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41059A - 추세추종방법 - Google Patents

추세추종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41059A
KR20120041059A KR1020100102641A KR20100102641A KR20120041059A KR 20120041059 A KR20120041059 A KR 20120041059A KR 1020100102641 A KR1020100102641 A KR 1020100102641A KR 20100102641 A KR20100102641 A KR 20100102641A KR 20120041059 A KR20120041059 A KR 201200410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end
investment
fund
long
term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26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철
Original Assignee
중소기업은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중소기업은행 filed Critical 중소기업은행
Priority to KR10201001026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41059A/ko
Publication of KR201200410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1059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7/00Digital computing or data processing equipment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fun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4Trading; Exchange, e.g. stocks, commodities, derivatives or currency exch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6Asset management; Financial planning or analys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chnology Law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적립식 투자와 장기투자의 기본 속성에 따른 문제점을 보완한 추세추종투자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추세추종방법은 증권투자상황을 반영하는 지표가 월봉 차트로 2개월 연속 음봉 또는 양봉시 가입상품의 형태를 변경하는 변경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추세추종방법{Method for Trend Following}
본 발명은 적립식 투자 및 장기투자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한 것이다.
적립식 투자의 경우 매월 정액으로 투자하여 투자시점이 자동으로 분산되는 장점이 있으나 매도시점의 자산 가격하락의 위험의 단점이 있고, 장기투자의 경우 수익률 편차를 줄이는 이점은 있으나 만족할 만한 수익을 거둘 수 있는 확률을 증대시키기엔 부족함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적립식 투자와 장기투자의 기본 속성에 따른 문제점을 보완한 추세추종투자 방법을 제시한다.
본 발명에서는 증권투자상황을 반영하는 지표가 월봉 차트로 2개월 연속 음봉 또는 양봉시 가입상품의 형태를 변경하는 추세추종 투자 방법을 제시하여 적립식 투자와 장기투자의 단점을 보완하고, 고객의 신뢰를 확보하며, 고객의 투자이익을 보호하고자 한다.
바람직하게, 증권투자상황을 반영하는 지표가 월봉 차트로 2개월 연속 음봉 또는 양봉시 가입상품의 형태를 변경하는 변경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변경단계는 2개월 연속 음봉시 상기 가입상품의 형태를 채권형 펀드로 변경하고, 2개월 연속 양봉시 상기 가입상품의 형태를 Index펀드 또는 주식혼합형 펀드로 변경한다.
바람직하게, 증권투자상황을 반영하는 지표가 월봉 차트로 2개월 연속 음봉 또는 양봉시, 음봉 또는 양봉의 변화폭이 기설정된 변화량 이하인 경우 상기 가입상품의 형태를 그대로 유지하고, 기설정된 변화량은 이동평균선과 MACD(Moving Average Convergence & Divergence)을 기초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가입상품은 변액보험 또는 장기 적립식 펀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증권투자상황을 반영하는 지표는 장기 추세가 존재하고, 시장상황이 굴곡이 없이 지속적으로 대세하락이 없는 전제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적립식 투자와 장기투자의 기본 속성에 따른 문제점을 보완한 추세추종투자 방법을 제시하여, 적립식 투자와 장기투자의 단점을 보완하고, 경기변화에 민감한 변액보험 적립금과 관련된 민원을 사정에 예비하여 고객의 신뢰를 확보하여 고객의 투자이익을 보호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원 발명에서는 추세에 따라 펀드를 변경하는 방법을 활용하여 환매 수수료를 발생시키지 않으므로 고객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본원 발명에서는 변액보험 판매후에도 적극적으로 사후에도 추세를 반영하여 고객의 수익성을 보장하므로 장기적으로 안정적인 변액보험 적립금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도 1 은 코스피 지수 추이를 나타내는 그래프를 도시한다.
도 2 는 도 1의 코스피 지수 추이 그래프에서 Cost-Average 효과를 활용한 일 예를 도시한다.
도 3 (a) 내지 (d)는 실제 시장 형태의 예들을 도시한다.
도 4 는 20년간 장기로 적립식 투자한 예를 도시한다.
도 5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 추세추종방식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추세추종 방법을 적용한 일 예를 도시한다.
도 7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추세추종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장문 메시지를 단문 메시지로 변환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해할 수 있는 용어 및 기술적 사항에 대하여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은 코스피 지수 추이를 나타내는 그래프를 도시한다.
적립식 투자는 매월 소액으로 우량 종목에 분산투자할 수 있어 단일종목 투자에 따른 비체계적인 위험을 줄일 수 있고, 매월 정액으로 투자하여 투자시점이 자동으로 분산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적립식 투자는 주가가 떨어질 때 같은 적립금액으로 더 많은 주식을 살 수 있고, 주가가 오르면 적은 주식을 사게 되어 주식의 평균 매입단가를 낮출 수 있는 Cost-Average 효과가 있다. 이 외에도 주식형 펀드에서 발생하는 수익 중 상당부분을 차지하는 적립금이 비과세되므로 절세효과가 발생한다.
도 1의 코스피 지수 추이 그래프에서 적립식 투자의 최선 구간은 시장이 하락국면에서 상승하는 구간(U자형 시장)이다(S110). 적립식 투자의 최악 구간은 시장이 상승국면에서 하락하는 구간이다(S120). 또한 적립식 투자의 Cost-Average 효과를 활용하기 적합한 적립식 투자 전략 구간은 B-C-D(S130)이다.
도 2 는 도 1의 코스피 지수 추이 그래프에서 Cost-Average 효과를 활용한 일 예를 도시한다.
도 2에서 볼 수 있듯이, 기본월납 1,000원, 금리 5.00%로 94년 10월부터 99년 12월까지 납입한 경우 적립식 평가액은 99,028원으로 누적 수익률은 57.2%, 평균 수익률은 17.2%를 나타낸다. 반면, 은행의 경우 같은 조건 하에서 평가액은 72,172원, 누적 수익률 14.6% 그리고 평균 수익률 5.1%를 나타낸다.
그러나, 도 1에 도시된 코스피 지수 추이 그래프와 같이 시장이 U자형 시장의 형태만으로 조성되지 않는 경우 적립식 투자 전략 역시 다양한 모습이 필요하다.
도 3 (a) 내지 (d)는 실제 시장 형태의 예들을 도시한다.
도 3(a)는 거꾸로 U자형 시장, 도 3(b)는 W형 박스권 시장, 도 3(c)는 M자형 박스권 시장 그리고 도 3(d)는 대세하락의 경우를 나타낸다.
도 3(a)와 같이 시장이 거꾸로 U자형 패턴을 보일 경우, 장기 적립식 투자의 경우에도 투자위험을 hedge할 수 없음을 볼 수 있다. 구체적으로, 98년 6월부터 2001년 9월까지 주가는 43.6%가 오른 반면, 적립식 투자의 경우 -7.7%의 손실로 이어질 수 있음을 볼 수 있다.
도 3(b)와 같이 시장이 W형 박스권 패턴을 보이는 경우, 장기적립식 투자의 장점이 크게 발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주가는 12% 상승하는데 그치고 있으나, 장기적으로 적립식 투자를 한 경우 54%의 수익을 볼 수 있다.
도 3(c)와 같이 시장이 M자형 박스권 패턴을 보이는 경우, 시장하락의 리스크를 일부분 hedge함을 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시장의 주가는 -17%로 전체적으로 마이너스를 기록하지만, 장기적립식 투자의 경우 2.1% 수익을 기록할 수 있다.
도 3(d)와 같이 시장의 주가가 대세하락하는 경우, 주가가 -72%를 기록하지만, 장기적립식 투자의 경우 -52.3%로 주가대비 수익률 하락폭을 줄이는 효과를 보이고 있다.
도 3(a) 내지 (d)의 그래프에서 볼 수 있듯이 적립식 투자는 시장의 형태 및 투자시작시점에 따라 Cost-Average 효과가 매우 상이하게 나타난다. 즉, 적립식 투자의 경우 지수가 오를 때는 완만하게 상승하지만 지수가 떨어질 때는 거치식과 마찬가지로 급격하게 수익률이 하락하게 된다. 시간이 가면서 투자원금이 쌓여 시장 변동성에 노출되는 부분이 그만큼 커지기 때문이다.
도 4 는 20년간 장기로 적립식 투자한 예를 도시한다.
도 3(a) 내지 (d)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투자시작시점에 따라 나타나는 적립식투자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장기투자를 고려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20년 동안 1,000원씩 5.00%의 금리로 장기로 적립식으로 투자한 경우 누적 수익률이 40.6%, 평균 수익률이 3.3%로 은행 적금 수익률 72.0%, 평균 수익률 5.1%에도 못 미치는 예를 볼 수 있다.
이러한 예가 발생하는 이유는 적립식 투자의 경우 발생하는 Cost-Average 효과의 경우, 적립된 금액이 300만원인 경우 100만원의 Cost-Average는 큰 효과가 발생하나, 적립된 금액이 3억인 경우 100만원의 Cost-Average는 효과가 미미하기 때문이다. 결국, 장기투자의 경우 역시 시장의 가격 움직임에 따라 전체 수익률이 결정되게 된다.
도 5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 추세추종방식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적립식 투자의 경우 매월 정액으로 투자하여 투자시점이 자동으로 분산되는 장점이 있으나 매도시점의 자산 가격하락의 위험의 단점이 있고, 장기투자의 경우 수익률 편차를 줄이는 이점은 있으나 만족할 만한 수익을 거둘 수 있는 확률을 증대시키기엔 부족하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추세추종 방법을 제시한다.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추세추종 방법은 장기 추세를 판단하기 위하여 월봉챠트, 이동평균선 및 MACD(Moving Average Convergence & Divergence)를 활용한다.
증권투자상황을 반영하는 지표가 월봉 차트로 2개월 연속 음봉 또는 양봉시 가입상품의 형태를 변경한다. 다만, 장기투자의 경우 가입상품의 형태를 변경하는 것이 빈번할 경우 수익성에 해가 되므로, 추세전환 시점을 나타내는 이동평균선과 MACD(Moving Average Convergence & Divergence) 를 고려한다. 구체적으로 이동평균선과 MACD과 고려할 때, 월봉 차트상에서 나타난 음봉 또는 양봉의 양이 기설정된 범위를 초과하여 2개월 연속 음봉 또는 양봉이 나타날 경우 가입상품의 형태를 변경한다.
월봉챠트는 일정기간 동안의 주가변동을 막대그래프로 나타낸 챠트를 나타낸다. 월봉이란 막대그래프를 의미하고, 일정 기간의 시가와 종가, 저가와 고가를 하나의 봉에 나타내어 주가 흐름을 파악하는 유용한 지표로 활용된다.
이동평균선은 추세전환 시점을 판단하기 위한 지표로 활용된다. 일정 기간의 주가 평균값의 진행 방향을 확인하고, 매일의 주가가 진행방향과 어떤 연관성이 있는지를 분석하여 향후 주가 동향을 예측하는 투자 지표를 의미한다.
MACD(Moving Average Convergence & Divergence)는 기간이 다른 이동평균선 사이의 관계에서 추세 변화의 신호를 찾기 위한 진동자 지표이며, 지수이동평균을 사용한다. MACD는 추세전화 시점보다 추세 방향과 주가 움직임을 분석하는데 사용하는 지표로 활용된다.
본 발명에서 장기 추세를 판단하기 위한 월봉챠트, 이동평균선 및 MACD를 이용하여 추세추종방식을 변액보험에 적용하면 다음과 같다. 가입시 설정된 펀드(Index, 주식형펀드 등)의 월별 기준가격이 월봉 챠트 상에서 2개월 연속 음봉(▼)시 채권형 펀드로 이동한다. 또한, Kospi200 또는 Index펀드 등 증권투자상황을 반영하는 지표가 월봉 차트로 2개월 연속 양봉(▲)시 가입한 상품의 펀드별 기준가격 상승을 감안하여 Index 또는 주식혼합형 펀드로 이동한다.
본 발명에서는 변액보험의 펀드변경 옵션 등을 활용하여 환매가 아니라 펀드변경을 수행할 수 있다. 일반 적립식 펀드는 펀드변경시 환매수수료 발생하나 변액보험은 상품별로 연4회 ~ 12회 무료변경이 가능하므로 환매수수료가 발생하지 않으므로 고객의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장기투자를 유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 예시로 제시한 변액보험 외에 장기 적립식 펀드 등과 같이 성격이 유사하거나 개념이 동일한 분야와 상품 등에도 본 발명이 적용됨을 주의하여야 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원 발명에서 제시하는 추세추종 방식(510)을 따를 경우, 별도의 관리 없이 적립식 투자한 경우(500)에 비해 수익률에 있어 2009년 3월 31일 시점(520)으로 볼 경우 상당한 차이가 발생한다.
도 6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추세추종 방법을 적용한 일 예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추세추종 방식을 적용할 경우, 도 6에서 A(610)에서 사지 않고, C(630)에서 사고, B(620)에서 팔지않고 D(640)에서 팔게 됩니다. 본 발명의 추세추종 방식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장기 추세가 존재하고, 시장상황이 굴곡이 없이 지속적으로 대세하락이 없는 전제로 한다.
도 7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추세추종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이동평균선 및 MACD 지표를 확인하여 추세전환시점 및 추세변화량을 파악한다(S710, S720). 추세변화량이 기설정된 기준 이상인 경우인지를 판단한다(S730). 기설정된 기준을 벗어날 정도로 변화량이 크지 않은 경우에는 S710 단계로 돌아가 추후 이동평균선 및 MACD 지표를 확인한다.
추세변화량이 기설정된 기준을 초과하는 경우 2개월 연속하여 월봉차트가 음봉 또는 양봉하고 있는지를 판단한다(S740). 증권투자상황을 반영하는 지표가 월봉 차트로 2개월 연속 양봉시 변액보험의 펀드를 Index펀드 또는 주식혼합형 펀드로 변경하고, 2개월 연속 음봉시 변액보험의 펀드를 채권형 펀드로 변경한다.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5)

  1. 증권투자상황을 반영하는 지표가 월봉 차트로 2개월 연속 음봉 또는 양봉시 가입상품의 형태를 변경하는 변경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변경단계는 2개월 연속 음봉시 상기 가입상품의 형태를 채권형 펀드로 변경하고, 2개월 연속 양봉시 상기 가입상품의 형태를 Index펀드 또는 주식혼합형 펀드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세추종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2개월 연속 음봉 또는 양봉의 변화폭이 기설정된 변화량 이하인 경우 상기 가입상품의 형태를 그대로 유지하고,
    상기 기설정된 변화량은 이동평균선과 MACD(Moving Average Convergence & Divergence)을 기초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세추종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입상품은
    변액보험 또는 장기 적립식 펀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세추종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증권투자상황을 반영하는 지표는 장기 추세가 존재하고, 시장상황이 굴곡이 없이 지속적으로 대세하락이 없는 전제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세추종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증권투자상황을 반영하는 지표는 Kospi200 또는 Index펀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세추종방법.
KR1020100102641A 2010-10-20 2010-10-20 추세추종방법 Ceased KR2012004105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2641A KR20120041059A (ko) 2010-10-20 2010-10-20 추세추종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2641A KR20120041059A (ko) 2010-10-20 2010-10-20 추세추종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1059A true KR20120041059A (ko) 2012-04-30

Family

ID=461407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2641A Ceased KR20120041059A (ko) 2010-10-20 2010-10-20 추세추종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4105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11787A (ko) * 2013-03-12 2014-09-22 동양증권 주식회사 주식 종목 추천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11787A (ko) * 2013-03-12 2014-09-22 동양증권 주식회사 주식 종목 추천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lum Subordinated debt, market discipline, and banks' risk taking
Duffie Market making under the proposed Volcker rule
Ertürk Financialization, bank business models and the limits of post-crisis bank regulation
US7908195B2 (en) System for calculating model option settlement prices
WO2009036276A1 (en) Method of administering an investment fund that seeks to provide regular monthly payments without consuming principal
Lehmann Foreign direct investment in emerging markets: Income, repatriations and financial vulnerabilities
US20110004568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providing swap indices
Harrington et al. Insurance price volatility and underwriting cycles
US20080168003A1 (en) System and method for securitizing zero coupon bond and equity index portfolios in a target date exchange traded fund
Fung The information content of option implied volatility surrounding the 1997 Hong Kong stock market crash
US20160019646A1 (en) Computer systems and methods for balancing indexes
US20160189302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providing and maintaining retirement income
Fernandez‐Perez et al. Determinants of intraday price discovery in VIX exchange traded notes
US20110178907A1 (en) Computer based method of pricing equity indexed annuity product with lock-in
US8645261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market-backed annuity with variable segment terms and automatic rollover
Pattani et al. Going public: UK companies' use of capital markets
Miller et al. The impact of a financial transaction tax
Butkiewicz et al. The original Operation Twist: the War Finance Corporation's war bond purchases, 1918–1920
KR20120041059A (ko) 추세추종방법
Golub et al. Ultra-short tenor yield curve for intraday trading and settlement
Abraham Pricing currency call options
Kumar et al. Evidence on hedging effectiveness in Indian derivatives market
De Luca Economic and Financial Dynamic Analysis: Invested Capital and Capital Structure
Yan et al. How liquid are banks: Some evidence from the United Kingdom
Officer et al. Retiree healthcare obligations remain material for a segment of municipal issu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102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2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208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20214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208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20416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X0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6014S01D

Patent event date: 20121010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12092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120827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12041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X06013S01I

Patent event date: 201202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