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42477A - Front projection screen and projection system compri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Front projection screen and projection system compri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42477A
KR20120042477A KR1020100104185A KR20100104185A KR20120042477A KR 20120042477 A KR20120042477 A KR 20120042477A KR 1020100104185 A KR1020100104185 A KR 1020100104185A KR 20100104185 A KR20100104185 A KR 20100104185A KR 20120042477 A KR20120042477 A KR 201200424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front projection
projection screen
center
reflective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418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256594B1 (en
Inventor
김경모
이진용
한상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001041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6594B1/en
Publication of KR201200424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247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65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659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54Accessories
    • G03B21/56Projection screens
    • G03B21/60Projection screens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surface
    • G03B21/62Translucent screens
    • G03B21/625Lenticular translucent scree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02Simple or compound lenses with non-spherical faces
    • G02B3/08Simple or compound lenses with non-spherical faces with discontinuous faces, e.g. Fresnel le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05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 G02B5/021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at the element's surface, e.g. by means of surface roughening or microprismatic structures
    • G02B5/0231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at the element's surface, e.g. by means of surface roughening or microprismatic structures the surface having microprismatic or micropyramidal shap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73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zed by the use
    • G02B5/0284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zed by the use used in reflec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4Prisms
    • G02B5/045Prism array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54Accessories
    • G03B21/56Projection screens
    • G03B21/60Projection screens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surface
    • G03B21/602Lenticular scree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verhead Projectors And Projection Screens (AREA)

Abstract

PURPOSE: A front projection screen and a projection system including the same are provided to prevent a reduction of a contrast ratio due to light irradiating into an area excluding a reflection surface because light passing through a non-reflective surface disappears inside a lens unit by forming the lens unit and base unit using a black colored resin. CONSTITUTION: A front projection screen and a projection system including the same comprise a base unit and lens unit(20). The lens unit comprises a reflection surface(22) diffusing and reflecting light to one surface of the base unit and a non-reflective surface(24). A lens of which the cross section is a triangularly shaped is arranged in the lens unit as a form of successive concentric circles. The tilt angle of the reflective surface of the lens increases further from the center of the concentric circles. The tilt angle of the reflection of the lens closest to the center of the concentric circle is 1 to 10 degrees. The tilt angle of the reflection of the lens the farthest from the center of the concentric circle is 15 to 45 degrees.

Description

프론트 프로젝션 스크린 및 이를 포함하는 프로젝션 시스템{FRONT PROJECTION SCREEN AND PROJECTION SYSTEM COMPRISING THE SAME}FRONT PROJECTION SCREEN AND PROJECTION SYSTEM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프론트 프로젝션 스크린 및 이를 포함하는 프로젝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화질이 우수하며, 투영기와 스크린 사이의 거리가 짧은, 공간 절약적인 프로젝션 스크린 및 이를 포함하는 프로젝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ront projection screen and a projection system includ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pace-saving projection screen having a high image quality and a short distance between the projector and the screen, and a projection system including the same.

프로젝션 시스템은 투영기에서 배출하는 빛을 스크린 상에서 반사시켜 화면을 구현하는 장치로, 종래에는 회의실이나 강의실과 같은 넓은 공간에서 주로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최근에는 프로젝션 장치가 소형화되고, 가격이 저하됨에 따라, 홈 시어터 등의 가정용으로 사용되는 경향이 증가되고 있다.
Projection system is a device that implements the screen by reflecting the light emitted from the projector on the screen, conventionally used in a large space such as a conference room or classroom. However, in recent years, as the projection apparatus has become smaller and the price is lowered, the tendency to use it for home use such as a home theater has increased.

그러나 종래의 프로젝션 시스템의 경우, 콘트라스트비가 TV에 비해 떨어지고, 밝은 곳에서는 외광 반사 등으로 인해 화면이 잘 보이지 않는 등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프로젝션 시스템이 대중화되기 위해서는 화질 개선이 시급하다. However, the conventional projection system has a problem that the contrast ratio is lower than that of the TV, and the screen is hard to see due to external light reflection in a bright place. Therefore, it is urgent to improve the image quality in order for the projection system to become popular.

또한, 종래의 프로젝션 시스템의 경우, 스크린 상에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해서 요구되는 투영기와 스크린 사이의 거리가 길어 공간 소비가 많고, 그 결과 가정용으로 사용되기에는 부적한 면이 있었다. In addition, in the conventional projection system, the distance between the projector and the screen required for displaying the screen on the screen is long, which consumes a lot of space, and as a result, it is inadequate for home use.

또한, 종래 프론트 프로젝션 시스템에 사용되는 스크린의 경우, 제조 공정이 복잡하고, 그 결과 제조 비용이 높아, 가격 경쟁력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screen used in the conventional front projection system, there is a problem that the manufacturing process is complicated, and as a result, the manufacturing cost is high, the price competitiveness is low.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제조 공정이 간단하고, 제조 비용이 저렴하면서도, 우수한 화질을 구현할 수 있고, 설치를 위해 요구되는 공간이 적은 프론트 프로젝션용 스크린 및 이를 포함하는 프로젝션 시스템을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manufacturing process is simple, the manufacturing cost is low, but can implement a good image quality, the front projection screen having a small space required for installation and a projection system including the same To provide.

이를 위해, 본 발명은 기재부; 및 상기 기재부의 일면에 광을 확산 반사시키는 반사면과 비반사면을 포함하며, 단면이 삼각형인 렌즈들이 연속된 동심원호 형태로 배열된 렌즈부;를 포함하며, 상기 렌즈의 반사면의 경사 각도가 동심원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증가하고, 동심원의 중심에서 가장 가까운 렌즈의 반사면의 경사 각도는 1 ~ 10도이고, 동심원의 중심에서 가장 먼 렌즈의 반사면의 경사 각도는 15 ~ 45도인 프론트 프로젝션 스크린을 제공한다.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is a substrate; And a lens unit including a reflection surface and a non-reflection surface for diffusing and reflecting light on one surface of the base portion, wherein the lenses having triangular cross sections are arranged in a concentric arc shape in a continuous manner. Increasing away from the center of the concentric circles,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reflective surface of the lens closest to the center of the concentric circles is 1 to 10 degrees,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reflective surface of the lens farthest from the center of the concentric circles is 15 to 45 degrees Provide a screen.

이때 상기 기재부 및 렌즈부 중 적어도 하나는 흑색 수지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반사면은 금속 또는 무기물 박막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is case, at least one of the base portion and the lens portion is preferably formed of a black resin, and the reflecting surface is preferably made of a metal or an inorganic thin film.

또한, 상기 반사면의 표면에 불규칙한 요철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요철은 높이가 0.5 내지 5㎛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반사면의 반사 헤이즈는 20 내지 100%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rregular irregularities may b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reflective surface, wherein the irregularities preferably have a height of about 0.5 to 5 μm. In addition, the reflection haze of the reflective surface is preferably about 20 to 100%.

한편, 본 발명의 프론트 프로젝션 스크린은 상기 렌즈부 상부에 투명 보호층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동심원의 중심에서 가장 가까운 렌즈의 반사면의 경사 각도는 1~ 5도이고, 동심원의 중심에서 가장 먼 렌즈의 반사면의 경사 각도는 15 ~ 30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the front projection scree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transparent protective layer on the lens portion, in this case,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reflective surface of the lens closest to the center of the concentric circles is 1 to 5 degrees, the center of the concentric circles It is preferable that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reflecting surface of the lens farthest from 15 to 30 degrees.

한편, 투명 보호층이 형성되지 않는 경우에는, 동심원의 중심에서 가장 가까운 렌즈의 반사면의 경사 각도는 5 ~ 10도이고, 동심원의 중심에서 가장 먼 렌즈의 반사면의 경사 각도는 30 ~ 45도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transparent protective layer is not formed,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reflective surface of the lens closest to the center of the concentric circles is 5 to 10 degrees, and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reflective surface of the lens farthest from the center of the concentric circles is 30 to 45 degrees. It is preferable that it is about degree.

한편, 본 발명의 프론트 프로젝션 스크린의 경우, 상기 동심원의 중심이 프론트 프로젝션 스크린의 외부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front projection scree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enter of the concentric circle is preferably located outside the front projection screen.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상기 프론트 프로젝션 스크린 및 상기 스크린에 화면을 투사하는 투영기를 포함하는 프로젝션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프론트 프로젝션 스크린과 투영기 사이의 거리는 390 내지 550mm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rojection system comprising the front projection screen and a projector for projecting a screen onto the screen. At this time, the distance between the front projection screen and the projector is preferably about 390 to 550mm.

본 발명의 프론트 프로젝션 스크린은 흑색 수지를 사용하여 렌즈부 및/또는 기재부를 형성함으로써, 비반사면을 통과하는 빛은 렌즈부의 내부에서 소실된다. 따라서 비반사면에 별도의 처리를 위한 제조 공정이 없이, 반사면 이외의 영역으로 입사하는 빛으로 인한 콘트라스트비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The front projection screen of the present invention uses a black resin to form the lens portion and / or the substrate portion, so that light passing through the non-reflective surface is lost inside the lens portion. Therefore, there is no manufacturing process for a separate treatment on the non-reflective surfac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lowering of the contrast ratio due to light incident to the region other than the reflective surface.

또한, 반사면에 요철을 형성할 경우, 결상을 위한 추가적인 확산부재를 절감할 수 있으며, 광 확산의 정도와 확산방향의 조절이 용이하기 때문에 광 효율성이 향상된다. In addition, when the irregularities are formed on the reflective surfac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additional diffusion member for image formation, and the light efficiency is improved because the degree of light diffusion and the direction of diffusion are easy to adjust.

또한, 본 발명의 프론트 프로젝션 스크린은 동심원호의 중심을 스크린 외부에 위치시킴으로써, 투영기와 스크린 사이에 요구되는 수평 거리가 짧아지기 때문에, 공간 절약형 프로젝션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ront projection scree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realize a space-saving projection system because the horizontal distance required between the projector and the screen is shortened by positioning the center of the concentric arc outside the screen.

도 1은 본 발명의 프론트 프로젝션 스크린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프론트 프로젝션 스크린의 단면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프론트 프로젝션 스크린의 렌즈 배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프론트 프로젝션 스크린의 확산 반사면 표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프로젝션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front projection screen of the present invention.
2 and 3 are cross-sectional views of the front projection screen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lens arrangement of the front projection screen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diffuse reflection surface of the front projection screen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for explaining a projec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다만, 하기 도면들은 본 발명을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작성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하기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내며, 원활한 설명을 위해 도면 상에 나타난 구성요소들은 과장, 축소 또는 생략될 수 있음을 밝힌다.
However, the following drawings are made in order to better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but are only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n addi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n the following drawings represent the same components, for the sake of ease of explanation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reduced or omitted.

도 1 내지 도 5에는 본 발명의 프론트 프로젝션 스크린의 실시예들이 도시되어 있다.1 to 5 show embodiments of the front projection scree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재부(30)와 렌즈부(20)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 1, the substrate unit 30 and the lens unit 20 are included.

상기 기재부(30)는 스크린을 지지하고, 강도를 부여하기 위한 것으로, 당해 기술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플라스틱 기재들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상기 기재부(30)로는 폴리카보네이트계 필름, 아크릴계 필름, 셀룰로오스계 필름, 사이클로올레핀계 필름 등이 제한없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재부(30)는 필요에 따라, 흑색 수지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흑색 수지는 경화성 수지에 흑색 안료 등을 혼합하여 제조된 수지를 말하는 것으로, 흑색 수지를 사용하여 기재부를 형성할 경우, 비반사면으로 입사되는 빛이 흑색 수지에 의해 흡수, 소실되어 콘트라스트비를 향상시키는데 보다 효과적이다.
The substrate portion 30 is to support the screen and to impart strength, and plastic substrates generally used in the art may be used. For example, a polycarbonate film, an acrylic film, a cellulose film, a cycloolefin film, or the like may be used as the base part 30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limitation. In addition, the substrate portion 30 may be formed of a black resin, if necessary. The black resin refers to a resin produced by mixing a black pigment or the like with a curable resin. When the base part is formed using the black resin, the light incident on the non-reflective surface is absorbed and lost by the black resin to improve the contrast ratio. Is more effective.

한편, 상기 기재부(30)의 일면 상에는 투영기로부터 투사되는 빛을 시청자 방향으로 반사시키기 위한 렌즈부(20)가 형성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a lens unit 20 for reflecting the light projected from the projector in the direction of the viewer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base unit 30.

상기 렌즈부(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을 확산 반사시키기 위한 반사면(22)과 비반사면(24)을 포함하는 렌즈들이 연속된 동심 원호 형태로 배열되어 형성된다.As illustrated in FIG. 1, the lens unit 20 is formed by arranging lenses including a reflection surface 22 and a non-reflection surface 24 for diffusing and reflecting light in a continuous concentric arc shape.

이때 상기 렌즈부(20)는 당해 기술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경화성 수지를 이용하여 제조될 수도 있고, 상기한 흑색 수지로 형성될 수도 있다. 흑색 수지는 경화성 수지에 흑색 안료 등을 혼합하여 제조된 수지를 말하는 것으로, 흑색 수지를 사용하여 렌즈부를 형성할 경우, 비반사면으로 입사되는 빛은 흑색 수지로 인해 렌즈부 내에서 소실되어 콘트라스트비를 향상시키는데 보다 효과적이다. 또한, 비 반사면에 흑색 잉크를 도포하는 등의 별도의 과정을 거치지 않아도, 비 반사면을 통한 외광 제거가 가능하므로 스크린 제조 공정을 간편화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기재부(30)와 렌즈부(20) 중 적어도 하나는 흑색 수지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is case, the lens unit 20 may be manufactured using a curable resin generally used in the art, or may be formed of the black resin. Black resin refers to a resin produced by mixing a black pigment or the like with a curable resin. When the lens part is formed using the black resin, the light incident on the non-reflective surface is lost in the lens part due to the black resin to reduce the contrast ratio. More effective to improve In addition, since it is possible to remove external light through the non-reflective surface without going through a separate process such as applying black ink to the non-reflective surface, there is an effect of simplifying the screen manufacturing process. At least one of the base portion 30 and the lens portion 20 is preferably formed of a black resin.

한편, 상기 렌즈들은 그 단면에 삼각형 형태이며, 삼각형의 두 빗변이 각각 반사면(22)과 비반사면(24)이 된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렌즈부(20)의 확대도가 개시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반사면(22)은 반사율이 높은 금속(예를 들면, 알루미늄이나 은) 또는 무기물(예를 들면, 이산화티탄 등)의 박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금속 박막 또는 무기물 박막은 당해 기술 분야에 일반적으로 알려진 박막 형성 방법, 예를 들면, 증착 또는 도포 등의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lenses have a triangular shape in the cross-section, the two hypotenuses of the triangle is the reflective surface 22 and the non-reflective surface 24, respectively. 2 shows an enlarged view of the lens unit 20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2, the reflective surface 22 may be formed of a thin film of a high reflectance metal (for example, aluminum or silver) or an inorganic material (for example, titanium dioxide). The metal thin film or the inorganic thin film may be formed by a thin film forming method generally known in the art, for example, a deposition or coating method.

한편, 이때 상기 반사면(22)은 반사 헤이즈는 20% 내지 100%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반사 헤이즈가 20% 미만이면 투영기로부터 입사되는 이미지가 충분히 결상되지 못하여 시청범위가 좁아지고, 투영기의 램프가 그대로 시인되어 국소적인 눈부심을 느끼는 핫-스팟(Hot-spot)이 발생된다.
On the other hand, the reflective surface 22 is preferably a reflection haze of about 20% to 100%. If the reflection haze is less than 20%, the image incident from the projector may not be sufficiently formed to narrow the viewing range, and the lamp of the projector may be viewed as it is, resulting in hot spots where local glare is felt.

한편, 상기 반사면은 필요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표면에 불규칙한 요철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반사면에 불규칙한 요철들이 형성될 경우, 반사 헤이즈의 조절과 확산방향의 조절이 용이하기 때문에 광 이용 효율이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때, 상기 반사면 표면에 형성되는 요철은 그 높이가 0.5 내지 5㎛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며, 요철의 형상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만한 볼록 렌즈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 상기 볼록 렌즈는 그 너비가 높이보다 넓은 형태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Meanwhile, the reflective surface may include irregular irregularities on its surface, as shown in FIG. 5, as necessary. As such, when irregular irregularities are formed on the reflective surface, it is possible to easily adjust the reflection haze and the diffusion direction, thereby improving the light utilization efficiency. In this case, the unevennes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reflective surface is preferably about 0.5 to 5㎛ in height, and the shape of the unevenness is preferably in the form of a smooth convex lens, as shown in FIG. The lens is more preferably in the form of a width wider than the height.

한편, 상기와 같이 불규칙한 요철을 갖는 반사면은, 렌즈부의 형상이 음각된 금형에 샌드 블라스터법 등을 통해 불규칙한 구형 렌즈 형상을 추가로 가공하고, 이 금형에 경화성 수지를 주입하여 렌즈부를 형성한 다음, 그 위에 금속 또는 무기물 박막을 형성하는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s described above, the reflective surface having irregular irregularities is further processed into an irregular spherical lens shape through a sandblasting method, etc. in a mold in which the shape of the lens portion is engraved, and then a curable resin is injected into the mold to form the lens portion. It can be prepared by a method of forming a metal or inorganic thin film thereon.

한편, 본 발명의 프론트 프로젝션 스크린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렌즈부 상부에 렌즈부 보호를 위한 투명 보호층(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투명 보호층(40)은 광 투과성이 있으면 되고, 그 재질이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는다.
On the other hand, the front projection screen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3, may further include a transparent protective layer 40 for protecting the lens portion on the lens portion. At this time, the transparent protective layer 40 should just be light-transmissive, The material is not specifically limited.

본 발명은 상기 동심원호 형태로 배열된 렌즈들의 경사 각도를 동심원의 중심으로부터의 거리에 따라 달라지게 구성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동심원의 중심으로부터 먼 렌즈일수록 반사면의 경사 각도(θ)가 커지도록 구성되며, 동심원의 중심에서 가장 가까운 렌즈의 반사면의 경사 각도는 1 ~ 10도 정도, 동심원의 중심에서 가장 먼 렌즈의 반사면의 경사 각도는 15 ~ 45도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경사 각도(θ)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광학 필름의 표면으로부터 필름 면의 수직인 방향으로의 각도를 의미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lenses arranged in the form of concentric arcs is configured to vary depending on the distance from the center of the concentric circles. More specifically, the inclination angle (θ) of the reflecting surface becomes larger as the lens is farther from the center of the concentric circles, and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reflecting surface of the lens closest to the center of the concentric circles is about 1 to 10 degrees, at the center of the concentric circles. It is preferable that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reflection surface of the furthest lens is about 15 to 45 degrees. At this time, the inclination angle θ means, as shown in Figure 2, the angle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lm surface from the surface of the optical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렌즈부가 상기와 같은 경사 각도를 가질 경우, 스크린의 상부 방향으로부터 입사한 빛은 상기 렌즈부에 의해 바닥 방향으로 반사하고, 스크린의 하부 방향으로부터 입사한 빛은 상기 렌즈부에 의해 정면 방향으로 반사하는 특성을 갖게 된다. 이러한 특성을 가질 경우, 스크린의 상부 방향에서 입사되는 형광등이나 태양광과 같은 외광과, 스크린 하부 방향에서 입사되는 투영기로부터 배출되는 빛이 혼합되지 않기 때문에, 외광에 의한 콘트라스트 저하를 개선할 수 있다.When the lens unit has the inclination angle as described above, light incident from the upper direction of the screen is reflected by the lens unit in the bottom direction, and light incident from the lower direction of the screen is reflected by the lens unit in the front direction. Will have characteristics. In such a case, since external light such as fluorescent light or sunlight incident in the upper direction of the screen and light emitted from the projector incident in the lower direction of the screen are not mixed, contrast reduction due to external light can be improved.

한편, 상기 반사면의 경사 각도는 스크린의 구성에 따라 다소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2와 같이, 보호층(40)이 형성되지 않은 스크린의 경우, 동심원의 중심에서 가장 가까운 렌즈의 반사면의 경사 각도는 5 ~ 10도 정도, 바람직하게는 5~9도, 더 바람직하게는 6~8도 정도이며, 동심원의 중심에서 가장 먼 렌즈의 반사면의 경사 각도는 30 ~ 45도, 바람직하게는 34 ~ 42도, 더 바람직하게는 36~40도 정도인 것이 좋다. 이에 비해 도 3과 같이, 보호층(40)이 형성된 스크린의 경우, 투명 보호층이 갖는 굴절율(통상 1.4~1.6) 때문에 입사광의 경로가 다소 달라지게 되므로, 반사면의 경사 각도가 도 2의 경우보다는 다소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투명 보호층(30)이 형성된 경우에는, 동심원의 중심에서 가장 가까운 렌즈의 반사면의 경사 각도는 1~ 10도 정도, 바람직하게는 1~5도, 더 바람직하게는 2~4도 정도이며, 동심원의 중심에서 가장 먼 렌즈의 반사면의 경사 각도는 15~30도, 바람직하게는 18~25도, 더 바람직하게는 20~23도 정도인 것이 좋다.
On the other hand,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reflective surface may vary somewhat depending on the configuration of the screen. For example, as shown in FIG. 2, in the case of the screen on which the protective layer 40 is not formed,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reflection surface of the lens closest to the center of the concentric circle is about 5 to 10 degrees, preferably 5 to 9 degrees, More preferably, it is about 6 to 8 degrees, and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reflecting surface of the lens farthest from the center of the concentric circle is 30 to 45 degrees, preferably 34 to 42 degrees, more preferably 36 to 40 degrees. .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3, in the case of the screen on which the protective layer 40 is formed, the path of incident light is slightly changed due to the refractive index of the transparent protective layer (typically 1.4 to 1.6). Rather small is desirable. Specifically, when the transparent protective layer 30 is formed,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reflecting surface of the lens closest to the center of the concentric circle is about 1 to 10 degrees, preferably 1 to 5 degrees, more preferably 2 to 4 degrees.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reflecting surface of the lens farthest from the center of the concentric circle is 15 to 30 degrees, preferably 18 to 25 degrees, more preferably 20 to 23 degrees.

또한, 본 발명의 프론트 프로젝션 스크린의 경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동심원의 중심이 프론트 프로젝션 스크린의 외부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스크린에 상이 맺히기 위해 요구되는 초점 거리가 짧아지고, 그 결과, 스크린과 투영기 사이의 수평 거리를 좁힐 수 있어, 프로젝션 시스템을 설치하기 위해 요구되는 공간을 절약할 수 있게 된다.
Further, in the case of the front projection screen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4, it is preferable that the center of the concentric circle is formed so as to be located outside the front projection screen. In this case, the focal length required for image formation on the screen is shortened, and as a result, the horizontal distance between the screen and the projector can be narrowed, thereby saving the space required for installing the projection system.

다음으로, 본 발명의 프로젝션 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Next, the projec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6에는 본 발명의 프로젝션 시스템이 도시되어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프로젝션 시스템은 상기한 프론트 프로젝션 스크린(1)과, 투영기(2)를 포함한다.6 shows a projec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6, the projec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front projection screen 1 and the projector 2 described above.

프론트 프로젝션 스크린(1)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Since the front projection screen 1 is the same as described above, the detailed description is omitted.

한편, 상기 투영기(2)는 상기 스크린(1)에 화면을 투사하기 위한 장치로, 본 발명에서는 초점 거리가 짧은 단초점 투영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초점 투영기를 사용할 경우, 투영기와 스크린 사이의 거리가 짧아, 공간 절약적인 프로젝션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프로젝션 시스템에 있어서, 투영기와 스크린 사이의 수평 거리는 390~550mm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the projector 2 is a device for projecting the screen on the screen 1,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o use a short focus projector having a short focal length. When using a short throw projector, the distance between the projector and the screen is short, so that a space-saving projection system can be realized. More specifically, in the projec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orizontal distance between the projector and the screen is preferably about 390 to 550 mm.

또한, 상기 투영기(2)는 스크린(1)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되며, 하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광을 투사하는 방식인 것이 바람직하다. 스크린 하부에서 광을 투사하는 방식의 투영기와 함께, 본 발명의 프론트 프로젝트 스크린을 사용하면, 스크린 렌즈부에 의해 스크린 상부에서 조사되는 외광과 투영기에서 투사되는 광의 반사 경로가 달라져 외광에 의한 콘트라스트비 저하를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밝은 환경에서도 선명한 화면을 구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projector 2 is disposed at a lower position than the screen 1, and preferably in a manner of projecting light from the bottom to the top direction. When the front project scree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together with a projector that projects light from the bottom of the screen, the reflection path of the external light irradiated from the upper part of the screen and the light projected from the projector is changed by the screen lens unit, thereby reducing the contrast ratio due to external light. Since it can be prevented, there is an advantage that a clear screen can be realized even in a bright environment.

한편, 상기 투영기에서 광 투사 각도는 최저 각도(α)가 10° ~ 20°, 바람직하게는 10°~ 15°, 더 바람직하게는 12°~ 14°이며, 최대 각도(β)는 60 ~ 80°, 바람직하게는 65° ~ 75°, 더 바람직하게는 68° ~ 73° 정도이다. 투영기의 최저각도가 10°미만이면 외광과 투영기로부터 입사되는 빛의 광 경로의 구별이 작아져 콘트라스트비의 저하를 가져올 수 있으며, 투영기의 최대각도가 80°를 초과하면, 키스톤(keyston) 보정(사다리꼴 영상 보정)이 어려워지며 화질의 저하를 발생시킨다.
On the other hand, in the projector, the light projection angle has a minimum angle α of 10 ° to 20 °, preferably 10 ° to 15 °, more preferably 12 ° to 14 °, and a maximum angle β of 60 to 80. °, Preferably it is 65 degrees-75 degrees, More preferably, it is about 68 degrees-73 degrees. If the minimum angle of the projector is less than 10 °, the distinction between the external path and the light path of the light incident from the projector may be reduced, resulting in a decrease in contrast ratio. If the maximum angle of the projector exceeds 80 °, keystone correction ( Trapezoidal image correction) becomes difficult and causes deterioration of image quality.

1 : 스크린
2: 투영기
10 : 기재
20 : 렌즈부
22 : 반사면
24 : 비반사면
30 : 보호층
1: Screen
2: projector
10: description
20: lens unit
22: reflecting surface
24: non-reflective surface
30: protective layer

Claims (13)

기재부; 및
상기 기재부의 일면에 광을 확산 반사시키는 반사면과 비반사면을 포함하고, 단면이 삼각형인 렌즈들이 연속된 동심원호 형태로 배열된 렌즈부;를 포함하며,
상기 렌즈의 반사면의 경사 각도가 동심원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증가하고,
동심원의 중심에서 가장 가까운 렌즈의 반사면의 경사 각도는 1 ~ 10도이고, 동심원의 중심에서 가장 먼 렌즈의 반사면의 경사 각도는 15 ~ 45도인 프론트 프로젝션 스크린.
Base unit; And
And a lens unit including a reflective surface and a non-reflective surface for diffusing and reflecting light on one surface of the base portion, the lenses having triangular cross sections arranged in a concentric circular arc shape.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reflective surface of the lens increases as the distance from the center of the concentric circle,
Front projection screen in which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reflecting surface of the lens closest to the center of the concentric circles is 1 to 10 degrees, and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reflecting surface of the lens farthest from the center of the concentric circles is 15 to 45 degre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부 및 기재부 중 적어도 하나는 흑색 수지로 형성되는 프론트 프로젝션 스크린.
The method of claim 1,
At least one of the lens unit and the base unit is formed of a black resin front projection scree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면은 금속 또는 무기물 박막으로 이루어지는 프론트 프로젝션 스크린.
The method of claim 1,
The reflective surface is a front projection screen made of a metal or inorganic thin fil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면의 표면에 불규칙한 요철이 형성되는 프론트 프로젝션 스크린.
The method of claim 1,
Irregular irregularities ar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reflective surfac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은 높이가 0.5 내지 5㎛인 프론트 프로젝션 스크린.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unevenness is a front projection screen having a height of 0.5 to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부 상부에 투명 보호층을 더 포함하는 프론트 프로젝션 스크린.
The method of claim 1,
The front projection screen further comprises a transparent protective layer on the lens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동심원의 중심에서 가장 가까운 렌즈의 반사면의 경사 각도는 5 ~ 10도이고, 동심원의 중심에서 가장 먼 렌즈의 반사면의 경사 각도는 30 ~ 45도인 프론트 프로젝션 스크린.
The method of claim 1,
Front projection screen in which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reflecting surface of the lens closest to the center of the concentric circles is 5 to 10 degrees, and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reflecting surface of the lens farthest from the center of the concentric circles is 30 to 45 degrees.
제6항에 있어서,
동심원의 중심에서 가장 가까운 렌즈의 반사면의 경사 각도는 1~ 5도이고, 동심원의 중심에서 가장 먼 렌즈의 반사면의 경사 각도는 15 ~ 30도인 프론트 프로젝션 스크린.
The method of claim 6,
Front projection screen with a tilt angle of 1 to 5 degrees for the reflective surface of the lens closest to the center of concentric circles and a tilt angle of 15 to 30 degrees for the reflective surface of the lens farthest from the center of the concentric circl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면의 반사 헤이즈는 20 내지 100%인 프론트 프로젝션 스크린.
The method of claim 1,
Reflective haze of the reflective surface is 20 to 10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심원의 중심이 프론트 프로젝션 스크린의 외부에 위치하는 프론트 프로젝션 스크린.
The method of claim 1,
A front projection screen with the center of the concentric circles positioned outside of the front projection screen.
청구항 1 내지 10 중 어느 한 항의 프론트 프로젝션 스크린 및
상기 프론트 프로젝션 스크린에 화면을 투사하는 투영기를 포함하는 프로젝션 시스템.
The front projection screen of claim 1 and
And a projector for projecting a screen onto the front projection screen.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프로젝션 스크린과 투영기 사이의 거리는 390 내지 550mm인 프로젝션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1,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front projection screen and the projector is between 390 and 550 mm.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투영기는 스크린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되고, 하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광을 투사하는 방식인 프로젝션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1,
And the projector is disposed at a lower position than the screen and projects light from the bottom to the top.
KR1020100104185A 2010-10-25 2010-10-25 Front projection screen and projection system comprising the same KR10125659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4185A KR101256594B1 (en) 2010-10-25 2010-10-25 Front projection screen and projection system compri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4185A KR101256594B1 (en) 2010-10-25 2010-10-25 Front projection screen and projection system compris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2477A true KR20120042477A (en) 2012-05-03
KR101256594B1 KR101256594B1 (en) 2013-04-22

Family

ID=462632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4185A KR101256594B1 (en) 2010-10-25 2010-10-25 Front projection screen and projection system compri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6594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2109279A (en) * 2020-07-08 2022-07-27 大日本印刷株式会社 Image display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35609A (en) * 2004-07-23 2007-03-30 가부시키가이샤 구라레 Back projection-type screen and back projection-type projection device
JP2010044137A (en) * 2008-08-11 2010-02-25 Seiko Epson Corp Scre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2109279A (en) * 2020-07-08 2022-07-27 大日本印刷株式会社 Image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56594B1 (en) 2013-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3094B1 (en) Front projection screen and projection system comprising the same
JP4584133B2 (en) LIGHTING DEVICE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TWI385467B (en) Optical projection screen
JP2009169006A (en) Reflection screen
CN104062839B (en) A kind of optical projection system with forward projection's optical screen
TW200925509A (en) Back-light portion
JP2007536595A (en) Display element with uniform light distributio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2006065266A (en) Reflection screen, reflection projection system, and method of manufacturing reflection screen
JP2008076524A (en) Image display apparatus
WO2016163526A1 (en) Reflective type screen and video display system
EP3985435B1 (en) Projection screen
JP2009169007A (en) Reflective screen
KR101496505B1 (en) Front projection screen and projection system comprising the same
JP2016062031A (en) Reflective screen and image display system
JP4842107B2 (en) Illumination devic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WO2021078289A1 (en) Projection screen
JP2010191105A (en) Screen and projection system
JP2009043738A (en) Plane light source device
KR101256594B1 (en) Front projection screen and projection system comprising the same
JP5117896B2 (en) Reflective screen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2001022285A (en) Back light device
JP2004361539A (en) Fresnel lens sheet and transmitting type screen
CN211206834U (en) Light guide structure of ultra-short focus
JP2008033217A (en) Reflection type screen and front projection type display system
CN112255877A (en) Reflective lateral projection screen and projec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