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44634A - 선박 및 선박의 배치방법 - Google Patents

선박 및 선박의 배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44634A
KR20120044634A KR1020100106030A KR20100106030A KR20120044634A KR 20120044634 A KR20120044634 A KR 20120044634A KR 1020100106030 A KR1020100106030 A KR 1020100106030A KR 20100106030 A KR20100106030 A KR 20100106030A KR 20120044634 A KR20120044634 A KR 201200446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nnel
cabin
funnel casing
casing
de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60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06022B1 (ko
Inventor
허다라
최재웅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060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6022B1/ko
Publication of KR201200446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46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60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60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Wind turbines with rotation axis in wind dir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70/00Maritime or waterways transport
    • Y02T70/50Measures to reduce greenhouse gas emissions related to the propulsion system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40Application of hydrogen technology to transportation, e.g. using fuel cells

Landscapes

  • Wind Motors (AREA)

Abstract

한 쌍의 퍼낼 케이싱을 포함하는 선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은, 배기가스가 배출되는 배기가스 배출관이 내부에 위치하는 제1 펀낼 케이싱(funnel casing); 및 배기가스가 배출되는 배기가스 배출관이 내부에 위치하는 제2 펀낼 케이싱;을 포함하고, 제1 펀낼 케이싱 및 제2 펀낼 케이싱은 서로 이격된 상태로 마주보도록, 제1 펀낼 케이싱은 좌현 측에 배치되어 있고, 제2 펀낼 케이싱은 우현 측에 배치되어 있다.

Description

선박 및 선박의 배치방법{SHIP AND LAYOUT METHOD OF SHIP}
본 발명은 엔진과, 펀낼 케이싱, 및 휠 하우스를 포함하는 선박 및 선박의 배치방법에 관한 것이다.
천연가스, 자동차, 컨테이너, 석유 등의 화물을 운반하는 경우, 수송비용, 수송시간 등의 운송 효율을 고려하여 일반적으로 선박을 이용하여 운송한다. 선박이 이동하기 위해선 추진장치가 필요한데, 프로펠러가 상기와 같은 역할을 하며, 상기 프로펠러와 샤프트로 연결된 디젤 엔진이 상기 프로펠러를 구동시킨다. 그런데, 상기 디젤 엔진의 작동 시에는 배기가스가 발생하기 때문에 상기 배기가스를 선체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기가스 배출관이 형성되어 있어야 한다. 또한, 선박으로 화물을 운송할 경우, 통상적으로 대양을 가로지르게 되므로 소요되는 시간이 수개월 이상이다. 따라서, 선박의 승선자들은 수개월간 선박 내에서 숙식을 해결하여야 한다. 숙식을 해결하기 위해선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발전기가 필요하고, 상기 발전기의 작동 시에는 배기가스가 발생하기 때문에 상기 배기가스를 선체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기가스 배출관이 형성되어 있어야 한다. 통상적으로 배기가스 배출관은 선미 최상부에 형성되어 있다.
도 1 및 도 2는 이러한 종래의 선박의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통상 선박에는 선박이 한쪽으로 편향되게 기울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갑판 아래의 선체(11) 내부의 양측에는 2개의 엔진(20)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엔진(20)의 상부에는 내부에 배기가스 배출관(42)을 포함하고 있는 펀낼 케이싱(40)이 위치하고 있다. 상기 펀낼 케이싱(40)은 선박의 상부 갑판 상에 가운데 부분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엔진(20)은 상기 펀낼 케이싱(40)의 배기가스 배출관(42)과 배기가스관(22)을 통하여 유체 연통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엔진(20)에서 연소된 배기가스는 상기 배기가스관(22) 및 상기 배기가스 배출관(42)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또한, 선박에는 여객 및 선원이 거주하는 선실(16)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선실(16) 상부 전방에는 휠 하우스(wheel house; 17)가 위치하고 있는데, 상기 휠 하우스(17)에서 선박의 진행방향을 조정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선박(10)은, 엔진(20) 및 보일러(미도시) 등이 선체(11) 내의 좌현 및 우현에 배치되어 있는 반면에, 펀낼 케이싱(40)이 선박(10)의 중앙 부분에 하나만이 마련되어 있어, 배기가스관(22)을 중앙부분으로 구부려야만 하였다. 이로 인해, 배기가스관(22) 및 배기가스 배출관(42)에는 배압이 증가하여 엔진의 출력이 저감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선박(10)에서는 휠 하우스(17)의 전망확보를 위해 상기 선실(16)을 다단층의 수직구조로만 형성하여야만 한다. 그러나, 이러한 배치상의 제약으로 인해 선박에서 소요되는 에너지가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선박의 상부데크 상의 구조물의 효과적인 배치를 통하여 선박의 운항에 필요한 소요에너지를 저감시킬 수 있는 선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배기가스가 배출되는 배기가스 배출관이 내부에 위치하는 제1 펀낼 케이싱(funnel casing); 및 배기가스가 배출되는 배기가스 배출관이 내부에 위치하는 제2 펀낼 케이싱;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펀낼 케이싱 및 상기 제2 펀낼 케이싱은 서로 이격된 상태로 마주보도록, 상기 제1 펀낼 케이싱은 좌현 측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2 펀낼 케이싱은 우현 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펀낼 케이싱과 상기 제2 펀낼 케이싱을 연결하도록, 상기 제1 펀낼 케이싱과 상기 제2 펀낼 케이싱 사이에는 휠 하우스(wheel house)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휠 하우스는 미리 결정된 제1 높이만큼 갑판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갑판 상에 갑판의 길이 방향에 걸쳐서 배치되고, 상기 제1 높이보다 낮은 높이를 갖는 선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실의 상부 갑판에는, 태양광선을 집광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태양전지판이 상기 선실의 갑판 상부 갑판에 길이방향에 걸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갑판 상에 갑판의 길이 방향에 걸쳐서 배치되고, 전체높이보다 전체길이가 긴 선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실의 상부 갑판에는, 태양광선을 집광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태양전지판이 상기 선실의 갑판 상부 갑판에 길이방향에 걸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펀낼 케이싱과 상기 제2 펀낼 케이싱 사이에서의 풍력을 이용하여 전력을 생산하도록, 상기 제1 펀낼 케이싱과 상기 제2 펀낼 케이싱 사이에는, 풍력발전기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풍력발전기는, 상기 제1 펀낼 케이싱과, 상기 제2 펀낼 케이싱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에 설치되어, 풍력에 의한 회전력을 전기로 변환하는 나셀부; 및 상기 나셀부의 전방에 마련되는 블레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브라운 가스를 생성하는 브라운 가스 발생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선박의 엔진은 브라운 가스를 연료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실이 배치된 갑판의 아래에는 상기 선실의 온도보다 낮은 온도의 화물창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선실을 고온부로 하고, 상기 화물창을 저온부로 하는 열펌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펀낼 케이싱, 상기 제2 펀낼 케이싱, 및 상기 휠 하우스의 전체구조는 알파벳 "H"를 형상화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펀낼 케이싱, 휠 하우스 및 선실을 포함하는 선박의 배치방법으로서,
한 쌍의 펀낼 케이싱이 서로 마주보도록, 상기 펀낼 케이싱 각각을 좌현 및 우현에 배치하는 단계; 선실을 갑판 상에 갑판의 길이 방향에 걸쳐 배치하는 단계;
상기 한 쌍의 펀낼 케이싱을 연결하도록, 상기 선실의 높이보다 높은 위치에서 상기 한 쌍의 펀낼 케이싱 사이에 휠 하우스를 배치하는 단계; 및 상기 선실의 상부 갑판에 태양전지판을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배치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펀낼 케이싱 사이에 풍력발전기를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박에 따르면, 선박의 상부데크 상의 구조물을 효과적으로 배치함으로써, 선박의 소요 에너지를 저감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선박에 있어서, 엔진, 펀낼 케이싱, 선실, 및 휠 하우스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선박의 개략적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개략적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선박의 개략적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선박의 개략적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개략적 정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선박에 있어서, 풍력발전기가 설치된 부분의 상세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에 있어서, 선실 및 화물창을 열원으로 이용한 열펌프의 개략적 구성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배치방법의 개략적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으로 의도된 것이 아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개략적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선박의 개략적 측면도이다. 또한,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선박의 개략적 평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도시된 선박(100)은, 일례로 석유 등의 화물을 운반하는 화물선으로서, 한 쌍의 엔진(120), 한 쌍의 펀낼 케이싱(funnel casing; 140), 선실(160), 및 휠 하우스(wheel house; 1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엔진(120)은 상기 선박(100)의 동력원으로서, 본 실시예에서 상기 엔진(120)은 한 쌍이 마련되어 있어, 선박(100)의 갑판 아래의 선체(101) 내에 좌현 및 우현에 각각 하나씩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배치 덕분에, 상기 선박(100)은 일측으로 편향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부유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엔진(120)은 브라운 가스를 연료로 구동된다. 여기서, 브라운 가스란 잘 알려진 바와 같이, 물의 전기 분해에 의해 발생한 수소와 산소가 2 대 1의 혼합비율로 정량적으로 공존하는 가스로서, 기존의 화석연료에 비해 발열량이 3배 가까이 크고 화염속도가 현저히 빠르며 기존의 화석 연료의 연소를 촉진시킴으로써 완전 연소에 도움을 주고 있어, 차세대 연료로서 각광받고 있다. 특히, 브라운 가스는 기존의 화석연료와 비교할 때, 연소시 온도가 빠르게 올라가는 승온 특성이 좋고, 단열화염온도가 높으며, 화염속도 또한 현저히 빠른 장점이 있다. 또한, 브라운 가스를 엔진에 적용시 최대 50%의 연료절감의 효과가 나타날 수 있으며 브라운 가스의 연소 후에 생성되는 것은 수증기이므로 근본적으로 환경오염이 없는 청정 에너지원이다.
상기 선체(101) 내에는 브라운 가스 발생장치(124)가 마련되어 있어, 청수(淸水)를 이용하여 브라운 가스를 발생시킨 후 엔진(120)에 공급한다.
상기 한 쌍의 펀낼 케이싱(140)은 상기 엔진(120)과 보일러(미도시) 등에서 발생하는 배기가스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마련된 것으로, 내부에 배기가스가 배출되는 배기가스 배출관(142)이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펀낼 케이싱(140)은 상기 선박의 좌현 및 우현에 각각 하나씩 마련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펀낼 케이싱(140)은 제1 펀낼 케이싱과 제2 펀낼 케이싱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1 펀낼 케이싱과 상기 제2 펀낼 케이싱은 서로 이격된 상태로 마주보도록, 상기 제1 펀낼 케이싱은 선박(100)의 좌현 측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2 펀낼 케이싱은 선박(100)의 우현 측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 펀낼 케이싱(140)과 상기 제2 펀낼 케이싱(140) 각각은, 바로 아래의 선체(101) 내부의 좌현 측 및 우현 측에 각각 위치한 엔진(120)에 배기가스관(122)을 통하여 유체연통하게 연결되어 있다.
상기 펀낼 케이싱(140)과 상기 엔진(120)이 모두 한 쌍으로 마련되고, 상기 펀낼 케이싱(140)이 한 쌍으로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각 펀낼 케이싱(140)의 아래에 상기 엔진(120) 각각이 배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배기가스관(122)은 구부려지는 부분을 최소로 할 수 있다. 따라서, 배기가스관(122) 및 배기가스 배출관(142)에서의 배압을 저감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 엔진(120)의 출력을 증대할 수 있다.
상기 휠 하우스(170)은 상기 선박(100)의 운항에 필요로 하는 운행과 조타 그리고 통신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조정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마련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휠 하우스(170)는 한 쌍의 상기 펀낼 케이싱(140) 사이, 즉 상기 제1 펀낼 케이싱과 상기 제2 펀낼 케이싱 사이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휠 하우스(170)는 충분한 전망확보를 위하여 상기 선박(100)의 갑판으로부터 충분한 높이인 제1 높이(H1)만큼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펀낼 케이싱(140)과 상기 휠 하우스(170)는 전체적으로 영문 알파벳 "H"를 형상화하고 있다. 이는 수소를 뜻하는 원소기호 "H"와 고효율 저공해 선박(High degree efficiency green ship)의 영문 첫 글자인 "H"를 상징적으로 표현하기도 한다.
상기 선실(160)은 여객 및 선원이 거주하기 위해 마련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선실(160)은 상기 선박(100)의 갑판 상에 갑판의 길이 방향에 걸쳐서 수평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선실(160)은 단층으로서 마련되어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단층을 이루면서도 선실(160)의 길이(L1)가 상기 선실(160)의 높이(H2)보다 충분히 길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그러나, 상기 선실(160)의 높이(H2)는 상기 휠 하우스(170)의 제1 높이(H1)보다는 낮도록 설정되어 있다.
상기 선실(160)의 높이(H2)가 상기 휠 하우스(170)의 제1 높이(H1)보다 낮기 때문에, 상기 휠 하우스(170)의 전망은 확보될 수 있다. 즉, 도 2에 도시된 종래의 선박(10)에서와 같이, 상기 휠 하우스(17)의 충분한 전망 확보를 위해 상기 선실(16)을 수직구조로 배치하고 상기 휠 하우스(17)를 상기 선실(16) 최상단에 배치시키는 것이 아니라, 본 실시예에서의 휠 하우스(170)는 상기 한 쌍의 펀낼 케이싱(140) 사이에 고정되어 배치되기 때문에, 선실(160)을 수직구조로 배치할 필요가 없고 수평방향으로 길게 형성시킬 수가 있다.
상기 선실(160)의 배치구조 덕분에, 선실에 의한 바람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고, 선실(160) 내 각각의 공간으로의 접근이 용이하며, 상기 선박(100)의 선체(101) 내에 마련된 화물창(貨物艙; 164)으로의 접근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상기 선실(160)의 수평방향으로의 기다란 배치 덕분에, 상기 선실(160)의 상부갑판의 면적이 넓어지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선실(160)의 상부갑판에는 그 전체에 걸쳐서 복수개의 태양전지판(162)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태양전지판(162)은 태양광선을 집광하여 전력을 생산함으로써, 상기 선박(100) 내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엔진(120)은 상기 태양전지판(162)이 생산하는 전력량만큼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박(100)에 따르면, 펀낼 케이싱(140), 선실(160) 및 휠 하우스(170)를 효과적으로 배치함으로써, 선박의 운항에 필요한 소요에너지를 저감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박(200)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박(200)을 설명함에 있어, 상술한 실시예에 따른 선박(100)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기능 및 효과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개략적 정면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선박에 있어서, 풍력발전기가 설치된 부분의 상세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도시된 선박(200)은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선박(100)의 구성에 풍력발전기(190)를 추가로 포함한다.
상기 풍력발전기(190)는 한 쌍의 펀낼 케이싱(140) 사이에서의 풍력을 이용하여 전력을 생산하기 위해 마련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펀낼 케이싱(140)은 한 쌍으로 이루어져, 각각이 상기 선박(100)의 좌현 및 우현에 서로 마주보도록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 덕분에, 상기 한 쌍의 펀낼 케이싱(140) 사이에서는 풍속이 최대가 되어, 상기 풍력발전기(190)는 고효율로 전력을 생산할 수 있다.
상기 풍력발전기(190)는, 상기 한 쌍의 펀낼 케이싱(140)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192)와, 상기 연결부(192)에 설치되고 풍력에 의한 회전력을 전기로 변환하는 나셀부(194), 및 상기 나셀부(194)의 전방에 마련되는 블레이드부(196)를 포함한다.
상기 풍력발전기(190)에서 생산된 전력은 상기 선박(100) 내의 각종 설비를 구동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엔진(120)은 상기 풍력발전기(190)가 생산하는 전력량만큼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풍력발전기(190)는 다수개가 마련되어 2단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한 쌍의 펀낼 케이싱(130) 사이의 크기와 필요전력에 따라 그 개수가 정해질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들에 따른 선박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상기 선실(160)의 실내온도는 상기 선박(100)의 선체(101) 내에 마련된 화물창(164)의 온도보다 높다. 그 이유는, 상기 선체(101)를 통하여 상기 화물창(164)과 저온의 해수와의 사이에서 열교환이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물창(164)이 저온부 역할을 수행하고 선실(160)이 고온부 역할을 수행하는 열펌프를 구성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에 있어서, 선실 및 화물창을 열원으로 이용한 열펌프의 개략적 구성도이다.
상기 선실(160)에 응축기(132)를 마련하고, 화물창(164)에 증발기(136)를 마련하고, 압축기(130), 및 팽창밸브(134)를 마련하며, 상기 응축기(132), 상기 압축기(130), 상기 증발기(136), 및 상기 팽창밸브(134)를 순환하는 냉매가 유동하는 냉매 순환관(138)을 마련하여 열펌프의 기본 사이클을 구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겨울철에는 선실(160) 내를 난방하고, 여름철에는 열펌프 사이클을 역으로 작동시켜 냉동 사이클이 되도록 함으로써, 선실(160) 내를 냉방시킬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배치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배치방법의 개략적 순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배치방법은, 펀낼 케이싱 배치단계(S101), 선실 배치단계(S102), 휠 하우스 배치단계(S103), 태양전지판 배치단계(S104), 및 풍력발전기 배치단계(S10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펀낼 케이싱 배치단계(S101)는 선박의 갑판 상에 한 쌍의 펀낼 케이싱이 마주보도록, 상기 펀낼 케이싱 각각을 좌현 및 우현에 배치하는 단계이다.
상기 선실 배치단계(S102)는 선실을 갑판 상에 갑판의 길이 방향에 걸쳐 수평방향으로 길게 배치하는 단계이다.
상기 휠 하우스 배치단계(S103)는 상기 한 쌍의 펀낼 케이싱을 서로 연결하도록, 상기 선실의 높이보다 높은 위치에서 상기 한 쌍의 펀낼 케이싱 사이에 휠 하우스를 배치하는 단계이다.
상기 태양전지판 배치단계(S104)는 갑판 상에 배치된 상기 선실의 상부 갑판 상에 태양전지판을 설치하는 단계이다.
상기 풍력발전기 배치단계(S105)는 상기 한 쌍의 펀낼 케이싱 사이에 풍력발전기를 설치하는 단계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100, 200: 선박 11, 101: 선체
20, 120: 엔진 22, 122: 배기가스관
40, 140: 펀낼 케이싱(funnel casing) 42, 142: 배기가스 배출관
16, 160: 선실 124: 브라운 가스 발생장치
130: 압축기 132: 응축기
134: 팽창밸브 136: 증발기
138: 냉매 순환관
162: 태양전지판 164: 화물창
17, 170: 휠 하우스(wheel house)
190: 풍력발전기 192: 연결부
194: 나셀부 196: 블레이드부

Claims (13)

  1. 배기가스가 배출되는 배기가스 배출관이 내부에 위치하는 제1 펀낼 케이싱(funnel casing); 및
    배기가스가 배출되는 배기가스 배출관이 내부에 위치하는 제2 펀낼 케이싱;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펀낼 케이싱 및 상기 제2 펀낼 케이싱은 서로 이격된 상태로 마주보도록, 상기 제1 펀낼 케이싱은 좌현 측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2 펀낼 케이싱은 우현 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펀낼 케이싱과 상기 제2 펀낼 케이싱을 연결하도록, 상기 제1 펀낼 케이싱과 상기 제2 펀낼 케이싱 사이에는 휠 하우스(wheel house)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휠 하우스는 미리 결정된 제1 높이만큼 갑판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갑판 상에 갑판의 길이 방향에 걸쳐서 배치되고, 상기 제1 높이보다 낮은 높이를 갖는 선실;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선실의 상부 갑판에는, 태양광선을 집광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태양전지판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갑판 상에 갑판의 길이 방향에 걸쳐서 배치되고, 전체높이보다 전체길이가 긴 선실;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선실의 상부 갑판에는, 태양광선을 집광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태양전지판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펀낼 케이싱과 상기 제2 펀낼 케이싱 사이에서의 풍력을 이용하여 전력을 생산하도록, 상기 제1 펀낼 케이싱과 상기 제2 펀낼 케이싱 사이에는, 풍력발전기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풍력발전기는,
    상기 제1 펀낼 케이싱과, 상기 제2 펀낼 케이싱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에 설치되어, 풍력에 의한 회전력을 전기로 변환하는 나셀부; 및
    상기 나셀부의 전방에 마련되는 블레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10.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브라운 가스를 생성하는 브라운 가스 발생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선박의 엔진은 브라운 가스를 연료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11. 청구항 3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펀낼 케이싱, 상기 제2 펀낼 케이싱, 및 상기 휠 하우스의 전체구조는 알파벳 "H"를 형상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12. 펀낼 케이싱, 휠 하우스 및 선실을 포함하는 선박의 배치방법으로서,
    한 쌍의 펀낼 케이싱이 서로 마주보도록, 상기 펀낼 케이싱 각각을 좌현 및 우현에 배치하는 단계;
    선실을 갑판 상에 갑판의 길이 방향에 걸쳐 배치하는 단계;
    상기 한 쌍의 펀낼 케이싱을 연결하도록, 상기 선실의 높이보다 높은 위치에서 상기 한 쌍의 펀낼 케이싱 사이에 휠 하우스를 배치하는 단계; 및
    상기 선실의 상부 갑판에 태양전지판을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배치방법.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펀낼 케이싱 사이에 풍력발전기를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배치방법.
KR1020100106030A 2010-10-28 2010-10-28 선박 및 선박의 배치방법 KR1012060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6030A KR101206022B1 (ko) 2010-10-28 2010-10-28 선박 및 선박의 배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6030A KR101206022B1 (ko) 2010-10-28 2010-10-28 선박 및 선박의 배치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4634A true KR20120044634A (ko) 2012-05-08
KR101206022B1 KR101206022B1 (ko) 2012-11-28

Family

ID=462643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6030A KR101206022B1 (ko) 2010-10-28 2010-10-28 선박 및 선박의 배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602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43034A (ko) * 2015-10-12 2017-04-20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용 펀넬
RU173255U1 (ru) * 2017-01-27 2017-08-18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унитарное предприятие "Крылов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научный центр"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правления отрывом поток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57192U (ko) * 1976-05-24 1977-11-29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43034A (ko) * 2015-10-12 2017-04-20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용 펀넬
RU173255U1 (ru) * 2017-01-27 2017-08-18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унитарное предприятие "Крылов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научный центр"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правления отрывом поток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06022B1 (ko) 2012-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6185B1 (ko) 해상 복합화력 발전소
US11971222B2 (en) Thermal energy transportation system
EP3450713B1 (en) Process and equipment of using seawater to scrub and clean exhaust gas of engine in ocean engineering
US8405242B2 (en) Wind power system
Díaz-de-Baldasano et al. Conceptual design of offshore platform supply vessel based on hybrid diesel generator-fuel cell power plant
Salem et al. Techno-economic approach to solar energy systems onboard marine vehicles
CN113650768A (zh) 一种基于氨-氢驱动的复合型船舶混合动力系统
KR20060114555A (ko) 해상 화력 발전소
US20120301284A1 (en) Ship having a wind power generator
KR101299281B1 (ko) 태양광발전 및 풍력터빈발전 융합 동력시스템 선박 및 그 제조방법
CN102514698A (zh) 游艇及其供电系统
CN109911161A (zh) 一种单机双桨式气电混合船舶动力系统
KR101206022B1 (ko) 선박 및 선박의 배치방법
Baldi et al. Integration of solid oxide fuel cells in cruise ship energy systems
CN105957560A (zh) 一种压水堆核电站的反应堆堆本体结构
KR20170114332A (ko) 복합 발전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한 선박
JP2020504258A (ja) エネルギーの持続可能な発生の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20120117593A (ko) 태양광, 풍력발전 동력 및 바람(돛)으로 운항하는 선박
CN110190624A (zh) 一种船舶多能源微电网系统
Wu et al. Greenhouse gas emissions reduction and energy savings for a dredger at port area using hybrid photovoltaic power system onboard
CN109878687A (zh) 一种带复合储能的双机三浆式船舶混合动力系统
KR20170114333A (ko) 복합 발전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한 선박
Jelić et al. Developments in marine hybrid propulsion
KR101995493B1 (ko) 태양열 발전 장치를 구비한 선박
Baldi ODes aCCSES Report: Optimal design and control of cruise ship energy syste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3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