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45600A -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ugmented reality service - Google Patents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ugmented reality ser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45600A
KR20120045600A KR1020100107233A KR20100107233A KR20120045600A KR 20120045600 A KR20120045600 A KR 20120045600A KR 1020100107233 A KR1020100107233 A KR 1020100107233A KR 20100107233 A KR20100107233 A KR 20100107233A KR 20120045600 A KR20120045600 A KR 201200456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gmented reality
content
terminal device
information
reality con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723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328032B1 (en
Inventor
정진
홍성철
송만종
김현정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072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8032B1/en
Publication of KR201200456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560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80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803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PURPOSE: An AR(Augmented Reality) service provid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are provided to output and display various content information in a terminal by supporting interlocking functions between terminals and AR playback apparatus. CONSTITUTION: A terminal apparatus(100) outputs content information according to content provided from an external apparatus. An AR content playback apparatus(200) provides AR services. AR content is outputted according to AR realization function through the AR services. An AR content playback apparatus provides specific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AR service to the terminal apparatus when the terminal is connected with the AR content playback apparatus in order to be interlocked with the AR service.

Description

증강 현실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UGMENTED REALITY SERVICE}Augmented Reality Service Provision System and Method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UGMENTED REALITY SERVICE}

본 발명은 증강 현실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증강현실 서비스를 제공하는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와 모바일 단말 간의 연동 기능을 지원하여 모바일 단말에서 증강현실 서비스에 대응되는 컨텐츠 정보를 출력/표시할 수 있고 모바일 단말에서의 조작을 통해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를 조작/정보제공 함으로써, 증강현실 서비스를 제공함에 있어서 보다 확장되고 새로운 형태의 컨텐츠 정보를 모바일 단말을 통해 제공하고 조작 범위를 확장할 수 있는 증강 현실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 및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의 동작 방법, 단말장치 및 단말장치의 구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n augmented reality ser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support an interworking function between an augmented reality content playback device for providing an augmented reality service and a mobile terminal to provide conten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n augmented reality service in a mobile terminal. By outputting / displaying and manipulating / information of augmented reality content playback apparatus through operation on a mobile terminal, in providing augmented reality service, a more expanded and new type of content information is provided through a mobile terminal and a range of operation is provide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calable augmented reality service providing system and method, an augmented reality content playback device and an augmented reality content playback device, a terminal device and a method of driving the terminal device.

AR(Augmented Reality, 증강현실)은 사용자가 눈으로 보는 현실세계와 부가정보를 갖는 가상세계를 합쳐 하나의 영상으로 보여주는 가상현실의 하나이다. 현실세계를 가상세계로 보완해주는 개념인 AR은, 컴퓨터 그래픽으로 만들어진 가상환경을 사용하지만 주역은 현실환경이다. 컴퓨터 그래픽은 현실환경에 필요한 정보를 추가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사용자가 보고 있는 실사 영상에 3차원 가상영상을 겹침(overlap)으로써 현실환경과 가상화면과의 구분이 모호해지도록 한다는 뜻이다. Augmented Reality (AR) is one of virtual reality that combines the real world that the user sees with the virtual world with additional information in one image. AR, a concept that complements the real world with a virtual world, uses a virtual environment made of computer graphics, but the main role is the real environment. Computer graphics serve to provide additional information needed for the real world. This means that the distinction between the real environment and the virtual screen is blurred by overlapping the 3D virtual image on the live image that the user sees.

이러한 증강현실을 구현하는 방법에 의한 증강현실 서비스는, 인쇄서적의 페이지를 펼쳐 이를 카메라를 통해 촬영하고 촬영된 실시간 영상을 재생장치가 화면에 디스플레이함에 있어서, 페이지 내에 특정 마커(marker)가 기록되어 있음에 따라 촬영된 영상 내에서 특정 마커가 인지되면 해당 마커에 연결된 3차원 그래픽 모델을 실제 영상 즉 페이지를 촬영한 영상 위에 그려주는 방법이 있다. 여기서의 마커란 실제로 2차원 평면 위에 존재하면서, 자신과 연결된 3차원 그래픽모델이 그려질 크기, 방향 및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말한다.The augmented reality service by the method of implementing such an augmented reality, unfolds the page of the printed book, photographed through the camera and the playback device displays the captured real-time image on the screen, a specific marker is recorded in the page As a result, when a specific marker is recognized within the captured image, there is a method of drawing a 3D graphic model connected to the marker on an actual image, ie, a captured image. Here, the marker is actually present on the two-dimensional plane, and provides information on the size, direction, and position in which the three-dimensional graphic model connected to it is drawn.

헌데, 전술한 종래의 증강현실 서비스는, 증강현실 컨텐츠를 재생하는 재생장치(예 : PC, 모바일 단말)에 한정된 플랫폼으로 인해 타 단말 특히 일반적인 사용자가 대부분 소지하고 있는 모바일 단말과의 연동을 지원하지 못하고 있다. However,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augmented reality service does not support interworking with a mobile terminal that most other terminals, especially general users, due to a platform limited to a playback device (eg, a PC or a mobile terminal) that plays augmented reality content. I can't.

이에, 본 발명에서는 증강현실 컨텐츠를 재생하는 재생장치(예 : PC, 모바일 단말)와 별도의 모바일 단말 간의 연동을 지원함으로써 보다 확장되고 새로운 형태의 컨텐츠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증강현실 서비스 환경을 제공하고자 한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ugmented reality service environment that can provide a more expanded and new type of content information by supporting the interworking between a playback device (eg, PC, mobile terminal) and a separate mobile terminal for playing augmented reality content. I would like to.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목적은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가 기 설정된 증강현실 구현 기능 수행에 따른 증강현실 컨텐츠를 출력하는 증강현실 서비스를 제공하며, 상기 증강현실 서비스에 대한 연동을 위해 단말장치가 연결된 경우,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가 상기 단말장치로 상기 증강현실 서비스에 대응되는 특정 컨텐츠를 제공하고, 상기 단말장치가 상기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컨텐츠에 따른 컨텐츠 정보를 출력하는 증강 현실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여, 증강현실 서비스를 제공하는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와 모바일 단말 간의 연동 기능을 지원하여 모바일 단말에서 증강현실 서비스에 대응되는 컨텐츠 정보를 출력/표시할 수 있고 모바일 단말에서의 조작을 통해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를 조작/정보제공 함으로써, 증강현실 서비스를 제공함에 있어서 보다 확장되고 새로운 형태의 컨텐츠 정보를 모바일 단말을 통해 제공하고 조작 범위를 확장하는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circumstance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ugmented reality service for outputting augmented reality content according to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reproduction device performs a predetermined augmented reality implementation function, When a terminal device is connected for interworking with an augmented reality service,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playback device provides specific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augmented reality service to the terminal device, and the terminal device is provided from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playback device. By providing a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ugmented reality service for outputting content information according to content, by supporting an interworking function between an augmented reality content playback device providing an augmented reality service and a mobile terminal, conten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n augmented reality service in a mobile terminal Can be displayed / displayed on the mobile terminal By operating / providing augmented reality content playback apparatus through manipulation, in providing augmented reality service, a more expanded and new type of content information is provided through a mobile terminal and an operation range is expanded.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다른 목적은 외부의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와 연결되고, 상기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컨텐츠 내 상기 증강현실관련 어플리케이션이 포함된 경우 해당 증강현실관련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며, 상기 컨텐츠에 따른 컨텐츠 정보를 출력하는 단말장치 및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을 제공하여, 증강현실 서비스를 제공하는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와 모바일 단말 간의 연동 기능을 지원하여 모바일 단말에서 증강현실 서비스에 대응되는 컨텐츠 정보를 출력/표시할 수 있는 환경을 지원하는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circumstances, and another object to be achiev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an external augmented reality content playback device,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application in the content provided from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playback device is If it is included, the augmented reality-related application is installed, and the terminal device and the terminal device for outputting the content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content providing a method of operation of the terminal device,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playback device providing an augmented reality service and interworking function between the mobile terminal It is to support the environment to output / display the conten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augmented reality service in the 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다른 목적은 기 설정된 증강현실 구현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증강현실 서비스에 대한 연동을 위해 단말장치가 연결된 경우, 상기 증강현실 구현 기능 수행에 따른 증강현실 컨텐츠를 출력하는 증강현실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1제어동작 및 상기 증강현실 서비스에 대응되는 특정 컨텐츠를 연결된 상기 단말장치로 제공하는 제2제어동작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제어동작을 수행하는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 및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의 동작 방법을 제공하여, 증강현실 서비스를 제공하는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와 모바일 단말 간의 연동 기능을 지원하여 모바일 단말에서 증강현실 서비스에 대응되는 컨텐츠 정보를 출력/표시할 수 있는 환경을 지원하는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in view of the above circumstances, and another object to be achiev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erform a preset augmented reality implementation function, and when the terminal device is connected to the augmented reality service, the augmented reality At least one of a first control operation for providing an augmented reality service for outputting augmented reality content and a second control operation for providing a specific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augmented reality service to the connected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an implementation function. By providing an augmented reality content playback device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playback device to perform the operation, by supporting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playback device providing augmented reality service and the mobile terminal interworking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augmented reality service in the mobile terminal It is to support an environment that can display / display content informatio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따른 증강 현실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연결된 외부의 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컨텐츠에 따른 컨텐츠 정보를 출력하는 단말장치; 및 기 설정된 증강현실 구현 기능 수행에 따른 증강현실 컨텐츠를 출력하는 증강현실 서비스를 제공하며, 상기 증강현실 서비스에 대한 연동을 위해 단말장치가 연결된 경우 상기 단말장치로 상기 증강현실 서비스에 대응되는 특정 컨텐츠를 제공하는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를 포함한다.An augmented reality service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terminal device for outputting the content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content provided from the connected external device; And augmented reality service outputting an augmented reality content according to a preset augmented reality implementation function, and when a terminal device is connected for interworking with the augmented reality service, specific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augmented reality service to the terminal device. It includes an augmented reality content playback device to provid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따른 단말장치는, 외부의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와의 연결을 지원하는 연결지원부; 특정 증강현실관련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는 설치기능부; 및 상기 연결지원부를 통해 상기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컨텐츠에 따른 컨텐츠 정보를 출력하며, 상기 컨텐츠 내 상기 증강현실관련 어플리케이션이 포함된 경우 해당 증강현실관련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도록 상기 설치기능부를 제어하는 연동제어부를 포함한다.Terminal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Connection support for supporting the connection with the external augmented reality content playback device; Installation function unit for installing a specific augmented reality-related applications; And outputting content information according to content provided from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playback device through the connection support unit, and controlling the installation function to install the augmented reality related application when the augmented reality related application is included in the content. It includes an interlock control unit.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동제어부는, 상기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컨텐츠에 특정 증강현실컨텐츠정보가 포함된 경우 상기 증강현실관련 어플리케이션을 구동시켜 이를 통해 상기 증강현실컨텐츠정보에 따른 증강현실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according to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information may be generated by driving the augmented reality related application when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information is included in the content provided from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playback device. You can output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동제어부는, 상기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로부터 상기 증강현실 컨텐츠에 대한 조작정보가 제공되면, 상기 조작정보를 토대로 상기 증강현실 컨텐츠 또는 상기 증강현실 컨텐츠 내에 렌더링된 가상객체를 변경시켜 출력할 수 있다.Preferably, when the operation information for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is provided from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playback device, the linkage control unit changes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or a virtual object rendered in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based on the operation information. You can print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동제어부는, 사용자에 의한 조작에 따른 조작정보를 상기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로 제공할 수 있다.Preferably, the interlocking controller may provide oper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an operation by a user to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playback devic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3 관점에 따른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는, 기 설정된 증강현실 구현 기능 수행에 증강현실 컨텐츠를 출력부로 출력하는 증강현실 서비스를 제공하는 증강현실서비스제어부; 및 상기 증강현실 서비스에 대한 연동을 위해 단말장치가 연결된 경우, 상기 증강현실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상기 증강현실서비스제어부를 제어하는 제1제어동작 및 상기 증강현실 서비스에 대응되는 특정 컨텐츠를 연결된 상기 단말장치로 제공하는 제2제어동작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제어동작을 수행하는 연동제어부를 포함한다.An augmented reality content playback device according to a thir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n augmented reality service control unit for providing an augmented reality service for outputting augmented reality content to the output unit to perform a preset augmented reality implementation function; And a first control operation of controlling the augmented reality service control unit to provide the augmented reality service and a specific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augmented reality service when the terminal device is connected for interworking with the augmented reality service. It includes an interlocking control unit for performing at least one control operation of the second control operation to provide.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동제어부는, 상기 증강현실서비스제어부에서 상기 증강현실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상기 증강현실 구현 기능이 수행되면, 연결된 단말장치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여 연결된 단말장치가 존재하는 경우 해당 단말장치와의 연동 여부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제1제어동작 또는 상기 제2제어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Preferably, the interlocking control unit, if the augmented reality implementation function is performed to provide the augmented reality service in the augmented reality service control unit, and if there is a terminal device connected to check whether there is a connected terminal device, the corresponding terminal device The first control operation or the second control operation may be performed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of whether to interwork with the.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동제어부는, 상기 단말장치와의 연동 여부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증강현실 서비스 연동이 선택된 경우, 상기 단말장치와의 동기설정 상태를 확인하여 정상적인 동기설정 상태인 경우 상기 제2제어동작을 수행하고 비정상적인 비 정상적인 동기설정 상태인 경우 상기 단말장치로 재 동기설정을 유도할 수 있다.Preferably, the linkage control unit, when augmented reality service linkage is selected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of whether or not the linkage with the terminal device, checks the synchronization setting state with the terminal device when the normal synchronization setting state; In the case of performing a control operation 2 and in an abnormal abnormal synchronization setting state, resynchronization setting may be induced to the terminal device.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동제어부는, 상기 연결된 단말장치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여 연결된 단말장치가 존재하지 않으면, 연동기능 이용상태로 설정된 경우 연결 가능한 단말장치를 검색하여 이에 따른 단말리스트를 제공하고,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해당 단말장치와의 기 설정된 연결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Preferably, the interlocking control unit checks whether the connected terminal device exists and, if there is no connected terminal device, searches for a terminal device that can be connected when the linking function is used and provides a terminal list accordingly. A preset connection operation with the corresponding terminal device selected by the terminal device may be performed.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동제어부는, 상기 증강현실 서비스에 대응하여, 촬영되는 인쇄서적에 대한 표지이미지 및 서적내용정보 및 서적부가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서적관련정보와, 상기 인쇄서적 내 적어도 하나의 특정 페이지에 대한 페이지이미지 및 페이지내용정보 및 페이지부가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페이지관련정보와, 상기 증강현실 서비스에 따라 출력되는 상기 증강현실 컨텐츠에 대한 증강현실컨텐츠정보와, 상기 증강현실 컨텐츠 내 렌더링되는 가상객체에 대응하는 가상객체관련정보와, 특정 증강현실관련 어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컨텐츠를 상기 단말장치로 제공할 수 있다.Preferably, the linkage control unit, corresponding to the augmented reality service, the book-related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a cover image, book content information and book additional information about the printed book to be photographed, and at least in the printed book Page-related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a page image, page content information, and page additional information of one specific page, augmented reality content information of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output according to the augmented reality service, and the augmentation The content including at least one of virtual object related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virtual object rendered in the real content and a specific augmented reality related application may be provided to the terminal device.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동제어부는, 상기 증강현실 서비스에 대응하여 입력되는 사용자에 의한 조작에 따른 조작정보를 상기 단말장치로 제공할 수 있다.Preferably, the linkage control unit may provide operation information to the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an operation input by the user corresponding to the augmented reality service.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동제어부는,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조작정보가 제공되면, 상기 조작정보를 토대로 상기 증강현실 컨텐츠 또는 상기 증강현실 컨텐츠 내에 렌더링된 가상객체를 변경시켜 출력하도록 상기 증강현실서비스제어부를 제어하거나 또는 상기 조작정보에 따른 정보화면을 상기 출력부에 출력할 수 있다.Preferably, the linkage control unit controls the augmented reality service control unit to change and output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or a virtual object rendered in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based on the operation information when the operation information is provided from the terminal device. Or output the information screen according to the operation information to the output unit.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4 관점에 따른 증강 현실 서비스 제공 방법은,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가 기 설정된 증강현실 구현 기능 수행에 따른 증강현실 컨텐츠를 출력하는 증강현실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증강현실 서비스에 대한 연동을 위해 단말장치가 연결된 경우,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가 상기 단말장치로 상기 증강현실 서비스에 대응되는 특정 컨텐츠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장치가 상기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컨텐츠에 따른 컨텐츠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 method for providing augmented reality service according to a four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comprises the steps of: providing an augmented reality service for outputting augmented reality content according to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reproduction function performed by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playback device; Providing a specific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augmented reality service by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playback device when the terminal device is connected to the augmented reality service for interworking; And outputting, by the terminal device, content information according to content provided from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playback devic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5 관점에 따른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은, 외부의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와 연결되는 연결 지원단계; 상기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컨텐츠 내 상기 증강현실관련 어플리케이션이 포함된 경우 해당 증강현실관련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는 어플리케이션 설치단계; 및 상기 컨텐츠에 따른 컨텐츠 정보를 출력하는 컨텐츠 출력단계를 포함한다.A method of operating a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a fif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comprises: a connection supporting step connected to an external augmented reality content playback device; An application installation step of installing the augmented reality related application when the augmented reality related application is included in the content provided from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playback device; And a content output step of outputting content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content.

바람직하게는, 상기 컨텐츠 출력단계는, 상기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컨텐츠에 특정 증강현실컨텐츠정보가 포함된 경우, 상기 증강현실관련 어플리케이션을 구동시켜 이를 통해 상기 증강현실컨텐츠정보에 따른 증강현실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Preferably, the content output step, when the content provided from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playback device includes a specific augmented reality content information, by driving the augmented reality-related application through which the augmented according to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information Real content can be output.

바람직하게는, 상기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로부터 상기 증강현실 컨텐츠에 대한 조작정보가 제공되면, 상기 조작정보를 토대로 상기 증강현실 컨텐츠 또는 상기 증강현실 컨텐츠 내에 렌더링된 가상객체를 변경시켜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Preferably, when operation information on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is provided from the apparatus for reproducing augmented reality content, changing and outputting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or a virtual object rendered in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based on the manipulation information. It may include.

바람직하게는, 사용자에 의한 조작에 따른 조작정보를 상기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Preferably,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providing oper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a manipulation by a user to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playback devic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6 관점에 따른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의 동작 방법은, 기 설정된 증강현실 구현 기능을 수행하는 증강현실 기능 수행단계; 및 상기 증강현실 서비스에 대한 연동을 위해 단말장치가 연결된 경우, 상기 증강현실 구현 기능 수행에 따른 증강현실 컨텐츠를 출력하는 증강현실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1제어동작 및 상기 증강현실 서비스에 대응되는 특정 컨텐츠를 상기 연결된 단말장치로 제공하는 제2제어동작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제어동작을 수행하는 연동 제어단계를 포함한다.Operation method of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playback device according to a six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performing augmented reality function performing a preset augmented reality implementation function; And a first control operation for providing an augmented reality service for outputting an augmented reality content according to the execution of the augmented reality implementation function when the terminal device is connected to the augmented reality service in connection with the augmented reality service. And an interlocking control step of performing at least one control operation among the second control operations provided to the connected terminal device.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동 제어단계는, 상기 기 설정된 증강현실 구현 기능 수행되면, 연결된 단말장치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여 연결된 단말장치가 존재하는 경우 해당 단말장치와의 연동 여부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제1제어동작 또는 상기 제2제어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Preferably, the interlocking control step, when the preset augmented reality implementation function is performed, if there is a connected terminal device to determine whether there is a connected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of whether or not interworking with the corresponding terminal device The first control operation or the second control operation may be performed.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동 제어단계는, 상기 단말장치와의 연동 여부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증강현실 서비스 연동이 선택된 경우, 상기 단말장치와의 동기설정 상태를 확인하여 정상적인 동기설정 상태인 경우 상기 제2제어동작을 수행하고 비정상적인 비 정상적인 동기설정 상태인 경우 상기 단말장치로 재 동기설정을 유도할 수 있다.Preferably, in the interlocking control step, when augmented reality service interworking is selected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of interworking with the terminal device, checking a synchronization setting state with the terminal device and in a normal synchronization setting state. When performing the second control operation and in an abnormal abnormal synchronization setting state, resynchronization setting may be induced to the terminal device.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동 제어단계는, 상기 연결된 단말장치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여 연결된 단말장치가 존재하지 않으면, 연동기능 이용상태로 설정된 경우 연결 가능한 단말장치를 검색하여 이에 따른 단말리스트를 제공하고,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해당 단말장치와의 기 설정된 연결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Preferably, in the interlocking control step, if the connected terminal device does not exist by checking the existence of the connected terminal device, the terminal device may search for a connectable terminal device and provide a terminal list accordingly when it is set to the use of the interworking function. The preset connection operation with the terminal device selected by the user may be performed.

바람직하게는, 상기 증강현실 서비스에 대응되는 컨텐츠는, 상기 증강현실 서비스에 대응하여, 촬영된 인쇄서적에 대한 표지이미지 및 서적내용정보 및 서적부가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서적관련정보와, 상기 인쇄서적 내 적어도 하나의 특정 페이지에 대한 페이지이미지 및 페이지내용정보 및 페이지부가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페이지관련정보와, 상기 증강현실 서비스에 따라 출력되는 상기 증강현실 컨텐츠에 대한 증강현실컨텐츠정보와, 상기 증강현실 컨텐츠 내 렌더링되는 가상객체에 대응하는 가상객체관련정보와, 특정 증강현실관련 어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잇다.Preferably, th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augmented reality service, corresponding to the augmented reality service, book-related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a cover image, book content information and book additional information for the photographed printed book, Augmented reality content for the page-related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a page image, page content information and page additional information for at least one specific page in the printed book and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output according to the augmented reality service Information, the virtual object related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virtual object rendered in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and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specific augmented reality related application.

바람직하게는, 상기 증강현실 서비스에 대응하여 입력되는 사용자에 의한 조작에 따른 조작정보를 상기 단말장치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Preferably,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providing oper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an operation by a user input corresponding to the augmented reality service to the terminal device.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조작정보가 제공되면, 상기 조작정보를 토대로 상기 증강현실 컨텐츠 또는 상기 증강현실 컨텐츠 내에 렌더링된 가상객체를 변경시켜 출력하도록 상기 증강현실 구현기능 수행을 제어하거나 또는 상기 조작정보에 따른 정보화면을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Preferably, when the operation information is provided from the terminal device, the execution of the augmented reality implementation function to control or output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or the virtual object rendered in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based on the operation information or control the operation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outputting an information screen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이에, 본 발명의 증강 현실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의하면, 증강현실 서비스를 제공하는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와 이동성을 갖는 단말장치 간의 연동 기능을 지원하여 단말장치에서도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에서 제공되는 증강현실 서비스에 대응되는 다양한 컨텐츠 정보를 출력/표시할 수 있고 단말장치에서의 조작을 통해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를 조작/정보제공 함으로써, 증강현실 서비스를 제공함에 있어서 보다 확장되고 새로운 형태의 컨텐츠 정보를 이동성의 별도 단말장치를 통해 제공하고 조작 범위를 확장할 수 있다.Accordingly, according to the augmented reality service providing system and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playback apparatus provided in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playback device by supporting the interworking function between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playback device for providing augmented reality service and the terminal device having mobility Various conten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reality service can be output / displayed, and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playback device can be operated / informed through the operation on the terminal device, thereby providing augmented reality service to expand and provide a new type of content information. It can be provided through a separate terminal device of mobility and expands the operation range.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증강 현실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증강 현실 서비스 제공 방법의 제어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n augmented reality service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of a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of an apparatus for reproducing augmented reality conten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flow of a method for providing augmented reality ser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operating a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operating an augmented reality content playback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증강 현실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augmented reality service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증강 현실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연결된 외부의 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컨텐츠에 따른 컨텐츠 정보를 출력하는 단말장치(100)와, 기 설정된 증강현실 구현 기능 수행에 따른 증강현실 컨텐츠를 출력하는 증강현실 서비스를 제공하며, 상기 증강현실 서비스에 대한 연동을 위해 단말장치(100)가 연결된 경우 단말장치(100)로 상기 증강현실 서비스에 대응되는 특정 컨텐츠를 제공하는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20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1, the augmented reality service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erminal device 100 that outputs content information according to content provided from a connected external device, and a preset augmented reality implementation function. Augmented reality service that provides augmented reality services for outputting augmented reality content, and provides a specific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augmented reality service to the terminal device 100 when the terminal device 100 is connected to link to the augmented reality service And a content playback device 200.

여기서,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200)는, 다양한 방식의 증강현실 구현 기능 수행이 가능하며, 예를 들면 외부로부터 혹은 내부 저장된 광고컨텐츠를 재생함에 있어서 기 설정된 증강현실 구현 기능을 수행하여 증강현실 반영된 증강현실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고, 또는 특정 인쇄서적을 촬영한 촬영영상을 기반으로 기 설정된 증강현실 구현 기능을 수행하여 증강현실 반영된 증강현실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Here,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reproducing apparatus 200 can perform a variety of augmented reality implementation function, for example, augmented reality is reflected by performing a preset augmented reality implementation function in playing the advertising content stored from the outside or internally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may be output or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may be output by performing a preset augmented reality implementation function based on a photographed image of a specific print book.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특정 인쇄서적을 촬영한 촬영영상을 기반으로 기 설정된 증강현실 구현 기능을 수행하는 예를 언급하여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i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n example of performing a preset augmented reality implementation function based on a photographed image photographing a specific printed book.

즉,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200)는, 특정 촬영구역(1)에 위치하는 인쇄서적(10)을 촬영한 촬영영상을 분석하여 분석 결과에 대응하는 기 설정된 증강현실 구현 기능 수행에 따라 상기 촬영영상에 적용한 증강현실 컨텐츠를 출력하는 증강현실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That is,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playback apparatus 200 analyzes the photographed image of the print book 10 located in the specific photographing zone 1 and performs the preset augmented reality implementation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analysis result. An augmented reality service for outputting augmented reality content applied to the image can be provided.

인쇄서적(10)은, 텍스트 및/또는 그림이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페이지로 이루어진 오프라인 도서이다. 이러한 인쇄서적(10)은 페이지에 적어도 하나의 증강 현실용의 마커(marker; 10a)를 포함할 수 있다.The printed book 10 is an offline book consisting of at least one page containing text and / or pictures. Such a printed book 10 may include at least one marker 10a for augmented reality on a page.

여기서, 인쇄서적(10)은, 사용자에 의해 특정 페이지가 펼쳐진 채로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200)에 의해 촬영되는 특정 촬영구역(1)에 놓이게 될 것이다. 그리고, 인쇄서적(1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인쇄서적(10)이 무엇인지를 나타내는 서적식별정보 또는 해당 페이지가 무엇인지를 나타내는 페이지식별정보 또는 특정 가상객체(예 : 3D의 그래픽 모델)를 특정 위치에 렌더링(rendering)하여 증강 표시하도록 하는 증강식별정보에 대응하는 마커(10a)를 갖는 페이지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printed book 10 will be placed in the specific photographing zone 1 photographed by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playback device 200 with the specific page unfolded by the user. As shown in FIG. 1, the printed book 10 may include book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dicating what the print book 10 is or pag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dicating what the page is or a specific virtual object (eg, 3D). It may include a page having a marker (10a) corresponding to the augment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render (rendered) to a specific position to augmented display.

물론,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200)에서 다양한 마커프리(marker free) 또는 마커리스(marker-less) 기반의 증강현실 서비스를 제공한다면, 인쇄서적(10)은 별도의 마커(10a)를 페이지에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Of course, if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playback device 200 provides a variety of marker free (marker-free) or marker-less (augmented reality) service, the print book 10 is a separate marker (10a) on the page May not be included.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200)는, 특정 촬영구역(1)에 위치하는 인쇄서적(10)을 촬영한 촬영영상을 분석하여 분석 결과에 대응하는 기 설정된 증강현실 구현기능 수행에 따라 상기 촬영영상에 적용한 증강현실 컨텐츠를 출력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증강현실 서비스를 제공한다.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reproducing apparatus 200 analyzes a photographed image of a print book 10 located in a specific photographing zone 1 and performs a preset augmented reality implementation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analysis result. The augmented reality service is provided to the user by outputting the applied augmented reality content.

이에,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200)는, 특정 촬영구역(1)에 위치한 인쇄서적(10)의 펼쳐진 페이지를 촬영한 촬영영상을 분석하여, 분석 결과 마커가 존재하지 않으면 촬영된 실시간 촬영영상을 가상객체 증강 없이 그대로 처리하여 출력하고, 분석 결과 마커(예 : 10a)가 존재하면 해당 마커(예 : 10a)에 대응하여 기 설정된 증강현실 구현기능(예 : 3D의 그래픽 모델 렌더링)을 수행하여 촬영된 실시간 촬영영상에 가상객체(예 : 3D의 그래픽 모델)를 증강하여 출력함으로써, 인쇄서적(10)을 촬영한 촬영영상을 기반으로 증강현실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playback apparatus 200 analyzes a photographed image of the unfolded page of the printed book 10 located in the specific photographing zone 1, and analyzes the photographed real-time photographed image if there is no marker as a result of the analysis. Process the output as it is without augmenting the virtual object, and if there is a marker (eg 10a) as a result of analysis, shoot by performing a preset augmented reality implementation function (eg 3D graphic model rendering)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marker (eg 10a). By augmenting and outputting a virtual object (eg, a 3D graphic model) to the real-time photographed image, an augmented reality service may be provided based on a photographed image of the print book 10.

한편, 전술에서는 인쇄서적(10)에 마커(10a)가 포함되어 마커 인식을 통해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200)가 증강현실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지만 이는 일 실시예 일 뿐이다.Meanwhile, in the above description, although the marker 10a is included in the printed book 10, the AR content reproducing apparatus 200 provides augmented reality service through marker recognition, but this is only an example.

즉, 인쇄서적(10)에 마커(10a)가 포함되지 않더라도,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200)에서는 다양한 마커프리(marker free) 또는 마커리스(marker-less) 기반의 기 설정된 증강현실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도 물론 가능할 것이다. That is, even if the marker 10a is not included in the printed book 10, the AR content reproducing apparatus 200 provides a preset AR service based on various marker free or markerless methods. Of course it would be possible.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인쇄서적(10)에 마커(10a)가 포함되어 마커 인식을 통해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200)가 증강현실 서비스를 제공하는 실시예로 설명하도록 하겠다.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marker 10a is included in the printed book 10 so that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reproducing apparatus 200 provides an augmented reality service through marker recognition.

한편,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200)는, 증강현실 구현기능 수행 시, 또는 증강현실 구현기능 수행에 따라 증강현실 컨텐츠를 출력하는 증강현실 서비스 제공 시, 증강현실 서비스에 대한 연동을 위해 단말장치(100)가 연결된 상태인 경우 단말장치(100)로 금번 증강현실 서비스에 대응되는 특정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ugmented reality content playback device 200, when performing the augmented reality implementation function, or when providing augmented reality service to output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in accordance with the implementation of the augmented reality implementation function, the terminal device for interworking with the augmented reality service ( When 100 is connected, the terminal device 100 may provide specific content corresponding to this augmented reality service.

이러한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200)는, 증강현실 구현기능을 내장하여 증강현실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는 콘솔(Console)장치로서, 구체적으로는 PC장치와, 스마트폰장치 또는 PDA장치와 같은 모바일 장치일 수 있다.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playback device 200 is a console device that can support augmented reality services by embedding augmented reality implementation, specifically, a PC device, a mobile device such as a smartphone device or a PDA device. Can be.

단말장치(100)는, 증강현실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즉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200)와 연결되어,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200)로부터 제공되는 컨텐츠에 따른 컨텐츠 정보를 출력하여 표시할 수 있다.The terminal device 100 may be connected to an apparatus for providing an augmented reality service, that is,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playback device 200, and may output and display content information according to content provided from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playback device 200. .

이러한 단말장치(100)는, 이동전화단말 또는 스마트폰 또는 PDA장치와 같은 모바일 단말일 수 있다.The terminal device 100 may be a mobile phone terminal or a mobile terminal such as a smart phone or a PDA device.

이에, 예를 들면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200)에서 인쇄서적(10)의 펼쳐진 페이지를 촬영함에 따른 증강현실 컨텐츠(예 : 촬영영상 + 가상객체)를 출력하는 증강현실 서비스를 제공하는 동안,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200)로부터 제공된 컨텐츠(예 : 페이지관련정보)를 토대로 단말장치(100)에서는 인쇄서적(10)의 해당 페이지에 대한 페이지이미지 및 페이지내용정보 및 페이지부가정보 등이 표시될 수 있다.Thus, for example, while augmented reality content playback device 200 provides an augmented reality service that outputs augmented reality content (eg, a photographed image + a virtual object) according to photographing the unfolded page of the printed book 10, Based on the contents (eg, page related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real content playback device 200, the terminal device 100 may display page images, page content information, page additional information, and the like for the corresponding page of the print book 10. have.

또는 예를 들면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200)에서는 증강현실 컨텐츠(예 : 촬영영상 + 가상객체)를 출력하는 증강현실 서비스를 제공하는 동안,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200)로부터 제공된 컨텐츠 즉 인쇄서적(10)의 펼쳐진 페이지를 촬영함에 따른 증강현실 컨텐츠(예 : 촬영영상 + 가상객체)에 대한 증강현실컨텐츠정보를 토대로 단말장치(100)에서는 증강현실 컨텐츠(예 : 촬영영상 + 가상객체)가 표시될 수 있다.Alternatively, for example, while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playback device 200 provides an augmented reality service that outputs augmented reality content (eg, a photographed image + a virtual object), the content provided from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playback device 200, that is, a printed book. Based on augmented reality content information of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eg, photographed image + virtual object) according to photographing the unfolded page of (10),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eg, photographed image + virtual object) is displayed on the terminal device 100. Can be.

또는 예를 들면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200)에서는 증강현실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지만, 대신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200)로부터 제공된 컨텐츠 즉 인쇄서적(10)의 펼쳐진 페이지를 촬영함에 따른 증강현실 컨텐츠(예 : 촬영영상 + 가상객체)에 대한 증강현실컨텐츠정보를 토대로 단말장치(100)에서는 증강현실 컨텐츠(예 : 촬영영상 + 가상객체)가 표시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playback device 200 does not provide an augmented reality service, but instead augmented reality content by taking the content provided from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playback device 200, that is, an unfolded page of the print book 10 ( For example,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eg, the photographed image + the virtual object) may be displayed on the terminal device 100 based on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information about the photographed image + the virtual object.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100)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terminal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2.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100)는, 외부의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200)와의 연결을 지원하는 연결지원부(110)와, 특정 증강현실관련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는 설치기능부(120)와, 연결지원부(110)를 통해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200)로부터 제공되는 컨텐츠에 따른 컨텐츠 정보를 출력하며, 상기 컨텐츠 내 상기 증강현실관련 어플리케이션이 포함된 경우 해당 증강현실관련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도록 설치기능부(120)를 제어하는 연동제어부(130)를 포함한다. Terminal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ion support unit 110 for supporting the connection with the external augmented reality content playback device 200, and the installation function unit 120 for installing a specific augmented reality-related applications, connection Outputs the content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content provided from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playback device 200 through the support unit 110, the installation function unit to install the augmented reality related application when the augmented reality related application in the content is included ( And a linkage control unit 130 for controlling 120.

연결지원부(110)는, 외부의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200)와의 연결을 지원하는 기능부로서, 유선 접속을 통한 연결을 지원할 수 있고 또는 블루투스, Wi-Fi 등과 같은 무선 통신(예 :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한 연결을 지원할 수도 있다.The connection support unit 110 is a function unit that supports a connection with an external augmented reality content playback device 200, and can support a connection through a wired connection or wireless communication such as Bluetooth, Wi-Fi (for exampl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설치기능부(120)는, 제공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자동 설치하는 기능을 갖는 인스톨러(Installer)를 포함할 수 있고, 연동제어부(130)에 의해 제공되는 특정 증강현실관련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할 수 있다.The installation function unit 120 may include an installer having a function of automatically installing the provided application, and may install a specific augmented reality related application provided by the interlocking controller 130.

연동제어부(130)는, 연결지원부(110)를 통해 연결된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200)와의 연동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기능부이다.The interlocking control unit 130 is a function unit for controlling overall interlocking with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playback device 200 connected through the connection support unit 110.

이에, 연동제어부(130)는, 연결지원부(110)를 통해 연결된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200)와 기 설정된 방식을 통해 동기설정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200)와의 동기화를 지원할 것이다.Accordingly, the interlocking controller 130 may perform synchronization setting operation through the preset method with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playback device 200 connected through the connection support unit 110 to support synchronization with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playback device 200. will be.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연동제어부(130)는, 연결지원부(110)를 통해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200)로부터 제공되는 컨텐츠를 수신하고, 수신된 컨텐츠에 따른 컨텐츠 정보를 출력한다.In more detail, the interworking controller 130 receives the content provided from the AR content playback device 200 through the connection support unit 110 and outputs content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received content.

그리고, 연동제어부(130)는,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200)로부터 제공된 상기 컨텐츠 내 특정 증강현실관련 어플리케이션이 포함된 경우 해당 증강현실관련 어플리케이션을 설치기능부(120)로 제공하여 설치기능부(120)로 하여금 증강현실관련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n, the interlocking control unit 130, when the specific augmented reality-related applications in the content provided from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playback device 200 includes the corresponding augmented reality related application to the installation function unit 120 to install the installation function unit ( 120 may control to install the AR application.

이에, 연동제어부(130)는,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200)로부터 제공된 컨텐츠에 따른 컨텐츠 정보를 출력함에 있어서,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200)로부터 제공된 컨텐츠에 특정 증강현실컨텐츠정보가 포함된 경우 설치기능부(120)에 의해 기 설치된 증강현실관련 어플리케이션을 구동시켜 이를 통해 증강현실컨텐츠정보에 따른 증강현실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interlocking controller 130 outputs content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content provided from the AR content playback device 200, when the content provided from the AR content playback device 200 includes specific AR content information. The augmented reality related application may be driven by the installation function unit 120 to output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according to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information.

즉, 연동제어부(130)는,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200)로부터 제공된 컨텐츠에 인쇄서적(10)에 대한 표지이미지 및 서적내용정보(예 : 작가관련정보, 출판관련정보, 줄거리관련정보 등) 및 서적부가정보(예 : 마커정보, 서평정보, 독자층관련정보, 관련타도서정보 등)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서적관련정보가 포함된 경우, 해당 서적관련정보에 따른 컨텐츠 정보화면을 디스플레이 화면 및/또는 스피커에 출력할 수 있다.That is, the interlock control unit 130, the cover image and the book content information (for example, author related information, publication related information, plot related information, etc.) for the print book 10 in the content provided from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playback device 200; And book additional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book additional information (eg, marker information, book review information, readership information, related other book information, etc.), a content information screen according to the book related information is displayed. And / or to a speaker.

또한, 연동제어부(130)는,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200)로부터 제공된 컨텐츠에 인쇄서적(10) 내 적어도 하나의 특정 페이지에 대한 페이지이미지 및 페이지내용정보(예 : 페이지줄거리정보 등) 및 페이지부가정보(예 : 페이지 마커정보, 단어관련정보 등)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페이지관련정보가 포함된 경우, 해당 페이지관련정보에 따른 컨텐츠 정보화면을 디스플레이 화면 및/또는 스피커에 출력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terlocking controller 130 may include page images and page content information (eg, page plot information, etc.) and pages for at least one specific page in the print book 10 in the content provided from the AR content playback device 200. When page related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page marker information and word related information) is included, a content information screen according to the page related information may be output to a display screen and / or a speaker. .

또한, 연동제어부(130)는,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200)로부터 제공된 컨텐츠에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200)에서 제공하는 증강현실 서비스에 따라 출력되는 증강현실 컨텐츠에 대한 증강현실컨텐츠정보가 포함된 경우 즉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200)에서의 증강현실 구현기능 수행에 따른 증강현실 컨텐츠(예 : 촬영영상 + 가상객체)에 대한 증강현실컨텐츠정보가 포함된 경우, 해당 증강현실컨텐츠정보에 따른 컨텐츠 정보화면 즉 증강현실 컨텐츠(예 : 촬영영상 + 가상객체)를 디스플레이 화면 및/또는 스피커에 출력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terlocking control unit 130 includes augmented reality content information for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output according to the augmented reality service provided by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playback device 200 to the content provided from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playback device 200. In other words, if augmented reality content information for augmented reality content (eg, photographed image + virtual object) according to augmented reality implementation function in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playback device 200 is included, according to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information A content information screen, that is, augmented reality content (eg, a photographed image + a virtual object) may be output to a display screen and / or a speaker.

또한, 연동제어부(130)는,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200)로부터 제공된 컨텐츠에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200)에서 제공하는 증강현실 서비스에 따라 출력되는 증강현실 컨텐츠 내 렌더링되는 가상객체에 대응하는 가상객체관련정보가 포함된 경우, 해당 가상객체관련정보에 따른 컨텐츠 정보화면 즉 가상객체를 디스플레이 화면 및/또는 스피커에 출력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terlocking controller 130 may correspond to the virtual object rendered in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output according to the augmented reality service provided by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playback device 200 to the content provided from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playback device 200. When the virtual object related information is included, the content information screen according to the virtual object related information, that is, the virtual object may be output to the display screen and / or the speaker.

그리고, 연동제어부(130)는,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200)로부터 증강현실 컨텐츠에 대한 조작정보가 제공되면, 상기 조작정보를 토대로 증강현실 컨텐츠 또는 상기 증강현실 컨텐츠 내에 렌더링된 가상객체를 변경시켜 출력할 수 있다.And, when the operation information on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is provided from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playback device 200, the interlocking controller 130 changes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or a virtual object rendered in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based on the operation information. You can print

즉, 연동제어부(130)는,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200)로부터 제공된 컨텐츠를 토대로 증강현실 컨텐츠(예 : 촬영영상 + 가상객체) 또는 가상객체를 디스플레이 화면 및/또는 스피커에 출력하는 중,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200)로부터 이에 대응하는 조작정보가 제공되면 제공된 조작정보를 토대로 증강현실 컨텐츠(예 : 촬영영상 + 가상객체) 또는 가상객체를 이동시키거나 또는 회전시키거나 또는 확대시키거나 또는 축소시켜 변경/출력할 수 있다.That is, the interlocking controller 130 outputs an augmented reality content (eg, a photographed image + a virtual object) or a virtual object on a display screen and / or a speaker based on the content provided from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playback device 200. When the corresponding operation information is provided from the reality content reproducing apparatus 200,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for example, photographed image + virtual object) or the virtual object is moved, rotated, enlarged or reduced based on the provided operation information. Can be changed / output.

한편, 연동제어부(130)는, 사용자에 의한 조작에 따른 조작정보를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200)로 제공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interlocking controller 130 may provide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playback device 200 with the oper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operation by the user.

예를 들면, 연동제어부(130)는,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200)로부터 제공된 컨텐츠에 따른 컨텐츠 정보 즉 증강현실 컨텐츠 또는 가상객체를 디스플레이 화면 및/또는 스피커에 출력하는 중, 증강현실 컨텐츠 또는 가상객체를 이동시키거나 회전시키거나 축소시키거나 확대시키기 위해 기 설정된 조작기능이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면, 이에 대응하는 조작정보를 생성하여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200)로 제공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interlocking controller 130 is outputting content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content provided from the AR content playback device 200, that is, AR content or virtual object, to the display screen and / or the speaker, while augmented reality content or virtual When a preset manipulation function is input by a user to move, rotate, reduce, or enlarge an object, the manipul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object may be generated and provided to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playback apparatus 200.

또는, 연동제어부(130)는,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200)에 표시/출력하기 위한 입력정보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면, 이에 대응하는 조작정보(입력정보 포함)를 생성하여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200)로 제공할 수 있다.Alternatively, when the user inputs input information for display / output to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playback device 200 by the user, the interlocking controller 130 generates corresponding operation information (including input information) to generate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playback device. 200 may be provided.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200)의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apparatus for reproducing augmented reality content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3.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200)는, 기 설정된 증강현실 구현 기능 수행에 따른 증강현실 컨텐츠를 출력부(220)로 출력하는 증강현실 서비스를 제공하는 증강현실서비스제어부(230)와, 상기 증강현실 서비스에 대한 연동을 위해 단말장치(100)가 연결된 경우, 상기 증강현실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증강현실서비스제어부(230)를 제어하는 제1제어동작 및 상기 증강현실 서비스에 대응되는 특정 컨텐츠를 연결된 단말장치(100)로 제공하는 제2제어동작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제어동작을 수행하는 연동제어부(240)와, 연결지원부(250)를 포함한다.Augmented reality content playback device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ugmented reality service control unit 230 for providing an augmented reality service for outputting augmented reality content to the output unit 220 in accordance with a predetermined augmented reality implementation function performance; When the terminal device 100 is connected for interworking with the augmented reality service, the first control operation for controlling the augmented reality service control unit 230 to provide the augmented reality service and specific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augmented reality service. It includes an interlocking control unit 240 for performing at least one control operation of the second control operation provided to the connected terminal device 100, and the connection support unit 250.

여기서,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200)는, 다양한 방식의 증강현실 구현 기능 수행이 가능하며, 예를 들면 외부로부터 혹은 내부 저장된 광고컨텐츠를 재생함에 있어서 기 설정된 증강현실 구현 기능을 수행하여 증강현실 반영된 증강현실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고, 또는 특정 인쇄서적을 촬영한 촬영영상을 기반으로 기 설정된 증강현실 구현 기능을 수행하여 증강현실 반영된 증강현실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Here,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reproducing apparatus 200 can perform a variety of augmented reality implementation function, for example, augmented reality is reflected by performing a preset augmented reality implementation function in playing the advertising content stored from the outside or internally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may be output or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may be output by performing a preset augmented reality implementation function based on a photographed image of a specific print book.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특정 인쇄서적을 촬영한 촬영영상을 기반으로 기 설정된 증강현실 구현 기능을 수행하는 예를 언급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이 경우,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2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촬영부(210)를 포함할 것이다.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i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n example of performing a preset augmented reality implementation function based on a photographed image photographing a specific printed book. In this case, the AR content reproducing apparatus 200 may include a photographing unit 210 as shown in FIG. 3.

연결지원부(250)는, 외부의 단말장치(100)와의 연결을 지원하는 기능부로서, 유선 접속을 통한 연결을 지원할 수 있고 또는 블루투스, Wi-Fi 등과 같은 무선 통신(예 :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한 연결을 지원할 수도 있다.The connection support unit 250 is a function unit for supporting the connection with the external terminal device 100, and may support connection through a wired connection or perform wireless communication (for exampl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such as Bluetooth or Wi-Fi. It can also support connections.

촬영부(210)는, 지정된 특정 촬영구역(1)을 촬영하여 해당 촬영구역(1)에 위치한 인쇄서적(10)의 페이지를 촬영한 촬영영상을 증강현실서비스제어부(230) 및/또는 연동제어부(240)로 제공한다. 이러한 촬영부(210)는, 카메라 및 캠(Cam) 및 스캐너 등과 같이 영상을 촬영/인식하여 촬영영상을 제공할 수 있는 형태의 기능장치이면 가능할 것이다.The photographing unit 210 photographs the designated specific photographing zone 1 and captures a photographed image of a page of the print book 10 located in the photographing zone 1 by the augmented reality service control unit 230 and / or the interlocking controller. Provided at 240. The photographing unit 210 may be a functional device that can provide a photographed image by capturing / recognizing an image such as a camera, a cam, and a scanner.

증강현실서비스제어부(230)는, 촬영부(210)를 통해 촬영된 촬영영상을 분석하여 분석 결과에 대응하는 기 설정된 증강현실 구현 기능 수행에 따라 상기 촬영영상에 적용한 증강현실 컨텐츠를 출력부(220)로 출력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증강현실 서비스를 제공한다.The augmented reality service control unit 230 outputs an augmented reality content applied to the photographed image in accordance with a predetermined augmented reality implementation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analysis result by analyzing the photographed image taken by the photographing unit 210 output unit 220 ) To provide augmented reality service to the user.

예를 들어, 증강현실서비스제어부(230)는, 촬영부(210)를 통해 촬영된 촬영영상을 분석하여 촬영영상 내의 마커를 인지한 인지 결과 즉, 촬영영상 내에 마커가 존재하는지 여부 및 존재하는 경우 어떤 마커가 존재하는지에 대응하는 분석 결과를 확인한다.For example, the augmented reality service control unit 230 analyzes the photographed image photographed by the photographing unit 210 to recognize a marker in the photographed image, that is, whether or not the marker exists in the photographed image. Check the analysis results corresponding to which markers are present.

그리고 증강현실서비스제어부(230)는 전술의 분석 결과에 근거하여, 분석 결과에 대응하는 기 설정된 증강현실 구현기능 수행에 따라 촬영영상에 적용한 증강현실 컨텐츠를 출력부(220)를 통해 출력한다. 여기서, 출력부(220)는 디스플레이부 및 스피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augmented reality service control unit 230 outputs, through the output unit 220, augmented reality content applied to the captured image according to the execution of a preset augmented reality implementation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analysis result, based on the analysis result described above. Here, the output unit 22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display unit and a speaker.

이에 예를 들면, 증강현실서비스제어부(230)는, 촬영영상 내에 마커가 존재하지 않으면 촬영된 실시간 촬영영상 즉 인쇄서적(10)의 펼쳐진 페이지를 촬영한 촬영영상을 가상객체 증강 없이 그대로 처리하여 출력부(22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인쇄서적(10)의 펼쳐진 페이지를 촬영한 촬영영상의 컨텐츠가 증강현실 컨텐츠에 대응된다.For example, the augmented reality service control unit 230, if the marker does not exist in the photographed image, the real-time photographed image taken, that is, the photographed image of the unfolded page of the print book 10 is processed without outputting the virtual object as it is output It can be output through the unit 220. In this case, the content of the captured image photographing the unfolded page of the print book 10 corresponds to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또한, 증강현실서비스제어부(230)는, 촬영영상 내에 마커(예 : 10a)가 존재하면 해당 마커(예 : 10a)에 대응하여 기 설정된 증강현실 구현기능(예 : 3D의 그래픽 모델 렌더링)을 수행함으로써, 촬영된 실시간 촬영영상 즉 인쇄서적(10)의 펼쳐진 페이지에 가상객체(예 : 3D의 그래픽 모델)를 증강하여 출력부(22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인쇄서적(10)의 펼쳐진 페이지에 가상객체(예 : 3D의 그래픽 모델)를 렌더링한 컨텐츠가 증강현실 컨텐츠에 대응된다.In addition, the augmented reality service control unit 230, if there is a marker (eg 10a) in the captured image, and performs a preset augmented reality implementation function (eg 3D graphic model rendering) corresponding to the marker (eg 10a). As a result, a virtual object (for example, a graphic model of 3D) may be augmented and output through the output unit 220. In this case, content rendered by a virtual object (eg, a 3D graphic model) on the open page of the print book 10 corresponds to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이처럼, 증강현실서비스제어부(230)는, 인쇄서적(10)을 촬영한 촬영영상의 마커를 기반으로 일반적인 증강현실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As such, the augmented reality service control unit 230 may provide a general augmented reality service based on a marker of a photographed image photographing the print book 10.

한편, 전술에서는 인쇄서적(10)에 마커(10a)가 포함되어 마커 인식을 통해 증강현실서비스제어부(230)가 증강현실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지만 이는 일 실시예일 뿐이다.Meanwhile, in the above description, although the marker 10a is included in the printed book 10, the augmented reality service controller 230 provides augmented reality service through marker recognition, but this is only an example.

즉, 증강현실서비스제어부(230)는, 다양한 마커프리(marker free) 또는 마커리스(marker-less) 기반의 기 설정된 증강현실 서비스 제공 기능을 구비하고, 인쇄서적(10)에 마커(10a)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에도 해당하는 다양한 마커프리(marker free) 또는 마커리스(marker-less) 기반의 증강현실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That is, the augmented reality service control unit 230 has various marker free or marker-less preset augmented reality service providing functions, and the marker 10a is printed on the printed book 10. Even if not included, various marker free or marker-less augmented reality services may be provided.

연동제어부(240)는,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200)에서 제공하는 증강현실 서비스에 대한 연동을 위해 단말장치(100)가 연결된 경우, 증강현실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증강현실서비스제어부(230)를 제어하는 제1제어동작 및 증강현실 서비스에 대응되는 특정 컨텐츠를 연결된 단말장치(100)로 제공하는 제2제어동작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제어동작을 수행한다.The interlocking control unit 240 controls the augmented reality service control unit 230 to provide an augmented reality service when the terminal device 100 is connected for interworking with the augmented reality service provided by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playback device 200. At least one of the first control operation and the second control operation of providing the specific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augmented reality service to the connected terminal device 100 is performed.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연동제어부(240)는, 촬영한 촬영영상을 토대로 증강현실서비스제어부(230)에서 증강현실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증강현실 구현 기능이 수행되면, 연결된 단말장치(100)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여 연결된 단말장치(100)가 존재하는 경우 해당 단말장치(100)와의 연동 여부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제1제어동작 또는 제2제어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In more detail, when the augmented reality implementation function is performed to provide an augmented reality service by the augmented reality service controller 230 based on the captured image, the interworking controller 240 may determine whether the connected terminal device 100 exists. If there is a terminal device 100 connected to the terminal device 100, the first control operation or the second control operation may be performed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of whether the terminal device 100 is interlocked with the corresponding terminal device 100.

즉, 연동제어부(240)는, 촬영한 촬영영상을 토대로 증강현실서비스제어부(230)에서 증강현실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증강현실 구현 기능이 수행되면, 사용자에 의해 연동기능에 대한 설정상태를 확인하여 연동기능 이용상태로 설정되지 않은 경우 제1제어동작을 수행하여 증강현실서비스제어부(230)로 하여금 증강현실 구현 기능 수행에 따른 증강현실 컨텐츠를 출력부(220)로 출력하는 증강현실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한다.That is, when the augmented reality implementation function is performed by the augmented reality service control unit 230 to provide an augmented reality service based on the captured image, the linkage controller 240 checks the setting state of the linkage function by the user. When the function is not set to use, the augmented reality service control unit 230 performs the first control operation to provide the augmented reality service outputting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according to the augmented reality implementation function to the output unit 220. .

한편, 사용자에 의해 연동기능에 대한 설정상태를 확인하여 연동기능 이용상태로 기 설정된 경우, 연동제어부(240)는, 연결된 단말장치(100)의 존재 여부를 확인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user checks the setting state of the interlocking function and is previously set to the interlocking function using state, the interlocking control unit 240 checks whether the connected terminal device 100 exists.

존재 여부 확인 결과 연결된 단말장치(100)가 존재하지 않으면, 연동제어부(240)는, 연동기능 이용상태로 설정된 경우 연결 가능한 단말장치를 검색하여 이에 따른 단말리스트를 제공하고,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해당 단말장치와의 기 설정된 연결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If the connected terminal device 100 does not exist as a result of checking whether it exists, the interworking control unit 240 searches for a connectable terminal device and provides a terminal list according to the connection function when the interworking function is used. The preset connection operation with the terminal device can be performed.

즉, 연결된 단말장치(100)가 존재하지 않으면 현재 연동기능 이용상태로 설정된 상태이므로 연동을 위한 단말장치를 연결하기 위해, 연동제어부(240)는, 연결 가능한 단말장치를 검색한다. 이 경우 연동제어부(240)는, 블루투스, Wi-Fi 등과 같은 무선 통신(예 :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통신 가능한 근접 거리 이내의 단말장치들을 검색할 수 있다.That is, if the connected terminal device 100 does not exist, it is currently set to use an interlocking function, so that the interworking control unit 240 searches for a connectable terminal device in order to connect the terminal device for interworking. In this case, the interworking controller 240 may search for terminal devices within a close range that can be communicated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for exampl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such as Bluetooth and Wi-Fi.

그리고, 연동제어부(240)는,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단말장치를 나타내는 단말리스트를 사용자에게 제시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연결을 원하는 단말장치를 선택하도록 한다. 이에, 단말리스트에서 특정 단말장치(100)가 선택되면, 연동제어부(240)는, 선택되는 해당 단말장치(100)와의 기 설정된 연결 동작을 수행하여 연결지원부(250)를 통해 단말장치(100)와 연결될 수 있다. Then, the interlocking control unit 240 presents a terminal list indicating the at least one searched terminal device to the user to allow the user to select a terminal device to be connected. Accordingly, when a specific terminal device 100 is selected in the terminal list, the interworking control unit 240 performs a preset connection operation with the selected terminal device 100 and the terminal device 100 through the connection support unit 250. It can be connected with.

한편, 존재 여부 확인 결과, 연결된 단말장치(100)가 존재하면, 연동제어부(240)는, 해당 단말장치(100)와의 연동을 실행할 것인지 여부를 선택하도록 유도하는 연동선택화면을 제시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해당 단말장치(100)와의 연동 여부를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s a result of checking whether there is a connected terminal device 100, the interlocking control unit 240, by presenting the interlocking selection screen to induce the user to select whether or not to execute the interworking with the corresponding terminal device 100 to the user It may be selected whether or not interworking with the terminal device (100).

이에 연동제어부(240)는, 단말장치(100)와의 연동 여부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연동이 선택되지 않으면 제1제어동작을 수행하여 증강현실서비스제어부(230)로 하여금 증강현실 구현 기능 수행에 따른 증강현실 컨텐츠를 출력부(220)로 출력하는 증강현실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한다.Accordingly, the interlocking controller 240 performs the first control operation when the interlocking is not selected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of the interworking with the terminal device 100, thereby causing the augmented reality service control unit 230 to perform the augmented reality implementation function. To provide an augmented reality service for outputting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according to the output unit 220.

한편, 연동제어부(240)는, 단말장치(100)와의 연동 여부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연동이 선택되면 단말장치(100)와의 동기설정 상태를 확인하여 정상적인 동기설정 상태인 경우 제2제어동작을 수행하고 비정상적인 비 정상적인 동기설정 상태인 경우 단말장치(100)로 재 동기설정을 유도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interlocking control unit 240,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of the interworking with the terminal device 100, if the interlocking is selected, and confirms the synchronization setting state with the terminal device 100, the second control when the normal synchronization setting state When performing the operation and in an abnormal abnormal synchronization setting state, the terminal device 100 may induce resynchronization setting.

즉, 연동제어부(240)는, 단말장치(100)와의 연동 여부에 대하여 사용자에 의해 연동이 선택되면, 현재 연결된 단말장치(100)와의 동기설정 상태를 확인하여 정상적인 동기설정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That is, when the interlocking control unit 240 selects the interlocking with the terminal device 100 by the user, the interlocking control unit 240 checks the synchronization setting state with the currently connected terminal device 100 and determines whether it is a normal synchronization setting state. .

이에, 동기설정 상태를 확인한 결과 비 정상적인 동기설정 상태라고 판단되면, 연동제어부(240)는, 단말장치(100)로 재 동기설정을 유도함으로써, 전술한 단말장치(100)의 연동제어부(130)와 기 설정된 방식을 통해 동기설정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단말장치(100)와의 동기화를 지원할 것이다.Accordingly,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synchronization setting state is abnormal, the interlocking control unit 240 induces resynchronization setting to the terminal device 100, thereby providing the interlocking control unit 130 of the aforementioned terminal device 100. By performing the synchronization setting operation in a preset manner with and will support the synchronization with the terminal device (100).

한편, 동기설정 상태를 확인한 결과 정상적인 동기설정 상태라고 판단되면, 연동제어부(240)는, 전술의 제2제어동작을 수행하여 증강현실 서비스에 대응되는 특정 컨텐츠를 단말장치(100)로 제공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synchronization setting state is a normal synchronization setting state, the interlocking control unit 240 may provide the terminal device 100 with specific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augmented reality service by performing the above-described second control operation. have.

즉, 연동제어부(240)는, 증강현실서비스제어부(230)에서의 증강현실 구현기능 수행에 따른 증강현실 서비스에 대응하여, 인쇄서적(1)에 대한 표지이미지 및 서적내용정보 및 서적부가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서적관련정보와, 인쇄서적(1) 내 적어도 하나의 특정 페이지에 대한 페이지이미지 및 페이지내용정보 및 페이지부가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페이지관련정보와, 증강현실 서비스에 따라 출력되는 증강현실 컨텐츠에 대한 증강현실컨텐츠정보와, 증강현실 컨텐츠 내 렌더링되는 가상객체에 대응하는 가상객체관련정보와, 특정 증강현실관련 어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컨텐츠를 단말장치(100)로 제공할 수 있다.That is, the interlocking control unit 240 corresponds to the augmented reality service according to the augmented reality implementation function performed in the augmented reality service control unit 230, among the cover image and the book content information and the book additional information of the print book (1). Book-related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page-related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page images, page content information, and page additional information of at least one specific page in the printed book 1, and augmented reality service. The terminal device 100 includes augmented reality content information of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output according to the output, virtual object related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virtual object rendered in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and content including at least one of a specific augmented reality related application. Can be provided as

예를 들면, 연동제어부(240)는, 인쇄서적(1)을 촬영한 촬영영상을 토대로 증강현실서비스제어부(230)에서 증강현실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수행되는 증강현실 구현 기능 수행에 따라, 인쇄서적(10)에 대한 표지이미지 및 서적내용정보(예 : 작가관련정보, 출판관련정보, 줄거리관련정보 등) 및 서적부가정보(예 : 마커정보, 서평정보, 독자층관련정보, 관련타도서정보 등)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서적관련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를 단말장치(100)로 제공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interlocking control unit 240, according to the performance of the augmented reality implementation function performed to provide augmented reality service in the augmented reality service control unit 230 based on the photographed image of the print book (1), the print book ( 10) cover image and book contents information (eg author related information, publication related information, plot related information, etc.) and additional book information (eg marker information, book review information, readership information, related other book information, etc.) Content including book related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may be provided to the terminal device 100.

또한, 연동제어부(240)는, 인쇄서적(1)을 촬영한 촬영영상을 토대로 증강현실서비스제어부(230)에서 증강현실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수행되는 증강현실 구현 기능 수행에 따라, 인쇄서적(10) 내 적어도 하나의 특정 페이지에 대한 페이지이미지 및 페이지내용정보(예 : 페이지줄거리정보 등) 및 페이지부가정보(예 : 페이지 마커정보, 단어관련정보 등)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페이지관련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를 단말장치(100)로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terlocking control unit 240, according to the performance of the augmented reality implementation function performed to provide the augmented reality service in the augmented reality service control unit 230 based on the photographed image of the print book 1, the print book (10) Includes page related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page image and page content information (eg page story information) and page additional information (eg page marker information, word related information, etc.) of at least one specific page The content may be provided to the terminal device 100.

또한, 연동제어부(240)는, 인쇄서적(1)을 촬영한 촬영영상을 토대로 증강현실서비스제어부(230)에서 증강현실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수행되는 증강현실 구현 기능 수행에 따라, 증강현실 컨텐츠(예 : 촬영영상 + 가상객체)에 대한 증강현실컨텐츠정보 및/또는 특정 증강현실관련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컨텐츠를 단말장치(100)로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terlocking control unit 240, augmented reality content function according to the augmented reality implementation function performed to provide an augmented reality service in the augmented reality service control unit 230 based on the photographed image photographing the print book (1) (eg, : Content including augmented reality content information and / or a specific augmented reality related application for the photographed image + virtual object may be provided to the terminal device (100).

또한, 연동제어부(130)는, 인쇄서적(1)을 촬영한 촬영영상을 토대로 증강현실서비스제어부(230)에서 증강현실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수행되는 증강현실 구현 기능 수행에 따라, 증강현실 컨텐츠 내 렌더링되는 가상객체에 대응하는 가상객체관련정보 및/또는 특정 증강현실관련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컨텐츠를 단말장치(100)로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terlocking controller 130 renders in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according to the augmented reality implementation function performed to provide an augmented reality service by the augmented reality service control unit 230 based on the photographed image of the print book 1. The terminal apparatus 100 may provide the terminal apparatus 100 with content including virtual object related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virtual object and / or a specific augmented reality related application.

여기서, 특정 증강현실관련 어플리케이션은, 이후 단말장치(100)에 설치되어 증강현실컨텐츠정보 및/또는 가상객체관련정보를 토대로 해당하는 증강현실 컨텐츠(예 : 촬영영상 + 가상객체)를 출력하거나 및/또는 가상객체를 출력하기 위해 설계된 어플리케이션일 것이다.Here, the specific augmented reality-related application, and then installed in the terminal device 100 to output the corresponding augmented reality content (eg, photographed image + virtual object) based on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information and / or virtual object related information and / Or it might be an application designed to output virtual objects.

한편, 연동제어부(130)는, 증강현실 서비스에 대응되는 특정 컨텐츠를 단말장치(100)로 제공하는 제2제어동작을 수행함과 더불어, 해당 증강현실 컨텐츠를 출력부(220)로 출력하는 증강현실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증강현실서비스제어부(230)를 제어하는 제1제어동작을 함께 수행할 수도 있다. Meanwhile, the interlocking controller 130 performs a second control operation for providing the terminal device 100 with specific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augmented reality service, and outputs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to the output unit 220. The first control operation for controlling the augmented reality service control unit 230 to provide a service may be performed together.

그리고, 연동제어부(240)는, 증강현실 서비스에 대응하여 입력되는 사용자에 의한 조작에 따른 조작정보를 단말장치(100)로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terworking controller 240 may provide the terminal device 100 with oper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an operation input by the user corresponding to the augmented reality service.

즉, 연동제어부(240)는, 인쇄서적(1)이 사용자에 의해 이동되거나 기울여지거나 회전되거나 촬영부(210)로부터 멀어지거나 가까워짐에 따른 조작정보(예 : 실제좌표 및/또는 가상좌표 변경정보), 특정 조작기능으로 설정된 마커인식에 따른 조작정보(예 : 마커대응 제어정보), 기 설정된 사용자 손동작 인식에 따른 조작정보(예 : 손동작대응 제어정보) 등을 단말장치(100)로 제공할 수 있다.That is, the interlocking control unit 240, the operation information (for example, the actual coordinate and / or virtual coordinate change information) as the print book 1 is moved, tilted, rotated or moved away from the photographing unit 210 by the user The terminal 100 may provide operation information (eg, marker response control information) according to marker recognition set as a specific manipulation function, operation information (eg, gesture response control information) according to preset user hand gesture recognition, and the like. .

이에, 전술과 같이 단말장치(100)는,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200)로부터 제공된 컨텐츠를 토대로 증강현실 컨텐츠(예 : 촬영영상 + 가상객체) 또는 가상객체를 디스플레이 화면 및/또는 스피커에 출력하는 중,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200)로부터 이에 대응하여 제공된 조작정보를 토대로 증강현실 컨텐츠(예 : 촬영영상 + 가상객체) 또는 가상객체를 이동시키거나 또는 회전시키거나 또는 확대시키거나 또는 축소시켜 변경/출력할 수 있다.Thus, as described above, the terminal device 100 outputs an augmented reality content (eg, a photographed image + a virtual object) or a virtual object to a display screen and / or a speaker based on the content provided from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playback device 200. Among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playback apparatus 200,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e.g., photographed image + virtual object) or virtual object is moved or rotated, enlarged or reduced based on the operation information provided correspondingly. Can output

한편, 연동제어부(240)는, 단말장치(100)로부터 조작정보가 제공되면, 상기 조작정보를 토대로 상기 증강현실 컨텐츠 또는 상기 증강현실 컨텐츠 내에 렌더링된 가상객체를 변경시켜 출력하도록 증강현실서비스제어부(230)를 제어하거나 또는 상기 조작정보에 따른 정보화면을 출력부(220)에 출력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operation information is provided from the terminal device 100, the interlocking control unit 240, the augmented reality service control unit to change and output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or a virtual object rendered in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based on the operation information ( 230 or output the information screen according to the operation information to the output unit 220.

예를 들면, 단말장치(100)로부터 증강현실 컨텐츠 또는 가상객체를 이동시키거나 회전시키거나 축소시키거나 확대시키기 위한 조작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For example, operation information for moving, rotating, reducing or enlarging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or the virtual object may be provided from the terminal device 100.

이 경우 연동제어부(240)는, 조작정보를 토대로 증강현실서비스제어부(230)에서 제공하고 있는 증강현실 서비스에 따른 증강현실 컨텐츠(예 : 촬영영상 + 가상객체) 또는 가상객체를 이동시키거나 또는 회전시키거나 또는 축소시키거나 또는 확대시켜 변경/출력하도록 증강현실서비스제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interlocking controller 240 moves or rotates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eg, a photographed image + a virtual object) or a virtual object according to the augmented reality service provided by the augmented reality service control unit 230 based on the operation information. The augmented reality service control unit 230 may be controlled to change, output, reduce, enlarge, or enlarge.

또는, 단말장치(100)로부터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200)에 표시/출력하기 위한 입력정보를 포함하는 조작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Alternatively, operation information including input information for displaying / outputting from the terminal apparatus 100 to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playback apparatus 200 may be provided.

이 경우 연동제어부(240)는, 조작정보를 토대로 조작정보에 포함된 입력정보에 따른 정보화면을 출력부(220)에 출력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interlocking control unit 240 may output the information screen according to the input information included in the operation information to the output unit 220 based on the operation information.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증강 현실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증강현실 서비스를 제공하는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와 이동성을 갖는 단말장치 간의 연동 기능을 지원하여 단말장치에서도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에서 제공되는 증강현실 서비스에 대응되는 다양한 컨텐츠 정보를 출력/표시할 수 있도록 하고 단말장치에서의 조작을 통해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를 조작/정보제공 함으로써, 증강현실 서비스를 제공함에 있어서 보다 확장되고 새로운 형태의 컨텐츠 정보를 이동성의 별도 단말장치를 통해 제공하고 조작 범위를 확장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augmented reality service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ugmented reality content playback apparatus in a terminal device by supporting an interworking function between an augmented reality content playback device for providing an augmented reality service and a terminal device having mobility. It is possible to output / display various contents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augmented reality service, and to operate / inform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playback device through an operation on a terminal device, thereby providing augmented reality service in a more expanded and new form. Content information can be provided through a separate terminal device of mobility and the operation range can be extended.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증강 현실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여기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전술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구성은 해당 참조번호를 언급하여 설명하겠다. Hereinafter, a method of providing augmented reality ser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 to 6. Here,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components shown in FIGS. 1 to 3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corresponding reference numerals.

먼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증강 현실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First, the augmented reality service provid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200)에서 제공되는 증강현실 서비스에 대한 연동을 위해 단말장치(100) 및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200)가 상호 연결된다(S10).The terminal device 100 and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playback device 20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for interworking with the augmented reality service provided by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playback device 200 (S10).

그리고,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200)는 특정 촬영구역(1)에 위치하는 인쇄서적(10)을 촬영하고(S20), 촬영한 촬영영상을 분석하여 분석 결과에 대응하는 기 설정된 증강현실 구현기능을 수행한다(S30). 이에,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200)는 증강현실 구현기능 수행에 따라 촬영영상에 적용한 증강현실 컨텐츠를 출력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증강현실 서비스를 제공한다(S40).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reproducing apparatus 200 captures a print book 10 located in a specific photographing zone 1 (S20), analyzes the photographed photographed image, and implements a preset augmented reality corresponding to the analysis result. Perform (S30). Thus,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playback device 200 provides an augmented reality service to the user by outputting augmented reality content applied to the captured image in accordance with the performance of the augmented reality implementation function (S40).

이에,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200)는, 특정 촬영구역(1)에 위치한 인쇄서적(10)의 펼쳐진 페이지를 촬영한 촬영영상을 분석하여, 분석 결과 마커가 존재하지 않으면 촬영된 실시간 촬영영상을 가상객체 증강 없이 그대로 처리하여 출력하고, 분석 결과 마커(예 : 10a)가 존재하면 해당 마커(예 : 10a)에 대응하여 기 설정된 증강현실 구현기능(예 : 3D의 그래픽 모델 렌더링)을 수행하여 촬영된 실시간 촬영영상에 가상객체(예 : 3D의 그래픽 모델)를 증강하여 출력함으로써, 인쇄서적(10)을 촬영한 촬영영상을 기반으로 증강현실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playback apparatus 200 analyzes a photographed image of the unfolded page of the printed book 10 located in the specific photographing zone 1, and analyzes the photographed real-time photographed image if there is no marker as a result of the analysis. Process the output as it is without augmenting the virtual object, and if there is a marker (eg 10a) as a result of analysis, shoot by performing a preset augmented reality implementation function (eg 3D graphic model rendering)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marker (eg 10a). By augmenting and outputting a virtual object (eg, a 3D graphic model) to the real-time photographed image, an augmented reality service may be provided based on a photographed image of the print book 10.

한편, 전술에서는 인쇄서적(10)에 마커(10a)가 포함되어 마커 인식을 통해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200)가 증강현실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지만 이는 일 실시예 일 뿐이다.Meanwhile, in the above description, although the marker 10a is included in the printed book 10, the AR content reproducing apparatus 200 provides augmented reality service through marker recognition, but this is only an example.

즉, 인쇄서적(10)에 마커(10a)가 포함되지 않더라도,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200)에서는 다양한 마커프리(marker free) 또는 마커리스(marker-less) 기반의 기 설정된 증강현실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도 물론 가능할 것이다. That is, even if the marker 10a is not included in the printed book 10, the AR content reproducing apparatus 200 provides a preset AR service based on various marker free or markerless methods. Of course it would be possible.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인쇄서적(10)에 마커(10a)가 포함되어 마커 인식을 통해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200)가 증강현실 서비스를 제공하는 실시예로 설명하도록 하겠다.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marker 10a is included in the printed book 10 so that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reproducing apparatus 200 provides an augmented reality service through marker recognition.

한편,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200)는, 증강현실 구현기능 수행 시, 또는 증강현실 구현기능 수행에 따라 증강현실 컨텐츠를 출력하는 증강현실 서비스 제공 시, 증강현실 서비스에 대한 연동을 위해 단말장치(100)가 연결된 상태인 경우 단말장치(100)로 금번 증강현실 서비스에 대응되는 특정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S50).On the other hand, augmented reality content playback device 200, when performing the augmented reality implementation function, or when providing augmented reality service to output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in accordance with the implementation of the augmented reality implementation function, the terminal device for interworking with the augmented reality service ( If 100 is connected, the terminal device 100 may provide specific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augmented reality service (S50).

이러한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200)는, 증강현실 구현기능을 내장하여 증강현실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는 콘솔(Console)장치로서, 구체적으로는 PC장치 또는 스마트폰장치 또는 PDA장치와 같은 모바일 장치일 수 있다.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playback device 200, a console (Console) device that can support augmented reality services built-in augmented reality implementation function, specifically may be a mobile device such as a PC device or a smart phone device or PDA device have.

단말장치(100)는, 증강현실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즉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200)로부터 제공되는 컨텐츠에 따른 컨텐츠 정보를 출력하여 표시할 수 있다(S60).The terminal device 100 may output and display conten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provided from the device providing the augmented reality service, that is,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playback device 200 (S60).

이러한 단말장치(100)는, 이동전화단말 또는 스마트폰 또는 PDA장치와 같은 모바일 단말일 수 있다.The terminal device 100 may be a mobile phone terminal or a mobile terminal such as a smart phone or a PDA device.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operating a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5.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외부의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200)와 연결된다(S100). 이때,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유선 접속을 통한 연결을 지원하여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200)와 연결될 수 있고 또는 블루투스, Wi-Fi 등과 같은 무선 통신(예 :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한 연결을 지원하여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200)와 연결될 수도 있다.The operation method of the terminal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external augmented reality content playback device 200 (S100). In this case, the operation method of the terminal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nected to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playback device 200 by supporting a connection through a wired connection or wireless communication such as Bluetooth, Wi-Fi, etc. Wireless communication) may be connected to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playback device 200 by supporting a connection through.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연결된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200)로부터 제공되는 컨텐츠를 수신하고(S110), 수신된 컨텐츠에 따른 컨텐츠 정보를 출력한다(S130).In addition, the operation method of the terminal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the content provided from the connected augmented reality content playback device 200 (S110), and outputs the content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received content (S130).

이때,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200)로부터 제공된 상기 컨텐츠 내 특정 증강현실관련 어플리케이션이 포함된 경우 해당 증강현실관련 어플리케이션을 내장된 설치기능부(120)에 따른 설치 기능을 통해 자동 설치할 수 있다(S120).At this time, the operation method of the terminal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f a specific augmented reality-related application in the content provided from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playback device 200 includes a built-in installation function unit corresponding to the augmented reality related application ( 120 can be automatically installed through the installation function according to (S120).

이에,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200)로부터 제공된 컨텐츠에 따른 컨텐츠 정보를 출력하는 S130단계에 있어서,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200)로부터 제공된 컨텐츠에 특정 증강현실컨텐츠정보가 포함된 경우 설치기능부(120)에 의해 기 설치된 증강현실관련 어플리케이션을 구동시켜 이를 통해 증강현실컨텐츠정보에 따른 증강현실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Thus, the operation method of the terminal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step S130 of outputting the content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content provided from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playback device 200, the content provided from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playback device 200 When the specific augmented reality content information is included in the augmented reality related application by the installation function unit 120 is installed by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can be output through this through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information.

즉,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200)로부터 제공된 컨텐츠에 인쇄서적(10)에 대한 표지이미지 및 서적내용정보(예 : 작가관련정보, 출판관련정보, 줄거리관련정보 등) 및 서적부가정보(예 : 마커정보, 서평정보, 독자층관련정보, 관련타도서정보 등)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서적관련정보가 포함된 경우, 해당 서적관련정보에 따른 컨텐츠 정보화면을 디스플레이 화면 및/또는 스피커에 출력할 수 있다.That is, the operating method of the terminal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ver image and book content information (eg, author related information, publication related information) for the print book 10 in the content provided from the AR content playback device 200. If book-related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information, story-related information, etc., and book supplementary information (e.g. marker information, book review information, readership information, related other book information, etc.) is included, The corresponding content information screen may be output to the display screen and / or the speaker.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200)로부터 제공된 컨텐츠에 인쇄서적(10) 내 적어도 하나의 특정 페이지에 대한 페이지이미지 및 페이지내용정보(예 : 페이지줄거리정보 등) 및 페이지부가정보(예 : 페이지 마커정보, 단어관련정보 등)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페이지관련정보가 포함된 경우, 해당 페이지관련정보에 따른 컨텐츠 정보화면을 디스플레이 화면 및/또는 스피커에 출력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operating method of the terminal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ent provided from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playback device 200, the page image and page content information (for example: at least one specific page in the print book 10) A page related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page plot information, etc.) and page additional information (eg, page marker information, word related information, etc.) Or you can output to the speaker.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200)로부터 제공된 컨텐츠에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200)에서 제공하는 증강현실 서비스에 따라 출력되는 증강현실 컨텐츠에 대한 증강현실컨텐츠정보가 포함된 경우 즉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200)에서의 증강현실 구현기능 수행에 따른 증강현실 컨텐츠(예 : 촬영영상 + 가상객체)에 대한 증강현실컨텐츠정보가 포함된 경우, 해당 증강현실컨텐츠정보에 따른 컨텐츠 정보화면 즉 증강현실 컨텐츠(예 : 촬영영상 + 가상객체)를 디스플레이 화면 및/또는 스피커에 출력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operation method of the terminal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ent provided from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playback device 200 to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output in accordance with the augmented reality service provided by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playback device 200 When augmented reality content information is included, that is, augmented reality content information for augmented reality content (eg, photographed image + virtual object) according to the augmented reality implementation function performed in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playback device 200, A content information screen according to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information, that is, augmented reality content (eg, a photographed image + a virtual object) may be output to a display screen and / or a speaker.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200)로부터 제공된 컨텐츠에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200)에서 제공하는 증강현실 서비스에 따라 출력되는 증강현실 컨텐츠 내 렌더링되는 가상객체에 대응하는 가상객체관련정보가 포함된 경우, 해당 가상객체관련정보에 따른 컨텐츠 정보화면 즉 가상객체를 디스플레이 화면 및/또는 스피커에 출력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operation method of the terminal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in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output in accordance with the augmented reality service provided by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playback device 200 to the content provided from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playback device 200 When the virtual object related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rendered virtual object is included, the content information screen according to the virtual object related information, that is, the virtual object may be output to the display screen and / or the speaker.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200)로부터 증강현실 컨텐츠에 대한 조작정보가 제공되면(S140), 상기 조작정보를 토대로 증강현실 컨텐츠 또는 상기 증강현실 컨텐츠 내에 렌더링된 가상객체를 변경시켜 출력할 수 있다(S150).And, in the operation method of the terminal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operation information for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is provided from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playback device 200 (S140),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or the augmentation based on the operation information The virtual object rendered in the real content may be changed and output (S150).

즉,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200)로부터 제공된 컨텐츠를 토대로 증강현실 컨텐츠(예 : 촬영영상 + 가상객체) 또는 가상객체를 디스플레이 화면 및/또는 스피커에 출력하는 중,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200)로부터 이에 대응하는 조작정보가 제공되면 제공된 조작정보를 토대로 증강현실 컨텐츠(예 : 촬영영상 + 가상객체) 또는 가상객체를 이동시키거나 또는 회전시키거나 또는 확대시키거나 또는 축소시켜 변경/출력할 수 있다.That is, in the method of operating the terminal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augmented reality content (eg, a photographed image + a virtual object) or a virtual object is displayed on a display screen and / or based on the content provided from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playback device 200. While outputting to the speaker, if a corresponding operation information is provided from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playback apparatus 200,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eg, a photographed image + a virtual object) or a virtual object is moved or rotated based on the provided operation information. Can be modified, enlarged, reduced, or printed.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사용자에 의한 조작에 따른 조작정보를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200)로 제공할 수도 있다(S160).In addition, the operation method of the terminal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provide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playback device 200 with the oper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operation by the user (S160).

예를 들면,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200)로부터 제공된 컨텐츠에 따른 컨텐츠 정보 즉 증강현실 컨텐츠 또는 가상객체를 디스플레이 화면 및/또는 스피커에 출력하는 중, 증강현실 컨텐츠 또는 가상객체를 이동시키거나 회전시키거나 축소시키거나 확대시키기 위해 기 설정된 조작기능이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면, 이에 대응하는 조작정보를 생성하여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200)로 제공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operation method of the terminal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to output conten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content provided from the AR content playback device 200, that is, AR content or virtual object, to a display screen and / or a speaker. If a predetermined operation function is input by the user to move, rotate, reduce or enlarge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or the virtual object, the corresponding operation information is generated and provided to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playback device 200. can do.

또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200)에 표시/출력하기 위한 입력정보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면, 이에 대응하는 조작정보(입력정보 포함)를 생성하여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200)로 제공할 수 있다.Or, the operation method of the terminal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input information for display / output to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playback device 200 is input by the user, corresponding operation information (including input information) It can be generated and provided to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playback device 200.

이하에서는,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의 동작 방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ure 6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he operation method of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playback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200)의 동작 방법은, 기 설정된 증강현실 구현 기능을 수행한다.The operation method of the apparatus for reproducing augmented reality content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s a preset augmented reality implementation function.

예를 들면,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200)의 동작 방법은, 지정된 특정 촬영구역(1)을 촬영하여 해당 촬영구역(1)에 위치한 인쇄서적(10)을 촬영한다(S200). 즉,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200)의 동작 방법은, 특정 촬영구역(1)에 위치하는 인쇄서적(10)의 펼쳐진 페이지를 촬영할 수 있다.For example, in the method of operating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reproducing apparatus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esignated specific photographing zone 1 is photographed and the print book 10 located in the corresponding photographing zone 1 is photographed (S200). . That is, in the method of operating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playback apparatus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nfolded pages of the print book 10 located in the specific photographing zone 1 may be photographed.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200)의 동작 방법은, 촬영된 촬영영상을 분석하여 분석 결과에 대응하는 기 설정된 증강현실 구현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S210). In addition, the operation method of the apparatus for reproducing augmented reality content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analyze a photographed photographed image and perform a preset augmented reality implementation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analysis result (S210).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200)의 동작 방법은, 증강현실 서비스에 대한 연동을 위해 단말장치(100)가 연결된 경우, S210단계의 증강현실 구현 기능 수행에 따라 촬영영상에 적용한 증강현실 컨텐츠를 출력하는 증강현실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1제어동작 및 증강현실 서비스에 대응되는 특정 컨텐츠를 연결된 단말장치(100)로 제공하는 제2제어동작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제어동작을 수행한다.And, the operation method of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playback device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terminal device 100 is connected for interworking with the augmented reality service, applied to the captured image according to performing the augmented reality implementation function of step S210 At least one of a first control operation for providing an augmented reality service for outputting an augmented reality content and a second control operation for providing a specific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augmented reality service to the connected terminal device 100 are performed.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200)의 동작 방법은, S210단계에서 촬영한 촬영영상을 토대로 증강현실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증강현실 구현 기능이 수행되면, 사용자에 의해 연동기능에 대한 설정상태를 확인하여(S220), 연동기능 이용상태로 설정되지 않은 경우 제1제어동작을 수행하여 증강현실 구현 기능 수행에 따른 증강현실 컨텐츠를 출력부(220)로 출력하는 증강현실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한다(S290).In more detail, the operation method of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playback device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augmented reality implementation function is performed to provide an augmented reality service based on the photographed image taken in step S210, linked by the user Check the setting state for the function (S220), if not set to use the augmented reality service performs the first control operation to output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according to the augmented reality implementation function output to the output unit 220 To provide (S290).

한편, 사용자에 의해 연동기능에 대한 설정상태를 확인하여(S220), 연동기능 이용상태로 기 설정된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200)의 동작 방법은, 연결된 단말장치(100)의 존재 여부를 확인한다(S230).On the other hand, by checking the setting state for the interlocking function by the user (S220), if the preset state using the interlocking function, the operation method of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playback device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ed terminal device 100 Check the presence of (S230).

존재 여부 확인 결과 연결된 단말장치(100)가 존재하지 않으면,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200)의 동작 방법은, 연동기능 이용상태로 설정된 경우 연결 가능한 단말장치를 검색하여(S250) 이에 따른 단말리스트를 제공하고(S253)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해당 단말장치와의 기 설정된 연결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S257).If the connected terminal device 100 does not exist as a result of checking whether there is a presence, the operation method of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playback device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earches for a terminal device that can be connected when the connection function is set to use (S250). The terminal list may be provided (S253) and a preset connection operation with the corresponding terminal selected by the user may be performed (S257).

즉, 연결된 단말장치(100)가 존재하지 않으면 현재 연동기능 이용상태로 설정된 상태이므로 연동을 위한 단말장치를 연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200)의 동작 방법은, 연결 가능한 단말장치를 검색한다. 이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200)의 동작 방법은, 블루투스, Wi-Fi 등과 같은 무선 통신(예 :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통신 가능한 근접 거리 이내의 단말장치들을 검색할 수 있다.That is, if the connected terminal device 100 does not exist, it is currently set to use the interworking function, so that the method for operating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playback device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nected to connect the terminal device for interworking. Search for the terminal device. In this case, the method of operating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playback apparatus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search for terminal devices within a close range that can be communicated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eg, near field communication) such as Bluetooth and Wi-Fi. .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200)의 동작 방법은,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단말장치를 나타내는 단말리스트를 사용자에게 제시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연결을 원하는 단말장치를 선택하도록 한다. 이에, 단말리스트에서 특정 단말장치(100)가 선택되면,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200)의 동작 방법은, 선택되는 해당 단말장치(100)와의 기 설정된 연결 동작을 수행하여 단말장치(100)와 연결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operating method of the apparatus for reproducing augmented reality content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esents a terminal list indicating the searched at least one terminal device to the user so as to select the terminal device to which the user wants to connect. Thus, when a specific terminal device 100 is selected from the terminal list, the operation method of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playback device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inal device by performing a preset connection operation with the selected terminal device 100 It may be connected to (100).

한편, S230단계의 존재 여부 확인 결과, 연결된 단말장치(100)가 존재하면,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200)의 동작 방법은, 해당 단말장치(100)와의 연동을 실행할 것인지 여부를 선택하도록 유도하는 연동선택화면을 제시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해당 단말장치(100)와의 연동 여부를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s a result of checking whether the existence of the step S230, if there is a connected terminal device 100, the operation method of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playback device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ther to perform the interworking with the terminal device 100; By presenting an interlocking selection screen for inducing selection, the user may select whether to interwork with the corresponding terminal device 100.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200)의 동작 방법은, 단말장치(100)와의 연동 여부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S240), 연동이 선택되지 않으면 제1제어동작을 수행하여 증강현실 구현 기능 수행에 따른 증강현실 컨텐츠를 출력부(220)로 출력하는 증강현실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한다(S290).Therefore, the operation method of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playback device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of whether or not interlocking with the terminal device 100 (S240), if the linkage is not selected by performing the first control operation to enhance To provide an augmented reality service to output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to the output unit 220 in accordance with the implementation of the reality (S290).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200)의 동작 방법은, 단말장치(100)와의 연동 여부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S240), 연동이 선택되면 단말장치(100)와의 동기설정 상태를 확인하여(S260) 정상적인 동기설정 상태인 경우 제2제어동작을 수행하고(S270) 비정상적인 비 정상적인 동기설정 상태인 경우 단말장치(100)로 재 동기설정을 유도할 수 있다(S265).On the other hand, the operation method of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playback device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of whether or not interlocking with the terminal device 100 (S240), if the linkage is selected, the synchronization setting with the terminal device 100 In operation S260, the second control operation may be performed in the case of the normal synchronization setting state (S270), and resynchronization may be induced to the terminal device 100 in the abnormal synchronization setting state (S265).

즉,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200)의 동작 방법은, 단말장치(100)와의 연동 여부에 대하여 사용자에 의해 연동이 선택되면, 현재 연결된 단말장치(100)와의 동기설정 상태를 확인하여 정상적인 동기설정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260). That is, in the operating method of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playback device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f the linkage is selected by the user as to whether or not the linkage with the terminal device 100, confirm the synchronization setting state with the currently connected terminal device 100.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normal synchronization setting state (S260).

이에, 동기설정 상태를 확인한 결과 비 정상적인 동기설정 상태라고 판단되면,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200)의 동작 방법은, 단말장치(100)로 재 동기설정을 유도함으로써, 전술한 단말장치(100)와 기 설정된 방식을 통해 동기설정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단말장치(100)와의 동기화를 지원할 것이다(S265).Accordingly,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synchronization setting state is abnormal, the operation method of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playback device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duce a resynchronization setting to the terminal device 100, thereby providing the above-described terminal. The synchronization with the terminal device 100 will be supported by performing the synchronization setting operation through the preset method with the device 100 (S265).

한편, 동기설정 상태를 확인한 결과 정상적인 동기설정 상태라고 판단되면,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200)의 동작 방법은, 전술의 제2제어동작을 수행하여 증강현실 서비스에 대응되는 특정 컨텐츠를 단말장치(100)로 제공할 수 있다(S270).On the other h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synchronization setting state is a normal synchronization setting state, the operation method of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playback apparatus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performing the above-described second control operation specific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augmented reality service It may be provided to the terminal device 100 (S270).

즉,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200)의 동작 방법은, 증강현실 구현기능 수행에 따른 증강현실 서비스에 대응하여, 인쇄서적(1)에 대한 표지이미지 및 서적내용정보 및 서적부가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서적관련정보와, 인쇄서적(1) 내 적어도 하나의 특정 페이지에 대한 페이지이미지 및 페이지내용정보 및 페이지부가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페이지관련정보와, 증강현실 서비스에 따라 출력되는 증강현실 컨텐츠에 대한 증강현실컨텐츠정보와, 증강현실 컨텐츠 내 렌더링되는 가상객체에 대응하는 가상객체관련정보와, 특정 증강현실관련 어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컨텐츠를 단말장치(100)로 제공할 수 있다.That is, the operation method of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playback device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response to the augmented reality service according to the implementation of the augmented reality implementation function, the cover image and the book content information and book additional information for the print book (1) Book-related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the following, page-related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page image and page content information and page additional information on at least one specific page in the printed book 1, and augmented reality service The terminal apparatus 100 includes augmented reality content information on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outpu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virtual object related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virtual object rendered in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and content including at least one of a specific augmented reality related application. ) Can be provided.

예를 들면,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200)의 동작 방법은, 인쇄서적(1)을 촬영한 촬영영상을 토대로 증강현실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수행되는 증강현실 구현 기능 수행에 따라, 인쇄서적(10)에 대한 표지이미지 및 서적내용정보(예 : 작가관련정보, 출판관련정보, 줄거리관련정보 등) 및 서적부가정보(예 : 마커정보, 서평정보, 독자층관련정보, 관련타도서정보 등)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서적관련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를 단말장치(100)로 제공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operation method of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playback device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inting according to the augmented reality implementation function performed to provide augmented reality service based on the photographed image of the print book 1, Cover image and book contents information (e.g. author related information, publication related information, plot related information, etc.) and additional book information (e.g. marker information, book review information, readership information, related other book information, etc.) ) May provide content including book related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the terminal information to the terminal device 100.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200)의 동작 방법은, 인쇄서적(1)을 촬영한 촬영영상을 토대로 증강현실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수행되는 증강현실 구현 기능 수행에 따라, 인쇄서적(10) 내 적어도 하나의 특정 페이지에 대한 페이지이미지 및 페이지내용정보(예 : 페이지줄거리정보 등) 및 페이지부가정보(예 : 페이지 마커정보, 단어관련정보 등)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페이지관련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를 단말장치(100)로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operation method of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playback device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augmented reality implementation function performed to provide an augmented reality service based on the photographed image of the print book (1), the print book ( 10) page-related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page image and page content information (eg, page plot information, etc.) and page additional information (eg, page marker information, word-related information, etc.) for at least one specific page in the page. It may provide a content including the to the terminal device (100).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200)의 동작 방법은, 인쇄서적(1)을 촬영한 촬영영상을 토대로 증강현실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수행되는 증강현실 구현 기능 수행에 따라, 증강현실 컨텐츠(예 : 촬영영상 + 가상객체)에 대한 증강현실컨텐츠정보 및/또는 특정 증강현실관련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컨텐츠를 단말장치(100)로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operation method of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playback device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ugmented reality content function according to the implementation of the augmented reality to perform augmented reality service based on the photographed image of the print book 1, The terminal device 100 may provide augmented reality content information regarding a photographed image + a virtual object and / or content including a specific augmented reality related application.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200)의 동작 방법은, 인쇄서적(1)을 촬영한 촬영영상을 토대로 증강현실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수행되는 증강현실 구현 기능 수행에 따라, 증강현실 컨텐츠 내 렌더링되는 가상객체에 대응하는 가상객체관련정보 및/또는 특정 증강현실관련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컨텐츠를 단말장치(100)로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operation method of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playback device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ugmented reality content function according to the implementation of the augmented reality to perform augmented reality service based on the photographed image of the print book 1, The terminal apparatus 100 may provide the terminal apparatus 100 with content including virtual object related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virtual object to be rendered and / or a specific AR application.

여기서, 특정 증강현실관련 어플리케이션은, 이후 단말장치(100)에 설치되어 증강현실컨텐츠정보 및/또는 가상객체관련정보를 토대로 해당하는 증강현실 컨텐츠(예 : 촬영영상 + 가상객체)를 출력하거나 및/또는 가상객체를 출력하기 위해 설계된 어플리케이션일 것이다.Here, the specific augmented reality-related application, and then installed in the terminal device 100 to output the corresponding augmented reality content (eg, photographed image + virtual object) based on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information and / or virtual object related information and / Or it might be an application designed to output virtual objects.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200)의 동작 방법은, 증강현실 서비스에 대응하여 입력되는 사용자에 의한 조작에 따른 조작정보를 단말장치(100)로 제공할 수 있다(S280).In addition, the operation method of the apparatus for reproducing augmented reality content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provide the terminal apparatus 100 with oper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an operation input by a user corresponding to the augmented reality service (S280).

즉,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200)의 동작 방법은, 인쇄서적(1)이 사용자에 의해 이동되거나 기울여지거나 회전되거나 촬영부(210)로부터 멀어지거나 가까워짐에 따른 조작정보(예 : 실제좌표 및/또는 가상좌표 변경정보), 특정 조작기능으로 설정된 마커인식에 따른 조작정보(예 : 마커대응 제어정보), 기 설정된 사용자 손동작 인식에 따른 조작정보(예 : 손동작대응 제어정보) 등을 단말장치(100)로 제공할 수 있다.That is, the operation method of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playback device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 information (for example, as the print book 1 is moved or tilted or rotated by the user or moved away from the photographing unit 210 (for example: Actual coordinates and / or virtual coordinate change information), oper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marker recognition (e.g. marker response control information) set by a specific operation function, operation information (eg hand gesture response control information), etc. It may be provided to the terminal device (100).

이에, 전술과 같이 단말장치(100)는,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200)로부터 제공된 컨텐츠를 토대로 증강현실 컨텐츠(예 : 촬영영상 + 가상객체) 또는 가상객체를 디스플레이 화면 및/또는 스피커에 출력하는 중,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200)로부터 이에 대응하여 제공된 조작정보를 토대로 증강현실 컨텐츠(예 : 촬영영상 + 가상객체) 또는 가상객체를 이동시키거나 또는 회전시키거나 또는 확대시키거나 또는 축소시켜 변경/출력할 수 있다.Thus, as described above, the terminal device 100 outputs an augmented reality content (eg, a photographed image + a virtual object) or a virtual object to a display screen and / or a speaker based on the content provided from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playback device 200. Among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playback apparatus 200,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e.g., photographed image + virtual object) or virtual object is moved or rotated, enlarged or reduced based on the operation information provided correspondingly. Can output

한편, 전술의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200)의 동작 방법은, 증강현실 서비스에 대응되는 특정 컨텐츠를 단말장치(100)로 제공하는 S270단계와 더불어, 해당 증강현실 컨텐츠를 출력부(220)로 출력하는 증강현실 서비스를 제공하는 S290단계를 함께 병행 수행할 수도 있을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operation method of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playback device 200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providing a specific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augmented reality service to the terminal device 100, the output unit augmented reality content The step S290 of providing an augmented reality service output to 220 may be performed in parallel.

이 경우,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200)에서는 증강현실 컨텐츠(예 : 촬영영상 + 가상객체)를 출력하는 증강현실 서비스를 제공하는 동안,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200)로부터 제공된 컨텐츠 즉 인쇄서적(10)의 펼쳐진 페이지를 촬영함에 따른 증강현실 컨텐츠(예 : 촬영영상 + 가상객체)에 대한 증강현실컨텐츠정보를 토대로 단말장치(100)에서는 증강현실 컨텐츠(예 : 촬영영상 + 가상객체)가 표시될 수 있다.In this case, while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playback device 200 provides an augmented reality service that outputs augmented reality content (eg, a photographed image + a virtual object), the content provided from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playback device 200, that is, a printed book ( Based on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information for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for example, photographed image + virtual object) according to the unfolded page of 10),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for example, photographed image + virtual object) is displayed on the terminal device 100. Can be.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200)의 동작 방법은, 단말장치(100)로부터 조작정보가 제공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S300), 조작정보가 제공되면 상기 조작정보를 토대로 상기 증강현실 컨텐츠 또는 상기 증강현실 컨텐츠 내에 렌더링된 가상객체를 변경시켜 출력하도록 증강현실 구현기능 수행을 제어하거나 또는 상기 조작정보에 따른 정보화면을 출력부(220)에 출력할 수 있다(S310).And the operation method of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playback device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operation information is provided from the terminal device (100), if the operation information is provided based on the operation information augmented reality The execution of the augmented reality implementation function may be controlled to change and output the content or the virtual object rendered in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or the information screen according to the manipulation information may be output to the output unit 220 (S310).

예를 들면, 단말장치(100)로부터 증강현실 컨텐츠 또는 가상객체를 이동시키거나 회전시키거나 축소시키거나 확대시키기 위한 조작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For example, operation information for moving, rotating, reducing or enlarging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or the virtual object may be provided from the terminal device 100.

이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200)의 동작 방법은, 조작정보를 토대로 증강현실서비스제어부(230)에서 제공하고 있는 증강현실 서비스에 따른 증강현실 컨텐츠(예 : 촬영영상 + 가상객체) 또는 가상객체를 이동시키거나 또는 회전시키거나 또는 축소시키거나 또는 확대시켜 변경/출력하도록 증강현실서비스제어부(230)의 증강현실 구현기능 수행을 제어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operation method of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playback device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according to the augmented reality service provided by the augmented reality service control unit 230 based on the operation information (eg, photographed image + virtual object Or augmented reality service control unit 230 to control the performance of the augmented reality service control unit 230 to change / output by moving, rotating, reducing, or enlarging the virtual object.

또는, 단말장치(100)로부터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200)에 표시/출력하기 위한 입력정보를 포함하는 조작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Alternatively, operation information including input information for displaying / outputting from the terminal apparatus 100 to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playback apparatus 200 may be provided.

이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200)의 동작 방법은, 조작정보를 토대로 조작정보에 포함된 입력정보에 따른 정보화면을 출력부(220)에 출력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operation method of the apparatus for reproducing augmented reality content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output the information screen according to the input information included in the operation information to the output unit 220 based on the operation information.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증강 현실 서비스 제공 방법은, 증강현실 서비스를 제공하는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와 이동성을 갖는 단말장치 간의 연동 기능을 지원하여 단말장치에서도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에서 제공되는 증강현실 서비스에 대응되는 다양한 컨텐츠 정보를 출력/표시할 수 있도록 하고 단말장치에서의 조작을 통해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를 조작/정보제공 함으로써, 증강현실 서비스를 제공함에 있어서 보다 확장되고 새로운 형태의 컨텐츠 정보를 이동성의 별도 단말장치를 통해 제공하고 조작 범위를 확장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method for providing augmented reality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ugmented reality content playback device in a terminal device by supporting an interworking function between an augmented reality content playback device for providing an augmented reality service and a terminal device having mobility. It is possible to output / display various contents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augmented reality service, and to operate / inform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playback device through an operation on a terminal device, thereby providing augmented reality service in a more expanded and new form. Content information can be provided through a separate terminal device of mobility and the operation range can be extended.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또는 수정이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미친다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claimed in the following claims. Anyone skilled in the art will have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extent that various modifications or changes are possible.

증강현실 서비스를 제공하는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와 이동성을 갖는 단말장치 간의 연동 기능을 지원하여 단말장치에서도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에서 제공되는 증강현실 서비스에 대응되는 다양한 컨텐츠 정보를 출력/표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증강현실 서비스를 제공함에 있어서 서적 및 증강현실 컨텐츠에 대한 보다 확장되고 새로운 형태의 컨텐츠 정보를 이동성의 별도 단말장치를 통해 제공하는 증강 현실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적용할 경우, 증강현실 서비스의 다양성 확장 및 사용자 만족도 측면에서 매우 큰 진보를 가져올 수 있으며, 적용되는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 및 단말장치 및 서비스 솔루션의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다.Supports the interworking function between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playback device that provides augmented reality service and the terminal device having mobility so that the terminal device can output / display various contents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augmented reality service provided by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playback device. Thus, in the case of applying the augmented reality service providing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ugmented reality service to provide a more expanded and new type of content information for books and augmented reality content through a separate terminal device of mobility, In terms of diversity expansion and user satisfaction, it is possible to make a great progress, and there is not only sufficient possibility of marketing or sales of the applied augmented reality content playback device and terminal device and service solution, but also it can be clearly implemented in reality.

10 : 인쇄서적
100 : 단말장치
200 :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
10: printed book
100: terminal device
200: augmented reality content playback device

Claims (24)

연결된 외부의 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컨텐츠에 따른 컨텐츠 정보를 출력하는 단말장치; 및
기 설정된 증강현실 구현 기능 수행에 따른 증강현실 컨텐츠를 출력하는 증강현실 서비스를 제공하며, 상기 증강현실 서비스에 대한 연동을 위해 단말장치가 연결된 경우 상기 단말장치로 상기 증강현실 서비스에 대응되는 특정 컨텐츠를 제공하는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 현실 서비스 제공 시스템.
A terminal device for outputting content information according to content provided from a connected external device; And
Providing an augmented reality service for outputting augmented reality content in accordance with a predetermined augmented reality implementation function, when the terminal device is connected to the augmented reality service linked to the specific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augmented reality service to the terminal device; Augmented reality content providing device comprising augmented reality content playback device providing.
외부의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와의 연결을 지원하는 연결지원부;
특정 증강현실관련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는 설치기능부; 및
상기 연결지원부를 통해 상기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컨텐츠에 따른 컨텐츠 정보를 출력하며, 상기 컨텐츠 내 상기 증강현실관련 어플리케이션이 포함된 경우 해당 증강현실관련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도록 상기 설치기능부를 제어하는 연동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Connection support unit for supporting the connection with the external augmented reality content playback device;
Installation function unit for installing a specific augmented reality-related applications; And
Interworking to output the content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content provided from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playback device through the connection support unit, and to control the installation function to install the augmented reality-related application when the augmented reality-related applications in the content is included. Terminal device comprising a control unit.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제어부는,
상기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컨텐츠에 특정 증강현실컨텐츠정보가 포함된 경우 상기 증강현실관련 어플리케이션을 구동시켜 이를 통해 상기 증강현실컨텐츠정보에 따른 증강현실 컨텐츠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The method of claim 2,
The interlocking control unit,
The termina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information is included in the content provided from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playback device to drive the augmented reality-related application to output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according to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information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제어부는,
상기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로부터 상기 증강현실 컨텐츠에 대한 조작정보가 제공되면, 상기 조작정보를 토대로 상기 증강현실 컨텐츠 또는 상기 증강현실 컨텐츠 내에 렌더링된 가상객체를 변경시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The method of claim 2,
The interlocking control unit,
And when the operation information on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is provided from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reproducing apparatus, changing and outputting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or a virtual object rendered in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based on the operation information.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제어부는,
사용자에 의한 조작에 따른 조작정보를 상기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to 4,
The interlocking control unit,
Termina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providing the oper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operation by the user to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playback device.
기 설정된 증강현실 구현 기능 수행에 증강현실 컨텐츠를 출력부로 출력하는 증강현실 서비스를 제공하는 증강현실서비스제어부; 및
상기 증강현실 서비스에 대한 연동을 위해 단말장치가 연결된 경우, 상기 증강현실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상기 증강현실서비스제어부를 제어하는 제1제어동작 및 상기 증강현실 서비스에 대응되는 특정 컨텐츠를 연결된 상기 단말장치로 제공하는 제2제어동작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제어동작을 수행하는 연동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
An augmented reality service control unit for providing an augmented reality service for outputting an augmented reality content to an output unit when performing a preset augmented reality implementation function; And
When the terminal device is connected for interworking with the augmented reality service, the first control operation for controlling the augmented reality service control unit to provide the augmented reality service and specific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augmented reality service to the terminal device connected to the augmented reality service. An augmented reality content playback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interlocking control unit for performing at least one control operation of the second control operation.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제어부는,
상기 증강현실서비스제어부에서 상기 증강현실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상기 증강현실 구현 기능이 수행되면, 연결된 단말장치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여 연결된 단말장치가 존재하는 경우 해당 단말장치와의 연동 여부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제1제어동작 또는 상기 제2제어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interlocking control unit,
When the augmented reality service is performed by the augmented reality service control unit to provide the augmented reality service, the user selects whether to interwork with the corresponding terminal device if the connected terminal device exists by checking whether the connected terminal device exists. And reproducing the first control operation or the second control operation.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제어부는,
상기 단말장치와의 연동 여부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증강현실 서비스 연동이 선택된 경우, 상기 단말장치와의 동기설정 상태를 확인하여 정상적인 동기설정 상태인 경우 상기 제2제어동작을 수행하고 비정상적인 비 정상적인 동기설정 상태인 경우 상기 단말장치로 재 동기설정을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interlocking control unit,
When augmented reality service interworking is selected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of interworking with the terminal device, the synchronization setting state with the terminal device is checked and the second control operation is performed when the synchronization setting state is normal. And a resynchronization setting is induced to the terminal device in the synchronization setting state.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제어부는,
상기 연결된 단말장치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여 연결된 단말장치가 존재하지 않으면, 연동기능 이용상태로 설정된 경우 연결 가능한 단말장치를 검색하여 이에 따른 단말리스트를 제공하고,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해당 단말장치와의 기 설정된 연결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interlocking control unit,
If the connected terminal device does not exist by checking the existence of the connected terminal device, if it is set to the use of the interworking function, the terminal device is searched for and provides a terminal list accordingly, and the terminal device is selected by the user. Augmented reality content playback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performing a preset connection operation.
제 6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제어부는,
상기 증강현실 서비스에 대응하여, 촬영되는 인쇄서적에 대한 표지이미지 및 서적내용정보 및 서적부가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서적관련정보와, 상기 인쇄서적 내 적어도 하나의 특정 페이지에 대한 페이지이미지 및 페이지내용정보 및 페이지부가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페이지관련정보와, 상기 증강현실 서비스에 따라 출력되는 상기 증강현실 컨텐츠에 대한 증강현실컨텐츠정보와, 상기 증강현실 컨텐츠 내 렌더링되는 가상객체에 대응하는 가상객체관련정보와, 특정 증강현실관련 어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컨텐츠를 상기 단말장치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
10.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6 to 9,
The interlocking control unit,
In response to the augmented reality service, book-related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a cover image, book content information, and book additional information of a printed book to be photographed, a page image of at least one specific page in the printed book, Corresponds to page-related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page content information and page additional information, augmented reality content information of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output according to the augmented reality service, and a virtual object rendered in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An apparatus for reproducing augmented reality contents, comprising: providing the terminal apparatus with the contents including at least one of virtual object related information and a specific augmented reality related application.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제어부는,
상기 증강현실 서비스에 대응하여 입력되는 사용자에 의한 조작에 따른 조작정보를 상기 단말장치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
The method of claim 10,
The interlocking control unit,
Augmented reality content playback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providing the terminal device with oper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operation input in response to the augmented reality service.
제 6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제어부는,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조작정보가 제공되면, 상기 조작정보를 토대로 상기 증강현실 컨텐츠 또는 상기 증강현실 컨텐츠 내에 렌더링된 가상객체를 변경시켜 출력하도록 상기 증강현실서비스제어부를 제어하거나 또는 상기 조작정보에 따른 정보화면을 상기 출력부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
10.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6 to 9,
The interlocking control unit,
When the manipulation information is provided from the terminal device, the augmented reality service control unit controls the augmented reality service control unit to output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or a virtual object rendered in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based on the manipulation information, or the information screen according to the manipulation information. Augmented reality content playback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outputs to the output unit.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가 기 설정된 증강현실 구현 기능 수행에 따른 증강현실 컨텐츠를 출력하는 증강현실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증강현실 서비스에 대한 연동을 위해 단말장치가 연결된 경우,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가 상기 단말장치로 상기 증강현실 서비스에 대응되는 특정 컨텐츠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장치가 상기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컨텐츠에 따른 컨텐츠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 현실 서비스 제공 방법.
Providing an augmented reality service for outputting an augmented reality content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augmented reality implementation function performed by an augmented reality content reproducing apparatus;
Providing a specific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augmented reality service by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playback device when the terminal device is connected to the augmented reality service for interworking; And
And outputting, by the terminal device, content information according to content provided from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playback device.
외부의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와 연결되는 연결 지원단계;
상기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컨텐츠 내 상기 증강현실관련 어플리케이션이 포함된 경우 해당 증강현실관련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는 어플리케이션 설치단계; 및
상기 컨텐츠에 따른 컨텐츠 정보를 출력하는 컨텐츠 출력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
A connection supporting step connected to an external augmented reality content playback device;
An application installation step of installing the augmented reality related application when the augmented reality related application is included in the content provided from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playback device; And
And a content outputting step of outputting content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content.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출력단계는,
상기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컨텐츠에 특정 증강현실컨텐츠정보가 포함된 경우, 상기 증강현실관련 어플리케이션을 구동시켜 이를 통해 상기 증강현실컨텐츠정보에 따른 증강현실 컨텐츠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
15. The method of claim 14,
The content output step,
When the content provided from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playback device includes a specific augmented reality content information, th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for outputting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according to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information by running the augmented reality-related application How the device works.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로부터 상기 증강현실 컨텐츠에 대한 조작정보가 제공되면, 상기 조작정보를 토대로 상기 증강현실 컨텐츠 또는 상기 증강현실 컨텐츠 내에 렌더링된 가상객체를 변경시켜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
15. The method of claim 14,
If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playback device is provided with the operation information on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the step of changing the output augmented reality content or a virtual object rendered in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based on the operation information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outputting. Method of operation of the terminal device.
제 14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한 조작에 따른 조작정보를 상기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
17.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4 to 16,
And providing the oper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operation by the user to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reproducing apparatus.
기 설정된 증강현실 구현 기능을 수행하는 증강현실 기능 수행단계; 및
상기 증강현실 서비스에 대한 연동을 위해 단말장치가 연결된 경우, 상기 증강현실 구현 기능 수행에 따른 증강현실 컨텐츠를 출력하는 증강현실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1제어동작 및 상기 증강현실 서비스에 대응되는 특정 컨텐츠를 상기 연결된 단말장치로 제공하는 제2제어동작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제어동작을 수행하는 연동 제어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의 동작 방법.
Performing an augmented reality function to perform a preset augmented reality implementation function; And
A first control operation for providing an augmented reality service for outputting an augmented reality content according to the execution of the augmented reality implementation function and a specific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augmented reality service when the terminal device is connected to the augmented reality service for interworking; And an interlocking control step of performing at least one control operation among the second control operations provided to the connected terminal device.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 제어단계는,
상기 기 설정된 증강현실 구현 기능 수행되면, 연결된 단말장치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여 연결된 단말장치가 존재하는 경우 해당 단말장치와의 연동 여부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제1제어동작 또는 상기 제2제어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의 동작 방법.
The method of claim 18,
The interlocking control step,
When the preset augmented reality implementation function is performed, the first control operation or the second control is performed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of whether or not interworking with the corresponding terminal device when the connected terminal device exists. Method of operation of augmented reality content playback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o perform the operation.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 제어단계는,
상기 단말장치와의 연동 여부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증강현실 서비스 연동이 선택된 경우, 상기 단말장치와의 동기설정 상태를 확인하여 정상적인 동기설정 상태인 경우 상기 제2제어동작을 수행하고 비정상적인 비 정상적인 동기설정 상태인 경우 상기 단말장치로 재 동기설정을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의 동작 방법.
The method of claim 19,
The interlocking control step,
When augmented reality service interworking is selected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of interworking with the terminal device, the synchronization setting state with the terminal device is checked and the second control operation is performed when the synchronization setting state is normal. And in a synchronization setting state, induces resynchronization to the terminal device.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 제어단계는,
상기 연결된 단말장치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여 연결된 단말장치가 존재하지 않으면, 연동기능 이용상태로 설정된 경우 연결 가능한 단말장치를 검색하여 이에 따른 단말리스트를 제공하고,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해당 단말장치와의 기 설정된 연결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의 동작 방법.
The method of claim 19,
The interlocking control step,
If the connected terminal device does not exist by checking the existence of the connected terminal device, if it is set to the use of the interworking function, the terminal device is searched for and provides a terminal list accordingly, and the terminal device is selected by the user. Operating method of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playback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performing a preset connection operation.
제 19 항 내지 제 2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증강현실 서비스에 대응되는 컨텐츠는,
상기 증강현실 서비스에 대응하여, 촬영된 인쇄서적에 대한 표지이미지 및 서적내용정보 및 서적부가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서적관련정보와, 상기 인쇄서적 내 적어도 하나의 특정 페이지에 대한 페이지이미지 및 페이지내용정보 및 페이지부가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페이지관련정보와, 상기 증강현실 서비스에 따라 출력되는 상기 증강현실 컨텐츠에 대한 증강현실컨텐츠정보와, 상기 증강현실 컨텐츠 내 렌더링되는 가상객체에 대응하는 가상객체관련정보와, 특정 증강현실관련 어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의 동작 방법.
22.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9 to 21,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augmented reality service,
In response to the augmented reality service, book-related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a cover image, book content information, and book additional information of the photographed printed book, a page image of at least one specific page in the printed book, Corresponds to page-related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page content information and page additional information, augmented reality content information of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output according to the augmented reality service, and a virtual object rendered in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And a virtual object related information and at least one of a specific augmented reality related application.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증강현실 서비스에 대응하여 입력되는 사용자에 의한 조작에 따른 조작정보를 상기 단말장치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의 동작 방법.
The method of claim 22,
And providing the terminal device with oper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an operation input by a user input in correspondence to the augmented reality service.
제 19 항 내지 제 2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조작정보가 제공되면, 상기 조작정보를 토대로 상기 증강현실 컨텐츠 또는 상기 증강현실 컨텐츠 내에 렌더링된 가상객체를 변경시켜 출력하도록 상기 증강현실 구현기능 수행을 제어하거나 또는 상기 조작정보에 따른 정보화면을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의 동작 방법.
22.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9 to 21,
When the operation information is provided from the terminal device, the execution of the augmented reality implementation function is controlled to output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or the virtual object rendered in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based on the operation information, or th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operation information. Operation method of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playback device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outputting a screen.
KR1020100107233A 2010-10-29 2010-10-29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ugmented reality service KR10132803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7233A KR101328032B1 (en) 2010-10-29 2010-10-29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ugmented reality ser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7233A KR101328032B1 (en) 2010-10-29 2010-10-29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ugmented reality ser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5600A true KR20120045600A (en) 2012-05-09
KR101328032B1 KR101328032B1 (en) 2013-11-13

Family

ID=462650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7233A KR101328032B1 (en) 2010-10-29 2010-10-29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ugmented reality ser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8032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5194B1 (en) * 2016-03-08 2017-04-12 주식회사 아이아라 Method for identifying terminal
KR102109499B1 (en) 2019-05-10 2020-05-12 이성진 Body balancing tool, and manufacturing and using method therefor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3912B1 (en) * 2008-04-04 2010-09-27 한국과학기술연구원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ing and searching information for augumented reality
KR20100092712A (en) * 2009-02-13 2010-08-23 엘지전자 주식회사 Terminal and method for sharing a data in the sam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5194B1 (en) * 2016-03-08 2017-04-12 주식회사 아이아라 Method for identifying terminal
KR102109499B1 (en) 2019-05-10 2020-05-12 이성진 Body balancing tool, and manufacturing and using method theref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28032B1 (en) 2013-1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98019B2 (en) Panorama image display control method, device and storage medium
KR102166861B1 (en) Enabling augmented reality using eye gaze tracking
KR101465668B1 (en) Terminal and method for blogging thereof
CN104350736B (en) The augmented reality of neighbouring position information is arranged
JP2008211379A (en) Display control program and portable terminal device
KR20150032066A (en) Method for screen mirroring, and source device thereof
US10504258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editing map acquired from server
US2012013365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dictionary function in portable terminal
US20150212713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EP2874125A1 (en) Information display program and information display device
KR101328032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ugmented reality service
JP2016038728A (en) Image display device, control method of image display device and program thereof
KR101246304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ugmented reality service
KR20120035322A (en) System and method for playing contents of augmented reality
KR101316789B1 (en) System and method for playing contents of augmented reality
KR101211178B1 (en) System and method for playing contents of augmented reality
JP6535801B1 (en) Augmented reality display system, augmented reality display method and program
KR20120035321A (en) System and method for playing contents of augmented reality
JP6193180B2 (en) Presentation terminal and presentation method
JP5214918B2 (en) Graphic display device, graphic display method and program
JP4045293B2 (en) Map display device, map display method, map display program
JP469113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action between mobile device and screen
KR101242512B1 (en) System and method for playing contents of augmented reality
JP2013097646A (en) Information processor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US20230127443A1 (en) System for Controlling Display Device on Basis of Identified Capture Ran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