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30800A - Apparatus for treating collected materials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treating collected material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30800A
KR20120030800A KR1020100092546A KR20100092546A KR20120030800A KR 20120030800 A KR20120030800 A KR 20120030800A KR 1020100092546 A KR1020100092546 A KR 1020100092546A KR 20100092546 A KR20100092546 A KR 20100092546A KR 20120030800 A KR20120030800 A KR 201200308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dust collecting
rotary valve
container
collecting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254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197849B1 (en
Inventor
유정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000925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7849B1/en
Publication of KR201200308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080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78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784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9/00Auxiliary measures taken, or devices used, in connection with loading or unloading
    • B65G69/18Preventing escape of dust

Abstract

PURPOSE: An apparatus for treating collected materials is provided to smoothly transfer, store, and release collected materials to a hopper and to prevent the leakage of the collected materials based on an air-tightened line and a sucking unit. CONSTITUTION: An apparatus(1) for treating collected materials includes a dust collector(10), a collected material accumulating container(30), a collected material sucking unit(50), and a collected material storing container(70). The dust collector includes a releasing unit(12). The collected material accumulating container is in connection with the dust collector. The collected material sucking unit is in connection with the collected material accumulating container. The collected material storing container stores and releases the transferred collected materials. The releasing unit includes a forward/reverse screw releasing unit(14) and/or a rotary valve(16).

Description

집진물 처리장치{Apparatus for Treating Collected Materials}Apparatus for Treating Collected Materials

본 발명은 집진 더스트와 같은 집진물의 원활한 운송, 저장 및 불출을 구현한 집진물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제철공장의 성형탄 제조시 또는 기타 석탄 처리시 발생되는 (미분) 더스트와 같은 집진물을 설비에서 누출되지 않도록 하면서 불출설비(호퍼) 로의 원활한 운송, 저장 및 불출을 가능하게 하여, 긍극적으로 집진물에 의한 설비 막힘이나 누출에 따른 외부 환경 오염 등을 효과적으로 방지 가능하게 한 집진물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treating dust collection that implements smooth transportation, storage, and discharging of dust, such as dust collecting dust, and more particularly, a house such as (dust) dust generated during the production of coal briquettes or other coal processing in an iron mill. Dust collection material that enables the smooth transportation, storage and dispensing of discharging equipment to the dispensing equipment (hopper) while preventing dust from leaking out of the equipment, and effectively prevents clogging of equipment by external dust collection and external environmental pollution due to leakage. It relates to a processing apparatus.

제철공장에서 석탄을 사전 처리하는 건조설비(CMCP:Coal Moisture Control Process)를 이용한 코크스를 생산하기 위하여 석탄의 수분을 대략 3~4% 정도 제거하는데, 건조기에서의 석탄 건조시에는 건조기 내부에서 입도가 0.15mm 이하의 미분 더스트와 증기가 발생된다. To produce coke using the Coal Moisture Control Process (CMCP) in steel mills, Coal Moisture removes about 3 ~ 4% of the moisture. Fine dust dust and vapor less than 0.15mm are generated.

이와 같은 미분 더스트는 미분호퍼에 저장된 후, 바인더, 물 등으로 혼합기에서 (미건조) 석탄과 혼합된 후, 성형탄 제조시 석탄과 함께 성형기로 공급된다.This fine dust is stored in the fine hopper, mixed with (undried) coal in a mixer with a binder, water, and the like, and then fed to the molding machine together with coal in the manufacture of coal briquettes.

그런데, 이와 같은 미분 더스트와 미건조 석탄은, 각각의 저장설비(호퍼)에서 혼합기로 투입되기 위하여는 운송설비 예컨대, 버켓형 컨베이어 설비를 이용하게 된다.However, such fine dust and undried coal use a transport facility, for example, a bucket type conveyor facility, to be introduced into the mixer in each storage facility (hopper).

예를 들어, 미분 더스트와 미건조 석탄이 공급되면, 벨트에 구비된 버켓의 수평 이동(컨베이어 하부)후 상승(컨베이어 상승부) 및 수평 이동(컨베이어 상부)을 통하여 상기 더스트와 석탄의 운송물은 상승 운송된다.For example, when fine dust and undried coal are supplied, the transport of dust and coal rises through the horizontal movement (lower conveyor) of the bucket provided on the belt and then the ascending (conveyor lift) and horizontal movement (upper conveyor). Transported.

한편, 별도의 도면으로 도시하지 않았지만, 집진기에서 집진된 미분 더스트를 호퍼로 불출하기 위하여는 집진기 하부의 스크류 불출기구와 로터리 밸브를 이용하고, 이와 연계된 스크류 컨베이어를 통하여 호퍼에 더스트를 불출 저장하였다.On the other hand, although not shown in a separate drawing, in order to discharge the dust dust collected in the dust collector to the hopper using a screw dispensing mechanism and a rotary valve in the lower part of the dust collector, the dust is stored in the hopper through a screw conveyor associated with it .

따라서, 종래의 경우 단순하게 집진기에서의 더스트 불출시 더스트의 고착 등이 발생되면 불출이 원활하게 이루어 지지 않음은 물론, 완전한 밀폐공간을 통하여 더스트가 호퍼로 운송되지 않기 때문에, 더스트의 비산이 발생되었다.Therefore, in the conventional case, when the dust is simply discharged from the dust collector, the dust is not smoothly discharged, and dust is not transported to the hopper through a completely enclosed space, causing dust to be scattered. .

결국, 종래의 경우 비산된 더스트를 재 집진하는 반복적인 추가 작업이 필요한 문제가 발생되었다.As a result, in the conventional case, a problem that requires repeated additional work of re-collecting the scattered dust has occurred.

또한, 이와 같은 더스트 등의 비산은 주변 설비나 환경을 오염시키는 다른 문제를 발생시킨다.In addition, the scattering such as dust causes other problems that contaminate surrounding facilities or the environment.

이에 따라서, 본 발명의 출원인은, 집진기와 집진물의 저장용기(호퍼) 사이에 밀폐공간을 통하여 집진물을 운송하면서, 흡인을 통하여 집진물의 운송을 원활하게 하면서 정량 불출도 가능하게 한 본 발명을 제안하게 되었다.Accordingly, the applica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the present invention, which transports the dust collector through the sealed space between the dust collector and the storage container (hopper) of the dust collector and facilitates quantitative dispensing while smoothly transporting the dust collector through suction. Was don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 측면은, 제철공장의 성형탄 제조시 또는 기타 석탄 처리시 발생되는 (미분) 더스트와 같은 집진물을 설비에서 누출되지 않도록 하면서 불출설비(호퍼) 로의 원활한 운송, 저장 및 불출을 가능하게 하여, 긍극적으로 집진물에 의한 설비 막힘이나 누출에 따른 외부 환경 오염 등을 효과적으로 방지 가능하게 한 집진물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in order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discharge the dust collecting equipment, such as dust (dust) generated during the production of coal briquettes or other coal processing of the steel mill, while the discharge facilit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ust collecting apparatus capable of smoothly transporting, storing and dispensing a (hopper), and effectively preventing the clogging of the dust by dust collection and external environmental pollution due to leakage.

더하여,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존 집진물 불출 라인은 그대로 이용할 수 있어, 집진물 처리시 설비 오작동이나 가동 중단시 기존 설비의 이용도 가능하게 하는 집진물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ust collecting apparatus which can use an existing dust collecting line as it is, and also enables the use of existing equipment in the event of malfunction or shutdown of equipment during dust collection.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불출유닛이 구비된 집진기; The present invention as a technical aspect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dust collector is provided with a discharge unit;

상기 집진기와 직결되는 집진물 집적용기; 및,A dust collecting container directly connected to the dust collector; And,

상기 집진물 집적용기와 라인으로 연결되는 집진물 흡인수단을 포함하여 운송된 집진물이 저장 및 불출되는 집진물 저장용기;A dust collecting container for storing and discharging the collected dust including a dust collecting means connected to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and the line;

를 포함하여 구성된 집진물 처리장치를 제공한다.
It provides a dust collection apparatus configured to include.

바람직하게는, 상기 집진기 불출유닛은, 집진기 하부에 제공된 정,역 스크류 불출기와, 상기 스크류 불출기에 연계된 로터리 밸브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 모두를 포함하고, 상기 로터리 밸브와 상기 집진물 집적용기는 이송슈트를 통하여 밀폐상태로 직결되는 것이다.
Preferably, the dust collector discharging unit includes one or both of a forward and reverse screw dispenser provided below the dust collector, and a rotary valve associated with the screw dispenser, and the rotary valve and the dust collector accumulating container are conveyed. It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sealed state through the chute.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정,역 스크류 불출기의 타측에 연계되는 다른 로터리밸브와 연계된 스크류 컨베이어를 더 포함하는 것이다.
More preferably, it further comprises a screw conveyor associated with another rotary valve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forward and reverse screw ejector.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집진물 집적용기는, 집적호퍼로 제공되고, 상기 집적호퍼의 불출구에는 로터리밸브가 연계되고, 상기 로터리밸브는 흡인수단과 밀폐 운송공간을 형성하는 라인으로 연결되는 것이다.
More preferably,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is provided as an integrated hopper, the outlet of the integrated hopper is connected to the rotary valve, the rotary valve is connected to the suction means and a line forming a closed transport space.

그리고, 상기 집진물 저장용기는 집진물을 저장후 불출하는 개폐밸브가 하부에 제공된 집진물 사일로로 제공되고, 상기 흡인수단은, 상기 집진물 사일로의 상부에 설치되면서 집진물 집적용기의 로터리 밸브와 라인으로 연결되는 벤트 필터로 제공되며, 상기 벤트 필터에는 흡인팬이 연계되어 공기와 집진물이 분리 처리되는 것이다.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is provided with a dust collecting silo provided with an opening / closing valve provided at a lower portion thereof after storing the dust collecting material. The suction means is install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dust collecting silo and the rotary valve of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It is provided as a vent filter connected to the line, the suction filter is connected to the vent filter is to separate the air and dust collection process.

바람직하게는, 상기 집진물 집적용기와 상기 집진물 집적용기와 연계되는 흡인수단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 모두의 바닥 측에 추가로 제공되는 불출 유도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이다.
Preferably, the apparatus further includes dispensing inducing means additionally provided on the bottom side of any one or both of the dust collecting means and the suction means associated with the dust collecting accumulator.

더 바람직하게는, 싱기 불출 유도수단은, 상기 집적용기의 바닥부와 흡인수단인 벤트 필터의 바닥부를 통과하여 설치된 회전축에 구비된 하나 이상의 불출 유도아암을 포함할 수 있다.More preferably, the singer dispensing inducing means may include one or more dispensing inducing arms provided on the rotating shaft provided through the bottom of the integrated container and the bottom of the vent filter serving as the suction means.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집진물 처리장치에 의하면, 제철공장의 성형탄 제조시 또는 기타 석탄 처리시 발생되는 (미분) 더스트와 같은 집진물을 설비에서 누출되지 않도록 하면서 불출설비(호퍼) 로의 원활한 운송, 저장 및 불출을 가능하게 하여, 긍극적으로 집진물에 의한 설비 막힘이나 누출에 따른 외부 환경 오염 등을 효과적으로 방지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According to the dust collect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ust and dust such as (dust) dust generated during the production of coal briquettes or other coal processing in the steel mill are prevented from leaking from the equipment, and transported and stored to the dispensing equipment (hopper) smoothly. And dispensing, thereby effectively preventing facility clogging due to dust collection and external environmental pollution due to leakage.

더하여, 기존 집진물 불출 라인은 그대로 이용할 수 있어, 집진물 처리시 설비 오작동이나 가동 중단시 기존 설비의 이용도 가능하게 하기 때문에, 설비의 안정적인 가동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existing dust collecting line can be used as it is, it is possible to use the existing equipment when the equipment malfunctions or stops the operation of the dust collection, thereby enabling the stable operation of the equipmen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집진물 처리장치가 적용되는 성형탄 제조라인을 도시한 모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집진물 처리장치를 도시한 전체 구성도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집진물 처리장치에 추가로 구비되는 불출 유도수단을 도시한 구성도, 평면도 및 사시도
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coal briquette manufacturing line to which the dust coll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ure 2 is an overall configuration showing a dust coll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to 5 is a configuration diagram, a plan view and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ispensing induction means further provided in the dust coll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먼저, 도 1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집진물 처리장치(1)의 사용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집진물 처리장치(1)가 적용되는 성형탄 제조라인(100)을 도시하고 있다. First, FIG. 1 illustrates a coal briquette manufacturing line 100 to which the dust collecting apparatus 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explain an example of the use of the dust collecting apparatus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예를 들어,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성형탄 제조라인(100)은, 다음에 상세하게 설명하는 본 발명의 집진물 처리장치(1)에 구비된 집진물 저장용기(70) 즉, 더스트 호퍼에서 부터 불출된 (미분) 더스트(2)와, 저장조(150)로부터 다단의 벨트 컨베이어(152)들을 매개로 공급되는 (미건조) 석탄(4)은, 버켓형 컨베이어(110)로 공급된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1, the coal briquette manufacturing line 100 includes a dust collecting storage container 70, that is, a dust hopper provided in the dust collecting apparatus 1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detail below. The (differential) dust 2 discharged from and the (undried) coal 4 supplied from the storage tank 150 via the multi-stage belt conveyors 152 are supplied to the bucket type conveyor 110.

즉, 더스트(2)와 석탄(4)은, 버켓형 컨베이어(110)의 무한궤도로 이송되는 벨트(112)의 일측에 구비된 버켓(114)을 통하여 상승 운송되고, 이와 같은 버켓형 컨베이어(110)를 통하여 공급된 미분 더스트와 미건조 석탄은, 혼합기(140)에 순차로 공급된다.That is, the dust 2 and the coal 4 are lifted and transported through the bucket 114 provided on one side of the belt 112, which is transported to the endless track of the bucket-type conveyor 110, such a bucket-type conveyor ( The fine dust and the dry coal supplied through 110 are sequentially supplied to the mixer 140.

그 다음, 혼합기(140)에서 패들(142)과 초퍼(144)를 통하여 더스트와 석탄의 혼합이 이루어지면서, 혼합물 덩어리가 제거되고, 분사노즐(146)을 통하여 바인더(용액)과 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분사되어 배출된 혼합물(6) 예를 들어, 혼합탄(석탄+더스트)는 성형기(170)에 공급되고, 성형기의 성형롤(172) 사이에서 압착되면서 소정 형태의 성형탄(6')으로 제조되는 것이다.Then, while mixing dust and coal through the paddle 142 and the chopper 144 in the mixer 140, the mixture agglomerates are removed, and the binder (solution) and water or theirs through the spray nozzle 146. For example, the mixed coal 6 (coal + dust) discharged by ejecting the mixture is supplied to the molding machine 170, and compressed into the coal briquette 6 'of a predetermined shape while being compressed between the forming rolls 172 of the molding machine. To be manufactured.

물론, 본 발명의 집진물 처리장치(1)는, 도 1의 성형탄 제조라인(100)에 한정되어 사용되는 것은 아니고, 적어도 집진이 가능한 대상물의 집진후, 집적 및 저장과 불출 까지의 일련의 처리과정이 가능한 집진 공정을 포함하는 경우 적용 가능함은 당연하다.Of course, the dust collecting apparatus 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coal briquette manufacturing line 100 of FIG. 1, but is a series of processes of collecting, storing, and discharging at least after the dust collecting is possible. Applicable if the process includes a possible dust collection process.

이때, 도 1에서 도면부호 192와 194는 혼합기(140)의 분사노즐과 연계되는 바인더 및 물 공급부를 나타낸다.
In this case, reference numerals 192 and 194 in FIG. 1 denote a binder and a water supply unit which are connected to the injection nozzle of the mixer 140.

다음, 도 1 및 도 2에서는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집진물 처리장치(1)를 도시하고 있다. Next, FIG. 1 and FIG. 2 show such a dust collecting apparatus 1 of the present invention.

예컨대,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집진물 처리장치(1)는 그 구성적 실시예로서, 크게 불출유닛(12)이 구비된 집진기(10)와 상기 집진기(10)와 직결되는 집진물 집적용기(30) 및, 상기 집진물 집적용기(30)와 라인으로 연결되는 진집물 흡인수단(50)을 포함하여 운송된 집진물이 저장 및 불출되는 집진물 저장용기(7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ure 2, the dust collecting apparatus 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stitutional embodiment, which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dust collector 10 and the dust collector 10 is provided with a large discharge unit (12) Including a dust collecting container 30, and a dust collecting container (70) for storing and discharging the collected dust including the dust collecting means (50) connected in line with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30) Can be configured.

다만,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서 집진물을 도 1 내지 도 2와 같이, 집진 더스트(2)로 설명하고, 집전용기(30)와 저장용기(70)는 각각 구체적인 실시예로서 집적호퍼(30)와 더스트 사일로(70)로 설명한다.However, hereinafter, the dust collector in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as the dust collector 2, as shown in Figs. 1 to 2, and the collector 30 and the storage container 70 are each integrated hopper 30 as a specific embodiment. The dust silo 70 will be described.

따라서, 본 발명의 집진물 처리장치(1)의 경우에는 도 1 내지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기존에 집진기(10)를 스크류 컨베이어(22)를 매개로 더스트 사일로(70)에 바로 연계시키는 대신에, 집진기(10)와 더스트 집진호퍼(30)를 직결하고, 상기 집진호퍼(30)는 다음에 상세하게 설명하는 흡인수단(50)을 매개로 더스트 사일로(70)와 라인(36)을 통하여 연계하기 때문에, 더스트의 설비적 누출이나 비산이 원척적으로 발생되지 않는 것이다.Accordingly, in the case of the dust collector 1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1 and 2, the dust collector 10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dust silo 70 via the screw conveyor 22. Instead, the dust collector 10 and the dust collector hopper 30 are directly connected, and the dust collector hopper 30 connects the dust silo 70 and the line 36 through the suction means 50 described in detail below. Because of the connection through the dust, no mechanical leakage or scattering of dust is inherently generated.

이는, 본 발명의 장치의 경우, 밀폐구조의 라인(36)을 통하여 더스트(2) 등의집진물을 운송하여도 흡인수단(50)이 그 운송을 원활하게 하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다.
This is possible in the case of the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because the suction means 50 facilitates the transportation even when the dusts such as the dust 2 are transported through the closed line 36.

한편, 도 1 및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집진물 처리장치(1)에서, 상기 집진기(10)의 하부에 구비되어 실질적인 집진 더스트의 정량 불출을 가능하게 하는 상기 집진기 불출유닛(12)은, 집진기 하부에 제공된 정,역 스크류 불출기(14)와, 상기 스크류 불출기에 연계된 로터리 밸브(16)중 적어도 어느 하나 또는 바람직하게는 이들 모두를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s 1 and 2, in the dust collector 1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ust collector dispensing unit is provid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dust collector 10 to enable the quantitative discharge of the actual dust dust ( 12 includes at least one or preferably both of the forward and reverse screw dispensers 14 provided below the dust collector and the rotary valve 16 associated with the screw dispensers.

동시에, 앞에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집진물 처리장치(1)에서, 상기 정,역 스크류 불출기(14)의 타측에는 다른 로터리밸브(20)가 연계되고, 상기 로터리밸브(20)에 연계되고, 상기 더스트 사일로(70)에 이어지는 스크류 컨베이어 (22)를 더 포함할 수 있다.At the same time, as described above, in the dust collecting apparatus 1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ther rotary valve 20 is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forward and reverse screw dischargers 14 and is connected to the rotary valve 20. It may further comprise a screw conveyor (22) associated with, followed by the dust silo (70).

따라서, 상기 스크류 컨베이어(22)는 기존에 설치된 설비이기는 하나, 본 발명의 정,역 스크류 불출기(14)는 상기 스크류 컨베이어(22)로도의 집진물 불출을 가능하게 하기 때문에, 본 발명 장치의 주 사용라인인 더스트 집적호퍼(30)와 더스트 사일로(70)의 사용이 불가한 경우에 신속하게 상기 스크류 컨베이어를 사용하여 집진물의 처리는 계속적으로 수행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Thus, although the screw conveyor 22 is an existing installation, the forward and reverse screw dispenser 14 of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the discharge of dust to the screw conveyor 22, and thus, When the use of the dust integrated hopper 30 and the dust silo 70 which are the main use lines is impossible, it is possible to use the said screw conveyor to perform the process of dust collection continuously.

다음, 본 발명의 불출유닛(12)에 포함되는 스크류 불출기(14)의 일측 로터리 밸브(14)와 연계되는 더스트 집적호퍼(30)는 기존과는 다르게 이송슈트(18)와 연계되고, 따라서 밀폐 구조의 이송슈트를 통하여 더스트는 외부 누출이나 비산이 원척적으로 차단된 상태에서 더스트 집적호퍼(30)로 운송되게 된다.Next, the dust integrated hopper 30 associated with the rotary valve 14 on one side of the screw dispenser 14 included in the dispensing unit 12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sociated with the transfer chute 18 differently from the conventional one. The dust is transported to the dust integrated hopper 30 in a state where external leakage or scattering is inherently blocked through the transfer chute of the sealed structure.

또한, 일차적인 스크류 불출과 로터리 밸브를 통한 2차적인 불출을 통하여 이송슈트를 통하여 원하는 양만큼의 정량 불출이 이루어 지게 된다.In addition, through the primary screw dispensing and the secondary dispensing through the rotary valve through the transfer chute as the desired amount of quantitative dispensing is made.

한편, 상기 로터리밸브들은 내부에 블레이드(베인)이 구비된 알려진 밸브임은 물론이다.
Meanwhile, the rotary valves are well known valves having blades (vanes) therein.

다음, 본 발명의 집진물 처리장치(1)에서, 도 2내지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집적호퍼의 바닥에 사각형태로 절개되어 형성된 불출구(32)에는 밀폐 구조로 로터리밸브(34)가 연계되고, 상기 로터리밸브는 흡인수단(50)과 밀폐 운송공간을 형성하는 라인(36)으로 연결된다.Next, in the dust collecting apparatus 1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2 to 4, the discharge valve 32 formed by cutting in a rectangular shape at the bottom of the integrated hopper rotary valve 34 in a closed structure ) Is connected, and the rotary valve is connected to a suction means 50 and a line 36 forming a sealed transport space.

이때, 상기 라인(36)에는 전기 구동형의 솔레노이드형 개폐밸브(V)들이 구비되어 라인(36)을 통한 더스트(2) 즉, 집진물의 운송을 제어하거나, 필요시 그 운송량의 제어도 가능하다.At this time, the line 36 is provided with an electrically driven solenoid type on-off valve (V) to control the transport of the dust 2, that is, the dust collected through the line 36, or control the amount of transportation if necessary. .

그리고, 상기 더스트 사일로(70)의 하부에는 집진물 즉, 더스트(2)의 저장후 불출하는 개폐밸브(72)가 제공되는데, 이와 같은 개폐밸브는 로터리밸브도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슬라이딩되면서 사일로 불출구(52)를 개폐시키는 게이트 밸브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lower part of the dust silo 70 is provided with an on-off valve 72 discharged after storage of dust, that is, dust (2), such an on-off valve may be a rotary valve. It may be a gate valv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outlet 52.

특히, 상기 흡인수단(50)은, 상기 더스트 사일로(70)의 상부에 장착되는 동시에, 일측으로 라인(미부호)을 통하여 흡인팬(52)이 연계되는 벤트 필터(vent filter)로 제공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suction means 50 may be provided as a vent filter which is mount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dust silo 70 and at which a suction fan 52 is connected through a line (unsigned) to one side. have.

따라서, 라인(36)을 통하여 흡인수단(50)의 흡인팬(52)이 구동하면, 상기 벤트 필터의 흡인수단(50)으로 개폐밸브 개방에 따라 더스트가 흡인력으로 이송되고, 이때 벤트필터의 흡인수단(50)을 통하여 미분의 집진 더스트 즉, 집진물이 걸려져흡인수단인 필터와 밀폐구조로 연계된 사일로(70)로 투입되고, 공기는 흡인팬(52)에서 방출된다.Therefore, when the suction fan 52 of the suction means 50 is driven through the line 36, the dust is transferred to the suction force in accordance with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valve to the suction means 50 of the vent filter, at which time the suction of the vent filter The dust 50 is collected through the means 50, that is, the dust is caught and fed into the silo 70 connected to the filter, which is a suction means, in a sealed structure, and the air is discharged from the suction fan 52.

결국, 본 발명의 집진물 처리장치(1)는, 도 1 및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기존과는 다르게 밀폐 공간을 통하여만 더스트와 같은 미세한 입도의 집진물이 운송되고, 기존과는 다르게 단계적인 정량 불출을 구현토록 더스트 집적호퍼(30)를 더 사용하기 때문에, 기존에 가장큰 문제인 외부 누출이나 비산이 발생되지 않음은 물론, 정량 불출의 처리 효율도 높이는 것이다.
As a result, as shown in FIGS. 1 and 2, the dust-collecting apparatus 1 of the present invention transports dust of a fine particle size such as dust only through an enclosed space as a whole unlike the conventional one. Since the dust integrated hopper 30 is further used to implement the stepped quantitative dispensing, it is possible not only to cause external leakage or scattering, which is the biggest problem, but also to increase the processing efficiency of quantitative dispensing.

다음, 도 1, 도 3 내지 도 5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집진물 처리장치(1)에서, 상기 더스트 집적호퍼(30)와 상기 호퍼와 연계되는 더스트 사일로 상의 흡인수단(50)의 벤트 필터의 각각의 바닥측에 제공되는 불출 유도수단(90)을 더 포함할 수 있다.Next, in FIGS. 1, 3 to 5, in the dust collecting apparatus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ach of the vent filters of the suction means 50 on the dust integrated hopper 30 and the dust silo associated with the hopper It may further include a dispensing inducing means 90 provided on the bottom side of the.

즉, 도 3 내지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장치에서 상기 불출 유도수단(90)은, 상기 더스트 집적호퍼(30)의 바닥과 흡인수단(50)인 벤트 필터의 바닥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회전축(92)에 구비된 회전링(94)에 반경방향으로 소정의 패턴으로 제공되는 복수 예를 들어, 4개 정도의 만곡된 형태의 불출 유도아암(96)을 포함할 수 있다.That is, as shown in Figures 3 to 5,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charging induction means 90 is installed through the bottom of the dust integrated hopper 30 and the bottom of the vent filter that is the suction means (50) A plurality of, for example, a curved guided discharging guide arm 96 provided in a predetermined pattern in a radial direction may be included in the rotary ring 94 provided on the rotating shaft 92.

이때, 상기 회전축(92)은 호퍼나 벤트 필터의 바닥에 조립된 베어링(미부호)에 지지되어 수직하게 회전 가능하게 제공되고, 이와 같은 회전축(92)은, 더스트 집적호퍼(30)와 벤트 필터인 흡인수단(50)의 하부에 설치된 모터부(96a)와 연계된 기어박스(96b)에 수직하게 조립된다.At this time, the rotating shaft 92 is supported by a bearing (unsigned) assembled to the bottom of the hopper or the vent filter is provided to be rotatable vertically, such a rotating shaft 92, the dust integrated hopper 30 and the vent filter It is assembled perpendicularly to the gearbox 96b associated with the motor portion 96a installed under the phosphorus suction means 50.

그리고, 상기 회전축(92)의 상부에는 더스트를 불출 유도아암 측으로 유도하는 원추형 유도부재(98)가 더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upper portion of the rotary shaft 92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 conical guide member 98 to guide the dust to the discharge guide arm side.

이때, 바람직하게는 도 2에서는 개략적으로 도시하였지만, 상기 더스트 집적호퍼(30)와 벤트 필터의 흡인수단(50)의 바닥부는 상기 회전되는 불출 유도아암(96)의 밀착 회전을 위하여 수평면으로 제공되고, 이 바닥의 일측에 도 4와 같이, 더스트 호퍼(30)의 불출구(32)와 벤트 필터인 흡인수단(50)의 바닥 불출구(52)가 형성되어 있다.In this case, although schematically illustrated in FIG. 2, the bottom of the dust integrated hopper 30 and the suction means 50 of the vent filter is provided in a horizontal plane for close rotation of the discharging guide arm 96 that is rotated. 4, the outlet 32 of the dust hopper 30 and the bottom outlet 52 of the suction means 50 that is a vent filter are formed on one side of the bottom.

따라서, 상기 모터부(96a)가 체인(비부호)등으로 연계된 스프로켓(미부호)를 매개로 기어박스(96b)에 수직 조립된 회전축(92)은 바닥측의 베어링에 지지되면서 회전되고, 결국 회전축(92)이 조립된 회전링부(94)에 소정패턴으로 만곡된 불출 유도아암(96)은 회전하면서 더스트 호퍼나 흡인수단인 벤트 필터의 바닥에 누적되거나 고착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함과 동시에, 미분 더스트와 같은 집진물을 불출구(32)(52)를 통하여 호퍼와 흡인수단인 필터 하부의 로터리밸브(34)(54)를 통하여 매우 원활하게 불출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Therefore, the rotating shaft 92, which is vertically assembled to the gearbox 96b via the sprocket (unsigned), which is connected to the motor (96a) by a chain (unsigned), is rotated while being supported by a bearing on the bottom side. Eventually, the discharging guide arm 96 curved in a predetermined pattern on the rotary ring portion 94 on which the rotating shaft 92 is assembled effectively blocks the accumulation or sticking to the bottom of the vent hopper, which is a dust hopper or suction means. It is possible to discharge dust, such as fine dust, very smoothly through the discharge valves 32 and 52 through the rotary valves 34 and 54 at the lower part of the filter serving as the suction means.

물론, 상기 불출 유도아암(96)은 회전시 더스트 호퍼(30)나 벤트 필터의 바닥에 밀착되어 회전하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본 발명의 경우 더스트 등의 누적이나 고착이 발생되는 것은 사전에 차단한다.
Of course, since the discharging induction arm 96 rotates in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of the dust hopper 30 or the vent filter during rotation, substantially the accumulation or sticking of dust or the like in the present invention is prevented in advance.

이에 따라서, 본 발명의 집진물 처리장치(1)는, 더스트가 저장되어 일시에 불출되지 않는 더스트 집적호퍼(30)나 흡인수단(50)의 밴트 필터에 불출 유도수단(90)이 구비되기 때문에, 앞에서 설명한 밀폐 공간을 통한 더스트 등의 집진물 운송 구현으로 누출이나 비산 등의 환경 오염 요인을 제거 가능하게 하면서도, 정량 불출이나 용기에서의 불출도 원활하게 구현될 수 있는 것이다.
Accordingly, since the dust collecting apparatus 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the discharge induction means 90 in the dust integrated hopper 30 or the vane filter of the suction means 50, in which dust is stored and is not discharged at one time. In addition, by implementing the transport of dust and dust through the sealed space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remove the environmental pollution factors such as leakage or scattering, while also quantitative dispensing or discharging from the container can be smoothly implemented.

본 발명은 지금까지 특정한 실시 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 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While the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specific embodiments so far, it will be appreciated that the invention can be varied and modifi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below. It will be appreciated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know.

1.... 집진물 처리장치 10.... 집진기
12.... 불출유닛 14.... 정,역 스크류 불출기
18.... 이송슈트 30.... 집진물 집적용기
36.... 라인 50.... 흡인수단
52.... 흡인팬 70.... 집진물 저장용기
72.... 개폐밸브 90.... 불출 유도수단
92.... 회전축 94.... 회전링
96.... 불출 유도아암
1 .... dust collector 10 .... dust collector
12 .... Dispensing Unit 14 .... Forward / Reverse Screw Dispenser
18 .... Transfer chute 30 .... Dust collection container
36 .... line 50 ... suction
52 .... suction fan 70 ... dust collection container
72 .... Opening and closing valve 90 .... Dispensing guide means
92 .... rotary shaft 94 .... rotary ring
96 .... Release Guide Arm

Claims (7)

불출유닛(12)이 구비된 집진기(10);
상기 집진기(10)와 직결되는 집진물 집적용기(30); 및,
상기 집진물 집적용기(30)와 라인으로 연결되는 진집물 흡인수단(50)을 포함하여 운송된 집진물이 저장 및 불출되는 집진물 저장용기(70);
를 포함하여 구성된 집진물 처리장치.
A dust collector 10 having a dispensing unit 12;
A dust collecting container 30 directly connected to the dust collector 10; And,
A dust collecting container (70) for storing and discharging the collected dust including a dust collecting means (50) connected in line with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30);
Dust collecting device configured to includ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기 불출유닛(12)은, 집진기 하부에 제공된 정,역 스크류 불출기(14)와, 상기 스크류 불출기에 연계된 로터리 밸브(16)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 모두를 포함하고,
상기 로터리 밸브(14)와 상기 집진물 집적용기(30)는 이송슈트(18)를 통하여 밀폐상태로 직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물 처리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dust collector discharging unit 12 may include any one or both of a forward and a reverse screw discharger 14 provided below the dust collector and a rotary valve 16 associated with the screw discharger.
The rotary valve (14) and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30) is a dust collec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directly connected in a sealed state through a transfer chute (1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정,역 스크류 불출기(14)의 타측에 연계되는 다른 로터리밸브(20)와 연계된 스크류 컨베이어(22)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물 처리장치.
The method of claim 2,
And a screw conveyor (22) associated with another rotary valve (20) associated with the other side of the forward and reverse screw dispensers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물 집적용기(30)는, 집적호퍼로 제공되고,
상기 집적호퍼의 불출구(32)에는 로터리밸브(34)가 연계되고, 상기 로터리밸브는 흡인수단(50)과 밀폐 운송공간을 형성하는 라인(36)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물 처리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30 is provided as an integrated hopper,
The discharge valve 32 of the integrated hopper is connected to the rotary valve 34, the rotary valv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uction means 50 and the line 36 to form a sealed transport space, characterized in that the dust collecting apparatu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물 저장용기(70)는 집진물을 저장후 불출하는 개폐밸브(72)가 하부에 제공된 집진물 사일로로 제공되고,
상기 흡인수단(50)은, 상기 집진물 사일로의 상부에 설치되면서 집진물 집적용기의 로터리 밸브와 라인으로 연결되는 벤트 필터로 제공되며, 상기 벤트 필터에는 흡인팬(52)이 연계되어 공기와 집진물이 분리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물 처리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70 is provided with a dust collecting silo provided with an opening and closing valve 72 for storing and discharging the dust collected below.
The suction means 50 is provided as a vent filter connected to a line and a rotary valve of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while being installed on the dust collecting silo, the suction filter 52 is connected to the vent filter in the air and the house Dust collecting treatment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dust is separated.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물 집적용기(30)와 상기 집진물 집적용기와 연계되는 흡인수단(50)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 모두의 바닥 측에 추가로 제공되는 불출 유도수단(9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물 처리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Further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discharging induction means 90 is further provided on the bottom side of any one or both of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30 and the suction means 50 associated with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Dust collection device.
제6항에 있어서,
싱기 불출 유도수단(90)은, 상기 집적용기(30)의 바닥부와 흡인수단(50)인 벤트 필터의 바닥부를 통과하여 설치된 회전축(92)에 구비된 하나 이상의 불출 유도아암(9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물 처리장치.
The method of claim 6,
Xinggi dispensing induction means 90, one or more dispensing induction arm 96 provided on the rotating shaft 92 provided through the bottom of the integration container 30 and the bottom of the vent filter that is the suction means (50) Dust collec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KR1020100092546A 2010-09-20 2010-09-20 Apparatus for Treating Collected Materials KR10119784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2546A KR101197849B1 (en) 2010-09-20 2010-09-20 Apparatus for Treating Collected Material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2546A KR101197849B1 (en) 2010-09-20 2010-09-20 Apparatus for Treating Collected Material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0800A true KR20120030800A (en) 2012-03-29
KR101197849B1 KR101197849B1 (en) 2012-11-05

Family

ID=461346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2546A KR101197849B1 (en) 2010-09-20 2010-09-20 Apparatus for Treating Collected Material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7849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8308B1 (en) * 2012-07-04 2014-05-27 주식회사 포스코 Apparatus for treating dust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3064Y1 (en) * 1995-12-20 1999-12-15 이구택 Exhaust apparatus of dust collecto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8308B1 (en) * 2012-07-04 2014-05-27 주식회사 포스코 Apparatus for treating dus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97849B1 (en) 2012-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4700B1 (en) Waste processing system constituted to prevent overload
WO2022206989A1 (en) Waste paper dry pulp production line
CN105642392A (en) Chute feeder
KR101197849B1 (en) Apparatus for Treating Collected Materials
CN211332408U (en) Iron fillings collection device is used in processing of numerical control lathe
CN203577859U (en) Double-roller dispersing device
CN202704598U (en) Outward conveying device for sludge incineration fly ash
CN206108441U (en) Cement powder collection device
CN203557563U (en) Raw rubber pelletizing homogenization system
CN204896728U (en) Shoe material part conveyor
CN114042856A (en) Fastener production is with online deoiling machine
KR20140143862A (en) Apparatus for supplying raw material
JPH01197231A (en) Carry-in/carry-out device for material to silo
KR200189272Y1 (en) Feed manufacturing device by using a food trash
KR101043094B1 (en) Device for discharging dust of dust collector
US3161441A (en) Apparatus for cleaning and/or clearing the boot of an endless conveyor or the like
KR101277846B1 (en) Discharging Apparatus of Container
CN220443221U (en) Feeder of crystallization kettle
CN210763290U (en) Industrial automation material conveyor
CN212390396U (en) Anti-blocking system for boiler coal conveying
CN218553776U (en) Water-soluble fertile apparatus for producing of macroelement
CN213201624U (en) Can improve hopper of dustproof efficiency
CN219057490U (en) Grain delivery machine
KR101640320B1 (en) Complex type conveyor for chip collecting
CN213967098U (en) Conveying and smashing device for air-drying rice after soak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3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