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49615A - Wireless light system - Google Patents

Wireless light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49615A
KR20120049615A KR1020100110961A KR20100110961A KR20120049615A KR 20120049615 A KR20120049615 A KR 20120049615A KR 1020100110961 A KR1020100110961 A KR 1020100110961A KR 20100110961 A KR20100110961 A KR 20100110961A KR 20120049615 A KR20120049615 A KR 201200496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power
lighting
turned
dimming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096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구대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109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49615A/en
Publication of KR201200496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9615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PURPOSE: A wireless lighting system is provided to minimize power consumption by selectively controlling power supplied to each block according to a lighting state. CONSTITUTION: A power supply unit generates the first power and the second power. A lighting unit receives the first power and emits light. A communication unit(200) receives a lighting control signal by wireless. A light source control unit generates a dimming signal for controlling the lighting unit. A power cutoff unit(204) controls the first power according to a lighting control signal. The lighting unit controls the brightness of light according to a duty ratio of a dimming signal.

Description

무선 조명 시스템{WIRELESS LIGHT SYSTEM}Wireless lighting system {WIRELESS LIGHT SYSTEM}

본 발명은 무선 조명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는 무선 조명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lighting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wireless lighting system that can reduce unnecessary power consumption.

LED(Light Emitting Diode)는 적은 발열량, 저 소비 전력, 유해 파장 미 방출, 긴 수명 등의 장점으로 인해 스탠드 전등, 이동 통신 장치, 노트북 컴퓨터 등의 광원으로 채택되고 있으며, 다양한 조명으로서 그 활용도가 증가하고 있다. 기존에 많이 사용되고 있는 형광등은 깜빡임으로 인해 눈의 피로감을 증가시키는데 반해, 발광 다이오드는 깜빡임이 없어 눈의 피로감을 낮출 수 있다. 또한, 발광 다이오드는 인가되는 전압 또는 전류를 제어함으로써, 색 구현과 밝기 조절이 용이하다는 장점도 갖고 있다.Light Emitting Diodes (LEDs) are being used as light sources for stand lamps, mobile communication devices, notebook computers, etc. due to their low heat generation, low power consumption, no harmful wavelength emission, and long lifespan. Doing. Fluorescent lamps, which are widely used in the past, increase eye fatigue due to flickering, while light emitting diodes do not blink and can reduce eye strain. In addition, the light emitting diode has an advantage of easy color realization and brightness control by controlling the applied voltage or current.

한편, 최근 LED는 위와 같은 장점으로 인해 가로등과 같은 무선 조명 시스템에까지 적용 범위를 확장하고 있다. 무선 조명 시스템은 먼 거리에서 무선으로 조명의 점등 및 소등을 제어할 수 있어서 관리자에게 편의를 제공한다.
On the other hand, LED has recently been extended to the wireless lighting system such as streetlights because of the above advantages. Wireless lighting systems provide convenience to administrators by controlling the lighting on and off wirelessly over long distances.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동작 상태에 따라 각 블럭들에 전원을 선택적으로 공급하여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고자 한다.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to provide a means for selectively supplying power to each block according to the operating state to reduce unnecessary power consumption.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조명 시스템은 제1 전원 및 제2 전원을 생성하는 전원 공급부, 상기 제1 전원을 인가받아 빛을 발산하는 조명부 및 상기 제2 전원을 인가받아 상기 조명부를 제어하고, 상기 조명부가 턴-오프되는 경우 상기 조명부로 공급되는 상기 제1 전원을 차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Wireless light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a power supply for generating a first power and a second power, the lighting unit for emitting light by receiving the first power and the second power received And a controller to control the lighting unit and to cut off the first power supplied to the lighting unit when the lighting unit is turned off.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조명을 턴-오프하는 경우 동작하지 않는 블럭들에는 전원 공급을 차단하고, 외부로부터 조명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통신 기능을 수행하는 블럭에만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대기 전력을 최소화하여 전력 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ower is supplied to blocks that do not operate when lighting is turned off, and power is supplied only to a block that performs a communication function for receiving a lighting control signal from the outside, thereby minimizing standby power. Power savings can be achieved.

도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조명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2는 도1의 제어부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3은 도1의 전원 공급부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wireless light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controller of FIG.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power supply unit of FIG.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However, this is only an example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known technolog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The following terms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the operator, and the like.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termined by the claims, and the following embodiments are merely means for efficiently explaining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조명 시스템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 wireless lighting system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조명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wireless light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조명 시스템(100)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 공급부(102), 조명부(104) 및 제어부(106)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1, the wireless lighting system 1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ower supply unit 102, an illumination unit 104, and a controller 106.

이와 같이 구성된 무선 조명 시스템(100)의 각 블럭들의 기능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Looking at the function of each block of the wireless lighting system 10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먼저, 전원 공급부(102)는 교류인 외부 전원(AC)를 인가받아 직류인 제1 내부 전원(DC1) 및 제2 내부 전원(DC2)를 생성하고, 제1 내부 전원(DC1)은 조명부(104)로 공급하고, 제2 내부 전원(DC2)은 제어부(106)로 공급한다.First, the power supply unit 102 receives an external power source AC that is an alternating current to generate a first internal power source DC1 and a second internal power source DC2 that are direct current, and the first internal power source DC1 is an illumination unit 104. ) And the second internal power supply DC2 is supplied to the control unit 106.

조명부(104)는 제1 내부 전원(DC1)을 인가받아 동작하며, LED 구동부(105) 및 적어도 하나의 LED(106)를 포함한다. LED구동부(105)는 전원 공급부(102)로부터 제1 전원(DC1)을 인가받고, 디밍 신호(DIM)에 응답하여 LED(106)를 구동한다. 여기서, 디밍 신호(DIM)는 일정한 듀티 비(duty ratio)를 갖는 펄스 신호이다.The lighting unit 104 operates by receiving a first internal power source DC1 and includes an LED driver 105 and at least one LED 106. The LED driver 105 receives the first power source DC1 from the power supply unit 102 and drives the LED 106 in response to the dimming signal DIM. Here, the dimming signal DIM is a pulse signal having a constant duty ratio.

LED 구동부(105)는 디밍 신호(DIM)가 온(on) 되면, 디밍 신호(DIM)의 듀티 비에 따라 LED(106)를 구동하고, 디밍 신호(DIM)가 오프(off) 되면, LED(106)의 구동을 중단한다. LED 구동부(105)는 디밍 신호(DIM)의 듀티 비가 커질수록 LED(106)를 구동하는 시간이 늘어나 LED(106)가 발산하는 빛이 점점 밝아진다.When the dimming signal DIM is on, the LED driver 105 drives the LED 106 according to the duty ratio of the dimming signal DIM, and when the dimming signal DIM is off, the LED ( 106) is stopped. As the duty ratio of the dimming signal DIM increases in the LED driver 105, the time for driving the LED 106 increases, so that the light emitted from the LED 106 becomes brighter.

이와 같이, 조명부(104)는 디밍 신호(DIM)에 따라 턴-온되거나 턴-오프되며, 턴-온 상태에서는 디밍 신호(DIM)의 듀티 비에 따라 빛의 밝기를 조절한다. 한편, 조명부(104)는 LED(106)를 복수개 구비할 수 있다.As such, the lighting unit 104 is turned on or off according to the dimming signal DIM, and in the turn-on state, the illumination unit 104 adjusts the brightness of the light according to the duty ratio of the dimming signal DIM. On the other hand, the lighting unit 104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LED (106).

다음, 제어부(108)는 무선으로 조명 제어 신호(SW)를 수신하고, 이 조명 제어 신호(SW)에 따라 디밍 신호(DIM)를 생성한다. 여기서, 조명 제어 신호(SW)는 조명부(104)를 턴-온시키거나 턴-오프시키기 위해 외부에서 전송되는 제어 신호로서, 제어부(108)는 조명 제어 신호(SW)로부터 조명부(104)의 턴-온 및 턴-오프 여부를 알 수 있다. 제어부(108)는 조명 제어 신호(SW)에 따라, 조명부(104)가 턴-온되는 경우 일정한 듀티 비를 갖는 디밍 신호(DIM)를 생성하고, 조명부(104)가 턴-오프되는 경우 디밍 신호(DIM)를 오프시키고 제1 내부 전원(DC1)의 공급을 차단하기 위한 전원 차단 신호(PB)를 생성한다. 전원 공급부(102)는 전원 차단 신호(PB)에 응답하여 조명부(104)로의 제1 내부 전원(DC1) 공급을 차단한다.
Next, the controller 108 wirelessly receives the lighting control signal SW and generates a dimming signal DIM according to the lighting control signal SW. Here, the lighting control signal SW is a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outside to turn on or turn off the lighting unit 104, and the controller 108 may turn the lighting unit 104 from the lighting control signal SW. Know whether it is on and off. The controller 108 generates a dimming signal DIM having a constant duty ratio when the lighting unit 104 is turned on according to the lighting control signal SW, and dimming signal when the lighting unit 104 is turned off. The DIM is turned off and the power cutoff signal PB for cutting off the supply of the first internal power source DC1 is generated. The power supply unit 102 cuts off the supply of the first internal power supply DC1 to the lighting unit 104 in response to the power cutoff signal PB.

도2는 도1의 제어부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FIG.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controller of FIG.

제어부(108)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부(200), LED 제어부(202) 및 전원 차단부(204)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2, the control unit 108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200, an LED control unit 202, and a power cutoff unit 204.

도1과 도2를 참조하면, 통신부(200)는 외부로부터 전송되는 조명 제어 신호(SW)를 무선으로 수신하여 LED 제어부(202) 및 전원 차단부(204)로 전달한다.1 and 2, the communication unit 200 wirelessly receives an illumination control signal SW transmitted from the outside and transmits it to the LED controller 202 and the power cut-off unit 204.

LED 제어부(202)는 조명 제어 신호(SW)로부터 조명부(104)의 턴-온 또는 턴-오프 여부를 판단하여 조명부(104)가 턴-온되는 경우 일정한 듀티 비를 갖는 디밍 신호(DIM)를 출력하고, 조명부(104)가 턴-오프되는 경우 디밍 신호(DIM)를 오프시킨다.The LED controller 202 determines whether the lighting unit 104 is turned on or off from the lighting control signal SW, and when the lighting unit 104 is turned on, the LED control unit 202 outputs a dimming signal DIM having a constant duty ratio. The dimming signal DIM is turned off when the lighting unit 104 is turned off.

전원 차단부(204)는 전원 공급부에서 생성된 제2 내부 전원(DC2)를 전달받아 통신부(200) 및 LED 제어부(202)로 공급한다. 이때, 전원 차단부(204)는 조명 제어 신호(SW)에 따라 통신부(200) 및 LED 제어부(202)에 제2 내부 전원(DC2)을 선택적으로 공급한다.The power cutoff unit 204 receives the second internal power source DC2 generated by the power supply unit and supplies it to the communication unit 200 and the LED controller 202. In this case, the power cutoff unit 204 selectively supplies the second internal power source DC2 to the communication unit 200 and the LED controller 202 according to the lighting control signal SW.

좀 더 구체적으로 전원 차단부(204)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More specifically, the operation of the power cutoff unit 204 is as follows.

조명 제어 신호(SW)에 따라 조명부(104)가 턴-온되는 경우 전원 차단부(204)는 통신부(200)와 LED 제어부(202)에 모두 제2 내부 전원(DC2)을 공급한다. 통신부(200)는 실시간으로 전송되는 조명 제어 신호(SW)를 수신하기 위해 항상 제2 내부 전원(DC2)을 필요로 하며, LED 제어부(202)는 조명부(104)의 턴-온 상태에서 조명부(104)를 제어하기 위해 제2 내부 전원(DC2)를 필요로 한다. 한편, 조명 제어 신호(SW)에 따라 조명부(104)가 턴-오프되는 경우 전원 차단부(204)는 통신부(200)에 제2 내부 전원(DC2)을 공급한다. 통신부(200)는 외부로부터 전송되는 조명 제어 신호(SW)를 수신하기 위해서는 항상 동작 상태를 유지해야 하므로, 조명부(104)의 동작 상태와는 상관없이 제2 내부 전원(DC2)을 공급받아야 한다. 반면, LED 제어부(202)는 조명부(104)가 턴-오프되는 상황에서는 디밍 신호(DIM)를 출력하여 조명부(104)를 제어할 필요가 없으므로, 전원 차단부(204)는 LED 제어부(202)로 공급되는 제2 내부 전원(DC2)을 차단한다.When the lighting unit 104 is turned on according to the lighting control signal SW, the power cutoff unit 204 supplies the second internal power source DC2 to both the communication unit 200 and the LED controller 202. The communication unit 200 always needs the second internal power source DC2 to receive the lighting control signal SW transmitted in real time, and the LED control unit 202 may turn on the lighting unit (eg, in the turn-on state of the lighting unit 104). The second internal power source DC2 is required to control the 104. Meanwhile, when the lighting unit 104 is turned off according to the lighting control signal SW, the power cutoff unit 204 supplies the second internal power source DC2 to the communication unit 200. Since the communication unit 200 must always maintain an operating state in order to receive the lighting control signal SW transmitted from the outside, the communication unit 200 must receive the second internal power source DC2 regardless of the operating state of the lighting unit 104. On the other hand, since the LED controller 202 does not need to control the lighting unit 104 by outputting a dimming signal DIM in a situation in which the lighting unit 104 is turned off, the power cut-off unit 204 is the LED control unit 202. The second internal power supply DC2 supplied to the power supply is cut off.

한편, 전원 차단부(204)는 조명부(104)가 턴-오프되는 경우 전원 공급부(102)의 제1 내부 전원(DC1) 공급을 차단하기 위한 전원 차단 신호(PB)를 출력한다.On the other hand, the power cutoff unit 204 outputs a power cutoff signal PB for cutting off the supply of the first internal power source DC1 of the power supply unit 102 when the lighting unit 104 is turned off.

이와 같이, 제어부(108)는 무선으로 수신하는 조명 제어 신호(SW)에 따라 디밍 신호(DIM)를 온 또는 오프시키고, 전원 공급부(102)의 제1 내부 전원(DC1)의 공급을 차단하기 위한 전원 차단 신호(PB)를 출력한다. 또한, 조명 제어 신호(SW)에 따라 통신부(200)와 LED 제어부(202)로의 제2 내부 전원(DC2) 공급을 선택적으로 제어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ler 108 turns on or off the dimming signal DIM according to the lighting control signal SW received wirelessly, and cuts off the supply of the first internal power source DC1 of the power supply unit 102. Output a power off signal (PB). In addition, the second internal power supply DC2 is selectively controlled to the communication unit 200 and the LED control unit 202 according to the lighting control signal SW.

도3은 도1의 전원 공급부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power supply unit of FIG.

전원 공급부(102)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환부(300), 변압부(302), 제1 출력단(304) 및 제2 출력단(306)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3, the power supply unit 102 includes a converter 300, a transformer 302, a first output terminal 304, and a second output terminal 306.

도1과 도3을 참조하면, 변환부(300)는 교류인 외부 전원(AC)를 인가받아 직류로 변환하고, 변압부(302)는 변환부(300)에서 직류로 변환된 전원을 변압하여 서로 다른 전압 레벨을 갖는 제1 내부 전원(DC1)과 제2 내부 전원(DC2)를 생성한다. 여기서, 제1 내부 전원(DC1)의 전압 레벨은 제2 내부 전원(DC2)의 전압 레벨보다 높게 설정된다. 이는 LED(106)의 구동에 제어부(108)의 구동보다 더 높은 전압을 필요로 하기 때문이다.1 and 3, the conversion unit 300 receives an external power source AC, which is AC, and converts the DC into a direct current, and the transformer 302 transforms the power converted into DC from the conversion unit 300. A first internal power source DC1 and a second internal power source DC2 having different voltage levels are generated. Here, the voltage level of the first internal power supply DC1 is set higher than the voltage level of the second internal power supply DC2. This is because driving the LED 106 requires a higher voltage than driving the controller 108.

한편, 변압부(302)에서 생성된 제1 내부 전원(DC1)은 제1 출력단(304)을 통해 출력되고, 제2 내부 전원(DC2)은 제2 출력단(306)을 통해 출력된다. 이때, 제1 출력단(304)은 전원 차단 신호(PB)에 응답하여 제1 내부 전원(DC1)의 출력을 차단한다. 즉, 제1 출력단(304)은 조명부(104)가 턴-오프되는 경우 조명부(104)로 공급하는 제1 내부 전원(DC1)을 차단하여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막게 된다.
Meanwhile, the first internal power source DC1 generated by the transformer unit 302 is output through the first output terminal 304, and the second internal power source DC2 is output through the second output terminal 306. In this case, the first output terminal 304 cuts the output of the first internal power supply DC1 in response to the power cutoff signal PB. That is, when the lighting unit 104 is turned off, the first output terminal 304 blocks the first internal power supply DC1 supplied to the lighting unit 104 to prevent unnecessary power consumption.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조명 시스템은 조명부(104)가 턴-오프되어 LED(106)가 빛을 발산하지 않는 동안에는 조명부(104)로 공급되는 제1 내부 전원(DC1)을 차단할 뿐만 아니라, 제어부(108)를 구성하는 통신부(200)와 LED 제어부(202) 중 조명 제어 신호(SW)를 수신해야 하는 통신부(200)에만 제2 내부 전원(DC2)을 공급한다. 즉, 조명부(104)의 턴-오프 시 통신부(200)를 제외한 나머지 블럭들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함으로써, 대기 전력을 최소화한다. 이에 따라, 무선 조명 시스템의 전력 절감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wireless lighting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internal power source DC1 supplied to the lighting unit 104 while the lighting unit 104 is turned off and the LED 106 does not emit light. In addition, the second internal power supply DC2 is supplied only to the communication unit 200 constituting the control unit 108 and the communication unit 200 that should receive the lighting control signal SW among the LED control unit 202. That is, when the lighting unit 104 is turned off, the standby power is minimized by cutting off the power supplied to the remaining blocks except for the communication unit 200. Accordingly, the power saving effect of the wireless lighting system can be brought.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조명 시스템의 점등 및 소등은 외부에서 무선으로 전송되는 신호에 의해 제어되므로, 가로등, 다리의 조명등, 집안의 조명 등에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On the other hand, since the lighting and turning off of the wireless light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trolled by a signal transmitted wirelessly from the outside, it may be applied to a street lamp, a lamp of a bridge, lighting of a house, and the like.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clearly understood that the same is by way of illustration and example only and is not to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 will understand.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fined by the claims below and equivalents thereof.

100: 무선 조명 시스템 102: 전원 공급부
104: 조명부 105: LED 구동부
106: LED 108: 제어부
200: 통신부 202: LED 제어부
204: 전원 차단부 300: 변환부
302: 변압부 304: 제1 출력단
306: 제2 출력단 DC1: 제1 내부 전원
DC2: 제2 내부 전원
100: wireless lighting system 102: power supply
104: lighting unit 105: LED driving unit
106: LED 108: control unit
200: communication unit 202: LED control unit
204: power interrupter 300: converter
302: transformer unit 304: first output end
306: second output terminal DC1: first internal power source
DC2: second internal power source

Claims (9)

제1 전원 및 제2 전원을 생성하는 전원 공급부;
상기 제1 전원을 인가받아 빛을 발산하는 조명부; 및
상기 제2 전원을 인가받아 상기 조명부를 제어하고, 상기 조명부가 턴-오프되는 경우 상기 조명부로 공급되는 상기 제1 전원을 차단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무선 조명 시스템.
A power supply unit generating a first power source and a second power source;
An illumination unit configured to emit light by receiving the first power; And
A control unit which receives the second power to control the lighting unit and cuts off the first power supplied to the lighting unit when the lighting unit is turned off;
Wireless lighting system comprising a.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명부를 턴-온 또는 턴-오프시키기 위한 조명 제어 신호를 무선으로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조명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조명부를 제어하는 디밍 신호를 생성하는 광원 제어부; 및
상기 제2 전원을 인가받아 상기 통신부 및 광원 제어부에 공급하되, 상기 조명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제2 전원의 공급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며, 상기 조명부가 턴-오프되는 경우 상기 전원 공급부를 제어하여 상기 제1 전원의 공급을 차단하는 전원 차단부;
를 포함하는 무선 조명 시스템.
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control unit
A communication unit for wirelessly receiving an illumination control signal for turning on or off the lighting unit;
A light source controller configured to generate a dimming signal for controlling the lighting unit in response to the lighting control signal; And
The second power source is supplied to the communication unit and the light source control unit, and selectively cuts off the supply of the second power according to the illumination control signal, and controls the power supply unit to control the power supply unit when the lighting unit is turned off. 1 power cut off the power supply;
Wireless lighting system comprising a.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는 상기 디밍 신호가 온 되면 턴-온 상태가 되고, 상기 디밍 신호가 오프되면 턴-오프 상태가 되는, 무선 조명 시스템.
The wireless lighting system of claim 2, wherein the lighting unit is turned on when the dimming signal is turned on, and is turned off when the dimming signal is turned off.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는 상기 디밍 신호의 듀티 비에 따라 빛의 밝기를 조절하는, 무선 조명 시스템.
The wireless lighting system of claim 3, wherein the lighting unit adjusts brightness of light according to a duty ratio of the dimming signal.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차단부는 상기 조명부가 턴-온되는 경우 상기 통신부와 광원 제어부로 상기 제2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조명부가 턴-오프되는 경우 상기 통신부로 상기 제2 전원을 전달하는, 무선 조명 시스템.
The apparatus of claim 2, wherein the power cut-off unit supplies the second power to the communication unit and the light source control unit when the lighting unit is turned on, and transfers the second power to the communication unit when the lighting unit is turned off. , Wireless lighting system.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차단부는 상기 조명부가 턴-오프되는 경우 상기 전원 공급부의 제1 전원 공급을 차단하기 위한 전원 차단 신호를 생성하는, 무선 조명 시스템.
The wireless lighting system of claim 2, wherein the power cutoff unit generates a power cutoff signal for cutting off a first power supply of the power supply unit when the lighting unit is turned off.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공급부는
상기 제1 전원 및 제2 전원을 생성하는 변압부;
상기 제1 전원을 전달받아 출력하되, 상기 전원 차단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전원의 출력을 차단하는 제1 출력단; 및
상기 제2 전원을 전달받아 출력하는 제2 출력단;
을 포함하는 무선 조명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power supply unit
A transformer for generating the first power source and the second power source;
A first output terminal configured to receive and output the first power, and to block the output of the first power in response to the power cutoff signal; And
A second output terminal configured to receive and output the second power;
Wireless lighting system comprising a.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는
빛을 발산하는 적어도 하나의 광원; 및
상기 디밍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광원을 구동하는 구동부;
를 포함하는 무선 조명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lighting unit
At least one light source for emitting light; And
A driving unit driv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the dimming signal;
Wireless lighting system comprising a.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디밍 신호가 온 되면, 상기 디밍 신호의 듀티 비에 대응하여 상기 광원을 구동하고, 상기 디밍 신호가 오프 되면, 상기 광원의 구동을 중단하는, 무선 조명 시스템.The wireless lighting system of claim 8, wherein the driving unit drives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a duty ratio of the dimming signal when the dimming signal is turned on, and stops driving the light source when the dimming signal is turned off.
KR1020100110961A 2010-11-09 2010-11-09 Wireless light system KR20120049615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0961A KR20120049615A (en) 2010-11-09 2010-11-09 Wireless light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0961A KR20120049615A (en) 2010-11-09 2010-11-09 Wireless light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9615A true KR20120049615A (en) 2012-05-17

Family

ID=462673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0961A KR20120049615A (en) 2010-11-09 2010-11-09 Wireless light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49615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00327B2 (en) Visible light communication system
JP2014176295A (en) Illumination device
JP5626840B2 (en) Lighting device
US20150130358A1 (en) Led controlling device
JP2008206086A (en) Visible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KR101237034B1 (en) power supply apparatus of LED
KR20140122045A (en) Dimming controlable LED lighting fixture using switching pattern
US20120019150A1 (en) Power supply device and lighting system having the same
KR20120126909A (en) power supply control apparatus for lighting
KR101844460B1 (en) LED lamp control circuit compatible type fluorescent and lighting the use
JP2016213140A (en) Lighting system
KR102179416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LED Lighting
KR101219578B1 (en) Dimming control LED lamp device and method thereof
CN210518935U (en) Lamp fitting
KR20120049615A (en) Wireless light system
KR20110053678A (en) Method drive for the circuit drive led lighting a lamp use frequency
KR20140103198A (en) LED Dimming Control Device
KR101542673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riving light emitting diode
KR20160095773A (en) Illumination device
KR101201459B1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led-streetlight of dimming by power line communication
KR101961850B1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led lighting
JP2017130416A (en) Driver and lighting device
KR100983042B1 (en) Lightning apparatus
EP1976341B1 (en) Lighting module power-saving control method
JP2016207657A (en) Power supply device for light-emitting diode (led) light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