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44718A - 정전식 필기 시스템, 정전식 필기 입력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정전식 필기 시스템, 정전식 필기 입력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44718A
KR20120044718A KR1020100106171A KR20100106171A KR20120044718A KR 20120044718 A KR20120044718 A KR 20120044718A KR 1020100106171 A KR1020100106171 A KR 1020100106171A KR 20100106171 A KR20100106171 A KR 20100106171A KR 20120044718 A KR20120044718 A KR 201200447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riting
contact
writing device
capacitive
voltage dro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61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기범
고용지
김동훈
배종필
신지수
이기연
안영진
조정식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061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44718A/ko
Publication of KR201200447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471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5Pens or styl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3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38
    • G06F2203/0384Wireless input, i.e. hardware and software details of wireless interface arrangements for pointing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6Multi-sensing digitiser, i.e. digitiser using at least two different sensing technologies simultaneously or alternatively, e.g. for detecting pen and finger, for saving power or for improving position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전식 필기 시스템에서 터치펜과 같은 필기 도구를 이용하여 필기 입력을 수행하는 도중 신체의 접촉을 필기 정보를 인식하지 않고, 필기 도구의 접촉 부분만을 필기 정보로 인식하기 위한 정전식 필기 시스템, 정전식 필기 입력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필기 입력 장치가 필기 장치 또는 신체의 접촉에 따른 전류의 변화를 인식하여 접촉한 부분의 위치를 판단하고, 신체의 접촉 부분을 제외한 일정 영역을 필기 영역으로 설정하여 설정된 필기 영역에서의 접촉만을 필기 정보로 판단하여 인식하도록 함으로써, 정전식 필기 입력시의 인식 오류를 최소화한다.

Description

정전식 필기 시스템, 정전식 필기 입력 장치 및 방법{Stylus notes system, stylus notes input apparatus and method}
본 발명은 정전용량 방식(이하, 정전식이라 함)의 필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정전식 필기 시스템에서 터치펜과 같은 필기 도구를 이용하여 필기 입력을 수행하는 도중 신체의 접촉을 필기 정보를 인식하지 않고, 필기 도구의 접촉 부분만을 필기 정보로 인식하기 위한 정전식 필기 시스템, 정전식 필기 입력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PC, 노트북, 휴대폰과 같은 여러 종류의 단말 장치에서는, 스크린 상에서 바로 입력 및 컨트롤할 수 있는 터치 스크린 방식의 입력 장치가 주로 채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최근의 입력 장치로서 주로 이용되는 터치 스크린 방식의 입력 장치는 대표적인 예로 저항막(이하, 감압식이라 칭함) 터치 방식과 정전용량(이하, 정전식이라 칭함) 터치 방식이 있다.
우선, 감압식 터치 방식은 액정 위에 여러 겹의 막(스크린)이 쌓여 있는 형태로 가장 바깥쪽(손이나 펜이 맞닿는 부위)에는 부드러우면서 흠집에 강한 재질의 막이 있고, 그 하부에 충격을 완화해주는 막과 입력을 감지하는 투명 전도막(전기가 통하는 얇고 투명한 기판) 2장이 겹쳐져 있다. 이러한 감압식 터치 방식은 사용자가 화면을 누르면, 투명 전도막 2장이 서로 맞닿으면서, 전기적 접촉이 발생하여 전류 및 저항의 변화가 나타나며, 이러한 전류와 저항의 변화를 감지해 접촉 여부를 판별하고, 접촉된 위치 및 접촉 방식(터치, 드래그 등)을 판별하여 입력 정보를 인식한다. 따라서 감압식 터치 스크린 입력 장치는, 손가락은 물론, 터치펜과 같은 다른 필기 도구를 이용해 화면을 터치할 수 있으며, 얇은 필기 도구를 이용함으로써 필기 입력이나 작은 아이콘의 터치와 같은 세밀한 입력이 가능하다.
그러나 감압식 터치 방식은 액정 위에 여러 겹으로 막이 형성되는 만큼 화면의 선명도가 떨어지기 때문에 고해상도 화면을 지원하는 단말 장치에는 적합하지 않으며, 또한 충격에 약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다음으로, 정전식 터치 방식의 터치 스크린은 전기적 작용을 이용하여 전기가 통할 수 있는 물체나 신체(손가락)을 정전기를 이용하여 패널을 컨트롤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정전식 터치 방식은 정전식 터치 패널의 액정 유리에 전기가 통하는 유전체(전기가 통하는 화합물)가 코팅되어 있고, 이를 통해 화면에 전기가 흐르는 상태에서, 손가락의 접촉 시 나타나는 전기 흐름의 변화를 감지함으로써 접촉 위치 및 접촉 방식(터치, 드래그, 플릭 등)을 감지한다. 이러한 정전식 터치 방식의 터치 스크린은 화면 선명도를 유지할 수 있으면서, 화면을 스치듯 살짝 접촉하여도 터치 입력이 가능하기 때문에, 감성적인 느낌 연출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정전식 터치 방식은 코팅된 강하 유리를 사용하기 때문에 감압식 터치 방식에 비해 내구성이 뛰어나고, 더하여, 반응속도가 빠르고 멀티 터치가 가능하다는 다양한 장점이 있다.
그러나 정전식 터치 방식은 대부분 사용자의 손가락으로 컨트롤하기 때문에, 지문이나 기타 얼룩들에 쉽게 노출되어 화면이 오염되기 쉽고, 더불어 이에 따라서 가독성이 저하되거나 미관상 보기 좋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감압식 터치 방식에서와 같이 손가락 대용으로 다른 필기 도구를 통해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필요하게 되었다.
하지만, 정전식 터치 방식에서는 터치 패드에 흐르는 미세한 전류의 변화를 감지하여 반응하기 때문에, 터치펜과 같은 필기 도구를 이용하여 터치 입력을 할 경우, 터치 패드 상에서 유도되는 정전용량이 적어 터치 인식이 쉽지 않고, 또한, 입력 도중, 터치펜 이외에 신체의 일부가 접촉되는 경우, 신체를 통해 유도되는 정전용량이 터치펜을 통해 유도되는 정전용량보다 크기 때문에 인식 오류가 빈번히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정전용량 방식으로 필기 정보를 인식하는 정전식 필기 입력 장치에서 신체 이외에 필기 장치를 이용하여 입력이 가능한 정전식 필기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더하여, 본 발명은 정전식 필기 시스템에서 신체의 접촉과 구분하여 필기 장치의 접촉을 감지함으로써, 필기 정보의 인식 정확도를 높일 수 있는 정전식 필기 입력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정전 용량 방식으로 필기를 수행하는 필기 장치; 및 필기 장치 또는 신체의 접촉에 따른 전류의 변화를 인식하여 접촉한 부분의 위치를 판단하고, 신체의 접촉 부분을 제외한 일정 영역을 필기 영역으로 설정하여 설정된 필기 영역에서의 접촉만을 필기 정보로 판단하는 필기 입력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식 필기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른 수단으로서, 도전막을 형성하고, 필기 장치 또는 신체에 의해 필기 정보가 입력되는 패널부; 필기 장치 또는 상기 신체가 상기 도전막에 접촉하는 경우 전압 강하를 인식하는 인식부; 및 인식된 전압 강하에 따라 필기 장치 또는 신체가 접촉한 부분의 위치를 판단하고, 신체의 접촉 부분을 제외한 일정 영역을 필기 영역으로 설정하여 설정된 필기 영역에서의 접촉만을 필기 정보로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식 필기 입력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필기 입력 장치에 있어서, 인식부는 필기 장치 또는 상기 신체가 도전막에 접촉하는 경우 전압 강하를 감지하는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정전식 필기 입력 장치에 있어서, 제어부는 필기 장치 및 상기 신체가 상기 도전막에 접촉하는 경우 인식된 전압 강하를 이용하여 접촉 위치를 판단하는 위치 검출부; 및 신체의 접촉 부분을 제외한 일정 영역을 필기 영역으로 설정하고, 설정된 필기 영역을 접촉한 필기 장치의 필기 정보를 판단하는 판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정전식 필기 입력 장치에 있어서, 판단부는 신체의 접촉 또는 필기 장치의 접촉에 따른 전압 강하의 변화에 따라 필기 장치의 접촉 부분과 신체의 접촉 부분을 구분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정전식 필기 입력 장치에 있어서, 판단부는 필기 장치의 접촉 부분 또는 신체의 접촉 부분의 변화에 따라 필기 영역을 재설정함을 특징으로 한다.
더하여, 본 발명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또 다른 수단으로서, 필기 장치 또는 신체가 필기 입력 장치의 패널에 접촉하는 경우, 전압 강하를 감지하는 단계; 감지된 전압 강하를 이용하여 필기 장치 또는 신체의 접촉 위치를 인식하는 단계; 인식한 접촉 위치 별로 필기 장치의 접촉인지 신체의 접촉인지를 구분하는 단계; 신체의 접촉 부분을 제외한 필기 장치의 접촉만을 이용하여 입력되는 필기 정보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식 필기 입력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정전식 필기 입력 방법은, 입력되는 필기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정전식 필기 입력 방법에 있어서, 필기 장치의 접촉인지 신체의 접촉인지를 구분하는 단계는, 신체의 접촉에 의한 전압 강하량과 필기 장치의 접촉에 의한 전압 강하량의 차이를 이용하여, 필기 장치의 접촉과 신체의 접촉을 구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정전식 필기 입력 방법에 있어서, 필기 장치의 접촉인지 신체의 접촉인지를 구분하는 단계는, 필기 장치에서 발생하는 특정 주파수의 전기적 신호를 인식하고, 이를 기준으로 필기 장치의 접촉과 신체의 접촉을 구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정전식 필기 입력 방법은, 신체의 접촉 부분 및 이를 둘러싼 일정 영역을 제외한 영역을 필기 영역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정전식 필기 입력 방법은, 필기 장치의 접촉 부분 또는 신체의 접촉 부분의 변화에 따라 필기 영역을 재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정전식 필기 입력 장치에서 필기 장치를 이용하는데 있어서, 필기 장치의 접촉과 신체의 접촉을 구분하여 필기 장치의 접촉만을 정확히 인식하여 필기 정보를 인식함으로써, 신체의 접촉에 따른 필기의 인식 오류를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필기 정보에 대한 인식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하여, 본 발명은 정전식 필기 입력 장치에서 필기 장치를 이용하여 입력하는데 있어서의 인식 정확도를 향상시킴으로써, 정전식 필기 입력 장치에서 사용자의 신체 이외에 필기 장치로 입력이 가능하도록 하고, 이를 통해서 화면에 대한 신체 접촉을 최소화함으로써, 지문이나 기타 얼룩들에 의한 화면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고, 신체의 접촉에 의한 화면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를 통하여, 본 발명은 필기 장치를 통한 터치에 대한 인식의 정확도를 향상시킴으로써 정전식 필기 입력 장치의 단점을 해소하고, 그 결과 내구성이 좋고, 터치의 정확도 및 화면의 선명도가 높은 정전식 필기 입력 장치의 활성화를 도모할 수 있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전식 필기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전식 필기 시스템에서 정전식 필기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전식 필기 입력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정전식 필기 입력 장치에서의 필기 입력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동일한 도면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전식 필기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전식 필기 시스템은 필기 정보를 입력하여 필기를 수행하는 정전식 필기 장치(100)와, 정전식 필기 장치(100)의 접촉과 신체의 접촉 부분을 구분하고, 신체의 접촉 부분을 제외한 일정 영역을 필기 영역으로 설정하여 정전식 필기 장치(100)에 의해 입력되는 필기 정보를 인식하는 정전식 필기 입력 장치(200)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전식 필기 입력 장치(200)는 신체에 흐르는 미세한 정전기를 이용하여 터치를 인식하는 정전용량 방식의 입력 장치로서, 정전식으로 구현된 터치스크린이나 터치 패드를 모두 포함한다. 상기 정전식 필기 입력 장치(200)는 미세 전류가 지속적으로 흐르는 패드에 전도성 물체가 접촉될 경우, 전도성 물체로 패드에 흐르던 전자가 접촉된 전도성 물체로 이동함에 의해 나타나는 전하의 변화, 전압 강하를 감지하여 터치 여부를 감지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정전식 필기 입력 장치(200)는 정전식 필기 장치(100)의 접촉시 나타나는 변화 량과, 신체의 접촉시 나타나는 변화 량의 차이를 구분하여, 정전식 필기 장치(100)에 의한 접촉만을 필기 정보로서 인식한다. 예를 들면, 신체의 접촉에 의해 유도되는 정전용량의 양이 정전식 필기 장치(100)의 접촉에 의해 유도되는 정전용량의 양보다 크므로, 기준 값을 설정하고, 상기 기준 값 이상의 전압 강하가 나타나는 부분의 신체의 접촉으로 인식하여 필기 정보 인식에서 제외시키고, 기준 값 이하의 전압 강하가 감지되는 부분을 정전식 필기 장치(100)가 접촉된 부분으로 판단하여 그 필기 정보를 인식한다.
상기 정전식 필기 장치(100)는 보편적인 터치펜으로 구현될 수 있고,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는, 전기적 신호를 발생하는 발진기를 구비한 필기 장치를 사용할 수 도 있다. 이 경우, 정전식 필기 장치(100)에서 발생하는 특정 전기적 신호를 이용하여 필기 정보를 인식함으로써, 필기 정보 인식에 대한 정확도를 더 높일 수 있다.
이하에서 상기 정전식 필기 장치(100) 및 정전식 필기 입력 장치(200)에 대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전식 필기 장치(100)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정전식 필기 장치(100)는 전원 공급부(110), 발진부(120) 및 무선 통신부(130)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10)는 발진부(120)의 구동을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데, 건전지 등을 통해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발진부(120)는 필기 장치(100) 내부에 구비되어 전원 공급 시 특정 주파수의 전기적 신호를 발생한다. 더불어 상기 발진부(120)는 서로 다른 주파수를 갖는 복수의 전기적 신호를 발생할 수도 있으며, 입력되는 제어 신호 또는 상기 발진부(120)와 연결된 버튼 조작에 따라서 출력되는 주파수가 변경되도록 구현될 수 도 있다. 이를 이용할 경우, 필기 정보의 종류, 예를 들어, 영어, 한글, 숫자, 선 긋기, 색칠 등에 따라서 발생되는 전기적 신호가 달라지도록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서 정전식 필기 입력 장치(200) 측에서 전기적 신호를 인식하여 입력되는 필기 정보의 종류를 구분하게 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130)는 외부의 장치들과의 무선 통신을 통해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통신은 지그비, 피코캐스트, 블루투스, UWB, 와이파이(Wi-Fi) 등의 무선 통신 기술 또는 향후 개발되어 사용화될 여러 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무선 통신부(130)를 통해서 외부로부터 상기 발진부(120)의 주파수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전식 필기 시스템에서의 정전식 필기 입력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정전식 필기 입력 장치(200)는 패널부(210), 인식부(220), 제어부(230) 및 저장부(240)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정전식 필기 입력 장치(200)는 입력장치를 포함하는 다양한 단말 장치에 적용하여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PC, 노트북 컴퓨터, 휴대폰(mobile phone), 태블릿 PC, 내비게이션(navigation), 스마트폰(Smart phone),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또는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와 같은 디지털방송 수신기 등의 입력 장치로 이용될 수 있다. 물론 이는 예시에 불과할 뿐이며, 상술한 예 이외에도 현재 개발되어 상용화되었거나 향후 개발될 모든 종류의 단말 장치의 입력 장치로서 이용 가능하다.
패널부(210)는 양면에 얇은 금속 전도 물질(예를 들어 ITO, RTO)을 코팅되어 전류가 표면에 흐르는 액정 유리와, 전하를 저장할 수 있는 유전체(전기가 통하는 화합물)가 코팅된 도전막으로 구성될 수 있는 정전식 패널(터치 패널 또는 터치 스크린)이다. 패널부(210)는 전기가 지속적으로 흐르며, 도전막에 신체 또는 필기 장치(100)가 닿으면 액정 유리 위를 흐르던 전자가 접촉 지점으로 끌려오게 된다. 이에 따라서, 패널부(210)의 접촉부위에서 전압 강하가 발생한다.
또한, 패널부(210)는 제어부(230)의 제어에 따라서 필기 장치(100)의 접촉 부분 즉, 제어부(230)에서 설정된 필기 영역에 필기 장치(100)에 의해 입력된 필기 정보(문자, 숫자, 특수문자, 도형, 줄긋기, 색칠하기 등)를 화면에 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패널부(210)가 필기 정보 입력과 표시를 동시에 수행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다른 실시 예에서 패널부(210)는 필기 정보 입력만 이루어질 수 도 있다.
인식부(220)는 패널부(210)의 도전막에 접촉하는 경우 발생되는 전압 강하를 감지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하며, 센서를 통해 감지된 전압 강하를 인식하여 인식된 전압 강하를 제어부(230)로 전송한다.
더하여, 상기 인식부(220)는 접촉된 필기 장치(100)에서 발생된 전기적 신호, 특히 주파수를 인식한다.
제어부(230)는 위치 검출부(231) 및 판단부(232)를 포함하며, 필기 입력 장치의 전반적인 동작 제어를 수행하여, 필기 정보를 인식한다.
위치 검출부(231)는 인식부(220)에서 인식된 전압 강하를 통해 필기 장치(100) 또는 신체가 접촉한 부분의 위치를 판단한다. 즉, 전압 강하를 통해 전류의 변화량을 인식하게 되어 접촉된 부분을 판단할 수 있게 된다.
판단부(232)는 인식된 전압 강하 량의 비교를 통해 필기 장치(100)의 접촉인지 신체의 접촉인지를 판단하여, 신체의 접촉 부분을 제외한 일정 영역을 필기 정보가 입력되는 영역으로 설정하고, 설정된 필기 영역에서 감지된 접촉을 기준으로 필기 정보를 판단한다. 여기서 상기 필기 장치(100)의 접촉과 신체의 접촉의 구분은 접촉에 따른 전하의 변화량(전압 강하 량)에 따라 구분가능하며, 이는 신체의 접촉에 의해 유도되는 정전용량이 필기 장치(100)에 의해 유도되는 정전용량보다 크기 때문이다.
또한, 판단부(232)는 필기 장치(100)의 접촉 부분 또는 신체의 접촉 부분의 변화에 따라 필기 영역을 재설정한다.
더하여, 상기 제어부(230)는 상기 인식부(220)에서 인식한 필기 장치(100)에서 발생한 전기적 신호의 주파수를 이용하여 상기 인식되는 필기 정보의 종류(예를 들어, 영어, 한글, 숫자 등)를 확인하고, 이를 참조하여 상기 필기 장치(100)의 접촉에 의해 입력되는 필기 정보를 인식한다.
저장부(240)는 정전식 필기 입력 장치(200)의 동작에 필요한 운용 및 응용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RAM(Read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와 같은 메모리뿐만 아니라 플래시 메모리, 하드디스크와 같은 스토리지(Storage)를 포괄하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상기 저장부(240)에는 앞서 제어부(230)에 의해 인식된 필기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그러면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정전식 터치 시스템의 필기 입력 장치에서 신체의 접촉을 필기 정보로 인식하지 않고, 필기 장치의 접촉 부분만을 필기 정보로 인식하는 필기 입력을 위한 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정전식 필기 입력 장치에서의 필기 입력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정전식 필기 입력 장치(200)는 정전식 필기 장치(100) 또는 신체가 패널부(210)의 도전막에 접촉되면, 하나 이상의 센서를 통해 접촉에 따른 전압 강하를 감지하고, 감지된 전압 강하를 인식한다(S101).
정전식 필기 입력 장치(200)는 인식된 전압 강하에 따라 정전식 필기 장치(100) 또는 신체가 접촉한 패널 부분의 위치를 판단한다(S102).
정전식 필기 입력 장치(200)는 정전식 필기 장치(100)의 접촉과 신체의 접촉을 구분하여 신체의 접촉 부분을 제외한 일정 영역을 필기 영역으로 설정한다(S103). 즉, 정전식 필기 입력 장치(200)는 신체의 접촉에 의해 유도되는 정전용량이 필기 장치(100)의 접촉에 의해 유도되는 정전용량보다 크므로 전류의 변화량도 크게 되어 이러한 전류의 변화에 따라 필기 장치(100)의 접촉 부분과 신체의 접촉 부분을 구분한다.
이후, 정전식 필기 입력 장치(200)는 설정된 필기 영역을 접촉한 필기 장치(100)에 의한 필기 정보를 판단하고(S104), 정전식 필기 입력 장치(200)는 판단된 필기 정보를 화면에 표시한다(S105).
상술한 바와 같은 필기 입력 과정에서 설정된 필기 영역은 신체의 접촉 부분 및 이를 둘러싼 특정 영역을 제외한 영역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필기 장치의 접촉 부분 또는 상기 신체의 접촉 부분의 변화에 따라 상기 필기 영역을 재설정할 수도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정전식 필기 장치를 대신하여 상술한 도 2에서 설명한 전기적 신호를 발생하는 발진기를 구비한 정전식 필기 장치를 적용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발진기를 구비한 정전식 필기 장치를 적용한 경우의 필기 입력 방법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정전식 필기 장치(100)가 패널부(210)의 도전막에 접촉하면, 필기 입력 장치(200)의 인식부(220)에서는 필기 장치(100)에서 발생되는 전기적 신호를 감지하고, 감지된 전기적 신호를 인식하여 인식된 전기적 신호를 제어부(230)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제어부(230)에서는 인식된 전기적 신호에 따라 필기 장치(100)의 접촉을 신체의 접촉과 구분한다. 여기서 전기적 신호는 미리 설정된 주파수를 적용한 것으로서, 신체의 접촉에 의해 발생되는 미세 전류와 구분되는 신호이므로 도전막의 접촉을 구분할 수 있다. 더하여 제어부(230)는 상기 인식된 전기적 신호에 따라서 인식할 필기 정보의 종류를 더 구분할 수 있다.
제어부(230)의 판단부(232)에서는 이렇게 구분된 신체의 접촉 부분과 필기 장치(100)의 접촉 부분에서 신체의 접촉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을 필기 영역으로 설정하고, 설정된 필기 영역에 접촉되는 필기 장치(100)에 의해 입력되는 필기 정보를 판단한다. 상기 필기 정보의 판단은 상기 전기적 신호에 따라서 구분한 필기 정보의 종류를 더 감안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필기 정보의 판단이 완료되면, 제어부(230)는 패널부(210)의 화면에 판단된 필기 정보를 표시한다(S105).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나,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와 도면에서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정전용량 터치 방식(정전식)의 필기 기술 분야에 적용될 수 있으며, 신체 접촉 시 나타나는 전압 강하량과 필기 장치의 접촉시 나타나는 전압 강하량의 차이를 이용하여 신체 접촉과 필기 장치의 접촉을 구분하고, 더하여, 복수의 전기적 신호를 발생하는 발진기를 갖는 필기 장치와, 필기 장치에서 발생되는 특정 전기적 신호에 따라 필기 장치의 접촉을 신체의 접촉과 구분하여, 필기 정보를 인식함으로써, 필기 장치를 이용한 필기 입력시 신체의 동시 접촉에 의한 인식 오류를 최소화할 수 있다.
더하여, 본 발명은 신체 접촉을 필기 정보 인식 시에 제외시킴으로써 필기 장치를 이용한 터치 입력 시의 인식 오류를 최소화여, 정전식 터치 입력 장치에서 신체 이외의 필기 장치를 이용한 필기 입력을 가능케 하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더하여, 본 발명은 복수의 전기적 신호를 발생하는 발진기를 구비한 필기 장치를 제공하고, 이러한 필기 장치에서 발생하는 전기적 신호에 따라 필기 장치의 접촉과 신체의 접촉을 구분하고, 필기 정보의 종류를 구분하여 인식하도록 함으로써, 필기 정보 인식의 정확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100: 정전식 필기 장치
110: 전원 공급부
120: 발진부
130: 무선 통신부
200: 정전식 필기 입력 장치
210: 패널부
220: 인식부
230: 제어부
231: 위치 검출부
232: 판단부
240: 저장부

Claims (12)

  1. 정전 용량 방식으로 필기를 수행하는 필기 장치; 및
    상기 필기 장치 또는 신체의 접촉에 따른 전류의 변화를 인식하여 접촉한 부분의 위치를 판단하고, 상기 신체의 접촉 부분을 제외한 일정 영역을 필기 영역으로 설정하여 설정된 필기 영역에서의 접촉만을 필기 정보로 판단하는 필기 입력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식 필기 시스템.
  2. 도전막을 형성하고, 필기 장치 또는 신체에 의해 필기 정보가 입력되는 패널부;
    상기 필기 장치 또는 상기 신체가 상기 도전막에 접촉하는 경우 전압 강하를 인식하는 인식부; 및
    상기 인식된 전압 강하에 따라 상기 필기 장치 또는 상기 신체가 접촉한 부분의 위치를 판단하고, 상기 신체의 접촉 부분을 제외한 일정 영역을 필기 영역으로 설정하여 설정된 필기 영역에서의 접촉만을 필기 정보로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식 필기 입력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부는
    상기 필기 장치 또는 상기 신체가 상기 도전막에 접촉하는 경우 전압 강하를 감지하는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식 필기 입력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필기 장치 및 상기 신체가 상기 도전막에 접촉하는 경우 상기 인식된 전압 강하를 이용하여 접촉 위치를 판단하는 위치 검출부; 및
    상기 신체의 접촉 부분을 제외한 일정 영역을 필기 영역으로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필기 영역을 접촉한 상기 필기 장치의 필기 정보를 판단하는 판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식 필기 입력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상기 신체의 접촉 또는 상기 필기 장치의 접촉에 따른 전압 강하의 변화에 따라 상기 필기 장치의 접촉 부분과 상기 신체의 접촉 부분을 구분함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식 필기 입력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상기 필기 장치의 접촉 부분 또는 상기 신체의 접촉 부분의 변화에 따라 상기 필기 영역을 재설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식 필기 입력 장치.
  7. 필기 장치 또는 신체가 필기 입력 장치의 패널에 접촉하는 경우, 전압 강하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감지된 전압 강하를 이용하여 상기 필기 장치 또는 상기 신체의 접촉 위치를 인식하는 단계;
    각 인식한 접촉 위치 별로 필기 장치의 접촉인지 신체의 접촉인지를 구분하는 단계;
    상기 신체의 접촉 부분을 제외한 필기 장치의 접촉만을 이용하여 입력되는 필기 정보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식 필기 입력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되는 필기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식 필기 입력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필기 장치의 접촉인지 신체의 접촉인지를 구분하는 단계는,
    상기 신체의 접촉에 의한 전압 강하량과 상기 필기 장치의 접촉에 의한 전압 강하량의 차이를 이용하여, 필기 장치의 접촉과 신체의 접촉을 구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식 필기 입력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필기 장치의 접촉인지 신체의 접촉인지를 구분하는 단계는,
    상기 필기 장치에서 발생하는 특정 주파수의 전기적 신호를 인식하고, 이를 기준으로 필기 장치의 접촉과 신체의 접촉을 구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식 필기 입력 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신체의 접촉 부분 및 이를 둘러싼 일정 영역을 제외한 영역을 필기 영역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식 필기 입력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필기 장치의 접촉 부분 또는 상기 신체의 접촉 부분의 변화에 따라 상기 필기 영역을 재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식 필기 입력 방법.
KR1020100106171A 2010-10-28 2010-10-28 정전식 필기 시스템, 정전식 필기 입력 장치 및 방법 KR2012004471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6171A KR20120044718A (ko) 2010-10-28 2010-10-28 정전식 필기 시스템, 정전식 필기 입력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6171A KR20120044718A (ko) 2010-10-28 2010-10-28 정전식 필기 시스템, 정전식 필기 입력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4718A true KR20120044718A (ko) 2012-05-08

Family

ID=462644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6171A KR20120044718A (ko) 2010-10-28 2010-10-28 정전식 필기 시스템, 정전식 필기 입력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4471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27938B2 (en) 2013-07-04 2018-03-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ordinate measuring apparatus for measuring input position of a touch and a coordinate indicat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US10209816B2 (en) 2013-07-04 2019-02-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ordinate measuring apparatus for measuring input position of a touch and a coordinate indicating apparatus and driving method thereof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27938B2 (en) 2013-07-04 2018-03-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ordinate measuring apparatus for measuring input position of a touch and a coordinate indicat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US10209816B2 (en) 2013-07-04 2019-02-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ordinate measuring apparatus for measuring input position of a touch and a coordinate indicating apparatus and driving method thereof
US10747357B2 (en) 2013-07-04 2020-08-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ordinate measuring apparatus for measuring input position of a touch and a coordinate indicating apparatus and driving method thereof
US10809863B2 (en) 2013-07-04 2020-10-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ordinate measuring apparatus for measuring input position of coordinate indicat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11397501B2 (en) 2013-07-04 2022-07-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ordinate measuring apparatus for measuring input position of coordinate indicat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15744B2 (en) Multi-point touch-sensitive system
JP6723226B2 (ja) 中間遮蔽電極層を採用した力及び近接感知のためのデバイス及び方法
US9552068B2 (en) Input device with hand posture control
US8106891B2 (en) Multi-point touch-sensitive device
US8139040B2 (en) Method of operating a multi-point touch-sensitive system
JP6085630B2 (ja) タッチペンシステム及びタッチペン
CN107741824B (zh) 对可重定位触摸表面上的姿态朝向的检测
EP2587354B1 (en) Touch panel and output method therefor
EP2888649B1 (en) Sensor pattern for a tactile input device
US9465446B2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mechanical keyboard having touch sensors for detecting touches and actuation of mechanical keys
JP2017532654A (ja) 局部的な力感知のためのデバイス及び方法
WO2019017153A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202414B1 (ko) 터치입력 인식장치 및 그 방법
KR20180019891A (ko) 액티브 스타일러스 펜, 이를 갖는 터치 센싱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터치 센싱 방법
US20150160854A1 (en) Input apparatus, input determination method,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program
WO2016018530A1 (en) Improved stackup for touch and force sensing
KR20120044718A (ko) 정전식 필기 시스템, 정전식 필기 입력 장치 및 방법
KR20120029210A (ko) 터치 스크린 장치 및 그 데이터 입력 방법
US20110242016A1 (en) Touch screen
WO2014112996A1 (en) Electronic device with touch-sensitive display and gesture-detection
KR20120044695A (ko) 정전식 필기 시스템, 정전식 필기 장치, 정전식 필기 입력 장치 및 방법
EP2778857A1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ouch-sensitive keyboard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KR20150135848A (ko) 이레이저 기능을 갖는 전자펜
CN103838422A (zh) 指针控制方法及其电子设备
CN104808870A (zh) 单层电容式触摸屏触摸点的侦测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