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52805A - A vehicle controlling system using a voice recognition - Google Patents

A vehicle controlling system using a voice recogni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52805A
KR20120052805A KR1020100114120A KR20100114120A KR20120052805A KR 20120052805 A KR20120052805 A KR 20120052805A KR 1020100114120 A KR1020100114120 A KR 1020100114120A KR 20100114120 A KR20100114120 A KR 20100114120A KR 20120052805 A KR20120052805 A KR 201200528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setting
target device
control target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412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임규형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141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52805A/en
Publication of KR201200528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2805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04Hand wheel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OR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OR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2Procedures used during a speech recognition process, e.g. man-machine dialogu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ransport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PURPOSE: A vehicle controlling system using voice recognition is provided to control a controlling target through a controller by inputting the name of the controlling object based on a voice signal and inputting a setting value based on a voice signal or a direction key. CONSTITUTION: A vehicle controlling system(10) includes an inputting module(12) and a controlling module(15). The inputting module allows a user to input the name of a controlling target, a setting value, or a setting command based on a voice signal and a setting button. The controlling module transmits the name and the setting command to a controller. The controlling module transmits a possible setting message to the user and allows the user to input the setting value based on a setting button. The controller transmits the setting value to the controlling target.

Description

음성인식을 이용한 차량 제어 시스템{A vehicle controlling system using a voice recognition}A vehicle controlling system using a voice recognition

본 발명은 음성인식을 이용하여 차량의 각종 제어 대상 기기를 제어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for controlling various control target devices of a vehicle using voice recognition.

일반적으로 차량의 시트, 윈도우, 에어컨, 히터 등의 제어 대상 기기는 운전자가 그 설정 값 예컨대 높낮이, 개방 정도, 냉풍 또는 온풍의 세기 등을 수동으로 조정해야 한다. 이러한 종래의 제어 대상 기기에 대한 조정 방식은 조정 과정 자체도 불편하거니와 차량이 주행 중인 차량의 안전에도 위해가 되는 문제점이 있다.
In general, a control device such as a seat, a window, an air conditioner, a heater, and the like of a vehicle requires a driver to manually adjust a set value such as height, opening degree, cold wind, or warm wind intensity. The adjustment method for the conventional control target device is also inconvenient to the adjustment process itself, there is a problem that is also harmful to the safety of the vehicle driving the vehicle.

본 발명은 사용자로부터 제어 대상 기기의 명칭을 음성으로 입력받고 설정 요청 값을 음성 또는 방향키로 입력받아 제어 대상 기기를 제어하는 음성인식을 이용한 차량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ehicle control system using voice recognition to control a control target device by receiving a name of a control target device as a voice and a setting request value by a voice or a direction key.

본 발명의 음성인식을 이용한 차량 제어 시스템은 사용자로부터 설정 개시 버튼을 통해 상기 사용자가 제어하고자 하는 제어 대상 기기의 명칭과 설정 요청 값 또는 설정 명령 신호를 음성으로 입력받는 입력 모듈; 및 상기 입력 모듈이 사용자로부터 제어 대상 기기의 명칭 및 설정 요청 값을 음성으로 입력받은 경우 상기 제어 대상 기기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로 상기 명칭 및 설정 요청 값을 전달하여 상기 제어 장치가 상기 설정 요청 값을 이용하여 상기 제어 대상 기기를 제어하게 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입력 모듈이 사용자로부터 제어 대상 기기의 명칭 및 설정 명령 신호를 음성으로 전달받은 경우 사용자에게 설정 가능 메시지를 전달하고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어 대상 기기에 대한 설정 요청 값을 설정 버튼을 통해 입력받아 상기 제어 장치를 통해 상기 제어 대상 기기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적 구성으로 한다.The vehicle control system using the voice recogn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n input module for receiving a name, a setting request value, or a setting command signal of a control target device to be controlled by the user through a setting start button from a user; And when the input module receives a name and a setting request value of a control target device by a voice from a user, transfers the name and setting request value to a control device controlling the control target device so that the control device receives the setting request value. And a control module configured to control the control target device by using the control module, when the input module receives a name and a setting command signal of the control target device by voice from a user, and transmits a settable message to the use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for receiving the setting request value for the control target device from the setting button via the control device to transmit to the control target device.

여기서 본 발명은 차량의 스티어링 휠에 설치되고 PTT 버튼(Push To Talk)으로 이루어진 설정 개시 버튼; 및 상기 스티어링 휠에 설치되고 상기 설정 요청 값을 설정 할 수 있도록 방향키로 이루어진 설정 버튼을 더 포함한다.Here,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the steering wheel of the vehicle and the start button consisting of a PTT button (Push To Talk); And a setting button installed on the steering wheel and configured as a direction key to set the setting request value.

한편 본 발명의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설정 버튼을 통해 상기 설정 요청 값을 입력받은 상태에서 상기 입력 모듈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설정 개시 버튼을 더 입력받거나 설정 시간 동안 상기 설정 버튼에 입력이 없을 경우 상기 제어 장치로 상기 제어 대상 기기에 대한 설정 종료 요청을 전달한다.In the meantime, the control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the setting start button from the user through the input module in the state of receiving the setting request value through the setting button, or the control device when there is no input to the setting button during the setting time. The setting termination request for the control target device is transmitted.

한편 본 발명은 차량의 시동 여부 또는 주행 여부에 따라 상기 제어 대상 기기에 대한 설정 가능 여부가 저장된 저장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모듈은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어 대상 기기에 대해 설정 가능 여부를 결정한다.Meanwhile,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storage module storing whether or not the control target device can be set according to whether the vehicle is started or driving, and the control module determines whether the control target device can be set by the user.

한편 본 발명의 상기 제어 대상 기기는 도어, 윈도우, 에어컨, 히터, 열선, 송풍장치 또는 시트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어 대상 기기는 상기 제어 대상 기기를 제어하는 제어 대상 장치를 통해 상기 제어 장치로부터 상기 설정 요청 값을 전달받는다.Meanwhile, the control targe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of any one of a door, a window, an air conditioner, a heater, a heating wire, a blower or a seat, and the control target device is controlled from the control device through a control target device for controlling the control target device. Receive the setting request value.

한편 본 발명의 상기 제어 모듈은 사용자로부터 설정 개시 버튼을 입력받으면 차량의 송풍 장치의 회전 속도 또는 차량의 오디오의 음량을 감소시키는 명령 신호를 상기 송풍 장치 또는 카오디오를 제어한다.Meanwhile, when the control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a setting start button from the user, the control module controls the blower or car audio with a command signal for reducing the rotation speed of the blower of the vehicle or the volume of audio of the vehicle.

본 발명의 음성인식을 이용한 차량 제어 시스템은 사용자로부터 제어 대상 기기의 명칭을 음성으로 입력받고 설정 요청 값을 음성 또는 방향키로 입력받아 제어 장치를 통해 제어 대상 기기로 전달한다. 이에 사용자로부터 직접 제어 대상 기기의 기능 조작 명령을 음성으로 전달받아 편리하게 제어 대상 기기를 제어하거나 음성 및 설정 버튼을 통해 직접 제어 대상 기기의 기능 조작 명령을 전달받아 제어 대상 기기를 제어할 수 있다는 효과를 제공한다.The vehicle control system using the voice recogn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a name of a control target device as a voice from a user and receives a setting request value using a voice or a direction key and transmits the received request value to a control target device through a control device. Therefore, the user can directly control the controlling device by receiving a function operation command of the controlling device directly from the user or control the controlling device by receiving a function operation command of the controlling device directly through the voice and setting buttons. To provide.

또한 본 발명의 음성인식을 이용한 차량 제어 시스템은 설정 개시 버튼 및 설정 버튼을 차량의 스티어링 휠에 설치한다. 이에 사용자가 운전 중에도 편리하게 상기 설정 개시 버튼 및 설정 버튼을 조작할 수 있다는 효과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vehicle control system using the voice recogn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stalls the setting start button and the setting button on the steering wheel of the vehicle. This provides an effect that the user can conveniently operate the setting start button and the setting button while driving.

또한 본 발명의 음성인식을 이용한 차량 제어 시스템은 사용자로부터 설정 버튼을 통해 상기 설정 요청 값을 입력받은 상태에서 상기 입력 모듈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설정 개시 버튼을 더 입력받거나 설정 시간 동안 상기 설정 버튼에 입력이 없을 경우 상기 제어 장치로 상기 제어 대상 기기에 대한 설정 종료 요청을 전달한다. 이에 사용자가 운전 중에도 편리하게 제어 대상 기기의 제어를 종료할 수 있다는 효과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vehicle control system using the voice recogn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receives a setting start button from the user through the input module in the state of receiving the setting request value through the setting button from the user or the input to the setting button during the setting time If not, the control device transmits a setting termination request to the control target device. This provides the effect that the user can conveniently terminate the control of the controlling device even while driving.

또한 본 발명의 음성인식을 이용한 차량 제어 시스템은 차량의 주행 상태 또는 시동 여부에 따라 제어 대상 기기에 대해 설정 가능 여부를 결정한다. 이에 운전 또는 시동 여부에 따라 안전에 문제가 될 수 있는 제어 대상 기기에 대한 제어를 제한할 수 있다는 효과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vehicle control system using the voice recogn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rmines whether the control target device can be set according to the driving state of the vehicle or whether the vehicle is started. This provides the effect of limiting the control of the controlled device that may be a safety issue depending on whether the operation or start-up.

또한 본 발명의 음성인식을 이용한 차량 제어 시스템은 사용자로부터 설정 개시 버튼을 입력받으면 차량의 송풍 장치의 회전 속도 또는 차량의 오디오의 음량을 감소시키는 명령 신호를 상기 송풍 장치 또는 카오디오를 제어한다. 이에 차량의 실내 소음 저하로 음성 인식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효과를 제공한다.
In addition, the vehicle control system using the voice recogn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rols the blower or the car with a command signal to reduce the rotational speed of the blower of the vehicle or the volume of audio of the vehicle when a user inputs a setting start button. This provides an effect of improving speech recognition performance by reducing indoor noise of the vehicl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성인식을 이용한 차량 제어 네트워크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제어 네트워크의 실시예 1에 따른 동작의 순서를 나타내는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제어 네트워크의 실시예 2에 따른 동작의 순서를 나타내는 순서도.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vehicle control network using voice recogn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vehicle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 chart showing a procedure of operation according to Embodiment 1 of the vehicle control net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low chart showing a procedure of operation according to Embodiment 2 of the vehicle control net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성인식을 이용한 차량 제어 네트워크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vehicle control network using voice recogn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음성인식을 이용한 차량 제어 네트워크(100)는 차량 제어 시스템(10), 제어 장치(20), 제어 대상 장치(30), 제어 대상 기기(40) 등을 포함한다.The vehicle control network 100 using voice recogn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vehicle control system 10, a control device 20, a control target device 30, a control target device 40, and the like.

차량 제어 시스템(10)은 사용자로부터 제어 대상 기기(40)의 명칭을 음성으로 입력받고 설정 요청 값을 음성(기능 조작 모드-제어 대상 기기(40)의 명칭과 함께 제어 대상 기기(40)의 설정 요청 값을 음성으로 입력받음) 또는 설정 버튼(14)(기능 선택 모드-제어 대상 기기(40)의 명칭은 음성으로 입력받고 이후 방향키를 통해 제어 대상 기기(40)의 설정 요청 값을 입력 받음)로 입력받아 제어 장치(20)로 전달한다.The vehicle control system 10 receives a name of the control target device 40 as a voice from a user and sets a setting request value with a voice (function operation mode-control target device 40 together with the name of the control target device 40). The request value is inputted by voice) or the setting button 14 (the function selection mode-the name of the control target device 40 is inputted by voice, and then the setting request value of the control target device 40 is input via the direction key). It receives the input to pass to the control device 20.

제어 장치(20)는 주로 차량의 공조 시스템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차량 제어 시스템(10)으로부터 전달받은 설정 요청 값을 이용하여 제어 대상 장치(30)를 통해 상기 제어 대상 기기(40)를 제어하거나 상기 제어 대상 기기(40)를 직접 제어한다.The control device 20 is mainly composed of an air conditioning system of a vehicle and controls or controls the control target device 40 through the control target device 30 by using a setting request value received from the vehicle control system 10. The target device 40 is directly controlled.

제어 대상 장치(30)는 주로 차량의 도어 제어 모듈(DDM, Door Drive Module) 또는 시트 제어 모듈(PSM, Power Seat Module) 등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어 장치(20)부터 상기 설정 요청 값을 전달받아 도어 또는 시트 등을 각각 제어한다.The control target device 30 mainly consists of a door control module (DDM) or a seat control module (PSM, power seat module) of a vehicle, and receives the setting request value from the control device 20. Or sheets, etc., respectively.

제어 대상 기기(40)는 도어 또는 시트 등으로 마련되어 상기 제어 장치(20) 또는 제어 대상 장치(30)에 의해 제어된다.
The control target device 40 is provided as a door or a seat and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device 20 or the control target device 30.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음성인식을 이용한 차량 제어 네트워크(100)를 구성 요소별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vehicle control network 100 using voice recogn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for each component.

- 차량 제어 시스템(10)의 구성 --Configuration of Vehicle Control System 10-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vehicle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차량 제어 시스템(10)은 설정 개시 버튼(11), 입력 모듈(12), 저장 모듈(13), 설정 버튼(14), 제어 모듈(15), 통신 모듈(16) 등을 포함한다.The vehicle control system 10 includes a setting start button 11, an input module 12, a storage module 13, a setting button 14, a control module 15, a communication module 16, and the like.

설정 개시 버튼(11)은 차량의 스티어링 휠에 설치되고 PTT 버튼(Push To Talk)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설정 개시 버튼(11)은 사용자로부터 가압되면 후술하는 제어 장치(20)로 설정 개시 신호를 전달한다. 이에 상기 제어 장치(20)가 상기 설정 개시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설정 개시 확인 신호를 후술하는 차량 제어 시스템(10)의 제어 모듈(15)로 전달하고 상기 차량 제어 시스템(10)의 제어 모듈(15)이 스피커를 통해서 사용자에게 음성 인식 개시 신호(예컨대 스타트 비프)를 전달할 수 있다.The setting start button 11 is installed on the steering wheel of the vehicle and consists of a PTT button (Push To Talk). When the setting start button 11 is pressed by the user, the setting start button 11 transmits a setting start signal to the control device 20 described later. Accordingly, the control device 20 transmits the setting start confirmation signal to the control module 15 of the vehicle control system 1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n response to the setting start signal, and the control module 15 of the vehicle control system 10. ) May deliver a voice recognition initiation signal (eg, start beep) to the user via the speaker.

입력 모듈(12)은 사용자로부터 상기 사용자가 제어하고자 하는 제어 대상 기기(40)의 명칭과 설정 요청 값 또는 설정 명령 신호를 음성으로 입력받아 인식한다. 예컨대 상기 입력 모듈(12)은 사용자로부터 제어 대상 기기(40)의 명칭 및 설정 요청 값인 '시트 높게'를 입력받는다(기능 조작 모드). 여기서 '시트'는 제어 대상 기기(40)의 명칭이 되고 '높게'는 설정 명령 신호가 된다.  The input module 12 receives and recognizes a name, a setting request value, or a setting command signal of a control target device 40 which the user wants to control from the user. For example, the input module 12 receives a 'sheet high' which is a name and a setting request value of the control target device 40 from the user (function operation mode). Here, the 'sheet' is the name of the control target device 40 and the 'high' is the setting command signal.

다른 예로서 상기 입력 모듈(12)은 사용자로부터 제어 대상 기기(40)의 명칭 및 설정 명령 신호인 '시트 조정'을 음성으로 입력받는다(기능 선택 모드). 여기서 '시트'는 제어 대상 기기(40)의 명칭이 되고 '조정'은 설정 명령 신호가 된다. As another example, the input module 12 receives a voice input of a 'sheet adjustment', which is a name and a setting command signal, of the control target device 40 from the user (function selection mode). Here, 'sheet' is the name of the control target device 40, and 'adjustment' is a setting command signal.

저장 모듈(13)에는 차량의 시동 여부 또는 주행 여부에 따라 상기 제어 대상 기기(40)에 대한 설정 가능 여부가 저장된다.The storage module 13 stores whether the control target device 40 can be set depending on whether the vehicle is started or driven.

설정 버튼(14)은 상기 스티어링 휠에 설치되고 상기 설정 요청 값을 설정 할 수 있는 방향키(예컨대 상하 방향키, 4방향키, 8방향키)로 이루어진다.The setting button 14 is composed of a direction key (for example, up and down direction keys, four direction keys, and eight direction keys) installed in the steering wheel and capable of setting the setting request value.

제어 모듈(15)은 상기 설정 명령 신호를 전달받은 제어 대상 기기(40)가 현재 차량의 시동 여부 또는 주행 여부를 고려할 때 설정이 가능한 장치인지 여부를 파악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 모듈(15)은 파악 결과 상기 제어 대상 기기(40)가 설정이 가능한 상태이고 사용자로부터 제어 대상 기기(40)의 명칭 및 설정 요청 값('시트 높게'-기능 조작 모드)을 음성으로 전달받은 경우를 가정한다. 이 경우 상기 제어 모듈(15)은 사용자에게 별도의 스피커를 통해 상기 시트를 높게 설정하겠음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음성으로 전달하고 상기 제어 대상 기기(40)의 명칭 및 설정 요청 값을 제어 장치(20)를 통해 상기 제어 대상 기기(40)를 제어하는 제어 대상 장치(30)로 전달한다. 이에 상기 제어 대상 장치(30)가 상기 제어 대상 기기(40)의 명칭 및 설정 요청 값을 이용하여 상기 제어 대상 기기(40)를 제어할 수 있다. The control module 15 determines whether the control target device 40 that has received the setting command signal is a device that can be set when the current vehicle is started or driven. In addition, the control module 15 determines that the control target device 40 can be set, and that the name and setting request value ('sheet high'-function operation mode) of the control target device 40 are voiced by the user. Assume the case of receiving. In this case, the control module 15 transmits a voice message to the user indicating that the sheet is to be set high through a separate speaker, and transmits the control device 20 to the name and setting request value of the control target device 40. Transfer to the control target device 30 for controlling the control target device 40 through. Accordingly, the control target device 30 may control the control target device 40 by using the name and setting request value of the control target device 40.

한편 상기 제어 모듈(15)은 파악 결과 상기 제어 대상 기기(40)에 대한 설정이 가능한 상태이고 사용자로부터 제어 대상 기기(40)의 명칭 및 설정 명령 신호('시트 조정'-기능 선택 모드)를 음성으로 전달받은 경우를 가정한다. 이 경우 상기 제어 모듈(15)은 상기 제어 대상 기기(40)의 명칭 및 설정 명령 신호(시스템 준비 요청 신호 포함)를 제어 장치(20)를 통해 상기 제어 대상 기기(40)의 제어 대상 장치(30)로 전달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 모듈(15)은 상기 제어 장치(20)로부터 시스템 준비 확인 신호를 전달받고 스피커를 이용하여 제어 대상 기기(40)에 대한 설정 가능 메시지 예컨대 '시트 조정'을 사용자에게 음성으로 출력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 모듈(15)은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어 대상 기기(40)에 대한 설정 요청 값을 설정 버튼(14)을 통해 입력받아 제어 장치(20)를 통해 상기 제어 대상 기기(40)의 제어 대상 장치(30)로 전달한다. 여기서 설정 버튼(14)은 방향키의 'UP'에 해당하는 버튼이 가압될 경우 예컨대 시트 높이가 2cm 높아지는 것을 의미하는 설정 요청 값을 생성한다. 반면 설정 버튼(14)은 방향키의 'DOWN'에 해당하는 버튼이 가압될 경우 예컨대 시트 높이가 2cm 낮아지는 것을 의미하는 설정 요청 값을 생성한다. 한편 설정 버튼(14)은 방향키의 'LEFT'에 해당하는 버튼이 한 번 가압할 될 경우 예컨대 시트 전체가 전 측으로(앞 방향으로) 2cm 이동하는 것을 의미하는 설정 요청 값을 생성한다. 반면 설정 버튼(14)은 방향키의 'RIGHT'에 해당하는 버튼이 한 번 가압될 경우 예컨대 시트 전체가 후 측으로(뒤 방향으로) 2cm 이동하는 것을 의미하는 설정 요청 값을 생성한다.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module 15 is capable of setting the control target device 40 as a result of the grasping and voices the name of the control target device 40 and a setting command signal ('sheet adjustment'-function selection mode) from the user. Assume that the case is received by. In this case, the control module 15 transmits a name and a setting command signal (including a system preparation request signal) of the control target device 40 to the control target device 30 of the control target device 40 through the control device 20. To pass). The control module 15 receives a system preparation confirmation signal from the control device 20 and outputs a configurable message, for example, 'sheet adjustment', to the user to be controlled by the speaker using a speaker. The control module 15 receives a setting request value for the control target device 40 from a user through a setting button 14, and controls the target device of the control target device 40 through the control device 20. Forward to 30. Here, the setting button 14 generates a setting request value that means, for example, that the seat height is increased by 2 cm when the button corresponding to 'UP' of the direction key is pressed. On the other hand, the setting button 14 generates a setting request value that means, for example, that the seat height is lowered by 2 cm when the button corresponding to 'DOWN' of the direction key is pressed. On the other hand, the setting button 14 generates a setting request value that means, for example, that when the button corresponding to 'LEFT' of the direction key is pressed once, for example, the entire sheet moves 2 cm forwards (forward direction). On the other hand, the setting button 14 generates a setting request value, which means that when the button corresponding to 'RIGHT' of the directional key is pressed once, for example, the entire sheet moves 2 cm backwards (backwards).

그리고 상기 제어 모듈(15)은 상기 제어 장치(20)를 통해 제어 대상 기기(40)의 명칭 및 상기 설정 요청 값을 상기 제어 장치(20)를 통해 상기 제어 대상 장치(30)로 전달한다. 이에 상기 제어 장치(20)가 상기 제어 대상 기기(40)의 명칭 및 설정 요청 값을 이용하여 상기 제어 대상 기기(4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 모듈(15)은 상기 제어 장치(20)로부터 상기 제어 장치(20)가 상기 제어 대상 장치(30)로부터 확인한 상기 제어 대상 장치(30)가 상기 제어 대상 기기(40)를 정상적으로 제어하였음을 나타내는 설정 요청 값 확인 메시지를 전달받는다.The control module 15 transmits the name of the control target device 40 and the setting request value to the control target device 30 through the control device 20 through the control device 20. Accordingly, the control device 20 may control the control target device 40 by using the name and setting request value of the control target device 40. In addition, the control module 15 normally controls the control target device 40 by the control target device 30 confirmed by the control device 20 from the control target device 30 from the control device 20. Receive a setting request value confirmation message indicating

여기서 상기 제어 모듈(15)은 상기 설정 요청 값을 설정 버튼(14)을 통해 입력받은 상태에서 상기 입력 모듈(12)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설정 개시 버튼(11)을 한 번 더 입력받거나 설정 시간 동안 상기 설정 버튼(14)에 입력이 없을 경우 스피커를 통해서 사용자에게 기능 선택 모드가 종료되었음을 음성으로 알려준다. 그리고 상기 제어 모듈(15)은 상기 제어 장치(20)로 상기 제어 대상 기기(40)에 대한 설정 종료 요청을 전달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 모듈(15)은 상기 제어 장치(20)로부터 상기 제어 장치(20)가 상기 제어 대상 장치(30)로부터 확인한 상기 설정 종료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생성된 설정 종료 요청 확인 메시지를 전달받는다. 그리고 상기 제어 모듈(15)은 음성인식에 의한 제어 대상 기기(40)의 기능 조작/선택모드를 해제한다. Herein, the control module 15 receives the setting start value 11 once more from the user through the input module 12 in the state of receiving the setting request value through the setting button 14 or during the setting time. If there is no input to the setting button 14, the speaker notifies the user that the function selection mode has ended. The control module 15 transmits a setting end request for the control target device 40 to the control device 20. The control module 15 receives a setting end request confirmation message generated in response to the setting end request confirmed by the control device 20 from the control target device 30 from the control device 20. The control module 15 releases the function operation / selection mode of the control target device 40 by voice recognition.

다른 예로서 상기 제어 모듈(15)은 상기 제어 대상 장치(30)로부터 사용자가 상기 제어 대상 기기(40)를 수동으로 제어(제어 대상 장치(30)의 별도의 제어 버튼을 이용하여 상기 제어 대상 기기(40)를 제어한 경우)함에 따라 발생한 수동제어신호를 전달받으면 음성인식에 의한 제어 대상 기기(40)의 기능 조작/선택모드를 해제한다.As another example, the control module 15 controls the control target device 40 manually by the user from the control target device 30 (the control target device by using a separate control button of the control target device 30). When the manual control signal generated by the control unit 40 is controlled, the function manipulation / selection mode of the control target device 40 by voice recognition is released.

한편 상기 제어 모듈(15)은 파악 결과 상기 제어 대상 기기(40)에 대한 설정이 불가한 상태 예컨대 상기 저장 모듈(13)에 주행 중에는 시트 조정이 불가하다고 설정되어 있는데 사용자로부터 시트 조정에 관한 요청을 받고 현재 차량도 주행 중인 경우에는 사용자에게 스피커를 통해서 현재 상태에서는 해당 기능에 대한 설정이 불가함을 음성으로 알려준다.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module 15 determines that the seat adjustment is not possible while driving to the storage module 13 in a state where the setting of the control target device 40 is impossible, for example, but the user requests a request for seat adjustment from the user. If the vehicle is still driving, the user will be notified by voice using the speaker.

한편 상기 제어 모듈(15) 상기 입력 모듈(12)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설정 개시 버튼(11)을 입력받으면 상기 제어 대상 기기(40) 중에서 차량의 실내 소음과 관련이 있는 기기 예컨대 차량의 송풍 장치의 회전 속도 또는 차량의 카오디오의 음량을 감소시키는 명령 신호를 상기 송풍 장치 또는 카오디오를 제어하는 상기 제어 장치로 전달하거나 상기 송풍 장치 또는 카오디오로 직접 전달한다. 이에 차량의 실내 소음 저하로 입력 모듈(12)의 음성 인식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control module 15 receives the setting start button 11 from the user through the input module 12, the rotation of a device, such as a blower of the vehicle, among the control target devices 40 that is related to the indoor noise of the vehicle. A command signal for reducing the speed or volume of the car audio of the vehicle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the blower or car audio, or directly to the blower or car audio. Accordingly, the voice recognition performance of the input module 12 may be improved by reducing indoor noise of the vehicle.

통신 모듈(16)은 멀티미디어 캔 통신 모듈이 마련되어 후술하는 제어장치의 멀티미디어 캔 통신 모듈과 멀티미디어 캔 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통신한다.
The communication module 16 is provided with a multimedia can communication module and communicates data through the multimedia can communication with the multimedia can communication module of a control apparatus described later.

- 제어 장치(20), 제어 대상 장치(30) 및 제어 대상 기기(40)의 구성 --Configuration of Control Device 20, Control Target Device 30, and Control Target Device 40-

제어 장치(20)는 주로 차량의 공조 시스템으로 마련되고 상기 차량 제어 시스템(10)과 멀티미디어 캔 통신 모듈을 통해 연결되며 차량 제어 시스템(10)으로부터 전달받은 설정 요청 값을 제어 대상 장치(30)로 전달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 장치(20)는 제어 대상 장치(30)와 바디 캔 통신 모듈을 통해 서로 연결된다.The control device 20 is mainly provided as a vehicle air conditioning system, connected to the vehicle control system 10 through a multimedia can communication module, and receives a setting request value received from the vehicle control system 10 to the control target device 30. To pass. In addition, the control device 20 is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control target device 30 and the body can communication module.

제어 대상 장치(30)는 상기 제어 장치(20)와 바디 캔 통신 모듈을 통해 서로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 대상 장치(30)는 상기 제어 장치(20)로부터 설정 요청 값을 전달받아 제어 대상 기기(40)를 직접 제어한다. 여기서 제어 대상 장치(30)는 도어 제어 모듈(15)(DDM, Door Drive Module) 또는 시트 제어 모듈(15)(PSM, Power Seat Module) 등으로 이루어진다.The control target device 30 is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control device 20 and the body can communication module. The control target device 30 directly receives the setting request value from the control device 20 and directly controls the controlling device 40. Here, the control target device 30 includes a door control module 15 (DDM, Door Drive Module) or a seat control module 15 (PSM, Power Seat Module).

제어 대상 기기(40)는 상기 제어 대상 장치(30)의 제어 하에 구동되는 도어, 시트, 에어컨, 히터 등으로 이루어진다.The control target device 40 includes a door, a seat, an air conditioner, a heater, and the like, which are driven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target device 30.

여기서 상기 제어 장치(20)는 제어 대상 장치(30)의 개입 없이 에어컨, 히터 등의 제어 대상 기기(40)를 직접 제어할 수도 있다.Here, the control device 20 may directly control the control target device 40 such as an air conditioner or a heater without the intervention of the control target device 30.

여기서 본 발명의 차량 제어 시스템(10)의 입력 모듈(12)이 사용자로부터 제어 대상 기기(40)의 명칭 및 설정 요청 값을 입력 받는 경우(기능 조작 모드)를 가정한다. 이 경우 상기 제어 대상 기기(40)가 시트로 이루어질 경우 사용자가 '시트 높게'를 음성으로 입력하면 제어 대상 장치(30)는 시트의 엉덩이 부분을 가장 높은 위치로 이동시키고 사용자가 '시트 낮게'를 음성으로 입력하면 시트의 엉덩이 부분을 가장 낮은 위치로 이동시킨다. 한편 사용자가 '시트 앞으로'를 음성으로 입력하면 제어 대상 장치(30)는 시트 전체를 차량의 앞 방향으로 가장 많이 한 번에 이동시키고 사용자가 '시트 뒤로'를 음성으로 입력하면 시트 전체를 차량의 뒤 방향으로 가장 많이 한 번에 이동시킨다. It is assumed here that the input module 12 of the vehicle control system 10 of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a name and a setting request value of the control target device 40 from the user (function operation mode). In this case, when the control target device 40 is made of a sheet, when the user inputs 'sheet high' by voice, the control target device 30 moves the hip portion of the sheet to the highest position and the user selects 'sheet low'. Spoken typing moves the hips of the seat to the lowest position. On the other hand, when the user inputs the 'seat forward' by voice, the control target device 30 moves the entire seat in the front direction of the vehicle most at once, and when the user inputs the 'seat back' by voice, the entire seat is moved. Move most backwards at once.

한편 본 발명의 입력 모듈(12)이 사용자로부터 제어 대상 기기(40)의 명칭 및 설정 명령 신호 예컨대 '시트 조정'을 음성으로 전달받은 경우(기능 선택 모드)를 가정한다. 이 경우 상기 제어 대상 기기(40)가 시트로 이루어질 경우 사용자가 설정 버튼(14) 즉 방향키를 이용하여 'UP'를 한 번 입력하면 제어 대상 장치(30)는 시트의 엉덩이 부분을 일정 높이만큼 상승 이동시키고(한 번 더 입력하면 일정 높이만큼 더 상승 이동) 사용자가 'DOWN'를 한 번 입력하면 시트의 엉덩이 부분을 일정 높이만큼 하강 이동시킨다. 한편 사용자가 방향키를 이용하여 'LEFT'를 한 번 입력하면 제어 대상 장치(30)는 시트 전체를 차량의 앞 방향으로 일정 길이만큼 이동시키고(한 번 더 입력하면 일정 길이만큼 더 이동) 사용자가 'RIGHT'를 한 번 입력하면 시트 전체를 차량의 뒤 방향으로 일정 길이만큼 이동시킨다.On the other hand, it is assumed that the input module 12 of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a name of a control target device 40 and a setting command signal such as 'sheet adjustment' from a user by voice (function selection mode). In this case, when the control target device 40 is made of a sheet, when the user inputs 'UP' once using the setting button 14, that is, the direction key, the control target device 30 raises the hip portion of the seat by a predetermined height. If you input one more time, it moves up by a certain height, and when the user enters 'DOWN' one time, it moves down the hip of the sheet by a certain height. On the other hand, when the user inputs 'LEFT' once using the arrow keys, the control target device 30 moves the entire seat by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front direction of the vehicle (when input again, the user moves the predetermined length further). Enter RIGHT 'once to move the entire seat a certain length toward the rear of the vehicle.

한편 본 발명의 입력 모듈(12)이 사용자로부터 제어 대상 기기(40)의 명칭 및 설정 요청 값을 입력 받는 경우(기능 조작 모드)를 가정한다. 이 경우 상기 제어 대상 기기(40)가 시트로 이루어질 경우 사용자가 '허벅지 높게'를 음성으로 입력하면 제어 대상 장치(30)는 시트의 허벅지 부분을 가장 높은 위치로 이동시키고 사용자가 '허벅지 낮게'를 음성으로 입력하면 시트의 허벅지 부분을 가장 낮은 위치로 이동시킨다. 한편 사용자가 '허벅지 앞으로'를 음성으로 입력하면 제어 대상 장치(30)는 시트의 허벅지 부분을 차량의 앞 방향으로 가장 많이 한 번에 이동시키고 사용자가 '허벅지 뒤로'를 음성으로 입력하면 시트의 허벅지 부분을 차량의 뒤 방향으로 가장 많이 한 번에 이동시킨다. On the other hand, it is assumed that the input module 12 of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the name and setting request value of the control target device 40 from the user (function operation mode). In this case, when the control target device 40 is made of a sheet, when the user inputs 'thigh high' by voice, the control target device 30 moves the thigh portion of the seat to the highest position and the user inputs 'low thigh'. Spoken typing moves the thighs of the seat to the lowest position. Meanwhile, when the user inputs 'thigh forward' by voice, the control target device 30 moves the thigh portion of the seat most at once in the front direction of the vehicle, and when the user inputs 'thigh back' by voice, the thigh of the seat The part is moved to the rear of the vehicle most at once.

한편 본 발명의 입력 모듈(12)이 사용자로부터 제어 대상 기기(40)의 명칭 및 설정 명령 신호 예컨대 '시트 허벅지'를 음성으로 전달받은 경우(기능 선택 모드)를 가정한다. 이 경우 상기 제어 대상 기기(40)가 시트로 이루어질 경우 사용자가 방향키를 이용하여 'UP'를 한 번 입력하면 제어 대상 장치(30)는 시트의 허벅지 부분을 일정 높이만큼 상승 이동시키고(한 번 더 입력하면 일정 높이만큼 더 상승 이동) 사용자가 'DOWN'를 한 번 입력하면 시트의 허벅지 부분을 일정 높이만큼 하강 이동시킨다. 한편 사용자가 방향키를 이용하여 'LEFT'를 한 번 입력하면 제어 대상 장치(30)는 시트의 허벅지 부분을 차량의 앞 방향으로 일정 길이만큼 이동시키고(한 번 더 입력하면 일정 길이만큼 더 이동) 사용자가 'RIGHT'를 한 번 입력하면 시트의 허벅지 부분을 차량의 뒤 방향으로 일정 길이만큼 이동시킨다.On the other hand, it is assumed that the input module 12 of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a name of a control target device 40 and a setting command signal, for example, a 'sheet thigh' from a user (voice selection mode). In this case, when the control target device 40 is made of a sheet, when the user inputs 'UP' once using the direction keys, the control target device 30 moves the thigh portion of the seat up by a predetermined height (one more time). Move upward by a certain height when you enter it) When the user enters 'DOWN' once, the thigh of the seat is moved by a certain height. On the other hand, when the user inputs 'LEFT' once by using the direction key, the control target device 30 moves the thigh portion of the seat in the front direction of the vehicle by a predetermined length (when input again, the user moves further by a predetermined length). Enters 'RIGHT' once, and moves the seat's thigh to the rear of the vehicle by a certain length.

이와 같은 방식으로 차량의 등받이 각도, 헤드레스트의 위치 등을 조절할 수 있고 시트의 위치를 1번, 2번 등에 저장해놓고 사용자가 '시트 1번' 등을 음성으로 입력하면 시트의 위치를 해당 번호에 등록된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In this way, the backrest angle of the vehicle, the position of the headrest, etc. can be adjusted, and the position of the seat is stored in the first and second positions. You can move to the registered location.

마찬가지 방식으로 차량의 윈도우, 에어컨 및 히터의 온도 설정, 윈도우 및 좌석의 열선 동작, 내기 모드 및 외기 모드 간의 전환, 서리 및 성에 제거 등의 기능을 동작시킬 수 있다.
In the same way, it is possible to operate the functions of the window of the vehicle, the temperature setting of the air conditioner and the heater, the hot wire operation of the window and the seat, the switching between the bet mode and the outside mode, the frost and defrosting, and the like.

이하 본 발명의 음성인식을 이용한 차량 제어 네트워크(100)의 동작을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vehicle control network 100 using the voice recogn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실시예 1) - (기능 조작 모드)(Example 1)-(Function Operation Mode)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제어 네트워크의 실시예 1에 따른 동작의 순서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3 is a flowchart showing the sequence of operations according to Embodiment 1 of the vehicle control net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우선 차량 제어 시스템(10)의 설정 개시 버튼(11)은 사용자로부터 가압 신호를 입력받으면(S100) 설정 개시 신호를 차량의 제어 장치(20)로 전달한다(S102).First, when the setting start button 11 of the vehicle control system 10 receives a press signal from the user (S100), the setting start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device 20 of the vehicle (S102).

이어서 상기 차량 제어 시스템(10)의 제어 모듈(15)은 상기 제어 장치(20)로부터 상기 설정 개시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생성된 설정 개시 확인 신호를 전달받는다(S104).Subsequently, the control module 15 of the vehicle control system 10 receives a setting start confirmation signal generated in response to the setting start signal from the control device 20 (S104).

이어서 상기 차량 제어 시스템(10)의 제어 모듈(15)은 스피커를 통해서 사용자에게 음성 인식 개시 신호를 전달한다(S106).Subsequently, the control module 15 of the vehicle control system 10 transmits a voice recognition start signal to the user through a speaker (S106).

이어서 상기 차량 제어 시스템(10)의 입력 모듈(12)이 사용자로부터 제어하고자 하는 제어 대상 기기(40)의 명칭/설정 요청 값을 입력받는다(기능 조작 모드)(S108).Subsequently, the input module 12 of the vehicle control system 10 receives a name / setting request value of the control target device 40 to be controlled from the user (function operation mode) (S108).

이어서 상기 차량 제어 시스템(10)의 제어 모듈(15)은 상기 제어 대상 기기(40)의 명칭/설정 요청 값이 현재 차량의 시동 여부 또는 주행 여부에 따라 설정이 가능한 장치인지 여부를 파악한다(S110).Subsequently, the control module 15 of the vehicle control system 10 determines whether the name / setting request value of the control target device 40 is a device that can be set according to whether the current vehicle is started or driving (S110). ).

이어서 상기 차량 제어 시스템(10)의 제어 모듈(15)은 파악 결과 상기 제어 대상 기기(40)에 대한 설정이 가능한 상태이면 상기 제어 대상 기기(40)의 명칭/설정 요청 값을 제어 장치(20)(및 제어 대상 장치(30))를 통해서 제어 대상 기기(40)로 전달한다(S112).Subsequently, when the control module 15 of the vehicle control system 10 determines that the setting of the control target device 40 is possible, the control module 20 determines the name / setting request value of the control target device 40. (And the control target device 30) to the control target device 40 (S112).

상기 S110에서 상기 차량 제어 시스템(10)의 제어 모듈(15)은 파악 결과 상기 제어 대상 기기(40)에 대한 설정이 가능하지 않은 상태이면 사용자에게 설정 불가 메시지를 음성으로 알려준다(S114).In S110, when the control module 15 of the vehicle control system 10 determines that the setting of the control target device 40 is not possible, the control module 15 notifies a user of a non-setting message by voice (S114).

이어서 상기 차량 제어 시스템(10)의 제어 모듈(15)은 상기 제어 장치(20)로부터 상기 제어 장치(20)가 상기 제어 대상 장치(30)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제어 대상 장치(30)가 상기 제어 대상 기기(40)를 정상적으로 제어하였음을 나타내는 설정 요청 값 확인 메시지를 전달받는다(S115).Subsequently, the control module 15 of the vehicle control system 10 receives the control target device 30 received from the control device 20 by the control device 20 from the control device 30. In step S115, the device receives the setting request value confirmation message indicating that the device 40 is normally controlled.

이어서 상기 차량 제어 시스템(10)의 제어 모듈(15)은 스피커를 통해서 해당 기능을 수행하겠음을 나타내는 메시지 예컨대 '시트를 높게 하겠습니다.'를 음성으로 출력하고 사용자에게 기능 조작 모드가 종료되었음을 알려준다(S116).
Subsequently, the control module 15 of the vehicle control system 10 outputs a voice message, for example, 'will raise the seat', indicating that the function is to be performed through the speaker, and informs the user that the function operation mode has ended (S116). ).

(실시예 2) - (기능 선택 모드)(Example 2)-(Function Selection Mode)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제어 네트워크의 실시예 2에 따른 동작의 순서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4 is a flowchart showing the sequence of operations according to Embodiment 2 of the vehicle control net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우선 차량 제어 시스템(10)의 설정 개시 버튼(11)은 사용자로부터 가압 신호를 입력받으면(S200) 차량의 제어 장치(20)로 설정 개시 신호를 전달한다(S202).First, when the setting start button 11 of the vehicle control system 10 receives a pressurization signal from the user (S200), the setting start signal 11 transmits a setting start signal to the control device 20 of the vehicle (S202).

이어서 상기 차량 제어 시스템(10)의 제어 모듈(15)은 상기 제어 장치(20)로부터 상기 설정 개시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생성된 설정 개시 확인 신호를 전달받는다(S204).Subsequently, the control module 15 of the vehicle control system 10 receives a setting start confirmation signal generated in response to the setting start signal from the control device 20 (S204).

이어서 상기 차량 제어 시스템(10)의 제어 모듈(15)은 스피커를 통해서 사용자에게 음성 인식 개시 신호를 전달한다(S206).Subsequently, the control module 15 of the vehicle control system 10 transmits a voice recognition start signal to the user through a speaker (S206).

이어서 상기 차량 제어 시스템(10)의 입력 모듈(12)이 사용자로부터 제어하고자 하는 제어 대상 기기(40)의 명칭/설정 명령 신호를 입력받는다(기능 선택 모드)(S208). Subsequently, the input module 12 of the vehicle control system 10 receives a name / setting command signal of the control target device 40 to be controlled from the user (function selection mode) (S208).

이어서 상기 차량 제어 시스템(10)의 제어 모듈(15)은 상기 제어 대상 기기(40)의 명칭/설정 명령 신호가 현재 차량의 시동 여부 또는 주행 여부에 따라 설정이 가능한 장치인지 여부를 파악한다(S210).Subsequently, the control module 15 of the vehicle control system 10 determines whether the name / setting command signal of the control target device 40 is a device that can be set according to whether the current vehicle is started or driving (S210). ).

이어서 상기 차량 제어 시스템(10)의 제어 모듈(15)은 파악 결과 상기 제어 대상 기기(40)에 대한 설정이 가능한 상태이면 시스템 준비 요청 신호를 포함하는 상기 제어 대상 기기(40)의 명칭 및 설정 명령 신호를 제어 장치(20)로 전달한다.Subsequently, if the control module 15 of the vehicle control system 10 is capable of setting the control target device 40, the control module 15 of the vehicle control system 10 includes a name and a setting command of the control target device 40 including a system preparation request signal. The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device 20.

상기 S210에서 상기 차량 제어 시스템(10)의 제어 모듈(15)은 파악 결과 상기 제어 대상 기기(40)에 대한 설정이 가능하지 않은 상태이면 설정 불가 메시지를 사용자에게 음성으로 알려준다(S214).In operation S210, the control module 15 of the vehicle control system 10 notifies the user of a non-setting message by voice if the setting of the control target device 40 is not possible (S214).

이어서 상기 차량 제어 시스템(10)의 제어 모듈(15)은 상기 제어 장치(20)로부터 상기 제어 장치(20)가 제어 대상 장치(30)로부터 확인한 상기 제어 대상 장치(30)의 시스템 준비 확인 신호를 전달받는다(S216).Subsequently, the control module 15 of the vehicle control system 10 receives a system preparation confirmation signal of the control target device 30 that the control device 20 confirms from the control target device 30 from the control device 20. Received (S216).

이어서 상기 차량 제어 시스템(10)의 제어 모듈(15)은 설정 버튼(14)의 동작 상태를 확인하고 상기 설정 버튼(14)의 동작 상태가 정상적일 경우 제어 장치(20)로 설정 버튼(14)이 정상적으로 동작되고 있음을 나타내는 버튼 정상 동작 신호를 전달하고(S218) 상기 제어 장치(20)로부터 버튼 정상 동작 확인 신호를 전달받는다(S220).Subsequently, the control module 15 of the vehicle control system 10 checks the operating state of the setting button 14 and sets the setting button 14 to the control device 20 when the operating state of the setting button 14 is normal. The button normal operation signal indicating the normal operation is transmitted (S218) and the button normal operation confirmation signal is received from the control device 20 (S220).

이어서 상기 차량 제어 시스템(10)의 제어 모듈(15)은 스피커를 통해서 제어 대상 기기(40)에 대한 설정 가능 메시지를 사용자에게 음성으로 출력한다(S222).Subsequently, the control module 15 of the vehicle control system 10 outputs, through a speaker, a settable message for the control target device 40 as a voice to the user (S222).

이어서 상기 차량 제어 시스템(10)의 제어 모듈(15)은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어 대상 기기(40)에 대한 설정 요청 값을 설정 버튼(14)을 통해 입력받아 제어 장치(20)를 통해 제어 대상 장치(30)로 전달하여 상기 제어 대상 장치(30)가 상기 제어 대상 기기(40)를 상기 설정 요청 값에 따라 제어하도록 한다(S224).Subsequently, the control module 15 of the vehicle control system 10 receives a setting request value for the control target device 40 from a user through a setting button 14, and controls the control target device through the control device 20 ( 30, the control target device 30 controls the control target device 40 according to the setting request value (S224).

이어서 상기 차량 제어 시스템(10)의 제어 모듈(15)은 상기 제어 장치(20)로부터 상기 제어 장치(20)가 상기 제어 대상 장치(30)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제어 대상 장치(30)가 상기 제어 대상 기기(40)를 정상적으로 제어하였음을 나타내는 설정 요청 값 확인 메시지를 전달받는다(S226).Subsequently, the control module 15 of the vehicle control system 10 receives the control target device 30 received from the control device 20 by the control device 20 from the control device 30. The setup request value confirmation message indicating that the device 40 is normally controlled is received (S226).

이어서 상기 차량 제어 시스템(10)의 제어 모듈(15)은 상기 입력 모듈(12)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설정 개시 버튼(11)을 한 번 더 입력받거나 설정 시간 동안 상기 설정 버튼(14)에 입력이 없을 경우 스피커를 통해서 사용자에게 기능 선택 모드가 종료되었음을 알려준다(S228).Subsequently, the control module 15 of the vehicle control system 10 receives the setting start button 11 once more from the user through the input module 12 or there is no input to the setting button 14 for a setting time. If the speaker informs the user that the function selection mode has ended (S228).

이어서 상기 차량 제어 시스템(10)의 제어 모듈(15)은 상기 제어 장치(20)로 상기 제어 대상 기기(40)에 대한 설정 종료 요청을 전달한다(S230).Subsequently, the control module 15 of the vehicle control system 10 transmits a setting end request for the control target device 40 to the control device 20 (S230).

이어서 상기 차량 제어 시스템(10)의 제어 모듈(15)은 상기 제어 장치(20)로부터 상기 제어 장치(20)가 상기 제어 대상 장치(30)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설정 종료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생성된 설정 종료 요청 확인 메시지를 전달받는다(S232).Subsequently, the control module 15 of the vehicle control system 10 generates a setting generated in response to the setting end request received from the control device 20 by the control device 20 from the control device 20. Receive a termination request confirmation message (S232).

이상,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구성과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러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하기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As mentioned above,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y means of a limited configuration and drawings,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an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00: 차량 제어 네트워크
10: 차량 제어 시스템
20: 제어 장치
30: 제어 대상 장치
40: 제어 대상 기기
100: vehicle control network
10: vehicle control system
20: control device
30: controlled device
40: controlled device

Claims (6)

사용자로부터 설정 개시 버튼을 통해 상기 사용자가 제어하고자 하는 제어 대상 기기의 명칭과 설정 요청 값 또는 설정 명령 신호를 음성으로 입력받는 입력 모듈; 및
상기 입력 모듈이 사용자로부터 제어 대상 기기의 명칭 및 설정 요청 값을 음성으로 입력받은 경우 상기 제어 대상 기기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로 상기 명칭 및 설정 요청 값을 전달하여 상기 제어 장치가 상기 설정 요청 값을 이용하여 상기 제어 대상 기기를 제어하게 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입력 모듈이 사용자로부터 제어 대상 기기의 명칭 및 설정 명령 신호를 음성으로 전달받은 경우 사용자에게 설정 가능 메시지를 전달하고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어 대상 기기에 대한 설정 요청 값을 설정 버튼을 통해 입력받아 상기 제어 장치를 통해 상기 제어 대상 기기로 전달하는 음성인식을 이용한 차량 제어 시스템.
An input module for receiving a name, a setting request value, or a setting command signal of a control target device to be controlled by the user through a setting start button from a user by voice; And
When the input module receives a name and a setting request value of a control target device by voice from a user, the controller transmits the name and a setting request value to a control device controlling the control target device so that the control device uses the setting request value. A control module for controlling the control target device
The control module, when the input module receives a name and a setting command signal of a control target device by voice from a user, delivers a configurable message to the user and inputs a setting request value for the control target device from a user through a setting button. Vehicle control system using the voice recognition to receive and transmit to the control target device through the control device.
청구항 1에 있어서,
차량의 스티어링 휠에 설치되고 PTT 버튼(Push To Talk)으로 이루어진 설정 개시 버튼; 및
상기 스티어링 휠에 설치되고 상기 설정 요청 값을 설정 할 수 있도록 방향키로 이루어진 설정 버튼을 더 포함하는 음성인식을 이용한 차량 제어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setting start button installed on a steering wheel of the vehicle and formed of a PTT button (Push To Talk); And
The vehicle control system using a voice recognition further comprises a setting button which is installed on the steering wheel and consisting of a direction key to set the setting request valu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설정 버튼을 통해 상기 설정 요청 값을 입력받은 상태에서 상기 입력 모듈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설정 개시 버튼을 더 입력받거나 설정 시간 동안 상기 설정 버튼에 입력이 없을 경우 상기 제어 장치로 상기 제어 대상 기기에 대한 설정 종료 요청을 전달하는 음성인식을 이용한 차량 제어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module may further receive a setting start button from a user through the input module in the state of receiving the setting request value through the setting button or, if there is no input to the setting button during a setting time, the control object to the control device. A vehicle control system using voice recognition to transmit a setting end request for a device.
청구항 1에 있어서,
차량의 시동 여부 또는 주행 여부에 따라 상기 제어 대상 기기에 대한 설정 가능 여부가 저장된 저장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모듈은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어 대상 기기에 대해 설정 가능 여부를 결정하는 음성인식을 이용한 차량 제어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storage module configured to store whether the control target device can be set according to whether the vehicle is started or driven.
The control module is a vehicle control system using a voice recognition to determine whether the user can set the control target device from the use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 대상 기기는 도어, 윈도우, 에어컨, 히터, 열선, 송풍장치 또는 시트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어 대상 기기는 상기 제어 대상 기기를 제어하는 제어 대상 장치를 통해 상기 제어 장치로부터 상기 설정 요청 값을 전달받는 음성인식을 이용한 차량 제어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target device is made of any one of a door, a window, an air conditioner, a heater, a heating wire, a blower or a seat,
And the control target device receives the setting request value from the control device through a control target device for controlling the control target devic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은 사용자로부터 설정 개시 버튼을 입력받으면 차량의 송풍 장치의 회전 속도 또는 차량의 오디오의 음량을 감소시키는 명령 신호를 상기 송풍 장치 또는 카오디오를 제어하는 상기 제어 장치로 전달하는 차량 제어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module transmits a command signal for reducing the rotational speed of the blower of the vehicle or the volume of the audio of the vehicle to the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the blower or car audio when the control module receives a setting start button from the user.
KR1020100114120A 2010-11-16 2010-11-16 A vehicle controlling system using a voice recognition KR20120052805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4120A KR20120052805A (en) 2010-11-16 2010-11-16 A vehicle controlling system using a voice recogni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4120A KR20120052805A (en) 2010-11-16 2010-11-16 A vehicle controlling system using a voice recogni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2805A true KR20120052805A (en) 2012-05-24

Family

ID=462693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4120A KR20120052805A (en) 2010-11-16 2010-11-16 A vehicle controlling system using a voice recogni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52805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62340B2 (en) 2014-11-03 2018-01-09 Hyundai Motor Company Vehicle control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13479214A (en) * 2021-08-16 2021-10-08 国汽智控(北京)科技有限公司 Automatic driving system and application method thereof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62340B2 (en) 2014-11-03 2018-01-09 Hyundai Motor Company Vehicle control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13479214A (en) * 2021-08-16 2021-10-08 国汽智控(北京)科技有限公司 Automatic driving system and application method thereof
CN113479214B (en) * 2021-08-16 2022-08-12 国汽智控(北京)科技有限公司 Automatic driving system and application method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06063B2 (en) Cold/warm headrest for vehicle and method of controlling operation thereof
CN104340016B (en) Method for heating to vehicle interior compartment
US7621594B2 (en) Air supply mechanism for a vehicle seat, and method for the operation thereof
US973827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te parking
CN107985230A (en) A kind of automotive seat and steering wheel self-checking device
KR20120052805A (en) A vehicle controlling system using a voice recognition
CN107380017B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automobile rear tail door and rearview mirror
CN114944051A (en) Control method and device for vehicle cabin, vehicle and mobile equipment
US20180029548A1 (en) Pre-entry auto-adjustment of vehicle settings
JP7221744B2 (en) air conditioning control system
WO2013145655A1 (en) Remote control system
KR102633946B1 (en) User body temperature assistance system associated with vehicle air conditioning system
JP2008307182A (en) Seat cooling device of automobile
CN113696844B (en) Vehicle cabin film watching method and device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CN216184690U (en) Control system integrating seat massage and heating functions and vehicle seat
CN109455063A (en) Radiating heat system comprising steering wheel position monitoring device
CN211493737U (en) Intelligent seat backrest of automobile
CN108790958A (en) The control system of operator seat seat for automobile
CN106004726A (en) System and method for adjusting seat of automobile
CN110316116A (en) Vehicle-mounted multimedia terminal, ECU, vehicle and device to be regulated adjusting method and system
CN114701407A (en) Method and device for adjusting vehicle seat and vehicle
CN112721565A (en) Vehicle-mounted air conditioner control method, vehicle and medium
CN108790961A (en) A kind of car steering position seat
CN108608897A (en) A kind of car steering position seat
US20220258563A1 (en) Control system of manual-type air conditioner for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