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37664A - 단말기 화면활성화 정보를 활용한 컨텐츠 제공 방법을 단말기에서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단말기 화면활성화 정보를 활용한 컨텐츠 제공 방법을 단말기에서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37664A
KR20120037664A KR1020100099263A KR20100099263A KR20120037664A KR 20120037664 A KR20120037664 A KR 20120037664A KR 1020100099263 A KR1020100099263 A KR 1020100099263A KR 20100099263 A KR20100099263 A KR 20100099263A KR 20120037664 A KR20120037664 A KR 201200376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terminal
information
program
view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92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27629B1 (ko
Inventor
이영미
Original Assignee
이영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미 filed Critical 이영미
Priority to KR10201000992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7629B1/ko
Publication of KR201200376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76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76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76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2Aspects of commerce using mobile devices [M-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2Network 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Finance (AREA)
  • Econom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말기 화면활성화 정보를 활용한 컨텐츠 제공 방법을 단말기에서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관한 발명이다. 상기 단말기 활성화 정보를 활용한 컨텐츠 제공 방법은 단말기의 화면이 비활성화 단계에서 활성화 단계로 전환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제1 단계, 상기 제1 단계에서 화면 전환이 감지된 경우 단말기의 화면에 컨텐츠의 요약 정보를 노출시키고 컨텐츠 시청여부를 입력받는 제2 단계, 상기 제2 단계에서 컨텐츠 시청 넘김(skip) 신호가 입력된 경우 단말기 초기 화면으로 이동하는 제3 단계, 상기 제2 단계에서 컨텐츠 시청 동의 신호가 입력된 경우 상기 컨텐츠의 내용을 단말기 화면에 실행시키고 컨텐츠 시청 확인 신호를 입력받는 제4 단계, 및 상기 제4 단계에서 컨텐츠 시청 확인 신호가 입력된 경우 단말기 초기 화면으로 이동하는 제5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단말기 화면활성화 정보를 활용한 컨텐츠 제공 방법을 단말기에서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Computer readable medium having program for implementing a contents providing method using an activation information of terminal screen}
본 발명은 통신단말기를 통해 컨텐츠를 제공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통신단말기의 화면이 비활성화 상태에서 활성화 상태로 전환될 경우 이를 인식하여 컨텐츠를 제공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휴대폰은 단순히 전화를 걸고 받는 수단이 아니라 휴대폰을 이용해
음악도 듣고, TV도 보고, 스케쥴 정리 등 비서 역할까지하는 필수품으로써 잠자는
시간을 제외하고 가장 오랜 시간 우리 곁에 밀착되어 있는 제품으로써 휴대폰을
자신의 분신처럼 생각하는 사람들도 많다.
따라서 휴대폰 사용자는 휴대폰을 통해 많은 정보를 제공받기를 원하며, 기업은 휴대폰과 같은 통신단말기를 마케팅툴로 이용하고자 하는 욕구가 강하여 휴대폰 화면에 동영상 광고를 노출시키는 "NATE MoA"와 같은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기도 하다.
이러한 서비스는 원하는 소비자에게만 광고를 노출시키기 때문에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하는 TV광고 보다 비용 효율성이 높을 뿐만 아니라 광고인지효과도 높다.
그러나 상기 서비스는 휴대폰 사용자의 사용 패턴이나 주의력 등에 관계 없이 8시부터 18시까지 2시간 주기로 제공되며, 2초씩 6개의 광고화면을 보여준 후 본래 초기화면으로 설정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광고를 보지 않고 다른 메뉴 사용을 위해 초기화면으로 넘어가고 싶은 경우에도 광고 넘김(SKIP)을 할 수 없으며, 사용자에게 적합한 컨텐츠를 제공하지 못하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는 높은 컨텐츠 전달 효율을 달성하기 위해 휴대폰 사용자가 다른 메뉴를 사용하지 않고 있으며, 화면을 가장 관심있게 보는 순간 즉, 휴대폰의 화면이 비활성화 상태에서 활성화 상태로 전환되는 순간을 활용하고, 고객 맞춤화된 컨텐츠를 제공하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컨텐츠 시청 및 넘김이 가능한 새로운 형태의 컨텐츠 제공 방법을 휴대폰 등의 통신 단말기에서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기에 이른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단말기의 화면활성화 전환 순간을 활용하여 컨텐츠 전달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컨텐츠 제공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하기 위해 입력되는 개인정보를 활용해 용이하게 단말기 사용자에게 맞춤화된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본격적인 컨텐츠 시청에 앞서 컨텐츠의 요약정보를 노출시켜 단말기 사용자에게 컨텐츠 시청 동의, 변경 또는 넘김을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최소한의 컨텐츠 노출 기회를 확보할 수 있는 컨텐츠 제공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컨텐츠 요약정보와 함께 단말기 사용자의 컨텐츠 시청 보상 누적액 또는 해당 컨텐츠의 시청 보상 내역을 노출시킴으로써 컨텐츠 시청을 유도할 수 있는 컨텐츠 제공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컨텐츠 시청 확인 신호를 컨텐츠 방영 중에 입력받음으로써 단말기 사용자의 광고 집중력을 높일 수 있는 컨텐츠 제공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컨텐츠 시청 후 관심있는 컨텐츠를 친구에게 전달할 수 있게 하고 친구에게 전달하는 경우 추가 보상을 제공함으로써 컨텐츠의 확산을 유도할 수 있는 컨텐츠 제공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컨텐츠와 관련된 물품이 있는 경우 시청 완료 후 선택에 따라 물품 구매 사이트로 바로 연결되거나 물품 구매쿠폰을 바로 구입할 수 있도록 하여 단말기 사용자에게는 물품 구매의 편의성, 광고주에게는 광고를 통한 즉각적인 물품 판매량 향상을 제공할 수 있는 광고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의 목적들은 하기 설명되는 본 발명에 의하여 모두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기록된 프로그램은 단말기의 화면이 비활성화 단계에서 활성화 단계로 전환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제1 단계, 상기 제1 단계에서 화면 전환이 감지된 경우 단말기의 화면에 컨텐츠의 요약정보를 노출시키고 컨텐츠 시청여부를 입력받는 제2 단계, 상기 제2 단계에서 컨텐츠 시청 넘김(skip) 신호가 입력된 경우 단말기 초기 화면으로 이동하는 제3 단계, 상기 제2 단계에서 컨텐츠 시청 동의 신호가 입력된 경우 상기 컨텐츠의 내용을 단말기 화면에 실행시키고 컨텐츠 시청 확인 신호를 입력받는 제4 단계, 및 상기 제4 단계에서 컨텐츠 시청 확인 신호가 입력된 경우 단말기 초기 화면으로 이동하는 제5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컨텐츠 제공 방법을 단말기에서 실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컨텐츠는 광고, 이벤트 정보, 뉴스 또는 인터넷에 올라오는 새로운 글이며, 상기 요약정보는 광고의 스틸컷, 이벤트 정보, 뉴스 또는 인터넷에 올라오는 새로운 글의 제목이며, 상기 컨텐츠의 내용은 광고의 동영상, 이벤트 정보, 뉴스 또는 인터넷에 올라오는 새로운 글의 본문이며, 상기 프로그램을 통해 제공되는 컨텐츠는 상기 단말기 사용자가 상기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받기 위해 입력하거나 단말기에 설치된 프로그램을 통해 입력하는 정보 및 상기 컨텐츠 시청 완료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분류코드에 의해 외부 관리 시스템으로 피드백되는 정보에 의해 고객맞춤화된 컨텐츠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단말기 사용자가 입력하는 정보는 상기 단말기 사용자의 관심분야, 새로운 글이 올라왔을 때 단말기 사용자가 전달받기 원하는 인터넷 카페, 블러그, 또는 트위터 정보 등일 수 있다.
또한 단말기 화면이 비활성화 상태에서 활성화 상태로의 전환이 감지될 때마다 새로운 컨텐츠의 요약정보가 노출되며, 한번 제시된 컨텐츠 정보는 단말기로부터 삭제되고 추가 컨텐츠 정보는 상기 외부 관리 시스템으로부터 자동 다운로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사용자는 제시된 컨텐츠의 요약정보를 통해 컨텐츠 시청 동의, 넘김(SKIP), 변경 여부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으며, 이 때 사용자의 컨텐츠 시청 보상 누적액 또는 해당 컨텐츠의 시청 보상 내역을 함께 노출시켜 사용자의 컨텐츠 시청 확인을 유도할 수 있다.
또한 관심 있는 컨텐츠에 대한 친구 전달, 컨텐츠와 관련된 쿠폰의 즉시구매, 물품 구매 사이트로의 연결이 가능하며, 물품 구매 사이트는 상기 단말기 사용자가 미리 선정한 구매 사이트 또는 제시된 여러 개의 사이트 중 상기 단말기 사용자가 선택하는 사이트 또는 미리 정해진 기준에 의해 선정된 최적의 구매 사이트 또는 상기 광고에 대응하는 쿠폰이 있는 경우 해당 쿠폰을 사용할 수 있는
구매 사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컨텐츠가 시청에 따른 보상을 받을 수 있는 컨텐츠인 경우 시청 확인 신호가 입력되면 컨텐츠 시청 완료 정보를 외부 관리 시스템으로 전송하여 상기 단말기 사용자가 컨텐츠 시청에 따른 보상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제6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단말기 사용자가 상기 컨텐츠를 친구에게 전달하거나 쿠폰 또는 물품을 구매한 경우 상기 컨텐츠 시청 완료 정보에 이에 관한 정보를 포함시켜 상기 단말기 사용자가 추가 보상을 받을 수 있으며, 상기 보상의 수단 역시 단말기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단말기의 화면활성화 전환 순간을 활용하고 고객 맞춤화된 컨텐츠를 제공하여 컨텐츠 전달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고, 컨텐츠 요약정보를 노출시켜 최소한의 컨텐츠 노출 기회를 보장하면서 컨텐츠 시청에 대한 넘김, 변경, 동의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게 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이고 광고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원하는 분야에 대한 뉴스, 이벤트 정보, 사용자가 전달 받기 원하는 인터넷 카페, 블로그, 트위터에 새로 올라오는 글을 전달하여 광고 제공에 대한 거부감을 최소화하였으며, 관심 있는 컨텐츠에 대한 친구 전달, 할인 또는 구매 쿠폰의 즉석 구매, 물품 구매 사이트로의 연결 기능을 구비하여 광고의 확산 및 매출로의 연계까지 고려한 컨텐츠 제공 방법을 단말기에서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단말기에 고객맞춤화된 컨텐츠와 컨텐츠 시청에 대한 보상 정보를 자동으로 제공하며, 해당 컨텐츠에 대한 친구 전달, 컨텐츠 관련 쿠폰 구매, 물품 구매시 추가 보상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원하는 보상 수단으로 보상을 제공하는 효과를 갖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내용을 하기에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제공 프로그램이 설치된 단말기와 외부 관리 시스템과의 관계를 간략히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프로그램에 따른 컨텐츠 제공 방법 순서도이다.
도 3a 내지 도3e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프로그램에 따라 광고컨텐츠가 제공되는 단말기 화면을 순서대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제공 프로그램의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프로그램에 따른 컨텐츠 제공 방법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프로그램에 따른 컨텐츠 제공 방법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광고 스틸컷 노출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프로그램에 따른 컨텐츠 제공 방법 순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프로그램에 따른 컨텐츠 제공 방법 순서도이다.
도 10은 본 발에 따른 외부 관리 시스템의 시스템 구성도이다.
본 발명은 단말기 화면활성화 정보를 활용한 컨텐츠 제공 방법을 단말기에서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의 컨텐츠는 광고, 이벤트 정보, 뉴스, 또는 인터넷에 올라오는 새로운 글 등과 같이 그 종류에 상관 없이 모든 컨텐츠가 포함될 수 있으며, 단말기는 휴대폰과 같이 개인이 사용하는 통신 단말기로서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이 가능한 단말기로서 광고 동영상 재생이 가능한 기능을 구비하면 될 뿐 전화 통화 기능을 반드시 구비할 필요는 없다.이하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제공 프로그램의 제1 실시예를 도1 내지 도4를 참조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제공 프로그램(100)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앱 스토어와 같이 응용 소프트웨어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사이트(이하 "앱 스토어"로 통칭함)를 통해 다운로드 받아 단말기(A)에 설치하거나 단말기에 미리 내장된 프로그램일 수 있으며, 외부 관리 시스템(200)은 단말기 사용자가 앱 스토어에서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받기 위해 입력하거나 상기 컨텐츠 제공 프로그램을 통해 입력하는 정보를 전달받아 단말기 사용자에게 적합한 즉, 고객맞춤화된 컨텐츠 정보를 단말기로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외부 관리 시스템(200)은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제공 프로그램을 위해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구성은 아니며, 본 발명에 따른 프로그램은 컨텐츠 제공을 받기 위해 해당 인터넷 사이트 등 외부 컨텐츠 제공원에 직접 연결될 수 있으며, 도1과 같은 외부 관리 시스템이 운영될 경우 광고와 같이 컨텐츠 시청에 따른 보상이 제공될 수 있는 컨텐츠의 관리, 광고 시청에 따른 보상 제공, 관리 등이 보다 효율적으로 운영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제공방법은 컨텐츠 시청을 원하는 사용자만 컨텐츠 제공 프로그램을 단말기에 설치하거나 단말기에 설치된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컨텐츠를 제공받기 때문에 컨텐츠 제공에 대한 거부감을 최소화할 수 있고, 광고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원하는 뉴스, 이벤트 정보, 사용자가 선택한 인터넷 카페, 블러그, 트위터 등에 올라오는 새로운 글을 제공받을 수 있기 때문에 단말기를 통해 컨텐츠를 제공받는 것에 대한 거부감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시청"이라는 단어는 단순히 컨텐츠를 보는 것 뿐만 아니라 이를 이용하거나 확인하는 것, 또는 음성 또는 음악 컨텐츠의 경우 듣는 것 등 컨텐츠의 유형에 따른 이용 형태를 모두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컨텐츠 제공 프로그램을 다운받기 위해 앱 스토어에 입력되는 정보, 상기 컨텐츠 제공 프로그램을 통해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관심분야, 인터넷 카페, 블러그의 주소, 자신이 팔로윙(following)하는 친구 아이디 등)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프로그램을 통해 제공되는 컨텐츠는 고객 맞춤화되기 때문에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하는 TV, 신문, 간판 등을 통한 광고 보다 높은 컨텐츠 전달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광고 등의 컨텐츠를 시청한 단말기 사용자에게는 휴대폰 요금 할인, 무료 문자 서비스 제공 등의 광고 시청에 따른 보상을 제공함으로써 적극적인 광고 시청을 유도할 수 있다. 최근에는 휴대폰 요금 종류에 따라 무제한 무료 문자, 무제한 데이터 통화가 가능한 요금제가 많이 제공되고 있으므로 단순한 요금 할인보다는 OK 캐쉬백 포인트, 특정 카드사 포인트, 항공사 마일리지 등 사용자가 원하는 광고 시청 보상 수단 정보를 프로그램 설치시 입력받고 프로그램 이용 중 변경 가능하게 할 경우 사용자의 적극적인 광고 시청을 더욱 유도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컨텐츠는 기업의 마케팅 목적 등을 위한 할인 쿠폰이나 무기명 채권(예를 들어, 상품권, 기프트카드, 기프티콘)과 같은 정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프로그램에 따른 컨텐츠 제공방법 순서도가 도시된 도2 및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광고정보가 제공되는 단말기 화면을 도시한 도3, 프로그램 구성도를 도시한 도4를 참조로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제공 방법은 단말기의 화면이 비활성화 단계에서 활성화 단계로 전환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제1 단계, 화면 전환이 감지된 경우 단말기의 화면에 컨텐츠의 요약정보를 노출시키고 컨텐츠 시청여부를 입력받는 제2 단계, 컨텐츠 시청 넘김(skip) 신호가 입력된 경우 단말기 초기 화면으로 이동하는 제3 단계, 컨텐츠 시청 동의 신호가 입력된 경우 상기 컨텐츠의 내용을 단말기 화면에 노출시키고 컨텐츠 시청 확인 신호를 입력받는 제4 단계, 및 컨텐츠 시청 확인 신호가 입력된 경우 단말기 초기 화면으로 이동하는 제5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광고와 같이 컨텐츠 시청에 따라 보상을 받을 수 있는 컨텐츠의 경우 컨텐츠 시청 완료 정보를 외부 관리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제6 단계를 더 포함하여 컨텐츠 시청에 따른 보상을 받도록 할 수 있다.
단말기의 화면이 비활성화 단계에서 활성화 단계로 전환되는 것은 도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이 꺼진 단말기의 전원을 사용자가 켜거나 일정 시간 사용되지 않은 단말기 화면이 화면보호를 위해 꺼진 후 다시 입력된 신호에 의해 켜지는 순간을 의미한다(도3a). 본 명세서에서 "단말기 화면 활성화 정보"란 상기와 같이 화면 활성화 순간을 감지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렇게 화면 활성화 전환 순간을 감지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제공 프로그램은 전원이 켜짐과 동시에 가장 먼저 실행되며 전원이 켜진 동안에는 항상 실행되게 되며, 화면 활성화 전환 여부는 화면 활성화 전환 모듈(110)이 감지한다.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제공 프로그램은 화면 활성화 전환 모듈이 화면 활성화 전환 단계를 감지하면 제어모듈이 메모리에 저장된 컨텐츠 정보 중 하나의 요약정보를 단말기 화면에 노출시켜 컨텐츠 시청여부를 입력받게 된다. 뉴스, 이벤트 정보, 인터넷에 올라온 새로운 글 등은 제목(출처 등도 포함될 수 있음)이 요약정보가 될 수 있으며, 할인쿠폰 또는 무기명 채권의 경우 그 사용처, 할인율, 금액 등의 내용이, 광고의 경우 도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고 스틸컷이 요약정보로서 단말기 화면에 노출되어 광고 시청여부를 입력받게 된다. 한편, 서비스의 형태에 따라 상기 요약정보에 새로운 글 등의 내용을 노출시킬 수도 있다.
이 때 광고 시청을 원하지 않을 경우 광고 시청을 넘기기(SKIP) 위해 "밀어서 잠금 해제"를 통해 단말기 초기 화면으로 바로 넘어갈 수 있으며, 광고 시청을 원할 경우 "PLAY" 버튼을 터치하여 광고 동영상을 시청할 수 있다. 도3b에 도시된 형태는 하나의 예시이며, 광고 시청 넘김 신호 및 광고 시청 동의 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어떠한 형태의 변형도 가능하다.
도3b에서 사용자가 "PLAY"를 터치하여 광고 시청 동의 신호가 입력된 경우 제어모듈(120)이 이를 감지하여 광고 스틸컷에 대응하는 광고의 동영상을 메모리에서 추출하여 도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 화면에 10~15초 정도 실행시키고, 광고 동영상이 종료되면 도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고 시청 확인 신호를 입력받게 된다. 상기 광고 시청 확인 신호는 도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고 동영상 종료시 입력 받을 수 있으나 또 다른 실시예로서 광고 동영상 방영 중에 잠깐 화면에 나오는 확인 버튼을 터치하게 함으로써 광고 동영상에 대한 집중력을 높이게 구성할 수도 있다.
이렇게 광고 시청 확인 신호가 입력되면 단말기 화면은 도3e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단말기 초기 화면으로 이동하여 사용자는 자신이 설정한 바탕화면을 볼 수 있으며 다른 어플리케이션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광고의 경우 광고시청에 따른 보상이 주어질 수 있기 때문에 컨텐츠 제공 프로그램의 제어 모듈(120)이 광고 시청 완료 정보를 단말기 통신모듈을 통해 외부 광고 관리 시스템으로 전송하여 사용자가 광고 시청에 따른 보상을 받을 수 있도록 한다.
위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광고 프로그램은 화면 활성화 전환 단계를 감지하여 광고를 제공하는 것은 이 순간이 화면에 대한 사용자의 집중력이 높을 뿐만 아니라 다른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고 있지 않아 사용자의 단말기 사용에 방해를 주지 않기 때문이다. 그러나 경우에 따라 사용자가 광고를 볼 수 없거나 보기를 원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광고 시청 여부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제공한다. 그러나 광고 스틸컷은 일단 노출되기 때문에 최소한의 광고 효과도 가질 수 있다.
또한 도3의 예시는 컨텐츠가 광고이기 때문에 컨텐츠 내용으로서 광고 동영상이 노출될 수 있으나 뉴스, 인터넷에 올라온 새로운 글 등은 그 본문 내용이 컨텐츠 내용으로 단말기 화면에 노출될 수 있으며, 블러그 등에 올라온 글 등을 컨텐츠로 제공받은 경우 이에 대한 보상이 주어지지 않을 수 있으므로 이 경우 외부 관리 시스템으로의 컨텐츠 시청 완료 정보 전송 단계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컨텐츠가 할인쿠폰이나 무기명 채권일 경우, 결제를 위한 식별 코드 등이 노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제공 프로그램은 화면 전환이 감지될 때마다 새로운 컨텐츠의 요약정보가 노출되며, 한번 제시된 컨텐츠 정보는 단말기로부터 삭제되어도 좋고 추가 컨텐츠 정보는 상기 외부 관리 시스템 또는 해당 인터넷 사이트 등 컨텐츠 제공원으로부터 자동 다운로드 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프로그램은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제공 프로그램의 기본 구성으로서 이하 설명되는 추가 실시예들은 제1 실시예의 구성에 추가 구성을 포함하고 있으며, 기본적인 구성은 제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추가되는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프로그램은 컨텐츠 시청을 하고 싶으나 노출된 요약정보에 따른 컨텐츠는 보고 싶지 않은 경우 컨텐츠 변경을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고 변경 신호가 입력된 경우 새로운 컨텐츠의 요약정보가 노출되며, 단말기 사용자는 또 다시 컨텐츠 시청 동의, 변경, 넘김을 선택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컨텐츠 변경 선택시 광고, 이벤트 정보, 인터넷에 올라온 새로운 글 등 컨텐츠의 카테고리를 선택하게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프로그램은 하나의 컨텐츠 내용 노출 종료시 다른 컨텐츠의 추가 시청을 선택할 수 있게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추가 광고 시청 신호가 입력되면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텐츠 요약정보 노출 단계부터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제공 프로그램이 반복 수행된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프로그램은 광고 스틸컷과 함께 사용자의 컨텐츠 시청 보상 누적액을 보여주거나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광고의 광고 시청 보상 내역이 노출될 수 있다. 상기 광고 시청 보상 누적액은 일정 기간(예를 들어 한 달)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제공 프로그램을 통한 광고 시청에 의해 누적된 보상액이며, 광고 시청 보상 내역이란 해당 광고를 시청함으로써 사용자가 받을 수 있는 보상 내역으로 단순한 보상액 뿐만 아니라 도7과 같이 무료쿠폰, 할인쿠폰 등 다른 종류의 보상도 함께 제시할 수 있다. 또한 보상액이 제시될 경우 광고마다 그 보상액을 차등하여 제공할 수 있으며, 그 제시 형태는 금액 또는 포인트 형태가 될 수 있고 ☆ 등 기호의 개수, 색상, 그래프 높이 등을 통해 다양한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광고 시청 보상 누적액이나 광고 시청 보상 내역을 보여줌으로써 더 적극적으로 광고시청을 유도할 수 있게 된다.
컨텐츠 시청에 따른 보상 내역은 광고에서만 제공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특정 인터넷 사이트의 글을 많이 읽거나 댓글을 많이 달 경우 해당 인터넷 사이트에서의 등급이 상승되는 등의 보상이 제공될 경우 이와 관련된 보상 내역 등 다양한 보상 내역일 수 있다.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고 시청의 보상으로 무료 쿠폰을 제공하는 광고에 대한 광고 시청 확인 신호가 입력되면 해당 광고에 대응하는 쿠폰 정보를 단말기 화면에 노출시키고 쿠폰함에 저장하여 추후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쿠폰함에 저장된 쿠폰 정보는 사용자가 자유롭게 삭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프로그램은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텐츠 시청 확인 신호가 입력되면 단말기 초기 화면으로 이동하기 전에 상기 컨텐츠에 대한 친구 전달 여부를 확인하여 친구 전달 신호가 입력된 경우 상기 컨텐츠를 사용자가 원하는 친구에게 전송한다.
또한 친구 전달에 따라 컨텐츠 확산에 따른 보상을 제공하기 위해 컨텐츠 시청 완료 정보에 친구 전달 정보를 포함시켜 외부 광고 관리 시스템으로 전송하게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프로그램은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청한 컨텐츠와 관련된 물품이 있는 경우 컨텐츠 시청 확인 신호가 입력되면 단말기 초기 화면으로 이동하기 전에 상기 컨텐츠와 관련된 물품의 구매 여부를 확인하여 물품 구매 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초기 화면으로 이동하며, 물품 구매 신호가 입력된 경우 물품 구매 사이트로 연결된다. 이때 연결되는 물품 구매 사이트는 상기 단말기 사용자가 미리 선정한 구매 사이트 또는 제시된 여러 개의 사이트 중 상기 단말기 사용자가 선택하는 사이트 또는 미리 정해진 기준(가격 비교 사이트에 의한 최저 가격 사이트 등)에 의해 선정된 최적의 구매 사이트 또는 제4 실시예와 같이 광고에 대응하는 쿠폰 정보가 있는 경우 해당 쿠폰을 사용할 수 있는 구매 사이트 등일 수 있다.
또한 물품 구매 대신 물품 구매를 위한 구매쿠폰 등의 유료쿠폰의 구매 여부를 확인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단말기에서 휴대폰 소액결제, 신용카드결제 등의 방법으로 구매쿠폰을 즉석구매할 수 있게 구성할 수 있으며, 물품 또는 유료쿠폰 구매 내역을 컨텐츠 시청 완료 정보에 포함시켜 외부 관리 시스템으로 전달하여 구매에 따른 보상을 받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프로그램에서의 컨텐츠 시청 완료 정보는 시청을 완료한 컨텐츠에 대한 분류코드를 포함한다. 이를 위해 외부에서 다운로드되는 컨텐츠 정보에는 각 컨텐츠에 대해 요약정보, 내용, 분류코드가 포함되며, 단말기의 메모리에는 각 컨텐츠에 대한 요약정보, 내용, 분류코드가 서로 연계되어 저장된다. 단말기로 자동 다운로드되는 컨텐츠 정보는 단말기 사용자가 앱 스토어에서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받기 위해 입력하거나 본 발명에 따른 프로그램을 통해 입력한 지역, 연령, 성별 등에 대한 개인정보, 관심분야, 새로운 글이 올라왔을 때 전달받기 원하는 인터넷 카페, 블러그 등의 주소, 트위터를 통해 팔로윙하는 친구정보(아이디 등)에 의해 1차 고객맞춤화된 컨텐츠 정보이나 컨텐츠 시청 완료 정보에 분류코드가 포함됨으로써 외부 관리 시스템은 이런 정보를 고객 데이터베이스에 추가하여 더욱 사용자에게 고객맞춤화된 컨텐츠 정보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위에서 설명된 제2 내지 제7 실시예는 설명의 편의상 제1 실시예에 추가되는 구성들을 하나씩 포함되도록 기재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추가 구성들을 하나 이상 복합적으로 포함시켜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컨텐츠와 관련된 정보들은 현재 사용자의 위치에 기반하여 그와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사용자가 A라는 커피 전문점을 이용하고 있는 경우, 그 커피 전문점에서 사용할 수 있는 쿠폰을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사용자의 단말기에서 제공되는 위치 신호를 화면 활성화 정보와 함께 수신하여, 이를 기반으로 컨텐츠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제공 프로그램이 설치된 단말기는 외부 관리 시스템(200)과 유무선 통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외부 관리 시스템은 상기 단말기로 고객맞춤화된 컨텐츠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단말기로부터 전송받은 정보에 의해 단말기 사용자에게 지급할 보상액 등을 관리한다.
이를 위해 상기 외부 관리 시스템(200)은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텐츠 요약정보, 내용 등의컨텐츠 정보가 저장된 광고 데이터베이스(210), 상기 단말기의 사용자 정보가 저장된 고객 데이터베이스(220), 상기 사용자 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단말기로 전송할 컨텐츠 정보를 고객맞춤화 하는 고객 맞춤화부(230), 상기 단말기로부터 컨텐츠 시청 완료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240), 상기 광고 시청 완료 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할 컨텐츠 시청 보상액을 연산하는 컨텐츠 시청 보상 연산부(250), 및 상기 고객 맞춤화된 컨텐츠 정보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송신부(2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컨텐츠 데이터베이스(210)는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제공 프로그램을 통해 단말기 사용자에게 자신의 상품을 광고하기를 원하는 광고주들이 등록한 광고 정보, 이벤트 정보 등이 저장되어 있으며, 컨텐ㅊ, 정보는 컨텐츠 요약정보와 내용이 서로 연계되어 저장되며,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해서 상기 컨텐츠 데이터베이스의 컨텐츠 정보에는 컨텐츠에 대응하는 쿠폰 정보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해서 상기 컨텐츠 데이터베이스는 특정 분류코드를 기준으로 분류되어 있고, 컨텐츠 정보는 요약정보, 내용 및 분류코드가 연계되어 저장될 수 있다. 상기 분류코드는 의류, 전자제품 등 상품의 종류, 고객의 성별, 유아, 아동, 청소년, 성인, 노인 등 고객의 연령, 제품의 가격대 등 여러 가지 기준에 의해 분류되는 코드일 수 있다.
상기 고객 데이터베이스(220)는 단말기의 사용자 정보가 저장되어 있으며, 기본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제공 프로그램을 단말기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정보에는 사용자가 선택한 컨텐ㅊ, 시청 보상 수단 정보, 사용자가 미리 선택한 물품 구매 사이트 정보, 사용자에 대한 컨텐츠 시청 보상액 연산 결과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고객 맞춤화부(230)는 처음에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정보를 기준으로 단말기로 전송할 컨텐츠 정보를 고객맞춤화하나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프로그램을 실행할 경우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가 시청한 컨텐츠의 분류코드에 의해 업데이트되며, 상기 고객 맞춤화부는 업데이트된 사용자 정보를 기준으로 컨텐츠 정보를 추가 고객맞춤화하며 추가 고객맞춤화된 컨텐츠 정보는 송신부(260)를 통해 단말기로 전송된다.
상기 수신부(240)는 단말기로부터 컨텐츠 시청 완료 정보를 포함한 각종 정보를 수신하며, 기타 외부로부터 컨텐츠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상기 컨텐츠 시청 보상 연산부(250)는 상기 컨텐츠 시청 완료 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할 컨텐츠 시청 보상액을 연산하는데 이때 상기 사용자 정보에 사용자가 선택한 컨텐츠 시청 보상 수단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컨텐츠 시청 보상 연산부에서는 상기 컨텐츠, 시청 보상 수단 정보에 따라 각 사용자에 대한 컨텐츠 시청 보상액을 연산하며, 상기 컨텐츠 시청 완료 정보에 친구 전달 정보, 물품구매, 쿠폰구매 등의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컨텐츠 시청 보상액 연산시 추가 보상을 부여할 수 있다.
상기 송신부(260)는 고객 맞춤화된 컨텐츠 정보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해 연산된 컨텐츠 시청 보상액을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으며, 연산된 컨텐츠 시청 보상액에 따라 단말기 사용자에게 보상액을 지급하기 위해 통신사 시스템, OK 캐쉬백 시스템, 각 카드사 시스템, 항공사 시스템 등으로 각 사용자에게 지급할 보상액 결과를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효과적인 컨텐츠 전달을 위해 단말기 화면활성화 정보를 활용한 컨텐츠 제공 방법을 단말기에서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에 관한 것으로 비록 특정 실시예를 통해 설명하였으나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을 가진 자는 상기 설명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이고,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남 없이 다양한 변경과 개량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100 : 컨텐츠 제공 프로그램 110 : 화면 전환 감지 모듈
120 : 제어모듈 200 : 외부 관리 시스템
210 : 컨텐츠 데이터베이스 220 : 고객 데이터베이스
230 : 고객맞춤화부 240 : 수신부
250 : 컨텐츠 시청 보상 연산부 260 : 송신부

Claims (15)

  1. 단말기의 화면이 비활성화 단계에서 활성화 단계로 전환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제1 단계;
    상기 제1 단계에서 화면 전환이 감지된 경우 단말기의 화면에 컨텐츠의 요약정보를 노출시키고 컨텐츠 시청여부를 입력받는 제2 단계;
    상기 제2 단계에서 컨텐츠 시청 넘김(skip) 신호가 입력된 경우 단말기 초기 화면으로 이동하는 제3 단계;
    상기 제2 단계에서 컨텐츠 시청 동의 신호가 입력된 경우 상기 컨텐츠의 내용을 단말기 화면에 실행시키고 컨텐츠 시청 확인 신호를 입력받는 제4 단계; 및
    상기 제4 단계에서 컨텐츠 시청 확인 신호가 입력된 경우 단말기 초기 화면으로 이동하는 제5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단말기 화면활성화 정보를 활용한 컨텐츠 제공 방법을 단말기에서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는 광고, 이벤트 정보, 뉴스, 할인쿠폰, 무기명 채권 또는 인터넷에 올라오는 새로운 글이며, 상기 요약정보는 광고의 스틸컷, 이벤트 정보, 뉴스 또는 인터넷에 올라오는 새로운 글의 제목이며, 상기 컨텐츠의 내용은 광고의 동영상, 이벤트 정보, 뉴스, 인터넷에 올라오는 새로운 글의 본문, 또는 결제가능한 형태의 할인쿠폰 또는 무기명채권의 식별코드인 것을 특징으로하는 단말기 화면활성화 정보를 활용한 컨텐츠 제공 방법을 단말기에서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는 상기 단말기 사용자가 상기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받기 위해 입력하거나 단말기에 설치된 상기 프로그램을 통해 입력하는 정보를 기준으로 고객맞춤화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화면활성화 정보를 활용한 컨텐츠 제공 방법을 단말기에서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는 상기 단말기 사용자의 개인정보, 관심분야, 새로운 글이 올라왔을 때 단말기 사용자가 전달받기 원하는 인터넷 카페, 블러그 주소, 또는 트위터 친구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화면활성화 정보를 활용한 컨텐츠 제공 방법을 단말기에서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에서 화면 전환이 감지될 때마다 상기 제2 단계에서는 새로운 컨텐츠의 요약 정보가 노출되며, 한번 제시된 컨텐츠 정보는 단말기로부터 삭제되고 추가 컨텐츠 정보는 외부 관리 시스템 또는 컨텐츠 제공원으로부터 자동 다운로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화면활성화 정보를 활용한 컨텐츠 제공 방법을 단말기에서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시청 완료 정보는 상기 컨텐츠에 대한 분류코드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자동 다운로드되는 컨텐츠 정보는 상기 분류코드를 기준으로 추가 고객맞춤화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화면활성화 정보를 활용한 컨텐츠 제공 방법을 단말기에서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에서 상기 컨텐츠 요약정보와 함께 사용자의 컨텐츠 시청 보상 누적액 또는 해당 컨텐츠의 컨텐츠 시청 보상 내역을 노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화면활성화 정보를 활용한 컨텐츠 제공 방법을 단말기에서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시청 확인 신호는 컨텐츠 시청 종료시 또는 컨텐츠 시청중에 입력받을 수 있으며, 추가 컨텐츠 시청 신호를 함께 입력받을 수 있으며, 추가 컨텐츠 시청 신호 입력시 상기 제2 내지 제4 단계가 반복수행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화면활성화 정보를 활용한 컨텐츠 제공 방법을 단말기에서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에서 컨텐츠 변경 신호를 입력 받을 수 있으며, 컨텐츠 변경 신호가 입력된 경우 다른 컨텐츠의 요약정보가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화면활성화 정보를 활용한 컨텐츠 제공 방법을 단말기에서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5단계에서 단말기 초기 화면으로 이동하기 전에 상기 컨텐츠에 대한 친구 전달 여부를 확인하여 친구 전달 신호가 입력된 경우 상기 컨텐츠를 사용자가 원하는 친구에게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화면활성화 정보를 활용한 컨텐츠 제공 방법을 단말기에서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5단계에서 컨텐츠 시청 확인 신호가 입력된 경우 해당 컨텐츠에 대응하는 쿠폰이 있는 경우 쿠폰 정보를 단말기 화면에 노출시키고 무료 쿠폰인 경우 바로 저장하고 유료 쿠폰인 경우 즉시 결제 후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화면활성화 정보를 활용한 컨텐츠 제공 방법을
    단말기에서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5단계에서 단말기 초기 화면으로 이동하기 전에 상기 컨텐츠와 관련된 물품의 구매 여부를 확인하여 물품 구매 신호가 입력된 경우 물품 구매 사이트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화면활성화 정보를 활용한 컨텐츠 제공 방법을 단말기에서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가 시청에 따른 보상을 받을 수 있는 컨텐츠인 경우 시청 확인 신호가 입력되면 컨텐츠 시청 완료 정보를 외부 관리 시스템으로 전송하여 상기 단말기 사용자가 컨텐츠 시청에 따른 보상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제6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화면활성화 정보를 활용한 컨텐츠 제공 방법을 단말기에서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보상의 수단은 상기 단말기 사용자가 상기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받을 때 입력하거나 단말기에 설치된 상기 프로그램을 통해 입력하는 보상 정보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화면활성화 정보를 활용한 컨텐츠 제공 방법을 단말기에서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에서 상기 컨텐츠의 요약정보를 노출시키기 전에 사용자의 위치에 기반하여 상기 컨텐츠의 요약정보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화면활성화 정보를 활용한 컨텐츠 제공 방법을 단말기에서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20100099263A 2010-10-12 2010-10-12 단말기 화면활성화 정보를 활용한 컨텐츠 제공 방법을 단말기에서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12276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9263A KR101227629B1 (ko) 2010-10-12 2010-10-12 단말기 화면활성화 정보를 활용한 컨텐츠 제공 방법을 단말기에서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9263A KR101227629B1 (ko) 2010-10-12 2010-10-12 단말기 화면활성화 정보를 활용한 컨텐츠 제공 방법을 단말기에서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7664A true KR20120037664A (ko) 2012-04-20
KR101227629B1 KR101227629B1 (ko) 2013-03-14

Family

ID=461387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9263A KR101227629B1 (ko) 2010-10-12 2010-10-12 단말기 화면활성화 정보를 활용한 컨텐츠 제공 방법을 단말기에서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762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1127B1 (ko) * 2013-06-21 2013-09-03 남양우 콘텐츠 시청 확인 장치 및 그 방법
KR20220077205A (ko) 2020-11-30 2022-06-09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카드 인식 소독 장치
KR102535336B1 (ko) * 2022-03-29 2023-05-26 휴젠 지에프씨 아이엔씨 사용자 맞춤형 커피 레시피 및 그에 대응하는 커피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5928B1 (ko) 2007-02-20 2008-01-2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단말기의 대기화면 표시 장치 및 운용방법 및 기록매체
KR101011012B1 (ko) * 2008-02-25 2011-01-28 남기원 방송 광고 데이터 자동 노출 제어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947737B1 (ko) * 2008-04-17 2010-03-17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통신 방송 시스템과 동기 화면 검출 방법 및 방송컨텐츠와 부가 정보 간의 동기 방법
KR100900323B1 (ko) 2008-04-24 2009-06-02 제영수 위치 및 개인화 정보를 이용한 이동통신단말기의 대기화면제공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1127B1 (ko) * 2013-06-21 2013-09-03 남양우 콘텐츠 시청 확인 장치 및 그 방법
WO2014204118A1 (ko) * 2013-06-21 2014-12-24 Nam Yang Woo 콘텐츠 시청 확인 장치 및 그 방법
KR20220077205A (ko) 2020-11-30 2022-06-09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카드 인식 소독 장치
KR102535336B1 (ko) * 2022-03-29 2023-05-26 휴젠 지에프씨 아이엔씨 사용자 맞춤형 커피 레시피 및 그에 대응하는 커피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27629B1 (ko) 2013-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rewal et al. Innovations in retail pricing and promotions
US9792616B2 (en) Method for generating an electronic coupon, coupon holding device, system for generating an electronic coupon, electronic coupon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US2012031072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coupons/purchases based on radio frequency memory tag detection
US20130185148A1 (en) Systems, methods, apparatuse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providing services on an automated teller machine
US20110029360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mart phone functionality for retailers to distribute sale and discount coupons
US11354712B2 (en) Method, system, and computer program for automated cause marketing using mobile devices
US20080071619A1 (en) Alternative payment system and method
US20120179527A1 (en) Method of delivering effective mobile advertising
JP2011511373A (ja) モバイル広告のための複数のアクションおよびアイコン
US20140040030A1 (en) Mobile page management for merchants leveraging a social networking system
US20120295542A1 (en) System for creating web based applications linked to rfid tags
KR20150000519A (ko) 스마트폰 기반의 연동광고 출력시스템
US20150356629A1 (en) Multi-channel information distribution platform
US20140180792A1 (en) Mobile commerce business system and method for sharing merchant content and creating a customer index
KR101253459B1 (ko) 메시지 확인 대기 시간을 이용한 광고 방법
KR101227629B1 (ko) 단말기 화면활성화 정보를 활용한 컨텐츠 제공 방법을 단말기에서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WO2015150749A1 (en) An advertising method and system
KR20130050791A (ko) 소셜 네트워크를 이용한 광고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50018737A (ko) 광고주와 가맹점을 매칭하여 소비자에게 이벤트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
US20150269651A1 (en) System and method for purchasing by embedded, purchase-capable video player
KR101625572B1 (ko) 광고 제공 방법 및 서버
US20140372196A1 (en) System and method for distributing promotional certificates
KR20120000140A (ko) 스마트폰용 쿠폰데이터 처리시스템 및 방법
US2013017337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daptive marketing using interactive feedback
US20120290384A1 (en) Residual fundraising and advertis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