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38605A - 사봉 수집 장치 - Google Patents

사봉 수집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38605A
KR20120038605A KR1020100100140A KR20100100140A KR20120038605A KR 20120038605 A KR20120038605 A KR 20120038605A KR 1020100100140 A KR1020100100140 A KR 1020100100140A KR 20100100140 A KR20100100140 A KR 20100100140A KR 20120038605 A KR20120038605 A KR 201200386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e
access network
bees
movement preventing
sepa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01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74425B1 (ko
Inventor
최용수
이만영
홍인표
김남숙
김혜경
이명렬
이광길
변규호
안인영
제현호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filed Critical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Priority to KR10201001001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4425B1/ko
Publication of KR201200386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86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44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44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9/00Honey collecti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47/00Beehives
    • A01K47/02Construction or arrangement of frames for honeycomb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47/00Beehives
    • A01K47/06Other details of beehives, e.g. ventilating devices, entrances to hives, guards, partitions or bee escap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봉 수집 장치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벌통의 하측에 장착되는 사봉 수집 장치(100)로서, 일측에 벌 출입구가 형성된 몸체(110)와, 상기 벌 출입구를 통해 출입하는 꿀벌이 상기 몸체의 내부에 출입하도록 벌 출입구의 가장자리에 접하여 설치된 벌 출입망(120)과, 상기 몸체 상측의 꿀벌들과 격리하도록 상기 벌 출입망의 상측에 설치된 격리판(130)과, 상기 몸체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떨어지는 사봉을 받아 모으도록 상기 몸체의 내부 하측에 착탈가능케 설치된 사봉채(140)와, 상기 벌 출입망을 통해 출입하는 꿀벌이 상기 사봉채에 모인 사봉을 상기 벌 출입망으로 이동시키지 못하도록 상기 사봉채의 상측에 설치된 이동방지부(150)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병해충 조절을 위한 꿀벌의 관리 및 주변환경 변화에 따라 양봉농가의 꿀벌 관리를 용이하게 하여 양봉산업을 발전시키고 양봉농가의 생산성을 향상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사봉 수집 장치{Hive for Dead Bee Collection}
본 발명은 죽은 꿀벌(사봉)을 용이하게 수집할 수 있는 사봉 수집장치에 관한 것이다.
양봉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병해충은 양봉 생산성을 저하시키고 산물(꿀)의 품질을 떨어뜨리는 결과를 초래한다.
대표적인 꿀벌 해충으로는 꿀벌 응애(varroa destructor)가 있으며, 꿀벌 질병으로는 노제마병, 부저병, 백묵병, 바이러스성 질병이 있다. 이 중에서 꿀벌 응애는 전세계적으로 퍼져 있으며, 양봉산업에 심각한 피해를 주는 외부기생 해충으로서 꿀벌의 유충, 번데기 및 성충에 기생하면서 체액을 빨아먹는다. 이러한 꿀벌 응애로 인하여 꿀벌은 정상적인 발육을 하지 못하여 정상활동을 할 수 없게 되고, 꿀벌 응애가 심하게 발생하면 봉군의 세력이 크게 약화되어 폐군에 이르게 된다.
상기 꿀벌 응애의 방제하기 위해 유기합성 살비제를 사용하고 있으나, 유기합성 살비제에 대한 저항성 개체(꿀벌 응애)가 출현하고 있어 방제가 점차 어려워지고 있는 실정이며, 꿀벌 응애는 1960년대에 발생이 확인된 이후 국내 꿀벌에 만성적으로 기생하고 있는데 1990년대 중반에 외국에서 유입된 중국가시응애와 더불어 국내 양봉산업에 가장 큰 피해를 주고 있다.
꿀벌 봉군에서 만성적으로 나타나는 진균성 질병인 백묵병의 병원균(아스코레라아피스)은 포자 형태로 유충의 입으로 침입하고 중장에서 발아한 후, 균사가 증식함으로써 유충을 치사시키는데, 이 백묵병 포자는 10년~15년까지 병원성을 유지하여 완전 방제가 어려운 질병이다.
이러한 꿀벌 병해충에 의한 꿀벌의 피해를 감소시키기 위해 국내외 많은 학자들이 꿀벌 병해충과 관련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병해충 관련 연구를 위해서는 학자들이 직접 꿀벌을 사육하면서 실험을 수행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꿀벌을 사육하는 데는 오랜 기간의 경험을 필요로 하고 개체별 실험을 수행할 시에는 실험의 신뢰도 확보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꿀벌의 생리적 특성을 유지하는 상황에서 사봉수 측정을 통해 꿀벌의 질병에 의한 감수성 등의 다양한 실험을 수행할 수 있는 장치의 개발이 시급하다.
일반적으로 양봉농가는 도시와 멀리 떨어져서 생활하는 것이 대부분이지만 요즈음에는 도시근교에 양봉농가가 점점 증가하는 추세에 있으므로 꿀벌을 사육하는데 좋지 않은 영향이 있다고 호소하는 농가가 많다. 대표적인 사례로 양봉장 근처의 개발사업 등으로 인해 공사현장의 소음, 진동 및 분진 등에 의한 양봉농가의 피해 발생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민사상의 문제 발생시 명확한 증거를 제시하기가 현실적으로 어려운 상황에 있다.
그리고, 최근 전세계적인 이상 기온현상 등 생태계의 변화로 인해 꿀벌의 피해가 증가하고 있으며, 높은 일교차 등으로 꿀벌의 생리, 생태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러한 생태계 변화에 따라 많은 관리 노력이 필요하게 되어 인건비의 발생 등 양봉농가의 생산성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병해충 조절을 위한 꿀벌의 관리 및 주변환경 변화에 따라 양봉농가의 꿀벌 관리를 용이하게 하여 양봉산업을 발전시키고 양봉농가의 생산성을 향상하는 사봉 수집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사봉 수집 장치는, 벌통의 하측에 장착되는 사봉 수집 장치로서, 일측에 벌 출입구가 형성된 몸체와, 상기 벌 출입구를 통해 출입하는 꿀벌이 상기 몸체의 내부에 출입하도록 벌 출입구의 가장자리에 접하여 설치된 벌 출입망과, 상기 몸체 상측의 꿀벌들과 격리하도록 상기 벌 출입망의 상측에 설치된 격리판과, 상기 몸체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떨어지는 사봉을 받아 모으도록 상기 몸체의 내부 하측에 착탈가능케 설치된 사봉채와, 상기 벌 출입망을 통해 출입하는 꿀벌이 상기 사봉채에 모인 사봉을 상기 벌 출입망으로 이동시키지 못하도록 상기 사봉채의 상측에 설치된 이동방지부를 포함한다.
상기 사봉채에 모인 사봉에 과도한 수의 꿀벌이 근접하지 못하도록 상기 사봉채의 상측에 설치된 보조 격리판을 추가로 구비한다.
상기 격리판 및 보조 격리판은 상기 몸체의 내부 양측면에 회동가능케 설치된 걸이대에 안착되어 기울어질 수 있게 된다.
상기 이동방지부는 다수의 이동방지봉이 일정간격을 두고 배열되어 설치된다.
상기 이동방지봉은 상기 몸체의 양측벽면을 관통하여 삽입되어 설치된다.
본 발명에 의한 사봉 수집 장치에 의하면, 꿀벌 질병의 인위적인 감염 실험을 통해 꿀벌 질병 감염에 따른 병의 진행과정을 구명하고 질병에 따른 약제의 처리에 의한 약효 시험 등 다양한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꿀벌의 사봉수 측정을 용이하게 하고, 사봉 수집 장치를 이용한 꿀벌의 생리 상태 변화의 관찰을 통해 꿀벌의 피해 정도를 판단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할 수 있어서 구병할 수 없는 피해를 입은 양봉 농가의 명확한 증거 제시를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사봉 수집 장치는 연구 및 양봉농가의 꿀벌 생리 상태 관찰을 통한 꿀벌의 관리에 도움을 줄 수 있게 되어 병충해 문제를 이해하고 주변 환경의 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응할 수 있으므로 양봉농가의 생산성을 증가시키고 소득증대에 이바지하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사봉 수집 장치에 의하면, 꿀벌의 연구를 위하여 죽은 벌(사봉)의 회수를 통한 질병의 진단 및 사봉(죽은 벌) 수의 증감 측정을 통한 꿀벌의 질병 발생여부를 조기 진단할 수 있으며, 꿀벌 응애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으므로 꿀벌 응애에 의한 피해를 줄일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사봉 수집 장치는 벌통 내부의 공간 확보가 용이하고 공기 순환을 도와 온도 조절을 순조롭게 하므로, 여름철 고온에서 꿀벌이 분가를 하는 현상인 분봉의 발생을 감소시킬 수가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사봉 수집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2는 도1의 분리 사시도,
도3은 도1에서 화살표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사봉 수집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사봉 수집 장치(100)는 일반 벌통의 하측에 장착되는 사봉 수집 장치로서, 일측에 벌 출입구(111)가 형성된 몸체(110)와, 상기 벌 출입구(111)를 통해 출입하는 꿀벌이 상기 몸체(110)의 내부에 출입하도록 벌 출입구(111)의 내부 가장자리에 접하여 설치된 벌 출입망(120)과, 상기 몸체(110) 상측에 서식하는 꿀벌들과 격리하도록 상기 벌 출입망(120)의 상측에 설치된 격리판(130)과, 상기 몸체(110)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떨어지는 사봉(죽은 벌)을 받아 모으도록 상기 몸체(110)의 내부 하측에 착탈가능케 설치된 사봉채(140)와, 상기 벌 출입망(120)을 통해 출입하는 꿀벌이 상기 사봉채(140)의 상측에 모인 사봉을 상기 벌 출입망(120)으로 이동시키지 못하도록 상기 사봉채(140)의 상측(몸체의 앞쪽 상측)에 설치된 이동방지부(150)와, 상기 사봉채(140)에 모인 사봉에 과도한 수의 꿀벌이 근접하지 못하도록 상기 사봉채(140)의 상측(몸체의 뒷쪽 상측)에 설치된 보조 격리판(160)를 구비한다.
도2는 도1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3은 도1에서 화살표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상기 몸체(110)는 상기 일반 벌통의 크기로 형성되며, 전, 후판(110a)(110b)과 좌, 우판(110c)(110d)이 조립되어 상, 하측이 트인 사각통 형태(목판으로 제작)로 되어 있다. 상기 벌 출입구(111)는 몸체의 전판(110a, 도면에서는 우측) 상부에 사각구멍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좌, 우판(110c, 110d)의 내면에는 상기 격리판(130)이 안착하여 걸리도록 제1걸이대(112, 112')가 설치되어 있는 한편 상기 보조 격리판(160)이 안착하여 걸리도록 제2걸이대(113, 113')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좌, 우판(110c, 10d)에는 상기 이동방지부(150)의 후술하는 이동방지봉이 관통하여 설치되도록 다수의 관통구멍(114)(114')이 수평방향으로 배열되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걸이대(112)(112')는 제1고정부재(115)(115')에 의해 회동가능케 설치되어 기울어질 수 있게 되어 있으며, 상기 제2걸이대(113)(113')는 제2고정부재(116)(116')에 의해 회동가능케 설치되어 기울어질 수 있게 되어 있다.
상기 제1고정부재(115)(115')와 제2고정부재(116)(116')는 머리 달린 나사핀 형태로서 약간 풀린 상태에서 상기 제1걸이대(112)(112')와 제2걸이대(113)(113')를 회동시켜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후판(110b)의 하부에는 상기 사봉채(140)가 서랍식으로 결합되도록 사봉채 출입구(117)이 형성되어 있는 한편, 상기 좌, 우판(110c, 110d)의 내면 하측에는 상기 사봉채(140)를 안내하는 한편 받치는 안내받침대(118)(118')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몸체(110)의 외면에는 취급을 용이하게 하도록 돌출된 손잡이부 또는 요입된 손잡이부가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상기 벌 출입망(120)은, 사각테에 결합된 와이어 망으로 되어 있으며, 상기 벌 출입구(111)의 하측변 내면에서 상측으로 기울어지게 설치되어 있으며, 도시하지 않은 강력 접착제나 고정수단에 의해 상기 좌, 우판(110c)(110d)의 내면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벌 출입망(120)은 착탈가능케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벌 출입망(120)의 망 구멍의 크기는 벌 1마리가 빠져나갈 수 있는 크기(약 1cm x 1cm)로 되어 있다.
상기 격리판(130)은 상기 제1걸이대(112)(112')에 안착되어, 평시에는 그 앞측단이 상기 벌 출입구(111)의 상측변 내면에 접하고 그 후측단은 상기 벌 출입망(120)의 후측변에 접하게 되어 있으며, 필요에 따라 상기 제1걸이대(112)(112')를 기울여서 기울기를 조절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격리판(130)의 후측단과 상기 벌 출입망(120)의 후측변이 접한 상태에서는 상기 벌 출입망(120)의 망구멍을 통해서만 꿀벌이 벌통 내에 출입할 수 있다.
상기 사봉채(140)은 사각형태의 와이어 망(141)의 가장자리를 따라 사각 프레임(142)이 결합된 형태로서 서랍형태로 되어 있으며, 상기 와이어 망(141)의 망 구멍의 크기는 꿀벌 응애 또는 사봉이 빠지지 않는 크기(1mm x 1mm)로 되어 있다.
상기 이동방지부(150)는 이동방지봉(151)이 상기 몸체(110)의 양측벽면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구조로서, 상기 관통구멍(114)(114')을 관통하는 다수의 이동방지봉(151)이 일정간격(약 1cm : 2마리의 꿀벌이 한꺼번에 통과하기 어려운 간격)으로 배열되어 설치되는 구조이다.
상기 이동방지봉(151)은 파이프(151a)의 양단에 캡(151b)이 씌워지는 구조이며, 상기 캡(151b)은 상기 관통구멍(114)(114')에 접하여 지지된다.
상기 이동방지부(150)의 앞측 이동방지봉(151)은 상기 전판(110a)의 내면에서 소정거리(a) 이격되는 한편 몸체(110)의 바닥면에서 소정거리(b) 이격되어 있다.
상기 보조 격리판(160)은 상기 제2걸이대(113)(113')에 안착되어, 상기 이동방지부(150)의 후측에서 이동방지부(150)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되어 있으며, 평시에는 수평방향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필요에 따라 상기 제2걸이대(113)(113')를 기울여서 기울기를 조절하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사봉 수집 장치(100)에서 상기 몸체(110)의 상측에 설치된 일반 벌통에서 생긴 사봉 또는 꿀벌 응애는 하측으로 떨어져, 상기 격리판(130) 및 보조 격리판(160)에서 그 기울어진 상태에 따라 사봉채(140) 상에 떨어지거나 상기 이동방지부(150)의 이동방지봉(151) 사이 간격을 통해 하측으로 떨어져 사봉채(140)에 떨어져 모인다.
이때, 상기 벌 출입구(111)와 벌 출입망(115) 및 상기 이동방지부(150)를 통해 상기 사봉채(140)에 접근하는 꿀벌은 상기 이동방지부(150)의 이동방지봉(151)의 사이간격을 통해 사봉을 끌어 옮기지 못할 뿐만 아니라 상기 벌 출입망(115)을 통해 사봉을 끌어 옮기지 못하므로, 꿀벌에 의해 죽은 꿀벌(사봉)이 외부로 버려지는 것을 차단하고 꿀벌 응애와 꿀벌과의 과도한 접촉을 막아서 2차감염을 차단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사봉채(140)에 사봉이 많이 모이면 사봉채(140)를 빼내어 사봉을 수집제거한다.
100 : 사봉 수집 장치 110 : 몸체
111 : 벌 출입구 112, 112' : 제1걸이대
113, 113' : 제2걸이대 114, 114' : 관통구멍
115, 115' : 제1고정부재 116, 116' : 제2고정부재
117 : 사봉채 출입구 118, 118' : 안내 받침대
120 : 벌 출입망 130 : 격리판
140 : 사봉채 141 : 와이어 망
142 : 사각 프레임 150 : 이동방지부
151 : 이동방지봉 160 : 보조 격리판

Claims (6)

  1. 벌통의 하측에 장착되는 사봉 수집 장치로서,
    일측에 벌 출입구가 형성된 몸체와,
    상기 벌 출입구를 통해 출입하는 꿀벌이 상기 몸체의 내부에 출입하도록 벌 출입구의 가장자리에 접하여 설치된 벌 출입망과,
    상기 몸체 상측의 꿀벌들과 격리하도록 상기 벌 출입망의 상측에 설치된 격리판과,
    상기 몸체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떨어지는 사봉을 받아 모으도록 상기 몸체의 내부 하측에 착탈가능케 설치된 사봉채와,
    상기 벌 출입망을 출입하는 꿀벌이 상기 사봉채에 모인 사봉을 상기 벌 출입망으로 이동시키지 못하도록 상기 사봉채의 상측에 설치된 이동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봉 수집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사봉채에 모인 사봉에 과도한 수의 꿀벌이 근접하지 못하도록 상기 사봉채의 상측에 설치된 보조 격리판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을 하는 사봉 수집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격리판은 상기 몸체의 내부 양측면에 회동가능케 설치된 제1걸이대에 안착되어 기울어질 수 있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봉 수집 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보조 격리판은 상기 몸체의 내부 양측면에 회동가능케 설치된 제2걸이대에 안착되어 기울어질 수 있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봉 수집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동방지부는 다수의 이동방지봉이 일정간격을 두고 배열되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봉 수집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이동방지봉은 상기 몸체의 양측벽면을 관통하여 삽입되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봉 수집 장치.
KR1020100100140A 2010-10-14 2010-10-14 사봉 수집 장치 KR1011744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0140A KR101174425B1 (ko) 2010-10-14 2010-10-14 사봉 수집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0140A KR101174425B1 (ko) 2010-10-14 2010-10-14 사봉 수집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8605A true KR20120038605A (ko) 2012-04-24
KR101174425B1 KR101174425B1 (ko) 2012-08-22

Family

ID=461392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0140A KR101174425B1 (ko) 2010-10-14 2010-10-14 사봉 수집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442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15237A (zh) * 2016-05-11 2016-08-03 陈忠良 一种自助分蜂器及其实现方法
CN108684576A (zh) * 2018-05-09 2018-10-23 东华理工大学 一种智能蜂箱
CN117281067A (zh) * 2023-10-08 2023-12-26 生态环境部南京环境科学研究所 一种自动清理死蜂的蜜蜂毒理学研究试验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7129B1 (ko) 2007-03-23 2007-12-21 유한회사 벌과사람들 벌통의 바닥판 구조 및 벌통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15237A (zh) * 2016-05-11 2016-08-03 陈忠良 一种自助分蜂器及其实现方法
CN108684576A (zh) * 2018-05-09 2018-10-23 东华理工大学 一种智能蜂箱
CN108684576B (zh) * 2018-05-09 2021-01-05 东华理工大学 一种智能蜂箱
CN117281067A (zh) * 2023-10-08 2023-12-26 生态环境部南京环境科学研究所 一种自动清理死蜂的蜜蜂毒理学研究试验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74425B1 (ko) 2012-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78370B2 (en) Hive-mounted disseminator device
US6468129B1 (en) Beehive bottom board for reducing parasite infestation
GB2495284A (en) Beehive entrance Varroa mite trap
KR101259018B1 (ko) 1군으로 2왕벌을 키우는 벌통
US20160227745A1 (en) Beehive system
KR101174425B1 (ko) 사봉 수집 장치
Goodwin et al. Drift of Varroa destructor-infested worker honey bees to neighbouring colonies
KR102117119B1 (ko) 꿀벌 선별 제외형 말벌 포집기
KR20200046921A (ko) 양봉용 벌통 및 양봉 방법
KR101934779B1 (ko) 토종벌통의 토종벌 출입문
WO2016087883A1 (en) Multihive
KR101719906B1 (ko) 토종벌의 여왕벌 차단부재와 이를 이용한 토종벌의 여왕벌 관리장치 및 그 방법
CN104430050B (zh) 城市实用简洁家用中蜂蜂箱
KR200435155Y1 (ko) 벌통용 소비의 상하단 높이조절장치
KR20190091619A (ko) 화분채취기가 내장된 벌통
US11540494B2 (en) Beehive excluder including stacked rows of openings and cantilevered extension clips
RO128080B1 (ro) Stup multifuncţional cu protecţie împotriva varozei
KR102108379B1 (ko) 꿀벌의 벌통에 설치되는 말벌 포획기
CN207151612U (zh) 蜜蜂巢门活动观察收集器
Salkova et al. Detection of Varroa destructor Mite and Nosema spp. in Bee Samples From Bulgaria
KR200372161Y1 (ko) 말벌 지킴이
GB2586263A (en) Beehive entrance apparatus
KR102423306B1 (ko) 다기능 벌통 장치
CN215957794U (zh) 用于诱捕马蜂的蜂箱
KR200458813Y1 (ko) 양봉용 이충소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