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42489A - Reference scales for evaluating sensory characteristics of foods and the methods for evaluating sensory characteristics thereby - Google Patents

Reference scales for evaluating sensory characteristics of foods and the methods for evaluating sensory characteristics thereb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42489A
KR20120042489A KR1020100104201A KR20100104201A KR20120042489A KR 20120042489 A KR20120042489 A KR 20120042489A KR 1020100104201 A KR1020100104201 A KR 1020100104201A KR 20100104201 A KR20100104201 A KR 20100104201A KR 20120042489 A KR20120042489 A KR 201200424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vor
sensory
food
standard
samp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420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광옥
홍재희
윤은경
정서진
이규원
Original Assignee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001042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42489A/en
Publication of KR201200424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2489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0001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by organoleptic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02Foo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02Food
    • G01N33/12Meat; Fish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02Food
    • G01N33/14Beverag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Seasonings (AREA)

Abstract

PURPOSE: A method for evaluating functional characteristic of foods using regression equation is provided to be used for new product development, processing, product quality management, and marketing. CONSTITUTION: A method for evaluating functional characteristic of food comprises: a step of setting reference scale with intensity of functional characteristic of foods; a step of preparing standard material corresponding to anchor point of intensity of each functional characteristic on the reference scale to evaluate functional characteristic thereof; and a step of comparing with the intensity of functional characteristic of the standard material to numerically evaluating functional characteristic of a food sample.

Description

식품의 주요 관능적 특성 평가를 위한 표준척도 및 이를 이용한 관능적 특성 평가방법{Reference Scales for Evaluating Sensory Characteristics of Foods and the Methods for Evaluating Sensory Characteristics Thereby}Reference Scales for Evaluating Sensory Characteristics of Foods and the Methods for Evaluating Sensory Characteristics Thereby}

본 발명은 표준척도를 이용한 식품의 관능적 특성의 평가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evaluating the sensory properties of food using a standard scale.

식품의 관능검사(sensory evaluation)란 통계학, 정신물리학, 식품학 등의 이론을 기초로 하여 미리 계획된 조건하에 훈련된 검사원의 감각기능(시각, 후각, 미각, 청각, 촉각 등)을 이용하여 식품의 외관, 풍미, 조직감, 결함 등 관능적 요소들을 평가하고 그 결과를 통계적으로 분석하고 해석하는 것을 말한다. 관능검사 결과는 제품(시료)의 특성을 파악하고 소비자 기호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평가하는데 이용되고 있으며 신제품 개발, 제품 안전성(저장성), 가공 공정, 품질관리, 판매, 마케팅, 포장 및 디자인 등 다양한 분야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다.Sensory evaluation of food is the appearance of food using sensory functions (visual, olfactory, taste, auditory, tactile, etc.) of inspectors trained under pre-planned conditions based on theories of statistics, psychophysics, and food science. The evaluation of sensory factors such as taste, flavor, texture, and defects, and the statistical analysis and interpretation of the results. Sensory test results are used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products (samples) and to evaluate their impact on consumer preferences.In various fields such as new product development, product safety (storability), processing processes, quality control, sales, marketing, packaging and design It is widely used.

관능검사는 시료 또는 식품 간에 대상자가 느끼는 맛의 차이 및 그 정도를 측정하는‘차이식별검사(discriminative test)’, 시료 간의 차이점을 구체적으로 묘사하는‘묘사분석(descriptive analysis)’, 대상자가 특정한 시료 또는 식품을 얼마나 좋아하고 어느 것을 더 좋아하는지에 대한 '기호도 검사(affective test)'로 크게 구분된다. 상기 관능검사 방법 중 가장 정교한 방법인 묘사분석은 소수의 고도로 훈련된 검사요원에 의해 감지된 제품의 관능적 특성을 질적 및 양적으로 묘사하는 방법으로, 식품의 질적 측면(특성), 양적 측면(강도), 시간 개념(특성 출현순서), 통합적 측면(전체적 인상) 등의 개념들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관능검사 결과 활용의 현 수준은 차이 식별 검사를 통하여 원료, 가공 공정, 포장, 저장 방법의 변화가 제품의 품질 변화를 유발하는지를 파악하거나, 소비자 집단의 기호도 또는 선호도를 측정하여 신제품 출시의 의사결정을 위한 근거 자료로 활용되는 정도이며, 관능적 특성을 세부적으로 분류하여 각 특성에 대한 평가를 반복 재현시 동일한 결과가 도출될만큼 신뢰성있는 기준이 마련되지는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The sensory test is a 'discriminative test' that measures the difference and the degree of taste that a subject feels between samples or foods, a 'descriptive analysis' that specifically describes the differences between samples, Or 'affective test' on how much you like food and which you like more. Descriptive analysis, the most sophisticated method of the sensory test method, is a method of describing the sensory characteristics of a product sensed by a few highly trained inspectors qualitatively and quantitatively. It also features concepts such as the concept of time (the order of appearance of characteristics) and the integration aspect (overall impressions). However, the current level of utilization of sensory test results is to identify whether changes in raw materials, processing processes, packaging, and storage methods cause changes in product quality through the difference identification test, or to determine the release of new products by measuring the preference or preference of consumer groups. It is used as a basis for the data, and it is not possible to establish a reliable standard so that the same results are obtained when the sensory characteristics are classified in detail and the evaluation of each characteristic is repeatedly reproduced.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다수의 논문 및 특허문헌이 참조되고 그 인용이 표시되어 있다. 인용된 논문 및 특허문헌의 개시 내용은 그 전체로서 본 명세서에 참조로 삽입되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수준 및 본 발명의 내용이 보다 명확하게 설명된다.
Numerous papers and patent documents are referenced and cited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The disclosures of cited papers and patent documents are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in their entirety, and the level of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and the cont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more clearly explained.

본 발명자들은 검사원들의 주관적인 기준에 좌우되어 객관적인 평가기 어려운 식품의 관능적 특성을 평가하는 효율적이고 재현성있는 평가방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예의 연구 노력하였다. 그 결과 다양한 관능적 특성을 나타내도록 하는 표준물질을 다양한 농도로 준비하여 이의 강도(intensity)를 수치화하고, 다양한 조성이 포함된 식품을 제시하기 전에 상기 강도별 표준물질을 제시할 경우 반복 실시에도 동일 또는 매우 유사한 수치적이고 객관적인 대상 식품의 관능적 특성에 대한 평가결과가 도출된다는 사실을 발견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The present inventors made diligent research efforts to develop an efficient and reproducible evaluation method for evaluating sensory characteristics of foods which are difficult to objectively evaluate, depending on the subjective criteria of the inspectors. As a result, a standard material having various organoleptic properties is prepared at various concentrations to quantify its intensity, and when the standard material for each strength is presented before presenting a food containing various compositions, the same or repeated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ompleted by finding that very similar numerical and objective evaluations of the sensory properties of the subject food are derived.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식품의 관능적 특성 평가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It is theref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for evaluating the sensory properties of food.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이점은 하기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 청구범위 및 도면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된다.
Other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claims and drawings.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다음의 단계를 포함하는 식품의 관능적 특성 평가방법을 제공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evaluating the organoleptic properties of a food comprising the following steps:

(a) 식품의 관능적 특성의 강도(intensity)를 나타내는 표준척도(reference scale)를 설정하는 단계;(a) establishing a reference scale indicative of the intensity of the sensory properties of the food;

(b) 상기 표준척도 상의 각 관능적 특성의 강도 정박점(anchor point)에 해당하는 표준물질을 준비하여 이의 관능적 특성을 평가하는 단계; 및(b) preparing a standard material corresponding to an intensity anchor point of each sensory property on the standard scale and evaluating the sensory property thereof; And

(c) 상기 표준물질의 관능적 특성의 강도(intensity)와 비교하여 상기 식품 시료의 관능적 특성을 수치적으로 정량화하는 단계. (c) numerically quantifying the sensory properties of the food sample compared to the intensity of the sensory properties of the standard.

본 발명자들은 검사원들의 주관적인 기준에 좌우되어 객관적인 평가기 어려운 식품의 관능적 특성을 평가하는 효율적이고 재현성있는 평가방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예의 연구 노력하였다. 그 결과 다양한 관능적 특성을 나타내도록 하는 표준물질을 다양한 농도로 준비하여 이의 강도(intensity)를 수치화하고, 다양한 조성이 포함된 식품을 제시하기 전에 상기 강도별 표준물질을 제시할 경우 반복 실시에도 동일 또는 매우 유사한 수치적이고 객관적인 대상식품의 관능적 특성에 대한 평가결과가 도출된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The present inventors made diligent research efforts to develop an efficient and reproducible evaluation method for evaluating sensory characteristics of foods which are difficult to objectively evaluate, depending on the subjective criteria of the inspectors. As a result, a standard material having various organoleptic properties is prepared at various concentrations to quantify its intensity, and when the standard material for each strength is presented before presenting a food containing various compositions, the same or repeated We found that results of evaluation of sensory characteristics of very similar numerical and objective foods were derived.

본 발명의 방법을 각각의 단계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accordance with the respective steps.

단계 (a) : 식품의 관능적 특성의 강도(Step (a): intensity of sensory properties of food ( intensityintensity )를 나타내는 표준척도(Standard scale () referencereference scalescale )를 설정하는 단계Steps to set up)

본 발명에서 용어“관능적 특성(sensory attribute)”이란 대상 물질이 감각기관에 직접적으로 주는 느낌을 조사 및 평가하여 얻어진 대상 물질의 특성을 말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관능적 특성은 대상물질의 맛(taste), 향(odor) 또는 구강에서 느껴지는 조직감(texture) 및 입촉감(mouth feel)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감각기관을 통해 수용되는 대상물질의 모든 자극을 포함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 "sensory attribute" refers to a characteristic of the target substance obtained by examining and evaluating the feeling that the target substance directly gives to the sense organs. More specifically, the sensory properties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the tastes, odors, or textures and mouth feels of the subject material that are accepted through the sensory organs. Contains all the stimuli of the substance.

본 발명에서 용어 “관능적 특성의 강도(intensity of sensory attribute)”는 각 관능적 특성의 강약을 상대적으로 표시한 값을 말한다. 본 발명자들은 식품의 관능적 특성에 대한 반복 재현성이 있는 데이터를 얻기 위하여 검사원들의 주관적 기준에 좌우되지 않는 객관적인 상대값을 구축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자들은 각 관능적 특성의 강도를 표현하는 표준 척도를 설정하고, 기준시료와 비교한 각 관능적 특성의 강도를 표준척도 상의 점수(point)로 수치화하여 평가할 수 있도록 하였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 "intensity of sensory attribute" refers to a value indicating relative strength of each sensory characteristic. The present inventors have sought to establish objective relative values that do not depend on the subjective criteria of the inspectors in order to obtain reproducible data on organoleptic properties of food. 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ors set a standard scale expressing the intensity of each sensory characteristic, and the intensity of each sensory characteristic compared to the reference sample was numerically evaluated by a point on the standard scale.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a) 단계는 (ⅰ) 특정 관능적 특성을 나타내도록 하는 각 표준물질을 각기 다른 농도로 준비하는 단계; (ⅱ) 상기 각기 다른 농도의 각 표준물질의 관능적 특성을 수치적으로 평가하는 단계; (ⅲ) 상기 각 표준물질의 농도와 상기 평가 결과 간의 관계를 회귀식(regression equation)으로 도출하는 단계; 및 (ⅳ) 상기 도출된 회귀식으로부터 관능적 특성의 강도 정박점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tep (a)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i) preparing each standard at different concentrations to exhibit specific organoleptic properties; (Ii) numerically evaluating sensory properties of each standard at different concentrations; (Iii) deriving a relationship between the concentration of each standard and the evaluation result as a regression equation; And (iii) setting the intensity anchor point of the sensory properties from the derived regression equation.

본 발명에서 용어“표준물질”은 각 관능적 특성을 나타내도록 하는 대표 물질을 말한다. 예를 들어 단맛을 대표하는 수크로스(sucrose) 용액, 짠맛을 대표하는 염화나트륨(NaCl) 용액, 마늘향을 대표하는 다진 마늘 및 간장의 혼합액 등이 각 관능적 특성의 표준물질이 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 "standard substance" refers to a representative substance to exhibit each sensory characteristic. For example, a sucrose solution representing a sweet taste, a sodium chloride (NaCl) solution representing a salty taste, a crushed garlic representing a garlic flavor, and a mixture of soy sauce become standard materials for each sensory characteristic.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자들은 이미 설정된 표준물질을 0-10%의 각 농도별로 준비한 뒤 이를 검사원들에게 제시, 그 강도를 수치적으로 평가하도록 하였다. 예를 들어 단맛(sweet taste)에 대하여 수크로스 용액을 0.50% 에서 4.00% 까지 다양한 농도구배로 준비하여 검사원에게 제시하고 해당 표준물질 시료가 나타내는 단맛의 강도를 1-9점으로 평가하도록 한다. 이후 다수의 검사원들이 동일 시료에 대해 평가한 값의 평균을 구한 뒤에, 평균값과 해당시료의 표준물질의 농도 간의 회귀식을 도출하였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ors prepared a standard material for each concentration of 0-10% and present it to the inspectors to numerically evaluate the strength. For example, prepare a sucrose solution with varying concentration gradients from 0.50% to 4.00% for sweet taste and present it to the inspector and evaluate the intensity of the sweet taste represented by the sample of the standard as 1-9 points. Since several testers averaged the values evaluated for the same sample, a regression equation was derived between the mean value and the concentration of the standard in the sample.

본 명세서에서 용어“회귀식(regression equation)”이란 둘 이상의 변수(variable) 간의 관계를 표현하는 함수식(equation)을 말한다. 본 발명의 회귀식은 표준물질의 농도-인지감각의 강도간의 상관관계를 보여주는 함수식이다. As used herein, the term “regression equation” refers to an equation that expresses a relationship between two or more variables. The regression equ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functional equation show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oncentration of the reference material and the intensity of cognition.

상기 도출된 회귀식을 이용하여 표준물질의 특정 농도가 해당 관능적 특성의 몇점에 해당하는 강도를 가지는지에 대한 표준 척도를 도출하게 된다. 이러한 표준척도는 이후 복수의 표준물질이 향미료로서 첨가되어 서로의 관능적 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조리식품에서 각 표준물질들이 각각 어느 정도의 관능적 특성 강도를 가지는지를 평가하는 기준자료가 된다. The derived regression equation is used to derive a standard measure of how much of a certain concentration of standard substance has intensity corresponding to the sensory characteristic. This standard scale is then used as a standard for evaluating the degree of sensory strength of each standard in cooked foods in which a plurality of standards are added as a flavor and affect each other's sensory properties.

본 명세서 전반에 걸쳐, 특정 물질의 농도를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되는 “%“는 별도의 언급이 없는 경우, 고체/고체는 (중량/중량) %, 고체/액체는 (중량/부피) %, 그리고 액체/액체는 (부피/부피) %이다.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unless otherwise indicated, “%” used to indicate the concentration of a particular substance is solid / solid (weight / weight)%, solid / liquid (weight / volume)%, and Liquid / liquid is (volume / volume)%.

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방법은 상기 (a) 단계의 상기 (ⅱ) 단계 및 상기 (ⅲ) 단계 사이에 상기 단일의 수치적 평가결과가 동일한 농도의 표준물질에 대해 전체 평균 평가점수와 기준점 이상의 차이가 나는 경우 평균점수와 기준점 미만의 차이가 날 때까지 상기 표준물질의 평가를 반복하는 단계를 추가적으로 포함한다. 이러한 과정에 의하여 각 검사원들 사이의 주관적인 기준 차이는 최소화되어 객관적이고 신뢰도 있는 표준척도의 도출이 가능해진다. More preferably, in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le numerical evaluation result between step (ii) and step (iii) of step (a) is equal to the overall average score and the reference point for the standard concentration of the same concentration. If the difference is more than the above step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repeating the evaluation of the standard until the difference between the average score and the reference point. This process minimizes the subjective standard differences among the inspectors, enabling the derivation of objective and reliable standard measures.

본 명세서에서 용어“기준점”이란 통상적으로 당해 검사결과의 신뢰성을 인정할 수 있는 표준점수(예를 들어 이미 확립된 기준 점수 또는 전체 검사원들에 의한 평균 평가점수)와 당해 평가점수의 최대 차이값을 말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기준점은 만점의 5-40%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30% 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20-25% 이다. 본 발명자들은 단일의 수치적 평가결과가 동일한 농도의 표준물질에 대해 전체 평균 평가점수와 2점 이상의 차이가 나는 경우, 평균점수와 2점 미만의 차이가 날 때까지 상기 표준물질의 평가를 반복함으로서 검사의 신뢰도를 높였다.
As used herein, the term “reference point” generally refers to a standard score (eg, an already established reference score or an average evaluation score by all the inspectors) and a maximum difference value of the evaluation score in which the reliability of the test result can be recognized. . Preferably, the reference poi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5-40% of perfect score, more preferably 10-30%, and most preferably 20-25%. The present inventors repeated evaluation of the standard material until the difference between the average score and the score of two or more points differs from the overall average score for a standard material having the same concentration. The reliability of the test was improved.

단계 (b) : 상기 표준척도 상의 각 관능적 특성의 강도 Step (b): intensity of each organoleptic property on the standard scale 정박점에At the berth 해당하는 표준물질을 준비하여 이의 관능적 특성을 평가하는 단계 Preparing corresponding standards to assess their sensory properties

본 명세서에서 용어“정박점(anchor point)”은 표준척도 상에서 각 관능적 특성의 강도에 대응하는 수치적인 값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술한 과정에 의하여 도출된 표준척도를 이용하여 각 관능적 특성의 강도 정박점에 해당하는 표준물질을 검사원에게 제시하고, 제시된 물질의 정박점을 검사원에게 인지시키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검사원에게 정박점을 인지시킨 이후 각 관능적 특성의 강도 정박점에 해당하는 표준물질을 다시 제시하여 실제 정박점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평가를 내리는지를 확인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동일한 평가”란 구축된 표준척도상의 정박점과 동일한 점수를 부여하는 평가를 말하며,“유사한 평가”란 구축된 표준척도상의 정박점과 ±(만점의)10% 의 차이가 나는 점수를 부여하는 평가를 말한다.
As used herein, the term "anchor point" means a numerical value corresponding to the intensity of each organoleptic characteristic on a standard sca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tandard material corresponding to the strength anchorage point of each sensory characteristic is presented to the inspector by using the standard scale derived by the above-described process, and the inspector is recognized by the inspector. Preferably, the inspection point is recognized by the inspector, and then the standard material corresponding to the intensity anchorage point of each sensory characteristic is presented again to confirm whether the evaluation is the same as or similar to the actual anchorage point. As used herein, the term “same evaluation” refers to an evaluation that gives the same score as the anchor point on the constructed standard scale, and “similar evaluation” is a difference of ± 10% from the anchor point on the built standard scale. Refers to an assessment that gives a score.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b) 단계와 (C) 단계 사이에 각 관능적 특성의 강도 정박점에 해당하는 시료에 대한 평가결과가 표준척도와 기준점 이상의 차이가 나는 경우 표준척도와 기준점 미만의 차이가 날 때까지 상기 시료의 평가를 반복하는 단계를 추가적으로 포함한다. 이러한 과정에 의하여 각 검사원들 사이의 주관적인 기준 차이는 최소화되어 객관적이고 신뢰도 있는 결과의 도출이 가능해진다.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the evaluation result for the sample corresponding to the intensity anchorage point of each sensory property between step (b) and (C) of the present invention differs by more than the standard scale and the standard point And repeating the evaluation of the sample until the difference is less than the reference point. This process minimizes the subjective standard differences among the inspectors, which allows for objective and reliable results.

강도 정박점에 적응된 검사원은 후술하는 단계 (c)에서 각 관능적 특성의 표준척도에 기초하여 평가 대상의 식품 시료의 관능적 특성을 수치적으로 정량화하게 된다.
The inspector adapted to the intensity anchor point will numerically quantify the sensory properties of the food sample to be evaluated based on the standard scale of each sensory property in step (c) described below.

단계 : (c) 상기 표준물질의 관능적 특성의 강도((C) intensity of sensory properties of the standard ( intensityintensity )와 비교하여 상기 식품 시료의 관능적 특성을 수치적으로 정량화하는 단계Numerically quantifying the organoleptic properties of the food sample

각 표준물질별 강도 정박점에 적응된 검사원은 평가 대상의 식품 시료가 가지는 관능적 특성의 강도를 구축된 표준척도 상의 정박점으로 표현하게 된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서 다양한 표준물질이 첨가된 대상 식품시료 내에서 특정 농도의 특정 표준물질이 어떠한 관능적 특성을 가지며 해당 관능적 특성의 강도가 어느정도인지를 상대적인 값으로 도출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관능적 특성에 대한 주관적인 묘사(예를 들어 달다, 매우 달다, 조금 달다)가 아닌 객관적이고 상대적인 수치적 측정이 가능해짐으로써 신뢰도 있는 평가가 이루어질 수 있으며, 동일한 식품시료 내에서 각 표준물질들이 서로 간에 미치는 관능적 영향을 재현성있게 평가할 수 있다. The inspector, adapted to the strength anchorage point for each standard, expresses the intensity of the sensory properties of the food sample to be evaluated as the anchorage point on the established standard scale. Through this process, it is possible to derive as a relative value what organoleptic properties of a particular standard have a certain concentration in the target food sample to which various standard substances are added, and the intensity of the organoleptic properties. This allows for an objective and relative numerical measurement, rather than a subjective description of sensory characteristics (eg sweet, very sweet, little sweet), allowing for reliable evaluation of each standard in the same food sample. Sensory effects on each other can be evaluated reproducibly.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방법은 상기 (a) 단계 이전에 식품의 관능적 특성을 표현할 묘사용어 및 상기 관능적 특성을 나타내도록 하는 표준물질을 설정하는 단계를 추가적으로 포함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hod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setting a descriptive term to express the sensory properties of the food and a standard material to exhibit the sensory properties before step (a).

본 발명에서 용어“묘사용어(descriptive term)”란 분석할 식품시료의 관능적 특성을 서술하기 위해 각 검사원이 공통적으로 사용할 용어로서 정해진 기준 용어를 말한다. 예를 들어 단맛(sweet taste), 짠맛(salty taste), 파 향미(green onion flavor) 등이 있다. 분석 대상의 식품시료가 가지는 중요한 관능적 특성이 설정되면 상기 관능적 특성을 대표하는 표준물질을 설정하게 된다. 획일적인 묘사용어의 확립은 검사원들의 주관적인 평가를 배제할 수 있는 수단이 될 뿐만 아니라 평가 목록을 단순화시켜 반복 재현시에도 동일한 결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 “descriptive term” refers to a reference term defined as a term commonly used by each inspector to describe the sensory characteristics of a food sample to be analyzed. For example, sweet taste, salty taste, green onion flavor. When important sensory characteristics of the food sample to be analyzed are set, a standard substance representing the sensory characteristics is set. The establishment of a uniform descriptive terminology is not only a means to exclude subjective assessments from the inspectors, but it also simplifies the list of assessments so that the same results can be obtained in repeated reproduction.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식품은 양념된 육류 식품, 음료 식품 또는 드레싱이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food of the invention is a seasoned meat food, a beverage food or a dressing.

본 발명의 보다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육류 식품은 불고기이다.According to a mor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at foo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bulgogi.

본 발명의 보다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음료 식품은 오미자 음료이다.According to a mor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everage foo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chizandra beverage.

본 발명의 보다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드레싱은 고추장 드레싱이다.
According to a mor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dressing of the invention is a red pepper paste dressing.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The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summarized as follows:

(a) 본 발명은 식품의 관능적 특성의 평가방법을 제공한다.(a)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evaluating the sensory properties of food.

(b) 본 발명은 식품의 관능적 특성을 나타내는 표준물질의 농도와 인지된 감각 특성의 강도 간의 상관관계를 도출하여 이를 관능적 특성 강도의 수치적인 평가에 적용함으로써, 대상 식품의 기호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관능적 특성의 객관적이고 재현성있는 평가 및 이를 이용한 신제품 개발, 가공 공정, 품질관리, 판매, 마케팅 등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b) The present invention derives a correlation between the concentration of the reference material representing the sensory characteristics of the food and the intensity of the perceived sensory characteristics and applies it to the numerical evaluation of the intensity of the sensory characteristics, thereby affecting the preference of the target food. It can be useful for objective and reproducible evaluation of sensory characteristics and new product development, processing process, quality control, sales, marketing, etc.

도 1은 고추장 드레싱 시료의 주성분 분석 결과를 나타낸 그림이다.
도 2는 오미자 음료 시료의 주성분 분석 결과를 나타낸 그림이다.
1 is a diagram showing the results of the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of kochujang dressing samples.
Figure 2 is a diagram showing the results of the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of Schizandra beverage samples.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Examples. These examples are only for illustrating the present invention in more detail,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xamples in accordance with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

실시예Example 1 : 불고기의 관능적 특성 평가 1: Evaluation of sensory characteristics of bulgogi

실험방법Experiment method

불고기의 중요 특성에 대한 표준척도 설정Set a Standard Scale for Important Characteristics of Bulgogi

불고기의 여러 가지 특성들 중 외국인의 기호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단맛, 짠맛, 마늘 향미의 표준척도를 개발하기 위하여 이화여자대학교 학생 30명을 검사원으로 구성하였다. 설탕, 소금, 마늘 용액을 각각 4-5가지 농도로 준비하여 각 특성 별로 검사원들에게 무작위로 제시하였다(표 1).
Thirty students from Ewha Womans University consisted of inspectors to develop the standard scales of sweet, salty, and garlic flavors that could affect the taste of foreigners. Sugar, salt, and garlic solutions were prepared at 4-5 concentrations each, and randomly presented to the inspectors for each characteristic (Table 1).

실험에 사용된 설탕 용액, 소금 용액 및 마늘 용액의 농도Concentration of sugar solution, salt solution and garlic solution used in the experiment 설탕 용액Sugar solution 소금용액Salt solution 마늘용액Garlic solution 0.50%0.50% 0.25%0.25% 0.02%0.02% 1.00%1.00% 0.50%0.50% 0.03%0.03% 2.00%2.00% 1.00%1.00% 0.06%0.06% 3.00%3.00% 2.00%2.00% 0.13%0.13% 4.00%4.00% 3.00%3.00% 0.25%0.25%

검사원들은 각 특성 별로 5개 수용액을 맛 본 후, 9점 항목척도를 사용하여 각 수용액의 해당 특성에 대한 강도를 평가하였다. 검사 시, 평가를 시작하기 전과 한 시료를 맛 본 후에 입을 한 번씩 헹구도록 하였고 세트마다 3분간의 휴식을 주었다. 다양한 농도의 각 특성에 대해 평가된 강도에 대하여 회귀분석을 수행하였고 회귀식을 도출하여(표 2) 각 특성 별로 그 강도가 1, 3, 5, 7 및 9점에 해당하는 각 표준시료의 농도를 구하였다.The inspectors tasted five aqueous solutions for each property and evaluated the intensity of the corresponding properties of each aqueous solution using a nine-point item scale. During the test, the mouths were rinsed once before starting the evaluation and after tasting one sample, with a three minute rest period per set. A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on the strengths evaluated for each characteristic of varying concentrations, and a regression equation was derived (Table 2), indicating the concentration of each standard sample whose intensity is 1, 3, 5, 7, and 9 for each characteristic. Was obtained.

단맛, 짠맛 및 마늘향미의 표준시료 농도와 평가된 특성 강도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회귀식Regression equation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tandard sample concentration of sweet, salty and garlic flavor and the evaluated characteristic strength 관능적 특성Sensual characteristic 농도 및 평가 강도Concentration and evaluation intensity 회귀식Regression 단맛sweetness 농도(%)density(%) 0.50 0.50 1.00 1.00 2.00 2.00 3.00 3.00 4.00 4.00 Y(평가강도)=1.68X(농도)+0.48Y (evaluation intensity) = 1.68X (concentration) +0.48 평가강도
(평균값)
Strength
(medium)
1.43 1.43 1.78 1.78 4.26 4.26 5.35 5.35 7.17 7.17
짠맛Salty taste 농도(%)density(%) 0.015 0.015 0.030 0.030 0.063 0.063 0.125 0.125 0.250 0.250 Y(평가강도)=2.35X(농도)+2.24Y (evaluation intensity) = 2.35X (concentration) +2.24 평가강도
(평균값)
Strength
(medium)
1.86 1.86 2.39 2.39 3.54 3.54 4.36 4.36 6.57 6.57
마늘향미Garlic flavor 농도(%)density(%) 0.25 0.25 0.50 0.50 1.00 1.00 2.00 2.00 3.00 3.00 Y(평가강도)=19.18X(농도)+1.89Y (evaluation intensity) = 19.18X (concentration) +1.89 평가강도
(평균값)
Strength
(medium)
1.92 1.92 3.16 3.16 5.82 5.82 7.63 7.63 8.53 8.53

불고기의 주요 관능적 특성이 나타나도록 하는 각 표준시료의 다양한 농도에 의한 관능의 강도를 기준점으로 확립함으로써 각 특성별 표준척도를 개발하여 객관적인 관능 평가 지표를 확립하였다. 설정된 표준척도는 표 3과 같다.
The objective sensory evaluation index was established by developing a standard scale for each characteristic by establishing the intensity of sensory function by various concentrations of each standard sample to show the main sensory characteristics of bulgogi. The standard scales set are shown in Table 3.

단맛, 짠맛 및 마늘향미의 표준척도 1, 3, 5, 7 및 9점에 해당하는 각 표준물질의 농도Concentrations of each standard corresponding to 1, 3, 5, 7, and 9 standards for sweetness, saltiness and garlic flavor 기준점수Reference score 단맛(설탕용액)Sweetness (sugar solution) 짠맛 (소금용액)Salty (salt solution) 마늘향미 (마늘용액)Garlic Flavor (Garlic Solution) 1 One 0.31%0.31% 0.29%0.29% - - 33 1.50%1.50% 0.58%0.58% 0.06%0.06% 5 5 2.69%2.69% 0.87%0.87% 0.16%0.16% 7 7 3.88%3.88% 1.16%1.16% 0.26%0.26% 9 9 5.00%5.00% 1.45%1.45% 0.37%0.37%

묘사분석을 통한 불고기의 특성강도 평가Evaluation of Characteristic Strength of Bulgogi through Descriptive Analysis

(1) 묘사분석을 위한 훈련(1) training for description analysis

불고기에 대한 묘사분석을 수행하기 위하여 묘사분석에 경험이 있거나, 관심이 많은 이화여자대학교 식품공학과 대학원생 8명을 선정하여 묘사분석 훈련을 진행하였다. 선정된 8명의 패널요원에게 관능검사의 정의, 원리 및 방법, 관능적 특성의 종류에 대해 소개하고, 본 연구의 목적에 대해 설명하였다. In order to perform descriptive analysis on Bulgogi, eight graduate students from Ewha Womans University, Dept. The eight selected panel members were introduced to the definition of sensory evaluation, principles and methods, types of sensory characteristics, an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explained.

불고기의 묘사분석을 위한 1차 훈련기간은 한 주당 3-4회씩, 1개월간 이루어졌으며, 매 회 훈련에 소요된 시간은 약 1시간이었다. 훈련 과정에서는 본 실험에 사용될 시료들을 포함해서 다양한 불고기 시료(7 종류)를 제시하여 익숙해지는 훈련을 하였으며, 불고기의 외관, 향미, 감각 특성에 대한 일련의 묘사용어를 나열하도록 하였다. 또한 맛보는 방법, 향 평가 방법, 평가 용기, 맛보는 시료 양, 특성 평가 순서 등의 평가절차를 확립하였다. The first training period for the description analysis of bulgogi was 3-4 times a week for 1 month. The training time was about 1 hour each time. In the course of training, various bulgogi samples (7 types) including the samples to be used in this experiment were presented and trained to familiarize them. In addition, evaluation procedures such as flavoring method, flavor evaluation method, evaluation container, sample amount to be tasted, and characteristic evaluation procedure were established.

2차 훈련은 1주일에 3회씩 3개월간 이루어졌으며, 매 회 훈련에 소요된 시간은 약 1시간이었다. 패널요원들은 본 실험에서 평가할 시료의 특성에 대한 묘사용어를 개발하였으며 정의(표 4)를 확립하였고 특성 강도 평가에 필요한 표준물질(표 5)을 선정하였다. 또한 패널들이 단맛, 짠맛, 마늘향미 강도를 평가 할 때에는 개발된 표준척도를 기준으로 비교 평가하도록 훈련시켰다. 검사원들이 불고기의 특성에 익숙해지고 비교적 재현성이 있는 결과를 보일 때까지 훈련을 계속하였으며 훈련 도중 대부분의 패널 요원과 다르게 평가하는 요원들은 특성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기 위해 개별 보충훈련을 실시하였다.
Secondary training was conducted three times a week for three months, and each training took about one hour. Panelists developed descriptive terms for the characteristics of the samples to be evaluated in this experiment, established definitions (Table 4), and selected the reference materials (Table 5) required for the evaluation of the characteristic strength. In addition, the panel was trained to evaluate the sweetness, saltiness and garlic flavor intensity based on the developed standard scale. The inspectors continued training until they were familiar with the characteristics of bulgogi and showed relatively reproducible results. During the training, personnel who assessed differently from the panelists conducted individual supplementary training to improve their understanding of the characteristics.

불고기의 묘사 용어의 정의 Definition of Terms of Bulgogi 감각 특성Sensory characteristics 기준 시료Reference sample  incense 마늘(garlic) 향Garlic flavor 마늘과 관련된 냄새Odor associated with garlic 파(Green onion) 향 Green onion flavor 파와 관련된 냄새Odor associated with leeks 간장(Soy sauce) 향Soy sauce flavor 간장과 관련된 냄새Odor-Related Odors 구운 소고기
(Grilled beef)향
Roast beef
Grilled beef flavor
구운 소고기와 관련된 냄새The smell associated with grilled beef
참기름(Sesame oil) 향Sesame oil flavor 참기름과 관련된 냄새Odor associated with sesame oil  flavor 단맛sweetness 수크로스(sucrose)를 전형으로 하는 기본적 미각Basic taste typical of sucrose 짠맛Salty taste 염화나트륨을 전형으로 하는 기본적 미각Basic taste typical of sodium chloride 쓴맛bitter 카페인 및 퀴닌을 전형으로 하는 기본적 미각Basic taste typical of caffeine and quinine MSG 맛MSG Taste MSG(monosodium L-glutamate)를 전형으로 하는 기본적 미각Basic taste that is typical of monosodium L-glutamate (MSG) 마늘 향미Garlic flavor 마늘과 관련된 향Garlic-related incense 파 향미Green onion flavor 파와 관련된 향Incense related to green onions 간장 향미 Soy Sauce Flavor 간장과 관련된 향Soy-related incense 구운 소고기 향미 Roast beef flavor 구운 소고기와 관련된 향Incense associated with roast beef 참기름 향미Sesame oil flavor 참기름과 관련된 향Incense related to sesame oil 후추(Black pepper) 향미 Black pepper flavor 후추와 관련된 향Pepper-related incense 입의
감각
Mouth
sense
아린 감각(Pungent)Arnin Sense (Pungent) 비강이 휘발성 물질에 노출되었을 때 느껴지는 자극적이고 날카로운 감각Irritating and sharp sensations when the nasal cavity is exposed to volatiles
기름진 정도(Oiliness)Oiliness 음식물 표면에서 기름이 지각되는 정도The degree of oil perception on the surface of food

감각 특성Sensory characteristics 기준 시료Reference sample incense 마늘(garlic) 향Garlic flavor 간장 30ml과 혼합한 다진 마늘 5g5g minced garlic mixed with 30ml soy sauce 파(Green onion) 향 Green onion flavor 간장 30ml과 혼합한 다진 파 5g5 g of chopped green onion mixed with 30 ml of soy sauce 간장(Soy sauce) 향Soy sauce flavor 간장 Soy sauce 구운 소고기(Grilled beef)향Grilled beef flavor 중간열에서 5분간 구운 100g 소고기100g beef roasted for 5 minutes on medium heat 참기름(Sesame oil) 향Sesame oil flavor 간장 30ml과 혼합한 3g 참기름3g sesame oil mixed with 30ml soy sauce flavor 단맛sweetness 1% 수크로스 용액1% sucrose solution 짠맛Salty taste 0.25% NaCl 용액0.25% NaCl solution 쓴맛bitter 0.04% 카페인 용액0.04% caffeine solution MSG맛MSG Taste 0.3% MSG 용액0.3% MSG solution 마늘 향미Garlic flavor 간장 30ml과 혼합한 다진 마늘 5g5g minced garlic mixed with 30ml soy sauce 파 향미Green onion flavor 간장 30ml과 혼합한 다진 파 5g5 g of chopped green onion mixed with 30 ml of soy sauce 간장 향미Soy Sauce Flavor 간장Soy sauce 구운 소고기 향미Roast beef flavor 중간열에서 5분간 구운 100g 소고기100g beef roasted for 5 minutes on medium heat 참기름 향미Sesame oil flavor 간장 30ml과 혼합한 5g 참기름5g sesame oil mixed with 30ml soy sauce 후추(Black pepper) 향미Black pepper flavor 간장 100ml과 혼합한 갈은 후추 1g 1g ground black pepper mixed with 100ml soy sauce 입의
감각
Mouth
sense
아린 감각(Pungent)Arnin Sense (Pungent) 다진 마늘 chopped garlic
기름진 정도(Oiliness)Oiliness 팬에 튀긴 소고기 Fried beef on pan

불고기의 묘사 용어를 위한 기준 시료
Reference sample for descriptive terminology of bulgogi

(2) 불고기 시료의 준비 및 제시(2) Preparation and presentation of bulgogi sample

미국 산 냉장 소고기를 서울역점에 위치한 롯데마트에서 실험 시작 1주일 이내에 구입하여 냉동 보관하였다. 실험 1시간 전에 상온에 꺼내어 전자레인지(LG MD-344CW, 700W, LG 전자)에 4분30초간 해동시켰고 300g씩 일정하게 개량하였다. The American chilled beef was purchased at Lotte Mart, located in Seoul Station, within one week of the experiment and stored frozen. One hour before the experiment, it was taken out at room temperature and thawed in a microwave oven (LG MD-344CW, 700W, LG Electronics) for 4 minutes and 30 seconds, and was constantly improved by 300g.

실험에 사용된 불고기 시료는 설탕, 간장, 마늘, 참기름의 함량을 달리한 4가지 시료이다. 기준시료(CON)는 소고기 1회 실험 분량(300g)에 간장 30g, 설탕 15g, 다진 대파 24g, 다진 마늘 12g, 볶은 참깨 5g, 참기름 12g, 후추 0.3g, 갈은 배 50g을 넣고 잘 섞어준 후, 30분간 방치하였다. 설탕, 간장, 참기름, 마늘 함량이 각각 다른 나머지 시료들도 동일한 과정으로 준비하였다. 이와 같이 준비된 네 시료를 테팔 프라이팬의 중앙 부분이 빨간색을 나타내는 시점(90℃)에서 놓고 3분간 익혔다. 익힌 불고기는 온도를 유지하기 위해서 보온병(직경 9cm * 높이 9cm, Equus stainless steel vacuum bottle)에 담아 준비하였다. Bulgogi samples used in the experiment are four samples with different contents of sugar, soy sauce, garlic and sesame oil. In the sample (CON), add 30 g of soy sauce, 15 g of sugar, 24 g of chopped green onion, 12 g of minced garlic, 12 g of roasted sesame seeds, 12 g of sesame oil, 12 g of pepper, 0.3 g of pepper, 50 g of ground pear, and mix well. It was left for 30 minutes. The remaining samples with different sugar, soy sauce, sesame oil, and garlic contents were prepared in the same process. Four samples thus prepared were placed at a time point (90 ° C.) where the central portion of the tepal frying pan was red and cooked for 3 minutes. Cooked bulgogi was prepared in a thermos (diameter 9 cm * height 9 cm, Equus stainless steel vacuum bottle) to maintain the temperature.

SSS는 기준시료에 설탕과 간장을 30%씩 더 추가시킨 시료이다. EGC는 기준시료의 표준 레시피에서 마늘을 제외하고 조리한 시료이고, ESO는 기준시료의 표준 레시피에서 참기름을 제외하고 조리한 시료이다. 시료에 대한 정보를 요약하면 표 5와 같다.
SSS adds 30% more sugar and soy sauce to the reference sample. EGC is a sample prepared by removing garlic from the standard recipe of the reference sample, and ESO is a sample prepared by removing sesame oil from the standard recipe of the reference sample. Table 5 summarizes the information about the samples.

실험에서 사용된 불고기 시료Bulgogi Samples Used in the Experiment 성분ingredient CONCON SSSSSS EGCEGC ESOESO 간장Soy sauce 30g30 g 39g (+30%)39g (+ 30%) 30g30 g 30g30 g 설탕Sugar 15g15 g 19.5g (+30%)19.5g (+ 30%) 15g15 g 15g15 g 다진 마늘 chopped garlic 12g12g 12g12g ×× 12g12g 식용유cooking oil 12g12g 12g12g 12g12g ×× 소고기beef 300g300 g wave 24g24 g 참깨Sesame 5g5 g 후추pepper 0.3g0.3 g ship 50g50 g

각 시료 별로 보온병에 담았던 불고기를 한 검사원에게 30g씩 흰색의 사기접시에 담아 제시하였다. 각 접시에는 난수표를 이용하여 무작위로 선택한 세 자리 숫자를 붙여 제시하였으며 입을 가실 수 있도록 40℃ 레몬수(레몬즙 4ml/정수1000ml)와 정수물을 제시하였다. 각 시료는 제시되는 순서에서 오는 오차를 줄이기 위하여 무작위로 제시하였다.
Each sample was presented with a 30 g white porcelain dish to a inspector for bulgogi in a thermos. Each dish was presented with randomly selected three-digit numbers using a random number table, and presented with 40 ℃ lemon water (4 ml lemon juice / 1000 ml purified water) and purified water. Each sample was presented randomly to reduce the error in the order presented.

(3) 통계분석(3) Statistical Analysis

불고기 시료들의 관능적 특성에 대해서 시료들 간의 유의적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분산분석(analysis of variance, ANOVA)를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에 따라 Duncan 다중범위검정(Duncan's multiple range test)을 수행하였다.
The analysis of variance (ANOVA)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bulgogi samples. According to the results, Duncan's multiple range test was performed.

실험결과Experiment result

설탕, 간장, 마늘, 참기름 함량이 각각 다른 4가지 불고기 시료에 대한 묘사분석 결과, 향, 향미, 입안 감각에 대하여 총 17개의 특성(마늘 향, 파 향, 간장 향, 구운 소고기 향, 참기름 향, 단맛, 짠맛, 쓴맛, MSG맛, 마늘 향미, 파 향미, 참기름 향미, 구운 소고기 향미, 간장 향미, 후추 향미, 아린 감각, 기름진 정도)이 개발되었다. 향 특성 중 마늘 향과 파 향은 기준 시료인 CON, 참기름을 빼고 조리한 ESO, 간장과 설탕을 30%씩 더 넣고 조리한 SSS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마늘을 빼고 조리한 EGC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간장 향은 SSS에서 두드러지게 강하게 나타났고 EGC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구운 소고기 향은 EGC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ESO, CON, SSS 순으로 낮아졌으나 이들 세 시료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참기름 향은 EGC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ESO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Descriptive analysis of four Bulgogi samples with different contents of sugar, soy sauce, garlic, and sesame oil revealed that 17 characteristics (garlic, green onion, soy sauce, grilled beef, sesame oil, Sweetness, saltiness, bitterness, MSG taste, garlic flavor, green onion flavor, sesame oil flavor, roast beef flavor, soy flavor, black pepper flavor, lean sensation, oily taste). Among the fragrance characteristics, garlic and green onion flavors were highest in SSS cooked with CON, sesame oil, 30% of soy sauce and sugar, and lowest in EGC without garlic. Hepatic aroma was significantly stronger in SSS and lowest in EGC. Roasted beef flavor was highest in EGC and was lowered in order of ESO, CON, and SSS,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se three samples. Sesame oil aroma was highest in EGC and lowest in ESO.

향미 특성 중, 단맛과 짠맛은 공통적으로 SSS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EGC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쓴맛은 시료 간에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MSG맛은 SSS와 ESO에서 높게 나타났고 EGC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마늘 향미는 ESO, SSS, CON 순으로 높았고 세 시료 간에 유의적 차이는 없었으며 EGC는 가장 낮았다. 파 향미는 ESO와 SSS에서 가장 높았고 EGC에서 가장 낮았다. 참기름 향미는 EGC에서 유의적으로 가장 높았고 ESO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구운 쇠고기 향미는 EGC에서 가장 높았고 나머지 세 시료는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간장 향미는 SSS에서 두드러지게 강하게 나타났고 EGC에서 매우 낮게 나타났다. 후추 향미는 SSS와 ESO에서 가장 높았고 EGC에서 가장 낮았다. 아린 감각은 EGC를 제외한 ESO, SSS, CON에서 높게 나타났고 이 세 시료의 유의적 차이는 없었다. 기름진 정도는 EGC에서 가장 높았고 ESO에서 가장 낮았다. Among the flavor characteristics, sweet and salty tastes were highest in SSS and lowest in EGC. Bitter taste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samples. MSG taste was high in SSS and ESO and lowest in EGC. Garlic flavor was highest in the order of ESO, SSS, and CON.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three samples, and EGC was the lowest. Wave flavor was highest in ESO and SSS and lowest in EGC. Sesame oil flavor was significantly higher in EGC and lowest in ESO. Roasted beef flavor was highest in EGC and the other three sample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Hepatic flavor was markedly strong in SSS and very low in EGC. Pepper flavor was highest in SSS and ESO and lowest in EGC. Arin sensation was higher in ESO, SSS and CON except EGC,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hree samples. Oiliness was highest in EGC and lowest in ESO.

예측한 바와 같이, 기준시료보다 간장과 설탕을 30%씩 더 넣은 SSS에서는 단맛, 짠맛, 간장 향미가 강하고 마늘을 뺀 EGC에서는 마늘 향/향미가 약하고 참기름을 뺀 ESO에서는 참기름 향/향미가 약하였다. 그러나 불고기에 들어가는 특정 재료(설탕, 간장, 마늘, 참기름)들은 특정 향/향미에만 영향을 주는 것이 아니라 다른 관능적 특성에도 영향을 주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특히 마늘을 넣지 않은 시료에서는 마늘 향/향미가 약하게 나타난 것뿐 만 아니라 파 향/향미, 간장 향/향미, 후추 향미, 아린 감각, 단맛, 짠맛, MSG맛도 유의적으로 약하게 나타났다. 반면, 이 시료는 참기름 향/향미, 구운 소고기 향/향미, 기름진 정도가 유의적으로 강하게 나타났다. 간장과 설탕을 30%씩 증가시킨 시료에서는 기준시료(CON)와 비교했을 때 간장 향/향미, 단맛, 짠맛 외에도 MSG맛, 후추 향미가 강하게 나타났다. 참기름을 넣지 않은 시료에서는 파 향미가 유의적으로 강하게 나타났다.
As predicted, sweet, salty, and soy flavors were stronger in SSS containing 30% more soy and sugar than the standard sample, and garlic flavor / flavor was weak in EGC without garlic, and sesame oil flavor / flavor in ESO without sesame oil. . However, certain ingredients in bulgogi (sugar, soy sauce, garlic, sesame oil) have been observed to affect not only specific flavors / flavors but also other sensory characteristics. In particular, the garlic-flavored samples showed not only a weak garlic flavor / flavor, but also a weak flavor of green onion / flavor, soy sauce / flavor, pepper flavor, arine sensation, sweetness, salty taste, and MSG taste. On the other hand, the sample showed significantly strong sesame oil flavor / flavor, roast beef flavor / flavour, and greasyness. In the samples with 30% increase in soy sauce and sugar, MSG and pepper flavors were stronger than soy sauce flavor / flavor, sweetness and saltiness compared to the standard sample (CON). In the sample without sesame oil, the wave flavor was significantly stronger.

불고기 시료의 감각 특성Sensory Characteristics of Bulgogi Samples 감각 특성Sensory characteristics 불고기 시료Bulgogi Sample CONCON SSSSSS ESOESO EGCEGC 마늘 향Garlic incense 5.31a5.31a 5.06a5.06a 5.44a5.44a 2.06b2.06b 파 향Wave incense 3.88a3.88a 3.94a3.94a 4.09a4.09a 1.63b1.63b 간장 향Soy Sauce Incense 4.72b4.72b 6.75a6.75a 4.63b4.63b 2.53c2.53c 구운 소고기 향Roast beef flavor 3.47b3.47b 3.19b3.19b 3.53b3.53b 5.75a5.75a 참기름 향Sesame Oil Incense 4.41b4.41b 4.44b4.44b 2.13c2.13c 6.69a6.69a 단맛sweetness 4.53b4.53b 6.91a6.91a 4.56b4.56b 2.81c2.81c 짠맛Salty taste 4.38b4.38b 6.59a6.59a 4.41b4.41b 2.66c2.66c 쓴맛bitter 3.003.00 3.003.00 3.133.13 3.133.13 MSG맛MSG Taste 3.56b3.56b 4.13a4.13a 3.72ab3.72ab 1.97c1.97c 마늘 향미Garlic flavor 5.09a5.09a 5.34a5.34a 5.69a5.69a 1.84b1.84b 파 향미Green onion flavor 3.38b3.38b 3.63ab3.63ab 3.91a3.91a 1.47c1.47c 참기름 향미Sesame oil flavor 4.25b4.25b 4.41b4.41b 2.13c2.13c 6.53a6.53a 구운 소고기 향미Roast beef flavor 3.38b3.38b 3.34b3.34b 3.69b3.69b 6.09a6.09a 간장 향미Soy Sauce Flavor 4.66b4.66b 6.75a6.75a 4.72b4.72b 2.66c2.66c 후추 향미Pepper flavor 3.53b3.53b 4.09a4.09a 3.78ab3.78ab 1.63c1.63c 아린 감각Arin Sense 3.84a3.84a 3.94a3.94a 4.44a4.44a 1.56b1.56b 기름진 정도Oily degree 4.25b4.25b 4.47b4.47b 3.38c3.38c 6.38a6.38a

실시예Example 2 : 고추장 드레싱의 관능적 특성 평가 2: Evaluation of Sensory Characteristics of Kochujang Dressing

실험방법Experiment method

고추장 드레싱의 중요 특성에 대한 표준척도 설정Setting Standard Scales for Important Characteristics of Kochujang Dressings

고추장 드레싱의 여러 가지 특성들 중 외국인의 기호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단맛, 신맛, 매운 감각의 표준척도를 개발하기 위하여 이화여자대학교 학생 30명을 검사원으로 구성하였다. 설탕, 아세트산 용액과, 고춧가루 전분 현탁액을 각각 4-5가지 농도로 준비하여 각 특성 별로 검사원들에게 무작위로 제시하였다(표 7).
Thirty students from Ewha Womans University consisted of inspectors to develop standard measures of sweetness, sourness, and spicy sensibility among the various characteristics of kochujang dressing. Sugar, acetic acid solution, and red pepper powder starch suspension were prepared at 4 to 5 concentrations each, and randomly presented to the inspectors for each property (Table 7).

실험에 사용된 설탕 용액, 아세트산 용액 및 고춧가루 전분 현탁액의 농도Concentrations of sugar solution, acetic acid solution and red pepper powder starch suspension used in the experiment 설탕 용액Sugar solution 아세트산 용액Acetic acid solution 고춧가루 전분 현탁액1 ) Pepper powder starch suspension 1 ) 2.45%2.45% 0.04%0.04% 1.08%1.08% 3.50%3.50% 0.06%0.06% 1.80%1.80% 5.00%5.00% 0.08%0.08% 3.00%3.00% 6.50%6.50% 0.10%0.10% 4.20%4.20% 8.45%8.45% 0.14%0.14% 5.88%5.88%

1)3% 전분에 고춧가루를 혼합 1) Mix red pepper powder with 3% starch

검사원들은 각 특성 별로 5개 수용액을 맛 본 후, 9점 항목척도를 사용하여 각 수용액의 해당 특성에 대한 강도를 평가하였다. 단맛과 신맛 검사 시, 평가를 시작하기 전과 한 시료를 맛 본 후에 입을 한 번씩 헹구도록 하였고 세트마다 3분간의 휴식을 주었다. 매운 감각의 강도 평가 시에는 각 시료마다 생크림과 따뜻한 정수로 입을 헹구도록 하였으며, 5분간의 휴식을 주었다. 다양한 농도의 각 특성에 대해 평가된 강도에 대하여 회귀분석을 수행하였고 회귀식을 도출하여(표 8) 각 특성 별로 그 강도가 1, 3, 5, 7 및 9점에 해당하는 각 표준시료의 농도를 구하였다.The inspectors tasted five aqueous solutions for each property and evaluated the intensity of the corresponding properties of each aqueous solution using a nine-point item scale. In the sweet and sour test, the mouth was rinsed once before starting the evaluation and after tasting one sample, with a three minute rest period per set. When the intensity of the hot sensation was evaluated, each sample was rinsed with fresh cream and warm water and allowed to rest for 5 minutes. A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on the strengths evaluated for each characteristic of varying concentrations, and a regression equation was derived (Table 8). Was obtained.

단맛, 신맛 및 매운 감각의 표준시료 농도와 평가된 특성 강도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회귀식Regression Equation Representing Relationship Between Standard Sample Concentrations of Sweet, Sour, and Spicy Senses and Evaluated Property Intensity 관능적 특성Sensual characteristic 농도 및 평가 강도Concentration and evaluation intensity 회귀식Regression 단맛sweetness 농도(%)density(%) 2.45 2.45 3.503.50 5.005.00 6.506.50 8.458.45 Y(평가강도)=0.818X(농도)+0.661Y (evaluation intensity) = 0.818X (concentration) +0.661 평가강도
(평균값)
Strength
(medium)
2.482.48 3.423.42 5.065.06 6.296.29 7.267.26
신맛Sour taste 농도(%)density(%) 0.040.04 0.060.06 0.080.08 0.100.10 0.140.14 Y(평가강도)=46.65X(농도)+1.529Y (evaluation intensity) = 46.65X (concentration) +1.529 평가강도
(평균값)
Strength
(medium)
3.353.35 4.974.97 5.745.74 6.166.16 7.557.55
매운 감각Spicy sensation 농도(%)density(%) 1.081.08 1.801.80 3.003.00 4.204.20 5.885.88 Y(평가강도)=0.876X(농도)+1.896Y (evaluation intensity) = 0.876X (concentration) +1.896 평가강도
(평균값)
Strength
(medium)
3.273.27 3.803.80 5.175.17 5.605.60 6.536.53

고추장 드레싱의 주요 관능적 특성이 나타나도록 하는 각 표준시료의 다양한 농도에 의한 관능의 강도를 기준점으로 확립함으로써 각 특성별 표준척도를 개발하여 객관적인 관능 평가 지표를 확립하였다. 설정된 표준척도는 표 9와 같다.
The objective sensory evaluation index was established by establishing the standard scale for each characteristic by establishing the intensity of sensory function by various concentrations of each standard sample to show the main sensory characteristics of kochujang dressing. The standard scales set are shown in Table 9.

단맛, 신맛 및 매운 감각의 표준척도 1, 3, 5, 7 및 9점에 해당하는 각 표준물질의 농도Concentrations of each standard corresponding to 1, 3, 5, 7, and 9 standard measures of sweetness, sourness and hotness 기준점수Reference score 단맛(설탕용액)Sweetness (sugar solution) 신맛 (아세트산 용액)Sour taste (acetic acid solution) 매운 감각
(고춧가루 전분 현탁액1 ))
Spicy sensation
(Pepper Powder Starch Suspension 1 ) )
1 One 0.41%0.41% 0%0% 0%0% 33 2.86%2.86% 0.03%0.03% 1.26%1.26% 5 5 5.30%5.30% 0.07%0.07% 3.54%3.54% 7 7 7.75%7.75% 0.12%0.12% 5.83%5.83% 9 9 10.19%10.19% 0.16%0.16% 8.11%8.11%

1)3% 전분에 고춧가루를 혼합
1) Mix red pepper powder with 3% starch

묘사분석을 통한 고추장 드레싱의 특성강도 평가Evaluation of Characteristics of Kochujang Dressings through Descriptive Analysis

(1) 묘사분석을 위한 훈련(1) training for description analysis

고추장 드레싱에 대한 묘사분석을 수행하기 위하여 묘사분석에 경험이 있거나, 관심이 많은 이화여자대학교 식품공학과 대학원생 8명을 선정하여 묘사분석 훈련을 진행하였다. 선정된 8명의 패널요원에게 관능검사의 정의, 원리 및 방법, 관능적 특성의 종류에 대해 소개하고, 본 연구의 목적에 대해 설명하였다. In order to perform descriptive analysis on Kochujang dressing, eight graduate students from Ewha Womans University, Dept. of Food Engineering, who are experienced or interested in descriptive analysis, were selected and trained. The eight selected panel members were introduced to the definition of sensory evaluation, principles and methods, types of sensory characteristics, an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explained.

고추장 드레싱의 묘사분석을 위한 1차 훈련기간은 한 주당 2-3회씩, 1개월간 이루어졌으며, 매 회 훈련에 소요된 시간은 약 1시간 30분이었다. 훈련 과정에서는 고추장 드레싱의 향미 및 감각 특성에 대한 일련의 묘사용어를 나열하도록 하였다. 또한, 향미 및 감각의 평가 순서, 맛보는 시료의 양, 입가심 용액 및 절차 등의 표준화된 평가 절차를 훈련과정을 통해 확립하였다.The first training period for the description analysis of kochujang dressing was 2-3 times a week for 1 month. The training time was about 1 hour 30 minutes. In the training, a series of descriptive terms for the flavor and sensory properties of kochujang dressings were listed. In addition, a standardized evaluation procedure was established through the training process, such as the evaluation sequence of flavor and sensation, the amount of sample to be tasted, the mouth solution and the procedure.

2차 훈련은 1주일에 3회~4회씩 2개월간 이루어졌으며, 매 회 훈련에 소요된 시간은 약 1시간 30분이었다. 패널요원들은 본 실험에서 평가할 시료의 특성에 대한 묘사용어를 개발하였으며 정의(표 10)를 확립하였고 특성 강도 평가에 필요한 표준물질(표 11)을 선정하였다. 또한 패널들이 단맛, 신맛, 매운 감각의 강도를 평가 할 때에는 개발된 표준척도를 기준으로 비교 평가하도록 훈련시켰다. 검사원들이 고추장 드레싱의 특성에 익숙해지고 비교적 재현성이 있는 결과를 보일 때까지 훈련을 계속하였으며 훈련 도중 대부분의 패널 요원과 다르게 평가하는 요원들은 특성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기 위해 개별 보충훈련을 실시하였다.
The second session was conducted three to four times a week for two months, and the time required for each session was about 1.5 hours. Panelists developed descriptive terms for the characteristics of the samples to be evaluated in this experiment, established definitions (Table 10), and selected the reference materials (Table 11) required for the evaluation of the characteristic strength. In addition, the panel was trained to evaluate the intensity of sweetness, sourness and spicy sensation based on the developed standard scale. The inspectors continued to train until they were familiar with the characteristics of the kochujang dressing and showed relatively reproducible results. During the training, those who assessed differently from the panelists conducted individual supplementary training to improve their understanding of the characteristics.

고추장 드레싱 묘사 용어의 정의 Definition of glossary dressing 감각 특성Sensory characteristics 기준 시료Reference sample 향미 Flavor 신맛Sour taste 아세트산을 전형으로 하는 기본적인 미각Basic taste typical of acetic acid 짠맛Salty taste 염화나트륨을 전형으로 하는 기본적 미각Basic taste typical of sodium chloride 단맛sweetness 수크로스(sucrose)를 전형으로 하는 기본적 미각Basic taste typical of sucrose 쓴맛bitter 카페인 및 퀴닌을 전형으로 하는 기본적 미각Basic taste typical of caffeine and quinine 식초 (Vinegar) 향미 Vinegar Flavor 식초와 관련된 향미Vinegar-related flavors 고추장(Hot pepper paste) 향미Hot pepper paste flavor 고추장과 관련된 향미Flavor Related to Gochujang 파 (Green onion) 향미Green onion flavor 파와 관련된 향미Wave-related flavor 마늘 (Garlic)향미Garlic Flavor 마늘과 관련된 향미Garlic-related flavors 입안
감각
Mouth
sense
톡쏘는 감각(Pungent)Pungent 비강이 휘발성 물질에 노출되었을 때 느껴지는 자극적이고 날카로운 감각Irritating and sharp sensations when the nasal cavity is exposed to volatiles
매운 감각(Burning)Hot burning 입안 또는 혀에서 느껴지는 타는 듯한 감각Burning sensation in the mouth or tongue

드레싱의 묘사 용어를 위한 기준 시료Reference sample for descriptive terminology of dressings 감각 특성Sensory characteristics 기준 시료Reference sample 향미Flavor 신맛Sour taste 0.07% 아세트산 용액0.07% acetic acid solution 짠맛Salty taste 0.3% NaCl 용액0.3% NaCl solution 단맛sweetness 5.3% 수크로스 용액5.3% sucrose solution 쓴맛bitter 0.03% 카페인 용액0.03% caffeine solution 식초 (Vinegar) 향미 Vinegar Flavor 고추장 20g과 혼합한 식초 5g5g of vinegar mixed with 20g of red pepper paste 고추장(Hot pepper paste) 향미Hot pepper paste flavor 고추장 10gGochujang 10g 파 (Green onion) 향미Green onion flavor 고추장 30g과 혼합한 다진 대파 5g5g chopped green onion mixed with 30g of red pepper paste 마늘 (Garlic)향미Garlic Flavor 고추장 30g과 혼합한 다진 마늘 5g5g of minced garlic mixed with 30g of red pepper paste 입안
감각
Mouth
sense
톡쏘는 감각(Pungent)Pungent 고추장 30g과 혼합한 고추냉이 5g 5g wasabi mixed with 30g of red pepper paste
매운 감각(Burning)Hot burning 고춧가루를 3.54% 농도가 되도록 3% 전분 현탁액에 혼합 Pepper powder is mixed in a 3% starch suspension to a concentration of 3.54%

(2) 고추장 드레싱 시료의 준비 및 제시(2) Preparation and presentation of gochujang dressing sample

실험 시 사용된 고추장 드레싱의 시료는 고추장과 설탕의 수준을 달리한 6가지이다. 기준 시료(MPMS)는 식초 25g에 설탕 10g을 넣고 전부 녹인 후, 고추장 50g, 다진 대파 10g, 다진 마늘 5g을 넣고 섞어주었다. 고추장과 설탕의 함량을 달리한 나머지 시료들도 동일한 과정으로 준비하였다. 이와 같이 준비된 6가지 시료를 플라스틱 용기(지름 7cm x 높이 3cm)에 15g 씩 담아 뚜껑을 덮어 준비하였다. Samples of kochujang dressings used in the experiment were six different kinds of kochujang and sugar. The reference sample (MPMS) was dissolved in 25g of vinegar and 10g of sugar, and then mixed with 50g of red pepper paste, 10g of chopped leek and 5g of chopped garlic. The rest of the samples with different contents of gochujang and sugar were prepared in the same process. Six samples prepared as described above were put in a plastic container (diameter 7 cm x height 3 cm) by 15 g and covered with a lid.

MPHS와 MPLS는 고추장 함량이 기준시료와 동일한 시료들이며, 그 중 MPHS의 설탕 함량은 기준시료보다 30% 많고 MPLS의 설탕 함량은 기준시료보다 30% 적다. LPMS, LPHS, LPLS은 고추장 함량이 기준시료보다 30% 적은 시료들이다. 그 중 LPMS의 설탕 함량은 기준시료와 같다. LPHS의 설탕 함량은 기준시료보다 30% 많고 LPLS의 설탕 함량은 30% 적다. 고추장과 설탕을 제외한 식초, 다진 대파, 다진 마늘의 함량은 동일하다. 시료에 대한 정보를 요약하면 표 12와 같다.
MPHS and MPLS are the same samples as kochujang, and the sugar content of MPHS is 30% higher than the reference sample and the sugar content of MPLS is 30% less than the reference sample. LPMS, LPHS and LPLS are samples with 30% less red pepper paste than the reference sample. Among them, the sugar content of LPMS is the same as the reference sample. The sugar content of LPHS is 30% higher than the reference sample and the LPLS sugar content is 30% less. The content of vinegar, chopped green onion, and chopped garlic is the same except red pepper paste and sugar. Table 12 summarizes the information about the samples.

실험에서 사용된 고추장 드레싱 시료Kochujang dressing samples used in the experiment 시료 / 성분Sample / Ingredient MPLSMPLS MPMS(CON)MPMS (CON) MPHSMPHS LPLSLPLS LPMSLPMS LPHSLPHS 고추장Kochujang 50g50 g 50g50 g 50g50 g 35g(-30%)35 g (-30%) 35g(-30%)35 g (-30%) 35g(-30%)35 g (-30%) 설탕Sugar 7g(-30%)7 g (-30%) 10g10g 13g(+30%)13 g (+ 30%) 7g(-30%)7 g (-30%) 10g10g 13g(+30%)13 g (+ 30%) 식초vinegar 25g25 g 다진 대파Chopped green onion 10g10g 다진 마늘chopped garlic 5g5 g

플라스틱 용기에 담은 6개의 시료와 입가심 시료인 냉장 온도의 생크림을 보온병에 담아 6개의 작은 스푼과 함께 제시하였다. 시료는 외관에 의한 편견을 방지하기 위해 적색 조명하에서 실시하였다. 각 용기에는 시료에 대한 편견을 막기 위하여 난수표에서 추출한 세 자리 숫자를 붙여 제시하였고, 시료는 랜덤한 순서로 제시하였다. 또한 시료를 평가하는 사이에 입을 헹굴 수 있도록 따뜻한 정수(50±2℃)와 뱉는 컵을 함께 제시하였다.
Six samples in a plastic container and fresh cream at refrigeration temperature, which are sieving samples, were presented in a thermos bottle with six teaspoons. Samples were conducted under red illumination to prevent bias due to appearance. Each container was presented with three digits extracted from the random number table to prevent bias against the samples, and samples were presented in random order. In addition, warm water (50 ± 2 ° C.) and spit cups were presented to rinse the mouth between samples.

(3) 통계분석(3) Statistical Analysis

고추장 드레싱 시료들의 관능적 특성에 대해서 시료들 간의 유의적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분산분석(analysis of variance, ANOVA)를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에 따라 Duncan 다중범위검정(Duncan's multiple range test)을 수행하였다. 또한 각 시료의 주요한 관능적 특성을 요약하여 나타내기 위하여 각 특성의 평균값을 적용하여 주성분 분석(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을 실시하였다.
The analysis of variance (ANOVA) was performed to find out th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organoleptic dressing samples. Duncan's multiple range test was performed according to the results. In addition,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 was performed by applying the average value of each characteristic to summarize the main sensory characteristics of each sample.

실험결과Experiment result

설탕과 고추장 함량을 달리한 6가지 고추장 드레싱 시료의 묘사분석 결과, 고추장 드레싱의 향미와 감각 특성에 대하여 신맛, 짠맛, 단맛, 쓴맛, 톡쏘는 감각, 식초 향미, 고추장 향미, 파 향미, 마늘 향미, 매운 감각의 총 10가지 특성이 개발되었으며 파 향미를 제외한 9가지 특성에서 시료 간에 유의적인 차이 (α=0.01)가 나타났다.Descriptive analysis of six kochujang dressing samples with different sugar and kochujang contents revealed that the taste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kochujang dressings were sour, salty, sweet, bitter, tangy, vinegar flavor, kochujang flavor, green onion flavor, garlic flavor, A total of 10 characteristics of spicy sensation were developed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α = 0.01) between samples in 9 characteristics except wave flavor.

표준화된 레시피를 근거로 만들어진 기준시료 MPMS에서 짠맛, 쓴맛, 고추장 향미, 마늘 향미, 매운 감각은 높게 평가되었고, 신맛, 식초 향미, 톡쏘는 감각이 낮게 평가되는 경향을 보였다. 표준시료에서 설탕 함량을 낮춘 시료 MPLS에서는 짠맛, 쓴맛, 고추장 향미, 마늘 향미, 매운 감각이 가장 높게 평가되었고, 단맛은 낮게 평가되는 경향을 보였다. 기준시료에서 설탕 함량을 높인 시료 MPHS에서는 짠맛, 단맛이 높게 평가되었고, 신맛, 식초 향미, 톡쏘는 감각은 가장 낮게 평가되는 경향을 보였다. 기준시료에서 고추장 함량을 낮춘 시료 LPMS에서는 신맛, 단맛, 식초 향미, 톡쏘는 감각이 높게 평가되었고, 고추장 향미, 매운 감각이 낮게 평가되는 경향을 보였다. 기준시료에서 고추장과 설탕의 함량을 낮춘 시료 LPLS에서는 신맛, 쓴맛, 식초 향미, 톡쏘는 감각이 가장 높게 평가되었고, 단맛은 가장 낮게 평가되는 경향을 보였다. 기준시료에서 고추장 함량을 낮추고 설탕의 함량을 높인 LPHS시료에서는 단맛이 가장 높게 평가되었고, 짠맛, 쓴맛, 고추장 향미, 마늘 향미, 매운 감각이 가장 낮게 평가되는 경향을 보였다. 고추장 함량이 많은 시료 MPHS, MPMS, MPLS에서 짠맛, 쓴맛, 고추장 향미, 매운 감각은 대체적으로 높게 평가되었고, 신맛, 식초 향미, 톡쏘는 감각이 낮게 평가되는 경향을 보였다. 고추장 함량이 동일한 세 시료 내에서는 설탕 함량이 낮을수록 단맛을 제외한 신맛, 짠맛, 쓴맛, 식초 향미, 고추장 향미, 마늘 향미, 톡쏘는 감각 및 매운 감각이 높게 평가되었다. 또한 고추장 함량이 많은 시료인 MPHS, MPMS, MPLS와 고추장 함량이 적은 시료인 LPLS, LPMS, LPHS를 각각 비교해 보면, 설탕 함량이 동일할 때 고추장 함량이 많을수록 짠맛, 쓴맛, 고추장 향미, 마늘 향미, 매운 감각은 더 높게 평가된 반면, 신맛, 식초 향미, 톡쏘는 감각은 더 낮게 평가되는 경향을 보였다. 단맛의 경우에는 설탕함량이 기준시료 이상인 시료에서는 고추장 함량이 많은 시료에서 단맛이 낮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였으나 예외적으로 설탕함량이 기준시료보다 낮은 LPLS와 MPLS에서는 고추장 함량이 많은 시료에서 단맛이 더 높게 평가되는 경향을 보였다.
In the standard sample MPMS based on the standardized recipe, salty, bitter, red pepper paste, garlic flavor, and spicy sensation were high, and sour, vinegar flavor, and tingling tendency were low. In the MPLS sample with lower sugar content, salty, bitter, kochujang flavor, garlic flavor, and spicy sensation were the highest, while sweetness tended to be low. In the MPHS sample with high sugar content, salty and sweet tastes were high, and sour taste, vinegar flavor, and sensation of touch were the lowest. In the LPMS sample with lowered kochujang content, the sour taste, sweetness, vinegar flavor, and topping sensation were high, and the kochujang flavor and spicy sensation were low. In the LPLS sample with lowered kochujang and sugar content, the sour taste, bitter taste, vinegar flavor, and tangy sensation were the highest and the sweetness tended to be the lowest. In the LPHS sample with lower kochujang content and higher sugar content in the reference sample, sweetness was the highest, and salty, bitter, kochujang flavor, garlic flavor, and spicy sensation were the lowest. Salt, bitter taste, kochujang flavor, and spicy sensation were generally high in MPHS, MPMS, and MPLS samples with high kochujang content, and sour taste, vinegar flavor, and tingling sensation were low. In the three samples with the same kochujang content, the lower the sugar content, the higher the sour, salty, bitter, vinegar, kochujang flavor, garlic flavor, spitting sensation and pungent sensation except sweetness. In addition, when comparing the samples with high kochujang content, MPHS, MPMS, MPLS, and the samples with low kochujang content, LPLS, LPMS, and LPHS, when the sugar content is the same, the more kochujang content, the more salty, bitter, kochujang flavor, garlic flavor, spicy Senses were rated higher, while sour taste, vinegar flavor, and tangy sensation tended to be lower. In the case of sweetness, the sweetness was higher in the sample containing more Kochujang than in the sample containing sugar, but exceptionally, the sweetness was higher in the sample containing more Kochujang than in LPLS and MPLS. Tended to be.

고추장 드레싱 시료의 감각 특성Sensory Characteristics of Kochujang Dressing Samples 감각 특성Sensory characteristics 고추장 드레싱 시료Gochujang dressing sample MPLSMPLS MPMS
(CON)
MPMS
(CON)
MPHSMPHS LPLSLPLS LPMSLPMS LPHSLPHS
신맛Sour taste 4.56d1 )
4.56d 1 )
3.78e
3.78e
2.84f2 )
2.84f 2 )
6.78a3 )
6.78a 3 )
5.97b
5.97b
5.34c
5.34c
짠맛Salty taste 6.44a
6.44a
5.78b
5.78b
5.31b
5.31b
4.50c
4.50c
4.09c
4.09c
3.25d
3.25d
단맛sweetness 3.50e
3.50e
4.66d
4.66d
5.78b
5.78b
3.03f
3.03f
5.31c
5.31c
6.59a
6.59a
쓴맛bitter 5.44a
5.44a
4.41b
4.41b
3.66c
3.66c
5.16a
5.16a
4.19b
4.19b
3.09d
3.09d
식초 향미 Vinegar flavor 4.53d
4.53d
3.59e
3.59e
2.88f
2.88f
6.75a
6.75a
5.81b
5.81b
5.00c
5.00c
고추장 향미Gochujang flavor 7.25a
7.25a
6.31b
6.31b
5.91c
5.91c
4.69d
4.69d
4.13e
4.13e
3.16f
3.16f
파 향미Green onion flavor 4.38ab
4.38ab
4.75a
4.75a
4.66a
4.66a
4.53ab
4.53ab
4.31ab
4.31ab
4.13b
4.13b
마늘 향미Garlic flavor 4.81a
4.81a
4.63ab
4.63ab
4.31abc
4.31abc
4.59ab
4.59ab
4.16bc
4.16bc
3.84c
3.84c
톡쏘는 감각Tingling sensation 4.53d
4.53d
3.69e
3.69e
2.94f
2.94f
6.72a
6.72a
5.84b
5.84b
5.09c
5.09c
매운 감각Spicy sensation 7.34a
7.34a
6.28b
6.28b
5.94c
5.94c
4.78d
4.78d
4.41e
4.41e
3.09f
3.09f

1) 공통 문자를 가지는 평균값들은 alpha=0.05에서 유의한 차이를 가지지 않는다. 1) Mean values with common characters do not have significant difference at alpha = 0.05.

고추장과 설탕의 함량을 달리한 6가지 고추장 드레싱의 10가지 특성 강도에 대하여 각 평균값을 적용하여 주성분 분석을 실시한 결과 제 1 주성분 (PC1)과 제2 주성분 (PC2)이 각각 총 변동의 54.64%, 36.43%를 설명하여 총 변동의 91.07%를 설명하였다(도 1). PC1(X축)에 대해 양의 방향으로 부하된 MPLS, MPMS, MPHS에서는 쓴맛, 짠맛, 고추장 향미, 마늘 향미, 파 향미, 매운 감각이 높게 나타났고 음의 방향으로 부하된 LPLS, LPMS, LPHS에서는 앞의 특성을 제외한 신맛, 식초 향미, 톡쏘는 감각이 높게 평가되었다. PC2에 대해 양의 방향으로 부하된 MPLS, LPLS, LPMS는 신맛, 쓴맛, 식초 향미, 마늘 향미, 톡쏘는 감각이 높게 나타났고, 음의 방향으로 부하된 MPMS, MPHS, LPHS에서는 앞의 특성을 제외한 단맛, 고추장 향미가 높게 평가되었다.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was performed for each of the ten characteristic strengths of six different kochujang dressings with different amounts of kochujang and sugar, and the first principal component (PC1) and second principal component (PC2) were 54.64%, 36.43% was explained to account for 91.07% of the total variation (Figure 1). Bitter, salty, red pepper paste, garlic flavor, green onion flavor, and spicy taste were high in MPLS, MPMS, and MPHS loaded in the positive direction for PC1 (X-axis), and in LPLS, LPMS, and LPHS loaded in the negative direction. Except for the above characteristics, the sour taste, vinegar flavor, and tingling sensation were highly evaluated. MPLS, LPLS, and LPMS loaded in the positive direction for PC2 had high sour, bitter, vinegar, garlic, and tingling sensations, and negatively loaded MPMS, MPHS, and LPHS excluded the above characteristics. Sweetness and gochujang flavor were highly evaluated.

실시예Example 3 : 오미자 음료의 관능적 특성 평가 3: Evaluation of Sensory Characteristics of Schizandra Beverages

실험방법Experiment method

오미자 음료의 중요 특성에 대한 표준척도 설정Set Standard Scales for Important Characteristics of Schizandra Beverages

오미자 음료의 여러 가지 특성들 중 외국인의 기호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단맛, 신맛, 오미자 향미의 표준척도를 개발하기 위하여 이화여자대학교 학생 30명을 검사원으로 구성하였다. 설탕, 시트르산 용액 및 오미자 침출액을 각각 4-5가지 농도로 준비하여 각 특성 별로 검사원들에게 무작위로 제시하였다(표 14).
Thirty students from Ewha Women's University consisted of inspectors to develop standard measures of sweetness, sourness, and taste of Schisandra chinensis which may affect foreigner's taste. Sugar, citric acid solution and Schizandra leachate were prepared in 4-5 concentrations each and presented randomly to the inspectors for each property (Table 14).

실험에 사용된 설탕 용액, 소금 용액 및 오미자 침출액의 농도Concentrations of sugar solution, salt solution and Schizandra leachate used in the experiment 설탕 용액(%)Sugar solution (%) 시트르산 용액(%)Citric Acid Solution (%) 오미자 침출액(%)Schisandra chinensis (%) 2.92.9 0.020.02 0.50.5 5.75.7 0.060.06 1.51.5 8.38.3 0.110.11 2.42.4 10.710.7 0.150.15 3.43.4 13.013.0 0.200.20 4.34.3

검사원들은 각 특성 별로 5개 수용액을 맛 본 후, 9점 항목척도를 사용하여 각 수용액의 해당 특성에 대한 강도를 평가하였다. 검사 시, 평가를 시작하기 전과 한 시료를 맛 본 후에 입을 한 번씩 헹구도록 하였고 세트마다 3분간의 휴식을 주었다. 다양한 농도의 각 특성에 대해 평가된 강도에 대하여 회귀분석을 수행하였고 회귀식을 도출하여(표 15) 각 특성 별로 그 강도가 1, 3, 5, 7 및 9점에 해당하는 각 표준시료의 농도를 구하였다.The inspectors tasted five aqueous solutions for each property and evaluated the intensity of the corresponding properties of each aqueous solution using a nine-point item scale. During the test, the mouths were rinsed once before starting the evaluation and after tasting one sample, with a three minute rest period per set. A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on the strengths evaluated for each characteristic of varying concentrations, and a regression equation was derived (Table 15). Was obtained.

단맛, 신맛 및 오미자 향미의 표준시료 농도와 평가된 특성 강도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회귀식Regression equation represen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tandard sample concentration of sweet, sour and schizandra flavor and the evaluated characteristic strength 관능적 특성Sensual characteristic 농도 및 평가 강도Concentration and evaluation intensity 회귀식Regression 단맛sweetness 농도(%)density(%) 2.92.9 5.75.7 8.38.3 10.710.7 13.013.0 Y(평가강도)=0.425X(농도)+1.320Y (evaluation intensity) = 0.425X (concentration) +1.320 평가강도(평균값)Evaluation strength (average value) 2.812.81 4.424.42 4.94.9 6.426.42 7.4847.484 신맛Sour taste 농도g(%)Concentration g (%) 0.020.02 0.060.06 0.110.11 0.150.15 0.200.20 Y(평가강도)=25X(농도)+1.2Y (evaluation intensity) = 25X (concentration) +1.2 평가강도(평균값)Evaluation strength (average value) 1.551.55 3.293.29 3.973.97 4.94.9 5.845.84 오미자 향미Schisandra flavor 농도g(%)Concentration g (%) 0.50.5 1.51.5 2.42.4 3.43.4 4.34.3 Y(평가강도)=1.488X(농도)+1.845Y (evaluation intensity) = 1.488X (concentration) +1.845 평가강도(평균값)Evaluation strength (average value) 3.193.19 5.135.13 5.775.77 6.976.97 7.617.61

오미자 음료의 주요 관능적 특성이 나타나도록 하는 각 표준시료의 다양한 농도에 의한 관능의 강도를 기준점으로 확립함으로써 각 특성별 표준척도를 개발하여 객관적인 관능 평가 지표를 확립하였다. 설정된 표준척도는 표 16과 같다.
The objective sensory evaluation index was established by developing the standard scale for each characteristic by establishing the intensity of the sensory function by various concentrations of each standard sample to show the main sensory characteristics of the Schizandra chinensis. The standard scales set are shown in Table 16.

단맛, 신맛 및 오미자 향미의 표준척도 1, 3, 5, 7 및 9점에 해당하는 각 표준물질의 농도Concentration of each standard corresponding to 1, 3, 5, 7, and 9 standard measures of sweetness, sourness, and Schisandra flavor 기준점수Reference score 단맛(설탕용액)(%)Sweetness (sugar solution) (%) 신맛(소금용액)(%)Sour (salt solution) (%) 오미자 향미(오미자 침출액)(%)Schisandra flavor (Schisandra chinensis) (%) 1 One 00 00 00 33 3.83.8 0.070.07 0.80.8 5 5 8.08.0 0.150.15 2.12.1 7 7 11.811.8 0.230.23 3.33.3 9 9 15.315.3 0.310.31 4.64.6

묘사분석을 통한 오미자 음료의 특성강도 평가Evaluation of Characteristic Strength of Schizandra Beverage by Descriptive Analysis

(1) 묘사분석을 위한 훈련(1) training for description analysis

오미자 음료에 대한 묘사분석을 수행하기 위하여 묘사분석에 경험이 있거나, 관심이 많은 이화여자대학교 식품공학과 대학원생 8명을 선정하여 묘사분석 훈련을 진행하였다. 선정된 8명의 패널요원에게 관능검사의 정의, 원리 및 방법, 관능적 특성의 종류에 대해 소개하고, 본 연구의 목적에 대해 설명하였다. In order to perform the description analysis on the beverage of Schisandra chinensis, eight graduate students from Ewha Womans University, Dept. of Food Science and Engineering who were experienced or interested in the description, were trained. The eight selected panel members were introduced to the definition of sensory evaluation, principles and methods, types of sensory characteristics, an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explained.

오미자 음료의 묘사분석을 위한 1차 훈련은 한 주당 2~3회씩, 3주간 이루어졌고, 매 회 훈련에 소요된 시간은 약 1시간이었다. 훈련 과정에서는 본 실험에 사용될 종류의 시료들을 포함한 다양한 오미자 음료 시료 (9종류)를 제시하여 익숙해지는 훈련을 하였으며, 오미자 음료의 향미, 감각 특성에 대한 일련의 묘사용어를 나열하도록 하였다. 또한 맛보는 방법, 향미 평가 방법, 특성 평가 순서, 맛보는 시료 양, 평가 용기 등 평가절차를 확립하였다. The primary training for the portrayal analysis of Schisandra chinensis was conducted 2-3 times a week for 3 weeks. The training time was about 1 hour. In the course of training, various kinds of Schisandra chinensis beverage samples (9 kinds) including the sample to be used in this experiment were presented and trained to familiarize them. In addition, evaluation procedures such as taste method, flavor evaluation method, characteristics evaluation procedure, sample amount to be tasted and evaluation container were established.

2차 훈련은 1주일에 3회씩 6주 동안 이루어졌으며, 매 회 훈련에 소요된 시간은 약 1시간이었다. 패널요원들은 본 실험에서 평가할 시료의 특성에 대한 묘사용어를 개발하였으며 정의를 확립 (표 17)하였고 특성 강도 평가에 필요한 표준물질 (표 18)을 선정하였다. 또한 패널들이 단맛, 신맛, 오미자 향미 강도를 평가 할 때에는 개발된 표준척도를 기준으로 비교 평가하도록 훈련시켰다. 검사원들이 오미자 음료의 특성에 익숙해지고 비교적 재현성이 있는 결과를 보일 때까지 훈련을 계속하였으며 훈련 도중 대부분의 패널 요원과 다르게 평가하는 요원들은 특성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기 위해 개별 보충훈련을 실시하였다.
Secondary training was conducted three times a week for six weeks, and the time required for each training was approximately one hour. Panelists developed descriptive terms for the characteristics of the samples to be evaluated in this experiment, established definitions (Table 17), and selected the reference materials (Table 18) required for the evaluation of the characteristic strength. In addition, the panel was trained to evaluate the sweetness, sourness, and taste of Schisandra chinensis, based on a developed standard. Training was continued until the inspectors became accustomed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chizandra chinensis beverages and showed relatively reproducible results. During the training, personnel who assessed differently from the panelists conducted individual supplementary training to improve their understanding of the characteristics.

오미자 음료 묘사 용어의 정의 Schizandra Descriptive Definition 감각 특성Sensory characteristics 기준 시료Reference sample 향미 Flavor 단맛sweetness 수크로스(sucrose)를 전형으로 하는 기본적 미각Basic taste typical of sucrose 신맛Sour taste 시트르산을 전형으로 하는 기본적 미각Basic taste that citric acid is typical 짠맛Salty taste 염화나트륨을 전형으로 하는 기본적 미각Basic taste typical of sodium chloride 쓴맛bitter 카페인 및 퀴닌을 전형으로 하는 기본적 미각Basic taste typical of caffeine and quinine 오미자(Omija ) 향미Schizandra (Omija) flavoring 오미자와 관련된 향미Flavor associated with Schisandra 자몽(Grapefruit) 향미Grapefruit Flavor 자몽과 관련된 향미Grapefruit-related flavors 크랜베리(Cranberry) 향미 Cranberry Flavor 크랜베리와 관련된 향미Cranberry-related flavors 마른 향나무(Woody) 향미 Dry Woody Flavor 마른 향나무와 관련된 향미Flavor associated with dried juniper 입안
감각
Mouth
sense
떫은 감각 (Astringency)Astringency 탄닌이나 명반에서 느껴지는 혀가 오그라들거나 마른 감각Tannins or alum in the alum

오미자 음료의 묘사 용어를 위한 기준 시료Reference Sample for Descriptive Terminology of Schisandra Beverage 감각 특성Sensory characteristics 기준 시료Reference sample flavor 단맛sweetness 8.66% 수크로스 용액8.66% sucrose solution 신맛Sour taste 0.16% 시트르산 용액0.16% citric acid solution 짠맛Salty taste 0.3% NaCl 용액0.3% NaCl solution 쓴맛bitter 0.01% 카페인 용액0.01% caffeine solution 오미자(Omija ) 향미Schizandra (Omija) flavoring 물 100g과 오미자 2.12g을 혼합하여 우린 오미자 용액 Mix 100 g of water and 2.12 g of Schisandra chinensis solution 자몽(Grapefruit) 향미Grapefruit Flavor 10ml 자몽 쥬스 (R.W KNUDSEN&SONS, CHICO, CA, USA) 와 혼합한 100ml 오미자 음료1 ) 100ml Schisandra drink mixed with 10ml grapefruit juice (RW KNUDSEN & SONS, CHICO, CA, USA) 1 ) 크랜베리(Cranberry) 향미 Cranberry Flavor 10ml 크랜베리 (Green Finance Oy, Veteli, Finland)와 혼합한 100ml 오미자 음료1 ) 100 ml Schisandra drink mixed with 10 ml Cranberry (Green Finance Oy, Veteli, Finland) 1 ) 마른 향나무(Woody) 향미 Dry Woody Flavor 3g 마른 향나무3g dry juniper 입안
감각
Mouth
sense
떫은 감각(Astringency)Astringency 0.1% 탄닌산 용액 0.1% tannic acid solution

1)10℃에서 준비한 400ml 물, 85g 설탕 및 걸러낸 200ml 오미자 우린 액(22.5g 오미자(Omija)를 200ml 물에서 5시간 우려냄)의 혼합물
1) A mixture of 400 ml water, 85 g sugar and 200 ml filtered Schisandra chinensis prepared at 10 ° C. (22.5 g Omija boiled in 200 ml water for 5 hours)

(2) 오미자 음료 시료의 준비 및 제시(2) Preparation and presentation of sample of Schisandra chinensis

오미자(한국산, E-Mart, Seoul, Korea)는 1회 사용량(142g)씩 소분하여 개별 포장 후 냉동 보관하였고 침출 10분 전 상온에 꺼내서 사용하였다. 기준 시료(OMSM)의 경우, 오미자 1회 실험 분량(22.5g)을 흐르는 물에 씻은 후 물 200ml를 넣고 5시간을 우렸다. 5시간 후 오미자를 체에 걸러 제거한 후 침출액에 물 400ml와 설탕 85g을 첨가하여 설탕이 모두 녹을 때 까지 잘 섞어주었다. 설탕과 오미자 함량을 달리한 나머지 시료들도 동일한 과정으로 만들어졌다. 이와 같이 준비된 6가지 오미자 음료를 얼음물에 담가 둔 후 10℃가 되면, 온도를 유지하기 위해서 보온병(직경 5.5cm x 높이 15cm, 용량 250ml, Apollo stainless steel vacuum bottle)에 담아 준비하였다. Schisandra chinensis (Korean, E-Mart, Seoul, Korea) was subdivided once each (142g) and stored frozen after individual packaging and used at room temperature 10 minutes before leaching. In the case of the reference sample (OMSM), one test amount of Schizandra chinensis (22.5 g) was washed in running water, and 200 ml of water was added thereto, followed by 5 hours. After 5 hours, Schisandra chinensis was removed, and 400 ml of water and 85 g of sugar were added to the leachate and mixed well until all the sugar was dissolved. The rest of the samples with different sugar and schizandra contents were made in the same process. The six Schizandra beverages prepared in this way were immersed in ice water, and when the temperature reached 10 ° C., they were prepared by keeping them in a thermos (diameter 5.5 cm x height 15 cm, capacity 250 ml, Apollo stainless steel vacuum bottle).

실험에 사용된 오미자 음료의 시료는 오미자와 설탕의 수준을 달리한 6가지이다. OMSM은 제 4 세부과제에서 표준화시킨 레시피를 근거로 만든 기준시료이다. OHSH, OHSM 및 OHSL은 기준시료보다 오미자의 함량이 30% 많은 시료들이다. 그 중에서 OHSH의 설탕 함량은 기준시료보다 30% 많고 OHSM의 설탕 함량은 기준시료의 설탕 함량과 같다. OHSL의 설탕 함량은 기준시료보다 30% 적다. OLSH와 OLSL은 기준시료보다 오미자 함량이 30% 적은 시료들이다. 그 중에서 OLSH는 기준시료보다 설탕 함량이 30% 많고, OLSL은 30% 적은 시료이다. 시료에 대한 정보를 요약하면 표 19와 같다.
The samples of the Schisandra chinensis used in the experiment were six different levels of Schisandra chinensis. OMSM is a reference sample based on the recipe standardized in subsection 4. OHSH, OHSM and OHSL are 30% higher in Schisandra chinensis than the reference sample. Among them, the sugar content of OHSH is 30% higher than that of the reference sample, and the sugar content of OHSM is the same as that of the reference sample. The sugar content of OHSL is 30% less than the reference sample. OLSH and OLSL are 30% less Schisandra chinensis than the reference sample. Among them, OLSH is 30% more sugar than the standard sample, OLSL is 30% less sample. Table 19 summarizes the information about the samples.

실험에서 사용된 오미자 음료 시료Sample of Schisandra chinensis used in the experiment 성분  ingredient OMSM(CON)OMSM (CON) OHSHOHSH OHSMOHSM OHSLOHSL OLSHOLSH OLSLOLSL 오미자Schisandra 22.5g22.5 g 29.3g(+30%)29.3 g (+ 30%) 29.3g(+30%)29.3 g (+ 30%) 29.3g(+30%)29.3 g (+ 30%) 15.8g(-30%)15.8 g (-30%) 15.8g(-30%)15.8 g (-30%) 설탕Sugar 85g85 g 110.5g(+30%)110.5 g (+ 30%) 85g85 g 59.5g(-30%)59.5 g (-30%) 110.5g(+30%)110.5 g (+ 30%) 59.5g(-30%)59.5 g (-30%)

적색조명 하에서 시료를 70ml 씩 담은 보온병 6개와 갈색병 6개를 검사원에게 제시하였다. 검사원들은 평가 직전에 각 시료를 함께 제공된 갈색병에 따라서 맛을 본 후 각 특성을 평가하였다. 각 보온병에는 시료에 대한 편견을 막기 위하여 난수표에서 추출한 세 자리 숫자를 붙였고, 시료를 랜덤하게 제시하였다. 또한 시료를 평가하는 사이에 입을 헹굴 수 있도록 정수와 뱉는 컵을 함께 제시하였다.
Six thermos and six brown bottles containing 70 ml of sample under red light were presented to the inspector. The inspectors tasted each sample according to the brown bottle provided together and evaluated each characteristic immediately before evaluation. Each thermos was labeled with three digits extracted from a random number table to prevent bias against the samples, and samples were randomly presented. In addition, the water and spit cups were presented together to rinse the mouth between samples.

(3) 통계분석(3) Statistical Analysis

오미자 음료 시료들의 관능적 특성에 대해서 시료들 간의 유의적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분산분석(analysis of variance, ANOVA)를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에 따라 Duncan's multiple range test를 수행하였다. 또한 각 시료의 주요한 관능적 특성을 요약하여 나타내기 위하여 각 특성의 평균값을 적용하여 주성분 분석(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을 실시하였다.
The analysis of variance (ANOVA)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sample of Schisandra chinensis and Duncan's multiple range test according to the results. In addition,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 was performed by applying the average value of each characteristic to summarize the main sensory characteristics of each sample.

실험결과Experiment result

오미자 함량과 설탕 함량을 달리한 6가지 오미자 시료의 묘사분석 결과는 표 20과 같다. 오미자 음료의 향미와 감각 특성에 대해서 총 9가지(단맛, 신맛, 짠맛, 쓴맛, 오미자 향미, 크랜베리 향미, 자몽 향미, 마른 향나무 향미, 떫은 감각)의 특성이 개발되었다.
Descriptive analysis results of the six Schisandra chinensis samples with different Schisandra chinensis and sugar contents are shown in Table 20. A total of nine characteristics (sweet, sour, salty, bitter, schizandra flavor, cranberry flavor, grapefruit flavor, dry juniper flavor, astringent sensation) were developed.

오미자 음료 시료의 감각 특성Sensory Characteristics of Schizandra Beverage Samples 감각 특성 Sensory characteristics 오미자 음료Schisandra drink OMSM (CON)OMSM (CON) OHSHOHSH OHSMOHSM OHSLOHSL OLSHOLSH OLSLOLSL 단맛sweetness 5.16c5.16c 6.19b6.19b 4.50d4.50d 2.69f2.69f 6.91a6.91a 3.16e3.16e 신맛Sour taste 3.66c3.66c 3.94c3.94c 5.25b5.25b 6.59a6.59a 1.94e1.94e 3.13d3.13d 짠맛Salty taste 2.72c2.72c 3.41b3.41b 3.69ab3.69ab 4.06a4.06a 2.41cd2.41cd 2.16d2.16d 쓴맛bitter 2.91c2.91c 3.16bc3.16bc 3.59b3.59b 4.13a4.13a 2.38d2.38d 1.97d1.97d 오미자 향미Schisandra flavor 4.81c4.81c 5.38b5.38b 5.75ab5.75ab 6.13a6.13a 4.22d4.22d 3.41e3.41e 크랜베리 향미Cranberry Flavor 4.56c4.56c 5.78a5.78a 4.72bc4.72bc 4.03d4.03d 5.09b5.09b 3.22e3.22e 자몽 향미Grapefruit flavor 3.47c3.47c 3.94bc3.94bc 4.38b4.38b 4.94a4.94a 2.50d2.50d 2.38d2.38d 마른 향나무 향미Dry juniper flavor 4.13b4.13b 4.28ab4.28ab 4.81a4.81a 4.84a4.84a 3.13c3.13c 2.66c2.66c 떫은 감각A tender sense 3.44c3.44c 3.56c3.56c 4.19b4.19b 5.16a5.16a 2.16e2.16e 2.84d2.84d

1) 공통 문자를 가지는 평균값들은 alpha=0.05에서 유의한 차이를 가지지 않는다.
1) Mean values with common characters do not have significant difference at alpha = 0.05.

표준화된 레시피를 근거하여 만들어진 기준시료 OMSM에서 신맛, 짠맛, 쓴맛, 자몽 향미, 마른 향나무 향미, 떫은 감각이 낮게 평가되었고 단맛, 오미자 향미, 크랜베리 향미는 뚜렷한 경향을 보이지 않았다. 오미자와 설탕 함량이 낮은 시료 OLSL은 짠맛, 쓴맛, 오미자 향미, 크랜베리 향미, 자몽 향미, 마른 향나무 향미가 가장 낮게 평가되었고 그 외의 특성들도 상대적으로 낮게 평가되었다. 오미자 함량이 많은 시료 OHSH, OHSM, OHSL에서는 신맛, 짠맛, 쓴맛, 오미자 향미, 크랜베리 향미, 자몽 향미, 마른 향나무 향미, 떫은 감각이 높게 평가 되었고 단맛이 낮게 평가 되었다. 이 세 시료 내에서는 설탕의 함량이 많을수록 신맛, 짠맛, 쓴맛, 오미자 향미, 자몽향미, 떫은 감각이 낮게 평가되었다. 설탕 함량이 많은 시료 OHSH, OLSH에서는 단맛과 크랜베리 향미가 높게 평가되었고 신맛과 떫은 감각은 낮게 평가 되었다. In the reference sample OMSM based on the standardized recipe, the sour, salty, bitter, grapefruit, dry juniper, and astringent sensations were low, and sweet, schisandra, and cranberry flavors did not show any obvious tendency. Samples of low Schisandra chinensis and low sugar content OLSL had the lowest salty, bitter taste, Schisandra chinensis, cranberry flavor, grapefruit flavor, and dried juniper flavor, and other characteristics were relatively low. In OHSH, OHSM, and OHSL samples with high content of Schisandra chinensis, sour, salty, bitter, Schisandra chinensis, cranberry flavor, grapefruit flavor, dried juniper flavor, astringent sensation were high and sweetness was low. In these three samples, the higher the sugar content, the lower the sour, salty, bitter, schizandra flavor, grapefruit flavor, and astringency. In OHSH and OLSH samples with high sugar content, sweetness and cranberry flavor were high, and sourness and astringency were low.

오미자와 설탕의 함량이 다른 오미자 음료의 9가지 특성 강도에 대해서 각 시료의 평균값을 적용하여 주성분 분석을 실시 한 결과는 도 2와 같다. 제 1 주성분 (PC1)과 제 2 주성분(PC2)이 각각 총 변동의 75.51%, 23.38%를 설명하여 총 변동의 98.89%를 설명하였다. PC1(X축)에 대해 양의 방향으로 부하된 OHSL, OHSM은 오미자 향미, 마른 향나무 향미, 짠맛, 자몽 향미, 쓴맛, 신맛, 떫은 감각이 높게 나타났고 반대방향에 위치한 OLSH, OLSL은 이러한 특성들이 낮게 나타났다. PC2에 대해 양의 방향으로 부하된 OHSH과 OLSH는 단맛과 크랜베리 향미가 높게 나타났고 음의 방향으로 부하된 OLSL과 OHSL은 단맛과 크랜베리 향미가 낮게 나타났다. As a result of performing the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by applying the average value of each sample to the nine characteristic strengths of the Schisandra chinensis, the content of Schisandra chinensis and the sugar is different. The first principal component PC1 and the second principal component PC2 accounted for 75.51% and 23.38% of the total variation, respectively, accounting for 98.89% of the total variation. OHSL and OHSM loaded in the positive direction with respect to PC1 (X-axis) showed high Schisandra flavor, dry juniper flavor, salty taste, grapefruit flavor, bitterness, sourness, and astringent sensation. Appeared low. OHSH and OLSH loaded in the positive direction for PC2 had high sweetness and cranberry flavor, while OLSL and OHSL loaded in the negative direction showed low sweetness and cranberry flavor.

오미자와 설탕 함량이 다른 시료들이 주성분에 의해 부하된 양상을 보면, PC1에 의해서 6개의 시료가 크게 오미자 함량이 많은 시료 OHSL, OHSM, OHSH와 오미자 함량이 중간 정도인 기준시료 OMSM, 그리고 오미자 함량이 적은 시료 OLSL, OLSH로 나누어짐을 알 수 있었다. 또한 PC2에 의해서는 6개의 시료가 설탕 함량이 많은 시료 OLSH와 OHSH, 설탕 함량이 중간 정도인 OMSM과 OHSM 그리고 설탕 함량이 적은 OLSL과 OHSL로 나누어짐을 알 수 있었다.
When the samples with different amounts of Schisandra chinensis and sugar content were loaded by the main component, PC1 showed 6 samples with a large amount of Schisandra chinensis, OHSL, OHSM, OHSM, and Schisandra chinensis, which were intermediate to Schisandra chinensis. A small number of samples were divided into OLSL and OLSH. In addition, PC2 showed six samples divided into OLSH and OHSH with high sugar content, OMSM and OHSM with medium sugar content, and OLSL and OHSL with low sugar content.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구현예일 뿐이며,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same is by way of illustration and example only and is not to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us, the substanti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and equivalents thereof.

Claims (9)

다음의 단계를 포함하는 식품의 관능적 특성 평가방법:
(a) 식품의 관능적 특성의 강도(intensity)를 나타내는 표준척도(reference scale)를 설정하는 단계;
(b) 상기 표준척도 상의 각 관능적 특성의 강도 정박점에 해당하는 표준물질을 준비하여 이의 관능적 특성을 평가하는 단계; 및
(c) 상기 표준물질의 관능적 특성의 강도(intensity)와 비교하여 상기 식품 시료의 관능적 특성을 수치적으로 평가하는 단계.
Method for evaluating organoleptic properties of food comprising the following steps:
(a) establishing a reference scale indicative of the intensity of the sensory properties of the food;
(b) preparing a reference material corresponding to the strength anchorage point of each sensory property on the standard scale and evaluating the sensory property thereof; And
(c) numerically evaluating the sensory properties of the food sample as compared to the intensity of the sensory properties of the standar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a) 단계 이전에 식품의 관능적 특성을 표현할 묘사용어 및 상기 관능적 특성을 나타내도록 하는 표준물질을 설정하는 단계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의 관능적 특성 평가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method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setting a descriptive term to express the sensory properties of the food and the reference material to exhibit the sensory properties before step (a). Assessment Method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ⅰ) 특정 관능적 특성을 나타내도록 하는 표준물질을 각기 다른 농도로 준비하는 단계; (ⅱ) 상기의 각기 다른 농도의 각 표준물질의 관능적 특성을 수치적으로 평가하는 단계; (ⅲ) 상기 각 표준물질의 농도와 상기 평가 결과 간의 관계를 회귀식(regression equation)으로 도출하는 단계; 및 (ⅳ) 상기 도출된 회귀식으로부터 관능적 특성의 강도 정박점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의 관능적 특성 평가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step (a) comprises the steps of: (i) preparing different concentrations of standards to exhibit specific organoleptic properties; (Ii) numerically evaluating the organoleptic properties of each standard at different concentrations above; (Iii) deriving a relationship between the concentration of each standard and the evaluation result as a regression equation; And (iii) setting the intensity anchoring point of the sensory properties from the derived regression equation.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a) 단계의 상기 (ⅱ) 단계 및 상기 (ⅲ) 단계 사이에 상기 단일의 수치적 평가결과가 동일한 농도의 표준물질에 대해 전체 평균 평가점수와 기준점 이상의 차이가 나는 경우, 평균점수와 기준점 미만의 차이가 날 때까지 상기 표준물질의 평가를 반복하는 단계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의 관능적 특성 평가방법.
4.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single numerical evaluation result between step (ii) and step (iii) of step (a)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overall mean score and the reference point for the same concentration of reference material. If there is a difference, the method of evaluating the sensory properties of the food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repeating the evaluation of the standard until the difference between the average score and the reference poin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와 (C) 단계 사이에 각 관능적 특성의 강도 정박점에 해당하는 시료에 대한 평가결과가 표준척도와 기준점 이상의 차이가 나는 경우, 표준척도와 기준점 미만의 차이가 날 때 까지 상기 시료의 평가를 반복하는 단계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의 관능적 특성 평가방법.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if the evaluation result for the sample corresponding to the intensity anchorage point of each sensory property between step (b) and (C) differs by more than the standard scale and the reference point, The sensory property evaluation method of the food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repeating the evaluation of the sample until the differen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은 양념된 육류 식품, 음료 식품 또는 드레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의 관능적 특성 평가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food is a seasoned meat food, a beverage food, or a dressing.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양념된 육류 식품은 불고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의 관능적 특성 평가방법.
7.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seasoned meat food is bulgogi.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음료 식품은 오미자 음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의 관능적 특성 평가방법.
7.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beverage food is a schizandra beverage.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드레싱은 고추장 드레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의 관능적 특성 평가방법.
7.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dressing is gochujang dressing.
KR1020100104201A 2010-10-25 2010-10-25 Reference scales for evaluating sensory characteristics of foods and the methods for evaluating sensory characteristics thereby KR20120042489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4201A KR20120042489A (en) 2010-10-25 2010-10-25 Reference scales for evaluating sensory characteristics of foods and the methods for evaluating sensory characteristics thereb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4201A KR20120042489A (en) 2010-10-25 2010-10-25 Reference scales for evaluating sensory characteristics of foods and the methods for evaluating sensory characteristics thereb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2489A true KR20120042489A (en) 2012-05-03

Family

ID=462632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4201A KR20120042489A (en) 2010-10-25 2010-10-25 Reference scales for evaluating sensory characteristics of foods and the methods for evaluating sensory characteristics thereb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42489A (e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22582A1 (en) * 2014-02-14 2015-08-20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for quantitatively measuring sensory perception quality of food applying detection theory
KR20190106112A (en) * 2018-03-07 2019-09-18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Evaluation method for similarity in odors using perception of odors
WO2021033583A1 (en) * 2019-08-21 2021-02-25 国立大学法人神戸大学 Food texture evaluation method and standard food texture model
CN113609775A (en) * 2021-08-09 2021-11-05 上海太太乐食品有限公司 Quantitative forecasting method for salivation feeling sensory evaluation value of freshness of solid compound seasoning
CN117367918A (en) * 2023-12-04 2024-01-09 内蒙古蒙牛乳业(集团)股份有限公司 Fermented milk sensory quality evaluation model, construction method and application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22582A1 (en) * 2014-02-14 2015-08-20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for quantitatively measuring sensory perception quality of food applying detection theory
KR20190106112A (en) * 2018-03-07 2019-09-18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Evaluation method for similarity in odors using perception of odors
WO2021033583A1 (en) * 2019-08-21 2021-02-25 国立大学法人神戸大学 Food texture evaluation method and standard food texture model
CN113609775A (en) * 2021-08-09 2021-11-05 上海太太乐食品有限公司 Quantitative forecasting method for salivation feeling sensory evaluation value of freshness of solid compound seasoning
CN113609775B (en) * 2021-08-09 2024-04-23 上海太太乐食品有限公司 Quantitative forecasting method for delicious salivation sense sensory evaluation score of solid compound seasoning
CN117367918A (en) * 2023-12-04 2024-01-09 内蒙古蒙牛乳业(集团)股份有限公司 Fermented milk sensory quality evaluation model, construction method and application
CN117367918B (en) * 2023-12-04 2024-02-13 内蒙古蒙牛乳业(集团)股份有限公司 Construction method and application of sensory quality evaluation model of fermented milk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Imamura Descriptive terminology for the sensory evaluation of soy sauce
Donadini et al. A preliminary study investigating consumer preference for cheese and beer pairings
Miller The eating quality of meat: V Sensory evaluation of meat
Córdoba et al. Specialty and regular coffee bean quality for cold and hot brewing: Evaluation of sensory profile and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Ledeker et al. Comparison of sensory attributes in fresh mangoes and heat-treated mango purées prepared from Thai cultivars
MX2007002052A (en) Ingredient systems comprising trehalose, food products containing trehalose, and methods of making same.
Pereira et al. Sensory Lexicon Development for a P ortuguese Cooked Blood Sausage–M orcela de A rroz de M onchique–to Predict Its Usefulness for a Geographical Certification
Pujchakarn et al. Development of a sensory lexicon for a specific subcategory of soy sauce: Seasoning soy sauce
KR20120042489A (en) Reference scales for evaluating sensory characteristics of foods and the methods for evaluating sensory characteristics thereby
Wu et al. Temporal profiling of simplified lemonade using temporal dominance of sensations and temporal check‐all‐that‐apply
JP6846947B2 (en) Evaluation method of contribution of fragrance compounds to retronasal aroma
Kim et al. Salt contents and aging period effects o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sensory quality of Korean traditional fermented soybean paste (doenjang)
Jo et al. Sensory characteristics and cross-cultural acceptability of Chinese and Korean consumers for ready-to-heat (RTH) type bulgogi (Korean traditional barbecued beef)
Lee et al. Exploration of flavor familiarity effect in Korean and US consumers’ hot sauces perceptions
Xiang et al. Cheese powder as an ingredient in emulsion sausages: Effect on sensory properties and volatile compounds
Golly et al. Development of food products from palmyra palm (Borassus flabellifer L.) fruit pulp for possible commercialization
DE1793850C2 (en) Use of certain thiophane compounds as flavorings or flavoring components
US20220240549A1 (en) Acetic acid bacteria-containing composition
Rahmadhani et al. Teaching of the production and acceptance analysis of instant urap seasoning in the vocational school
Chu Development of an intact muscle pork flavor lexicon
JP2018124106A (en) Dynamic time sensory evaluation method of food and food
JP3587338B2 (en) Spices, their production method and food
Kim et al. Influence of intrinsic factors and extrinsic product information on acceptability for Mulnaengmyeon (Korean traditional cold noodle) broth
Chon et al. Analysis of capsaicin and the perceived spiciness of cabbage kimchi according to different preparation methods
Bamsey Beef flavor myolog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