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58988A - 컵을 이용한 광고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컵을 이용한 광고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58988A
KR20120058988A KR1020100120556A KR20100120556A KR20120058988A KR 20120058988 A KR20120058988 A KR 20120058988A KR 1020100120556 A KR1020100120556 A KR 1020100120556A KR 20100120556 A KR20100120556 A KR 20100120556A KR 20120058988 A KR20120058988 A KR 201200589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unit
light emitting
advertising
advertis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05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40680B1 (ko
Inventor
윤정순
Original Assignee
윤정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정순 filed Critical 윤정순
Priority to KR10201001205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0680B1/ko
Publication of KR201200589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89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06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06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3/00Advertising on or in specific articles, e.g. ashtrays, letter-boxes
    • G09F23/02Advertising on or in specific articles, e.g. ashtrays, letter-boxes the advertising matter being displayed by the operation of the article
    • G09F23/04Advertising on or in specific articles, e.g. ashtrays, letter-boxes the advertising matter being displayed by the operation of the article illuminat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3/00Other table equipment
    • A47G23/02Glass or bottle holders
    • A47G23/0208Glass or bottle holders for drinking-glasses, plastic cups, or the like
    • A47G23/0216Glass or bottle holders for drinking-glasses, plastic cups, or the like for one glass or cup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 G09F13/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1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special optical effec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 G09F13/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 G09F2013/2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with LED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3/00Advertising on or in specific articles, e.g. ashtrays, letter-boxes
    • G09F23/0091Advertising on or in specific articles, e.g. ashtrays, letter-boxes on soda or beer c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62/00Illumination
    • Y10S362/80Light emitting diod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컵을 컵홀더에 결합한 후 사용자가 컵을 파지하게 되면 컵홀더에서 이를 감지하여 다양한 색상의 빛을 발산시키고 컵홀더에서 발산되는 빛이 컵 측면벽에 형성된 광고부를 조명하여 광고부가 부각되어 표시되도록 하는 컵을 이용한 광고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컵을 이용한 광고 표시장치는 광고 표장을 포함하는 광고부(110)가 측면벽에 형성된 컵(100)과; 몸체(201)의 상부가 개방되어 상기 컵(100)의 하부 일부가 수용되는 컵 수용홈(210)과, 상기 몸체(201)의 측면벽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접촉을 감지하는 터치부(230)와, 상기 컵 수용홈(210)의 저면에 설치되어 상기 터치부(230)를 통하여 사용자의 접촉이 감지되면 컵 수용홈(210)에 수용되는 컵(100)의 측면벽에 형성된 광고부(110)를 향하여 빛을 발산하는 발광부(240)가 구비된 컵홀더(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컵홀더의 발광부에서 발광되는 빛이 컵의 측면벽에 형성된 광고부를 집중 조명하여 광고부가 부각되어 표시됨으로써 광고 효과를 높일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컵을 이용한 광고 표시장치 {ADVERTISEMENT APPARATUS USING CUP}
본 발명은 컵을 이용한 광고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컵을 컵홀더에 결합한 후 사용자가 컵을 파지하게 되면 컵홀더에서 이를 감지하여 다양한 색상의 빛을 발산시키고 컵홀더에서 발산되는 빛이 컵 측면벽에 형성된 광고부를 조명하여 광고부가 부각되어 표시되도록 하는 컵을 이용한 광고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컵은 물이나 음료수, 술 등의 액체를 마시기 위해 담는 그릇으로서, 유리, 플라스틱, 도기나 자기 등 다양한 재질로 제작된다.
이러한 컵 중 많이 이용되는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이루어진 컵은 컵의 바닥이나 측면벽에 광고 문구나 다양한 모양의 장식 등 광고 표장이 표시되어 사용시 심미감을 높이고 광고 효과를 볼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컵에 형성된 광고 표장은 단순히 컵에 인쇄되어 표시되는 것으로서, 이는 매우 정적인 광고 방법으로 사용자들의 관심도가 적어 광고의 효과가 크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따라 본 출원인은 특허등록 제768537호 "컵홀더를 이용한 광고표시장치"를 제안하였는데, 상기 등록특허는 컵의 하부가 일부 수용되어 고정되는 컵홀더의 컵 수용홈 저면에 광고부 및 발광부를 구비하고, 상기 컵홀더의 측면에 형성된 접촉부에 사용자의 신체가 접촉하는 경우 상기 발광부를 구동시켜 발광부에서 발산되는 빛에 의해 광고부가 노출되도록 하고 있다. 상기 등록특허는 컵홀더의 발광부에 구비된 LED의 발광을 통하여 컵 수용홈 저면에 형성된 광고부가 빛에 노출되도록 함으로써 광고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 등록특허는 광고부가 컵홀더의 저면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발광부의 점등시 광고가 컵의 하부에 표시되게 되고, 이에 따라 사용자의 시선 집중도가 떨어져 광고 효과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등록특허는 발광부의 발광시 광고를 집중적으로 조명하여 광고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하는 빛의 발산 방향에 대한 고려가 부족하였으며, 광고 조명시 시각적 광고 효과 이외의 다른 현실감 있는 분위기 연출 기능이 구비되어 있지 못하였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광고부를 컵의 측면벽에 형성하고 컵홀더의 발광부 점등 시 컵의 측면벽에 형성된 광고부를 집중하여 조명하도록 함으로써 광고 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하는 컵을 이용한 광고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컵을 파지하는 경우 발광부의 발광과 함께 컵이 진동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손으로 컵의 진동을 느끼며 컵에 집중할 수 있어 광고 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하는 컵을 이용한 광고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컵을 이용한 광고 표시장치는 광고 표장을 포함하는 광고부가 측면벽에 형성된 컵과; 몸체의 상부가 개방되어 상기 컵의 하부 일부가 수용되는 컵 수용홈과, 상기 몸체의 측면벽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접촉을 감지하는 터치부와, 상기 컵 수용홈의 저면에 설치되어 상기 터치부를 통하여 사용자의 접촉이 감지되면 컵 수용홈에 수용되는 컵의 측면벽에 형성된 광고부를 향하여 빛을 발산하는 발광부가 구비된 컵홀더;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발광부는 발광시 컵의 측면벽에 형성된 광고부를 향하여 서로 다른 색상의 빛을 발산하도록 배열된 다수의 LED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상기 발광부의 LED는 컵 수용홈에 수용된 컵의 바닥 하부에 위치되도록 컵 수용홈 저면에 상호 이격되어 다수 설치되되, 발광시 발산되는 빛이 컵의 측면벽에 형성된 대각선 방향의 광고부를 지향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컵의 광고부에는 발광부로부터 발산되는 빛을 산란시키는 요철부가 상기 컵의 측면벽 내측 또는 외측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컵홀더에는 터치부를 통하여 사용자의 접촉이 감지되는 경우 컵홀더를 진동시키는 진동부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 컵홀더에는 몸체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터치부를 통하여 사용자의 접촉을 감지하는 경우 설정된 시간동안 상기 발광부 및 진동부가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가 구비되는데, 상기 컵홀더에는 상기 발광부 또는 진동부의 동작을 설정하는 설정부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컵을 이용한 광고 표시장치는 사용자가 컵을 파지하는 경우 컵의 하부가 일부 수용되는 컵홀더의 발광부에서 빛이 발광되어 발광되는 빛이 컵의 측면벽에 형성된 광고부를 집중하여 조명하여 광고부가 부각되어 표시됨으로써 광고 효과를 높일 수 있으며, 사용자의 컵 파지 시 발광부의 발광과 함께 컵이 일정시간 진동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컵에 집중할 수 있어 광고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컵을 이용한 광고 표시장치의 결합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컵과 컵홀더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컵과 컵홀더의 분리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광고 표시장치의 블록 구성도,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발광부의 평면도,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발광부의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컵을 이용한 광고 표시장치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컵을 이용한 광고 표시장치의 측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컵을 이용한 광고 표시장치의 결합 사시도이고, 도 2는 컵과 컵홀더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3은 컵과 컵홀더의 분리 측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컵을 이용한 광고 표시장치는 측면벽에 광고부(110)가 형성된 컵(100)과, 상기 컵(100)의 하부 일부를 수용하여 수용된 컵(100)의 측면벽에 형성된 광고부(110)에 빛을 조명하여 광고부(110)가 부각되어 표시될 수 있도록 하는 컵홀더(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컵(100)은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투명 컵이나 반투명 컵으로서, 이 컵(100)의 측면벽에는 광고 표장이 표시된 광고부(110)가 형성된다. 상기 광고부(110)에 표시되는 광고 표장은 광고 문구나 다양한 광고 장식이 될 수 있는데, 이러한 광고 표장은 컵(100)의 측면벽 외측이나 내측, 일측벽이나 양측벽 또는 측면벽 전체에 걸쳐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컵홀더(200)의 몸체(201) 상부에는 컵(100)의 하부 일부가 수용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된 컵 수용홈(210)이 형성되고, 이 컵 수용홈(210)의 저면에는 컵 수용홈(210)에 수용되는 컵(100)의 측면벽에 형성된 광고부(110)를 향하여 빛을 발산하는 발광부(240)가 설치되며, 상기 컵홀더(200)의 몸체(201) 측면에는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부(230)가 상부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컵홀더(200)는 터치부(230)를 통하여 사용자의 터치가 감지되면 발광부(240)를 발광시켜 컵(100)의 측면벽에 형성된 광고부(110)에 빛이 조명되도록 함으로써 광고부(110)에 표시된 광고 표장이 부각되어 표시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발광부(240)의 발광과 함께 컵홀더(200)를 진동시켜 컵홀더(200)의 컵 수용홈(210)에 수용된 컵(100)이 진동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손으로 컵(100)의 진동을 느끼면서 컵(100)에 집중할 수 있도록 하여 광고 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컵홀더(200)의 몸체(201) 내측에는 상기 컵홀더(200)를 진동시키는 진동부(250)와, 상기 각 구성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270)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발광부(240) 및 진동부(250)는 터치부(230)에 사용자의 신체가 접촉되는 경우 동작되고, 터치부(230)에서 사용자의 신체 접촉이 종료되면 동작이 차단되어 사용자의 신체가 터치부(230)에 접촉되는 경우에 동작하게 된다.
한편, 상기 발광부(240) 및 진동부(250)는 터치부(230)에 사용자의 접촉이 이루어진 후 사용자의 접촉이 종료되어도 일정시간 동안 동작이 지속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컵홀더(200)의 몸체(201) 내측에는 상기 발광부(240)의 점소등을 제어하고 컵홀더(200)의 진동을 제어하는 제어부(220)가 구비되며, 몸체(201) 외측에는 발광부(240) 및 진동부(250)의 동작을 설정하는 설정부(260)가 구비된다.
도 4는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고 표시장치의 블록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컵홀더(200)에는 사용자의 접촉을 감지하는 터치부(230)와, 상기 터치부(230)를 통하여 사용자의 접촉이 감지되면 점등되어 컵 수용홈(210)에 수용된 컵(100)의 광고부(110)를 향하여 빛을 발산하는 발광부(240)와, 상기 터치부(230)를 통하여 사용자의 접촉이 감지되면 컵홀더(250)를 진동시키는 진동부(250)와, 상기 발광부(240) 및 진동부(250)의 동작을 설정하는 설정부(260)와, 상기 설정부(260)의 설정에 따라 발광부(240) 및 진동부(25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220)와, 상기 각 구성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270)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발광부(240)는 컵(100)의 측면벽에 형성된 광고부(110)에 빛을 발산하는 다수의 LED(241)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상기 발광부(240)의 LED(241)는 적색, 녹색, 황색 등의 다양한 색상을 발산하는 LED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5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광부의 평면도이고, 도 5b는 발광부의 측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5a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발광부(240)의 다수의 LED(241)는 발광시 컵(100)의 측면벽에 형성된 광고부(110)를 향하여 빛을 발산하도록 컵 수용홈(210)에 수용된 컵(100)의 바닥 하부에 위치하는 컵 수용홈(210) 저면에 상호 이격되어 설치되는데, 이 다수의 LED(241)는 발광시 발산되는 빛이 컵(100)의 측면벽에 형성된 대각선 방향의 광고부(110)를 지향하도록 설치된다. 즉, 다수의 LED(241)는 컵 수용홈(210) 저면에 소정 거리, 예를 들면 컵(100)의 바닥 지름보다 다소 작은 거리로 이격 설치되는데, 이 LED(241)는 각각 가장 원거리인 대각선 방향에 위치하는 광고부(110)를 향하여 빛을 발산하도록 지향방향이 각각 다르게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발광부(240)의 발광시 다수의 LED(241)에서 발산되는 빛이 컵(100)의 측면벽에 형성된 광고부(110)를 집중하여 조명하게 되고, 이에 따라 사용자의 시선이 광고부(110)에 집중되어 광고 효과를 높일 수 있게 된다.
상기 터치부(230)는 몸체(201) 측면 상부로 돌출 형성되어 사용자가 신체를 접촉하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신호를 발생시키는 신체 감지센서로서, 상기 터치부(230)의 돌출 높이는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진동부(250)는 터치부(230)를 통하여 사용자의 접촉이 감지되면 제어부(220)의 제어에 따라 설정된 시간동안 컵홀더(200)를 진동시키는 진동기로서, 이 진동부(250)는 컵홀더(200)를 진동시켜 컵홀더(200)의 컵 수용홈(210)에 수용된 컵(100)을 진동시킴으로써 사용자의 촉각을 자극하여 관심을 집중키게 되고, 이에 따라 광고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설정부(260)는 발광부(240) 및 진동부(250)의 동작을 설정하는 설정 스위치로서, 이 설정부(260)에는 컵홀더(200)의 몸체(201) 하부에 형성되는 발광부 온/오프 스위치와 진동부 온/오프 스위치가 구비되며, 상기 발광부(240)의 발광시간 및 진동부(250)의 진동시간을 설정하는 설정스위치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설정부(260)의 설정값은 제어부(220)에 기본값으로 설정되어 발광부(240) 및 진동부(250)가 자동으로 동작되도록 할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 설정부(260)의 구성이 생략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220)는 터치부(230)로부터 사용자 접촉 감지 신호를 전송받아 인지하는 터치감지부(221)와, 상기 터치감지부(221)를 통하여 사용자 접촉이 감지되면 설정부(260)를 통하여 설정된 시간동안 발광부(240)를 발광시키는 발광제어부(222)와, 상기 터치감지부(221)를 통하여 사용자 접촉이 감지되면 설정부(260)를 통하여 설정된 시간동안 진동부(250)를 동작시키는 진동제어부(223)와, 시간을 측정하여 상기 발광제어부(222) 및 진동제어부(223)에 제공하는 타이머(224)가 구비된 제어회로이다.
상기 전원부(270)는 상기 각 구성부에 동작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장치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전원부(270)는 교체 또는 충전 가능한 배터리로 이루어진다.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컵을 이용한 광고 표시장치는 컵홀더(200)의 몸체(201) 상부에 형성된 컵 수용홈(210)에 광고부(110)가 측면벽에 형성된 컵(100)이 수용되어 결합한 후, 컵(100)에 물이나 음료수, 주류 등의 마실 것을 따르고 사용자가 컵(100)을 파지하게 되면, 터치부(230)가 이를 감지하게 되고 터치부(230)의 감지에 따라 제어부(220)는 발광부(240) 및 진동부(250)를 동작시키게 된다.
상기 제어부(220)의 제어에 따라 발광부(240)의 LED(241)가 발광되면 LED(241)에서 발산되는 빛은 컵(100)의 광고부(110)에 집중되어 조명되게 되고 이에 따라 광고부(110)가 부각되어 표시됨으로써 사용자의 시선을 유도하여 광고 효과를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발광부(240)의 발광과 함께 진동부(250)를 통하여 컵(100)이 진동함으로써 사용자가 컵(100)의 진동을 손으로 느낄 수 있어 사용자의 흥미를 유발하게 되고 이에 따라 광고부(110)에 대한 사용자의 시선을 유도하여 광고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컵을 이용한 광고 표시장치는 광고 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컵을 이용한 광고 표시장치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7은 컵을 이용한 광고 표시장치의 측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6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컵을 이용한 광고 표시장치는 컵(100)의 측면벽에 형성된 광고부(110)를 컵(100)의 측면벽 외측에 표시되는 광고 표장(111)과 측면벽 내측에 형성되는 요출부(112)로 구성되도록 하였다. 상기 컵(100)의 측면벽 내측에 형성된 요철부(112)는 굴곡진 다양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는데, 컵홀더(200)의 발광부(240)에서 발산되는 빛은 상기 요철부(112)를 통하여 산란된 후 광고 표장(111)에 전달되어 사용자의 시선을 유도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도 6과 도 7에서는 상기 컵(100)의 광고부(110) 중 요철부(112)가 컵(100)의 측면벽 내측에 형성되고 광고 표장(111)이 컵(100)의 측면벽 외측에 표시되도록 하고 있지만, 이는 반대로 컵(100)의 측면벽 내측에 광고 표장(111)을 표시하고 컵(100)의 측면벽 외측에 요철부(112)를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광고부(110)의 광고 표장(111) 및 요철부(112)가 모두 컵(100)의 측면벽 내측 또는 외측에 형성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컵(100)의 측면벽 내측 또는 외측에 형성된 요철부(112)에 의해 컵홀더(200)의 발광부(240)에서 발산되는 빛은 산란되어 광고 표장(111)으로 전달되고, 이에 따라 시각적 효과를 가져와 광고 효과를 높일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 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0 : 컵 110 : 광고부
111 : 광고 표장 112 : 요철부
200 : 컵홀더 201 : 몸체
210 : 컵 수용홈 220 : 제어부
221 : 터치감지부 222 : 발광제어부
223 : 진동제어부 224 : 타이머
230 : 터치부 240 : 발광부
241 : LED 250 : 진동부
260 : 설정부 270 : 전원부

Claims (7)

  1. 컵을 이용한 광고 표시장치에 있어서,
    광고 표장을 포함하는 광고부(110)가 측면벽에 형성된 컵(100);
    몸체(201)의 상부가 개방되어 상기 컵(100)의 하부 일부가 수용되는 컵 수용홈(210)과, 상기 몸체(201)의 측면벽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접촉을 감지하는 터치부(230)와, 상기 컵 수용홈(210)의 저면에 설치되어 상기 터치부(230)를 통하여 사용자의 접촉이 감지되면 컵 수용홈(210)에 수용되는 컵(100)의 측면벽에 형성된 광고부(110)를 향하여 빛을 발산하는 발광부(240)가 구비된 컵홀더(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을 이용한 광고 표시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240)는 발광시 컵(100)의 측면벽에 형성된 광고부(110)를 향하여 서로 다른 색상의 빛을 발산하도록 배열된 다수의 LED(241)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을 이용한 광고 표시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240)의 LED(241)는 컵 수용홈(210)에 수용된 컵(100)의 바닥 하부에 위치되도록 컵 수용홈(210) 저면에 상호 이격되어 다수 설치되되, 발광시 발산되는 빛이 컵(100)의 측면벽에 형성된 대각선 방향의 광고부(110)를 지향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을 이용한 광고 표시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컵(100)의 광고부(100)에는 상기 발광부(240)로부터 발산되는 빛을 산란시키는 요철부(112)가 상기 컵(100)의 측면벽 내측 또는 외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을 이용한 광고 표시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컵홀더(200)에는 상기 터치부(230)를 통하여 사용자의 접촉이 감지되는 경우 컵홀더(200)를 진동시키는 진동부(25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을 이용한 광고 표시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컵홀더(200)에는 몸체(201)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터치부(230)를 통하여 사용자의 접촉을 감지하는 경우 설정된 시간동안 상기 발광부(240) 및 진동부(250)가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22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을 이용한 광고 표시장치.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컵홀더(200)에는 상기 발광부(240) 또는 진동부(250)의 동작을 설정하는 설정부(26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을 이용한 광고 표시장치.
KR1020100120556A 2010-11-30 2010-11-30 컵을 이용한 광고 표시장치 KR1012406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0556A KR101240680B1 (ko) 2010-11-30 2010-11-30 컵을 이용한 광고 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0556A KR101240680B1 (ko) 2010-11-30 2010-11-30 컵을 이용한 광고 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8988A true KR20120058988A (ko) 2012-06-08
KR101240680B1 KR101240680B1 (ko) 2013-03-07

Family

ID=466103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0556A KR101240680B1 (ko) 2010-11-30 2010-11-30 컵을 이용한 광고 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068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764506A (zh) * 2014-01-08 2015-07-08 捷通国际有限公司 饮水监测杯、饮水监测方法和系统以及移动终端
KR20190026192A (ko) 2017-09-04 2019-03-13 이돈구 일회용 음료컵을 이용한 광고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0616U (ko) * 1996-08-09 1998-05-15 염경호 파스텔 톤을 형성하는 유리컵
KR200288304Y1 (ko) * 2002-03-11 2002-09-09 박경수 접촉식 광음료저장통
KR20020072513A (ko) * 2002-08-16 2002-09-16 박민수 입술접촉 발광에 의한 인식광고장치.
KR100768537B1 (ko) * 2005-12-01 2007-10-18 김봉석 컵홀더를 이용한 광고표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40680B1 (ko) 2013-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23549B2 (en) Container with illuminated interior visual display
US20090175029A1 (en) Cap with a light emitting diode (led) for illuminating a beverage container
KR19980014328U (ko) 발광컵
CA2593253A1 (en) Color changing light object and user interface for same
US7096617B2 (en) Internally illuminated battery powered programmable tap handle system with interchangeable translucent heads
US6955443B2 (en) Lighted wine and drinking glass base
KR101240680B1 (ko) 컵을 이용한 광고 표시장치
US20060274527A1 (en) Apparatus for providing illuminated images associated with containers
JP2004115151A (ja) エレベータの呼び操作盤
KR101871162B1 (ko) 살균기능 및 무드등 기능이 가능한 텀블러
KR102075156B1 (ko) 소독제 스템프 장치
KR200409681Y1 (ko) 발광봉
US20030046836A1 (en) Cup having a rotary display part
KR100768537B1 (ko) 컵홀더를 이용한 광고표시장치
KR101880621B1 (ko) 조명장치를 갖춘 화장품 용기
CN110840608B (zh) 电动牙刷与电动牙刷的控制方法
KR101090652B1 (ko) 발광용기
KR200409680Y1 (ko) 발광봉
KR200391600Y1 (ko) 발광가능한 컵 받침대
KR200481655Y1 (ko) 광고용 용기 홀더
CN211632705U (zh) 创意杯垫
US9322546B1 (en) Illuminatable drain plug
WO2023282342A1 (ja) 液体吐出装置
KR200342149Y1 (ko) 맥주 컵용 발광장치
KR20020066601A (ko) 발광가능한 투명제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5

Year of fee payment: 7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