는 전기장(electric field), 캐피시터(capacitaor), 서미스터(thermistor) 등 이용하여 사용자 인증 모드 및 네비게이션 모드(Navi node)를 지원하는 포인팅 디바이스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적용되는 포인팅 디바이스는 전기장을 이용하여 사용자 손가락의 지문을 인식할 수 있으며, 또한 전기장을 이용하여 사용자 손가락의 움직임을 검출할 수 있다.
여기서, '네비 모드'는 사용자가 리모컨의 포인팅 디바이스에 손가락을 올린 후 특정 방향으로 움직이면 그 방향에 따라 TV 화면상에 커서(또는 포인터)가 움직이거나 TV 화면상에 표시된 실행 가능한 아이콘(icon)들이 순차적으로 선택되는 모드를 의미한다.
그리고, '사용자 인증 모드'는 사용자가 리모컨의 포인팅 디바이스에 손가락과 같은 신체부위를 접촉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모드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포인팅 디바이스에 손가락을 올리면, 포인팅 디바이스에서는 사용자 지문을 인식하고 해당 사용자가 기저장된 지문 데이터와 비교하여 제어권한 또는 컨텐츠 이용권한을 갖는 정당한 사용자인지를 검증한다.
그리고,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일 예로 리모컨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기기가 리모컨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유무선 통신이 가능하며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실행이 가능한 전자기기를 모두 포함한다. 예컨대, 정보 단말기, 스마트폰, 게임기, PMP, 태블릿 PC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포인팅 디바이스는 입력 보조 장치로서 리모컨 신호를 수신하는 대상 기기(예, 스마트 TV)가 출력하는 화면상에 커서(또는 포인터)를 조작하며, PC의 마우스 왼쪽 버튼의 역할 즉, 화면에 표시된 기능을 선택하는 기능도 수행한다. 상기한 포인팅 디바이스는 화면상의 커서(또는 포인터)를 사용자의 손가락 움직임을 통해 생성 및 이동(네비 모드)시켜 PC에서의 포인팅 기술을 구현한다.
즉, 포인팅 디바이스 위에 손가락을 올린 후 손가락을 특정 방향으로 움직이면 그 방향에 따라 커서(또는 포인터)가 움직인다. 리모컨에 탑재될 수 있는 손가락 움직임을 계산할 수 있는 포인팅 기술을 구현하고 그때 손가락을 특정방향으로 움직이면 그 방향에 따라 커서가 이동한다. 선택하는 기능과 마우스 왼쪽 버튼의 역할을 표시된 기능을 선택하는 기능도 손가락의 움직임을 선택하는 기능도 특정 방향으로 움직이면 그 방향에 따라 커서가 구현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인증 리모컨 및 사용자 인증 리모컨에서의 저전력 모드 구현 방법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인증 리모컨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그리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인증 리모컨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리모컨(100)은 키 입력부(110), 제어부(120), 통신부(130), 포인팅 디바이스(140), 및 인증 처리부(150)를 구비한다.
키 입력부(110)는 사용자가 포인팅 디바이스(140)를 이용하여 사용자 인증(지문등록 및 지문승인 포함)을 수행할 수 있게 하는 인증 이벤트 발생 키를 기본적으로 구비한다.
예를 들어, 키 입력부(110)의 인증 이벤트 발생 키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면, 리모컨과 통신하는 대상 기기(예, 스마트 TV)의 화면상에 포인팅 디바이스(140)를 이용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라는 메시지(예, '손가락을 포인팅 디바이스에 접촉시키세요', '사용자 지문을 등록하세요.' 등)가 출력된다. 이에 사용자는 포인팅 디바이스(140)에 손가락을 접촉하여 사용자 인증을 위한 지문 데이터를 입력하면 된다.
또한, 키 입력부(110)는 리모컨과 통신하는 대상 기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복수 개의 입력 키를 구비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통신부(130)를 통해 외부 장치로부터 인증 이벤트 신호가 수신되거나 키 입력부(110)를 통해 인증 이벤트 신호가 수신되면, 인증 처리부(150)에 동작 전원을 공급하여 인증 처리부(150)에서 사용자 인증 과정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인증 처리부(150)에서의 사용자 인증 과정이 완료되면 인증 처리부(150)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거나 공급되는 전원의 레벨값이 임계값 이하가 되도록 제어한다.
즉, 제어부(120)는 인증 이벤트 신호의 수신 여부에 따라 인증 처리부(150)의 동작을 선택적으로 제어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TV를 통해 성인 컨텐츠를 시청하려고 하는 경우, 외부 장치에서는 해당 사용자가 정당한 사용자인지를 확인하기 위해 인증 이벤트 신호를 발생시켜 통신부(130)로 전송한다. 여기서, 외부 장치는 셋탑박스(STB) 또는 스마트 TV가 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외부로부터 인증 이벤트 신호가 수신되면, 평상시 전원 OFF 상태(또는 Sleep 모드 상태)인 인증 처리부(150)에 전원을 공급하여 인증 처리부(150)가 동작하도록 한다.
즉, 제어부(120)는 외부로부터 인증 이벤트 신호가 수신되면, 리모컨(100)이 사용자 인증 모드로 동작하도록 하고, 포인팅 디바이스(140)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인증 데이터(예, 지문 이미지)가 인증 처리부(150)로 전달되도록 처리한다.
그리고, 제어부(120)는 인증 처리부(150)에서의 사용자 인증 과정이 종료되면, 인증 처리부(150)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여 인증 처리부(150)의 구동을 정지시키거나, 전원의 레벨값이 임계값 이하가 되도록 제어하여 인증 처리부(150)가 Sleep 모드 상태가 되도록 한다.
리모컨(100)이 네비 모드로 동작하도록 한다. 즉, 제어부(120)는 인증 처리부(150)에 동작 전원이 공급되고 있지 않은 상태 또는 Sleep 모드 상태에서, 포인팅 디바이스(140)와 독립적인 통신을 수행하며, 포인팅 디바이스(140)를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를 직접 수신하여 통신부(130)에 전달한다. 이때, 포인팅 디바이스(140)를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는 사용자 손가락의 움직임에 따른 변위 데이터이다.
사용자가 사용자 인증 모드 및 네비 모드를 지원하는 포인팅 디바이스가 탑재된 리모컨의 경우, 사용자는 리모컨을 대부분 네비 모드로 사용하게 되며, 사용자 인증 모드로 리모컨을 사용하는 경우는 리모컨 총 사용 시간 중 극히 일부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리모컨이 네비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인증 처리부(150)에 전원이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거나, 인증 처리부(150)에 공급되는 전원의 레벨값이 임계값 이하가 되도록 제어하여 인증 처리부(150)가 Sleep 모드 상태가 되도록 해줌으로써, 리모컨의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였다.
통신부(130)는 제어부(140)로부터 사용자 손가락의 움직임에 상응하는 변위 데이터 및 인증 처리부(150)에서의 인증 결과 데이터를 외부 장치(예, 스마트 TV 또는 셋탑박스)로 전송하고, 상기한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사용자 인증과 관련된 데이터를 제어부(120)에 전달한다.
포인팅 디바이스(140)는 사용자 손가락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변위 데이터를 산출하여 제어부(120)에 전달한다(네비 모드). 또한, 포인팅 디바이스(140)는 사용자 인증을 위해 필요한 인증 데이터(예컨대, 지문 이미지)를 사용자로부터 획득하여 인증 처리부(150)에 전달한다(사용자 인증 모드).
이를 위해, 포인팅 디바이스(140)는 사용자 손가락의 접촉면에 전기장을 형성하는 송신부(미도시), 손가락의 접촉에 의해 변화된 전기장을 수신하고, 수신한 전기장으로부터 패턴신호를 검출하는 검출부(미도시), 및 패턴신호로부터 손가락의 움직임에 따라 변하는 패턴변위를 산출하는 산출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송신부는 접촉면을 포함하는 영역에 전기장을 형성한다. 이때, 전기장은 금속막의 플레이트를 통해 형성할 수 있다. 검출부는 전기장 영역에 접촉된 피사체의 변화된 전기장을 수신하고, 수신한 전기장으로부터 패턴신호를 출력한다.산출부는 검출부에서 출력된 패턴신호로부터 물체의 이동에 따라 변하는 패턴변위를 산출한다.
예를 들어, 손가락 표면에 형성된 골과 산의 패턴을 스캔하여 지문 이미지를 획득한다.
인증 처리부(150)는 포인팅 디바이스(140)로부터 인증 데이터를 입력받아 사용자 인증을 수행한다. 그리고, 인증 처리부(150)는 제어부(120)의 제어 신호에 따라 구동 전원을 리모컨(100)의 전원부(도시생략)으로부터 선택적으로 공급받고, 이에 따라 선택적으로 동작한다.
인증 처리부(150)는 사용자 인증 데이터를 메모리(미도시)에 저장하고, 사용자 인증 모드에서 포인팅 디바이스(140)를 통해 사용자 인증 데이터가 입력되면 미리 저장된 데이터와 비교하여 일련의 사용자 인증 과정을 수행한다. 이러한 사용자 인증 과정은 기존에 공지된 방법을 통해 다양한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인증 리모컨에서 저전력 모드를 구현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설명에 앞서, 본 발명에 따른 리모컨은 네비 모드(Navi mode)로 동작하고 있으며, 이때 포인팅 디바이스로부터 인증 데이터를 입력받아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인증 처리부에는 동작 전원이 공급되고 있지 않은 상태임을 가정한다(S100).
먼저, 제어부는 리모컨의 키 입력부 또는 외부 장치로부터 인증 이벤트 신호가 수신되는 지를 판단한다(S105).
S105 단계에서 인증 이벤트 신호가 수신되면, 제어부는 인증 처리부를 구동시키기 위해 인증 처리부에 동작 전원을 공급한다(S110).
S110 단계를 통해 인증 처리부가 동작 가능한 상태에서, 포인팅 디바이스를 통해 사용자 인증 데이터(예, 지문 이미지)가 입력되면, 제어부는 포인팅 디바이스를 통해 입력된 인증 데이터가 인증 처리부에 전달되도록 처리한다(S115). 포인팅 디바이스로부터 인증 데이터를 전달받은 인증 처리부는 일련의 사용자 인증 과정을 수행한 후, 그에 따른 결과 데이터를 제어부에 전달한다.
이에 제어부는 인증 처리부로부터 결과 데이터를 수신하고(S120), 수신한 결과 데이터가 통신부를 통해 외부 장치로 전송되도록 처리한다(S125).
다음으로, 제어부는 인증 처리부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거나 공급되는 전원의 레벨값이 임계값 이하가 되도록 제어하여, 인증 처리부를 구동 정지시키거나 Sleep 모드 상태로 만든 다음, 리모컨이 네비 모드로 동작하도록 한다(S130). 즉, 제어부는 인증 처리부에 동작 전원이 공급되고 있지 않은 상태(또는 Sleep 모드 상태)에서, 포인팅 디바이스와 독립적인 통신을 수행하며, 포인팅 디바이스를 통해 입력되는 변위 데이터를 직접 수신한다(S135).
S135 단계를 통해 변위 데이터가 수신되면, 제어부는 통신부를 통해 변위 데이터가 외부 장치로 전송되도록 한다(S145).
한편, 인증 처리부에 동작 전원이 공급되고 있지 않은 상태(또는 Sleep 모드 상태)에서, 다시 인증 이벤트 신호가 외부로부터 수신되면(S140), 제어부는 S110 단계로 이동하여 전술한 과정을 반복한다.
본 발명에서는 리모컨이 사용자 인증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에만, 사용자 인증을 처리하기 위한 인증수단에 제한적으로 전원을 공급해줌으로써, 불필요한 전류 소모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고 전류 소모를 효율적으로 제어하여 사용자 인증 모드 및 네비 모드를 지원하는 포인팅 디바이스를 탑재한 리모컨 배터리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의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리모컨 110:키 입력부
120:제어부 130:통신부
140:포인팅 디바이스 150:인증 처리부

Claims (7)

  1. 사용자 인증을 위한 인증 데이터를 획득하는 포인팅 디바이스;
    상기 포인팅 디바이스로부터 인증 데이터를 입력받아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인증 처리부; 및
    외부로부터 인증 이벤트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인증 처리부에 동작 전원을 공급하여 상기 인증 처리부에서 사용자 인증 과정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인증 처리부에서의 사용자 인증 과정이 완료되면 상기 인증 처리부로 공급되는 전원의 레벨값이 임계값 이하가 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사용자 인증 리모컨.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외부 장치 또는 사용자 요청에 따라 인증 이벤트 신호를 발생시키는 키 입력부로부터 상기 인증 이벤트 신호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증 리모컨.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외부 장치는,
    셋탑박스(STB) 또는 스마트 TV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증 리모컨.
  4. 청구항 1에 있어서,
    외부 장치와 통신하는 통신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증 처리부에 동작 전원이 공급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포인팅 디바이스로부터 사용자 손가락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변위 데이터를 입력받아 상기 통신부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사용자 인증 리모컨.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증 데이터는 사용자의 지문 데이터이고,
    상기 포인팅 디바이스는,
    전기장(electric field), 캐피시터(capacitaor), 및 서미스터(thermistor)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지문 데이터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증 리모컨.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포인팅 디바이스는,
    사용자 손가락의 접촉면에 전기장을 형성하고, 손가락의 접촉에 의해 변화된 전기장을 수신한 뒤 수신한 전기장으로부터 패턴신호를 검출하여 상기 인증 데이터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증 리모컨.
  7. 포인팅 디바이스를 통해 획득한 인증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인증 처리부를 구비한 리모컨에서 저전력 모드를 구현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제어부가,
    외부로부터 인증 이벤트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인증 처리부에 동작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는 단계;
    상기 포인팅 디바이스를 통해 입력받은 인증 데이터가 상기 인증 처리부에 전달되도록 하는 단계;
    상기 인증 처리부로부터 사용자 인증 과정에 따른 결과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결과 데이터가 외부 장치로 전송되도록 처리하고, 상기 인증 처리부에 공급되는 전원의 레벨값이 임계값 이하가 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포인팅 디바이스로부터 사용자 손가락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변위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외부 장치로 전송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증 리모컨에서의 저전력 모드 구현 방법.
KR1020100129078A 2010-12-01 2010-12-16 사용자 인증 리모컨 및 그 리모컨에서의 저전력 모드 구현 방법 KR1011615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9078A KR101161544B1 (ko) 2010-12-01 2010-12-16 사용자 인증 리모컨 및 그 리모컨에서의 저전력 모드 구현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1435 2010-12-01
KR1020100129078A KR101161544B1 (ko) 2010-12-01 2010-12-16 사용자 인증 리모컨 및 그 리모컨에서의 저전력 모드 구현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0123A true KR20120060123A (ko) 2012-06-11
KR101161544B1 KR101161544B1 (ko) 2012-07-03

Family

ID=466111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9078A KR101161544B1 (ko) 2010-12-01 2010-12-16 사용자 인증 리모컨 및 그 리모컨에서의 저전력 모드 구현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154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6180B1 (ko) 2014-03-21 2021-09-01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단말 장치, 전자 장치,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07262B2 (ja) * 2007-01-09 2011-11-02 船井電機株式会社 リモコン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61544B1 (ko) 2012-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78775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 using grip sensing
KR102185166B1 (ko) 생체 정보를 인식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US9703946B2 (en) Secure pairing method, circuit and system for an intelligent input device and an electronic device
US10168775B2 (en) Wearable motion sensing computing interface
KR101781909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9514311B2 (en) System and method for unlocking screen
US20130027341A1 (en) Wearable motion sensing computing interface
KR20160071887A (ko) 이동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US10165658B2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11234127B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of selectively applying security mode in mobile device
US20190228139A1 (en) Method for recognizing fingerprint, and electronic device and storage medium therefor
CN109901698B (zh) 一种智能交互方法、可穿戴设备和终端以及系统
KR20160004130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161544B1 (ko) 사용자 인증 리모컨 및 그 리모컨에서의 저전력 모드 구현 방법
JP5944362B2 (ja) デジタイザを備える携帯式電子機器、補正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20160054799A (ko) 원격 제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140112316A (ko) 모션인식을 이용한 스마트 디바이스 제어 장치 및 방법
CN105488978A (zh) 对终端进行控制的方法及装置
KR101667726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2086676B1 (ko)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한 입력 처리 장치 및 방법
KR101231891B1 (ko) 기울기 센서를 구비한 터치스크린 입력장치,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터치스크린 입력방법
KR20140010205A (ko) 터치스크린을 포함하는 단말을 이용한 마우스 기능의 제공 방법 및 장치
WO2016154859A1 (zh) 一种左右手的识别方法及终端
KR20160061155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N115202445A (zh) 电子设备、检测方法及可读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