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26829A - 발광 구동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 Google Patents

발광 구동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26829A
KR20120026829A KR1020100088980A KR20100088980A KR20120026829A KR 20120026829 A KR20120026829 A KR 20120026829A KR 1020100088980 A KR1020100088980 A KR 1020100088980A KR 20100088980 A KR20100088980 A KR 20100088980A KR 20120026829 A KR20120026829 A KR 201200268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voltage
driving
control pulse
resis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89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89681B1 (ko
Inventor
김태성
강정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889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9681B1/ko
Priority to US13/053,984 priority patent/US8558481B2/en
Publication of KR201200268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68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96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96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30Driver circuits
    • H05B45/37Converter circuits
    • H05B45/3725Switched mode power supply [SMPS]
    • H05B45/38Switched mode power supply [SMPS] using boost topology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15Edge-illuminating devices, i.e. illuminating from the sid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406Control of illumination sourc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30Driver circuits
    • H05B45/32Pulse-control circuits
    • H05B45/325Pulse-width modulation [PWM]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30Driver circuits
    • H05B45/37Converter circu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40Details of LED load circuits
    • H05B45/44Details of LED load circuits with an active control inside an LED matrix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5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responsive to malfunctions or undesirable behaviour of LEDs; responsive to LED life; Protective circui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30Semiconductor lamps, e.g. solid state lamps [SSL] light emitting diodes [LED] or organic LED [OLE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발광 구동 장치가 개시된다. 발광 구동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와 연결되며, 크기가 변동되는 제어 펄스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를 구동하는 구동회로부, 발광 소자의 내부 전류가 기 설정된 임계치 이하이면, 제어 펄스의 크기에 따라 구동회로부 내의 상이한 위치의 전압을 센싱하고, 그 센싱된 전압 크기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 및 구동 회로부 사이의 단락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 및,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 및 구동 회로부가 단락 상태로 판단되면,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에 대한 보호 작업을 수행하는 보호부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발광 모듈과 panel chassis GND 사이에 short 상황이 발생할 경우 이를 감지하여 보호 동작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발광 구동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 Luminescence driving apparatus, display apparatus and driving method thereof }
본 발명은 발광 구동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구동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백라이트 유닛에 적용되는 발광 구동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구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디스플레이 slim화 추세에 따라 Edge-lit 방식의 LED BLU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Edge-lit 방식 LED BLU는 직렬 연결된 다수의 LED를 하나의 구동회로로 구동하는 것이 경제적이기 때문에 스위칭 방식의 회로를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통상 패널 내부의 LED 모듈과 패널 외부에 위치한 LED 구동 회로는 wire등과 같은 긴 harness를 통해 서로 연결된다.
이에 따라 패널 조립 과정 중 wire가 패널 구조물에 눌려 절연층이 깨지거나, LED 모듈 내의 PCB pattern 중 한 부위가 panel chassis GND와 short가 발생하는 경우 도 1과 같이 LED 모듈과 panel chassis GND 사이에 short path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센싱 저항 Rs로 return path가 형성이 되지 못해, 센싱 저항 Rs로 흐르는 전류는 zero가 된다.
따라서, LED 구동 회로에서는 LED 모듈로 흐르는 전류가 zero인 것으로 인식하여 구동 회로가 흐르게 할 수 있는 최대한의 전류가 흐르도록 제어를 하게 된다. 이는 LED 구동 회로에서의 발열 문제, 부품 파손 등의 문제뿐만 아니라 LED chip 파손 및 LED 모듈에서의 심각한 발열 문제, LED chip이 녹거나 타는 등의 PL성 불량을 발생시켜 심각한 품질 문제의 한 원인이 되기도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발광 소자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발광 구동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구동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와 연결되며, 크기가 변동되는 제어 펄스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를 구동하는 구동회로부, 상기 발광 소자의 내부 전류가 기 설정된 임계치 이하이면, 상기 제어 펄스의 크기에 따라 상기 구동회로부 내의 상이한 위치의 전압을 센싱하고, 그 센싱된 전압 크기를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 및 상기 구동 회로부 사이의 단락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 및 상기 구동 회로부가 단락 상태로 판단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에 대한 보호 작업을 수행하는 보호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구동 회로부는, 상기 제어 펄스가 입력되는 트랜지스터 스위치, 상기 트랜지스터 스위치의 일 단에 연결된 제1 저항, 구동 전원을 인가받는 입력단, 상기 입력단에 연결된 제1 회로 소자의 일 단에 연결된 제1 그라운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와 연결되는 출력단, 상기 출력단에 연결된 제2 회로 소자의 일 단에 연결된 제2 그라운드 및 상기 제1 그라운드 및 상기 제2 그라운드 사이에 연결되는 제2 저항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저항에 흐르는 전류를 상기 내부 저항으로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 회로부는, 상기 제1 저항의 일단에 연결된 필터부 및 상기 필터부에 연결된 전류 증폭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 펄스가 하이 값이면 상기 전류 증폭기 및 상기 필터부 사이의 연결 노드의 전압을 센싱하고, 상기 제어 펄스가 로우 값이면 상기 제2 저항에 인가되는 전압을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 펄스가 하이 값이면 상기 제1 저항에 인가되는 전압을 센싱하고, 상기 제어 펄스가 로우 값이면 상기 제2 저항에 인가되는 전압을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 펄스의 크기에 따라 온/오프되는 제1 스위치 및 제2 스위치, 상기 제1 스위치에 연결되며, 상기 제1 저항으로부터 센싱된 제1 전압과 제1 기준전압을 비교하여, 상기 제1 전압이 상기 제1 기준전압 이하이면 제1 신호를 출력하는 제1 비교기, 상기 제2 스위치에 연결되며, 상기 제2 저항으로부터 센싱된 제2 전압과 제2 기준전압을 비교하여, 상기 제2 전압이 상기 제2 기준전압 이하이면 제2 신호를 출력하는 제2 비교기 및 상기 제1 비교기 또는 상기 제2 비교기로부터 상기 제1 신호 또는 상기 제2 신호가 출력되면, 상기 단락 상태임을 알리는 제어 신호를 상기 보호부로 출력하는 논리연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호부는, 상기 입력단에 인가되는 구동 전원을 차단하는 보호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 펄스는 PWM 디밍 신호가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 및 상기 구동 회로부 사이의 단락은 샤시 그라운드 단락(chassis ground short)이 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발광 구동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와 연결되며, 크기가 변동되는 제어 펄스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를 구동하는 구동회로부, 상기 발광 소자의 내부 전류가 기 설정된 임계치 이하이면, 상기 제어 펄스의 크기에 관계없이 구동회로부 내의 기설정된 위치의 전압을 센싱하고, 그 센싱된 전압 크기를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 및 상기 구동 회로부 사이의 단락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 및 상기 구동 회로부가 단락 상태로 판단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에 대한 보호 작업을 수행하는 보호부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 회로부는, 구동 전원을 인가받는 입력단, 상기 입력단에 연결된 제1 회로 소자의 일 단에 연결된 제1 그라운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와 연결되는 출력단, 상기 출력단에 연결된 제2 회로 소자의 일 단에 연결된 제2 그라운드 및 상기 제1 그라운드 및 상기 제2 그라운드 사이에 연결되는 저항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항에 인가되는 전압을 센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LED 어레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LED 어레이와 연결되며, 크기가 변동되는 제어 펄스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LED 어레이를 구동하는 구동회로부, 상기 적어도 하나의 LED 어레이의 내부 전류가 기 설정된 임계치 이하이면, 상기 제어 펄스의 크기에 따라 상기 구동회로부 내의 상이한 위치의 전압을 센싱하고, 그 센싱된 전압 크기를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LED 어레이 및 상기 구동 회로부 사이의 단락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LED 어레이 및 상기 구동 회로부가 단락 상태로 판단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LED 어레이에 대한 보호 작업을 수행하는 보호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발광 구동 장치의 구동 방법은, 크기가 변동되는 제어 펄스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를 구동하는 단계, 상기 발광 소자의 내부 전류가 기 설정된 임계치 이하이면, 상기 제어 펄스의 크기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회로부 내의 상이한 위치의 전압을 센싱하는 단계, 상기 센싱된 전압 크기를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 및 상기 구동 회로부 사이의 단락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 및 상기 구동 회로부가 단락 상태로 판단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에 대한 보호 작업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구동 회로부는, 상기 제어 펄스가 입력되는 트랜지스터 스위치, 상기 트랜지스터 스위치의 일 단에 연결된 제1 저항, 구동 전원을 인가받는 입력단, 상기 입력단에 연결된 제1 회로 소자의 일 단에 연결된 제1 그라운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와 연결되는 출력단, 상기 출력단에 연결된 제2 회로 소자의 일 단에 연결된 제2 그라운드 및 상기 제1 그라운드 및 상기 제2 그라운드 사이에 연결되는 제2 저항을 포함하며, 상기 발광 소자의 내부 전류는, 상기 제1 저항에 흐르는 전류가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 회로부는, 상기 제1 저항의 일단에 연결된 필터부 및 상기 필터부에 연결된 전류 증폭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압을 센싱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 펄스가 하이 값이면 상기 전류 증폭기 및 상기 필터부 사이의 연결 노드의 전압을 센싱하고, 상기 제어 펄스가 로우 값이면 상기 제2 저항에 인가되는 전압을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압을 센싱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 펄스가 하이 값이면 상기 제1 저항에 인가되는 전압을 센싱하고, 상기 제어 펄스가 로우 값이면 상기 제2 저항에 인가되는 전압을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락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 펄스의 크기에 따라 온/오프되는 제1 스위치에 연결되는 제1 비교기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저항으로부터 센싱된 제1 전압과 제1 기준전압을 비교하고, 상기 제1 전압이 상기 제1 기준전압 이하이면 제1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제어 펄스의 크기에 따라 온/오프되는 제2 스위치에 연결되는 제2 비교기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저항으로부터 센싱된 제2 전압과 제2 기준전압을 비교하고, 상기 제2 전압이 상기 제2 기준전압 이하이면 제2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비교기 또는 상기 제2 비교기로부터 상기 제1 신호 또는 상기 제2 신호가 출력되면, 상기 단락 상태임을 알리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보호 작업은, 상기 입력단에 인가되는 구동 전원을 차단하는 보호 작업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 펄스는 PWM 디밍 신호가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 및 상기 구동 회로부 사이의 단락은 샤시 그라운드 단락(chassis ground short)이 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발광 구동 장치의 구동 방법은, 크기가 변동되는 제어 펄스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를 구동하는 단계, 상기 발광 소자의 내부 전류가 기 설정된 임계치 이하이면, 상기 제어 펄스의 크기에 관계없이 구동회로부 내의 기설정된 위치의 전압을 센싱하고, 그 센싱된 전압 크기를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 및 상기 구동 회로부 사이의 단락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 및 상기 구동 회로부가 단락 상태로 판단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에 대한 보호 작업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 회로부는, 구동 전원을 인가받는 입력단, 상기 입력단에 연결된 제1 회로 소자의 일 단에 연결된 제1 그라운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와 연결되는 출력단, 상기 출력단에 연결된 제2 회로 소자의 일 단에 연결된 제2 그라운드 및 상기 제1 그라운드 및 상기 제2 그라운드 사이에 연결되는 저항을 포함하며, 상기 전압을 센싱하는 단계는, 상기 저항에 인가되는 전압을 센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동 방법은, 크기가 변동되는 제어 펄스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LED 어레이를 구동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LED 어레이의 내부 전류가 기 설정된 임계치 이하이면, 상기 제어 펄스의 크기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LED 어레이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회로부 내의 상이한 위치의 전압을 센싱하는 단계, 상기 센싱된 전압 크기를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LED 어레이 및 상기 구동 회로부 사이의 단락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LED 어레이 및 상기 구동 회로부가 단락 상태로 판단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LED 어레이에 대한 보호 작업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LED 구동회로 파손, LED chip 파손 및 LED 모듈의 PL성 불량을 방지하고 그에 따른 품질 향상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발광 구동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발광 구동 장치의 회로 구성을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5는 복수의 발광 소자를 구동하기 위한 도 4에 따른 발광 구동 장치의 회로 구성을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발광 구동 장치의 회로 구성을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발광 구동 장치의 구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발광 구동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에 따르면 발광 구동 장치(100)는 구동 회로부(110), 제어부(120) 및 보호부(130)를 포함한다.
본 발광 구동 장치(100)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미도시)를 구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어, 부스트(boost) 방식의 IC(Integrated Circuit)로 구현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발광 소자(미도시)는 백라이트유닛의 에지부에 배치되는 LED 어레이(또는 LED 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 즉, 본 발광 구동 장치(100)는 에지 릿(Edge-lit) 방식의 LED 백라이트 유닛(BLU)의 구동 회로에 적용될 수 있다. 에지 릿 방식의 LED 백라이트는 측면 테두리에만 LED 어레이를 설치해 빛을 패널 가운데로 쏘아주는 방식으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구동 회로부(110)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와 연결되며, 크기가 변동되는 제어 펄스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를 구동한다. 여기서, 크기가 변동되는 제어 펄스는 PWM 디밍 신호가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구동 회로부(110)는 제어 펄스가 입력되는 트랜지스터 스위치, 트랜지스터 스위치의 일 단에 연결된 제1 저항, 구동 전원을 인가받는 입력단, 입력단에 연결된 제1 회로 소자의 일 단에 연결된 제1 그라운드,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와 연결되는 출력단, 출력단에 연결된 제2 회로 소자의 일 단에 연결된 제2 그라운드 및 제1 그라운드 및 제2 그라운드 사이에 연결되는 제2 저항을 포함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구동 회로부(110)는 제1 저항의 일단에 연결된 필터부, 필터부에 연결된 전류 증폭기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발광 소자(미도시)의 내부 전류가 기 설정된 임계치 이하이면, 제어 펄스의 크기에 따라 구동회로부(110) 내의 상이한 위치의 전압을 센싱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20)는 상기 트랜지스터 스위치의 일 단에 연결된 제1 저항에 흐르는 전류를 발광 소자(미도시)의 내부 전류로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센싱된 전압 크기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미도시) 및 구동 회로부(110) 사이의 단락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미도시) 및 구동 회로부(110) 사이의 단락은 샤시 그라운드 단락(chassis ground short)이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20)는 제어 펄스가 하이 값이면 전류 증폭기 및 필터부 사이의 연결 노드의 전압을 센싱하고, 제어 펄스가 로우 값이면 상기 제2 저항에 인가되는 전압을 센싱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제어부(120)는 제어 펄스가 하이 값이면 전류 증폭기 및 필터부 사이의 제1 저항에 인가되는 전압을 센싱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20)는 제1 스위치 및 제2 스위치, 제1 및 제2 비교기 및 논리 연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스위치 및 제2 스위치는 제어 펄스의 크기 예를 들어, PWM 펄스 디밍 신호에 따라 온/오프될 수 있다.
제1 비교기는 제1 스위치에 연결되며, 제1 저항으로부터 센싱된 제1 전압과 제1 기준전압을 비교하여, 제1 전압이 제1 기준전압 이하이면 제1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제2 비교기는 제2 스위치에 연결되며, 제2 저항으로부터 센싱된 제2 전압과 제2 기준전압을 비교하여, 제2 전압이 제2 기준전압 이하이면 제2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논리 연산부는 제1 비교기 또는 상기 제2 비교기로부터 제1 신호 또는 상기 제2 신호가 출력되면, 단락 상태임을 알리는 제어 신호를 보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즉, 논리 연산부는 OR 논리 회로로 구현될 수 있다.
보호부(130)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미도시) 및 구동 회로부(110)가 단락 상태로 판단되면,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에 대한 보호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보호부(130)는 구동 회로부(110)의 입력단에 인가되는 구동 전원을 차단하는 보호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호부(130)는 과전압 보호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OVP(Over Voltage Protection) 작업은 일정 전압 이상되면 출력을 shutdown 시키는 기능으로, 예를 들어 발광부에 연결되어 전원을 인가하는 스위치를 오프시키는 작업이 될 수 있다.
그 밖에 보호부(130)는 OCP(Over Current Protection), OLP(Over Load Protection), OTP(Over Temperature Protection), OTP(Over Temperature Protection), SCP (Short Circuit Protection) 등의 보호 작업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 펄스의 크기에 관계없이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미도시) 및 구동 회로부(110) 사이의 단락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구동회로부(110)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와 연결되며, 크기가 변동되는 제어 펄스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미도시)를 구동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발광 소자(미도시)의 내부 전류가 기 설정된 임계치 이하이면, 제어 펄스의 크기에 관계없이 구동회로부(120) 내의 기설정된 위치의 전압을 센싱하고, 그 센싱된 전압 크기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미도시) 및 구동 회로부(120) 사이의 단락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보호부(130)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110) 및 구동 회로부(120)가 단락 상태로 판단되면,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에 대한 보호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구동회로부(110)는 구동 전원을 인가받는 입력단, 입력단에 연결된 제1 회로 소자의 일 단에 연결된 제1 그라운드,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와 연결되는 출력단, 출력단에 연결된 제2 회로 소자의 일 단에 연결된 제2 그라운드, 제1 그라운드 및 제2 그라운드 사이에 연결되는 저항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제1 그라운드 및 제2 그라운드 사이에 연결되는 저항에 인가되는 전압을 센싱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 예들에서는 제어부(120) 및 보호부(130)가 구동회로부(110)와 별개의 구성요소인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이며, 제어부(120)는 구동회로부(110) 내에 구비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3에 따르면, 본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발광 구동 장치(100) 및 적어도 하나의 LED 어레이(210)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예를 들어 에지 릿(Edge-lit) 방식 LED BLU를 포함하는 입체영상표시장치, 구체적으로 LCD 3D TV로 구현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LCD TV는 자체적으로 발광할 수 없기 때문에 LCD 패널로 백라이트를 투사하는 LED BLU를 포함한다. LED BLU는 백라이트 구동 회로 및 발광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LED BLU에서 발생한 빛의 투과율을 조절하여 영상 신호를 가시화하고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LCD 패널(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그 밖에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영상 입력부(미도시) 및 영상 처리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 입력부(미도시)는 복수의 입력단자들을 구비하며, 이러한 입력단자들을 통해 비디오 플레이어나 DVD 플레이어와 같은 외부 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컴포넌트(Component) 영상 신호, S-VHS(Super-Video Home System) 영상신호, 및 컴포지트(Composite) 영상 신호 등을 입력받으며, 각각의 영상신호에 대응되는 음향신호를 입력받는다.
영상 처리부(미도시)는 영상 입력부(미도시)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신호나 방송 컨텐츠에 대해 비디오 디코딩, 비디오 스케일링, FRC(Frame Rate Conversion) 등의 신호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입력된 영상을 LCD 패널(미도시)에 적합한 형태로 변환한 영상신호를 생성하고, 또한 BLU의 밝기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발광 구동 장치(100)는 구동 회로부(110), 제어부(120) 및 보호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 회로부(110)는 크기가 변동되는 제어 펄스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LED 어레이를 구동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적어도 하나의 LED 어레이의 내부 전류가 기 설정된 임계치 이하이면, 제어 펄스의 크기에 따라 구동회로부(110) 내의 상이한 위치의 전압을 센싱하고, 그 센싱된 전압 크기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LED 어레이(210) 및 구동 회로부(110) 사이의 단락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보호부(130)는 적어도 하나의 LED 어레이(210) 및 구동 회로부(110)가 단락 상태로 판단되면, 적어도 하나의 LED 어레이(210) 에 대한 보호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하나의 LED 어레이(210)를 구비하는 경우로 상정하여 설명하였지만, 이는 일 실시 예에 불과하며, LED 어레이가 2개 이상인 경우에도 동일한 원리가 적용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광 구동 장치(100)는 과전압 보호 기능을 위한 전압 센싱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발광 구동 장치의 회로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이다.
도 4a에 따른 발광 구동 장치(100)는 도광판형 Edge-lit LED BLU을 구동하기 위한 장치가 될 수 있다.
도광판형 Edge-lit LED BLU는 필요한 광량이나 화면 size에 따라 도광판 네 변의 일부 또는 사방에 bar 형태의 LED 모듈을 설치하여 구성될 수 있다. 패널 내부에 위치한 각각의 LED 모듈은 wire 등과 같은 harness를 통해 패널 외부에 위치한 LED 구동 회로와 연결되어 원하는 휘도에 상응하는 정전류가 각 LED bar에 흐르도록 제어된다. LED bar에 흐르는 전류는 센싱 저항 Rs를 통해 검출되어 전류 지령치 Iref와 같도록 정전류 제어된다.
발광 구동 장치(100)는 커넥터(connector)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미도시)와 연결되어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미도시)를 구동할 수 있다. 특히, 크기가 변동되는 제어 펄스, 예를 들어 PWM 디밍 신호(PWM_Dim)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미도시)를 구동할 수 있다.
발광 구동 장치(100)는 구동회로부 및 보호부(110), 제어부(120)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구동 회로부(110)는 제어 펄스가 입력되는 트랜지스터 스위치(111), 트랜지스터 스위치(111)의 일 단에 연결된 제1 저항(112, Rs), 구동 전원을 인가받는 입력단(113, Vdrv), 입력단(113, Vdrv)에 연결된 제1 회로 소자의 일 단에 연결된 제1 그라운드(114),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와 연결되는 출력단(Vo, 115), 출력단(Vo, 115)에 연결된 제2 회로 소자의 일 단에 연결된 제2 그라운드(116) 및 제1 그라운드(114) 및 제2 그라운드(116) 사이에 연결되는 제2 저항(Rneg, 117)을 포함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구동 회로부(110)는 제1 저항(112, Rs)의 일단에 연결된 필터부(118), 필터부(118)에 연결된 전류 증폭기(119)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필터부(118)는 노이즈 등을 통한 오동작을 방지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카운터(counter)를 추가할 수도 있다.
한편, 제어부(120)는 제1 저항(112)에서 센싱된 발광 소자(미도시)의 내부 전류가 기 설정된 임계치 이하이면, 제어 펄스가 하이 값인지 로우 값인지 여부에 따라 구동회로부(110) 내의 상이한 위치의 전압을 센싱하고, 그 센싱된 전압 크기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미도시) 및 구동 회로부(110) 사이의 샤시 그라운드 단락(chassis ground short)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20)는 제어 펄스가 하이 값이면 전류 증폭기(119) 및 필터부(118) 사이의 제1 저항(112)의 전압을 센싱하고, 제어 펄스가 로우 값이면 제2 저항(117)에 인가되는 전압을 센싱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20)는 제1 스위치 및 제2 스위치(123, 124), 제1 및 제2 비교기(121, 122) 및 논리 연산부(12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스위치 및 제2 스위치(123, 124)는 제어 펄스의 크기 예를 들어, PWM 펄스 디밍 신호에 따라 온/오프될 수 있다.
제1 비교기(121)는 제1 스위치(123)에 연결되며, PWM 디밍 신호가 HIGH인 경우 제1 저항(112)으로부터 센싱된 제1 전압(Vfb)과 제1 기준전압(Vfb_ref)을 비교하여, 제1 전압(Vfb)이 제1 기준전압(Vfb_ref) 이하이면 제1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제2 비교기(122)는 제2 스위치(124)에 연결되며, PWM 디밍 신호가 LOW인 경우 제2 저항(117)으로부터 센싱된 제2 전압(V_Rneg)과 제2 기준전압(V_Rneg_ref)을 비교하여, 제2 전압(V_Rneg)이 제2 기준전압(V_Rneg_ref) 이하이면 제2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논리 연산부(125)는 제1 비교기(121) 또는 제2 비교기(122)로부터 제1 신호 또는 제2 신호가 출력되면, 단락 상태임을 알리는 제어 신호(Fault)를 보호부(110)로 출력할 수 있다. 즉, 논리 연산부(123)는 OR 논리 회로로 구현될 수 있다.
보호부(110)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미도시) 및 구동 회로부(110)가 단락 상태로 판단되면, 구동 회로부(110)의 입력단에 인가되는 구동 전원을 차단하는 보호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도 4b는 PWM 디밍 신호가 LOW인 경우의 회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4b에 따르면, PWM 디밍 신호가 LOW인 경우 제1 및 제2 스위치(111-1, 111-2)를 포함하는 구동 회로부(110) 대부분이 동작이 정지되지만, 구동 회로부(110)와 발광 소자 사이에 샤시 그라운드 단락(chassis ground short)이 발생하는 경우 도시된 바과 같이 구동 회로부(110) 외곽 영역으로 전류(I)가 흐를 수 있다. 이 경우, 입력 전압(Vdrv)와 출력 전압(Vo) 사이의 저항 Rneg에 흐르는 전류(I)에 의해 전위차가 발생하게 되고 V_Rneg는 네거티브 값으로 센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PWM 디밍 신호가 LOW인 경우 V_Rneg 값으로 샤시 그라운드 단락(chassis ground short) 여부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발광 소자가 복수 개인 경우 도 4에 따른 발광 구동 장치의 회로 구성을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5에 따르면, 두 개의 발광 소자(미도시)가 각각 Connector1, Connector2를 통해 제1 및 제2 구동회로부(110-1, 110-2)와 연결될 수 있다.
제1 및 제2 구동회로부(110-1, 110-2) 각각의 구성은 도 4에 도시된 구동 회로부(110)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제어부(120')는 제1 및 제2 구동회로부(110-1, 110-2)의 제1 저항(Rs1, Rs2)에서 센싱된 두 개의 발광 소자(미도시) 각각의 내부 전류가 기 설정된 임계치 이하이면, 제어 펄스가 HIGH 인지 LOW 인지 여부에 따라 구동회로부(110) 내의 상이한 위치의 전압을 센싱하고, 그 센싱된 전압 크기를 이용하여 두 개의 발광 소자(미도시) 및 구동 회로부(110-1, 110-2) 사이의 샤시 그라운드 단락(chassis ground short)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20')는 제1 및 제2 구동회로부(110-1, 110-2) 각각의 제어 펄스가 HIGH 이면 제1 저항(Rs1, Rs2)의 전압을 센싱하고, 제어 펄스가 LOW 이면 제2 저항(Rneg)에 인가되는 전압을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제1 비교기(비교기 1-1)는 제1 구동회로부(110-1)의 제1 저항(Rs1)으로부터 센싱된 제1 전압(Vfb1)과 제1 기준전압(Vfb1_ref)을 비교하여, 제1 전압(Vfb1)이 제1 기준전압(Vfb1_ref) 이하이면 제1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2 비교기(비교기 1-2)는 제1 구동회로부(110-2)의 제1 저항(Rs2)으로부터 센싱된 제1 전압(Vfb2)과 제1 기준전압(Vfb2_ref)을 비교하여, 제1 전압(Vfb2)이 제1 기준전압(Vfb2_ref) 이하이면 제1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3 비교기(비교기 2)는 제2 저항(Rneg)으로부터 센싱된 제2 전압(V_Rneg)과 제2 기준전압(V_Rneg_ref)을 비교하여, 제2 전압(V_Rneg)이 제2 기준전압(V_Rneg_ref) 이하이면 제2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논리 연산부(123)는 제1 비교기(비교기 1-1), 제2 비교기(비교기 1-2) 또는 제3 비교기(비교기 2)로부터 제1 신호 또는 제2 신호가 출력되면, 단락 상태임을 알리는 제어 신호(Fault)를 보호부(110)로 출력할 수 있다. 즉, 논리 연산부(123)는 OR 논리 회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발광 구동 장치의 회로 구성을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6에 따르면, PWM dimming 신호와 무관하게 제2 저항(Rneg)으로부터 센싱된 제2 전압(V_Rneg)과 제2 기준전압(V_Rneg_ref)을 비교하여, 제2 전압(V_Rneg)이 제2 기준전압(V_Rneg_ref) 이하이면 제2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정상 동작시 가장 낮게 걸리는 네거티브 전압 V_Rneg를 기준으로 V_Rneg_ref를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샤시 그라운드 단락으로 쇼트(short)성으로 큰 전류가 흘러 V_Rneg가 V_Rneg_ref보다 낮을 경우 LED 모듈과 샤시 그라운드 사이에 단락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으로 fault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발광 구동 장치의 구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발광 구동 장치의 구동 방법에 따르면, 우선, 크기가 변동되는 제어 펄스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를 구동한다(S710). 여기서, 제어 펄스는 PWM 디밍 신호가 될 수 있다.
이어서, 발광 소자의 내부 전류가 기 설정된 임계치 이하인지 판단한다(S720).
S720 단계의 판단 결과, 발광 소자의 내부 전류가 기 설정된 임계치 이하인 경우(S720:Y) 제어 펄스의 크기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회로부 내의 상이한 위치의 전압을 센싱한다(S730). 여기서, 제어 펄스의 크기는 PWM 디밍 신호의 HIGH 또는 LOW 값이 될 수 있다.
이어서, 센싱된 전압 크기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 및 구동 회로부 사이의 단락 여부를 판단한다(S740).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 및 구동 회로부 사이의 단락은 샤시 그라운드 단락(chassis ground short)이 될 수 있다.
이 후,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 및 구동 회로부가 단락 상태로 판단되면,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에 대한 보호 작업을 수행한다(S740). 여기서, 보호 작업은 입력단에 인가되는 구동 전원을 차단하는 보호 작업이 될 수 있다.
여기서, 구동 회로부는 제어 펄스가 입력되는 트랜지스터 스위치, 트랜지스터 스위치의 일 단에 연결된 제1 저항, 구동 전원을 인가받는 입력단, 입력단에 연결된 제1 회로 소자의 일 단에 연결된 제1 그라운드,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와 연결되는 출력단, 출력단에 연결된 제2 회로 소자의 일 단에 연결된 제2 그라운드및 제1 그라운드 및 상기 제2 그라운드 사이에 연결되는 제2 저항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발광 소자의 내부 전류는, 트랜지스터 스위치의 일 단에 연결된 제1 저항에 흐르는 전류가 될 수 있다.
또한, 구동 회로부는, 제1 저항의 일단에 연결된 필터부 및 필터부에 연결된 전류 증폭기를 더 포함하며, 전압을 센싱하는 단계는, 제어 펄스가 하이 값이면 상기 전류 증폭기 및 상기 필터부 사이의 연결 노드의 전압을 센싱하고, 제어 펄스가 로우 값이면 상기 제2 저항에 인가되는 전압을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압을 센싱하는 단계는, 제어 펄스가 하이 값이면 제1 저항에 인가되는 전압을 센싱하고, 상기 제어 펄스가 로우 값이면 제2 저항에 인가되는 전압을 센싱할 수 있다.
또한, 단락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제어 펄스의 크기에 따라 온/오프되는 제1 스위치에 연결되는 제1 비교기를 이용하여, 제1 저항으로부터 센싱된 제1 전압과 제1 기준전압을 비교하고, 제1 전압이 제1 기준전압 이하이면 제1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어 펄스의 크기에 따라 온/오프되는 제2 스위치에 연결되는 제2 비교기를 이용하여, 제2 저항으로부터 센싱된 제2 전압과 제2 기준전압을 비교하고, 제2 전압이 제2 기준전압 이하이면 제2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1 비교기 또는 제2 비교기로부터 제1 신호 또는 제2 신호가 출력되면, 단락 상태임을 알리는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발광 구동 장치의 구동 방법은, 크기가 변동되는 제어 펄스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를 구동하는 단계, 발광 소자의 내부 전류가 기 설정된 임계치 이하이면, 제어 펄스의 크기에 관계없이 구동회로부 내의 기설정된 위치의 전압을 센싱하고, 그 센싱된 전압 크기를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 및 상기 구동 회로부 사이의 단락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 및 구동 회로부가 단락 상태로 판단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에 대한 보호 작업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구동 회로부는, 구동 전원을 인가받는 입력단, 입력단에 연결된 제1 회로 소자의 일 단에 연결된 제1 그라운드,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와 연결되는 출력단, 출력단에 연결된 제2 회로 소자의 일 단에 연결된 제2 그라운드 및 제1 그라운드 및 제2 그라운드 사이에 연결되는 저항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압을 센싱하는 단계는, 저항에 인가되는 전압을 센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동 방법은, 크기가 변동되는 제어 펄스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LED 어레이를 구동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LED 어레이의 내부 전류가 기 설정된 임계치 이하이면, 제어 펄스의 크기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LED 어레이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회로부 내의 상이한 위치의 전압을 센싱하는 단계, 센싱된 전압 크기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LED 어레이 및 구동 회로부 사이의 단락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적어도 하나의 LED 어레이 및 구동 회로부가 단락 상태로 판단되면, 적어도 하나의 LED 어레이에 대한 보호 작업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것과 같이 발광 구동 장치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동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기록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 판독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라피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컴퓨터 판독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LED 모듈과 panel chassis GND 사이에 short와 같은 상황이 발생할 경우 이를 감지하여 보호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LED 구동회로 파손, LED chip 파손 및 LED 모듈의 PL성 불량을 방지하고 그에 따른 품질 향상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이해되어져서는 안 될 것이다.
100: 발광 구동 장치 110: 구동 회로부
200: 디스플레이 장치 210: 발광 소자

Claims (20)

  1.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와 연결되며, 크기가 변동되는 제어 펄스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를 구동하는 구동회로부;
    상기 발광 소자의 내부 전류가 기 설정된 임계치 이하이면, 상기 제어 펄스의 크기에 따라 상기 구동회로부 내의 상이한 위치의 전압을 센싱하고, 그 센싱된 전압 크기를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 및 상기 구동 회로부 사이의 단락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 및 상기 구동 회로부가 단락 상태로 판단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에 대한 보호 작업을 수행하는 보호부;를 포함하는 발광 구동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회로부는,
    상기 제어 펄스가 입력되는 트랜지스터 스위치;
    상기 트랜지스터 스위치의 일 단에 연결된 제1 저항;
    구동 전원을 인가받는 입력단;
    상기 입력단에 연결된 제1 회로 소자의 일 단에 연결된 제1 그라운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와 연결되는 출력단;
    상기 출력단에 연결된 제2 회로 소자의 일 단에 연결된 제2 그라운드; 및
    상기 제1 그라운드 및 상기 제2 그라운드 사이에 연결되는 제2 저항;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저항에 흐르는 전류를 상기 내부 저항으로 센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구동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회로부는,
    상기 제1 저항의 일단에 연결된 필터부; 및
    상기 필터부에 연결된 전류 증폭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 펄스가 하이 값이면 상기 전류 증폭기 및 상기 필터부 사이의 연결 노드의 전압을 센싱하고, 상기 제어 펄스가 로우 값이면 상기 제2 저항에 인가되는 전압을 센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구동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 펄스가 하이 값이면 상기 제1 저항에 인가되는 전압을 센싱하고, 상기 제어 펄스가 로우 값이면 상기 제2 저항에 인가되는 전압을 센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구동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 펄스의 크기에 따라 온/오프되는 제1 스위치 및 제2 스위치;
    상기 제1 스위치에 연결되며, 상기 제1 저항으로부터 센싱된 제1 전압과 제1 기준전압을 비교하여, 상기 제1 전압이 상기 제1 기준전압 이하이면 제1 신호를 출력하는 제1 비교기;
    상기 제2 스위치에 연결되며, 상기 제2 저항으로부터 센싱된 제2 전압과 제2 기준전압을 비교하여, 상기 제2 전압이 상기 제2 기준전압 이하이면 제2 신호를 출력하는 제2 비교기; 및
    상기 제1 비교기 또는 상기 제2 비교기로부터 상기 제1 신호 또는 상기 제2 신호가 출력되면, 상기 단락 상태임을 알리는 제어 신호를 상기 보호부로 출력하는 논리연산부;를 포함하는 발광 구동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부는,
    상기 입력단에 인가되는 구동 전원을 차단하는 보호 작업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구동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펄스는 PWM 디밍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구동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 및 상기 구동 회로부 사이의 단락은 샤시 그라운드 단락(chassis ground shor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구동 장치.
  9.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와 연결되며, 크기가 변동되는 제어 펄스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를 구동하는 구동회로부;
    상기 발광 소자의 내부 전류가 기 설정된 임계치 이하이면, 상기 제어 펄스의 크기에 관계없이 구동회로부 내의 기설정된 위치의 전압을 센싱하고, 그 센싱된 전압 크기를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 및 상기 구동 회로부 사이의 단락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 및 상기 구동 회로부가 단락 상태로 판단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에 대한 보호 작업을 수행하는 보호부;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 회로부는,
    구동 전원을 인가받는 입력단;
    상기 입력단에 연결된 제1 회로 소자의 일 단에 연결된 제1 그라운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와 연결되는 출력단;
    상기 출력단에 연결된 제2 회로 소자의 일 단에 연결된 제2 그라운드; 및
    상기 제1 그라운드 및 상기 제2 그라운드 사이에 연결되는 저항;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항에 인가되는 전압을 센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구동 장치.
  10. 적어도 하나의 LED 어레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LED 어레이와 연결되며, 크기가 변동되는 제어 펄스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LED 어레이를 구동하는 구동회로부;
    상기 적어도 하나의 LED 어레이의 내부 전류가 기 설정된 임계치 이하이면, 상기 제어 펄스의 크기에 따라 상기 구동회로부 내의 상이한 위치의 전압을 센싱하고, 그 센싱된 전압 크기를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LED 어레이 및 상기 구동 회로부 사이의 단락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LED 어레이 및 상기 구동 회로부가 단락 상태로 판단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LED 어레이에 대한 보호 작업을 수행하는 보호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1. 크기가 변동되는 제어 펄스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를 구동하는 단계;
    상기 발광 소자의 내부 전류가 기 설정된 임계치 이하이면, 상기 제어 펄스의 크기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회로부 내의 상이한 위치의 전압을 센싱하는 단계;
    상기 센싱된 전압 크기를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 및 상기 구동 회로부 사이의 단락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 및 상기 구동 회로부가 단락 상태로 판단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에 대한 보호 작업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발광 구동 장치의 구동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회로부는,
    상기 제어 펄스가 입력되는 트랜지스터 스위치;
    상기 트랜지스터 스위치의 일 단에 연결된 제1 저항;
    구동 전원을 인가받는 입력단;
    상기 입력단에 연결된 제1 회로 소자의 일 단에 연결된 제1 그라운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와 연결되는 출력단;
    상기 출력단에 연결된 제2 회로 소자의 일 단에 연결된 제2 그라운드; 및
    상기 제1 그라운드 및 상기 제2 그라운드 사이에 연결되는 제2 저항;을 포함하며,
    상기 발광 소자의 내부 전류는,
    상기 제1 저항에 흐르는 전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구동 장치의 구동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회로부는,
    상기 제1 저항의 일단에 연결된 필터부; 및
    상기 필터부에 연결된 전류 증폭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압을 센싱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 펄스가 하이 값이면 상기 전류 증폭기 및 상기 필터부 사이의 연결 노드의 전압을 센싱하고, 상기 제어 펄스가 로우 값이면 상기 제2 저항에 인가되는 전압을 센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구동 장치의 구동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을 센싱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 펄스가 하이 값이면 상기 제1 저항에 인가되는 전압을 센싱하고, 상기 제어 펄스가 로우 값이면 상기 제2 저항에 인가되는 전압을 센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구동 장치의 구동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단락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 펄스의 크기에 따라 온/오프되는 제1 스위치에 연결되는 제1 비교기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저항으로부터 센싱된 제1 전압과 제1 기준전압을 비교하고, 상기 제1 전압이 상기 제1 기준전압 이하이면 제1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제어 펄스의 크기에 따라 온/오프되는 제2 스위치에 연결되는 제2 비교기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저항으로부터 센싱된 제2 전압과 제2 기준전압을 비교하고, 상기 제2 전압이 상기 제2 기준전압 이하이면 제2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비교기 또는 상기 제2 비교기로부터 상기 제1 신호 또는 상기 제2 신호가 출력되면, 상기 단락 상태임을 알리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구동 장치의 구동 방법.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작업은,
    상기 입력단에 인가되는 구동 전원을 차단하는 보호 작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구동 장치의 구동 방법.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펄스는 PWM 디밍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구동 장치의 구동 방법.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 및 상기 구동 회로부 사이의 단락은 샤시 그라운드 단락(chassis ground shor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구동 장치의 구동 방법.
  19. 크기가 변동되는 제어 펄스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를 구동하는 단계;
    상기 발광 소자의 내부 전류가 기 설정된 임계치 이하이면, 상기 제어 펄스의 크기에 관계없이 구동회로부 내의 기설정된 위치의 전압을 센싱하고, 그 센싱된 전압 크기를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 및 상기 구동 회로부 사이의 단락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 및 상기 구동 회로부가 단락 상태로 판단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에 대한 보호 작업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 회로부는,
    구동 전원을 인가받는 입력단;
    상기 입력단에 연결된 제1 회로 소자의 일 단에 연결된 제1 그라운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와 연결되는 출력단;
    상기 출력단에 연결된 제2 회로 소자의 일 단에 연결된 제2 그라운드; 및
    상기 제1 그라운드 및 상기 제2 그라운드 사이에 연결되는 저항;을 포함하며,
    상기 전압을 센싱하는 단계는,
    상기 저항에 인가되는 전압을 센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구동 장치의 구동 방법.
  20. 크기가 변동되는 제어 펄스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LED 어레이를 구동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LED 어레이의 내부 전류가 기 설정된 임계치 이하이면, 상기 제어 펄스의 크기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LED 어레이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회로부 내의 상이한 위치의 전압을 센싱하는 단계;
    상기 센싱된 전압 크기를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LED 어레이 및 상기 구동 회로부 사이의 단락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LED 어레이 및 상기 구동 회로부가 단락 상태로 판단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LED 어레이에 대한 보호 작업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0100088980A 2010-09-10 2010-09-10 발광 구동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1017896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8980A KR101789681B1 (ko) 2010-09-10 2010-09-10 발광 구동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US13/053,984 US8558481B2 (en) 2010-09-10 2011-03-22 Luminescence driving apparatus, display apparatus, and driv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8980A KR101789681B1 (ko) 2010-09-10 2010-09-10 발광 구동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6829A true KR20120026829A (ko) 2012-03-20
KR101789681B1 KR101789681B1 (ko) 2017-10-25

Family

ID=458060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8980A KR101789681B1 (ko) 2010-09-10 2010-09-10 발광 구동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558481B2 (ko)
KR (1) KR10178968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21070A (ko) * 2011-08-22 2013-03-0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US10002554B2 (en) 2014-09-03 2018-06-19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etecting deterioration of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07568B2 (en) * 2011-10-24 2014-12-09 Microsemi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LED string short circuit detection and protection
TWI470613B (zh) * 2012-10-01 2015-01-21 Ili Technology Corp Panel drive circuit and over temperature protection device
KR20140046146A (ko) 2012-10-10 2014-04-18 삼성전자주식회사 광원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 헤드라이트
CN104755613A (zh) * 2012-11-05 2015-07-01 奥斯兰姆施尔凡尼亚公司 用于固态光源的驱动器
KR20140065127A (ko) * 2012-11-21 2014-05-2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검사 장치 및 검사 방법
US8890423B2 (en) * 2013-03-29 2014-11-18 Shenzhen China Star Optoelectronics Technology Co., Ltd Backlight driving circuit, LCD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backlight driving circuit
US9236014B2 (en) * 2013-05-08 2016-01-12 Shenzhen China Star Optoelectronics Technology Co., Ltd LED backlight driving circuit, LCD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the LED backlight driving circuit
KR102227600B1 (ko) * 2014-08-01 2021-03-16 삼성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의 전원공급방법
CN105472834B (zh) * 2014-09-16 2018-10-26 株式会社小糸制作所 点灯电路及使用该点灯电路的车辆用灯具
CN105792455A (zh) * 2014-12-15 2016-07-20 广东雪莱特光电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led驱动电路
US9464797B1 (en) * 2015-04-03 2016-10-11 Nzxt Inc. Lighting effect-controllable computer case
US9733296B2 (en) * 2015-11-19 2017-08-15 Continental Automotive Systems, Inc. Multi-phase turn-on blanking time with VBATT-based fault threshold voltage
CN106385731A (zh) * 2016-08-31 2017-02-08 上海顿格电子贸易有限公司 一种灯具的过温保护电路以及灯具
CN106532654A (zh) * 2016-10-19 2017-03-22 成都言行果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单次触发定时器的过载保护电路
CN106782348A (zh) * 2017-01-04 2017-05-31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led背光驱动电路及液晶显示器
CN106710533B (zh) * 2017-02-21 2018-06-29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直流负调光电路及液晶显示设备
CN110389357B (zh) * 2018-04-19 2023-06-02 韩商未来股份有限公司 使用具有被摄体眼睛保护功能的光源的相机
CN108630164B (zh) * 2018-06-08 2019-12-06 深圳市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显示装置
CN110648634B (zh) * 2018-06-26 2021-04-23 青岛海信医疗设备股份有限公司 背光亮度确定、调节方法及装置、存储介质和电子设备
CN109067155B (zh) * 2018-07-10 2020-04-07 深圳市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Dc-dc转换电路的过流保护电路、方法及显示面板
CN110854802B (zh) * 2018-08-20 2022-06-28 纬联电子科技(中山)有限公司 过电流保护电路以及其方法
CN109064985B (zh) * 2018-08-27 2020-07-07 惠科股份有限公司 一种过流保护电路及显示装置
US11051384B1 (en) * 2020-08-21 2021-06-29 Infineon Technologies Ag Circuits with short circuit protection for light emitting diodes
DE102020133622A1 (de) * 2020-12-15 2022-06-15 Danfoss Power Electronics A/S Kühlkörperanordnung für einen Stromrichter
KR102390193B1 (ko) * 2021-04-20 2022-04-25 한국광기술원 오디오 신호에 변조된 광을 출력하는 광 출력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76861B1 (en) * 2004-09-21 2007-10-02 Exclara, Inc. System and method for driving LED
CN102014540B (zh) * 2010-03-04 2011-12-28 凹凸电子(武汉)有限公司 驱动电路及控制光源的电力的控制器
US8179059B2 (en) * 2009-10-15 2012-05-15 Richtek Technology Corporation, R.O.C. Circuit and method for controlling light emitting device, and integrated circuit therefor
US8084960B2 (en) * 2009-12-30 2011-12-27 O2Micro, Inc Circuits and methods for powering light source with balanced currents
TW201215231A (en) * 2010-09-29 2012-04-01 Power Forest Technology Driving circuit of light emitting diodes and short circuit protection circuit applied to a driving circuit of light emitting diode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21070A (ko) * 2011-08-22 2013-03-0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US10002554B2 (en) 2014-09-03 2018-06-19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etecting deterioration of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558481B2 (en) 2013-10-15
US20120062148A1 (en) 2012-03-15
KR101789681B1 (ko) 2017-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9681B1 (ko) 발광 구동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US8569954B2 (en) Luminescence driving apparatus, display apparatus, and driving method thereof
US9076357B2 (en) Redundant operation of a backlight unit of a display device under a shorted LED condition
JP5840225B2 (ja) 電源供給装置
JP6291577B2 (ja) 過電流保護回路、ledバックライト駆動回路及び液晶表示装置
US9271379B2 (en) Redundant operation of a backlight unit of a display device under open circuit or short circuit LED string conditions
KR101789946B1 (ko) Led 백라이트시스템 및 디스플레이 장치
US20120105498A1 (en) Luminescence driving apparatus, display apparatus and driving method thereof
JP2010011608A (ja) 電源制御用半導体集積回路
KR20090043866A (ko) 백라이트 드라이버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US8912731B2 (en) LED backlight driving circuit and backlight module
US20130113844A1 (en) Led driving apparatus and method and display apparatus using the led driving apparatus and method
CN105047141A (zh) 多分区动态背光的分屏检测方法、装置及液晶电视
KR20120071847A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208881B1 (ko) 백라이트 유닛, 백라이트 유닛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US7173381B2 (en) Backlight unit for liquid crystal display
KR102001967B1 (ko) Led 구동 장치, led 구동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KR102358203B1 (ko) Led 구동 장치, 방법
CN106559933A (zh) 交通信号灯驱动电路
JP2022021914A (ja) 表示装置、表示装置の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KR20110137440A (ko) 엘시디 백라이트 패널의 쇼트검출장치
KR20110080497A (ko) 광원 구동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광원 장치
TWI627621B (zh) 背光驅動模組
CN110418452B (zh) 用于监测发光电路的电路
TWI431586B (zh) 源極驅動器與顯示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