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51117A - 터치스크린패널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터치스크린패널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51117A
KR20120051117A KR1020100112376A KR20100112376A KR20120051117A KR 20120051117 A KR20120051117 A KR 20120051117A KR 1020100112376 A KR1020100112376 A KR 1020100112376A KR 20100112376 A KR20100112376 A KR 20100112376A KR 20120051117 A KR20120051117 A KR 201200511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screen
screen panel
display device
panel display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23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성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123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51117A/ko
Priority to US13/176,062 priority patent/US20120120005A1/en
Publication of KR201200511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111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02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 H04N13/31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using parallax barri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8Input devices, e.g. touch pan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패널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3차원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터치스크린패널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디스플레이의 상부에 적층된 터치스크린패널 센서필름 및 터치스크린패널 센서필름의 상부에 적층된 윈도우를 구비한 터치스크린패널 표시장치로서, 터치스크린패널 센서필름의 상면과 윈도우의 하면 사이, 또는 디스플레이의 상면과 터치스크린패널 센서필름의 하면 사이에 적층되어 있으며, 좌안에 대응하는 픽셀의 광과 우안에 대응하는 픽셀의 광을 각각 좌안과 우안으로 투과시키기 위한 시차방벽 필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어, 2D LCD를 이용하여 저렴하게 제조할 수 있으며, 3차원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터치스크린패널 표시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터치스크린패널 표시장치{Touch screen panel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패널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3차원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터치스크린패널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 3차원 디스플레이 제품이 3D(three dimensions) TV의 보급을 통해 보편화될 예정이며 휴대단말기에도 곧 3차원 디스플레이에 대한 수요가 예상되고 있다. 또한, 2010년 5월말부터 지상파 TV에서도 3D 방송을 66번 채널에서 행하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지상파에서 제작된 3차원 콘텐츠를 기반으로 3차원 디스플레이가 사용자에게 많은 서비스를 제공할 것으로 보인다.
그런데, 종래의 휴대단말기의 표시장치는 2차원 영상만을 표시할 수 있는 2D LCD(two dimensional liquid crystal display)를 사용하기 때문에 3차원영상을 표시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3차원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3D LCD(three dimensional liquid crystal display)를 휴대단말기 표시장치에 적용하는 구조도 생각할 수 있으나, 이러한 3D LCD는, 2D LCD의 뒷면에 또 다른 제2의 매트릭스(matrix)를 추가하는 방식으로 제작되기 때문에 제조비용이 너무 높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2D LCD를 이용하여 저렴하게 제조할 수 있으며, 3차원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터치스크린패널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는, 디스플레이, 디스플레이의 상부에 적층된 터치스크린패널 센서필름(touch screen panel sensor film) 및 터치스크린패널 센서필름의 상부에 적층된 윈도우(window)를 구비한 터치스크린패널 표시장치로서, 터치스크린패널 센서필름의 상면과 윈도우의 하면 사이에 적층되어 있으며, 좌안(左眼)에 대응하는 픽셀(pixel)의 광과 우안(右眼)에 대응하는 픽셀의 광을 각각 좌안과 우안으로 투과시키기 위한 시차방벽 필름(parallax barrier film)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는, 디스플레이, 디스플레이의 상부에 적층된 터치스크린패널 센서필름 및 터치스크린패널 센서필름의 상부에 적층된 윈도우를 구비한 터치스크린패널 표시장치로서, 디스플레이의 상면과 터치스크린패널 센서필름의 하면 사이에 적층되어 있으며, 좌안에 대응하는 픽셀의 광과 우안에 대응하는 픽셀의 광을 각각 좌안과 우안으로 투과시키기 위한 시차방벽 필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시차방벽 필름이 터치스크린패널 센서필름의 상면과 윈도우의 하면 사이, 또는 디스플레이의 상면과 터치스크린패널 센서필름의 하면 사이에 적층되어 있기 때문에, 2D LCD를 이용하여 저렴하게 제조할 수 있으며, 3차원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터치스크린패널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터치스크린패널 표시장치를 구비한 휴대단말기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점선(A-A')을 따라 절단된 터치스크린패널 표시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시차방벽 필름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터치스크린패널 표시장치가 3차원영상을 표시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터치스크린패널 표시장치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터치스크린패널 표시장치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터치스크린패널 표시장치를 구비한 휴대단말기의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점선(A-A')을 따라 절단된 터치스크린패널 표시장치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시차방벽 필름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터치스크린패널 표시장치가 3차원영상을 표시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이다. 참고로, 도 1에 도시된 점선(A-A')은 휴대단말기(101)의 가로방향을 향하고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터치스크린패널 표시장치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스크린패널 표시장치(100)는 디스플레이(110), 터치스크린패널 센서필름(120), 윈도우(140) 및 시차방벽 필름(130)을 구비한다.
디스플레이(110)는 영상을 표시하는 요소로서, 본 실시형태의 경우 2D LCD 또는 2D AMOLED(two dimensional 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ing diode)로 이루어진다. 디스플레이(110)의 하부에는 디스플레이(110)를 보호하고 지지하기 위한 몰드(mold; 150)와 브라켓(bracket; 160)이 배치되어 있다.
터치스크린패널 센서필름(120)은 사용자의 터치를 인식하기 위한 요소로서, 디스플레이의 상부에 적층되어 있다. 터치스크린패널 센서필름(120)은 ITO(indium tin oxide) 패턴이 형성된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재질의 필름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터치스크린패널 센서필름(120)의 하면 가장자리에는 터치스크린패널 센서필름(120)과 디스플레이를 서로 고정시키기 위한 양면테이프(111)가 부착되어 있다.
윈도우(140)는 터치스크린패널 센서필름을 보호하고 사용자가 입력을 위해 터치하는 요소로서, 터치스크린패널 센서필름의 상부에 적층되어 있다. 윈도우(140)는 PET 또는 글래스(glass)로 이루어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윈도우(140)와 터치스크린 센서필름(120)의 외측에는 터치스크린패널 표시장치(100)를 외부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상부프레임(170)이 형성되어 있다.
시차방벽 필름(130)은, 좌안에 대응하는 픽셀의 광과 우안에 대응하는 픽셀의 광을 각각 좌안과 우안으로 투과시키기 위한 요소로서, 터치스크린패널 센서필름(120)의 상면과 윈도우(140)의 하면 사이에 적층되어 있다. 시차방벽 필름(130)은 서로 교대하며 배치되어 있는 광차단부(131)와 광투과부(132), 및 블랙마크(black mark)형성부(133)로 이루어져 있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블랙마크형성부(133)는 시차방벽 필름(130)에 형성되어 있지만, 윈도우(140)의 하면 가장자리에 인쇄방식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광투과부(132)는 공간이 아닌 투명재질의 필름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투과부(132)가 빈 공간으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윈도우(140)와 광투과부(132) 사이의 굴절율 차이로 인한 반사로 인해 화면의 선명도가 감소될 수 있지만, 광투과부(132)가 투명재질의 필름으로 이루어져 있는 경우에는 이러한 굴절율 차이가 감소되기 때문에 화면의 선명도 감소를 방지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광차단부(131)는 휴대단말기(101)의 세로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단말기를 세로방향으로 놓은 상태로 3차원영상을 감상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와 달리, 광차단부(131)가 휴대단말기(101)의 가로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을 수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사용자가 휴대단말기를 가로방향으로 놓은 상태로 3차원영상을 감상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터치스크린패널 표시장치가 3차원영상을 표시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안용 픽셀(20a)과 좌안용 픽셀(20b)이 디스플레이에 교대로 형성되어 있고, 광차단부(131)가 이러한 우안용 픽셀(20a)과 좌안용 픽셀(20b) 앞에 형성되어 있다. 우안용 픽셀(20a)의 광과 좌안용 픽셀(20b)의 광은 각각 광차단부(131) 옆에 형성되어 있는 광투과부들(132a, 132b)을 지나 우안(10a)과 좌안(10b)으로 향하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입체감 있는 영상을 감상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시차방벽 필름(130)이 터치스크린패널에 형성됨으로써 기존의 저렴한 2D LCD를 이용하면서 3차원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터치스크린패널 표시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터치스크린패널 표시장치(200)는, 제 1 실시형태와 달리, 시차방벽 필름(230)이 디스플레이(210)의 상면과 터치스크린패널 센서필름(220)의 하면 사이에 적층되어 있다. 이에 따라, 블랙마크형성부(233)는 시차방벽 필름(230)에 형성되어 있지 않고, 윈도우(240)의 하면 가장자리에 인쇄방식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터치스크린패널 표시장치(200)는, 상기 구성을 제외하면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터치스크린패널 표시장치(100)의 구성과 동일하다.
본 실시형태의 광투과부(232)는 빈 공간이 아닌 투명재질의 필름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종래기술의 터치스크린패널 표시장치에 따르면, 디스플레이(210)와 터치스크린패널 센서필름(220) 사이에 에어갭이 형성되어, 굴절율 차이로 인한 반사 때문에 화면의 선명도가 감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광투과부(232)가 투명재질의 필름으로 이루어져 있는 경우에는 이러한 굴절율 차이로 인한 반사를 방지하여 화면의 선명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예시 도면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중심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된 형태로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0, 200: 터치스크린패널 표시장치 101: 휴대단말기
110, 210: 디스플레이 111, 211: 양면테이프
120, 220: 터치스크린패널 센서필름 130, 230: 시차방벽 필름
131, 231: 광차단부 132, 232: 광투과부
133, 233: 블랙마크형성부 140, 240: 윈도우
150, 250: 몰드 160, 260: 브라켓
170, 270: 상부프레임

Claims (6)

  1. 디스플레이, 상기 디스플레이의 상부에 적층된 터치스크린패널 센서필름 및 상기 터치스크린패널 센서필름의 상부에 적층된 윈도우를 구비한 터치스크린패널 표시장치로서,
    상기 터치스크린패널 센서필름의 상면과 상기 윈도우의 하면 사이에 적층되어 있으며, 좌안에 대응하는 픽셀의 광과 우안에 대응하는 픽셀의 광을 각각 좌안과 우안으로 투과시키기 위한 시차방벽 필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패널 표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차방벽 필름은 서로 교대하며 배치되어 있는 광차단부와 광투과부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패널 표시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광투과부는 투명재질의 필름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패널 표시장치.
  4. 디스플레이, 상기 디스플레이의 상부에 적층된 터치스크린패널 센서필름 및 상기 터치스크린패널 센서필름의 상부에 적층된 윈도우를 구비한 터치스크린패널 표시장치로서,
    상기 디스플레이의 상면과 상기 터치스크린패널 센서필름의 하면 사이에 적층되어 있으며, 좌안에 대응하는 픽셀의 광과 우안에 대응하는 픽셀의 광을 각각 좌안과 우안으로 투과시키기 위한 시차방벽 필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패널 표시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시차방벽 필름은 서로 교대하며 배치되어 있는 광차단부와 광투과부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패널 표시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광투과부는 투명재질의 필름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패널 표시장치.
KR1020100112376A 2010-11-12 2010-11-12 터치스크린패널 표시장치 KR20120051117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2376A KR20120051117A (ko) 2010-11-12 2010-11-12 터치스크린패널 표시장치
US13/176,062 US20120120005A1 (en) 2010-11-12 2011-07-05 Touch screen panel displa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2376A KR20120051117A (ko) 2010-11-12 2010-11-12 터치스크린패널 표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1117A true KR20120051117A (ko) 2012-05-22

Family

ID=460473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2376A KR20120051117A (ko) 2010-11-12 2010-11-12 터치스크린패널 표시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20120005A1 (ko)
KR (1) KR20120051117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669531S1 (en) * 2012-02-24 2012-10-23 Steelcase Inc. Display board
CN103324001B (zh) * 2013-05-24 2016-03-16 北京京东方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触摸式裸眼3d光栅及显示装置
CN105445949B (zh) * 2016-01-26 2020-04-28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三维显示装置
CN105786263B (zh) * 2016-05-13 2018-09-1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内嵌式触摸屏及其驱动方法、显示装置
USD787593S1 (en) 2016-06-29 2017-05-23 Bruce Robins Whiteboard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8777B1 (ko) * 2004-04-07 2007-06-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패럴랙스 베리어 및 이를 구비한 입체 영상 표시장치
CN101821704B (zh) * 2007-11-29 2013-03-27 夏普株式会社 显示装置
WO2009116205A1 (ja) * 2008-03-21 2009-09-24 シャープ株式会社 タッチセンサー内蔵液晶表示装置
TWI414170B (zh) * 2009-04-29 2013-11-01 Unique Instr Co Ltd A device with a 2D and 3D image display function mobile phone
JP5226630B2 (ja) * 2009-08-26 2013-07-03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イースト 液晶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20120005A1 (en) 2012-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31623B2 (en) Display device
KR101309424B1 (ko)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JP4367258B2 (ja) 入出力装置及び端末装置
US8587556B2 (en) Touch screen 2D/3D display system and method
US9632325B2 (en) Liquid crystal slit grating and stereoscopic display device
KR102230549B1 (ko) 접촉 감지 기능을 가진 광학계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US20200257133A1 (en) Switching barrier and 3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CN103455193A (zh) 显示装置
US10795177B2 (en) Prism sheet for auto-stereoscopic 3D display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same
EP2816392B1 (en) Display apparatus and touch panel
US20130222719A1 (en) Three-dimensional display device
KR20120051117A (ko) 터치스크린패널 표시장치
US20150153610A1 (en) Display device
CN102928904A (zh) 透镜光栅及显示装置
JP2019220470A (ja) 表示装置
US20150070476A1 (en) Three-dimensional display device
US20080204356A1 (en) Multi-display apparatus
US11327336B2 (en) Panel with virtual curved display surface and display device
US20190121148A1 (en) Grating, stereoscopic three-dimensional (3d) display device, and display method
US20140063602A1 (en) Pixel Structure And Display Device
US8823695B2 (en) 3D display, barrier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for
US20140267959A1 (en)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JP2015161806A (ja) タッチパネル付立体視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表示装置
TWI443417B (zh) 立體顯示器、屏障裝置及其驅動方法
KR20130020299A (ko) 프리즘을 이용한 광 시야각 입체 영상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