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29816A - 이종장치 및 시스템에 대한 원격 유지보수 및 모니터링 서비스 프레임워크 - Google Patents

이종장치 및 시스템에 대한 원격 유지보수 및 모니터링 서비스 프레임워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29816A
KR20120029816A KR1020100091887A KR20100091887A KR20120029816A KR 20120029816 A KR20120029816 A KR 20120029816A KR 1020100091887 A KR1020100091887 A KR 1020100091887A KR 20100091887 A KR20100091887 A KR 20100091887A KR 20120029816 A KR20120029816 A KR 201200298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ice
transaction
message
unit
requ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18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77461B1 (ko
Inventor
이광일
박준희
전해숙
문경덕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000918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7461B1/ko
Priority to US13/234,533 priority patent/US20120072545A1/en
Publication of KR201200298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98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74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74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8Configuration management of networks or network elements
    • H04L41/0803Configuration set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50Network service management, e.g. ensuring proper service fulfilment according to agreements
    • H04L41/5061Network service management, e.g. ensuring proper service fulfilment according to agreements characterised by the interaction between service providers and their network customers, e.g. 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22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comprising specially adapted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ebugging And Monitoring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종장치 및 시스템에 대한 원격 유지보수 및 모니터링 서비스 프레임워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네트워크를 통하여 이종 장치 및 시스템에 대한 공통의 유지보수 서비스 프레임워크를 제공함으로써, 유지보수 관리자가 현장을 방문하지 않고 원격으로 유지보수할 수 있어 시간과 비용이 절약된다. 또한, 본 발명은 전용선을 설치하지 않고, 로컬 네트워크에 부하를 주지 않으면서 네트워크를 통한 원격 유지보수 관리를 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장치의 종류에 관계없이 이종 장치 및 시스템을 공통적으로 관리하여 유지보수 및 관리의 복잡성이 현저히 줄어들게 된다.

Description

이종장치 및 시스템에 대한 원격 유지보수 및 모니터링 서비스 프레임워크{Remote Maintenance and Monitoring Service Framework for Heterogeneous Device and System}
본 발명은 이종장치 및 시스템에 대한 원격 유지보수 및 모니터링 서비스 프레임워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원격에서 네트워크를 통해 이종장치 및 시스템을 제어, 유지보수 및 모니터링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이종장치 및 시스템에 대한 원격 유지보수 및 모니터링 서비스 프레임워크를 제공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IT성장동력기술개발 사업의 일환으로 수행한 연구로부터 도출된 것이다[과제관리번호: (2008-S038-01) 과제명 : IT 기반 선박용 토탈 솔루션 개발].
종래 시스템이나 산업용 장비의 유지보수 서비스는 간단하고 일상적인 범위에 한정되어 있으며, 시스템 유지보수를 위해 파견된 로컬 관리자가 수행할 수 있는 범위도 제한적이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산업용 장치 및 시스템에서 장애나 고장이 발생한 경우, 시스템 또는 장비 개발자와 같이 높은 수준의 기술을 보유한 관리자가 직접 처리해야 하는 것이 대부분이다. 그리고, 대부분의 산업용 장치나 시스템은 유지보수 관리자가 접근하기 어려운 곳에 설치되어 운영되고 있다. 또한, 유지보수 관리자의 접근이 용이한 경우라도, 유지보수 관리자가 직접 방문하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네트워크와 컴퓨터를 이용하여 원격에서 산업용 장치 및 시스템을 관리할 수 있는 기술이 나타났다. 하지만, 현재 제공되고 있는 네트워크 기반의 산업용 장치에 대한 원격 모니터링 및 유지보수 서비스는 매우 제한적이며 몇 가지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먼저, 장치 및 시스템의 동작 및 현황에 대한 모니터링은 현장(On-Site)에서 이루어진다. 즉, 종래 기술은 전용선을 설치하거나 혹은 로컬 네트워크의 부하를 가중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대부분의 유지보수 서비스는 장치에 의존적이다. 즉, 이종 장치를 공통적으로 관리할 수 없어, 장치 운영자는 개별 장치에 대해 서로 다른 유지보수 및 관리를 하여야 하므로 그 복잡성이 증대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원격에서 네트워크를 통해 이종장치 및 시스템을 제어, 유지보수 및 모니터링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이종장치 및 시스템에 대한 원격 유지보수 및 모니터링 서비스 프레임워크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사용자 유지보수 모듈 및 글로벌 서버를 포함하는 글로벌 유지보수 서비스 프레임워크는, 서비스를 메시지로 변환하기 위하여 매핑하는 제1매핑부; 상기 글로벌 서버로부터 전달받은 유지보수 대상이 되는 장치 및 시스템의 운용상태 및 프로파일을 포함한 장치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사용자로부터 제1서비스를 요청 받고, 상기 요청된 제1서비스에 대한 결과를 전달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기 제1매핑부에서 상기 요청된 제1서비스에 대응하는 메시지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메시지를 포함하는 제1트랜잭션을 생성하는 제1트랜잭션 관리부; 및 상기 제1트랜잭션에 포함된 메시지를 처리하기 위하여 상기 저장부에서 장치정보를 독출하거나 제2서비스를 요청하는 제1트랜잭션 처리부; 를 포함하는 사용자 유비보수 모듈 및 유지보수 대상이 되는 장치 및 시스템의 운용상태 및 프로파일을 포함한 장치정보를 저장하는 글로벌DB부; 상기 제1트랜잭션 처리부로부터 제2서비스를 요청 받고, 상기 요청된 제2서비스에 대한 결과를 전달하는 사용자 유지보수 인터페이스; 상기 제1매핑부에서 상기 요청된 제2서비스에 대응하는 메시지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메시지를 포함하는 제2트랜잭션을 생성하는 제2트랜잭션 관리부; 상기 제2트랜잭션에 포함된 메시지를 처리하기 위하여 상기 글로벌DB부에서 장치정보를 독출하거나 제3서비스를 요청하는 제2트랜잭션 처리부; 및 상기 요청된 제3서비스를 전송하고 상기 제3서비스에 대한 결과를 수신하는 로컬 유지보수 인터페이스; 를 포함하는 글로벌 서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트랜잭션 처리부는, 상기 제1트랜잭션에 포함된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유지보수 모듈에서 처리할 수 있는지 판단하고, 처리할 수 있는 경우 상기 저장부에서 장치정보를 독출하고, 처리할 수 없는 경우 상기 제2서비스를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로컬 유지보수 서비스 프레임워크는, 서비스를 메시지로 변환하기 위하여 매핑하는 제2매핑부; 제3서비스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제3서비스에 대한 결과를 송신하는 통신부; 상기 로컬 유지보수 모듈로부터 전달받은 유지보수 대상이 되는 장치 및 시스템의 운용상태 및 프로파일을 포함한 장치정보를 저장하는 로컬DB부; 상기 제2매핑부에서 상기 요청된 제3서비스에 대응하는 메시지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메시지를 포함하는 제3트랜잭션을 생성하는 제3트랜잭션 관리부; 상기 제3트랜잭션에 포함된 메시지를 처리하기 위하여 상기 로컬DB부에서 장치정보를 독출하거나 제4서비스를 요청하는 제3트랜잭션 처리부; 및 상기 요청된 제4서비스를 전달하고 상기 제4서비스에 대한 결과를 전달받는 표준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로컬 서버 및 상기 표준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달받은 제4서비스 요청을 처리하는 로컬 유지보수 모듈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3트랜잭션 처리부는, 상기 제3트랜잭션에 포함된 메시지를 상기 로컬 서버에서 처리할 수 있는지 판단하고, 처리할 수 있는 경우 상기 로컬DB부에서 장치정보를 독출하고, 처리할 수 없는 경우 상기 제4서비스를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원격 유지보수 서비스 프레임워크는 글로벌 유지보수 서비스 프레임워크 및 로컬 유지보수 서비스 프레임워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네트워크를 통하여 이종 장치 및 시스템에 대한 공통의 유지보수 서비스 프레임워크를 제공함으로써, 유지보수 관리자가 현장을 방문하지 않고 원격으로 유지보수할 수 있어 시간과 비용이 절약된다. 또한, 본 발명은 전용선을 설치하지 않고, 로컬 네트워크에 부하를 주지 않으면서 네트워크를 통한 원격 유지보수 관리를 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장치의 종류에 관계없이 이종 장치 및 시스템을 공통적으로 관리하여 유지보수 및 관리의 복잡성이 현저히 줄어들게 된다.
도 1은 원격 유지보수 서비스 프레임워크에 대한 전체 구성도이다.
도 2는 사용자 유지보수 모듈에 대한 구성도이다.
도 3은 글로벌 서버에 대한 구성도이다.
도 4는 로컬 유지보수 서비스 프레임워크에 대한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원격 유지보수 서비스 프레임워크는, 사용자 유지보수 모듈(110), 글로벌 서버(120), 로컬 서버(210), 로컬 유지보수 모듈(220) 및 유지보수 대상이 되는 장치(이하 장치(300)라 한다.)를 포함한다.
사용자 유지보수 모듈(110)은 사용자의 서비스 요청을 받는다. 사용자 유지보수 모듈(110)이 요청된 서비스를 직접 처리할 수 있으면, 서비스를 처리한 후 그 결과를 사용자가 이해할 수 있는 형태로 제공한다. 사용자 유지보수 모듈(110)이 직접 처리할 수 없는 경우 글로벌 서버(120)에 서비스를 요청하고, 그 결과를 받아 사용자가 이해할 수 있는 형태로 제공한다.
글로벌 서버(120)는 사용자 유지보수 모듈(110)로부터 서비스를 요청 받는다. 글로벌 서버(120)가 요청된 서비스를 직접 처리할 수 있는 경우, 서비스를 처리한 후 그 결과를 사용자 유지보수 모듈(110)에 전달한다. 글로벌 서버(120)가 직접 처리할 수 없는 경우 로컬 서버(210)에 서비스를 요청하고, 그 결과를 받아 사용자 유지보수 모듈(110)에 전달한다.
로컬 서버(210)는 글로벌 서버(120)로부터 서비스를 요청 받는다. 로컬 서버(210)가 요청된 서비스를 직접 처리할 수 있는 경우, 서비스를 처리한 후 그 결과를 글로벌 서버(120)에 전달한다. 로컬 서버(210)가 직접 처리할 수 없는 경우 로컬 유지보수 모듈(220)에 서비스를 요청하고, 그 결과를 글로벌 서버(120)에 전달한다.
로컬 유지보수 모듈(220)은 로컬 서버(210)로부터 서비스를 요청 받는다. 로컬 유지보수 모듈(220)은 로컬 서버(210)로부터 장치(300)에 대한 제어를 요청 받은 경우, 요청에 따라 장치(300)를 제어하고 그 결과를 로컬 서버(210)에 제공한다. 또한, 로컬 유지보수 모듈(220)은 로컬 서버(210)로부터 장치(300)에 대한 정보를 요청 받은 경우, 해당 정보를 로컬 서버(210)에 제공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유지보수 모듈(110)은, 사용자 인터페이스(111), 제1트랜잭션 관리부(112), 제1매핑부(113), 저장부(115), 제1트랜잭션 처리부(114) 및 제1동기화부(116)를 포함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11)는 사용자로부터 제1서비스를 요청 받고, 요청된 제1서비스에 대한 결과를 사용자에게 전달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11)는 GUI(Graphic User Interface) 기반으로 구현되거나 WEB 기반으로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11)가 WEB 기반으로 구현되는 경우 웹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매핑부(113)는 요청 받은 서비스를 메시지로 변환하기 위하여 매핑(mapping)한다. 각 서비스 요청은 하나 이상의 표준화된 메시지(primitive messages)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제1매핑부(113)는 요청 받은 서비스를 메시지로 변환할 수 있도록 하나의 서비스 요청에 대해 하나 이상의 표준화된 메시지를 연결한다.
저장부(115)는 유지보수 대상이 되는 시스템 및 장치(300)에 대한 운용상태 및 프로파일을 포함한 장치정보를 저장한다. 프로파일에는 제조사, 모델명, OS(Operating System), 구성정보 및 이외의 기본 정보 등이 포함된다.
제1트랜잭션 관리부(112)는 사용자로부터 요청된 제1서비스에 대응하는 메시지를 제1매핑부(113)로부터 추출하고, 추출된 메시지를 포함하는 제1트랜잭션을 생성한다. 또한, 제1트랜잭션 관리부(112)는 사용자가 요청한 제1서비스에 대한 응답메시지 및 응답파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1서비스에 대한 결과로 변환하는 해석을 수행한다. 즉, 제1트랜잭션 관리부(112)는 사용자로부터 요청된 서비스에 대한 결과를 메시지 혹은 파일 형태로 전달받으므로, 사용자가 이해할 수 있는 형태로 변환하는 해석을 한다.
또한, 제1트랜잭션 관리부(112)는 생성된 제1트랜잭션에 대한 이력관리, 상태관리, 이상(異常)처리관리 및 종료관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수행한다. 제1 트랜잭션 관리부는 제1트랜잭션의 현재 및 과거의 상태를 관리하고, 제1트랜잭션이 비 정상적으로 종료된 경우, 이와 관련된 서비스 및 시스템에 알려준다. 예를 들면, 제1트랜잭션 관리부(112)는 제1트랜잭션이 비정상적으로 종료된 경우 제1서비스에 알려줄 수 있다. 그리고, 제1트랜잭션 관리부(112)는 제1트랜잭션이 사전에 정의된 일정한 시간 동안 상태 변화가 없는 경우, 제1트랜잭션을 강제로 종료할 수 있다.
서비스는 하나 이상의 트랜잭션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하나의 트랜잭션은 하나 이상의 메시지로 구성될 수 있다.
제1트랜잭션 관리부(112)에 의해 생성된 제1트랜잭션은 이벤트를 포함한 단방향 형태의 메시지, Request-Response 형태의 2개 메시지, Request-Response-Result 형태의 3개 메시지, Request-Response-ActionRequest-ActionResponse 형태의 4개 메시지 및 Request-Response-ActionRequest-ActionResponse-Result 형태의 5개 메시지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하나의 트랜잭션은 요청된 서비스의 특성에 따라 메시지의 개수가 다를 수 있다. 트랜잭션에는 특정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이벤트와 같이 단지 하나의 메시지로 구성된 트랜잭션, 특정 정보를 요청하고 이에 대한 응답을 기다리는 트랜잭션 (Request-Response Transaction), 파일을 요청하는 것(getFile)과 같이 서비스를 요청하고 이에 대한 응답을 받은 다음 만약 서비스가 가능하면 그 결과(Result)를 뒤에 받는 트랜잭션 (Request-response-Result Transaction), 파일을 전달하는 것(putFile)과 같이 서비스를 요청하고 그에 대한 결과를 받은 다음 서비스에 대한 구체적인 action을 요청하고 이에 대한 응답을 받는 트랜잭션 (Request-Response-ActionRequest-ActionResponse) 및 서비스를 요청하고 그에 대한 결과를 받은 다음 서비스에 대한 구체적인 action을 요청하고 이에 대한 응답을 받은 후에 응답이 성공일 경우 그 결과를 받는 트랜잭션 (Request-Response-ActionRequest-ActionResponse- ActionResult Transaction) 등이 있을 수 있다.
제1트랜잭션 처리부(114)는 제1트랜잭션에 포함된 메시지를 처리하기 위하여 저장부(115)에서 장치정보를 독출하거나 제2서비스를 요청한다. 제1트랜잭션 처리부(114)는 제1트랜잭션에 포함된 메시지를 사용자 유지보수 모듈(110)에서 처리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처리할 수 있는 경우 저장부(115)에서 장치정보를 독출하고, 처리할 수 없는 경우 제2서비스를 요청한다.
제1동기화부(116)는 주기적 메시지 전송 방법 및 이벤트 형태 방법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법에 의해 동기화한다. 즉, 제1동기화부(116)는 동기화를 위하여 주기적으로 장치정보를 요청하고 전달받는다. 그리고, 제1동기화부(116)는 전달 받은 장치정보로서 저장부(115)의 장치정보를 갱신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제1동기화부(116)는 제1트랜잭션 관리부(112)에 장치정보를 요청하고, 제1트랜잭션 관리부(112)는 장치정보 요청에 따른 새로운 트랜잭션을 생성하여 글로벌 서버(120)에 전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동기화부(116)는 저장부(115)와 글로벌DB부(124)를 동기화한다. 이때, 제1동기화부(116)는 정보 전송량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글로벌DB부(124)에서 변경된 필드에 대한 정보를 요청할 수 있으며, 주기적으로 글로벌DB 전체에 대한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도 3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글로벌 서버(120)는, 사용자 유지보수 인터페이스(121), 제2트랜잭션 관리부(122), 제2매핑부(128), 제2트랜잭션 처리부(123), 글로벌DB부(124), 제2동기화부(125), 로컬 유지보수 인터페이스(126) 및 네트워크 관리부(127)를 포함한다.
사용자 유지보수 인터페이스(121)는 제1트랜잭션 처리부(114)로부터 제2서비스를 요청 받고, 요청된 제2서비스에 대한 결과를 전달한다.
제2매핑부(128)는 요청 받은 서비스를 메시지로 변환하기 위하여 매핑(mapping)한다. 각 서비스 요청은 하나 이상의 표준화된 메시지(primitive messages)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제2매핑부(128)는 요청 받은 서비스를 메시지로 변환할 수 있도록 하나의 서비스 요청에 대해 하나 이상의 표준화된 메시지를 연결한다.
글로벌DB부(124)는 유지보수 대상이 되는 장치(300) 및 시스템의 운용상태 및 프로파일을 포함한 장치정보를 저장한다. 프로파일에는 제조사, 모델명, OS(Operating System), 구성정보 및 이외의 기본 정보 등이 포함된다.
제2트랜잭션 관리부(122)는 제2매핑부(128)에서 요청된 제2서비스에 대응하는 메시지를 추출하고, 추출된 메시지를 포함하는 제2트랜잭션을 생성한다. 또한, 제2트랜잭션 관리부(122)는 생성된 제2트랜잭션에 대한 이력관리, 상태관리, 이상(異常)처리관리 및 종료관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수행한다. 제2 트랜잭션 관리부는 제2트랜잭션의 현재 및 과거의 상태를 관리하고, 제2트랜잭션이 비 정상적으로 종료된 경우, 이와 관련된 서비스 및 시스템에 알려준다. 예를 들면, 제2트랜잭션 관리부(122)는 제2트랜잭션이 비정상적으로 종료된 경우 제1트랜잭션에 알려줄 수 있다. 그리고, 제2트랜잭션 관리부(122)는 제2트랜잭션이 사전에 정의된 일정한 시간 동안 상태 변화가 없는 경우, 제2트랜잭션을 강제로 종료할 수 있다.
서비스는 하나 이상의 트랜잭션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하나의 트랜잭션은 하나 이상의 메시지로 구성될 수 있다.
제2트랜잭션 관리부(122)에 의해 생성된 제2트랜잭션은 이벤트를 포함한 단방향 형태의 메시지, Request-Response 형태의 2개 메시지, Request-Response-Result 형태의 3개 메시지, Request-Response-ActionRequest-ActionResponse 형태의 4개 메시지 및 Request-Response-ActionRequest-ActionResponse-Result 형태의 5개 메시지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상세한 내용은 제1트랜잭션 관리부(112)에서 상술한 바와 같다.
제2트랜잭션 처리부(123)는 제2트랜잭션에 포함된 메시지를 처리하기 위하여 글로벌DB부(124)에서 장치정보를 독출하거나 제3서비스를 요청한다. 제2트랜잭션 처리부(123)는 제2트랜잭션에 포함된 메시지를 글로벌 서버(120)에서 처리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처리할 수 있는 경우 글로벌DB부(124)에서 장치정보를 독출하고, 처리할 수 없는 경우 제3서비스를 요청한다.
로컬 유지보수 인터페이스(126)는 요청된 제3서비스를 전송하고 제3서비스에 대한 결과를 수신한다. 로컬 유지보수 인터페이스(126)는 글로벌 서버(120)와 로컬 서버(210) 사이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제2동기화부(125)는 주기적 메시지 전송 방법 및 이벤트 형태 방법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법에 의해 동기화한다. 즉, 제2동기화부(125)는 글로벌DB부(124)의 장치정보가 변경된 경우 이벤트를 발생하여 전달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제2동기화부(125)는 글로벌DB부(124)의 장치정보가 변경된 경우 제2트랜잭션 관리부(122)에 전달하고, 제2트랜잭션 관리부(122)는 이벤트 형태의 새로운 트랜잭션을 생성하여 사용자 유지보수 모듈(110)에 전달할 수 있다.
제2동기화부(125)는 글로벌DB부(124)의 장치정보가 변경된 경우 이벤트를 발생시켜 사용자 유지보수 모듈(110)에 전달하여 장치정보가 변경되었음을 알려준다. 제1동기화부(116)는 글로벌DB부(124)의 장치정보가 변경되었다는 이벤트를 전달받은 경우, 글로벌DB부(124)의 장치정보를 요청하고 전달받으며, 전달받은 장치정보로서 저장부(115)의 장치정보를 갱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저장부(115)와 글로벌DB부(124)는 동기화된다. 이때, 제1동기화부(116)는 글로벌DB부(124)의 장치정보 중에서 변경된 정보에 대해서만 요청하여 정보 전송량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제2동기화부(125)는 주기적으로 로컬 유지보수 인터페이스(126)를 통하여 장치정보를 요청하고 전달받아 글로벌DB부(124)의 장치정보를 갱신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제2동기화부(125)는 제2트랜잭션 관리부(122)에 장치정보를 요청하고, 제2트랜잭션 관리부(122)는 장치정보 요청에 따른 새로운 트랜잭션을 생성하여 로컬 서버(210)에 전달할 수 있다.
네트워크 관리부(127)는 로컬 유지보수 인터페이스(126)를 통한 전송 및 수신을 위한 통신 채널을 관리한다. 즉, 네트워크 관리부(127)는 글로벌 서버(120)와 로컬 서버(210) 사이에서 통신채널을 형성하여 서비스 요청, 메시지 및 파일을 송수신 할 수 있다. 네트워크 관리부(127)는 로컬 서버(210)에 고유한 식별자(Identifier)를 부여하고, 글로벌 서버(120)와 로컬 서버(210) 사이의 안전한 통신 채널을 형성하고 관리한다. 또한, 네트워크 관리부(127)는 로컬 서버(210)를 인식하고 이에 대한 연결 관리를 수행한다. 로컬 서버(210) 인식은 로컬 서버(210)의 IP주소, 로컬 서버(210)의 고유한 ID 및 로컬 서버(210)가 있는 사이트에 고유한 ID를 부여 등을 통하여 식별할 수 있다. 연결 관리는 글로벌 서버(120)와 로컬 서버(210)의 연결 설정 및 해제, 글로벌 서버(120)와 연결변경 알림 등을 관리할 수 있다.
글로벌 유지보수 서비스 프레임워크는 사용자 유지보수 모듈(110) 및 글로벌 서버(120)을 포함한다. 사용자 유지보수 모듈(110) 및 글로벌 서버(120)는 상술한 바와 같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로컬 서버는, 통신부(211), 제3트랜잭션 관리부(212), 제2매핑부(213), 제3트랜잭션 처리부(214), 로컬DB부(215), 제3동기화부(216) 및 표준 인터페이스(217)를 포함한다.
제3매핑부(213)는 서비스를 메시지로 변환하기 위하여 매핑한다. 각 서비스 요청은 하나 이상의 표준화된 메시지(primitive messages)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제3매핑부는 요청 받은 서비스를 메시지로 변환하기 위하여, 각 서비스에 대하여 하나 이상의 표준화된 메시지를 연결한다.
통신부(211)는 제3서비스 요청을 수신하고, 수신된 제3서비스에 대한 결과를 송신한다.
로컬DB부(215)는 로컬 유지보수 모듈(220)로부터 전달받은 유지보수 대상이 되는 장치(300) 및 시스템의 운용상태 및 프로파일을 포함한 장치정보를 저장한다. 프로파일에는 제조사, 모델명, OS(Operating System), 구성정보 및 이외의 기본 정보 등이 포함된다.
제3트랜잭션 관리부(212)는 요청된 제3서비스에 대응하는 메시지를 제3매핑부(213)로부터 추출하고, 추출된 메시지를 포함하는 제3트랜잭션을 생성한다. 또한, 제3트랜잭션 관리부(212)는 생성된 제3트랜잭션에 대한 이력관리, 상태관리, 이상(異常)처리관리 및 종료관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수행한다. 제3 트랜잭션 관리부는 제3트랜잭션의 현재 및 과거의 상태를 관리하고, 제3트랜잭션이 비 정상적으로 종료된 경우, 이와 관련된 서비스 및 시스템에 알려준다. 예를 들면, 제3트랜잭션 관리부(212)는 제3트랜잭션이 비정상적으로 종료된 경우 제2트랜잭션에 알려줄 수 있다. 그리고, 제3트랜잭션 관리부(212)는 제3트랜잭션이 사전에 정의된 일정한 시간 동안 상태 변화가 없는 경우, 제3트랜잭션을 강제로 종료할 수 있다.
서비스는 하나 이상의 트랜잭션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하나의 트랜잭션은 하나 이상의 메시지로 구성될 수 있다.
제3트랜잭션 관리부(212)에 의해 생성된 제3트랜잭션은 이벤트를 포함한 단방향 형태의 메시지, Request-Response 형태의 2개 메시지, Request-Response-Result 형태의 3개 메시지, Request-Response-ActionRequest-ActionResponse 형태의 4개 메시지 및 Request-Response-ActionRequest-ActionResponse-Result 형태의 5개 메시지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상세한 내용은 제1트랜잭션 관리부(112)에서 상술한 바와 같다.
제3트랜잭션 처리부(214)는 제3트랜잭션에 포함된 메시지를 처리하기 위하여 로컬DB부(215)에서 장치정보를 독출하거나 제4서비스를 요청한다. 제3트랜잭션 처리부(214)는 제3트랜잭션에 포함된 메시지를 사용자 유지보수 모듈(110)에서 처리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처리할 수 있는 경우 로컬DB부(215)에서 장치정보로를 독출하고, 처리할 수 없는 경우 제4서비스를 요청한다.
제3동기화부(216)는 주기적 메시지 전송 방법 및 이벤트 형태 방법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법에 의해 동기화한다. 즉, 제3동기화부(216)는 로컬DB부(215)의 장치정보가 변경된 경우 이벤트를 발생하여 글로벌 서버(120)에 전달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제3동기화부(216)는 로컬DB부(215)의 장치정보가 변경된 경우 제3트랜잭션 관리부(212)에 전달하고, 제3트랜잭션 관리부(212)는 이벤트 형태의 새로운 트랜잭션을 생성하여 글로벌 서버(120)에 전달할 수 있다.
제3동기화부(216)는 로컬DB부(215)의 장치정보가 변경된 경우 이벤트를 발생시켜 글로벌 서버(120)에 전달하여 장치정보가 변경되었음을 알려준다. 제2동기화부(125)는 로컬DB부(215)의 장치정보가 변경되었다는 이벤트를 전달받은 경우, 로컬DB부(215)의 장치정보를 요청하고 전달받으며, 전달받은 장치정보로서 글로벌DB부(124)의 장치정보를 갱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글로벌DB부(124)와 로컬DB부(215)는 동기화된다. 이때, 제2동기화부(125)는 로컬DB부(215)의 장치정보 중에서 변경된 정보에 대해서만 요청하여 정보 전송량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제3동기화부(216)는 주기적으로 표준 인터페이스(217)를 통하여 장치정보를 요청하고 전달받아 로컬DB부(215)의 장치정보를 갱신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제3동기화부(216)는 제3트랜잭션 관리부(212)에 장치정보를 요청하고, 제3트랜잭션 관리부(212)는 장치정보 요청에 따른 새로운 트랜잭션을 생성하여 로컬 유지보수 모듈(220)에 전달할 수 있다.
표준 인터페이스(217)는 요청된 제4서비스를 전달하고 제4서비스에 대한 결과를 전달받는다. 표준 인터페이스(217)는 다양한 이종 장치(300)에 대하여 표준화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즉, 로컬 서버(210)와 로컬 유지보수 모듈(220)은 표준화된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조사나 종류에 관계없이 다양한 장치(300)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고 전달할 수 있다.
로컬 유지보수 서비스 프레임워크 로컬 서버(210) 및 로컬 유지보수 모듈(220)을 포함한다.
로컬 서버(210)는 상술한 바와 같다.
로컬 유지보수 모듈(220)은 표준 인터페이스(217)를 통해 전달받은 제4서비스 요청을 처리한다. 로컬 유지보수 모듈(220)은 로컬 서버(210)로부터 장치(300)에 대한 제어를 요청받은 경우, 해당 장치(300)를 제어한다. 또한, 로컬 유지보수 모듈(220)은 로컬 서버(210)로부터 장치(300)에 대한 실시간 모니터링 등 다양한 정보를 요청받은 경우, 요청에 따라 정보를 생성하여 로컬 서버(210)에 제공한다.
원격 유지보수 서비스 프레임워크는 글로벌 유지보수 서비스 프레임워크 및 로컬 유지보수 서비스 프레임워크를 포함한다. 글로벌 유지보수 서비스 프레임워크는 상술한 사용자 유지보수 모듈(110) 및 글로벌 서버(120)를 포함할 수 있으며, 로컬 유지보수 서비스 프레임워크는 상술한 로컬 서버(210) 및 로컬 유지보수 모듈(220)을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응용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응용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10 : 사용자 유지보수 모듈 111 : 사용자 인터페이스
112 : 제1트랜잭션 관리부 113 : 제1매핑부
114 : 제1트랜잭션 처리부 115 : 저장부
116 : 제1동기화부
120 : 글로벌 서버 121 : 사용자 유지보수 인터페이스
122 : 제2트랜잭션 관리부 123 : 제2트랜잭션 처리부
124 : 글로벌DB부 125 : 제2동기화부
126 : 로컬 유지보수 인터페이스 127 : 네트워크 관리부
128 : 제2매핑부
210 : 로컬 서버 211 : 통신부
212 : 제3트랜잭션 관리부 213 : 제3매핑부
214 : 제3트랜잭션 처리부 215 : 로컬DB부
216 : 제3동기화부 217 : 표준 인터페이스
220 : 로컬 유지보수 모듈 300 : 장치

Claims (20)

  1. 서비스를 메시지로 변환하기 위하여 매핑하는 제1매핑부;
    유지보수 대상이 되는 장치 및 시스템의 운용상태 및 프로파일을 포함한 장치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사용자로부터 제1서비스를 요청 받고, 상기 요청된 제1서비스에 대한 결과를 전달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기 제1매핑부에서 상기 요청된 제1서비스에 대응하는 메시지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메시지를 포함하는 제1트랜잭션을 생성하는 제1트랜잭션 관리부; 및
    상기 제1트랜잭션에 포함된 메시지를 처리하기 위하여 상기 저장부에서 장치정보를 독출하거나 제2서비스를 요청하는 제1트랜잭션 처리부; 를 포함하는 사용자 유지보수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트랜잭션 처리부는,
    상기 제1트랜잭션에 포함된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유지보수 모듈에서 처리할 수 있는지 판단하고, 처리할 수 있는 경우 상기 저장부에서 장치정보를 독출하고, 처리할 수 없는 경우 상기 제2서비스를 요청하는 것인 사용자 유지보수 모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트랜잭션 관리부는,
    상기 제1서비스에 대한 응답메시지 및 응답파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상기 제1서비스에 대한 결과로 변환하는 해석을 더 수행하는 것인 사용자 유지보수 모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트랜잭션 관리부는,
    상기 제1트랜잭션의 이력관리, 상태관리, 이상(異常)처리관리 및 종료관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수행하는 것인 사용자 유지보수 모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된 제1트랜잭션은,
    이벤트를 포함한 단방향 형태의 메시지, Request-Response 형태의 2개 메시지, Request-Response-Result 형태의 3개 메시지, Request-Response-ActionRequest-ActionResponse 형태의 4개 메시지 및 Request-Response-ActionRequest-ActionResponse-Result 형태의 5개 메시지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된 것인 사용자 유지보수 모듈.
  6. 제1항에 있어서,
    주기적 메시지 전송 방법 및 이벤트 형태 방법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법에 의해 동기화하는 제1동기화부; 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 유지보수 모듈.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WEB으로 구현된 것인 사용자 유지보수 모듈.
  8. 서비스를 메시지로 변환하기 위하여 매핑하는 제2매핑부;
    유지보수 대상이 되는 장치 및 시스템의 운용상태 및 프로파일을 포함한 장치정보를 저장하는 글로벌DB부;
    제2서비스를 요청 받고, 상기 요청된 제2서비스에 대한 결과를 전달하는 사용자 유지보수 인터페이스;
    상기 제2매핑부에서 상기 요청된 제2서비스에 대응하는 메시지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메시지를 포함하는 제2트랜잭션을 생성하는 제2트랜잭션 관리부;
    상기 제2트랜잭션에 포함된 메시지를 처리하기 위하여 상기 글로벌DB부에서 장치정보를 독출하거나 제3서비스를 요청하는 제2트랜잭션 처리부; 및
    상기 요청된 제3서비스를 전송하고 상기 제3서비스에 대한 결과를 수신하는 로컬 유지보수 인터페이스; 를 포함하는 글로벌 서버.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트랜잭션 처리부는,
    상기 제2트랜잭션에 포함된 메시지를 상기 글로벌 서버에서 처리할 수 있는지 판단하고, 처리할 수 있는 경우 상기 글로벌DB부에서 장치정보를 독출하고, 처리할 수 없는 경우 상기 제3서비스를 요청하는 것인 글로벌 서버.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트랜잭션 관리부는,
    상기 제2트랜잭션의 이력관리, 상태관리, 이상(異常)처리관리 및 종료관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수행하는 것인 글로벌 서버.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된 제2트랜잭션은,
    이벤트를 포함한 단방향 형태의 메시지, Request-Response 형태의 2개 메시지, Request-Response-Result 형태의 3개 메시지, Request-Response-ActionRequest-ActionResponse 형태의 4개 메시지 및 Request-Response-ActionRequest-ActionResponse-Result 형태의 5개 메시지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된 것인 글로벌 서버.
  12. 제8항에 있어서,
    주기적 메시지 전송 방법 및 이벤트 형태 방법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법에 의해 동기화하는 제1동기화부; 를 더 포함하는 글로벌 서버.
  13. 제1항의 사용자 유지보수 모듈 및 제8항의 글로벌 서버를 포함하는 글로벌 유지보수 서비스 프레임워크.
  14. 서비스를 메시지로 변환하기 위하여 매핑하는 제3매핑부;
    제3서비스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제3서비스에 대한 결과를 송신하는 통신부;
    유지보수 대상이 되는 장치 및 시스템의 운용상태 및 프로파일을 포함한 장치정보를 저장하는 로컬DB부;
    상기 제3매핑부에서 상기 요청된 제3서비스에 대응하는 메시지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메시지를 포함하는 제3트랜잭션을 생성하는 제3트랜잭션 관리부;
    상기 제3트랜잭션에 포함된 메시지를 처리하기 위하여 상기 로컬DB부에서 장치정보를 독출하거나 제4서비스를 요청하는 제3트랜잭션 처리부; 및
    상기 요청된 제4서비스를 전달하고 상기 제4서비스에 대한 결과를 전달받는 표준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로컬 서버.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3트랜잭션 처리부는,
    상기 제3트랜잭션에 포함된 메시지를 상기 로컬 서버에서 처리할 수 있는지 판단하고, 처리할 수 있는 경우 상기 로컬DB에서 장치정보를 독출하고, 처리할 수 없는 경우 상기 제4서비스를 요청하는 것인 로컬 서버.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3트랜잭션 관리부는,
    상기 제3트랜잭션의 이력관리, 상태관리, 이상(異常)처리관리 및 종료관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수행하는 것인 로컬 서버.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된 제3트랜잭션은,
    이벤트를 포함한 단방향 형태의 메시지, Request-Response 형태의 2개 메시지, Request-Response-Result 형태의 3개 메시지, Request-Response-ActionRequest-ActionResponse 형태의 4개 메시지 및 Request-Response-ActionRequest-ActionResponse-Result 형태의 5개 메시지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된 것인 로컬 서버.
  18. 제14항에 있어서,
    주기적 메시지 전송 방법 및 이벤트 형태 방법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법에 의해 동기화하는 제3동기화부; 를 더 포함하는 로컬 서버.
  19. 제14항의 로컬 서버 및 로컬 유지보수 모듈을 포함하는 로컬 유지보수 서비스 프레임워크에 있어서,
    상기 로컬 유지보수 모듈은,
    제4서비스 요청을 처리하는 것인 로컬 유지보수 서비스 프레임워크.
  20. 제1항의 사용자 유지보수 모듈 및 제8항의 글로벌 서버를 포함하는 글로벌 유지보수 서비스 프레임워크 및 제19항의 로컬 유지보수 서비스 프레임워크를 포함하는 원격 유지보수 서비스 프레임워크.

KR1020100091887A 2010-09-17 2010-09-17 이종장치 및 시스템에 대한 원격 유지보수 및 모니터링 서비스 프레임워크 KR1013774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1887A KR101377461B1 (ko) 2010-09-17 2010-09-17 이종장치 및 시스템에 대한 원격 유지보수 및 모니터링 서비스 프레임워크
US13/234,533 US20120072545A1 (en) 2010-09-17 2011-09-16 Remote maintenance and monitoring service framework for heterogeneous device and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1887A KR101377461B1 (ko) 2010-09-17 2010-09-17 이종장치 및 시스템에 대한 원격 유지보수 및 모니터링 서비스 프레임워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9816A true KR20120029816A (ko) 2012-03-27
KR101377461B1 KR101377461B1 (ko) 2014-07-08

Family

ID=458187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1887A KR101377461B1 (ko) 2010-09-17 2010-09-17 이종장치 및 시스템에 대한 원격 유지보수 및 모니터링 서비스 프레임워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20072545A1 (ko)
KR (1) KR10137746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63825B2 (en) * 2013-09-23 2021-03-30 Farmobile, Llc Farming data collection and exchange syste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90390B2 (en) * 2011-12-12 2015-03-24 Cisco Technology, Inc.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ling of network utilization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10703B2 (en) * 2000-03-30 2011-08-30 Prashtama Wireless Llc Data conversion services and associated distributed processing system
US6609126B1 (en) * 2000-11-15 2003-08-19 Appfluent Technology, Inc. System and method for routing database requests to a database and a cache
KR100474483B1 (ko) * 2002-03-12 2005-03-09 삼성전자주식회사 네트워크를 통한 기기정보 제공장치 및 방법
US7409594B2 (en) * 2004-07-06 2008-08-05 Intel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to detect errors and predict potential failures
US7694189B2 (en) * 2007-02-28 2010-04-06 Red Hat, Inc. Method and system for remote monitoring subscription service
CN101420657B (zh) * 2007-10-22 2011-01-05 华为技术有限公司 异构网络间的消息传输方法及其装置
KR101199482B1 (ko) * 2008-12-19 2012-11-0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선박 통합 관리 장치 및 방법
ATE528713T1 (de) * 2009-06-18 2011-10-15 Software Ag Brokersystem für mehrere broker, clients und server in einem heterogenen netzwerk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63825B2 (en) * 2013-09-23 2021-03-30 Farmobile, Llc Farming data collection and exchange system
US11107017B2 (en) 2013-09-23 2021-08-31 Farmobile, Llc Farming data collection and exchange system
US11126937B2 (en) 2013-09-23 2021-09-21 Farmobile, Llc Farming data collection and exchange system
US11151485B2 (en) 2013-09-23 2021-10-19 Farmobile, Llc Farming data collection and exchange system
US11164116B2 (en) 2013-09-23 2021-11-02 Farmobile, Llc Farming data collection and exchange system
US11361260B2 (en) 2013-09-23 2022-06-14 Farmobile, Llc Farming data collection and exchange system
US11361261B2 (en) 2013-09-23 2022-06-14 Farmobile, Llc Farming data collection and exchange system
US11410094B2 (en) 2013-09-23 2022-08-09 Farmobile, Llc Farming data collection and exchange system
US11507899B2 (en) 2013-09-23 2022-11-22 Farmobile, Llc Farming data collection and exchange system
US11941554B2 (en) 2013-09-23 2024-03-26 AGI Suretrack LLC Farming data collection and exchange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20072545A1 (en) 2012-03-22
KR101377461B1 (ko) 2014-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024060B (zh) 一种开放式云计算大规模集群监控系统及方法
JP6450835B2 (ja) エネルギーセービング制御方法、管理サーバ及びネットワークデバイス
CN113742031B (zh) 节点状态信息获取方法、装置、电子设备及可读存储介质
CN110138876B (zh) 任务部署方法、装置、设备及平台
CN104598300A (zh) 分布式业务流程定制方法及系统
KR101416280B1 (ko) 이벤트 처리 시스템 및 방법
JP2011210064A (ja) ログ情報収集システム、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3944814A (zh) 一种数据交换方法和系统及一种网关服务器
CN111654534A (zh) 一种私有云任务管理系统、方法及存储介质
WO2012176337A1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システムの制御方法、管理装置および系切替プログラム
CN102324966A (zh) 一种基于网元管理单元自动发现变化单盘的方法
CN104219280B (zh) 一种智能应用数据传输通道
CN111339194A (zh) 数据库接入层中间件的自动调度方法和装置
US8677323B2 (en) Recording medium storing monitoring program, monitoring method, and monitoring system
KR20120029816A (ko) 이종장치 및 시스템에 대한 원격 유지보수 및 모니터링 서비스 프레임워크
CN102082680B (zh) 采集机控制网元连接的方法、采集机和系统
CN116016209A (zh) 一种网络自动化方法及装置
KR20110052909A (ko) 엑티브엑스 소켓 컴포넌트 대체를 위한 웹 서버 및 통신 서버 그리고 상기 웹 서버에서의 서비스 제공 방법
CN113824801A (zh) 一种智能融合终端统一接入管理组件系统
CN112787868A (zh) 一种信息同步的方法和装置
KR20110005945A (ko) 에이전트를 사용하지 않는 퍼포먼스 카운터와 캐시를 이용한 실시간 서버 성능 모니터링 방법
CN111064618A (zh) 一种服务器高可用的实现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KR20110015906A (ko) 원격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20107564A (ko) Snmp trap을 이용한 usp의 장애발생을 sms를 이용하여 통지하는 장치
JP2007251346A (ja) イベント通知の同報配信をなすコールセンタ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