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33886A - 휴대단말기에서 영상을 촬영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단말기에서 영상을 촬영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33886A
KR20120033886A KR1020100095625A KR20100095625A KR20120033886A KR 20120033886 A KR20120033886 A KR 20120033886A KR 1020100095625 A KR1020100095625 A KR 1020100095625A KR 20100095625 A KR20100095625 A KR 20100095625A KR 20120033886 A KR20120033886 A KR 201200338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frame
preview screen
displayed
photograp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56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미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956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33886A/ko
Publication of KR201200338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388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2Control of parameters via user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4Computer-aided capture of images, e.g. transfer from script file into camera, check of taken image quality, advice or proposal for image composition or decision on when to take im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에서 영상을 촬영하는 방법에 있어서,
촬영된 제1이미지에 대한 재촬영이 요청되면 상기 촬영된 제1이미지를 표시하고, 상기 표시된 제1이미지에 대해서 소정 크기의 프레임을 설정하는 과정과, 촬영을 위한 프리뷰 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프레임을 상기 프리뷰 화면에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프리뷰 화면에 표시된 프레임의 외부에 해당하는 이미지와, 상기 제1이미지에 표시된 프레임의 외부에 해당하는 이미지가 소정 수치 이상 동일한지 비교하는 과정과,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소정 수치 이상 동일할 때의 프리뷰 화면에 대응되는 영상을 제2이미지로 저장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휴대단말기에서 영상을 촬영하는 방법{METHOD FOR CAPTURING PICTURE IN A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단말기에서 영상을 촬영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단말기는 이동하면서 통화를 수행하거나 및 데이터를 교환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하는 전자기기를 의미하는데, 이동통신 환경이 다양화되고 발달함에 따라, 음성 통화에만 머무르던 휴대단말기의 사용 영역이 점차 다양화되는 추세에 있다. AOD(Audio On Demand) 및 VOD(Video ON Demand) 서비스를 이용하거나, 휴대단말기에 구비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동화상 통화를 수행하거나, 게임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여 플레이하거나,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수신기를 이용하여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을 시청하는 경우를 그에 대한 예로 들 수 있다.
특히, 현재의 휴대단말기는 카메라 모듈을 탑재하여 이를 이용한 영상(still picture의 이미지 또는 moving picture의 동영상) 촬영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휴대단말기를 이용하여 영상을 촬영할 경우, 사용자가 원하지 않는 영상이 촬영될 경우가 있는데, 예를 들어 피사체의 일부 사람이 눈을 감는다거나 다른 곳을 보고 있는 경우를 그 예로 들 수 있다.
종래의 경우 일반적으로 원하지 않은 영상이 촬영되면, 사용자는 촬영을 다시 하여야 하는데, 이는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겪게 한다.
따라서, 종래 기술은 촬영된 영상(예를 들어, 이미지) 중에서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일부분의 영상만을(예를 들어, 영상 중에서 눈을 감고 있는 일부분) 신속하게 확인하여 재촬영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영상의 촬영시 촬영된 영상에서 사용자가 의도치 않은 일부분의 영상만을 신속하게 확인하여 재촬영할 수 있는 발명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에서 영상을 촬영하는 장치에 있어서,
촬영된 제1이미지에 대한 재촬영이 요청되면 상기 촬영된 제1이미지를 표시하고, 상기 표시된 제1이미지에 대해서 소정 크기의 프레임을 설정하는 과정과, 촬영을 위한 프리뷰 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프레임을 상기 프리뷰 화면에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프리뷰 화면에 표시된 프레임의 외부에 해당하는 이미지와, 상기 제1이미지에 표시된 프레임의 외부에 해당하는 이미지가 소정 수치 이상 동일한지 비교하는 과정과,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소정 수치 이상 동일할 때의 프리뷰 화면에 대응되는 영상을 제2이미지로 저장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영상의 촬영시 촬영된 영상에서 사용자가 의도치 않은 일부분의 영상만을 신속하게 확인하여 재촬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영상을 촬영하는 방법에 대한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영상을 촬영하는 방법에 대한 제1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영상을 촬영하는 방법에 대한 제2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영상을 촬영하는 방법에 대한 제3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블록도이다. 도 1의 블록도에는 GPS(Ground Positioning System)모듈, 카메라 모듈, 블루투스 모듈, WiFi 모듈, 가속도 센서, 근접 센서, 지자계 센서 및 DMB(Digital Media Broadcasting) 수신기 등과 같이 휴대단말기에 포함될 수 있는 장치들이 미도시되었으나, 이들 미도시된 장치들도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휴대단말기에 포함되어 해당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는 이동 가능한 전자기기로서, 화상전화기,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2000) 단말기, WCDMA 단말기,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ervice)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 데스크톱 컴퓨터(desktop computer), 노트북(notebook) 등이 될 수 있다.
무선 송수신부(23)는 RF부와 모뎀(MODEM)을 포함한다. RF부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RF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수신기 등을 포함한다. 모뎀(MODEM)은 송신될 신호를 부호화 및 변조하는 송신기 및 RF부에서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하는 수신기 등을 포함한다.
오디오 처리부(25)는 코덱(Codec)을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코덱은 데이터 코덱과 오디오 코덱을 포함한다. 데이터 코덱은 패킷데이터 등을 처리하고, 오디오 코덱은 음성과 멀티미디어 파일 등의 오디오 신호를 처리한다. 오디오 처리부(25)는 모뎀에서 수신되는 디지털 오디오신호를 상기 오디오 코덱을 통해 아날로그신호를 변환하여 재생하거나 또는 마이크로부터 발생되는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상기 오디오 코덱을 통해 디지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모뎀으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코덱은 별도로 구비되거나 제어부(10)에 포함될 수 있다.
키입력부(27)는 숫자 및 문자 정보의 입력에 필요한 키들 및 각종 기능들의 설정에 필요한 기능 키들 또는 터치 패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부(50)가 터치스크린 방식으로 구현될 경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키입력부(27)는 휴대단말기의 구성에서 키입력부(27)의 구성이 제외되거나 미리 설정된 최소한의 키만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표시부(50)는 키입력부(27)의 키입력 기능을 일부 대체할 수 있다.
메모리(30)는 프로그램 메모리 및 데이터 메모리들로 구성될 수 있다. 프로그램 메모리에는 휴대단말기의 일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모리(30)는 CF(Compact Flash), SD(Secure Digital), Micro-SD(Micro Secure Digital), Mini-SD(Mini Secure Digital), xD(Extreme Digital) 및 Memory Stick 등의 외장형메모리를 포함할 수도 있다.
표시부(5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또는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로서 PMOLED 또는 AMOLED)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휴대단말기에서 발생하는 각종 표시 정보를 출력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부(50)는 터치스크린(Touch Screen)을 구비하여 키입력부(27)와 함께 휴대단말기를 제어하는 입력부로 동작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60)은 렌즈를 통해 입력되는(또는 촬영되는)광 신호를 전기적인 영상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여, 사용자는 이를 통해 영상(동영상 또는 정지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60)은 빛을 집광하여 카메라센서로 전달하는 렌즈(미도시)와, 영상의 촬영시 촬영된 광 신호를 전기적 영상 신호로 변환하는 카메라센서(미도시)와, 촬영된 영상을 임시 저장할 수 있는 카메라메모리(미도시)와, 촬영시의 주변 상황에 따라 적절한 광량을 제공하는 플래쉬(미도시)와, 카메라 모듈(6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카메라센서를 통해 촬영되는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카메라제어부(61)를 포함한다.
렌즈는 하나 이상의 렌즈로 구성될 수 있으며, 카메라센서는 CCD센서 또는 CMOS 센서 등이 될 수 있으며, 카메라제어부(61)는 ISP(Image Signal Processor) 또는 DSP(Digital Signal Processor)로 구현될 수 있다. 이 때, 카메라센서 및 카메라제어부(61)는 일체형으로 구현되거나 서로 분리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플래쉬는 크세논 방전관에 고압직류를 통했을 때 순간적으로 발생하는 방전광을 촬영용 광원으로 이용하는 카메라 부속품으로써, 보통 스트로보(strobo)라고 부르지만 이것은 상품명이며, 일렉트로닉플래시(electronic flash), 스피드플래시라고도 한다. 전원으로는 주로 적층 건전지를 써서 필요한 고전압으로 승압시킨다. 그 종류로는 가이드 넘버(GN) 14?30의 클립 온 타이프, GN 30?50의 클립 타이프가 있다. 발광시간은 1/1,000초 정도로 대단히 짧고, 백색광(자연광)처럼 매우 밝으므로 인공광의 주요한 광원 역할을 한다.
카메라 제어부(61)는 렌즈 및 카메라센서 등을 통해 촬영되는(또는 입력되는) 영상을 촬영용 영상으로서 제어부(10)로 출력하도록 카메라모듈(60)을 제어한다. 즉, 카메라 제어부(61)는 설정(예를 들어, 촬영 해상도 등)에 따라 영상을 촬영하고 이를 휴대단말기의 제어부(10)가 처리하기에 적합한 JPEG(joint photographic coding experts group) 포맷 또는 MPEG(Moving Picture Experts Group) 포맷으로 압축할 수 있는 코덱을 포함하며, 카메라 제어부(61)는 전술한 코덱을 통해 JPEG 또는 MPEG 포맷으로 압축된 영상을 휴대단말기의 제어부(10)로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촬영용 영상은 촬영키가 입력되어 사용자가 선택한 설정(예를 들어, 해상도, 조리개값 및 노출값 등과 같이 촬영과 관련된 설정)에 따라 촬영된 영상으로서, 렌즈 및 카메라 센서 등을 통해 촬영된 영상이 JPEG 또는 MPEG 등의 포맷과 같이 제어부(10)에 의해 처리 가능한 포맷으로 압축(또는 변환)된 영상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제어부(61)는 렌즈 및 카메라센서 등을 통해 촬영되는(또는 입력되는) 영상을 프리뷰용 화면(또는 영상)으로서 제어부(10)로 출력하도록 카메라모듈(60)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카메라 제어부(61)는 카메라센서 등을 통해 촬영되는 영상 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고, 변환된 디지털 데이터를 프리뷰 화면의 표시에 적합하도록 YUV 형식으로 변환하여 제어부(10)로 출력하도록 제어하며, 제어부(10)는 이를 수신하여 표시부(50)를 통해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YUV는 밝기(Luminance)인 Y성분과 색상(Chrominance)인 U(Cb)와 V(Cr) 성분으로 구성하여 픽셀을 표현하는 방식으로, 일반적인 RGB 방식에 비하여 작은 대역폭으로 전송이 가능하기 때문에, 프리뷰 화면과 같이 미리보기 화면용 영상을 표시하는데 적합하다.
제어부(1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키입력부(27) 또는 표시부(50) 등을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휴대단말기의 동작을 전환 및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10)는 카메라 모듈(60)과 관련된 출력 설정에 따라 프리뷰용 영상과 촬영용 영상이 카메라모듈(60)에서의 동시 출력 여부를 제어하는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10)의 동작은 도 2에 대한 설명을 통해 계속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영상을 촬영하는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영상을 촬영하는 방법에 대한 제1예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영상을 촬영하는 방법에 대한 제2예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영상을 촬영하는 방법에 대한 제3예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S201-S203 단계에서, 사용자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를 통해 제1이미지를 촬영하고, 촬영된 제1이미지에 대해 재촬영을 요청하여 재촬영 요청된 제1이미지를 확인한다.
사용자는 휴대단말기를 이용하여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영상(즉, 제1이미지로서 still picture에 해당)을 촬영할 수 있다. 도 3의 (a)의 제1이미지는 단체사진을 촬영한 경우를 도시하고 있는데, 피사체 중의 일부 지인이 정면을 향하고 있지 않아 재촬영이 필요한 예에 해당한다.
촬영 후에 촬영한 이미지(예를 들어, 제1이미지)가 재촬영이 필요하다고 판단될 경우, 사용자는 해당 이미지에 대해 재촬영을 요청할 수 있다. 재촬영의 요청은 소정의 메뉴를 통해 요청되거나 미리 설정된 제스쳐 입력(예를 들어, 재촬영을 요청할 이미지에 대해 소정 형태 또는 소정 시간 이상의 터치 입력을 입력하는 경우)을 통해 요청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10)는 사용자로부터 촬영된 제1이미지에 대한 재촬영이 요청된 것이 확인되면, 표시부(50)를 통해 촬영된 제1이미지가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S204 단계에서, 사용자는 재촬영을 요청하여 표시된 제1이미지에서 재촬영을 요청할 이미지 영역을 설정한다.
사용자는 정면을 바라보고 있지 않은 사람 때문에 제1이미지에 대한 재촬영을 요청하였으므로, 정면을 바라보고 있지 않은 사람에 대응되는 이미지 영역이 정면을 바라보고 있는 사람의 이미지 영역으로 변경되면 사용자의 재촬영 요구는 만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이전에 촬영된 이미지(예를 들어, 제1이미지)에서 맘에 들지 않는 이미지 영역(즉, 재촬영이 필요한 이미지 영역)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데, 사용자는 키입력부(27)를 이용한 키조작 또는 표시부(50)의 터치스크린을 통한 터치 입력을 통해 재촬영이 필요한 이미지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표시부(50)에 사각형 형태의 터치 입력을 입력하여 도 3의 (b)에 도시된 소정 크기의 프레임(300)을 설정함으로써, 재촬영이 필요한 이미지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프레임(300)의 크기는 300a 또는 300b의 예와 같이 그 크기가 가변적인 것으로, 사용자에 설정에 따라 크기가 자유롭게 설정될 수 있다. 사용자는 프레임 설정이 완료되었다는 것을 프레임의 크기를 설정(예를 들어, 사각형 형태로 터치 입력을 입력)한 후에 프레임 내부를 다시 한번 터치하는 것으로 제어부(10)에 통보하거나, 확인키(키입력부의 키 또는 터치스크린에 표시된 키)를 입력하여 제어부(10)에 통보할 수 있다.
이 때,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10)는 재촬영이 요청된 이미지(예를 들어, 제1이미지)에 대해 설정된 프레임(300)의 위치를 메모리(30)에 저장한다. 여기서, 프레임(300)의 위치는 표시부(50)를 구성하는 픽셀 위치를 기준으로 하는 것으로 프레임(300)의 4 꼭지점의 픽셀 좌표값을 의미한다.
S205-S206 단계에서, 제어부(10)는 촬영을 위한 프리뷰 화면을 표시하고 S204 단계에서 설정된 프레임을 프리뷰 화면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S204 단계를 통해 재촬영이 요청된 이미지(예를 들어, 제1이미지)에서 재촬영이 필요한 영역이 설정 완료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10)는 카메라 제어부(61)의 제어를 통해, 카메라 모듈(60)을 통해 입력되는 영상 신호를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프리뷰(preview)화면을 도4의 (a)에 도시된 프리뷰 화면과 같이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이후, 제어부(10)는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프레임(400)이 프리뷰 화면에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이 때,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프리뷰 화면에 표시되는 프레임(400)은 프레임(300)의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예를 들어, 동일한 픽셀 좌표값에 의해 표시부를 기준으로 하는 동일한 위치)에 표시되고, 그 크기가 대응되는 크기(예를 들어, 동일한 크기)로 표시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재촬영이 필요한 이미지 영역(예를 들어, 제1이미지에 설정하였던 도 3의 (b)에 도시된 프레임(300) 내부의 이미지 영역)을 프리뷰 화면에서도 손쉽고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추가적 변형에 따라, 제어부(10)는 프리뷰 화면에 표시된 프레임(400)의 외부에 해당하는 이미지와 프레임 (400) 내부에 해당하는 이미지가 서로 구분되도록,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시각적 효과를 통해 프리뷰 화면과 프레임(400)을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이렇게 프리뷰 화면에서 프레임 내부의 이미지와 프레임 외부의 이미지를 구분되게 표시하면, 사용자는 재촬영하고자 하였던 이미지가 어떠한 것(예를 들어, 고개를 돌리거나 눈을 감은)인지를 손쉽게 파악할 수 있다.
한편, S205-S207 단계를 통해 표시되는 프리뷰 화면과 프리뷰 화면에 표시되는 프레임은 사용자의 휴대단말기 조작(예를 들어, 피사체를 선택하기 위해 카메라 모듈이 위치한 휴대단말기의 면을 이동시키기는 조작)에 따라 계속적으로 갱신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S207-S209 단계에서, 제어부(10)는 프리뷰 화면에 표시된 프레임의 외부에 해당하는 이미지와 제1이미지에 표시된 프레임의 외부에 해당하는 이미지를 비교하여, 소정 수치 이상 동일한지 확인하고 확인 결과에 따라 소정 수치 이상 동일한 것으로 확인되면 프리뷰 화면에 표시된(표시중인) 영상을 제2이미지로 저장하도록 제어한다.
사용자는 재촬영이 필요한 이미지 영역(예를 들어, 프레임(300)의 내부에 해당하는 이미지)을 재촬영하기 위해 프레임(400)을 기준으로 휴대단말기를 움직여 조작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사용자는 재촬영이 필요한 이미지 영역이 프레임(400) 내부에 위치하도록 휴대단말기를 조작(예를 들어, 이동)한다.
사용자의 휴대단말기 조작에 따라 프레임(400)의 내부에 해당하는 이미지가 계속적으로 갱신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10)는 제1이미지에 대해서 설정되어 표시된 프레임(300)의 외부의 이미지와, 도 4의 (b) 또는 도 5의 (a)의 프리뷰 화면에 표시된 프레임(400)의 외부에 해당하는 이미지의 각 픽셀 데이터를 비교한다.
이러한 픽셀 데이터의 비교를 통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10)는 프레임(300)의 외부에 해당하는 이미지 영역과, 프레임(400)의 외부에 해당하는 이미지 영역이 소정 수치 이상 동일(또는 유사)한지 확인할 수 있는데, 소정 수치 이상 동일하다는 것은 현재 프리뷰 화면을 통해 표시되는 영상(또는 이미지)이 이전에 촬영한 제1이미지와 동일(또는 유사)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프레임(300)과 프레임(400)의 외부에 해당하는 이미지 영역이 서로 소정 수치 이상 동일한 것으로 확인되면, 제어부(10)는 소정 수치 이상 동일한 것으로 확인된 시점에 프리뷰 화면을 통해 표시되고 있는 영상을 제2이미지로서 저장하도록 제어하여, 저장되는 제2이미지는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다.
S207-S209 단계를 통해, 사용자는 휴대단말기의 조작을 통해 제1이미지에서 고개를 돌렸던 피사체(프레임(300)의 내부에 해당하는 이미지 영역)가 고개를 정면으로 바라보고 있을 경우, 고개를 정면으로 바라보고 있는 피사체를 프레임(400)의 내부에 위치시키는 것만으로 자동으로 촬영이 진행되어 해당 이미지(제2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도 3의 (a)에서 고개를 돌리고 있던 피사체가 정면을 바라 볼 경우, 다른 피사체의 움직임이 큰 변화가 없으면(예를 들어, 고개를 돌리지 않거나 돌리더라도 큰 변화가 없을 경우), 고개를 돌렸던 피사체가 정면을 바라보고 있는 이미지(제2이미지)를 자동으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S210-S211 단계에서, 제어부(10)는 저장된 제2이미지에서 프레임(400) 내부에 해당하는 이미지를 추출하고, 제1이미지의 프레임(300) 내부의 이미지를 추출된 이미지로 갱신하도록 제어한다.
제어부(10)는 저장된 제2이미지에서 프리뷰 화면에 표시되었던 프레임(400)의 내부에 해당하는 소정의 이미지(예를 들어, 정면을 바라보고 있는 피사체)를 추출한다. 이후, 제어부(10)는 추출된 이미지를 이용하여 제1이미지에 설정된 프레임 내부에 해당하는 이미지(예를 들어, 고개를 돌리고 있는 피사체)를 갱신한다. 이를 통해, 제1이미지는 도 5의 (b)에 도시된 제2이미지와 유사(또는 동일)한 이미지로 갱신(예를 들어, 고개를 돌리고 있던 피사체가 정면을 바라보고 있는 피사체로 갱신)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실시 예의 변형에 따라 S210-S211 단계를 생략하여 S201-S209 단계만을 통해 구현될 수 있는데, 이는 재촬영 요청되어 촬영된 이미지(제2이미지)를 제1이미지와는 별도로 저장하는 실시 예의 변형에 해당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실시 예의 변형에 따라 S209 단계를 생략하여 S201-S208 단계 및 S210-S211 단계만으로 구현될 수 있는데, 이는 제2이미지는 임시로 저장되어 제1이미지가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로 갱신되면(예를 들어, 피사체가 정면을 바라보는 것으로), 제2이미지는 별도로 저장되지 않고 삭제되는 실시 예에 해당한다. 이 때, 임시 저장되는 제2이미지는 사용자에 표시될 수도 있고, 표시되지 않을 수도 있으며, 이는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라 적응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그 과정에서 언급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일 뿐, 한정적인 것이 아님을 분명히 하며, 본 발명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으로부터 균등하게 대체될 수 있는 정도의 구성요소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Claims (6)

  1. 휴대단말기에서 영상을 촬영하는 방법에 있어서,
    촬영된 제1이미지에 대한 재촬영이 요청되면 상기 촬영된 제1이미지를 표시하고, 상기 표시된 제1이미지에 대해서 소정 크기의 프레임을 설정하는 과정과,
    촬영을 위한 프리뷰 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프레임을 상기 프리뷰 화면에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프리뷰 화면에 표시된 프레임의 외부에 해당하는 이미지와, 상기 제1이미지에 표시된 프레임의 외부에 해당하는 이미지가 소정 수치 이상 동일한지 비교하는 과정과,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소정 수치 이상 동일할 때의 프리뷰 화면에 대응되는 영상을 제2이미지로 저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촬영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된 제2이미지에서 상기 프리뷰 화면에 표시된 프레임 내부에 해당하는 이미지를 추출하는 과정과,
    상기 제1이미지에 설정된 프레임 내부에 해당하는 이미지를 상기 추출된 이미지로 갱신하여 제1이미지를 갱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촬영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뷰 화면에 표시된 프레임의 외부에 해당하는 이미지는 상기 프리뷰 화면에서 상기 프리뷰 화면에 표시된 프레임의 내부에 해당하는 이미지와 구분되게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촬영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크기로 설정되는 프레임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촬영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뷰 화면에 표시되는 프레임은 표시 화면을 기준으로, 상기 제1이미지에 대해 설정된 프레임의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촬영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뷰 화면에 표시되는 프레임은 상기 제1이미지에 대해 설정된 프레임에 대응되는 크기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촬영 방법.
KR1020100095625A 2010-09-30 2010-09-30 휴대단말기에서 영상을 촬영하는 방법 KR2012003388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5625A KR20120033886A (ko) 2010-09-30 2010-09-30 휴대단말기에서 영상을 촬영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5625A KR20120033886A (ko) 2010-09-30 2010-09-30 휴대단말기에서 영상을 촬영하는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3886A true KR20120033886A (ko) 2012-04-09

Family

ID=461365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5625A KR20120033886A (ko) 2010-09-30 2010-09-30 휴대단말기에서 영상을 촬영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3388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38650B2 (en) Photographing using night shot mode processing and user interface
KR101794350B1 (ko) 휴대단말기의 영상 촬영 방법
KR20140034574A (ko) 휴대단말기의 카메라 프리뷰 화면의 표시 방법 및 장치
KR101756470B1 (ko) 휴대단말기에서 영상을 촬영하는 방법 및 장치
CN111355998B (zh) 视频处理方法及装置
EP3525446A1 (en) Photographing method and terminal
JP2011197537A (ja) 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7112529B2 (ja) 撮像装置、撮像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8228053A (ja) カメラ
CN115706850B (zh) 图像拍摄的方法、设备和存储介质
KR100819243B1 (ko) 카메라 폰에서 이미지 촬영 및 저장방법
KR20080106668A (ko) 휴대단말기의 영상 촬영 방법
CN113965693B (zh) 一种视频拍摄方法、设备和存储介质
KR20120060677A (ko) 휴대단말기의 영상 촬영 방법
KR20120033886A (ko) 휴대단말기에서 영상을 촬영하는 방법
JP6941744B2 (ja) 画像処理装置、撮影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CN115989670A (zh) 摄像装置、摄像指示方法及摄像指示程序
KR100562142B1 (ko) 영상 촬영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KR20090014907A (ko) 휴대단말기에서 영상데이터의 노출 조절 장치 및 방법
KR20050080859A (ko) 카메라를 구비한 듀얼 디스플레이형 무선통신단말기에서의 영상 촬영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