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41836A - 접시머리홈 성형치구 - Google Patents

접시머리홈 성형치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41836A
KR20120041836A KR1020100103187A KR20100103187A KR20120041836A KR 20120041836 A KR20120041836 A KR 20120041836A KR 1020100103187 A KR1020100103187 A KR 1020100103187A KR 20100103187 A KR20100103187 A KR 20100103187A KR 20120041836 A KR20120041836 A KR 201200418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uble bit
adapter
fixing member
drill
b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31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64080B1 (ko
Inventor
권태섭
황종민
Original Assignee
(주)우진Tool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우진Tool filed Critical (주)우진Tool
Priority to KR10201001031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4080B1/ko
Publication of KR201200418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18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40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40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F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F1/00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Apparatus therefor
    • B26F1/16Perforating by tool or tools of the drill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CPLANING, DRILLING, MILLING, TURNING OR UNIVERSAL MACHINES FOR WOOD OR SIMILAR MATERIAL
    • B27C3/00Drilling machines or drilling devices; Equipment therefor
    • B27C3/02Stationary drilling machines with a single working spind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GACCESSORY MACHINES OR APPARATUS FOR WORKING WOOD OR SIMILAR MATERIALS; TOOLS FOR WORKING WOOD OR SIMILAR MATERIALS; SAFETY DEVICES FOR WOOD WORKING MACHINES OR TOOLS
    • B27G15/00Boring or turning tools; Aug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시머리홈 성형치구에 관한 것으로서, 접시머리홈을 성형하는 성형치구에 있어서, 드릴이 돌출되고 드릴이 돌출된 측의 단부에는 날끝부가 형성되며 외측면에는 돌출된 대경부와 나사부가 이격 형성되는 이중비트; 상기 이중비트가 회전 및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관통되어 설치되는 아답터; 및 상기 아답터를 관통한 이중비트에 끼워지고 나사부에 나사 결합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가공대상물인 목재에 접시머리홈을 목재의 두께나 접시머리 나사의 길이에 따라 조절하여 성형할 수 있다.

Description

접시머리홈 성형치구{Producing device for counter-sunk head hole}
본 발명은 접시머리홈을 가공하기 위한 성형치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성형치구의 길이를 조절하여 가공되는 접시머리홈의 깊이를 조절하여 성형할 수 있도록 한 접시머리홈 성형치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목재와 같은 가공대상물의 조립 시에는 목재의 신속한 조립과 더불어 목재의 미관을 최대한 살릴 수 있도록 목재 내부로 최대한 삽입되어 결합되는 접시머리 나사를 이용하여 조립한다.
한편, 목재의 결합부위에는 접시머리 나사의 결합 시 목재의 갈라짐 등과 같은 파손을 최대한 방지하기 위한 전처리 작업으로 접시머리 나사가 삽입될 수 있는 접시머리홈을 성형하게 된다.
이와 같이 성형되는 접시머리홈은 통상의 이중비트를 통해서 성형되고, 이중비트는 전동공구에 연결되어 전동으로 작동됨으로써 작업의 편리함을 제공하게 된다.
하지만, 이와 같이 전동공구에 연결되어 작동되는 이중비트는 목재의 두께나 접시머리 나사의 길이 등을 고려하여 목재에 삽입되는 깊이가 결정되어야 하는데, 종래에는 이러한 이중비트의 천공깊이를 제어할 수 있는 별도의 장치가 없었기 때문에, 전적으로 작업자의 시각이나 육감 등의 감각에 의존해서만 이중비트의 천공깊이가 결정되었다.
따라서, 이와 같이 작업자의 감각에 의존해 성형된 접시머리홈의 깊이는 목재의 두께나 접시머리 나사의 길이와는 무관하게 제각각 천차만별의 깊이로 성형되기 때문에, 접시머리 나사의 결합 시 나사가 너무 깊게 결합되어 목재가 파손되거나 또는 너무 낮게 삽입되어 목재 간의 조립이 견고히 유지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안출된 것으로, 가공대상물인 목재의 조립 시 목재의 결합부위에 성형되는 접시머리홈의 깊이를 성형치구의 길이를 조절하여 성형토록 한 접시머리홈 성형치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은, 접시머리홈을 성형하는 성형치구에 있어서, 드릴이 돌출되고 드릴이 돌출된 측의 단부에는 날끝부가 형성되며 외측면에는 돌출된 대경부가 형성되는 이중비트; 상기 이중비트가 회전 및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관통되어 설치되는 아답터; 및 상기 아답터를 관통한 이중비트에 끼워져 고정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시머리홈 성형치구에 의해 달성된다.
또, 상술한 목적은, 접시머리홈을 성형하는 성형치구에 있어서, 드릴이 돌출되고 드릴이 돌출된 측의 단부에는 날끝부가 형성되며 외측면에는 돌출된 대경부와 나사부가 이격 형성되는 이중비트; 상기 이중비트가 회전 및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관통되어 설치되는 아답터; 및 상기 아답터를 관통한 이중비트에 끼워지고 나사부에 나사 결합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시머리홈 성형치구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그리고, 상기 아답터에는 이중비트가 관통 설치되는 플레이트가 형성되고, 상기 플레이트 상,하부의 이중비트에는 각각 고정부재와 대경부가 위치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이중비트의 날끝부에는 초경팁이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는 아답터를 관통하면서 이중비트에 나사 결합되는 제 1 관체; 및 상기 제 1 관체에서 확장 형성되어 아답터에 걸림되는 제 2 관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접시머리홈 성형치구에 따르면, 아답터에서 회전 및 상하로 이동가능한 이중비트와 이중비트에 고정된 드릴을 통해서 가공대상물인 목재의 결합부위에 접시머리홈을 목재의 두께나 접시머리 나사의 길이에 따라 조절하여 성형할 수 있으므로 목재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립된 목재의 결합상태를 견고히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성형치구의 결합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리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결합단면도로서, 길이조절 전의 성형치구와 이에 의해 성형된 접시머리홈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결합단면도로서, 길이조절 전의 성형치구와 이에 의해 성형된 접시머리홈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성형치구의 결합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분리사시도이다.
도 7은 도 5의 결합단면도로서, 길이조절 전의 성형치구와 이에 의해 성형된 접시머리홈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5의 결합단면도로서, 길이조절 전의 성형치구와 이에 의해 성형된 접시머리홈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제 1,2 실시예에 따른 접시머리홈 성형치구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접시머리홈 성형치구(1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이중비트(110), 아답터(120), 고정부재(130) 등으로 대별되어 구성된다.
상기 이중비트(1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부재로서 그 내부에는 드릴(140)이 축방향으로 관통되어 설치되고, 상기 드릴(140)은 이중비트(110)의 하단부로 돌출된 상태로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이중비트(110)는 후술될 아답터(120)의 플레이트(121)를 관통하는 소경부(115)와, 이 소경부(115)보다 큰 외경을 갖도록 확장 형성된 대경부(111)를 갖는다.
특히, 상기 대경부(111)는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이중비트(110)의 하부측에 형성되고, 그 하단부에는 목재를 가공하기 위한 날끝부(112)가 형성된다. 이러한 날끝부(112)에는 날끝부(112)의 마모를 방지하기 위한 초경팁(113)이 설치되어, 날끝부(112)의 마모는 물론 이중비트(110)를 보호하여 이중비트(110)의 파손이나 손상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대경부(111)의 외측에는 렌치볼트가 나사 결합되는 체결공(114)이 축방향과 수직하게 형성되고, 이 체결공(114)에 결합된 렌치볼트는 이중비트(110)를 관통한 드릴(140)을 가압하여 이중비트(110)에 고정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소경부(115)는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이중비트(110)의 상부측에 형성되고, 그 상단부에는 전동공구(미도시)와 결합되는 육각단면의 공구결합부(117)가 형성되며, 상기 공구결합부(117)와 대경부(111) 사이에는 후술될 고정부재(130)를 이중비트(110)에 고정시키는 렌치볼트가 접하는 평탄부(116)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형성된 이중비트(110)는 후술될 아답터(120)에 이중비트(110)의 소경부(115)가 하측에서 상측으로 끼워져 설치되고, 하부의 대경부(111)는 아답터(120)의 플레이트(121) 하면에 걸림되어 상측으로의 분리가 불가하게 된다.
상기 아답터(12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기둥 형태로서 그 하면은 개구되고 상면에는 전술한 이중비트(110)가 관통되는 플레이트(121)가 형성되며, 그 원주면에는 접시머리홈(10)의 성형 시 발생되는 목재의 목분을 외측으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구(122)가 일정간격으로 이격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아답터(120)는 이중비트(110)의 재질과는 다른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어 중량의 경량화에 일조함이 바람직하고, 상기 아답터(120)는 접시머리홈(10)의 성형 시 회전되는 이중비트(110)와는 달리 가공대상물(1)의 표면에 접한 상태로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재(13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 형태로 형성되고, 그 외측에는 렌치볼트가 결합되는 체결공(131)이 고정부재(130)의 중심을 향하여 수직하게 천공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부재(130)의 체결공(131)에 결합되는 렌치볼트는 그 단부가 고정부재(130)에 끼워진 이중비트(110)의 평탄부(116)에 접하여 이중비트(110)를 가압하므로 고정부재(130)와 이중비트(110)는 일체로 고정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이중비트(110)에 끼워져 설치되는 고정부재(130)는 이중비트(110)에 형성된 평탄부(116)의 상하 길이만큼 이동되어 고정될 수 있고, 이와 같이 고정된 고정부재(130)가 아답터(120)의 플레이트(121) 상면에 걸림되므로 이중비트(110)는 아답터(120)의 하측으로 분리가 불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아답터(120)의 플레이트(121) 상,하부에는 각각 고정부재(130)와 이중비트(110)의 대경부(111)가 위치되고, 상기 이중비트(110)의 대경부(111)와 고정부재(130) 사이의 거리는 아답터(120)에서 상하로 이동되는 이중비트(110)의 이동거리가 되므로 이중비트(110)의 천공깊이를 위 거리 즉 평탄부(116)의 길이 내에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고정부재(130)가 평탄부(116)의 하단부에 위치되면, 이중비트(110)가 아답터(120)에 상하 유격없이 고정된 상태로서, 이때 성형되는 접시머리홈(10)은 도 3에서와 같이 축홈(11)은 가공대상물(1)에 내부에 성형되고 접시홈(12)은 가공대상물(1)의 표면상에 성형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재(130)가 평탄부(116)의 상단부에 위치되면, 이중비트(110)가 아답터(120)에서 상하로 최대한 이동할 수 있는 상태로서, 이때 성형되는 접시머리홈(10)은 도 4에서와 같이 축홈(11)은 가공대상물(1)의 내부 깊숙이 성형되고 접시홈(12) 역시도 가공대상물(1) 내부에 성형된다.
특히, 도 4에서와 같은 경우에는 접시머리홈(10)에 접시머리 나사를 결합한 후 접시머리 나사의 상부에 접시머리홈(10)의 가공 시 발생된 목분을 채워주면, 나사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서 원목 그대로의 질감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접시머리홈 성형치구의 작동을 설명한다.
먼저, 도 3에서와 같이, 고정부재(130)가 이중비트(110)의 평탄부(116) 하단부에 위치되어 있으면, 이중비트(110)의 대경부(111)와 고정부재(130)가 각각 아답터(120)의 플레이트(121) 하면과 상면에 접한 상태가 되고, 이때의 이중비트(110)는 아답터(120)에 상하 유격없이 고정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 가공대상물(1)을 가공하면, 아답터(120)의 하측으로 돌출된 드릴(140)과 이중비트(110)의 날끝부(112)가 가공대상물(1)을 차례대로 가공하게 되고, 이런 가공과정은 아답터(120)의 하단부가 가공대상물(1)의 표면에 접할 때까지 이루어져 도 3에서와 같은 접시머리홈(10)을 성형하게 된다.
이후, 고정부재(130)의 체결공(131)에 나사 결합된 렌치볼트를 풀어낸 후 고정부재(130)를 도 4에서와 같이 이중비트(110)의 평탄부(116) 상단부에 위치시켜 고정시키면, 이중비트(110)의 대경부(111)와 고정부재(130)는 아답터(120)의 플레이트(121) 하면과 상면에 각각 이격된 상태가 되고, 이때 이중비트(110)는 아답터(120) 상에서 상하로 최대한 이동가능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상태에서 성형치구(100)를 가공대상물(1)에 접촉시키면, 드릴(140)과 같이 이중비트(110)가 위쪽으로 밀려 올라간 상태에서 아답터(120)의 하측으로 돌출된 드릴(140)과 이중비트(110)의 날끝부(112)가 가공대상물(1)을 차례대로 가공하게 된다. 그리고, 이런 가공과정은 아답터(120)의 하단부가 가공대상물(1)의 표면에 접하여도 계속해서 이루어지다가 이중비트(110)에 고정된 고정부재(130)가 아답터(120)의 플레이트(121) 상면에 접할 때까지 이루어져 도 4에서와 같은 깊이를 갖는 접시머리홈(10)을 형성하게 된다.
물론, 전술한 예와는 달리 고정부재(130)를 이중비트(110)의 평탄부(116) 상단부와 하단부 사이에 위치시키면, 가공대상물(1)에는 이중비트(110)가 상하로 이동되는 거리에 대응한 깊이의 접시머리홈(10)이 성형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접시머리홈(10)의 성형 시 가공대상물(1)의 가공 중에 발생되는 톱밥 즉 목분은 아답터(120)의 배출구(122)를 통해 아답터(120) 외측으로 배출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접시머리홈 성형치구는 전술한 제 1 실시예의 성형치구보다 진일보한 발명으로서, 상하로 이동되는 이중비트(210)를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접시머리홈 성형치구(200)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이중비트(210), 아답터(220), 고정부재(230) 등으로 대별되어 구성된다.
상기 이중비트(21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부재로서 그 내부에는 드릴(240)이 축방향으로 관통되어 설치되고, 상기 드릴(240)은 이중비트(210)의 하단부로 돌출된 상태로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이중비트(210)는 후술될 아답터(220)의 플레이트(221)를 관통하는 소경부(215)와, 이 소경부(215)보다 큰 외경을 갖도록 확장 형성된 대경부(211)를 포함한다.
특히, 상기 대경부(211)는 도 5 및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이중비트(210)의 하부측에 형성되고, 이 하단부에는 목재를 가공하기 위한 날끝부(212)가 형성된다. 이러한 날끝부(212)에는 날끝부(212)의 마모를 방지하기 위한 초경팁(213)이 설치되어, 날끝부(212)의 마모는 물론 이중비트(210)를 보호하여 이중비트(210)의 파손이나 손상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대경부(211)의 외측에는 렌치볼트가 나사 결합되는 체결공(214)이 축방향과 수직하게 형성되고, 이 체결공(214)에 결합된 렌치볼트는 이중비트(210)를 관통한 드릴(240)을 가압하여 이중비트(210)에 고정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소경부(215)는 도 5 및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이중비트(210)의 상부측에 형성되고, 상기 대경부(211) 상부의 소경부(215)에는 후술될 고정부재(230)가 나사 결합되는 나사부(216)가 일정길이로 형성되며, 상기 나사부(216) 상부의 소경부(215)에는 고정부재(230)를 이중비트(210)에 고정시키는 렌치볼트가 접하는 평탄부(217)가 여러 개로 형성되고, 상기 평탄부(217) 상부의 소경부(215)에는 전동공구와 결합되는 육각단면의 공구결합부(218)가 형성된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나사부(216)의 이웃하는 나사산의 거리 즉 피치(pitch)를 0.75㎜로 형성하므로 이 나사부(216)에서 후술될 고정부재(230)의 1회전 시는 고정부재가 0.75㎜의 거리만큼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나사부(216)의 피치는 얼마든지 변경할 수 있으나, 0.75㎜ 이하로는 정밀가공이 요구되므로 작업성이나 생산적인 측면을 고려해 볼 때 적합하지 않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형성된 이중비트(210)는 후술될 아답터(220)에 이중비트(210)의 소경부(215)가 하측에서 상측으로 끼워져 설치되고, 하부의 대경부(211)가 아답터(220)의 플레이트(221) 하면에 걸림되어 상측으로의 분리가 불가하게 된다.
상기 아답터(220)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기둥 형태로서 그 하면은 개구되고 상면에는 전술한 이중비트(210)가 관통되는 플레이트(221)가 형성되며, 그 원주면에는 접시머리홈(10)의 성형 시 발생되는 목재의 목분을 외측으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구(222)가 일정간격으로 이격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이중비트(210)가 관통되는 플레이트(221)에는 이중비트(210)의 회전 시 마찰을 최소화하기 위한 베어링(223)이 설치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아답터(220)는 이중비트(210)의 재질과는 다른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어 중량을 경량화함이 바람직하고, 상기 아답터(220)는 접시머리홈(10)의 성형 시 회전되는 이중비트(210)와는 달리 가공대상물(1)의 표면에 접한 상태로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재(230)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관으로서 그 하부에는 아답터(220)의 베어링(223)을 관통하면서 이중비트(210)의 나사부(216)에 나사 결합되는 제 1 관체(231)와, 상기 제 1 관체(231)의 상부에 확장 형성되어 아답터(220)의 플레이트(221) 상면에 걸림되는 제 2 관체(232)를 포함한다.
상기 제 2 관체(232)의 외측에는 렌치볼트가 결합되는 체결공(233)이 제 2 관체(232)의 중심을 향하여 수직하게 천공된다. 따라서, 상기 제 2 관체(232)의 체결공(233)에 결합되는 렌치볼트는 그 단부가 고정부재(230)에 끼워진 이중비트(210)의 평탄부(217)에 접하여 이중비트(210)를 가압하므로 고정부재(230)와 이중비트(210)는 일체로 고정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이중비트(210)에 고정되는 고정부재(230)는 이중비트(210) 상에서 풀거나 조이는 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이중비트(210)에 형성된 평탄부(217)의 상하 길이만큼 이동되어 고정될 수 있고, 이와 같이 고정된 고정부재(230)의 제 2 관체(232)가 아답터(220)의 플레이트(221) 상면에 걸림되므로 이중비트(210)는 아답터(220)의 하측으로 분리가 불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아답터(220)의 플레이트(221) 상,하부에는 각각 고정부재(230)의 제 2 관체(232)와 이중비트(210)의 대경부(211)가 위치되고, 상기 이중비트(210)의 대경부(211)와 고정부재(230)의 제 2 관체(232) 사이의 거리가 아답터(220)에서 상하로 이동되는 이중비트(210)의 이동거리가 되므로 이중비트(210)의 천공깊이를 위 거리 내에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고정부재(230)가 이중비트(210)의 나사부(216)에 완전히 체결되어 하강되면, 이중비트(210)가 아답터(220)에 상하 유격없이 고정된 상태로서, 이때 성형되는 접시머리홈(10)은 도 7에서와 같이 축홈(11)은 가공대상물(1)에 내부에 성형되고 접시홈(12)은 가공대상물(1)의 표면상에 성형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재(230)가 이중비트(210)의 나사부(216)에서 최대로 풀려 상승되면, 이중비트(210)가 아답터(220)에서 상하로 최대한 이동할 수 있는 상태로서, 이때 성형되는 접시머리홈(10)은 도 8에서와 같이 축홈(11)은 가공대상물(1)의 내부 깊숙이 성형되고 접시홈(12) 역시도 가공대상물(1) 내부에 성형된다.
이때, 상기와 같이 이중비트(210) 상에서 상하로 이동되면서 조절되는 고정부재(230)의 조절폭은 나사부(216)의 피치에 따라 결정되는 바, 본 실시예에 따른 나사부(216)의 피치는 0.75㎜이므로 고정부재(230)의 1회전 시는 고정부재(230)가 이중비트(210) 상에서 0.75㎜ 상승 또는 하강하게 된다. 이와 같이 미세 이동되는 고정부재(230)에 의해서 이중비트(210)의 대경부(211)와 고정부재(230)의 제 2 관체(232) 사이의 거리가 미세 조정됨으로써 가공대상물(1)에 성형되는 접시머리홈(10)의 깊이를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8에서와 같이 성형된 접시머리홈(10)에는 접시머리 나사를 결합한 후 접시머리 나사 상부의 접시머리홈(10)에 가공 시 발생된 목분을 채워주면, 나사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서 원목 그대로의 질감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한 고정부재(230)는 아답터(220)와 분리형으로 설치된 일례를 설명한 것인데, 이와는 다른 실시예로 상기 고정부재(230)를 아답터(220)의 베어링(223)에 고정시켜 구성할 수도 있다. 즉, 상기 고정부재(230)의 제 2 관체(232)를 베어링(223)의 내륜에 부착 고정한 상태로 설치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접시머리홈 성형치구의 작동을 설명한다.
먼저, 도 7에서와 같이, 고정부재(230)가 이중비트(210)의 나사부(216)에 완전히 결합되어 하강되면, 이중비트(210)의 대경부(211)는 아답터(220)의 플레이트(221) 하면에 접하고, 고정부재(230)는 제 1 관체(231)가 아답터(220)의 베어링(223) 내측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제 2 관체(232)가 아답터(220)의 플레이트(221) 상면에 접하게 되며, 이때 이중비트(210)는 아답터(220)에 상하 유격없이 고정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이 이중비트(210)가 고정된 상태에서 가공대상물(1)을 가공하면, 아답터(220)의 하측으로 돌출된 드릴(240)과 이중비트(210)의 날끝부(212)가 가공대상물(1)을 차례대로 가공하게 되고, 이런 가공과정은 아답터(220)의 하단부가 가공대상물(1)의 표면에 접할 때까지 이루어져 도 7에서와 같은 접시머리홈(10)을 성형하게 된다.
이후, 고정부재(230)의 제 2 관체(232)의 체결공(233)에 나사 결합된 렌치볼트를 풀어낸 후 고정부재(230)를 이중비트(210)의 나사부(216)에서 최대로 풀어내 도 8에서와 같이 상승시켜 고정시키면, 이중비트(210)의 대경부(211)와 고정부재(230)의 제 2 관체(232)는 아답터(220)의 플레이트(221) 하면과 상면에 각각 이격된 상태가 되고, 이때 이중비트(210)는 아답터(220) 상에서 상하로 최대한 이동가능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상태에서 성형치구(200)를 가공대상물(1)에 접촉시키면, 드릴(240)과 같이 이중비트(210)가 위쪽으로 밀려 올라간 상태에서 아답터(220)의 하측으로 돌출된 드릴(240)과 이중비트(210)의 날끝부(212)가 가공대상물(1)을 차례대로 가공하게 된다. 그리고, 이런 가공과정은 아답터(220)의 하단부가 가공대상물(1)의 표면에 접하여도 계속 이루어지다가 이중비트(210)에 고정된 고정부재(230)의 제 2 관체(232)가 아답터(220)의 플레이트(221) 상면에 접할 때까지 이루어져 도 8에서와 같은 접시머리홈(10)을 형성하게 된다.
물론, 위의 경우와는 달리 고정부재(230)를 이중비트(210)의 나사부(216) 상단부와 하단부 사이에 위치시키면, 가공대상물(1)에는 이중비트(210)가 상하로 이동되는 거리에 대응한 깊이의 접시머리홈(10)이 성형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접시머리홈(10)의 성형 시 가공대상물(1)의 가공 중에 발생되는 톱밥 즉 목분은 아답터(220)의 배출구(222)를 통해 아답터(220) 외측으로 배출된다.
1 : 가공대상물 10 : 접시머리홈
11 : 축홈 12 : 접시홈
100 : 성형치구 110 : 이중비트
111 : 대경부 112 : 날끝부
113 : 초경팁 114 : 체결공
115 : 소경부 116 : 평탄부
117 : 공구결합부 120 : 아답터
121 : 플레이트 122 : 배출구
130 : 고정부재 131 : 체결공
140 : 드릴 200 : 성형치구
210 : 이중비트 211 : 대경부
212 : 날끝부 213 : 초경팁
214 : 체결공 215 : 소경부
216 : 나사부 217 : 평탄부
218 : 공구결합부 220 : 아답터
221 : 플레이트 222 : 배출구
223 : 베어링 230 : 고정부재
231 : 제 1 관체 232 : 제 2 관체
233 : 체결공 240 : 드릴

Claims (5)

  1. 접시머리홈을 성형하는 성형치구에 있어서,
    드릴이 돌출되고 드릴이 돌출된 측의 단부에는 날끝부가 형성되며 외측면에는 돌출된 대경부가 형성되는 이중비트;
    상기 이중비트가 회전 및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관통되어 설치되는 아답터; 및
    상기 아답터를 관통한 이중비트에 끼워져 고정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시머리홈 성형치구.
  2. 접시머리홈을 성형하는 성형치구에 있어서,
    드릴이 돌출되고 드릴이 돌출된 측의 단부에는 날끝부가 형성되며 외측면에는 돌출된 대경부와 나사부가 이격 형성되는 이중비트;
    상기 이중비트가 회전 및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관통되어 설치되는 아답터; 및
    상기 아답터를 관통한 이중비트에 끼워지고 나사부에 나사 결합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시머리홈 성형치구.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아답터에는 이중비트가 관통 설치되는 플레이트가 형성되고, 상기 플레이트 상,하부의 이중비트에는 각각 고정부재와 대경부가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시머리홈 성형치구.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이중비트의 날끝부에는 초경팁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시머리홈 성형치구.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아답터를 관통하면서 이중비트에 나사 결합되는 제 1 관체; 및
    상기 제 1 관체에서 확장 형성되어 아답터에 걸림되는 제 2 관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시머리홈 성형치구.
KR1020100103187A 2010-10-22 2010-10-22 접시머리홈 성형치구 KR1012640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3187A KR101264080B1 (ko) 2010-10-22 2010-10-22 접시머리홈 성형치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3187A KR101264080B1 (ko) 2010-10-22 2010-10-22 접시머리홈 성형치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1836A true KR20120041836A (ko) 2012-05-03
KR101264080B1 KR101264080B1 (ko) 2013-05-15

Family

ID=462627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3187A KR101264080B1 (ko) 2010-10-22 2010-10-22 접시머리홈 성형치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408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21199A (zh) * 2019-08-07 2019-11-08 烟台中宇航空液压有限公司 阀体端面钻工模具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8172B1 (ko) 2022-04-20 2022-08-30 (주)에스비 접시 비트
KR20240003070A (ko) 2022-06-30 2024-01-08 김상인 원터치 조절 목공용 가공비트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93804A (ja) * 2006-10-13 2008-04-24 Yunika Kk 円筒状穿孔工具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21199A (zh) * 2019-08-07 2019-11-08 烟台中宇航空液压有限公司 阀体端面钻工模具
CN110421199B (zh) * 2019-08-07 2020-11-24 烟台中宇航空液压有限公司 阀体端面钻工模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64080B1 (ko) 2013-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08849B2 (en) Pressure-activated ID grooving tool
CN104400027B (zh) 高刚度微调镗刀
CN102922227B (zh) 一种钛合金斜面台阶孔的加工方法
US8561509B2 (en) Mechanical-activated ID grooving tool
BR102014025491A2 (pt) aparelho e método de perfuração
SE512053C2 (sv) Verktyg samt skärhuvud för skärande bearbetning
KR100934452B1 (ko) 원형단면 소재의 모따기장치
CN106624009A (zh) 一种车床夹具
KR101264080B1 (ko) 접시머리홈 성형치구
JP6808540B2 (ja) ポリゴン加工用工具
CN210548560U (zh) 便携式螺孔首牙倒棱工具
KR101965935B1 (ko) 복합 기능을 갖춘 면취 절삭 공구
US10675728B2 (en) Cutter holder capable of polishing
CN208374287U (zh) 非标准球轴承油孔模具
EP2385261A1 (en) Self-tapping screw
KR20110128437A (ko) 볼트 머리홈 형성공구
CN215090857U (zh) 数控铣沉孔深度限位器
CN105127460B (zh) 一种机夹式螺纹车刀
CN108638222B (zh) 一种三刃式木料取芯车刀
CN219485954U (zh) 木工钻孔的深度限制装置
CN220216839U (zh) 一种导头可更换式机用大孔径孔锪窝工具
CN114054870B (zh) 一种用于金属工件螺纹切削的丝锥
KR20130044541A (ko) 절삭 공구
CN219004610U (zh) 一种车床上用于加工孔的刀具座
CN220498423U (zh) 一种自适应跳动加工工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