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57510A - Image form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Image form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57510A
KR20120057510A KR1020110109110A KR20110109110A KR20120057510A KR 20120057510 A KR20120057510 A KR 20120057510A KR 1020110109110 A KR1020110109110 A KR 1020110109110A KR 20110109110 A KR20110109110 A KR 20110109110A KR 20120057510 A KR20120057510 A KR 201200575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unit
switch
state
image 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911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866510B1 (en
Inventor
이상규
권구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091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6510B1/en
Publication of KR201200575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751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65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651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0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 G03G15/5004Power supply control, e.g. power-saving mode, automatic power turn-off

Abstract

PURPOSE: An image forming devic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are provided to quickly and smoothly turn a power switch on/off. CONSTITUTION: A switch circuit unit(19) includes a soft power switch(191). The soft power switch is switched into a turn-on state and a turn-off state by manipulation of a user. The switch circuit unit outputs a switch signal corresponding to the state of the soft power switch. A power control unit(14) selectively supplies DC power outputted from a power unit(12) to an image forming unit(11) according to the switch signal. If AC power is turned off by a mechanical power switch(13), a discharging circuit unit(15) discharges remaining power of the power unit.

Description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IMAGE FORM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Image form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IMAGE FORM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전원을 온/오프하기 위하여 기계적파워스위치와, 소프트파워스위치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a mechanical power switch, a soft power switch, and a control method for turning on / off a power source.

프린터, 팩스, 복합기 등과 같은 화상형성장치는, 전원을 공급하기 위하여 SMPS(Switched mode power supply)와 같은 전원부를 구비한다. 이러한 전원부는 AC전원을 입력받아 이를 변환하여 소정 레벨의 DC전원을 공급한다. 또한, 화상형성장치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전원을 온/오프시키기 위하여, AC전원의 입력을 온/오프하는 기계적인 파워스위치(이하, "기계적파워스위치(mechanical power switch)"라 함)뿐만 아니라, DC전원의 공급을 온/오프하는 소프트 방식의 파워스위치(이하, "소프트파워스위치(soft power switch)"라 함)를 구비한다.An image forming apparatus such as a printer, a fax machine, a multifunction printer, or the like includes a power supply unit such as a switched mode power supply (SMPS) to supply power. The power supply unit receives the AC power, converts it, and supplies a predetermined level of DC power. In addition, the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es only a mechanical power switch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mechanical power switch") that turns on / off the input of the AC power to turn the power on / off by a user's operation. In addition, a soft power switch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soft power switch") for turning on / off the supply of DC power is provided.

전원부의 DC전원의 출력단에는 출력전압의 안정화를 위하여 상당한 용량의 캐패시터가 마련된다. 그런데, 사용자가 소프트파워스위치를 이용하여 전원을 오프시킨 후, 곧바로 기계적인 파워스위치를 이용하여 다시 전원을 온시키는 경우, 전원부의 캐패시터에 충전된 잔류전원에 의해 화상형성장치가 제대로 파워온되지 않을 수가 있다. 이 경우, 제대로 파워온되기 위해서는, 전원부의 캐패시터가 방전될 때까지(예컨대, 수분 내지 10분 정도) 기다려야 하는데, 이는 사용자로서는 매우 불편한 것이며, 만일 사용자가 이러한 상황을 잘 알지 못한다면, 장치의 고장으로 오인될 우려도 있다.At the output terminal of the DC power supply of the power supply unit, a capacitor of considerable capacity is provided to stabilize the output voltage. However, when the user turns off the power using the soft power switch and immediately turns on the power using the mechanical power switch, the image forming apparatus may not be properly powered on by the residual power charged in the capacitor of the power supply. There is a number. In this case, in order to properly power on, it is necessary to wait until the capacitor of the power supply is discharged (for example, several minutes to 10 minutes), which is very inconvenient for the user, and if the user is not aware of this situation, There is a risk of misunderstanding.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파워스위치를 이용하여 전원 온/오프를 신속하고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a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which enable a user to quickly and smoothly turn on / off power using a power switch.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파워스위치를 이용하여 전원 온/오프할 때 오동작의 오인을 불식시킬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lso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a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which can eliminate misunderstanding of a malfunction when a user turns on / off a power using a power switch.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형성부와; 입력되는 AC전원을 변환하여 상기 화상형성부의 동작을 위한 소정 레벨의 DC전원을 출력하는 전원부와; 상기 AC전원을 입력 또는 차단하기 위한 기계적파워스위치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턴온 또는 턴오프상태가 되는 소프트파워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소프트파워스위치의 상태에 대응하는 스위치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치회로부와; 상기 스위치신호에 따라 상기 전원부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DC전원을 상기 화상형성부에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전원제어부와; 상기 기계적파워스위치에 의해 상기 AC전원이 차단되면, 상기 전원부의 잔류전원을 방전시키는 방전회로부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의해서 달성될 수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image forming apparatus, comprising: an image forming unit for forming an image; A power supply unit converting the input AC power to output a DC power of a predetermined level for the operation of the image forming unit; A mechanical power switch for inputting or cutting off the AC power; A switch circuit unit including a soft power switch to be turned on or off according to a user's operation, and outputting a switch signal corresponding to a state of the soft power switch; A power control unit for selectively supplying the DC power output from the power supply unit to the image forming unit according to the switch signal; When the AC power is cut off by the mechanical power switch, it may be achieved by an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a discharge circuit part for discharging the remaining power of the power part.

상기 전원제어부는, 상기 AC전원이 차단되기 전에, 상기 스위치신호에 따라 상기 화상형성부에 공급되는 상기 DC전원을 차단하며, 상기 전원부는, 상기 잔류전원이 방전된 후에, 상기 기계적파워스위치에 의해 상기 AC전원을 다시 입력받아, 상기 DC전원의 공급을 재개할 수 있다.The power control unit cuts off the DC power supplied to the image forming unit according to the switch signal before the AC power is cut off, and the power supply unit is set by the mechanical power switch after the remaining power is discharged. The AC power may be input again to resume supply of the DC power.

상기 화상형성장치는, 상기 AC전원의 파형의 제로점을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제로크로싱감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방전회로부는, 상기 감지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전원부의 잔류전원을 방전시킬 수 있다.The image forming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zero crossing detection unit configured to detect a zero point of the waveform of the AC power and output a detection signal, wherein the discharge circuit unit may discharge residual power of the power supply unit based on the detection signal. have.

상기 화상형성장치는, 상기 제로크로싱감지부의 감지신호를 소정 지연시켜 상기 상기 방전회로부에 출력하는 지연회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image forming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delay circuit unit which delays a detection signal of the zero crossing detection unit and outputs the delayed signal to the discharge circuit unit.

상기 방전회로부는, 상기 전원부의 상기 DC전원의 출력단에 일단이 연결되는 저항부와; 상기 저항부의 타단 및 접지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감지신호의 레벨에 따라 온/오프하는 스위칭소자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discharge circuit unit includes a resistor unit having one end connected to an output terminal of the DC power source of the power source unit; It may be connected between the other end of the resistor portion and the ground, it may include a switching device unit for turning on / off according to the level of the detection signal.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형성부와, 입력되는 AC전원을 변환하여 상기 화상형성부의 동작을 위한 소정 레벨의 DC전원을 출력하는 전원부와, 상기 AC전원을 입력 또는 차단하기 위한 기계적파워스위치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턴온 또는 턴오프상태가 되는 소프트파워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소프트파워스위치의 상태에 대응하는 스위치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치회로부와, 상기 스위치신호에 따라 상기 전원부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DC전원을 상기 화상형성부에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전원제어부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부에 상기 DC전원을 공급하여 화상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기계적파워스위치에 의해 상기 AC전원이 차단되면, 상기 전원부의 잔류전원을 방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방법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image forming unit for forming an image, a power source for converting the input AC power to output a predetermined level of DC power for the operation of the image forming unit, and for inputting or blocking the AC power A switch power circuit including a mechanical power switch and a soft power switch which is turned on or off according to a user's operation, and outputs a switch signal corresponding to a state of the soft power switch; and from the power supply unit according to the switch signal. A control method of an image forming apparatus, comprising: a power control unit for selectively supplying the output DC power to the image forming unit, the method comprising: forming an image by supplying the DC power to the image forming unit; When the AC power is cut off by the mechanical power switch, the control method of the image forming apparatus may be achieved by discharging the remaining power of the power supply unit.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방법은, 상기 AC전원이 차단되기 전에, 상기 스위치신호에 따라 상기 화상형성부에 공급되는 상기 DC전원을 차단하는 단계와; 상기 잔류전원이 방전된 후에, 상기 기계적파워스위치에 의해 상기 AC전원의 입력 및 상기 DC전원의 공급을 재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ontrol method of the image forming apparatus may include: shutting off the DC power supplied to the image forming unit according to the switch signal before the AC power is cut off; After the residual power is discharged,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resuming the input of the AC power and the supply of the DC power by the mechanical power switch.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방법은, 상기 AC전원의 파형의 제로점을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방전시키는 단계는, 상기 감지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전원부의 잔류전원을 방전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trol method of the image forming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detecting a zero point of a waveform of the AC power and outputting a detection signal, wherein the discharging includes discharging the remaining power of the power supply unit based on the detection signal. It may include the step of.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방법은, 상기 감지신호를 소정 지연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방전시키는 단계는, 상기 지연된 감지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전원부의 잔류전원을 방전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trol method of the image forming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delaying the detection signal, and the discharging may include discharging the remaining power of the power supply unit based on the delayed detection signal.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화상형성장치의 화상형성부를 구동시키는 전원제어시스템에 있어서, AC전원의 공급 및 차단을 스위칭하는 기계적파워스위치와; 턴온상태 및 턴오프상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상기 턴온상태에 대응하여 스위치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치제어부와; 상기 AC전원이 공급 또는 차단되는지 여부를 감지하고, 상기 스위치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화상형성부에 DC전원이 공급되도록 하는 상기 전원제어부와; 상기 AC전원이 차단되는 경우 잔류전원을 방전시키는 방전부를 포함하는 전원제어시스템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The abov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ower supply control system for driving an image forming unit of an image forming apparatus, comprising: a mechanical power switch for switching supply and interruption of AC power; A switch control unit which selects one of a turn-on state and a turn-off state and outputs a switch signal in response to the turn-on state; A power control unit for detecting whether the AC power is supplied or cut off, and for supplying DC power to the image forming unit based on the switch signal; It can also be achieved by a power supply control system including a discharge unit for discharging the residual power when the AC power is cut off.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화상형성부를 포함하고, 소프트파워오프상태 및 파워온상태로 동작 가능한 화상형성장치의 전원을 제어하는 전원제어시스템에 있어서, 제1전원을 입력하여 상기 제1전원을 제2전원으로 변환하고, 상기 제2전원을 상기 화상형성부에 출력하는 전원부와; 상기 소프트파워오프상태로부터 상기 파워온상태가 되면, 상기 제1전원이 입력되는 때 상기 전원부가 상기 제2전원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원제어시스템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ower supply control system including an image forming unit and controlling a power supply of an image forming apparatus operable in a soft power-off state and a power-on state, wherein the first power source is input to remove the first power source. A power supply unit which converts the power supply into a second power source and outputs the second power source to the image forming unit; When the power-on state from the soft power-off state, it can be achieved by a power supply control system including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power supply unit to output the second power when the first power is input.

상기 전원부가 상기 제2전원을 상기 화상형성부에 선택적으로 출력하도록 하는 방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power supply unit may further include a discharge unit configured to selectively output the second power supply to the image forming unit.

상기 방전부는 상기 전원부에 남아 있는 잔류전원을 선택적으로 방전할 수 있다.The discharge unit may selectively discharge the remaining power remaining in the power supply unit.

상기 방전부는 상기 소프트파워오프상태로부터 상기 파워온상태가 되는 경우 상기 제1전원의 입력이 차단되는 때 상기 전원부에 남아 있는 잔류전원을 방전할 수 있다.The discharge unit may discharge the remaining power remaining in the power supply unit when the input of the first power is cut off when the power-on state is changed from the soft power-off state.

상기 방전부는 상기 소프트파워오프상태로부터 상기 파워온상태가 되는 경우 상기 제1전원의 입력되고 소정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전원부에 남아 있는 잔류전원을 방전하지 아니할 수 있다.The discharge unit may not discharge the remaining power remaining in the power supply unit when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after the first power is input from the soft power-off state to the power-on state.

전원제어시스템은, 상기 제1전원의 차단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방전부는 상기 감지부의 감지 결과에 따라 상기 잔류전원을 선택적으로 방전할 수 있다.The power control system may further include a detector configured to detect whether the first power is cut off, and the discharge unit may selectively discharge the residual power according to a detection result of the detector.

상기 감지부는 상기 제1전원의 제로크로싱에 기초하여 상기 제1전원의 차단 여부를 감지하는 제로크로싱감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detecting unit may include a zero crossing detecting unit detecting whether the first power is blocked based on the zero crossing of the first power.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소프트파워오프상태로부터 상기 파워온상태가 되는지 여부를 감지하여 상기 전원부가 상기 제2전원을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ler may detect whether the power-on state is from the soft power-off state and control the power supply unit to output the second power.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파워온상태에서 상기 소프트파워오프상태로 되는 경우 상기 전원부가 상기 화상형성부에 상기 제2전원을 출력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power supply unit not to output the second power supply to the image forming unit when the power-on state becomes the soft power-off state.

상기 제1전원은 AC전원이며, 상기 제2전원은 DC전원일 수 있다.The first power source may be an AC power source, and the second power source may be a DC power source.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소프트파워오프상태 및 파워온상태로 동작 가능한 화상형성장치의 전원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상기 소프트파워오프상태에서 상기 파워온상태로 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상기 소프트파워오프상태에서 상기 파워온상태로 되는 경우 AC전원이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입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상기 소프트파워오프상태에서 상기 파워온상태로 되고 상기 AC전원의 입력이 차단되는 때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전원부에 남아 있는 잔류전원을 방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전원제어방법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ower control method of an image forming apparatus operable in a soft power off state and a power on state, the method comprising: detecting whether the image forming apparatus is in the power on state from the soft power off state; Wow; Determining whether AC power is input to the image forming apparatus when the image forming apparatus is brought into the power on state from the soft power off state; Discharging the remaining power remaining in the power supply section of the image forming apparatus when the image forming apparatus is turned into the power-on state in the soft power-off state and the input of the AC power is cut off. It can also be achieved by the method.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파워스위치를 이용하여 전원 온/오프를 신속하고 원활하게 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can quickly and smoothly turn on / off the power using the power switch.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파워스위치를 이용하여 전원 온/오프할 때 오동작의 오인을 불식시킬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liminate misunderstandings of malfunction when the user turns on / off the power using the power switch.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화상형성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전원부의 구성의 일부를 도시하는 회로도이며,
도 3a 및 3b는 도 1에 도시된 전원제어부의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회로도이며,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스위치회로부의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회로도이며,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전원제어부의 다른 예를 도시하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제로크로싱감지부를 도시하는 회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감지신호의 파형의 일례를 도시하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방전회로부의 구성을 일례를 도시하는 회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지연회로의 출력신호의 일례를 도시하며,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image form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a part of the configuration of the power supply unit shown in FIG. 1;
3A and 3B are circuit diagrams showing an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of the power supply control unit shown in FIG.
FIG. 4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of the switch circuit section shown in FIG. 1;
FIG. 5 illustrates another example of the power control unit shown in FIG. 1;
6 is a circuit diagram illustrating a zero crossing detec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llustrates an example of a waveform of a detection sig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of the discharge circuit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shows an example of an output signal of a delay circu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of an image form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화상형성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화상형성장치(1)는 용지와 같은 프린팅매체에 화상을 형성하는 프린터, 팩스, 복합기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형성장치(1)는 화상형성부(11), 전원부(12), 기계적파워스위치(13), 스위치회로부(19), 전원제어부(14) 및 방전회로부(15)를 포함한다. 화상형성부(11)는 프린팅매체에 화상을 형성한다. 화상형성부(11)가 화상을 형성하는 방식은 레이저방식, 잉크젯 방식 등 다양할 수 있다. 전원부(12)는 AC전원을 입력으로 하여, 입력되는 AC전원을 변환하여 화상형성부(11) 등의 구성의 동작에 필요한 소정 전압레벨의 DC전원을 출력한다. 전원부(12)에 의해 출력되는 DC전원은 편의상 "제1DC전원"이라 하며, 제1DC전원의 레벨은 5V, 3.3V, 24V 등 다양할 수 있으며, 하나는 물론 복수의 출력을 가질 수도 있다. 기계적파워스위치(13)는, 온 또는 오프 상태를 가지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AC전원이 전원부(12)에 선택적으로 입력될 수 있도록 한다. 스위치회로부(19)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온상태 또는 오프상태가 되는 소프트파워스위치(191)를 포함하고, 소프트파워스위치(191)의 상태에 대응하는 스위치신호(nPOWER_SW)를 출력한다. 스위치신호(nPOWER_SW)는 Low신호 또는 High신호이다. 예를 들면, 스위치신호(nPOWER_SW)는 Low신호인 때 OV, High신호인 때 약5V일 수 있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image form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 may be implemented by a printer, a fax machine, a multifunction printer, or the like which forms an image on a printing medium such as paper. As shown in FIG. 1,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 includes an image forming unit 11, a power supply unit 12, a mechanical power switch 13, a switch circuit unit 19, a power supply control unit 14, and a discharge circuit unit 15. ). The image forming unit 11 forms an image on the printing medium. The image forming unit 11 forms an image in various ways, such as a laser method or an inkjet method. The power supply unit 12 receives AC power as an input, converts the input AC power, and outputs DC power having a predetermined voltage level required for the operation of the configuration of the image forming unit 11 and the like. The DC power output by the power supply unit 12 is referred to as a "first DC power supply" for convenience, and the level of the first DC power supply may be various, such as 5V, 3.3V, 24V, etc. One may have a plurality of outputs as well. The mechanical power switch 13 has an on or off state and allows AC power to be selectively input to the power supply unit 12 according to a user's operation. The switch circuit unit 19 includes a soft power switch 191 which is turned on or off according to a user's operation, and outputs a switch signal nPOWER_SW corresponding to the state of the soft power switch 191. The switch signal nPOWER_SW is a low signal or a high signal. For example, the switch signal nPOWER_SW may be about OV when the signal is low and about 5V when the signal is High.

전원제어부(14)는, 상기 스위치회로부(19)의 스위치신호(nPOWER_SW)에 따라 전원부(12)로부터 출력되는 제1DC전원이 화상형성부(11)에 선택적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소프트파워스위치(191)로부터의 스위치신호(nPOWER_SW)를 감지한다. 전원제어부(14)에 의해 화상형성부(11)로 출력되는 DC전원을 편의상 "제2DC전원"이라 한다. 방전회로부(15)는, AC전원이 차단되는 경우, 예컨대, 기계적파워스위치(13)에 의해 AC전원이 입력되지 않는 경우, 전원부(12)에 남아 있는 잔류전원을 방전시킨다.The power controller 14 may allow the first DC power output from the power supply unit 12 to be selectively supplied to the image forming unit 11 according to the switch signal nPOWER_SW of the switch circuit unit 19. Detects a switch signal nPOWER_SW. The DC power output by the power control unit 14 to the image forming unit 11 is referred to as "second DC power supply" for convenience. The discharge circuit unit 15 discharges the remaining power remaining in the power supply unit 12 when the AC power is cut off, for example, when the AC power is not input by the mechanical power switch 13.

또한, 화상형성장치(1)는, 화상형성부(11) 등을 전반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도 3의 18 참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주제어부(18)는 CPU와, 입출력 제어부(I/O controller) 등이 구비된 ASIC으로 구현될 수 있다. 그 밖에, 화상형성장치(1)는, 도시되지 않은 구성으로서, 키패드 등을 통해 프린팅에 관한 사용자의 조작을 입력 받기 위한 패널부, 화상형성장치(1)의 동작상태 등을 표시하는 LCD와 같은 표시부, 제어부(18)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ROM, 플래시메모리 등과 같은 비휘발성의 프로그램메모리, 프로그램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이 제어부(18)에 의해 실행될 수 있도록 일시 로드되는 RAM과 같은 휘발성의 메인메모리, 전화번호, 사용자 ID 등 백업용 데이터를 보관하기 위한 백업메모리, 백업메모리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 용지 등의 프린팅매체 상의 화상을 스캔할 수 있는 CCD 혹은 CIS 소자를 구비하는 스캐닝부, 스캐닝부에 의해 출력되는 아날로그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는 AFE(Analog Front End), AFE로부터 전달된 데이터에 대하여 화상처리를 수행하는 화상처리부, PSTN 망과의 인터페이스 기능을 수행하는 LIU(Line Interface Unit) 및 LIU를 통해 송수신되는 신호에 대하여 변조 혹은 복조를 수행하는 모뎀부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ler (see 18 of FIG. 3) for controlling the image forming unit 11 or the like as a whole. The main controller 18 may be implemented as an ASIC provided with a CPU, an I / O controller,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 has a configuration, not shown, such as a panel unit for receiving a user's operation on printing through a keypad or the like, an LCD such as an operation state of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 or the like. Nonvolatile program memory such as a display unit, a ROM storing a program executed by the controller 18, a flash memory, and the like, and a volatile main such as RAM temporarily loaded so that a program stored in the program memory can be executed by the controller 18. A scanning unit having a CCD or CIS element capable of scanning an image on a printing medium such as a backup memory for storing backup data such as a memory, a phone number, a user ID, a battery for supplying power to the backup memory, paper, and the like AFE (Analog Front End), which converts analog signals output by the unit into digital signals, and images about data transmitted from the AFE The image process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of a line interface unit (LIU) for performing an interface with a PSTN network, and a modem unit for performing modulation or demodulation on a signal transmitted and received through the LIU.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전원부(12)의 구성의 일부를 도시하는 회로도이다. 전원부(12)는 입력되는 AC전원을 변환하여 DC전원을 출력하는 SMPS(Switched mode power supply)로 구현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전원부(12)는 출력되는 DC전원으로서 5V의 전압(5V_SMPS)을 예로 들고 있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다른 레벨의 전압일 수도 있고, 혹은 이에 더하여 3.3V 및/또는 24V의 전압을 추가로 출력하는 구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전원부(12)는, 출력전압의 안정화를 위하여 DC전원의 출력단(5V_SMPS)에 마련되는 소정 용량(예컨대, 3300uF)을 가진 캐패시터(C21)를 구비한다.FIG. 2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a part of the configuration of the power supply unit 12 shown in FIG. The power supply unit 12 may be implemented as a switched mode power supply (SMPS) for converting an AC power input to output a DC power. The power supply unit 12 shown in FIG. 2 uses a 5V voltage (5V_SMPS) as an output DC power supply as an example, but this is only an example and may be a different level of voltage, or in addition to 3.3V and / or 24V. It may further include a configuration for further outputting a voltage. The power supply unit 12 includes a capacitor C21 having a predetermined capacity (for example, 3300 uF) provided at the output terminal 5V_SMPS of the DC power supply to stabilize the output voltage.

도 3a는 도 1에 도시된 전원제어부(14)의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회로도이다. 전원제어부(14)는 제1전원제어모듈(14A), 제2전원제어모듈(14B) 및 제3전원제어모듈(14C)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전원제어모듈(14A)은 전원부(12)의 출력단(5V_SMPS)으로부터 출력되는 제1DC전원을 수신한다. 제1DC전원에 기초하여, 제1전원제어모듈(14A)은 출력단(5V)으로부터의 제2DC전원을 선택적으로 출력한다. 또한, 제1전원제어모듈(14A)은 선택제어신호를 수신하는 선택제어단을 포함한다. 선택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제1전원제어모듈(14A)은 제2DC전원을 선택적으로 출력한다. 선택제어신호는 제2전원제어모듈(14B) 및 제3전원제어모듈(14C)로부터 각각 출력되는 제1선택제어신호 및 제2선택제어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FIG. 3A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of the power supply control unit 14 shown in FIG. 1. The power control unit 14 may include a first power control module 14A, a second power control module 14B, and a third power control module 14C. The first power control module 14A receives the first DC power output from the output terminal 5V_SMPS of the power supply unit 12. Based on the first DC power source, the first power source control module 14A selectively outputs the second DC power source from the output terminal 5V. In addition, the first power supply control module 14A includes a selection control stage for receiving a selection control signal. Based on the selection control signal, the first power control module 14A selectively outputs the second DC power supply. The selection control signal may include a first selection control signal and a second selection control signal respectively output from the second power control module 14B and the third power control module 14C.

제2전원제어모듈(14B)는 제1전원제어모듈(14A)의 출력단(5V)으로부터의 제2DC전원에 따라 전원을 공급받는다. 따라서, 제1전원제어모듈(14A)의 출력단(5V)으로부터의 제2DC전원은 제2전원제어모듈(14B)에 피드백된다. 또한, 제2전원제어모듈(14B)는 스위치회로부(19)로부터 스위치신호(nPOWER_SW)를 입력할 수 있다. 제2DC전원 및 스위치신호(nPOWER_SW)에 기초하여, 제2전원제어모듈(14B)는 제1선택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제1선택제어신호는 제2DC전원의 출력 여부를 선택적으로 제어하기 위하여 제1전원제어모듈(14A)로 입력될 수 있다.The second power control module 14B is supplied with power in accordance with the second DC power from the output terminal 5V of the first power control module 14A. Therefore, the second DC power supply from the output terminal 5V of the first power supply control module 14A is fed back to the second power supply control module 14B. In addition, the second power control module 14B may input the switch signal nPOWER_SW from the switch circuit unit 19. Based on the second DC power supply and the switch signal nPOWER_SW, the second power supply control module 14B outputs the first selection control signal. The first selection control signal may be input to the first power control module 14A to selectively control whether the second DC power is output.

제3전원제어모듈(14C)은 전원부(12)의 출력단(5V_SMPS)으로부터 출력되는 제1DC전원을 수신한다. 또한, 제3전원제어모듈(14C)은 스위치회로부(19)로부터 스위치신호(nPOWER_SW)를 입력할 수 있다. 스위치신호(nPOWER_SW)와, 전원부(12)에 의해 제1DC전원이 출력되는지 여부에 따라, 제3전원제어모듈(14C)은 제2DC전원의 출력 여부를 또한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제2선택제어신호를 생성한다.The third power control module 14C receives the first DC power output from the output terminal 5V_SMPS of the power supply unit 12. In addition, the third power supply control module 14C may input the switch signal nPOWER_SW from the switch circuit unit 19. According to the switch signal nPOWER_SW and whether or not the first DC power is output by the power supply unit 12, the third power control module 14C may also selectively control whether or not the second DC power is output. Generate a control signal.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전원제어부(14)의 구체적인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회로도이다. 전원제어부(14)는, 입력단(5V_SMPS)에 인가되는 전원부(12)로부터 출력되는 DC전원이, 출력단(FET(U31) 측의 5V)을 통해 화상형성부(11) 등에 선택적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3B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specific configuration of the power supply control unit 14 shown in FIG. 3A. The power control unit 14 is configured to selectively supply DC power output from the power supply unit 12 applied to the input terminal 5V_SMPS to the image forming unit 11 or the like through the output terminal 5V on the side of the FET U31. do.

전원제어부(14)는, 노이즈제거 등을 위하여, 제2DC전원(5V)의 출력측에 마련되는 저항(R37)과, 복수의 캐패시터(C34, C35 및 C3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원제어부(14)는, 입력단(5V_SMPS)에 마련되는 캐패시터(C31) 및 저항(R3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원제어부(14)는, 입력단(5V_SMPS)에 연결되는 소오스(S)와, 출력단(FET(U31) 측의 5V)에 연결되는 드레인(D1, D2, D3 및 D4)을 구비하며, 게이트전압(Vg)에 따라 출력단(FET(U31) 측의 5V)에 제2DC전원이 선택적으로 출력되도록 스위칭하는 FET(U31)를 포함한다. FET(U31)는 n채널의 타입으로서, 게이트전압(Vg)이 High이면 턴오프, Low이면 턴온된다. FET(U31)가 턴오프되면 출력단(FET(U31) 측의 5V)을 통해 제2DC전원이 정상적으로 공급되지 않고, 턴온되면 제2DC전원이 정상적으로 공급된다.The power supply control unit 14 may further include a resistor R37 provided on the output side of the second DC power supply 5V and a plurality of capacitors C34, C35, and C36 for noise removal. The power control unit 14 may further include a capacitor C31 and a resistor R31 provided at the input terminal 5V_SMPS. The power supply control unit 14 includes a source S connected to the input terminal 5V_SMPS, and drains D1, D2, D3, and D4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5V on the side of the FET U31. And a FET U31 that switches so that the second DC power source is selectively output to the output terminal 5V on the side of the FET U31 according to Vg). The FET U31 is an n-channel type. The FET U31 is turned off when the gate voltage Vg is high and turned on when it is low. When the FET U31 is turned off, the second DC power is not normally supplied through the output terminal 5V on the side of the FET U31. When the FET U31 is turned on, the second DC power is normally supplied.

전원제어부(14)는, 입력단(5V_SMPS)과, FET(U31)의 게이트(G)를 연결하는 캐패시터(C32) 및 저항(R3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FET(U31)의 게이트(G)에는, 저항(R35)을 사이에 두고 트랜지스터(Q31)의 컬렉터(C)가, 저항(R36)을 사이에 두고 스위치회로부(19)의 출력단(nPOWER_SW)이 각각 연결된다. 게이트전압(Vg)의 레벨은, 트랜지스터(Q31)의 턴온 여부 및 스위치회로부(19)의 출력단(nPOWER_SW)의 레벨(이하, "스위치신호"라고도 함)에 의해 결정된다. 트랜지스터(Q31)의 이미터(E)는 접지되며, 베이스(B)는 저항(R33 및 R34), 캐패시터(C33) 및 다이오드(D31)를 사이에 두고, 제어부(18)의 제어신호의 출력단(Vc)에 연결된다.The power control unit 14 may further include a capacitor C32 and a resistor R32 connecting the input terminal 5V_SMPS to the gate G of the FET U31. In the gate G of the FET U31, the collector C of the transistor Q31 with the resistor R35 interposed therebetween, and the output terminal nPOWER_SW of the switch circuit unit 19 with the resistor R36 interposed therebetween. Are each connected. The level of the gate voltage Vg is determined by whether the transistor Q31 is turned on and the level of the output terminal nPOWER_SW of the switch circuit unit 19 (hereinafter also referred to as a "switch signal"). The emitter E of the transistor Q31 is grounded, the base B has the resistors R33 and R34, the capacitor C33 and the diode D31 interposed therebetween, and the output terminal of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 unit 18 ( Vc).

도 4는 스위치회로부(19)의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회로도이다. 스위치회로부(19)는 앞서 언급한, 사용자의 조작을 위한 패널부에 마련될 수 있다. 소프트파워스위치(191)는, 소프트 방식의 스위치로서, 사용자가 누르는 경우에 턴온상태가 되고, 사용자가 손을 떼면 턴오프상태로 복귀한다. 소프트파워스위치(191)의 일단은, 다이오드(D41) 및 저항(R41)을 사이에 두고 동작전원(3.3V)에 연결되며, 타단은 접지된다. 동작전원(3.3V)은 도시되지는 않으나, 전원부(12) 혹은 다른 전원수단으로부터 공급될 수 있다. 스위치회로부(19)는, 소프트파워스위치(191)의 양단에 연결된 캐패시터(C4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이오드(D5) 및 저항(R4)의 연결지점(nPOWER_SW)이 스위치회로부(19)의 스위치신호의 출력단이 된다. 스위치회로부(19)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소프트파워스위치(191)의 상태에 대응하는 스위치신호(nPOWER_SW)를 출력한다. 스위치신호(nPOWER_SW)는 소프트파워스위치(191)가 턴오프상태이면 High, 턴온상태이면 Low가 된다.4 is a circuit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of the switch circuit unit 19. The switch circuit unit 19 may be provided in the panel unit for manipulating the user, as described above. The soft power switch 191 is a soft switch, and is turned on when the user presses it, and returns to the turn-off state when the user releases it. One end of the soft power switch 191 is connected to the operating power source 3.3V with the diode D41 and the resistor R41 interposed therebetween, and the other end is grounded. The operating power source 3.3V is not shown, but may be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unit 12 or other power supply means. The switch circuit unit 19 may further include a capacitor C41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soft power switch 191. The connection point nPOWER_SW of the diode D5 and the resistor R4 becomes an output terminal of the switch signal of the switch circuit unit 19. The switch circuit unit 19 outputs a switch signal nPOWER_SW corresponding to the state of the soft power switch 191 according to the user's operation. The switch signal nPOWER_SW is high when the soft power switch 191 is turned off and low when the soft power switch 191 is turned on.

먼저, 소프트 파워 오프 상태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의 소프트 파워 오프 상태는, 기계적파워스위치(13)는 턴온되어, 전원제어부(14)의 입력단(5V_SMPS)에 전원부(12)로부터의 제1DC전원이 인가되는 상태이다. 다만, 제어부(18)가 턴오프되어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는 상태일 수 있다. 이 경우, 도 3을 다시 참조하면, 제어부(18)의 제어신호(Vc)는 Low이며, 트랜지스터(Q31)는 턴오프된다. 또한, 스위치회로부(19)의 소프트파워스위치(191)는 턴오프상태이며, 스위치신호(nPOWER_SW)는 High이다. FET(U31)의 게이트전압(Vg)은 High가 되고, FET(U31)는 턴오프된다. 이에 따라, 전원제어부(14)의 출력단(FET(U31) 측의 5V)을 통해 제2DC전원이 정상적으로 공급되지 않는다.First, the soft power off state will be described. In the soft power-off state in this embodiment, the mechanical power switch 13 is turned on, and the first DC power supply from the power supply unit 12 is applied to the input terminal 5V_SMPS of the power supply control unit 14. However, the controller 18 may be turned off and may not operate normally. In this case, referring again to FIG. 3, the control signal Vc of the control unit 18 is Low, and the transistor Q31 is turned off. In addition, the soft power switch 191 of the switch circuit unit 19 is turned off, and the switch signal nPOWER_SW is high. The gate voltage Vg of the FET U31 becomes High, and the FET U31 is turned off. As a result, the second DC power supply is not normally supplied through the output terminal 5V on the side of the FET U31 of the power supply control unit 14.

다음으로, 소프트 파워 오프 상태에서 파워 온 상태로 전환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의 파워 온 상태는 제어부(18)가 턴온되어 화상형성부(11) 등을 정상적으로 제어하는 상태이다. 소프트 파워 오프 상태에서, 전원을 켜기 위하여, 사용자가 스위치회로부(19)의 소프트파워스위치(191)를 소정 시간 동안 누른다. 소프트파워스위치(191)가 눌러진 동안 스위치신호(nPOWER_SW)는 Low가 된다. 스위치신호(nPOWER_SW)가 Low가 되면, FET(U31)의 게이트전압(Vg)이 Low가 된다. 이에 따라, FET(U31)는 턴온되며, 전원제어부(14)의 출력단(FET(U31) 측의 5V)을 통해 제2DC전원이 정상적으로 공급된다.Next, a process of switching from the soft power off state to the power on state will be described. The power-on state in this embodiment is a state in which the control unit 18 is turned on to normally control the image forming unit 11 and the like. In the soft power-off state, in order to turn on the power, the user presses the soft power switch 191 of the switch circuit unit 19 for a predetermined time. The switch signal nPOWER_SW goes low while the soft power switch 191 is pressed. When the switch signal nPOWER_SW goes low, the gate voltage Vg of the FET U31 goes low. As a result, the FET U31 is turned on, and the second DC power is normally supplied through the output terminal (5V on the side of the FET U31) of the power supply control unit 14.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제어부(14)의 출력단(FET(U31) 측의 5V)은 제어부(18)의 전원입력단(제어부(18) 측의 5V)과 연결된다. 전원제어부(14)의 출력단(FET(U31) 측의 5V)을 통해 제2DC전원이 정상적으로 공급되면, 제어부(18)가 턴온되어 동작하기 시작하며, High인 제어신호(Vc)를 출력한다. 제어신호(Vc)가 High가 되면, 트랜지스터(Q31)는 턴온된다. 트랜지스터(Q31)가 턴온되면 트랜지스터(Q31)의 컬렉터(C)가 Low가 되어, FET(U31)의 게이트전압(Vg)이 Low로 유지된다. 이에 따라, 전원제어부(14)의 출력단(FET(U31) 측의 5V)을 통해 제2DC전원이 계속적으로 공급된다. 즉, 사용자가 스위치회로부(19)의 소프트파워스위치(191)로부터 손을 떼서 스위치신호(nPOWER_SW)가 Low에서 High로 전환되더라도, 트랜지스터(Q31)에 의해 게이트전압(Vg)이 계속하여 Low인 상태가 유지된다. 본 실시예에서, 저항(R35)과, 저항(R36) 각각의 저항값은, 스위치신호(nPOWER_SW)가 High이고, 트랜지스터(Q31)의 컬렉터(C)가 Low인 경우, 게이트전압(Vg)이 FET(U31)가 충분히 턴온될 정도의 낮은 레벨이 되도록 설계된다.As shown in FIG. 3, the output terminal (5V on the side of the FET U31) of the power control unit 14 is connected to the power input terminal (5V on the side of the control unit 18) of the control unit 18. When the second DC power is normally supplied through the output terminal (5V on the side of the FET U31) of the power control unit 14, the control unit 18 is turned on and starts to operate, and outputs a control signal Vc that is High. When the control signal Vc becomes high, the transistor Q31 is turned on. When the transistor Q31 is turned on, the collector C of the transistor Q31 goes low, and the gate voltage Vg of the FET U31 is kept low. Accordingly, the second DC power supply is continuously supplied through the output terminal (5V on the side of the FET U31) of the power supply control unit 14. That is, even if the user releases the soft power switch 191 of the switch circuit unit 19 and the switch signal nPOWER_SW is switched from low to high, the gate voltage Vg continues to be low by the transistor Q31. Is maintained.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resistance value of each of the resistor R35 and the resistor R36 has the gate voltage Vg when the switch signal nPOWER_SW is high and the collector C of the transistor Q31 is low. The FET U31 is designed to be at a level low enough to turn on.

다음으로, 파워 온 상태에서, 소프트오프 상태로 전환되는 상태를 설명한다. 파워 온 상태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어부(18)가 출력하는 제어신호(Vc)는 High, 트랜지스터(Q31)는 턴온, FET(U31)의 게이트전압(Vg)은 Low, FET(U31)는 턴온되며, 전원제어부(14)의 출력단(FET(U31) 측의 5V)을 통해 제2DC전원이 정상적으로 공급되는 상태이다. 파워 온 상태에서, 전원을 끄기 위하여, 사용자가 스위치회로부(19)의 소프트파워스위치(191)를 소정 시간 동안 누른 뒤 손을 뗀다. 이 때, 소프트파워스위치(191)는 소정 시간 동안 턴온상태였다가, 턴오프상태로 복귀한다. 소프트파워스위치(191)가 턴온상태로부터 턴오프상태로 복귀되는 시점에서 스위치신호(nPOWER_SW)는 Low에서 High로 전환된다. 도 3을 다시 참조하면, 스위치신호(nPOWER_SW)는 제어부(18)에 전달된다(제어부(18) 측의 nPOWER_SW 참조). 제어부(18)는, 스위치신호(nPOWER_SW)가 Low에서 High로 전환되면, 파워 온 상태에서 소프트 파워 오프 상태로의 전환을 명령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제어부(18)는, 처리 중이던 동작을 마무리하는 한편, Low인 제어신호(Vc)를 출력한다. 제어신호(Vc)가 Low가 되면, 트랜지스터(Q31)는 턴오프된다. 트랜지스터(Q31)는 턴오프되면, 트랜지스터(Q31)의 컬렉터(C)는 High가 된다. 이에 따라, FET(U31)의 게이트전압(Vg)은 High가 되고, FET(U31)는 턴오프된다. 그 결과, 전원제어부(14)의 출력단(FET(U31) 측의 5V)을 통해 제2DC전원이 정상적으로 공급되지 않는 소프트 파워 오프 상태로 전환된다.Next, a state in which the power-on state is switched to the soft-off state will be described. In the power-on state, 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 signal Vc output from the controller 18 is high, the transistor Q31 is turned on, the gate voltage Vg of the FET U31 is low, and the FET U31 is Turned on, the second DC power is normally supplied through the output terminal (5V on the side of the FET U31) of the power control unit 14. In the power-on state, in order to turn off the power, the user presses the soft power switch 191 of the switch circuit unit 19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then releases it. At this time, the soft power switch 191 is turned on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then returns to the turned off state. When the soft power switch 191 is returned from the turn on state to the turn off state, the switch signal nPOWER_SW is switched from low to high. Referring again to FIG. 3, the switch signal nPOWER_SW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18 (see nPOWER_SW on the control unit 18 side). When the switch signal nPOWER_SW is switched from low to high, the control unit 18 determines to command the switching from the power on state to the soft power off state. The control part 18 complete | finishes the operation | movement currently in process, and outputs the control signal Vc which is Low. When the control signal Vc goes low, the transistor Q31 is turned off. When the transistor Q31 is turned off, the collector C of the transistor Q31 becomes High. As a result, the gate voltage Vg of the FET U31 becomes High, and the FET U31 is turned off. As a result, the second DC power supply is switched to the soft power-off state in which the second DC power supply is not normally supplied through the output terminal (5V on the side of the FET U31) of the power supply control unit 14.

소프트 파워 오프 상태 및 파워 온 상태 간 전환은, 소프트파워스위치(191)에 의한 경우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제어부(18)는, 소프트파워스위치(191)의 조작이 없더라도, 파워 온 상태에서 어떠한 판단 결과에 따라, 제어신호(Vc)를 High에서 Low로 전환시킬 수가 있다. 이를테면, 사용자가 화상형성장치(1)를 소정 시간 동안 조작하지 않아서 대기모드로 진입하는 경우를 들 수 있다. 그 결과, 파워 온 상태에서 소프트 파워 오프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역으로, 소프트파워스위치(191)에 의하지 않고, 소프트 파워 오프 상태에서 파워 온 상태로 전환되는 경우도 있다. 예컨대, 대기모드에서, 사용자의 조작이 있거나, 다른 웨이크업이벤트가 발생한 경우를 들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8)는 제어신호(Vc)를 Low에서 High로 전환하고, 그 결과, 소프트 파워 오프 상태에서 파워 온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The switching between the soft power off state and the power on state is not limited to the case by the soft power switch 191. For example, the controller 18 can switch the control signal Vc from high to low in accordance with a certain result of determination in the power-on state even without the operation of the soft power switch 191. For example, the user may enter the standby mode without operating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 for a predetermined time. As a result, it can be switched from the power on state to the soft power off state. On the contrary, the soft power switch 191 may be switched from the soft power off state to the power on state without using the soft power switch 191. For example, in the standby mode, there may be a user's operation or another wakeup event. In this case, the controller 18 may switch the control signal Vc from Low to High, and as a result, may be switched from the soft power off state to the power on state.

이하, 하드 파워 오프 상태에서 파워 온 상태로 전환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하드 파워 오프 상태는, AC전원이 전원부(12)에 정상적으로 입력되지 않는 경우를 말한다. 그 결과, 전원부(12)로부터 제1DC전원(5V_SMPS)이 정상적으로 출력되지 않는다. 하드 파워 오프 상태의 원인으로는, 정전, 전원코드가 빠진 경우 등과 같이 외부로부터 AC전원이 입력되는 않는 경우, 사용자의 조작 등에 의해 기계적파워스위치(13)가 턴오프된 경우 등을 들 수 있다.Hereinafter, a process of switching from the hard power off state to the power on state will be described. The hard power off state in this embodiment refers to a case where AC power is not normally input to the power supply unit 12. As a result, the first DC power supply 5V_SMPS is not normally output from the power supply unit 12. Examples of the hard power-off state include a case in which AC power is not input from the outside, such as a power failure or a power cord being disconnected, or a case in which the mechanical power switch 13 is turned off by a user's operation or the like.

도 3을 다시 참조하면, 전원제어부(14)는, 하드 파워 오프 상태에서 파워 온 상태로 전환하기 위하여, 저항(R36)을 사이에 두고 컬렉터(C)가 FET(U31)의 게이트(G)에 연결되는 트랜지스터(Q32)를 더 포함한다. 트랜지스터(Q32)의 이미터(E)는 접지되며, 베이스(B)는 저항(R39) 및 캐패시터(C37)을 통해 전원부(12)의 출력단(5V_SMPS)에 연결된다. 트랜지스터(Q32)의 이미터(E)와, 베이스(B)는 저항(R38)로 연결된다. 다이오드(D32)는 캐패시터(C37)와 접지를 연결한다.Referring back to FIG. 3, the power supply control unit 14 includes the collector C at the gate G of the FET U31 with the resistor R36 therebetween in order to switch from the hard power-off state to the power-on state. It further comprises a transistor Q32 to be connected. The emitter E of the transistor Q32 is grounded, and the base B is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5V_SMPS of the power supply 12 through the resistor R39 and the capacitor C37. The emitter E of the transistor Q32 and the base B are connected by a resistor R38. Diode D32 connects capacitor C37 to ground.

하드 파워 오프 상태에서는, 전원부(12)의 출력단(5V_SMPS)으로부터 제1DC전원이 정상적으로 공급되지 않으므로, 트랜지스터(Q32)의 베이스(B)는 Low가 되고, 트랜지스터(Q32)는 턴오프된다.In the hard power-off state, since the first DC power supply is not normally supplied from the output terminal 5V_SMPS of the power supply unit 12, the base B of the transistor Q32 is turned low, and the transistor Q32 is turned off.

하드 파워 오프 상태에서, AC전원이 다시 입력되는 등의 원인에 의해, 전원부(12)의 출력단(5V_SMPS)으로부터 제1DC전원이 정상적으로 공급되면, 캐패시터(C37)를 통해 순간적으로 전류가 흐른다. 이에 따라, 트랜지스터(Q32)의 베이스(B)는 일시적으로 High가 되며, 트랜지스터(Q32)는 턴온된다. 트랜지스터(Q32)는 턴온되면, 컬렉터(C)가 Low가 되어, FET(U31)의 게이트전압(Vg)이 Low가 된다. 이에 따라, FET(U31)이 턴온되고, 전원제어부(14)의 출력단(FET(U31) 측의 5V)을 통해 제2DC전원이 정상적으로 공급되는 파워 온 상태로 전환된다. 트랜지스터(Q32)가 턴온된 후, 캐패시터(C37)가 충분히 충전될 정도의 시간이 경과하면, 트랜지스터(Q32)의 베이스(B)는 Low로 전환되며, 그 결과 트랜지스터(Q32)는 턴오프된다. 그러나,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2DC전원(5V)이 정상적으로 공급되면, 트랜지스터(Q32)는 턴오프되기 전에, 제어부(18)에 의해 트랜지스터(Q31)가 턴온되어, FET(U31)의 턴온이 계속 유지될 수 있다.In the hard power-off state, when the first DC power is normally supplied from the output terminal 5V_SMPS of the power supply unit 12 due to the AC power being input again, the current flows instantaneously through the capacitor C37. As a result, the base B of the transistor Q32 becomes temporarily high, and the transistor Q32 is turned on. When the transistor Q32 is turned on, the collector C becomes low, and the gate voltage Vg of the FET U31 becomes low. As a result, the FET U31 is turned on and is switched to the power-on state where the second DC power is normally supplied through the output terminal (5V on the side of the FET U31) of the power supply controller 14. After the transistor Q32 is turned on, when the time enough for the capacitor C37 is sufficiently charged, the base B of the transistor Q32 is switched to Low, and as a result, the transistor Q32 is turned off. However, as described above, when the second DC power source 5V is normally supplied, the transistor Q31 is turned on by the control unit 18 before the transistor Q32 is turned off, and the turn-on of the FET U31 continues. Can be maintained.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전원제어부(14)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5에 도시된 전원제어부(14)는, 스위칭부(142)와, 마이컴(142)을 포함한다. 스위칭부(142)는, 도 3에 도시된 FET(U31)과 마찬가지로, 입력단(5V_SMPS)에 인가되는 전원부(12)로부터 출력되는 DC전원이, 출력단(5V)을 통해 화상형성부(11) 등에 선택적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마이컴(142)은 제어부(18)와는 별도로 마련되는 제어IC로서, 스위치제어신호(EN_5V)를 스위칭부(142)에 출력하여, 스위칭부(142)의 턴온/오프를 제어한다. 마이컴(142)은 스위치회로부(19)로부터의 스위치신호(nPOWER_SW)에 기초하여 스위칭부(142)를 제어한다. 마이컴(142)은 전원부(12)로부터 출력되는 DC전원(5V_SMPS)을 입력받아 동작한다.FIG. 5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power control unit 14 shown in FIG. The power control unit 14 shown in FIG. 5 includes a switching unit 142 and a microcomputer 142. Similar to the FET U31 shown in FIG. 3, the switching unit 142 has a DC power output from the power supply unit 12 applied to the input terminal 5V_SMPS to the image forming unit 11 or the like through the output terminal 5V. Allow for optional supply. The microcomputer 142 is a control IC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control unit 18, and outputs a switch control signal EN_5V to the switching unit 142 to control the turning on / off of the switching unit 142. The microcomputer 142 controls the switching unit 142 based on the switch signal nPOWER_SW from the switch circuit unit 19. The microcomputer 142 operates by receiving the DC power (5V_SMPS) output from the power supply unit 12.

소프트 파워 오프 상태에서는 스위치신호(nPOWER_SW)는 High, 스위칭부(142)는 턴오프되어, 출력단(5V)을 통해 DC전원이 공급되지 않는다. 마이컴(142)은 소프트 파워 오프 상태에서, 스위치신호(nPOWER_SW)가 High에서 Low로 전환되면, 마이컴(142)은 스위칭부(142)가 턴온되도록 스위치제어신호(EN_5V)를 출력한다. 이에 따라, 출력단(5V)을 통해 DC전원이 정상적으로 공급된다. 동시에, 마이컴(142)은 제어부(18)에 리셋신호(RST_CPU)를 출력하여, 제어부(18)가 정상적으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In the soft power-off state, the switch signal nPOWER_SW is high and the switching unit 142 is turned off, so that DC power is not supplied through the output terminal 5V. In the soft power-off state, when the switch signal nPOWER_SW is changed from high to low, the microcomputer 142 outputs the switch control signal EN_5V so that the switching unit 142 is turned on. Accordingly, DC power is normally supplied through the output terminal 5V. At the same time, the microcomputer 142 may output the reset signal RST_CPU to the controller 18 so that the controller 18 can normally operate.

반대로, 파워 온 상태에서, 스위치신호(nPOWER_SW)가 Low에서 High로 전환되면(소프트파워스위치(191)가 눌러졌다가 떨어진 때), 스위칭부(142)가 턴오프되도록 스위치제어신호(EN_5V)를 출력한다. 이에 따라, 출력단(5V)을 통해 DC전원이 정상적으로 공급되지 않는다. 동시에, 마이컴(142)은 제어부(18)에 리셋신호(RST_CPU)를 출력하여, 제어부(18)가 처리 중이던 동작을 마무리하도록 할 수 있다.On the contrary, in the power-on state, when the switch signal nPOWER_SW is changed from low to high (when the soft power switch 191 is pressed and dropped), the switch control signal EN_5V is turned on so that the switching unit 142 is turned off. Output Accordingly, DC power is not normally supplied through the output terminal 5V. At the same time, the microcomputer 142 may output the reset signal RST_CPU to the controller 18 to finish the operation that the controller 18 is processing.

한편, 하드 파워 오프 상태에서는, 마이컴(142)에 전원부(12)의 DC전원(5V_SMPS)이 입력되지 않으므로, 마이컴(142)은 턴오프상태가 된다. 하드 파워 오프 상태에서, AC전원이 다시 입력되는 등의 원인에 의해, 전원부(12)의 출력단(5V_SMPS)으로부터 DC전원이 정상적으로 공급되면, 마이컴(142)은 턴온되어 동작을 개시한다. 이어, 마이컴(142)은 마이컴(142)은 스위칭부(142)가 턴온되도록 스위치제어신호(EN_5V)를 출력하는 한편, 제어부(18)에 리셋신호(RST_CPU)를 출력하여, 제어부(18)가 정상적으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드 파워 오프 상태에서 파워 온 상태로의 전환이 이루어진다.On the other hand, in the hard power-off state, since the DC power supply 5V_SMPS of the power supply unit 12 is not input to the microcomputer 142, the microcomputer 142 is turned off. In the hard power-off state, when the DC power is normally supplied from the output terminal 5V_SMPS of the power supply unit 12 due to the input of the AC power again, etc., the microcomputer 142 is turned on to start operation. Subsequently, the microcomputer 142 outputs the switch control signal EN_5V such that the microcomputer 142 turns on the switching unit 142, and outputs the reset signal RST_CPU to the control unit 18 so that the control unit 18 outputs the reset signal RST_CPU. You can make the operation work normally. Thus, the transition from the hard power off state to the power on state is achieved.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방전회로부(15)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내지 5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전원제어부(14)는, 하드 파워 오프 상태에서 파워 온 상태로 전환함에 있어서, 전원부(12)의 출력단(5V_SMPS)으로부터 DC전원이 정상적으로 출력되는지에 따라 전환 동작을 개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3 및 5에 도시된 전원제어부(14)는 어느 실시예의 경우든지, 전원부(12)로부터 DC전원(5V_SMPS)이 출력되지 않다가 정상적으로 출력되어야, 즉, DC전원(5V_SMPS)의 레벨이 Low에서 High로 전환되어야 비로소 전환 동작을 개시한다.Hereinafter, the discharge circuit unit 15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to 5, the power supply control unit 14 switches depending on whether the DC power is normally output from the output terminal 5V_SMPS of the power supply unit 12 when switching from the hard power-off state to the power-on state. Start the operation. More specifically, the power supply control unit 14 shown in Figs. 3 and 5, in any of the embodiments, the DC power supply 5V_SMPS should not be output from the power supply unit 12 before being output normally, that is, the DC power supply 5V_SMPS The transition operation does not begin until the level transitions from low to high.

그런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부(12)의 출력단(5V_SMPS)에는 상당한 용량의 캐패시터(C21)이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캐패시터(C21)가 충분히 방전될 때까지 하드 파워 오프 상태가 상당 시간 지속된 경우에는, 전원부(12)의 출력단(5V_SMPS)이 Low까지 떨어질 수 있다. 이 상태에서, 기계적파워스위치(13)가 턴온되는 등 AC전원이 다시 입력되면, 전원부(12)의 출력단(5V_SMPS)은 Low에서 High로 전환될 수 있으므로, 전원제어부(14)가 정상적으로 전환 동작 수행한다. 그러나, 만일, 하드 파워 오프 상태로 진입한지 얼마되지 않아 곧바로 파워 온 상태로 전환되는 경우에는, 캐패시터(C21)에 잔류하는 잔류전원으로 인해 전원부(12)의 출력단(5V_SMPS)이 Low로 떨어지지 않기 때문에, 전원제어부(14)가 정상적으로 파워 온 상태로 전환할 수가 없는 상태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예를 들면, 소프트파워스위치(191) 등에 의해 소프트 파워 오프 상태로 된 상황에서, 사용자가 전원을 켜기 위하여 사전 조작으로서 기계적파워스위치(13)를 턴오프시킨 다음, 곧바로 턴온시키는 경우 등을 들 수 있다. 이 경우, 기계적파워스위치(13)가 턴오프된 시점부터 캐패시터(C21)가 방전을 시작하는데, 기계적파워스위치(13)가 다시 턴온된 때까지 캐패시터(C21)가 충분히 방전하지 못하여 전원부(12)의 출력단(5V_SMPS)이 High를 계속 유지하고 있다면, 전원제어부(14)는 하드 파워 오프 상태로부터 파워 온 상태로의 전환 동작을 할 수가 없게 된다.By the way, as shown in FIG. 2, the capacitor C21 of considerable capacity is provided in the output terminal 5V_SMPS of the power supply part 12. As shown in FIG. Therefore, when the hard power-off state lasts for a considerable time until the capacitor C21 is sufficiently discharged, the output terminal 5V_SMPS of the power supply unit 12 may drop to Low. In this state, when the AC power is input again, such as when the mechanical power switch 13 is turned on, the output terminal 5V_SMPS of the power supply unit 12 may be switched from low to high, so that the power control unit 14 performs a normal switching operation. do. However, if the power-on state of the output terminal 5V_SMPS of the power supply unit 12 does not fall low due to the residual power remaining in the capacitor C21 if the power-on state is immediately switched to the power-on state soon after entering the hard power-off state. There is a fear that a state in which the power supply control unit 14 cannot switch to the power-on state normally may occur. For example, in a situation where the soft power switch 191 or the like is in the soft power-off state, the user turns off the mechanical power switch 13 as a pre-operation to turn on the power, and then immediately turns it on. have. In this case, the capacitor C21 starts discharging from the time when the mechanical power switch 13 is turned off, but the capacitor C21 does not sufficiently discharge until the mechanical power switch 13 is turned on again, so that the power supply unit 12 is discharged. If the output terminal 5V_SMPS is kept high, the power supply controller 14 cannot perform the switching operation from the hard power off state to the power on state.

이러한 우려를 막기 위하여, 방전회로부(15)는, 하드 파워 오프 상태가 되면, 즉, AC전원이 차단되는 경우에는, 전원부(12)의 출력단(5V_SMPS)에 마련된 캐패시터(C21)에 잔류하는 잔류전원을 신속하게 방전시킨다. 이에 따라, 소프트 파워 오프 상태로 된 상황에서, 기계적파워스위치(13)가 턴오프되었다가 곧바로 턴온되더라도, 방전회로부(15)에 의해 전원부(12)의 출력단(5V_SMPS)이 신속하게 Low가 되었다가 High로 전환되므로, 전원제어부(14)는 하드 파워 오프 상태로부터 파워 온 상태로의 전환 동작을 정상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In order to prevent such a concern, the discharge circuit unit 15 remains in the hard power-off state, that is, when the AC power is cut off, the remaining power remaining in the capacitor C21 provided in the output terminal 5V_SMPS of the power supply unit 12. Discharge quickly. Accordingly, even when the mechanical power switch 13 is turned off immediately after being turned on in the soft power-off state, the output terminal 5V_SMPS of the power supply unit 12 is rapidly turned low by the discharge circuit unit 15. Since it is switched to High, the power supply controller 14 can normally perform the switching operation from the hard power off state to the power on state.

화상형성장치(1)는, 방전회로부(15)가 AC전원이 차단되는지 여부에 따라 동작할 수 있도록, AC전원의 차단 여부를 감지하는 제로크로싱감지부(1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본 실시예에 의한 제로크로싱감지부(16)를 도시하는 회로도이다. 제로크로싱감지부(16)는 전류에 흐름에 따라 발광하는 포토다이오드(PD)와, 포토다이오드(PD)의 발광에 따라 스위칭하는 트랜지스터(Q61)로 구성되는 포토커플러를 포함한다. 포토다이오드(PD)는 저항(R61)을 통해 기계적파워스위치(13)에 연결된다. 트랜지스터(Q61)는 npn타입으로서, 이미터는 접지되고, 컬렉터는 저항(R62)에 연결된다.The image forming apparatus 1 may further include a zero crossing detecting unit 16 that detects whether the AC power is cut off so that the discharge circuit unit 15 may operate according to whether the AC power is cut off. 6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a zero crossing detecting unit 16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zero crossing detecting unit 16 includes a photocoupler PD that emits light as a current flows, and a photocoupler composed of a transistor Q61 that switches according to the emission of the photodiode PD. The photodiode PD is connected to the mechanical power switch 13 through a resistor R61. Transistor Q61 is of npn type, the emitter is grounded and the collector is connected to resistor R62.

만일, AC전원이 입력되고, 기계적파워스위치(13)가 턴온 상태이면, 포토다이오드(PD)에 사인파형으로 크기가 변동하는 전류가 흐른다. 포토다이오드(PD)에 전류가 흐르면 포토다이오드(PD)는 발광하고, 포토다이오드(PD)에 전류가 흐르지 않으면 포토다이오드(PD)는 발광하지 않는다. 즉, AC전원이 (+) 또는 (-) 구간인 경우에는, 포토다이오드(PD)가 발광하고, AC전원이 0가 되는 지점, 즉 AC전원의 파형의 제로점에서는 포토다이오드(PD)가 발광하지 않는다. 포토다이오드(PD)가 발광하면, 트랜지스터(Q61)가 턴온되어 High인 감지신호(Zerocross)가 출력된다. 포토다이오드(PD)가 발광하지 않으면, 트랜지스터(Q61)가 턴오프되어 Low인 감지신호(Zerocross)가 출력된다. 도 7은 본 실시예에 의한 감지신호(Zerocross)의 파형의 일례를 도시한다. 도 7의 부호 71은 감지신호(Zerocross)가 High인 구간을, 부호 72는 감지신호(Zerocross)가 Low인 지점을 각각 나타낸다. 만일, 외부로부터 AC전원이 입력되지 않거나, 기계적파워스위치(13)가 턴오프되면, 포토다이오드(PD)에 전류가 흐르지 않아, 소정 시간 이상 감지신호(Zerocross)가 Low인 구간(도 7의 부호 73 참조)이 존재한다. 방전회로부(15)는 감지신호(Zerocross)가 소정 시간 이상 Low인 경우, AC전원이 차단된 것으로 판단하고, 전원부(12)의 출력단(5V_SMPS)에 마련된 캐패시터(C21)에 잔류하는 잔류전원을 신속하게 방전시킨다.If the AC power is input and the mechanical power switch 13 is turned on, a current of varying magnitude in a sinusoidal waveform flows through the photodiode PD. When the current flows through the photodiode PD, the photodiode PD emits light. When the current does not flow through the photodiode PD, the photodiode PD does not emit light. That is, when the AC power source is in the positive or negative section, the photodiode PD emits light, and the photodiode PD emits light at the point where the AC power source becomes zero, that is, at the zero point of the waveform of the AC power source. I never do that. When the photodiode PD emits light, the transistor Q61 is turned on to output a detection signal Zerocross that is High. When the photodiode PD does not emit light, the transistor Q61 is turned off to output a low detection signal Zerocross. Fig. 7 shows an example of the waveform of the sense signal Zerocros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Reference numeral 71 in FIG. 7 denotes a section in which the detection signal Zerocross is high, and reference numeral 72 denotes a point in which the detection signal Zerocross is low. If the AC power is not input from the outside or the mechanical power switch 13 is turned off, no current flows in the photodiode PD, and thus the detection signal Zerocross is low for a predetermined time (symbol of FIG. 7). 73). When the detection signal Zerocross is low for a predetermined time or more, the discharge circuit unit 15 determines that the AC power is interrupted, and quickly discharges the remaining power remaining in the capacitor C21 provided at the output terminal 5V_SMPS of the power supply unit 12. To discharge.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방전회로부(15)의 구성을 일례를 도시하는 회로도이다. 방전회로부(15)는 감지신호(Zerocross)에 기초하여 스위칭하는 pnp타입의 트랜지스터(Q81)를 포함한다. 트랜지스터(Q81)의 이미터는 저항(R84)를 통해 전원부(12)의 출력단(5V_SMPS)에 연결되며, 트랜지스터(Q81)의 컬렉터는 다이오드(D81)을 통해 접지된다. 트랜지스터(Q81)의 베이스가 High이면, 트랜지스터(Q81)는 턴오프되고, 베이스가 Low이면, 트랜지스터(Q81)가 턴오프되어, 캐패시터(C21)에 잔류하는 잔류전원이 방전된다.8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of the discharge circuit section 15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charge circuit unit 15 includes a pnp type transistor Q81 that switches based on a sensing signal Zerocross. The emitter of transistor Q81 is connected to output terminal 5V_SMPS of power supply 12 through resistor R84, and the collector of transistor Q81 is grounded via diode D81. When the base of the transistor Q81 is High, the transistor Q81 is turned off. When the base is Low, the transistor Q81 is turned off, and the remaining power remaining in the capacitor C21 is discharged.

화상형성장치(1)는, 감지신호(Zerocross)를 입력받아 소정 시간 지연시켜 출력하는 지연회로(1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연회로(17)는 로우패스필터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저항(R81 및 R82)과, 캐패시터(C81 및 C82)를 포함할 수 있다. 지연회로(17)와, 트랜지스터(Q81)의 베이스 사이에는 저항(R83)이 마련될 수 있다. 지연회로(17)의 지연시간(Tdelay)는 아래와 같이 결정될 수 있다.The image forming apparatus 1 may further include a delay circuit 17 that receives a detection signal Zerocross and delays the predetermined time and outputs the delayed signal. The delay circuit 17 may be implemented as a low pass filter and may include resistors R81 and R82 and capacitors C81 and C82. A resistor R83 may be provided between the delay circuit 17 and the base of the transistor Q81. The delay time Tdelay of the delay circuit 17 may be determined as follows.

[수학식 1][Equation 1]

Tdelay=R*CTdelay = R * C

(여기에서, R은 저항(R81 및 R82)의 직렬저항값, C는 캐패시터(C81 및 C82)의 병렬캐패시턴스값이다.)(Where R is the series resistance value of resistors R81 and R82, C is the parallel capacitance value of capacitors C81 and C82).

지연회로(17)를 통과한 신호는, AC전원이 입력되는 경우에는 계속하여 High를 유지하고(도 9의 부호 91 참조), AC전원이 차단되는 순간 Low가 된다(도 9의 부호 92 참조). 이에 따라, 트랜지스터(Q81)는 AC전원이 입력되는 경우에는 턴오프된 상태를 유지하고, AC전원이 차단되면, 트랜지스터(Q81)가 즉시 턴오프되어, 캐패시터(C21)에 잔류하는 잔류전원이 방전된다.When the AC power is input, the signal passing through the delay circuit 17 is continuously kept high (see reference numeral 91 in FIG. 9) and becomes low at the moment when the AC power is cut off (see reference numeral 92 in FIG. 9). . Accordingly, when the AC power is input, the transistor Q81 remains turned off. When the AC power is cut off, the transistor Q81 is immediately turned off, and the remaining power remaining in the capacitor C21 is discharged. do.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화상형성장치(1)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먼저, 동작 1001에서, AC전원을 변환한 소정 레벨의 DC전원을 공급받아 화상을 형성한다. 이 경우는 파워 온 상태가 된다. 다음으로, 동작 1002에서, 파워 온 상태에서 사용자가 전원을 끄기 위하여 소프트파워스위치(191)를 누르면, DC전원의 공급을 차단하여 소프트 파워 오프 상태로 전환한다. 다음으로, 동작 1003에서, 소프트 파워 오프 상태에서, AC전원이 차단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사용자가 기계적파워스위치(13)를 이용하여 전원을 켜기 위한 사전동작으로서 기계적파워스위치(13)의 턴오프하면, AC전원이 차단된다. 다음으로, 동작 1004에서, AC전원이 차단되면, 전원부(12)의 출력단(5V_SMPS)에 마련된 캐패시터(C21)에 잔류하는 잔류전원을 방전시킨다. 다음으로, 동작 1005에서, 사용자가 기계적파워스위치(13)를 이용하여 전원을 켜기 위한 후속 동작으로서 기계적파워스위치(13)를 턴온시키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동작 1006에서, 기계적파워스위치(13)가 턴온되면, AC전원의 입력이 재개되고, 이를 변환하여 DC전원의 공급을 재개한다.10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of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rst, in operation 1001, an image is formed by receiving DC power of a predetermined level converted from AC power. In this case, the power is turned on. Next, in operation 1002, when the user presses the soft power switch 191 to turn off the power in the power-on state, the supply of the DC power is cut off to switch to the soft power-off state. Next, in operation 1003, it is checked whether the AC power is cut off in the soft power-off state. When the user turns off the mechanical power switch 13 as a pre-operation for turning on the power using the mechanical power switch 13, the AC power is cut off. Next, in operation 1004, when the AC power is cut off, the remaining power remaining in the capacitor C21 provided at the output terminal 5V_SMPS of the power supply 12 is discharged. Next, in operation 1005, it is checked whether the user turns on the mechanical power switch 13 as a subsequent operation for turning on the power using the mechanical power switch 13. In operation 1006, when the mechanical power switch 13 is turned on, the input of the AC power is resumed, and the conversion is resumed to supply the DC power.

이상,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As mention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through preferred embodiment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variously implemented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1: 화상형성장치
11: 화상형성부
12: 전원부
13: 기계적파워스위치
14: 전원제어부
19: 스위치회로부
191: 소프트파워스위치
1: image forming apparatus
11: Image forming unit
12: power supply
13: mechanical power switch
14: power control unit
19: switch circuit
191: soft power switch

Claims (21)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형성부와;
입력되는 AC전원을 변환하여 상기 화상형성부의 동작을 위한 소정 레벨의 DC전원을 출력하는 전원부와;
상기 AC전원을 입력 또는 차단하기 위한 기계적파워스위치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턴온 또는 턴오프상태가 되는 소프트파워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소프트파워스위치의 상태에 대응하는 스위치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치회로부와;
상기 스위치신호에 따라 상기 전원부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DC전원을 상기 화상형성부에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전원제어부와;
상기 기계적파워스위치에 의해 상기 AC전원이 차단되면, 상기 전원부의 잔류전원을 방전시키는 방전회로부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In the image forming apparatus,
An image forming unit for forming an image;
A power supply unit converting the input AC power to output a DC power of a predetermined level for the operation of the image forming unit;
A mechanical power switch for inputting or cutting off the AC power;
A switch circuit unit including a soft power switch to be turned on or off according to a user's operation, and outputting a switch signal corresponding to a state of the soft power switch;
A power control unit for selectively supplying the DC power output from the power supply unit to the image forming unit according to the switch signal;
And a discharge circuit unit configured to discharge residual power of the power supply unit when the AC power is cut off by the mechanical power switch.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제어부는, 상기 AC전원이 차단되기 전에, 상기 스위치신호에 따라 상기 화상형성부에 공급되는 상기 DC전원을 차단하며,
상기 전원부는, 상기 잔류전원이 방전된 후에, 상기 기계적파워스위치에 의해 상기 AC전원을 다시 입력받아, 상기 DC전원의 공급을 재개하는 화상형성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power control unit cuts off the DC power supplied to the image forming unit according to the switch signal before the AC power is cut off,
And the power supply unit receives the AC power again by the mechanical power switch after the remaining power is discharged, and resumes the supply of the DC pow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C전원의 파형의 제로점을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제로크로싱감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방전회로부는, 상기 감지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전원부의 잔류전원을 방전시키는 화상형성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 zero crossing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the zero point of the waveform of the AC power and outputs a detection signal,
And the discharge circuit unit discharges the remaining power of the power supply unit based on the detection signal.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로크로싱감지부의 감지신호를 소정 지연시켜 상기 상기 방전회로부에 출력하는 지연회로부를 더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The method of claim 3,
And a delay circuit unit configured to delay a detection signal of the zero crossing detection unit and output the delayed signal to the discharge circuit unit.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방전회로부는,
상기 전원부의 상기 DC전원의 출력단에 일단이 연결되는 저항부와;
상기 저항부의 타단 및 접지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감지신호의 레벨에 따라 온/오프하는 스위칭소자부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discharge circuit unit,
A resistor unit having one end connected to an output terminal of the DC power source of the power supply unit;
And a switching device unit connected between the other end of the resistor unit and the ground to switch on / off according to the level of the detection signal.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형성부와, 입력되는 AC전원을 변환하여 상기 화상형성부의 동작을 위한 소정 레벨의 DC전원을 출력하는 전원부와, 상기 AC전원을 입력 또는 차단하기 위한 기계적파워스위치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턴온 또는 턴오프상태가 되는 소프트파워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소프트파워스위치의 상태에 대응하는 스위치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치회로부와, 상기 스위치신호에 따라 상기 전원부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DC전원을 상기 화상형성부에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전원제어부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부에 상기 DC전원을 공급하여 화상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기계적파워스위치에 의해 상기 AC전원이 차단되면, 상기 전원부의 잔류전원을 방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방법.
An image forming unit for forming an image, a power source for converting input AC power to output a predetermined level of DC power for the operation of the image forming unit, a mechanical power switch for inputting or blocking the AC power, and A switch power circuit including a soft power switch to be turned on or off according to an operation, and outputting a switch signal corresponding to a state of the soft power switch; and the DC power output from the power supply unit according to the switch signal. In the control method of the image forming apparatus comprising a power supply control unit for selectively supplying to the image forming unit,
Supplying the DC power to the image forming unit to form an image;
And discharging the remaining power of the power supply unit when the AC power is cut off by the mechanical power switch.
제6항에 있어서,
상기 AC전원이 차단되기 전에, 상기 스위치신호에 따라 상기 화상형성부에 공급되는 상기 DC전원을 차단하는 단계와;
상기 잔류전원이 방전된 후에, 상기 기계적파워스위치에 의해 상기 AC전원의 입력 및 상기 DC전원의 공급을 재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방법.
The method of claim 6,
Cutting off the DC power supplied to the image forming unit according to the switch signal before the AC power is cut off;
And after the remaining power is discharged, resuming the input of the AC power and the supply of the DC power by the mechanical power switch.
제6항에 있어서,
상기 AC전원의 파형의 제로점을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방전시키는 단계는, 상기 감지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전원부의 잔류전원을 방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방법.
The method of claim 6,
Detecting a zero point of the waveform of the AC power and outputting a detection signal,
The discharging step includes discharging the remaining power of the power supply unit based on the detection signal.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신호를 소정 지연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방전시키는 단계는, 상기 지연된 감지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전원부의 잔류전원을 방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방법.
The method of claim 8,
Delaying the detection signal by a predetermined amount;
The discharging step includes discharging the remaining power of the power supply unit based on the delayed detection signal.
화상형성장치의 화상형성부를 구동시키는 전원제어시스템에 있어서,
AC전원의 공급 및 차단을 스위칭하는 기계적파워스위치와;
턴온상태 및 턴오프상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상기 턴온상태에 대응하여 스위치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치제어부와;
상기 AC전원이 공급 또는 차단되는지 여부를 감지하고, 상기 스위치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화상형성부에 DC전원이 공급되도록 하는 상기 전원제어부와;
상기 AC전원이 차단되는 경우 잔류전원을 방전시키는 방전부를 포함하는 전원제어시스템.
A power supply control system for driving an image forming unit of an image forming apparatus,
A mechanical power switch for switching supply and interruption of AC power;
A switch control unit which selects one of a turn-on state and a turn-off state and outputs a switch signal in response to the turn-on state;
A power control unit for detecting whether the AC power is supplied or cut off, and for supplying DC power to the image forming unit based on the switch signal;
And a discharge unit for discharging the residual power when the AC power is cut off.
화상형성부를 포함하고, 소프트파워오프상태 및 파워온상태로 동작 가능한 화상형성장치의 전원을 제어하는 전원제어시스템에 있어서,
제1전원을 입력하여 상기 제1전원을 제2전원으로 변환하고, 상기 제2전원을 상기 화상형성부에 출력하는 전원부와;
상기 소프트파워오프상태로부터 상기 파워온상태가 되면, 상기 제1전원이 입력되는 때 상기 전원부가 상기 제2전원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원제어시스템.
A power supply control system comprising an image forming unit and controlling a power supply of an image forming apparatus operable in a soft power off state and a power on state,
A power supply unit for inputting a first power source to convert the first power source to a second power source and outputting the second power source to the image forming unit;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power supply unit to output the second power when the first power is input when the power-on state is entered from the soft power-off state.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가 상기 제2전원을 상기 화상형성부에 선택적으로 출력하도록 하는 방전부를 더 포함하는 전원제어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1,
And a discharge unit configured to selectively output the second power source to the image forming unit.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방전부는 상기 전원부에 남아 있는 잔류전원을 선택적으로 방전하는 전원제어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2,
And the discharge unit selectively discharges the remaining power remaining in the power supply unit.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방전부는 상기 소프트파워오프상태로부터 상기 파워온상태가 되는 경우 상기 제1전원의 입력이 차단되는 때 상기 전원부에 남아 있는 잔류전원을 방전하는 전원제어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3,
And the discharge unit discharges the remaining power remaining in the power supply unit when the input of the first power source is interrupted when the discharge unit is in the power-on state from the soft power-off state.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방전부는 상기 소프트파워오프상태로부터 상기 파워온상태가 되는 경우 상기 제1전원의 입력되고 소정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전원부에 남아 있는 잔류전원을 방전하지 아니하는 전원제어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3,
And the discharge unit does not discharge residual power remaining in the power supply unit when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after the first power is input from the soft power-off state to the power-on state.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원의 차단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방전부는 상기 감지부의 감지 결과에 따라 상기 잔류전원을 선택적으로 방전하는 전원제어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2,
Further comprising a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whether or not the first power cut off,
And the discharge unit selectively discharges the residual power according to a detection result of the detection unit.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제1전원의 제로크로싱에 기초하여 상기 제1전원의 차단 여부를 감지하는 제로크로싱감지부를 포함하는 전원제어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6,
The detection unit includes a zero crossing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whether the first power is cut off based on the zero crossing of the first power supply.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소프트파워오프상태로부터 상기 파워온상태가 되는지 여부를 감지하여 상기 전원부가 상기 제2전원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전원제어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1,
And the controller detects whether the power is on from the soft power-off state and controls the power unit to output the second power.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파워온상태에서 상기 소프트파워오프상태로 되는 경우 상기 전원부가 상기 화상형성부에 상기 제2전원을 출력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전원제어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3,
And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power supply unit not to output the second power supply to the image forming unit when the power-on state becomes the soft power-off state.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원은 AC전원이며, 상기 제2전원은 DC전원인 전원제어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1,
And said first power source is an AC power source, and said second power source is a DC power source.
소프트파워오프상태 및 파워온상태로 동작 가능한 화상형성장치의 전원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상기 소프트파워오프상태에서 상기 파워온상태로 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상기 소프트파워오프상태에서 상기 파워온상태로 되는 경우 AC전원이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입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상기 소프트파워오프상태에서 상기 파워온상태로 되고 상기 AC전원의 입력이 차단되는 때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전원부에 남아 있는 잔류전원을 방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전원제어방법.
A power control method of an image forming apparatus operable in a soft power off state and a power on state,
Detecting whether the image forming apparatus is in the power on state from the soft power off state;
Determining whether AC power is input to the image forming apparatus when the image forming apparatus is brought into the power on state from the soft power off state;
Discharging the remaining power remaining in the power supply section of the image forming apparatus when the image forming apparatus is turned into the power-on state in the soft power-off state and the input of the AC power is cut off. Way.
KR1020110109110A 2010-11-26 2011-10-25 Image form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86651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9110A KR101866510B1 (en) 2010-11-26 2011-10-25 Image form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118843 2010-11-26
KR1020100118843 2010-11-26
KR1020110109110A KR101866510B1 (en) 2010-11-26 2011-10-25 Image form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7510A true KR20120057510A (en) 2012-06-05
KR101866510B1 KR101866510B1 (en) 2018-06-12

Family

ID=466093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9110A KR101866510B1 (en) 2010-11-26 2011-10-25 Image form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6510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74442A (en) * 1996-10-11 1998-06-26 Daikin Ind Ltd Converter
JP2000184718A (en) * 1998-12-10 2000-06-30 Sharp Corp Switching power supply device
US20060125904A1 (en) * 2004-12-15 2006-06-15 Kabushiki Kaisha Toshiba Safety circuit for image forming apparatus
US20090295469A1 (en) * 2008-05-29 2009-12-03 Igo, Inc. Primary side control circuit and method for ultra-low idle power operation
US20100166449A1 (en) * 2008-09-03 2010-07-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wer supply device and method for image forming apparatu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74442A (en) * 1996-10-11 1998-06-26 Daikin Ind Ltd Converter
JP2000184718A (en) * 1998-12-10 2000-06-30 Sharp Corp Switching power supply device
US20060125904A1 (en) * 2004-12-15 2006-06-15 Kabushiki Kaisha Toshiba Safety circuit for image forming apparatus
US20090295469A1 (en) * 2008-05-29 2009-12-03 Igo, Inc. Primary side control circuit and method for ultra-low idle power operation
US20100166449A1 (en) * 2008-09-03 2010-07-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wer supply device and method for image form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6510B1 (en) 2018-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40153013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image processing apparatus
US7936545B2 (en) Power supply control system
KR101623089B1 (en) Apparatus for reduce power consumption of the monitor
JP2000224775A (en) External charge/discharge system
US7528734B2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detecting power supply voltage
US20120134190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080070617A1 (en) Reset circuit and method of mobile phone
US7071933B2 (en) Power controlling system
EP2634883A2 (en) Electronic device and protection circuit and protection method
EP2302467B1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722473B1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866510B1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09055686A (en) Power supply system
EP3185257B1 (en) Timer apparatus
US8089740B2 (en) Clamp unit, and power supply having the same cross-reference to related application
KR20110031081A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10239786A (en) Communication device
KR101789936B1 (en) Power supply device having controlling function of stand-by power and power supply method therefor
JP4979438B2 (en) Fire detector
KR100703211B1 (en) A circuit for detecting ac voltage
JP2010125752A (en) Printer
KR100449104B1 (en) Power supply controlling device of inkjet printer
JP2013233057A (en) Charge and discharge control device for secondary battery
KR200334580Y1 (en) Multi-tab concent for saving power consumption
KR970001899Y1 (en) Power reduction circu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