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29582A - 버튼구조 - Google Patents

버튼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29582A
KR20120029582A KR1020100091460A KR20100091460A KR20120029582A KR 20120029582 A KR20120029582 A KR 20120029582A KR 1020100091460 A KR1020100091460 A KR 1020100091460A KR 20100091460 A KR20100091460 A KR 20100091460A KR 20120029582 A KR20120029582 A KR 201200295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pressing
product
electronic switch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14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희도
노용연
박정철
이정훈
Original Assignee
웅진코웨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웅진코웨이주식회사 filed Critical 웅진코웨이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914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29582A/ko
Publication of KR201200295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95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01H13/18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adapted for actuation at a limit or other predetermined position in the path of a body, the relative movement of switch and body being primarily for a purpose other than the actuation of the switch, e.g. door switch, limit switch, floor-levelling switch of a lift
    • H01H13/186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adapted for actuation at a limit or other predetermined position in the path of a body, the relative movement of switch and body being primarily for a purpose other than the actuation of the switch, e.g. door switch, limit switch, floor-levelling switch of a lift wherein the pushbutton is rectilinearly actuated by a lever pivoting on the housing of the switch

Landscapes

  • Rotary Switch, Piano Key Switch, And Lever Switch (AREA)

Abstract

어느 부분에 힘이 가해지더라도 제품에 구비된 전자식 스위치를 용이하게 누를 수 있는 버튼구조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버튼구조는 일측에 가해진 힘에 의해서 타측이 제품(P)에 구비된 전자식 스위치(SW)를 누를 수 있도록 구성된 누름부(200); 및 일측은 상기 누름부(200)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제품(P)에 힌지연결되는 연결부(300); 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연결부(300)의 타측은 상기 누름부(200)와 소정 거리(L) 이격되게 상기 제품(P)에 힌지연결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은 어느 부분에 힘이 가해지더라도 제품에 구비된 전자식 스위치를 용이하게 누를 수 있으며, 전자식 스위치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장치를 용이하게 작동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버튼구조{BUTTON STRUCTURE}
본 발명은 어느 부분에 힘이 가해지더라도 제품에 구비된 전자식 스위치를 용이하게 누를 수 있는 버튼구조에 관한 것이다.
정수기 등의 제품(P)에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식 스위치(SW)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전자식 스위치(SW)는 예컨대 솔레노이드식으로 된 전자식 추출밸브(도시되지 않음) 등의 장치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전자식 스위치(SW)를 누르게 되면 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장치, 예컨대 전술한 바와 같은 전자식 추출밸브 등이 작동된다. 즉, 추출밸브가 열리며 이에 따라 추출밸브에 연결관에 의해서 연결된 정수탱크 등에 저장된 물이 추출밸브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사용자에게 공급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전자식 스위치(SW)를 누르기 위해서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은 버튼구조(10)가 사용된다. 이러한 버튼구조(10)는 정수기 등의 제품(P)에 형성된 이동용 구멍(H)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며 제품(P)에 직접 힌지연결된 버튼부재(21)와, 제품(P)에 구비된 전자식 스위치(SW)에 인접하게 위치되도록 버튼부재(21)에 연결된 누름부재(22)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버튼부재(21)의 일측에 사용자의 힘이 작용되면, 버튼부재(21)가 가 이동용 구멍(H)에서 이동된다. 그리고, 버튼부재(21)와 함께 누름부재(22)가 이동되어 전자식 스위치(SW)에 탄성적으로 연결된 스위치 부재(S)를 누르게 된다.
종래, 이러한 버튼구조(10)의 버튼부재(21)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부재(21) 자체가 제품(P)에 힌지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도3에 F1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제품(P)에 힌지연결된 부분에서 멀리 떨어진 버튼부재(21)의 부분에 힘이 작용되면, 버튼부재(21)가 용이하게 회전된다. 그리고, 이에 따라 누름부재(22)가 전자식 스위치(SW)의 스위치부재(S)를 용이하게 누르게 된다. 그러나, 도3에 F2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제품(P)에 힌지연결된 부분에서 가까운 버튼부재(21)의 부분에 힘이 작용되면, 버튼부재(21)의 회전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누름부재(22)가 전자식 스위치(SW)의 스위치부재(S)를 누르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전자식 스위치(SW)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술된 바와 같은 전자식 추출밸브 등의 장치의 작동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버튼구조에서 발생하는 요구 또는 문제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인식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어느 부분에 힘이 가해지더라도 제품에 구비된 전자식 스위치를 용이하게 누를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목적은 전자식 스위치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장치를 용이하게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들 중 적어도 하나의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일실시 형태와 관련된 버튼구조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어느 부분에 힘이 가해지더라도 제품에 구비된 전자식 스위치를 용이하게 누를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기초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른 버튼구조는 일측에 가해진 힘에 의해서 타측이 제품에 구비된 전자식 스위치를 누를 수 있도록 구성된 누름부; 및 일측은 누름부에 연결되고 타측은 제품에 힌지연결되는 연결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연결부의 타측은 누름부와 소정 거리 이격되게 제품에 힌지연결될 수 있다.
이경우, 상기 누름부는 일측은 힘이 가해지도록 구성되며 타측은 제품에 형성된 이동용 구멍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버튼부재; 및 전자식 스위치에 인접하게 위치되도록 버튼부재에 연결되며 버튼부재의 이동으로 전자식 스위치를 누르는 누름부재; 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는 일측이 누름부에 연결되는 연결부재; 및 연결부재의 타측이 힌지연결되며 누름부와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의 제품에 구비되는 힌지연결부재;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는 'ㄱ' 자 형상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자식 스위치는 정수기에 구비된 전자식 추출밸브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어느 부분에 힘이 가해지더라도 제품에 구비된 전자식 스위치를 용이하게 누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식 스위치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장치를 용이하게 작동시킬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버튼구조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버튼구조의 일실시예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3은 종래의 버튼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버튼구조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겠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가장 적합한 실시예들을 기초로 하여 설명될 것이며,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과 같이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예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래 설명된 실시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그리고,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기재된 부호에 있어서, 각 실시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연장 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들은 기본적으로 어느 부분에 힘이 가해지더라도 제품에 구비된 전자식 스위치를 용이하게 누를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기초로 한다.
도1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버튼구조(100)는 누름부(200)와 연결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누름부(200)의 일측에는 힘이 가해질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누름부(200)를 누름으로 해서 누름부(200)의 일측에 힘이 가해질 수 있다. 또한, 누름부(200)의 타측은 누름부(200)의 일측에 가해진 힘에 의해서 제품(P), 예컨대 정수기의 등과 같은 제품(P)에 구비된 전자식 스위치(SW)를 누를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누름부(200)는 도1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버튼부재(210)와, 누름부재(220)를 포함할 수 있다.
버튼부재(210)의 일측은 힘이 가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버튼부재(210)의 일측은 도1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소정의 길이와 너비를 가지는 판의 형상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용이하게 버튼부재(210)를 눌러서 버튼부재(210)에 힘을 가할 수 있다. 또한, 버튼부재(210)의 타측은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제품(P)에 형성된 이동구멍(H)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버튼부재(210)의 일측에 힘이 가해지면, 버튼부재(210)의 타측이 제품(P)의 이동구멍(H)에서 이동될 수 있다. 즉, 이동구멍(H)에 의해서 버튼부재(210)의 이동이 가이드될 수 있다.
도1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누름부재(220)는 제품(P)에 구비된 전자식 스위치(SW)에 인접하게 위치되도록 버튼부재(210)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버튼부재(210)에 가해진 힘에 의해서 버튼부재(210)가 이동구멍(H)에서 이동되면, 누름부재(220)도 버튼부재(210)와 함께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이동된 누름부재(220)는 제품(P)에 구비된 전자식 스위치(SW), 즉 전자식 스위치(SW)에 탄성적으로 연결된 스위치부재(S)를 누를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식 스위치(SW)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장치, 예컨대, 정수기(도시되지 않음) 등의 제품(P)에 구비된 전자식 추출밸브(도시되지 않음)가 작동될 수 있다.
연결부(300)의 일측은 누름부(200)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연결부(300)의 타측은 제품(P)에 힌지연결될 수 있다. 또한, 연결부(300)의 타측은 누름부(200)로부터 소정 거리(L) 이격되게 제품(P)에 힌지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누름부(200)의 일측, 즉 누름부(200)의 버튼부재(210)의 어느 부분에 힘이 가해지더라도 연결부(300)가 용이하게 회전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연결부(300)의 회전에 의해서 누름부(200)의 타측, 즉 누름부(200)의 누름부재(220)가 이동됨으로써, 제품(P)에 구비된 전자식 스위치(SW)의 스위치부재(S)를 용이하게 누를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연결부(300)는 도1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연결부재(310)와 힌지연결부재(320)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재(310)의 일측은 누름부(200), 즉 누름부(200)의 버튼부재(210)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연결부재(310)와 버튼부재(210)의 연결은 도1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버튼부재(210)와 연결부재(310)를 연결하는 연결지지부재(311)에 의해서 지지될 수 있다. 그리고, 연결부재(310)는 후술할 바와 같이 누름부(200)로부터 소정 거리(L) 이격된 위치의 제품(P)에 구비된 힌지연결부재(320)에 힌지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누름부(200)의 버튼부재(210)에 힘이 가해지면, 연결부재(310)가 힌지연결부재(320)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버튼부재(210)가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버튼부재(210)의 이동으로 버튼부재(210)에 연결된 누름부재(220)가 전술한 바와 같이 제품(P)에 구비된 전자식 스위치(SW)의 스위치부재(S)를 누를 수 있다.
이러한 연결부재(310)는 도1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ㄱ'자 형상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연결부재(310)가 'ㄱ'자 형상이면, 누름부(200), 즉 누름부(200)의 버튼부재(210)와 후술할 바와 같이 누름부(200)로부터 소정 거리(L) 이격된 위치의 제품(P)에 구비되는 힌지연결부재(320)와의 연결이 용이할 수 있다. 또한, 누름부(200)의 일측, 즉 버튼부재(210)에 작용되는 힘에 의해서 연결부재(310)가 용이하게 힌지연결부재(320)를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그러나, 연결부재(310)의 형상은 도시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버튼부재(210)와 힌지연결부재(320)와의 연결이 용이하면서도 연결부재(310)가 용이하게 힌지연결부재(320)를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는 형상이라면 어떠한 형상이라도 가능하다.
힌지연결부재(320)는 도1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누름부(200)로부터 소정 거리(L) 이격된 위치의 제품(P)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힌지연결부재(320)에는 전술하고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연결부재(310)의 타측이 힌지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힌지연결부재(320)에는 힌지구멍(320a)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연결부재(310)에는 힌지연결부재(320)의 힌지구멍(320a)에 끼워지는 힌지돌기(310a)가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연결부재(310)가 힌지연결부재(320)에 힌지연결되는 구성은 도시된 실시예와 같은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공지의 다른 힌지연결되는 구성이 사용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연결부재(310)의 타측이 힌지연결되는 힌지연결부재(320)가 누름부(200)로부터 소정 거리(L) 이격된 위치의 제품(P)에 구비되어서, 누름부(200)의 일측, 즉 버튼부재(210)의 어느 부분에 힘이 가해지더라도, 연결부재(310)가 힌지연결부재(320)를 중심으로 용이하게 회전될 수 있다. 즉, 도2에 P1과 P2 및 P3로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에 따라 버튼부재(210)에 작용되는 힘의 크기는 달라진다고 하더라도, 힌지연결부재(320)를 중심으로 회전되는 연결부재(310)의 회전정도는 달라지지 않게 된다. 따라서,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부재(210)의 어느 부분에 힘이 가해진다고 하더라도, 연결부재(310)에 연결된 버튼부재(210)가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버튼부재(210)와 함께 이동된 누름부재(220)가 전자식 스위치(SW)의 스위치부재(S)를 용이하게 누를 수 있다. 그러므로, 전자식 스위치(SW)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예컨대, 정수기 등에 구비된 전자식 추출밸브를 용이하게 작동시킬 수 있다.
이하, 도2를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버튼구조(100)의 작동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사용자가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누름부(200)의 버튼부재(210)의 일측을 누르면, 버튼부재(210)의 일측에 가해진 힘에 의해서, 연결부(300)의 연결부재(310)가 힌지연결부재(320)를 중심으로 회전된다. 그리고, 이에 따라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부재(210)와 누름부재(220)가 이동된다. 그리고, 누름부재(220)가 전자식 스위치(SW)에 탄성적으로 연결된 스위치부재(S)를 누르게 된다. 이에 의해서, 전자식 스위치(SW)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장치, 예컨대 정수기 등에 구비된 솔레노이드식으로 된 전자식 추출밸브가 작동될 수 있다. 그리고, 추출밸브에 연결관에 의해서 연결된 정수탱크 등에 저장된 물이 추출밸브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사용자에게 공급될 수 있다.
이후, 누름부(200)의 버튼부재(210)의 일측에 작용되는 힘을 제거하면, 전자식 스위치(SW)에 탄성적으로 연결된 스위치부재(S)가 누름부재(220)에 작용하는 탄성복원력에 따라, 연결부(300)의 연결부재(310)가 힌지연결부재(320)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버튼부재(210)가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간다.
한편, 도2에 P1과 P2 및 P3로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부재(210)에 작용되는 힘의 위치가 달라진다고 하더라도, 연결부(300)의 연결부재(310)의 회전정도는 달라지지 않는다. 단지, 도시된 바와 같이 힘의 크기만 달라질 뿐이다. 따라서, 버튼부재(210)의 어느 부분에 힘이 작용된다고 하더라도, 연결부재(310)가 힌지연결부재(320)를 중심으로 용이하게 회전된다. 그리고, 이에 따라 버튼부재(210)와 함께 누름부재(220)가 용이하게 이동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누름부재(220)의 이동에 의해서 누름부재(220)가 제품(P)에 구비된 전자식 스위치(SW)의 스위치부재(S)를 용이하게 누를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식 스위치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장치, 예컨대 정수기 등에 구비된 전자식 추출밸브를 용이하게 작동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버튼구조를 사용하면, 어느 부분에 힘이 가해지더라도 제품에 구비된 전자식 스위치를 용이하게 누를 수 있으며, 전자식 스위치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장치를 용이하게 작동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버튼구조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의 구성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0, 100 : 버튼구조 200 : 누름부
21, 210 : 버튼부재 22, 220 : 누름부재
300 : 연결부 310 : 연결부재
310a : 힌지돌기 311 : 연결지지부재
320 : 힌지연결부재 320a : 힌지구멍
P : 제품 SW : 스위치
S : 스위치 부재 H : 이동용 구멍

Claims (5)

  1. 일측에 가해진 힘에 의해서 타측이 제품(P)에 구비된 전자식 스위치(SW)를 누를 수 있도록 구성된 누름부(200); 및
    일측은 상기 누름부(200)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제품(P)에 힌지연결되는 연결부(300); 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연결부(300)의 타측은 상기 누름부(200)로부터 소정 거리(L) 이격되게 상기 제품(P)에 힌지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부(200)는
    일측은 힘이 가해지도록 구성되며 타측은 상기 제품(P)에 형성된 이동용 구멍(H)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버튼부재(210); 및
    상기 전자식 스위치(SW)에 인접하게 위치되도록 상기 버튼부재(210)에 연결되며 상기 버튼부재(210)의 이동으로 상기 전자식 스위치(SW)를 누르는 누름부재(22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300)는
    일측이 상기 누름부(200)에 연결되는 연결부재(310); 및
    상기 연결부재(310)의 타측이 힌지연결되며 상기 누름부(200)로부터 소정 거리(L) 이격된 위치의 상기 제품(P)에 구비되는 힌지연결부재(32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구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310)는 'ㄱ' 자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구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식 스위치(SW)는 정수기에 구비된 전자식 추출밸브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구조.
KR1020100091460A 2010-09-17 2010-09-17 버튼구조 KR2012002958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1460A KR20120029582A (ko) 2010-09-17 2010-09-17 버튼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1460A KR20120029582A (ko) 2010-09-17 2010-09-17 버튼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9582A true KR20120029582A (ko) 2012-03-27

Family

ID=461339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1460A KR20120029582A (ko) 2010-09-17 2010-09-17 버튼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2958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41505B2 (en) 2014-10-17 2017-08-22 Hyundai Motor Company Push switch of outside handle of door
CN108284795A (zh) * 2017-01-10 2018-07-17 比亚迪股份有限公司 升降机构和具有其的车辆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41505B2 (en) 2014-10-17 2017-08-22 Hyundai Motor Company Push switch of outside handle of door
CN108284795A (zh) * 2017-01-10 2018-07-17 比亚迪股份有限公司 升降机构和具有其的车辆
CN108284795B (zh) * 2017-01-10 2020-08-07 比亚迪股份有限公司 升降机构和具有其的车辆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181299A1 (en) Battery cover locking mechanism of a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DE502005000530D1 (de) Betätiger für einen elektrischen druckschalter, insbesondere bei fahrzeugen
TW200640090A (en) Electronic device with replaceable plug
SI1766500T1 (sl) Naprava za sproĺ˝anje
ATE544326T1 (de) Gehäuse für elektrische komponenten
TWM533261U (en) Keyswitch device and keyboard
JP5825318B2 (ja) スライドスイッチ装置
DE602006012407D1 (de) Grossflächiges Schaltgerät
ATE532200T1 (de) Schutzschalter zur absicherung eines stromkreises
DE502006003849D1 (de) Befehlsgerät mit schaltelementüberwachung
KR20120029582A (ko) 버튼구조
ATE483243T1 (de) Positionsschalter
EP2106102A2 (en)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housing with key buttons coupled thereto
ATE487228T1 (de) Mikroschalter
TW200633319A (en) Electronic device and receptacle thereof
EP2003670A3 (en) Compound operation input device
US20060180453A1 (en) Double-pole change-over switch
DE50301612D1 (de) Tastenblock zum Einsetzen in eine Bedienfläche eines Haushaltsgerätes
PL1731914T3 (pl) Jednostka funkcjonalna dla sprzętu elektrycznego albo elektronicznego
WO2010077081A3 (en) Panel operating apparatus
WO2008067998A3 (de) Bedienungseinrichtung für ein elektrogerät mit berührungsschaltern und verfahren zum zuschalten einer zusatz-heizeinrichtung
CN203085419U (zh) 一种自锁微动开关
ATE408888T1 (de) Druckschalter
TW200608862A (en) Electronic apparatus and fixed structure thereof
ATE394811T1 (de) Drehklemmkontaktierung für einen elektrischen lei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