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40320A - 단말의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단말의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20040320A KR20120040320A KR1020100101661A KR20100101661A KR20120040320A KR 20120040320 A KR20120040320 A KR 20120040320A KR 1020100101661 A KR1020100101661 A KR 1020100101661A KR 20100101661 A KR20100101661 A KR 20100101661A KR 20120040320 A KR20120040320 A KR 2012004032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isplay
- terminal
- eye
- gaze
- senso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06F3/013—Eye tracking input arrangement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말의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단말이 눈의 시선 방향을 감지하고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방향을 감지하여, 해당 시선 방향과 디스플레이 방향 간에 임계치 이상의 각도 차이가 있는 경우, 단말이 디스플레이 장치에 디스플레이된 정보 중 사용자의 눈으로부터의 거리가 먼 디스플레이 부분이 사용자의 눈으로부터의 거리가 가까운 디스플레이 부분보다 더 크도록 점층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에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단말의 디스플레이 방향을 물리적으로 조절함이 없이, 마치 단말의 화면을 수직으로 바라보는 것과 같이 정보를 인식할 수 있어, 사용자의 정보 인식효율이 향상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디스플레이 화면을 바라보는 사용자의 시선 방향을 추적하여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화면을 수직으로 보고 있지 않은 경우에도 수직으로 바라보는 것과 같은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단말의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정보 전달 매체로서 텔레비젼, 컴퓨터, 휴대단말 등의 보급은 급속히 증가하고 있으며, 현대인은 직장생활, 학업, 여가 시간 등 일상생활의 많은 부분을 이러한 단말과 함께 보내고 있다.
이러한 단말은 그 하드웨어의 발전에 따라 그 처리가능한 정보의 크기가 급속히 증가하고 있으며, 사무기기, 전화기, 텔레비젼, 영화감상, 음악감상, 게임, 웹써핑 등의 기능을 모두 충족하는 단말로의 변화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특히, 휴대전화,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의 단말은 카메라 및 센싱 장비를 포함하여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단말은 평면적인 디스플레이를 제공하기 때문에, 예를 들어, 단말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비스듬히 쳐다보는 경우와 같이 사용자의 시선 방향과 단말의 디스플레이 방향이 다른 경우에는, 사용자가 직접 모니터 등의 디스플레이 방향을 변경하거나, 손에 쥔 휴대단말의 디스플레이 방향을 조절해야만 디스플레이된 정보의 인식율을 높일 수 있었다.
이에, 사용자가 물리적으로 단말의 디스플레이 방향을 조절하지 않고도, 디스플레이 장치에 시각적으로 표현된 정보를 보다 효율적으로 인지할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단말이 사용자의 시선 방향을 파악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에 디스플레이하는 방식을 적응적으로 변경함으로써 사용자가 단말에 표현된 정보를 효율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단말의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단말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정보 표현을 위한 디스플레이부, 눈의 시선 방향을 감지하는 시선감지부, 디스플레이부의 디스플레이 방향을 감지하는 방향감지부, 시선감지부가 감지한 시선 방향과 방향감지부가 감지한 디스플레이 방향 간에 임계치 이상의 각도 차이가 있는 경우,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된 정보 중 눈으로부터의 거리가 먼 디스플레이 부분이 눈으로부터의 거리가 가까운 디스플레이 부분보다 크도록 점층적으로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단말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시선감지부는, 눈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단말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방향감지부는, 지자기 센서, 중력 센서, 가속도 센서, 각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중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단말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제어부는, 눈의 위치를 기준으로, 시선 방향과 디스플레이 방향 간의 각도 차이가 일정 각도 이내인 것처럼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단말의 디스플레이 방법은, 단말이 눈의 시선 방향을 감지하는 시선감지단계, 단말이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방향을 감지하는 방향감지단계, 단말이, 시선 방향과 디스플레이 방향 간에 임계치 이상의 각도 차이가 있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에 디스플레이된 정보 중 눈으로부터의 거리가 먼 디스플레이 부분이 눈으로부터의 거리가 가까운 디스플레이 부분보다 더 크도록 점층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에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단말의 디스플레이 방법에 있어서, 시선감지단계는, 단말이 카메라를 이용하여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단말의 디스플레이 방법에 있어서, 방향감지단계는, 단말이 지자기 센서, 중력 센서, 가속도 센서, 각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중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이용하여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단말의 디스플레이 방법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단계는, 단말이, 눈의 위치를 기준으로, 시선 방향과 디스플레이 방향 간의 각도 차이가 일정 각도 이내인 경우처럼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단말의 디스플레이 방법은, 디스플레이단계 후에, 단말이 시선 방향과 디스플레이 방향 간의 각도 차이의 변화에 따라 점층도를 변경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제2디스플레이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단말의 디스플레이 방법은, 디스플레이단계 후에, 단말이 시선 방향과 디스플레이 방향 간의 각도 차이가 제2임계치 이하로 변화하는 경우 일반적인 디스플레이 상태로 변경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제2디스플레이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화면을 바라보는 사용자의 시선 방향을 추적하여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화면을 수직으로 보고 있지 않은 경우에도 수직으로 바라보는 것과 같은 효과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의 정보 인식효율이 증대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카메라나 센서를 포함한 휴대전화,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이 상용화된 현실에서, 별도의 하드웨어를 추가하는 비용의 부담없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단말의 디스플레이 방향을 물리적으로 조절함이 없이, 마치 단말의 화면을 수직으로 바라보는 것과 같이 정보를 인식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가 증진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실시예에 따른 시선감지부 및 방향감지부를 포함한 단말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디스플레이 방법의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도 3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디스플레이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디스플레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는 도 1의 실시예에 따른 시선감지부 및 방향감지부를 포함한 단말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디스플레이 방법의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도 3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디스플레이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디스플레이 방법의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구성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포함한 단말은, 스마트폰, 휴대전화, 노트북(notebook),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또는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와 같은 디지털방송 수신기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110), 시선감지부(120), 방향감지부(130), 제어부(14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부(11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에서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정보를 표현하는 기능을 한다. 디스플레이부(110)는 이를 위해, LCD(Liquid Crystal Display) 등의 정보표현을 위한 화면을 포함할 수 있다.
시선감지부(120)는 사용자의 눈이 바라보는 시선 방향을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시선감지부(120)는 사용자를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방향감지부(130)는 디스플레이부(110)의 디스플레이 방향을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방향감지부(130)는, 예를 들어, 지자기 센서, 중력 센서, 각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등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디스플레이부(110), 시선감지부(120), 방향감지부(130)를 포함한 단말의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을 전체적으로 제어하는 역할을 하며, 이를 위한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예를 들어, 시선감지부(120)가 카메라를 포함한 경우라면, 제어부(140)는 시선감지부(120)의 카메라가 촬영하는 화상의 픽셀 변화를 시간 순서에 따라 비교하여 얼굴 영상을 추출하고, 추출한 눈의 위치 변화로부터 사용자의 시선을 추적한다.
이를 위해,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부의 저장소(미도시)는 이진화된(binary) 삼원색 좌표계(RGB:Red-Green-Blue Coordinates) 정보 또는 색조/채도/명도 좌표계(HSI:Hue, Saturation, Intensity Coordinates) 정보 등을 저장하고, 제어부(140)는 시선감지부(120)의 카메라가 촬영한 화상의 픽셀을 기 저장된 좌표계 정보와 비교하여 화상 변화에 대한 판단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40)는, 예를 들어, PCA(principal component analysis), FDA(Fisher Discriminant Analysis), ICA(Independent Component Analysis) 등과 같은 방법을 이용하여, 시선감지부(120)의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에서 얼굴 영상을 추출한다.
이후, 제어부(140)는 추출한 얼굴 영상에서, 예를 들어, SVM(Support Vector Machine)이나 ASM(Active Shape Modelling), AAM(Active Appearance Modelling) 등과 같은 얼굴 모델링 기법을 사용하여 눈을 추출하고, 이를 이용해 사용자의 시선을 추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방향감지부(130)가 지자기 센서를 포함한 경우라면, X축, Y축, Z축 방향으로 지자기를 센싱하고 그 출력 벡터 합으로 지자기 방향을 파악하여 디스플레이 방향을 감지할 수 있다.
방향감지부(130)가 중력 센서를 포함한 경우라면, 중력 가속도 방향을 기준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기울어진 각도와 움직임을 검출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디스플레이 방향을 감지할 수 있다.
방향감지부(130)가 가속도 센서, 각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등을 포함한 경우라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포함한 단말의 위치 이동을 센싱하여 디스플레이 방향의 변경 등을 감지할 수 있다.
이렇게, 시선감지부(120)가 사용자 눈의 시선 방향을 감지하고, 방향감지부(130)가 디스플레이부(110)의 디스플레이 방향을 감지하고 나면, 제어부(140)는 해당 시선 방향과 디스플레이 방향 간에 임계치 이상의 각도 차이가 있는지 판단한다.
판단결과 임계치 이상의 각도 차이가 없다면 단말의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일반적인 디스플레이 상태를 유지하지만, 반대로 임계치 이상의 각도 차이가 있다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부(140)는, 디스플레이부(110)의 화면을 바라보는 눈의 위치를 기준으로 발생하는 원근감을 보정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상태를 변경한다.
즉, 제어부(140)는 디스플레이부(110)에 디스플레이된 정보 중 사용자의 눈으로부터의 거리가 먼 디스플레이 부분이 사용자의 눈으로부터의 거리가 가까운 디스플레이 부분보다 크도록 점층적으로 디스플레이부(110)에 디스플레이한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과정을 통해, 사용자는 눈의 위치를 기준으로, 사용자의 시선 방향과 디스플레이부(110)의 디스플레이 방향 간의 각도 차이가 일정 각도 이내인 것처럼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게 된다. 이는,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디스플레이부(110)의 화면을 수직으로 바라보는 것과 유사하게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렇게 제어부(140)가 점층적으로 디스플레이하고 난 후에, 사용자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위치 변경 등으로 인해, 사용자의 시선 방향과 디스플레이부(110)의 디스플레이 방향 간의 각도 차이가 변화하면, 제어부(140)는 기존의 점층적으로 디스플레이부(110)에 디스플레이한 상태에서 그 점층도를 변경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사용자는 별도의 동작없이도 자동으로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방식에 따른 화면을 계속하여 제공받게 된다.
만일, 제어부(140)가 디스플레이부(110)에 점층적으로 디스플레이하고 난 후에, 사용자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위치 변경 등으로 인해, 사용자 눈의 시선방향과 디스플레이부(110)의 디스플레이 방향 간의 각도 차이가 제2임계치 이하로 변화하는 경우라면, 제어부(140)는 점층적으로 디스플레이부(110)에 디스플레이하는 상태가 아닌 일반적인 디스플레이 상태로 변경하여 디스플레이부(11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의 제2임계치는, 제어부(140)가 사용자 눈의 시선 방향과 디스플레이부(110)의 디스플레이 방향 간의 각도차이에 따라 점층적으로 디스플레이할지를 결정하는 기준 임계치와, 그 값이 서로 다를 수 있고, 반대로 그 값이 서로 같을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의 시선을 감지하고, 디스플레이 방향을 감지하는 단말의 예에 대해서는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도 1의 실시예에 따른 시선감지부(120) 및 방향감지부(130)를 포함한 단말의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예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포함한 단말은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의 형태로 도시되었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정보를 표현할 수 있는 모든 단말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단말의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시선감지부(120)와 방향감지부(130)의 위치 또한 본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밝혀둔다.
도 2에서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시선감지부(120)가 단말 화면의 상단에 위치하여 사용자 눈의 시선 방향을 감지하고 있다. 시선감지부(120)는 이러한 동작을 위해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방향감지부(130)가 단말 화면의 하단에 위치하여 디스플레이 방향을 감지하고 있다. 방향감지부(130)는 이를 위해, 지자기 센서, 중력 센서, 가속도 센서, 각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등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사용자 눈의 시선 방향과 디스플레이 방향을 감지하고, 그 각도 차이에 따라 점층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예에 대해서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디스플레이 방법의 예시도이다. 또한, 도 4는 도 3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디스플레이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도 3의 좌측 도면에서 사용자는 단말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수직 방향으로 바라보고 있다. 이는 사용자 눈의 시선 방향과 디스플레이 방향이 일치함을 의미한다. 이 경우 단말의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도 4의 좌측 도면과 같이 일반적인 방법으로 정보를 표현하여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제공하게 된다.
반면, 도 3의 우측 도면에서는, 사용자의 위치변화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위치변화에 따라, 사용자가 단말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수직 방향으로 바라보는 것이 아니라, 그 아래 방향에서 올려다보듯이 바라보고 있다. 이는 사용자 눈의 시선 방향과 디스플레이 방향이 일치하지 않음을 의미하며,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 화면의 상단부에 표현되는 정보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화면의 하단부에 표현되는 정보에 비해 사용자 눈으로부터의 거리가 더 멀게 된다. 이러한 경우, 일반적인 디스플레이 방식에서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화면의 상단부에 디스플레이된 정보의 시각적 인식율이 하단부에 디스플레이된 정보에 비해 떨어지게 된다.
이러한 현상의 보정을 위해 본 발명의 단말의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 눈의 시선 방향을 감지하고,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디스플레이 방향을 감지하여 임계치 이상의 각도 차이가 있는 경우, 사용자 눈으로부터의 거리가 상대적으로 먼 화면 상단의 디스플레이 부분이, 사용자 눈으로부터의 거리가 상대적으로 가까운 화면 하단의 디스플레이 부분에 비해 더 크도록 점층적으로 디스플레이한다. 도 4의 우측 도면은 이에 따라, 본 실시예의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정보를 점층적으로 디스플레이한 예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이러한 방식으로, 사용자 눈의 위치에서 인식하기에 화면을 수직으로(또는 이와 근사한 방향에서) 바라보는 것과 같이 느낄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하며, 이는, 사용자 눈의 시선 방향과 디스플레이 방향이 일치하는 것처럼(또는 이와 근사한 것처럼) 느낄 수 있도록 점층도를 조절하여 적응적으로(adaptively) 디스플레이함을 의미한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시선 방향과 디스플레이 방향 간의 각도차이가 일정 각도 이내인 경우처럼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단말이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에 대해서는 도 5를 참조하여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디스플레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단말이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에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현한다(S510).
이후, 단말은 사용자 눈의 시선 방향을 감지한다(S520). 이러한 동작을 위해 본 발명의 단말은 사용자를 촬영하여 눈의 시선 방향을 감지하는데 이용 가능한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단말은 화면에 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방향을 감지한다(S530). 이러한 동작을 위해 본 발명의 단말은, 지자기 방향에 따라 단말의 각도를 판단하여 디스플레이 방향을 감지하는데 활용하기 위한 지자기 센서, 중력 방향에 따라 단말의 각도를 판단하여 디스플레이 방향을 감지하는데 활용하기 위한 지자기 센서, 단말의 움직임을 판단하여 디스플레이 방향을 감지하는데 활용하기 위한 가속도 센서, 각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단계(S520)과 단계(S530)는 그 순서를 바꾸어 전후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단계(S520)에서 시선 방향을 감지하고, 단계(S530)에서 디스플레이 방향을 감지한 단말은, 양 방향 간에 임계치 이상의 각도 차이가 있는지 판단한다(S540).
단계(S540)에서의 판단결과, 임계치 이상의 각도 차이가 없는 경우, 단말은 단계(S520) 및 단계(S530)의 과정을 반복한다.
반대로, 단계(S540)에서의 판단결과, 임계치 이상의 각도 차이가 있는 경우, 단말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디스플레이된 정보 중 사용자의 눈으로부터의 거리가 먼 디스플레이 부분이 사용자의 눈으로부터의 거리가 가까운 디스플레이 부분보다 더 크도록 점층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에 디스플레이한다(S550).
단계(S550)에서 점층적으로 디스플레이한 단말은, 계속하여 사용자 눈의 시선방향을 감지하고(S560),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방향을 감지한다(S570). 단계(S560, S570)는 단계(S520, S530)과 그 동작이 대동소이 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때, 단계(S560)과 단계(S570) 또한 그 순서를 바꾸어 전후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단말은 단계(S560)에서 감지한 시선 방향과 단계(S570)에서 감지한 디스플레이 방향 간의 각도에 변화가 발생하였는지 판단한다(S580).
단계(S580)에서의 판단결과 각도 변화가 없으면, 단계(S560)의 시선 방향 감지 과정과, 단계(S570)의 디스플레이 방향 감지 과정을 반복한다.
반대로, 단계(S580)에서의 판단결과 각도 변화가 있으면, 해당 변화에 따라 사용자 눈의 시선 방향과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방향 간에 제2임계치 이하의 각도 차이를 가지는지 판단한다(S590). 이때, 제2임계치는 단계(S540)에서의 임계치과 그 각도 값이 같을 수 있고, 서로 다를 수도 있다.
단계(S590)에서의 판단결과, 단계(S560)에서 감지한 시선 방향과 단계(S570)에서 감지한 디스플레이 방향 간에 제2임계치 이하의 각도 차이를 가지는 경우, 단말은 정보를 점층적으로 표현하지 않는 일반적인 디스플레이 상태로 변경하여 디스플레이한다(S600).
반대로, 단계(S580)에서의 판단결과, 단계(S560)에서 감지한 시선 방향과 단계(S570)에서 감지한 디스플레이 방향 간에 제2임계치를 초과하는 각도 차이를 가지는 경우, 단말은 단계(S550)에서 점층적으로 표현한 상태에서 그 점층도를 변경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에 디스플레이한다(S610).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사용자의 시선 방향과 단말의 디스플레이 방향을 탐지하고, 그 변화에 따라 적응적으로 점층도를 변경하여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전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일탈함 없이 본 발명에 대해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사용자가 단말의 디스플레이 방향을 물리적으로 조절함이 없이, 마치 단말의 화면을 수직으로 바라보는 것과 같이 정보를 인식할 수 있어 그 인식효율이 향상된다.
특히, 카메라와 센서를 탑재한 상태로 생산, 판매가 이루어지는 휴대단말,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에 있어, 별도의 하드웨어를 추가하는 비용 부담없이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방법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100: 단말의 디스플레이 장치
110: 디스플레이부
120: 시선감지부
130: 방향감지부
140: 제어부
110: 디스플레이부
120: 시선감지부
130: 방향감지부
140: 제어부
Claims (10)
- 정보 표현을 위한 디스플레이부;
눈의 시선 방향을 감지하는 시선감지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디스플레이 방향을 감지하는 방향감지부;
상기 시선감지부가 감지한 시선 방향과 상기 방향감지부가 감지한 디스플레이 방향 간에 임계치 이상의 각도 차이가 있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된 정보 중 상기 눈으로부터의 거리가 먼 디스플레이 부분이 상기 눈으로부터의 거리가 가까운 디스플레이 부분보다 크도록 점층적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단말의 디스플레이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선감지부는
상기 눈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디스플레이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감지부는
지자기 센서, 중력 센서, 가속도 센서, 각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중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디스플레이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눈의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시선 방향과 상기 디스플레이 방향 간의 각도 차이가 일정 각도 이내인 것처럼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디스플레이 장치. - 단말이 눈의 시선 방향을 감지하는 시선감지단계;
상기 단말이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방향을 감지하는 방향감지단계;
상기 단말이, 상기 시선 방향과 상기 디스플레이 방향 간에 임계치 이상의 각도 차이가 있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디스플레이된 정보 중 상기 눈으로부터의 거리가 먼 디스플레이 부분이 상기 눈으로부터의 거리가 가까운 디스플레이 부분보다 더 크도록 점층적으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단계;
를 포함하는 단말의 디스플레이 방법.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시선감지단계는
상기 단말이 카메라를 이용하여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디스플레이 방법.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감지단계는
상기 단말이 지자기 센서, 중력 센서, 가속도 센서, 각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중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이용하여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디스플레이 방법.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단계는
상기 단말이, 상기 눈의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시선 방향과 상기 디스플레이 방향 간의 각도 차이가 일정 각도 이내인 경우처럼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디스플레이 방법.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단계 후에
상기 단말이 상기 시선 방향과 상기 디스플레이 방향 간의 각도 차이의 변화에 따라 점층도를 변경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제2디스플레이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디스플레이 방법.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단계 후에
상기 단말이 상기 시선 방향과 상기 디스플레이 방향 간의 각도 차이가 제2임계치 이하로 변화하는 경우 일반적인 디스플레이 상태로 변경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제2디스플레이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디스플레이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101661A KR20120040320A (ko) | 2010-10-19 | 2010-10-19 | 단말의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101661A KR20120040320A (ko) | 2010-10-19 | 2010-10-19 | 단말의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40320A true KR20120040320A (ko) | 2012-04-27 |
Family
ID=461402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101661A KR20120040320A (ko) | 2010-10-19 | 2010-10-19 | 단말의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20040320A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04380B1 (ko) * | 2012-09-24 | 2014-06-09 | 주식회사 팬택 | 모바일 디바이스 및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 방향 전환 방법 |
US9761164B2 (en) | 2014-04-04 | 2017-09-12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Method for displaying service screen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
WO2019004594A1 (ko) * | 2017-06-30 | 2019-01-03 | (주)피엑스디 | 곡면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
2010
- 2010-10-19 KR KR1020100101661A patent/KR20120040320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04380B1 (ko) * | 2012-09-24 | 2014-06-09 | 주식회사 팬택 | 모바일 디바이스 및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 방향 전환 방법 |
US9761164B2 (en) | 2014-04-04 | 2017-09-12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Method for displaying service screen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
WO2019004594A1 (ko) * | 2017-06-30 | 2019-01-03 | (주)피엑스디 | 곡면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WO2021008456A1 (zh) | 图像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 |
EP2664131B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compositing image in a portable terminal | |
US9774780B1 (en) | Cues for capturing images | |
JP5433935B2 (ja) | 画面表示制御方法、画面表示制御方式、電子機器及びプログラム | |
US20200409545A1 (en) | Display adapt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application, and storage medium | |
EP2393042A1 (en) | Selecting view orientation in portable device via image analysis | |
US10313657B2 (en) | Depth map generation apparatus,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 therefor | |
EP2075761B1 (en) | Method and device for adjusting output frame | |
EP2795572B1 (en) | Transformation of image data based on user position | |
EP2816545A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tecting eyesight | |
KR20040107890A (ko) | 휴대폰의 영상 기울기 제어 방법 | |
CN111541907A (zh) | 物品显示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 |
WO2013046596A1 (ja) | 携帯型情報処理端末 | |
EP2755164A2 (en) |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adjusting the eyes of a photographed user | |
CN113038165B (zh) | 确定编码参数组的方法、设备及存储介质 | |
CN111045577A (zh) | 一种横竖屏切换方法、可穿戴设备和具有存储功能的装置 | |
US20180121711A1 (en) | Display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 |
WO2023142915A1 (zh) | 图像处理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 |
US11682183B2 (en) | Augmented reality system and anchor display method thereof | |
CN111586279B (zh) | 确定拍摄状态的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 |
KR20120040320A (ko) | 단말의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 |
CN104866809B (zh) | 画面播放方法和装置 | |
CN112738606A (zh) | 音频文件的处理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 |
US20150009123A1 (en) |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adjusting the eyes of a photographed user | |
CN115904079A (zh) | 显示设备调整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