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47081A - 방향성에 따라 처리 순서를 조정하는 영상 처리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방향성에 따라 처리 순서를 조정하는 영상 처리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47081A
KR20120047081A KR1020100108758A KR20100108758A KR20120047081A KR 20120047081 A KR20120047081 A KR 20120047081A KR 1020100108758 A KR1020100108758 A KR 1020100108758A KR 20100108758 A KR20100108758 A KR 20100108758A KR 20120047081 A KR20120047081 A KR 201200470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cro block
block
processing
directionality
pixel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87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조
이시화
송준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087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47081A/ko
Priority to US13/183,814 priority patent/US20120106863A1/en
Priority to EP11187654A priority patent/EP2451160A2/en
Publication of KR201200470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708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34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criterion affecting or controlling the adaptive coding
    • H04N19/136Incoming video signal characteristics or properties
    • H04N19/14Coding unit complexity, e.g. amount of activity or edge presence esti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6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 H04N19/17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 H04N19/176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the region being a block, e.g. a macroblo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46Embedding additional information in the video signal during the compression proc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6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transform coding
    • H04N19/61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transform coding in combination with predictive co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Abstract

예측된 방향성에 따라 매크로 블록의 처리 순서를 결정하여 처리하기 위한 영상 처리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입니다. 영상 처리 장치는 매크로 블록 주변의 픽셀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매크로 블록에 대한 방향성을 예측하고, 상기 예측된 방향성에 따라 상기 매크로 블록과 연관된 처리 순서를 결정하여, 상기 결정된 처리 순서에 따라 상기 매크로 블록을 처리함으로써, 데이터 압축율을 개선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방향성에 따라 처리 순서를 조정하는 영상 처리 방법 및 장치{IMAGE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PREOCESSING ORDER ACCORDING TO DIRECTION}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영상을 처리하는 순서를 조정함으로써, 압축율을 개선시키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비디오 압축 기술에서는 비디오 영상의 공간적인 중복성(spatial redundancy)과 시간적인 중복성(temporal redundancy)를 이용하여, 중복되는 부분을 제거함으로써, 비디오 압축율을 높이는 것이다.
H.264와 최근 표준화를 진행하고 있는 HEVC (High Efficiency Video Coding) 와 같은 비디오 코덱에서는 인트라 프리딕션(Intra Prediction) 방법을 이용하여 좀더 효율적인 공간의 중복성을 제거할 수 있다. 인트라 프리딕션이라 함은 블록(block)의 픽셀 데이터를 압축함에 있어서 상기 블록 주변의 픽셀 데이터를 참조하여 그 차분만을 코딩하여 코딩 효율을 높이는 방법이다. 인코더(encoder)와 디코더(decoder)에서 모두 동일하게 인트라 프리딕션이 진행되는데, 차이점은 인코더에서는 상기 주변의 픽셀 데이터와 상기 블록의 차분(residual)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이다. 디코더에서는 비트스트림으로부터 복원된 차분 데이터와 블록 주변의 픽셀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블록의 픽셀 데이터를 만들게 되는 점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인트라 프리딕션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모드 0(Mode 0)의 경우에는, 수직 방향(Vertical prediction)으로서, 매크로 블록(4x4 픽셀)의 상단 픽셀 데이터를 참조하여 매크로 블록의 방향성을 예측한다. 모드 1의 경우에는 수평 방향(Horizontal prediction)으로서, 매크로 블록의 좌측 픽셀 데이터를 참조하여 매크로 블록의 방향성을 예측한다. 모드 3과 모드 4는 대각선 방향(Diagonal prediction)으로서 매크로 블록의 우측 상단 픽셀 데이터나 좌측 상단 픽셀 데이터를 참조하여 상기 매크로 블록의 방향성을 예측한다.
구체적으로, 모드 3과 모드 4는 유사한 방식으로 인트라 프리딕션을 수행하긴 하지만 약간의 차이점이 있다. 모드 4의 경우에는 매크로 블록과 인접한 주변의 픽셀 데이터를 이용하지만 모드 3의 경우에는 상단 주변의 픽셀 데이터만을 이용하여 인트라 프리딕션을 수행한다. 따라서, 모드 3의 경우 우측 픽셀 데이터를 이용하지 않기 때문에 코딩 효율에 있어서 모드 4와 같은 방향성을 갖는 프리딕션보다는 효율이 떨어지게 된다. 모드 3의 대각선 좌측 하단 방향에서 우측 픽셀 데이터를 이용하지 못하는 것은 매크로 블록(Macro Block; MB) 내부의 처리 순서와 연관이 있다.
도 2는 H.264 비디오 코덱에서 사용하는 매크로 블록의 처리 순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고하면, 블록의 번호(0~15) 순으로 블록의 처리 순서가 결정되는데, 1번 블록을 예를 들어 보면, 우측 4번 블록 주변의 픽셀 데이터가 아직 처리 되지 않은 상태이기 때문에(디코더에서 보면 아직 데이터가 생성되지 않음) 우측 4번 블록을 이용할 수 없게 된다. 이 경우, 프리딕션의 방향성이 대각선 좌측 하단 방향일 경우, 이미 복원된 상단 픽셀 데이터만을 이용해야 한다. 그러므로 매크로 블록의 처리 순서에 따라서 참조할 수 있는 주변의 픽셀 데이터의 제한이 생기게 되고, 이런 제한이 발생하는 경우 코딩 효율이 떨어지게 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 처리 장치는 매크로 블록(Macro Block; MB) 주변의 픽셀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매크로 블록에 대한 방향성을 예측하는 방향성 예측부, 상기 예측된 방향성에 따라, 상기 매크로 블록과 연관된 처리 순서를 결정하는 순서 결정부, 및 상기 결정된 처리 순서에 따라 상기 매크로 블록을 처리하는 데이터 처리부를 포함한다.
상기 방향성 예측부는 상기 픽셀 데이터가 처리된 방향성을 상기 매크로 블록의 방향성으로 예측할 수 있다.
상기 방향성 예측부는 상기 주변의 픽셀 데이터 중, 우측 상단 픽셀 데이터가 처리된 경우, 상기 매크로 블록에 대한 방향성을 '좌측 하단 방향'으로 예측할 수 있다.
상기 예측된 방향성이 '좌측 하단 방향'인 경우, 상기 순서 결정부는 일정개수의 블록들을 포함하는 그룹으로 분류된 상기 매크로 블록의 처리 순서를 '우측 상단에 위치한 그룹 내의 최우측 블록부터 좌측 하단 방향'으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예측된 방향성이 '좌측 하단 방향'인 경우, 상기 순서 결정부는, 복수의 블록들로 구성된 상기 매크로 블록의 처리 순서를 '상단에 위치한 최우측 블록부터 좌측 하단 방향'으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방향성 예측부는 상기 주변의 픽셀 데이터 중, 좌측 하단 픽셀 데이터가 처리된 경우, 상기 매크로 블록에 대한 방향성을 '우측 상단 방향'으로 예측할 수 있다.
상기 예측된 방향성이 '우측 상단 방향'인 경우, 상기 순서 결정부는 일정개수의 블록을 포함하는 그룹으로 분류된 상기 매크로 블록의 처리 순서를 '좌측 하단에 위치한 그룹 내의 최좌측 블록부터 우측 상단 방향'으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예측된 방향성이 '우측 상단 방향'인 경우, 상기 순서 결정부는 복수의 블록들로 구성된 상기 매크로 블록의 처리 순서를 '하단에 위치한 최좌측 블록부터 우측 상단 방향'으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순서 결정부는 상기 매크로 블록을 복수의 블록들로 분할하고, 상기 예측된 방향성에 따라 상기 분할된 블록 단위로 상기 처리 순서를 가변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
상기 순서 결정부는 상기 매크로 블록을, 일정개수의 블록들을 포함하는 그룹으로 분류하고, 상기 예측된 방향성에 따라 상기 분류된 그룹 단위로 상기 처리 순서를 가변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 처리 방법은 매크로 블록(Macro Block; MB) 주변의 픽셀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매크로 블록에 대한 방향성을 예측하는 단계, 및 상기 예측된 방향성에 따라 상기 매크로 블록과 연관된 처리 순서를 결정하여, 상기 매크로 블록을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매크로 블록 주변의 픽셀 데이터에 기초하여 방향성을 예측하고, 예측된 방향성에 따라 상기 매크로 블록의 처리 순서를 가변적으로 조정하여, 조정된 처리 순서에 따라 상기 매크로 블록을 처리함으로써, 좀 더 효율적으로 영상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매크로 블록 내에 복수의 블록들의 처리 순서를 가변적으로 조정하여 매크로 블록을 압축 처리함으로써, 비디오 코딩의 압축율을 개선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인트라 프리딕션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H.264 비디오 코덱에서 사용하는 매크로 블록의 처리 순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 처리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방향성에 따라 처리 순서를 조정하는 다양한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좌측 하단 방향으로 매크로 블록을 처리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우측 상단 방향으로 매크로 블록을 처리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방향성에 따라 처리 순서를 결정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방향성에 따라 가변적으로 처리 순서를 조정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 처리 방법의 순서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 처리 방법의 순서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 처리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영상 처리 장치(300)는 방향성 예측부(310), 순서 결정부(320), 및 데이터 처리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방향성 예측부(310)는 매크로 블록(Macro Block; MB) 주변의 픽셀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매크로 블록에 대한 방향성을 예측한다.
영상 데이터를 압축하기 위해서는 영상 데이터를 일정 크기의 격자인 블록으로 분할하고, 복수의 블록을 다시 묶어 매크로 블록을 생성하여, 생성된 매크로 블록 단위로 처리할 수 있다. 그런데, 영상 데이터 압축은 예측된 방향성에 따라 매크로 블록과 인접한 주변의 픽셀 데이터 가용범위가 달라지기 때문에, 압축 효율성에 차이가 발생한다. 따라서, 예측되는 방향성에 따라 압축 효율성이 달라지는 것이다.
방향성 예측부(310)는 상기 주변의 픽셀 데이터가 처리된 방향성을 상기 매크로 블록의 방향성으로 예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향성 예측부(310)는 상기 주변의 픽셀 데이터 중, 우측 상단 픽셀 데이터가 처리된 경우, 상기 매크로 블록에 대한 방향성을 '좌측 하단 방향'으로 예측할 수 있다. 또는, 방향성 예측부(310)는 상기 주변의 픽셀 데이터 중, 좌측 하단 픽셀 데이터가 처리된 경우, 상기 매크로 블록에 대한 방향성을 '우측 상단 방향'으로 예측할 수 있다. 즉, 상기 주변의 픽셀 데이터가 어느 방향으로 처리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매크로 블록의 방향성이 예측되는 것이다.
순서 결정부(320)는 상기 예측된 방향성에 따라, 상기 매크로 블록과 연관된 처리 순서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순서 결정부(320)는 상기 매크로 블록을 복수의 블록들로 분할하고, 상기 예측된 방향성에 따라 상기 분할된 '블록 단위'로 상기 처리 순서를 가변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 또는, 순서 결정부(320)는 상기 매크로 블록을 일정개수의 블록들을 포함하는 그룹으로 분류하고, 상기 예측된 방향성에 따라 상기 분류된 '그룹 단위'로 상기 처리 순서를 가변적으로 조정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H.264 코덱에서 사용하고 있는 압축 방법은 매크로 블록을 구성하는 복수의 블록들 중, 일정 개수의 블록을 포함하는 그룹으로 분류하고, 그룹 단위 또는 블록 단위로 데이터를 처리하는 것이다. 각 그룹과 각 블록은 좌 -> 우, 상 -> 하 방향의 처리 순서에 따라 처리된다. 이러한, 일반적인 처리 방법은 방향성이 우측 하단 방향으로 예측된 경우에는 효율적이나, 다른 방향으로 방향성이 예측되는 경우 코딩 효율이 떨어질 수 있다.
도 4는 방향성에 따라 처리 순서를 조정하는 다양한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종래방법에 따라 처리 순서가 정해지는 경우(410), 우측 하단 방향으로 처리하게 되어, 현재 처리하고자 하는 블록의 좌측과 상단 블록은 항상 존재하기 때문에 코딩 효율 측면에 있어 유리하다. 그러나, 좌측 하단 방향으로 처리하게 되면, 현재 처리하고자 하는 블록의 우측 블록은 항상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어쩔 수 없이 상단의 우측 블록만을 이용하므로 우측 하단 방향에 따른 처리 순서에 비해 상대적으로 코딩 효율이 떨어지게 된다.
실시예로, 방향성 예측부(310)는 주변의 픽셀 데이터 중, 좌측 상단 픽셀 데이터가 처리된 경우, 상기 매크로 블록에 대한 방향성을 '우측 하단 방향'으로 예측할 수 있다. 이 경우, 순서 결정부(320)는 410과 동일하게 우측 하단 방향으로 처리 순서를 결정하여, 상기 매크로 블록을 처리할 수 있다(420). 구체적으로, 순서 결정부(320)는 상기 매크로 블록 내에 좌측 상단에 위치한 그룹 내의 최좌측 블록부터 우측 하단 방향으로 처리 순서를 결정함으로써, 데이터 처리부(330)는 상기 결정된 처리 순서에 따라 0부터 15까지 순서대로 상기 매크로 블록을 처리할 수 있다(420). 여기서, 처리는 부호화(encoding) 또는 복호화(decoding)하는 '인트라 프리딕션(Intra Prediction)'을 수행하는 것을 말한다.
다른 실시예로, 방향성 예측부(310)는 주변의 픽셀 데이터 중, 우측 상단 픽셀 데이터가 처리된 경우, 상기 매크로 블록에 대한 방향성을 '좌측 하단 방향'으로 예측할 수 있다. 이 경우, 순서 결정부(320)는 우측 상단에 위치한 그룹 내의 최우측 블록부터 좌측 하단 방향으로 처리 순서를 결정함으로써, 데이터 처리부(330)는 상기 결정된 처리 순서에 따라 0부터 15까지 순서대로 상기 매크로 블록을 처리할 수 있다(430).
또 다른 실시예로, 방향성 예측부(310)는 주변의 픽셀 데이터 중, 좌측 하단 픽셀 데이터가 처리된 경우, 상기 매크로 블록에 대한 방향성을 '우측 상단 방향'으로 예측할 수 있다. 이 경우, 순서 결정부(320)는 좌측 하단에 위치한 그룹 내의 최좌측 블록부터 우측 상단 방향으로 처리 순서를 결정함으로써, 데이터 처리부(330)는 상기 결정된 처리 순서에 따라 0부터 15까지 순서대로 상기 매크로 블록을 처리할 수 있다(440).
도 5는 좌측 하단 방향으로 매크로 블록을 처리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고하면, 예측된 방향성이 '좌측 하단 방향'인 경우, 좌측 도면(510)은 좌 -> 우 방향에 따른 일반적인 처리 순서를 나타내고 있다(종래기술). 이 경우에는 현재 처리하고자 하는 블록의 우측 픽셀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상단 픽셀 데이터만 참조하여 매크로 블록을 처리하게 된다. 그러나, 우측 도면(520)에서는 순서 결정부(320)에 의해 상단에 위치한 최우측 블록(0번)부터 우 -> 좌 방향으로 처리 순서를 조정함으로써, 좀 더 효율적으로 매크로 블록을 처리할 수 있다(본 발명). 이 경우, 현재 처리하고자 하는 블록의 우측 픽셀 데이터는 항상 존재하므로(매크로 블록 내부에서), 예를 들어, 520의 4번 블록을 처리할 경우, 데이터 처리부(330)는 1번 블록과 주변의 픽셀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매크로 블록을 처리할 수 있는 것이다.
또는, 예측된 방향성이 '좌측 하단 방향'인 경우, 좌측 도면(530)에서 3번 위치에 있는 블록을 처리하는데 있어서 우측 상단 픽셀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좌측 하단 방향 자체를 수행할 수 없다(종래기술). 반면, 우측 도면(540)에서는, 순서 결정부(320)에 의해 우측 상단에 위치한 그룹 내의 최우측 블록(0번)부터 좌측 하단 방향으로 처리 순서를 조정할 수 있다(본 발명). 예를 들어, 530의 3번 블록과 동일한 위치에 있는 540의 6번 블록 처리에 있어서 6번 블록과 인접한 우측 픽셀 데이터(3번)와 상단 픽셀 데이터(4번)가 존재하고 있기 때문에, 데이터 처리부(330)는 좌측 하단 방향으로 효율적으로 매크로 블록을 처리할 수 있다.
도 6은 우측 상단 방향으로 매크로 블록을 처리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예측된 방향성이 '우측 상단 방향'인 경우, 좌측 도면(610)은 상 -> 하 방향에 따른 일반적인 처리 순서를 나타내고 있다(종래기술). 이 경우에는 현재 처리하고자 하는 블록(4번)의 하위 픽셀 데이터(6번)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좌측 픽셀 데이터만 참조하여 매크로 블록을 처리하게 된다. 반면, 우측 도면(620)은 하 -> 상 방향에 따른 처리 순서를 나타내고 있다(본 발명). 이 경우에는 현재 처리하고자 하는 블록(14번)의 좌측 픽셀 데이터(11번)와 하측 픽셀 데이터(12번)가 항상 존재하므로(매크로 블록 내부에서), 데이터 처리부(330)는 인접한 좌측 픽셀 데이터와 하단 픽셀 데이터를 이용하여 매크로 블록을 좀 더 효율적으로 코딩할 수 있다.
예측된 방향성이 '우측 상단 방향'인 경우, 좌측 도면(630)은 9번 위치에 있는 블록을 처리하는데 있어서 좌측 하단(11번) 픽셀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우측 상단 방향 자체를 수행할 수 없다(종래기술). 반면, 우측 도면(640)에서는 하 -> 상 방향에 따른 처리 순서를 조정함으로써, 데이터 처리부(330)는 동일한 위치에 있는 블록 3번 처리에 있어서 3번 블록과 인접한 좌측 픽셀 데이터(2번)와 하단 픽셀 데이터(1번)가 존재하기 때문에, 좌측(2번), 대각선(0번), 하단(1번) 블록을 참조하여 3번 블록을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본 발명).
도 7은 방향성에 따라 처리 순서를 결정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고하면, 데이터 처리부(330)는 매크로 블록 주변에 인접한 블록들의 인트라 프리딕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매크로 블록의 평균적인 인트라 프리딕션 방향성을 예측할 수 있다. 7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방향성 예측부(310)는 인접한 9개의 주변 블록(UL, L0~L3, U1~U3)들의 인트라 프리딕션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각 인트라 프리딕션 방향성은 크게 3가지 방향으로 분류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좌측 하단 방향', '우측 상단 방향', 나머지 방향일 수 있다. 방향성 예측부(310)는 3가지로 방향성으로 분류 후, 가장 많이 나오는 방향성을 매크로 블록의 방향성으로 예측할 수 있다. 순서 결정부(320)는 예측된 방향성에 따라 상기 매크로 블록 내부의 처리 순서를 선택할 수 있다.
만약, 매크로 블록의 방향성이 '좌측 하단 방향'으로 예측된 경우, 순서 결정부(320)는 우 -> 좌, 상 -> 하 방향으로 처리 순서를 설정할 수 있으며, 데이터 처리부(330)는 우측 상단에 위치한 그룹 내의 최우측 블록(0번)부터 좌측 하단 방향으로 상기 매크로 블록을 처리할 수 있다(720).
또는, 매크로 블록의 방향성이 '우측 상단 방향'으로 예측된 경우, 순서 결정부(320)는 좌 -> 우, 하 -> 상 방향으로 처리 순서를 설정할 수 있으며, 데이터 처리부(330)는 좌측 하단에 위치한 그룹 내의 최좌측 블록(0번)부터 우측 상단 방향으로 상기 매크로 블록을 처리할 수 있다(730).
그 외 방향으로 예측된 경우, 순서 결정부(320)는 일반적으로 많이 쓰는 방향인 좌 -> 우, 상 -> 하 방향으로 처리 순서를 설정할 수 있으며, 데이터 처리부(330)는 좌측 상단에 위치한 그룹 내의 최좌측 블록(0번)부터 우측 하단 방향으로 상기 매크로 블록을 처리할 수 있다(도시하지 않음).
도 8은 방향성에 따라 가변적으로 처리 순서를 조정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순서 결정부(320)는 일반적으로 많이 쓰는 방향인 좌 -> 우, 상 -> 하 방향으로 처리 순서를 설정할 수 있다(810). 이 경우, 데이터 처리부(330)는 매크로 블록을 구성하는 '블록 단위'로 상기 처리 순서를 설정할 수 있다(a). 도시한 바와 같이, 데이터 처리부(330)는 첫번째 상단에 속한 최좌측 블록(0번)부터 우측 방향으로 먼저 처리하고, 하단 방향인 두번째 상단에 속한 최좌측 블록(4번)부터 우측 방향으로 처리할 수 있다.
또는, 데이터 처리부(330)는 좌 -> 우, 상 -> 하 방향에 대해서, 매크로 블록을 구성하는 복수개의 블록을 그룹핑하여 '그룹 단위'로 처리 순서를 설정할 수도 있다(b). 예컨대, 매크로 블록이 16개의 블록들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 4개의 블록을 하나의 그룹으로 그룹핑할 수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데이터 처리부(330)는 좌측 상단에 위치한 제1 그룹(0번부터 3번) 내의 최좌측 블록(0번)부터 우측 방향으로 먼저 처리하고, 우측 상단에 위치한 제2 그룹(4번부터 7번) 내의 좌측 블록(4번)부터 우측 방향으로 처리할 수 있다. 즉, 데이터 처리부(330)는 제1 그룹 내에 속한 블록들을 먼저 처리하고, 제2 그룹, 제3 그룹(8번부터 11번), 제4 그룹(12번부터 15번) 내의 블록들을 처리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 매크로 블록의 방향성이 '좌측 하단 방향'으로 예측된 경우, 순서 결정부(320)는 우 -> 좌, 상 -> 하 방향으로 처리 순서를 설정할 수 있다(820). 이 경우, 데이터 처리부(330)는 상기 매크로 블록을 구성하는 '블록 단위'로 상기 처리 순서를 설정할 수 있다(a). 도시한 바와 같이, 데이터 처리부(330)는 첫번째 상단에 속한 최우측 블록(0번)부터 좌측 방향으로 먼저 처리하고, 하단 방향인 두번째 상단에 속한 최우측 블록(4번)부터 좌측 방향으로 처리할 수 있다.
또는, 데이터 처리부(330)는 우 -> 좌, 상 -> 하 방향에 대해서, 매크로 블록을 구성하는 복수개의 블록을 그룹핑하여 '그룹 단위'로 처리 순서를 설정할 수도 있다(b). 도시한 바와 같이, 데이터 처리부(330)는 우측 상단에 위치한 제1 그룹(0번부터 3번) 내의 최우측 블록(0번)부터 좌측 방향으로 먼저 처리하고, 좌측 상단에 위치한 제2 그룹(4번부터 7번) 내의 우측 블록(4번)부터 좌측 방향으로 처리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매크로 블록의 방향성이 '우측 상단 방향'으로 예측된 경우, 순서 결정부(320)는 좌 -> 우, 하 -> 상 방향으로 처리 순서를 설정할 수 있다(830). 이 경우, 데이터 처리부(330)는 '블록 단위'로 상기 처리 순서를 설정함으로써, 맨아래 하단에 속한 최좌측 블록(0번)부터 우측 방향으로 먼저 처리하고, 상단 방향인 두번째 하단에 속한 최좌측 블록(4번)부터 우측 방향으로 처리할 수 있다(a).
또는, 데이터 처리부(330)는 좌 -> 우, 하 -> 상 방향에 대해서, '그룹 단위'로 처리 순서를 설정함으로써, 좌측 하단에 위치한 제1 그룹(0번부터 3번) 내의 최좌측 블록(0번)부터 우측 방향으로 먼저 처리하고, 우측 상단에 위치한 제2 그룹(4번부터 7번) 내의 좌측 블록(4번)부터 우측 방향으로 처리할 수 있다(b).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 처리 방법의 순서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9를 참고하면, 단계 910에서, 영상 처리 장치(300)는 매크로 블록(Macro Block; MB) 주변의 픽셀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매크로 블록에 대한 방향성을 예측한다. 예컨대, 영상 처리 장치(300)는 상기 주변의 픽셀 데이터가 처리된 방향성을 상기 매크로 블록의 방향성으로 예측할 수 있다.
단계 920에서, 영상 처리 장치(300)는 상기 예측된 방향성에 따라, 상기 매크로 블록과 연관된 처리 순서를 결정한다. 예컨대, 영상 처리 장치(300)는 상기 매크로 블록을 복수의 블록들로 분할하고, 상기 예측된 방향성에 따라 상기 분할된 '블록 단위'로 상기 처리 순서를 가변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 또는, 영상 처리 장치(300)는 상기 매크로 블록을 일정개수의 블록들을 포함하는 그룹으로 분류하고, 상기 예측된 방향성에 따라 상기 분류된 '그룹 단위'로 상기 처리 순서를 가변적으로 조정할 수도 있다. 처리 순서를 조정하는 것은 상기에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므로, 도 9에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단계 930에서, 영상 처리 장치(300)는 상기 결정된 처리 순서에 따라 상기 매크로 블록을 처리한다. 영상 처리 장치(300)는 상기 결정된 처리 순서에 따라 상기 매크로 블록 내의 블록들을 부호화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 처리 방법의 순서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0을 참고하면, 단계 1010에서, 영상 처리 장치(300)는 비트스트림을 추출한다. 도 9가 부호화할 때 수행하는 방법이라 한다면, 도 10은 복호화할 때 수행하는 방법일 수 있다.
단계 1020에서, 영상 처리 장치(300)는 처리 순서를 조정하는 방식을 이용할지 여부를 판단한다.
처리 순서를 조정하는 방식을 이용하는 경우, 단계 1030에서, 영상 처리 장치(300)는 비트스트림으로부터 복원된 차분 데이터와 주변 픽셀 데이터를 이용하여 매크로 블록에 대한 방향성을 예측한다.
단계 1040에서, 영상 처리 장치(300)는 상기 예측된 방향성에 따라 매크로 블록과 연관된 처리 순서를 결정한다.
단계 1050에서, 영상 처리 장치(300)는 상기 결정된 처리 순서에 따라 상기 매크로 블록을 처리한다.
또는, 처리 순서를 조정하는 방식을 이용하지 않는 경우, 영상 처리 장치(300)는 단계 1050을 곧바로 수행하여, 일반적인 처리 순서에 따라 상기 매크로 블록을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300: 영상 처리 장치
310: 방향성 예측부
320: 순서 결정부
330: 데이터 처리부

Claims (19)

  1. 매크로 블록(Macro Block; MB) 주변의 픽셀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매크로 블록에 대한 방향성을 예측하는 방향성 예측부;
    상기 예측된 방향성에 따라, 상기 매크로 블록과 연관된 처리 순서를 결정하는 순서 결정부; 및
    상기 결정된 처리 순서에 따라 상기 매크로 블록을 처리하는 데이터 처리부
    를 포함하는, 영상 처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성 예측부는,
    상기 픽셀 데이터가 처리된 방향성을 상기 매크로 블록의 방향성으로 예측하는, 영상 처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성 예측부는,
    상기 주변의 픽셀 데이터 중 우측 상단 픽셀 데이터가 처리된 경우, 상기 매크로 블록에 대한 방향성을 '좌측 하단 방향'으로 예측하는 영상 처리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예측된 방향성이 '좌측 하단 방향'인 경우,
    상기 순서 결정부는,
    일정개수의 블록들을 포함하는 그룹으로 분류된 상기 매크로 블록의 처리 순서를 '우측 상단에 위치한 그룹 내의 최우측 블록부터 좌측 하단 방향'으로 결정하는, 영상 처리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예측된 방향성이 '좌측 하단 방향'인 경우,
    상기 순서 결정부는,
    복수의 블록들로 구성된 상기 매크로 블록의 처리 순서를 '상단에 위치한 최우측 블록부터 좌측 하단 방향'으로 결정하는, 영상 처리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성 예측부는,
    상기 주변의 픽셀 데이터 중 좌측 하단 픽셀 데이터가 처리된 경우, 상기 매크로 블록에 대한 방향성을 '우측 상단 방향'으로 예측하는, 영상 처리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예측된 방향성이 '우측 상단 방향'인 경우,
    상기 순서 결정부는,
    일정개수의 블록들을 포함하는 그룹으로 분류된 상기 매크로 블록의 처리 순서를 '좌측 하단에 위치한 그룹 내의 최좌측 블록부터 우측 상단 방향'으로 결정하는, 영상 처리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예측된 방향성이 '우측 상단 방향'인 경우,
    상기 순서 결정부는,
    복수의 블록들로 구성된 상기 매크로 블록의 처리 순서를 '하단에 위치한 최좌측 블록부터 우측 상단 방향'으로 결정하는, 영상 처리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순서 결정부는,
    상기 매크로 블록을 복수의 블록들로 분할하고, 상기 예측된 방향성에 따라 상기 분할된 '블록 단위'로 상기 처리 순서를 가변적으로 조정하는, 영상 처리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순서 결정부는,
    상기 매크로 블록을, 일정 개수의 블록들을 포함하는 그룹으로 분류하고, 상기 예측된 방향성에 따라 상기 분류된 '그룹 단위'로 상기 처리 순서를 가변적으로 조정하는, 영상 처리 장치.
  11. 매크로 블록(Macro Block; MB) 주변의 픽셀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매크로 블록에 대한 방향성을 예측하는 단계; 및
    상기 예측된 방향성에 따라 상기 매크로 블록과 연관된 처리 순서를 결정하여, 상기 매크로 블록을 처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영상 처리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매크로 블록에 대한 방향성을 예측하는 단계는,
    상기 픽셀 데이터가 처리된 방향성을 상기 매크로 블록의 방향성으로 예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영상 처리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매크로 블록에 대한 방향성을 예측하는 단계는,
    상기 주변의 픽셀 데이터 중 우측 상단 픽셀 데이터가 처리된 경우, 상기 매크로 블록에 대한 방향성을 '좌측 하단 방향'으로 예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영상 처리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예측된 방향성이 '좌측 하단 방향'인 경우,
    상기 매크로 블록을 처리하는 단계는,
    일정개수의 블록들을 포함하는 그룹으로 분류된 상기 매크로 블록 내에 우측 상단에 위치한 그룹 내의 최우측 블록부터 좌측 하단 방향으로 상기 매크로 블록을 처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영상 처리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예측된 방향성이 '좌측 하단 방향'인 경우,
    상기 매크로 블록을 처리하는 단계는,
    복수의 블록들로 구성된 상기 매크로 블록 내에 상단에 위치한 최우측 블록부터 좌측 하단 방향으로 상기 매크로 블록을 처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영상 처리 방법.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매크로 블록에 대한 방향성을 예측하는 단계는,
    상기 주변의 픽셀 데이터 중, 좌측 하단 픽셀 데이터가 처리된 경우, 상기 매크로 블록에 대한 방향성을 '우측 상단 방향'으로 예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영상 처리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예측된 방향성이 '우측 상단 방향'인 경우,
    상기 매크로 블록을 처리하는 단계는,
    일정개수의 블록을 포함하는 그룹으로 분류된 상기 매크로 블록 내에 좌측 하단에 위치한 그룹 내의 최좌측 블록부터 우측 상단 방향으로 상기 매크로 블록을 처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영상 처리 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예측된 방향성이 '우측 상단 방향'인 경우,
    상기 매크로 블록을 처리하는 단계는,
    복수의 블록들로 구성된 상기 매크로 블록 내에 하단에 위치한 최좌측 블록부터 우측 상단 방향으로 상기 매크로 블록을 처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영상 처리 방법.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매크로 블록을 복수의 블록들로 분할하는 단계;
    상기 분할된 일정개수의 블록들을 포함하는 그룹으로 분류하는 단계; 및
    상기 예측된 방향성에 따라 상기 분할된 '블록 단위' 또는 상기 분류된 '그룹 단위'로 상기 처리 순서를 가변적으로 조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영상 처리 방법.
KR1020100108758A 2010-11-03 2010-11-03 방향성에 따라 처리 순서를 조정하는 영상 처리 방법 및 장치 KR20120047081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8758A KR20120047081A (ko) 2010-11-03 2010-11-03 방향성에 따라 처리 순서를 조정하는 영상 처리 방법 및 장치
US13/183,814 US20120106863A1 (en) 2010-11-03 2011-07-15 Image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adjusting processing order according to directivity
EP11187654A EP2451160A2 (en) 2010-11-03 2011-11-03 Video compression with adaptive processing order of blocks within a macrobloc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8758A KR20120047081A (ko) 2010-11-03 2010-11-03 방향성에 따라 처리 순서를 조정하는 영상 처리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7081A true KR20120047081A (ko) 2012-05-11

Family

ID=450656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8758A KR20120047081A (ko) 2010-11-03 2010-11-03 방향성에 따라 처리 순서를 조정하는 영상 처리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20106863A1 (ko)
EP (1) EP2451160A2 (ko)
KR (1) KR2012004708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50823A1 (ko) * 2016-03-02 2017-09-0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비디오 신호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68682B2 (en) 2016-04-26 2022-06-21 Intellectual Discovery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encoding/decoding imag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06443B2 (en) * 2005-03-11 2010-04-27 General Instrument Corporation Method, article of manufacture, and apparatus for high quality, fast intra coding usable for creating digital video content
KR100667808B1 (ko) * 2005-08-20 2007-01-11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의 인트라 예측 부호화, 복호화 방법 및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50823A1 (ko) * 2016-03-02 2017-09-0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비디오 신호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20106863A1 (en) 2012-05-03
EP2451160A2 (en) 2012-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13966B1 (ko) 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 장치 및 비트스트림을 저장한 기록 매체
KR102398644B1 (ko) 인트라 예측 정보 부호화 방법 및 장치
KR101712107B1 (ko) 영상의 인트라 예측 복호화 방법 및 장치
ES2767966T3 (es) Codificación de intra-predicción bajo representaciones planas
KR100667808B1 (ko) 영상의 인트라 예측 부호화, 복호화 방법 및 장치
JP2022120012A (ja) クアッドツリー構造に基づく適応的量子化パラメータ符号化及び復号化方法及び装置
US883784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ncoding an intra-prediction mode using variable length codes, and recording medium for same
KR20190043482A (ko) 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 장치 및 비트스트림을 저장한 기록 매체
KR20180029905A (ko) 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 장치 및 비트스트림을 저장한 기록 매체
KR20140005257A (ko) 기하학적 기반 인트라 예측을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1263090B1 (ko) 다단계 예측을 이용한 영상 부/복호화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사용하는 부/복호화 장치
KR20110018188A (ko) 영상의 부호화 방법 및 장치, 영상 복호화 방법 및 장치
KR20100004037A (ko) 영상의 부호화 방법 및 장치, 그 복호화 방법 및 장치
KR20110018189A (ko) 영상의 부호화 방법 및 장치, 그 복호화 방법 및 장치
JP2008502268A (ja) 動映像の無損失エンコーディング及びデコーディング方法、その装置
WO2012167539A1 (zh) 帧内预测模式处理的方法和装置
US11991378B2 (en) Method and device for video coding using various transform techniques
US20210051334A1 (en) Image encoding method/device, image decoding method/device, and recording medium in which bitstream is stored
TWI738167B (zh) 圖像編碼及解碼技術
KR101246119B1 (ko) 인트라 예측 모드 결정 방법 및 장치
KR20120047081A (ko) 방향성에 따라 처리 순서를 조정하는 영상 처리 방법 및 장치
KR101336578B1 (ko) 화면 내 예측모드 예측기 및 그 예측 방법
KR101607613B1 (ko) 영상의 부호화 방법 및 장치, 영상 복호화 방법 및 장치
KR102481051B1 (ko) 비디오 코딩에서의 제한된 선형 모델 파라미터 도출을 위한 방법 및 장치
WO2012095037A1 (zh) 一种编解码方法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