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56466A - 스마트카드 기반 전원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스마트카드 기반 전원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56466A
KR20120056466A KR1020100118020A KR20100118020A KR20120056466A KR 20120056466 A KR20120056466 A KR 20120056466A KR 1020100118020 A KR1020100118020 A KR 1020100118020A KR 20100118020 A KR20100118020 A KR 20100118020A KR 20120056466 A KR20120056466 A KR 201200564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face
mode
smart card
sleep mode
me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80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옥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180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56466A/ko
Publication of KR201200564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64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266Arrangements to supply power to external peripherals either directly from the computer or under computer control, e.g. supply of power through the communication port, computer controlled power-strip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06Monitoring of events, devices or parameters that trigger a change in power modality
    • G06F1/3215Monitoring of peripheral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93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by switching to a less power-consuming processor, e.g. sub-CPU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Power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카드 기반 전원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개시한다. 즉, 설정시간 동안 자체 프로세싱 미 감지에 따른 슬립모드준비상태로의 전환 시, 제1인터페이스를 통해 슬립모드준비메시지를 스마트카드에 전송하여 슬립모드준비상태로의 전환을 지시하며, 자체 프로세싱 감지를 통한 동작모드 전환 시 제2인터페이스를 통해 모드전환메시지를 상기 스마트카드에 전송하여 슬립모드 또는 액티브모드로의 전환을 지시하는 단말장치; 및 상기 제1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슬립모드준비메시지에 따라 동작모드를 슬립모드준비상태로 전환하며, 상기 제2인터페이스를 통해 모드전환메시지가 수신될 경우, 상기 동작모드를 슬립모드 또는 액티브모드로 전환하는 스마트카드를 포함함으로써, 스마트카드의 자체 전류소모량을 최소화시켜 단말기 배터리 사용 시간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또한 스마트카드의 전류 소비에 따른 발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Description

스마트카드 기반 전원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AND METHOD FOR POWER MANAGEMENT BASED ON SMART CARD}
본 발명은 스마트카드가 연동된 시스템에서의 전원 관리 방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특정 서비스 제공을 위해 어플리케이션 코어가 패키징된 스마트카드와 연동되는 단말장치에서 스마트카드의 현재상태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동작모드를 정의하여 스마트카드의 동작모드를 시킴으로써 스마트카드에 공급되는 전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스마트카드 기반 전원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과, 단말장치 및 그 구동 방법, 그리고 스마트카드 및 그 구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대용량 유심(USIM)카드(이하, 스마트카드라 칭함)는 기존 유심카드에 예컨대, 대용량 NAND 플래쉬 메모리가 결합되어 하나의 칩 형태의 일 구성 예를 갖는 스마트카드를 지칭하며, 이러한 스마트카드는 다양한 오퍼레이터(Operator) 서비스(WIPI Application 등)를 탑재할 수 있고, 또한 고객에게 대용량 메모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음에 따라 대용량 유심 카드에 대한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기존에는 모바일 서비스 어플리케이션들이 단말기내의 소프트웨어(S/W) 플랫폼 위에 존재하였으나, 상기와 같이 대용량 스마트카드 기술이 발전하면서, 카드의 성능이 높아짐으로 인해 유심 카드 안에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탑재할 수 있는 환경이 마련되었다. 즉, 스마트카드는 CPU 및 메모리 탑재로 하드웨어 사양이 높아졌으며, 해당 하드웨어에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기 위한 운영체제 및 플랫폼이 탑재됨에 따라, 단말기에서 수행되는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스마트카드에서 직접 운용할 수 있게 되었다.
나아가, 최근에는 패키징 기술의 발달로 스마트카드에는 3G 통신 기능을 담당하는 유심 코어(Core) 이외에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동작시키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코어가 추가로 패키징 되어 다양한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다. 이와 같은 어플리케이션 코어는 특수 역할을 담당하는 칩으로서 단말기와의 USB 인터페이스를 통해 고속으로 데이터를 주고 받으면서 특수한 기능을 제공한다.
한편, 상술한 스마트카드는 상기 나열한 기능들을 구현하기 위해 연동된 단말장치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구조를 갖는다. 그러나, 스마트카드가 대용량화 및 고성능화되면서 스마트카드의 자체 전류소모량이 급증하게 되었으며, 이에 따라 스마트카드의 전원을 공급하는 단말장치의 배터리 소모율을 낮춤과 동시에, 스마트카드의 전류 소비에 따른 발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구체적인 전원 관리 방안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목적은, 단말장치가 스마트카드로부터 제1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되는 슬립모드준비메시지에 따라 모드전환메시지를 제2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스마트카드에 전송하여 슬립모드 또는 액티브모드로의 전환을 지시할 경우, 스마트카드는, 상기 제2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수신되는 모드전환메시지에 따라 동작모드를 슬립모드 또는 액티브모드로 전환하는 스마트카드 기반 전원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스마트카드의 현재상태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동작모드를 정의하여 스마트카드의 동작상태를 제어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목적은, 단말장치가 설정시간 동안 자체 프로세싱 미 감지에 따른 슬립모드준비상태로의 전환 시, 제1인터페이스를 통해 슬립모드준비메시지를 스마트카드에 전송하여 슬립모드준비상태로의 전환을 지시하며, 자체 프로세싱 감지를 통한 동작모드 전환 시 제2인터페이스를 통해 모드전환메시지를 상기 스마트카드에 전송하여 슬립모드 또는 액티브모드로의 전환을 지시할 경우, 스마트카드는 상기 제1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슬립모드준비메시지에 따라 동작모드를 슬립모드준비상태로 전환하며, 상기 제2인터페이스를 통해 모드전환메시지가 수신될 경우, 상기 동작모드를 슬립모드 또는 액티브모드로 전환하는 스마트카드 기반 전원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스마트카드의 현재상태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동작모드를 정의하여 스마트카드의 동작상태를 제어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목적은, 상기 스마트카드의 설정시간 동안 자체 프로세싱 미 감지에 따른 슬립모드준비상태 전환 시, 상기 스마트카드로부터 수신되는 슬립모드준비메시지에 따라 상기 스마트카드의 슬립모드 전환 시도를 감지하여 모드전환메시지를 상기 스마트카드에 전송하여 슬립모드 또는 액티브모드로의 전환을 지시하는 단말장치 및 그 구동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스마트카드의 현재상태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동작모드를 정의하여 스마트카드의 동작상태를 제어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목적은, 설정시간 동안 자체 프로세싱 미 감지에 따른 슬립모드준비상태로의 전환 시, 슬립모드준비메시지를 스마트카드에 전송하여 슬립모드준비상태로의 전환을 지시하고, 자체 프로세싱 감지를 통한 동작모드 전환 시 모드전환메시지를 상기 스마트카드에 전송하여 슬립모드 또는 액티브모드로의 전환을 지시하는 단말장치 및 그 구동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스마트카드의 현재상태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동작모드를 정의하여 스마트카드의 동작상태를 제어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목적은, 설정시간 동안 자체 프로세싱 미 감지에 따른 슬립모드준비상태 전환 시, 슬립모드준비메시지를 상기 단말장치에 전송하고, 상기 단말장치의 자체 프로세싱 감지에 따라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수신되는 모드전환메시지를 기반으로 동작모드를 슬립모드 또는 액티브모드로 전환하는 스마트카드 및 그 구동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스마트카드의 현재상태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동작모드를 정의하여 스마트카드의 동작상태를 제어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목적은, 상기 단말장치의 자체 프로세싱 미 감지에 따른 슬립모드준비상태로의 전환 시,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슬립모드준비메시지에 따라 동작모드를 슬립모드준비상태로 전환하고, 상기 단말장치의 자체 프로세싱 감지에 따라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모드전환메시지가 수신될 경우, 상기 동작모드를 슬립모드 또는 액티브모드로 전환하는 스마트카드 및 그 구동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스마트카드의 현재상태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동작모드를 정의하여 스마트카드의 동작상태를 제어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면에 따라 스마트카드 기반 전원 관리 시스템이 제공되며: 이 시스템은, 스마트카드로부터 제1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되는 슬립모드준비메시지에 따라 모드전환메시지를 제2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스마트카드에 전송하여 슬립모드 또는 액티브모드로의 전환을 지시하는 단말장치 및 설정시간 동안 자체 프로세싱 미 감지에 따른 슬립모드준비상태 전환 시 상기 슬립모드준비메시지를 상기 제1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단말장치에 전송하며, 상기 제2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수신되는 모드전환메시지에 따라 동작모드를 슬립모드 또는 액티브모드로 전환하는 스마트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라 스마트카드 기반 전원 관리 시스템이 제공되며: 이 시스템은, 설정시간 동안 자체 프로세싱 미 감지에 따른 슬립모드준비상태로의 전환 시, 제1인터페이스를 통해 슬립모드준비메시지를 스마트카드에 전송하여 슬립모드준비상태로의 전환을 지시하며, 자체 프로세싱 감지를 통한 동작모드 전환 시 제2인터페이스를 통해 모드전환메시지를 상기 스마트카드에 전송하여 슬립모드 또는 액티브모드로의 전환을 지시하는 단말장치; 및 상기 제1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슬립모드준비메시지에 따라 동작모드를 슬립모드준비상태로 전환하며, 상기 제2인터페이스를 통해 모드전환메시지가 수신될 경우, 상기 동작모드를 슬립모드 또는 액티브모드로 전환하는 스마트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라 단말장치가 제공되며: 이 장치는, 스마트카드와의 연동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형성하는 카드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스마트카드의 설정시간 동안 자체 프로세싱 미 감지에 따른 슬립모드준비상태 전환 시, 상기 스마트카드로부터 수신되는 슬립모드준비메시지에 따라 상기 스마트카드의 슬립모드 전환 시도를 감지하여 모드전환메시지를 상기 스마트카드에 전송하여 슬립모드 또는 액티브모드로의 전환을 지시하는 전원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카드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스마트카드와의 연동을 위한 제1인터페이스 및 제2인터페이스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원관리부는, USB(Universal Serial Bus) 기반인 상기 제1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슬립모드준비메시지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원관리부는, ISO(International Standard Organization) 7816 프로토콜 기반인 상기 제2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모드전환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라 단말장치가 제공되며: 이 장치는, 스마트카드와의 연동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형성하는 카드인터페이스부; 및 설정시간 동안 자체 프로세싱 미 감지에 따른 슬립모드준비상태로의 전환 시, 슬립모드준비메시지를 스마트카드에 전송하여 슬립모드준비상태로의 전환을 지시하는 전원관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원관리부는, 자체 프로세싱 감지를 통한 동작모드 전환 시 모드전환메시지를 상기 스마트카드에 전송하여 슬립모드 또는 액티브모드로의 전환을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카드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스마트카드와의 연동을 위한 제1인터페이스 및 제2인터페이스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원관리부는, USB(Universal Serial Bus) 기반인 상기 제1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슬립모드전환준비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원관리부는, ISO(International Standard Organization) 7816 프로토콜 기반인 상기 제2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모드전환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라 스마트카드가 제공되며: 이 카드는, 단말장치와의 연동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형성하는 단말인터페이스부; 설정시간 동안 자체 프로세싱 미 감지에 따른 슬립모드준비상태 전환 시, 슬립모드준비메시지를 상기 단말장치에 전송하는 전원관리부; 및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수신되는 모드전환메시지를 기반으로 동작모드를 슬립모드 또는 액티브모드로 전환하는 모드전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말인터페이스부는, 상기 단말장치와의 연동을 위한 제1인터페이스 및 제2인터페이스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원관리부는 USB(Universal Serial Bus) 기반인 상기 제1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슬립모드준비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모드전환부는, ISO(International Standard Organization) 7816 프로토콜 기반인 상기 제2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모드전환메시지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라 스마트카드가 제공되며: 이 카드는, 단말장치와의 연동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형성하는 단말인터페이스부; 상기 단말장치의 자체 프로세싱 미 감지에 따른 슬립모드준비상태로의 전환 시,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슬립모드준비메시지에 따라 동작모드를 슬립모드준비상태로 전환하는 전원관리부; 및 상기 단말장치의 자체 프로세싱 감지에 따라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모드전환메시지가 수신될 경우, 상기 동작모드를 슬립모드 또는 액티브모드로 전환하는 모드전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말인터페이스부는, 상기 단말장치와의 연동을 위한 제1인터페이스 및 제2인터페이스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원관리부는, USB(Universal Serial Bus) 기반인 상기 제1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슬립모드준비메시지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모드전환부는, ISO(International Standard Organization) 7816 프로토콜 기반인 상기 제2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모드전환메시지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라 스마트카드 기반 전원 관리 방법이 제공되며: 이 방법은, 스마트카드가 설정시간 동안 자체 프로세싱 미 감지에 따른 슬립모드준비상태 전환 시, 슬립모드준비메시지를 제1인터페이스를 통해 단말장치에 전송하는 준비메시지전송단계; 상기 단말장치가 상기 슬립모드준비메시지 수신에 따라 스마트카드의 슬립모드 전환 시도를 감지하고, 모드전환메시지를 제2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스마트카드에 전송하여 슬립모드 또는 액티브모드로의 전환을 지시하는 동작모드지시단계; 및 상기 스마트카드가 상기 모드전환메시지에 따라 동작모드를 슬립모드 또는 액티브모드로 전환하는 동작모드전환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라 스마트카드 기반 전원 관리 방법이 제공되며: 이 방법은, 단말장치가 설정시간 동안 자체 프로세싱 미 감지에 따른 슬립모드준비상태로의 전환 시, 제1인터페이스를 통해 슬립모드준비메시지를 스마트카드에 전송하여 슬립모드준비상태로의 전환을 지시하는 준비메시지전송단계; 상기 스마트카드가 상기 슬립모드준비메시지에 따라 동작모드를 슬립모드준비상태로 전환하는 준비상태진입단계; 상기 단말장치가 자체 프로세싱 감지를 통한 동작모드 전환 시 제2인터페이스를 통해 모드전환메시지를 상기 스마트카드에 전송하는 모드전환을 지시하는 동작모드지시단계; 및 상기 스마트카드가 상기 모드전환메시지에 따라 상기 동작모드를 슬립모드 또는 액티브모드로 전환하는 동작모드전환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라 스마트카드 기반 전원 관리 방법이 제공되며: 이 방법은, 스마트카드와의 연동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형성하는 인터페이스형성단계; 상기 스마트카드의 설정시간 동안 자체 프로세싱 미 감지에 따른 슬립모드준비상태 전환 시, 상기 스마트카드로부터 수신되는 슬립모드준비메시지에 따라 상기 스마트카드의 슬립모드 전환 시도를 감지하는 모드전환감지단계; 및 모드전환메시지를 상기 스마트카드에 전송하여 슬립모드 또는 액티브모드로의 전환을 지시하는 전원관리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인터페이스형성단계는, 상기 스마트카드와의 연동을 위한 제1인터페이스 및 제2인터페이스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모드전환감지단계는, USB(Universal Serial Bus) 기반인 상기 제1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슬립모드준비메시지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원관리단계는, 상기 ISO(International Standard Organization) 7816 프로토콜 기반인 상기 제2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모드전환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라 스마트카드 기반 전원 관리 방법이 제공되며: 이 방법은, 스마트카드와의 연동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형성하는 인터페이스형성단계; 설정시간 동안 자체 프로세싱 미 감지에 따른 슬립모드준비상태로의 전환 시, 슬립모드준비메시지를 스마트카드에 전송하여 슬립모드준비상태로의 전환을 지시하는 준비메시지전송단계; 및 자체 프로세싱 감지를 통한 동작모드 전환 시 모드전환메시지를 상기 스마트카드에 전송하여 슬립모드 또는 액티브모드로의 전환을 지시하는 전원관리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인터페이스형성단계는, 상기 스마트카드와의 연동을 위한 제1인터페이스 및 제2인터페이스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준비메시지전송단계는, USB(Universal Serial Bus) 기반인 상기 제1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슬립모드전환준비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원관리단계는, ISO(International Standard Organization) 7816 프로토콜 기반인 상기 제2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모드전환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라 스마트카드 기반 전원 관리 방법이 제공되며: 이 방법은, 단말장치와의 연동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형성하는 인터페이스형성단계; 설정시간 동안 자체 프로세싱 미 감지에 따른 슬립모드준비상태 전환 시, 슬립모드준비메시지를 상기 단말장치에 전송하는 준비메시지전송단계; 및 상기 슬립모드준비메시지 전송에 따라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수신되는 모드전환메시지를 기반으로 동작모드를 슬립모드 또는 액티브모드로 전환하는 모드전환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인터페이스형성단계는, 상기 단말장치와의 연동을 위한 제1인터페이스 및 제2인터페이스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준비메시지전송단계는, USB(Universal Serial Bus) 기반인 상기 제1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슬립모드준비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모드전환단계는, ISO(International Standard Organization) 7816 프로토콜 기반인 상기 제2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모드전환메시지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라 스마트카드 기반 전원 관리 방법이 제공되며: 이 방법은, 단말장치와의 연동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형성하는 인터페이스형성단계; 상기 단말장치의 자체 프로세싱 미 감지에 따른 슬립모드 전환 시,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슬립모드준비메시지에 따라 동작모드를 슬립모드준비상태로 전환하는 준비모드전환단계; 및 상기 단말장치의 자체 프로세싱 감지에 따라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모드전환메시지가 수신될 경우, 상기 동작모드를 슬립모드 또는 액티브모드로 전환하는 모드전환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인터페이스형성단계는, 상기 단말장치와의 연동을 위한 제1인터페이스 및 제2인터페이스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준비모드전환단계는, USB(Universal Serial Bus) 기반인 상기 제1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슬립모드준비메시지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모드전환단계는, ISO(International Standard Organization) 7816 프로토콜 기반인 상기 제2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모드전환메시지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카드 기반 전원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의하면, 어플리케이션 코어가 패키징된 스마트카드와 연동된 단말장치에서 스마트카드의 현재상태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동작모드를 정의하여 스마트카드의 동작모드를 시킴으로써 스마트카드의 자체 전류소모량을 최소화시켜 단말기 배터리 사용 시간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또한 스마트카드의 전류 소비에 따른 발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카드 기반 전원 관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카드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카드 기반 전원 관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카드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7 내지 도 9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카드 기반 전원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순서도.
제 10 내지 제 12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카드 기반 전원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순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카드 기반 전원 관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를 도시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시스템은, 상기 스마트카드(200)의 동작상태에 따라 동작모드 전환을 지시하는 단말장치(100), 및 상기 단말장치(100)의 제어에 따라 어플리케이션 코어의 동작모드를 전환하는 스마트카드(20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 여기서, 스마트카드(200)는 특정 서비스 제공을 위한 상기 어플리케이션 코어(Application Core) 이외에 통신 기능을 담당하는 유심 코어(USIM Core)가 패키징된 구성을 갖는다.
상기 단말장치(100)는 스마트카드(200)와의 연동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형성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단말장치(100)는 ISO(International Standard Organization) 7816 프로토콜에 따라 'C1', 'C2', 'C3', 'C4', 'C5', 'C6', 'C7', 및 'C8'을 포함하는 8개의 접속 단자를 이용하여 스마트카드(200)와의 인터페이스를 형성하며, 상기 'C1'단자를 통해 스마트카드(200)에 예컨대 각각 5V, 3V, 또는 1.8V의 운용 전원을 제공함과 아울러 'C4', 및 'C8' 단자를 통해 USB(Universal Serial Bus) 통신을 수행한다. 즉, 단말장치(100)는 USB 기반인 제1인터페이스를 통해 스마트카드(200)에 패키징된 어플리케이션 코어에 대한 구동환경을 제공하는 운용시스템(OS)과의 통신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단말장치(100)는 ISO 7816 프로토콜 기반인 제2인터페이스를 통해 스마트카드(200)에 패키징된 유심 코어(USIM Core)와의 통신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단말장치(100)는 스마트카드로부터 제1인터페이스를 통해 슬립모드준비메시지를 수신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단말장치(100)는 스마트카드(200)의 설정시간 동안 자체 프로세싱 미 감지에 따른 슬립모드준비상태 전환 시, USB 기반 제1인터페이스를 통해 스마트카드(200)로부터 수신되는 슬립모드준비메시지에 따라 상기 스마트카드의 슬립모드 전환 시도를 감지한다.
아울러, 단말장치(100)는 모드전환메시지를 제2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스마트카드에 전송하여 동작모드 전환을 지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단말장치(100)는 APDU(Application Protocol Data Unit)를 이용한 모드전환메시지를 ISO 7816 프로토콜 기반인 상기 제2인터페이스를 통해 스마트카드(200)에 전송함으로써 슬립모드준비상태인 동작모드를 슬립모드 또는 액티브모드로 전환하도록 지시한다.
상기 스마트카드(200)는 단말장치(100)와의 연동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형성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스마트카드(200)는 ISO 7816 프로토콜에 따라 'C1', 'C2', 'C3', 'C4', 'C5', 'C6', 'C7', 및 'C8'을 포함하는 8개의 접속 단자를 이용하여 단말장치(100)와의 인터페이스를 형성하며, 상기 'C1'단자를 통해 단말장치(100)로부터 예컨대 각각 5V, 3V, 또는 1.8V의 운용 전원을 제공받으며, 아울러 'C4', 및 'C8' 단자를 통해 USB 통신을 수행한다. 즉, 스마트카드(200)는 USB 기반인 제1인터페이스를 통해 스마트카드(200)에 패키징된 어플리케이션 코어에 대한 구동환경을 제공하는 운용시스템(OS) 기반 통신을 수행한다. 또한, 스마트카드(200)는 ISO 7816 프로토콜 기반인 제2인터페이스를 통해 유심 코어(USIM Core) 기반 통신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스마트카드(200)는 슬립모드준비상태 전환 시, 슬립모드준비메시지를 단말장치(100)에 전송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스마트카드(200)는 설정시간 동안 자체 프로세싱이 미 감지될 경우, 슬립모드준비메시지를 USB 기반 제1인터페이스를 통해 단말장치(100)에 전송하고, 어플리케이션 코어의 동작모드를 슬립모드준비상태로 전환한다.
아울러, 스마트카드(200)는 단말장치(100)로부터 수신되는 모드전환메시지에 따라 동작모드를 전환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스마트카드(200)는 단말장치(100)로부터 ISO 7816 프로토콜 기반인 상기 제2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되는 APDU(Application Protocol Data Unit)를 이용한 모드전환메시지를 기반으로 슬립모드준비상태인 어플리케이션 코어의 동작모드를 슬립모드 또는 액티브모드로 전환한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100)의 구체적인 구성을 설명하도록 한다.
즉, 단말장치(100)는 스마트카드(200)와 인터페이스를 형성하는 카드인터페이스부(110) 및 스마트카드(200)의 동작상태에 따라 동작모드 전환을 지시하는 전원관리부(12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
상기 카드인터페이스부(110)는 스마트카드(200)와의 연동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형성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카드인터페이스부(110)는 ISO(International Standard Organization) 7816 프로토콜에 따라 'C1', 'C2', 'C3', 'C4', 'C5', 'C6', 'C7', 및 'C8'을 포함하는 8개의 접속 단자를 이용하여 스마트카드(200)와의 인터페이스를 형성하며, 상기 'C1'단자를 통해 스마트카드(200)에 예컨대 각각 5V, 3V, 또는 1.8V의 운용 전원을 제공함과 아울러 'C4', 및 'C8' 단자를 통해 USB(Universal Serial Bus) 통신을 수행한다. 즉, 카드인터페이스부(110)는 USB 기반인 제1인터페이스를 통해 스마트카드(200)에 패키징된 어플리케이션 코어에 대한 구동환경을 제공하는 운용시스템(OS)과의 통신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카드인터페이스부(110)는 ISO 7816 프로토콜 기반인 제2인터페이스를 통해 스마트카드(200)에 패키징된 유심 코어(USIM Core)와의 통신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전원관리부(120)는 스마트카드로부터 제1인터페이스를 통해 슬립모드준비메시지를 수신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원관리부(120)는 스마트카드(200)의 설정시간 동안 자체 프로세싱 미 감지에 따른 슬립모드준비상태 전환 시, USB 기반 제1인터페이스를 통해 스마트카드(200)로부터 수신되는 슬립모드준비메시지에 따라 상기 스마트카드(200)의 슬립모드 전환 시도를 감지한다.
또한, 전원관리부(120)는 모드전환메시지를 제2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스마트카드에 전송하여 동작모드 전환을 지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원관리부(120)는 APDU(Application Protocol Data Unit)를 이용한 모드전환메시지를 ISO 7816 프로토콜 기반인 상기 제2인터페이스를 통해 스마트카드(200)에 전송함으로써 슬립모드준비상태인 동작모드를 슬립모드 또는 액티브모드로 전환하도록 지시한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카드(200)의 구체적인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즉, 스마트카드(200)는 단말장치(100)와 인터페이스를 형성하는 단말인터페이부(210), 어플리케이션 코어를 기반으로 동작모드를 전환하는 전원관리부(220), 및 유심 코어를 기반으로 동작모드를 전환하는 모드전환부(23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
상기 단말인터페이부(210)는 단말장치(100)와의 연동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형성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단말인터페이부(210)는 ISO(International Standard Organization) 7816 프로토콜에 따라 'C1', 'C2', 'C3', 'C4', 'C5', 'C6', 'C7', 및 'C8'을 포함하는 8개의 접속 단자를 이용하여 단말장치(100)와의 인터페이스를 형성하며, 상기 'C1'단자를 통해 단말장치(100)로부터 예컨대 각각 5V, 3V, 또는 1.8V의 운용 전원을 제공받으며, 아울러 'C4', 및 'C8' 단자를 통해 USB(Universal Serial Bus) 통신을 수행한다. 즉, 단말인터페이부(210)는 USB 기반인 제1인터페이스를 통해 스마트카드(200)에 패키징된 어플리케이션 코어에 대한 구동환경을 제공하는 운용시스템(OS) 기반 통신을 수행한다. 또한, 단말인터페이부(210)는 ISO 7816 프로토콜 기반인 제2인터페이스를 통해 유심 코어(USIM Core) 기반 통신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전원관리부(220)는 슬립모드준비상태 전환 시, 슬립모드준비메시지를 단말장치(100)에 전송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원관리부(220)는 설정시간 동안 자체 프로세싱이 미 감지될 경우, 슬립모드준비메시지를 USB 기반 제1인터페이스를 통해 단말장치(100)에 전송하고, 어플리케이션 코어의 동작모드를 슬립모드준비상태로 전환한다.
상기 모드전환부(230)는 단말장치(100)로부터 수신되는 모드전환메시지에 따라 동작모드를 전환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모드전환부(230)는 상기 단말장치(100)로부터 ISO 7816 프로토콜 기반인 상기 제2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되는 APDU(Application Protocol Data Unit)를 이용한 모드전환메시지를 기반으로 슬립모드준비상태인 어플리케이션 코어의 동작모드를 슬립모드 또는 액티브모드로 전환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카드 기반 전원 관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를 도시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시스템은, 현재 프로세싱 상태에 따라 동작모드 전환을 지시하는 단말장치(100), 및 상기 단말장치(100)의 제어에 따라 어플리케이션 코어의 동작모드를 전환하는 스마트카드(20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 여기서, 스마트카드(200)는 특정 서비스 제공을 위한 상기 어플리케이션 코어(Application Core) 이외에 통신 기능을 담당하는 유심 코어(USIM Core)가 패키징된 구성을 갖는다.
상기 단말장치(100)는 스마트카드(200)와의 연동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형성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단말장치(100)는 ISO(International Standard Organization) 7816 프로토콜에 따라 'C1', 'C2', 'C3', 'C4', 'C5', 'C6', 'C7', 및 'C8'을 포함하는 8개의 접속 단자를 이용하여 스마트카드(200)와의 인터페이스를 형성하며, 상기 'C1'단자를 통해 스마트카드(200)에 예컨대 각각 5V, 3V, 또는 1.8V의 운용 전원을 제공함과 아울러 'C4', 및 'C8' 단자를 통해 USB(Universal Serial Bus) 통신을 수행한다. 즉, 단말장치(100)는 USB 기반인 제1인터페이스를 통해 스마트카드(200)에 패키징된 어플리케이션 코어에 대한 구동환경을 제공하는 운용시스템(OS)과의 통신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단말장치(100)는 ISO 7816 프로토콜 기반인 제2인터페이스를 통해 스마트카드(200)에 패키징된 유심 코어(USIM Core)와의 통신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단말장치(100)는 슬립모드준비메시지를 스마트카드(200)에 전송하여 슬립모드준비상태로의 전환을 지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단말장치(100)는 설정시간 동안 자체 프로세싱이 미 감지될 경우, 슬립모드준비메시지를 USB 기반 제1인터페이스를 통해 스마트카드(200)에 전송하고, 동작모드를 슬립모드준비상태로 전환한다.
아울러, 단말장치(100)는 동작모드 전환 시 모드전환메시지를 스마트카드(200)에 전송하여 동작모드 전환을 지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단말장치(100)는 자체 프로세싱이 지속적으로 미 감지되어 슬립모드로 전환되거나, 프로세싱이 감지되어 액티브모드로 전환될 경우, APDU(Application Protocol Data Unit)를 이용한 모드전환메시지를 ISO(International Standard Organization) 7816 프로토콜 기반인 상기 제2인터페이스를 통해 스마트카드(200)에 전송함으로써 슬립모드준비상태인 스마트카드(200)의 동작모드를 슬립모드 또는 액티브모드로 전환하도록 지시한다.
상기 스마트카드(200)는 단말장치(100)와의 연동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형성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스마트카드(200)는 ISO 7816 프로토콜에 따라 'C1', 'C2', 'C3', 'C4', 'C5', 'C6', 'C7', 및 'C8'을 포함하는 8개의 접속 단자를 이용하여 단말장치(100)와의 인터페이스를 형성하며, 상기 'C1'단자를 통해 단말장치(100)로부터 예컨대 각각 5V, 3V, 또는 1.8V의 운용 전원을 제공받으며, 아울러 'C4', 및 'C8' 단자를 통해 USB 통신을 수행한다. 즉, 스마트카드(200)는 USB 기반인 제1인터페이스를 통해 스마트카드(200)에 패키징된 어플리케이션 코어에 대한 구동환경을 제공하는 운용시스템(OS) 기반 통신을 수행한다. 또한, 스마트카드(200)는 ISO 7816 프로토콜 기반인 제2인터페이스를 통해 유심 코어(USIM Core) 기반 통신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스마트카드(200)는 단말장치(100)로부터 수신되는 슬립모드준비메시지에 따라 동작모드를 슬립모드준비상태로 전환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스마트카드(200)는 단말장치(100)의 자체 프로세싱 미 감지에 따른 슬립모드준비상태로의 전환 시, 상기 단말장치(100)로부터 USB 기반 제1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되는 슬립모드준비메시지에 따라 어플리케이션 코어의 동작모드를 슬립모드준비상태로 전환한다.
아울러, 스마트카드(200)는 단말장치(100)로부터 수신되는 모드전환메시지에 따라 동작모드를 전환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스마트카드(200)는 상기 단말장치(100)의 자체 프로세싱 감지에 따라, ISO 7816 프로토콜 기반인 상기 제2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되는 APDU(Application Protocol Data Unit)를 이용한 모드전환메시지를 기반으로 슬립모드준비상태인 어플리케이션 코어의 동작모드를 슬립모드 또는 액티브모드로 전환한다.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100)의 구체적인 구성을 설명하도록 한다.
즉, 단말장치(100)는 스마트카드(200)와 인터페이스를 형성하는 카드인터페이스부(110) 및 스마트카드(200) 동작모드 전환을 지시하는 전원관리부(12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
상기 카드인터페이스부(110)는 스마트카드(200)와의 연동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형성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카드인터페이스부(110)는 ISO(International Standard Organization) 7816 프로토콜에 따라 'C1', 'C2', 'C3', 'C4', 'C5', 'C6', 'C7', 및 'C8'을 포함하는 8개의 접속 단자를 이용하여 스마트카드(200)와의 인터페이스를 형성하며, 상기 'C1'단자를 통해 스마트카드(200)에 예컨대 각각 5V, 3V, 또는 1.8V의 운용 전원을 제공함과 아울러 'C4', 및 'C8' 단자를 통해 USB(Universal Serial Bus) 통신을 수행한다. 즉, 카드인터페이스부(110)는 USB 기반인 제1인터페이스를 통해 스마트카드(200)에 패키징된 어플리케이션 코어에 대한 구동환경을 제공하는 운용시스템(OS)과의 통신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카드인터페이스부(110)는 ISO 7816 프로토콜 기반인 제2인터페이스를 통해 스마트카드(200)에 패키징된 유심 코어(USIM Core)와의 통신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전원관리부(120)는 슬립모드준비메시지를 스마트카드(200)에 전송하여 슬립모드준비상태로의 전환을 지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원관리부(120)는 설정시간 동안 자체 프로세싱이 미 감지될 경우, 슬립모드준비메시지를 USB 기반 제1인터페이스를 통해 스마트카드(200)에 전송하고, 동작모드를 슬립모드준비상태로 전환한다.
아울러, 전원관리부(120)는 동작모드 전환 시 모드전환메시지를 스마트카드(200)에 전송하여 동작모드 전환을 지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원관리부(120)는 자체 프로세싱이 지속적으로 미 감지되어 슬립모드로 전환되거나, 프로세싱이 감지되어 액티브모드로 전환될 경우, APDU(Application Protocol Data Unit)를 이용한 모드전환메시지를 ISO(International Standard Organization) 7816 프로토콜 기반인 상기 제2인터페이스를 통해 스마트카드(200)에 전송함으로써 슬립모드준비상태인 스마트카드(200)의 동작모드를 슬립모드 또는 액티브모드로 전환하도록 지시한다.
이하에서는,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카드(200)의 구체적인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즉, 스마트카드(200)는 단말장치(100)와 인터페이스를 형성하는 단말인터페이부(210), 어플리케이션 코어를 기반으로 동작모드를 전환하는 전원관리부(220), 및 유심 코어를 기반으로 동작모드를 전환하는 모드전환부(23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
상기 단말인터페이부(210)는 단말장치(100)와의 연동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형성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단말인터페이부(210)는 ISO(International Standard Organization) 7816 프로토콜에 따라 'C1', 'C2', 'C3', 'C4', 'C5', 'C6', 'C7', 및 'C8'을 포함하는 8개의 접속 단자를 이용하여 단말장치(100)와의 인터페이스를 형성하며, 상기 'C1'단자를 통해 단말장치(100)로부터 예컨대 각각 5V, 3V, 또는 1.8V의 운용 전원을 제공받으며, 아울러 'C4', 및 'C8' 단자를 통해 USB(Universal Serial Bus) 통신을 수행한다. 즉, 단말인터페이부(210)는 USB 기반인 제1인터페이스를 통해 스마트카드(200)에 패키징된 어플리케이션 코어에 대한 구동환경을 제공하는 운용시스템(OS) 기반 통신을 수행한다. 또한, 단말인터페이부(210)는 ISO 7816 프로토콜 기반인 제2인터페이스를 통해 유심 코어(USIM Core) 기반 통신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전원관리부(220)는 단말장치(100)로부터 수신되는 슬립모드준비메시지에 따라 동작모드를 슬립모드준비상태로 전환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원관리부(220)는 단말장치(100)의 자체 프로세싱 미 감지에 따른 슬립모드준비상태로의 전환 시, 상기 단말장치(100)로부터 USB 기반 제1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되는 슬립모드준비메시지에 따라 어플리케이션 코어의 동작모드를 슬립모드준비상태로 전환한다.
상기 모드전환부(230)는 단말장치(100)로부터 수신되는 모드전환메시지에 따라 동작모드를 전환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모드전환부(230)는 상기 단말장치(100)의 자체 프로세싱 감지에 따라, ISO 7816 프로토콜 기반인 상기 제2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되는 APDU(Application Protocol Data Unit)를 이용한 모드전환메시지를 기반으로 슬립모드준비상태인 어플리케이션 코어의 동작모드를 슬립모드 또는 액티브모드로 전환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카드 기반 전원 관리 시스템에 의하면, 어플리케이션 코어가 패키징된 스마트카드와 연동된 단말장치에서 스마트카드의 현재상태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동작모드를 정의하여 스마트카드의 동작모드를 시킴으로써 스마트카드의 자체 전류소모량을 최소화시켜 단말기 배터리 사용 시간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또한 스마트카드의 전류 소비에 따른 발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7 내지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카드 기반 전원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전술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구성은 해당 참조번호를 언급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 7을 참조하여 스마트카드 기반 전원 관리 시스템의 구동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단말장치(100)가 스마트카드(200)와의 연동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형성한다(S110). 바람직하게는, 단말장치(100)는 ISO(International Standard Organization) 7816 프로토콜에 따라 'C1', 'C2', 'C3', 'C4', 'C5', 'C6', 'C7', 및 'C8'을 포함하는 8개의 접속 단자를 이용하여 스마트카드(200)와의 인터페이스를 형성하며, 상기 'C1'단자를 통해 스마트카드(200)에 예컨대 각각 5V, 3V, 또는 1.8V의 운용 전원을 제공함과 아울러 'C4', 및 'C8' 단자를 통해 USB(Universal Serial Bus) 통신을 수행한다. 즉, 단말장치(100)는 USB 기반인 제1인터페이스를 통해 스마트카드(200)에 패키징된 어플리케이션 코어에 대한 구동환경을 제공하는 운용시스템(OS)과의 통신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단말장치(100)는 ISO 7816 프로토콜 기반인 제2인터페이스를 통해 스마트카드(200)에 패키징된 유심 코어(USIM Core)와의 통신을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나서, 스마트카드(200)가 슬립모드준비상태 전환 시, 슬립모드준비메시지를 단말장치(100)에 전송한다(S120-S140). 바람직하게는, 스마트카드(200)는 설정시간 동안 자체 프로세싱이 미 감지될 경우, 슬립모드준비메시지를 USB 기반 제1인터페이스를 통해 단말장치(100)에 전송하고, 어플리케이션 코어의 동작모드를 슬립모드준비상태로 전환한다.
그런 다음, 단말장치(100)가 스마트카드(200)로부터 수신되는 슬립모드준비메시지를 기반으로 스마트카드(200)의 모드 전환을 감지한다(S150). 바람직하게는, 단말장치(100)는 스마트카드(200)의 설정시간 동안 자체 프로세싱 미 감지에 따른 슬립모드준비상태 전환 시, USB 기반 제1인터페이스를 통해 스마트카드(200)로부터 수신되는 슬립모드준비메시지에 따라 상기 스마트카드(200)의 슬립모드 전환 시도를 감지한다.
그리고 나서, 단말장치(100)가 모드전환메시지를 제2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스마트카드에 전송하여 동작모드 전환을 지시한다(S160). 바람직하게는, 단말장치(100)는 APDU(Application Protocol Data Unit)를 이용한 모드전환메시지를 ISO 7816 프로토콜 기반인 상기 제2인터페이스를 통해 스마트카드(200)에 전송함으로써 슬립모드준비상태인 동작모드를 슬립모드 또는 액티브모드로 전환하도록 지시한다.
이후, 스마트카드(200)가 단말장치(100)로부터 수신되는 모드전환메시지에 따라 동작모드를 전환한다(S170). 바람직하게는, 스마트카드(200)가 단말장치(100)로부터 ISO 7816 프로토콜 기반인 상기 제2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되는 APDU(Application Protocol Data Unit)를 이용한 모드전환메시지를 기반으로 슬립모드준비상태인 어플리케이션 코어의 동작모드를 슬립모드 또는 액티브모드로 전환한다.
이하에서는, 도 8을 참조하여 단말장치(100)의 구체적인 구동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스마트카드(200)와의 연동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형성한다(S210). 바람직하게는, 카드인터페이스부(110)가 ISO(International Standard Organization) 7816 프로토콜에 따라 'C1', 'C2', 'C3', 'C4', 'C5', 'C6', 'C7', 및 'C8'을 포함하는 8개의 접속 단자를 이용하여 스마트카드(200)와의 인터페이스를 형성하며, 상기 'C1'단자를 통해 스마트카드(200)에 예컨대 각각 5V, 3V, 또는 1.8V의 운용 전원을 제공함과 아울러 'C4', 및 'C8' 단자를 통해 USB(Universal Serial Bus) 통신을 수행한다. 즉, 카드인터페이스부(110)는 USB 기반인 제1인터페이스를 통해 스마트카드(200)에 패키징된 어플리케이션 코어에 대한 구동환경을 제공하는 운용시스템(OS)과의 통신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카드인터페이스부(110)는 ISO 7816 프로토콜 기반인 제2인터페이스를 통해 스마트카드(200)에 패키징된 유심 코어(USIM Core)와의 통신을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나서, 스마트카드(200)로부터 제1인터페이스를 통해 슬립모드준비메시지를 수신한다(S220-S240). 바람직하게는, 전원관리부(120)가 스마트카드(200)의 설정시간 동안 자체 프로세싱 미 감지에 따른 슬립모드준비상태 전환 시, USB 기반 제1인터페이스를 통해 스마트카드(200)로부터 수신되는 슬립모드준비메시지에 따라 상기 스마트카드(200)의 슬립모드 전환 시도를 감지한다.
이후, 모드전환메시지를 제2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스마트카드(200)에 전송하여 동작모드 전환을 지시한다(S250-S260). 보다 구체적으로, 전원관리부(120)는 APDU(Application Protocol Data Unit)를 이용한 모드전환메시지를 ISO 7816 프로토콜 기반인 상기 제2인터페이스를 통해 스마트카드(200)에 전송함으로써 슬립모드준비상태인 동작모드를 슬립모드 또는 액티브모드로 전환하도록 지시한다.
이하에서는, 도 9를 참조하여 스마트카드(200)의 구체적인 구동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단말장치(100)와의 연동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형성한다(S310). 바람직하게는, 단말인터페이부(210)가 ISO(International Standard Organization) 7816 프로토콜에 따라 'C1', 'C2', 'C3', 'C4', 'C5', 'C6', 'C7', 및 'C8'을 포함하는 8개의 접속 단자를 이용하여 단말장치(100)와의 인터페이스를 형성하며, 상기 'C1'단자를 통해 단말장치(100)로부터 예컨대 각각 5V, 3V, 또는 1.8V의 운용 전원을 제공받으며, 아울러 'C4', 및 'C8' 단자를 통해 USB(Universal Serial Bus) 통신을 수행한다. 즉, 단말인터페이부(210)는 USB 기반인 제1인터페이스를 통해 스마트카드(200)에 패키징된 어플리케이션 코어에 대한 구동환경을 제공하는 운용시스템(OS) 기반 통신을 수행한다. 또한, 단말인터페이부(210)는 ISO 7816 프로토콜 기반인 제2인터페이스를 통해 유심 코어(USIM Core) 기반 통신을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나서, 슬립모드준비상태 전환 시, 슬립모드준비메시지를 단말장치(100)에 전송한다(S320-S350). 바람직하게는, 전원관리부(220)가 설정시간 동안 자체 프로세싱이 미 감지될 경우, 슬립모드준비메시지를 USB 기반 제1인터페이스를 통해 단말장치(100)에 전송하고, 어플리케이션 코어의 동작모드를 슬립모드준비상태로 전환한다.
이후, 단말장치(100)로부터 수신되는 모드전환메시지에 따라 동작모드를 전환한다(S360-S380). 바람직하게는, 모드전환부(230)가 상기 단말장치(100)로부터 ISO 7816 프로토콜 기반인 상기 제2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되는 APDU(Application Protocol Data Unit)를 이용한 모드전환메시지를 기반으로 슬립모드준비상태인 어플리케이션 코어의 동작모드를 슬립모드 또는 액티브모드로 전환한다.
이하에서는, 도 10 내지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카드 기반 전원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전술한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구성은 해당 참조번호를 언급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 10을 참조하여 스마트카드 기반 전원 관리 시스템의 구동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스마트카드(200)가 단말장치(100)와의 연동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형성한다(S410). 바람직하게는, 스마트카드(200)는 ISO 7816 프로토콜에 따라 'C1', 'C2', 'C3', 'C4', 'C5', 'C6', 'C7', 및 'C8'을 포함하는 8개의 접속 단자를 이용하여 단말장치(100)와의 인터페이스를 형성하며, 상기 'C1'단자를 통해 단말장치(100)로부터 예컨대 각각 5V, 3V, 또는 1.8V의 운용 전원을 제공받으며, 아울러 'C4', 및 'C8' 단자를 통해 USB 통신을 수행한다. 즉, 스마트카드(200)는 USB 기반인 제1인터페이스를 통해 스마트카드(200)에 패키징된 어플리케이션 코어에 대한 구동환경을 제공하는 운용시스템(OS) 기반 통신을 수행한다. 또한, 스마트카드(200)는 ISO 7816 프로토콜 기반인 제2인터페이스를 통해 유심 코어(USIM Core) 기반 통신을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나서, 단말장치(100)가 슬립모드준비메시지를 스마트카드(200)에 전송하여 슬립모드준비상태로의 전환을 지시한다(S420-S440). 바람직하게는, 단말장치(100)는 설정시간 동안 자체 프로세싱이 미 감지될 경우, 슬립모드준비메시지를 USB 기반 제1인터페이스를 통해 스마트카드(200)에 전송하고, 동작모드를 슬립모드준비상태로 전환한다.
그런 다음, 스마트카드(200)가 단말장치(100)로부터 수신되는 슬립모드준비메시지에 따라 동작모드를 슬립모드준비상태로 전환한다(S450). 바람직하게는, 스마트카드(200)는 단말장치(100)의 자체 프로세싱 미 감지에 따른 슬립모드준비상태로의 전환 시, 상기 단말장치(100)로부터 USB 기반 제1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되는 슬립모드준비메시지에 따라 어플리케이션 코어의 동작모드를 슬립모드준비상태로 전환한다.
다음으로, 단말장치(100)가 동작모드 전환 시 모드전환메시지를 스마트카드(200)에 전송하여 동작모드 전환을 지시한다(S460-S480). 바람직하게는, 단말장치(100)는 자체 프로세싱이 지속적으로 미 감지되어 슬립모드로 전환되거나, 프로세싱이 감지되어 액티브모드로 전환될 경우, APDU(Application Protocol Data Unit)를 이용한 모드전환메시지를 ISO(International Standard Organization) 7816 프로토콜 기반인 상기 제2인터페이스를 통해 스마트카드(200)에 전송함으로써 슬립모드준비상태인 스마트카드(200)의 동작모드를 슬립모드 또는 액티브모드로 전환하도록 지시한다.
이후, 스마트카드(200)가 단말장치(100)로부터 수신되는 모드전환메시지에 따라 동작모드를 전환한다(S490). 바람직하게는, 스마트카드(200)는 상기 단말장치(100)의 자체 프로세싱 감지에 따라, ISO 7816 프로토콜 기반인 상기 제2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되는 APDU(Application Protocol Data Unit)를 이용한 모드전환메시지를 기반으로 슬립모드준비상태인 어플리케이션 코어의 동작모드를 슬립모드 또는 액티브모드로 전환한다.
이하에서는, 도 11을 참조하여 단말장치(100)의 구체적인 구동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스마트카드(200)와의 연동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형성한다(S510). 바람직하게는, 카드인터페이스부(110)가 ISO(International Standard Organization) 7816 프로토콜에 따라 'C1', 'C2', 'C3', 'C4', 'C5', 'C6', 'C7', 및 'C8'을 포함하는 8개의 접속 단자를 이용하여 스마트카드(200)와의 인터페이스를 형성하며, 상기 'C1'단자를 통해 스마트카드(200)에 예컨대 각각 5V, 3V, 또는 1.8V의 운용 전원을 제공함과 아울러 'C4', 및 'C8' 단자를 통해 USB(Universal Serial Bus) 통신을 수행한다. 즉, 카드인터페이스부(110)는 USB 기반인 제1인터페이스를 통해 스마트카드(200)에 패키징된 어플리케이션 코어에 대한 구동환경을 제공하는 운용시스템(OS)과의 통신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카드인터페이스부(110)는 ISO 7816 프로토콜 기반인 제2인터페이스를 통해 스마트카드(200)에 패키징된 유심 코어(USIM Core)와의 통신을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나서, 슬립모드준비메시지를 스마트카드(200)에 전송하여 슬립모드준비상태로의 전환을 지시한다(S520-S550). 바람직하게는, 전원관리부(120)가 설정시간 동안 자체 프로세싱이 미 감지될 경우, 슬립모드준비메시지를 USB 기반 제1인터페이스를 통해 스마트카드(200)에 전송하고, 동작모드를 슬립모드준비상태로 전환한다.
이후, 동작모드 전환 시 모드전환메시지를 스마트카드(200)에 전송하여 동작모드 전환을 지시한다(S560-S590). 바람직하게는, 전원관리부(120)가 자체 프로세싱이 지속적으로 미 감지되어 슬립모드로 전환되거나, 프로세싱이 감지되어 액티브모드로 전환될 경우, APDU(Application Protocol Data Unit)를 이용한 모드전환메시지를 ISO(International Standard Organization) 7816 프로토콜 기반인 상기 제2인터페이스를 통해 스마트카드(200)에 전송함으로써 슬립모드준비상태인 스마트카드(200)의 동작모드를 슬립모드 또는 액티브모드로 전환하도록 지시한다.
이하에서는, 도 12를 참조하여 스마트카드(200)의 구체적인 구동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단말장치(100)와의 연동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형성한다(S610). 바람직하게는, 단말인터페이부(210)가 ISO(International Standard Organization) 7816 프로토콜에 따라 'C1', 'C2', 'C3', 'C4', 'C5', 'C6', 'C7', 및 'C8'을 포함하는 8개의 접속 단자를 이용하여 단말장치(100)와의 인터페이스를 형성하며, 상기 'C1'단자를 통해 단말장치(100)로부터 예컨대 각각 5V, 3V, 또는 1.8V의 운용 전원을 제공받으며, 아울러 'C4', 및 'C8' 단자를 통해 USB(Universal Serial Bus) 통신을 수행한다. 즉, 단말인터페이부(210)는 USB 기반인 제1인터페이스를 통해 스마트카드(200)에 패키징된 어플리케이션 코어에 대한 구동환경을 제공하는 운용시스템(OS) 기반 통신을 수행한다. 또한, 단말인터페이부(210)는 ISO 7816 프로토콜 기반인 제2인터페이스를 통해 유심 코어(USIM Core) 기반 통신을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나서, 단말장치(100)로부터 수신되는 슬립모드준비메시지에 따라 동작모드를 슬립모드준비상태로 전환한다(S620-S640). 바람직하게는, 전원관리부(220)가 단말장치(100)의 자체 프로세싱 미 감지에 따른 슬립모드준비상태로의 전환 시, 상기 단말장치(100)로부터 USB 기반 제1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되는 슬립모드준비메시지에 따라 어플리케이션 코어의 동작모드를 슬립모드준비상태로 전환한다.
이후, 단말장치(100)로부터 수신되는 모드전환메시지에 따라 동작모드를 전환한다(S650-S670). 바람직하게는, 모드전환부(230)가 상기 단말장치(100)의 자체 프로세싱 감지에 따라, ISO 7816 프로토콜 기반인 상기 제2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되는 APDU(Application Protocol Data Unit)를 이용한 모드전환메시지를 기반으로 슬립모드준비상태인 어플리케이션 코어의 동작모드를 슬립모드 또는 액티브모드로 전환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카드 기반 전원 관리 방법에 의하면, 어플리케이션 코어가 패키징된 스마트카드와 연동된 단말장치에서 스마트카드의 현재상태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동작모드를 정의하여 스마트카드의 동작모드를 시킴으로써 스마트카드의 자체 전류소모량을 최소화시켜 단말기 배터리 사용 시간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또한 스마트카드의 전류 소비에 따른 발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한편,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로 직접 구현되거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되거나,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ROM 메모리, EPROM 메모리, EEPROM 메모리, 레지스터들, 하드 디스크, 이동식 디스크, CD-ROM, 또는 기술적으로 공지된 임의의 다른 형태의 저장 매체에 상주할 수 있다. 예시적인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와 연결되며, 그 결과 프로세서는 저장 매체로부터 정보를 판독하고 저장 매체로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로 통합될 수 있다.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ASIC 내에 포함될 수 있다. ASIC은 단말기 내에 포함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단말기 내에 개별적인 컴포넌트들로서 포함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또는 수정이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미친다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카드 기반 전원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따르면, 스마트카드의 현재상태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동작모드를 결정한다는 점에서 기존 기술의 한계를 뛰어 넘음에 따라 관련 기술에 대한 이용만이 아닌 적용되는 장치의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다.
100: 단말기
110: 카드인터페이스부 120: 전원관리부
200: 스마트카드
210: 단말인터페이스부 220: 전원관리부;
230: 모드전환부

Claims (37)

  1. 스마트카드로부터 제1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되는 슬립모드준비메시지에 따라 모드전환메시지를 제2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스마트카드에 전송하여 슬립모드 또는 액티브모드로의 전환을 지시하는 단말장치; 및
    설정시간 동안 자체 프로세싱 미 감지에 따른 슬립모드준비상태 전환 시 상기 슬립모드준비메시지를 상기 제1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단말장치에 전송하며, 상기 제2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수신되는 모드전환메시지에 따라 동작모드를 슬립모드 또는 액티브모드로 전환하는 스마트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카드 기반 전원 관리 시스템.
  2. 설정시간 동안 자체 프로세싱 미 감지에 따른 슬립모드준비상태로의 전환 시, 제1인터페이스를 통해 슬립모드준비메시지를 스마트카드에 전송하여 슬립모드준비상태로의 전환을 지시하며, 자체 프로세싱 감지를 통한 동작모드 전환 시 제2인터페이스를 통해 모드전환메시지를 상기 스마트카드에 전송하여 슬립모드 또는 액티브모드로의 전환을 지시하는 단말장치; 및
    상기 제1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슬립모드준비메시지에 따라 동작모드를 슬립모드준비상태로 전환하며, 상기 제2인터페이스를 통해 모드전환메시지가 수신될 경우, 상기 동작모드를 슬립모드 또는 액티브모드로 전환하는 스마트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카드 기반 전원 관리 시스템.
  3. 스마트카드와의 연동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형성하는 카드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스마트카드의 설정시간 동안 자체 프로세싱 미 감지에 따른 슬립모드준비상태 전환 시, 상기 스마트카드로부터 수신되는 슬립모드준비메시지에 따라 상기 스마트카드의 슬립모드 전환 시도를 감지하여 모드전환메시지를 상기 스마트카드에 전송하여 슬립모드 또는 액티브모드로의 전환을 지시하는 전원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스마트카드와의 연동을 위한 제1인터페이스 및 제2인터페이스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관리부는,
    USB(Universal Serial Bus) 기반인 상기 제1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슬립모드준비메시지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관리부는,
    ISO(International Standard Organization) 7816 프로토콜 기반인 상기 제2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모드전환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7. 스마트카드와의 연동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형성하는 카드인터페이스부; 및
    설정시간 동안 자체 프로세싱 미 감지에 따른 슬립모드준비상태로의 전환 시, 슬립모드준비메시지를 스마트카드에 전송하여 슬립모드준비상태로의 전환을 지시하는 전원관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원관리부는,
    자체 프로세싱 감지를 통한 동작모드 전환 시 모드전환메시지를 상기 스마트카드에 전송하여 슬립모드 또는 액티브모드로의 전환을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스마트카드와의 연동을 위한 제1인터페이스 및 제2인터페이스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관리부는,
    USB(Universal Serial Bus) 기반인 상기 제1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슬립모드전환준비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10. 제 8 항에 이어서,
    상기 전원관리부는,
    ISO(International Standard Organization) 7816 프로토콜 기반인 상기 제2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모드전환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11. 단말장치와의 연동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형성하는 단말인터페이스부;
    설정시간 동안 자체 프로세싱 미 감지에 따른 슬립모드준비상태 전환 시, 슬립모드준비메시지를 상기 단말장치에 전송하는 전원관리부; 및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수신되는 모드전환메시지를 기반으로 동작모드를 슬립모드 또는 액티브모드로 전환하는 모드전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카드.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인터페이스부는,
    상기 단말장치와의 연동을 위한 제1인터페이스 및 제2인터페이스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카드.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관리부는
    USB(Universal Serial Bus) 기반인 상기 제1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슬립모드준비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카드.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전환부는,
    ISO(International Standard Organization) 7816 프로토콜 기반인 상기 제2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모드전환메시지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카드.
  15. 단말장치와의 연동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형성하는 단말인터페이스부;
    상기 단말장치의 자체 프로세싱 미 감지에 따른 슬립모드준비상태로의 전환 시,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슬립모드준비메시지에 따라 동작모드를 슬립모드준비상태로 전환하는 전원관리부; 및
    상기 단말장치의 자체 프로세싱 감지에 따라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모드전환메시지가 수신될 경우, 상기 동작모드를 슬립모드 또는 액티브모드로 전환하는 모드전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카드.
  16. 상기 단말인터페이스부는,
    상기 단말장치와의 연동을 위한 제1인터페이스 및 제2인터페이스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카드.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관리부는,
    USB(Universal Serial Bus) 기반인 상기 제1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슬립모드준비메시지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카드.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전환부는,
    ISO(International Standard Organization) 7816 프로토콜 기반인 상기 제2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모드전환메시지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카드.
  19. 스마트카드가 설정시간 동안 자체 프로세싱 미 감지에 따른 슬립모드준비상태 전환 시, 슬립모드준비메시지를 제1인터페이스를 통해 단말장치에 전송하는 준비메시지전송단계;
    상기 단말장치가 상기 슬립모드준비메시지 수신에 따라 스마트카드의 슬립모드 전환 시도를 감지하고, 모드전환메시지를 제2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스마트카드에 전송하여 슬립모드 또는 액티브모드로의 전환을 지시하는 동작모드지시단계; 및
    상기 스마트카드가 상기 모드전환메시지에 따라 동작모드를 슬립모드 또는 액티브모드로 전환하는 동작모드전환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카드 기반 전원 관리 방법.
  20. 단말장치가 설정시간 동안 자체 프로세싱 미 감지에 따른 슬립모드준비상태로의 전환 시, 제1인터페이스를 통해 슬립모드준비메시지를 스마트카드에 전송하여 슬립모드준비상태로의 전환을 지시하는 준비메시지전송단계;
    상기 스마트카드가 상기 슬립모드준비메시지에 따라 동작모드를 슬립모드준비상태로 전환하는 준비상태진입단계;
    상기 단말장치가 자체 프로세싱 감지를 통한 동작모드 전환 시 제2인터페이스를 통해 모드전환메시지를 상기 스마트카드에 전송하는 모드전환을 지시하는 동작모드지시단계; 및
    상기 스마트카드가 상기 모드전환메시지에 따라 상기 동작모드를 슬립모드 또는 액티브모드로 전환하는 동작모드전환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카드 기반 전원 관리 방법.
  21. 스마트카드와의 연동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형성하는 인터페이스형성단계;
    상기 스마트카드의 설정시간 동안 자체 프로세싱 미 감지에 따른 슬립모드준비상태 전환 시, 상기 스마트카드로부터 수신되는 슬립모드준비메시지에 따라 상기 스마트카드의 슬립모드 전환 시도를 감지하는 모드전환감지단계; 및
    모드전환메시지를 상기 스마트카드에 전송하여 슬립모드 또는 액티브모드로의 전환을 지시하는 전원관리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카드 기반 전원 관리 방법.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형성단계는,
    상기 스마트카드와의 연동을 위한 제1인터페이스 및 제2인터페이스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카드 기반 전원 관리 방법.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전환감지단계는,
    USB(Universal Serial Bus) 기반인 상기 제1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슬립모드준비메시지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카드 기반 전원 관리 방법.
  24.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관리단계는,
    상기 ISO(International Standard Organization) 7816 프로토콜 기반인 상기 제2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모드전환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카드 기반 전원 관리 방법.
  25. 스마트카드와의 연동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형성하는 인터페이스형성단계;
    설정시간 동안 자체 프로세싱 미 감지에 따른 슬립모드준비상태로의 전환 시, 슬립모드준비메시지를 스마트카드에 전송하여 슬립모드준비상태로의 전환을 지시하는 준비메시지전송단계; 및
    자체 프로세싱 감지를 통한 동작모드 전환 시 모드전환메시지를 상기 스마트카드에 전송하여 슬립모드 또는 액티브모드로의 전환을 지시하는 전원관리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카드 기반 전원 관리 방법.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형성단계는,
    상기 스마트카드와의 연동을 위한 제1인터페이스 및 제2인터페이스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카드 기반 전원 관리 방법.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준비메시지전송단계는,
    USB(Universal Serial Bus) 기반인 상기 제1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슬립모드전환준비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카드 기반 전원 관리 방법.
  28. 제 26 항에 이어서,
    상기 전원관리단계는,
    ISO(International Standard Organization) 7816 프로토콜 기반인 상기 제2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모드전환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카드 기반 전원 관리 방법.
  29. 단말장치와의 연동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형성하는 인터페이스형성단계;
    설정시간 동안 자체 프로세싱 미 감지에 따른 슬립모드준비상태 전환 시, 슬립모드준비메시지를 상기 단말장치에 전송하는 준비메시지전송단계; 및
    상기 슬립모드준비메시지 전송에 따라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수신되는 모드전환메시지를 기반으로 동작모드를 슬립모드 또는 액티브모드로 전환하는 모드전환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카드 기반 전원 관리 방법.
  30.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형성단계는,
    상기 단말장치와의 연동을 위한 제1인터페이스 및 제2인터페이스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카드 기반 전원 관리 방법.
  31.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준비메시지전송단계는,
    USB(Universal Serial Bus) 기반인 상기 제1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슬립모드준비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카드 기반 전원 관리 방법.
  32.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전환단계는,
    ISO(International Standard Organization) 7816 프로토콜 기반인 상기 제2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모드전환메시지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카드 기반 전원 관리 방법.
  33. 단말장치와의 연동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형성하는 인터페이스형성단계;
    상기 단말장치의 자체 프로세싱 미 감지에 따른 슬립모드 전환 시,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슬립모드준비메시지에 따라 동작모드를 슬립모드준비상태로 전환하는 준비모드전환단계; 및
    상기 단말장치의 자체 프로세싱 감지에 따라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모드전환메시지가 수신될 경우, 상기 동작모드를 슬립모드 또는 액티브모드로 전환하는 모드전환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카드 기반 전원 관리 방법.
  34.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형성단계는,
    상기 단말장치와의 연동을 위한 제1인터페이스 및 제2인터페이스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카드 기반 전원 관리 방법.
  35.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준비모드전환단계는,
    USB(Universal Serial Bus) 기반인 상기 제1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슬립모드준비메시지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카드 기반 전원 관리 방법.
  36.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전환단계는,
    ISO(International Standard Organization) 7816 프로토콜 기반인 상기 제2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모드전환메시지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카드 기반 전원 관리 방법.
  37. 제 21 항 내지 제 36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의 각 단계를 수행하는 명령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KR1020100118020A 2010-11-25 2010-11-25 스마트카드 기반 전원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2005646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8020A KR20120056466A (ko) 2010-11-25 2010-11-25 스마트카드 기반 전원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8020A KR20120056466A (ko) 2010-11-25 2010-11-25 스마트카드 기반 전원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6466A true KR20120056466A (ko) 2012-06-04

Family

ID=466086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8020A KR20120056466A (ko) 2010-11-25 2010-11-25 스마트카드 기반 전원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5646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15620B2 (en) Wireless internet access device, SD control chip, and method for data communication
CN110505652B (zh) 网络连接的控制方法、终端及存储介质
JP5939819B2 (ja) 通信装置、通信装置の制御方法、通信システム、プログラム
CN102104936B (zh) 系统状态切换方法及便携终端
US11252724B2 (en) Electronic device for transmitting or receiving data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therefor
CN105550738A (zh) 非接触式卡片及其通讯和供电方法
US9913279B2 (en) Method for establishing a radio connection, network apparatus and terminal apparatus
US20100235657A1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system according to power feeding of terminal
US20110252172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current operation of dual interfaces between uicc and mobile device
JP2008011416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制御方法
TW201351156A (zh) 電子裝置及其控制方法
US9124312B2 (en) Communication device, reader/writer device,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method
CN112269086A (zh) 充电线缆的识别方法、装置、充电线缆及可读存储介质
CN111433756B (zh) 一种终端及Type C接口防腐蚀方法
CN115884253A (zh) 反向散射通信方法、装置及通信设备
CN115348630B (zh) 多设备协同方法及相关装置
KR20120056466A (ko) 스마트카드 기반 전원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574767B1 (ko) 저전력 블루투스 장치 검색 시스템과 제어방법
CN110958562A (zh) 一种调制方式选择方法及近场通信装置、存储介质
EP3048858A1 (en) Wireless customer premise equipment and accessing method therefor
CN105376637A (zh) 一种共享蓝牙硬件的系统和方法
CN112788785B (zh) 网络连接方法及终端、计算机存储介质
KR20120051277A (ko) 스마트카드 운용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80026708A (ko) 스마트 콘센트
CN109783278B (zh) 一种移动设备及其修改蓝牙软件的方法与存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