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57515A - 내부 공급식 어플리케이터 - Google Patents

내부 공급식 어플리케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57515A
KR20120057515A KR1020110117278A KR20110117278A KR20120057515A KR 20120057515 A KR20120057515 A KR 20120057515A KR 1020110117278 A KR1020110117278 A KR 1020110117278A KR 20110117278 A KR20110117278 A KR 20110117278A KR 20120057515 A KR20120057515 A KR 201200575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plicator
bristle
bristles
lip portion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72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사산 하비비-나이니
요세프 에틀린
Original Assignee
술저 믹스팩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술저 믹스팩 아게 filed Critical 술저 믹스팩 아게
Priority to KR10201101172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57515A/ko
Publication of KR201200575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751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6Implements for therapeutic treatment
    • A61C19/063Medicament applicators for teeth or gums, e.g. treatment with fluorides
    • A61C19/066Bleaching devices; Whitening agent applicators for teeth, e.g. trays or strip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1/00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 A46B11/0072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5/00Devices for applying media, e.g. remedies, on the human body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66Toothbrush for cleaning the teeth or dentur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체를 바르기 위한 내부 공급식 어플리케이터(1)에 관한 것으로, 본 어플리케이터는 분배 장치에 상기 어플리케이터(1)를 바람직하게는 잠금 고정하기 위한 폐쇄편(2) 및 이 폐쇄편(2)에 유체 전달 방식으로 연결되는 내부 중공형 립 부분(3)을 가지며, 이 립 부분은 그의 자유 출구(10)의 경계를 이루는 가장자리들 중의 적어도 하나에서, 립 부분(3)에 사출 성형된 강모(9)로 만들어진 강모 스톡(4)을 가지며, 각각의 강모는 최대 0.8 mm 의 직경을 가지며, 상기 강모 스톡에는 공급된 유체가 상기 립 부분을 통해 전달된다.

Description

내부 공급식 어플리케이터{INTERNALLY FED APPLICATOR}
본 발명은 독립 청구항의 전제부에 따른 유체를 분배하기 위한 내부 공급식 어플리케이터에 관한 것이다.
예컨대 치과 분야에서 환자의 치아상으로 유동성 물질을 분배하기 위해 내부 공급식 어플리케이터가 사용되고 있다. 예컨대 이 물질은 치아들 하얗게 만드는 미백제, 치아를 전문적으로 불소 처리하기 위한 물질 또는 치아 또는 치아 부분의 정확한 의치 본(impression)을 제작할 수 있게 해주는 의치 본 재료일 수 있다. 이로써 분배될 유체가 단일의 성분만 포함하는 소위 일성분계 또는 분배될 유체가 발라지기 바로 전에 서로 접촉하여 혼합되는 2종 이상의 물질을 포함하는 이성분계 또는 다성분계가 존재한다. 성분 및/또는 성분들은 일반적으로 분배 장치의 하나 이상의 공급 챔버에 제공되며 그런 다음 발라지기 위해 분배된다. 이러한 분배 장치의 예에는 바늘 또는 이중 바늘이 있다.
단지 일 성분의 경우에 분배 장치는 일반적으로 유체가 분배될 때 지나게 되는 노즐, 립 또는 바늘을 갖는다. 이종 이상의 성분의 경우에는 분배 장치는 일반적으로 관형으로 설계된 정적 혼합기를 갖는데, 이 혼합기의 입구는 공급 챔버에 연결되어 있어 서로 다른 성분들이 공급 챔버로부터 정적 혼합기에 도달할 수 있으며, 이 혼합기에서 성분들은 그 정적 혼합기를 관류하면서 균질한 물질로 혼합되고 그런 다음에 발라지기 위해 출구에서 혼합기를 나간다.
이와 관련하여, 앞에서 언급한 바름의 특정의 정확한 바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혼합기 또는 노즐의 출구가 조대하게 되어 있는 경우가 자주 있다. 이러한 이유로, 보다 정확한 바름을 위해 소위 구강내 팁(IOT)으로서 혼합기 및/또는 노즐 이나 바늘의 출구에 배치되는 어플리케이터, 예컨대 광폭 슬롯 노즐이 알려져 있다.
상기한 사항이 문자 그대로 해당되는 다른 적용의 경우는 매우 정확하게 발라져야 하는 일성분 또는 다성분 접착제이다.
혼합기 또는 노즐의 출구에 배치되는 이러한 어플리케이터가 실제로 많은 용도를 위해 시도 및 시험되었지만, 여전히 개선의 필요성이 있다. 예컨대, 치아 미백이나 치아의 불소 처리시에는 발라질 유체를 미리 정해진 표면상에 얇은 층으로서 매우 균질하고 면형태로 분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관련하여, 가능한 한 얇은 선택적인 분배가 또한 빈번히 중요하다. 그러나, 이는 광폭 슬릿 노즐과 같은 공지된 어플리케이터로 어느 정도로만 실현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균질하게 면형태로 분배할 수 있도록 추후 다른 작업 단계가 요구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종래 기술에서 출발하여, 예컨대 치과 분야에서 또는 결합시 유체를 편안하게 빠르게 미세하게 균일하게 또한 깨끗하게 면형태로 분배할 수 있는 유체 분배용 어플리케이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의 주재는 독립 청구항에 기재된 사항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되는 유체 분배용 내부 공급식 어플리케이터는, 분배 장치에 상기 어플리케이터를 바람직하게는 잠금 고정하기 위한 폐쇄편 및 이 폐쇄편에 유체 전달 방식으로 연결되는 내부 중공형 립 부분을 가지며, 이 립 부분은 그의 자유 출구의 경계를 이루는 가장자리들 중의 적어도 하나에서, 립 부분에 사출 성형된 강모로 만들어진 강모 스톡을 가지며, 각각의 강모는 최대 0.8 mm 의 직경을 가지며, 상기 강모 스톡에는 공급된 유체가 상기 립 부분을 통해 전달된다.
본 발명은 특히 비화장용 유체에 적합하다. 이와 관련하여 "비화장용 유체"는 피부나 털에 화장품을 바르기 위한 것이 아닌 유체를 의미한다. 본 출원에서 비화장품 유체는 특히 치과용 유체(예를 들면, 의치 본 재료, 미백제 또는 치아의 불소 처리를 위한 물질 또는 치아나 잇몸의 다른 치료를 위한 물질) 및 특히 산업용 접착제나 의료용 접착제(조직 접착제) 또는 잡역부용 접착제가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되는 강모 스톡의 강모는 최대 0.8 mm 의 직경만 가지므로 매우 미세하다. 바람직하게는 이 직경은 더욱더 작고 최대 0.5 mm 이고 이상적인 경우에는 최대 0.35 mm 이다.
강모 직경과 관련하여 강모는 실질적으로 둥근 단면을 갖는다고(허용 공차로 인한 편차는 별개로 하고) 가정한다. 가공 공학의 관점에서는 실질적으로 둥근 강모가 가장 단순한 경우이며 따라서 선호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르면 예컨대 달걀 모양 및/또는 타원형 강모도 사용될 수 있고 또는 심지어 다른 형상, 예컨대 X자형 단면의 강모도 사용될 수 있다. 그래서 강모 직경은 평균 직경으로 이해되는데, 이 평균 직경은 대응하는 강모 프로파일, 예컨대 X 자형 강모 프로파일의 단면적에 상당하는 면적을 갖는 원의 직경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어플리케이터는 이 어플리케이터가 연결되는 분배 장치의 일 부분, 즉 예컨대 립 또는 혼합기와 함께 사용후에 처리되는 일회용 어플리케이터이다.
미세한 강모는 바람직하게는 사출 성형되며 이상적으로는 립 부분으로 일단계로 스프레이된다.
바람직하게는 강모 스톡은 출구를 완전히 둘러싼다. 이렇게 해서, 취급이 서툴러서 유체가 강모를 지나 흐르면서 떨어질 수 있는 것이 방지된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의 범위에서, 상기 강모 스톡을 형성하는 강모의 대부분, 바람직하게는 모든 강모가 상기 립 부분의 중심선에 본질적으로 평행한 강모 중심선을 갖는다. 이러한 강모에 의해 이상적인 바르기(application) 거동이 나타나게 되고 또한 립 부분 제작시의 어려움이 최소로 된다.
이는 상기 강모가 립 부분의 출구의 배출 단면 안으로 또는 그 앞에서 바람직하게도 돌출하지 않거나 또는 적어도 실질적으로 돌출하지 않는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다.
바람직하게는 가장자리들 중의 적어도 하나, 그러나 가장 좋게는 모든 가장자리들이 각 가장자리를 따라 각각 서로 인접해서 직립해 있는 일렬의 강모만 갖는다. 일렬의 강모 열로 제한함으로써 어플리케이터를 매우 미세하게 유지할 수 있는데, 이는 예컨대 치아나 틀니에 대해 작업을 해야 할 때 바르기의 관점에서 유리하다.
하지만 가장자리들 중의 적어도 하나, 가장 좋게는 모든 가장자리에 서로의 옆에서 각 가장자리를 따라 각기 직립해 있는 일렬의 강모가 있을 뿐만 아니라 최대 3개의 이러한 강모열이 각각의 가장자리를 따라 서로 평행하게 직립해 있는 어플리케이터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그러나, 이러한 실시 형태는 바람직한 것은 아닌데, 왜냐하면 적어도 여러개의 열이 국부적으로만 제공되어 있는 것이 아닐 때는 그 실시 형태는 기본적으로 열등한 실시 형태이기 때문이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의 범위에서, 강모의 대부분, 바람직하게는 모든 강모가 최대 5.5 mm, 바람직하게는 최대 4.5 mm, 특히 바람직하게는 최대 3.5 mm 및 이상적으로는 최대 2.8 mm 의 강모 길이를 갖는다. 놀랍게도, 이러한 짧은 강모는 분배에 대한 효과면에서 긴 강모 보다 열등하지 않은 것으로 밝혀졌다. 그러나, 특히 강모들이 사출 성형된 강모일 때는 짧은 강모가 더 내구적이다. 긴 강모들은 분배시 쉽게 과하중에 걸릴 수 있고 그래서 적어도 어떤 피로가 존재할 때는 영구적으로 휘어지게 되며, 따라서 긴 강모들은 모든 방향으로 돌출된다. 이렇게 되면 어플리케이터가 보기 안 좋게 될 뿐만 아니라 분배 거동이 나쁘게 된다. 또한, 짧은 강모는 사출 성형 중에 만들기가 더 간단한데, 왜냐하면 강모의 길이가 길어지면 강모의 형성시 많은 강모가 붕괴되며 그리 하여 외양이 질적으로 악화되기 때문이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의 범위에서, 강모 기부에서의 강모 직경은 강모 기부의 영역에서 강모를 지지하는 벽의 벽두께 보다 작게 되어 있다. 이상적으로는 강모 직경은 강모를 지지하는 벽의 벽두께 보다 적어도 30% 작다. 이러한 설계에 의해, 특히 사출 성형되는 강모의 경우에 강모를 지지하는 벽에 강모들이 확실하게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이러한 설계에 의해 양호한 성형성이 또한 보장된다.
다른 한편, 강모를 지지하는 벽의 벽두께가 강모 기부에서의 강모 직경의 영역에서의 대략적인 벽두께와 같은 때도 유리하다. 매우 관대하게 생각하면, 이는 벽두께가 강모 기부에서의 강모 직경의 최대 3배인 경우다. 바람직하게는, 벽두께는 더 작고, 단지 강모 기부에서의 강모 직경의 단지 최대 2배, 이상적으로는 심지어 최대 1.5 배이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의 범위에서, 강모는 각각의 가장자리를 띠라 일렬로만 배열되며, 하지만 이웃하는 강모들 사이에는 소정의 변위가 주어져, 예컨대 제 1 강모에 이웃하는 제 2 강모는 벽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강모 직경의 적어도 1/3 로 제 1 강모에 대해 각각 변위되어 있다.
적은 유체를 미세하게 분배하기 위해서는, 강모 영역이 바람직하게는 18개 이상의 강모, 특히 26 개 이상의 강모를 포함하는 것이 유리하다. 이렇게 해서, 모든 용도에서 있어서 그러한 최소 갯수의 강모를 갖는 어플리케이터에 대해 요구되는 분배 장확도가 보장된다. 불확실한 경우에는 더 얇은 강모가 바람직하게 제공되고 그러면 강모가 더 많아지게 된다.
그러나, 제조상의 관점에서 보면, 본 발명에 따른 어플리케이터이 강모의 수를 임의로 많게 하는 것은 합당치 않다. 이러한 이유로,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대한 강모의 영역은 90 개 미만의 강모를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60 개 미만의 강모를 포함한다. 많은 경우에는 45 개 또는 44 개 미만의 강모를 제공하는 것이 합당하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의 범위에서, 립 부분의 직경 및/또는 폭은 적어도 한 평면내에서 폐쇄편에서부터 자유 출구로 가면서 증가한다.
이렇게 해서 비교적 양호한 유체 계량이 보장되는데, 왜냐하면 증가하는 립 부분은 필요하다면 그 립 부분의 가장 좁은 지점을 통해 가압되는 많은 양의 화장품을 취하여 그 가압된 화장품을 "단속적으로 저장하도록" 위치될 수 있기 때문이다. 더욱이, 또한 이 때문에 제조상의 이점이 얻어진다. 이러한 관점에서 다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립 부분이 그의 자유 출구까지 증가하는 각도로서 그 립 부분의 중심 축선에 대한 각도는 소정의 크기를 갖는데, 하지만 최대 25도이고 바람직하게는 최대 15 도이다. 립 부분의 이러한 적절한 증가가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의 범위에서, 립 부분은 관류될 수 있는 폭(B)이 괸류될 수 있는 높이(H) 보다 상당히 더 큰 편평한 통로로 설계된다. 본 발명에서 "상당히 더 큰" 이라는 말은, 비가 적어도 2.5 대 1,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3 대 1, 이상적으로는 적어도 4 대 1 인 경우를 뜻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높이(H)는 립 부분의 기부에서부터 출구로 가는 방향으로 적어도 그리 크지 않게 일반적으로 적어도 2% 증가한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 형태의 범위에서, 상기 벽의 내측면에서부터 측정할 때 립 부분은 제 1 방향으로 관류될 수 있는 폭(MB)으로서 2.5 mm 이상 25 mm 이하 그리고/또는 일반적으로 20 mm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3 mm 이상 10 mm 이하의 폭을 갖는다. 벽의 외측면에서 립은 벽두께의 두배인 크기, 즉 1.4 mm 이상 2.5 mm 이하의 크기를 갖는다.
또한, 벽의 내측면에서 부터 측정할 때 출구는 제 1 방향에 수직인 제 2 방향으로 관류될 수 있는 높이(H)로서 0.4 mm 이상 2.5 mm 이하, 바람직하게는 0.4 mm 이상 1.5 mm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1.1 mm 이하의 높이를 갖는 실시 형태가 특히 바람직하다. 벽의 외측면의 크기에 대해서도 상기한 바가 해당된다.
이러한 어플리케이터 설계는 매우 가늘고 이러한 이유로 정확한 분배에 아주 잘 적합하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상기 립 부분은 (본질적으로 유체 전달 방향에 대응하는 그의 길이방향 축선으로) 폐쇄편의 중심 축선(일반적인 경우에 공급 용기의 중심 축선에 대응함)에 대해 15°? 90°, 바람직하게는 15°? 55°또는 50°의 각을 이룬다. 이러한 설계로 어플리케이터를 특히 실용적으로 다룰 수 있게 된다. 특히, 바늘이나 카트리지에서 어플리케이터를 사용할 때, 분배가 될 수 있게 바늘이나 카트리지를 너무 강하게 기울이거나 또는 유체가 강모 스톡의 영역안으로 계속 들어갈 정도로 그 바늘이나 카트리지를 기울일 필요가 없다.
가능한 일 실시 형태에서, 립 부분은 그의 기부에서부터 출구까지의 길이(강모 스톡은 제외하고 계산)가 70 mm 이상, 바람직하게는 90 mm 이상이며, 이 길이는 바람직하게는 제한되어 동시에 160 mm 이하, 이상적으로는 140 mm 이하이다. 상기한 폭과 높이 값을 고려한 이러한 길고 바람직하게는 가느다란 립 부분의 설계는 어떤 경우에는 바르기를 간단하게 해주는데, 왜냐하면 분배 장치를 얼굴 가까이에 가져갈 필요가 없고 얼굴로부터 소정의 거리에 유지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이는 또한 바르기가 더욱 유쾌한 것으로 인식되도록 해준다.
바람직하게는, 폐쇄편은 분배 장치의 립이나 혼합기에 리턴으로 고정되기 위해 잠금부를 갖는다. 본 발명의 범위에서 논의한 이러한 미세한 어플리케이터는 일반적으로 이에 성형되는 스크류 캡을 갖는 것이 아니라 분배 장치에 고정되기 때문에 그 분배 장치에 상당히 더 용이하게 장착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의 범위에서, 폐쇄편은 원주 표면을 갖는데, 이 표면은 장착된 상태에서 분배 장치에 있는 상보적인 표면에 본질적으로 반경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예인장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원주 표면은, 어플리케이터가 분배 장치의 출구(예컨대, 립, 바늘, 혼합기) 안으로 삽입되면 이것이 분배 장치에 대해 탄성적으로 인장되어 시일이 생성되도록 설계된다.
바람직하게는, 어플리케이터 및/또는 그의 폐쇄편은 그의 길이 방향 축선에 수직인 접합면을 갖는다. 이 접합면은 장착된 상태에서 분배 장치의 상보적인 표면과 접촉해 있게 된다.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반드시 그럴 필요는 없지만, 이 지점에서 특히 축방향으로 탄성적인 예인장(pre-tensioning) 및/또는 프리스트레싱(pre-stressing)이 일어난다.
이상적으로는, 어플리케이터는 뿌옇게(opaquely) 투명하도록 설계된다. 이는 유체가 어플리케이터를 관류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을 정도로 그 어플리케이터가 투명하게 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그래서 사용자는 유체가 어떻게 립 부분을 통해 그의 출구까지 천천히 이동하는 지를 볼 수 있게 된다. 이는 특히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고려되고 있는 바와 같은 미세한 어플리케이터의 경우, 사용자가 "아무일도 일어나지 않고 있다" (이후에 약간의 시간이 지연된 후 증가된 양의 유체가 출구를 나가게 됨) 라는 인상을 받아 처음에 너무 많은 유체를 분배하는 것을 방지해 준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 형태의 범위에서, 유체를 립 부분의 출구로 안내하기 위해, 어플리케이터의 내부 통로는 서로 결합하는 두개의 푸시어(pusher)로 형성되는데, 한 푸시어는 바람직하게는 다른 푸시어의 개구 안으로 국부적으로 들어가게 된다. 어플리케이터에서 상응하는 흔적을 남기는 이러한 설계는 제조상의 관점에서 상당한 이점을 갖는데, 사출 성형으로 완전한 부품을 제작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하여 어플리케이터에 있어서 분배 장치에 연결되도록 되어 있는 측에서 큰 푸시어가 삽입된다. 그런 다음 작은 푸시어가 립 부분의 출구측에서 이 안으로 삽입되어 첫번째 언급한 푸시에 부수하게 되며 최종적으로 첫번째 언급한 푸시어의 상보적인 개구에서 상호 작용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어플리케이터의 다른 이점, 설계 가능성, 유리한 수단 및 작동 모드는 몇개의 도면의 도움으로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 및 종속 청구항으로부터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어플리케이터의 일 실시 형태의 측면도이다.
도 1a 는 도 1 에 나타나 있는 것과 동일하지만 1:1 축척으로 도시되어 있는 제 1 실시 형태를 나타낸다.
도 2 는 도 1 에 나타나 있는 어플리케이터를 앞쪽에서 본 것이다.
도 3 은 도 1 및 2 에 나타나 있는 어플리케이터의 사시도이지만, 도 1 및 2 와는 다른 축척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4 는 도 1 에 따른 본 발명의 어플리케이터의 단면도이다.
도 5 는 도 4 에 나타나 있는 어플리케이터의 립 부분의 다른 단면도로, 도 4 및 5 에서 처럼 이들은 상이한 축척으로 나타나 있지만 도 1 ? 3 보다는 큰 축척을 갖는다.
도 6 은 사용시 존재하는 힘의 영향으로 변형되는 앞 도면 중의 하나에 따른 어플리케이터를 나타낸다.
도 7 ? 10 은 복수의 상이한 사시도로 나타낸 제 2 실시 형태를 보여주는 것으로, 이 실시 형태에서는 출구가 볼록하게 만곡되어 있다.
도 11 ? 14 는 복수의 상이한 사시도로 나타낸 제 3 실시 형태를 보여주는 것으로, 이 실시 형태에서는 립 부분이 적어도 출구에서 여러개의 챔버로 분할되어 있다.
도 15 ? 18 는 복수의 상이한 사시도로 나타낸 제 4 실시 형태를 보여주는 것으로, 이 실시 형태에서는 출구는 오목하게 만곡되어 있고/있거나 볼록하게 되어 있다.
실시 형태에 나타나 있는 강모는 바람직하게는 하나의 재료로 만들어지는데, 다시 말해 사출 성형시 강모 스톡 및/또는 보편적인 어플리케이터와 일체로 만들어짐에 먼저 주의해야 한다. 이와 관련하여, 각각의 강모내에서 그 강모의 종축선 방향으로 상당한 분자 배향이 일어나도록 강모 형성 통로가 효과적으로 배기되고 또한 용융물이 고압에서 상기 강모 형성 통로 안으로 주입된다. 이렇게 사출 성형된 강모는 이와 관련하여 필라멘트 및/또는 신장된 필라멘트와 매우 유사하게 거동하게 된다. 정확하게 이리 하여 미세하지만 저항성이 있는 강모가 필요한 경우 본 발명으로 제조될 수 있다.
가능하다면, 예컨대 다공 강모 지지부(전체 어플리케이터의 일체적인 부품일 수 있음)가 먼저 제조되고 두번째 단계에서 강모들이 그 지지부의 구멍을 통해 스프레이됨으로써 강모들이 소위 2-K 공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로써 앞 단락에 기재되어 있는 관점이 또한 고려된다.
도 1 에는 제 1 실시 형태에 따른 어플리케이터(1)가 크게 확대되어 나타나 있으며, 이 제 1 실시 형태를 형성하는 상기 어플리케이터(1)는 도 1a 에서 1:1 의 축척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 어플리케이터는 특히 치과용 어플리케이터로 사용되는 것이어서 특히 미세하게 설계된다.
이하 치과 분야와 특히 관련된 어플리케이터인 치과용 어플리케이터에 대해 언급할 것이다. 치과용 어플리케이터로 사용하면, 환자의 치아 또는 치아 부분에 유체 물질을 정확하고 얇은 층으로서 면형태로 분배할 수 있다. 치과용 어플리케이터는 분배 장치의 출구에 배치되며, 이 분배 장치는 예컨대 바늘, 이중 바늘 또는 적어도 하나의 카트리지를 포함한다. 일성분계의 경우에 분배 장치의 출구는 일반적으로 립, 노즐 또는 바늘로 형성되고, 이성분계 또는 다성분계의 경우에 분배 장치의 출구는 일반적으로 혼합 관을 포함하는 정적 혼합기로 되어 있으며, 상기 혼합 관의 단부에서 두 종류 이상의 성분이 균질하게 완전히 혼합된 물질로서 배출된다.
치과 분야에서의 사용 외에 실행과 관련된 다른 사용 분야는 (산업용) 결합인데, 이 경우 일종 이상의 다성분 접착제가 소정의 표면에 발라져야 한다.
폐쇄편(2)을 도 1 에서 쉽게 볼 수 있는데, 이 폐쇄편은 관 부분(5) 및 바브(barb: 6)를 포함하며, 이 바브는 분배 장치의 대응 출구 또는 분배 장치를 위한 대응 연결 커플링에 형상 부합식으로 연결된다. 분명히 알 수 있는 것 처럼 폐쇄 편(2) 다음에는 립 부분(3)이 있다. 이 립 부분(3)은 그의 원위 단부(폐쇄편(2)에서 먼쪽에 있는 단부)에서 강모 스톡(4)을 지지한다. 상기 강모 스톡은 바람직하게는 본질적으로 동일한 길이를 갖는 다수의 강모 만으로 구성된다.
상기 폐쇄편은 원주 표면(8)을 갖고 있는데, 이 원주 표면은 탄성 예인장을 받는 상태에서 분배 장치의 출구 안으로 들어가 적어도 상기 바브(6)를 추가로 시일링하도록 되어 있다. 바브 또한 시일링을 한다. 이를 위해, 바브는 바브 시일링 표면(6a)을 갖는다. 또한, 분배 장치의 출구의 면에 접해 배치되는 폐쇄편(2)의 끝면에는 부착 표면(7)이 제공되어 있다.
폐쇄편의 길이방향 축선(L1) 및 립 부분의 길이방향 축선(L2) 또한 쉽게 볼 수 있다. 동시에 두 길이방향 축선은 립 부분(3)과 폐쇄편(2)에 있는 각 통로의 길이방향 축선이기도 하다. 보는 바와 같이, 이들 길이방향 축선은 립 부분(3)이 폐쇄편(2) 안으로 이어지는 지점의 영역에서 만난다.
도 3 은 출구폭(MB)(즉, 출구의 경계를 이루는 두 최장 벽의 길이)으로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에 따른 어플리케이터의 치수를 나타낸다.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어플리케이터는 예컨대 치과용 어플리케이터로서의 의도하는 용도를 위해 매우 컴팩트하게 설계되어 있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2.5 mm ≤ MB ≤ 12 mm 이다. 바람직하게는 또한 2.5 mm ≤ MB ≤ 8 mm 이다.
보는 바와 같이, 립 부분(3)은 폐쇄편(2)에 대해 각(α)을 이루면서 돌출되어 있다. 이 특정한 경우, 어플리케이터는 약 12.5 mm 의 투영 길이(AK)를 가지며, 일반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어플리케이터는 5 mm ? 20 mm, 본질적으로 바람직하게는 9 mm ? 16 mm 의 투영 길이(AK)를 가져야 된다고 말할 수 있다.
동시에 상기 어플리케이터는 약 15.5 mm 의 구조 높이(BH)를 가지며, 일반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어플리케이터는 8 mm ? 18 mm, 바람직하게는 10 mm ? 16 mm 의 구조 높이를 가져야 된다고 할 수 있다.
도 4 는 소위 립 길이(TL)의 측정을 나타낸다. 분배 장치에 배치되고 구강 영역에서 사용되는 어플리케이터의 경우, 사용자가 불유쾌하다고 생각될 수 있는 입에 또는 그 안으로 분배 장치의 공급 챔버를 안내할 필요가 없는 것이 유리하다. 이러한 이유로, 립 길이(TL)는 ≥ 8 mm 이어야 한다. 바람직하게는 또한 TL은 ≥ 10 mm 이며 이상적으로는 TL은 ≥ 12 mm 이다.
도 2 는 도면에 나타나 있는 어플리케이터를 앞에서 본 것이다. 먼저 어플리케이터의 출구(10)가 강모 영역 및/또는 강모 스톡(4)에 의해 어떻게 완전히 둘러싸여 있는지를 볼 수 있다. 이 도에서 이미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강모 영역은 출구(10)의 경계를 이루는 립 부분의 끝면에 "배치되는" 일렬 강모(9)로 구성되어 있다.
다른 상세한 점은 도 3 에 나타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 강모(9)는 사실 상기 끝면의 주위에 일렬로 배치되어 있다. 강모는 출구(10)의 경계를 이룬다. 그러나, 강모는 완전하게 일렬로 돌출되어 있지는 않고, 대안적으로 서로에 대해 변위되어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변위량은 대략 강모 직경(강모의 발 영역에서의 직경)의 절반에 각각 해당한다. 이렇게 해서, 강모 스톡은 전체적으로 더 안정적으로 되고, 예컨대 꼬임에 덜 민감하게 되며, 또한 동일한 강모 직경에 대해 사용 특성에 있어서 약간 더 강한 경향이 있다. 일반적으로, 변위량은 바람직하게는 강모 직경의 1/4 ? 약 4/4 이며 그리고/또는 바람직하게는 강모 직경의 단지 3/4 일 수 있다. 강모 간격이 상기한 것 보다 더욱 더 크게 되면, 개별 강모 사이의 자유 공간이 너무 크게 되며 이때문에 바르기의 결과에 영향을 주게 되며, 반면 강모 간격이 상기한 것 보다 더욱 더 작으면, 이웃하는 강모들이 유체의 영향하에서 쉽게 서로에 달라 붙게 되고 이때문에 또한 바르기의 결과에 영향을 주게 된다. 이러한 사실은 일렬 강모 스톡이 아닌 다열 강모 스톡이 제공되는 경우에도 해당된다.
동시에 발 영역에서의 강모 직경은 직접 원위 단부에서의 립 부분의 벽 두께 보다 작음을 알 수 있다. 개별적인 경우, 이는 또한 도 3 에 나타나 있는 것과는 대조적으로, 출구(10)의 경계를 이루는 립 부분(3)의 끝면 주위에 둘 또는 세 열의 강모도 배치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그러나, 이 경우는 립 부분(3)의 경계가 너무 두껍게 될 위험이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다른 상세한 점들은 도 1 에 도시된 어플리케이터의 일 부분을 나타내는 도 4 에서 확인할 수 있다.
분명히 볼 수 있는 것 처럼, 상기 폐쇄편(2)에는 관 부분(5), 바브(6), 원주 표면(8) 및 끝면 접촉 표면(7)이 제공되어 있으며, 상기 원주 표면은 분배 장치의 출구와의 시일링 상호 작용을 위해 바람직하게는 반경방향으로 프리스트레스를 받으며, 상기 끝면 접촉 표면은 그의 의도된 용도에 따라 분배 장치의 출구의 대응 끝면과 접촉하게 된다. 물론, 분배 장치의 출구에 연결되는 커플링 유닛에 부착되는 어플리케이터도 설계될 수 있다.
또한 분명히 알 수 있듯이, 상기 폐쇄편(2)은 길이방향으로 강화 링(13)을 갖는데, 이 강화 링은 원주 방향을 둘러싸는 대략 1.5 mm ? 3 mm 폭의 리브의 형태로 되어 있다. 이 영역은 어플리케이터(1)의 가장 강한 영역을 나타내며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그의 제조 과정 중에 어플리케이터를 다루기 위한 역할을 하는데, 즉 분배 장치의 출구에 어플리케이터를 가압하여 바람직하게는 잠금시키고/잠금시키거나 분리를 위한 역할을 한다. 예컨대 굽힘 모멘트가 립 부분(3)을 통해 폐쇄편(2)에 전달되자 마자 상기 강화 링은 동시에 분배 장치의 출구의 끝면에 대해 어플리케이터를 매우 잘 지지해 주며, 폐쇄편(2)은 상기 굽힘 모멘트를 보상하고 이 모멘트를 분배 장치의 출구로 전향시켜야 한다. 특정한 경우 폐쇄편의 길이(VL)는 약 8 mm 이며, 일반적으로 폐쇄편의 길이는 5 mm ? 15 mm, 바람직하게는 6 mm ? 11 mm 이어야 한다.
분배 장치의 출구 안으로 삽입되는 관 부분(5)의 외경(RD)은 특정한 경우 2.25 mm 이다. 치과용으로 사용되는 경우, 일반적으로 이 외경은 9 mm 이하, 바람직하게는 7.5 mm 이하이다. 다른 용도의 경우에 상기 외경은 1.8 mm ? 5 mm 또는 바람직하게는 1.8 mm ? 최대 3 mm 인 것이 유리할 수 있다. 특정한 경우, 원형으로 둥글게 되어 있고 폐쇄편(2)을 통과하여 형성된 통로 부분(11)의 내경(ID)은 최대 1.6 mm 이고 바람직하게는 1.3 mm ? 4 mm 이고, 특히 1.3 mm ? 2.6 mm 이다. 치과용인 경우, 최대 8 mm, 바람직하게는 최대 7 mm 의 내경이 바람직하다.
도 4 에서 또한 분명히 알 수 있듯이, 개별 강모(9)의 길이방향 축선은 립 부분의 길이방향 축선(L2)에 본질적으로 평행하다. 또한, 강모는 출구(10)의 영역 또는 이 출구(10)의 예비 영역 안으로 들어가 있지 않는 신규한 상태로 실제로 출구(10)의 경계를 이루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강모는 모두 동일한 길이를 갖는다. 이는 강모가 일렬로만 배열되는 경우에 바람직한데, 왜냐하면 그렇지 않은 경우로 다른 길이의 강모가 제공될 때 더 긴 강모는 이웃하는 강모에 너무 적게 지지되며 이때문에 조기에 꼬이게 될 위험이 상대적으로 크기 때문이다.
강모 직경(BD)은 또한 발 영역에서 분명히 확인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이 강모 직경은 ≤0.8 mm 이지만, 바람직하게는 그 보다 상당히 작은 ≤0.5 mm 이거나 또는 바람직하게는 심지어 ≤0.35 mm 그리고/또는 이상적으로는 ≤0.25 mm 이다. 특정한 경우 강모 길이(BL)로서는 2.6 mm의 길이가 이상적인 것으로 밝혀졌으며, 일반적으로 강모 길이(BL)는 1.9 mm ? 4.5 mm 이어야 한다.
도 4 와 도 5 를 비교해 보면 비교적 분명히 알 수 있듯이, 립 부분(3)은 폭(B)과 높이(H)를 갖는 편평한 통로로 설계되어 있다. 이 편평한 통로에서의 폭(B)은 편평한 통로의 기부에서 부터 그의 출구까지 가면서 상당히 증가되어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폭(B)은 일반적으로 두배 이상이다. 이상적인 경우에 폭(B)은 심지어 세배일 수 있다. 도 4 에서 어렵게 확인할 수 있듯이, 상기 편평한 통로의 높이(H) 역시 립 부분(3)의 기부에서 그의 출구까지 가면서 증가되어 있다. 이는 각(γ) 때문에 그런데, 즉 도 4 의 면에 수직인 단면에 나타나는 립 부분의 내부 통로(12)를 형성하는 벽들이 100% 평행한 것은 아니고 립 부분의 기부로부터 약 0.5 도의 각(γ)으로 벌려져 있음을 의미한다. 매우 일반적으로는, 이 각(γ)은 0.3 도 ? 3.5 도, 바람직하게는 최대 2.5 도 이어야 한다고 말할 수 있다.
립 부분의 벽 두께(WS)는 바람직하게는 대략 0.4 mm 이고, 일반적으로 0.3 mm ? 약 0.6 mm 의 벽 두께가 이상적이다고 말 할 수 있다.
도 5 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본 경우에 이 단면에 수직으로 배향되어 있고 편평한 통로의 경계를 이루는 벽들은 서로 평행하지 않고 기부에서 부터 각(β)으로 별려져 있다. 이 각(β)은 본 경우에 약 13 도이다. 일반적으로, 이 각(β)은 7.5도 ? 30도이고 바람직하게는 ≤ 20도 이며, 이상적으로는 ≤17.5도 이다.
도 5 에서 아주 분명히 확인할 수 있듯이, 립 부분(3)을 통과하는 통로 부분(12)은 그의 기부 영역에서 부분(14)을 갖는데, 이 부분에서 통로 부분(12)의 내부 단면은 부분적으로 동일하게 유지된다.
도 5 는 또한 두배로 된 강모 간격(DBA)이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 이 강모 간격은 약 0.6 mm 이며, 일반적으로 두배로 된 강모 간격(DBA)은 0.4 mm ? 0.8 mm 이어야 한다.
이 실시 형태에 나타난 어플리케이터는 LDPE(저밀도 폴리에틸렌)로 만들어진다. 이와 관련하여, 특히 어플리케이터가 일방 어플리케이터로 제작되어야 할 때 LDPE는 그러한 어플리케이터를 위한 이상적인 특성을 갖는 바람직한 재료이다. 물론, 다른 종류의 플라스틱, 예컨대 PA(폴리아미드) 또는 PP(폴리프로필렌)도 어플리케이터의 제작에 적합하다.
이 실시 형태에서 바람직하게 사용되고 나타나 있는 어플리케이터는 뿌옇게 투명하다. 이는 유체가 어플리케이터를 통해 흐르는지 또한 얼마나 많은 유체가 그 어플리케이터를 흐르는 지를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을 정도로 어플리케이터가 투명함을 의미한다.
어플리케이터의 립 부분은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방식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즉 적어도 AL ≥ 1 mm, 바람직하게는 심지어 AL ≥ 2 mm, 이상적으로는 AL ≥ 3 mm 의 양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탄성적이고/탄성적이거나 가요적이다. 이러한 탄성에 의해 어플리케이터가 특히 치과 분야에서 편안하게 사용될 수 있다.
립 부분(3)은 적어도 한 평면에서 바람직하게 가요적이어서, 립 부분의 출구는 사용시 존재하는 힘의 영향으로 적어도 1.5 mm,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 mm 그리고 이상적으로는 적어도 3 mm 의 양으로 탄성적으로 휘어질 수 있다.
도 7 ? 10 은 다른 방식으로 제 2 실시 형태에 따라 설계된 립 부분의 단부를 도시한다. 이러한 단부는 립 부분(3)의 일체적인 요소일 수 있으며 또는 처음에 립의 대응하는 커플링부상에 배치되는 별도의 부착물로 설계될 수도 있다.
이 단부가 속해 있는 립 부분 및 관련 어플리케이터의 나머지 부분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앞에서 설명한 립 부분 및 그의 어플리케이터와 정확히 유사하게 설계된다. 그러므로, 다음에 명확히 언급할 차이점을 제외하고는 앞에서 언급한 사항들은 이 실시 형태에 대해서도 제한 없이 유효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나타난 립 부분의 출구 영역은 오목한, 바람직하게는 낫 모양의 만곡부(15)(즉, 출구의 중심 영역에서 임프레션(impression)을 나타내는 만곡부)를 갖는다. 약간 다르게 표현하면, 출구의 개구에는 (가상의) 오목한 표면이 걸쳐져 있는 것이다.
강모 스톡은 이 오목한 만곡부(실시 형태의 도면에서는 낫 모양으로 도시되어 있음)를 가지며,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길이를 갖는 다수의 강모들로만 구성되어 있다. 립 부분은 그의 출구 단부(원위)측에서 폭이 대략 사람 눈과 같으며, 그의 낫 모양 만곡부는 사람의 눈꺼풀 및/또는 속눈섭 호의 형세와 잘 맞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이 립 부분은 특히 내부 공급식 마스카라 어플리케이터 또는 눈꺼풀에 다른 물질을 바르기 위한 어플리케이터를 형성하게 된다.
특히 이러한 어플리케이터에 대해서는, 어플리케이터가 눈꺼풀의 전체 속눈섭 스톡을 다룰 수 있도록 실제로 충분히 넓어야 하며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매우 미세해야 하는 것이 물론 중요하다. 이러한 이유로, 립 부분의 출구 영역은 본 경우에 내부 높이(H)의 적어도 8배의 내부 폭(B)을 갖는 편평한 통로를 출구 개구의 영역에서 직접 형성하도록 설계된다.
도 8 에는 출구폭(MB)(즉, 출구의 경계를 이루는 두 최장 벽의 길이)으로 본 발명의 제 2 실시 형태에 따른 어플리케이터의 치수를 나타낸다.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어플리케이터는 본 경우에 어플리케이터로서의 의도하는 용도 때문에 매우 미세하게 설계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MB는 이 실시 형태에서는 바람직하게 ≤ 25 mm 이다.
이와 관련하여 주목할 바로, 제 2 실시 형태의 패턴에 따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 간격 높이(H)가 출구 폭(MB) 보다 상당히 더 작다라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MB 는 H 보다 적어도 8 팩터,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0 팩터 더 크다. 이러한 관계는 한편으로 유체가 넓은 폭에 걸쳐 하나의 작동 단계로 발라질 수 있게 해주고 또한 다른 한편으로는 실제로 필요한 양의 유체만 나가게 되는 정도로 립 부분의 관류 유동 저항을 증가시키기 때문에 유리하다.
이상적으로는 이러한 어플리케이터에는 모두 둥근 일렬의 강모만 제공되는데, 그렇지 않으면 부피가 너무 크게 되고 또한 양호한 빗질 효과가 자주 나타나지 않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이들 강모는 도면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일렬로 각각 연장되어 있는 경계를 따라 돌출되어 있다.
도 11 ? 14 는 제 3 실시 형태에 따라 대안적으로 설계된 립 부분의 일 단부를 도시한다. 이러한 단부는 립 부분의 일체적인 요소일 수 있거나 또는 립의 대응하는 커플링부 상에 배치되는 부착물로서 설계될 수도 있다.
이 단부가 속하는 립 부분 및 관련 어플리케이터의 나머지 부분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도 2 ? 6 을 참조하여 전술한 립 부분 및 그의 어플리케이터와 정확히 유사하게 설계된다. 다음에 명확히 설명할 차이점을 제외하고는 그 립 부분과 관련하여 진술한 바는 제한 없이 이 실시 형태에 대해서도 유효하다. 양호한 정렬을 위해 도 11 ? 14에 도시된 립 부분 역시 물론 도 7 ? 10 과 관련하여 전술한 바와 같은 오목한 만곡부를 가질 수 있음에 주의해야 한다.
본 경우에 나타나 있는 적어도 립 부분의 출구 영역은 "좁은 변을 서로 옆에 두고" 배치되어 있는 다수의 챔버(16) 및/또는 "공급 라인"으로 분할되어 있다.
이러한 "챔버 분할(chambering)"은 균일한 관류 유동이 일어나게 하므로, 일반적으로 분배의 규칙성을 향상시키고 또한 립 부분의 좁은 유동 단면을 안정화시킨다. 후자는 특히 립 부분이 제 1 실시 형태와 관련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탄성적으로 설계되어 있을 때 중요하다.
일반적으로, 단지 있을 수 있는 정체를 억제하기 위해 또한 위생상의 이유라면 너무 많은 챔버(16)로 분할하는 것은 현명하지 않다. 이런 이유로, 챔버(16)의 수는 최대 6개의 병렬 챔버, 바람직하게는 최대 4개의 병렬 챔버로 한정된다.
도 12 는 출구폭(MB)(즉, 출구의 경계를 이루는 두 최장 벽의 길이)으로 본 발명의 제 3 실시 형태에 따른 어플리케이터의 치수를 나타낸다.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어플리케이터는 본 경우 어플리케이터로서의 의도된 용도와 관련하여 매우 컴팩트하고 작게 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 실시 형태에서 MB 는 바람직하게는 ≤25 mm 이다.
이와 관련하여 주목할 바로, 제 2 실시 형태의 패턴에 따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 간격 폭(H)은 출구 폭(MB) 보다 상당히 더 작다라는 것이다. 바람직하게, MB 는 H 보다 8 팩터,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0 팩터 더 크다. 이러한 관계는 한편으로 유체가 넓은 폭에 걸쳐 하나의 작동 단계로 발라질 수 있게 해주고 또한 다른 한편으로는 실제로 필요한 양의 유체만 나가게 되는 정도로 립 부분의 관류 유동 저항을 증가시키기 때문에 유리하다.
도 15 ? 18 은 제 4 실시 형태에 따라 다르게 설계된 립 부분의 단부를 도시한다. 이러한 단부는 립 부분의 일체적인 요소일 수 있으며 또는 립의 대응하는 커플링부상에 배치되는 부착물로 설계될 수도 있다.
이 단부가 속해 있는 립 부분 및 관련 어플리케이터의 나머지 부분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도 2 ? 6 을 참조하여 설명한 립 부분 및 어플리케이터와 정확히 유사하게 설계된다. 이런 이유로, 다음에 명확히 언급할 차이점을 제외하고는 그 립 부분에 관해 진술한 사항들은 이 실시 형태에 대해서도 제한 없이 유효한 것이다.
본 경우에 나타나 있는 립 부분의 출구 영역은 가장 넓은 의미로는 볼록한 그리고/또는 둥근 디자인(17)(즉, 출구의 중심 영역에서 바깥쪽으로 돌출해 있는 디자인)을 갖는다. 약간 다르게 표현하면, 출구의 개구에는 (교시된) 넓은 의미로 둥근 표면이 걸쳐져 있다.
이리 하여, 강모 스톡의 강모들이 바람직하게는 부채 형상으로 적어도 그룹을 지어 상이한 방향으로 돌출되는 효과가 얻어진다. 이렇게 해서, 강모 스톡의 일 부분과 처리 대상 상대간의 접촉만 더욱 간단히 일어나게 된다. 예컨대 유색 입술 화장품이나 글로스 입술 화장품 또는 정확히 의도된 표면에만 발려야 하는 접착제를 선택적으로 분배하는 것이 간단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도 11 ? 14 에 따른 제 3 실시 형태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챔버링이 또한 이 실시 형태에도 제공된다. 그러므로 이들 도면과 관련하여 진술한 사항들은 본 경우에도 유효하다.
제 2 및 3 실시 형태에 있어서 출구 폭(MB) 및 MB 와 H 간의 관계와 관련하여 진술한 사항들은 본 경우에도 유효하다.

Claims (15)

  1. 유체를 바르기 위한 내부 공급식 어플리케이터(1)로서, 분배 장치에 상기 어플리케이터(1)를 바람직하게는 잠금 고정하기 위한 폐쇄편(2) 및 이 폐쇄편(2)에 유체 전달 방식으로 연결되는 내부 중공형 립 부분(3)을 가지며, 이 립 부분은 그의 자유 출구(10)의 경계를 이루는 가장자리들 중의 적어도 하나에서, 립 부분(3)에 사출 성형된 강모(9)로 만들어진 강모 스톡(4)을 가지며, 각각의 강모는 최대 0.8 mm 의 직경을 가지며, 상기 강모 스톡에는 공급된 유체가 상기 립 부분을 통해 전달되며, 화장품을 피부나 털에 바르기 위한 어플리케이터에 대해서는 권리 보호가 청구되지 않는 내부 공급식 어플리케이터(1).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강모 스톡(4)은 출구(10)를 완전히 둘러싸는 내부 공급식 어플리케이터(1).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강모 스톡(4)을 형성하는 강모(9)의 적어도 대부분, 바람직하게는 모든 강모가 상기 립 부분(3)의 중심선(L2)에 본질적으로 평행한 강모 중심선을 갖는 내부 공급식 어플리케이터(1).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장자리들 중의 적어도 하나, 바람직하게는 모든 가장자리들이 이 가장자리를 따라 각각 서로 인접해서 직립해 있는 일렬의 강모(9)만을 갖는 내부 공급식 어플리케이터(1).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강모(9)는 립 부분(3)의 출구(10)의 배출 단면 안으로 또는 그 앞에서 바람직하게도 돌출하지 않거나 또는 적어도 실질적으로 돌출하지 않는 내부 공급식 어플리케이터(1).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강모(9)는 그의 전체 길이(BL)에 걸쳐 일반적으로 둥근 단면을 갖는 내부 공급식 어플리케이터(1).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강모(9)의 측면은 원추형이고, 바람직하게는 각 강모의 길이방향 축선에 대해 0.3°? 2.5°의 원추각을 갖는 내부 공급식 어플리케이터(1).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강모(9)의 적어도 대부분, 바람직하게는 모든 강모가 최대 4.5 mm, 바람직하게는 최대 3.4 mm 그리고 이상적으로는 최대 2.9 mm의 강모 길이(BL)를 갖는 내부 공급식 어플리케이터(1).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강모 기부에서의 강모 직경(BD)은 강모 기부의 영역에서 강모를 지지하는 벽의 벽두께(WS) 보다 작은 내부 공급식 어플리케이터(1).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립 부분(3)의 직경 및/또는 폭은 적어도 한 평면에서 상기 폐쇄편에서부터 자유 출구로 가면서 증가하는 내부 공급식 어플리케이터(1).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벽의 내측면에서부터 측정할 때 상기 출구(10)는 제 1 방향으로 관류될 수 있는 폭으로서 3 mm 이상 16 mm 이하, 바람직하게는 8 mm 이하, 이상적으로는 6 mm 이하의 폭(B)을 갖는 내부 공급식 어플리케이터(1).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립 부분(3)은 (본질적으로 유체 전달 방향에 대응하는 그의 길이방향 축선으로) 폐쇄편(2)의 중심 축선에 대해 15°? 90°, 바람직하게는 15°? 50°의 각(α)을 이루는 내부 공급식 어플리케이터(1).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립 부분(3)은 적어도 한 평면내에서 가요적이며, 따라서 그 립 부분(3)의 출구는 사용시 발생되는 힘의 영향으로 적어도 1.5 mm,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 mm 그리고 이상적으로는 적어도 3 mm 의 양으로 탄성적으로 휘어질 수 있는 내부 공급식 어플리케이터(1).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강모(9)를 포함해서 어플리케이터(1)는 연질이고 질기며 가요적인 재료, 이상적으로는 LDPE 로 만들어지는 내부 공급식 어플리케이터(1).
  15.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용기 목부나 피스톨 커플링 안으로 시일링 삽입되도록 제공되는 상기 폐쇄편(2)의 관 부분(5)은 ≤9 mm, 바람직하게는 ≤7.5 mm의 외경(RD)을 갖는 내부 공급식 어플리케이터(1).
KR1020110117278A 2010-11-26 2011-11-11 내부 공급식 어플리케이터 KR2012005751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7278A KR20120057515A (ko) 2010-11-26 2011-11-11 내부 공급식 어플리케이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0192699.6 2010-11-26
KR1020110117278A KR20120057515A (ko) 2010-11-26 2011-11-11 내부 공급식 어플리케이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7515A true KR20120057515A (ko) 2012-06-05

Family

ID=466093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7278A KR20120057515A (ko) 2010-11-26 2011-11-11 내부 공급식 어플리케이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5751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6179A (ko) 2016-11-18 2018-05-28 (주)아모레퍼시픽 피부 측정 기능을 갖는 어플리케이터
KR102069597B1 (ko) * 2018-10-19 2020-01-23 문형주 단차있는 하면이 형성된 개구를 포함하는 치과용 노즐팁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6179A (ko) 2016-11-18 2018-05-28 (주)아모레퍼시픽 피부 측정 기능을 갖는 어플리케이터
KR102069597B1 (ko) * 2018-10-19 2020-01-23 문형주 단차있는 하면이 형성된 개구를 포함하는 치과용 노즐팁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2110721A (ja) 内部供給式アプリケータ
KR20090116803A (ko) 칫솔
US9173478B2 (en) Oral care instrument
US6648641B1 (en) Apparatus, method and product for treating teeth
TWI540984B (zh) 口腔保健器具
AU2018205151B2 (en) Oral care implement
KR101530504B1 (ko) 구강 관리 기구를 위한 유체 배출 시스템
US11116307B2 (en) Modular hair brush dispensing styling products
JP2000503226A (ja) 繊維で終端化された開いたオリフィスの配送用先端物
CN108471872A (zh) 带流体输送的刷子
RU2264769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краски прядей волос
CN101932266A (zh) 口腔护理牙刷
AU2022252745A1 (en) Fluid dispensing oral care implement
KR20120057515A (ko) 내부 공급식 어플리케이터
US11484112B2 (en) Method of whitening teeth
US6390817B1 (en) Fiber tipped dental substance applicator
US20170164718A1 (en) Cosmetic applicator
CN102556471B (zh) 内部供给施加器
JP4903978B2 (ja) 材料を分配する混合チップ
US10849422B2 (en) Method of sanitizing a toothbrush
WO2023035205A1 (en) Oral irrigator tip
JPH11169223A (ja) 毛髪化粧用具
US20020172921A1 (en) Fiber tipped dental substance applicator
CN106572743A (zh) 口腔护理系统和方法
TW201141419A (en) Fluid delivery system for an oral care impl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