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50077A - 동기화 프로토콜 자동 설정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동기화 프로토콜 자동 설정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50077A
KR20120050077A KR1020100111404A KR20100111404A KR20120050077A KR 20120050077 A KR20120050077 A KR 20120050077A KR 1020100111404 A KR1020100111404 A KR 1020100111404A KR 20100111404 A KR20100111404 A KR 20100111404A KR 20120050077 A KR20120050077 A KR 201200500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ynchronization
terminal
user terminal
type
data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14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덕현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114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50077A/ko
Publication of KR201200500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007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14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38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 G06F13/42Bus transfer protocol, e.g. handshake; Synchronis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 G06F15/163Interprocessor communication
    • G06F15/173Interprocessor communication using an interconnection network, e.g. matrix, shuffle, pyramid, star, snowflake
    • G06F15/17306Intercommunication techniques
    • G06F15/17325Synchronisation; Hardware support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95Replication or mirroring of data, e.g. scheduling or transport for data synchronisation between network n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PC 장치에서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 가능한 단말기를 검색하여 연결 시도가 있는 경우에, 단말기의 종류 및 제조사 정보 등을 인식하여 해당 단말기에서 제공 가능한 동기화 프로토콜을 자동으로 인식하고, 장치 관리자가 제조사 정보, 단말기의 종류 및 제공 가능한 프로토콜의 정보를 동기화 관리자에게 전달하여 사용 가능한 동기화 정보를 자동으로 인지하여 동기화 프로토콜을 자동으로 설정할 수 있도록 된, 동기화 프로토콜 자동 설정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동기화 프로토콜 자동 설정 시스템은, 단말기의 종류 및 제조사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단말기의 종류 및 제조사 정보에 대응된 동기화 프로토콜을 구비하고 있으며, 근거리 통신을 통해 데이터 장치로부터 접속이 있는 경우에, 상기 단말기의 종류 및 제조사 정보를 상기 데이터 장치에 전송해 주며, 이후 상기 동기화 프로토콜을 통해 상기 데이터 장치와 동기화를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기; 및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 가능한 단말기를 검색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접속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단말기의 종류 및 제조사 정보를 수신하여 인식하고, 상기 단말기의 종류 및 제조사 정보에 대응된 동기화 프로토콜을 설정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동기화를 수행하는 데이터 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동기화 프로토콜 자동 설정 시스템 및 방법{Synchronyze protocol setting system and method}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와 PC 장치 간에 데이터 전송을 위해 동기화를 수행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자세하게는 PC 장치에서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 가능한 단말기를 검색하여 연결 시도가 있는 경우에, 단말기의 종류 및 제조사 정보 등을 인식하여 해당 단말기에서 제공 가능한 동기화 프로토콜을 자동으로 인식하고, 장치 관리자가 제조사 정보, 단말기의 종류 및 제공 가능한 프로토콜의 정보를 동기화 관리자에게 전달하여 사용 가능한 동기화 정보를 자동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동기화는 둘 이상의 장치들 사이에서 동기화되는 단일 파일에 의한 프로세스이다. 프로세스는 데이터 세트가 장치들 사이에서 일반적으로 동등해질 때까지 장치들 사이에서 앞 그리고 뒤의 변화들을 자동으로 카피(copy)함으로써 수행된다. 파일들 또는 데이터 세트들의 동기화는 무선 환경에서 더욱 흔해지고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무선 장치에 저장된 사용자의 콘택트(contact) 리스트는 다른 무선 장치들 또는 네트워킹 된 데이터베이스들과 동기화될 수 있다.
데이터 세트들의 동기화는, 데이터 교환을 트리거(trigger) 하는 온-라인 모드로 이동하기 전에 오프-라인 모드에서 사용되는 어플리케이션들에서의 경우에 특별히 유익하다. 예시적인 애플리케이션은 전자메일(이메일)을 포함하며, 여기서 사용자가 오프-라인 모드 동안 이메일을 입력하고, 장치가 온-라인 모드로 리턴하면 이메일이 네트워크 데이터베이스로 후속적으로 전송된다.
동기화 프로세스는 또한 커뮤니티(community)-타입 환경들에서 구현되고, 여기서 복수의 사용자들이 공유 네트워크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상호작용한다. 예를 들어, 무선 환경에서, 사용자들이 실-시간 비디오 게임들에 참여하도록 허용하는, 게이밍 커뮤니티들은 또한 중앙 네트워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고 공유될 게이밍 정보를 제공한다. 이러한 커뮤니티 액티비티들은 또한 오프-라인 모드에서 사용하기 쉬우며, 여기서 사용자는 사용자의 내부에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를 변경할 수 있고, 변경들은 사용자가 온-라인 모드로 이동할 때 네트워크 데이터베이스와 동기화된다.
한편, 개인 휴대 단말(PDA) 등과 같은 무선 장치를 개인용 컴퓨터에 시리얼 접속을 가지는 도킹(dock) 장치에 도킹함으로써 동기화는 국부적으로(locally)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타입의 동기화는 서로 매우 근접하게 될 무선 장치 및 컴퓨터를 필요로 한다. 그러나 더욱 강력한 무선 장치들의 출현이 무선 네트워크를 통한 데이터 세트들의 원격 동기화를 가능하게 한다.
데이터의 원격 동기화가 SyncML(Synchronization Markup Language)를 통해 수행되었고, 이는 무선 네트워크들에 대한 공통 데이터 동기화 프로토콜을 제공한다. SyncML은, 무선 동기화("sync") 세션 동안 일어나는(transpire) 모든 SyncML 통신들에 대한 기초의(underlying) 캐리어 프로토콜로서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에 의존한다. 복수의 메시지들이 임의의 하나의 sync 세션 동안 무선 장치 및 네트워크 서버 사이에서 전송된다. 추가적으로, 각각의 메시지의 데이터 구조는 메시지들을 교환하기 위해 높은 대역폭 요구사항을 초래한다. 따라서, SyncML은, 복수의 메시지들의 교환을 필요로 하는 상대적으로 복잡한 동기화 프로세스이며, 더 많은 양의 네트워크 대역폭을 요구하며, 그리고 완료를 위해 상대적으로 긴 시간의 양을 요구한다. 셀룰러 네트워크들의 제한들(예를 들어, 신호의 잠재적인 손실, 대역폭 제한들 등)과 연관된, SyncML 프로세스의 복잡도는 동기화 프로세스가 보다 신뢰적이지 않게 한다. 예를 들어, 동기화 프로세스 동안 연결의 실패 또는 연결의 드롭은 종종 전체 동기화 프로세스를 수행하기 위한 필요를 초래한다. 변경들이 발생한 것과 대조적으로, 전체 동기화 프로세스 동안, 전체 데이터 세트는 무선 장치 또는 네트워크로 전달된다.
따라서, 현재의 무선 솔루션들 보다 덜 복잡하고, 더욱 효율적이며, 그리고 더욱 견고한 무선 발전을 위한 동기화 프로세스를 개발할 요구가 존재한다.
전술한 사정을 감안한 본 발명은, PC 장치에서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 가능한 단말기를 검색하여 연결 시도가 있는 경우에, 단말기의 종류 및 제조사 정보 등을 인식하여 해당 단말기에서 제공 가능한 동기화 프로토콜을 자동으로 인식하고, 장치 관리자가 제조사 정보, 단말기의 종류 및 제공 가능한 프로토콜의 정보를 동기화 관리자에게 전달하여 사용 가능한 동기화 정보를 자동으로 인지하여 동기화 프로토콜을 자동으로 설정할 수 있도록 된, 동기화 프로토콜 자동 설정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단말기의 종류 및 제조사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단말기의 종류 및 제조사 정보에 대응된 동기화 프로토콜을 구비하고 있으며, 근거리 통신을 통해 데이터 장치로부터 접속이 있는 경우에, 상기 단말기의 종류 및 제조사 정보를 상기 데이터 장치에 전송해 주며, 이후 상기 동기화 프로토콜을 통해 상기 데이터 장치와 동기화를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기; 및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 가능한 단말기를 검색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접속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단말기의 종류 및 제조사 정보를 수신하여 인식하고, 상기 단말기의 종류 및 제조사 정보에 대응된 동기화 프로토콜을 설정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동기화를 수행하는 데이터 장치를 포함하는 동기화 프로토콜 자동 설정 시스템이 제공된다.
한편,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데이터 장치와 통신망을 통해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 단말기의 종류 및 제조사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저장부; 상기 단말기의 종류 및 제조사 정보에 대응된 동기화 프로토콜을 구비하여, 상기 동기화 프로토콜을 통해 상기 데이터 장치와 동기화를 수행하는 동기화 처리부; 사용자로부터 데이터나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입력부; 상기 동기화 처리 상태를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데이터 장치에 접속된 경우, 상기 단말기의 종류 및 제조사 정보를 상기 데이터 장치에 전송하고, 상기 동기화 처리부에 의한 상기 동기화 프로토콜을 이용해 상기 데이터 장치와 동기화를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기가 제공된다.
한편,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다른 측면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기에 통신망을 통해 접속하거나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전송 관리부(Transport Manager); 각각의 단말기의 종류 및 제조사 정보에 대응된 각각의 동기화 프로토콜을 저장하여 관리하는 동기화정보 저장부(Sync Protocol Library);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접속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단말기의 종류 및 제조사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수신된 단말기의 종류 및 제조사 정보에 대응된 동기화 프로토콜을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동기화 프로토콜을 동기화 수행부에 전달하는 장치 관리부(Device Manager); 상기 장치 관리부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동기화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동기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동기화를 수행하는 동기화 수행부(Sync Agent); 및 상기 동기화를 수행하는 상태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데이터 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접속한 이후,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동기화를 수행하도록 동기화 요청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동기화 수행부는, 상기 동기화 어플리케이션에 대해 세부 동기화 프로토콜의 종류에 상관없이 동일한 동기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동기화 프로토콜에 대한 상세 내역을 알지 못하더라도 범용적인 인터페이스만을 사용해서 동기화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다른 측면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기에 통신망을 통해 접속하거나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전송 관리부(Transport Manager); 각각의 단말기의 종류 및 제조사 정보에 대응된 각각의 동기화 프로토콜을 저장하여 관리하는 동기화정보 저장부(Sync Protocol Library);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접속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단말기의 종류 및 제조사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수신된 단말기의 종류 및 제조사 정보에 대응된 동기화 프로토콜을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동기화 프로토콜을 세션 관리부에 전달하는 장치 관리부(Device Manager); 상기 장치 관리부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동기화 프로토콜의 지원 여부를 파악하여 연결이 가능한 경우, 상기 동기화 프로토콜을 이용해 동기화 세션을 설정하는 세션 관리부(Session Manager); 및 동기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상기 설정된 동기화 세션과 상기 동기화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동기화를 수행하는 동기화 수행부(Sync Agent)를 포함하는 데이터 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동기화 수행부는, 하위 단의 동기 방식에 구애없이 동일한 동기화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해 동기화를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동기화 수행부는, 상기 동기화 어플리케이션에 대해 세부 동기화 프로토콜의 종류에 상관없이 동일한 동기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동기화 프로토콜에 대한 상세 내역을 알지 못하더라도 범용적인 인터페이스만을 사용해서 동기화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다른 측면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기와 데이터 장치 간에 통신하는 시스템의 동기화 프로토콜 자동 설정 방법으로서, (a) 상기 데이터 장치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 가능한 단말기를 검색하는 단계; (b) 상기 검색된 사용자 단말기가 단말기의 종류 및 제조사 정보를 상기 데이터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 및 (c) 상기 데이터 장치가 상기 단말기의 종류 및 제조사 정보를 인식하여, 그에 대응된 동기화 프로토콜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동기화 프로토콜 자동 설정 방법이 제공된다.
한편,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다른 측면에 따르면, 데이터 장치와 통신망을 통해 통신하는 사용자 단말기의 동기화 프로토콜 설정 방법으로서, (a) 상기 통신망을 통해 발견된 상기 데이터 장치와 접속하는 단계; (b) 상기 데이터 장치에 단말기의 종류 및 제조사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c) 상기 데이터 장치로부터 상기 단말기의 종류 및 제조사 정보에 대응된 동기화 프로토콜을 통해 동기화를 요청받는 단계; 및 (d) 상기 단말기의 종류 및 제조사 정보에 대응된 동기화 프로토콜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기의 동기화 프로토콜 설정 방법이 제공된다.
한편,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다른 측면에 따르면, (a)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 가능한 단말기를 검색하는 단계; (b)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검색되어,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 가능 상태로 되는 단계; (c)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단말기의 종류 및 제조사 정보를 제공받는 단계; (d) 상기 단말기의 종류 및 제조사 정보에 대응된 동기화 프로토콜을 인식하는 단계; 및 (e) 상기 인식된 동기화 프로토콜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 장치의 동기화 프로토콜 자동 설정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f) 상기 설정된 동기화 프로토콜을 이용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동기화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f) 단계는, 동기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실행하며, 상기 동기화 어플리케이션에 대해 세부 동기화 프로토콜의 종류에 상관없이 동일한 동기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동기화 프로토콜에 대한 상세 내역을 알지 못하더라도 범용적인 인터페이스만을 사용해서 동기화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양한 디바이스 간 다양한 동기화 방식을 지원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디바이스 간 동기화 서비스를 손쉽게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또는 관리자가 휴대용 단말기와 PC 장치 간에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동기화 과정을 별도로 수행할 필요가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기화 프로토콜 자동 설정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의 기능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장치의 기능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장치의 기능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기화 프로토콜 자동 설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전체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의 동기화 프로토콜 설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장치의 동기화 프로토콜 자동 설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과 기술적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 효과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본 발명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에 의거한 이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기화 프로토콜 자동 설정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동기화 프로토콜 자동 설정 시스템(100)은, 사용자 단말기(110), 유/무선 통신망(120), 데이터 장치(130) 등을 포함한다.
사용자 단말기(110)는 단말기의 종류 및 제조사 정보를 저장하고, 단말기의 종류 및 제조사 정보에 대응된 동기화 프로토콜을 구비하고 있으며, 근거리 통신을 통해 데이터 장치(130)로부터 접속이 있는 경우에, 단말기의 종류 및 제조사 정보를 데이터 장치(130)에 전송해 주며, 이후 동기화 프로토콜을 통해 데이터 장치(130)와 동기화를 수행한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기(110)는,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는 이동 단말기, PSTN(Public Switching Telephone Network) 등 유선 통신망에 연결된 유선 단말기, 유/무선 통신망(120)에 연결된 모국(母局)장치와 근거리 통신망을 이용해 통신하는 무선 단말기 등을 포함한다.
유/무선 통신망(120)은 WCDMA, HSPA 등의 이동 통신망과, 블루투스(Bluetooth)나 지그비(Zigbee), 와이파이(Wi-Fi) 등의 근거리 통신망, 인터넷이나 PSTN 등의 유선 통신망을 포함한다.
데이터 장치(13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 가능한 단말기를 검색하여 사용자 단말기(110)가 접속된 경우, 사용자 단말기(110)로부터 단말기의 종류 및 제조사 정보를 수신하여 인식하고, 단말기의 종류 및 제조사 정보에 대응된 동기화 프로토콜을 설정하여 사용자 단말기(110)와 동기화를 수행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의 기능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110)는, 통신부(210), 저장부(220), 동기화 처리부(230), 입력부(240), 제어부(250) 및 디스플레이부(260) 등을 포함한다.
통신부(210)는 데이터 장치(130)와 유/무선 통신망(220)을 통해 통신한다.
저장부(220)는 단말기의 종류 및 제조사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동기화 처리부(230)는 단말기의 종류 및 제조사 정보에 대응된 동기화 프로토콜을 구비하여, 동기화 프로토콜을 통해 데이터 장치(130)와 동기화를 수행한다.
입력부(240)는 사용자로부터 데이터나 명령을 입력받는다.
제어부(250)는 데이터 장치에 접속된 경우, 단말기의 종류 및 제조사 정보를 데이터 장치(130)에 전송하고, 동기화 처리부(230)에 의한 동기화 프로토콜을 이용해 데이터 장치(130)와 동기화를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디스플레이부(260)는 동기화 처리 상태를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장치의 기능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장치(130)는, 통신부(310), 전송 관리부(Transport Manager)(320), 동기화정보 저장부(Sync Protocol Library)(330), 장치 관리부(Device Manager)(340), 동기화 수행부(Sync Agent)(350), 디스플레이부(360) 및 입력부(370) 등을 포함한다.
통신부(310)는 사용자 단말기(110)에 유/무선 통신망(120)을 통해 접속하거나 통신한다.
전송 관리부(320)는 통신부(310)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110)에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사용자 단말기(11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한다.
동기화정보 저장부(330)는 각각의 단말기의 종류 및 제조사 정보에 대응된 각각의 동기화 프로토콜을 저장하여 관리한다.
장치 관리부(340)는 사용자 단말기(110)에 접속하여, 사용자 단말기(110)로부터 단말기의 종류 및 제조사 정보를 수신하면, 수신된 단말기의 종류 및 제조사 정보에 대응된 동기화 프로토콜을 인식하고, 인식된 동기화 프로토콜을 동기화 수행부(350)에 전달한다.
동기화 수행부(350)는 장치 관리부(340)로부터 전달받은 동기화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동기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110)와 동기화를 수행한다. 또한, 동기화 수행부(350)는, 동기화 어플리케이션에 대해 세부 동기화 프로토콜의 종류에 상관없이 동일한 동기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동기화 프로토콜에 대한 상세 내역을 알지 못하더라도 범용적인 인터페이스만을 사용해서 동기화를 수행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360)는 동기화를 수행하는 상태 또는 사용자 단말기(11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한다.
입력부(370)는 사용자 단말기(110)와 접속한 이후, 사용자 단말기(110)와 동기화를 수행하도록 동기화 요청 명령을 입력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장치의 기능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장치(400)는, 통신부(410), 전송 관리부(Transport Manager)(420), 동기화정보 저장부(Sync Protocol Library)(430), 장치 관리부(Device Manager)(440), 세션 관리부(Session Manager)(450), 및 동기화 수행부(Sync Agent)(460) 등을 포함한다.
통신부(410)는 사용자 단말기(110)에 유/무선 통신망(120)을 통해 접속하거나 통신한다.
전송 관리부(420)는 통신부(410)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110)에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사용자 단말기(11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한다.
동기화정보 저장부(430)는 각각의 단말기의 종류 및 제조사 정보에 대응된 각각의 동기화 프로토콜을 저장하여 관리한다.
장치 관리부(440)는 사용자 단말기(110)에 접속하여, 사용자 단말기(110)로부터 단말기의 종류 및 제조사 정보를 수신하면, 수신된 단말기의 종류 및 제조사 정보에 대응된 동기화 프로토콜을 인식하고, 인식된 동기화 프로토콜을 세션 관리부(450)에 전달한다.
세션 관리부(450)는 장치 관리부(440)로부터 전달받은 동기화 프로토콜의 지원 여부를 파악하여 연결이 가능한 경우, 동기화 프로토콜을 이용해 동기화 세션을 설정한다.
동기화 수행부(460)는 동기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설정된 동기화 세션과 동기화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기(110)와 동기화를 수행한다.
또한, 동기화 수행부(460)는, 하위 단의 동기 방식에 구애없이 동일한 동기화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해 동기화를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동기화 수행부(460)는, 동기화 어플리케이션에 대해 세부 동기화 프로토콜의 종류에 상관없이 동일한 동기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동기화 프로토콜에 대한 상세 내역을 알지 못하더라도 범용적인 인터페이스만을 사용해서 동기화를 수행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기화 프로토콜 자동 설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전체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장치(13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 가능한 단말기를 검색한다(S510).
이에, 어느 특정 사용자 단말기(110)가 데이터 장치(130)에 검색된 경우, 검색된 사용자 단말기(110)는 단말기의 종류 및 제조사 정보를 데이터 장치(130)에 전송한다(S520).
이어, 데이터 장치(130)는 단말기의 종류 및 제조사 정보를 인식하여, 그에 대응된 동기화 프로토콜을 설정한다(S530).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의 동기화 프로토콜 설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110)는, 유/무선 통신망(120)을 통해 발견된 데이터 장치(130)와 접속한다(S610).
이어, 사용자 단말기(110)는 단말기의 종류 및 제조사 정보를 데이터 장치(130)에 제공한다(S620).
이어, 사용자 단말기(110)는 데이터 장치(130)로부터 단말기의 종류 및 제조사 정보에 대응된 동기화 프로토콜을 통해 동기화를 요청받는다(S630).
이어, 사용자 단말기(110)는 단말기의 종류 및 제조사 정보에 대응된 동기화 프로토콜로 설정한다(S640).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장치의 동기화 프로토콜 자동 설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장치(13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 가능한 단말기를 검색한다(S710).
이에, 사용자 단말기(110)가 검색되면(S720), 데이터 장치(130)는 사용자 단말기(110)와 통신 가능 상태로 된다(S730).
이어, 데이터 장치(130)는 사용자 단말기(110)로부터 단말기의 종류 및 제조사 정보를 제공받는다(S740).
이어, 데이터 장치(130)는 단말기의 종류 및 제조사 정보에 대응된 동기화 프로토콜을 인식한다(S750).
이어, 데이터 장치(130)는 인식된 동기화 프로토콜을 설정한다(S760).
그리고, 데이터 장치(130)는 설정된 동기화 프로토콜을 이용해 사용자 단말기(110)와 동기화를 수행한다(S770).
이때, 데이터 장치(130)는 동기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실행하며, 동기화 어플리케이션에 대해 세부 동기화 프로토콜의 종류에 상관없이 동일한 동기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동기화 프로토콜에 대한 상세 내역을 알지 못하더라도 범용적인 인터페이스만을 사용해서 동기화를 수행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PC 장치에서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 가능한 단말기를 검색하여 연결 시도가 있는 경우에, 단말기의 종류 및 제조사 정보 등을 인식하여 해당 단말기에서 제공 가능한 동기화 프로토콜을 자동으로 인식하고, 장치 관리자가 제조사 정보, 단말기의 종류 및 제공 가능한 프로토콜의 정보를 동기화 관리자에게 전달하여 사용 가능한 동기화 정보를 자동으로 인지하여 동기화 프로토콜을 자동으로 설정할 수 있도록 된, 동기화 프로토콜 자동 설정 시스템 및 방법을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PC를 통해 SMS, MMS, 이미지, 동영상(UCC) 등이 포함된 메시지를 작성하여 인터넷을 통해 착신측으로 전송하는 메시지 전송 서비스나 시스템 등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PC에서 작성한 SMS, MMS, 이미지, 동영상(UCC) 등을 인터넷을 통해 전송하지 않고, 사용자가 휴대하는 스마트폰이나 이동 단말기를 통해 수신측으로 전송함이 필요한 기술에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PC에서 SMS, MMS, 이미지, 동영상(UCC) 등이 포함된 메시지를 작성하였으나, 해당 PC가 인터넷에 연결되지 않은 경우에도 수신측에 해당 메시지를 전송해야 하는 서비스나 시스템 등에 적용할 수 있다.
100 : 동기화 프로토콜 자동 설정 시스템 110 : 사용자 단말기
120 : 유/무선 통신망 130 : 데이터 장치
210 : 통신부 220 : 저장부
230 : 동기화 처리부 240 : 입력부
250 : 제어부 260 : 디스플레이부
310 : 통신부 320 : 전송 관리부
330 : 동기화정보 저장부 340 : 장치 관리부
350 : 동기화 수행부 360 : 디스플레이부
370 : 입력부 400 : 데이터 장치
410 : 통신부 420 : 전송 관리부
430 : 동기화정보 저장부 440 : 장치 관리부
450 : 세션 관리부 460 : 동기화 수행부

Claims (12)

  1. 단말기의 종류 및 제조사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단말기의 종류 및 제조사 정보에 대응된 동기화 프로토콜을 구비하고 있으며, 근거리 통신을 통해 데이터 장치로부터 접속이 있는 경우에, 상기 단말기의 종류 및 제조사 정보를 상기 데이터 장치에 전송해 주며, 이후 상기 동기화 프로토콜을 통해 상기 데이터 장치와 동기화를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기; 및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 가능한 단말기를 검색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접속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단말기의 종류 및 제조사 정보를 수신하여 인식하고, 상기 단말기의 종류 및 제조사 정보에 대응된 동기화 프로토콜을 설정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동기화를 수행하는 데이터 장치;
    를 포함하는 동기화 프로토콜 자동 설정 시스템.
  2. 데이터 장치와 통신망을 통해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
    단말기의 종류 및 제조사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저장부;
    상기 단말기의 종류 및 제조사 정보에 대응된 동기화 프로토콜을 구비하여, 상기 동기화 프로토콜을 통해 상기 데이터 장치와 동기화를 수행하는 동기화 처리부;
    사용자로부터 데이터나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입력부;
    상기 동기화 처리 상태를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데이터 장치에 접속된 경우, 상기 단말기의 종류 및 제조사 정보를 상기 데이터 장치에 전송하고, 상기 동기화 처리부에 의한 상기 동기화 프로토콜을 이용해 상기 데이터 장치와 동기화를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기.
  3. 사용자 단말기에 통신망을 통해 접속하거나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전송 관리부(Transport Manager);
    각각의 단말기의 종류 및 제조사 정보에 대응된 각각의 동기화 프로토콜을 저장하여 관리하는 동기화정보 저장부(Sync Protocol Library);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접속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단말기의 종류 및 제조사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수신된 단말기의 종류 및 제조사 정보에 대응된 동기화 프로토콜을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동기화 프로토콜을 동기화 수행부에 전달하는 장치 관리부(Device Manager); 및
    상기 장치 관리부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동기화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동기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동기화를 수행하는 동기화 수행부(Sync Agent);
    를 포함하는 데이터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접속한 이후,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동기화를 수행하도록 동기화 요청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화 수행부는, 상기 동기화 어플리케이션에 대해 세부 동기화 프로토콜의 종류에 상관없이 동일한 동기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동기화 프로토콜에 대한 상세 내역을 알지 못하더라도 범용적인 인터페이스만을 사용해서 동기화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화를 수행하는 상태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장치.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화 수행부는, 하위 단의 동기 방식에 구애없이 동일한 동기화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해 동기화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장치.
  8. 사용자 단말기와 데이터 장치 간에 통신하는 시스템의 동기화 프로토콜 자동 설정 방법으로서,
    (a) 상기 데이터 장치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 가능한 단말기를 검색하는 단계;
    (b) 상기 검색된 사용자 단말기가 단말기의 종류 및 제조사 정보를 상기 데이터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 및
    (c) 상기 데이터 장치가 상기 단말기의 종류 및 제조사 정보를 인식하여, 그에 대응된 동기화 프로토콜을 설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동기화 프로토콜 자동 설정 방법.
  9. 데이터 장치와 통신망을 통해 통신하는 사용자 단말기의 동기화 프로토콜 설정 방법으로서,
    (a) 상기 통신망을 통해 발견된 상기 데이터 장치와 접속하는 단계;
    (b) 상기 데이터 장치에 단말기의 종류 및 제조사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c) 상기 데이터 장치로부터 상기 단말기의 종류 및 제조사 정보에 대응된 동기화 프로토콜을 통해 동기화를 요청받는 단계; 및
    (d) 상기 단말기의 종류 및 제조사 정보에 대응된 동기화 프로토콜로 설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기의 동기화 프로토콜 설정 방법.
  10. (a)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 가능한 단말기를 검색하는 단계;
    (b)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검색되어,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 가능 상태로 되는 단계;
    (c)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단말기의 종류 및 제조사 정보를 제공받는 단계;
    (d) 상기 단말기의 종류 및 제조사 정보에 대응된 동기화 프로토콜을 인식하는 단계; 및
    (e) 상기 인식된 동기화 프로토콜을 설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데이터 장치의 동기화 프로토콜 자동 설정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f) 상기 설정된 동기화 프로토콜을 이용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동기화를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데이터 장치의 동기화 프로토콜 자동 설정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f) 단계는, 동기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실행하며, 상기 동기화 어플리케이션에 대해 세부 동기화 프로토콜의 종류에 상관없이 동일한 동기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동기화 프로토콜에 대한 상세 내역을 알지 못하더라도 범용적인 인터페이스만을 사용해서 동기화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장치의 동기화 프로토콜 자동 설정 방법.
KR1020100111404A 2010-11-10 2010-11-10 동기화 프로토콜 자동 설정 시스템 및 방법 KR2012005007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1404A KR20120050077A (ko) 2010-11-10 2010-11-10 동기화 프로토콜 자동 설정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1404A KR20120050077A (ko) 2010-11-10 2010-11-10 동기화 프로토콜 자동 설정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0077A true KR20120050077A (ko) 2012-05-18

Family

ID=462676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1404A KR20120050077A (ko) 2010-11-10 2010-11-10 동기화 프로토콜 자동 설정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5007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00458A (ko) * 2014-02-24 2015-09-02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사이의 동기화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00458A (ko) * 2014-02-24 2015-09-02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사이의 동기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020339A1 (en) Display method and apparatus
CN102255887B (zh) 对应多移动装置的线上服务的提供方法与系统
CN104023050B (zh) 一种设备云环境下设备协同多屏互动系统及其方法
KR101597177B1 (ko) 무선 통신 접속의 콘텍스트 인식 근접도 기반 설정
CN110032512B (zh) 一种小程序的调试方法、相关设备及终端
JP6268824B2 (ja) 通信システム、通信方法及び情報処理装置
US9503893B2 (en) Communication management system, relay device, communication control system,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method,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communication control program
CN105573609A (zh) 内容分享方法与装置
CN103312534A (zh) 用于管理wi-fi直连通信系统中的组简档的方法和设备
KR102138103B1 (ko) 네트워크상의 장치들의 애플리케이션 연결 방법
CN102821150A (zh) 基于云服务的应用管理方法及云服务器
KR102043641B1 (ko) 통신 기능 처리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CN105320616B (zh) 外部设备控制方法及装置
CN115396521A (zh) 一种切换通信协议的方法、装置和系统
CN104254005A (zh) 一种无线视频共享播放器及播放方法
CN103079020A (zh) 终端控制系统和终端控制方法
KR20150021928A (ko) 모바일 장치로부터의 개시 디테일을 전송하는 기법
CN109495769B (zh) 视频通信方法、终端、智能电视、服务器及存储介质
KR20180121178A (ko) 무선 연결을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WO2024017113A1 (zh) 数据同步方法、装置和电子设备
WO2016070373A1 (zh) 用于在移动设备和web终端之间进行同步预览显示的方法
AU2019101539A4 (en) Android-based image and text information feedback terminal system
KR20120050077A (ko) 동기화 프로토콜 자동 설정 시스템 및 방법
CN102223610B (zh) 在移动设备间进行数据交换的方法及移动设备
CN114221985A (zh) 设备控制方法、装置、电子设备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