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45834A - Skat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Skating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45834A
KR20120045834A KR1020100107659A KR20100107659A KR20120045834A KR 20120045834 A KR20120045834 A KR 20120045834A KR 1020100107659 A KR1020100107659 A KR 1020100107659A KR 20100107659 A KR20100107659 A KR 20100107659A KR 20120045834 A KR20120045834 A KR 201200458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ate
present
driver
trider
slid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765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현철
Original Assignee
김현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현철 filed Critical 김현철
Priority to KR10201001076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45834A/en
Publication of KR201200458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5834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01Skateboard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0033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a castor wheel, i.e. a swiveling follow-up whee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2203/00Special features of skates, skis, roller-skates, snowboards and courts
    • A63C2203/02Special features of skates, skis, roller-skates, snowboards and courts enabling transverse riding, i.e. with one runner or skate per foot and direction transverse to the foo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2203/00Special features of skates, skis, roller-skates, snowboards and courts
    • A63C2203/10Special features of skates, skis, roller-skates, snowboards and courts enabling folding, collaps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2203/00Special features of skates, skis, roller-skates, snowboards and courts
    • A63C2203/44Storage or transportation means for ice or roller skates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Abstract

PURPOSE: A gliding apparatus is provided to facilitate the carrying and keeping thereof by minimizing the volume thereof. CONSTITUTION: A gliding apparatus comprises main bodies(100,200) and wheel members(131,132). A pair of main bodies is equipped with a first main body and a second main body. Two or more wheel members are installed in the lower part of the main body. The second body is folded by being pivoted against the plate side of the first main body. A fixing support projection is prepared in the hinge joint of the first and second bodies.

Description

활주 장치{SKATING APPARATUS}Slide device {SK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스케이트 등과 같은 활주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liding device such as skate.

일반적으로 활주 장치는 얼음이나 눈처럼 마찰력이 작은 곳에서 타는 스케이트, 보드 등이 있고, 마찰력이 큰 지면에서 타기 위해 바퀴를 구비한 롤러 스케이트, 인라인 스케이트, 스케이트 보드 등이 있다.In general, the sliding device is a skate, a board, etc. to ride in a small friction force such as ice or snow, there are roller skates, in-line skates, skateboards and the like with wheels for riding on a large friction surface.

종래의 롤러 스케이트 또는 인라인 스케이트는 신발 형태로 착용하는 발 일체형으로 부피가 크고, 스케이트를 갈아신어야 하기 때문에 휴대 및 착용 등에 있어서 불편함이 있었다.Conventional roller skates or inline skates are bulky in one-piece type to be worn in the form of shoes, and there is inconvenience in carrying and wearing since the skates must be changed.

또한, 종래의 스케이트 보드는 발과 고정을 시킬 필요가 없기 때문에 착용상 편리함이 있지만, 사이즈나 부피가 너무 커서 휴대하거나 보관하기 불편하다는 단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skateboard is convenient to wear because it does not need to be fixed with the foot, but there was a disadvantage that the size or volume is too large to be convenient to carry or stor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주행시에는 운전자의 발을 올릴 수 있는 면적을 확보하고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불필요한 면적을 줄여 부피를 최소화하여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하고 착용이 편리한 활주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o secure the area to raise the feet of the driver when driving and to reduce the unnecessary area when not in use to minimize the volume of the slide is easy to carry and store and easy to wear The purpose is to provide a device.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s, and other obj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활주 장치는, 제 1 몸체 및 제 1 몸체에 접철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 몸체를 구비하는 한 쌍의 본체와, 상기 본체의 하부에 설치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바퀴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slid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air of main body having a first body and a second body foldably coupled to the first body, and install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It may include at least two or more wheel members.

또한, 상기 제 2 몸체는 상기 제 1 몸체의 적어도 일측면에 상기 제 1 몸체의 판면에 대하여 가로방향으로 회동하여 접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second body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olding on the at least one side of the first body in the transvers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plate surface of the first body.

또한, 상기 제 2 몸체는 한 쌍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 1 몸체의 양측에 각각 힌지 결합되어 상기 바퀴부재 측으로 회동하여 접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econd body is composed of a pai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hinge is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first body are rotated to the wheel member side.

또한, 상기 제 2 몸체가 상기 제 1 몸체의 판면과 평행한 상태에서 회동하여 접철되지 않도록 상기 제 1 몸체와 상기 제 2 몸체의 힌지 결합부위에 상기 제 2 몸체를 고정 지지하는 고정지지턱이 마련될 수 있다.In addition, a fixing support jaw is provided to fix and support the second body on the hinge coupling portion of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so that the second body does not rotate and fold in parallel with the plate surface of the first body. Can b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라이더는, 트라이더에 있어서, 상기 트라이더 본체와, 상기 트라이더 본체의 하부에 배치되는 한 쌍의 지지프레임의 각 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기 일 실시예에 따른 활주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tri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trider, the detachable to each end of the trider body and a pair of support frames disposed below the trider body. It may include a sliding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coupled to.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Specific details of other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the drawings.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스케이트에 따르면, 기존의 인라인 스케이트처럼 신발 형태로 착용하는 것이 아니라 발을 스케이트 몸체 위에 거치한 상태로 사용하므로 착용이 편리하다.According to the skat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foot is mounted on the skate body rather than worn in the form of shoes like conventional inline skates, it is convenient to wear.

또한, 절첩식 스케이트 구조를 채용하여 주행시에는 운전자의 발을 올릴 수 있는 면적을 확보하고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불필요한 면적을 줄여 부피를 최소화하여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하다. In addition, by adopting a folding skate structure to secure the area to raise the driver's feet when driving and to reduce the unnecessary area when not in use, it is easy to carry and store.

또한, 기존의 트라이더에 본 발명에 따른 스케이트를 탈부착하는 구조를 채용하여 사용자가 트라이더 또는 스케이트로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by adopting a structure for attaching and detaching the sk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existing trider, the user can selectively use as a trider or skate.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활주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활주 장치의 일측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활주 장치의 제 1 작동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정면도,
도 5는 도 3의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활주 장치의 제 2 작동 사시도,
도 7은 도 6의 정면도,
도 8은 도 6의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활주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그리고,
도 10은 도 9의 활주 장치에서 트라이더 본체와 스케이트의 결합 구조의 일 예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lid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one side of the slide device shown in Figure 1,
3 is a first operating perspective view of a slid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ront view of FIG. 3;
5 is a side view of FIG. 3;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second operation of the slid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ront view of FIG. 6,
8 is a side view of FIG. 6;
9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lid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0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coupling structure of a trider body and a skate in the sliding device of FIG. 9.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only the embodiments mak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and the general knowledge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e person having the scope of the invention, which is defined only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본 발명의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 설명되는 활주 장치는 스케이트를 일 예로 들어 예시하였으나, 스케이트뿐만 아니라 운전자가 발을 올린 상태에서 주행할 수 있는 모든 활주 장치를 포함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Prior to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liding device described below is illustrated as an example of the skate, it is noted that not only the skate but also can include all the sliding device that can run in the driver's raised stat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따른 활주 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Hereinafter, a sliding apparatus according to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detail to avoid unnecessarily obscuring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케이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스케이트의 일측 분해 사시도이다.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k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one side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kate shown in FIG.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활주장치(스케이트)(10)는 제 1 몸체(110,210) 및 제 1 몸체(110,210)에 접철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 몸체(120,220)를 구비하는 한 쌍의 본체(100)(200)와, 각각의 본체(100)(200)에 설치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바퀴부재(131,132)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스케이트(10)의 한 쌍은 서로 동일한 구성이므로 이하의 도면에서는 한 쌍 중 어느 하나만을 도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As shown in Figure 1 and 2, the sliding device (skat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econd body (foldable to the first body (110, 210) and the first body 110, 210 foldable) And a pair of main bodies 100 and 200 having 120 and 220, and at least two or more wheel members 131 and 132 installed on the main bodies 100 and 200. Here, since the pair of skates 10 have the same configuration, only one of the pairs will be described in the following drawings.

제 1 몸체(110)는 스케이트(10)의 바디프레임에 해당하며, 운전자가 스케이트(10)에 올라섰을 때 운전자의 발(미도시) 길이방향의 가로방향으로 위치하여 주행시 운전자의 발 중앙부분을 지지하게 된다.The first body 110 corresponds to the body frame of the skate 10, and when the driver climbs on the skate 10, the first body 110 is position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river's foot (not shown) to move the center portion of the driver's foot during driving. Will be supported.

또한, 제 1 몸체(110)는 운전자가 휴대하기 용이한 소정의 면적을 가지며, 이에 부합할 수 있는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바람직하게는 길이에 비해 폭이 좁게 형성되는 대략 직사각형의 플레이트 형상을 갖는다.In addition, the first body 110 has a predetermined area that is easy for the driver to carry, is made of various shapes that can correspond to this, and preferably has a substantially rectangular plate shape that is formed to have a narrow width relative to the length. .

또한, 제 1 몸체(110)는 무게가 가벼우면서도 강성이 우수한 재질, 예컨대 금속, 또는 플라스틱 등으로 이루어지며, 본 발명에서는 일 실시예로 알루미늄 합금을 사용하였다.In addition, the first body 110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a light weight and excellent rigidity, for example, metal, plastic, or the like. In the present invention, an aluminum alloy is used.

제 1 몸체(110)의 양측부에는 후술할 제 2 몸체(120)의 힌지축(121)이 끼워져 접철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힌지결합부(111)가 마련된다. Hinge coupling portions 111 are provided at both side portions of the first body 110 so that the hinge shaft 121 of the second body 120 to be described later is fitted to be folded.

힌지결합부(111)는 제 2 몸체(120)의 힌지축(121)이 제 1 몸체(110)의 전면 양측에 제 1 몸체(110)의 길이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힌지결합홀(111a)을 통해 끼워지고 제 1 몸체(110)의 판면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결합된다. 여기서, 힌지결합홀(111a)의 측면에는 제 2 몸체(120)의 힌지축(121)이 끼워진 상태에서 제 2 몸체(120)가 제 1 몸체(11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제 1 몸체(110)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슬릿(111b)이 형성된다. Hinge coupling portion 111 is the hinge shaft 121 of the second body 120 through the hinge coupling hole 111a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body 110 on both sides of the front surface of the first body 110. It is fitted and coupled to rotate in a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plate surface of the first body (110). Here, the first body so that the second body 120 is movab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body 110 in the state in which the hinge shaft 121 of the second body 120 is fitted to the side of the hinge coupling hole (111a). The slit 111b is formed lo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110.

또한, 운전자가 스케이트(10)를 사용시 제 2 몸체(120)가 제 1 몸체(110)와 평행 상태에서 접철되지 않도록 제 2 몸체(120)의 힌지축(121) 하부를 고정지지하는 고정지지턱(111c)이 슬릿(111b)의 뒤쪽 하부영역에 형성된다. 여기서, 고정지지턱(111c)은 제 2 몸체(120)의 힌지축(121) 양단부를 각각 지지할 수 있도록 2개로 구성되어 슬릿(111b)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이격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when the driver uses the skate 10, the fixed support jaw that fixes the lower portion of the hinge shaft 121 of the second body 120 so that the second body 120 is not folded in parallel with the first body 110. 111c is formed in the lower rear region of the slit 111b. Here, the fixed support jaw (111c) is composed of two so as to support each of both ends of the hinge shaft 121 of the second body 120 is preferably spaced apart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lit (111b). Do.

또한, 운전자가 스케이트(10)를 휴대 또는 보관하기 위하여 제 1 몸체(110)의 판면에 대하여 제 2 몸체(120)를 바퀴부재(131,132) 측으로 회동하여 접철할 때 힌지결합부(111)에서 제 1 몸체(110)와 제 2 몸체(120) 간에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슬릿(111b)의 중간 하부영역이 확장 개구된 접철홈(111d)이 마련된다. 여기서, 접철홈(111d)은 제 1 몸체(110)의 판면에 대하여 제 2 몸체(120)를 바퀴부재(131,132) 측을 향해 하부로 90도 각도로 간섭이 발생하지 않게 회동할 수 있도록 슬릿(111b) 수평면에서 하부로 90도 각도로 개구영역을 연장하여 형성한다. 이때, 접철홈(111d)의 길이는 제 2 몸체(120)의 힌지축(121)의 길이와 대응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접철홈(111d)의 중간에는 상술한 한 쌍의 고정지지턱(111c)의 일측이 위치하게 되는데, 접철홈(111d) 영역에서 제 2 몸체(120)가 제 1 몸체(110)에 대하여 회동하여 접철될 때 고정지지턱(111c)의 일측이 제 2 몸체(120)의 힌지축(121) 중간에 형성된 고정지지턱 관통홀(123)을 관통하여 제 1 몸체(110)와 제 2 몸체(120) 간에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driver rotates and folds the second body 120 toward the wheel members 131 and 132 with respect to the plate surface of the first body 110 to carry or store the skate 10, the hinge coupling part 111 A folding groove 111d is formed in which an intermediate lower region of the slit 111b is expanded and opened so that interference does not occur between the first body 110 and the second body 120. Here, the folding groove 111d is a slit so that the second body 120 can be rotated with respect to the plate surface of the first body 110 at a 90 degree angle downward toward the wheel members 131 and 132. 111b) It is formed by extending the opening region at an angle of 90 degrees downward from the horizontal plane. At this time, the length of the folding groove (111d) is preferably formed to correspond to the length of the hinge shaft 121 of the second body (120). In addition, one side of the pair of fixed support jaw 111c described above is positioned in the middle of the folding groove 111d, and the second body 120 is located with respect to the first body 110 in the folding groove 111d region. When rotated and folded, one side of the fixed support jaw 111c passes through the fixed support jaw through hole 123 formed in the middle of the hinge shaft 121 of the second body 120, thereby allowing the first body 110 and the second body to rotate. Interference may not occur between the 120.

또한, 제 1 몸체(110)에 대하여 제 2 몸체(120)를 접철하기 이전 상태에는 제 2 몸체(120)가 제 1 몸체(110)의 후방측에 탄성 지지되도록 제 2 몸체(120)의 힌지축(121)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스프링)(141)와 스프링고정용 볼트(143)가 마련된다. 이를 위해, 제 2 몸체(120)의 힌지축(121)이 제 1 몸체(110)의 힌지결합홀(111a)에 삽입된 상태에서 힌지결합홀(111a)에 스프링(141)이 삽입되고 스프링고정용 볼트(143)가 힌지결합홀(111a)의 입구측에 체결되어 힌지결합홀(111a)로부터 스프링(141)의 이탈을 방지한다. 이때, 힌지결합홀(111a)의 입구측 내경에는 암나사가 형성되어 스프링고정용 볼트(143)의 헤드부에 형성된 수나사와 나사 체결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hinge of the second body 120 so that the second body 120 is elastically supported on the rear side of the first body 110 in a state before folding the second body 120 with respect to the first body 110. An elastic member (spring) 141 and a spring fixing bolt 143 for providing an elastic force to the shaft 121 are provided. To this end, in a state in which the hinge shaft 121 of the second body 120 is inserted into the hinge coupling hole 111a of the first body 110, the spring 141 is inserted into the hinge coupling hole 111a and the spring is fixed. The bolt 143 is fastened to the inlet side of the hinge coupling hole 111a to prevent the spring 141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hinge coupling hole 111a. At this time, the female thread is formed in the inlet side inner diameter of the hinge coupling hole (111a) can be screwed with the male screw formed on the head of the spring fixing bolt 143.

제 2 몸체(120)는 제 1 몸체(110)의 적어도 일측면에 제 1 몸체(110)의 판면에 대하여 가로방향으로 회동하여 접철 가능하게 결합된다. 특히, 본 발명은 운전자가 스케이트(10)를 휴대 또는 보관이 용이하도록 제 1 몸체(110)의 판면에 대하여 제 2 몸체(120)를 바퀴부재(131,132) 측으로 회동하여 접철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따라서, 제 2 몸체(120)는 접철된 상태에서 바퀴브라켓(131a,132a)에 접촉된 상태로 겹쳐기게 된다.The second body 120 is pivotally coupled to the plate surface of the first body 110 on at least one side of the first body 110 to be foldable.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driver can be folded by folding the second body 120 toward the wheel members (131, 132) with respect to the plate surface of the first body 110 to facilitate the carrying or storage of the skate (10). . Therefore, the second body 120 is overlapped in contact with the wheel brackets (131a, 132a) in the folded state.

본 실시예에서는 제 2 몸체(120)를 한 쌍으로 구성하여 제 1 몸체(110)의 양측면에 각각 힌지 결합되는 구성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 2 몸체(120)를 한 개로 구성하여 제 1 몸체(110)의 양측면 중 어느 일측면에 접철 가능하게 결합할 수도 있다. In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the second body 120 is configured as a pair, and the configuration is hinged to both sides of the first body 110, but the configuration is not limited thereto. 1 Body 110 may be coupled to be folded to any one side of both sides.

제 2 몸체(120)는 운전자가 스케이트(10)에 올라섰을 때 운전자의 발 길이 방향과 대략 일치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주행시 운전자의 발의 앞과 뒤부분을 지지할 수 있도록 소정의 면적을 갖는 한쌍의 날개 형태의 플레이트로서, 제 1 몸체(110) 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When the driver climbs on the skate 10, the second body 120 is disposed in a direction substantially coincident with the driver's foot length direction so as to support the front and rear portions of the driver's foot during driving. As a plate in the form of a wing, it is preferably formed in a smaller size than the first body (110).

제 2 몸체(120)는 무게가 가벼우면서도 강성이 우수한 재질, 예컨대 금속, 또는 플라스틱 등으로 이루어지며, 본 발명에서는 일 실시예로 알루미늄 합금을 사용하였다.The second body 120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a light weight and excellent rigidity, for example, metal, plastic, or the like. In the present invention, an aluminum alloy is used.

제 2 몸체(120)에는 판면의 측면을 따라 힌지축(121)이 형성되어 제 1 몸체(110)의 힌지결합홀(111a)에 끼워져 결합된다. 여기서, 제 2 몸체(120)의 힌지축(121)은 제 1 몸체(110)의 힌지결합부(111)에 마련된 접철홈(111d)의 개구 길이와 대응되는 길이를 가지며, 또한 제 2 몸체(120)의 힌지축(121)은 제 1 몸체(110)의 힌지결합부(111)에 마련된 한 쌍의 고정지지턱(111c)의 이격 거리와 대응되는 길이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A hinge shaft 121 is formed in the second body 120 along the side of the plate surface to be coupled to the hinge coupling hole 111a of the first body 110. Here, the hinge shaft 121 of the second body 120 has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opening length of the folding groove (111d) provided in the hinge coupling portion 111 of the first body 110, and also the second body ( Hinge shaft 121 of 120 preferably has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separation distance of the pair of fixed support jaw (111c) provided in the hinge coupling portion 111 of the first body (110).

제 1 몸체(110)의 힌지결합부(111)에 마련되는 접철홈(111d) 영역에서 제 2 몸체(120)가 제 1 몸체(110)에 대하여 회동하여 접철될 때 제 1 몸체(110)와 제 2 몸체(120) 간에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제 2 몸체(120)의 힌지축(121) 중간에 고정지지턱 관통홀(123)이 형성되어 제 1 몸체(110)의 고정지지턱(111c)이 관통될 수 있다.When the second body 120 rotates with respect to the first body 110 in the folding groove 111d area provided in the hinge coupling portion 111 of the first body 110 and the first body 110 The fixing support jaw through hole 123 is formed in the middle of the hinge shaft 121 of the second body 120 so that interference does not occur between the second bodies 120, so that the fixing support jaw 111c of the first body 110 is formed. This can be penetrated.

또한, 제 1 몸체(110)와 제 2 몸체(120)의 상면에는 운전자의 발이 쉽게 미끄러지지 않도록 미끄럼 방지부재(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미끄럼 방지부재는 운전자의 발 저면과 제 1 몸체(110) 및 제 2 몸체(120) 사이의 마찰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제 1 몸체(110) 및 제 2 몸체(120)의 상면에 요철을 형성하거나, 마찰력이 큰 고분자 시트를 부착하거나, 마찰 가루를 도포하는 등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안출할 수 있는 공지된 기술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n upper surface of the first body 110 and the second body 120 may be provided with a non-slip member (not shown) to prevent the driver's feet from slipping easily. For example,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non-slip member may include the first body 110 and the second body (eg, the first body 110 and the second body 120) to improve frictional force between the driver's foot bottom and the first body 110 and the second body 120. It may include all known techniques that can be devise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such as forming irregularities on the upper surface of 120), attaching a polymer sheet having a high friction force, or applying friction powder. .

바퀴부재(131)(132)는 본체(100),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 1 몸체(110)의 하부에 제 1 몸체(110)의 길이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일렬로 적어도 2개 이상 배치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바퀴부재(131)(132)는 본체(100)의 상부에 올려지는 발의 길이방향(또는 장축)과 소정 각도를 형성하는 가상의 일직선 상에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즉, 바퀴부재(131)(132)는 발의 길이방향과 소정 각도를 형성하는 방향으로 본체(100)가 주행 가능하도록 설치된다.At least two wheel members 131 and 132 are arranged in a line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body 110 under the body 100, more specifically, the first body 110. More specifically, the wheel members 131 and 132 are dispos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n an imaginary straight line forming a predetermined angle with a longitudinal direction (or long axis) of the foot rai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100. That is, the wheel members 131 and 132 are installed to enable the main body 100 to travel in the direction of forming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oot.

본 실시예에서, 바퀴부재(131,132)는 제 1 몸체(110)에 대해 회전 운동이 가능하며, 지면 또는 제 1 몸체(110)의 수직축에 대해 소정의 각도의 기울기를 갖는 회전힌지로 결합되는 케스터(caster)형 바퀴를 포함한다. 그러나, 바퀴부재(131,132)는 케스터형 바퀴에 국한되지 않고 바퀴의 회전축이 서로 나란하게 고정되는 고정형 바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캐스터형 바퀴 및 고정형 바퀴는 공지된 기술로 이해 가능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In this embodiment, the wheel members (131, 132) is capable of rotational movement with respect to the first body 110, the caster coupled to the rotary hinge having a predetermined angle of inclination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axis of the ground or the first body (110). Includes caster wheels. However, the wheel members 131 and 132 may include fixed wheels in which the rotating shafts of the wheels are fixed in parallel to each other without being limited to the caster wheels. Since such caster wheels and fixed wheels can be understood by known techniques, detailed descriptions are omitted.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비록 바퀴부재(131,132)를 사용하는 스케이트(10)를 도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바퀴부재(131,132)가 아닌 스케이트 날을 사용하여 빙상에서 사용할 수 있는 빙상 스케이트도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In addition,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y showing the skate 10 using the wheel members (131,132)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is also included that ice skates that can be used on the ice using a skating blade rather than the wheel members (131,132) something to do.

이하, 도 3 내지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케이트의 작동 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3 to 8, an operation example of the sk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활주 장치의 제 1 작동 사시도이고, 도 4 및 5는 도 3의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3 is a first operating perspective view of the slid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4 and 5 are a front view and a side view of FIG.

도 3 내지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자가 스케이트를 타기 위해서는 운전자의 발을 올리고 주행할 수 있는 면적을 확보해야 한다. 이를 위해 제 1 몸체(110)의 양측에 힌지 결합된 한 쌍의 제 2 몸체(120)를 제 1 몸체(110)의 판면과 평행하게 하여 스케이트(10)의 본체(100)를 +자 형태로 만든 후 운전자는 발을 본체(100)에 거치하여 주행하게 된다. 여기서, 제 2 몸체(120)의 힌지축(121)은 제 1 몸체(110)의 힌지결합홀(111a)의 후방측에 위치하게 되고 제 1 몸체(110)의 힌지결합부(111)에 마련된 고정지지턱(111c)에 의해 제 2 몸체(120)의 힌지축(121)의 하부가 고정 지지됨으로써 운전자의 발 하중이 제 2 몸체(120)에 가해지더라도 제 2 몸체(120)는 제 1 몸체(110)의 판면과 평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때, 제 1 몸체(110)의 힌지결합홀(111a)에 개재된 스프링(141)이 제 2 몸체(120)의 힌지축(121)을 후방으로 탄성 지지하여 제 2 몸체(120)의 힌지축(121)이 제 1 몸체(110)의 고정지지턱(111c)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한다. As shown in Figures 3 to 5, in order for the driver to skate, it is necessary to secure an area for raising the driver's foot and driving. To this end, a pair of second bodies 120 hinged to both sides of the first body 110 are parallel to the plate surface of the first body 110 to form the body 100 of the skate 10 in a + shape. After making, the driver mounts the foot on the main body 100 to drive. Here, the hinge shaft 121 of the second body 120 is located at the rear side of the hinge coupling hole 111a of the first body 110 and is provided in the hinge coupling portion 111 of the first body 110. As the lower portion of the hinge shaft 121 of the second body 120 is fixedly supported by the fixed support jaw 111c, the second body 120 may be the first body even if the driver's foot load is applied to the second body 120. Parallel to the plate surface of 110 can be maintained. In this case, the spring 141 interposed in the hinge coupling hole 111a of the first body 110 elastically supports the hinge shaft 121 of the second body 120 to the rear to hinge the shaft of the second body 120. To allow 121 to be located on the fixed support jaw (111c) of the first body (110).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활주 장치의 제 2 작동 사시도이고, 도 7 및 8은 도 6의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6 is a second operating perspective view of the slid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7 and 8 are front and side views of FIG. 6.

도 6 내지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자가 스케이트(10)를 타지 않고 휴대하거나 보관시에는 스케이트(10)의 불필요한 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쌍의 제 2 몸체(120)를 제 1 몸체(110)의 판면에 대하여 힌지결합부(111)를 회전 중심으로 소정 각도, 예를 들어 90도 각도로 바퀴부재(131,132) 측으로 회전시켜 한 쌍의 제 2 몸체(120)를 바퀴브라켓(131a,132a) 양측면에 접하도록 접철한다. 여기서, 제 1 몸체(110)에 대하여 제 2 몸체(120)를 접철하기 위해서는 제 2 몸체(120)를 제 1 몸체(110)의 전방쪽으로 이동시켜 제 2 몸체(120)의 힌지축(121)이 제 1 몸체(110)의 접철홈(111d) 영역에 위치하도록 한다. 제 2 몸체(120)의 힌지축(121)이 힌지결합홀(111a) 내에서 제 1 몸체(110)의 전방 쪽으로 이동하게 되면 스프링(141)은 압축 상태가 된다. 제 2 몸체(120)의 힌지축(121)이 제 1 몸체(110)의 접철홈(111d) 영역에 위치하게 되면 힌지결합부(111)에서 제 1 몸체(110)와 제 2 몸체(120) 간에 간섭이 발생하지 않게 되어 힌지결합부(111)를 중심으로 제 1 몸체(110)에 대하여 제 2 몸체(120)를 회전시켜 접철할 수 있게 된다.As illustrated in FIGS. 6 to 8, when the driver is carrying or storing the skate 10 without riding, the pair of second bodies 120 may be configured to minimize the unnecessary area of the skate 10. The pair of second bodies 120 is rotated to the wheel members 131a and 132a by rotating the hinge coupler 111 to the wheel members 131 and 132 at a predetermined angle, for example, 9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plate surface of the 110. ) Fold to contact both sides. Here, in order to fold the second body 120 with respect to the first body 110, the hinge shaft 121 of the second body 120 is moved by moving the second body 120 toward the front of the first body 110. The first body 110 is located in the folding groove 111d region. When the hinge shaft 121 of the second body 120 moves toward the front of the first body 110 in the hinge coupling hole 111a, the spring 141 is in a compressed state. When the hinge shaft 121 of the second body 120 is located in the folding groove 111d region of the first body 110, the first body 110 and the second body 120 at the hinge coupler 111. Since the interference does not occur between the second body 120 with respect to the first coupling 110 around the hinge coupling portion 111 can be folded by folding.

따라서, 본 발명의 스케이트(10)는 기존의 인라인 스케이트처럼 신발 형태로 착용하는 것이 아니라 발을 스케이트(10)의 본체(100) 위에 거치한 상태로 사용하므로 착용이 편리하고, 주행시에는 운전자의 발을 올릴 수 있는 면적을 확보하고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불필요한 면적을 줄여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에 휴대 또는 보관이 용이하다.Therefore, the skate 1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worn in the form of shoes like conventional inline skates, but the foot is mounted on the main body 100 of the skate 10 so that it is convenient to wear, and the driver's foot when driving It is easy to carry or store because it secures an area to raise the size and minimizes the volume by reducing the unnecessary area when not in use.

본 발명의 스케이트(10)의 추진 원리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하면, 운전자는 어깨의 폭만큼 편안한 자세로 발을 벌리고 양 발을 각각의 본체(100)(200)에 올리고 추진하고자 하는 방향의 뒷발을 앞뒤로 구르는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주행을 하게 된다.Briefly describing the propulsion principle of the skate 1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river spreads the feet in a comfortable position as wide as the width of the shoulder and raise both feet on each of the main body 100, 200, the rear foot in the direction to propel You will drive by repeating the rolling back and forth.

보다 상세하게는, 운전자가 구르는 동작을 하지 않을 때는, 각각의 본체(100)(200)는 지면과 평행하고, 바퀴부재(131)(132)는 지면과 수직이며, 각 본체(100)(200)의 진행방향이 추진방향과 일치하므로 운전자의 발은 추진방향과 소정의 각도를 유지하게 된다. 운전자가 구르는 동작을 하기 위해서는 운전자는 뒷발의 장방향이 추진방향과 대략 수직이 되는 방향으로, 즉 운전자는 뒷발의 앞쪽을 안으로 모으는 동작으로 추진 준비를 하게 되고 이로써 전진하고자 하는 방향에 대해 앞쪽에 있는 본체(100)의 진행방향은 추진방향과 일치하게 된다. 이때, 운전자가 뒷발을 앞쪽으로 숙이면서 지면을 밀게 되면, 각각의 본체(100)(200)는 진행방향을 중심으로 좌우로 유동하면서 지면에 대해 기울어지게 되고, 각 본체(100)(200)의 진행방향으로 설치된 바퀴부재(131)(132) 역시 지면에 대해 기울어지게 되어 추진력을 더욱 얻을 수 있게 된다. 다시 운전자가 뒷발의 뒷꿈치를 기울이게 되면, 각각의 본체(100)(200)는 진행방향을 중심으로 지면에 대해 반대쪽으로 기울여지게 되고, 바퀴부재(131)(132) 역시 반대쪽으로 기울여지게 되면서 지면에 대해 지속적인 추진력을 얻을 수 있게 된다.More specifically, when the driver is not rolling, each of the main bodies 100 and 200 is parallel to the ground, the wheel members 131 and 132 are perpendicular to the ground, and the main bodies 100 and 200 Since the traveling direction of) corresponds to the driving direction, the driver's foot maintains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driving direction. In order for the driver to roll, the driver prepares for propulsion in a direction in which the long direction of the rear foot is approximately perpendicular to the propulsion direction, ie the driver pulls the front of the rear foot in.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main body 100 coincides with the pushing direction. At this time, when the driver pushes the ground while bowing the rear foot forward, each of the main body 100, 200 is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ground while moving left and right about the traveling direction, and each of the main body 100, 200 The wheel members 131 and 132 installed in the advancing direction are also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ground, so that the driving force can be further obtained. When the driver tilts the heel of the rear foot again, each of the main bodies 100 and 200 is inclined to the opposite side with respect to the ground, and the wheel members 131 and 132 are also inclined to the opposite side. You will be able to gain continuous momentum for

또한, 캐스터형 바퀴부재(131,132)인 경우에는 운전자가 스케이트(10)를 지면상에서 스케이트(10)의 진행방향에 대해 일정각도를 갖는 방향으로 슬라이딩함으로써 추진력을 받을 수도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caster-type wheel members 131 and 132, the driver may receive a driving force by sliding the skate 10 in a direction having a certain angle with respect to the direction of the skate 10 on the ground.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활주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9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lid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활주 장치(20)는 공지된 트라이더 구조를 적용한 것으로, 트라이더 본체(21)의 하부에 배치되는 한 쌍의 지지프레임(22,23)의 각 단부에 도 1 및 8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케이트(10)를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구조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케이트(10)를 트라이더 본체(21)의 지지프레임(22,23)의 단부에 착탈 결합하는 방법은 다양한 구조 형태로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케이트(10)의 제 1 몸체(110) 및 제 2 몸체(210)의 전면에 돌출 형성된 결합돌기(110a,210a)를 트라이더 본체(21)의 지지프레임(22,23)의 단부에 형성된 결합홈(22a,23a)에 끼운 상태에서 트라이더 본체(21)의 지지프레임(22,23)의 단부 외경에 구비된 조임링(31)을 조임손잡이(33)로 단단히 결합할 수 있다. 이때, 트라이더 본체(21)와 스케이트(10)의 결합부위에 회전이 발생하지 않도록 스케이트(10)의 결합돌기(110a,210a)와 트라이더의 결합홈(22a,23a)은 사각형 등 다각형의 단면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As shown in FIG. 9, the sliding device 2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pplies a known trider structure, and has a pair of support frames 22 disposed below the trider body 21. 23 is a structure for detachably coupling the skat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8. Here, the method for attaching and detaching the skate 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support frame 22, 23 of the trider body 21 is possible in various structural forms.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0, the engaging protrusions 110a and 210a protruding from the front surfaces of the first body 110 and the second body 210 of the skate 10 may be formed of the trider body 21. Tighten the tightening knobs 31 provided on the outer diameters of the end portions of the support frames 22 and 23 of the trider body 21 while being fitted into the coupling grooves 22a and 23a formed at the ends of the support frames 22 and 23. (33) can be firmly combined. In this case, the coupling protrusions 110a and 210a of the skate 10 and the coupling grooves 22a and 23a of the trider are formed in a polygonal shape such as a quadrangle so that rotation does not occur at the coupling portion of the trider body 21 and the skate 10. It is preferable to have a cross section.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활주 장치(20)는 기존의 트라이더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케이트(10)를 탈부착하는 구조를 채용하여, 사용자가 트라이더 또는 스케이트로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트라이더 본체(21)에 스케이트(10)를 결합한 경우에는 기존의 트라이더 처럼 사용할 수 있고, 트라이더 본체(21)로부터 스케이트(10)를 분리한 경우에는 한 쌍의 스케이트에 운전자의 각 발을 올려 놓고 롤러 스케이트 처럼 사용할 수 있다. Therefore, the sliding device 2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dopts a structure for attaching and detaching the skat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n existing trider, so that the user can selectively Can be used. For example, when the skate 10 is combined with the trider body 21, the skater 10 may be used as a conventional trider. When the skate 10 is separated from the trider body 21, the driver may ride on a pair of skates. Each foot can be put up and used like a roller skate.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a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thereof. I can understand that.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by the following claims rather than the above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

10 : 활주장치(스케이트) 20 : 활주장치(트라이더)
100,200 : 본체 110,210 : 제 1 몸체
120,220 : 제 2 몸체 131,132 : 바퀴부재
141 : 탄성부재(스프링) 143 : 스프링고정용 볼트
10: sliding device (skating) 20: sliding device (trider)
100,200: main body 110,210: first body
120,220: second body 131,132: wheel member
141: elastic member (spring) 143: spring fixing bolt

Claims (5)

제 1 몸체 및 제 1 몸체에 접철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 몸체를 구비하는 한 쌍의 본체; 및
상기 본체의 하부에 설치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바퀴부재를 포함하는 활주 장치.
A pair of bodies having a first body and a second body foldably coupled to the first body; And
Slide device comprising at least two or more wheel members install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몸체는 상기 제 1 몸체의 적어도 일측면에 상기 제 1 몸체의 판면에 대하여 가로방향으로 회동하여 접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주 장치. 2. The slid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cond body pivots in a transvers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plate surface of the first body on at least one side of the first bod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몸체는 한 쌍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 1 몸체의 양측에 각각 힌지 결합되어 상기 바퀴부재 측으로 회동하여 접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주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second body is composed of a pair, the sliding devic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hinge is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first body are rotated to the wheel member sid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몸체가 상기 제 1 몸체의 판면과 평행한 상태에서 회동하여 접철되지 않도록 상기 제 1 몸체와 상기 제 2 몸체의 힌지 결합부위에 상기 제 2 몸체를 고정 지지하는 고정지지턱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주 장치.The fixed body of claim 1, wherein the second body is fixed to and supported by a hinge coupling portion between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such that the second body does not rotate and be folded in a state parallel to the plate surface of the first body. Slid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supporting jaw is provided. 트라이더에 있어서,
상기 트라이더의 본체; 및
상기 트라이더 본체의 하부에 배치되는 한 쌍의 지지프레임의 각 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청구항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하나의 활주 장치를 포함하는 트라이더.
In the trider,
A body of the trider; And
Claims 1 to 4, wherein the sliding device detachably coupled to each end of the pair of support frames disposed on the lower part of the trider body comprising a sliding device.
KR1020100107659A 2010-11-01 2010-11-01 Skating apparatus KR20120045834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7659A KR20120045834A (en) 2010-11-01 2010-11-01 Skat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7659A KR20120045834A (en) 2010-11-01 2010-11-01 Skating apparatu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5834A true KR20120045834A (en) 2012-05-09

Family

ID=462652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7659A KR20120045834A (en) 2010-11-01 2010-11-01 Skating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45834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3578B1 (en) * 2014-01-27 2015-06-03 이지민 Stroller
CN114377375A (en) * 2022-01-13 2022-04-22 惠州市朝鹏运动器材有限公司 PU anticollision flax fiber balsa slide core board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3578B1 (en) * 2014-01-27 2015-06-03 이지민 Stroller
CN114377375A (en) * 2022-01-13 2022-04-22 惠州市朝鹏运动器材有限公司 PU anticollision flax fiber balsa slide core board
CN114377375B (en) * 2022-01-13 2023-10-20 惠州市朝鹏运动器材有限公司 PU anticollision flax fiber balsawood slide cor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74795B2 (en) Wheeled skate device
AU2010318724B2 (en) Roller skate and wheel trucks therefor
US7980568B2 (en) Wheel skate device
AU2010219352B2 (en) Skateboard providing substantial freedom of movement of the front truck assembly
US20070114743A1 (en) Side motion propelled skateboard device
US9592434B2 (en) Stand-on land vehicle for simulating skiing
KR102107263B1 (en) Foot-propelled wheeled hobby and/or sport device
US20100090423A1 (en) Personal transportation device for supporting a user's foot
US8613453B2 (en) Wheel skate device with platform locking mechanism
JP4652331B2 (en) Roller skates
KR20040024592A (en) Hand steerable sports scooter
KR20120045834A (en) Skating apparatus
KR102010032B1 (en) A Two Blade Skate
WO2022262994A1 (en) Powered device for propelling a surface on snow
KR101042221B1 (en) Skate
CA2272676A1 (en) Stroller
JP4144751B2 (en) Skateboard type lightweight leisure carrier
KR100679814B1 (en) Board skate
CA2533931A1 (en) Motion device for a vehicle
EP3452184A1 (en) Stand-on-land vehicle for simulating skiing
US20140367933A1 (en) Snowboard
KR20170141056A (en) diretivity caster skating board
KR200407917Y1 (en) Ski for the four seasons
KR200375743Y1 (en) To Frame Roler Sho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