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57686A - 플로우 기반 이동성 지원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플로우 기반 이동성 지원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57686A
KR20120057686A KR1020100076385A KR20100076385A KR20120057686A KR 20120057686 A KR20120057686 A KR 20120057686A KR 1020100076385 A KR1020100076385 A KR 1020100076385A KR 20100076385 A KR20100076385 A KR 20100076385A KR 20120057686 A KR20120057686 A KR 201200576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
information
network
mobility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63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근
이경희
조경섭
이은준
정일구
조성균
이현우
류원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000763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57686A/ko
Publication of KR201200576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768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4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55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무선 통합 망 환경에서 망 기반의 이동성을 지원하는 AIMS 기술에서 다수의 유무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가지는 멀티모드 단말에 대하여 플로우 기반의 이동성을 지원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라 멀티모드 단말에게 플로우 기반의 이동성을 지원하는 방법은 망에게 단말의 상태 및 플로우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망에서 플로우 기반의 이동성 지원을 트리거하고, 이러한 정보를 바탕으로 망은 멀티모드 단말에 대한 플로우 기반의 위치 등록 및 핸드오버를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플로우 기반 이동성 지원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APPLYING FLOW BASED MOBILITY}
본 발명은 망 기반의 이동성 지원 방식인 AIMS(Access Independent Mobility Service) 기술에서 다수의 유무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가지는 멀티모드(Multi-mode) 단말에 대하여 플로우 기반의 위치 등록 및 이동성을 지원하기 위한 플로우 기반 이동성 지원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802.3 이더넷(Ethernet), FTTH(Fiber-to-the-home) 등의 유선 통신 기술과 802.11 무선랜(WLAN), 802.16 와이브로(WiBro), 3G(CDMA), 3.5G(HSPA) 등의 다양한 무선 액세스 기술들이 등장하고 혼재해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이러한 다양한 유무선 기술들을 결합 및 통합하여 사용자에게 언제, 어디서나 방송과 통신이 결합된 다양한 융합 멀티미디어 서비스들을 최적의 품질로 경제적이고 효율적으로 제공하는 유비쿼터스 모바일 네트워킹 서비스에 대한 연구가 학계 및 산업계에서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이러한 융합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다수의 유무선 인터페이스를 탑재한 멀티모드 단말이 고려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기존의 단일 인터페이스를 탑재한 싱글모드(Single-mode) 단말에서 고려되었던 네트워킹 기술들에 대한 보완 및 수정이 필요한 실정이다. 특히, 멀티모드 단말에 대한 이동성 지원 측면을 고려할 때, 특정 서비스 플로우(Service Flow; SF)의 특성을 고려하여 해당 플로우에 대하여 특정 액세스 망을 통하여 가입자가 선호하는 최적의 망 환경에서 서비스 받도록 지원하는 서비스별 이동성 지원 방식 즉, 플로우 기반의 이동성 지원 방안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따라서 단말 기반의 이동성 지원 방식(예, MIPv6 등)과 망 기반의 이동성 지원 방식(예, PMIPv6 등)에서는 멀티모드 단말에 대하여 플로우 기반의 이동성 지원 방안에 대한 연구가 수행 중이다.
단말 기반의 이동성 지원 방식인 IETF MEXT 워킹그룹에서는 단말에서 망으로 특정 플로우에 대하여 플로우 기반의 이동성 지원을 요청하고 수행한다. 이에 따라, 멀티모드 단말은 특정 플로우에 대하여 특정 망을 통하여 접속함으로써,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한편, 망 기반의 이동성 지원 방식인 PMIPv6 기반의 NETEXT 워킹그룹에서는 망 기반의 플로우 이동성 지원을 위한 연구를 수행 중이다.
그러나 PMIPv6 망에서 단말의 망 접속 의도 및 상태를 정확히 감지하기 어렵다는 한계점으로 인하여, 망 기반의 이동성 지원 방식에서는 플로우 기반의 이동성을 제공하는데 한계 및 문제점을 가진다.
따라서 망 기반의 이동성 지원 방식에서 멀티모드 단말의 플로우 특성을 고려하여 해당 플로우를 최적의 망에 접속하여 서비스 받을 수 있도록 하는 플로우 기반의 이동성 지원 방안이 요망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망 기반의 이동성 지원 방식인 AIMS 기술에서 다수의 유무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가지는 멀티모드 단말에 대하여 플로우 기반의 위치 등록 및 이동성을 지원할 수 있는 플로우 기반 이동성 지원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플로우 기반 이동성 지원 장치 및 방법은, 망에게 단말의 상태 및 플로우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망에서 플로우 기반의 이동성 지원을 트리거하고, 이러한 정보를 바탕으로 망은 멀티모드 단말에 대한 플로우 기반의 위치 등록 및 핸드오버를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플로우 기반 이동성 지원 방법은, AIMS(Access Independent Mobility Service) 방식에서 멀티모드(Multi??mode) 단말에 대한 플로우(Flow) 기반의 이동성을 지원하기 위하여, 상기 멀티모드 단말이 특정 플로우에 대한 위치 등록을 위하여 핸드오버 제어 에이전트(Handover Control Agent)에게 플로우 정보를 제공하는 과정; 상기 핸드오버 제어 에이전트가 해당 플로우에 대한 바인딩 엔트리(Binding Entry)를 생성하고 등록하는 과정; 상기 핸드오버 제어 에이전트가 이동성 제어 서버(Mobility Information Control Server)에게 해당 플로우에 대한 위치 등록을 수행하는 과정; 상기 이동성 제어 서버가 해당 플로우에 대한 바인딩 엔트리를 등록 또는 갱신하는 과정; 및 상기 멀티모드 단말이 상기 위치 등록된 플로우를 기반으로 핸드오버를 수행하고 데이터를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다수의 유무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가지는 멀티모드 단말에 대하여 플로우 기반의 위치 등록 및 이동성을 제공함으로써 망 기반의 이동성 지원 방식에서 멀티모드 단말의 플로우 특성을 고려하여 해당 플로우를 최적의 망에 접속하여 서비스 받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망 기반의 이동성 지원 방식인 AIMS 시스템의 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모드 단말의 초기 망 접속 절차를 보여주는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모드 단말의 플로우 기반의 위치 등록 절차를 보여주는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모드 단말의 플로우 기반의 핸드오버 절차를 보여주는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모드 단말에 대한 플로우 기반의 데이터 전송 절차를 보여주는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성 제어 서버의 멀티모드 단말에 대한 바인딩 엔트리를 보여주는 구성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을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하기 설명에서 구체적인 특정 사항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망 기반의 이동성 지원 방식인 AIMS 시스템의 망 구성도이다.
망 기반의 이동성 지원 방식인 AIMS(Access Independent Mobility Service) 기술은 다양한 액세스 기술을 포함하는 유무선 통합 망 환경을 고려하여 단말의 이종 액세스 네트워크간 핸드오버를 지원하는 망 기반의 이동성 제어 기술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망 기반의 이동성을 제공하는 AIMS 시스템은 코어 망(21) 내에 위치하는 이동성 제어 서버(20, MICS: Mobility Information Control Server)와 각 액세스 망(31, 41, 51)에 위치하는 핸드오버 제어 에이전트(30, 40, 50, HCA: Handover Control Agent) 그리고 액세스 망(31, 41, 51)간을 이동하는 멀티모드 단말(10, MN: Mobile Node)로 구성된다.
AIMS 시스템에서 이동성 제어 서버(20)는 다양한 액세스 망(31, 41, 51)을 연결하는 코어 네트워크(21, IP 코어망) 내에 위치하며, 단말(10)에 대한 위치 바인딩 정보(링크 식별자, 홈 주소, 위치 정보 등)와 단말(10)과 통신하고 있는 상대 노드(CN: Correspondent Node)에 대한 경로 정보를 관리한다.
핸드오버 제어 에이전트(30, 40, 50)는 각 액세스 네트워크(31, 41, 51)와 코어 네트워크(21)를 연결하는 게이트웨이 라우터 상에서 위치하여 동작한다. 핸드오버 제어 에이전트(30, 40, 50)는 단말(10)이 액세스 망(31, 41, 51)에 접속한 것을 인지하여 단말(10)에 대한 정보를 액세스 네트워크(31, 41, 51) 내에 등록 및 관리하고, 단말(10)에 대한 위치 정보를 추가하여 이동성 제어 서버(20)에게 위치 등록 및 갱신을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망 기반의 이동성 지원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단말(10)이 통신하고 있는 상대 노드에 대한 위치 정보를 이동성 제어 서버(20)로부터 획득하여 데이터 전송을 위한 경로 설정 및 변경 기능을 수행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모드 단말의 초기 망 접속 절차를 보여주는 흐름도로서, 다수의 물리적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1, 13)를 가지는 멀티모드 단말(10)은 각각의 인터페이스(11, 13)에 대하여 해당 무선 기술이 속하는 망(31, 41, 51)에 동시에 각각 접속할 수 있다.
도 2는 멀티모드 단말(10)이 N 개의 물리적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1, 13)를 가지는 경우를 나타낸 것으로, 이하에서는 두 개의 물리적 인터페이스(11, 13)를 가지는 멀티모드 단말(10)에 대하여 초기 망 접속 절차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멀티모드 단말(10)은 물리적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11)을 통해 해당 무선 기술이 속하는 망(31)에 링크 접속을 수행한다. 링크 접속이 완료되면, 멀티모드 단말(10)은 망 기반의 플로우 이동성 지원을 위하여 해당 망에 존재하는 핸드오버 제어 에이전트1(30)에게 멀티모드 단말(10)에 대한 정보들을 제공한다(201). 이 때, 이러한 정보로는 해당 인터페이스(11, 13)의 링크 식별자(Layer 2 Identification; L2-ID) 정보, 해당 망을 통해서 서비스 받을 플로우 정보, 그리고 멀티모드 단말(10)의 디폴트 인터페이스(11) 정보 등이 포함된다. 본 발명에서, 플로우(Flow)는 특성 서비스를 구성하는 동일한 특성을 지니는 연속된 IP 패킷들로 정의될 수 있다.
링크 식별자(L2-ID)는 해당 물리적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1)의 식별자를 의미하며, 플로우 정보는 해당 망을 통하여 서비스 받을 플로우들에 대한 식별자(Flow Identification: F-ID) 정보와 각각의 플로우에 대한 플로우 특성 정보(플로우 구성 정보, 플로우 QoS 정보) 등을 의미한다.
그리고 멀티모드 단말(10)은 다수의 물리적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1, 13) 중에서 디폴트로 사용할 인터페이스(11)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만일, 멀티모드 단말(10)이 특정 플로우에 대하여 물리적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1, 13)를 선택하지 않으면 해당 플로우는 항상 디폴트 인터페이스(11)를 통하여 송/수신된다.
멀티모드 단말(10)의 초기 망 접속을 수행하는 절차에서 단말(10)은 물리적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식별자 정보, 해당 망을 통해서 서비스 받고자 하는 플로우 정보, 그리고 디폴트 인터페이스 정보 등을 망에게 제공한다. 아래에서 설명되는 본 예시에서는 단말(10)이 물리적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11)을 디폴트 인터페이스로 설정한다고 가정한다.
핸드오버 제어 에이전트1(30)은 단말(10)에서 제공하는 이러한 정보를 기반으로 멀티모드 단말(10)에 대한 플로우 기반의 이동성 지원을 위하여 기존의 바인딩 정보 이외에 추가로 플로우들에 대한 정보를 생성 및 등록한다(203). 즉, 핸드오버 제어 에이전트1(30)은 기존의 인터페이스 식별자, 단말(10)의 홈주소(HoA: Hom-of-Address) 등의 바인딩 정보 이외에 플로우 기반의 이동성 지원을 위한 플로우 정보(플로우 식별자, 플로우 특성 정보들), 디폴트 인터페이스 정보 등을 추가한다.
핸드오버 제어 에이전트1(30)은 이동성 제어 서버(20)와 멀티모드 단말(10)에 대한 플로우 기반의 위치 등록 절차를 수행한다(205). 이를 위하여 핸드오버 제어 에이전트1(30)은 위치 등록 메시지에 단말(10)의 플로우 정보들와 디폴트 인터페이스(11) 정보를 포함하여 이동성 제어 서버(20)에게 전송한다.
이동성 제어 서버(20)는 핸드오버 제어 에이전트1(30)이 전송하는 위치 등록 메시지를 기반으로 멀티모드 단말(10)에 대한 플로우 기반의 초기 등록 과정을 수행한다(207). 이동성 제어 서버(20)는 기존의 인터페이스 식별자, 단말(10)의 홈주소(HoA: Hom-of-Address) 등의 바인딩 정보 이외에 플로우 기반의 위치 등록 및 이동성 지원을 위한 플로우 정보(플로우 식별자, 플로우 특성 정보들), 디폴트 인터페이스 정보 등을 추가한다.
또한, 멀티모드 단말(10)은 물리적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13)를 해당 무선 기술이 속하는 망에 링크 접속을 수행한다. 링크 접속이 완료되면, 멀티모드 단말(10)은 망 기반의 플로우 이동성 지원을 위하여 해당 망에 존재하는 핸드오버 제어 에이전트2(40)에게 해당 망에서 필요한 멀티모드 단말(10)의 정보들을 제공한다(209). 이 때, 이러한 정보로는 해당 인터페이스의 링크 식별자 (layer 2 Identification: L2-ID) 정보, 해당 망을 통해서 서비스 받을 플로우 정보, 그리고 멀티모드 단말(10)의 디폴트 인터페이스 정보 등이 포함된다. 이후의 물리적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13)에 대한 플로우 기반의 위치 등록 과정은 이전의 절차와 동일하다(211, 213, 215).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모드 단말의 플로우 기반의 위치 등록 절차를 보여주는 흐름도로서, 멀티모드 단말(10)이 새로운 서비스를 시작하여 해당 서비스를 특정 인터페이스 또는 특정 망을 통하여 서비스 받고자 하는 경우, 멀티모드 단말(10)은 해당 서비스를 구성하는 특정 플로우 또는 플로우들에 대한 정보를 망에 제공해 줌으로써 플로우 기반의 위치 등록 과정을 트리거 할 수 있다.
도 3은 멀티모드 단말(10)이 N 개의 물리적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1, 13)를 가지는 경우를 나타낸 것으로, 이하에서는 두 개의 물리적 인터페이스(11, 13)를 가지는 멀티모드 단말(10)에 대하여 플로우 기반의 위치 등록 절차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도 3에서는 멀티모드 단말(10)이 특정 플로우(플로우 1)에 대하여 물리적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11)을 통하여 서비스 받고 또한, 다른 특정 플로우(플로우 2)에 대해서는 물리적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13)를 통하여 서비스 받고 싶은 경우를 고려한다.
이에 따라, 멀티모드 단말(10)은 플로우 1에 대한 플로우 정보를 물리적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11)이 접속된 망의 핸드오버 제어 에이전트1(30)에게 제공한다(301). 이 때, 플로우 식별자는 1이고 플로우 특성 정보로는 플로우를 구성 및 구별하는 정보를 포함한다(예를 들어, 플로우를 구별하는 정보를 5-튜플 정보로 가정한다). 또한, 멀티모드 단말(10)은 플로우 2에 대한 플로우 정보를 물리적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13)가 접속된 망의 핸드오버 제어 에이전트2(40)에게 제공한다(309). 마찬가지로, 플로우 식별자는 2이고 플로우 특성 정보로는 플로우를 구성 및 구별하는 정보를 포함한다(예를 들어, 플로우를 구별하는 정보는 소스 주소와 목적지 주소 정보로 가정한다).
핸드오버 제어 에이전트1(30)은 해당 플로우 1에 대한 플로우 정보를 자신의 바인딩 엔트리에 추가 및 갱신하며(303), 이러한 정보를 위치 등록 메시지에 포함하여 이동성 제어 서버(20)에게 플로우 기반의 위치 등록을 요청한다(305). 이동성 제어 서버(20)는 해당 멀티모드 단말(10)에 대하여 플로우 기반의 바인딩 엔트리를 추가하여 갱신한다(307).
이와 마찬가지로, 핸드오버 제어 에이전트2(40)는 해당 플로우 2에 대한 플로우 정보를 자신의 바인딩 엔트리에 추가 및 갱신하며(311), 이동성 제어 서버(20)에게 플로우 기반의 위치 등록을 요청한다(313). 이동성 제어 서버(20)는 해당 멀티모드 단말(10)에 대하여 플로우 기반의 바인딩 엔트리를 추가하여 갱신한다(315).
이러한 플로우 기반의 위치 등록 과정이 완료된 이후에는, 플로우 1은 물리적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11)과 해당 인터페이스가 접속된 망을 통해서, 그리고 플로우 2는 물리적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13)와 해당 인터페이스가 접속된 망을 통해서 서비스 받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모드 단말의 플로우 기반의 핸드오버 절차를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멀티모드 단말(10)은 초기 망 접속 절차 또는 사전에 정해진 정책에 따라 디폴트 인터페이스 정보를 망에서 설정한다. 이에 따라, 망에서는 일반적인 플로우들(특정 인터페이스 또는 망이 설정되지 않은)에 대하여 멀티모드 단말(10)의 디폴트 인터페이스 및 디폴트 인터페이스와 연결된 액세스 망을 통해서 서비스가 제공된다. 그러나 멀티모드 단말(10)이 특정 플로우에 대하여 특정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서비스 받고자 하는 경우, 특정 인터페이스가 접속된 망에 해당 플로우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 줌으로써 플로우 기반의 핸드오버 과정을 트리거할 수 있다.
또한, 멀티모드 단말(10)이 새로운 물리적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동작시켜 특정 망에 새롭게 링크 접속을 수행하는 경우, 해당 망을 통하여 서비스 받고자 하는 특정 플로우들의 정보를 망에게 제공해 줌으로써 플로우 기반의 핸드오버 과정을 트리거 할 수 있다.
도 4는 멀티모드 단말(10)이 N 개의 물리적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1, 13)를 가지는 경우를 나타낸 것으로서, 이하에서는 두 개의 물리적 인터페이스(11, 13)를 가지는 멀티모드 단말(10)에 대하여 플로우 기반의 핸드오버 절차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멀티모드 단말(10)이 특정 플로우(플로우 3)에 대하여 디폴트 인터페이스인 물리적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11)을 통하여 서비스 받고 있다고 가정한다. 이 때, 단말(10)이 플로우 3을 물리적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13)를 통하여 서비스를 받고 싶은 경우를 고려한다.
우선, 멀티모드 단말(10)은 플로우 3에 대한 플로우 정보(플로우 식별자, 플로우 특성 정보 등)을 물리적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13)가 접속된 망의 핸드오버 제어 에이전트2(40)에게 전달함으로써 플로우 기반의 핸드오버를 트리거한다(401).
핸드오버 제어 에이전트2(40)는 해당 플로우 3에 대한 플로우 정보를 자신의 바인딩 엔트리에 추가 및 갱신하며(403), 이러한 특정 플로우에 대한 정보만을 위치 등록 메시지에 포함하여 이동성 제어 서버(20)에게 플로우 기반의 위치 등록을 요청한다(405).
이동성 제어 서버(20)는 해당 멀티모드 단말(10)에 대하여 플로우 기반의 바인딩 엔트리를 추가하여 갱신한다(407). 이러한 플로우 기반의 위치 등록 절차 이후, 멀티모드 단말(10)은 플로우 3을 물리적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13)와 해당 인터페이스가 접속된 망을 통해서 서비스 받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모드 단말에 대한 플로우 기반의 데이터 전송 절차를 보여주는 흐름도로서, 멀티모드 단말(10)과 통신을 수행하려는 상대 노드(60, Correspondent Node; CN)가 멀티모드 단말(10)에게 데이터를 전송하는 시나리오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먼저, 상대 노드(60)의 데이터를 수신한(501) 해당 핸드오버 제어 에이전트2(40)는 바인딩 엔트리를 검색하여 멀티모드 단말(10)에 대한 위치 정보가 존재하는지를 검색한다. 바인딩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해당 핸드오버 제어 에이전트2(40)는 멀티모드 단말(10)에 대한 위치 정보 요청 메시지를 이동성 제어 서버(20)에 전송한다(503). 이 때, 이 메시지에는 핸드오버 제어 에이전트2(40)가 상대 노드(60)로부터 수신된 패킷에 대한 정보(예를 들어, 5 튜플 정보 등)들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이동성 제어 서버(20)는 멀티모드 단말(10)에 대한 바인딩 정보를 검색한다(505). 이 때, 이동성 제어 서버(20)는 위치 정보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패킷 정보를 활용하여 멀티모드 단말(10)에 대한 바인딩 엔트리를 검색한다.
이동성 제어 서버(20)는 멀티모드 단말(10)의 바인딩 정보 중에서 요청된 패킷에 대하여 맵핑되는 플로우 엔트리가 존재하면 해당 엔트리에 존재하는 접속 망 정보를 위치 응답 메시지를 통하여 해당 핸드오버 제어 에이전트2(40)에게 전달한다(507). 만일, 요청된 패킷에 대하여 맵핑되는 플로우 엔트리가 존재하지 않으면, 멀티모드 단말(10)의 디폴트 인터페이스가 접속된 디폴트 망 정보를 핸드오버 제어 에이전트2(40)에게 제공하고(507), 핸드오버 제어 에이전트1(30)에게 상대 노드(60)의 위치 알림 메시지를 제공한다(511).
이동성 제어 서버(20)가 전송하는 위치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 핸드오버 제어 에이전트2(40)는 메시지내의 망 정보를 바탕으로 해당 플로우에 대한 바인딩 정보를 갱신하고(509), 멀티모드 단말(10)에 대한 데이터를 전송한다(515). 핸드오버 제어 에이전트2(4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한 핸드오버 제어 에이전트1(30)은 멀티모드 단말(10)로 수신한 데이터를 전송한다(517).
즉, 이동성 제어 서버(20)에서 멀티모드 단말(10)에 대한 위치 정보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핸드오버 제어 에이전트2(40)는 메시지에 포함된 패킷의 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멀티모드 단말(10)에 대한 바인딩 엔트리를 검색하여 맵핑되는 엔트리가 존재하는지를 검사한다. 그리고 핸드오버 제어 에이전트2(40)는 특정 멀티모드 단말(10)에 대한 각각의 플로우 엔트리에 대하여 플로우 구성 및 구별 정보를 바탕으로 요청된 패킷 정보와 해당 엔트리가 맵핑되는지를 검사한다.
상기 플로우 구성 및 구별 정보는 멀티모드 단말(10)로부터 제공되는 플로우 정보를 바탕으로 등록되거나 또는 미리 정해진 정책에 따라 결정될 수 있으며, 각각의 플로우 엔트리마다 독립적인 플로우 구성 및 구별 정보들이 존재할 수 있다. 이를 도 6을 추가로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성 제어 서버의 멀티모드 단말에 대한 바인딩 엔트리를 나타낸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성 제어 서버(20)의 바인딩 정보는 한 개의 홈 IP 주소(1.1.1.1)를 가지는 멀티모드 단말(10)에 대하여 3개의 물리적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정보들과 이에 대한 각각의 3개의 링크 식별자 및 링크 타입의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이동성 제어 서버(20)의 바인딩 정보는 멀티모드 단말(10)의 디폴트 인터페이스의 종류와 디폴트 인터페이스가 접속된 망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그리고 바인딩 엔트리는 멀티모드 단말(10)에 대하여 다수의 플로우 바인딩 엔트리 정보를 가진다. 플로우 정보에는 플로우 식별자, 플로우 구성 및 구별 정보, 플로우 QoS 정보 그리고 해당 플로우를 서비스하는 망에 대한 정보 등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위치 정보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이동성 제어 서버(20)는 메시지에 포함된 패킷의 정보들과 멀티모드 단말(10)에 대한 플로우 엔트리들과 비교한다. 첫 번째 플로우 엔트리의 플로우 구성 및 구별 정보는 소스 주소가 CN1 인 패킷들에 해당함으로 패킷의 정보 중에 소스 주소가 CN1인지를 비교한다. 만일, 패킷의 정보들 중에 소스 주소가 CN1이라는 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면 조건에 부합되므로, 이동성 제어 서버(20)는 해당 플로우 엔트리에 대한 정보를 위치 응답 메시지를 통하여 핸드오버 제어 에이전트2(40)에게 제공하고(507), 핸드오버 제어 에이전트1(30)에게 상대 노드(60)의 위치 알림 메시지를 제공한다(511).
그러나 만일 일치하지 않는다면, 이동성 제어 서버(20)는 다음 플로우 엔트리와 비교 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비교 과정은 해당 목적지 주소의 모든 플로우 엔트리에 대하여 수행되며, 만일 플로우 엔트리 중에 부합되는 엔트리가 존재하지 않으면, 이동성 제어 서버(20)는 단말(10)의 디폴트 망 정보를 위치 응답 메시지를 통하여 핸드오버 제어 에이전트2(40)에게 제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플로우 기반 이동성 지원 방법은 망에게 단말(10)의 상태 및 플로우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망에서 플로우 기반의 이동성 지원을 트리거하고, 이러한 정보를 바탕으로 망은 멀티모드 단말(10)에 대한 플로우 기반의 위치 등록 및 핸드오버를 지원할 수 있으므로, 다수의 유무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1, 13)를 가지는 멀티모드 단말(10)에 대하여 망 기반의 이동성 지원 방식에서 멀티모드 단말(10)의 플로우 특성을 고려하여 해당 플로우를 최적의 망에 접속하여 서비스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서 정해져야 한다.

Claims (1)

  1. AIMS(Access Independent Mobility Service) 방식에서 멀티모드(Multi??mode) 단말에 대한 플로우(Flow) 기반의 이동성을 지원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멀티모드 단말이 특정 플로우에 대한 위치 등록을 위하여 핸드오버 제어 에이전트(Handover Control Agent)에게 플로우 정보를 제공하는 과정;
    상기 핸드오버 제어 에이전트가 해당 플로우에 대한 바인딩 엔트리(Binding Entry)를 생성하고 등록하는 과정;
    상기 핸드오버 제어 에이전트가 이동성 제어 서버(Mobility Information Control Server)에게 해당 플로우에 대한 위치 등록을 수행하는 과정;
    상기 이동성 제어 서버가 해당 플로우에 대한 바인딩 엔트리를 등록 또는 갱신하는 과정; 및
    상기 멀티모드 단말이 상기 위치 등록된 플로우를 기반으로 핸드오버를 수행하고 데이터를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우 기반의 이동성 지원 방법.
KR1020100076385A 2010-08-09 2010-08-09 플로우 기반 이동성 지원 장치 및 방법 KR2012005768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6385A KR20120057686A (ko) 2010-08-09 2010-08-09 플로우 기반 이동성 지원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6385A KR20120057686A (ko) 2010-08-09 2010-08-09 플로우 기반 이동성 지원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7686A true KR20120057686A (ko) 2012-06-07

Family

ID=466094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6385A KR20120057686A (ko) 2010-08-09 2010-08-09 플로우 기반 이동성 지원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5768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8023A (ko) * 2018-10-29 2020-05-08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서비스별로 플로우의 이동성을 관리하는 sdn컨트롤러 및 이를 이용한 이동성 관리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8023A (ko) * 2018-10-29 2020-05-08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서비스별로 플로우의 이동성을 관리하는 sdn컨트롤러 및 이를 이용한 이동성 관리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14737B2 (ja) 通信ネットワークで使用する方法および装置
JP4971468B2 (ja) 移動体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インタフェース選択
CN104335637A (zh) 接入点检测
CN111512653B (zh) 通过桥接实体路由漫游用户设备的注册请求的技术
JP5059181B2 (ja) 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システムの通信方法
WO2012155728A1 (zh) 一种多模智能接入方法、设备和系统
US8983530B2 (en) Data session continuity between wireless networks
JP2011501916A (ja) マルチホーミング・プロトコルのためのサポート
WO2011153777A1 (zh) 移动通信控制方法、系统、映射转发服务器及接入路由器
KR20120071721A (ko) PMIPv6에서 플로우 기반의 이동성을 지원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120057686A (ko) 플로우 기반 이동성 지원 장치 및 방법
KR100789900B1 (ko) 이종 무선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는 멀티 무선인터페이스를 가진 이동단말의 정책을 기반으로 한핸드오버 방법
US9942745B1 (en) Proxy server and method thereof for forwarding location requests to a position determining entity
KR101368469B1 (ko) 네트워크 기반 이동성 시스템 및 그 시스템에서의 핸드오버 방법
Sargento et al. Seamless Mobility Architecture Supporting Ad-Hoc Environments
JP2014033464A (ja) 無線通信端末、通信システム、制御装置、通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