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49965A - Method of preparing kiwifruit wine - Google Patents

Method of preparing kiwifruit wi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49965A
KR20120049965A KR1020100111221A KR20100111221A KR20120049965A KR 20120049965 A KR20120049965 A KR 20120049965A KR 1020100111221 A KR1020100111221 A KR 1020100111221A KR 20100111221 A KR20100111221 A KR 20100111221A KR 20120049965 A KR20120049965 A KR 201200499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same
wine
juice
fermentation
tun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122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용서
토완타카바닛 코삭
Original Assignee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001112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49965A/en
Publication of KR201200499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9965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GWINE; PREPARATION THEREOF; ALCOHOLIC BEVERAGES; PREPARATION OF ALCOHOLIC BEVERAGES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C12C OR C12H
    • C12G3/00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 C12G3/02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by fermentation
    • C12G3/023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by fermentation of botanical family Solanaceae, e.g. potato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Meat, Egg Or Seafood Products (AREA)

Abstract

PURPOSE: A method for making kiwi wine is provided to shorten wine making period and to improve preference and antioxidation. CONSTITUTION: A method for making kiwi wine comprises: a step of maturing kiwi at 15°C-20°C; a step of crushing and pressing the kiwi to obtain kiwi juice; a step of pectinase to the kiwi juice; and a step of inoculating fermentation strain to the kiwi juice and fermenting. The fermentation strain is Saccharomyces bayanus Lavin EC1118.

Description

참다래 와인 제조방법{METHOD OF PREPARING KIWIFRUIT WINE}How to Make Champaign Wine {METHOD OF PREPARING KIWIFRUIT WINE}

본 발명은 참다래 와인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참다래 와인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producing sesame wine, and to sesame wine produced by the method.

최근 웰빙을 강조하는 생활 습관과 알코올 함유량이 낮은 주류를 선호하는 소비 경향에 발맞춰 우리나라에서도 20대와 30대의 젊은 소비층 위주로 와인의 소비가 급증하고 있다. 특히, 이러한 경향은 와인의 우수한 풍미와 함께 항산화 효과를 비롯한 혈관 관련 질병과 같은 각종 성인병 예방에 효과적이라는 연구 결과가 보고되면서 더욱 강화되고 있는 실정이다.In recent years, in line with the consumption habits that emphasize well-being and liquor with low alcohol content, the consumption of wine is rapidly increasing in Korea, especially among young consumers in their 20s and 30s. In particular, this trend is being strengthened as a result of researches showing that the excellent flavor of wine and anti-oxidant effect and various diseases such as vascular diseases are reported.

일 예로, 국내의 와인 소비량은 750 ml 병을 기준으로 1999년에는 750만병 수준이었던 것이, 2000년에는 972만병, 2001년에 1,020만병, 2002년에 1,110만병으로 매년 폭발적인 증가추세를 보이고, 2006년의 경우 와인 소비량이 2002년 대비 약 37% 이상 상승되어, 한국 와인 시장은 계속적으로 잠재적인 성장 가능성을 보이고 있다.For example, domestic wine consumption was 7.5 million bottles in 1999, based on 750 ml bottles, 972 million bottles in 2000, 1,020 million bottles in 2001, and 11.1 million bottles in 2002. Wine consumption has risen by more than 37% over 2002, suggesting that the Korean wine market continues to grow.

이러한 국내 와인 소비량의 증가에도 불구하고, 국내산 양조용 포도의 소비량은 점차 감소하고 있어, 포도주 소비의 증가가 농가의 경제 활성화로 연결되지 못하는 모순을 낳고 있다. 반면에, 수입산 와인 소비량은 국내 와인 소비량의 증가율의 2배 이상으로 점차 증가하고 있으므로, 수입산 와인에 대응할 수 있는 고유의 특색을 갖는 국내산 와인에 대한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Despite the increase in domestic wine consumption, the consumption of domestic brewing grapes is gradually decreasing, leading to the contradiction that the increase in wine consumption does not lead to economic revitalization of farmers. On the other hand, imported wine consumption is increasing more than twice the rate of increase of domestic wine consumption, the development of domestic wines with unique characteristics that can respond to imported wines is required.

참다래(kiwi fruit, Actinidia chinensis)는 다래나무과의 낙엽 덩굴식물이다. 다래나무속 식물을 교배하여 만든 과일 품종으로, 원래 중국 남부에서 자라는 식물이었으나, 20세기 초부터는 뉴질랜드에 주로 재배되기 시작하였다. 상기 참다래의 과육의 가운데 부분은 크림색이고, 그 둘레는 연한 녹색이며 깨알 같은 종자가 있다. 비타민 C가 풍부하여 성인 1명이 하루에 필요한 양이 열매 1개에 충분히 들어 있다. 향기가 좋아서 날것으로 먹거나, 잼 또는 아이스크림 등에 사용된다.Kiwi fruit, Actinidia chinensis ) is a deciduous vine plant of the family Aceraceae. A fruit variety produced by the crossing of the hawthorn plants, originally a plant that grew in southern China, but started growing mainly in New Zealand from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 The central part of the pulp of the blue tuna is cream-colored, the circumference is light green, and there are sesame seeds. Rich in vitamin C, one adult needs enough fruit per day. The fragrance is good for eating raw, jam or ice cream.

열매가 뉴질랜드에 서식하는 참다래 새처럼 생겼다고 하여 영어 이름이 키위(kiwi)이다. 우리나라에서는 1977년에 뉴질랜드에서 묘목이 도입되면서 재배되기 시작하여, 제주도와 전라남도 및 경상남도의 남부에서 주로 재배하고 있다. 참다래란 이름은 1990년대 우리나라 농가에서 생산된 제품에 붙은 뒤 일반화되었으며, 지금도 다른 나라에서 생산된 제품은 양다래 또는 키위란 이름으로 부르는 경우가 많다.Its name is Kiwi because its fruit looks like a bird in New Zealand. In Korea, seedlings were introduced in New Zealand in 1977, and are grown mainly in the south of Jeju, Jeollanam-do, and Gyeongsangnam-do. The name of tuna is common after it was attached to a product produced in Korean farmhouses in the 1990s, and products produced in other countries are often referred to as yangdae or kiwi.

우리나라에서 재배되는 참다래는 주로 헤이우드(Hayward) 품종으로, 과실의 크기가 크고 저장성 및 맛과 향이 다른 품종에 비해 우수한 것이 특징이다. 참다래는 과육의 색상이 화려하면서, haxanal로 대표되는 독특한 향, 단맛, 신맛의 조화가 잘 이루어져 있고 영양학적으로도 우수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참다래의 주요성분은 수분 84%, 단백질 1%, 지방 0.4% 및 당질 12.5%이다. 참다래의 비타민 C는 오렌지의 2배, 비타민 E는 사과의 6배, 식이섬유는 바나나의 5배이며, 무기질 함량은 사과나 포도류 보다 2배 내지 3배 높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The tuna that is cultivated in Korea is mainly Haywood (Hayward) varieties, characterized by a large fruit size and excellent shelf life, taste and aroma than other varieties. The blue color of the tuna is gorgeous and the harmony of the unique aroma, sweetness and sour taste represented by haxanal is well balanced and nutritionally excellent. More specifically, the major components of tuna are 84% moisture, 1% protein, 0.4% fat and 12.5% sugar. It is reported that the vitamin C of the tuna is twice as much as orange, the vitamin E as 6 times as apple, and the dietary fiber as 5 times as banana, and the mineral content is 2 to 3 times higher than apple or grape.

그러나, 참다래는 수확 후에 에틸렌 생성량의 증가, 호흡의 상승, 과육의 연화, 전분의 분해 및 당의 증가 그리고 향기 및 색소성분의 분해와 합성, 유기산의 감소 등 다양한 생리활성 현상이 진행되는 호흡 상승형 과실이라는 단점점으로 인해 장기간 보관이 어렵고 저장기간 동안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최근 급속한 재배면적 증가에 의한 생산량의 증대로 생산량이 소비량을 초과하여, 상당량의 참다래가 장기간 저장이 요구되는 현실은 참다래 재배농가에게는 큰 문제가 되고 있다.However, after harvesting, the tuna is a respiratory synergistic fruit that undergoes various physiological activities such as increased ethylene production, increased respiration, softened flesh, degradation of starch and sugar, and degradation and synthesis of fragrance and pigment components, and reduction of organic acid. Due to the disadvantages are difficult to store for a long time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quality is degraded during the storage period. Particularly, the fact that the production amount exceeds the consumption amount due to the recent increase in the cultivation area due to the rapid increase in the cultivation area, and the fact that a considerable amount of the tuna is required for long-term storage has become a big problem for the cultivated farmers.

이에 따라, 참다래 재배농가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보완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상기 보완 연구의 일 예로, 참다래 절편의 저장성 향상에 관한 연구나 참다래에 존재하는 단백분해효소를 추출하여 이용하는 방안 등이 있다. 그러나, 현재 대부분의 연구가 1차 가공품의 저장성과 단백분해효소 추출물의 이용방안을 중심으로만 이루어져 있어 여러 가공품으로서의 개발과 산업화에 대한 연구가 절실히 요구된다.Accordingly, supplementary researches are being conduct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cultivated farmers. As an example of the complementary research, there is a study on improving shelf life of sesame flakes or a method of extracting and using protease present in sesame. However, at present, most of the research has been focused on the storage of primary processed products and the use of protease extracts. Therefore, research on development and industrialization of various processed products is urgently required.

본 발명은 그 독특한 기호에 의하여 넓은 수요층을 가지는 화이트 와인을 대체할 수 있는 참다래 와인을 제조하는 방법, 구체적으로 제조기간을 단축시키고, 제조 효율을 늘리면서도 품질이 향상되고, 항산화 활성도 우수한 참다래 와인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for producing a cheonsei wine, which can replace the white wine having a broad demand by the unique taste, specifically shortening the production period, while improving the production efficiency while improving the quality, and excellent antioxidant activity It aims at providing the manufacturing method.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참다래 와인을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heddar wine produced by the above production method.

본 발명은 참다래 와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참다래의 숙성 여부에 따른 최적 와인 제조 조건을 확립하여, 참다래의 장기 보관에 의한 품질 저하와 관련된 문제점을 해결하면서도, 제조과정에서의 효율성이 보장되고, 항산화 활성도 개선된 참다래 와인을 제조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wine production of sesame, establishing an optimum wine manufacturing conditions according to the ripening of the sesame, while solving the problems associated with deterioration of quality by long-term storage of sesame, while ensuring the efficiency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antioxidant It provides a method for producing a cheddar wine with improved activity.

본 발명은 참다래를 15℃ 내지 20℃에서 참다래의 당도가 15 Brix이상이 될 때까지 과숙시키는 단계; 상기 과숙된 참다래를 파쇄 및 압착하여 참다래 과즙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참다래 과즙에 펙틴 가수분해효소(pectinase)를 첨가하고 반응시키는 단계; 상기 펙틴 가수분해효소를 반응시킨 참다래 과즙에 발효균주를 접종시키는 단계 및 상기 발효균주를 접종시킨 참다래 과즙을 발효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참다래 와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ripening the sesame seeds at 15 ℃ to 20 ℃ until the sugar content of the sesame seeds is 15 Brix or more; Crushing and compressing the ripened sesame seeds to prepare sesame juice; Adding and reacting pectin hydrolase (pectinase) to the sesame juic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reparing sesame wine comprising the step of inoculating fermented strains to the nectar juice, the pectin hydrolase is reacted and the step of fermenting the sesame juice inoculated with the fermentation strains.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참다래를 15℃ 내지 20℃에서 참다래의 당도가 15 Brix 이상이 될 때까지 과숙시키는 단계; 상기 과숙된 참다래를 파쇄 및 압착하여 참다래 과즙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참다래 과즙에 펙틴 가수분해효소(pectinase)를 첨가하고 반응시키는 단계; 상기 펙틴 가수분해효소를 반응시킨 참다래 과즙에 당을 첨가하는 단계; 상기 당을 첨가한 참다래 과즙에 발효균주를 접종시키는 단계 및 상기 발효균주를 접종시킨 참다래 과즙을 발효통에 담고 13℃ 내지 15℃에서 발효시키는 발효 단계를 포함하는 참다래 와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ripening the sesame seeds at 15 ℃ to 20 ℃ until the sugar content of the sesame seeds is 15 Brix or more; Crushing and compressing the ripened sesame seeds to prepare sesame juice; Adding and reacting pectin hydrolase (pectinase) to the sesame juice; Adding a sugar to the sesame juice reacted with the pectin hydrolas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preparing sesame wine comprising the step of inoculating fermented strains to the sugar-added sesame juice and the fermentation step of fermenting the sesame seed inoculated with the fermented strains in a fermentation barrel at 13 ℃ to 15 ℃.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기능성이 강화된 참다래 와인에 관한 것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eddar wine enhanced functionality by the production method.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저장기간이 길어질 경우 과일로서 품질이 현저하게 감소되는 참다래의 단점을 극복하고, 참다래의 다양한 이용가능성을 제안하기 위해 연구하던 중, 기존에 전혀 연구된 바가 없는 참다래의 숙성 정도에 따른 참다래 와인의 제조효율 및 참다래 와인의 품질에 대해 연구를 진행하여, 참다래를 15℃ 내지 20℃에서 참다래의 당도가 15 Brix 이상이 될 때까지 과숙시킨 후, 제조된 상기 과숙된 참다래의 과즙에 펙틴 가수분해효소를 반응시키는 경우, 기존 참다래 와인의 제조에 사용되던 숙성된 참다래, 일 예로 12 Brix의 참다래를 사용하는 것에 비하여, 와인의 제조기간이 단축되고, 와인 생성량도 증가될 뿐만 아니라, 참다래 와인의 기호도 및 항산화 활성도 증가되어 기능성도 향상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le overcoming the shortcomings of sesame pods, which significantly reduce their quality as fruits when the shelf life is prolonged, and while studying to suggest various applications of sesame pods, have not been studied at all before Research on the production efficiency and quality of the wine according to the sesame wine according to the study, after ripening the sesame seeds from 15 ℃ to 20 ℃ until the sugar content of 15 to 20 Brix or more, and then to the juice of the mature When the pectin hydrolase is reacted, the production time of the wine is shortened and the production of wine is increased, as well as the amount of wine, as compared with the use of matured blue tuna, such as 12 Brix blue tuna, which has been used for the production of conventional blue tuna. The present invention was completed by confirming that the taste and antioxidant activity of wine may be increased to improve functionality.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본 발명에 있어서, 과숙(over-ripening, over-ripeness)이란 종자 또는 과실의 성숙 정도 중에서 가장 성숙한 단계로, 종자 또는 과실의 내용이 과도하게 건조되어 힘이 없어져서 이삭 또는 줄기로부터 알갱이가 떨어질 지경으로 성숙한 단계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참다래가 과숙되었다 함은 참다래의 당도가 15 Brix 이상이 될 때까지, 바람직하게는 15 Brix 내지 18 Brix,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Brix 내지 16 Brix일 때를 의미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over-ripening (over-ripeness) is the most mature stage of the degree of maturation of the seed or fruit, the contents of the seed or fruit is excessively dried to lose strength and the grains fall from the ear or stem Means mature stage.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esame seeds are overcooked, it means that when the sugar content of the sesame seeds becomes 15 Brix or more, preferably 15 Brix to 18 Brix, more preferably 15 Brix to 16 Brix.

본 발명에 있어서, 찌꺼기분리(racking)이란 발효가 끝난 와인을 정화하는 방법 중의 하나로, 침전물이 가라 앉은 발효조(fermented jar) 속에서 침전물이 없는 윗부분의 와인만 빨아올려 다른 통으로 옮기는 작업을 의미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esidue separation (racking) is one of the methods of purifying the fermented wine, means the operation of sucking up only the wine of the upper part without the sediment in the fermentation jar (fermented jar) in which the sediment is settled to another barrel.

본 발명은 참다래 와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preparing sesame wine.

구체적으로, 참다래를 15℃ 내지 20℃에서 참다래의 당도가 15 Brix이상이 될 때까지 과숙시키는 단계; 상기 과숙된 참다래를 파쇄 및 압착하여 참다래 과즙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참다래 과즙에 펙틴 가수분해효소(pectinase)를 첨가하고 반응시키는 단계; 상기 펙틴 가수분해효소를 반응시킨 참다래 과즙에 발효균주를 접종시키는 단계 및 상기 발효균주를 접종시킨 참다래 과즙을 발효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참다래 와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Specifically, ripening the sesame seeds at 15 ℃ to 20 ℃ until the sugar content of the sesame seeds 15 Brix or more; Crushing and compressing the ripened sesame seeds to prepare sesame juice; Adding and reacting pectin hydrolase (pectinase) to the sesame juic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preparing sesame wine comprising the step of inoculating fermented strains to the sesame juice to which the pectin hydrolase is reacted and fermenting the sesame juice inoculated with the fermented strains.

상기 과숙시키는 단계는 참다래, 일 예로 수확기에 수확된 참다래 또는 저장창고에서 보관 중인 참다래에 대하여 참다래의 당도가 15 Brix이상, 바람직하게는 15 Brix 내지 18 Brix,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Brix 내지 16 Brix가 되도록 항온처리(incubation)하는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고, 상기 항온처리는 15℃ 내지 20℃에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참다래의 항온처리 전 또는 항온처리 후에 상기 참다래를 세척하는 과정이 추가될 수 있다.The over-treatment step may include, for example, the sweetness of the sesame seeds for 15 days, preferably 15 Brix to 18 Brix, and more preferably 15 Brix to 16 Brix The method may be performed by incubation, and the incubation may be performed at 15 ° C. to 20 ° C. In addition, a process of washing the sesame can be added before or after incubation of the sesame.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참다래의 당도가 15 Brix이상이 되도록 과숙시키는 경우 참다래 와인의 제조효율과 제품성 즉, 기호도 및 기능성(항산화활성)의 측면에서 현저한 개선이 있으므로, 상기 과숙시키는 단계에서 과숙의 정도는 참다래의 당도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ugar content of the tuna is overheated to 15 Brix, there is a remarkable improvement in terms of manufacturing efficiency and productability, that is, the taste and functionality (antioxidant activity) of the wine of the tuna, The degree of maturation in can be determined by the sweetness of the tuna.

상기 참다래 과즙을 제조하는 단계는 상기 과숙된 참다래를 파쇄 및 압착하여 수행할 수 있고, 상기 과숙된 참다래의 파쇄 및 압착 전에 상기 과숙된 참다래를 세척하는 과정이 추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과정에 의해 제조된 참다래 과즙에 타타르산(tartaric acid), 탄닌(tannin) 및 인산암모늄(ammonium phosphate)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더욱 첨가하는 과정이 추가될 수 있다.The preparing of the sesame nectar may be performed by crushing and compressing the ripened sesame, and the process of washing the ripened sesame may be added before crushing and compressing the ripened sesame. In addition, a process of further adding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tartaric acid, tannin and ammonium phosphate may be added to the sesame juice prepared by the above process.

상기 타타르산(tartaric acid)은 주석산이라고 하며, 흰색 결정을 지닌 유기산의 일종이다. 포도주에서 발견되는 주요한 산의 일종으로, 신맛을 가하기 위해 식품에 첨가되기도 하며, 산화방지제로서 사용되기도 한다.The tartaric acid is called tartaric acid and is a kind of organic acid with white crystals. It is one of the major acids found in wine, added to foods to add sourness, and as an antioxidant.

상기 탄닌은 여러가지의 폴리페놀 화합물이 중합된 분자량이 약 600 내지 약 3,000 정도인 고분자 물질의 총칭으로, 식물에 널리 분포하며 수용성이고, 포도주나 차 등의 떫은 맛의 원인이다.Tannin is a generic term for a polymer material having a molecular weight of about 600 to about 3,000 polymerized with various polyphenol compounds, widely distributed in plants, water-soluble, and causing astringent taste of wine or tea.

상기 인산암모늄은(ammonium phosphate) 인에 암모늄을 반응시킨 화합물로, 인산일암모늄((NH4)H2PO4), 인산이암모늄((NH4)2HPO4) 및 인산삼암모늄(NH4)3PO4)의 세 종류가 있으나, 인산삼암모늄은 불안정하므로 주로 인산일암모늄 및 인산이암모늄이 사용되며, 양조용 약품 즉, 양조발효 조성제 등으로 사용된다.The ammonium phosphate is a compound obtained by reacting ammonium with phosphorus (ammonium phosphate), and ammonium phosphate ((NH 4 ) H 2 PO 4 ), diammonium phosphate ((NH 4 ) 2 HPO 4 ) and triammonium phosphate (NH 4) ) 3 PO 4 ) There are three types of triammonium phosphate, but ammonium monophosphate and diammonium phosphate are used mainly because it is unstable, and it is used as a brewing agent, that is, a fermentation brewing composition.

상기 참다래 과즙에 펙틴 가수분해효소를 첨가하고 반응시키는 단계는 상기 참다래 과즙, 바람직하게는 타타르산, 탄닌 및 인산암모늄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더욱 첨가한 참다래 과즙에 펙틴 가수분해효소를 첨가하고 12시간 내지 36시간, 바람직하게는 18시간 내지 30시간, 더욱 바람직하게는 20시간 내지 28시간 동안 10℃ 내지 20℃ 또는 15℃ 내지 20℃에서 반응시키는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The step of adding and reacting the pectin hydrolase to the sesame juice is adding the pectin hydrolase to the sesame juice, which further comprise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the sesame juice, preferably tartaric acid, tannin and ammonium phosphate. And 12 hours to 36 hours, preferably 18 hours to 30 hours, more preferably 20 hours to 28 hours, at a reaction of 10 ° C. to 20 ° C. or 15 ° C. to 20 ° C.

상기 참다래 과즙에 펙틴 가수분해효소를 반응시킨 단계를 수행한 후, 추가로 참다래 당을 첨가하여 개량(amelioration)하는 단계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당은 설탕 또는 정제당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당의 첨가는 충분한 발효의 진행과 최종 제조된 와인 제품의 풍미를 위하여, 상기 당을 첨가한 후, 참다래 과즙의 고형분 함량이 20 Brix 내지 25 Brix, 바람직하게는 21 Brix 내지 23 Brix가 되도록 조절될 수 있다.After performing the step of reacting the pectin hydrolase to the sesame juice, it may further comprise the step (amelioration) further by adding the sesame sugar. The sugar may be sugar or refined sugar,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addition of sugar can be adjusted so that the solids content of the sesame juice is from 20 Brix to 25 Brix, preferably from 21 Brix to 23 Brix, for the sake of sufficient fermentation and flavor of the finished wine product. Can be.

상기 제펙틴 가수분해효소를 반응시킨 참다래 과즙에 발효균주를 접종시키는 단계는 상기 참다래 과즙에 참다래 와인의 제조를 위한 발효균주, 구체적으로 사카로마이세스 속(Saccharomyces sp.) 균주를 첨가하는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균주는 제조효율의 측면과 최종 제조된 제품인 참다래 와인의 품질을 고려하여, 바람직하게는 사카로마이세스 바냐너스 EC1118(Saccharomyces bayanus Lavin EC1118),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시에 Gervin No.5(Saccharomyces cerevisiae GVN) 또는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시에 Red star Davis No. 796(Saccharomyces cerevisiae Red star Davis No. 796)일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사카로마이세스 바냐너스 EC1118(Saccharomyces bayanus Lavin EC1118)일 수 있다.The step of inoculating the fermented strain in the sesame nectar to which the zepetin hydrolase is reacted is a fermented strain for the production of sesame wine to the sesame juice, specifically Saccharomyces sp.) strain can be added. The strain is preferably Saccharomyces Bananas EC1118 ( Saccharomyces) in consideration of the efficiency of production and the quality of the final product of the cheddar wine. bayanus Lavin EC1118), Gervin No. 5 ( Saccharomyces, Saccharomyces cerevisiae) cerevisiae GVN) or Saccharomyces cerevisia Red star Davis No. 796 ( Saccharomyces cerevisiae Red star Davis No. 796), and more preferably Saccharomyces Bananas EC1118 ( Saccharomyces). bayanus Lavin EC1118).

상기 균주의 첨가는 일 예로, 참다래 과즙 1L에 상기 균주의 배양액 20 ml 내지 30 ml를 첨가할 수 있으며, 상기 균주 배양액에 포함된 균주는 650nm에서 측정된 OD 값을 기준으로 1.0X1010 내지 1.0X1210 CFU/ml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For example, the strain may be added 20 ml to 30 ml of the culture medium of the strain to the 1L of tuna rapeseed, the strain contained in the strain culture based on the OD value measured at 650nm 1.0X10 10 to 1.0X12 10 CFU / ml, but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발효균주를 접종시킨 참다래 과즙을 발효시키는 단계는 발효효율 및 과발효에 의한 품질 저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12℃ 내지 20℃, 바람직하게는 14℃ 내지 18℃에서 수행할 수 있고, 발효기간은 6주 내지 20주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step of fermenting the sesame juice inoculated with the fermentation strain may be carried out at 12 ℃ to 20 ℃, preferably 14 ℃ to 18 ℃, in order to prevent degradation of quality due to fermentation efficiency and over fermentation, the fermentation period is 6 It may be a week to 20 weeks, but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발효기간은 발효 효율 및 제품의 품질을 고려하여 찌꺼기분리(racking)을 수행하면서, 발효조를 교체하면 수행할 수 있다.The fermentation period may be performed by replacing the fermentation tank while performing the residue separation (racking) in consideration of fermentation efficiency and product qualit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발효단계는 3번으로 구분되어 수행될 수 있다. 우선, 참다래 과즙에 발효균주를 접종시킨 후, 12℃ 내지 20℃, 바람직하게는 14℃ 내지 18℃의 조건에서 1주 내지 3주 동안 1차 발효를 수행하는 과정; 상기 1차 발효를 수행한 후, 찌꺼기 분리 과정을 수행하고, 새로운 발효조로 1차 발효 결과물을 옮긴 후, 12℃ 내지 20℃, 바람직하게는 14℃ 내지 18℃의 조건에서 3주 내지 5주 동안 2차 발효를 수행하는 과정; 및 상기 2차 발효를 수행한 후, 찌꺼기 분리 과정을 수행하고, 새로운 발효조로 2차 발효 결과물을 옮긴 후, 12℃ 내지 20℃, 바람직하게는 14℃ 내지 18℃의 조건에서 3주 내지 5주 동안 3차 발효를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ermentation step may be performed divided into three times. First, after inoculating fermented strains to the sesame juice, performing a primary fermentation for 1 to 3 weeks at a condition of 12 ℃ to 20 ℃, preferably 14 ℃ to 18 ℃; After performing the primary fermentation, the residue separation process, and transfer the primary fermentation product to a new fermentation tank, for 3 weeks to 5 weeks at a condition of 12 ℃ to 20 ℃, preferably 14 ℃ to 18 ℃ Performing secondary fermentation; And after performing the secondary fermentation, performing the residue separation process, transferring the secondary fermentation product to a new fermentation tank, and then performing 3 to 5 weeks under conditions of 12 ° C. to 20 ° C., preferably 14 ° C. to 18 ° C. During the third fermentation may be carried out by a method including a process.

상기 3차 발효시키는 단계를 진행한 후, 와인 제품의 품질 향상을 위해 여과 과정 및 청징 과정(clarification)을 더욱 수행할 수 있다.After the third fermentation step, the filtration process and clarification process may be further performed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wine product.

또한, 과발효에 의한 제품 품질의 변화를 막기 위하여, 상기 3차 발효를 수행하여 제조된 참다래 와인은 저온에서 보관할 수 있다.In addition, in order to prevent changes in product quality due to overfermentation, the sesame wine produced by performing the third fermentation can be stored at a low temperatur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의 참다래 와인 제조방법은 일 예로 참다래를 15℃ 내지 20℃에서 참다래의 당도가 15 Brix가 될 때까지 과숙시키는 단계; 상기 과숙된 참다래를 파쇄 및 압착하여 참다래 과즙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참다래 과즙에 펙틴 가수분해효소(pectinase)를 첨가하고 반응시키는 단계; 상기 펙틴 가수분해효소를 반응시킨 참다래 과즙에 당을 첨가하는 단계; 상기 당을 첨가한 참다래 과즙에 사카로마이세스 바냐너스 EC1118(Saccharomyces bayanus Lavin EC1118)를 접종시키는 단계 및 상기 사카로마이세스 바냐너스 EC1118(Saccharomyces bayanus Lavin EC1118)를 접종시킨 참다래 과즙을 발효통에 담고 13℃ 내지 15℃에서 14일 동안 발효시키는 1차 발효 단계; 상기 1차 발효 단계를 거친 참다래 과즙 발효액을 다른 발효통으로 옮겨 13℃ 내지 15℃에서 28일 동안 발효시키는 2차 발효 단계; 및 상기 2차 발효 단계를 거친 참다래 과즙 발효액을 다른 발효통으로 옮겨 13℃ 내지 15℃에서 90일 동안 발효시키는 3차 발효 단계를 포함하는 과숙 참다래를 이용하여 참다래 와인을 제조하는 방법일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cheonna tang win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overheating the sesame tuna to 15 Brix at 15 ℃ to 20 ℃; Crushing and compressing the ripened sesame seeds to prepare sesame juice; Adding and reacting pectin hydrolase (pectinase) to the sesame juice; Adding a sugar to the sesame juice reacted with the pectin hydrolase; Saccharomyces Bananas EC1118 ( Saccharomyces) bayanus Lavin EC1118) and the Saccharomyces Bananas EC1118 ( Saccharomyces bayanus A primary fermentation step of fermenting sesame juice inoculated with Lavin EC1118) into a fermentation vessel and fermenting at 13 ° C. to 15 ° C. for 14 days; A secondary fermentation step of transferring the sesame nectar fermentation broth passed through the first fermentation step to another fermentation vessel and fermenting at 13 ° C. to 15 ° C. for 28 days; And it may be a method for producing sesame wine by using the mature sesame seed comprising the third fermentation step of fermenting the sesame nectar juice fermentation broth through the second fermentation step to another fermentation vessel for 90 days at 13 ℃ to 15 ℃.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제조방법에 의한 참다래 와인일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may also be a cheddar wine by the above production method.

상기 참다래 와인은 기존 숙성 참다래를 이용한 참다래 와인에 비하여 항산화활성이 개선되고 폴리페놀 함량이 증가하며, 미네랄 함량이 풍부할 뿐만 아니라 색도 및 맛과 관련하여 기호도가 우수하고, 보다 구체적으로 가용성 고형분 함량 및 알코올 함량과 색도 등을 고려한 기호도가 개선된 장점이 있다.The sesame wine has improved antioxidant activity, increased polyphenol content, rich in mineral content, and excellent palatability with respect to color and taste, more specifically soluble solid content and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palatability in consideration of the alcohol content and the chromaticity is improved.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참다래 와인 제조 단계에서 과숙된 참다래를 이용하여 와인을 제조함으로써, 과숙된 참다래의 용도를 제공하여 과육이 쉽게 물러지고, 저장이 용이하지 않은 기존 참다래가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였을 뿐만 아니라, 기존 참다래를 이용한 와인 제조방법 즉, 성숙된 참다래를 이용하는 것에 비하여 과숙된 참다래에 펙틴 가수분해효소를 반응시킴으로써, 와인의 제조기간을 단축시키고 와인 제조효율을 높일 뿐만 아니라, 기호성도 개선하고 항산화활성도 개선할 수 있는 참다래 와인 제조 방법을 제공한 것이므로,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하여, 최근 지적된 참다래의 과잉 생산 및 기존 참다래가 갖는 보관의 어려움과 관련하여 과숙된 참다래의 새로운 용도를 제안함으로써 참다래의 과잉 생산에 의한 문제도 해결할 수 있으므로, 참다래와 관련된 산업 및 식품산업의 발전과 참다래 재배 농가의 수익향상에 이바지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the overcooked sesame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sesame wine, providing the use of the overcooked sesame to solve the problem that the pulp is easily receded, not easy to store the existing sesame In addition, by using pectin hydrolase to react with mature ginseng, that is, using mature sesame seeds, that is, using mature sesame seeds, not only shortens the wine production period and improves wine production efficiency, but also improves palatability and antioxidant activity. Sinc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of making a sesame wine that can improve the activity, by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by suggesting a new use of the ripened sesame in relation to the overproduction of the recently identified and the difficulty of storage of existing sesame Since problems caused by overproduction can also be solved, It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industrial and food industries related to dailies and to the improvement of profits of cultivated tuna.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참다래 와인을 제조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참다래 와인의 제조과정에 있어서, 참다래의 숙성 정도에 따른 가용성 고형분의 함량변화를 Brix 단위로 경시적으로 나타낸 그래프로, 상기 그래프에서 ◆-◆는 성숙된 참다래를 이용하여 제조한 와인을 나타낸 것이고, ■-■는 과숙된 참다래를 이용하여 제조한 와인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참다래 와인의 제조과정에 있어서, 참다래의 숙성 정도에 따른 알코올 함량변화를 경시적으로 나타낸 그래프로, 상기 그래프에서 ◆-◆는 성숙된 참다래를 이용하여 제조한 와인을 나타낸 것이고, ■-■는 과숙된 참다래를 이용하여 제조한 와인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참다래 와인의 제조과정에 있어서, 참다래의 숙성 정도에 따른 pH의 변화를 경시적으로 나타낸 그래프로, 상기 그래프에서 ◆-◆는 성숙된 참다래를 이용하여 제조한 와인을 나타낸 것이고, ■-■는 과숙된 참다래를 이용하여 제조한 와인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참다래 와인의 제조과정에 있어서, 참다래의 숙성 정도에 따른 산도(Acidity, %)의 변화를 경시적으로 나타낸 그래프로, 상기 그래프에서 ◆-◆는 성숙된 참다래를 이용하여 제조한 와인을 나타낸 것이고, ■-■는 과숙된 참다래를 이용하여 제조한 와인을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참다래 와인의 제조과정에 있어서, 참다래의 숙성 정도에 따른 색도 중 L value의 변화를 경시적으로 나타낸 그래프로, 상기 그래프에서 ◆-◆는 성숙된 참다래를 이용하여 제조한 와인을 나타낸 것이고, ■-■는 과숙된 참다래를 이용하여 제조한 와인을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참다래 와인의 제조과정에 있어서, 참다래의 숙성 정도에 따른 색도 중 a value의 변화를 경시적으로 나타낸 그래프로, 상기 그래프에서 ◆-◆는 성숙된 참다래를 이용하여 제조한 와인을 나타낸 것이고, ■-■는 과숙된 참다래를 이용하여 제조한 와인을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참다래 와인의 제조과정에 있어서, 참다래의 숙성 정도에 따른 색도 중 b value의 변화를 경시적으로 나타낸 그래프로, 상기 그래프에서 ◆-◆는 성숙된 참다래를 이용하여 제조한 와인을 나타낸 것이고, ■-■는 과숙된 참다래를 이용하여 제조한 와인을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참다래 와인의 제조과정에 있어서, 참다래의 숙성 정도에 따른 관능평가(Sensory evaluation)의 변화를 경시적으로 나타낸 그래프로, 상기 그래프에서 ◆-◆는 성숙된 참다래를 이용하여 제조한 와인을 나타낸 것이고, ■-■는 과숙된 참다래를 이용하여 제조한 와인을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참다래 와인의 제조과정에 있어서, 참다래의 숙성 정도에 따른 총 페놀성분(Total Phenolics) 함량의 변화를 경시적으로 나타낸 그래프로, 상기 그래프에서 ◆-◆는 성숙된 참다래를 이용하여 제조한 와인을 나타낸 것이고, ■-■는 과숙된 참다래를 이용하여 제조한 와인을 나타낸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참다래 와인의 제조과정에 있어서, 참다래의 숙성 정도에 따른 항산화활성(ABTS)의 변화를 경시적으로 나타낸 그래프로, 상기 그래프에서 ◆-◆는 성숙된 참다래를 이용하여 제조한 와인을 나타낸 것이고, ■-■는 과숙된 참다래를 이용하여 제조한 와인을 나타낸 것이다.
1 is a flow chart showing a process for preparing a tuna tuna w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graph showing the change in the content of soluble solids in Brix units over time according to the degree of maturation of sesame seeds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w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in the graph Wine produced using sesame seeds, ■-■ represents the wine produced using overcooked sesame.
3 is a graph showing the change in alcohol content according to the degree of maturation of the tuna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ver time, ◆-◆ in the graph is prepared using a mature tuna One wine is represented, ■-■ represents the wine produced using overcooked sesame.
Figure 4 is a graph showing the change in pH according to the degree of maturation of sesame in the course of the production of sesame w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in the graph is prepared using mature sesame One wine is represented, ■-■ represents the wine produced using overcooked sesame.
5 is a graph showing the change in acidity (Acidity,%) according to the degree of maturation of sesame in the course of the production of sesame w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in the graph Wine produced using sesame seeds, ■-■ represents the wine produced using overcooked sesame.
6 is a graph showing the change in L value of the chromaticity according to the degree of maturation of sesame in the course of the production of sesame w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in the graph It shows the wine produced using, ■-■ represents the wine produced using overcooked sesame.
7 is a graph showing a change in a value of chromaticity according to the degree of maturation of the tuna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ver time, in the graph ◆-◆ is a mature tuna It shows the wine produced using, ■-■ represents the wine produced using overcooked sesame.
8 is a graph showing a change in the b value of the chromaticity according to the degree of maturation of sesame in the course of the w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ver time, ◆-◆ in the graph It shows the wine produced using, ■-■ represents the wine produced using overcooked sesame.
9 is a graph showing a change in sensory evaluation according to the degree of maturation of sesame in the course of the production of sesame w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in the graph Wine produced using sesame seeds, ■-■ represents the wine produced using overcooked sesame.
10 is a graph showing a change in the total phenolic component (Total Phenolics) content according to the degree of maturation of sesame in the course of the sesame w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in the graph The wine produced using mature sesame, and ■-■ represents the wine produced using mature sesame.
11 is a graph showing the change of antioxidant activity (ABTS) according to the maturation degree of sesame aging over time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sesame w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in the graph Using to represent the wine produced, ■-■ represents the wine produced using overcooked sesame.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기재한다.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의해 어떤 식으로든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수행되어지는 변형 등도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order to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The following examples are only for illustrat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in any way by the following examples, and modifications which are commonly performed in the art are also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제조예: 참다래 와인의 제조Preparation Example: Preparation of Champaign Wine

제조예 1-1; 참다래 와인 재료 및 균주Preparation Example 1-1; Blueberry Wine Ingredients and Strains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해 사용된 참다래는 2009년 10월 28일에 대한민국 전라남도 무안군에 소재한 과수원에서 판매용 헤이우드(Hayward) 품종의 참다래를 구입하였고, 구입 즉시 냉장고를 이용하여 실험전까지 0℃에서 보관하였다. 상기 구입한 헤이우드 품종의 참다래의 물성(physical properties)를 측정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The sesame used for the practice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purchased on October 28, 2009 in the orchard located in Muan County, Jeollanam-do, South Korea, and purchased for sale Haywood (Hayward) varieties, stored at 0 ℃ until the experiment immediately using a refrigerator.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oysters of the purchased Haywood varieties were measured and shown in Table 1 below.

품 종kind 크기(Size, mm)Size (mm) 무게(Weight, g)Weight, g 헤이우드Haywood 높이
(Height)
Height
(Height)
지름
(Diameter)
diameter
(Diameter)
전체 무게Full weight 과육
(pulp)
pulp
(pulp)
껍질
(skin)
skin
(skin)

(Seed)
Seed
(Seed)
63.93±3.2063.93 ± 3.20 51.41±2.57
43.49±2.17
51.41 ± 2.57
43.49 ± 2.17
95.63±4.69
(100%)
95.63 ± 4.69
(100%)
82.49±3.92
(86.25%)
82.49 ± 3.92
(86.25%)
11.27±0.67
(11.79%)
11.27 ± 0.67
(11.79%)
1.87±0.09
(1.96%)
1.87 ± 0.09
(1.96%)

상기 냉장고에서 보관한 참다래를 와인 제조 약 1주일 전에 냉장고에서 꺼내어 상온 즉, 15℃ 내지 20℃에서 각각 12 Brix(숙성 참다래) 및 15 Brix(과숙 참다래)까지 항온처리하였다.The cabbage stored in the refrigerator was taken out of the refrigerator about one week before wine production, and incubated at room temperature, that is, 15 Brix (mature), and 15 Brix (mature).

상기 항온처리한 각각의 참다래의 과육(kiwi flesh)의 물성을 AOAC 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수분함량은 105℃에서 열건조법(heat drying method)을 수행하여 측정하였고, 조 단백질 함량은 켈달법(Kjeldahl method)을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조 지질 함량은 속슬렛법(Soxhlet method)으로 측정하였고, 조 섬유소 함량은 fritted glass crucible method로 측정하였으며, 조 무기질 함량은 direct-ashing method로 측정하였다. 상기 측정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kiwi flesh of each incubated cactus were analyzed using the AOAC method. More specifically, the moisture content was measured by performing a heat drying method at 105 ℃, crude protein content was measured using the Kjeldahl method, crude lipid content by the Soxhlet method (Soxhlet method) Crude fiber content was measured by fritted glass crucible method, and crude mineral content was measured by direct-ashing method. The measurement results are shown in Table 2 below.

조성Furtherance 숙성 참다래(% dry weight basis)Aged tuna (% dry weight basis) 과숙 참다래(% dry weight basis)Maturated blue tuna (% dry weight basis) 수분moisture 80.14 ± 4.0180.14 ± 4.01 78.34 ± 3.8278.34 ± 3.82 조 단백질Crude protein 1.07 ± 0.051.07 ± 0.05 1.32 ± 0.071.32 ± 0.07 조 지질Landscape geology 0.31 ± 0.020.31 ± 0.02 0.29 ± 0.010.29 ± 0.01 조 무기질Crude mineral 0.63 ± 0.030.63 ± 0.03 0.67 ± 0.030.67 ± 0.03 조 섬유소Crude fiber 2.87 ± 0.122.87 ± 0.12 2.63 ± 0.132.63 ± 0.13

상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숙성 참다래에 비하여 과숙 참다래는 수분 함량, 조 지질 함량 및 조 섬유소 함량이 줄어든 반면, 조 단백질 함량과 조 무기질 함량이 증가되었다.As shown in Table 2, the ripened blue tuna according to the water content, crude lipid content and crude fiber content decreased, while crude protein content and crude mineral content was increased compared to the mature tuna.

또한, 참다래 와인의 제조를 위해 사용된 발효용 효모는 사카로마이세스 바냐너스 EC1118(Saccharomyces bayanus Lavin EC1118, Prise de Mousse, Canada)를 시중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In addition, the fermented yeast used for the production of cheddar wine is Saccharomyces Bananas EC1118 ( Saccharomyces bayanus Lavin EC1118, Prise de Mousse, Canada) was used commercially.

제조예Manufacturing example 1-2;  1-2; 참다래Blue sky 와인의Wine 제조 Produce

참다래 와인의 제조는 도 1에 기재된 방법으로 수행하였다.Preparation of cheddar wine was carried out by the method described in FIG.

구체적으로, 상기 제조예 1-1의 구입한 후 상온 즉, 15℃ 내지 20℃에서 각각 12 Brix(숙성 참다래) 및 15 Brix(과숙 참다래)까지 항온처리한 각각의 참다래를 세척한 후, 분쇄기(blender)를 이용하여 분쇄 및 압착하여 참다래 분쇄물 6.3 kg을 제조하였다. 상기 각각의 참다래 분쇄물 6.3 kg에 타타르산(tartaric acid) 4.5 g, 탄닌(tannin) 0.45 g 및 효모 발효를 위한 영양물질인 인산암모늄(ammonium phosphate) 6 g를 첨가하였다. 상기 타타르산, 탄닌 및 인산암모늄을 첨가한 과숙 참다래를 이용한 와인의 경우에는 추가로 펙틴 가수분해효소(pectinase)로 24시간 동안 처리하였다.Specifically, after the purchase of Preparation Example 1-1, after washing each of the sesame incubated at room temperature, that is, 15 Brix (matured tuna) and 15 Brix (matured tuna) at 15 ° C to 20 ° C, respectively, the grinder ( 6.3 kg of sesame pulverized product was prepared by pulverizing and pressing using a blender). 4.5 g of tartaric acid, 0.45 g of tannin, and 6 g of ammonium phosphate, a nutrient for fermentation of yeast, were added to 6.3 kg of each crushed tuna. In the case of the wine using the ripened blue tuna added with the tartaric acid, tannin and ammonium phosphate was further treated with pectin hydrolase (pectinase) for 24 hours.

상기 펙틴 가수분해효소로 처리한 참다래 분쇄물에 정제당(granulated sugar)을 첨가하여 개량(amelioration)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정제당 1,540g을 2.7 L의 물(hot water)에 완전히 용해시킨 뒤, 상기 참다래 분쇄물이 담긴 발효조(primary fermented jar, Italy)에 첨가하였다. 상기 발효조 첨가물을 식힌 후, 40℃의 물 15 mL에 녹인 건조 효모(yeast) 즉, 사카로마이세스 바냐너스 EC1118(Saccharomyces bayanus Lavin EC1118) 3 g을 첨가하고,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교반 후, 14℃에서 2주 동안 1차 발효를 수행하였다. 보다 효과적인 발효를 위해서, 상기 발효조에 담긴 1차 발효물에 대해 찌꺼기분리(racking)를 수행하여, 2차 발효조(secondary fermented jar, Italy)에 옮긴 후에 14℃에서 4주 동안 2차 발효를 수행하였다. 상기 2차 발효 후에, 상기 2차 발효조에 담긴 2차 발효물에 대해 찌꺼기분리(racking)를 수행하여, 최종 발효조(final fermented jar, Italy)에 옮긴 후에 14℃에서 발효물의 잔여 환원당의 농도가 5%가 될 때가지 3개월 동안 3차 발효를 수행하였다.Granulated sugar was added to the pulverized sesame powder treated with the pectin hydrolase and ameliorated. More specifically, 1,540 g of purified sugar was completely dissolved in 2.7 L of hot water and then added to a primary fermented jar (Italy) containing the sesame pulverized product. After cooling the fermenter additive, the dried yeast (ie Saccharomyces bayanus EC1118) dissolved in 15 mL of water at 40 ° C. ( Saccharomyces bayanus) 3 g of Lavin EC1118) were added and stirred for 1 h. After the stirring, the primary fermentation was performed for 2 weeks at 14 ℃. For more effective fermentation, the primary fermentation product contained in the fermentation tank was subjected to racking, and then transferred to a secondary fermented jar (secondary fermented jar, Italy), followed by secondary fermentation at 14 ° C. for 4 weeks. . After the secondary fermentation, the secondary fermentation product contained in the secondary fermentation tank was subjected to racking (racking), and transferred to a final fermentation jar (final fermented jar, Italy), after the concentration of the remaining reducing sugar of the fermentation product was increased to 5 ° C. Tertiary fermentation was performed for 3 months until percent.

상기 발효를 완료한 후, 상기 발효물을 여과하고, 병에 담아, 실험 수행 전까지 14℃에서 보관하였다.
After the fermentation was completed, the fermented product was filtered, bottled, and stored at 14 ° C. until the experiment was performed.

실시예Example : : 참다래의Blue tuna 숙성 정도에 따른  According to the degree of ripening 참다래Blue sky 와인의Wine 품질 및 기호도 확인 Check the quality and symbol

상기 제조예 1-2의 방법으로 제조된 각각의 참다래 와인은 처음 4주간에는 매주 시료를 채취하였고, 4주 이후에는 최종 발효를 진행한 16주까지 매주 4주간 시료를 채취하여 분석하였다.
Each of the sesame wine produced by the method of Preparation Example 1-2 was sampled every week for the first four weeks, and after four weeks the samples were analyzed for four weeks each week until the 16 weeks of the final fermentation.

실시예Example 1;  One; 참다래Blue sky 숙성 정도에 따른  According to the degree of ripening 참다래Blue sky 와인의Wine 품질 확인 Quality check

제조예 1-2의 방법으로 제조된 참다래 와인의 품질을 확인하기 위하여, 발효기간 동안 가용성 고형분 함량(soluble solid content, SSC), 알코올 함량(Alcohol content), pH 및 산도(acidity)를 측정하였다.In order to confirm the quality of the cheddar wine produced by the method of Preparation Example 1-2, soluble solid content (SSC), alcohol content (Alcohol content), pH and acidity (acidity) were measured during the fermentation period.

상기 가용성 고형분 함량은 당도계(refractometer, Atago Co., 일본)를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Brix 단위로 표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상기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과숙된 참다래를 이용한 와인 제조의 경우에는 발효를 시작한 첫 주부터 현저한 가용성 고형분 함량의 감소를 나타내어, 발효기간 동안 완만한 가용성 고형분 함량의 감소 경향을 나타낸 성숙된 참다래를 이용한 와인 제조에 비하여, 와인 제조 기간이 단축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The soluble solids content was measured using a sugarometer (refractometer, Atago Co., Japan), expressed in Brix units, the results are shown in FIG. As shown in FIG. 2, in the case of wine production using overcooked sesame tuna, the first week of fermentation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in the content of soluble solids, and the mature tunas showed a tendency to decrease the gentle soluble solids content during the fermentation period. Compared to the wine production used, the wine production period is expected to be shortened.

상기 알코올 함량은 Gay Lussac Table 규정에 따라 시료를 증류(distilling) 후, 15℃로 조절하는 방법으로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상기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과숙된 참다래를 이용한 와인 제조의 경우에는 고형분 함량의 감소 정도와 같이 첫 주부터 현저한 증가하였고, 최종 알코올 함량이 12.5%였으며, 숙성 참다래를 이용한 와인 제조의 경우 8주까지 완만하게 알코올 함량이 증가하였고, 최종 알코올 함량은 10.3%이었다. 상기 도 2에서 가용성 고형분 함량이 양자 모두 5 Brix% 정도로 거의 유사하였다는 점을 고려하면, 숙성된 참다래를 이용한 와인 제조에 비하여, 과숙된 참다래 와인을 이용하는 경우 와인 제조 효율이 더 높은 것으로 예상된다.The alcohol content was measured by distilling the sample according to Gay Lussac Table, and adjusting the temperature to 15 ° C.,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FIG. 3. As shown in FIG. 3, in the case of wine production using overcooked sesame, the increase was markedly increased from the first week, such as the degree of decrease in the solid content, the final alcohol content was 12.5%, 8 weeks in the case of wine production using aged sesame The alcohol content increased slowly until the final alcohol content was 10.3%. Considering that the soluble solids contents in FIG. 2 were almost similar to each other by about 5 Brix%, it is expected that the wine production efficiency is higher when using the matured sesame wine, as compared to the wine production using aged sesame.

또한, 참다래 와인의 pH는 pH Meter(Model 720A, USA)를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참다래 와인의 산도(total acidity)는 0.1N NaOH를 이용하여 적정 분석법으로 측정하였다. 상기 pH의 측정결과는 도 4에 나타내었고, 상기 산도의 분석결과는 도 5에 나타내었다.In addition, the pH of the cheddar wine was measured using a pH meter (Model 720A, USA), the total acidity of the cheddar wine was measured by a titration method using 0.1N NaOH. The measurement result of the pH is shown in FIG. 4, and the analysis result of the acidity is shown in FIG. 5.

상기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참다래의 숙성 정도는 와인의 pH 변화에 영향을 미치지 아니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최초 pH의 경우 과숙된 참다래를 이용하는 경우 pH 3.85로 약간 높았으나, 최종 발효된 와인의 pH는 모두 약 pH 3.46으로 와인의 보관성 및 기호도와 관련하여 요구되는 pH인 pH 3.6 보다 낮아 두가지 와인 모두 바람직한 것으로 확인되었다.As shown in FIG. 4, it was confirmed that the degree of ripening of the sesame seeds did not affect the pH change of the wine. The initial pH was slightly higher (p. 3.85) when using overcooked tuna, but the final fermented wine had a pH of about 3.46, which was lower than pH 3.6, the pH required for storage and palatability. It was confirmed that.

또한, 상기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참다래의 숙성 정도는 와인의 총산의 함량 변화에 영향을 미치지 아니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과숙된 참다래를 이용하는 경우에 총산의 함량이 약간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이는 오차범위 내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한편, 이러한 산도는 참다래 과즙 자체에 비해서는 약간 낮은 것으로, 와인이 숙성함에 따라 적절한 정도의 총산 함량을 갖는 것으로 측정되었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 5, the degree of ripening of the sesame seeds did not affect the change in the total acid content of the wine. It was confirmed that the content of total acid was slightly high when using overcooked blue tuna, but it was found to be within an error range. On the other hand, the acidity is slightly lower than that of sesame juice itself, it was measured to have an appropriate amount of total acid content as the wine matures.

실시예Example 2;  2; 참다래Blue sky 숙성 정도에 따른  According to the degree of ripening 참다래Blue sky 와인의Wine 기호도 확인 Check symbol too

와인과 같은 기호식품의 경우, 기호도가 제품의 품질을 결정하는데 영향을 미치고, 참다래 와인과 같은 화이트 와인의 경우 색이 짙어져 갈색이 되면, 이는 심하게 산화되거나 갈변된 것으로 평가되어, 제품의 품질이 현저하게 낮게 평가되므로, 녹차의 첨가에 따른 색도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일반적으로 참다래 와인의 색도와 관련하여, 명도 및 황색도가 중요하며, 명도와 관련하여 L값이 90이하인 경우 및 황색도와 관련하여 b값이 15이상인 경우에는 참다래 와인의 갈변화가 진행되어 제품의 품질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In preference foods such as wine, preference affects the quality of the product, and in white wines such as cheddar wine, when the color becomes darker and brown, it is evaluated to be severely oxidized or browned. Since it is markedly low, the change in chromaticity with the addition of green tea was confirmed. In general, lightness and yellowness are important in relation to the color of cheddar wine, and when the L value is 90 or less in relation to the brightness and the b value is 15 or more in relation to the yellowness, the browning of the wine is progressed. It can be interpreted as a problem in quality.

시료의 색도는 색차계(CR-400 Chroma meter equipped with CR-S4w utility software, Konica Minolta Sensing Inc., 일본)를 사용하여 L (명도), a (적색도), b (황색도) 값으로 나타내었으며, 그 결과를 도 6 내지 도 8에 나타내었다.The chromaticity of the sample is represented by L (brightness), a (redness), and b (yellowness) values using a color difference meter (CR-400 Chroma meter equipped with CR-S4w utility software, Konica Minolta Sensing Inc., Japan). The results are shown in FIGS. 6 to 8.

상기 도 6 내지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참다래의 숙성 정도는 참다래 와인의 색도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와인이 숙성함에 따라 참다래 와인의 L value는 참다래 와인 과즙의 70 정도에서 약 94까지 상승하였고, b value도 약 7에 해당하여 갈변화 등이 발생하는 저품질의 와인과 달리 고품질의 화이트와인과 같이 밝은 색인 것으로 평가되었다. 상기 결과로부터, 참다래 와인의 경우, 화이트 와인으로서 색도에 의한 기호도가 바람직한 것으로 확인되었다.As shown in Figure 6 to 8, the degree of maturation of the sesame was confirmed to have little effect on the chromaticity of the wine, and as the wine matures L value of the wine is about 94 at about 70 of the sesame wine juice The b value was also estimated to be about 7 as bright as high-quality white wines, unlike low-quality wines where brown change occurs. From the above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palatability according to chromaticity is preferable as white wine in the case of cheddar wine.

또한, 참다래의 숙성 정도에 따른 기호도를 확인하기 위한 관능검사는 발효 기간 동안 수행하였다. 실험 전 흡연 및 음주를 하지 않고, 감기가 걸리지 않은 12명의 자격을 갖춘 패널에 의해 5점 채점법(아주 좋음=5, 좋음=4, 보통=3, 좋지않음=2, 매우나쁨=1)으로 참다래 와인 단만, 신만, 쓴맛, 떫은 맛 및 전체적 만족도에 대한 관능적 특성을 측정하였고, 측정된 수치의 최대값 및 최소값을 제외한 나머지 10명의 값의 평균값을 각 결과로 하여 도 9에 나타내었다.In addition, the sensory test to confirm the degree of preference according to the degree of maturation of tuna was carried out during the fermentation period. A five-point grading method (very good = 5, good = 4, moderate = 3, bad = 2, very bad = 1) by 12 qualified panelists who did not smoke and drink alcohol before the experiment and did not catch a cold. Sensory characteristics of wine sweetness, sourness, bitterness, astringent taste and overall satisfaction were measured, and the average values of the remaining 10 values except the maximum and minimum values of the measured values were shown in FIG. 9.

상기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와인의 발효기간이 진행됨에 따라 즉 와인이 숙성됨에 따라 기호도가 우수해지는 것이 확인되었고, 전체적으로 과숙된 참다래를 이용하는 것이 숙성된 참다래를 이용하는 것에 비하여 기호도가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As shown in FIG. 9, it was confirmed that the palatability was excellent as the fermentation period of the wine progressed, that is, as the wine was aged, and the palatability of the overcooked blue tuna was confirmed to be superior to that of the mature blue tuna. .

실시예Example 3;  3; 참다래Blue sky 숙성 정도에 따른  According to the degree of ripening 참다래Blue sky 와인의Wine 기능성 확인 Functional check

참다래 와인의 기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참다래의 숙성 정도에 따른 총 페놀 함량의 경시적 변화를 측정하였다. 상기 총 페놀 함량의 측정은 포린-시오칼츄 시약법(Folin-Ciocalteu colorimetric)에 의해 수행되었다. 상기 시약과 반응한 반응액은 스펙트로포토메터(model 8452A, Hewlett-Packard, USA)를 이용하여 76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상기 측정된 흡광도 값은 갈릭산의 표준곡선으로부터 각 시료의 총 페놀 함량으로 환산하였으며, 갈릭산당량(mg GAE/L)으로 도 10에 나타내었다.In order to confirm the functionality of the wine, we measured the change in total phenolic content according to the degree of maturation of the sesame. The measurement of the total phenol content was carried out by the Folin-Ciocalteu colorimetric method. The reaction solution reacted with the reagent was measured for absorbance at 765 nm using a spectrophotometer (model 8452A, Hewlett-Packard, USA). The measured absorbance values were converted to the total phenolic content of each sample from the standard curve of gallic acid, and are shown in FIG. 10 as the gallic acid equivalent (mg GAE / L).

상기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체 페놀 함량은 발효가 진행되면서 약간 감소하였다. 참다래 숙성 정도와 관련하여, 과숙 참다래를 이용한 와인의 경우 숙성 참다래를 이용한 경우에 비하여 전체 발효기간에서 모두 페놀 함량이 더 높았으며, 이러한 결과는 기능성 부족으로 인해 수요 창출이 제한되는 화이트 와인의 문제점과 참다래 와인의 경우 화이트 와인의 대체제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과숙 참다래를 이용한 와인이 더 효과적임을 의미한다.As shown in FIG. 10, the total phenol content was slightly decreased as the fermentation progressed. In relation to the degree of ripening of the tuna, the wines with overcooked tuna were higher in phenolic content during the whole fermentation period than in the case of aging tuna, and this result is related to the problem of white wine, which limited demand generation due to lack of functionality. In the case of sesame wine, it can be a substitute for white wine means that the wine using the ripening sesame is more effective.

또한, 상기 참다래의 숙성 정도에 따른 항산화 활성은 ABTS법으로 측정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250 mM의 ABTS 시약(2,2’-azonobis (3-ethylbenzothiazolinw-6-sulphonic acid)), 250 mM의 K2S2O8 및 MnO2를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상기 반응 결과는 734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Trolox(6-hydroxy-2,5,7,8-tetramethyl chroman-2-carboxylic acid)와 비교하여 확인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11에 나타내었다. 상기 실험에 사용된 시료는 Sigma Chemical Co.(USA)에서 구입하였다.In addition, the antioxidant activity according to the degree of ripening of the sesame was measured by the ABTS method. More specifically, using the 250 mM ABTS reagent (2,2'-azonobis (3-ethylbenzothiazolinw-6-sulphonic acid)), 250 mM of K 2 S 2 O 8 and MnO 2 , the reaction results Was compared with Trolox (6-hydroxy-2,5,7,8-tetramethyl chroman-2-carboxylic acid) by measuring absorbance at 734 nm,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FIG. 11. Samples used in the experiment were purchased from Sigma Chemical Co. (USA).

상기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체 항산화 활성은 발효가 진행되면서 약간 감소하였다. 참다래 숙성 정도와 관련하여, 숙성 참다래를 이용한 와인의 경우 전체적으로 항산화 활성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과숙 참다래를 이용한 와인의 경우 항산화 활성의 감소 폭이 크지 아니하였고, 숙성 참다래를 이용한 경우에 비하여 전체적으로 항산화활성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와인의 항산화활성은 와인이 갖는 여러 기능성 중 대표적인 기능성으로, 항산화 활성으로 인해 다양한 질병의 예방 효과가 있으므로, 상기 항산화 활성이 높은 과숙 참다래를 이용한 와인 제조방법이 더 우수함을 알 수 있다.As shown in FIG. 11, the total antioxidant activity decreased slightly as the fermentation progressed. Regarding the degree of ripening of the tuna, the antioxidative activity of the wine using aging tuna was reduced overall, but the decrease of antioxidant activity was not significant in the wine using the ripened tuna, and overall compared to the case of using the mature tuna It was confirmed that antioxidant activity was high. Antioxidant activity of the wine is a representative of the many functionalities of the wine, because of the antioxidant activity has a preventive effect of various diseases, it can be seen that the wine production method using the mature anti-mother, which has high antioxidant activity.

Claims (4)

참다래를 15℃ 내지 20℃에서 참다래의 당도가 15 Brix가 될 때까지 과숙시키는 단계;
상기 과숙된 참다래를 파쇄 및 압착하여 참다래 과즙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참다래 과즙에 펙틴 가수분해효소(pectinase)를 첨가하고 반응시키는 단계;
상기 펙틴 가수분해효소를 반응시킨 참다래 과즙에 발효균주를 접종시키는 단계 및
상기 발효균주를 접종시킨 참다래 과즙을 발효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참다래 와인의 제조방법.
Ripening the sesame seeds at 15 ° C. to 20 ° C. until the sugar content of the sesame is 15 Brix;
Crushing and compressing the ripened sesame seeds to prepare sesame juice;
Adding and reacting pectin hydrolase (pectinase) to the sesame juice;
Inoculating the fermented strains into the sesame juice reacted with the pectin hydrolase, and
Fermenting the sesame seed juice inoculated with the fermented strain
Method of producing cheddar wine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균주는 사카로마이세스 바냐너스 EC1118(Saccharomyces bayanus Lavin EC1118)인 참다래 와인의 제조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fermented strain is Saccharomyces Bananas EC1118 ( Saccharomyces bayanus Lavin EC1118) is a method of making a cheddar wine.
참다래를 15℃ 내지 20℃에서 참다래의 당도가 15 Brix가 될 때까지 숙성시키는 단계; 상기 숙성된 참다래를 파쇄 및 압착하여 참다래 과즙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참다래 과즙에 펙틴 가수분해효소(pectinase)를 첨가하고 반응시키는 단계; 상기 펙틴 가수분해효소를 반응시킨 참다래 과즙에 당을 첨가하는 단계; 상기 당을 첨가한 참다래 과즙에 사카로마이세스 바냐너스 EC1118(Saccharomyces bayanus Lavin EC1118)를 접종시키는 단계 및 상기 사카로마이세스 바냐너스 EC1118(Saccharomyces bayanus Lavin EC1118)를 접종시킨 참다래 과즙을 발효통에 담고 13℃ 내지 15℃에서 14일 동안 발효시키는 1차 발효 단계; 상기 1차 발효 단계를 거친 참다래 과즙 발효액을 다른 발효통으로 옮겨 13℃ 내지 15℃에서 56일 동안 발효시키는 2차 발효 단계; 및 상기 2차 발효 단계를 거친 참다래 과즙 발효액을 다른 발효통으로 옮겨 13℃ 내지 15℃에서 90일 동안 발효시키는 3차 발효 단계
를 포함하는 참다래 와인의 제조방법.
Aging the sesame seeds at 15 ° C. to 20 ° C. until the sweetness of the sesame is 15 Brix; Crushing and compressing the aged sesame seeds to prepare sesame juice; Adding and reacting pectin hydrolase (pectinase) to the sesame juice; Adding a sugar to the sesame juice reacted with the pectin hydrolase; A saccharide in a kiwifruit juice was added to the sugar My process Banja bonus EC1118 (Saccharomyces bayanus Lavin EC1118) for containing the inoculated steps and My process Banja bonus EC1118 (Saccharomyces bayanus Lavin EC1118) with the saccharide to inoculation kiwifruit juice in the fermenter 13 Primary fermentation step of fermentation at 14 ° C. for 15 days; A secondary fermentation step of transferring the sesame juice fermentation broth passed through the first fermentation step to another fermentation vessel and fermenting at 13 ° C. to 15 ° C. for 56 days; And a third fermentation step of transferring the sesame juice fermentation broth passed through the second fermentation step to another fermentation vessel and fermenting for 90 days at 13 ℃ to 15 ℃
Method of producing cheddar wine comprising a.
제1항의 방법으로 제조된 참다래 와인.Blue sesame wine prepared by the method of claim 1.
KR1020100111221A 2010-11-10 2010-11-10 Method of preparing kiwifruit wine KR20120049965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1221A KR20120049965A (en) 2010-11-10 2010-11-10 Method of preparing kiwifruit w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1221A KR20120049965A (en) 2010-11-10 2010-11-10 Method of preparing kiwifruit win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9965A true KR20120049965A (en) 2012-05-18

Family

ID=462675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1221A KR20120049965A (en) 2010-11-10 2010-11-10 Method of preparing kiwifruit wi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49965A (en)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6093B1 (en) * 2011-09-22 2013-03-20 영농조합법인 오름주가 Kiwi fruit wine of high quality and with enhanced tannin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CN103351982A (en) * 2013-07-31 2013-10-16 周冠旻 Preparation method for kiwi fruit wine
KR101355746B1 (en) * 2010-12-29 2014-01-27 원주시 Method for manufacturing of wine used Actinidia arguta
KR101486222B1 (en) * 2012-12-18 2015-01-29 영농조합법인 오름주가 Pichia guilliermondii SY46 strain and preparation of Kiwi wine by using the strain
KR20180060805A (en) 2016-11-29 2018-06-07 재단법인 홍천메디칼허브연구소 Method for ther production of brandy with Actinidia arguta Planch. Chungsan
CN108342278A (en) * 2018-05-08 2018-07-31 中国农业科学院特产研究所 A kind of tara vine wine and its brewing method
KR20190103902A (en) 2018-02-28 2019-09-05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A method of preparing beverage comprising actinidia chinensis fruit and beverage prepared therefrom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5746B1 (en) * 2010-12-29 2014-01-27 원주시 Method for manufacturing of wine used Actinidia arguta
KR101246093B1 (en) * 2011-09-22 2013-03-20 영농조합법인 오름주가 Kiwi fruit wine of high quality and with enhanced tannin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KR101486222B1 (en) * 2012-12-18 2015-01-29 영농조합법인 오름주가 Pichia guilliermondii SY46 strain and preparation of Kiwi wine by using the strain
CN103351982A (en) * 2013-07-31 2013-10-16 周冠旻 Preparation method for kiwi fruit wine
KR20180060805A (en) 2016-11-29 2018-06-07 재단법인 홍천메디칼허브연구소 Method for ther production of brandy with Actinidia arguta Planch. Chungsan
KR20190103902A (en) 2018-02-28 2019-09-05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A method of preparing beverage comprising actinidia chinensis fruit and beverage prepared therefrom
CN108342278A (en) * 2018-05-08 2018-07-31 中国农业科学院特产研究所 A kind of tara vine wine and its brewing metho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1108B1 (en) Producing method for fermentation vinegar of blueberry and?apple mixing juice and beverage formulation using it
KR101828863B1 (en) Aronia juice diminished bitter tast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lactic acid fermentation manufacturing method using thereof
KR20120049965A (en) Method of preparing kiwifruit wine
KR100797184B1 (en) Method for preparing fruit beer using natural fruit and malt
KR101861604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Passion Fruit Wine
KR100943024B1 (en) Bokbunja Rubus coreanus Miq. vinegar and its preparation method
CN105112230B (en) Saskatoon rice wine and its method for preparation
KR101317381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rice makkolli using purple sweet potato
KR101723622B1 (en) Method of preparing eriobotrya japonica wine
KR100896984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functional jam using tomato
KR20180029155A (en) Beverage comprising Radish juice and pear juice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N110004011B (en) Solid-liquid fermentation combined mulberry wine formula and preparation method
KR101042276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black garlic makgeoli
KR20100040715A (en) Method for preparing fermented alcoholic drink using paprika
KR101781109B1 (en) Method for producing colored Jocheong using colored malt and colored Jocheong produced by same method
KR101816539B1 (en) Raw rice wine containing ginseng berry extracts
KR101170278B1 (en) Preparation method of makgeolli using persimmon
KR20110012070A (en) A onion-vinegar beverage having antioxidant and antibacterial activity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KR100529845B1 (en) Process for Preparing Fermentative Drink Employing Pear
KR20200099727A (en) A method for preparation strawberry wine
KR101038847B1 (en) Method for preparing of persimmon wine
KR101200339B1 (en) Wine utilizing the fruits of Pinkpap Borisu and method thereof
KR20160099214A (en) A method for preparing beer containing blueberry
KR20090061114A (en) Health functional chrysanthemun vinegar ane process for preparation thereof
KR100752392B1 (en) Preparation Method of Persimmon Vinegar Using Two step Fermentation and Beverage Conposition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