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28034A - Refrigerator - Google Patents

Refrigera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28034A
KR20120028034A KR1020100089987A KR20100089987A KR20120028034A KR 20120028034 A KR20120028034 A KR 20120028034A KR 1020100089987 A KR1020100089987 A KR 1020100089987A KR 20100089987 A KR20100089987 A KR 20100089987A KR 20120028034 A KR20120028034 A KR 201200280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input member
refrigerator
pattern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998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190448B1 (en
Inventor
권기동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899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0448B1/en
Priority to US13/224,551 priority patent/US20120061405A1/en
Publication of KR201200280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803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04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044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4Function thereof
    • E05Y2201/422Function thereof for opening
    • E05Y2201/426Function thereof for opening for the initial opening mov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80User interfaces
    • E05Y2400/85User input means
    • E05Y2400/856Actuation thereof
    • E05Y2400/858Actuation thereof by body parts, e.g. by feet
    • E05Y2400/86Actuation thereof by body parts, e.g. by feet by hand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40Mounting location; Visibility of the elements
    • E05Y2600/46Mounting location; Visibility of the elements in or on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3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 E05Y2900/31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for refriger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PURPOSE: A refrigerator is provided to improve convenience of users by establishing an input member in the central part of refrigerator. CONSTITUTION: The refrigerator comprises the cabinet, the door(20), the input member, the door opening equipment(13). The storage is formed in the cabinet. The door opens and closes the storage. Users press the input member and door to open. The door opening equipment is driven by the manipulation of the input member and the door is opened.

Description

냉장고 { Refrigerator }Refrigerator {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frigerator.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도어에 의해 차폐되는 내부의 저장공간에 음식물을 저온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가전 기기로서, 냉동사이클을 순환하는 냉매와의 열교환을 통해 발생하는 냉기를 이용하여 저장공간의 내부를 냉각함으로써 저장된 음식물들을 최적상태로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In general, a refrigerator is a home appliance that allows food to be stored at a low temperature in an interior storage space shielded by a door, and is stored by cooling the inside of the storage space using cold air generated through heat exchange with a refrigerant circulating in a refrigeration cycle. It is configured to keep foods in optimal condition.

그리고, 냉장고 내부의 저장공간으로는 섭씨 1~4도 범위에서 유지되도록 하여, 채소와 같은 음식물이 신선한 상태로 보관되도록 하는 냉장실과, 섭씨 -18도 범위에서 유지되도록 하여 육류나 생선과 같은 음식물이 냉동 보관되도록 하는 냉동실이 제공되며, 상기 냉동실과 냉장실의 배치 및 상기 냉장실과 냉동실을 차폐하는 도어의 형태에 따라서 상기 냉장고는 다양한 형태를 가지게 된다.In addition, the storage space inside the refrigerator is maintained in the range of 1 to 4 degrees Celsius,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to keep foods such as vegetables are kept in a fresh state, and foods such as meat or fish to be kept in the range of -18 degrees Celsius A freezer compartment for freezing and storing is provided, and the refrigerator may have various shapes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of the freezer compartment and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and the shape of the door that shields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and the freezer compartment.

일반적인 냉장고는 사용자가 손으로 도어 핸들을 잡고 회동시켜 냉장실 또는 냉동실을 개방하도록 구성된다. 하지만, 냉장고의 사용시 양손에 식품 또는 식품이 담겨진 용기를 들고 있어 손으로 상기 도어를 개방하기 어려운 상황이 발생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는 식품 또는 식품이 담겨진 용기를 내려놓고 도어를 개방한 후에 다시 식품을 넣어야만 한다.A typical refrigerator is configured to open a refrigerating compartment or a freezing compartment by rotating a user by holding a door handle by hand. However, when using the refrigerator, it may be difficult to open the door by hand because it is holding a container containing food or food in both hands. In such a situation, the food or food container must be put down, the door must be opened, and the food must be put again.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사용자의 발로 밟아서 상기 도어를 개방 조작할 수 있는 구조 또는 버튼 방식으로 상기 도어를 개방할 수 있는 구조 등 다양한 구조의 냉장고가 개발되고 있다.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refrigerators having various structures, such as a structure capable of opening the door by stepping on a user's foot or opening the door by a button method, have been developed.

본 발명의 실시예는 사용자의 신체를 이용하여 눌러서 조작할 수 있는 입력장치가 냉장고의 도어에 구비되어 상기 도어를 용이하게 개방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refrigerator that can be opened by pressing the input device that can be operated by using the user's body on the door of the refrigerator.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저장공간이 형성되는 캐비닛; 상기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에 구비되며, 상기 도어의 개방 조작을 위해 사용자에 의해 누름 조작되는 입력부재; 상기 입력부재의 조작에 의해 구동되며, 상기 도어를 개방시키는 도어 개방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입력부재는 상기 캐비닛 전체 높이의 중앙 지점과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binet in which a storage space is formed; A doo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storage space; An input member provided in the door and pressed by a user to open the door; It is driven by the operation of the input member, and includes a door opening device for opening the door, the input member is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entral point of the entire height of the cabinet.

또한, 상기 도어는 다수개 구비되며, 상기 도어 개방장치는 상기 다수의 도어와 대응하는 개수만큼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doors may be provided, and the door opening device may be provided as many as the number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doors.

또한, 상기 입력부재는 상기 다수의 도어와 대응하는 개수만큼 형성되며, 다수의 도어 중 하나의 도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input member is formed by the number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doors,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in one of the plurality of doors.

또한, 상기 도어의 회전 중심에는 상기 도어가 일정 각도 이상 개방되었을 때 상기 도어가 더 개방될 수 있도록 하는 힌지장치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oor may further include a hinge device configured to further open the door when the door is opened at a predetermined angle or more.

또한, 상기 도어에는 전면을 통해 외부로 표현되는 무늬가 형성되며, 상기 입력부재는 상기 무늬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door is formed with a pattern represented by the outside through the front surface, the input member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pattern.

또한, 상기 무늬는 상기 도어의 전면을 형성하는 도어 플레이트에 형성되며, 상기 입력부재는 상기 도어 플레이트의 후방에 구비되며, 터치 방식으로 누름 조작을 입력 받을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attern is formed on the door plate forming the front of the door, the input member is provided on the rear of the door plate, i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to receive a pressing operation by a touch method.

또한, 상기 도어는 다수개 구비되며, 상기 입력부재는 도어와 대응하는 개수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다수의 입력부재는 상기 무늬의 형상이 나뉘어져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door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the input member may be composed of a number corresponding to the door, the plurality of input members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hape of the pattern is divided.

또한, 상기 도어의 전면에는 외부로 표현되는 무늬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개구된 무늬부가 형성되며, 상기 입력부재는 상기 무늬부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무늬부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ront surface of the door is formed with a pattern portion opening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pattern represented by the outside, the input member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pattern portion, characterized in that mounted on the pattern portion.

또한, 상기 입력부재는, 상기 도어의 전면과 동일 소재로 형성되는 누름부와, 상기 누름부의 후방에 구비되며, 상기 누름부의 조작시 동작되는 스위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input member may include a pressing part formed of the same material as the front surface of the door, and a switch provided at the rear of the pressing part and operated at the time of operation of the pressing part.

또한, 상기 입력부재는 상기 도어의 좌우 양측단과 접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input member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to contact the left and right both ends of the door.

또한, 상기 도어는 다수개가 구비되며, 상기 도어와 대응하는 개수의 입력부재는 가로방향으로 서로 연속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door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characterized in that the door and the number of input members corresponding to the number is arranged continuously in the horizontal direction.

또한, 상기 다수의 입력부재는 대응하는 도어에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lurality of input members are characterized in that each provided in the corresponding door.

또한, 상기 다수의 입력부재는 다수의 도어 중 어느 하나의 도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lurality of input members may be provided in any one of the plurality of door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 의하면, 냉장고 전체 높이의 대략 중앙부에 도어의 개방을 위한 도어 개방장치의 구동을 조작하는 입력부재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입력부재는 상기 도어의 가로방향의 폭과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그 크기가 비교적 크게 형성된다. According to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input member for operating a drive of the door opening device for opening the door is provided at a substantially central portion of the entire height of the refrigerator. The input member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width of the door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size of the input member is relatively large.

따라서, 사용자가 식품을 양손에 모두 들고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의 신체 특히, 팔꿈치 등으로 용이하게 누를 수 있는 위치와 크기로 입력부재가 제공될 수 있게 되어 사용상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게 된다.Therefore, the input member can be provided in a position and a size which can be easily pressed by the user's body, in particular, the elbow, etc. while the user is holding the food in both hands, thereby improving convenience of use.

그리고, 상기 입력부재는 상기 도어의 가로방향폭과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되어 상기 도어에 전체적인 이질감이 없이 제공될 수 있게 되며, 상기 도어의 전면과 동일한 소재로 형성될 경우, 상기 입력부재가 상기 도어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처럼 보일 수 있다.The input member may be formed to have a size corresponding to the width of the door in a horizontal direction so that the input member may be provided without overall heterogeneity, and when the input member is formed of the same material as the front surface of the door, the input member may be provided. It may appear to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또한, 상기 입력부재가 상기 도어에 형성되는 무늬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무늬가 형성되는 위치에 형성될 경우, 그 크기를 비교적 크게 하더라도 상기 도어의 전체적인 디자인과 일체감을 가지게 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input member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pattern formed on the door and is formed at the position where the pattern is formed, the input member may have a sense of unity with the overall design of the door even if its size is relatively large.

한편, 상기 다수의 입력부재가 구비되는 경우 서로 인접하는 위치에 연속 배치됨으로써 조작의 편의성은 물론 도어의 디자인에 있어 일관성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plurality of input members are provided in a continuous position adjacent to each other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consistency in the design of the door as well as the convenience of operation.

도 1은 본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의한 도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의 제어신호 흐름을 보인 블럭도이다.
도 4는 다른 실시예에 의한 도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은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도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의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doo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trol signal flow of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do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do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된다고 할 수 없으며, 또 다른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삭제 등에 의해서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다.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Howev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s, and that other embodiment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asily devised by adding, .

이하에서는 설명과 이해의 편의를 위해 양문형(Side by side type) 냉장고를 예를 들어 설명하며, 다양한 타입의 냉장고에 적용 가능함을 미리 밝혀 둔다.Hereinafter, a side by side type refrigerator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understanding, and it will be apparent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various types of refrigerators.

도 1은 본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의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1)는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10)과, 상기 캐비닛(10)의 개구된 전면을 개폐하는 도어(20)에 의해 외형이 형성된다.Referring to FIG. 1, a refrigerator 1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outer shape formed by a cabinet 10 that forms a storage space and a door 20 that opens and closes an opened front surface of the cabinet 10. do.

상기 저장공간은 좌우로 구획되어 각각 냉장실(11)과 냉동실(12)을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냉장실(11)과 냉동실(12)은 상기 도어(20)에 의해 개별적으로 개폐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20)는 냉장실 도어(21)와 냉동실 도어(22)로 구성되며, 상기 캐비닛(10)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다.The storage space may be divided into left and right sides to form a refrigerating chamber 11 and a freezing chamber 12, respectively, and the refrigerating chamber 11 and the freezing chamber 12 are configured to be individually opened and closed by the door 20. . The door 20 includes a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21 and a freezing compartment door 22, and is rotatably mounted to the cabinet 10.

상기 한쌍의 도어(20) 전면에는 상기 도어(20)의 개폐시 사용자가 잡을 수 있는 도어 핸들(23)이 구비된다. 상기 도어 핸들(23)은 사용자가 용이하게 잡을 수 있도록 돌출된 바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함몰된 포켓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front of the pair of doors 20 is provided with a door handle 23 that the user can grab when opening and closing the door 20. The door handle 23 may be formed in a bar shape that protrudes to be easily grasped by a user, or may be formed in a recessed pocket shape.

한편, 상기 도어(20)에는 도시되지 않은 사용자의 편의를 위한 다양한 구성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도어(20)에는 상기 냉장고(1)의 동작을 조작하고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조작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20)에는 물 또는 얼음을 상기 도어(20)의 외측에서 취출할 수 있는 디스펜서와, 상기 도어(20)가 닫힌 상태에서 음식물을 인출입 할 수 있는 홈바가 더 구비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door 20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various configurations for the convenience of the user not shown. For example, the door 20 may further include an operation unit for operating an operation of the refrigerator 1 and displaying an operation state. In addition, the door 20 may further include a dispenser capable of taking out water or ice from the outside of the door 20, and a home bar capable of drawing in and out of food while the door 20 is closed. .

그리고, 상기 도어(20)에는 상기 도어 핸들(23)을 조작하지 않고 상기 도어(20)를 개방할 수 있도록 하는 입력부재(30)가 더 구비된다. 상기 입력부재(30)는 상기 도어(20)의 전면으로 노출되며, 상기 냉장고(1)의 높이 중 대략 중앙부에 위치하여 사용자의 신체 특히, 팔꿈치 등으로 눌러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The door 20 further includes an input member 30 for opening the door 20 without manipulating the door handle 23. The input member 30 is expos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door 20, is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height of the refrigerator 1 is configured to be operated by pressing the user's body, in particular, elbows and the like.

한편, 상기 캐비닛(10)에는 상기 입력부재(30)의 조작에 의해 동작되는 도어 개방장치(13)가 구비된다. 상기 도어 개방장치(13)는 상기 제어부(40)와 연결되어 동작이 제어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 개방장치(13)는 상기 입력부재(30)의 동작시 상기 도어(20)를 밀어 개방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냉장실 도어(21)를 개방하기 위한 냉장실 도어 개방장치(131)와 냉동실 도어(22)를 개방하기 위한 냉동실 도어 개방장치(132)로 구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abinet 10 is provided with a door opening device 13 which is operated by the operation of the input member (30). The door opening device 13 may be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40 to control the operation. In addition, the door opening device 13 is configured to push and open the door 20 when the input member 30 is operated, and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opening device 131 for opening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21. And a freezer door opening device 132 for opening the freezer door 22.

그리고, 상기 도어 개방장치(13)는 공지된 구조와 같은 자력을 이용한 구조, 모터 또는 솔레노이드의 구동력을 이용한 구조 등 다양한 구조가 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도어 개방장치(13)는 필요에 따라 상기 도어(20)에 구비되어 상기 캐비닛을 밀어 상기 도어(20)가 개방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door opening device 13 may have various structures such as a structure using a magnetic force such as a known structure, a structure using a driving force of a motor or a solenoid. In addition, the door opening device 13 may be provided in the door 20 as necessary to push the cabinet to open the door 20.

도 2는 본 실시예에 의한 도어의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의 제어신호 흐름을 보인 블럭도이다.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doo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trol signal flow of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도어(20)는 상기 도어(20) 내부의 형상을 형성하는 도어 케이스(24)와 상기 도어(20)의 배면의 형상을 형성하는 도어 라이너(25), 상기 도어 케이스(24)과 도어 라이너(25) 사이에 구비되는 단열부재(미도시) 외부로 노출되는 외관형상을 형성하는 도어 플레이트(26) 및 이들을 고정하는 데코부재(27)의 결합에 의해 전체적인 형상이 형성된다.2 and 3, the door 20 includes a door case 24 forming a shape inside the door 20 and a door liner 25 forming a shape of a rear surface of the door 20. By combining the door plate 26 and the deco member 27 fixing the door plate 26 to form an external shap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heat insulating member (not shown) provided between the door case 24 and the door liner 25. The shape is formed.

상기 도어 케이스(24)는 상기 도어(20)의 전반적인 외형을 형성하는 것으로 직사각형 형상의 철판의 둘레가 절곡되어 형성되며, 상기 도어 케이스(24)의 전면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입력부재(30)가 장착되는 입력부재 장착부(241)가 형성된다.The door case 24 forms an overall appearance of the door 20 and is formed by bending a circumference of a rectangular iron plate, and an input member 30 to be described below is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door case 24. An input member mounting portion 241 to be mounted is formed.

상기 도어 라이너(25)는 상기 도어(20)의 배면 형상을 형성하는 것으로, 플라스틱 수지재에 의해 형성되며, 음식물의 수납을 위한 수납부재(도시되지 않음)의 장착을 위한 성형단 또는 별도의 공간을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door liner 25 forms a rear shape of the door 20 and is formed of a plastic resin material, and a molding end or a separate space for mounting a receiving member (not shown) for storing food. It can be configured to form.

한편, 상기 도어 케이스(24)와 도어 라이너(25)의 사이는 이격 형성되며, 사이의 공간에는 단열부재가 제공된다. 상기 단열부재는 상기 도어 케이스(24)와 도어 라이너(25) 사이의 밀폐공간에 폴리스티렌(EPS:Expandable poly-styrene) 소재의 발포액이 주입되어 발포 충진되는 것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the door case 24 and the door liner 25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 space between the door case 24 and the door liner 25 is provided. The heat insulating member may be formed by injecting a foamed liquid of polystyrene (EPS: Expandable poly-styrene) into the sealed space between the door case 24 and the door liner 25 and filling the foam.

상기 도어 케이스(24)과 도어 라이너(25)의 상하방과 좌우측방에는 데코부재(24)가 형성된다. 상기 데코부재(27)는 상기 도어(20)의 둘레면을 형성하며, 상기 도어 플레이트(26)가 장착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Deco members 24 are formed on the top, bottom, left and right sides of the door case 24 and the door liner 25. The decor member 27 forms a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oor 20 and is formed to be mounted to the door plate 26.

이를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데코부재(27)는 상기 도어(20)의 상하단에 배치되는 캡 데코(271)와 상기 도어(20)의 좌우 측단에 배치되는 사이드 데코(272)로 구성된다. 상기 캡 데코(271)는 상기 도어 케이스(24)의 상하면에 고정 장착되며, 상기 사이드 데코(272)는 상기 도어 케이스(24)의 좌우 양측면에 고정 장착된다. Looking at this in more detail, the deco member 27 is composed of a cap deco 271 disposed on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door 20 and side deco 272 disposed on the left and right side ends of the door 20. The cap deco 271 is fixedly mounted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door case 24, and the side deco 272 is fixedly mounted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door case 24.

상기 도어 플레이트(26)는 상기 데코부재(27)에 의해 고정된 상태로 상기 도어(20)의 전면 외관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 플레이트(26)는 상기 도어 케이스(24)의 전면과는 이격된 상태로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도어 플레이트(26)와 상기 도어 케이스(24)의 사이에는 아래에서 상세하게 설명할 입력부재(30)가 구비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The door plate 26 may form a front appearance of the door 20 in a fixed state by the decor member 27. The door plate 26 may be mount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ront surface of the door case 24, and the door plate 26 may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between the door plate 26 and the door case 24. It forms a space in which the input member 30 can be provided.

한편, 상기 도어 플레이트(26)는 강화유리 또는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어 플레이트(26)에는 도어(20)의 외관을 형성하기 위한 무늬(261) 또는 색상이 구형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상기 도어 플레이트(26)의 배면은 인쇄처리되거나, 인쇄처리된 필름이 부착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door plate 26 may be formed of tempered glass or plastic material. The door plate 26 may have a spherical pattern 261 or a color for forming the appearance of the door 20. For this purpose, the rear surface of the door plate 26 is printed or a printed film is attached. Can be.

이때, 상기 무늬(261)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기하학적인 모양, 꽃모양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소정의 면적을 가지는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 상기 무늬(261)는 꽃모양으로 형성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In this case, the pattern 261 may be formed in various ways, and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such as a geometric shape, a flower shape, and may be formed in a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area. Hereinafter, the pattern 261 will be described with an example of being formed in a flower shape.

상기 도어 플레이트(26)에 형성되는 무늬(261)는 다양한 형상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적어도 상기 도어(20)의 상하 높이 중 중앙부에도 형성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입력부재(30)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사용자가 상기 무늬(261)부분을 터치하여 상기 입력부재(30)를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The pattern 261 formed on the door plate 26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and may be formed at the center of at least the vertical height of the door 20. And, it is formed in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input member 30 is configured to allow the user to operate the input member 30 by touching the pattern 261 portion.

이때, 상기 입력부재(30)와 대응하는 무늬(261)는 냉장고(1)의 디자인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으나, 비교적 크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상기 냉장고(1)의 조작에 사용되는 버튼들 보다는 훨씬 더 큰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입력부재(30)의 조작이 매우 용이하게 된다.In this case, the input member 30 and the corresponding pattern 261 may be variously formed according to the design of the refrigerator 1, but may be formed relatively large, and generally used for the operation of the refrigerator 1. It can be made much larger than the buttons. Therefore, the operation of the input member 30 becomes very easy.

상기 입력부재(30)는 상기 도어 개방장치(13)의 조작을 위한 것으로 제어부(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입력부재(30)의 조작시 상기 제어부(40)에 의해 상기 도어 개방장치(13)의 구동이 가능하게 된다. The input member 30 is for operation of the door opening device 13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40. Therefore, when the input member 30 is operated, the door opening device 13 can be driven by the controller 40.

상기 입력부재(30)는 일반적인 정전식 또는 압전식 터치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입력부재(30)는 상기 도어 플레이트(26)에 형성된 무늬(261)의 배면에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입력부재(30)는 상기 도어(20)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되며, 사용자가 상기 입력부재(30)의 위치와 대응하는 상기 도어 플레이트(26)의 해당 무늬(261) 부분을 누르게 될 경우 상기 입력부재(30)의 동작이 가능하게 된다.The input member 30 may be configured as a general capacitive or piezoelectric touch module. The input member 30 may be provided on a rear surface of the pattern 261 formed on the door plate 26. Therefore, the input member 30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door 20, and the user presses a corresponding pattern 261 of the door plate 26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input member 30. If possible, the operation of the input member 30 is possible.

상세히, 상기 입력부재(30)는 상기 도어 케이스(24)의 입력부재 장착부(241)에 장착된다. 이때, 상기 입력부재 장착부(241)는 상기 도어 플레이트(26)의 무늬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무늬(261)의 후방에 위치된다. 따라서, 상기 입력부재(30)의 장착시 상기 입력부재(30)는 상기 무늬(261)와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게 된다.In detail, the input member 30 is mounted to the input member mounting portion 241 of the door case 24. At this time, the input member mounting portion 241 may be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pattern of the door plate 26, it is located behind the pattern 261. Therefore, when the input member 30 is mounted, the input member 30 may be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attern 261.

그리고, 상기 입력부재(30)는 상기 냉장실 도어 개방장치(131)와 냉동실 도어 개방장치(132)의 조작을 위한 제 1 입력부재(31)와 제 2 입력부재(3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입력부재(31)와 제 2 입력부재(32)는 각각 상기 무늬(261)의 일부분을 형성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서로 인접한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The input member 30 may include a first input member 31 and a second input member 32 for operating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opening device 131 and the freezing compartment door opening device 132. The first input member 31 and the second input member 32 may be formed to form a portion of the pattern 261, respectively, and may be located at positions adjacent to each other.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냉장실 도어(21)의 개방을 원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 1 입력부재(31)와 대응하는 상기 무늬(261) 부분을 눌러 상기 냉장실(11)을 개방하게 되고, 상기 냉동실 도어(22)의 개방을 원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 2 입력부재(32)와 대응하는 상기 무늬(261) 부분을 눌러 상기 냉동실(12)을 개방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when the user wants to open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21, the user presses a portion of the pattern 261 corresponding to the first input member 31 to open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11 and the freezer compartment door 22. ), The freezing chamber 12 can be opened by pressing a portion of the pattern 261 corresponding to the second input member 32.

물론, 상기 제 1 입력부재(31)와 제 2 입력부재(32)는 서로 다른 위치에 형성되는 상기 무늬(261)에 구비될 수 있으며, 이때에도 상기 제 1 입력부재(31)와 제 2 입력부재(32)는 모두 사용자의 팔꿈치 또는 이와 대응하는 신체 일부로 조작 가능한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Of course, the first input member 31 and the second input member 32 may be provided in the pattern 261 formed at different positions, and the first input member 31 and the second input may also be provided. All of the members 32 may be provided at positions that can be manipulated by the user's elbow or a corresponding body part.

한편, 상기 도어(20)의 상단과 하단은 각각 상부 힌지장치(14)와, 하부 힌지장치(15)에 의해 상기 캐비닛(1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 힌지장치(15)는 상기 도어(20)가 소정의 각도만큼 개방되었을 때 상기 도어(20)가 더 개방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door 20 are rotatably mounted to the cabinet 10 by the upper hinge device 14 and the lower hinge device 15, respectively. The lower hinge device 15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open the door 20 when the door 20 is opened by a predetermined angle.

상세히, 상기 도어 개방장치(13)에 의해 일정 각도 이상 상기 도어(20)가 개방된 후에는 상기 하부 힌지장치(15)에 의해 상기 도어(20)가 더 개방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하부 힌지장치(15)는 내부에 토션스프링이 구비되어 탄성 복원력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도어(20)가 개방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상기 도어(20)의 하중에 의해 서로 대응하는 캠면끼리 상대운동하여 상기 도어(20)가 개방되도록 회전시키는 구조 등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In detail, after the door 20 is opened at a predetermined angle or more by the door opening device 13, the door 20 may be further opened by the lower hinge device 15. At this time, the lower hinge device 15 is provided with a torsion spring therein may be configured to rotate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to open the door 20, the cam surface corresponding to each other by the load of the door 20 Relative movement may be configured in a variety of ways, such as a structure to rotate the door 20 to open.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상기 냉장고(1)가 정상 동작 중인 상태에서 상기 냉장고(1)에 식품을 수납하기 위해서는 상기 도어 핸들(23)을 잡고 당겨서 상기 도어(20)를 개방한 후에 식품을 수납하게 된다.In order to store food in the refrigerator 1 in a state in which the refrigerator 1 operates normally, the food is stored after the door 20 is opened by grasping and pulling the door handle 23.

그리고, 사용자가 식품을 양손에 들고 있어 상기 도어 핸들(23)을 이용한 상기 도어(20)의 개방 조작이 불가능한 상황에서는, 사용자의 신체 특히 사용자의 팔꿈치로 상기 입력부재(30)를 누르게 된다.Then, in a situation where the user holds the food in both hands and the opening operation of the door 20 using the door handle 23 is impossible, the user presses the input member 30 with the user's body, in particular the elbow of the user.

상기 입력부재(30)는 상기 캐비닛(10)의 상하 높이 중 대략 중앙부에 해당하는 높이의 상기 도어(20)상에 위치되므로 사용자의 신체에 의한 누름 조작이 용이하며, 특히 성인의 경우 지면에서 대략 1m 정도의 높이에 구비되는 상기 입력부재(30)의 조작시 팔꿈치를 이용한 누름 조작이 용이하게 된다.Since the input member 30 is located on the door 20 having a height corresponding to a central portion of the upper and lower heights of the cabinet 10, the pressing member 30 is easily pressed by the user's body. When the input member 30 is provided at a height of about 1 m, a pressing operation using an elbow is facilitated.

상기 입력부재(30)는 상기 도어 플레이트(26)에 형성되는 상기 무늬(261)의 위치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무늬(261)의 크기와 동일하게 형성되어 사용자는 상기 무늬(261)를 누르는 조작에 의해 상기 입력부재(30)를 조작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입력부재(30)는 노출되지 않게 되며, 사용자는 상기 무늬(261)의 터치 조작에 의해 상기 도어(20)의 개방이 가능하게 된다.The input member 30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pattern 261 formed on the door plate 26, and is formed to be the same as the size of the pattern 261 so that the user may have the pattern 261. It is possible to operate the input member 30 by pressing the operation. At this time, the input member 30 is not exposed, and the user can open the door 20 by touching the pattern 261.

그리고, 상기 입력부재(30)는 상기 냉장실 도어(21)와 냉동실 도어(22)를 각각 개방 조작할 수 있는 제 1 입력부재(31)와 제 2 입력부재(32)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사용자는 해당하는 도어(20)의 개방을 위해서는 상기 제 1 입력부재(31)와 제 2 입력부재(32)와 대응하는 상기 무늬(261)의 일부분을 눌러 상기 입력부재(30)를 조작하게 된다. 이때, 상기 무늬(261)가 큰 경우에는 하나의 무늬(261)에 상기 제 1 입력부재(31)와 제 2 입력부재(32)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하나의 무늬(261)에서 해당하는 부분을 눌러서 조작하게 된다.The input member 30 may include a first input member 31 and a second input member 32 capable of opening and operating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door 21 and the freezer compartment door 22, respectively. In this case, a user presses a part of the pattern 261 corresponding to the first input member 31 and the second input member 32 to operate the input member 30 to open the corresponding door 20. do. In this case, when the pattern 261 is large, the first input member 31 and the second input member 32 may be provided in one pattern 261. In this case, the pattern 261 corresponds to one pattern 261. Press the part to operate.

한편,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는 전술한 실시예 외에도 다양한 실시예들이 가능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Meanwhile,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various embodiments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Hereinafter,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는 입력부재가 도어의 무늬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도어의 외관과 동일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input member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pattern of the door and is formed of the same material as the exterior of the door.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는 도어의 일부분 및 입력부재의 구성을 제외한 다른 구성은 동일하며,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Accordingly,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same configuration except for the part of the door and the configuration of the input member,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nfiguration,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4는 다른 실시예에 의한 도어의 분해 사시도이다.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do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도어(20)는 상기 도어 케이스(24)와, 도어 라이너(25), 도어 플레이트(26), 데코부재(27), 도어 핸들(2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the door 20 may include the door case 24, a door liner 25, a door plate 26, a decoration member 27, and a door handle 23. .

그리고, 상기 도어 플레이트(26)에는 상기 도어(20)를 통해 외부로 표현되는 무늬(26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무늬(261)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냉장고(1)의 전체 높이 중 대략 중간부분 즉, 지면으로 부터 대략 1m 지점에 해당하는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door plate 26 may be provided with a pattern 261 represen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door 20. The pattern 261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and may be formed at an approximately middle portion of the entire height of the refrigerator 1, that is, at a portion corresponding to about 1m from the ground.

그리고, 상기 도어 플레이트(26)에는 상기 무늬(261)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개구되는 무늬부(262)가 형성된다. 상기 무늬부(262)는 상기 도어 플레이트(26)에 형성되는 전체 무늬(261) 중 상기 도어(20)의 중앙부분에만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입력부재(40)가 구비되는 부분에만 형성될 수 있다.The door plate 26 is provided with a pattern portion 262 that is open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pattern 261. The pattern portion 262 may be formed only at the center portion of the door 20 among the entire pattern 261 formed on the door plate 26, and may be formed only at a portion where the input member 40 is provided. have.

한편, 상기 무늬부(262)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입력부재(40)가 구비된다. 상기 입력부재(40)는 상기 도어 개방장치(13)의 조작을 위한 것으로, 상기 무늬부(262)의 형상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pattern portion 262 is provided with an input member 40. The input member 40 is for operation of the door opening device 13 and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pattern portion 262.

상세히, 상기 입력부재(40)는 상기 도어 플레이트(26)의 일부를 형성하며 누름 조작되는 누름부(41)와 상기 도어 케이스(24)에 장착되며, 상기 누름부(41)와 접하는 스위치(42)로 구성될 수 있다.In detail, the input member 40 is mounted to the pressing part 41 and the door case 24 which are formed by pressing and forming part of the door plate 26, and the switch 42 contacting the pressing part 41. It can be composed of).

이때, 상기 누름부(41)는 상기 무늬부(262)의 형상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도어 플레이트(26)와 동일한 소재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입력부재(40)의 장착시 상기 누름부(41)는 상기 도어 플레이트(26)의 일부를 형성하게 되며, 외부에서 볼 때 상기 도어 플레이트(26)와 일체로 보일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the pressing portion 41 may be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pattern portion 262, it is formed of the same material as the door plate 26. Therefore, when the input member 40 is mounted, the pressing part 41 forms a part of the door plate 26, and when viewed from the outside, the pressing part 41 may be integrally visible with the door plate 26.

그리고, 상기 누름부(41)는 상기 입력부재(40)가 장착되는 상기 입력부재 장착부(241)의 안내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입력부재(40)의 누름 조작시 상기 누름부(41)는 상기 입력부재 장착부(241)에 의해 전후 이동이 안내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pressing part 41 is configured to be mov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by the guidance of the input member mounting part 241 on which the input member 40 is mounted. Therefore, when the pressing operation of the input member 40, the pressing portion 41 can be guided back and forth by the input member mounting portion 241.

상기 스위치(42)는 상기 누름부(41)의 조작시 눌려질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누름부(41)의 어떤 위치를 누르더라도 눌려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스위치(42)는 상기 냉장실 도어 개방장치(131)와 냉동실 도어 개방장치(132)를 조작하기 위한 것으로 각각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누름부(41) 또한 2개로 나뉘어 구성될 수도 있다. 이때, 2개의 누름부(41) 사이 또한 상기 무늬(261)에 의해 나뉘어 지도록 구성된다.The switch 42 is formed at a position that can be pressed when the pressing portion 41 is operated, and is configured to be pressed at any position of the pressing portion 41. The switch 42 may be provided to operate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opening device 131 and the freezing compartment door opening device 132, and the pressing part 41 may also be divided into two parts. At this time, the two pressing portions 41 are also configured to be divided by the pattern 261.

상기 누름부(41)는 상기 스위치(42)의 탄성에 의해 누름 조작 후 원래의 위치로 복귀될 수 있으며, 상기 누름부(41)의 복귀를 위한 탄성부재가 상기 누름부(41)의 후방에 구비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누름부(41)는 조작되지 않는 상태에서는 상기 도어 플레이트(26)와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될 수 있게 되어 시각적으로 상기 도어 플레이트(26)와 일체감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pressing part 41 may be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after the pressing operation by the elasticity of the switch 42, and an elastic member for returning the pressing part 41 is located at the rear of the pressing part 41. It may be provided. Accordingly, the pressing part 41 may be positioned on the same plane as the door plate 26 in a non-operated state, and thus may be configured to have a sense of unity with the door plate 26.

한편,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는 전술한 실시예들 외에도 다양한 실시예들이 가능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On the other hand,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various embodiments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Hereinafter,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는 입력부재의 양측단이 도어의 양측단과 접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both ends of the input member are configured to be in contact with both ends of the door.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는 입력부재의 구성을 제외한 다른 구성은 동일하며,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refore,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same configuration except for the configuration of the input member,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nfigura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5은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도어의 분해 사시도이다.5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do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1)는 냉장실(11)과 냉동실(12)이 형성되는 캐비닛(10)과, 상기 냉장실 도어(21)와 냉동실 도어(22)를 포함하는 도어(20)에 의해 외형이 형성될 수 있다.5 and 6, the refrigerator 1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includes a cabinet 10 in which a refrigerating compartment 11 and a freezing compartment 12 are formed, and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21 and the freezing compartment door 22. The outer shape may be formed by the door 20 including a.

상기 도어(20)는 회동에 의해 개폐될 수 있으며, 상기 캐비닛(10)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입력부재(50)의 조작시 구동되어 상기 도어(20)를 개방하는 도어 개방장치(13)가 구비된다. The door 20 may be opened and closed by rotation, and the cabinet 10 is provided with a door opening device 13 which is driven when the input member 50 is described below to open the door 20. do.

그리고, 상기 도어(20)는 상기 도어(20)의 전체적인 형상을 형성하는 도어 케이스(24)와, 상기 도어(20)의 전면 외관을 형성하는 도어 플레이트(26), 상기 도어(20)의 둘레를 형성하며 상기 도어 플레이트(26)가 상기 도어 케이스(24)의 전면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고정 장착되도록 하는 데코부재(27) 및 도어(20)의 개폐시 사용자가 잡을 수 있는 도어 핸들(2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door 20 includes a door case 24 forming an overall shape of the door 20, a door plate 26 forming a front appearance of the door 20, and a circumference of the door 20. And a door handle 23 which can be grabbed by a user when opening and closing the decor member 27 and the door 20 so that the door plate 26 is fixedly mounted in a state spaced apart from the front surface of the door case 24.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한편, 상기 도어(20)의 대략 중앙에는 상기 도어 개방장치(13)의 개폐 조작을 위한 입력부재(5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입력부재(50)는 상기 냉장고(1)의 상하 높이 중 중앙부에 해당하는 상기 도어(20)의 전면에 구비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input member 50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oor opening device 13 may be provided in the substantially center of the door 20. The input member 50 may be provided at the front of the door 20 corresponding to the center of the vertical height of the refrigerator (1).

상기 입력부재(50)는 상기 도어(20)의 일측단에서 다른 일측단까지 연장 형성되며, 소정의 상하 폭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입력부재(50)는 통상의 냉장고 조작을 위한 버튼류에 비해 그 크기가 더 크게 형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팔꿈치 또는 팔에 의한 조작이 용이한 높이에 형성되어 용이한 조작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The input member 50 extends from one side end of the door 20 to the other side end and is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upper and lower width. Therefore, the input member 50 may be larger in size than buttons for a normal refrigerator operation, and may be formed at an easy height by the user's elbow or arm to enable easy operation. It is composed.

그리고, 상기 입력부재(50)는 상기 냉장실 도어 개방장치(131)의 조작을 위한 제 1 입력부재(50a)와 상기 냉동실 도어 개방장치(132)의 조작을 위한 제 2 입력부재(50b)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들 각각은 가로방향으로 연속하여 배치된다.The input member 50 includes a first input member 50a for operating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opening device 131 and a second input member 50b for operating the freezing compartment door opening device 132. Each of which is disposed in succession in the transverse direction.

상기 입력부재(50)는 사용자가 누름 조작하는 누름부(51)와 상기 누름부(51)가 장착되는 장착부재(52) 그리고, 상기 누름부(51)와 접하여 온오프되는 스위치(5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input member 50 includes a pressing part 51 for the user to press and a mounting member 52 to which the pressing part 51 is mounted, and a switch 53 which is turned on and off in contact with the pressing part 51. It can be configured to include.

상기 누름부(51)는 상기 도어 플레이트(26)와 동일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도어 플레이트(26)와 무늬 색상 등이 동일하고 연속되도록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상기 도어(20)가 일체감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pressing part 51 may be formed of the same material as that of the door plate 26, and the door plate 26 is formed to be the same and continuous with the same pattern color, so that the door 20 has a sense of unity as a whole. Can be formed.

상기 장착부재(52)는 상기 도어 케이스(24)에 고정 장착되며, 상기 누름부(51)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개구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누름부(51)의 누름 조작시 상기 누름부(51)의 전후 이동을 가이드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누름부(51)의 상단과 하단에는 각각 상기 도어 플레이트(26)의 하단과 상단이 지지될 수 있으며, 상기 누름부(51)와 상기 도어 플레이트(26)의 단부 사이의 갭을 최소화 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누름부(51)의 좌우 양측단는 상기 도어 플레이트(26)의 양단과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되며, 상기 도어(20)의 양측단을 형성하는 데코부재(27)에 수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mounting member 52 is fixedly mounted to the door case 24 and is configured to open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pressing part 51. Therefore, it may be configured to guide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of the pressing unit 51 during the pressing operation of the pressing unit 51. The lower end and the upper end of the door plate 26 may be supported at the upper end and the lower end of the press part 51, respectively, and minimize the gap between the press part 51 and the end of the door plate 26. You can do it. The left and right both ends of the pressing part 51 may be provid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both ends of the door plate 26, and may be configured to be accommodated in the decor member 27 forming both ends of the door 20. have.

상기 스위치(53)는 상기 도어 케이스(24)에 장착되며, 제어부(40)와 연결되어 상기 누름부(51)의 조작시 상기 도어 개방장치(13)가 구동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스위치(53)는 상기 누름부(51)의 어느 위치를 누르더라도 조작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The switch 53 is mounted to the door case 24 and is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40 so that the door opening device 13 can be driven when the pressing unit 51 is operated. The switch 53 is configured to be operated at any position of the pressing part 51.

그리고, 누름부(51)는 상기 스위치(42)의 탄성에 의해 조작 후 원래의 위치로 복귀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별도의 탄성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입력부재(50)의 조작 후 상기 누름부(51)가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누름부(51)는 상기 도어 플레이트(26)와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되어 상기 도어(20)가 전체적으로 일체감을 가질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pressing unit 51 may be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after operation by the elasticity of the switch 42, and a separate elastic member may be provided as necessary to operate the pressing unit after the operation of the input member 50. 51 may be configured to return to its original position. Therefore, the pressing part 51 is positioned on the same plane as the door plate 26 so that the door 20 can have a sense of unity as a whole.

한편, 상기 입력부재(50)는 정전식 또는 압전식 터치 방식으로 동작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input member 50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in a capacitive or piezoelectric touch method.

도 7은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의 사시도이다.7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는 전술한 실시예와 상기 입력부재를 제외한 다른 구성은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서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Since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except for the input member, detailed descriptions of the same components will be omitted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will be used.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1)의 도어(20)에는 상기 도어 개방장치(13)의 조작을 위한 입력부재(60)가 구비된다. 상기 입력부재(60)는 상기 냉장실 도어 개방장치(131)의 구동을 위한 제 1 입력부재(60a)와 상기 냉동실 도어 개방장치(132)의 구동을 위한 제 2 입력부재(60b)로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the door 20 of the refrigerator 1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n input member 60 for operating the door opening device 13. The input member 60 may include a first input member 60a for driving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opening device 131 and a second input member 60b for driving the freezing compartment door opening device 132. have.

그리고, 상기 제 1 입력부재(60a)는 상기 냉장실(11)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제 1 입력부재(60a)는 상기 냉장실(11)의 가로방향 길이와 대응하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입력부재(60b)는 상기 냉동실(12)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제 2 입력부재(60b)는 상기 냉동실(12)의 가로방향 길이와 대응하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input member 60a may be provided in the refrigerating chamber 11, and the first input member 60a may be formed to have a length corresponding to a horizontal length of the refrigerating chamber 11. In addition, the second input member 60b may be provided in the freezing compartment 12, and the second input member 60b may have a length corresponding to a horizontal length of the freezing compartment 12.

상기 제 1 입력부재(60a)와 제 2 입력부재(60b)는 동일한 높이에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입력부재(60a)와 제 2 입력부재(60b)는 가로방향으로 서로 인접하게 연속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입력부재(60a)와 제 2 입력부재(60b)는 전면의 외관이 상기 도어 플레이트(26)의 전면 외관과 동일하게 형성되어 상기 도어(20)가 전체적으로 일체감을 가질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The first input member 60a and the second input member 60b may be provided at the same height. Therefore, the first input member 60a and the second input member 60b may be continuously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 addition, the first input member 60a and the second input member 60b are formed to have the same front appearance as the front appearance of the door plate 26 so that the door 20 may have a sense of unity as a whole. Can be.

그리고, 상기 제 1 입력부재(60a) 및 제 2 입력부재(60b)는 상기 냉장고(1)의 전체 높이 중 대략 중앙부에 위치하여 사용자의 신체 특히 팔꿈치를 통한 조작이 용이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input member 60a and the second input member 60b may be formed at approximately the center of the entire height of the refrigerator 1 to facilitate the manipulation of the user's body, particularly the elbows.

13. 도어 개방장치 20. 도어
24. 도어 케이스 26. 도어 플레이트
30. 입력부재
13. Door opening 20. Door
24. Door case 26. Door plate
30. Input member

Claims (13)

저장공간이 형성되는 캐비닛;
상기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에 구비되며, 상기 도어의 개방 조작을 위해 사용자에 의해 누름 조작되는 입력부재;
상기 입력부재의 조작에 의해 구동되며, 상기 도어를 개방시키는 도어 개방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입력부재는 상기 캐비닛 전체 높이의 중앙 지점과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A cabinet in which a storage space is formed;
A doo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storage space;
An input member provided in the door and pressed by a user to open the door;
It is driven by the operation of the input member, and includes a door opening device for opening the door,
And the input member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a central point of the entire height of the cabine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다수개 구비되며, 상기 도어 개방장치는 상기 다수의 도어와 대응하는 개수만큼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The method of claim 1,
The door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the refrigera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door opening device is provided with a number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doors.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재는 상기 다수의 도어와 대응하는 개수만큼 형성되며, 다수의 도어 중 하나의 도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The method of claim 2,
The input member is formed in a number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doors,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in one of the plurality of doors of the refrigerato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회전 중심에는 상기 도어가 일정 각도 이상 개방되었을 때 상기 도어가 더 개방될 수 있도록 하는 힌지장치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The method of claim 1,
And a hinge device is further provided at a rotation center of the door to further open the door when the door is opened at a predetermined angle or mor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에는 전면을 통해 외부로 표현되는 무늬가 형성되며,
상기 입력부재는 상기 무늬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The method of claim 1,
The door is formed with a pattern represented by the outside through the front,
The input member is a refrigerator,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pattern.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무늬는 상기 도어의 전면을 형성하는 도어 플레이트에 형성되며,
상기 입력부재는 상기 도어 플레이트의 후방에 구비되며, 터치 방식으로 누름 조작을 입력 받을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pattern is formed on the door plate forming the front of the door,
The input member is provided at the rear of the door plate, the refrigerato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so as to receive a pressing operation by a touch method.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다수개 구비되며, 상기 입력부재는 도어와 대응하는 개수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다수의 입력부재는 상기 무늬의 형상이 나뉘어져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door may be provided in plurality, and the input member may be configured in a number corresponding to the door.
The plurality of input members are refrigerators, characterized in that the shape of the pattern is divid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전면에는 외부로 표현되는 무늬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개구된 무늬부가 형성되며,
상기 입력부재는 상기 무늬부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무늬부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The method of claim 1,
The front surface of the door is formed with a pattern portion opening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pattern represented by the outside,
The input member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pattern portion, the refrigerato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ounted to the pattern portion.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재는,
상기 도어의 전면과 동일 소재로 형성되는 누름부와,
상기 누름부의 후방에 구비되며, 상기 누름부의 조작시 동작되는 스위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The method of claim 8,
The input member,
Pressing portion formed of the same material as the front of the door,
The refrigerator provided in the rear of the pressing por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witch which is operated during the operation of the pressing por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재는 상기 도어의 좌우 양측단과 접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The method of claim 1,
The input member is a refrigerator,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contact with the left and right both ends of the door.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다수개가 구비되며,
상기 도어와 대응하는 개수의 입력부재는 가로방향으로 서로 연속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The method of claim 10,
The door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And a plurality of input members corresponding to the doors are continuously arrang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입력부재는 대응하는 도어에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The method of claim 11,
And the plurality of input members are provided in corresponding doors, respectively.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입력부재는 다수의 도어 중 어느 하나의 도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The method of claim 11,
The plurality of input members are refrigerators,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in any one of the plurality of doors.
KR1020100089987A 2010-09-14 2010-09-14 Refrigerator KR101190448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9987A KR101190448B1 (en) 2010-09-14 2010-09-14 Refrigerator
US13/224,551 US20120061405A1 (en) 2010-09-14 2011-09-02 Refriger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9987A KR101190448B1 (en) 2010-09-14 2010-09-14 Refrigera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8034A true KR20120028034A (en) 2012-03-22
KR101190448B1 KR101190448B1 (en) 2012-10-11

Family

ID=458056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9987A KR101190448B1 (en) 2010-09-14 2010-09-14 Refrigerator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20061405A1 (en)
KR (1) KR101190448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484996B1 (en) * 2011-02-02 2013-01-23 Red Bull GmbH Cover for household, gastronomic device or device used in retail shops
DE102014114177A1 (en) * 2014-09-30 2016-03-31 Miele & Cie. Kg Household appliance with two or more units
US10684063B2 (en) 2015-12-28 2020-06-16 Whirlpool Corporation Easy open drawer/door with rotating handle
KR101862564B1 (en) * 2016-01-05 2018-05-30 엘지전자 주식회사 Refrigerator
CN106123462B (en) * 2016-08-22 2019-03-12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The production method of refrigerator door and the refrigerator door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7468B1 (en) * 1993-11-30 1997-05-09 아남산업 주식회사 Lead frame
TW508426B (en) * 1999-08-17 2002-11-01 Toshiba Corp Door opening device for storage apparatus
JP3800900B2 (en) * 1999-09-09 2006-07-26 三菱電機株式会社 Refrigerating refrigerator, operation method of freezing refrigerator
KR100597754B1 (en) * 2004-10-29 2006-07-07 삼성전자주식회사 Refrigerator and its door opening process
WO2007011178A1 (en) * 2005-07-20 2007-01-25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door and method of manufacture thereof
KR101357496B1 (en) * 2006-07-05 2014-02-03 엘지전자 주식회사 Entry device for refrigerator
DE102007036746A1 (en) * 2007-08-03 2009-02-05 Dorma Gmbh + Co. Kg Door operating device for actuating the door of a refrigerator / freezer
KR101576672B1 (en) * 2008-02-21 2015-12-10 엘지전자 주식회사 Refrigerator and refrigerator door
KR20100064022A (en) * 2008-12-04 2010-06-14 삼성전자주식회사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20061405A1 (en) 2012-03-15
KR101190448B1 (en) 2012-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47072B2 (en) Refrigera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1602431B1 (en) Refrigerator
JP3679003B2 (en) Refrigerator door opener
EP3660429B1 (en) Refrigerator
EP2431688B1 (en) Refrigerator
KR101190448B1 (en) Refrigerator
EP3228968B1 (en) Refrigerator
KR101654383B1 (en) Refrigerator
KR20110009348A (en) Door opening apparatus for refrigerator
US10465977B2 (en) Refrigerator
KR20120022201A (en) Refrigerator door
EP2724093B1 (en) A cooling device comprising an ice tray disposed on the door
KR20090086310A (en) Refrigerator
WO2009051341A1 (en) Apparatus for operating dispenser in refrigerator
KR102030847B1 (en) Guard assembly and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KR102392210B1 (en) Refirgerator
KR20150074233A (en) Refirgerator
EP3004757B1 (en) A refrigerator comprising an ice making unit
US20240053087A1 (en) Refrigerator
KR101507845B1 (en) A dispenser of refrigerator
KR20220057506A (en) Refirgerator
KR100645164B1 (en) Door handle of electronic appliances
KR200463488Y1 (en) Refrigerator
KR20240022377A (en) Refrigerator
KR20070054281A (en) Multi dispenser for refriger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