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45388A - 유아용 베개 - Google Patents

유아용 베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45388A
KR20120045388A KR1020100106899A KR20100106899A KR20120045388A KR 20120045388 A KR20120045388 A KR 20120045388A KR 1020100106899 A KR1020100106899 A KR 1020100106899A KR 20100106899 A KR20100106899 A KR 20100106899A KR 20120045388 A KR20120045388 A KR 201200453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ant
pillow
ring portion
baby
elastic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68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우철
Original Assignee
정우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우철 filed Critical 정우철
Priority to KR10201001068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45388A/ko
Publication of KR201200453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538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3/00Baby line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Bedding I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정형상을 갖는 몸체로 이루어진 유아용 베개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양측면에 밴드형상의 고리부를 형성하되 상기 고리부의 일단은 상기 몸체의 일측에 재봉?고정되며, 상기 고리부의 통공에는 유아의 겨드랑이에 걸어둘 수 있는 고리형상의 탄성수단이 관통되어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유아용 베개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베개의 양측면에 밴드형상의 고리부를 형성하되 상기 고리부에는 유아의 겨드랑이에 걸어둘 수 있는 탄성수단이 구비된 유아용 베개를 제공함으로써 수면시 유아의 뒤척임에 의해 베개가 유아의 머리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편안한 숙면을 취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유아가 베개를 안정되게 벨 수 있도록 하고, 더 나아가 유아의 올바른 수면 자세를 유도할 수 있도록 하는 유아의 두상 골격이 균형을 이룰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Description

유아용 베개{Pillow for infant}
본 발명은 유아용 베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베개의 양측면에 밴드형상의 고리부를 형성하되 상기 고리부에는 유아의 겨드랑이에 걸어둘 수 있는 탄성수단이 구비된 유아용 베개를 제공함으로써 수면시 유아의 뒤척임에 의해 베개가 유아의 머리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편안한 숙면을 취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유아가 베개를 안정되게 벨 수 있도록 하여 유아의 두상 골격이 균형을 이룰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유아용 베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아라 함은 생후 1년부터 만 6세까지의 어린아이를 일컫는 말로, 이 시기는 신체적 발육 속도는 늦지만 신체적 활동은 왕성한 시기이다.
따라서 이 시기의 대부분의 유아는 올바른 수면 자세, 즉 베개를 벤 상태에서 얼굴은 천장을 향하도록 바로 누운 자세를 유지하지 못하고, 뒤척임에 의해 주로 베개를 베지 않거나 또는 엎드린 상태로 자거나 모로 자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잘못된 수면 자세로 의해 유아는 편안한 숙면을 취하지 못할 뿐더러 두상의 골격이 불균형을 이루게 되는 심각한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유아기에 형성된 수면 자세 및 습관은 잘 고쳐지지 않으며, 이러한 잘못된 수면 자세에 의해 자신도 모르게 몸에 피로가 쌓이게 되고 심한 경우 체형의 변화를 가져오는 심각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베개의 양측면에 밴드형상의 고리부를 형성하되 상기 고리부에는 유아의 겨드랑이에 걸어둘 수 있는 탄성수단이 구비된 유아용 베개를 제공함으로써 수면시 유아의 뒤척임에 의해 베개가 유아의 머리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편안한 숙면을 취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유아가 베개를 안정되게 벨 수 있도록 하여 유아의 두상 골격이 균형을 이룰 수 있도록 도움을 주고, 더 나아가 유아의 올바른 수면 자세를 유도할 수 있도록 하는 유아용 베개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베개는, 일정형상을 갖는 몸체로 이루어진 유아용 베개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양측면에 밴드형상의 고리부를 형성하되 상기 고리부의 일단은 상기 몸체의 일측에 재봉?고정되며, 상기 고리부의 통공에는 유아의 겨드랑이에 걸어둘 수 있는 고리형상의 탄성수단이 관통되어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처럼 본 발명은 베개의 양측면에 밴드형상의 고리부를 형성하되 상기 고리부에는 유아의 겨드랑이에 걸어둘 수 있는 탄성수단이 구비된 유아용 베개를 제공함으로써 수면시 유아의 뒤척임에 의해 베개가 유아의 머리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편안한 숙면을 취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유아가 베개를 안정되게 벨 수 있도록 하여 유아의 두상 골격이 균형을 이룰 수 있도록 도움을 주고, 더 나아가 유아의 올바른 수면 자세를 유도할 수 있도록 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 -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베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 - 본 발명의 사용상태 참고도.
상기한 목적 및 효과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베개(100)는, 일정형상을 갖는 몸체(101)로 이루어진 유아용 베개에 있어서, 상기 몸체(101)의 양측면에 밴드형상의 고리부(110)를 형성하되 상기 고리부(110)의 일단은 상기 몸체(101)의 일측에 재봉?고정되며, 상기 고리부(110)의 통공(111)에는 유아의 겨드랑이에 걸어둘 수 있는 고리형상의 탄성수단(120)이 관통되어 형성되도록 구성되어 진다.
상기 고리부(110)는 탄성수단(120)을 고정하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고리부(110)의 내경은 상기 탄성수단(120)의 외경과 동일하거나 그 이상으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고리부(110)는 상기 탄성수단(120)의 견고한 고정을 위해 소정간격의 너비를 가지도록 구성되며, 상기 고리부(110)의 일단은 몸체(101)의 양측면 일측에 재봉선(112)에 의해 고정된다.
그리고 오랜 시간 베고서 수면을 취해야 하므로 유아의 피부, 즉 얼굴에 직접 접촉될 수 있는 상기 고리부(110)는 유아의 민감한 피부에 자극을 주지 않은 천연소재의 재질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수단(120)은 상기 고리부(110)의 통공(111)을 통해 관통되어 구비된 고리형상의 구성으로, 유아의 겨드랑이에 상기 탄성수단(120)을 걸어둠으로써 수면시 뒤척임에 의해 베개가 유아의 머리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즉 상기 탄성수단(120)의 탄성에 의해 수면시 유아가 뒤척이더라도 베개는 유아의 머리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항상 유아의 머리맡에 위치할 수 있는 것이다.
물론 상기 탄성수단(120) 또한 유아의 피부에 간접적으로 접촉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유아의 피부트러블 방지를 위해 천연소재의 재질로 구성됨은 당연하다.
이처럼 상기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 유아용 베개(100)는, 수면시 유아의 뒤척임에 의해 베개가 유아의 머리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편안한 숙면을 취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유아가 베개를 안정되게 벨 수 있도록 하여 유아의 두상 골격이 균형을 이룰 수 있도록 도움을 주고, 더 나아가 유아의 올바른 수면 자세를 유도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할 것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본 발명 유아용 베개
101: 몸체 110: 고리부
111: 통공 112: 재봉선
120: 탄성수단

Claims (1)

  1. 일정형상을 갖는 몸체(101)로 이루어진 유아용 베개에 있어서,
    상기 몸체(101)의 양측면에 밴드형상의 고리부(110)를 형성하되 상기 고리부(110)의 일단은 상기 몸체(101)의 일측에 재봉?고정되며;
    상기 고리부(110)의 통공(111)에는 유아의 겨드랑이에 걸어둘 수 있는 고리형상의 탄성수단(120)이 관통되어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베개.
KR1020100106899A 2010-10-29 2010-10-29 유아용 베개 KR2012004538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6899A KR20120045388A (ko) 2010-10-29 2010-10-29 유아용 베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6899A KR20120045388A (ko) 2010-10-29 2010-10-29 유아용 베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5388A true KR20120045388A (ko) 2012-05-09

Family

ID=462648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6899A KR20120045388A (ko) 2010-10-29 2010-10-29 유아용 베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4538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8206A (ko) 2018-12-21 2020-07-01 허항 유아용 쿠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8206A (ko) 2018-12-21 2020-07-01 허항 유아용 쿠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04278B2 (en) Baby handling device
US8281435B2 (en) Reversible head-support and bottle-support baby pillow
US20150374138A1 (en) Baby seat bed
US20120276805A1 (en) Child Activity Wrap
US20190269258A1 (en) Apparatus for supporting an infant
KR20200009787A (ko) 아기 침대
CA2505699A1 (en) Convert-a-pillow
KR20100009118U (ko) 유아용 수유쿠션
KR20140005410U (ko) 헤드쿠션과 넥쿠션이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아기용 베개.
KR20120045388A (ko) 유아용 베개
KR200469436Y1 (ko) 유아쿠션부가 구비된 수유쿠션
KR20120045264A (ko) 유아용 베개
US11103424B1 (en) Pacifier devices
KR20110005207U (ko) 임부용 슬리핑 쿠션
US20100224200A1 (en) Infant Restraining Article
RU180067U1 (ru) Детская переносная кроватка для детей первых месяцев жизни
RU2634379C2 (ru) Подушка ортопедическая для младенца (варианты)
KR101028579B1 (ko) 아기 수면보호대
KR101748317B1 (ko) 아기용 쿠션
US8082613B2 (en) Roll restricting device
KR102278113B1 (ko) 유아용 쿠션
CN220631781U (zh) 一种新生儿正侧位固定枕
JP3162573U (ja) クッション
CN213216331U (zh) 多功能安抚枕
CN210124514U (zh) 婴儿臂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