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48751A - 젓가락 - Google Patents

젓가락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48751A
KR20120048751A KR1020100109410A KR20100109410A KR20120048751A KR 20120048751 A KR20120048751 A KR 20120048751A KR 1020100109410 A KR1020100109410 A KR 1020100109410A KR 20100109410 A KR20100109410 A KR 20100109410A KR 20120048751 A KR20120048751 A KR 201200487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opsticks
tip
tip portion
twisted
grip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94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광열
Original Assignee
문광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광열 filed Critical 문광열
Priority to KR10201001094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48751A/ko
Priority to CN2011103432516A priority patent/CN102450922A/zh
Publication of KR201200487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87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10Sugar tongs; Asparagus tongs; Other food tongs
    • A47G21/103Chop-stick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14Knife racks or stands; Holders for table utensils attachable to plat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4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19/00-A47G23/16
    • A47G2400/02Hygiene
    • A47G2400/025Avoiding contact with unclean surfaces

Landscapes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젓가락에 관한 것으로, 소정의 길이를 갖고 일단에 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파지부가 마련되고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상기 파지부보다 더 가느다랗게 형성되는 선단부가 마련된 몸체를 구비하는 젓가락에 있어서, 상기 몸체에는 길이중심으로부터 상기 선단부 방향으로 소정거리 이동된 위치에 상기 파지부에 대해 상기 선단부가 일 측 방향으로 비틀린 형태의 꼬임부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에는 길이중심으로부터 상기 선단부 방향으로 소정거리로 이격되고, 상기 꼬임부로부터 상기 파지부 방향으로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상기 파지부의 길이방향에 대해 상기 선단부를 틀어지게 하는 굴곡부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젓가락에 의하면, 젓가락의 파지부와 선단부 사이의 일정부분을 90°로 비틀어 상부로 휘어지게 형성시킴으로써 선단부가 자체적으로 식탁 면과 분리되도록 하여 식탁의 세균 및 이물질 등으로부터 젓가락을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음식물과 접촉되는 선단부의 면적을 기존보다 더 넓게 형성되며 내측으로 인입된 인입홈이 마련되어 있어 작은 음식물도 쉽게 잡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젓가락{Chopsticks}
본 발명은 젓가락에 관한 것으로 식탁에 놓았을 때 젓가락의 끝부분(음식물을 집는 부위)이 식탁면에 닿지 않게 하여 위생적이고 음식물을 쉽게 집을 수 있는 젓가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젓가락은 가정 또는 식당에서 수시로 식탁 위에 올려놓거나 다시 집어들어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젓가락은 식탁 위에 아무런 장치 없이 올려놓게 되므로 식탁에 음식물이 묻게 되고, 다시 집어 사용하므로 식탁에 묻어 있던 이물질 또는 유해세균이 입안으로 들어가는 등 비위생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고급식당에서는 젓가락과 숟가락을 받치기 위한 받침대를 별도로 구비하여 사용하고 있으나, 젓가락과 숟가락을 받치기 위한 받침대를 사용하는 경우에 식탁이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고, 관리가 불편하며, 비용면에서도 비경제적인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젓가락은 길이중심 부근에 일정높이의 돌기를 형성하도록 별도로 만든 링을 젓가락에 끼워서 일정높이로 형성시키거나 젓가락의 일정부위만을 남기고 나머지 부분의 소재를 깍아내 식탁면에 젓가락의 끝단이 닿지 않게 하고 있다.
그러나, 전자와 같이 별도로 만든 링을 젓가락에 끼우는 경우 시중에 판매되는 젓가락의 형상 및 크기가 각각 달라 다양한 종류의 젓가락에 적용하는 데에 는 한계가 있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특별한 기구 없이 젓가락의 끝부분이 자체적으로 식탁 면과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여 식탁에 부착된 이물질 및 세균 등으로부터 젓가락을 위생적으로 보호하여 사용할 수 있고, 음식물을 집는 부위의 두께가 얇아 서로 미끌려 작은 음식물을 집는데 불편함으로 모양을 바꾸어 음식물을 쉽게 집을 수 있는 젓가락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젓가락은 소정의 길이를 갖고 일단에 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파지부가 마련되고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상기 파지부보다 더 가느다랗게 형성되는 선단부가 마련된 몸체를 구비하는 젓가락에 있어서, 상기 몸체에는 길이중심으로부터 상기 선단부 방향으로 소정거리 이동된 위치에 상기 파지부에 대해 상기 선단부가 일 측 방향으로 비틀린 형태의 꼬임부가 형성된다.
상기 몸체에는 길이중심으로부터 상기 선단부 방향으로 소정거리로 이격되고, 상기 꼬임부로부터 상기 파지부 방향으로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상기 파지부의 길이방향에 대해 상기 선단부를 틀어지게 하는 굴곡부가 형성된다.
상기 선단부에는 인접하는 선단부의 외주면에 상호 결합될 수 있게 외주면 일부가 내측 방향으로 소정깊이 인입된 결합홈이 마련된다.
상기 굴곡부는 상기 파지부의 끝단으로부터 상기 몸체 길이의 2/3에 해당하는 지점에 형성되고 상기 파지부와 상기 선단부를 2°내지 20°의 각을 이루도록 형성되며, 상기 꼬임부는 상기 몸체의 수평폭 방향에 대해 상기 몸체의 수평폭 방향이 80° 내지 100°로 비틀어진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꼬임부의 길이는 10mm 내지 15mm로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젓가락에 의하면 젓가락의 파지부와 선단부 사이를 90°내외로 비틀고 선단부를 상부로 각을 주어 꺽기게 형성시킴으로써 선단부가 자체적으로 식탁 면과 분리되도록 하여 식탁의 세균 및 이물질 등으로부터 젓가락을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음식물과 접촉되는 선단부의 면적을 기존보다 더 넓게 형성되며 내측으로 인입된 인입홈이 마련되어 있어 작은 음식물도 쉽게 잡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젓가락의 제1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젓가락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젓가락의 선단부에 마련된 결합홈을 나타낸 부분 확대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젓가락의 제2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선단부에 마련된 절개면을 나타낸 부분확대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5의 평면도이고,
도 7는 도 6의 선단부에 마련된 결합홈을 나타낸 부분 확대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다른 젓가락의 제3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젓가락의 평면도이며,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젓가락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젓가락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젓가락의 제1실시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젓가락(1)은 파지부와 선단부로 이루어진 몸체(100)를 구비한다.
몸체(100)는 금속 목재 플라스틱과 합성수지 등의 재질로 형성되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길이를 갖고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작아지게 형성된다. 그리고 몸체는 수직폭보다 수평폭이 더 넓게 형성된다. 점차적으로 단면적이 작아지는 몸체(100)의 일 측에는 사용자의 파지가 용이하도록 소정의 두께를 갖는 파지부(110)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음식물 등을 집기 용이하게 얇은 두께를 갖는 선단부(120)가 형성된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파지부(110)에는 사용자의 손에서 용이하게 이탈되지 않게 마찰력을 높이도록 몸체(100)의 길이방향과 직교되는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몸체(100)의 길이방향으로 소정간격 이격 형성되는 다수의 홈이 구비될 수 있다.
몸체(100)의 일부분에는 즉, 몸체(100)의 길이중심으로부터 선단부(120)의 방향으로 소정거리 떨어진 지점에는 꼬임부(130)가 마련되어 있다.
꼬임부(130)는 선단부(120)와 파지부(110)를 축으로 상호 다른 방향으로 비튼 구조로 형성된다.
꼬임부(130)는 몸체(100)의 수평폭(H) 방향과 수직폭(V) 방향이 80° 내지 100°로 상호 비틀린 구조로 형성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꼬임부(130)는 몸체(100)가 식탁 면에 안정적으로 놓일 수 있게 90°로 비틀린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형성 길이는 10mm 내지 15mm로 형성시킬 수도 있다.
꼬임부(1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30)가 상면이 평평한 식탁(5)에 놓일 시 파지부(110)와 선단부(120) 사이에서 파지부(110)는 길이중심에 의해 식탁(5)에 닿게 하고, 선단부(120)는 식탁(5)의 상면에서 소정높이로 이격되게 한다. 즉, 선단부(120)의 수평폭이 90˚만큼 회전된 구조를 갖게 되어 수평폭보다 길게 형성된 수직폭에 의해 식탁 면으로부터 이격되는 것이다.
여기서, 꼬임부(130)의 형성위치는 몸체(100)의 길이중심과 선단부(120) 사이의 어느 부분에라도 형성될 수 있지만 사용자가 파지부(110)를 파지하는데 방해되지 않도록 파지부(110)로부터 가능한 멀리 떨어진 지점과 음식을 집는데 방해가 되지 않도록 선단부의 종단에서 되도록 멀리 떨어진 적절한 지점에 형성시키는 것이 좋다.
도 3을 참조하면, 선단부(120)에는 인접하는 선단부(120)의 외주면에 결합될 수 있는 결합홈(121)이 마련되어 있다. 결합홈(121)은 선단부(120)의 외주면 일부분으로부터 내측방향으로 소정깊이로 인입 형성된다. 결합홈(121)의 형상은 인접되는 선단부(120)에 결합홈(121)이 형성되지 않은 타 측면에 치합되게 선단부(120)의 외형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한편, 도 4에는 본 발명에 따른 젓가락의 제2실시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젓가락(2)은 파지부와 선단부를 구비하는 몸체(200)로 이루어져 있다.
몸체(200)는 금속 목재 플라스틱과 합성수지 등의 재질로 형성되고,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작아지게 형성된다. 점차적으로 단면적이 작아지는 몸체(200)의 일 측에는 사용자의 파지가 용이하도록 소정의 두께를 갖는 파지부(210)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음식물 등을 집기 용이하게 얇은 두께를 갖는 선단부(220)가 형성된다.
몸체(20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폭(H)이 수직폭(V)보다 넓게 형성되어 있어 식탁 면을 따라서 좌우로 유동하지 않는다. 그리고 몸체(200)에는 길이중심으로부터 선단부(220) 방향으로 소정거리 이동된 위치에 선단부(220)를 파지부(210)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로 틀어지게 하는 굴곡부(230)가 파지부(210)의 끝단으로부터 몸체(200) 길이의 2/3되는 지점에 형성되어 있다.
굴곡부(230)는 선단부(220)가 식탁의 상면에 닿지 않도록 식탁의 상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로 이격되게 꺽인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굴곡부(230)는 몸체(200)가 수평폭(H)이 수직폭(V)보다 더 넓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식탁에 놓을 시 선단부(220)를 항상 식탁의 상방을 향하게 한다.
파지부(210)와 선단부(220) 사이의 꺽인 각은 식탁으로부터 너무 떨어지거나, 식탁 면으로부터 너무 근접하지 않는 각도로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예로서, 굴곡부(230)로부터 선단부(220) 종단까지의 길이가 L이고, 선단부(220)의 상하 두께가 T일 경우, 선단부(220)의 종단이 식탁 면과 식탁 면으로부터 T만큼 상부로 이동된 높이에 위치하도록 파지부(210)와 선단부(220)의 꺽인 각 θ는 sinθ=T/L가 되게 형성시킬 수 있다.
즉, L이 3cm 내지 4cm이고, T가 0.5cm 내지 1cm 이면 선단부와 몸체의 꺽인 각 θ는 arcsin(T/L)에 의해 7° 내지 18°로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는 다르게 선단부(220)와 파지부(210)가 이루는 각은 다양한 각을 가질 수도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단부(220)에는 길이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일부를 절단하여 형성된 절개면(222)이 형 수도 있다. 절개면(222)은 일반적인 젓가락(2) 사용 시 각 선단부(220)가 소정의 각도로 벌어진 상태로 음식물을 집기 때문에 음식물과 선단부(220)의 종단이 접촉되는 면적이 작게 되어 음식물의 파지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접하는 선단부(220)의 일 측면을 선단부(220) 종단으로부터 선단부(220)의 길이방향에 교차되는 사선방향으로 절개하여 형성된다. 여기서, 상호 인접하는 각 선단부(220)의 절개면(222)은 상호 대향되는 방향에 형성될 수도 있고, 이와는 다르게 양 측면 모두에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절개면(222)에는 사용자가 파지부를 파지한 상태에서 음식물 또는 집는 대상과의 마찰력을 높일 수 있게 마찰홈을 형성시킬 수도 있다.
마찰홈은 절개면(222)의 내측 방향으로 소정깊이로 인입 형성된 것으로, 선단부(220)의 길이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된 가로홈 또는 선단부(220)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된 세로홈 또는 선단부(220)의 길이방향과 비스듬한 방향으로 형성된 대각홈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을 갖도록 형성된다.
마찰홈은 가로홈과 세로홈이 상호 교차되게 형성될 수도 있고 이와는 다르게 가로홈과 대각홈이 형성될 수도 있으며,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홈, 세로홈, 대각홈 모두를 형성시킬 수도 있다.
이와는 다르게, 도 7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선단부(220)에는 인접하는 선단부(220)의 외주면에 결합될 수 있는 결합홈(221)이 형성될 수도 있다.
결합홈(221)은 선단부(220)의 외주면 일부분으로부터 내측방향으로 소정깊이로 인입 형성된다. 결합홈(221)의 형상은 인접되는 선단부(220)에 결합홈(221)이 형성되지 않은 타 측면에 치합되게 선단부(220)의 외형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젓가락의 제3실시 예를 나타낸 것으로 몸체(300)의 일부분에 즉, 몸체(300)의 길이중심으로부터 선단부(320)의 방향으로 소정거리 떨어진 지점에는 꼬임부(330)가 마련되고, 꼬임부(330)와 선단부(320) 사이에는 파지부(310)와 선단부(320)를 소정의 각도로 휘어지게 하는 굴곡부(340)가 더 마련되어 있다.
꼬임부(330)와 굴곡부(340)는 상호 인접되게 형성되고, 파지부(310)의 끝단으로부터 몸체 길이의 2/3되는 부분에 형성되며, 굴곡부(340)는 파지부(310)와 가깝게 형성되고 꼬임부(330)는 선단부(320)에 가깝게 형성된다.
꼬임부(330) 및 굴곡부(340)는 선단부(320)를 식탁(5)의 상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로 이격시키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젓가락의 제1실시 예 및 제2실시 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 및 형상으로 각각 형성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젓가락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경 및 균등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2 : 젓가락
100, 200, 300 : 몸체
110, 210, 310 : 파지부
120, 220, 320 : 선단부
130, 230, 330 : 꼬임부
240, 340 : 굴곡부

Claims (4)

  1. 소정의 길이를 갖고 일단에 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파지부가 마련되고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상기 파지부보다 더 가느다랗게 형성되는 선단부가 마련된 몸체를 구비하는 젓가락에 있어서,
    상기 몸체에는 길이중심으로부터 상기 선단부 방향으로 소정거리 이동된 위치에 상기 파지부에 대해 상기 선단부가 일 측 방향으로 비틀린 형태의 꼬임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젓가락.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에는 길이중심으로부터 상기 선단부 방향으로 소정거리로 이격되고, 상기 꼬임부로부터 상기 파지부 방향으로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상기 파지부의 길이방향에 대해 상기 선단부를 틀어지게 하는 굴곡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젓가락.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선단부에는 인접하는 선단부의 외주면에 상호 결합될 수 있게 외주면 일부가 내측 방향으로 소정깊이 인입된 결합홈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젓가락.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굴곡부는 상기 파지부의 끝단으로부터 상기 몸체 길이의 2/3에 해당하는 지점에 형성되고 상기 파지부와 상기 선단부를 2°내지 20°의 각을 이루도록 형성되며,
    상기 꼬임부는 상기 몸체의 수평폭 방향에 대해 상기 몸체의 수평폭 방향이 80° 내지 100°로 비틀어진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꼬임부의 길이는 10mm 내지 15mm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젓가락.
KR1020100109410A 2010-11-04 2010-11-04 젓가락 KR20120048751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9410A KR20120048751A (ko) 2010-11-04 2010-11-04 젓가락
CN2011103432516A CN102450922A (zh) 2010-11-04 2011-11-03 筷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9410A KR20120048751A (ko) 2010-11-04 2010-11-04 젓가락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9672A Division KR20120114209A (ko) 2012-10-02 2012-10-02 젓가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8751A true KR20120048751A (ko) 2012-05-16

Family

ID=460348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9410A KR20120048751A (ko) 2010-11-04 2010-11-04 젓가락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20048751A (ko)
CN (1) CN10245092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08021A (zh) * 2019-03-11 2019-05-28 南平市建阳区和家乐竹木家居用品有限公司 全自动竹筷扭花机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831956Y (zh) * 2005-07-04 2006-11-01 赵嘉俊 环保筷子
KR100729951B1 (ko) * 2006-02-01 2007-06-21 윤석수 음식물 협지구
CN201012013Y (zh) * 2007-03-15 2008-01-30 梁耀鸿 多功能筷子
CN201431267Y (zh) * 2009-03-30 2010-03-31 简健春 一种健康筷子
CN201519001U (zh) * 2009-08-06 2010-07-07 田中食品株式会社 卫生筷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08021A (zh) * 2019-03-11 2019-05-28 南平市建阳区和家乐竹木家居用品有限公司 全自动竹筷扭花机
CN109808021B (zh) * 2019-03-11 2023-09-19 南平市建阳区和家乐竹木家居用品有限公司 全自动竹筷扭花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450922A (zh) 2012-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591104S1 (en) Cutlery utensil
USD634974S1 (en) Cutlery utensil handle
USD739396S1 (en) Frictional holding pad with inclined grip
USD647613S1 (en) Ergonomic handle for medical device
USD690027S1 (en) Pipette tip handling device
US20200214895A1 (en) Ear Cleaner
USD634577S1 (en) Cutlery utensil handle
USD627021S1 (en) Golf club tag
AU2003287921B2 (en) Tick remover
USD553862S1 (en) Grout cleaning brush
US20070006465A1 (en) Single-body sanitary spoon and chopsticks
CA2856526A1 (en) Post on eating utensil
USD929500S1 (en) Card with textured grip
USD635396S1 (en) Elongated cookware handle with extended grip
USD628746S1 (en) Bottle holder
KR20120048751A (ko) 젓가락
USD658435S1 (en) Full grip rounded cookware handle
KR20120114209A (ko) 젓가락
USD586629S1 (en) Tongs
KR20200085549A (ko) 파스타면 감김부가 구비된 다기능 젓가락
USD630052S1 (en) Cookware side handle with arch shaped grip
USD630057S1 (en) Rounded grip cookware side handle
US10667666B2 (en) Device for catching debris from countertop
USD547203S1 (en) Packaging with pre-filled conical glasses
USD726512S1 (en) Serving utensil gripp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