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33861A - 웹 애플리케이션 등록 및 관리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웹 애플리케이션 등록 및 관리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33861A
KR20120033861A KR1020100095593A KR20100095593A KR20120033861A KR 20120033861 A KR20120033861 A KR 20120033861A KR 1020100095593 A KR1020100095593 A KR 1020100095593A KR 20100095593 A KR20100095593 A KR 20100095593A KR 20120033861 A KR20120033861 A KR 201200338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p
information
user
registration
develo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55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16536B1 (ko
Inventor
김연정
Original Assignee
엔에이치엔(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에이치엔(주) filed Critical 엔에이치엔(주)
Priority to KR10201000955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6536B1/ko
Publication of KR201200338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38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65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65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웹 애플리케이션의 등록 및 관리를 지원하는 소셜 네트워크서비스 시스템의 서버가, 사용자로부터 웹 애플리케이션의 등록 요청 또는 수정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로부터 앱 기본 정보, 앱 이미지 또는 앱 사용료에 관련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단계별로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웹 애플리케이션의 등록 및 관리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웹 애플리케이션 등록 및 관리 시스템 및 방법{SYSTEM FOR REGISTRATION AND MANAGEMENT OF WEP APPLICATION, AND METHOD FOR THE SAME}
본 발명은 웹 애플리케이션의 등록 및 관리를 위한 시스템 및 이를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웹 애플리케이션을 등록하고 이를 수정하거나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과 이를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스마트폰의 선풍적인 인기와 함께, 앱의 인기도 동반 상승하여, 국내외 이동 통신사, 단말기 제조사 등이 앱 스토어의 개발에 힘을 쏟고 있다.
"앱(APP)"이라 함은 예를들어, 일정관리, 주소록, 게임, 동영상, 음악재생 등의 콘텐츠 응용프로그램을 의미하며, 이를 온라인 상에서 자유롭게 사고 팔 수 있는 공간을 애플리케이션 스토어(Application Store), 즉 "앱 스토어"라 한다.
통상, 앱은 소비자가 무선통신에 접속하여 자신이 선택한 애플리케이션을 휴대폰으로 다운로드 하거나 개인용 컴퓨터(PC)로 다운로드 한 후 휴대폰으로 옮겨 이용하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의 형태이지만, "소셜 앱(social APP)"의 경우는 웹 애플리케이션(web application)으로서 인터넷이나 인트라넷을 통해 웹 브라우저에서 실행된다.
구체적으로, 소셜 앱이라 함은, 예를들어, 인터넷 블로그 또는 카페 등의 소셜 네트워크서비스(SNS)에 설치되어, 블로그 이웃이나 카페 멤버 등의 인터넷 친구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앱을 실행함으로써, 이들 구성원 사이의 커뮤니케이션을 강화시켜주는 웹 애플리케이션을 의미한다.
또한, 소셜 데이터라 불리는 앱 사용자의 개인정보와 친구 목록을 소셜 앱에 제공하여 앱을 실행시키는 공간이 되는 인터넷 블로그 내지 카페 등을 "소셜 앱 컨테이너"라 하고, 예를들어, 네이버 블로그, 네이버 카페 또는 미투데이가 서로 독립적인 소셜 데이터를 보유하므로 이 세 개의 서비스는 각각 별도의 컨테이너로 정의될 수 있다. 특히, 인터넷 카페는 각 카페마다 멤버의 구성이 다르므로 수백만 개의 카페가 서로 독립적인 별도의 컨테이너가 된다.
따라서, 하나의 소셜 앱은 무한개의 컨테이너에 설치될 수 있으며, 하나의 소스 코드로 여러 개의 컨테이너에서 동작하는 소셜 앱을 만들기 위해서는 각 컨테이너의 특징을 이해하여 소셜 앱을 설계해야 한다. 물론, 모든 소셜 앱이 모든 컨테이너를 동시에 지원할 필요는 없으며 앱 개발자가 임의로 지원하는 컨테이너를 선택할 수 있다.
한편, 앱 스토어는 대형업체가 개발하고 이동통신사가 판매하는 것이 아니라, 주로 개인이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여 판매하는 오픈 마켓으로서, 누구나 자신이 개발한 애플리케이션을 앱 스토어에서 이용자에게 팔 수 있다.
따라서, 소셜 네트워크서비스는 앱을 이용하는 이용자측면 뿐만이 아닌, 앱 개발자측면에서 이들이 자신의 앱을 등록하고 관리하며 앱 개발 및 등록에 대한 가이드를 받을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앱 개발자들이 자신의 앱을 쉽게 등록하고, 이를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앱 개발자가 자신의 앱을 이용하는 앱 이용자들의 피드백을 얻고 이에 대하여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웹 애플리케이션의 등록 및 관리를 지원하는 소셜 네트워크서비스 시스템의 서버가,
사용자로부터 웹 애플리케이션의 등록 요청 또는 수정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로부터 앱 기본 정보, 앱 이미지 또는 앱 사용료에 관련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단계별로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앱 기본 정보, 앱 이미지 또는 앱 사용료에 관련된 정보가 제한조건에 부합하지 않는 경우, 상기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웹 애플리케이션의 등록 및 관리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웹 애플리케이션의 등록 요청을 수신한 경우, 앱 개발자로서 상기 사용자가 등록되어 있는지를 판단하고, 미등록자인 경우 상기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로부터 앱 개발자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웹 애플리케이션이 게임 애플리케이션인 경우, 상기 사용자로부터 게임 등록 필증 정보를 수신하거나 게임 등급 심의에 필요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앱 개발자 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아이디, 이름, 이메일, 홈페이지(URL) 또는 대표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앱 기본 정보는 웹 애플리케이션의 이름, 카테고리, 상기 웹 애플리케이션이 설치 및 실행될 컨테이너에 대한 정보 또는 소스 코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앱 이미지는 웹 애플리케이션의 대표 이미지, 아이콘 또는 스크린 샷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앱 애플리케이션의 목록 제공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목록 제공 요청의 수신에 대응하여,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로 등록된 웹 애플리케이션들의 목록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목록은 상기 등록된 웹 애플리케이션의 심의에 관한 정보 및 서비스 진행상태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목록에 포함된 상기 서비스 진행상태에 대한 변경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웹 애플리케이션의 등록 및 관리를 지원하는 소셜 네트워크서비스 시스템으로서,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하는 송수신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의 종류를 분석하여, 이를 해당 데이터 처리부로 전달하는 제어부;
사용자의 아이디, 이름, 이메일, 홈페이지(URL) 또는 대표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처리하는 개발자 정보부;
웹 애플리케이션의 이름, 카테고리, 상기 웹 애플리케이션이 설치 및 실행될 컨테이너에 대한 정보 또는 소스 코드 중 적어도 하나를 처리하는 기본 정보부;
웹 애플리케이션의 대표 이미지, 아이콘 또는 스크린 샷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처리하는 이미지부;
웹 애플리케이션의 사용료와 관련된 데이터를 처리하는 유료 정보부;
게임 등록 필증 정보 또는 게임 등급 심의에 필요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처리하는 게임 정보부; 및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며, 상기 개발자 정보부, 상기 기본 정보부, 상기 이미지부, 상기 유료 정보부 및 상기 게임 정보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처리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를 포함하는 소셜 네트워크서비스 시스템이 제공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등록된 웹 애플리케이션의 심의에 관한 정보 및 서비스 진행상태에 관한 정보가 포함된 웹 애플리케이션들의 목록을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로 제공하는 앱 목록 제공부; 및 상기 목록에 표시된 상기 서비스 진행상태에 대한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의 변경 요청을 처리하는 상태 변경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앱 개발자들이 자신이 만든 앱을 쉽고 간결하게 등록할 수 있으며, 앱의 상태를 한눈에 파악하고 이를 관리하는 작업이 용이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앱 이용자들의 피드백을 앱 개발자들이 파악하고 이에 대하여 답변하거나 공지를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셜 네트워크서비스(SNS) 시스템 전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는 도 1에 도시된 SNS 서버(100) 내의 중앙처리부(12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앱 등록/관리부(14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 및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발자 등록 및 앱 등록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들이다.
도 4a 및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앱 등록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5 및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앱 관리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여기에 설명된 특정 실시예들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의 간략화와 명료성을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도시를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의도된다.
이하, 도 1 및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셜 네트워크 시스템을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셜 네트워크서비스(SNS) 시스템 전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a는 도 1에 도시된 소셜 네트워크서비스 서버(100) 내의 중앙처리부(12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2b는 도 2a의 앱 등록/관리부(14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소셜 네트워크서비스 시스템은 복수의 앱 개발자 단말기(10), 복수의 앱 이용자 단말기(20), 통신망(30) 및 소셜 네트워크서비스 서버(100)(이하, SNS 서버(100)이라 함)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앱 개발자 단말기(10)는 통신망(30)을 통해 SNS 서버(100)에 통신 접속을 이루고, 자신이 개발한 소셜 앱 (이하 단순히 "앱"이라 함)을 SNS 서버(100)에 등록하거나 이미 등록된 앱을 수정하거나 삭제하는 등 앱을 관리할 수 있다. 따라서, 앱 개발자 단말기(10)는 통신망(30)을 통하여 SNS 서버(100)에 접속한 후 통신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디지털 기기로서, 데스크탑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워크스테이션, PDA, 웹 패드, 휴대폰, 스마트폰 등과 같이 메모리 수단을 구비하고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탑재하여 연산 능력을 갖춘 디지털 기기라면 얼마든지 본 발명에 따른 앱 개발자 단말기(10)로서 채택될 수 있다.
한편, 앱 이용자 단말기(20) 역시 통신망(30)을 통해 SNS 서버(100)에 통신 접속을 이루고, 자신의 기호에 맞는 앱을 자신의 웹 브라우저에 설치하거나 이를 실행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앱 이용자"는 오너와 뷰어를 포함하며, 오너는 앱을 설치한(즉, 앱이 임베드된 웹 페이지를 소유한) 이용자이고, 뷰어는 앱을 실행시킨 주체, 즉 그 앱이 임베드된 웹 페이지에 대한 방문자를 의미한다.
다만, 앱 이용자 단말기(20)의 구성은 앱 개발자 단말기(10)와 크게 다르지 않으며, 통신망(30)을 통하여 SNS 서버(100)에 접속한 후 통신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디지털 기기로서, 전술한 바와 같이, 데스크탑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워크스테이션, PDA, 웹 패드, 휴대폰, 스마트폰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앱 이용자는 통상적으로 타인(즉, 다른 앱 개발자)이 제공한 앱을 이용하는 것이 보통이지만, 이와 동시에, 앱 이용자는 자신이 스스로 앱 개발자가 되어 자신이 개발한 앱을 등록하고 관리할 수도 있으므로, 앱 개발자 단말기(10)와 앱 이용자 단말기(20)는 서로 분리되어 있지 않고 통합될 수 있으며,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당업자는 앱 개발자 단말기(10) 및/또는 앱 이용자 단말기(20)가 입출력부 및 표시부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한편, 통신망(30)은 SNS 서버(100)와 앱 개발자 단말기(10) 및 앱 이용자 단말기(20)들 사이의 통신을 지원하는 네트워크이다. 통신망(30)을 구성하는 기반 통신 기술의 구성은 본 발명의 구현에 본질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또한, 통신망(30)은 유선 및 무선 등과 같이 그 통신 양태를 가리지 않으며, 정보 교환을 가능하게 하는 어떠한 종류의 통신 기술에 기초하여서도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정보 교환과정의 신뢰성 및 보안을 위한 공지의 다양한 기술이 통신망(30)에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SNS 서버(100)는 앱 개발자로부터의 앱 등록, 앱 수정 또는 앱 삭제 등의 요청을 입력받아 이에 대한 처리결과를 앱 개발자의 단말기(10)로 제공하고 이와 동시에 등록되거나 수정된 앱을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하고, 앱 이용자의 요구에 따라 선택된 앱을 컨테이너 상에서 설치하거나 실행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NS 서버(100)는 송수신부(110), 중앙처리부(120) 및 데이터베이스부(DB; 13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 1의 구성은 예시일 뿐이며, SNS 서버(100)의 구성요소 중 일부는 다른 일부와 통합되어 존재할 수도 있고 SNS 서버(100)의 외부에 별도로 존재할 수도 있다.
여기서, 송수신부(110)는 미리 정해진 통신 규격에 따라 외부 장치와 유무선 통신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구체적으로, 앱 개발자 단말기(10) 및 앱 이용자 단말기(20)로부터의 데이터를 입력받거나 앱 개발자 단말기(10) 및 앱 이용자 단말기(20)로 데이터를 출력하고, 예를들어, RF(Radio Frequency) 모듈 등의 무선 통신 모듈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소셜 앱은 SNS 서버(100)가 제공하는 소셜 데이터를 기반으로 동작하지만, 경우에 따라서 앱 개발자가 생성한 데이터나 제 3자가 생성한 데이터를 필요로할 수 있다. 예를들어, 게임 앱이라면 앱 개발자 서버에서 게임과 관련된 데이터를 가져와야 하는데, 다른 곳에 위치한 데이터를 '원격 데이터'라고 하며, 이의 통신을 위해서, 별도의 HTTP 프록시(proxy) 서버가 구비될 수도 있다.
중앙처리부(120)는 앱의 등록 및 관리 기능과 함께 앱을 이용자에게 제공하는 기능을 하며,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앱 등록/관리부(140)와 앱 제공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앱 등록/관리부(140)는 송수신부(110)로부터 수신한 앱 등록 내지 수정('삭제'를 포함. 이하 같다.) 요청에 대응하여 단계별로 등록/수정 절차를 수행하고, 그 처리 단계에 따른 결과들을 다시 송수신부(110)로 출력할 수 있다. 그러면, 그러한 처리 결과는 송수신부(110)로부터 앱 개발자 단말기(10)로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앱 등록/관리부(140)는 등록된 앱을 심의하는 앱 심의부(미도시)를 포함할 수도 있으며, 앱의 심의 절차에 있어서, 심의 결과와 관련된 외부 입력을 수신할 수도 있다. 앱 등록/관리부(140)의 자세한 구성은 후술하기로 한다.
또한, 앱 제공부(150)는 일반적인 앱 스토어의 기능을 하는 구성으로서, 앱 등록/관리부(140)와 링크되어, 심의가 완료된 앱을 이용자의 요청에 따라 컨테이너에 설치하거나 실행하는 절차를 제어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데이터베이스부(130)는 앱 개발자 단말기(10)로부터 전송된 앱을 비롯하여, 상기 앱의 등록 및 수정 절차에서 앱 개발자 단말기(10)로부터 입력된 각종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으며, 앱 개발자 단말기(10)는 물론 앱 이용자 단말기(20)와 관련된 각종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다만, 저장되는 정보의 종류 내지 성질에 따라서, 데이터베이스는 복수개로 나뉘어 존재할 수 있으며, 그 중 적어도 일부는 중앙처리부(120)의 구성 내에 포함될 수도 있고, 오히려 SNS 서버(100)와 유무선으로 연결된 채로 SNS 서버(100) 외부에 존재할 수도 있다.
도 2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앱 등록/관리부(140)는 기본 정보부(141), 이미지부(142), 유료 정보부(143), 게임 정보부(144), 개발자 정보부(145), 앱 목록 제공부(146), 상태 변경부(147) 및 제어부(148)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은 정보의 저장 또는 처리를 위하여 별도의 데이터베이스를 그 내부에 포함할 수도 있으며 전술한 데이터베이스부(130)와 연결되어 동작될 수도 있다.
기본 정보부(141)는 앱 이름, 앱 카테고리, 앱에 대한 설명 내지 소개, 앱 설치 플랫폼(또는 컨테이너) 및 앱 소스 코드 등 앱에 대한 기본 정보들을 앱 개발자 단말기(10)로부터 입력받아 저장 및 처리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앱 개발자 단말기(10)로부터 입력된 데이터를 직접 수신할 수도 있으나,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어부(148)를 통하여 수신할 수도 있다. 이는 앱 등록의 경우이나 앱 수정의 경우이나 마찬가지이다. 또한, 기본 정보부(141)는 입력된 앱 이름 내지 소개 등이 미리 설정된 형식이나 글자 수를 초과하는지 여부 등을 판단하여 이를 앱 개발자 단말기(10)로 통지할 수 있으며, 앱 카테고리에 대한 예시를 개발자에게 제공하고 이 중에서 선택하게 할 수 있다. 또한, 기본 정보부(141)는 앱 개발자 단말기(10)로부터 앱에 대한 기본 정보들을 입력받고, 이를 기초로 앱의 소스를 테스트하거나 테스트한 앱을 임시저장할 수 있다.
이미지부(142)는 앱의 신규등록시 또는 수정요청시, 앱 개발자 단말기(10)로부터 업로드된 앱에 관한 이미지들, 예를들어, 앱의 대표 이미지, 썸네일 이미지와 같은 앱 아이콘 이미지 및 앱 실행시의 주요 장면에 관한 스크린 샷 이미지 등을 저장하고 이를 처리할 수 있다. 이때, 이미지부(142)는 이미지들의 파일종류(예를들어, JPG, GIF 등) 내지 파일크기 등을 제한하고 조건에 맞는 이미지가 업로드 되었는지를 판단하고, 이를 앱 개발자 단말기(10)로 통지하는 기능을 할 수도 있다.
유료 정보부(143)는 앱 개발자의 요청에 따라, 앱들을 무료/유료 앱으로 구분하여 관리하고, 유료 앱인 경우는 앱 개발자로부터 정산 정보를 부가적으로 입력하도록 하고, 약관 동의 절차 및 계약서 날인 절차를 진행할 수 있다. 여기서 정산 정보는 예를들어, 계약 담당자에 대한 정보, 사업자 등록 번호, 계좌 번호, 계약서 송부 주소지, 아이템 가격 등에 대한 정보일 수 있으며, 유료 정보부(143)는 이를 앱 개발자 단말기(10)와 통신하고 저장 및 처리할 수 있다. 또한, 무료/유료 정보는 신규 등록시에는 특정 사용료 체계를 선택하였다가 추후 앱 개발자의 요청에 의하여 수정될 수도 있다.
게임 정보부(144)는 업로드된 앱이 게임 앱일 경우, 게임 등록 필증 정보(예를들어, 게임 등급, 등급 번호 등)를 입력받거나, 게임 등록 필증이 없는 경우는 게임 등급 심의에 필요한 양식을 웹 개발자 단말기(10)로부터 입력받아 이를 저장 및 처리할 수 있고, 등록시의 정보가 추후 변경되는 경우는 개발자의 요청에 따라 이를 반영하여 수정할 수 있다.
개발자 정보부(145)는 개발자 등록과 관련된 각종 정보를 저장하고 처리할 수 있으며, 등록시에는 물론이고 등록 이후 개발자의 요청에 따라 해당 정보들을 수정할 수도 있다. 개발자의 정보는 예를들어, 아이디, 개발자명, 이메일, 홈페이지(URL), 개발자의 대표 이미지, 개발자 소개 내지 설명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개발자 정보부(145)는 이러한 개발자에 관련된 정보를 입력받음과 함께, 개발자로부터 약관에 동의를 받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앱 등록/관리부(140)는 개발자의 아이디, 개발자명 또는 소개의 입력과 관련하여 글자수를 제한할 수도 있으며, 이메일이나 홈페이지의 형식 또는 개발자 대표 이미지 파일의 종류 등을 제한할 수도 있고 입력된 정보를 제한 조건과 비교 후 그 결과를 앱 개발자 단말기(10)로 통지할 수도 있다.
앱 목록 제공부(146)는 앱 개발자로부터의 요청이 있는 경우, 그자가 소유한 앱들을 리스트화하여 앱 개발자의 단말기(10)의 화면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앱 목록 제공부(146)는 데이터베이스부(130)에 저장된 앱을 판독하여 독출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상태 변경부(147)는 이미 등록된 앱을 수정하거나, 임시 중단하거나 삭제하고자 하는 앱 개발자의 요청에 대응하여, 앱 수정 요청인 경우는 앱 등록 절차와 유사한 절차를 통하여 각종 데이터를 입력받아 이를 반영하도록 기본 정보부(141), 이미지부(142), 유료 정보부(143) 및 게임 정보부(144)에 통지할 수 있고, 임시 중단 또는 삭제 요청인 경우는 이를 반영하여 앱 제공부(150)에 통지할 수 있다.
제어부(148)는 송수신부(110)와 연결되어, 앱 개발자 단말기(10)로부터 개발자 내지 앱의 등록/수정과 관련된 데이터를 수신하여, 그 수신된 정보의 종류를 판단하고, 이에 맞게 각각 기본 정보부(141), 이미지부(142), 유료 정보부(143), 게임 정보부(144) 및 개발자 정보부(145)로 배분 또는 전달하여 각각의 유닛에서 수신된 정보를 처리하도록 명령할 수 있으며, 앱의 관리와 관련하여, 앱 개발자 단말기(10)로부터 앱 목록 제공의 요청 및 상태 변경의 요청을 수신하고 이를 각각 앱 목록 제공부(146)와 상태 변경부(147)로 전달하여 앱 개발자의 요청에 응답할 것을 지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8)는 데이터베이스(130)와 연결되어, 필요한 경우, 데이터베이스(130)로의 정보의 기입 또는 데이터베이스로부터(130)의 정보의 판독의 제어에 관여할 수 있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앱등록/관리부(140)를 통한 앱 등록 절차를 살펴보기로 한다.
도 3a를 참조하면, 앱 개발자는 자신이 개발한 소셜 앱을 SNS 서버(100)에 등록하기 전에, 먼저 자신을 SNS 서버(100)에 앱 개발자로서 등록하여야 한다. 물론, 앱 개발자 등록 절차는 최초 1회로 족하고, 앱 등록을 할 때마다 개발자 등록이 선행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SNS 서버(100)는 앱 개발자 단말기(10)로부터 앱 등록 요청을 수신한 경우, 해당 앱 개발자가 그 소셜 네트워크서비스에, 즉 SNS 서버(100)에 등록된 앱 개발자인지 여부를 판단하고(S210), 등록이 되어 있다면, 앱 등록 절차를 개시하겠지만(S230), 개발자 등록이 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앱 개발자 단말기(10)에 이를 통지하여, 개발자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S220).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예를들어, SNS 서버(100)는 해당 소셜 네트워크서비스에 이용자(앱 개발자인지 여부는 불문)가 로그인한 경우, 로그인 영역에서, 앱 개발자 등록안내 문구와 함께 개발자 등록하기 탭(도 6의 (a), 550 참조)을 제공하여 개발자 정보 입력을 유도할 수 있으며, 이용자가 앱 등록하기(도 6의 (a), 520 참조)를 요청한 경우, 앱 개발자로 등록된 이용자가 아니라면, 팝업 창 등을 제공하여 개발자 정보 입력을 지시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개발자 등록 절차는 앱 개발자 단말기(10)로부터 아이디, 개발자명, 이메일, 홈페이지(URL), 개발자의 대표 이미지, 개발자 소개 내지 설명 등을 입력받고, 개발자 약관에 동의를 받는 절차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때 전술한 개발자 정보부(145)가 관여할 수 있으며, 개발자의 아이디, 개발자명 또는 소개의 입력과 관련하여 글자수를 제한하거나, 이메일이나 홈페이지의 형식 또는 개발자 대표 이미지 파일의 종류 등을 제한할 수도 있고, 입력된 정보를 제한 조건과 비교 후 그 결과를 앱 개발자 단말기(10)로 통지할 수도 있다. 따라서, 앱 개발자는 이러한 통지를 이용하여, 개발자 등록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다.
앱 개발자 단말기(10)로부터 앱 등록 요청을 수신하고, 해당 앱 개발자가 이미 해당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서 앱 개발자로 등록되어 있는 경우, SNS 서버(100)는 앱 등록/관리부(140)를 이용하여 요청된 앱을 등록할 수 있다. 앱 등록에 관한 세부 절차는 도 3b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도 3b의 각 단계는 도시된 순서와 달리, 그 순서가 바뀔 수 있고, 특정 단계는 생략될 수도 있다. 예를들어, 이미지 등록 절차 전에 유료 정보 또는 게임 정보에 대한 입력 절차가 이루어질 수 있으며, 게임 정보에 대한 입력 절차는 해당 앱의 종류에 따라서 게임 앱이 아니라면 생략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도시된 등록 절차의 각 단계로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도 3b의 절차는 앱의 등록뿐만 아니라, 앱의 수정에 있어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으므로, 이하 앱의 수정 절차와 관련하여 별도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구체적으로, 도 3b를 참조하면, 앱 등록/관리부(140)는 먼저, 앱 기본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S310). 여기서, 앱 기본 정보는 앱 이름, 앱 카테고리, 앱에 대한 설명 내지 소개, 앱 설치 플랫폼(또는 컨테이너) 및 앱 소스 코드 등 소셜 앱에 대한 기본 정보들일 수 있다.
다음으로, 앱 등록/관리부(140)는 예를들어, 앱의 대표 이미지, 아이콘 이미지 및 스크린 샷 이미지를 포함하는 앱 이미지를 입력받을 수 있다(S320).
다음으로, 앱 등록/관리부(140)는 해당 앱 사용료와 관련하여 무료/유료에 관한 데이터를 입력받을 수 있고, 유료 앱인 경우는 정산 정보를 추가로 입력받고 약관 동의 절차를 진행할 수 있다(S330). 여기서, 정산 정보는 예를들어, 계약 담당자에 대한 정보, 사업자 등록 번호, 계좌 번호, 계약서 송부 주소지, 아이템 가격 등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앱 등록/관리부(140)는 해당 앱이 게임 앱인 경우, 게임 등록 필증 유무에 대한 정보와 함께, 게임 등록 필증이 있는 경우는 예를들어, 게임 등급, 등급 번호 등을 추가로 입력받고, 게임 등록 필증이 없는 경우는 게임 등급 심의에 필요한 양식을 추가로 입력받을 수 있다.
다음으로, 앱 등록/관리부(140)는 앱 등록 절차와 관련하여 이제까지 앱 개발자로부터 입력받은 모든 데이터를 다시 앱 개발자의 단말기(10) 화면으로 전달하여, 앱 개발자가 오류 유무를 확인한 후 최종 등록 요청(내지 수정 요청)을 하도록 안내하고, 등록(내지 수정) 요청을 입력받아 등록(내지 수정)절차를 종료할 수 있다(단계 S340).
전술한 앱 등록절차와 관련하여, 도 4a에는 앱 기본 정보를 입력받는 경우, 앱 등록/관리부(140)(또는 기본 정보부(141))가 앱 개발자 단말기(10)의 표시부에 제공하는 화면을 일례로 도시하였으며, 도 4b에는 앱 이미지를 입력받는 경우, 앱 등록/관리부(또는 이미지부(142))가 앱 개발자 단말기(10)의 표시부에 제공하는 화면을 일례로 도시하였다. 다만, 앱 수정하기의 요청이 있는 경우에 앱 개발자 단말기(10)의 표시부에 제공되는 화면도 도 4a, 4b의 경우와 동일할 수 있다.
도 4a를 참조하면, 앱 개발자에게 제공되는 화면의 상측에는 상태 바(state bar; 310)가 제공되어, 앱 개발자로 하여금 전체 앱 등록절차 단계 중 해당 단계가 속하는 위치를 직관적으로 이해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앱 기본 정보 입력 탭(311), 대표 이미지 올리기 탭(312), 유료/게임 정보 입력 탭(313) 및 등록 요청 완료 탭(314) 중 현재 진행 중인 단계가 음영으로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는, 앱 기본 정보를 입력 단계로서, 앱 기본 정보 입력 탭(311)에 음영 표시되어 있고, 실시예에 따라서는 상태 바(310)의 바로 아래에는 현재 상태에 대한 안내문구(330)가 간략하게 제공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상태 바(310)의 하부에는 등록창(320)이 제공되어, 앱 기본 정보와 관련된 여러 항목이 순차적으로 나열되며, 앱 개발자는 각 항목의 우측에 있는 입력창(321 내지 325)에 각 항목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입력하면 된다. 이때, 각 입력창(312 내지 323)의 주변에는 "자세히 보기" 탭이 위치되어, 앱 개발자가 데이터 입력시 요구되는 제한사항 등에 따라서 기본 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안내되며, 특히, 입력창(325) 주변에는 "미리 보기" 탭이 위치되어 해당 입력된 앱 소스 코드의 테스트 결과를 앱 개발자가 바로 확인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또한, 도 4b를 참조하면, 앱 개발자 단말기(10)의 표시부 화면 상단에는 상태 바(310)가 제공되며, 앱 이미지 입력단계이므로, 대표 이미지 올리기 탭(312)에 음영 표시가 될 수 있고, 상태 바(310)의 바로 아래에 안내문구(330)가 표시되어 현재의 단계가 안내될 수 있다.
또한, 등록창(320)에는 앱 대표 이미지, 앱 아이콘 및 앱 미리보기 이미지 등의 앱 이미지와 관련된 항목들이 나열될 수 있다. 앱 개발자는 등록창(320) 내에 제공된 "이미지 올리기" 탭들을 이용하여 각 항목에 대응하는 이미지들을 업로드할 수 있고, 업로드된 이미지는 이미지창(331 내지 336)을 이용하여 바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이미지창(331 내지 336) 주변에는 "예시보기" 탭이 제공되어, 앱 개발자는 업로드하여야 할 이미지 파일의 종류 내지 크기 등에 대한 제한 사항을 확인하거나, 예시 이미지를 확인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앱 등록 절차는 단계별로 진행되면서, 각 단계에서 앱 개발자는 앱 등록/관리부(140)로부터 입력된 데이터가 형식 내지 조건에 맞는지 여부를 바로바로 통지받으며 올바른 등록정보를 입력하도록 가이드 되므로, 앱 등록을 보다 간편하고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도 5 및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앱 관리 기능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5 및 6은 앱 등록/관리부(140)가 등록된 앱의 관리를 돕기 위하여 앱 개발자 단말기(10) 표시부에 제공하는 화면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앱 등록/관리부(140)는 예를들어, 로그인 영역에 위치한 마이앱 탭(530)(도 6의 (a)참조)을 통하여 앱 개발자의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해당 앱 개발자가 등록한 앱들의 이름과 상태 등을 정렬하여 제공함으로써, 앱 개발자가 한눈에 그 앱들의 상태를 파악하고 이에 대응하게 할 수 있다.
즉, 앱 등록/관리부(140) 내에는 앱 목록 제공부(146) 및 상태 변경부(147)(도 2b참조)가 구비되어, 앱 개발자가 자신이 소유하고 있는 앱들(마이앱)의 목록을 쉽게 확인하고, 그 상태를 변경하게 할 수 있다.
예를들어, 도 5를 참조하면, 앱 개발자는 앱 상태 선택창(460)을 이용하여 특정 상태에 있는 앱들의 리스트만을 앱 목록 제공부(146)로부터 제공받거나, 자신이 등록한 전체 앱들의 리스트를 제공받을 수 있고, 제공된 앱 리스트들 중 상태 항목(420)을 통해서는 해당 앱이 등록후 심의 중인지, 심의가 종료되었는지 또는 심의 결과로서 등록반려되었는지 또는 심의 통과되었는지 등을 나타내는 심의에 관한 정보, 또는 등록된 앱이 중단된 상태인지, 서비스 중인지 등을 나타내는 서비스 상태에 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공된 앱 리스트 목록 상에는, 해당 앱의 등록일과 배포일이 포함될 수 있으며, 등록일이란, 앱 개발자가 자신의 앱을 SNS 서버(100)에 등록한 날을 의미하며, 배포일이란 등록된 앱의 심의가 완료되어, 심의 통과된 앱이 앱 제공부(150)에 제공되어 앱 이용자들이 해당 앱을 제공받을 수 있게 된 날을 의미한다.
또한, 앱 개발자는 기능 버튼(450)을 이용하여 해당 앱의 상태의 변경요청을 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앱 개발자는 수정 버튼(451)을 통하여, 해당 앱의 정보를 수정할 것을 앱 등록/관리부(140)에 요청할 수 있고, 임시 중단 버튼(452)을 이용하여 등록된 앱을 중단시키거나 삭제 버튼(453)을 이용하여 앱을 SNS 서버(100)의 데이터베이스부(130)에서 삭제할 것을 앱 등록/관리부(140)(또는 상태 변경부(147))에 요청할 수 있다.
한편, 도 6을 참조하면, 앱 등록/관리부(140)는 개발자의 로그인 영역의 알림 메모를 통해서도, 앱 등록은 물론 앱 개발자의 앱 관리를 도울 수 있다.
예를들어, 도 6을 참조하면, 앱 개발자가 SNS 서버(100)에 로그인 한 경우, 알림창(510)을 통하여 해당 개발자의 앱의 상태가 변경된 내용을 통지하고(511, 512), 이용자의 피드백 상황(513)을 통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로그인 영역에는 개발자 등록 정보 탭(540)이 제공되어 이미 등록된 개발자의 정보에 대한 수정요청을 할 수 있도록 하고, 앱 등록하기 탭(520)이 제공되어 신규로 앱 등록 요청을 할 수 있도록 하며, 마이 앱 탭(530)을 제공하여 개발자가 도 5와 같은 화면을 제공받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알림창(510)에는 등록된 앱의 상태가 심의 완료된 경우에만 통지되게 할 수 있고, 심의 중이라도 서류 요청 등 개발자에게 요청할 내용이 있는 경우에는 이 영역을 통해 통지할 수 있다.
따라서, 앱 개발자는 알림창(510)을 통한 앱 상태의 변경 내용을 간략하게 숙지한 후, 마이 앱 탭(530)을 이용하여 해당 앱을 포함하는 자신의 앱의 상태를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이용자의 피드백 상황(513)을 통지받은 앱 개발자는 이에 대하여 해당 앱이 설치된 컨테이너 상의 게시판이나 덧글 등의 기능을 이용하여 이용자의 피드 백에 대한 답을 신속하게 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앱 개발자는 SNS 서버(100)에 로그인함과 동시에 자신의 앱 상태와 관련하여 변경된 내용 유무 및 그에 대한 간략한 내용을 쉽게 알 수 있으며, 자신의 앱을 앱 제공부(150)를 통해 이용하는 이용자들의 피드백 상황을 바로바로 확인하여 이에 대응할 수 있게 된다.
10: 앱 개발자 단말기 20: 이용자 단말기
30: 통신망 100: SNS 서버
110: 송수신부 120: 중앙처리부
130: 데이터베이스부 140: 앱 등록/관리부

Claims (10)

  1. 웹 애플리케이션의 등록 및 관리를 지원하는 소셜 네트워크서비스 시스템의 서버가,
    사용자로부터 웹 애플리케이션의 등록 요청 또는 수정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로부터 앱 기본 정보, 앱 이미지 또는 앱 사용료에 관련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단계별로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앱 기본 정보, 앱 이미지 또는 앱 사용료에 관련된 정보가 제한조건에 부합하지 않는 경우, 상기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웹 애플리케이션의 등록 및 관리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웹 애플리케이션의 등록 요청을 수신한 경우, 앱 개발자로서 상기 사용자가 등록되어 있는지를 판단하고, 미등록자인 경우 상기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로부터 앱 개발자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애플리케이션의 등록 및 관리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웹 애플리케이션이 게임 애플리케이션인 경우, 상기 사용자로부터 게임 등록 필증 정보를 수신하거나 게임 등급 심의에 필요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애플리케이션의 등록 및 관리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앱 개발자 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아이디, 이름, 이메일, 홈페이지(URL) 또는 대표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애플리케이션의 등록 및 관리 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앱 기본 정보는 웹 애플리케이션의 이름, 카테고리, 상기 웹 애플리케이션이 설치 및 실행될 컨테이너에 대한 정보 또는 소스 코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애플리케이션의 등록 및 관리 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앱 이미지는 웹 애플리케이션의 대표 이미지, 아이콘 또는 스크린 샷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애플리케이션의 등록 및 관리 방법.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앱 애플리케이션의 목록 제공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목록 제공 요청의 수신에 대응하여,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로 등록된 웹 애플리케이션들의 목록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목록은 상기 등록된 웹 애플리케이션의 심의에 관한 정보 및 서비스 진행상태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애플리케이션의 등록 및 관리 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목록에 포함된 상기 서비스 진행상태에 대한 변경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애플리케이션의 등록 및 관리 방법.
  9. 웹 애플리케이션의 등록 및 관리를 지원하는 소셜 네트워크서비스 시스템으로서,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하는 송수신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의 종류를 분석하여, 이를 해당 데이터 처리부로 전달하는 제어부;
    사용자의 아이디, 이름, 이메일, 홈페이지(URL) 또는 대표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처리하는 개발자 정보부;
    웹 애플리케이션의 이름, 카테고리, 상기 웹 애플리케이션이 설치 및 실행될 컨테이너에 대한 정보 또는 소스 코드 중 적어도 하나를 처리하는 기본 정보부;
    웹 애플리케이션의 대표 이미지, 아이콘 또는 스크린 샷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처리하는 이미지부;
    웹 애플리케이션의 사용료와 관련된 데이터를 처리하는 유료 정보부;
    게임 등록 필증 정보 또는 게임 등급 심의에 필요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처리하는 게임 정보부; 및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며, 상기 개발자 정보부, 상기 기본 정보부, 상기 이미지부, 상기 유료 정보부 및 상기 게임 정보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처리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를 포함하는 소셜 네트워크서비스 시스템.
  10. 청구항 9에 있어서,
    등록된 웹 애플리케이션의 심의에 관한 정보 및 서비스 진행상태에 관한 정보가 포함된 웹 애플리케이션들의 목록을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로 제공하는 앱 목록 제공부; 및
    상기 목록에 표시된 상기 서비스 진행상태에 대한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의 변경 요청을 처리하는 상태 변경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셜 네트워크서비스 시스템.

KR1020100095593A 2010-09-30 2010-09-30 웹 애플리케이션 등록 및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6165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5593A KR101616536B1 (ko) 2010-09-30 2010-09-30 웹 애플리케이션 등록 및 관리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5593A KR101616536B1 (ko) 2010-09-30 2010-09-30 웹 애플리케이션 등록 및 관리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3861A true KR20120033861A (ko) 2012-04-09
KR101616536B1 KR101616536B1 (ko) 2016-05-02

Family

ID=461365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5593A KR101616536B1 (ko) 2010-09-30 2010-09-30 웹 애플리케이션 등록 및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653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3991B1 (ko) * 2012-05-24 2013-10-30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컨베이어 벨트의 개념을 이용한 모바일 앱 제작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서버
KR20140031422A (ko) * 2012-08-28 2014-03-13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사용자 상황에 따른 음악감상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140144603A (ko) * 2013-06-11 2014-12-19 주식회사 솔루윈 애플리케이션 편집 방법, 애플리케이션 편집 서비스 제공 서버, 애플리케이션 편집기 및 기록매체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19076A (ja) * 2000-05-12 2001-11-16 Samii Kk ゲームプログラムの投稿、審査、管理及び使用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3991B1 (ko) * 2012-05-24 2013-10-30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컨베이어 벨트의 개념을 이용한 모바일 앱 제작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서버
KR20140031422A (ko) * 2012-08-28 2014-03-13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사용자 상황에 따른 음악감상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140144603A (ko) * 2013-06-11 2014-12-19 주식회사 솔루윈 애플리케이션 편집 방법, 애플리케이션 편집 서비스 제공 서버, 애플리케이션 편집기 및 기록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6536B1 (ko) 2016-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58475B2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widget intercommunic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environment
CN107820701B (zh) 开发者交换系统
JP6270066B2 (ja) ブランドの自己識別、およびジェネリック電子デバイスにおけるブランディング済ファームウェアのインストール
RU2613732C2 (ru) Способ и система для службы мгновенного обмена сообщениями
AU2023258422A1 (en) System integrating a mobile device application creation, editing and distribution system with a website design system
US20140108943A1 (en) Method for browsing internet of things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US20110185354A1 (en) Mobile Application Delivery Management System
US20110238498A1 (en) Service stage for subscription management
US9483253B1 (en) Methods for customization of default applications on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WO201101470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ustomizing a user interface menu
US20210234774A1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Services and Applications
CN102448029A (zh) 用于提供多微博账户管理的手机客户端及其方法
US20170149708A1 (en) Methods, systems and apparatus for automated service requests and/or database building
KR20120137539A (ko)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JP2019133632A (ja) 情報処理システム、端末装置、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方法
US11461759B1 (en) System for transmitting customer data from a device
KR20120033861A (ko) 웹 애플리케이션 등록 및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291398B1 (ko) 전자서재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JP2019095850A (ja) 文書処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Kim Mobile Consumer Behavior
JP2017084049A (ja) 情報提供装置、および情報提供プログラム
Hyman Towards an understanding of mobile website contextual usability and its impact on mobile commerce
JP2007157082A (ja) 画像提供管理装置、画像提供管理システム、端末装置、およびコンピュータが実行するためのプログラム
KR20190089622A (ko) 이동 단말기 및 이에 의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서버 및 이에 의한 모바일 서비스 제공 방법
JP2012013724A (ja) 端末装置、情報配信装置、情報配信方法、情報配信プログラム、及び端末用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