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43543A - Apparatus for educating a robot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educating a robo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43543A
KR20120043543A KR1020100104884A KR20100104884A KR20120043543A KR 20120043543 A KR20120043543 A KR 20120043543A KR 1020100104884 A KR1020100104884 A KR 1020100104884A KR 20100104884 A KR20100104884 A KR 20100104884A KR 20120043543 A KR20120043543 A KR 201200435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bot
function
learner
display unit
m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488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505598B1 (en
Inventor
박영숙
박대우
박호환
남재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마이크로컴퓨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마이크로컴퓨팅 filed Critical 주식회사마이크로컴퓨팅
Priority to KR10201001048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5598B1/en
Publication of KR201200435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354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55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559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2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visual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e.g. using film stri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5/00Model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09B23/00,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 G09B25/02Model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09B23/00,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of industrial processes; of machiner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9/00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PURPOSE: A robot-based educating apparatus is provided to improve the problem recognition capability and the problem solving capability of learners based on educational robot simulations and various contents. CONSTITUTION: A robot-based educating apparatus(100) includes a transmitting and receiving part(110), an education processing part(120), a simulation processing part(140), and a hardware controlling part(150). The transmitting and receiving part is in connection with a learner terminal with/without wires and transmits or receives data. The education processing part assembles simulated robots. The education processing part outputs a robot controlling result which corresponds to a robot command function from the learner terminal. The simulation processing part outputs the robot controlling result according to the robot command function. The hardware controlling par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robot.

Description

로봇 교육 장치{Apparatus for educating a robot}Apparatus for educating a robot}

본 발명은 로봇 교육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obot teaching apparatus.

로봇은 초, 중, 고등 교육 과정에서 다루는 수학, 물리, 제어, 컴퓨터, 로봇, 과학 기술 등 창의적인 학습의 소재가 된다. 그리고 학생들이 로봇의 제작 및 작동 원리를 학습함으로써 창의성이 개발될 뿐만 아니라 문제 해결 능력이 향상될 수 있다.Robots are the subject of creative learning in mathematics, physics, control, computers, robots, and science and technology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er education. And as students learn the principles of robot construction and operation, creativity can be developed as well as problem-solving skills.

하지만, 로봇은 학생들이 직접 구입하기에는 고가이고, 이를 동작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생성하는 것이 학생들한테 쉽지 않은 상태이다. 따라서 로봇 교육을 학생들이 쉽고, 간편하게 받을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한 실정이다. However, robots are expensive for students to buy directly, and it is not easy for students to create a program to operate them.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way for students to receive robot education easily and simply.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The above-described background technology is technical information that the inventor holds for the deriv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or acquired in the process of deriv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can not necessarily be a known technology disclosed to the general public prior to the filing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현재 정부의 정책인 사교육비 절감의 일환으로 실시 중인 학원대신 방과후 교육에서 실시되어, 인터넷에만 접속하면 학교에서나 가정에서 로봇 교육을 상설화하고 창의력, 논리적 사고력을 바탕으로 로봇을 조립하고 로봇 제어 프로그램을 교육하며, 화면에서 로봇 조립 후에 동작시켜서 학원보다 상대적으로 저렴한 비용으로 교육 효과를 가지는 로봇 교육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carried out in after-school education instead of being conducted as part of the government's policy to reduce private tutoring costs, and when connected only to the Internet, permanent robot education at school or at home, assembling robots based on creativity and logical thinking, and robot control programs. It is to provide a robot education apparatus having an education effect at a relatively low cost than the school by operating after the assembly of the robot on the screen.

또한, 본 발명은 인터넷만 연결되면 로봇 제어 언어에 대한 학습과 에뮬레이션 및 실제 로봇과의 연동을 통하여 높은 학습효과를 얻을 수 있는 로봇 교육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obot education apparatus that can obtain a high learning effect through learning and emulation of the robot control language and interworking with a real robot if only the Internet is connected.

또한, 본 발명은 실제 로봇 제어, 조립, 동작을 학습하기 위하여 시간, 장소, 비용, 교사 수급 등 기존의 제한된 응용 환경에서 벗어나, 교육용 로봇 및 다양한 로봇 교육 콘텐츠를 이용해 문제 인식 및 문제 해결력을 배양할 수 있는 로봇 교육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to cultivate problem recognition and problem solving ability using educational robots and various robot educational contents, away from the existing limited application environment such as time, place, cost, and teacher supply to learn the actual robot control, assembly, and operation. It is to provide a robot teaching apparatus that can.

또한, 본 발명은 언제 어디서나 양질의 교육을 받을 수 있는 로봇 포털 사이트를 구축하여 로봇 만들기, 조립하기, 제어하기, 향 후 실제 로봇의 완성을 유도하도록 하는 학습 효과를 거둘 수 있는 로봇 교육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obot education apparatus that can achieve a learning effect to build a robot portal site that can receive a high quality education anytime, anywhere to create, assemble, control the robot, and induce the completion of the actual robot in the future. It is to.

본 발명이 제시하는 이외의 기술적 과제들은 하기의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The technical problems other tha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understood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로봇 학습을 위한 학습자의 단말기에 로봇 교육 관련 데이터를 전송하는 로봇 교육 장치에 있어서, 상기 학습자 단말기와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으로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 상기 학습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로봇 조립 신호에 상응하여 시뮬레이션된 로봇을 조립하며, 상기 학습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로봇 명령 함수에 상응하는 로봇 제어 결과를 출력하는 학습 처리부; 상기 로봇 명령 함수에 따른 로봇 제어 결과를 시뮬레이션하여 출력하는 시뮬레이션 처리부; 및 상기 로봇 명령 함수에 상응하여 하드웨어로 형성된 로봇의 동작을 제어하는 하드웨어 제어부를 포함하는 로봇 교육 장치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robot education apparatus for transmitting robot education related data to a learner's terminal for robot learning, the robot education apparatus comprising: a transceiver unit connected to the learner terminal through a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o transmit and receive data; A learning processor for assembling a simulated robot according to the robot assembly signal received from the learner terminal and outputting a robot control result corresponding to the robot command function received from the learner terminal; A simulation processing unit for simulating and outputting a robot control result according to the robot command function; And a hardware controller for controlling an operation of a robot formed of hardware corresponding to the robot command function.

또한, 본 실시예는 상기 로봇 명령 함수에 상응하여 동작하는 로봇을 촬영하여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비전 시스템을 더 포함하되, 상기 송수신부는 상기 생성된 영상 데이터를 상기 학습자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vision system for generating image data by photographing a robot operating according to the robot command function, wherein the transceiver may transmit the generated image data to the learner terminal.

여기서, 상기 학습 처리부는, 상기 제어될 로봇의 종류를 상기 학습자로부터 입력받아 설정하는 모델 설정부; 상기 설정된 로봇의 동작을 제어하는 함수를 상기 학습자로부터 입력받는 함수 입력부; 상기 학습자로부터 입력받은 로봇 동작 제어 함수의 목록을 표시하는 목록 표시부; 상기 설정된 로봇의 종류에 상응하여 상기 로봇이 이동하는 경로를 포함하는 맵을 출력하는 맵 표시부; 및 상기 로봇이 상기 맵의 경로를 이동하는 시간을 표시하는 시간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learning processor may include a model setting unit configured to receive and set a type of the robot to be controlled from the learner; A function input unit which receives a function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set robot from the learner; A list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list of robot motion control functions received from the learner; A map display unit configured to output a map including a path along which the robot moves according to the set type of the robot; And it may include a time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time the robot moves the path of the map.

또한, 상기 함수 입력부는 각 함수와 대응되는 함수 입력 버튼을 구비하며, 상기 학습자가 상기 함수 입력 버튼을 하나 혹은 여러 함수를 조합하여 클릭하는 경우 상기 대응되는 함수가 입력될 수 있다. The function input unit may include a function input button corresponding to each function, and the corresponding function may be input when the learner clicks the function input button in combination with one or several functions.

여기서, 상기 시간 표시부는 상기 맵 표시부에 표시된 맵의 경로에 상응하여 목표 시간 및 현재 이동 시간을 표시할 수 있다. The time display unit may display a target time and a current movement time corresponding to the path of the map displayed on the map display unit.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Other aspects, features, and advantages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rawings, claims, and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로봇 교육 장치는 학교와 가정에서 방과후 로봇 교실을 상설화하고 창의력, 논리적 사고력을 향상시키는 교육 효과를 가지며, 인터넷 기반에서 로봇 제어 언어에 대한 학습과 에뮬레이션 및 실제 로봇과의 연동을 통하여 높은 학습효과를 얻을 수 있다. The robot teach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ducational effect of permanentizing after-school robot classrooms and improving creativity and logical thinking in schools and homes, and through the internet-based learning and emulation of robot control language and interworking with real robots, Learning effect can be obtain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로봇 교육 장치는 기존 센서들의 제한된 응용 환경에서 벗어나 인간의 감각기능을 적용 시킬 수 있는 교육용 로봇 및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문제 인식 및 문제 해결력을 배양할 수 있으며, 언제 어디서나 양질의 교육을 받을 수 있는 로봇 포탈사이트를 구축하여 높은 학습 효과를 거둘 수 있다.
In addition, the robot educationa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cultivate problem recognition and problem solving ability using educational robots and various contents that can be applied to the human sensory function from the limited application environment of the existing sensors, anytime, anywhere high quality education By building a robot portal site that can receive a high learning effect can be achiev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로봇 교육 장치가 포함된 전체 시스템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로봇 교육 장치의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로봇 교육 장치 중 학습 처리부의 블록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로봇 교육 방법의 흐름도.
도 5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로봇 교육 장치의 화면 구성도.
도 10a 내지 도 10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로봇 교육 장치의 로봇 조립 화면 구성도.
1 is a block diagram of an entire system including a robot trai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block diagram of a robot trai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block diagram of a learning processing unit of the robot trai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lowchart of a robot train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to 9 are screen configuration diagrams of the robot trai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A to 10B are diagrams illustrating a robot assembly screen of the robot train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As the invention allows for various changes and numerous embodiments, particular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written description.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change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Terms including ordinal number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or connected to that other component, but it may be understood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present in between. Should be.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As used herein, the term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indicate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step, ac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on the specification, and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ex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the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components, or a combination thereof.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compon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gardless of the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explana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로봇 교육 장치가 포함된 전체 시스템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로봇 교육 장치(100), 로봇(200), 학습자 단말기(300), 에뮬레이터(400), 비전 시스템(500)이 도시된다. 1 is a block diagram of an entire system including a robot trai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 a robot training apparatus 100, a robot 200, a learner terminal 300, an emulator 400, and a vision system 500 are illustrated.

본 발명은 초중등 교육 과정에서 다루는 수학, 과학, 물리, 제어, 컴퓨터, 로봇 등 각종 지식이 모여 새로운 기술을 고안해 내는 학습 소재이며 로봇의 제작 및 작동 원리를 학습함으로써 기획력, 논리력, 응용력, 상상력, 창의력, 기억력, 문제 해결 능력 등을 향상시키는 교육인 로봇 교육을 학습자가 용이하게 온라인으로 수행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즉, 학습자가 인터넷을 통하여 시뮬레이션된 로봇을 조립하고, 하나 혹은 여러 함수를 조합하여 제어할 수 있는 다양한 명령을 통해 실제 하드웨어로 조립된 로봇을 조작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a learning material in which various kinds of knowledge such as mathematics, science, physics, control, computer, robot, etc. which are covered in the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curriculum come up with new technologies, and they learn planning, logic, application, imagination, and creativity It is a feature that learners can easily perform online robot education, which is an education to improve memory, problem solving ability, and the like. That is, the learner can assemble the simulated robot through the Internet, and can operate the robot assembled with real hardware through various commands that can be controlled by combining one or several functions.

로봇 교육 장치(100)는 학습자 단말기(300)로부터 로봇과 관련된 다양한 데이터를 수신하여 시뮬레이션되는 로봇을 조립하고, 실제 하드웨어로 제작된 로봇(200)을 제어할 수 있다. 로봇 교육 장치(100)는 서버로서 역할을 수행하며, 각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은 각 학습자 단말기(300)에 맞게 미들웨어로 제작될 수 있다. The robot training apparatus 100 may receive various data related to the robot from the learner terminal 300, assemble the robot to be simulated, and control the robot 200 manufactured with actual hardware. The robot teaching apparatus 100 functions as a server, and a program performing each function may be manufactured as middleware for each learner terminal 300.

학습자 단말기(300)는 학습자가 사용하는 단말기로서, 예를 들면, PC, 휴대용 단말기가 될 수 있으며, 휴대용 단말기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핸드 헬드 PC(Hand-Held PC), 노트북 컴퓨터, 랩탑 컴퓨터, 스마트폰, MP3 플레이어, MD 플레이어와 같이 범용의 또는 특화된 용도의 컴퓨팅 장치로서, 멀티미디어 재생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탑재함으로써 일정한 연산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단말기를 통칭하는 개념으로 해석된다.The learner terminal 300 is a terminal used by the learner, and may be, for example, a PC or a portable terminal. The portable terminal may be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 hand-held PC, a notebook computer, or a laptop. Computing device for general purpose or special purpose such as computer, smart phone, MP3 player, MD player, etc., which is a concept that collectively refers to a terminal capable of performing certain arithmetic operations by installing a microprocessor capable of performing multimedia playback functions. do.

에뮬레이터(400)는 학습자 단말기(300)로부터 수신한 로봇 조립 신호에 상응하여 조립되는 로봇을 에뮬레이션하기 위한 장치가 될 수 있다. The emulator 400 may be an apparatus for emulating a robot assembl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robot assembly signal received from the learner terminal 300.

비전 시스템(500)은 학습자 단말기(300)로부터 수신한 로봇 명령 함수에 상응하여 실제로 동작하는 하드웨어 로봇을 촬영하여 영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여기서, 비전 시스템(500)은 카메라처럼 실시간으로 촬영된 로봇이 표시되어 나타나는 화면이 될 수 있다. 생성된 영상 데이터는 학습자 단말기(300)에서 영상으로 출력될 수 있으므로, 학습자는 자신의 학습 결과를 체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e vision system 500 generates image data by photographing a hardware robot that actually operates in accordance with a robot command function received from the learner terminal 300. Here, the vision system 500 may be a screen in which a robot photographed in real time, such as a camera, is displayed. Since the generated image data may be output as an image from the learner terminal 300, the learner has an advantage of checking his or her learning result.

즉, 본 실시예에 따르면, 학습자가 로봇을 실제 구입하지 않더라도 로봇을 조립, 조작할 수 있도록, 인터넷 상에서 시뮬레이션을 이용하여 로봇을 조립하고, 로봇을 제어하기 위한 함수를 작성하여 실제 로봇을 동작시키며, 조작된 로봇은 비전 시스템(500)에 의해 촬영함으로써, 사용자는 자신이 동작을 제어한 로봇의 움직임을 볼 수 있으므로 인터넷 기반 로봇 제어 언어에 대한 학습과 에뮬레이션 및 실제 로봇과의 연동을 통하여 높은 학습 효과를 얻을 수 있다.
In other word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robot is assembled using simulation on the Internet, and a function for controlling the robot is operated so that the learner can assemble and operate the robot even if the robot is not actually purchased. Since the robot is photographed by the vision system 500, the user can see the movement of the robot whose motion is controlled by the user. Therefore, the user can view the robot-based language and learn about the internet-based robot control language and emulate it with the real robot. The effect can be obtained.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로봇 교육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로봇 교육 장치(100)는 송수신부(110), 학습 처리부(120), 피드백부(130), 시뮬레이션 처리부(140), 하드웨어 제어부(150), 제어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2 is a block diagram of a robot trai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the robot training apparatus 100 may include a transceiver 110, a learning processor 120, a feedback unit 130, a simulation processor 140, a hardware controller 150, and a controller 160. Can be.

송수신부(110)는 학습자 단말기(300)와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인터넷 등)으로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또한, 송수신부(1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비전 시스템(500)에서 생성된 영상 데이터를 학습자 단말기(300)로 전송할 수 있다. The transceiver 110 is connected to the learner terminal 300 by a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the Internet) to transmit and receive data. In addition, the transceiver 110 may transmit the image data generated by the vision system 500 to the learner terminal 300 as described above.

학습 처리부(120)는 학습자 단말기(300)에서 소정의 로봇 관련 데이터를 수신하여 이에 대한 학습 내용을 처리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즉, 학습 처리부(120)는 학습자 단말기(300)로부터 수신한 로봇 조립 신호에 상응하여 시뮬레이션된 로봇을 조립하며, 학습자 단말기(300)로부터 수신한 로봇 명령 함수에 상응하는 로봇 제어 결과를 출력한다. The learning processor 120 is a component for receiving predetermined robot-related data from the learner terminal 300 and processing learning contents thereof. That is, the learning processor 120 assembles the simulated robot in accordance with the robot assembly signal received from the learner terminal 300, and outputs a robot control result corresponding to the robot command function received from the learner terminal 300.

피드백부(130)는 학습자 단말기(30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에 피드백하여 생성된 관련 내용을 학습자 단말기(3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피드백부(130)는 학습 처리부(120)에 포함되어 기능하거나 또는 별도의 기능부로 구별될 수 있다. The feedback unit 130 may transmit the related content generated by feeding back the data received from the learner terminal 300 to the learner terminal 300. The feedback unit 130 may be included in the learning processor 120 to function or may be classified as a separate functional unit.

시뮬레이션 처리부(140)는 로봇 명령 함수에 따른 로봇 제어 결과를 시뮬레이션하여 출력한다. 또한, 시뮬레이션 처리부(140)는 로봇 조립을 위한 데이터를 수신하여 조립 과정을 시뮬레이션함으로써 로봇 조립 자체를 시뮬레이션으로 표시할 수 있다. The simulation processor 140 simulates and outputs a robot control result according to the robot command function. In addition, the simulation processor 140 may receive the data for robot assembly and simulate the assembly process to display the robot assembly itself as a simulation.

하드웨어 제어부(150)는 로봇 명령 함수에 상응하여 하드웨어로 형성된 로봇의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60)는 하나 혹은 여러 함수를 조합하여 상술한 다양한 각 기능 요소들이 개별적으로 또는 서로 연동하여 작동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The hardware controller 15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robot formed of hardware corresponding to the robot command function. The controller 160 may control one or more functions so that each of the various functional elements described above may operate individually or in conjunction with each other.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로봇 교육 장치 중 학습 처리부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학습 처리부(120)는 모델 설정부(121), 함수 입력부(122), 목록 표시부(123), 맵 표시부(124), 시간 표시부(125)를 포함할 수 있다. 3 is a block diagram of a learning processor of the robot train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3, the learning processor 120 may include a model setting unit 121, a function input unit 122, a list display unit 123, a map display unit 124, and a time display unit 125.

모델 설정부(121)는 제어될 로봇의 종류를 학습자로부터 입력받아 설정할 수 있다. 제어될 로봇의 종류는 미리 저장부(미도시)에 저장될 수 있으며, 학습자는 학습자 단말기(300)를 이용하여 로봇 모델을 직접 텍스트로 입력하거나 콤보 박스 등에서 선택하여 입력할 수 있다. The model setting unit 121 may receive and set the type of the robot to be controlled from the learner. The type of robot to be controlled may be stored in advance in a storage unit (not shown), and the learner may directly input the robot model as text using a learner terminal 300 or select and input a combo box.

함수 입력부(122)는 설정된 로봇의 동작을 제어하는 함수를 학습자로부터 입력받을 수 있다. 학습자는 학습자 단말기(300)를 이용하여 로봇이 동작할 함수를 미리 정해진 프로그램 언어, 예를 들면, C언어로 입력함으로써, 해당 언어를 학습할 수 있다. The function input unit 122 may receive a function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set robot from a learner. The learner can learn a corresponding language by inputting a function to operate the robot using a learner terminal 300 in a predetermined programming language, for example, C language.

목록 표시부(123)는 학습자로부터 입력받은 로봇 동작 제어 함수의 목록을 표시할 수 있다. 입력된 함수는 입력된 순서로 목록화되어 표시될 수 있다. The list display unit 123 may display a list of robot motion control functions received from the learner. The input functions may be listed and displayed in the input order.

맵 표시부(124)는 설정된 로봇의 종류에 상응하여 상기 로봇이 이동하는 경로를 포함하는 맵을 출력할 수 있다. 맵은 미리 구성되어 상술한 저장부에 저장될 수 있으며, 맵의 개수 및 종류는 다양할 수 있다. 학습자는 다양한 맵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고, 상술한 바와 같이 선택한 모델의 로봇이 선택된 해당 맵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The map display unit 124 may output a map including a path along which the robot moves according to the set type of the robot. The map may be preconfigured and stored in the storage unit described above, and the number and types of maps may vary. The learner can select one of various maps and allow the robot of the selected model to move on the selected map as described above.

시간 표시부(125)는 로봇이 맵의 경로를 이동하는 시간을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시간 표시부(125)는 맵 표시부(124)에 표시된 맵의 경로에 상응하여 목표 시간 및 현재 이동 시간을 표시할 수도 있다.
The time display unit 125 may display a time for the robot to move the path of the map. Here, the time display unit 125 may display the target time and the current movement time corresponding to the path of the map displayed on the map display unit 124.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로봇 교육 방법의 흐름도이다. 이하의 각 단계는 로봇 교육 장치(100), ActiveX(190) 및 로봇(200)이 주체가 되어 수행된다. 4 is a flowchart of a robot train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ach step below is performed by the robot training apparatus 100, the ActiveX 190, and the robot 200 as main subjects.

단계 S401에서, 로봇 교육 장치(100)는 학습자 단말기(300)로부터 수신하여 작성된 코드(로봇 명령 함수 등)를 ActiveX(190)에 전송한다. In operation S401, the robot training apparatus 100 transmits the code (robot command function, etc.) generated by the learner terminal 300 to the ActiveX 190.

단계 S402에서, ActiveX(190)는 수신한 코드가 문법적으로 오류가 있는 코드인지 검사한 후 오류가 있으면, 단계 S403에서, 로봇 교육 장치(100)에 코드 에러 메시지를 전송하고, 오류가 없으면, 단계 S404에서, 로봇에 상응하여 코드 컴파일을 한 후 소정의 파일 포맷, 예를 들면, HEX로 저장할 수 있다. In step S402, the ActiveX 190 checks whether the received code is a grammatically error code, and if there is an error, in step S403, transmits a code error message to the robot training apparatus 100, and if there is no error, In S404, the code may be compiled according to the robot and then stored in a predetermined file format, for example, HEX.

단계 S405에서, ActiveX(190)는 로봇(200)이 연결되었는지 체크하기 위해서 로봇(200)에 연결 메시지를 전송하고, 서로 정상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 단계 S406에서, 로봇(200)은 ActiveX(190)에 연결 성공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만약, ActiveX(190)와 로봇(200)이 정상적으로 연결되지 않은 경우, 즉, ActiveX(190)가 로봇(200)으로부터 정상적으로 연결 성공 메시지를 수신하지 않은 경우 ActiveX(190)는 로봇 교육 장치(100)에 연결 에러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In step S405, the ActiveX 190 transmits a connection message to the robot 200 to check whether the robot 200 is connected, and when the robots 200 are normally connected to each other, in step S406, the robot 200 is connected to the ActiveX 190. To send a connection success message. If the ActiveX 190 and the robot 200 are not normally connected, that is, the ActiveX 190 does not receive a connection success message from the robot 200 normally, the ActiveX 190 is the robot training apparatus 100. You can send a connection error message.

단계 S407에서, ActiveX(190)는 로봇(200)에 코드가 컴파일된 파일을 전송하며, 로봇(200)이 코드를 정상적으로 기록하는 경우 로봇(200)은 ActiveX(190)에 기록 성공 메시지를 전송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기록 실패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In step S407, the ActiveX 190 transmits the file in which the code is compiled to the robot 200, and when the robot 200 normally records the code, the robot 200 transmits a write success message to the ActiveX 190. If not, the write failure message can be sent.

단계 S408에서, 로봇 교육 장치(100)가 ActiveX(190)에 로봇(200)을 작동시키기 위한 소정의 로봇 작동 명령을 전송하는 경우 단계 S409에서, ActiveX(190)은 로봇 작동 명령을 로봇(200)이 인식할 수 있는 포맷으로 변환한 후 로봇(200)에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410에서, 로봇(200)은 수신한 로봇 작동 명령에 상응하여 작동할 수 있다. In step S408, when the robot training apparatus 100 transmits a predetermined robot operation command for operating the robot 200 to the ActiveX 190, in step S409, the ActiveX 190 sends the robot operation command to the robot 200. This can be converted into a recognizable format and then transmitted to the robot 200. In operation S410, the robot 200 may operate according to the received robot operation command.

또한, 단계 S411에서, 로봇 교육 장치(100)가 ActiveX(190)에 로봇(200)을 정지시키기 위한 로봇 정지 명령을 전송하는 경우 단계 S412에서, ActiveX(190)은 로봇 정지 명령을 로봇(200)이 인식할 수 있는 포맷으로 변환한 후 로봇(200)에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413에서, 로봇(200)은 수신한 로봇 정지 명령에 상응하여 정지할 수 있다.
Also, in step S411, when the robot training apparatus 100 transmits a robot stop command for stopping the robot 200 to the ActiveX 190, in step S412, the ActiveX 190 issues the robot stop command to the robot 200. This can be converted into a recognizable format and then transmitted to the robot 200. In operation S413, the robot 200 may stop in response to the received robot stop command.

도 5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로봇 교육 장치의 화면 구성도이다.5 to 9 are screen configuration diagrams of the robot trai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인터페이스 구성 그림에서 왼쪽 상단의 그림은 작동할 로봇의 모델을 설정하고 로봇의 구동 함수를 삽입하는 버튼과 삭제 및 초기화, 이전단계로 넘어가는 버튼 그리고 교육자가 미리 설정해둔 답을 확인할 수 있는 정답 버튼으로 구성될 수 있다. 왼쪽 하단의 그림은 선택된 종류의 로봇의 미션과 목표시간 및 이동시간(현재 이동 시간)을 체크할 수 있는 계기판 역할을 할 수 있다. 오른쪽 그림 Function List의 경우, 로봇 구동 함수 삽입시 보여주는 창으로써 구동함수의 목록과 미션종류, 미리보기, 시뮬레이션 시작을 할 수 있는 버튼으로 구성될 수 있다. 모델이 설정되고 나면 해당 모델에 맞는 버튼이 나타날 수 있다. 또한, 명령어전송~ 버튼은 삽입된 명령어들을 실제 로봇에 명령어를 전달하는 버튼으로써 ActiveX를 사용하여 명령을 전달한다.Referring to FIG. 5, the figure at the top left of the interface configuration diagram shows a button for setting a model of the robot to operate, a button for inserting a robot's driving function, a delete and initialization, a button for moving to the previous step, and an answer previously set by the educator. It can be configured as a correct answer button to check. The figure on the bottom left can serve as a dashboard to check the mission, target time and travel time (current travel time) of the selected type of robot. In the Function List on the right, the window that is displayed when the robot drive function is inserted can be composed of a list of drive functions, a button to start the mission, preview and start simulation. Once a model has been set up, a button for that model may appear. In addition, the command transmission ~ button is a button for transmitting the inserted commands to the actual robot, and the commands are transmitted using ActiveX.

도 6을 참조하면, 입문 단계에서는 다양한 미션, 예를 들면, 전체 10가지 미션이 존재하며 각각의 미션마다 경로가 다르며 LED와 버저의 위치 및 횟수를 다르게 할 수 있다. 각 LED 점등 및 버저의 작동은 상술한 로봇 명령 함수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미션버튼은 10가지 미션중 랜덤하게 선택될 수 있다. 미리보기버튼이 구비되어 각 미션에 맞는 3D화면을 보여줄 수 있다. 또한, 시작버튼이 구비되어 2D화면에서 로봇이 Function List의 함수목록의 순서대로 움직이도록 실행시킬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in the introductory stage, there are various missions, for example, 10 missions in total, and the paths are different for each mission, and the position and the number of LEDs and buzzers may be different. Each LED lighting and operation of the buzzer can be controlled by the robot command function described above. The mission button may be randomly selected from 10 missions. Preview button is provided to show 3D screen for each mission. In addition, the start button is provided to enable the robot to move in the order of the function list in the Function List on the 2D screen.

도 7을 참조하면, 초급 단계에서는 랜덤한 미션이 존재하며 각각의 미션마다 LED와 버저의 위치 및 횟수를 다를 수 있다. 미션버튼이 구비되어, LED와 버저의 위치와 횟수를 다르게 맵에 위치시킬 수 있다. 또한, 시작버튼이 구비되어, 2D화면에서 로봇이 Function List의 함수목록의 순서대로 움직이도록 실행시킬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in the beginner stage, a random mission exists and the position and the number of the LED and the buzzer may be different for each mission. The mission button is provided so that the position and the number of LEDs and buzzers can be positioned differently on the map. In addition, a start button is provided so that the robot moves in the order of the function list of the function list on the 2D screen.

도 8을 참조하면, 소정의 모델, 예를 들면, HelicopterBot 모델이 선택된다. 왼쪽 상단에서 함수를 입력하는 부분이 구비되고, 왼쪽 하단에서는 함수목록이 나타나며 오른쪽 상단에서는 미리보기 3D view가 있으며 오른쪽 하단에서는 2D 로 실제 함수목록에 따른 움직임을 보여주는 역할을 한다. 함수의 종류는,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을 수 있다. Referring to FIG. 8, a predetermined model, for example, a HelicopterBot model, is selected. In the upper left, there is a part for inputting the function. In the lower left, a function list appears. In the upper right, there is a preview 3D view. The type of function may be, for example, as follows.

START(); -> 시작START (); -> Start

ON(); -> Port ON 설정ON (); -> Port ON setting

OFF(); -> Port OFF 설정OFF (); -> Port OFF setting

DCMOTOR1(); -> 모터1의 방향과 속도 설정DCMOTOR1 (); -> Motor 1 direction and speed setting

DELAY(); -> 1~10초간 지속 시간 설정DELAY (); -> Set duration for 1-10 seconds

함수의 설정이 끝나고 '명령어전송~' 이라는 버튼을 클릭하면, ActiveX를 이용하여 실제 로봇에 실시간으로 명령어가 전달될 수 있으며, 명령어를 전달받은 로봇은 명령어순서에 맞게 구동할 수 있다. After setting the function, click 'Send command ~' button, the command can be delivered to the real robot in real time by using ActiveX, and the robot can receive the command in order.

도 8에서, '로직 변환'이라는 버튼을 클릭하게 되면 C언어로의 실습이 아닌 로직으로의 구동할 수 있는 화면이 나타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하여 간단한 클릭만으로 관련 로봇을 쉽게 구동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의 흥미와 관심을 더욱 고취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함수 입력부(122)는 각 함수와 대응되는 함수 입력 버튼을 구비하며, 학습자가 함수 입력 버튼을 클릭하는 경우 대응되는 함수가 입력되도록 할 수 있다. In FIG. 8, when the button “Logic transformation” is clicked, a screen for driving to logic, rather than training in C language, may appear. Referring to FIG. 9, the robot can be easily driven with a simple click for the convenience of the user. This has the effect of further inspiring interest and interest of the user. That is, as described above, the function input unit 122 may include a function input button corresponding to each function, and the corresponding function may be input when the learner clicks the function input button.

사용방법은 왼쪽 파란색 사각형 안의 함수들 중에 필요한 함수를 클릭 시 오른쪽에 소정의 라인을 따라 삽입될 수 있다. 학습자가 삽입된 함수를 클릭 시 소정의 옵션창이 나타나게 되며 학습자는 관련된 세부 사항을 설정할 수 있다.  The usage may be inserted along a predetermined line on the right side when the required function is clicked among the functions in the left blue square. When the learner clicks the inserted function, a predetermined option window appears and the learner can set the related details.

도 10a 내지 도 10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로봇 교육 장치의 로봇 조립 화면 구성도이다. 도 10a 내지 도 10b를 참조하면, 학습자의 손 형상이 시뮬레이션되어 있으며, 학습자의 손가락이 부품을 선택하여 조립되는 위치로 이동시키면, 해당 부품은 조립되어 도 10b와 같이 최종적으로 조립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학습자는 CPU, 모터, 센서, 프로그래밍에 대해서 학습할 수 있으며 다양한 경로 설정으로 프로그램의 원리를 익히도록 할 수 있다.
10a to 10b is a block diagram of the robot assembly screen of the robot trai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A to 10B, the shape of the learner's hand is simulated, and when the learner's finger is moved to a position where the learner's finger is selected and assembled, the corresponding parts may be assembled and finally assembled as shown in FIG. 10B. With this configuration, the learner can learn about the CPU, motor, sensor, programming, and learn the principles of the program by setting various paths.

그 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로봇 교육 장치에 대한 구체적인 화면 구성, 임베디드 시스템, O/S 등의 공통 플랫폼 기술과 통신 프로토콜, I/O 인터페이스 등 인터페이스 표준화 기술 및 엑추에이터, 배터리, 카메라, 센서 등 부품 표준화 기술 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In addition, the specific screen configuration of the robot edu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mon platform technology such as embedded system, O / S, communication protocol, interface standardization technology such as I / O interface, actuator, battery, camera, sensor, etc.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art standardization technology, etc. will be omitted since it is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본 발명에 따른 로봇 교육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즉, 기록 매체는 컴퓨터에 상술한 각 단계를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가 될 수 있다.The robot teach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instructions that can be executed by various computer means and recorded in a computer readable medium. That is, the recording medium may be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ed thereon a program for causing a computer to execute the steps described above.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한 형태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The computer readable medium may include a program command, a data file, a data structure, etc. alone or in combination.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on the media may be those specially designed and constructed for the purposes of the present invention, or they may be of the kind well-known and available to those having skill in the computer software arts. Examples of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a hard disk, a floppy disk and a magnetic tape, optical recording media such as CD-ROM and DVD, magnetic recording media such as a floppy disk Optical media, and hardware devices specific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또한, 상술한 각 구성 요소는 물리적으로 인접한 하나의 부품으로 구현되거나 서로 다른 부품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 각 구성 요소는 인접하거나 또는 서로 다른 구역에 위치하여 제어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본 발명은 각 구성 요소를 제어하는 별도의 제어수단 또는 제어실을 구비하여 유선 또는 무선으로 각 구성요소를 제어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each of the above-described components may be implemented in one physically adjacent component or may be implemented in different components. In the latter case, each component may be controlled by being located adjacent or in different zones. In this case,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separate control means or control room for controlling each component to control each component by wire or wirelessly. You may.

상기한 바에서, 각 실시예에서 설명한 각 구성요소 및/또는 기능은 서로 복합적으로 결합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In the above description, the respective components and / or functions described in the embodiments may be combined and combined,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100 : 로봇 교육 장치 110 : 송수신부
120 : 학습 처리부 121 : 모델 설정부
122 : 함수 입력부 123 : 목록 표시부
124 : 맵 표시부 125 : 시간 표시부
130 : 피드백부 140 : 시뮬레이션 처리부
150 : 하드웨어 제어부 160 : 제어부
200 : 로봇 300 : 학습자 단말기
400 : 에뮬레이터 500 : 비전 시스템
100: robot training device 110: transceiver
120: learning processing unit 121: model setting unit
122: function input unit 123: list display unit
124: map display unit 125: time display unit
130: feedback unit 140: simulation processing unit
150: hardware control unit 160: control unit
200: robot 300: learner terminal
400: Emulator 500: Vision System

Claims (5)

로봇 학습을 위한 학습자의 단말기에 로봇 교육 관련 데이터를 전송하는 로봇 교육 장치에 있어서,
상기 학습자 단말기와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으로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
상기 학습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로봇 조립 신호에 상응하여 시뮬레이션된 로봇을 조립하며, 상기 학습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로봇 명령 함수에 상응하는 로봇 제어 결과를 출력하는 학습 처리부;
상기 로봇 명령 함수에 따른 로봇 제어 결과를 시뮬레이션하여 출력하는 시뮬레이션 처리부; 및
상기 로봇 명령 함수에 상응하여 하드웨어로 형성된 로봇의 동작을 제어하는 하드웨어 제어부를 포함하는 로봇 교육 장치.
In the robot training apparatus for transmitting the robot training related data to the learner's terminal for the robot learning,
A transmitter / receiver connected to the learner terminal through a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o transmit and receive data;
A learning processor for assembling a simulated robot according to the robot assembly signal received from the learner terminal and outputting a robot control result corresponding to the robot command function received from the learner terminal;
A simulation processing unit for simulating and outputting a robot control result according to the robot command function; And
And a hardware controller for controlling an operation of a robot formed of hardware corresponding to the robot command fun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봇 명령 함수에 상응하여 동작하는 로봇을 촬영하여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비전 시스템을 더 포함하되,
상기 송수신부는 상기 생성된 영상 데이터를 상기 학습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교육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vision system for generating image data by photographing a robot operating in correspondence with the robot command function,
The transceiver training apparatus for transmitting the generated image data to the learner termi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 처리부는,
상기 제어될 로봇의 종류를 상기 학습자로부터 입력받아 설정하는 모델 설정부;
상기 설정된 로봇의 동작을 제어하는 함수를 상기 학습자로부터 입력받는 함수 입력부;
상기 학습자로부터 입력받은 로봇 동작 제어 함수의 목록을 표시하는 목록 표시부;
상기 설정된 로봇의 종류에 상응하여 상기 로봇이 이동하는 경로를 포함하는 맵을 출력하는 맵 표시부; 및
상기 로봇이 상기 맵의 경로를 이동하는 시간을 표시하는 시간 표시부를 포함하는 로봇 교육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learning processing unit,
A model setting unit configured to receive and set a type of the robot to be controlled from the learner;
A function input unit which receives a function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set robot from the learner;
A list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list of robot motion control functions received from the learner;
A map display unit configured to output a map including a path along which the robot moves according to the set type of the robot; And
And a time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time for the robot to move the path of the map.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함수 입력부는 각 함수와 대응되는 함수 입력 버튼을 구비하며, 상기 학습자가 상기 함수 입력 버튼을 클릭하는 경우 상기 대응되는 함수가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교육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function input unit includes a function input button corresponding to each function, and the corresponding function is input when the learner clicks the function input button.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 표시부는 상기 맵 표시부에 표시된 맵의 경로에 상응하여 목표 시간 및 현재 이동 시간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교육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And the time display unit displays a target time and a current movement time corresponding to the path of the map displayed on the map display unit.
KR1020100104884A 2010-10-26 2010-10-26 Apparatus for educating a robot KR10150559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4884A KR101505598B1 (en) 2010-10-26 2010-10-26 Apparatus for educating a robo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4884A KR101505598B1 (en) 2010-10-26 2010-10-26 Apparatus for educating a robo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3543A true KR20120043543A (en) 2012-05-04
KR101505598B1 KR101505598B1 (en) 2015-03-24

Family

ID=462637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4884A KR101505598B1 (en) 2010-10-26 2010-10-26 Apparatus for educating a robo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5598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247216A (en) * 2013-04-16 2013-08-14 上海交通大学 Teaching experiment device based on miniature intelligent vehicle
CN109192044A (en) * 2018-08-16 2019-01-11 合肥永屹智能制造职业培训学校 Training platform is used in a kind of teaching of robotic asssembly
KR102146375B1 (en) * 2019-04-03 2020-08-20 전남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Platform system for robot simulator based on mixed reality
CN116402647A (en) * 2023-02-22 2023-07-07 广州冠科技术股份有限公司 Teaching robot intelligent regulation and control system and method based on virtual reality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61539A (en) * 1997-12-31 1999-07-26 추호석 Robot motion simulation device
KR20020061186A (en) * 2001-01-15 2002-07-24 주식회사 보스텍 A study system for the control, design and application of robot
KR20030073419A (en) * 2002-03-11 2003-09-19 주식회사 보스텍 Apparatus for supporting development of robot
KR100756345B1 (en) 2006-12-04 2007-09-10 (주)시뮬레이션연구소 Robot simulation system using the network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247216A (en) * 2013-04-16 2013-08-14 上海交通大学 Teaching experiment device based on miniature intelligent vehicle
CN109192044A (en) * 2018-08-16 2019-01-11 合肥永屹智能制造职业培训学校 Training platform is used in a kind of teaching of robotic asssembly
KR102146375B1 (en) * 2019-04-03 2020-08-20 전남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Platform system for robot simulator based on mixed reality
CN116402647A (en) * 2023-02-22 2023-07-07 广州冠科技术股份有限公司 Teaching robot intelligent regulation and control system and method based on virtual reality
CN116402647B (en) * 2023-02-22 2023-12-05 广州冠科技术股份有限公司 Teaching robot intelligent regulation and control system and method based on virtual realit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5598B1 (en) 2015-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radley et al. A review of computer simulations in teacher education
Lew et al. Using LEGO MINDSTORMS NXT and LEJOS in an advanced software engineering course
Riojas et al. Educational technologies for precollege engineering education
Hassan et al. Smartphone-based industrial informatics projects and laboratories
Chen et al. Enhancing an instructional design model for virtual reality-based learning
Thakkar et al. Learning math using gesture
Salcedo et al. New tools and methodologies for programming languages learning using the scribbler robot and Alice
CN110428680A (en) The Mathematics and Applied Mathematics normal student classroom skill training system of Virtual Simulation
KR101505598B1 (en) Apparatus for educating a robot
Rossiter et al. Opportunities and good practice in control education: a survey
Häfner et al. Experiencing physical and technical phenomena in schools using virtual reality driving simulator
Kraus et al. Struct-mrt: Immersive learning and teaching of design and verification in structural civil engineering using mixed reality
Ueyama et al. An Inexpensive Autonomous Mobile Robot for Undergraduate Education: Integration of Arduino and Hokuyo Laser Range Finders
Greig et al. Enhancing agricultural education through virtual reality: Facilitation, application, reflection, and measurement in the classroom
Mohamed VFST: Virtual and fully software based toolchain for PC interfacing education and research
Chou et al. Development of a game-based learning system using toy robots
Mistretta Virtual robotics in hybrid teaching and learning
Mariappan et al. A design methodology of programmable tangible blocks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al robotic system
Aroca et al. Mobile robotics integration in introductory undergraduate engineering courses
Ziouzios et al. Utilizing Robotics for Learning English as a Foreign Language
Husin et al. Tinkercad simulation software to optimize online teaching and learning in embedded internet of things
Caceffo et al. Socio-enactive systems: The educational scenario
Negrini et al. Designing tools and activities for educational robotics in online learning
Morgan et al. IoT-based building automation and energy management
Moorman et al. Using robots in undergraduate ai courses at small universit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21204

Effective date: 20140520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