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32747A - Water purifier having ice-maker - Google Patents

Water purifier having ice-mak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32747A
KR20120032747A KR1020100094249A KR20100094249A KR20120032747A KR 20120032747 A KR20120032747 A KR 20120032747A KR 1020100094249 A KR1020100094249 A KR 1020100094249A KR 20100094249 A KR20100094249 A KR 20100094249A KR 20120032747 A KR20120032747 A KR 201200327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ce
tray
water
water tank
cold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424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희도
이수윤
Original Assignee
웅진코웨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웅진코웨이주식회사 filed Critical 웅진코웨이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942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32747A/en
Publication of KR201200327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2747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18Storing ice
    • F25C5/182Ice bin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22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2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 F25C5/04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without the use of saws
    • F25C5/08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without the use of saws by heating bodies in contact with the 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oduction, Working, Storing, Or Distribution Of Ice (AREA)

Abstract

PURPOSE: A water purifier having an ice-maker is provided to prevent ice, getting smaller due to melted the ice, from being discharged in order to cool water in a cold water tank using the ice. CONSTITUTION: A water purifier having an ice-maker comprises an ice maker(110), an ice storage part(120), and a cold water tank(130). The ice storage part comprises an ice receiver(121) and a receiving part(122). The ice receiver stores ice falling from the ice maker and has multiple holes. The ice receiver is mounted on the receiving part that collects water, caused by melting the stored ice in the ice receiver, and the fallen ice because of getting smaller. At least one passage is formed between the receiving part of the ice storage part and the cold water tank in order to cool the stored water in the cold tank water by the small sized ice or the water collected in the lower part of the receiving part.

Description

얼음 정수기{WATER PURIFIER HAVING ICE-MAKER}Ice Water Purifier {WATER PURIFIER HAVING ICE-MAKER}

본 발명은 제빙되어 저장된 얼음들 중 녹아서 크기가 작아진 얼음들이 제거되게 하면서 제거된 잔얼음을 이용하여 냉수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얼음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ce water purifier configured to generate cold water using the removed ice, while melting and reducing ice among the iced and stored ice.

일반적으로 정수기는 수돗물과 같은 원수를 정수하여 사용자에게 냉,온수를 포함한 정수된 물을 공급하는 장치이다. 이와 같은 정수기의 기능에 제빙 기능이 부가되어 얼음의 제공이 가능한 얼음 정수기도 알려져 있다. In general, a water purifier is a device that supplies purified water including cold and hot water to users by purifying raw water such as tap water. An ice water purifier capable of providing ice by adding an ice making function to the function of such a water purifier is known.

종래의 얼음 정수기는 정수 탱크로부터 제빙용 원수를 공급받는 아이스 트레이가 구비되어 아이스 트레이에 수용된 제빙용 원수가 제빙기에 의해 냉각되어 얼음이 형성되도록 구성되고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원하는 경우 배출이 가능하도록 제빙된 얼음이 저장되고 있다. Conventional ice water purifiers are provided with an ice tray for receiving raw water for ice making from a purified water tank, and the raw ice water contained in the ice tray is cooled by an ice maker to form ice. And, ice is stored in the ice so that the user can discharge if desired.

그러나, 저장된 얼음은 일정 시간이 지남에 따라 외부 온도의 영향으로 녹아 제빙시 크기보다 점점 작아지게 된다. 제빙 후 상당한 시간이 지난 후 배출되는 얼음은 그 크기가 작아지게 되어 사용자의 불만 요소가 되고 있다. However, the stored ice melts under the influence of external temperature over time and becomes smaller than its size during ice making. The ice discharged after a considerable time after ice making becomes smaller and becomes a user's dissatisfaction factor.

이와 같이, 요구되는 크기 보다 작아진 얼음들은 제거되고, 정상적인 크기의 얼음들이 제공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기존의 얼음 정수기에는 이와 같은 구성이 결여되어 있다. As such, ice that is smaller than the required size is preferably removed and configured so that ice of normal size can be provided, but existing ice water purifiers lack such a configuration.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빙 기능이 구비된 얼음 정수기에서 발생하는 요구 또는 문제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인식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by recognizing at least one of the needs or problems occurring in the ice water purifier equipped with the conventional ice making function as described above.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제빙 후 녹아서 크기가 작아진 얼음의 배출을 억제하기 위해 잔얼음이 제거되도록 하는 것이다. On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move the ice in order to suppress the discharge of the ice is reduced by melting after ice making.

본 발명의 다른 일 목적은 제빙 후 녹아서 크기가 작아진 얼음을 냉수탱크에 저수된 물의 냉각을 위해 이용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make ice which is reduced in size after ice making available for cooling water stored in a cold water tank.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목적은 크기가 작아져 버려지게 되는 잔얼음을 이용하여 냉각수의 냉각이 가능하도록 하므로 냉각수의 냉각을 위한 에너지 절약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able the cooling of the cooling water by using the ice which is reduced in size to enable the energy saving for the cooling of the cooling water.

상기 과제들 중 적어도 하나의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 형태와 관련된 얼음 정수기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Ice wate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for realizing at least one of the above problems may include the following features.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제빙 후 녹아서 크기가 작아진 얼음의 배출이 억제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기초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basically based on being configured to suppress the discharge of ice, which is reduced in size by melting after ice making.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얼음 정수기는 본체 내부에 제빙기와 얼음 저장부와 냉수탱크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얼음 저장부는 제빙기로부터 낙하된 얼음들이 저장되며, 얼음들 중 녹아서 크기가 작은 얼음이 낙하되도록 복수의 구멍이 형성된 얼음받이와; 얼음받이가 장착되며, 얼음받이에 저장된 얼음들로부터 녹은 물과 크기가 작아져 낙하된 얼음이 수집되는 수용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얼음 저장부의 수용부와 냉수탱크 사이에는 하나 이상의 유로가 형성되어 수용부의 하부로 집수된 물 또는 크기가 작은 얼음에 의해 냉수탱크에 저수된 물을 냉각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Ice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with an ice maker, an ice storage unit and a cold water tank inside the body. Here, the ice storage unit is to store the ice falling from the ice maker, the ice tray formed with a plurality of holes so that the small size of the ice is melted from the ice falls;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n ice tray is mounted, the receiving portion is collected from the ice stored in the ice tray and the size of the ice is dropped down to collect the ice. In addition, one or more flow paths may be formed between the receiving portion of the ice reservoir and the cold water tank to cool the water stored in the cold water tank by the water collect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receiving portion or by the small ice.

이 경우, 얼음받이는 얼음 중량이 5g 미만의 잔얼음이 통과되어 수용부로 낙하 하도록 프레임 구조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복수의 구멍이 형성되는 플레이트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그리고, 얼음받이는 크기가 작은 얼음이 이중 낙하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In this case, the ice tray may be made of a frame structure such that ice weight of less than 5 g passes through the ice and falls into the receiving portion, or may be made of a plate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holes are formed. In addition, the ice tray may be configured to allow the small ice to fall down.

한편, 유로는 수용부의 저부와 냉수탱크의 저부가 연결되는 유로와 얼음받이의 하부측 영역과 인접한 어느 일 측면 영역에 형성되는 유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냉수탱크에는 드레인관이 더 연결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flow path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flow path that is formed in any one side region adjacent to the bottom region of the ice tray and the flow path is connected to the bottom of the receiving portion and the bottom of the cold water tank. In addition, the drain pipe may be further connected to the cold water tank.

다른 한편, 얼음 저장부에는 얼음을 배출시키기 위한 공급 스크류가 더 구비될 수 있고, 이 경우, 공급 스크류의 하부에 얼음받이가 배치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ice storage unit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 supply screw for discharging the ice, in this case, the ice tray may be dispos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supply screw.

또한, 제빙기는 아이스 트레이와 제빙을 위한 열교환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아이스 트레이는 제빙된 얼음이 얼음 저장부 또는 냉수탱크로 선택되어 낙하 가능하도록 회전 가능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The ice maker may also comprise an ice tray and a heat exchanger for ice making. In this case, the ice tray may be configured to be rotatable so that the iced ice can be dropped into the ice storage unit or the cold water tank.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제빙 후 녹아서 크기가 작아진 얼음의 배출을 억제하기 위해 잔얼음이 제거되도록 하므로 잔얼음의 배출로 인한 사용자의 불만을 해소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ice is removed in order to suppress the discharge of the ice that is reduced in size by melting after ice making, it is possible to solve the user's dissatisfaction due to the discharge of the ice.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제빙 후 녹아서 크기가 작아진 얼음을 냉수탱크에 저수된 물의 냉각을 위해 이용 가능하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ce which is reduced in size after melting is available for cooling the water stored in the cold water tank.

그리고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크기가 작아져 버려지는 잔얼음을 이용하여 냉각수의 냉각이 가능하도록 하므로 냉각수의 냉각을 위한 에너지 절약이 가능하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cooling of the cooling water is possible by using the ice that is reduced in size, energy saving for the cooling of the cooling water is possible.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얼음 정수기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단면도이다.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제빙기에 의해 얼음이 생성된 후 얼음 저장부로 얼음을 유입시키기 위한 위치로 아이스 트레이가 회전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c는 도 1a에 도시된 제빙기에 의해 얼음이 생성된 후 냉수탱크로 얼음을 유입시키기 위한 위치로 아이스 트레이가 회전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a의 선 "A-A"를 따라 절개한 평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a에 도시된 얼음 저장부에 장착되는 얼음받이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Figure 1a is a front 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ice wate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B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ice tray is rotated to a position for introducing ice into the ice storage unit after the ice is generated by the ice maker shown in FIG. 1A.
FIG. 1C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ice tray is rotated to a position for introducing ice into a cold water tank after ice is generated by the ice maker shown in FIG. 1A.
FIG. 2 is a cross-sectional plan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1A.
3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ice tray mounted on the ice storage unit shown in FIG. 1A.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얼음 정수기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겠다. In order to help understand the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spect to the ice water purifier associated with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가장 적합한 실시예들을 기초로 하여 설명될 것이며,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과 같이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예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래 설명된 실시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based on embodiments best suited for understanding the technic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by the illustrated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as illustrated embodiments.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dified in various ways with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and such modified embodiments fall with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그리고,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기재된 부호에 있어서, 각 실시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연장 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 In order to facilitate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s to be described below, in the reference numerals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among the constituent elements which perform the same function in each embodiment, the related constituent elements are indicated by the same or an extension line number.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들은 기본적으로 제빙 후 녹아서 크기가 작아진 얼음의 배출이 억제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기초로 한다. Embodiments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basically based on being configured to suppress the discharge of the reduced size ice by melting after ice making.

도 1a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얼음 정수기(100)는 본체(101)내부에 제빙기(110)와 얼음 저장부(120) 및 냉수탱크(1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1A, the ice water purifi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ice maker 110, an ice storage unit 120, and a cold water tank 130 inside the body 101. Can be.

이 경우, 얼음 저장부(120)는 제빙 후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녹아 그 크기가 작아진 잔얼음을 제거하기 위하여 얼음받이(121)와 얼음받이(121)에 의해 제거되는 잔얼음과 얼음으로부터 녹은 물이 수집 가능한 상태로 상기 얼음받이(121)가 장착되는 수용부(12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ice storage unit 120 is melted over time after ice making and melted from the ice and ice removed by the ice tray 121 and the ice tray 121 in order to remove the small ice that the size is smaller.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receiving portion 122 to which the ice tray 121 is mounted in a state in which water can be collected.

좀더 구체적인 예를 들어 설명하면, 상기 얼음 저장부(120)에 구비되는 얼음받이(121)는 상기 제빙기(110)로부터 낙하된 얼음들이 저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얼음받이(121)는 저장된 얼음들 중 시간이 경과하면서 주위 온도에 의해 녹아 크기가 작아진 얼음들이 밑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정상적인 크기의 얼음들은 저장된 상태가 유지되고, 크기가 작은 얼음들이 낙하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얼음받이(121)는 수용부(122)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For example, the ice tray 121 provided in the ice storage unit 120 may be configured to store ice falling from the ice maker 110. In this case, the ice tray 121 may be used. The ice may be configured to allow the ice that has been melted down by the ambient temperature over time to be reduced in size. That is, the ice of normal size may be configured to remain stored and to allow the ice of small size to fall. On the other hand, the ice tray 121 may be configured to be detachable to the receiving portion (122).

이와 같이, 크기가 작은 얼음들의 낙하를 위해 상기 얼음받이(121)는 복수의 구멍이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언급한 것과 같이, 상기 얼음받이가 장착되는 수용부(122)는 상기 얼음받이(121)를 통과하여 낙하되는 작은 크기의 얼음 뿐만 아니라 저장된 얼음들로부터 녹은 물이 집수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As such, the ice tray 121 may have a plurality of holes for falling of small ice cubes. And, as mentioned above, the receiving portion 122 to which the ice tray is mounted is configured to collect not only a small size of ice falling through the ice tray 121 but also melted water from the stored ice. .

그리고, 냉수탱크(130)는 상기 얼음 저장부(120)의 일측 영역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수용부(122)와 냉수탱크(130)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로(122a,122b)가 형성되어 상기 수용부(122)로 집수된 물 또는 낙하된 잔얼음에 의해 냉수탱크에 저수된 물(정수)이 냉각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cold water tank 130 may be disposed adjacent to one region of the ice storage unit 120. In this case, at least one flow path 122a and 122b is formed between the accommodating part 122 and the cold water tank 130 to store water in the cold water tank due to water collected by the accommodating part 122 or falling ice. The purified water may be configured to cool.

다시 말해서, 상기 유로(122a,122b)를 통해 냉수탱크(130)의 물과 수용부(122)에 집수된 물과 잔얼음이 서로 섞이게 되어 열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얼음이 녹아 형성된 낮은 온도의 물과 잔얼음과의 열교환으로 인하여, 냉수탱크(130)에 저수된 물(정수)은 온도가 낮아지게 되므로 냉수가 될 수 있다. In other words, the water of the cold water tank 130 and the water collected in the accommodating part 122 may be mixed with each other through the flow passages 122a and 122b to allow heat exchange. In this case, due to the heat exchange between the low temperature water and the ice formed by melting ice, the water (pure water) stored in the cold water tank 130 may be cold water because the temperature is lowered.

즉, 상기 얼음받이(121)로부터 낙하된 녹은 물과 잔얼음들을 이용하게 되므로, 냉수를 만들기 위하여 소요되는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낮출 수도 있다. 한편, 주위 온도에 의해 녹아서 크기가 작아진 얼음은 얼음받이(121) 아래로 낙하되어 제거가 가능하게 되므로, 정상적인 크기의 얼음들이 배출되어 사용자에게 공급될 수 있다. That is, since the molten water and the ice cubes dropped from the ice tray 121 are used, energy required for making cold water may be efficiently lowered. On the other hand, since the ice melted by the ambient temperature is reduced in size down to the ice tray 121 to be removed, ice of normal size may be discharged and supplied to the user.

이 경우, 일반적으로 알려진 얼음 정수기의 경우와 같이, 공급 스크류(124)가 더 구비되어 얼음 저장부(120)에 저장된 얼음을 배출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얼음 저장부(120)는 공급 스크류(124)의 작동으로 인해 얼음을 사용자에게 공급하게 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상기 얼음받이(121)에 의해 잔얼음이 제거된 상태에서 정상적인 크기의 얼음들만 상기 공급 스크류(124)에 의해 정수기(100)의 본체(101) 밖으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In this case, as in the case of generally known ice water purifier, the supply screw 124 may be further provided to be configured to discharge the ice stored in the ice storage unit 120. The ice storage unit 120 may supply ice to the user due to the operation of the supply screw 124. In this case, only ice having a normal size in the state where the ice is removed by the ice tray 121 is removed. The supply screw 124 may be to be discharged out of the body 101 of the water purifier 100.

그리고, 상기 수용부(122)에 장착되는 얼음받이(121)는 공급 스크류(124)의 하부 위치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빙된 얼음은 얼음 저장부(12)의 얼음받이(121) 영역으로 공급되어 저장되고 얼음받이(121)에 의해 저장된 정상적인 크기의 얼음들이 얼음받이(121) 상부 영역에 존재하게 되므로, 정상적인 크기의 얼음들이 공급 스크류(124)에 의해 배출되어 사용자에게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다. In addition, the ice tray 121 mounted on the accommodation portion 122 may be disposed at a lower position of the supply screw 124. In this case, the iced ice is supplied to and stored in the ice tray 121 of the ice storage unit 12, and ice of normal size stored by the ice tray 121 exists in the upper area of the ice tray 121. Ice of normal size may be discharged by the supply screw 124 to supply the user.

한편, 상기 유로(122a,122b)는 상기 냉수탱크(130)에 저수된 물과 교류(열교환)이 보다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수용부(122)의 저부와 냉수탱크(130)의 저부가 서로 연결되도록 하기 위한 유로(122a)와 얼음받이(121)의 하부측 영역과 인접한 어느 일 측면 영역에 형성되는 유로(122b)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flow path (122a, 122b) is connected to each other and the bottom of the cold water tank 130 and the bottom of the receiving portion 122 to facilitate the exchange (heat exchange) with the water stored in the cold water tank 130 more smoothly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flow path (122a) and a flow path (122b) formed in any one side region adjacent to the lower region of the ice tray 121 for.

상기와 같이 얼음받이(121)의 구성에 의해 녹은 얼음물과 잔얼음의 배출로 인하여 얼음 저장부(120)로부터 유입되는 물의 양으로 인해 냉수탱크(130)의 수위가 높아질 수 있다. 이 경우 설정 수위를 넘지 못하도록 상기 냉수탱크(130)에는 드레임관(132)이 더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Due to the configuration of the ice tray 121 as described above, the water level of the cold water tank 130 may be increased due to the amount of water introduced from the ice storage unit 120 due to the discharge of the ice water and ice. In this case, the drain water pipe 132 may be further connected to the cold water tank 130 so as not to exceed the set water level.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급수관(131)으로부터 유입되는 물(정수)에 얼음 저장부(120)로부터 유입되는 얼음물과 잔얼음이 더해져 냉수탱크(130)에 저수되는 물이 설정 수위를 넘지 않게된다. By such a configuration, ice water and small ice introduced from the ice storage unit 120 are added to the water (purified water) flowing from the water supply pipe 131 so that the water stored in the cold water tank 130 does not exceed the set water level.

한편, 제빙기(110)는 실질적으로 얼음을 생성시키는 열교환기(111)의 하부 위치에 제빙수 트레이(112b)와 제빙 트레이(112a)가 구비된 아이스 트레이(112)가 회전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ice maker 110 may be configured to be rotatable ice tray 112 is provided with an ice tray 112b and an ice tray 112a at a lower position of the heat exchanger 111 that substantially generates ice. .

도 1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아이스 트레이(112)가 열교환기(111) 하부에 배치된 상태에서 제빙 트레이(112a)에 물이 유입되어 열교환기(111)의 하측 일부 영역이 물에 담궈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1A, water is introduced into the ice making tray 112a while the ice tray 112 is disposed below the heat exchanger 111 so that a portion of the lower side of the heat exchanger 111 is immersed in water. Can be.

도 1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빙 트레이(112a)에 유입된 물 중 일부가 열교환(111) 하부에서 얼음으로 제빙된 후에 아이스 트레이(112)가 회전하여 열교환기(111)로부터 제빙된 얼음이 낙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빙 트레이(112a)에 저수된 물은 제빙수 트레이(112b)로 이동하게 되고, 또한, 열교환기(111)로부터 낙하되는 얼음은 제빙수 트레이(112b)에 안내되어 상기 설명된 얼음 저장부(120)로 유입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1B, after some of the water flowing into the ice making tray 112a is iced under the heat exchange 111, the ice tray 112 is rotated so that the ice made from the heat exchanger 111 falls. Can be. In this case, the water stored in the ice making tray 112a moves to the ice making tray 112b, and the ice falling from the heat exchanger 111 is guided to the ice making tray 112b to store the ice described above. It may flow into the unit 120.

도 1c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빙된 얼음이 냉수탱크(130)로 직접 낙하하도록 상기 아이스 트레이(112)가 더 회전되게 구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경우, 상기 냉수탱크(130)에는 냉수를 형성시키기 위한 열교환기가 구비되지 않고도 제빙기(110)로부터 낙하되는 얼음과 상기 얼음 저장부(120)로부터 유입되는 얼음물 및 잔얼음에 의해 냉수가 형성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1C, the ice tray 112 may be further rotated such that iced ice directly falls into the cold water tank 130. In this case, the cold water tank 130 has cold water due to ice falling from the ice maker 110 and ice water and ice from the ice storage unit 120 without the heat exchanger for forming cold water. Can be formed.

다른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제빙기(110)는 열교환기(111)가 얼음 저장부(120)의 상부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아이스 트레이(112)의 회전 상태는 열교환기(111)로부터 얼음이 바로 얼음 저장부(120)로 낙하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although not shown, the ice maker 110 has a heat exchanger 111 is disposed in the upper position of the ice storage unit 120, the rotation state of the ice tray 112 is the ice from the heat exchanger 111 This may be configured to fall directly to the ice storage unit 120.

이와 같은 제빙기(110)의 구성과 배치되는 위치는 공지된 기술들과 더불어 상기 설명을 통해 당업자가 충분히 적용 가능하기 때문에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The configuration and arrangement of such an ice maker 110 are well applica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rough the above description along with known techniques, and thu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얼음 저장부(120)의 얼음받이(121)의 구성에 관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Referring to Figures 2 and 3 an embodiment of the configuration of the ice tray 121 of the ice storage unit 120 as follows.

상기 얼음받이(121)는 실제 잔얼음이 통과하도록 구성되는얼음 트레이(121b)와 수용부(122)에 결합시키기 위한 장착부(121a)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얼음 트레이(121b)는 잔얼음이 통과되어 상기 수용부(122)로 낙하할 수 있도록 프레임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이와 달리, 복수의 구멍이 형성되는 플레이트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장착부(121a)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거치 가능한 구조 또는 결합 가능한 다양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ice tray 121 may include an ice tray 121b configured to pass actual ice, and a mounting portion 121a for coupling to the receiving portion 122. In this case, the ice tray 121b may be formed in a frame structure so that the ice ice may pass and fall into the receiving portion 122. Alternatively, the ice tray 121b may be formed in a plate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holes are formed. In addition, the mounting portion 121a may be formed of a generally known mountable structure or various structures that can be combined.

한편, 상기 얼음 트레이(121b)는 약 5g 미만의 중량을 갖는 얼음이 통과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장착부(121a)는 상기 얼음 트레이(121b)의 어느 일 측에 구비되어 상기 수용부(122)와 냉수탱크(130)의 경계를 이루는 벽에 걸쳐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ice tray 121b may be configured to pass ice having a weight of less than about 5g. In addition, the mounting portion 121a may b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ice tray 121b so as to span a wall forming a boundary between the accommodation portion 122 and the cold water tank 130.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얼음받이(121)는 크기가 작은 잔얼음이 이중 낙하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일 예로, 얼음이 얹혀질 수 있는 영역이 상부와 하부에 서로 엇갈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잔얼음이 통과하게 되는 구멍들이 상부와 하부에 서로 엇갈리도록 형성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3, the ice tray 121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small ice cubes may be dropped twice. As an example of such a configuration, an area on which ice may be placed may be configured to alternate with each other i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In other words, the holes through which the ice passes can be formed so as to cross each other at the top and the bottom.

상기와 같이 설명된 얼음 정수기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한하여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The ice water purifier described above is not applicable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ut the embodiments may be configured by selectively combining all or some of the embodiments so tha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100 ... 얼음 정수기 110 ... 제빙기
111 ... 열교환기 112 ... 아이스 트레이
120 ... 얼음 저장부 121 ... 얼음받이
122 ... 수용부 122a,122b ... 유로
130 ... 냉수탱크 131 ... 급수관
132 ... 드레인관
100 ... ice water purifier 110 ... ice maker
111 ... heat exchanger 112 ... ice tray
120 ... ice reservoir 121 ... ice tray
122 ... accommodation 122a, 122b ... flow path
130 ... cold water tank 131 ... water line
132 ... drain pipe

Claims (7)

본체 내부에 제빙기와 얼음 저장부와 냉수탱크가 구비되는 정수기에 있어서,
상기 얼음 저장부는
상기 제빙기로부터 낙하된 얼음들이 저장되며, 상기 얼음들 중 녹아서 크기가 작은 얼음이 낙하되도록 복수의 구멍이 형성된 얼음받이와;
상기 얼음받이가 장착되며, 상기 얼음받이에 저장된 얼음들로부터 녹은 물과 크기가 작아져 낙하된 얼음이 수집되는 수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얼음 저장부의 수용부와 냉수탱크 사이에는 하나 이상의 유로가 형성되어 상기 수용부의 하부로 집수된 물 또는 크기가 작은 얼음에 의해 냉수탱크에 저수된 물을 냉각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 정수기.
In a water purifier provided with an ice maker, an ice storage unit and a cold water tank inside the main body,
The ice storage unit
An ice tray in which ice drops from the ice maker are stored, and a plurality of holes are formed to melt among the ice to drop small ice;
The ice tray is mounted, the receiving portion is collected from the ice stored in the ice tray and the water is reduced in size and the falling ice is collected;
One or more flow paths are formed between the receiving portion and the cold water tank of the ice storage unit to cool the water stored in the cold water tank by water collect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receiving portion or small ice.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얼음받이는 얼음 중량이 5g 미만의 잔얼음이 통과되어 상기 수용부로 낙하 하도록 프레임 구조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복수의 구멍이 형성되는 플레이트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 정수기. The ice purifi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ce tray has a frame structure or a plate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holes are formed so that ice cubes having a weight of less than 5 g pass through and fall into the receiving portion.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얼음받이는 크기가 작은 얼음이 이중 낙하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 정수기. The ice water purifier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ice tray is configured to double-fall 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는 수용부의 저부와 냉수탱크의 저부가 연결되는 유로와 얼음받이의 하부측 영역과 인접한 어느 일 측면 영역에 형성되는 유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 정수기. 2. The ice as claimed in claim 1, wherein the flow path comprises at least one of a flow path connected to a bottom of a receiving part and a bottom of a cold water tank, and a flow path formed in one side area adjacent to a lower area of the ice tray. water purifi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냉수탱크에는 드레인관이 더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 정수기. The ice water purifier of claim 1, wherein a drain pipe is further connected to the cold water tank. 제 1 항에 있어서, 얼음 저장부에는 얼음을 배출시키기 위한 공급 스크류가 더 구비되고, 상기 공급 스크류의 하부에 얼음받이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 정수기. The ice water purifier of claim 1, wherein the ice storage unit further includes a supply screw for discharging ice, and an ice tray is disposed under the supply screw.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빙기는 아이스 트레이와 제빙을 위한 열교환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아이스 트레이는 제빙된 얼음이 얼음 저장부 또는 냉수탱크로 선택되어 낙하 가능하도록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 정수기. The ice maker of claim 1, wherein the ice maker comprises an ice tray and a heat exchanger for ice making, and the ice tray is configured to be rotatable such that iced ice is selected as an ice storage unit or a cold water tank to be dropped. Ice water purifier.
KR1020100094249A 2010-09-29 2010-09-29 Water purifier having ice-maker KR20120032747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4249A KR20120032747A (en) 2010-09-29 2010-09-29 Water purifier having ice-mak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4249A KR20120032747A (en) 2010-09-29 2010-09-29 Water purifier having ice-mak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2747A true KR20120032747A (en) 2012-04-06

Family

ID=461356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4249A KR20120032747A (en) 2010-09-29 2010-09-29 Water purifier having ice-mak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32747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1371Y1 (en) * 2012-09-07 2014-02-18 양영호 Storeroom of water purifier for fast ice making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1371Y1 (en) * 2012-09-07 2014-02-18 양영호 Storeroom of water purifier for fast ice mak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232953C1 (en) Ice generator
KR100714559B1 (en) Ice tray assembly used in a refrigerator
JP2004191045A (en) Ice making machine
JP2004325064A (en) Ice making mechanism for ice maker
JP2009079839A (en) Ice-making water tank of automatic ice-making machine
JP2010096410A (en) Refrigerator
JPH0749163A (en) Icemaker
US20150300716A1 (en) Ice maker
JP2003279210A (en) Ice making apparatus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KR20120032747A (en) Water purifier having ice-maker
KR20110109087A (en) Ice maker
KR20110054759A (en) Ice maker
KR20120004057A (en) Water purifier
JP5405064B2 (en) Flowing ice machine
KR101008669B1 (en) Ice manufacturing apparatus and ice manufacturing method using the same
KR20160138821A (en) Water purifier having Ice Maker for Preventing Inner Pollution
KR20100135534A (en) Ice guiding grill and ice maker having the same
KR101647639B1 (en) Water purifier having ice-maker capable of supplying instant cold water
KR101647651B1 (en) Ice maker
JP6510352B2 (en) Ice maker
KR101665138B1 (en) Water intake apparatus for Water purifier with ice maker
JP2002257442A (en) Automated ice making machine
KR102333355B1 (en) Water purifier having ice-maker
CN220338757U (en) Ice making and water purifying integrated machine
JP2006017401A (en) Cell type ice mak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