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42337A - Dual display moudule, display device and mobile devices compri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Dual display moudule, display device and mobile devices compri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42337A
KR20120042337A KR1020100103995A KR20100103995A KR20120042337A KR 20120042337 A KR20120042337 A KR 20120042337A KR 1020100103995 A KR1020100103995 A KR 1020100103995A KR 20100103995 A KR20100103995 A KR 20100103995A KR 20120042337 A KR20120042337 A KR 201200423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panel
support
display
wall
vertical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399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791437B1 (en
Inventor
김원종
전기현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039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1437B1/en
Publication of KR201200423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233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14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143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8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comprising two independent displays, e.g. for emitting information from two major sides of the display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12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 H05B33/20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or physical composition or the arrangement of the material in which the electroluminescent material is embedded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PURPOSE: A dual display module, a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and a portable terminal are provided to simultaneously support first and second display panels using a single support case, thereby reducing manufacturing costs. CONSTITUTION: A first display panel(100) is functioned as a main display part of a dual display apparatus. A second display panel(200) is functioned as a sub display part of the dual display apparatus. A support case(300) simultaneously supports the first display panel and the second display panel. The support case comprises a support plate and a panel support member. An adhesive member is form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display panels.

Description

듀얼 디스플레이 모듈과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휴대용 단말기{DUAL DISPLAY MOUDULE, DISPLAY DEVICE AND MOBILE DEVICES COMPRISING THE SAME}DUAL DISPLAY MOUDULE, DISPLAY DEVICE AND MOBILE DEVICES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듀얼 디스플레이 모듈과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하나의 지지 케이스를 이용하여 2개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한 듀얼 디스플레이 모듈과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ual display module, a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and a portable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dual display module and a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so as to support two display panels using one support case; It relates to a portable terminal.

일반적으로,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디스플레이는 자체 발광의 특성을 가지고 있어 백 라이트 모듈의 중량, 체적 및 전력 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기 때문에 액정 디스플레이(LCD)보다도 더 얇고 조작 전압도 2에서 10볼트까지 낮출 수 있다. 또한, OLED의 시각이 넓어 화면 반응 속도가 빠르며 색채 표현이 LCD보다 뛰어나고, 플렉시블한 특성도 가지고 있어, 그 응용 범위가 광대하여, 이미 핸드폰, PDA등 휴대용 전자 제품의 디스플레이 패널에 응용되고 있다.In general,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displays are self-illuminating and are thinner than liquid crystal displays (LCDs) and have operating voltages from 2 to 10 volts because they can reduce the weight, volume and power consumption of the backlight module. Can be lowered. In addition, the OLED has a wider viewing speed, has a faster screen response, better color expression than LCD, and also has a flexible characteristic, and its application range is vast, and is already being applied to display panels of portable electronic products such as mobile phones and PDAs.

현재 핸드폰이나 PDA 등 휴대용 단말기는 부가 기능을 서비스하기 위해 대부분 2개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는 듀얼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된다.Currently, portable terminals such as mobile phones and PDAs are mostly configured to include dual display modules including two display panels to service additional functions.

종래의 듀얼 디스플레이 모듈은 내부에 장착되는 2개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지지함과 아울러 충격에 의한 강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2개의 지지 케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conventional dual display module includes two support cases to support two display panels mounted therein and to secure rigidity due to impact.

2개의 지지 케이스 각각은 디스플레이 패널이 수납되는 수납 공간을 가지도록 상자 형태로 형성되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강성이 낮아 외부 충격에 쉽게 휘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종래의 지지 케이스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강도 실험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62Mpa로써 강성이 낮아 외부 충격시 전체적으로 휘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Since each of the two support cases is formed in the form of a box to have a storage space in which the display panel is accommodat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tructural rigidity is low and easily bent to external impact. That is, the conventional support case has a problem in that the rigidity as low as 62Mpa as shown in the results of the strength test as shown in FIG.

따라서, 종래의 듀얼 디스플레이 모듈은 2개의 지지 케이스를 사용하므로 생산 단가가 증가함과 아울러 두께가 증가한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지지 케이스의 낮은 강성으로 인하여 외부 충격에 쉽게 변형된다는 문제점이 있다.Therefore, the conventional dual display module uses two support cases, which increases the production cost and increases the thickness, and has a problem in that it is easily deformed by external impact due to the low rigidity of the support case.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하나의 지지 케이스를 이용하여 2개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지지하여 생산 단가를 절감함과 아울러 외부 충격에 쉽게 변형되지 않는 듀얼 디스플레이 모듈과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mentioned problems, by supporting two display panels using one support case to reduce the production cost and the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dual display module that is not easily deformed by external shock and It is a technical problem to provide a portable terminal.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듀얼 디스플레이 모듈은 제 1 디스플레이 패널; 제 2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제 1 및 제 2 디스플레이 패널을 공통으로 지지하는 지지 케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지지 케이스는 개구부를 가지도록 형성된 지지 플레이트; 및 상기 개구부를 형성하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내측벽에 형성되어 상기 개구부에 삽입되는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패널을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면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패널을 지지하는 패널 지지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dual display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is a first display panel; A second display panel; And a support case for supporting the first and second display panels in common, wherein the support case includes a support plate formed to have an opening; And a panel support formed on an inner wall of the support plate forming the opening to support the first display panel inserted into the opening and to support the second display panel so as to be position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first display panel. 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member.

상기 듀얼 디스플레이 모듈은 상기 제 1 및 제 2 디스플레이 패널 사이에 형성된 접착 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ual display module may further include an adhesive member form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display panels.

상기 듀얼 디스플레이 모듈은 상기 제 1 및 제 2 디스플레이 패널 각각의 배면에 형성된 완충 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ual display module may further include a buffer member formed on a rear surface of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display panels.

상기 패널 지지 부재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제 1 내측벽에 형성되어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 1 측 가장자리를 지지하는 제 1 단턱부; 상기 제 1 내측벽에 대향되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제 2 내측벽에 형성되어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 2 측 가장자리를 지지하는 제 2 단턱부; 상기 제 1 내측벽의 일측에 수직한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제 3 내측벽에 형성되어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 3 측 가장자리를 지지하는 제 3 단턱부; 및 상기 제 1 내측벽의 타측에 수직한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제 4 내측벽에 형성되어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 4 측 가장자리를 지지하는 제 4 단턱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anel support member may include a first stepped portion formed on a first inner wall of the support plate to support a first side edge of the first display panel; A second step portion formed on a second inner wall of the support plate opposite to the first inner wall to support the second side edge of the second display panel; A third step portion formed on a third inner wall of the support plate perpendicular to one side of the first inner wall to support the third side edge of the second display panel; And a fourth stepped portion formed on a fourth inner wall of the support plate perpendicular to the other side of the first inner wall to support the fourth side edge of the first display panel.

상기 제 1 내지 제 4 단턱부 각각은 상기 내측벽에 수직하게 형성된 제 1 수직부; 소정 길이를 가지도록 상기 제 1 수직부로부터 절곡된 절곡부; 및 상기 제 1 수직부와 나란하도록 상기 절곡부의 끝단으로부터 수직하게 절곡된 제 2 수직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Each of the first to fourth stepped portions may include a first vertical portion formed perpendicular to the inner wall; A bent portion bent from the first vertical portion to have a predetermined length; And a second vertical portion bent vertically from an end of the bent portion to be parallel to the first vertical portion.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듀얼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듀얼 디스플레이 모듈은 제 1 디스플레이 패널; 제 2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제 1 및 제 2 디스플레이 패널을 공통으로 지지하는 지지 케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지지 케이스는 개구부를 가지도록 형성된 지지 플레이트; 및 상기 개구부를 형성하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내측벽에 형성되어 상기 개구부에 삽입되는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패널을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면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패널을 지지하는 패널 지지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is configured to include a dual display module, the dual display module comprises a first display panel; A second display panel; And a support case for supporting the first and second display panels in common, wherein the support case includes a support plate formed to have an opening; And a panel support formed on an inner wall of the support plate forming the opening to support the first display panel inserted into the opening and to support the second display panel so as to be position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first display panel. 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member.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는 듀얼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듀얼 디스플레이 모듈은 제 1 디스플레이 패널; 제 2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제 1 및 제 2 디스플레이 패널을 공통으로 지지하는 지지 케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지지 케이스는 개구부를 가지도록 형성된 지지 플레이트; 및 상기 개구부를 형성하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내측벽에 형성되어 상기 개구부에 삽입되는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패널을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면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패널을 지지하는 패널 지지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ortable terminal including a dual display module, the dual display module comprising: a first display panel; A second display panel; And a support case for supporting the first and second display panels in common, wherein the support case includes a support plate formed to have an opening; And a panel support formed on an inner wall of the support plate forming the opening to support the first display panel inserted into the opening and to support the second display panel so as to be position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first display panel. 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member.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듀얼 디스플레이 모듈과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휴대용 단말기는 높은 강성 구조를 가지는 하나의 지지 케이스를 이용하여 제 1 및 제 2 디스플레이 패널을 동시에 지지함으로써 생산 단가를 절감시킬 수 있으며, 외부 충격에 쉽게 변형되지 않는다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dual display module, the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and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the production cost by simultaneously supporting the first and second display panels using one support case having a high rigidity structure. It is effective in that it is not easily deformed by external impact.

도 1은 종래의 듀얼 디스플레이 모듈의 지지 케이스에 대한 강도 실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듀얼 디스플레이 모듈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지 케이스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는 도 3에 도시된 A-A' 선의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b는 도 3에 도시된 B-B' 선의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지지 케이스에 대한 강도 실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듀얼 디스플레이 모듈의 제 1 및 제 2 디스플레이 패널에 형성되는 완충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the results of the strength test for the support case of a conventional dual display modul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for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dual display modul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upport c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A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cross section taken along the line AA ′ illustrated in FIG. 3.
4B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cross section taken along a line BB ′ illustrated in FIG. 3.
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result of strength test on the support case illustrated in FIG. 3.
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buffer member formed on first and second display panels of a dual display modul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듀얼 디스플레이 모듈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for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dual display modul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듀얼 디스플레이 모듈은 제 1 디스플레이 패널(100), 제 2 디스플레이 패널(200), 및 지지 케이스(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2, a dual display modul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display panel 100, a second display panel 200, and a support case 300.

제 1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듀얼 디스플레이 장치의 메인 표시부로써,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OLED) 패널일 수 있다.The first display panel 100 may be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OLED) panel as a main display unit of a dual display device.

제 2 디스플레이 패널(200)은 듀얼 디스플레이 장치의 서브 표시부로써,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OLED) 패널일 수 있다.The second display panel 200 is a sub display unit of the dual display device and may be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OLED) panel.

지지 케이스(300)는 제 1 및 제 2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공통으로 지지한다. 이를 위해, 지지 케이스(3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플레이트(310), 및 패널 지지 부재(3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support case 300 commonly supports the first and second display panels 100. To this end, the support case 300, as shown in Figure 3, comprises a support plate 310, and a panel support member 320.

지지 플레이트(310)는 제 1 디스플레이 패널(100)이 삽입되는 개구부(312)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지지 플레이트(310)는 제 1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제 2 디스플레이 패널(200)로부터 전달되는 열을 외부로 효과적으로 방출하고, 지지 강성을 유지하기 위해 알루미늄 등과 같은 열전도율이 높고 강성이 우수한 금속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비도전성이며, 중량이 작고, 강성이 우수한 플라스틱을 포함하는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support plate 310 is formed to have an opening 312 into which the first display panel 100 is inserted. The support plate 310 effectively dissipates heat transferred from the first display panel 100 and the second display panel 200 to the outside, and has a high thermal conductivity such as aluminum and a high rigidity to maintain the support rigidity. It can be formed using. In addition, it may be made of a material containing a non-conductive, low in weight, and excellent in rigidity.

패널 지지 부재(320)는 개구부(312)를 형성하는 지지 플레이트(310)의 내측벽에 소정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개구부(312)에 삽입되는 제 1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지지함과 동시에 제 1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배면에 위치하도록 제 2 디스플레이 패널(200)을 지지한다. 이를 위해, 패널 지지 부재(320)는 제 1 내지 제 4 단턱부(322, 324, 326, 32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panel support member 320 is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height on the inner wall of the support plate 310 forming the opening 312, and supports the first display panel 100 inserted into the opening 312. The second display panel 200 is supported to be position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first display panel 100. To this end, the panel support member 320 includes first to fourth stepped portions 322, 324, 326, and 328.

제 1 단턱부(322)는 지지 플레이트(310)의 제 1 내측벽(310a)에 형성되어 제 1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 1 측 가장자리를 지지함과 아울러, 제 2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제 1 측면을 가이드한다. 이를 위해, 제 1 단턱부(322)는, 도 3 및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 형태의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제 1 수직부(322a), 절곡부(322b), 및 제 2 수직부(322c)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first stepped portion 322 is formed on the first inner side wall 310a of the support plate 310 to support the first side edge of the first display panel 100, and to support the first side edge of the second display panel 200. Guide the first side. To this end, the first stepped portion 322, as shown in Figure 3 and 4a, is formed to have a cross-section of the "┏┛" shape, the first vertical portion 322a, the bent portion 322b And the second vertical portion 322c.

제 1 수직부(322a)는 지지 플레이트(310)의 제 1 내측벽(310a)으로부터 지지 플레이트(310)의 상면 방향으로 수직하게 형성된다. 이때, 제 1 수직부(322a)는 제 1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두께에 대응되는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며, 제 1 내측벽(310a)의 양 가장자리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제 1 내측벽(310a)에 형성된다. 이러한, 제 1 수직부(322a)는 제 1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 1 측면을 가이드한다.The first vertical portion 322a is vertically formed from the first inner wall 310a of the support plate 310 in the upper surface direction of the support plate 310. In this case, the first vertical portion 322a is formed to have a height corresponding to the thickness of the first display panel 100 and the remaining first inner wall 310a except for both edge portions of the first inner wall 310a. Is formed. The first vertical portion 322a guides the first side surface of the first display panel 100.

절곡부(322b)는 소정 길이를 가지도록 제 1 수직부(322a)로부터 수직하게 절곡된다. 이러한, 절곡부(322b)는 개구부(312)에 삽입되는 제 1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 1 측 가장자리 부분을 지지한다.The bent portion 322b is bent vertically from the first vertical portion 322a to have a predetermined length. The bent portion 322b supports the first side edge portion of the first display panel 100 inserted into the opening 312.

제 2 수직부(322c)는 제 1 수직부(322a)와 나란하도록 절곡부(322b)의 끝단으로부터 수직하게 절곡된다. 이때, 제 2 수직부(322b)는 제 2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두께에 대응되는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제 2 수직부(322c)는 제 2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제 1 측면을 가이드한다.The second vertical portion 322c is bent vertically from the end of the bent portion 322b to be parallel to the first vertical portion 322a. In this case, the second vertical portion 322b is formed to have a height corresponding to the thickness of the second display panel 200. The second vertical portion 322c guides the first side surface of the second display panel 200.

제 2 단턱부(324)는 지지 플레이트(310)의 제 2 내측벽(310b)에 형성되어 제 2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제 2 측 가장자리 부분을 지지함과 아울러, 제 1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 2 측면을 가이드한다. 이를 위해, 제 2 단턱부(324)는, 도 3 및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 형태의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제 1 수직부(324a), 절곡부(324b), 및 제 2 수직부(324c)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second stepped portion 324 is formed on the second inner wall 310b of the support plate 310 to support the second side edge portion of the second display panel 200, and also to support the first display panel 100. Guide the second side of the. To this end, the second stepped portion 324, as shown in Figure 3 and 4a, is formed to have a cross-section of the "┏┛" shape, the first vertical portion 324a, the bent portion 324b ), And a second vertical portion 324c.

제 1 수직부(324a)는 지지 플레이트(310)의 제 2 내측벽(310b)으로부터 지지 플레이트(310)의 상면 방향으로 수직하게 형성된다. 이때, 제 1 수직부(324a)는 제 1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두께에 대응되는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며, 제 2 내측벽(310b)의 양 가장자리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제 2 내측벽(310b)에 형성된다. 이러한, 제 1 수직부(324a)는 제 1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 2 측면을 가이드한다.The first vertical portion 324a is vertically formed from the second inner wall 310b of the support plate 310 in the upper surface direction of the support plate 310. In this case, the first vertical portion 324a is formed to have a height corresponding to the thickness of the first display panel 100 and the remaining second inner wall 310b except for both edge portions of the second inner wall 310b. Is formed. The first vertical portion 324a guides the second side surface of the first display panel 100.

절곡부(324b)는 소정 길이를 가지도록 제 1 수직부(324a)로부터 수직하게 절곡된다. 이러한 절곡부(324b)는 제 1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상면에 배치되는 제 2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제 2 측 가장자리 부분을 지지한다.The bent portion 324b is bent vertically from the first vertical portion 324a to have a predetermined length. The bent portion 324b supports the second side edge portion of the second display panel 200 disposed on the top surface of the first display panel 100.

제 2 수직부(324c)는 제 1 수직부(324a)와 나란하도록 절곡부(324b)의 끝단으로부터 수직하게 절곡된다. 이때, 제 2 수직부(324b)는 제 2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두께에 대응되는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제 2 수직부(324c)는 제 2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제 2 측면을 가이드한다.The second vertical portion 324c is bent vertically from the end of the bent portion 324b to be parallel to the first vertical portion 324a. In this case, the second vertical portion 324b is formed to have a height corresponding to the thickness of the second display panel 200. The second vertical portion 324c guides the second side surface of the second display panel 200.

제 3 단턱부(326)는 지지 플레이트(310)의 제 3 내측벽(310c)에 형성되어 제 2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제 3 측 가장자리 부분을 지지함과 아울러, 제 1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 3 측면을 가이드한다. 이를 위해, 제 3 단턱부(326)는, 도 3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 형태의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제 1 수직부(326a), 절곡부(326b), 및 제 2 수직부(326c)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third stepped portion 326 is formed on the third inner wall 310c of the support plate 310 to support the third side edge portion of the second display panel 200, and also to support the first display panel 100. Guide the third side of the. To this end, the third stepped portion 326, as shown in Figure 3 and 4b, is formed to have a cross-section of the "┏┛" shape, the first vertical portion 326a, the bent portion 326b ), And a second vertical portion 326c.

제 1 수직부(326a)는 지지 플레이트(310)의 제 3 내측벽(310c)으로부터 지지 플레이트(310)의 상면 방향으로 수직하게 형성된다. 이때, 제 1 수직부(326a)는 제 1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두께에 대응되는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며, 제 3 내측벽(310c)의 양 가장자리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제 3 내측벽(310c)에 형성된다. 이러한, 제 1 수직부(326a)는 제 1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 3 측면을 가이드한다.The first vertical portion 326a is vertically formed from the third inner wall 310c of the support plate 310 in the upper surface direction of the support plate 310. In this case, the first vertical portion 326a is formed to have a height corresponding to the thickness of the first display panel 100 and the remaining third inner wall 310c except for both edge portions of the third inner wall 310c. Is formed. The first vertical portion 326a guides the third side surface of the first display panel 100.

절곡부(326b)는 소정 길이를 가지도록 제 1 수직부(326a)로부터 수직하게 절곡된다. 이러한 절곡부(364b)는 제 1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상면에 배치되는 제 2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제 3 측 가장자리 부분을 지지한다.The bent portion 326b is bent vertically from the first vertical portion 326a to have a predetermined length. The bent portion 364b supports the third side edge portion of the second display panel 200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display panel 100.

제 2 수직부(326c)는 제 1 수직부(326a)와 나란하도록 절곡부(326b)의 끝단으로부터 수직하게 절곡된다. 이때, 제 2 수직부(326b)는 제 2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두께에 대응되는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제 2 수직부(326c)는 제 2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제 3 측면을 가이드한다.The second vertical portion 326c is bent vertically from the end of the bent portion 326b to be parallel to the first vertical portion 326a. In this case, the second vertical portion 326b is formed to have a height corresponding to the thickness of the second display panel 200. The second vertical portion 326c guides the third side surface of the second display panel 200.

제 4 단턱부(328)는 지지 플레이트(310)의 제 4 내측벽(310d)에 형성되어 제 1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 4 측 가장자리를 지지함과 아울러, 제 2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제 4 측면을 가이드한다. 이를 위해, 제 4 단턱부(328)는, 도 3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 형태의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제 1 수직부(328a), 절곡부(328b), 및 제 2 수직부(328c)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fourth step portion 328 is formed on the fourth inner side wall 310d of the support plate 310 to support the fourth side edge of the first display panel 100, and also to support the fourth side edge of the second display panel 200. Guide the fourth side. To this end, the fourth stepped portion 328, as shown in Figure 3 and 4b, is formed to have a cross-section of the "┏┛" shape, the first vertical portion 328a, the bent portion 328b ), And a second vertical portion 328c.

제 1 수직부(328a)는 지지 플레이트(310)의 제 4 내측벽(310d)으로부터 지지 플레이트(310)의 상면 방향으로 수직하게 형성된다. 이때, 제 1 수직부(328a)는 제 1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두께에 대응되는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며, 제 1 내측벽(310a)에 인접한 제 4 내측벽(310d)의 일부분에 형성된다. 이러한, 제 1 수직부(328a)는 제 1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 4 측면을 가이드한다. 한편, 제 1 수직부(328a)가 형성되지 않은 지지 플레이트(310) 상에는 제 1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 신호를 공급하는 인쇄 회로 필름(미도시)이 배치된다.The first vertical portion 328a is vertically formed from the fourth inner wall 310d of the support plate 310 in the upper surface direction of the support plate 310. In this case, the first vertical portion 328a is formed to have a height corresponding to the thickness of the first display panel 100 and is formed on a portion of the fourth inner wall 310d adjacent to the first inner wall 310a. . The first vertical portion 328a guides the fourth side surface of the first display panel 100. Meanwhile, a printed circuit film (not shown) for supplying a driving signal for driving the first display panel 100 is disposed on the support plate 310 on which the first vertical portion 328a is not formed.

절곡부(328b)는 소정 길이를 가지도록 제 1 수직부(328a)로부터 수직하게 절곡된다. 이러한, 절곡부(328b)는 개구부(312)에 삽입되는 제 1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 4 측 가장자리 부분을 지지한다.The bent portion 328b is bent vertically from the first vertical portion 328a to have a predetermined length. The bent portion 328b supports the fourth side edge portion of the first display panel 100 inserted into the opening 312.

제 2 수직부(328c)는 제 1 수직부(328a)와 나란하도록 절곡부(328b)의 끝단으로부터 수직하게 절곡된다. 이때, 제 2 수직부(328b)는 제 2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두께에 대응되는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제 2 수직부(328c)는 제 2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제 4 측면을 가이드한다.The second vertical portion 328c is bent vertically from the end of the bent portion 328b to be parallel to the first vertical portion 328a. In this case, the second vertical portion 328b is formed to have a height corresponding to the thickness of the second display panel 200. The second vertical portion 328c guides the fourth side surface of the second display panel 200.

이와 같은, 지지 케이스(300)는 제 1 및 제 4 단턱부(322, 328)의 절곡부(322c, 328c)를 통해 개구부(312)에 삽입되는 제 1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지지함과 동시에, 제 2 및 제 3 단턱부(324, 326)의 절곡부(324c, 326c)를 통해 제 2 디스플레이 패널(200)을 지지한다.As described above, the support case 300 supports the first display panel 100 inserted into the opening 312 through the bent portions 322c and 328c of the first and fourth stepped portions 322 and 328. The second display panel 200 is supported by the bent portions 324c and 326c of the second and third stepped portions 324 and 326.

상술한 지지 케이스(300)는 지지 플레이트(310)에 "┏┛"자 형태의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된 제 1 내지 제 4 단턱부(322, 324, 326, 328)에 의해 높은 강성을 갖는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지 케이스(300)의 강성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강도 실험을 통해 종래 보다 매우 높은 338Mpa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지 케이스(300)는 높은 강성 구조를 가짐으로써 제 1 및 제 2 디스플레이 패널(100, 200)을 동시에 지지함과 동시에 외부 충격시에도 변형되지 않게 된다.The support case 300 described above has a high rigidity by the first to fourth stepped portions 322, 324, 326, and 328 formed on the support plate 310 to have a cross section of a “┏┛” shape. Such, the stiffness of the support case 3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338Mpa is much higher than the conventional through the strength test as shown in FIG. Accordingly, the support case 300 has a high rigidity structure, thereby simultaneously supporting the first and second display panels 100 and 200 and not being deformed during external impact.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듀얼 디스플레이 모듈은, 도 2,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착부재(4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Meanwhile, the dual display modul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adhesive member 400 as shown in FIGS. 2, 4A, and 4B.

접착부재(400)는 양면 테이프로써, 제 1 및 제 2 디스플레이 패널(100, 200)를 서로 결합시킨다.The adhesive member 400 is a double-sided tape and couples the first and second display panels 100 and 200 to each other.

다른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듀얼 디스플레이 모듈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디스플레이 패널(100, 200) 각각의 배면에 부착된 완충부재(5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dual display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6, further comprises a buffer member 500 attached to the back of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display panel (100, 200) Can be configured.

완충부재(500)는 제 1 및 제 2 디스플레이 패널(100, 200)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한다. 이러한 완충부재(500)는 제 1 및 제 2 디스플레이 패널(100, 200)로부터 전달되는 열을 방출하기 위해 열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buffer member 500 cushions shocks applied to the first and second display panels 100 and 200. The buffer member 500 is preferably made of a thermally conductive material for dissipating heat transferred from the first and second display panels 100 and 200.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듀얼 디스플레이 모듈은 높은 강성 구조를 가지는 하나의 지지 케이스(300)를 이용하여 제 1 및 제 2 디스플레이 패널(100, 200)을 동시에 지지함으로써 생산 단가를 절감시킬 수 있으며, 외부 충격에 쉽게 변형되지 않는다.The dual display module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the production cost by simultaneously supporting the first and second display panels 100 and 200 using one support case 300 having a high rigidity structure. It is not easily deformed by external shocks.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듀얼 디스플레이 모듈은 핸드폰이나 PDA 등 휴대용 단말기에 사용되거나, 양면 디스플레이 장치에 사용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dual display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may be used in a portable terminal such as a mobile phone or PDA, or may be used in a double-sided display device.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Therefor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exemplary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by the following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 concep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

100: 제 1 디스플레이 패널 200: 제 2 디스플레이 패널
300: 지지 케이스 310: 지지 플레이트
312: 개구부 320: 패널 지지 부재
322: 제 1 단턱부 322a: 제 1 수직부
322b: 절곡부 322c: 제 2 수직부
324: 제 2 단턱부 326: 제 3 단턱부
328: 제 4 단턱부 400: 접착 부재
500: 완충 부재
100: first display panel 200: second display panel
300: support case 310: support plate
312: opening 320: panel support member
322: first stepped portion 322a: first vertical portion
322b: bend portion 322c: second vertical portion
324: second step 326: third step
328: fourth stepped portion 400: adhesive member
500: buffer member

Claims (12)

제 1 디스플레이 패널;
제 2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제 1 및 제 2 디스플레이 패널을 공통으로 지지하는 지지 케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지지 케이스는,
개구부를 가지도록 형성된 지지 플레이트; 및
상기 개구부를 형성하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내측벽에 형성되어 상기 개구부에 삽입되는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패널을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면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패널을 지지하는 패널 지지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디스플레이 모듈.
A first display panel;
A second display panel; And
It includes a support case for supporting the first and second display panel in common,
The support case,
A support plate formed to have an opening; And
A panel support member formed on an inner wall of the support plate forming the opening to support the first display panel inserted into the opening and to support the second display panel to be position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first display panel; Dual display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includ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디스플레이 패널 사이에 형성된 접착 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디스플레이 모듈.
The method of claim 1,
And a bonding member form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display panel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디스플레이 패널 각각의 배면에 형성된 완충 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디스플레이 모듈.
The method of claim 1,
And a buffer member formed on a rear surface of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display panel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 지지 부재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제 1 내측벽에 형성되어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 1 측 가장자리를 지지하는 제 1 단턱부;
상기 제 1 내측벽에 대향되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제 2 내측벽에 형성되어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 2 측 가장자리를 지지하는 제 2 단턱부;
상기 제 1 내측벽의 일측에 수직한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제 3 내측벽에 형성되어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 3 측 가장자리를 지지하는 제 3 단턱부; 및
상기 제 1 내측벽의 타측에 수직한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제 4 내측벽에 형성되어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 4 측 가장자리를 지지하는 제 4 단턱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디스플레이 모듈.
The method of claim 1,
The panel support member,
A first stepped portion formed on a first inner wall of the support plate to support the first side edge of the first display panel;
A second step portion formed on a second inner wall of the support plate opposite to the first inner wall to support the second side edge of the second display panel;
A third step portion formed on a third inner wall of the support plate perpendicular to one side of the first inner wall to support the third side edge of the second display panel; And
And a fourth stepped portion formed on a fourth inner wall of the support plate perpendicular to the other side of the first inner wall to support the fourth side edge of the first display panel.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단턱부는 상기 제 1 내측벽에 인접한 제 4 내측벽 일부분에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디스플레이 모듈.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And the fourth stepped portion is formed only at a portion of a fourth inner wall adjacent to the first inner wall.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내지 제 4 단턱부 각각은 "┏┛"자 형태의 단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디스플레이 모듈.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And the first to fourth stepped portions each have a cross section of a “┏┛” shape.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내지 제 4 단턱부 각각은,
상기 내측벽에 수직하게 형성된 제 1 수직부;
소정 길이를 가지도록 상기 제 1 수직부로부터 절곡된 절곡부; 및
상기 제 1 수직부와 나란하도록 상기 절곡부의 끝단으로부터 수직하게 절곡된 제 2 수직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디스플레이 모듈.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Each of the first to fourth stepped portions,
A first vertical portion formed perpendicular to the inner wall;
A bent portion bent from the first vertical portion to have a predetermined length; And
And a second vertical portion bent vertically from an end of the bent portion to be parallel to the first vertical portion.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 1 및 제 4 측 가장자리는 상기 제 1 및 제 4 단턱부의 절곡부에 안착되고,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 2 및 제 3 측면은 상기 제 2 및 제 3 단턱부의 제 1 수직부에 의해 가이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디스플레이 모듈.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First and fourth side edges of the first display panel are seated at bent portions of the first and fourth stepped portions,
And the second and third side surfaces of the first display panel are guided by a first vertical portion of the second and third stepped portions.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 1 및 제 4 측 가장자리는 상기 제 2 및 제 3 단턱부의 절곡부 안착되고,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 2 및 제 3 측면은 상기 제 1 및 제 4 단턱부의 제 2 수직부에 의해 가이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디스플레이 모듈.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First and fourth side edges of the second display panel are seated at bent portions of the second and third stepped portions,
And the second and third side surfaces of the second display panel are guided by a second vertical portion of the first and fourth stepped portion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디스플레이 패널은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디스플레이 패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디스플레이 모듈.
The method of claim 1,
And the first and second display panels ar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display panels.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듀얼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A display apparatus comprising the dual display modul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0.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듀얼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A portable terminal comprising the dual display modul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0.
KR1020100103995A 2010-10-25 2010-10-25 Dual display moudule, display device and mobile devices comprising the same KR10179143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3995A KR101791437B1 (en) 2010-10-25 2010-10-25 Dual display moudule, display device and mobile devices compri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3995A KR101791437B1 (en) 2010-10-25 2010-10-25 Dual display moudule, display device and mobile devices compris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2337A true KR20120042337A (en) 2012-05-03
KR101791437B1 KR101791437B1 (en) 2017-10-30

Family

ID=462631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3995A KR101791437B1 (en) 2010-10-25 2010-10-25 Dual display moudule, display device and mobile devices compri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1437B1 (en)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8340B1 (en) 2006-06-30 2010-07-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Liquid crystal display and portable computer hav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1437B1 (en) 2017-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390693B1 (en) Backlight unit and display device
KR102408844B1 (en) Flexible display device
KR102369318B1 (en) Flexible display device
CN107437590B (en) Display device
KR100857693B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EP2209102A1 (en) Display device
KR20110081671A (en) Backlight un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having the same
KR101777307B1 (en) Display device
JP2005346061A (en) Module for liquid crystal display
KR102357930B1 (en) Display device
US8654274B2 (en) Backlight assembly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1633125B1 (en) Display device
US20150103286A1 (en) Display device
TW201400924A (en)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US10162205B2 (en) Display device comprising a display panel fixed to a lower chassis by a metal line
US20170192149A1 (en) Light guide substrate, backlight module and display device
US20120039068A1 (en) Display device
KR20080067846A (en) Liquid crystal display
KR20120042337A (en) Dual display moudule, display device and mobile devices comprising the same
JP4941376B2 (en) Lighting device, liquid crystal device, electronic equipment
US10302854B2 (en) Display apparatus
KR101718544B1 (en) Backlight un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the same
KR100754143B1 (en) Portable Display Device
KR20100081730A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2377974B1 (en) Displa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