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47704A - 볼 조인트 조립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저항가열기 - Google Patents

볼 조인트 조립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저항가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47704A
KR20120047704A KR1020100109422A KR20100109422A KR20120047704A KR 20120047704 A KR20120047704 A KR 20120047704A KR 1020100109422 A KR1020100109422 A KR 1020100109422A KR 20100109422 A KR20100109422 A KR 20100109422A KR 20120047704 A KR20120047704 A KR 201200477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
socket
ball joint
heater
j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94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창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웰텍
최창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웰텍, 최창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웰텍
Priority to KR10201001094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47704A/ko
Publication of KR201200477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770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29C65/18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heated tools
    • B29C65/24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heated tool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heating the tool
    • B29C65/30Electrical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29C65/44Joining a heated non plastics element to a plastics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01General aspects dealing with the joint area or with the area to be joined
    • B29C66/02Preparation of the material, in the area to be joined, prior to joining or welding
    • B29C66/028Non-mechanical surface pre-treatments, i.e. by flame treatment, electric discharge treatment, plasma treatment,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7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 B29C66/74Joining plastics material to non-plastics material
    • B29C66/742Joining plastics material to non-plastics material to metals or their allo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16C11/04Pivotal connections
    • F16C11/06Ball-joints; Other joints having more than one degree of angular freedom, i.e. universal j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27Fastening elements
    • B29L2031/7278Couplings, connectors, nipples

Abstract

본 발명은 볼 시트가 볼 헤드의 구면에 균일한 압력으로 접촉되게 함으로써 회전토크와 요동토크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국소가열을 통한 에너지 소비의 절감 및 작업시간의 단축을 통한 생산원가의 절감을 구현할 수 볼 조인트 조립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저항가열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볼 조인트 조립방법은, 컵 형상의 소켓에 볼 시트를 장착하는 단계와, 상기 볼 시트의 안착홈에 상기 볼 스터드의 볼 헤드를 삽입하는 단계와, 상기 소켓의 주입구를 가압하여 코킹하는 단계와, 코킹된 상기 볼 조인트를 가열기에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소켓에 전류를 공급하여 저항열을 발생시킴으로써 상기 소켓을 가열하는 국소가열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볼 조인트 조립에 사용되는 저항가열기는,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코킹된 볼 조인트의 소켓 상부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하면에 형성된 상부 전극과, 상기 상부 전극에서 하향으로 이격되고 상기 축 형태의 상기 볼 조인트가 삽입될 수 있도록 설치공이 형성된 하부 전극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설치공은 축 형태의 상기 볼 조인트가 측면으로 설치될 수 있도록 일측이 개방된 형상을 갖는다.

Description

볼 조인트 조립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저항가열기{BALL JOINT ASSEMBLY METHOD AND RESISTANCE HEATER USED THEREIN}
본 발명은 볼 조인트 조립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저항가열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볼 시트가 볼 헤드의 구면에 균일한 압력으로 접촉되게 함으로써 회전토크와 요동토크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국소가열을 통한 에너지 소비의 절감 및 작업시간의 단축을 통한 생산원가의 절감을 구현할 수 있는 볼 조인트 조립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저항가열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서스펜션(suspension)은 차량의 승차감 및 주행안전성을 도모하기 위한 장치로, 차체를 차륜으로부터 안정적으로 지지하면서 차륜으로부터 제공되는 진동을 억제 및 신속히 감소시키는 기능을 한다. 이와 같은 서스펜션 계통에는 다수의 볼 조인트가 사용되는데, 그 중 대표적인 예가 로어암과 너클을 연결하는 볼 조인트이다.
이러한 볼 조인트는 상술한 서스펜션 계통 외에 스티어링 계통의 연결지점 및 회전지점에도 사용된다. 도 9는 스티어링 계통에 사용되는 볼 조인트의 일례로, 도 9를 참조하여 볼 조인트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볼 조인트(10)는, 타이로드(12)의 일단에 형성된 볼 헤드(14)와, 볼 헤드(14)가 삽입된 소켓(16)과, 볼 헤드(14)와 소켓(16) 사이에 개재된 볼 시트(18)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의 볼 조인트(10)는 볼 헤드(14)와 볼 시트(18)가 소켓(16)에 삽입된 상태에서 프레스를 이용하여 소켓(16)의 상단을 코킹(caulking)함으로써 소켓(16)에 삽입된 볼 헤드(14)와 볼 시트(18)의 이탈을 방지한다.
이때, 볼 헤드(14)와 소켓(16)의 재질은 강재이고, 볼 헤드(14)를 감싸는 볼 시트(18)의 재질은 합성수지재이다. 따라서 강재인 볼 헤드(14)와 소켓(16)은 단조 등을 통해 가공되고, 합성수지재인 볼 시트(18)는 사출을 통해 성형된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이 재질과 가공공차의 허용범위가 상이할 경우 재질의 특성에 따른 편차 및 서로 다른 가공공차의 허용범위로 인해 볼 헤드(14)와 볼 시트(18) 사이의 밀착도가 균일하지 못하다. 특히, 프레스를 이용한 코킹시 강재인 소켓(16)과 합성수지재인 볼 시트(18)가 볼 헤드(14)의 구면을 따라 억지성형되므로, 볼 헤드(14)와 볼 시트(18) 사이의 접촉면이 억지성형응력에 의해 점접촉 또는 선접촉 등 국부적 접촉을 하게 된다. 따라서 각 제품의 접촉면과 접촉하중이 균일하지 못하여 회전토크와 요동토크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없다.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누름량을 조절하는 방법이 제안되었다. 누름량을 조절하는 방법은 프레스를 이용한 코킹작업시 타이로드(12)를 실시간으로 회전시켜 원하는 토크(회전토크와 요동토크)를 발생할 경우 프레스의 작동을 멈추도록 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누름량을 조절하는 방법은 볼 조인트(10)의 조립과정에서 토크측정을 위한 측정장비를 구비해야 하므로 설비비가 과대하게 소요되고, 토크측정을 위한 공정이 추가되므로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볼 헤드(14)와 볼 시트(18) 사이의 밀착도가 불균일한 문제점을 여전히 해결하지 못해 볼 헤드(14)와 볼 시트(18)가 점접촉 또는 선접촉하게 되고,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점접촉 및 선접촉 부분이 토크의 변화를 일으키고 국부적으로 마모가 발생하며, 이에 볼 헤드(14)와 볼 시트(18) 사이의 유격이 확장되어 이상음을 발생한다.
한편, 회전토크와 요동토크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다른 방법으로, 볼 조인트(10)를 가열로에 장입하여 일정시간 가열하는 열처리방법이 있다. 즉, 볼 헤드(14)를 볼 시트(18)에 삽입한 후 소켓(16)의 상단을 코킹한 볼 조인트(10)에 열을 가하여 코킹시 발생한 볼 시트(18)의 억지변형응력을 제거함으로써 볼 헤드(14)와 볼 시트(18) 사이의 밀착도를 균일하게 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열처리방법은 다수의 볼 조인트(10)를 적층한 상태로 가열로에 장입하므로 열처리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가열로 전체를 가열해야 하므로 많은 에너지가 소비된다. 또한, 적층된 다수의 볼 조인트(10)에 열이 고르게 전달될 수 없어, 동일한 열처리과정을 거친 볼 조인트(10)에서 토크의 편차가 발생하게 된다. 특히, 볼 조인트(10)를 가열하는 과정과 냉각하는 과정이 추가되어 연속적인 생산이 불가능하고, 냉각과정에서 발생하는 부수적인 작업으로 인해 작업공정이 복잡하고 번거롭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볼 시트가 볼 헤드의 구면에 균일한 압력으로 접촉되게 함으로써 회전토크와 요동토크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국소가열을 통한 에너지 소비의 절감 및 작업시간의 단축을 통한 생산원가의 절감을 구현할 수 있는 볼 조인트 조립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저항가열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볼 조인트 조립방법은, 컵 형상의 소켓에 볼 시트를 장착하는 단계와, 상기 볼 시트의 안착홈에 상기 볼 스터드의 볼 헤드를 삽입하는 단계와, 상기 소켓의 주입구를 가압하여 코킹하는 단계와, 코킹된 상기 볼 조인트를 가열기에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소켓에 전류를 공급하여 저항열을 발생시킴으로써 상기 소켓을 가열하는 국소가열단계를 포함한다.
상술한 단계를 포함하는 본 발명은, 볼 조인트의 소켓에만 국소적으로 가열하므로 소켓의 온도를 단시간에 상승시켜 상기 볼 시트와 상기 볼 헤드가 균일한 압력으로 접촉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볼 조인트 조립에 사용되는 저항가열기는,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코킹된 볼 조인트의 소켓 상부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하면에 형성된 상부 전극과, 상기 상부 전극에서 하향으로 이격되고 상기 축 형태의 상기 볼 조인트가 삽입될 수 있도록 설치공이 형성된 하부 전극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설치공은 축 형태의 상기 볼 조인트가 측면으로 설치될 수 있도록 일측이 개방된 형상을 갖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전류를 이용하여 소켓을 국소 가열함으로써 볼 시트가 볼 헤드의 구면에 균일한 압력으로 접촉된다. 따라서 볼 조인트의 회전토크와 요동토크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가열시 사용되는 에너지의 소비를 절감할 수 있다. 특히, 전류를 순간적으로 인가할 경우 가열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하부 전극에 형성된 설치공의 일측을 개방하여 축 형태의 볼 조인트를 용이하게 설치 및 제거할 수 있으므로 작업시간을 더욱 단축시킬 수 있어 생산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항가열기의 개략도.
도 2는 도 1의 일부를 확대한 도면.
도 3은 본 실시예의 저항가열기 중 하부 전극의 다양한 예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실시예의 저항가열기 중 상부 전극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 조인트 조립방법의 순서도와 조립 공정도.
도 7과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볼 조인트 조립방법의 순서도와 조립 공정도.
도 9는 스티어링 계통에 사용되는 종래의 볼 조인트를 도시한 도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그리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부가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항가열기의 개략도이고, 도 2는 도 1의 일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또한, 도 3은 본 실시예의 저항가열기 중 하부 전극의 다양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실시예의 저항가열기 중 상부 전극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의 저항가열기(100)는 코킹된 볼 조인트(200)를 국소적으로 가열하기 위한 수단이다. 좀 더 상세하게는, 볼 조인트(200)의 소켓(210) 부분만을 가열하여 소켓(210)의 온도를 순간적으로 상승시켜 접촉하고 있는 억지성형된 볼 시트(220)의 응력을 제거하고, 나아가 볼 시트(220)의 국부적 하중부위가 고르게 퍼져 나가며 재성형되도록 함으로써 볼 시트(220)가 볼 스터드(230)의 볼 헤드(232)에 균일한 압력으로 접촉될 수 있도록 하는 가열수단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여 상술한 저항가열기(100)의 구조를 살펴보면, 본체(110)와, 본체(110)의 일측에 설치된 고정부(120)와, 고정부(120)에서 상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설치된 가동부(130)와, 가동부(130)의 상부에 설치된 가압수단(140)을 포함한다.
본체(110)는 박스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전원공급부(112)와 제어부(114)가 설치된다. 전원공급부(112)는 고정부(120)와 가동부(130)에 각각 설치된 전극(150,160)에 전원을 공급하는 수단이고, 제어부(114)는 전극(150,160)에 공급되는 전원 및 가동부(130)를 이동시키는 가압수단(140)의 작동을 제어하는 수단이다.
고정부(120)는 코킹된 볼 조인트(200)를 고정하는 수단으로, 본체(110)의 일측 중단에 고정 설치된다. 그 구조를 살펴보면, ㄱ자 형상의 하부 지지대(122)와, 하부 지지대(122)의 상부에 위치되고 연결도체(128)를 통해 전원공급부(112)와 연결된 하부 블록(124)과, 하부 블록(124)의 상부에 설치된 하부 지그(126)를 포함한다. 그리고 하부 지그(126)에는 하부 전극(150)이 고정된다.
상술한 고정부(120) 중 하부 지지대(122), 하부 블록(124) 및 하부 지그(126)와 하부 전극(150)에는 축 형태의 볼 조인트(20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설치공(129,152)이 형성된다. 또한, 설치공(129,152)은 길이가 긴 축 형태의 볼 조인트(200)를 측면으로 설치 및 제거할 수 있도록 일측이 개방된 형상을 갖는다.
한편, 하부 전극(150)의 설치공(152)은 그 상부에 볼 조인트(200)의 소켓(210) 하단이 삽입될 수 있는 형상, 즉 다양한 형상의 소켓(210) 하단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도 3의 (a)에 도시된 하부 전극(150a)의 설치공(152a)은 상부 및 하부 직경이 동일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도 8에 도시된 형태의 볼 조인트(300)를 고정하는데 사용된다. 또한, 도 3의 (b)에 도시된 하부 전극(150b)의 설치공(152b)은 소켓의 하단이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다단으로 형성된 볼 조인트를 고정하는데 사용된다. 또한, 도 3의 (c)에 도시된 하부 전극(150c)의 설치공(152c)은 상부 직경이 하부 직경에 비해 큰 다단의 원통 형상이며 그 최상단의 내벽이 곡면으로 형성된다. 도 3의 (c)와 같이 형성된 하부 전극(150c)의 설치공(152c)은 도 6에 도시된 형태의 볼 조인트(200)를 고정하는데 사용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하부 전극(150) 및 설치공(152)의 형상을 도 3에 도시된 세 개로 예시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볼 조인트의 소켓 형상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하부 전극(150a,150b,150c)의 설치공(152a,152b,152c)은 상술한 바와 같이 길이가 긴 축 형태의 볼 조인트(200)를 측면으로 설치 및 제거할 수 있도록 일측이 개방된 형상을 갖는다.
가동부(130)는 볼 조인트(200)의 소켓(210)과 전극(150,160)을 밀착시키는 수단으로, 고정부(120)의 상부에 위치된 가압수단(140)에 설치된다. 이러한 가동부(130)는, 가압수단(140)의 로드(152)에 결합된 상부 지지대(132)와, 상부 지지대(132)의 하부에 위치되고 연결도체(138)를 통해 전원공급부(112)와 연결된 상부 블록(134)과, 상부 블록(134)의 하부에 설치된 상부 지그(136)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부 지그(136)에는 상부 전극(160)이 고정된다.
이때, 상부 전극(160)의 하면에는 소켓(210)의 상부가 삽입되는 삽입홈(162)이 형성되는데, 삽입홈(162)의 형상은 소켓(210)의 상부 형상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즉, 도 4의 (a)에 도시된 상부 전극(160a)은 삽입홈(162a)의 깊이가 얕은 형태로 소켓(210)의 상부에 형성된 나사(212)의 길이가 짧을 경우에 사용된다. 또한, 도 4의 (b)에 도시된 상부 전극(160b)은 삽입홈(162b)의 깊이가 깊은 형태로 소켓(210)의 상부에 형성된 나사(212)의 길이가 길 경우에 사용된다.
한편, 하부 블록(124)과 전원공급부(112)를 연결하는 연결도체(128)는 본체(110)에 고정된 하부 블록(124)에 전원을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L자 형상으로 고정된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부 블록(134)과 전원공급부(112)를 연결하는 연결도체(138)는 가동부(130)의 상하 이동에 따라 U자 형상으로 벤딩이 가능한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가압수단(140)은 볼 조인트(200)의 소켓(210)과 전극(150,160)이 밀착되도록 가동부(130)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수단이다. 가압수단(140)은 본체(110)의 일측 상단에 위치되고, 하향으로 돌출된 로드(142)의 하단에 가동부(130)가 설치된다. 이러한 가압수단(140)은 유압 또는 공압에 의해 로드(142)를 이동시키는 유압 또는 공압 실린더이거나 본체(110)의 전원공급부(112)에서 공급된 전원을 이용하여 로드(142)를 이동시키는 전동기일 수 있다.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 조인트 조립방법의 순서도와 조립 공정도이다.
본 실시예는 컵 형상의 소켓(210)을 포함하는 볼 조인트(200)의 조립방법에 관한 것으로, 도 1, 도 2,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상술한 구조로 이루어진 볼 조인트(200)의 조립방법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상면이 밀폐되고 하면이 개방된 뒤집은 컵 형상의 소켓(210)에 볼 시트(220)를 장착한다(S11). 그리고 볼 시트(220)가 소켓(210)에 장착된 상태에서 볼 시트(220)의 안착홈(222)에 윤활제를 주입한다(S12). 이때, 윤활제는 볼 시트(220)의 안착홈(222)과 후술할 볼 스터드(230)의 볼 헤드(232) 사이의 마찰을 감소시켜 볼 스터드(230)가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수단이다.
윤활제의 주입이 완료되면, 볼 시트(220)의 안착홈(222)에 볼 스터드(230)의 볼 헤드(232)를 삽입한다(S13). 그 후, 안착홈(222)에 삽입된 볼 헤드(232)가 빠지지 않도록 소켓(210)의 주입구를 가압하여 코킹한다(S14).
상술한 과정을 거쳐 코킹된 볼 조인트(200)를 가열기(도 2의 100)에 설치한다(S15). 즉, 고정부(120) 및 하부 전극(150)의 개방된 일측을 통해 삽입한 후 볼 조인트(200)의 소켓(210) 하단이 하부 전극(150)에 안착되도록 고정한다.
볼 조인트(200)가 하부 전극(150)에 고정되면, 저항가열기(100)의 가압수단(140)을 작동시켜 소켓(210)의 상부가 상부 전극(160)의 삽입홈(162)에 삽입되도록 가동부(130)를 이동시키고, 소켓(210)과 상부 및 하부 전극(160,150)이 밀착되도록 일정한 압력을 가한다(S16).
그 후, 소켓(210)과 상부 및 하부 전극(160,150)이 밀착된 상태에서 상부 및 하부 전극(160,150)에 전류를 공급하면 소켓(210)의 고유저항에 의해 저항열이 발생하고, 이 저항열을 이용하여 소켓(210) 및 볼 시트(220)를 국소적으로 가열한다(S17).
상술한 과정으로 이루어진 본 실시예의 볼 조인트(100) 조립방법은 상부 및 하부 전극(160,150)이 소켓(210)에 밀착되도록 가압하므로 전극(160,150)과 소켓(210) 사이에 틈이 생기지 않는다. 따라서 전극(160,150)과 소켓(210) 사이의 접촉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발생한 열을 볼 시트(220)에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전류 인가시 전극(160,150)과 소켓(210) 사이에 스파크가 발생할 우려가 없으므로 소켓(210)의 표면에 흠집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전류 인가시 발생한 열은 소켓(210)의 고유저항에 의한 저항열이므로 전류의 세기와 통전시간을 제어할 경우 가열온도를 쉽게 조절할 수 있다.
도 7과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볼 조인트 조립방법의 순서도와 조립 공정도이다.
본 실시예는 원통 형상, 좀 더 상세하게는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테이퍼 형상의 장착공(312)이 형성된 소켓(310)을 포함하는 볼 조인트(300)의 조립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7과 도 8을 참조하여 상술한 구조로 이루어진 볼 조인트(300)의 조립방법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볼 시트(320)의 안착홈(322)에 윤활제를 주입하고(S21), 볼 시트(320)의 안착홈(322)에 볼 스터드(330)의 볼 헤드(332)를 삽입한다(S22). 그리고 볼 시트(320)가 씌워진 볼 스터드(330)를 소켓(310)의 장착공(312)에 삽입한다(S23). 이때, 장착공(312)의 하단에는 걸림돌기(314)가 형성되어 볼 스터드(330)를 삽입할 경우 볼 시트(320)가 걸림돌기(314)에 걸려 고정된다.
볼 스터드(330)의 장착이 완료되면, 소켓(310)의 장착공 상단에 플러그(340)를 삽입하고(S24), 삽입된 플러그(340)가 빠지지 않도록 소켓(310)의 상단을 가압하여 코킹한다(S25).
상술한 과정을 거쳐 코킹된 볼 조인트(300)의 가열과정은 상술한 일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간단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고정부(120) 및 하부 전극(150)의 개방된 일측을 통해 삽입한 후 볼 조인트(200)의 소켓(210) 하단이 하부 전극(150)에 안착되도록 코킹된 볼 조인트(300)를 설치한다(S26). 그리고 저항가열기(100)의 가압수단(140)을 작동시켜 소켓(210)의 상부가 상부 전극(160)의 삽입홈(162)에 삽입되도록 가동부(130)를 이동시키고, 소켓(210)과 상부 및 하부 전극(160,150)이 밀착되도록 일정한 압력을 가한다(S27). 그 후, 소켓(210)과 상부 및 하부 전극(160,150)이 밀착된 상태에서 상부 및 하부 전극(160,150)에 전류를 공급하면 소켓(210)의 고유저항에 의해 저항열이 발생하고, 이 저항열을 이용하여 소켓(310) 및 볼 시트(320)를 국소적으로 가열한다(S28).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하였는데,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가 가능함은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정 실시예가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저항가열기 110: 본체
112: 전원공급부 114: 제어부
120: 고정부 122: 하부 지지대
124: 하부 블록 126: 하부 지그
128: 연결도체 129: 설치공
130: 가동부 132: 상부 지지대
134: 상부 블록 136: 상부 지그
138: 연결도체 140: 가압수단
142: 로드 150: 하부 전극
152: 설치공 160: 상부 전극
162: 삽입홈 200: 볼 조인트
210: 소켓 212: 나사
220: 볼 시트 222: 안착홈
230: 볼 스터드 232: 볼 헤드

Claims (17)

  1. 볼 스터드, 볼 시트 및 컵 형상의 소켓을 포함하는 볼 조인트의 조립방법에 있어서,
    상기 소켓에 상기 볼 시트를 장착하는 단계;
    상기 볼 시트의 안착홈에 상기 볼 스터드의 볼 헤드를 삽입하는 단계;
    상기 소켓의 주입구를 가압하여 코킹하는 단계;
    코킹된 상기 볼 조인트를 가열기에 설치하는 단계; 및
    상기 소켓에 전류를 공급하여 저항열을 발생시킴으로써 상기 소켓을 가열하는 국소가열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국소가열을 통해 상기 볼 시트를 상기 볼 헤드의 구면에 균일한 압력으로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 조인트 조립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열기는, 한 쌍의 전극을 통해 전류를 공급하여 상기 소켓의 고유저항에 의한 저항열을 발생하는 저항가열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 조인트 조립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국소가열단계 전, 상기 가열기의 전극이 상기 소켓에 밀착되도록 가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볼 조인트 조립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볼 시트의 안착홈에 상기 볼 스터드의 볼 헤드를 삽입하는 단계 전, 상기 안착홈에 윤활제를 주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볼 조인트 조립방법.
  5. 볼 스터드, 볼 시트 및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테이퍼 형상의 장착공이 형성된 소켓을 포함하는 볼 조인트의 조립방법에 있어서,
    상기 볼 시트의 안착홈에 상기 볼 스터드의 볼 헤드를 삽입하는 단계;
    상기 소켓의 장착공 하단에 상기 볼 시트가 걸려 고정되도록 상기 볼 시트가 씌워진 상기 볼 스터드를 상기 소켓에 장착하는 단계;
    상기 소켓의 장착공 상단에 플러그를 삽입하는 단계;
    상기 소켓의 상단을 가압하여 코킹하는 단계;
    코킹된 상기 볼 조인트를 가열기에 설치하는 단계; 및
    상기 소켓에 전류를 공급하여 저항열을 발생시킴으로써 상기 소켓을 가열하는 국소가열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국소가열을 통해 상기 볼 시트를 상기 볼 헤드의 구면에 균일한 압력으로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 조인트 조립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가열기는, 한 쌍의 전극을 통해 전류를 공급하여 상기 소켓의 고유저항에 의한 저항열을 발생하는 저항가열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 조인트 조립방법.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국소가열단계 전, 상기 가열기의 전극이 상기 소켓에 밀착되도록 가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볼 조인트 조립방법.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볼 시트의 안착홈에 상기 볼 스터드의 볼 헤드를 삽입하는 단계 전, 상기 안착홈에 윤활제를 주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볼 조인트 조립방법.
  9. 코킹된 볼 조인트를 가열하는 저항가열기에 있어서,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볼 조인트의 소켓 상부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하면에 형성된 상부 전극; 및
    상기 상부 전극에서 하향으로 이격되고, 상기 축 형태의 상기 볼 조인트가 삽입될 수 있도록 설치공이 형성되는 하부 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설치공은 축 형태의 상기 볼 조인트가 측면으로 설치될 수 있도록 일측이 개방된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항가열기.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하부 전극이 고정되는 하부 지그;
    상기 하부 지그의 하부에 결합되고, 외부에서 공급된 전류를 상기 하부 전극에 공급하는 하부 블록; 및
    상기 하부 블록을 지지하는 하부 지지대를 더 포함하는 저항가열기.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하부 지그, 상기 하부 블록 및 상기 하부 지지대에는 축 형태의 상기 볼 조인트가 설치될 수 있도록 설치공이 형성되고, 상기 설치공은 축 형태의 상기 볼 조인트가 측면으로 설치될 수 있도록 일측이 개방된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항가열기.
  12.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상부 전극이 고정되는 상부 지그;
    상기 상부 지그의 상부에 결합되고, 외부에서 공급된 전류를 상기 상부 전극에 공급하는 상부 블록; 및
    상기 상부 블록을 지지하는 상부 지지대를 더 포함하는 저항가열기.
  13.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상부 전극과 상기 하부 전극이 상기 소켓에 밀착되도록 상기 상부 지지대를 이동시키는 가압수단을 더 포함하는 저항가열기.
  14. 청구항 9 내지 청구항 1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설치공의 상부는 상기 소켓 하부와 밀착될 수 있도록 상기 소켓 하부와 대응되는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항가열기.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설치공은 상부 및 하부 직경이 동일한 원통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항가열기.
  16.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설치공은 상부 직경이 하부 직경에 비해 큰 다단의 원통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항가열기.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설치공의 최상단 내벽이 곡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항가열기.
KR1020100109422A 2010-11-04 2010-11-04 볼 조인트 조립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저항가열기 KR2012004770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9422A KR20120047704A (ko) 2010-11-04 2010-11-04 볼 조인트 조립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저항가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9422A KR20120047704A (ko) 2010-11-04 2010-11-04 볼 조인트 조립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저항가열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7704A true KR20120047704A (ko) 2012-05-14

Family

ID=462663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9422A KR20120047704A (ko) 2010-11-04 2010-11-04 볼 조인트 조립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저항가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4770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191204A (zh) * 2014-08-27 2014-12-10 浙江利福德机械有限公司 球关节铆压专用机床
CN106956071A (zh) * 2017-04-24 2017-07-18 南京力旷机电科技有限公司 一种咖啡机加热管焊接机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191204A (zh) * 2014-08-27 2014-12-10 浙江利福德机械有限公司 球关节铆压专用机床
CN106956071A (zh) * 2017-04-24 2017-07-18 南京力旷机电科技有限公司 一种咖啡机加热管焊接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51892B2 (en) Bearing assembly spacer adjustable system and method for adjusting a spacer
EP2610089A1 (en) Stabilizer link and production method for same
KR20120047704A (ko) 볼 조인트 조립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저항가열기
CN104024665A (zh) 球窝接头及其制造方法
US20190054579A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top mount with bushing
JP2018517616A (ja) 車両用電動パーキングブレーキ装置のためのパーキングブレーキ操作方法
CN205017185U (zh) 一种电机转子压装工装
CN103367276B (zh) 用于在压装设备上压装平板式半导体元件的装置及方法
CN105119432A (zh) 一种电机转子压装工装
CN102192229A (zh) 用于车辆的球形接头的球头螺栓及其制造方法
KR20150030651A (ko) 스태빌라이저의 제조 방법 및 가열 장치
CN112236262B (zh) 螺栓与螺母的紧固方法及紧固装置
CN204975323U (zh) 一种可调节匹配高度的模具结构
CN104907682A (zh) 一种不规则零部件焊接夹具及其焊接方法
CN204747757U (zh) 一种不规则零部件焊接夹具
KR101316534B1 (ko) 저항용접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저항용접방법
EP2335860B1 (en) Means, i.e. welding gun, for sandwiching an object with bearing installation structure and method of installing such bearing structure in such means
CN102271987A (zh) 用于电转向系统的动力单元
KR20130128209A (ko) 볼 조인트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과 가열체 제조장치
CN106103064A (zh) 用于紧固轮胎模块的装配设备
KR20120038286A (ko) 배터리 센서 모듈
CN204721167U (zh) 电机轴装配装置
CN109848677A (zh) 电子压力式旋压铆接装置
US11583983B2 (en) Assembly tool for changing bushings for lower arm
CN220882153U (zh) 一种提高双头螺栓拧紧稳定性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