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26262A - 휴대 단말, 그의 캡쳐 방지를 위한 디지털 컨텐츠 실행 방법, 그리고 캡쳐 방지를 위한 디지털 컨텐츠 제작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 그의 캡쳐 방지를 위한 디지털 컨텐츠 실행 방법, 그리고 캡쳐 방지를 위한 디지털 컨텐츠 제작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26262A
KR20120026262A KR1020100088385A KR20100088385A KR20120026262A KR 20120026262 A KR20120026262 A KR 20120026262A KR 1020100088385 A KR1020100088385 A KR 1020100088385A KR 20100088385 A KR20100088385 A KR 20100088385A KR 20120026262 A KR20120026262 A KR 201200262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gital content
capture
screen
capture prevention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83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중윤
김경민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883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26262A/ko
Publication of KR201200262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626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10Protecting distributed programs or content, e.g. vending or licensing of copyrighted material ;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 G06F21/16Program or content traceability, e.g. by watermar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60Protecting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chnology Law (AREA)
  • Multimedia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eth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diting Of Facsimile Origi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컨텐츠의 실행 중에 디지털 컨텐츠의 실행 환경을 분석하여 캡쳐가 가능한 환경인 경우에 화면 캡쳐가 용이하지 않도록 표시된 동영상, 사진, 이미지, 문서에 대하여 캡쳐 방지 기능을 실행하는 휴대 단말 및 그의 캡쳐 방지를 위한 디지털 컨텐츠 실행 방법, 그리고 이러한 캡쳐 방지를 위한 디지털 컨텐츠를 제작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디지털 컨텐츠의 실행되는 휴대 단말의 환경을 확인하여, 기 설정된 캡쳐 가능 조건을 만족하면 설정된 캡쳐 방지 영역에 대하여 캡쳐 방지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디지털 컨텐츠에 포함된 여러 리소스에 대한 화면 캡쳐를 통해 불법 복제를 방지할 수 있으며, 디지털 컨텐츠의 제작 단계에서 이러한 캡쳐 방지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컨텐츠 제작 편의를 도모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휴대 단말, 그의 캡쳐 방지를 위한 디지털 컨텐츠 실행 방법, 그리고 캡쳐 방지를 위한 디지털 컨텐츠 제작 방법 및 장치{Mobile device, digital contents executing method, digital contents creating method and device for capture prevention thereof}
본 발명은 디지털 컨텐츠의 실행 중에 화면에 표시된 동영상이나 사진이나 문서와 같은 리소스의 캡쳐를 방지하기 위한 휴대 단말 및 그의 캡쳐 방지를 위한 디지털 컨텐츠 실행 방법, 그리고 캡쳐 방지를 위한 디지털 컨텐츠를 제작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PC와 같은 고성능의 프로세서 및 대용량의 메모리를 탑재하고, 사용자가 자유롭게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스마트폰(smart phone)이 급속히 보급되고 있다.
스마트폰은 휴대폰 기능에 일정 관리, 팩스 송신 및 인터넷 접속 등의 데이터 통신기능을 통합시킨 지능형 단말기로서, 무선인터넷을 이용하여 인터넷에 직접 접속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여러 가지 브라우징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접속할 수 있는 점, 개방형 플랫폼을 지원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직접 제작할 수도 있는 점,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임의로 설치하여 자신에게 알맞은 인터페이스를 구현할 수 있는 점, 그리고 같은 운영체제(OS)를 가진 스마트폰 간에 애플리케이션을 공유할 수 있는 점 등과 같이 기존의 휴대폰이 갖지 못한 장점으로 인하여, 휴대 전화 시장을 빠르게 잠식하고 있다.
이러한 스마트폰의 보급에 따라서, 스마트폰에서 실행하거나 재생할 수 있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디지털 매거진, 전자 신문 등과 같은 디지털 컨텐츠를 자유롭게 거래할 수 있는 OMP(Open Market Place)까지 활성화되고 있으며, 전문가뿐만 아니라 일반 사용자 스스로 자신에게 필요한 기능을 갖거나 다양한 아이디어를 적용한 컨텐츠를 제작하여 판매하고자 하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반면에, 스마트폰에 설치하는 프로그램의 자유도가 높아지면서, 디지털 컨텐츠의 보호는 더욱 어려워지고 있다.
특히, 디지털 컨텐츠의 불법적인 복제 수단의 하나로서 화면 캡쳐가 있다. 화면 캡쳐는 단말의 디스플레이 수단에 표시되는 화면을 그대로 갈무리하는 것으로서, 동영상과 같이 화면이 지속적으로 바뀌는 컨텐츠에서는 크게 문제되지 않으나, 화보나 전자책(E-Book)과 같이 화면 캡쳐만으로 복제나 유출이 가능한 컨텐츠에 대해서는 심각한 문제가 되고 있다.
본 발명은, 디지털 컨텐츠의 실행 중에 디지털 컨텐츠의 실행 환경을 분석하여 캡쳐가 가능한 환경인 경우에 화면 캡쳐가 용이하지 않도록 표시된 동영상, 사진, 이미지, 문서에 대하여 캡쳐 방지 기능을 실행하는 휴대 단말 및 그의 캡쳐 방지를 위한 디지털 컨텐츠 실행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더하여 본 발명은, 디지털 컨텐츠의 실행 환경을 분석하여 캡쳐 가능한 환경인 경우에 캡쳐 방지 기능을 실행하는 캡쳐 방지를 위한 디지털 컨텐츠를 제작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사용자 조작에 따라서 사용자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는 입력부; 디지털 컨텐츠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사용자 입력 신호에 따라서, 디지털 컨텐츠 데이터를 실행하는 동안, 디지털 컨텐츠의 실행 환경을 분석하여, 하나 이상의 캡쳐 가능 조건을 만족하면 캡쳐 방지 기능을 실행하는 제어부; 및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서 디지털 컨텐츠의 실행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휴대 단말에 있어서, 제어부는 디지털 컨텐츠 데이터 중에서 기 설정된 캡쳐 방지 영역에 대해서, 선택적으로 상기 캡쳐 방지 기능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휴대 단말에 있어서, 캡쳐 방지 영역은 디지털 컨텐츠 데이터 중에서 화면을 구성하는 동영상, 사진, 이미지, 및 문서를 포함하는 리소스 중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휴대 단말에 있어서, 캡쳐 방지 기능은, 디지털 컨텐츠의 실행 화면에 워터마크, 반복 패턴을 포함하는 노이즈를 삽입하여, 화면을 흐리게 하거나 화면의 일부 또는 전부가 보이지 않도록 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휴대 단말에 있어서, 캡쳐 가능 조건은 디지털 컨텐츠의 백그라운드 구동 여부, 캡쳐와 관련된 프로그램의 실행 여부, 기 설정된 시간 이상의 사용자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은 상태의 지속 여부, 다른 단말과의 연결 여부 중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더하여, 본 발명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른 수단으로서, 사용자 입력 신호에 따라서 디지털 컨텐츠 데이터를 로드하여 디지털 컨텐츠를 실행하는 단계; 디지털 컨텐츠를 실행하는 동안, 디지털 컨텐츠의 실행 환경을 분석하여 하나 이상의 캡쳐 가능 조건을 만족하는 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하나 이상의 캡쳐 가능 조건을 만족하면, 디지털 컨텐츠의 실행 화면에 대하여 캡쳐가 용이하지 않도록 캡쳐 방지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캡쳐 방지를 위한 디지털 컨텐츠 실행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캡쳐 방지를 위한 디지털 컨텐츠 실행 방법은, 캡쳐 방지 기능을 실행하는 동안, 상기 디지털 컨텐츠의 실행 환경에 대한 변경을 확인하는 단계; 및 디지털 컨텐츠의 실행 환경이 변경되어, 캡쳐 가능 조건을 모두 만족하지 않게 되면, 상기 캡쳐 방지 기능의 실행을 중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캡쳐 방지를 위한 디지털 컨텐츠 실행 방법에 있어서, 캡쳐 방지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는, 디지털 컨텐츠의 데이터 중에서 기 설정된 캡쳐 방지 영역에 대해서, 선택적으로 상기 캡쳐 방지 기능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캡쳐 방지를 위한 디지털 컨텐츠 실행 방법에 있어서, 캡쳐 방지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는, 디지털 컨텐츠의 실행 화면에 워터마크, 반복 패턴 중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노이즈를 삽입하여, 화면을 흐리게 하거나 화면의 일부 또는 전부가 보이지 않도록 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하여 본 발명은 상술한 캡쳐 방지를 위한 디지털 컨텐츠 실행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또 다른 수단으로서, 사용자 조작에 따라서 사용자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는 입력부; 사용자의 입력 신호에 따라서 디지털 컨텐츠를 제작하는 중에, 디지털 컨텐츠의 캡쳐 방지 영역을 설정하고, 디지털 컨텐츠의 실행 시 디지털 컨텐츠의 실행 환경을 확인하여 하나 이상의 캡쳐 가능 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캡쳐 방지 영역에 대해 캡쳐 방지 기능을 실행하도록 디지털 컨텐츠 데이터를 구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쳐 방지를 위한 디지털 컨텐츠 제작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캡쳐 방지를 위한 디지털 컨텐츠 제작 장치에 있어서, 제어부는, 디지털 컨텐츠를 제작하기 위한 디지털 컨텐츠 제작 환경을 제공하고,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서 상기 디지털 컨텐츠 데이터를 구성하는 컨텐츠 편집 모듈; 및 캡쳐 방지 요청에 따라서, 컨텐츠 편집 모듈에서 구성된 디지털 컨텐츠 데이터에서 캡쳐 방지 영역을 선택 받아, 하나 이상의 캡쳐 가능 조건을 만족할 때 상기 캡쳐 방지 영역에 대해서 실행되도록 디지털 컨텐츠 데이터에 캡쳐 방지 기능을 삽입하는 캡쳐 방지 설정 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캡쳐 방지를 위한 디지털 컨텐츠 제작 장치는, 구성된 디지털 컨텐츠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캡쳐 방지를 위한 디지털 컨텐츠 제작 장치는, 통신망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가 통신부를 통해 디지털 컨텐츠 데이터를 서버로 전송하여 판매 또는 등록을 요청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캡쳐 방지를 위한 디지털 컨텐츠 제작 장치는,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서, 디지털 컨텐츠 제작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캡쳐 방지를 위한 디지털 컨텐츠 제작 장치에 있어서, 캡쳐 방지 영역은 디지털 컨텐츠의 화면을 구성하는 동영상, 이미지, 사진, 문서 중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캡쳐 방지 기능은 디지털 컨텐츠의 실행 화면에 워터마크, 반복 패턴을 포함하는 노이즈를 삽입하여, 화면을 흐리게 하거나 화면의 일부 또는 전부가 보이지 않도록 하는 것이고, 캡쳐 가능 조건은 디지털 컨텐츠의 백그라운드 구동 여부, 캡쳐와 관련된 프로그램의 실행 여부, 기 설정된 시간 이상의 사용자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은 상태의 지속 여부, 다른 단말과의 연결 여부 중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더하여, 본 발명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또 다른 수단으로서, 사용자의 입력 신호에 따라서 디지털 컨텐츠를 제작하여 디지털 컨텐츠 데이터를 구성하는 단계; 디지털 컨텐츠 데이터를 구성하는 중에, 사용자의 캡쳐 방지 요청을 입력 받는 단계; 캡쳐 방지 요청이 입력되면,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서 디지털 컨텐츠 데이터에서 캡쳐 방지 영역을 선택하는 단계; 디지털 컨텐츠의 실행 환경을 확인하여 캡쳐 가능한 환경인 경우 상기 캡쳐 방지 영역에 대해 실행되도록 디지털 컨텐츠 데이터에 캡쳐 방지 기능을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쳐 방지를 위한 디지털 컨텐츠 제작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캡쳐 방지를 위한 디지털 컨텐츠 제작 방법은, 캡쳐 방지 기능을 삽입한 디지털 컨텐츠 데이터를 서버로 전송하여 등록 또는 판매를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하여 본 발명은 상술한 캡쳐 방지를 위한 디지털 컨텐츠 제작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디지털 컨텐츠, 특히 전자책이나 전자 매거진과 같이 화면 캡쳐만으로 불법 복제나 유출이 가능한 디지털 컨텐츠를 실행하는데 있어서, 디지털 컨텐츠의 실행 환경을 분석하여, 디지털 컨텐츠를 실행하는 휴대 단말이 PC와 같은 다른 단말에 연결되어 있거나, 디지털 컨텐츠가 백그라운드로 실행되고 있거나, 캡쳐 가능한 프로그램이 실행 중이거나, 사용자가 일정 시간 이상 사용하지 않고 있는 등 캡쳐 가능한 환경일 때, 기 설정된 캡쳐 방지 영역에 대하여 노이즈를 삽입하여 흐리게 하거나 부분적으로 보이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서, 그 결과 디지털 컨텐츠의 실행 중 화면 캡쳐를 통한 불법 복제 및 유출을 방지할 수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은 이러한 캡쳐 방지 기능 및 캡쳐 방지 영역을 디지털 컨텐츠의 제작 단계에서 설정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그 결과 일반 사용자가 제작하는 디지털 컨텐츠에 대한 보안을 강화할 수 있도록 하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캡쳐 방지를 위한 디지털 컨텐츠의 제작 및 판매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네트워크 구조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캡쳐 방지를 위한 디지털 컨텐츠 제작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캡쳐 방지를 위한 디지털 컨텐츠를 실행하는 휴대 단말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캡쳐 방지를 위한 디지털 컨텐츠 제작 및 실행 과정을 나타낸 메시지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캡쳐 방지를 위한 디지털 컨텐츠 실행 과정을 더 상세하게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캡쳐 방지를 위한 디지털 컨텐츠의 실행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캡쳐 방지를 위한 디지털 컨텐츠가 제작 및 유통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네트워크 구조도이다.
도 1에서, 부호 100은 본 발명에 의한 캡쳐 방지를 위한 디지털 컨텐츠 제작 장치이고, 200은 본 발명에 의한 캡쳐 방지를 위한 디지털 컨텐츠를 실행하는 휴대 단말이고, 300은 디지털 컨텐츠 제작 장치(100)에서 제작된 디지털 컨텐츠를 휴대 단말(200)로 제공하는 서버이고, 400은 상기 디지털 컨텐츠 제작 장치(100), 휴대 단말(200) 및 서버(300) 간에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망이다.
디지털 컨텐츠 제작 장치(100)는 디지털 컨텐츠, 더 구체적으로는 모바일 디지털 컨텐츠를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도록 하는 디지털 컨텐츠 제작 환경을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디지털 컨텐츠 제작 환경을 통해 이루어지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서 디지털 컨텐츠 데이터를 구성한다. 이러한 디지털 제작 환경은, 사용자의 직관적인 처리가 가능하도록 GUI(Graphic User Interface)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디지털 컨텐츠 제작 장치(100)는 이렇게 디지털 컨텐츠 제작 환경을 제공하여 디지털 컨텐츠를 제작하는 중에, 사용자로부터 캡쳐 방지 영역을 선택 받아, 디지털 컨텐츠의 실행 중 하나 이상의 캡쳐 가능 조건을 만족할 때 상기 선택한 캡쳐 방지 영역을 대상으로 실행되도록 캡쳐 방지 기능을 상기 제작한 디지털 컨텐츠 데이터에 삽입한다.
더하여, 디지털 컨텐츠 제작 장치(100)는 이렇게 제작한 디지털 컨텐츠 데이터를 통신망(400)을 통해 서버(300)로 전송하여, 해당 디지털 컨텐츠의 판매 또는 등록을 요청할 수 있다.
이러한 디지털 컨텐츠 제작 장치(100)는, PC, 노트북, PDA, 태블릿 PC 등과 같은 정보 처리 장치에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컨텐츠 제작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장착함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고, 디지털 컨텐츠 제작만을 위한 독립적인 장치로 구현될 수 도 있다.
서버(300)는 디지털 컨텐츠 제작자를 대신하여 디지털 컨텐츠를 제삼자에게 판매 및/또는 다운로드 하는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로서, 디지털 컨텐츠 제작 장치(100)에서 전송된 디지털 컨텐츠를 수신하여 저장한 후, 통신망(400)을 통해 공개하여, 불특정 다수의 휴대 단말(200)에서 상기 디지털 컨텐츠를 확인한 후, 구매 또는 전송 요청을 통해 해당 디지털 컨텐츠의 데이터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한다.
휴대 단말(200)은 디지털 컨텐츠를 실제로 이용하는 사용자의 단말로서, 사용자가 해당 디지털 컨텐츠를 원할 경우 사용자 요청에 따라서 서버(300)에 요청하여(예를 들어, 구매 또는 전송 요청), 디지털 컨텐츠를 수신하여 저장한다. 그리고, 사용자 요청에 따라서 상기 디지털 컨텐츠를 실행하는데, 이때 디지털 컨텐츠가 실행되는 동안, 휴대 단말(200)의 실행 환경을 분석하여, 기 설정된 하나 이상의 캡쳐 가능 조건을 만족할 때, 상기 설정된 캡쳐 방지 영역에 대하여 캡쳐 방지 기능을 실행한다. 이러한 휴대 단말(200)은 사용자가 이용하는 다양한 장치가 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노트북 컴퓨터, 휴대폰(mobile phone), 태블릿 PC, 내비게이션(navigation), 스마트폰(Smart phone),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또는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와 같은 디지털방송 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이는 예시에 불과할 뿐이며, 상술한 예 이외에도 현재 개발되어 상용화되었거나 향후 개발될 모든 통신이 가능한 장치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여기서, 디지털 컨텐츠의 전송에 이용되는 통신망(400)으로는 다양한 종류의 통신망이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인터넷 프로토콜을 통하여 대용량 데이터의 송수신 서비스 및 끊기는 현상이 없는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IP망, IP를 기반으로 서로 다른 망을 통합한 아이피망 구조인 All IP망, Wibro(Wireless Broadband)망과, Wi-Fi망을 포함하는 무선랜(Wireless LAN), WPAN, 유선통신망, 이동통신망,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망 및 위성통신망 등과 같이 기존에 알려져 있는 다양한 방식의 네트워크를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더하여, 향후 개발 예정인 차세대 통신망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캡쳐 방지 영역은 캡쳐만으로 복제가 가능한 리소스에 대하여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어, 디지털 컨텐츠의 화면을 구성하는 동영상, 이미지, 사진, 문서 중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캡쳐 방지 기능은, 디지털 컨텐츠의 실행 화면에 워터마크, 반복 패턴을 포함하는 노이즈를 삽입하여, 화면을 흐리게 하거나 화면의 일부 또는 전부가 보이지 않도록 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나 이상의 캡쳐 가능 조건은, 디지털 컨텐츠가 실제로 실행될 휴대 단말(200)에서 캡쳐가 이루어질 수 있는 실행 환경을 판단하는 조건으로서, 예를 들어, 디지털 컨텐츠의 백그라운드 구동 여부, 캡쳐와 관련된 프로그램의 실행 여부, 기 설정된 시간 이상의 사용자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은 상태의 지속 여부, 다른 단말과의 연결 여부 중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캡쳐 방지를 위한 디지털 컨텐츠 제작 장치(100)의 구성을 보인 블럭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디지털 컨텐츠 제작 장치(100)는, 입력부(100)와, 제어부(120)와, 저장부(130)와, 통신부(140)와, 표시부(1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입력부(100)는 사용자 조작에 따라서 사용자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는 수단으로서, 지정된 영역이나 스크린을 터치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터치 입력 수단, 지정된 키를 조작함에 의해 이루어지는 키 입력 수단, 휴대 단말(100)이나 사용자의 특정 움직임을 인식하여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스처 입력 수단 등 다양한 입력 수단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보편적으로 이용되는 입력 수단으로는 터치 입력 수단을 들 수 있으며, 터치 입력 수단은, 터치 패드, 터치 센서, 터치 스크린을 포함한다. 여기서, 터치 스크린은 표시부(150)의 기능을 함께 포함하는 것이다. 컨텐츠 제작자는 상기 입력부(100)를 통해 컨텐츠 제작을 위한 데이터 및 캡쳐 방지를 위한 데이터를 입력한다.
제어부(120)는 디지털 제작 환경을 제공하고, 상기 디지털 제작 환경을 통해서 사용자의 입력 신호에 따라서 디지털 컨텐츠를 제작하여 디지털 컨텐츠 데이터를 구성한다. 더불어, 디지털 컨텐츠의 제작 중에, 사용자의 캡쳐 방지 요청에 따라서 제작중인 디지털 컨텐츠에서 캡쳐 방지 영역을 설정하고, 상기 디지털 컨텐츠의 실행 시 디지털 컨텐츠의 실행 환경을 확인하여 하나 이상의 캡쳐 가능 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캡쳐 방지 영역에 대해 실행되도록 캡쳐 방지 기능을 상기 디지털 컨텐츠 데이터에 삽입한다.
이러한 제어부(120)는 컨텐츠 편집 모듈(121)과 캡쳐 방지 모듈(12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컨텐츠 편집 모듈(121)은, 상기 디지털 컨텐츠를 제작하기 위한 디지털 컨텐츠 제작 환경을 제공하고,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서 상기 디지털 컨텐츠 데이터를 구성한다. 캡쳐 방지 모듈(122)은 캡쳐 방지 요청에 따라서, 컨텐츠 편집 모듈(121)에서 구성된 디지털 컨텐츠 데이터에서 캡쳐 방지 영역을 선택 받아, 하나 이상의 캡쳐 가능 조건을 만족할 때 선택된 캡쳐 방지 영역에 대해서 실행되도록 상기 디지털 컨텐츠 데이터에 캡쳐 방지 기능을 삽입한다. 상술한 컨텐츠 편집 모듈(121)과 캡쳐 방지 모듈(122)은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저장부(130)는 디지털 컨텐츠 제작 장치(100)의 동작에 필요한 운용 및 응용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RAM(Read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와 같은 메모리뿐만 아니라 플래시 메모리, 하드디스크와 같은 스토리지(Storage)를 포괄하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더불어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130)는 상기 제어부(120)에 의하여 구성되는 디지털 컨텐츠 데이터를 저장한다.
통신부(140)는, 통신망(400)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특히, 통신부(140)는 상기 제어부(120)의 제어에 따라서, 제작이 완료된 디지털 컨텐츠 데이터를 서버(300)로 전송하여 판매 또는 등록을 요청한다.
표시부(150)는 상기 제어부(120)의 제어에 따라서, 디지털 컨텐츠 제작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표시한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은 GUI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표시부(15)는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다양한 종류의 표시 수단으로 구현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LCD(Liquid Crystal Display), TFT-LCD(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LED(Light Emitting Diodes),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AMOLED(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액정 등의 표현수단을 들 수 있다.
도 3은 상기 디지털 컨텐츠 제작 장치(100)를 통해 제작된 본 발명에 의한 디지털 컨텐츠를 실행하는 휴대 단말(200)의 구성을 보인 블럭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휴대 단말(200)은, 입력부(210)와, 저장부(220)와, 제어부(230)와, 표시부(240)를 포함한다.
입력부(210)는 사용자 조작에 따라서 사용자 입력 신호를 발생시킨다. 이러한 입력부(210)는 앞서 디지털 컨텐츠 제작 장치(100)에서와 마찬가지로, 키 입력 수단, 터치 입력 수단, 제스처 입력 수단 등 현재 상용화되어 있거나 상용화가 가능한 다양한 입력 수단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휴대 단말(200)의 입력부(210)는 디지털 컨텐츠의 실행과 관련된 명령이나 데이터를 입력 받는데 이용된다.
저장부(220)는 휴대 단말(200)의 동작에 필요한 운용 및 응용 프로그램과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으로서, 앞서 디지털 컨텐츠 제작 장치(100)와 마찬가지로, RAM, ROM, 플래시 메모리, 하드디스크 등을 포함하는 포괄적인 의미로 사용된다. 특히, 본 발명에 의한 휴대 단말(200)의 저장부(220)는 본 발명에 따라서 제작된 캡쳐 방지를 위한 디지털 컨텐츠 데이터를 저장한다.
제어부(230)는 휴대 단말(200)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수단으로서, 특히, 입력부(210)로부터 전달된 사용자 입력 신호에 따라서, 상기 저장부(220)에 저장된 디지털 컨텐츠 데이터를 로드하여 실행하고, 디지털 컨텐츠를 실행하는 동안, 디지털 컨텐츠의 실행 환경을 분석하여, 하나 이상의 캡쳐 가능 조건을 만족하면 캡쳐 방지 기능을 실행한다. 더하여 제어부(230)는, 캡쳐 방지 기능을 실행할 때, 디지털 컨텐츠 데이터 중에서 기 설정된 캡쳐 방지 영역에 대해서, 선택적으로 상기 캡쳐 방지 기능을 실행한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캡쳐 방지 영역에 포함된 동영상, 사진, 이미지, 문서 등에 대하여 노이즈를 삽입하여 화면에 흐르게 표시되거나, 일부가 보이지 않도록 함으로써, 캡쳐되더라도 복제나 유출이 불가능하도록 한다.
표시부(240)는 상기 제어부(230)의 제어에 따라서 디지털 컨텐츠의 실행 화면을 표시한다. 이러한 표시부(240)는 앞서 설명한 디지털 컨텐츠 제작 장치(100)와 마찬가지로, LCD, TFT-LCD, LED, OLED, AM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3차원 디스플레이 등과 같이 현재 상용화되어 있거나, 향후에 상용화가 가능한 다양한 표현수단으로 구현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술한 디지털 컨텐츠 제작 장치(100) 및 휴대 단말(200)을 통해서 이루어지는 캡쳐 방지를 위한 디지털 컨텐츠의 제작 방법 및 실행 방법을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컨텐츠 제작 장치(100) 및 휴대 단말(200)을 통해 이루어지는 캡쳐 방지를 위한 디지털 컨텐츠의 제작 과정 및 실행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디지털 컨텐츠 제작 장치(100)는 디지털 컨텐츠를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디지털 컨텐츠 제작 환경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사용자 입력에 따라서 디지털 컨텐츠를 제작하여, 디지털 컨텐츠 데이터를 구성한다(S110). 여기서, 디지털 제작 환경은, 예를 들면, 사용자의 접근이 용이한 GUI로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디지털 컨텐츠 제작 장치(100)는 디지털 컨텐츠를 제작하는 중에, 사용자로부터 캡쳐 방지 영역을 선택 받는다(S120). 여기서 캡쳐 방지 영역은, 제작 중이거나 제작한 디지털 컨텐츠의 화면 구성 요소를 대상으로 이루어지며, 더 구체적으로는 동영상, 이미지, 사진, 문서 등과 같이 캡쳐만으로 복제가 가능한 리소스 중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캡쳐 방지 영역이 선택되면, 디지털 컨텐츠 제작 장치(100)는 해당 디지털 컨텐츠의 실행 환경이 하나 이상의 캡쳐 가능 조건 중에서 하나 이상을 만족할 때 상기 선택한 캡쳐 방지 영역을 대상으로 캡쳐 방지가 실행되도록 캡쳐 방지 기능을 상기 디지털 컨텐츠 데이터 삽입한다(S130). 여기서 캡쳐 가능 조건은, 디지털 컨텐츠의 실행 환경에 대한 기준 조건으로서, 또한, 상기 하나 이상의 캡쳐 가능 조건은, 디지털 컨텐츠가 실제로 실행될 휴대 단말(200)에서 캡쳐가 이루어질 수 있는 실행 환경을 판단하는 조건으로서, 예를 들어, 디지털 컨텐츠의 백그라운드 구동 여부, 캡쳐와 관련된 프로그램의 실행 여부, 기 설정된 시간 이상의 사용자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은 상태의 지속 여부, 다른 단말과의 연결 여부 중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단계(S110) 내지 단계(S130)를 통해서 본 발명에 따른 캡쳐 방지를 위한 디지털 컨텐츠가 제작된다.
이렇게 디지털 컨텐츠의 제작이 완료되면, 디지털 컨텐츠 제작 장치(100)는 제작한 디지털 컨텐츠 데이터를 통신망(400)을 통해 서버(300)로 전송하여, 해당 디지털 컨텐츠의 판매 또는 등록을 요청할 수 있다(S140).
서버(200)는 상기 디지털 컨텐츠 제작 장치(100)에서 전송된 디지털 컨텐츠를 수신하여 저장한 후, 웹 페이지 등을 통해 제 삼의 휴대 단말(200)의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이를 확인한 휴대 단말(200)의 사용자로부터의 요청에 따라서 통신망(400)을 통해 상기 디지털 컨텐츠의 데이터를 휴대 단말(200)로 전송한다(S150).
휴대 단말(200)은 서버(300)를 통해서 제공받은 디지털 컨텐츠의 데이터를 저장한다. 그리고,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서 해당 디지털 컨텐츠를 실행하게 된다(S160).
이렇게 휴대 단말(200)은 디지털 컨텐츠의 실행 중에, 휴대 단말(200)의 실행 환경을 분석하여(S170), 캡쳐 가능한 환경인 지를 확인한다(S180). 이는 미리 설정되어 있는 복수의 캡쳐 가능 조건과 휴대 단말(200)의 실행 환경을 비교하여, 하나 이상의 캡쳐 가능 조건을 만족하는 지를 확인함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확인 결과, 하나 이상의 캡쳐 가능 조건을 만족하면, 휴대 단말(200)은 상기 디지털 컨텐츠의 실행 화면에 대하여 캡쳐가 용이하지 않도록 캡쳐 방지 기능을 실행한다(S190). 여기서 캡쳐 방지 기능의 실행은, 디지털 컨텐츠의 실행 화면에 워터마크, 반복 패턴을 포함하는 노이즈를 삽입하여, 화면을 흐리게 하거나 화면의 일부 또는 전부가 보이지 않도록 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캡쳐가 이루어질 수 있다고 판단될 때, 화면을 부분적으로나 전체적으로 정확히 보이지 않도록 함으로써, 캡쳐에 의한 불법 복제를 방지하는 것이다. 더하여, 상기 단계(S190)는 기 설정된 캡쳐 방지 영역에 대해서만 선택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보다 효율적인 동작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휴대 단말(200)은, 캡쳐 방지 기능을 실행하는 동안, 상기 디지털 컨텐츠 실행 환경의 변경 여부를 확인하여, 캡쳐가 불가능한 환경으로 변경되는 지를 판단한다(S200). 여기서, 캡쳐가 불가능한 환경은, 상기 캡쳐 가능 조건은 모두 만족하지 않는 실행 환경을 의미한다.
상기 판단 결과, 상기 디지털 컨텐츠의 실행 환경이 변경되어, 캡쳐가 불가능한 환경이 된 경우, 휴대 단말(200)은 상기 캡쳐 방지 기능의 실행을 중지한다(S210). 즉, 캡쳐 가능 조건을 모두 만족하지 않으면, 실행 중인 캡쳐 방지 기능을 해제하여, 정상적인 디지털 컨텐츠의 실행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술한 단계(S160) 내지 단계(S210)에 의하여, 본 발명에 의한 캡쳐 방지를 위한 디지털 컨텐츠가 실행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캡쳐 방지를 위한 디지털 컨텐츠의 실행 방법에 있어서, 캡쳐 방지 기능을 실행하기까지의 과정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즉, 도 5는 앞서 도 4에 보인 과정에서 단계(S160)~단계(S190)을 더 구체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휴대 단말(200)은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서 해당 디지털 컨텐츠를 실행하는(S310) 중에, 현재 휴대 단말(200)의 표시부(240)에 기 설정된 캡쳐 방지 영역이 표시되고 있는 지를 확인한다(S320). 여기서 캡쳐 방지 영역은 해당 디지털 컨텐츠의 제작 시에 컨텐츠 제작자에 의하여 선택된 리소스로서, 화면 캡쳐로 복제가 가능한 종류의 리소스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다.
상기 확인 결과, 기 설정된 캡쳐 방지 영역이 표시되고 있으면, 휴대 단말(200)의 실행 환경을 기 설정된 하나 이상의 캡쳐 가능 조건과 비교한다.
더 구체적으로 휴대 단말(200)은, 해당 디지털 컨텐츠의 백그라운드 구동 여부, 캡쳐와 관련된 프로그램의 실행 여부, 기 설정된 시간 이상의 사용자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은 상태의 지속 여부, 다른 단말과의 연결 여부를 확인한다(S330~S360).
여기서, 디지털 컨텐츠의 백그라운드 구동은, 휴대 단말(200)이 다수 프로그램의 동시 실행을 지원하는 멀티태스크 작업을 지원할 때, 현재 디지털 컨텐츠가 실행 중에 있지만, 다른 프로그램이 전면에서 실행되고, 상기 디지털 컨텐츠는 대기 상태에 있는 경우로서, 사용자가 다른 작업을 실행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캡쳐용 프로그램의 실행은, 현재 휴대 단말(200)에 캡쳐용으로 구현된 프로그램이 실행되고 있는 지를 확인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캡쳐용 프로그램은 다양한 해킹 프로그램 검출 솔루션을 이용하여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이벤트의 발생 여부는 해당 디지털 컨텐츠를 사용자가 사용중인 지를 보기 위한 것으로서, 일정 시간 이상 사용자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았다면, 사용자가 잠시 자리를 비웠다거나 다른 볼일을 위해서 디지털 컨텐츠를 이용하고 있지 않는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다른 단말과의 연결은 휴대 단말(200)이 PC나 태블릿 PC나 노트북 등 다른 종류의 단말과 통신 선로가 연결된 상태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이 경우, 연결된 다른 단말을 통해서 휴대 단말(200)의 화면 캡쳐 가능하다.
즉, 휴대 단말(200)은, 상술한 단계(S330~S360)를 통해서 사용자가 디지털 컨텐츠를 사용 중이 아니거나, 부적절한 캡쳐용 프로그램이 실행되고 있거나, 다른 단말에 연결되어 있는 상태라고 판단되면, 기 설정된 캡쳐 방지 영역에 대하여 캡쳐 방지 기능을 실행한다(S370). 그 결과, 본 발명은 휴대 단말(200)에서 디지털 컨텐츠의 실행 시에, 사용자의 불편을 최소화하는 범위에서 효율적으로 화면 캡쳐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캡쳐 방지 기능은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도 6 내지 도 8에 그 일 예를 보인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 단말(200)은 캡쳐 방지를 위하여, 현재 표시부(240)에 표시된 화면의 구성 중에서 지정된 캡쳐 방지 영역(예를 들어, 사진 영역)을 흐리게 조정한다. 이는 휴대 단말(200)에서 표시부(240)로 출력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그래픽 메모리에 노이즈를 삽입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의하면, 화면 캡쳐가 이루어지더라도 캡쳐된 사진이 선명도가 떨어져서 복제나 유통이 사실상 어려워진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 단말(200)은 캡쳐 방지를 위하여, 캡쳐 방지 영역으로 설정된 사진에 격자와 같은 일정 패턴의 노이즈를 삽입할 수 있다. 즉, 사진이 부분적으로만 표시되도록 한다. 이에 따르면, 화면 캡쳐가 이루어지더라도, 캡쳐된 사진이 부분적으로만 볼 수 있으므로, 불법 복제나 유통이 사실상 불가능해진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 단말(200)은 캡쳐 방지를 위하여, 캡쳐 방지 영역으로 설정된 사진에 소유자를 나타내는 워터 마크를 삽입할 수 있다. 이 경우, 해당 사진을 캡쳐하더라도 캡쳐된 사진에 소유자를 나타내는 워터마크가 함께 표시됨으로써, 소유주를 명확히 밝힐 수 있으며, 또한, 워터마크를 통해 사진이 부분적으로 가려져 완전한 화면 캡쳐가 어려워진다.
본 발명에 따른 캡쳐 방지를 위한 디지털 컨텐츠의 실행 방법 및 제작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판독 가능한 소프트웨어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여기서, 기록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예컨대 기록매체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Compact Disk Read Only Memory), DVD(Digital Video Disk)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를 포함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나,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와 도면에서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디지털 컨텐츠의 제작 및 유통 분야에 적용될 수 있으며, 디지털 컨텐츠, 특히 전자책이나 전자 매거진과 같이 화면 캡쳐만으로 불법 복제나 유출이 가능한 디지털 컨텐츠를 실행하는데 있어서, 디지털 컨텐츠의 실행 환경을 분석하여, 디지털 컨텐츠를 실행하는 휴대 단말이 PC와 같은 다른 단말에 연결되어 있거나, 디지털 컨텐츠가 백그라운드로 실행되고 있거나, 캡쳐 가능한 프로그램이 실행 중이거나, 사용자가 일정 시간 이상 사용하지 않고 있는 등 캡쳐 가능한 환경일 때, 기 설정된 캡쳐 방지 영역에 대하여 노이즈를 삽입하여 흐리게 하거나 부분적으로 보이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서, 그 결과 디지털 컨텐츠의 실행 중 화면 캡쳐를 통한 불법 복제 및 유출을 방지할 수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은 이러한 캡쳐 방지 기능 및 캡쳐 방지 영역을 디지털 컨텐츠의 제작 단계에서 설정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그 결과 일반 사용자가 제작하는 디지털 컨텐츠에 대한 보안을 강화할 수 있도록 하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100: 디지털 컨텐츠 제작 장치 110: 입력부
120: 제어부 130: 저장부
140: 통신부 150: 표시부
200: 휴대 단말 210: 입력부
220: 저장부 230: 제어부
240: 표시부 300: 서버
400: 통신망

Claims (21)

  1. 사용자 조작에 따라서 사용자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는 입력부;
    디지털 컨텐츠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사용자 입력 신호에 따라서, 상기 디지털 컨텐츠 데이터를 실행하는 동안, 디지털 컨텐츠의 실행 환경을 분석하여, 하나 이상의 캡쳐 가능 조건을 만족하면 캡쳐 방지 기능을 실행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서 디지털 컨텐츠의 실행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지털 컨텐츠 데이터 중에서 기 설정된 캡쳐 방지 영역에 대해서, 선택적으로 상기 캡쳐 방지 기능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캡쳐 방지 영역은
    상기 디지털 컨텐츠 데이터 중에서 화면을 구성하는 동영상, 사진, 이미지, 및 문서 중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쳐 방지 기능은
    상기 디지털 컨텐츠의 실행 화면에 워터마크, 반복 패턴을 포함하는 노이즈를 삽입하여, 화면을 흐리게 하거나 화면의 일부 또는 전부가 보이지 않도록 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쳐 가능 조건은
    디지털 컨텐츠의 백그라운드 구동 여부, 캡쳐와 관련된 프로그램의 실행 여부, 기 설정된 시간 이상의 사용자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은 상태의 지속 여부, 다른 단말과의 연결 여부 중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6. 사용자 입력 신호에 따라서 디지털 컨텐츠 데이터를 디지털 컨텐츠를 실행하는 단계;
    상기 디지털 컨텐츠를 실행하는 동안, 디지털 컨텐츠의 실행 환경을 분석하여 하나 이상의 캡쳐 가능 조건을 만족하는 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하나 이상의 캡쳐 가능 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디지털 컨텐츠의 실행 화면에 대하여 캡쳐가 용이하지 않도록 캡쳐 방지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쳐 방지를 위한 디지털 컨텐츠 실행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캡쳐 방지 기능을 실행하는 동안, 상기 디지털 컨텐츠의 실행 환경에 대한 변경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디지털 컨텐츠가 실행 환경이 변경되어, 캡쳐 가능 조건을 모두 만족하지 않게 되면, 상기 캡쳐 방지 기능의 실행을 중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쳐 방지를 위한 디지털 컨텐츠 실행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캡쳐 방지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는
    상기 디지털 컨텐츠의 데이터 중에서 기 설정된 캡쳐 방지 영역에 대해서, 선택적으로 상기 캡쳐 방지 기능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쳐 방지를 위한 디지털 컨텐츠 실행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캡쳐 방지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는
    상기 디지털 컨텐츠의 실행 화면에 워터마크, 반복 패턴 중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노이즈를 삽입하여, 화면을 흐리게 하거나 화면의 일부 또는 전부가 보이지 않도록 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쳐 방지를 위한 디지털 컨텐츠 실행 방법.
  10. 제6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캡쳐 방지를 위한 디지털 컨텐츠 실행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11. 사용자 조작에 따라서 사용자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는 입력부;
    상기 사용자의 입력 신호에 따라서 디지털 컨텐츠를 제작하는 중에, 디지털 컨텐츠의 캡쳐 방지 영역을 설정하고, 상기 디지털 컨텐츠의 실행 시 디지털 컨텐츠의 실행 환경을 확인하여 하나 이상의 캡쳐 가능 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캡쳐 방지 영역에 대해 캡쳐 방지 기능을 실행하도록 디지털 컨텐츠 데이터를 구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쳐 방지를 위한 디지털 컨텐츠 제작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지털 컨텐츠를 제작하기 위한 디지털 컨텐츠 제작 환경을 제공하고,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서 상기 디지털 컨텐츠 데이터를 구성하는 컨텐츠 편집 모듈; 및
    상기 캡쳐 방지 요청에 따라서, 상기 컨텐츠 편집 모듈에서 구성된 디지털 컨텐츠 데이터에서 캡쳐 방지 영역을 선택 받고, 상기 하나 이상의 캡쳐 가능 조건을 만족할 때 상기 캡쳐 방지 영역에 대해서 실행되도록 상기 디지털 컨텐츠 데이터에 캡쳐 방지 기능을 삽입하는 캡쳐 방지 설정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쳐 방지를 위한 디지털 컨텐츠 제작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된 디지털 컨텐츠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쳐 방지를 위한 디지털 컨텐츠 제작 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통신망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디지털 컨텐츠 데이터를 서버로 전송하여 판매 또는 등록을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쳐 방지를 위한 디지털 컨텐츠 제작 장치.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서, 디지털 컨텐츠 제작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쳐 방지를 위한 디지털 컨텐츠 제작 장치.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캡쳐 방지 영역은
    상기 디지털 컨텐츠의 화면을 구성하는 동영상, 이미지, 사진, 문서 중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쳐 방지를 위한 디지털 컨텐츠 제작 장치.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캡쳐 방지 기능은
    상기 디지털 컨텐츠의 실행 화면에 워터마크, 반복 패턴을 포함하는 노이즈를 삽입하여, 화면을 흐리게 하거나 화면의 일부 또는 전부가 보이지 않도록 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캡쳐 방지를 위한 디지털 컨텐츠 제작 장치.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캡쳐 가능 조건은
    디지털 컨텐츠의 백그라운드 구동 여부, 캡쳐와 관련된 프로그램의 실행 여부, 기 설정된 시간 이상의 사용자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은 상태의 지속 여부, 다른 단말과의 연결 여부 중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쳐 방지를 위한 디지털 컨텐츠 제작 장치.
  19. 사용자의 입력 신호에 따라서 디지털 컨텐츠를 제작하여 디지털 컨텐츠 데이터를 구성하는 단계;
    디지털 컨텐츠 데이터를 구성하는 중에, 사용자의 캡쳐 방지 요청을 입력 받는 단계;
    상기 캡쳐 방지 요청이 입력되면,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서 상기 디지털 컨텐츠 데이터에서 캡쳐 방지 영역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디지털 컨텐츠의 실행 환경을 확인하여 캡쳐 가능한 환경인 경우 상기 캡쳐 방지 영역에 대해 실행되도록 상기 디지털 컨텐츠 데이터에 캡쳐 방지 기능을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쳐 방지를 위한 디지털 컨텐츠 제작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캡쳐 방지 기능을 삽입한 디지털 컨텐츠 데이터를 서버로 전송하여 등록 또는 판매를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쳐 방지를 위한 디지털 컨텐츠 제작 방법.
  21. 제19항 또는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캡쳐 방지를 위한 디지털 컨텐츠 제작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100088385A 2010-09-09 2010-09-09 휴대 단말, 그의 캡쳐 방지를 위한 디지털 컨텐츠 실행 방법, 그리고 캡쳐 방지를 위한 디지털 컨텐츠 제작 방법 및 장치 KR2012002626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8385A KR20120026262A (ko) 2010-09-09 2010-09-09 휴대 단말, 그의 캡쳐 방지를 위한 디지털 컨텐츠 실행 방법, 그리고 캡쳐 방지를 위한 디지털 컨텐츠 제작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8385A KR20120026262A (ko) 2010-09-09 2010-09-09 휴대 단말, 그의 캡쳐 방지를 위한 디지털 컨텐츠 실행 방법, 그리고 캡쳐 방지를 위한 디지털 컨텐츠 제작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6262A true KR20120026262A (ko) 2012-03-19

Family

ID=461322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8385A KR20120026262A (ko) 2010-09-09 2010-09-09 휴대 단말, 그의 캡쳐 방지를 위한 디지털 컨텐츠 실행 방법, 그리고 캡쳐 방지를 위한 디지털 컨텐츠 제작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2626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19889A (ko) * 2012-04-24 2013-11-0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디바이스에서 정보 콘텐츠 확인을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2381575B1 (ko) * 2021-08-26 2022-04-01 주식회사 엠엘소프트 사용자단말 및 사용자단말과 통신을 수행하는 서버시스템에서 수행되는 선택적 캡쳐방지 기능을 구비한 통신 보안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19889A (ko) * 2012-04-24 2013-11-0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디바이스에서 정보 콘텐츠 확인을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2381575B1 (ko) * 2021-08-26 2022-04-01 주식회사 엠엘소프트 사용자단말 및 사용자단말과 통신을 수행하는 서버시스템에서 수행되는 선택적 캡쳐방지 기능을 구비한 통신 보안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94288B2 (en) Sticker distribution system for messaging apps
US9081477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CN104598257B (zh) 远程应用程序运行的方法和装置
CN107562316B (zh) 界面展示方法、装置及终端
KR102064952B1 (ko) 수신 데이터를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을 운영하는 전자 장치
KR101498603B1 (ko) 정보 전달 단말 장치 및 그 방법
KR20120045152A (ko) 컨텐츠 서비스 시스템, 그의 템플릿 기반 컨텐츠 제작 서비스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이를 적용한 단말 장치
KR101343587B1 (ko) 방향 정보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채용한 휴대 전자 기기
KR20160141838A (ko) 확장가능한 애플리케이션 표시
US20070232362A1 (en) Method of displaying object and terminal capable of implementing the same
US10637804B2 (en) User terminal apparatus,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user terminal apparatus which support a messenger service with additional functionality
Haris et al. Evolution of android operating system: a review
KR20150026079A (ko) 전자 기기의 화면 전환 방법 및 장치
KR20120049374A (ko) 편재형 컴퓨팅 시스템 및 방법
EP4336354A1 (en) Distributed display method for application interface, and terminal
CN102981716A (zh) 应用菜单用户界面
KR20160140932A (ko) 확장 가능한 애플리케이션 표시 및 콘텐트 전송
KR20220061273A (ko) 다수의 디바이스 상에 컴퓨팅 환경의 제시
US20160070421A1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Electronic Apparatus
WO2016123876A1 (zh) 一种数据共享方法及多系统终端
CN106027631B (zh) 一种数据传输方法及装置
CN103841460A (zh) 一种图像数据传输方法及电子设备
KR20120026262A (ko) 휴대 단말, 그의 캡쳐 방지를 위한 디지털 컨텐츠 실행 방법, 그리고 캡쳐 방지를 위한 디지털 컨텐츠 제작 방법 및 장치
CA2900169A1 (en) Wireless access point for facilitating bidirectional, application-layer communication among computing devices
CN114647390A (zh) 一种增强的屏幕共享方法和系统、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