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25223A - Measuring system of carbon emission volume and empty vehicle trip distance per ton-kilometer for low carbon green logistics and control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Measuring system of carbon emission volume and empty vehicle trip distance per ton-kilometer for low carbon green logistics and control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25223A
KR20120025223A KR1020100087485A KR20100087485A KR20120025223A KR 20120025223 A KR20120025223 A KR 20120025223A KR 1020100087485 A KR1020100087485 A KR 1020100087485A KR 20100087485 A KR20100087485 A KR 20100087485A KR 20120025223 A KR20120025223 A KR 201200252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information
distance
data
toler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748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172429B1 (en
Inventor
박재덕
Original Assignee
박재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재덕 filed Critical 박재덕
Priority to KR10201000874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2429B1/en
Publication of KR201200252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522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24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242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PURPOSE: An empty vehicle running distance ratio measurement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are provided to calculates an empty vehicle running distance ratio from a traveling distance by using a vehicle terminal which is able to use GPS(Global Position System) information. CONSTITUTION: A terminal server(20) receives and processes data transmitted by a vehicle terminal(13). A measurement database(30) stores the data transmitted by the terminal server. A control terminal(40) receives and processes the data stored in the measurement database. The control terminal transmits vehicle registration information to the measurement database. The measurement database stores the vehicle registration information.

Description

저탄소녹색물류를 위한 톤-킬로미터 당 탄소배출량 및 공차운행거리율 측정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MEASURING SYSTEM OF CARBON EMISSION VOLUME AND EMPTY VEHICLE TRIP DISTANCE PER TON-KILOMETER FOR LOW CARBON GREEN LOGISTICS AND CONTROL METHOD THEREOF}MEASURING SYSTEM OF CARBON EMISSION VOLUME AND EMPTY VEHICLE TRIP DISTANCE PER TON-KILOMETER FOR LOW CARBON GREEN LOGISTICS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차량의 운행효율을 높이는 측정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GPS 정보를 이용할 수 있는 스마트폰 등과 같은 차량단말기를 이용하여, 차량의 공차 상태의 운행 및 영차 상태의 운행의 이동거리로부터 공차운행거리율을 산출하도록 하고, 화물적재량 정보와 영차 상태의 이동거리 정보를 이용하여 톤-킬로미터의 측정과, 연료측정모듈로부터 연료사용량 정보 등을 전송받아 톤-킬로미터 당 탄소배출량까지 실시간으로 측정하도록 하여 화물자동차의 운행효율 증대에 기여하는 저탄소녹색물류 측정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asurement system for improving the driving efficiency of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by using a vehicle terminal such as a smart phone that can use GPS information, and from the moving distance of the vehicle running in the tolerance state and the operation in the zero car state. Tolerance distance ratio is calculated, and tons-kms are measured using the cargo loading information and the distance traveled in zero-car condition, and fuel consumption information is sent from the fuel measurement module to measure carbon emissions per ton-km in real tim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ow carbon green logistics measurement system that contributes to increasing the operating efficiency of freight cars.

일반적으로 화물의 운송은 육상운송, 해상운송, 항공운송 등이 있으며, 육상운송 중에는 철도, 차량 등의 수단이 있다. 그런데 많은 경우 차량을 이용하여 운송한다.In general, there are land transportation, sea transportation, air transportation, and the like, and there are means such as railroads and vehicles during land transportation. However, in many cases they are transported by vehicle.

그리고 현재 탄소의 배출을 줄이고자 하는 저탄소 녹색성장 정책에 의해 탄소저감 사업이 활발하게 추진되고 있는데, 화물차의 차량운행 효율을 높여야만 연료절약에 따른 탄소배출의 저감을 할 수가 있다. 즉 화물운송은 화물 적재율을 높여 운행하여야 화물운송에 따른 연료사용 효율이 높아지고, 연료소모에 의한 탄소배출도 적어지게 된다.In addition, the carbon reduction business is actively being promoted by the low carbon green growth policy aimed at reducing carbon emissions. Carbon emissions can be reduced due to fuel savings only when the vehicle operation efficiency of the van is increased. In other words, the freight transportation should be operated by increasing the cargo loading rate to increase the fuel use efficiency according to the cargo transportation, and also reduce the carbon emissions due to fuel consumption.

그러나 현실적으로 많은 화물차가 화물정보의 비대칭으로 인해 공차상태로 운행하게 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이러한 공차운행을 개선하려면, 먼저 공차의 운행과 화물이 적재된 영차의 운행 비교에 따른 차량운행거리 효율의관리가 필요하게된다.In reality, however, many vans operate in a tolerant state due to asymmetry of freight information.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such a tolerance operation, it is necessary to first manage the mileage efficiency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tolerance and the operation of the zero-car loaded with cargo.

또한 화물차량 운행효율 증대의 또 다른 중요한 변수는 화물무게, 화물을 적재한 상태에서 운행한 거리, 연료소모량 등이고, 이를 이용하면, 차량운행 효율증대 활동 및 탄소저감 활동의 개선 전후에 대한 비교를 수치로써 확인할 수가 있다.In addition, other important variables of increasing the operation efficiency of cargo vehicles are cargo weight, distance traveled with cargo, and fuel consumption, which can be used to compare the comparison of before and after improvement of vehicle operation efficiency and carbon reduction activities. Can be confirmed.

하지만 대부분의 종래의 화물차량 운행 분야의 경우, 차량 운행효율과 관련된 지표를 개별 차량 별로 실시간의 수치로 나타낼 수가 없기 때문에 차량운행 효율향상의 개선대책을 구체적으로 세울 수 없다. 대책을 세운다 하더라도 차량운행 효율향상 지표에 대한 값이 각 차량 별로 실시간으로 측정이 되지 않기 때문에 대책의 전후 효과를 정확하게 알 수가 없다.However, in most conventional freight vehicle operation field, the indicators related to vehicle operation efficiency cannot be expressed in real time values for individual vehicles, and therefore, measures for improving vehicle operation efficiency cannot be concretely established. Even if the countermeasures are taken, the values of the indicators for improving the vehicle's operational efficiency are not measured in real time for each vehicle.

즉 개별 차량들의 차량운행효율에 관련된 지표가 실시간으로 측정이 되어야만 탄소를 줄이는 대책에 대한 개선효과를 적극적으로 알 수가 있는데, 개선 전후를 비교할 수 있는 개별차량들의 지표수치에 관한 실시간 측정방법이 부재한 실정이다.
In other words, the indicators related to vehicle operation efficiency of individual vehicles must be measured in real time to know the improvement effect on measures to reduce carbon, but there is no real-time measurement method on the surface value of individual vehicles to compare before and after improvement. It is true.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은 GPS 정보를 이용할 수 있는 스마트폰 등과 같은 차량단말기와 함께, 연료측정모듈, 서버, 통제단말기 등을 이용하여, 차량의 공차상태 운행 및 영차상태의 운행 이동거리로부터 공차운행거리율을 산출하도록 하고, 톤-킬로미터 측정, 톤-킬로미터당 탄소배출량을 측정하도록 하여, 화물차량 운행효율을 높이는 개선대책을 수립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using a vehicle terminal, such as a smartphone that can use the GPS information, using a fuel measuring module, server, control terminal, etc., the vehicle's tolerance state operation and the movement of the zero car state movement It is intended to establish improvement measures to increase the operation efficiency of freight vehicles by calculating the tolerance distance ratio from the distance, measuring the ton-kilometer and the carbon emissions per ton-km.

이와 같이 차량 개별로 동시에 운행효율에 관련된 지표 수치를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다면, 차량 운행 개선효과 유무를 수치로 파악할 수 있게 되어 개선에 대한 목표 수립 및 관리가 가능하게 된다.
As such, if the indicators related to the driving efficiency can be measured in real time in individual vehicles, it is possible to grasp the vehicle driving improvement effect as a numerical value, thereby establishing and managing targets for improvement.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출원할 때, 특허청구범위를 복사해서 기재할 예정입니다.)
(When filing an application, we will make a copy of the claims.)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GPS 정보를 이용할 수 있는 스마트폰 등과 같은 차량당말기를 비롯하여, 연료측정모듈, 서버, 통제단말기 등을 이용하여 차량의 공차상태 운행 및 영차상태의 운행 이동거리로부터 공차운행거리율을 산출하도록 하고, 톤-킬로미터 측정, 톤-킬로미터당 탄소배출량을 측정하여, 화물차량 운행효율을 높이는 저탄소 녹색물류와 관련된 개선대책을 수립할 수 있게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a tolerance from the vehicle running state of the vehicle using the vehicle measuring device, such as a smartphone that can use the GPS information, the fuel gauge module, server, control terminal, etc. By calculating the mileage rate, by measuring the tonne-kilometer and the carbon emissions per tonne-kilometer, it is possible to establish improvement measures related to the low-carbon green logistics that improve the efficiency of freight vehicles.

또한 화물차량의 운행에 관련된 지표수치를 실시간으로 측정하면 개선에 대한 효과를 즉각적으로 파악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measurement of the indicator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freight vehicles in real time can immediately identify the effect of the improvement.

이와 관련되어, 우리나라의 화물차의 공차운행율은 개략적으로 약 40%로 추정되며, 차량운행에 소요되는 에너지의 상당부분이 공차운행의 낭비로 버려진다. 그러나 이와 같은 공차운행의 낭비가 차량 별, 실시간 별로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파악하는 것을 시도하지 못하고 있다. 또한 화물차의 운행효율이 높다는 것은 화물을 싣고 운송거리를 이동하는데 연료소모를 적게 하였다는 것이며, 본 발명의 측정시스템 및 이에 따른 방법으로 인해 톤-킬로미터당 연료소모율을 측정하면 각 개별 차량의 운행효율관리를 실시간으로 제대로 할 수 있게 한다.In this regard, the tolerance rate of freight trucks in Korea is estimated to be approximately 40%, and much of the energy required for vehicle operation is wasted as waste of tolerance operation. However, it has not been attempted to grasp how such a waste of tolerance operation is expressed by vehicle and real time. In addition, the high efficiency of the operation of the truck means that the fuel consumption is reduced when the freight is transported and the transportation distance is moved. According to the measuring system and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uel efficiency per ton-km is measured. Make sure management is done in real time.

또한 각 화물차량별로 공차운행거리율과 톤-킬로미터의 값을 측정함으로써, 각 차량 별로 어떻게 관리하여야 낭비가 개선되는지, 얼마만큼의 개선효과가 있는지에 대해 알 수 있게 되어, 국가의 저탄소 녹색성장 정책에 실질적인 방법으로 기여할 수 있게 된다.
Also, by measuring the tolerance distance rate and ton-kilometer value for each freight vehicle, it is possible to know how to manage waste for each vehicle and how much improvement can be achieved. To contribute in a practical way.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측정시스템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측정시스템에 의한 물류 실시예에 대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측정시스템의 제어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측정시스템의 제어방법에 따른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측정시스템에서의 차량운행정보 전송에 대한 제어방법의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측정시스템에서의 차량운행의 이동거리연산에 대한 제어방법의 순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측정시스템에서의 차량운행상태 정보연산에 대한 제어방법의 순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측정시스템에서의 차량 정보 등록절차를 수행하는 제어방법의 흐름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측정시스템에서의 로그인 절차를 수행하는 제어방법의 흐름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측정시스템에서의 영차/공차 상태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어방법의 흐름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측정시스템에서의 차량운행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어방법의 흐름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측정시스템에서의 공차운행거리율 연산에 대한 제어방법의 흐름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측정시스템에서의 톤-킬로미터 연산에 대한 제어방법의 흐름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측정시스템에서의 탄소배출량 연산에 대한 제어방법의 흐름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측정시스템에서의 연료측정모듈에 의한 실시간 연료사용상태 데이터 전송에 대한 제어방법의 흐름도.
1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measur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illustration of a logistics embodiment by the measur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ontrol block diagram of a measur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flow chart according to the control method of the measur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low chart of a control method for vehicle driving information transmission in a measur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low chart of a control method for the movement distance calculation of vehicle operation in the measur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low chart of a control method for the vehicle driving state information calculation in the measur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flowchart of a control method for performing a vehicle information registration procedure in a measur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flowchart of a control method for performing a login procedure in a measur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flowchart of a control method for transmitting zero difference / tolerance state data in a measur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flowchart of a control method for transmitting vehicle driving data in a measur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flowchart of a control method for calculating a tolerance travel distance ratio in a measur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flowchart of a control method for tone-km calculation in the measur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flowchart of a control method for calculating a carbon emission amount in a measur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flowchart of a control method for real-time fuel usage state data transmission by a fuel measurement module in a measur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즉 본 발명에 따른 저탄소 녹색물류를 위한 톤-킬로미터 당 탄소배출 및 공차운행거리율 측정시스템(10)은 도 1 내지 도 15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물을 운송하는 차량(11)에 있어서, 공차운행거리율, 차량 운행에 대한 톤-킬로미터, 그리고 이에 따른 톤-킬로미터 당 탄소배출량 등의 데이터를 연산하여 산출하고 관리하도록 하는 것이다.That is, the carbon emission and tolerance distance measurement system 10 per ton-kilometer for the low carbon green logistic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1 to Figure 15, etc., in the vehicle 11 for transporting cargo, It calculates, calculates and manages data such as distance rate, ton-kilometer for vehicle operation, and carbon emissions per ton-kilometer.

이러한 측정시스템(10)의 구성을 보면, 도 1, 도 3 등에서와 같이, 차량(11)의 운행자가 이용하는 차량단말기(13)와, 차량단말기(13)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수신받아 처리하는 단말기서버(20)와, 단말기서버(20)로부터 전송된 데이터가 저장되는 측정데이터베이스(30)와, 그리고 측정데이터베이스(30)로부터 저장된 데이터를 전송받아 처리하는 통제단말기(40) 등이 구비되는 것이다.As shown in FIG. 1, FIG. 3, the configuration of the measurement system 10 includes a vehicle terminal 13 used by a driver of the vehicle 11 and a terminal for receiving and processing data transmitted from the vehicle terminal 13. The server 20, the measurement database 30 in which the data transmitted from the terminal server 20 are stored, and the control terminal 40 for receiving and processing the stored data from the measurement database 30 are provided.

이와 같이 구비된 본 발명에 따른 측정시스템(10) 중, 도 4, 도 8 등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측정시스템(10)을 이용하고자 하는 차량(11)의 운행자는, 차량(11)에 대한 정보, 차량(11)과 관련된 차량단말기(13)에 대한 정보, 차량(11) 운행자 자신에 대한 정보를 통제단말기(40)의 관리자에게 전달하여 자격심사를 거친 후 정상 이용자로 등록하게 되는 것이다.Of the measurement system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d as described above, as shown in FIG. 4, FIG. 8, the operator of the vehicle 11 to use the measurement system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vehicle 11. Information about the vehicle terminal 13 related to the vehicle 11, information about the operator of the vehicle 11, and the information about the operator himself / herself to the manager of the control terminal 40 to be qualified and registered as a normal user. .

이에 정상 이용자인 차량 운행자로 등록하는 절차는 도 8에서와 같이, 상기 통제단말기(40)에 데이터를 입력함으로써 진행되는 것으로, 해당 차량(11)의 총 적재가능한 적재량(톤)에 대한 정보, 해당 차량(11)의 연료정보, 해당 차량(11)의 운행자에 대한 휴대전화번호정보, 해당 차량(11)이 이용되는 지역의 위치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가 포함된 차량등록정보가 측정데이터베이스(30) 측으로 전송되어 저장되도록 함으로써, 해당 차량(11) 및 이를 이용하는 운행자, 그리고 해당 차량단말기(13)가 등록되는 것이다. 이후 차량단말기(13)는 통신수단을 통하여 단말기서버(20)와 접속되도록 함으로써, 차량관리의 절차를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등록절차를 완료하게 된 경우에는 이에 대한 등록완료정보가, 통제단말기(40) -> 단말기서버(20) -> 차량단말기(13) 등으로 전송되어 차량단말기(13) 화면에 표시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을 것이다.The procedure of registering as a vehicle driver who is a normal user is performed by inputting data into the control terminal 40 as shown in FIG. 8, and the information on the total loadable tonnage (ton) of the vehicle 11, and Vehicle registration information including any one or more of fuel information of the vehicle 11, mobile phone number information of the operator of the vehicle 11, location information of the region in which the vehicle 11 is used is measured database 30 The vehicle 11 and the driver using the vehicle 11 and the vehicle terminal 13 are registered by transmitting to the side). Since the vehicle terminal 13 is connected to the terminal server 20 through the communication means, it is possible to perform the vehicle management procedure. When the registration procedure is completed, the registration completion information for this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terminal 40-> terminal server 20-> vehicle terminal 13 and the like to be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vehicle terminal 13. Could be

이에 상기 차량단말기(13)에서는, 해당 차량(11)에 적재된 화물의 영차운행상태(또는 적재된 화물의 적재량(톤) 정보도 전송될 수 있음) 또는 공차운행상태 등에 대한 정보, 해당 차량(11)의 위치정보, 해당 차량(11)의 운행에 따른 운행이동거리(킬로미터)에 대한 정보, 해당 차량(11)의 연료소모 정보가 포함된 차량운행정보가 단말기서버(20)로 전송되어 측정데이터베이스(30)에 저장되도록 구비되는 것이다.Accordingly, in the vehicle terminal 13, information on a zero-car operating state (or information on a load (ton)) of cargo loaded on the vehicle 11 or a tolerant driving state, the vehicle ( 11) the vehicle opera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position information, the information about the travel distance (km)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vehicle 11, the fuel consumption information of the vehicle 11 is transmitted to the terminal server 20 and measured It is provided to be stored in the database (30).

이에 보충하여 설명하면, 상기 화물의 적재량(톤) 정보는, 차량 운행자가 차량단말기에 직접 입력하여 측정데이터베이스(30)에 저장되도록 하거나, 화물 차량의 무게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를 차량에 장착된 화물무게측정기(미도시됨)가 설치되어 실시될 경우에는 이러한 차량의 화물무게측정기에서 차량단말기(13)로 전송하도록 하여 측정데이터베이스(30)에 저장되도록 하거나, 차량을 이용하고자 하는 화물의 화물주가 의뢰하고자 하는 화물의 적재량(톤)을 미리 등록함으로써 측정데이터베이스(30)에 저장되도록 하거나(이를 이하 '직접 리딩된 화물적재량(톤)'이라 한다), 또는 해당 차량에 정하여진 적재정량(즉 후술되는 차량적재능력(톤))만 미리 차량 운행자가 최초 등록절차 중에 등록하여 저장되도록 하고, 이러한 적재정량(차량적재능력(톤))으로 입력된 수치에 따라 분류된 분류표의 평균적재율(%)에 따른 평균적재량으로써 측정데이터베이스(30) 또는 통제단말기(40) 등에 저장되도록 하여 마련될 수도 있을 것이다. 따라서 앞서 '직접 리딩된 화물적재량(톤)'에 의해 측정데이터베이스(30)에 저장된 화물 적재량(톤)의 데이터는 그대로 통제단말기(40)에서 리딩하여 연산과정에 바로 적용할 수 있으며, 측정데이터베이스(20)에 저장된 데이터가 적재정량(차량적재능력(톤))이 저장되어 있고, 통제단말기(40)에는 이와 관련된 평균적재율(%)의 환산테이블 데이터가 있는 경우에는, 이들 각각의 데이터를 리딩한 후 합산한 데이터가 해당 화물의 적재량(톤)( = (차량적재능력(톤) X 평균적재율(%))이 되도록 실시될 수도 있을 것이다.In addition to this, the load (ton) information of the cargo, the vehicle operator is directly input to the vehicle terminal to be stored in the measurement database 30, or to equip the vehicle with a device that can measure the weight of the cargo vehicle If a freight weight meter (not shown) is installed and implemented, the freight weight meter of the vehicle is transmitted to the vehicle terminal 13 so that it is stored in the measurement database 30 or the cargo of the cargo to be used by the vehicle. Register the load (ton) of the cargo to be requested in advance so that it can be stored in the measurement database 30 (hereinafter referred to as 'directly loaded cargo load (ton)'), or the loading quantity determined for the vehicle (i.e., Only the vehicle loading capacity (tons) to be described later is registered in advance during the initial registration process and stored, and the loading capacity (vehicle loading capacity ( )) It could also be provided to ensure that the storage such as the average load capacity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table, an average deposition rate (%) was classified according to the measured value database 30 or a control terminal 40 to the input. Therefore, the data of the cargo load (ton) stored in the measurement database 30 by the 'directly loaded cargo load (ton)' can be read directly from the control terminal 40 and applied directly to the calculation process. If the data stored in 20) has a loading capacity (vehicle loading capacity (ton)), and the control terminal 40 has conversion table data of the average loading rate (%) related thereto, each of these data is read. The aggregated data may then be carried out so that the cargo is loaded in tonnes (= (car load capacity tonnes x average loading rate).

따라서 이처럼 연산된 화물의 적재량(톤)은 이후 연산처리과정 중 톤-킬로미터 데이터를 연산하는데 이용될 것이다.Thus, the cargo load (ton) calculated in this way will be used to calculate the tonne-km data during the calculation process.

그리고 이러한 차량단말기(13)의 예로는, 핸드폰, PDA, 스마트폰, 차량 장착 또는 휴대용 네비게이션, 기타 차량에 설치되거나 또는 차량(11)의 운행자가 휴대하면서 사용이 가능한 장치로써, 통신, WIFI, GPS 데이터 수신 등의 기능을 갖는 장치가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Examples of such a vehicle terminal 13 include a mobile phone, a PDA, a smart phone, a vehicle mounted or portable navigation, a device installed in another vehicle, or used by a driver of the vehicle 11, such as communication, WIFI, GPS. Apparatus having a function such as data reception may be applied.

이처럼 구비되는 본 발명에서의 상기 통제단말기(40)는, 해당 차량(11)과 관련된 차량운행정보를 측정데이터베이스(30)로부터 전송받아, 차량 운행과 관련된 각종 데이터를 연산하도록 하는 것이다.The control terminal 40 i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d as described above is to receive the vehicle driving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he vehicle 11 from the measurement database 30, to calculate various data related to the driving of the vehicle.

예를 들면, 해당 차량(11)에 화물이 적재되어 운행된 영차 상태의 운행이동거리와 화물이 적재되지 않은 상태인 공차 상태의 운행이동거리의 합에 대해서 공차 상태로 운행된 운행이동거리의 비율인 공차운행거리율의 데이터를 연산하도록 마련될 수 있을 것이다.For example, the ratio of the traveling distance traveled in the tolerant state with respect to the sum of the traveling distance of the zero-car state in which the cargo is loaded and operated in the vehicle 11 and the traveling distance of the tolerance state in which the cargo is not loaded. It may be arranged to calculate data of artificial vehicle travel distance rate.

또한 해당 차량(11)에 적재되는 화물의 차량적재능력(톤)과 평균적재율(%)과 해당 차량(11)의 총 영차운행이동거리(킬로미터) 등의 곱, 또는 직접 차량의 차량단말기(13)로부터 직접 리딩된 화물 적재량(톤)과 총 영차운행이동거리(킬로미터)의 곱 등에 의해 산출될 수도 있는 톤-킬로미터의 데이터를 연산하도록 마련될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the product of the vehicle loading capacity (ton) and the average loading rate (%) of the cargo loaded on the vehicle 11, the total zero-vehicle travel distance (km) of the vehicle 11, or directly the vehicle terminal (13) It may be arranged to calculate tonne-km data, which may be calculated by multiplying the cargo load (ton) and the total zero travel distance (km) read directly from

나아가 해당 차량(11)의 운행일에 배출된 탄소배출량을 상기 톤-킬로미터의 데이터값으로 나눈 값으로 하는 톤-킬로미터 당 탄소배출량의 데이터를 연산하도록 마련될 수 있을 것이다.Furthermore, it may be arranged to calculate the data of carbon emissions per tonne-kilometer by dividing the carbon emissions emitted on the driving day of the vehicle 11 by the data values of the tonne-km.

그리고 통제단말기(40)에서 연산된 공차운행거리율 데이터, 톤-킬로미터 데이터, 톤-킬로미터 당 탄소배출량 데이터 등의 데이터들은 다시 측정데이터베이스(30)에 전송되어 저장되도록 구비되는 것이다.In addition, data such as tolerance travel distance rate data, ton-km data, and carbon emission data per ton-km calculated by the control terminal 40 are again provided to be transmitted to and stored in the measurement database 30.

이처럼 저장된 상기의 기초 차량운행 데이터 및 연산되어 저장된 데이터 등은 통제단말기(40)의 관리자의 처리 또는 차량(11) 운행자가 차량단말기(13)를 통하여 요청하는 경우에는 해당 데이터가 리딩되어 제공될 수도 있을 것이다.The basic vehicle operation data and the calculated and stored data may be read and provided when the manager of the control terminal 40 or the operator of the vehicle 11 requests the vehicle terminal 13 through the vehicle terminal 13. There will be.

따라서 해당 차량(11)에 대한 공차운행거리율의 관리, 톤-킬로미터에 따른 운행관리, 그리고 이러한 톤-킬로미터 당 탄소배출량에 대한 관리를 통하여, 해당 차량(11)에 알맞은 공차 및 영차 운행에 효율을 높이도록 하고, 아울러 이러한 화물 운행에 따른 탄소배출양도 점검함으로써 탄소배출을 최소화하여 환경을 보호하도록 하는 저탄소녹색물류를 추구할 수 있을 것이다.Therefore, through the management of the tolerance distance ratio for the vehicle 11, the operation management according to tonne-km, and the management of such carbon emissions per ton-km, the efficiency for tolerance and zero car operation suitable for the vehicle 11 In addition, low carbon green logistics can be pursued to protect the environment by minimizing carbon emissions by checking the carbon emissions generated by such cargo operations.

아울러 상기 단말기서버(20)는, 차량단말기(13)로부터 전송된 차량운행정보를 수신하여 측정데이터베이스(30)에 저장되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차량단말기(13)와 단말기서버(20) 사이에서의 정보전송은, 차량단말기(13)에서의 통신수단이 이동통신, 전화통신으로 적용될 경우에는 통신회사의 장치들을 경유하여 이용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도 있고, 이동 중에 GPS 통신, 또는 WIFI 등과 같은 무선 통신을 적용할 수 있을 경우에는 인터넷 통신 수단 등의 장비들을 경유하도록 마련될 수 있는 등, 일반적으로 알려진 신호 전송수단에 의하여 이용될 수 있는 것이다. 이는 차량단말기(13)의 종류, 차량(11)의 운행자의 여건, 그리고 통제단말기 및 본 측정시스템의 운영자들이 처한 여건에 따라 알맞게 정하여져 운영될 수 있을 것이다.
In addition, the terminal server 20 is provided to receive the vehicle driving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vehicle terminal 13 and stored in the measurement database 30, the information between the vehicle terminal 13 and the terminal server 20 The transmission may be provided so that the communication means in the vehicle terminal 13 may be used via devices of a telecommunication company when the communication means is applied to mobile communication or telephone communication, and applies wireless communication such as GPS communication or WIFI while moving. Where possible, it can be used by a generally known signal transmission means, such as can be provided via equipment such as Internet communication means. This may be appropriately determined and operated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vehicle terminal 13, the conditions of the operator of the vehicle 11, and the conditions of the control terminal and the operators of the present measurement system.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측정시스템(10)에서의 각 부재들 중, 단말기서버(20)는 해당 차량(11)에서 전송되는 공차, 또는 영차 등의 차량운행에 대해서, 매번 운영되는 차량 운행에 따른 운행이동거리를 누적하여 연산하도록 하는 일일공차거리누적연산부(31) 및 일일영차거리누적연산부(32) 등이 마련될 수 있을 것이다.Among the members in the measurement system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inal server 20 is operated according to the vehicle operation that is operated every time for a vehicle operation such as a tolerance or a zero vehicle transmitted from the vehicle 11. The daily tolerance distance accumulation operation unit 31 and the daily zero distance accumulation operation unit 32 may be provided to accumulate movement distances.

그리고 이렇게 누적 연산된 공차, 또는 영차의 이동거리에 대해, 매일 24시 00분을 지난 후에, 하루 동안의 일간 공차거리 및 영차거리를 연산하도록 하는 일간공차거리연산부(33)와 일간영차거리연산부(34) 등이 마련될 수 있을 것이다.
The daily tolerance distance calculation unit 33 and the daily zero difference distance calculating unit for calculating the tolerance distance and the zero difference distance for one day after 24:00 every day with respect to the accumulated tolerance or the zero distance moving distance. 34) and so on.

아울러 상기 통제단말기(40)에는, 해당 차량(11)에 화물의 적재된 적재량(톤) 및 공차운행상태 또는 영차운행상태 등과 관련된 정보를 분석하거나 또는 화물의 영차운행 이동거리 및 공차운행 이동거리 등에 따른 공차운행거리율을 연산하여 추출하도록 하는 공차운행거리율연산부(41)가 마련될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the control terminal 40, analyzes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load (tons) and the tolerance operation state or zero-car operation state of the cargo loaded on the vehicle 11, or the zero-car movement distance and the tolerance movement distance of the cargo, etc. Tolerance traveling distance rate calculation unit 41 to calculate and extract the tolerance distance according to the distance may be provided.

그리고 해당 차량(11)에 적재된 화물의 적재량(톤)에 따른 영차운행의 이동거리(킬로미터)를 연산하여 추출하도록 하는 톤-킬로미터연산부(42)가 마련될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a ton-kilometer calculation unit 42 may be provided to calculate and extract a moving distance (km) of zero-car operation according to a load (ton) of cargo loaded in the vehicle 11.

또한 상기 톤-킬로미터연산부(42)로부터 연산된 해당 차량(11)의 운행에 따른 톤-킬로미터의 연산데이터와, 해당 차량(11)의 소모연료량(리터) 당 탄소배출량에 대한 데이터, 그리고 해당 차량(11)에 적재된 화물의 적재량(톤)(직접 리딩된 화물 적재량(톤) 또는 (차량적재능력 X 평균적재율)으로 된 추정연산된 화물 적재량(톤))과 영차운행 이동거리(킬로미터) 등으로부터 연산된 톤-킬로미터 당 탄소배출량의 데이터를 연산하여 추출하는 탄소배출량연산부(43)가 마련될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the calculation data of the ton-km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vehicle 11 calculated from the tone-km calculation unit 42, the data on the amount of carbon emissions per liter of fuel consumption (liter) of the vehicle 11, and the vehicle (11) loads of cargo (tons) (directly loaded cargos (tons) or estimated computed cargo loads (tons) in terms of vehicle loading capacity x average loading rate)) and zero-mile travel distances (km); Carbon emissions calculation unit 43 for calculating and extracting the data of carbon emissions per ton-km calculated from may be provided.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저탄소녹색물류를 위한 톤-킬로미터 당 탄소배출 및 공차거리율 측정시스템(10)에 있어서, 톤-킬로미터와 관련된 데이터를 연산하기 위해서, 통제단말기(40)에서는 해당 연산 자료를 측정데이터베이스(30)로부터 제공받게 될 것이다. 이에 측정데이터베이스(30)로부터는 해당 차량(11)에 적재된 적재 화물의 적재량(톤)에 대한 데이터와, 해당 화물을 적재한 상태에서 운행한 영차운행거리에 대한 데이터를 요청하여 제공받게 될 것이다.In the carbon emission and tolerance distance rate measurement system 10 per ton-kilometer for the low carbon green logistic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calculate the data related to the ton-km, the control terminal 40 measures the corresponding calculation data. It will be provided from the database 30. The measurement database 30 will be provided by requesting data on the loading amount (ton) of the loaded cargo loaded on the vehicle 11 and data on the zero-vehicle driving distance operated while the corresponding cargo is loaded. .

이에 이러한 측정데이터베이스(30)에 저장된 해당 차량(11)의 화물 적재량(톤)은 다양한 방식에 의하여 저장될 수 있을 것이고, 측정데이터베이스(30)에서는 요구되는 적재량(톤)의 요청신호에 대해 저장된 데이터 형태에 따라 해당 데이터를 전송하게 되며, 이에 대응하여 통제단말기(40)에서는 전송되는 적재량(톤)과 관련된 데이터의 형태를 판별하여 그에 알맞은 절차를 수행하여 톤-킬로미터를 연산하게 될 것이다.Accordingly, the cargo load (ton) of the vehicle 11 stored in the measurement database 30 may be stored by various methods, and the data stored for the request signal of the load (ton) required in the measurement database 30. The corresponding data is transmitted according to the shape, and in response, the control terminal 40 determines the type of data related to the load (ton) to be transmitted and performs the appropriate procedure to calculate the tone-km.

(1) 그 대표적인 것을 살펴보면, 우선 '차량(11)의 차량적재능력(톤)을 이용방식'의 실시예로, 해당 차량(11)의 운행자가 최초 차량, 운행자, 차량당말기 등에 대한 정보를 통제단말기(40)를 통하여 측정데이터베이스(30)에 저장하여 등록하는 절차 중에, 해당 차량(11)에 적재하게 되는 알맞은 적재정량(일반적으로 차종에 따라 적용시킨 적재정량(톤)이 될 수도 있고 별도로 정의할 수도 있음)을 함께 등록하게 되고, 이러한 적재정량(톤)을 해당 차량의 '차량적재능력(톤)'의 데이터로 되어 통제단말기(40)에 전송하도록 마련될 수 있을 것이다. 이처럼 통제단말기(40)에서 측정데이터베이스(30)로 해당 차량(11)의 '적재량(톤)' 정보를 요청함에 측정데이터베이스(30)에서 응답신호값으로 '차량적재능력(톤)'의 데이터로 전송한 경우, 통제단말기(40)에서는 해당 차량(11)의 '차량적재능력(톤)'에 관련된 상수값인 '평균적재율(%)'의 데이터를 리딩하도록 하며, 이처럼 (차량적재능력(톤)) X (평균적재율(%))의 곱이 해당 차량의 화물 적재량(톤)으로 산출되어 해당 톤-킬로미터를 연산하도록 수행될 수 있을 것이다.(1) As a representative example, first, as an embodiment of the method of using the vehicle loading capacity (ton) of the vehicle 11, the driver of the vehicle 11 receives information about the first vehicle, the driver, the end of the vehicle, and the like. During the procedure of storing and registering in the measurement database 30 through the control terminal 40, a suitable loading quantity (generally, loading quantity (ton) applied according to the vehicle type) to be loaded on the vehicle 11 may be separately or separately. May be defined together, and this loading quantity (ton) may be prepared to be transmitted to the control terminal 40 as data of the vehicle loading capacity (ton). As such, the control terminal 40 requests the 'loading amount (ton)' information of the vehicle 11 from the measurement database 30 to the data of the 'vehicle loading capacity (toning)' as the response signal value from the measurement database 30. In case of transmission, the control terminal 40 reads the data of 'average loading rate (%)' which is a constant value related to the 'vehicle loading capacity (ton)' of the vehicle 11, and thus (vehicle loading capacity (ton) )) The product of X (average loading rate) can be calculated as the tonnage of the vehicle, and can be performed to calculate the tonne-kilometer.

이처럼 차량적재능력(톤)의 데이터를 이용하게 되는 실시예에서는, 해당 차량(11)에 적재되는 대부분의 화물이 일정하게 정하여진 경우에 알맞게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 대부분 적재된 화물의 종류나 양의 변동없이 단순히 횟수만을 적용하여도 무방한 화물 운송에 적합할 것이다. 따라서 최초 해당 차량에 대한 정보를 등록할 때 해당 차량의 차량적재능력(톤)의 데이터를 기재함으로써, 해당 차량과 관련된 정보제공시에 측정데이터베이스(30)에서 단순히 해당 차량의 차량적재능력 정보만 전송하도록 하고, 따라서 통제단말기(40)에서는 테이블 형태로 자체 저장된 '평균적재율(%)'의 수치값을 불러와 연산하게 된다. 즉 화물 차량의 차량적재능력과 관련된 화물종류, 화물차량의 분류, 또는 화물 회사 등과 관련되게 미리 정해진 수치값으로 하여 '평균적재율(%)'을 데이터 데이블 형태로 저장하여 이를 이용함으로써, 불필요한 데이터 전송 또는 연산의 과정이 필요없이 바로 실시간으로 빠르게 연산하도록 하는 것이다.Thus, in the embodiment using the data of the vehicle loading capacity (tons), it can be appropriately applied when most of the cargo loaded on the vehicle 11 is fixed, most of the kind or amount of the loaded cargo Simply applying the number of times without any change would be suitable for any cargo shipment. Therefore, when registering the information on the vehicle for the first time, by recording the data of the vehicle loading capacity (ton) of the vehicle, when provid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vehicle, only the vehicle loading capacity information of the vehicle is simply transmitted from the measurement database 30 Therefore, the control terminal 40 is calculated by calling the numerical value of the 'average loading rate (%)' stored in the table form. In other words, by storing the 'average loading rate (%)' in the form of a data table and using it as a predetermined numerical value related to the cargo type related to the vehicle loading capacity of the freight vehicle, the classification of the freight vehicle, or the freight company, unnecessary data transmission is performed. Or, it does not need to be a process of operation is to quickly perform in real time.

(2) 다음으로는 '직접 리딩된 화물 적재량(톤) 방식'의 데이터를 이용하도록 하는 실시예로, 즉 측정데이터베이스(30)에 '적재량(톤)'의 데이터를 직접 저장하게 되고, 따라서 측정데이터베이스(30)에서는 저장된 '적재량(톤)'의 데이터를 그대로 통제단말기(40)로 전송하게 되는 직접리딩 방식을 하며, 통제단말기(40)에서는 직접 리딩되어 전송된 '적재량(톤)'의 데이터를 바로 연산에 직접 적용하여 연산하게 될 것이다.(2) Next, an embodiment in which the data of the directly loaded cargo load (ton) method is used, that is, the data of the load (ton) is directly stored in the measurement database 30, and thus the measurement is performed. The database 30 has a direct reading method in which data of the stored 'load amount (ton)'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terminal 40 as it is, and the control terminal 40 directly reads and transmits the 'load amount (ton)' data. Will be applied directly to the operation.

이러한 '직접 리딩된 화물 적재량(톤) 방식'에 대한 실시로는, 우선 해당 차량(11)을 이용하여 화물의 운송을 의뢰하게 되는 화물주가 자신이 의뢰할 화물의 적재량(톤)을 미리 알려 주도록 하여 이를 해당 차량의 적재량의 데이터로 이용하도록 하는 '화물주 적재량(톤) 입력방식'으로 실시될 수 있을 것이다.In this implementation of the 'directly loaded cargo load (ton) method, firstly, the cargo owner who requests the transportation of the cargo using the vehicle 11 to inform the loading amount (ton) of the cargo to be requested in advance. It can be implemented as a 'cargo load (ton) input method to use this as data of the load amount of the vehicle.

이는 해당 차량에 적용하는 화물이 해당 차량의 적재정량을 넘지 않으면서 화물주가 화물신고 또는 의뢰시 자신의 화물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 이용하기 때문에 별도의 분석과정이 필요하지 않게 된다.This does not require a separate analysis process because the cargo owner provides information on his cargo at the time of cargo declaration or request, while the cargo applied to the vehicle does not exceed the loading capacity of the vehicle.

따라서 이러한 화물주에 의해 제공된 해당 화물의 적재량(톤) 정보는 통제단말기(40)를 통하여 화물 운송 의뢰 접수시 접수데이터와 함께 측정데이터베이스(30)에 저장될 것이다. 그리하여 이후 통제단말기(40)에서 해당 화물을 차량(11)에 대한 톤-킬로미터의 데이터를 연산할 경우, 해당 차량 및 화물에 대한 적재량(톤) 정보로써 측정데이터베이스(30)에서 직접 리딩하게 되는 화물적재량(톤) 데이터로 제공받게 될 것이다.Therefore, the load (ton)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cargo provided by the cargo owner will be stored in the measurement database 30 together with the received data when receiving the cargo transport request through the control terminal 40. Thus, when the control terminal 40 calculates the tonne-km data for the vehicle 11, the cargo is read directly from the measurement database 30 as load information (ton) for the vehicle and the cargo. You will be provided with tonnage data.

(3) 다음으로는 '차량 운행자 입력방식'에 대한 것으로, 해당 화물 차량(11)의 운행자가 차량 전체 무게를 측정하게 되는 계량소 등을 이용함으로써, 해당 운행자가 차량단말기(13)에 직접 해당 차량(11)의 화물 적재량(톤) 정보를 입력하고, 이처럼 입력된 해당 차량(11)의 화물 적재량(톤) 정보는 단말기서버(20)를 통하여 측정데이터베이스(30)에 적재량(톤)으로 저장될 것이다.(3) Next, the 'vehicle driver input method', and the driver of the freight vehicle 11 by using a measuring station, etc. to measure the overall weight of the vehicle, the driver directly corresponds to the vehicle terminal (13) Input cargo load (ton) information of the vehicle 11, and the cargo load (ton) information of the vehicle 11 input as described above is stored as a load (ton) in the measurement database 30 through the terminal server 20 Will be.

따라서 통제단말기(40)에서 톤-킬로미터 연산의 자료로써 해당 차량(11)의 화물 적재량(톤) 정보를 요청하게 되면, 측정데이터베이스(30)로부터 해당 차량(11)의 운행자가 입력하여 저장된 화물 적재량(톤) 정보 데이터를 제공받게 되는 것으로, 직접 리딩된 화물 적재량(톤)을 이용하여 연산하게 될 것이다.Therefore, when the control terminal 40 requests the cargo load (ton) information of the vehicle 11 as data of the ton-kilometer calculation, the operator of the vehicle 11 is stored and input the stored cargo load from the measurement database 30 You will be provided with (ton) information data, which will be calculated using directly loaded cargo loads (tons).

(4) 다음으로 '화물무게측정기의 센서 입력방식'으로, 해당 화물 차량(11)의 축하중과 같이 해당 화물 차량(11)의 무게를 직접 측정할 수 있는 화물무게측정기(미도시됨)를 해당 화물 차량(11)에 직접 설치하도록 하고, 이러한 화물무게측정기에서 측정된 화물 적재량(톤) 정보가 차량단말기(13)로 전송되어 측정데이터베이스(30)에 저장되도록 마련될 수도 있을 것이다.(4) Next, the 'weight input sensor input method of the cargo weight', a cargo weight measuring instrument (not shown) that can directly measure the weight of the cargo vehicle 11, such as during the celebration of the cargo vehicle 11 Directly installed in the corresponding cargo vehicle 11, the cargo load (ton) information measured by the cargo weight measuring instrument may be provided to be transmitted to the vehicle terminal 13 and stored in the measurement database 30.

따라서 통제단말기(40)에서는 해당 화물 차량(11)에 대한 톤-킬로미터의 연산시, 측정데이터베이스(30)로부터 저장된 화물 적재량(톤)의 정보데이터를 전송받게 되는 직접 리딩된 화물적재량(톤)을 이용하여 연산하게 될 것이다.Therefore, in the control terminal 40, when calculating the tonne-km for the cargo vehicle 11, the directly loaded cargo load (ton) to receive the information data of the stored cargo load (ton) from the measurement database 30 Will be computed.

이처럼 (1) 최초 차량 등록시 제공된 해당 차량(11)에 대한 '차량적재능력(톤)'의 데이터와 '평균적재율(%)'의 데이터로부터 연산되는 적재량(톤)을 이용하는 '차량(11)의 차량적재능력(톤)을 이용방식'의 실시예로 되는 경우, '직접 리딩된 화물 적재량(톤) 방식'에 대한 것으로, (2) 화물주에 의해 입력되는 적재량(톤)의 데이터정보에 따른 직접 리딩된 화물 적재량(톤)을 이용하는 '화물주 적재량(톤) 입력방식'의 실시예로 되는 경우, (3) 해당 차량(11)의 운행자에 의해 입력되는 적재량(톤)의 데이터정보에 따른 직접 리딩된 화물 적재량(톤)을 이용하는 '차량 운행자 입력방식'의 실시예로 되는 경우, (4) 해당 차량(11)에 설치된 화물무게측정기(미도시됨)으로 센싱된 해당 화물의 적재량(톤)의 데이터정보에 따른 직접 리딩된 화물 적재량(톤)을 이용하는 '화물무게측정기의 센서 입력방식'의 실시예로 되는 경우, 등 다양한 방식으로 하여 해당 화물 차량(11)의 톤-킬로미터의 데이터 연산시 해당 차량(11)의 화물 적재량(톤) 정보로 적용되어 연산과정이 수행될 것이다.
Thus, (1) the 'vehicle 11' using the load (ton) calculated from the data of the 'vehicle loading capacity (ton)' and the 'average loading rate (%)' for the vehicle 11 provided at the time of initial vehicle registration. When the vehicle loading capacity (ton) is used as an embodiment of the 'use method', it is for the 'directly loaded cargo load (ton) method', (2) according to the data information of the load amount (ton) input by the cargo owner. (3) According to the data information of the load amount (tons) input by the operator of the vehicle 11, in the case of the embodiment of the 'cargo load amount (tons) input method' using the directly loaded load amount (tons) In the case of the embodiment of the 'vehicle operator input method' using the directly loaded cargo load (tons), (4) the load load (tons) of the corresponding cargo sensed by a freight weight meter (not shown) installed in the vehicle 11 'Cargoes using direct loaded cargo loads (tons) based on data information In the embodiment of the sensor input method of the measuring device, the calculation process is applied to the cargo load (ton) information of the vehicle 11 when calculating the ton-km of the cargo vehicle 11 in various ways. This will be done.

이에 더하여 본 발명에 따른 측정시스템(10)에 있어서, 해당 차량(11)에 설치되어 운행으로 소모된 연료소모량의 데이터를 검출하도록 하는 연료측정모듈(15)이 더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in the measurement system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uel measurement module 15 may be further provided to detect the data of the fuel consumption consumed by driving installed in the vehicle 11.

그리하여 이러한 상기 연료측정모듈(15)에서는 검출된 소모된 연료소모량에 대한 데이터가 해당 차량(11)의 차량단말기(13)로 전송되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검출된 연료소모량의 데이터는 차량단말기(13)에서 단말기서버(20)로 전송되어 측정데이터베이스(30)에 저장되도록 구비되는 것이다.Thus, the fuel measurement module 15 is provided such that data on the consumed fuel consumption amount is transmitted to the vehicle terminal 13 of the vehicle 11, and the detected fuel consumption data is stored in the vehicle terminal 13. Is transmitted to the terminal server 20 to be stored in the measurement database 30.

따라서 통제단말기(40)에서 탄소배출량을 연산하는 중에, 측정데이터베이스(30)에 저장된 해당 차량의 연료소모량 데이터를 리딩하여 연산할 수 있는 것이다.
Therefore, while calculating the carbon emissions in the control terminal 40, it is possible to calculate by reading the fuel consumption data of the vehicle stored in the measurement database 30.

상기와 같이 마련되는 본 발명에 따른 저탄소녹색물류를 위한 톤-킬로미터 당 탄소배출 및 공차운행거리율 측정시스템(10)에 있어서의 제어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Looking at the control method in the carbon emissions per ton-kilometer and the tolerance distance distance measurement system 10 for the low-carbon green logistic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d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즉 본 발명은 차량(11)의 운행자가 이용하는 차량단말기(13)와, 차량단말기(13)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수신받아 처리하는 단말기서버(20)와, 단말기서버(20)로부터 전송된 데이터가 저장되는 측정데이터베이스(30)와, 측정데이터베이스(30)에 저장된 데이터를 전송받아 정보처리를 수행하는 통제단말기(40)가 구비된 측정시스템(10)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측정시스템(10)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방법에 있어서, 우선 차량(11)에 대한 정보, 차량(11)의 운행자 및 차량단말기(13)에 대한 정보가 통제단말기(40)를 통하여 측정데이터베이스(30)에 전송 및 저장되어 등록절차가 진행되도록 하는 차량정보등록단계(S01)가 수행되는 것이다.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vehicle terminal 13 used by the driver of the vehicle 11, the terminal server 20 for receiving and processing the data transmitted from the vehicle terminal 13, and the data transmitted from the terminal server 20 It relates to a measurement system 10 having a measurement database 30 to be stored and a control terminal 40 for receiving information stored in the measurement database 30 and performing information processing. The measurement system 10 is controlled. In the control method for performing the above, information about the vehicle 11, information about the driver of the vehicle 11 and the vehicle terminal 13 is transmitted, stored and registered in the measurement database 30 through the control terminal 40. The vehicle information registration step S01 is performed to allow the procedure to proceed.

이와 같이 측정시스템(10)의 측정데이터베이스(30)에 해당 차량(11)에 대한 정보, 차량(11)과 관련된 운행자의 운전정보, 핸드폰번호 등과 같은 정보, 그리고 해당 차량(11)과 관련되는 차량단말기(13)에 대한 정보 등이 저장되어 등록됨으로써, 이후 차량단말기(13)를 통하여 차량(11) 운영에 대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을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measurement database 30 of the measurement system 10 includes information on the vehicle 11, driving information of a driver related to the vehicle 11, information such as a mobile phone number, and a vehicle associated with the vehicle 11. By storing and registering information about the terminal 13, it is possible to transmit and receive data on the operation of the vehicle 11 through the vehicle terminal 13.

이에 본 발명에서는 주로 해당 차량의 운행에 따른 공차운행거리율의 연산, 톤-킬로미터의 연산, 그리고 톤-킬로미터 당 탄소배출량의 연산에 대해 집중하여 살펴보는 바, 이에 따른 과정을 수행하기에 앞서, 도 9에서와 같이 측정데이터베이스(30)에 저장되어 등록된 차량(11)의 차량단말기(13)가 단말기서버(20)에 접속되고 접속에 대한 정보데이터가 측정데이터베이스(30)에 저장되도록 하여 차량단말기(13)가 단말기서버(20)에 로그인되도록 하는 차량단말기로그인단계(S02)가 수행되는 것이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mainly focuses on the calculation of the tolerance distance ratio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vehicle, the calculation of the ton-km, and the calculation of the carbon emissions per ton-km, before performing the process accordingly. As shown in FIG. 9, the vehicle terminal 13 of the registered vehicle 11 stored in the measurement database 30 is connected to the terminal server 20 and the information data about the connection is stored in the measurement database 30. The vehicle terminal login step (S02) for allowing the terminal 13 to log in to the terminal server 20 is performed.

이러한 로그인단계에 대한 일 실시예를 도 9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등록된 차량단말기(13)에서 로그인 요청에 대한 정보데이터를 단말기서버(20)로 전송하게 되고, 로그인 요청 정보를 수신한 단말기서버(20)에서는 해당 로그인 요청한 차량단말기(13) 대상이 정상 등록된 사용자의 단말기인지 여부를 측정데이터베이스(30) 측으로 요청하게 되고, 측정데이터베이스(30)에서는 등록된 운행자, 차량단말기(13)의 정보일 경우, 정상 등록자로 하는 응답신호와 함께 등록된 정보를 단말기서버(20)에 전송하고, 아울러 해당 차량단말기(13)의 로그인 된 정보를 저장하게 된다. 그리고 정상 등록자로 하는 응답신호를 수신받은 단말기서버(20)에서는 로그인 확인 정보를 차량단말기(13)로 전송하게 되고, 반면 등록된 차량단말기(13) 및 운행자 정보가 아닌 경우에는 미등록 또는 인증실패에 대한 정보가 단말기서버(20)를 통하여 차량단말기(13) 측으로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Looking at an embodiment of this login step with reference to Figure 9, the registered vehicle terminal 13 transmits the information data for the login request to the terminal server 20, the terminal server receiving the login request information ( 20) the request to the measurement database 30 to determine whether the target terminal of the vehicle terminal 13 requested for the login is a user of a normal registered user, the measurement database 30 is the information of the registered operator, the vehicle terminal 13 In this case, the registered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terminal server 20 together with the response signal as a normal registrant, and the logged-in information of the vehicle terminal 13 is stored. In addition, the terminal server 20 receiving the response signal as a normal registrant transmits the login confirmation information to the vehicle terminal 13, while the registered vehicle terminal 13 and the driver information are not registered or failed in authentication.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to the vehicle terminal 13 through the terminal server 20.

이러한 과정을 거쳐 차량단말기(13)가 단말기서버(20)에 로그인 된 상태에서 공차정보, 영차정보, 운행에 대한 이동거리, 연료소모량 등과 같이 차량 운행에 따른 다양한 정보가 차량단말기(13)에서 단말기서버(20)로 전송되도록 하고, 아울러 차량(11) 운행자가 확인하고자 하는 정보에 대해서, 차량단말기(13)를 이용하여 단말기서버(20)로 요청하게 된다. 그리고 이에 단말기서버(20)는 해당 데이터를 측정데이터베이스(30)에서 불러와 차량단말기(13)에 제공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는 것이다.After the vehicle terminal 13 is logged in to the terminal server 20 through this process, various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vehicle operation such as tolerance information, zero-car information, moving distance for driving, fuel consumption, etc., is received from the terminal 13 in the terminal. The vehicle 20 is transmitted to the server 20, and the information about which the driver of the vehicle 11 wants to check is requested to the terminal server 20 using the vehicle terminal 13. In addition, the terminal server 20 may be provided to retrieve the corresponding data from the measurement database 30 and provide it to the vehicle terminal 13.

이러한 일련의 과정 중에서 우선적으로는, 해당 차량(11)의 운행 시, 화물이 적재되지 않은 상태인 공차운행의 정보 또는 화물이 적재된 상태인 영차운행(또는 일부 영차 상태의 적재량(톤) 정보도 포함될 수 있을 것이다)에 대한 정보, 영차운행에 따른 위치정보, 그리고 해당 차량(11)의 이동정보 등 다양한 정보가 포함된 차량운행정보가 차량단말기(13)에서 단말기서버(20) 측으로 전송되고 측정데이터베이스(30)에 저장되도록 하는 차량운행정보전송단계(S03)가 수행되는 것이다.Among these processes, priority is given to the information of the tolerance operation in which the cargo is not loaded or the zero-car operation in which the cargo is loaded (or the loading amount (ton) of some zero-car condition) when the vehicle 11 is operated. Vehicle operation information including various information such as information about the vehicle information), loc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zero-car operation, and movement information of the vehicle 11 is transmitted from the vehicle terminal 13 to the terminal server 20 and measured. Vehicle driving information transmission step (S03) to be stored in the database 30 is performed.

이러한 상기 차량운행정보전송단계(S03)에 있어서는, 화물이 차량(11)에 적재되어 최초 운행을 개시하는 시기에서의 정보처리, 그리고 중간에 화물을 내리고 다시 싣도록 하여 운행을 계속하는 시기에서의 정보처리, 나아가 최종적으로 화물을 내리는 시기에서의 정보처리의 과정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In this vehicle operation information transmission step (S03), the information processing at the time when the cargo is loaded on the vehicle 11 to start the first operation, and at the time when the operation is continued by unloading and loading the cargo in the middle. It will be possible to carry out the process of information processing and further information processing at the time of final unloading.

물론 일일 누적계산 또는 일간 하루 단위로 연산하도록 하는 경우에는 24시 00분(00초)을 넘어서면서 화물 운송의 정보를 갱신하도록 하는 단계가 더 부가되어 운영될 수도 있을 것이다.Of course, if the cumulative daily calculation or daily operation to be performed in addition to the step to update the information of the freight transport over 24 hours 00 minutes (00 seconds).

이에 도 11에서와 같이, 해당 차량(11)의 운행개시에 따라, 적재시의 위치정보, 해당 차량(11)에 화물이 적재된 상태인 영차운행의 정보(또는 적재된 화물의 적재량(톤)에 대한 정보) 등이 포함되는 차량운행개시 정보가 차량단말기(13)에서 단말기서버(20)로 전송되고 측정데이터베이스(30)에 저장되도록 하는 차량운행개시정보전송단계(S31)가 수행되도록 마련될 수도 있을 것이다.Accordingly, as shown in FIG. 11, according to the start of operation of the vehicle 11, location information at the time of loading and information of zero-car operation in which the cargo is loaded on the vehicle 11 (or the load amount of the loaded cargo (tons)). Vehicle operation start information transmission step (S31) for transmitting the vehicle operation start information, including information on the vehicle information, is transmitted from the vehicle terminal 13 to the terminal server 20 and stored in the measurement database 30. Could be

그리고 해당 차량(11)의 운행으로 최종 목적지의 위치정보, 해당 차량(11)에서 화물이 적재된 상태인 영차운행 정보(또는 적재된 화물의 적재량(톤)에 대한 정보)와, 운행에 따른 이동거리(킬로미터) 정보가 포함된 차량운행최종 정보가 차량단말기(13)에서 단말기서버(20)로 전송되고 측정데이터베이스(30)에 저장되도록 하는 차량운행최종정보전송단계(S33)가 수행되도록 마련될 수도 있을 것이다.And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final destination by the operation of the vehicle 11, the zero-vehicle operation information (or information on the load (ton)) of the loaded cargo and the movement according to the operation The final vehicle operation information transmitting step (S33) is performed so that the final vehicle opera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distance (km) information is transmitted from the vehicle terminal 13 to the terminal server 20 and stored in the measurement database 30. Could be

이에 더하여 해당 차량(11)의 운행으로 하나 이상의 중간 목적지를 경유하여 운행하도록 할 경우에는, 각각의 경유하게 되는 경유지의 위치정보, 각각의 경유지에서 화물을 싣거나 내림에 따른 공차운행정보 또는 영차운행정보( 또는 해당 차량에서 하나 이상의 적재된 화물의 적재량(톤)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도 있음), 다시 해당 차량에 대해 하나 이상의 추가되어 적재될 경우에는 해당 화물의 적재량(톤)에 대한 정보, 그리고 다수의 중간 경유지를 경유하여 운행함에 따른 이동거리(킬로미터) 정보가 포함된 하나 이상의 차량운행중 정보가 차량단말기(13)에서 단말기서버(20)로 전송되고 측정데이터베이스(30)에 저장되도록 하는 차량운행중정보전송단계(S32)가 더 포함되어 수행되도록 마련될 수도 있는 것이다.In addition, when the vehicle 11 is to be operated via one or more intermediate destination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each waypoints, the tolerance operation information or the zero car operation according to loading or unloading cargo at each waypoint Information (or may contain information about the tonnage of one or more loaded cargoes in the vehicle), again information on the tonnage of the cargo, if one or more additional loads have been made for the vehicle, and One or more in-vehicle information including travel distance (kilometer) information as it travels through a plurality of intermediate waypoints is transmitted from the vehicle terminal 13 to the terminal server 20 and stored in the measurement database 30. The information transmission step (S32) may be further provided to be performed.

특히 차량(11)의 매일 하루를 단위로 운행단위를 정할 경우, 어느 운행일에서는 1번의 화물 운송만 적용될 수 있으므로, 상기 차량운행개시정보전송단계(S31)와 차량운행최종정보전송단계(S33)가 실시될 수 있고, 차량운행중정보전송단계(S32)는 생략되어 운영될 수도 있을 것이다. 물론 근거리 운행으로 여러 화물을 싣고 또 다른 화물을 내리게 될 경우에는 차량운행개시정보전송단계(S31)와 차량운행최종정보전송단계(S33)에 더하여, 차량운행중정보전송단계(S32)가 수회에 걸쳐 적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나아가 1회의 화물 운송이 장시간 소요됨으로 인하여 어느 날에는 차량운행개시정보전송단계(S31)만 수행될 수 있고, 또 다른 날에는 차량운행최종정보전송단계(S33)만 수행될 수도 있는 등, 상기 차량운행개시정보전송단계(S31), 차량운행중정보전송단계(S32), 그리고 차량운행최종정보전송단계(S33) 등은 화물 운송 여건에 알맞게 하여 운영될 수 있을 것이다.In particular, when the driving unit is determined on a daily basis of the vehicle 11, since only one freight transportation may be applied on a certain driving day, the vehicle operation start information transmission step S31 and the vehicle operation final information transmission step S33. May be implemented, the vehicle driving information transmission step (S32) may be omitted and operated. Of course, in the case of loading a plurality of cargo in a short-distance operation and another cargo to be unloaded, in addition to the vehicle operation start information transmission step (S31) and the vehicle operation final information transmission step (S33), the vehicle operation information transmission step (S32) over several times Might apply. Furthermore, because the one-time cargo transportation takes a long time, only one vehicle operation start information transmission step S31 may be performed on one day, and another vehicle operation final information transmission step S33 may be performed on another day. The operation start information transmission step (S31), the vehicle operation information transmission step (S32), and the vehicle operation final information transmission step (S33) may be operated according to the cargo transportation conditions.

이에 차량에 대한 운송에서의 이동거리의 연산은, 주로 GPS를 이용하여 연산하도록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물론 차량단말기(13)에서는 GPS 수단을 통하여 현재 차량의 위치에 대한 정보만 추출하여 단말기서버(20)로 전송하고, 이후 단말기서버(20) 또는 통제단말기(40) 등에서 지도정보를 이용하여 차량단말기 및 차량의 이동거리를 연산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을 것이다.Therefore, the calculation of the movement distance in the transport with respect to the vehicle, it is preferable to calculate mainly using GPS. Of course, the vehicle terminal 13 extracts only the information on the current position of the vehicle through the GPS means and transmits it to the terminal server 20, and then uses the map information from the terminal server 20 or the control terminal 40, etc. And it may be provided to calculate the moving distance of the vehicle.

그리고 다른 실시예를 살펴보면, 이처럼 이동거리의 연산이 단말기서버(20) 또는 통제단말기(40) 등에서 수행될 경우, 많은 수의 차량에 대한 이동거리를 단말기서버(20) 또는 통제단말기(40) 등에서 수행하게 되면 과부하로 정보처리가 곤란한 경우가 발생될 수도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해당 차량(11)의 운송에 따른 이동거리의 연산은 해당 차량(11)과 관련된 차량단말기(13)에서 연산한 후, 이동거리에 대한 정보를 단말기서버(20)로 전송하도록 마련될 수 있을 것이다.In another embodiment, when the movement distance is calculated in the terminal server 20 or the control terminal 40, the movement distance for a large number of vehicles may be performed in the terminal server 20 or the control terminal 40. If it is performed, it may be difficult to process the information due to overload. Accordingly, the calculation of the movement distance according to the transportation of the vehicle 11 may be performed by the vehicle terminal 13 associated with the vehicle 11 and then transmit information on the movement distance to the terminal server 20. There will be.

이에 해당 차량(11)의 차량단말기(13)에서는 GPS 또는 지도서비스를 이용하여 차량(11)의 운행에 따른 이동거리를 연산하도록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처럼 GPS를 통하여 해당 차량(11)의 현재위치에 대한 정보, 연산된 이동거리의 정보와 함께, 차량이 공차 상태인지, 영차상태인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단말기서버(20)로 전송하게 될 것이다. 아울러 영차상태로 운영되는 경우일 경우 적재된 화물의 적재량(톤)에 대한 정보도 전송되도록 마련될 수도 있을 것이다.Accordingly, the vehicle terminal 13 of the vehicle 11 may be configured to calculate a moving distance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vehicle 11 using a GPS or a map service. As described above, the information on the current position of the vehicle 11 and the calculated movement distance is transmitted to the terminal server 20 through the GPS as to whether the vehicle is in a tolerance state or a zero car state. In addition, in case of operating in the state of zero car, it may be arranged to transmit information about the load (ton) of the loaded cargo.

그리고 차량단말기(13)에서는 차량 운행에 따라 소모된 연료소모량에 대한 정보도 전송하도록 마련될 수 있을 것이다. 이는 이동거리로부터 차량의 연료 종류에 따른 연비계산을 통하여 소모된 연료를 산출하도록 실시될 수도 있을 것이다.In addition, the vehicle terminal 13 may also be provided to transmit information on the amount of fuel consumed as the vehicle runs. This may be performed to calculate the consumed fuel through the fuel economy calculation according to the fuel type of the vehicle from the travel distance.

이처럼 연료소모량 데이터 산출방식의 다른 실시로는, 해당 차량(11)에 설치된 연료측정모듈(15)에서 해당 차량(11)의 소모된 연료량의 데이터를 추출하도록 하여 차량단말기(13)로 전송되도록 마련될 수도 있을 것이다. 즉 도 15에서와 같이, 차량단말기(13)에서 연료측정모듈(15) 측으로 현재 연료사용상태 정보를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하게 되면, 연료측정모듈(15)에서는 현재 연료사용상태정보를 검출하여 차량단말기(13) 측으로 전송하게 되고, 차량단말기(13)에서는 전송된 데이터를 임시저장하게 될 것이다.As another embodiment of the fuel consumption data calculation method as described above, the fuel measurement module 15 installed in the vehicle 11 is configured to extract data of the consumed fuel amount of the vehicle 11 to be transmitted to the vehicle terminal 13. It could be. That is, as shown in FIG. 15, when the vehicle terminal 13 transmits a signal for requesting the current fuel usage state information to the fuel measurement module 15, the fuel measurement module 15 detects the current fuel usage state information. The terminal 13 will be transmitted to the terminal 13, and the vehicle terminal 13 will temporarily store the transmitted data.

이후 차량단말기(13)에서는 임시저장된 현재 연료사용상태정보의 데이터를 단말기서버(20) 측으로 전송하여 측정데이터베이스(30)에 저장되도록 하는 것이다.
After that, the vehicle terminal 13 transmits the data of the temporarily stored current fuel use state information to the terminal server 20 to be stored in the measurement database 30.

즉 이처럼 연산방법 또는 측정방식에 의하여 소모된 연료소모량에 대한 데이터는 일시 차량단말기(13)에 저장될 것이다. 그리고 해당 차량(11)의 차량단말기(13)에서 단말기서버(20) 측으로 연료소모의 데이터정보를 전송하여 측정데이터베이스(30)에 저장되도록 구비될 것이다.That is, the data on the fuel consumption consumed by the calculation method or the measurement method will be stored in the temporary vehicle terminal 13. In addition, the vehicle terminal 13 of the vehicle 11 will be provided to transmit the fuel consumption data information to the terminal server 20 side to be stored in the measurement database 30.

이와 같이 마련되는 본 발명에 있어서, 해당 차량(11)의 공차 정보, 또는 영차 정보 등 화물 운송에 대한 정보전송 및 저장에 대한 실시예시를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I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d as described above, an embodiment of information transmission and storage for freight transportation such as tolerance information or zero-car information of the vehicle 11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0 as follows.

우선 차량(11)의 운행에 있어, 공차운행의 경우에는 차량(11)에 화물을 적재하지 않고 운행하여 이동하게 되는 것으로, 차량(11) 운행자가 차량단말기(13)를 통하여 공차상태를 선택하고 전송하게 된다. 이에 공차의 데이터를 수신받은 단말기서버(20)에서는 해당 차량단말기가 등록된 사용자의 단말기로 판별된 경우에는 측정데이터베이스(30) 측으로 공차정보를 전송하여 저장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공차정보에는 GPS 수단을 통하여 제공된 정보에 의하여 연산된 공차상태의 이동거리의 정보도 포함되어 전송되도록 함으로써, 이후 일일공차누적정보연산과정 및 일간공차거리정보연산과정에 공차의 이동거리 데이터가 이용될 것이다.First, in the operation of the vehicle 11, in the case of tolerance driving, the vehicle 11 is moved without moving the cargo in the vehicle 11, and the operator of the vehicle 11 selects the tolerance state through the vehicle terminal 13 Will be sent. In the terminal server 20 receiving the tolerance data, if the vehicle terminal is determined as the terminal of the registered user, the tolerance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measurement database 30 to be stored. The tolerance information includes the movement distance information of the tolerance state calculated by the information provided through the GPS means, so that the movement distance data of the tolerance is used in the daily tolerance accumulation information calculation process and the daily tolerance distance information calculation process. Will be.

다음으로 차량(11)에 화물을 적재한 상태에서 이동되도록 하는 영차운행의 경우에는, 영차상태의 정보, 영차시 현위치에 대한 정보, 영차 상태로 이동된 경우에 이동거리, 화물의 적재량(톤) 정보, 그리고 소모된 연료소모량 정보 등과 같은 다양한 영차운행 정보가 차량단말기(13)에서 단말기서버(20) 측으로 전송될 것이다.Next, in the case of zero-vehicle operation such that the vehicle 11 is moved in a state in which the cargo is loaded, information on the state of the zero-car, information on the current position of the zero-car, the moving distance and the load of the cargo (ton ), And various zero-vehicle driving information, such as fuel consumption information, will be transmitted from the vehicle terminal 13 to the terminal server 20 side.

그리고 해당 차량단말기(13)가 등록된 단말기로 판별될 경우에는 전송된 데이터가 측정데이터베이스(30) 측으로 전송되어 저장될 것이다.
When the vehicle terminal 13 is determined as a registered terminal, the transmitted data will be transmitted to the measurement database 30 and stored.

이에 더하여 본 발명에 따른 측정시스템(10)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차량운행정보전송단계(S03)에서는 매번 입력되는 공차운행 이동거리, 영차운행 이동거리를 누적연산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고, 또한 매일 24시를 경과하는 시점에서 일간 공차거리, 영차거리를 연산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을 것이다.In addition, in the control method of the measurement system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vehicle driving information transmission step (S03) it may be provided to accumulate the tolerance driving movement distance, zero-car operation movement distance input every time, and also every day It may be arranged to calculate the daily tolerance distance and the zero difference distance at the time after 24 hours.

즉 도 6에서와 같이 측정데이터베이스(30)에서는, 저장된 해당 차량(11)의 공차운행 상태로 이동된 이동거리 정보에 대하여, 해당 차량(11)에 대한 공차운행 상태에서의 일일 이동거리를 누적하여 연산하여 일일공차누적거리의 데이터정보를 산출하고 산출된 일일공차누적거리의 데이터정보가 저장되도록 하는 일일공차거리누적정보연산단계(S34)가 수행될 것이다.That is, as shown in FIG. 6, the measurement database 30 accumulates the daily movement distance in the tolerance driving state with respect to the vehicle 11 with respect to the movement distance information stored in the tolerance driving state of the vehicle 11 stored therein. Computation of the daily tolerance distance accumulation information (S34) may be performed to calculate the data information of the daily tolerance accumulation distance and to store the calculated data of the daily tolerance accumulation distance.

그리고 측정데이터베이스(30)에서는 또한 저장된 해당 차량(11)의 영차운행 상태로 이동된 이동거리 정보에 대하여, 해당 차량(11)에 대한 영차운행 상태에서의 일일 이동거리를 누적하여 연산하여 일일영차누적거리의 데이터정보를 산출하고 산출된 일일영차누적거리의 데이터정보가 저장되도록 하는 일일영차거리누적정보연산단계(S35)가 수행될 것이다.In addition, the measurement database 30 also accumulates and calculates daily movement distances in the zero-vehicle driving state for the vehicle 11 with respect to the movement distance information moved to the zero-vehicle driving state of the vehicle 11 stored therein. The daily zero distance accumulation information calculating step (S35) of calculating the data information of the distance and storing the calculated data of the daily zero difference accumulation distance will be performed.

이처럼 차량단말기(13)로부터 전송되는 공차운행 시의 이동거리, 영차운행 시의 이동거리가 누적되어 연산된 후 저장되는 것이다.
As such, the moving distance during the tolerance driving and the zero driving distance accumulated from the vehicle terminal 13 is calculated and stored.

그리고 이에 더하여 측정데이터베이스(30)에서는 매일매일에 대한 일간 공차거리 또는 일간 영차거리를 연산하도록 실시될 수도 있을 것이다. 즉 매일 24시 00분(00초)을 기준으로 하여, 측정데이터베이스(30)에서는 저장된 해당 차량(11)의 일일공차누적거리의 데이터정보를 리딩하고, 일일공차누적거리의 데이터정보로부터 해당 일자의 전체 공차운행거리로 하는 일간공차거리를 연산하여 저장하도록 하는 일간공차거리정보연산단계(S36)가 수행될 것이다.In addition, the measurement database 30 may be implemented to calculate the daily tolerance distance or daily zero difference distance for each day. That is, on the basis of 24: 00 (00 seconds) every day, the measurement database 30 reads the data information of the daily tolerance accumulated distance of the vehicle 11 stored, and from the data information of the daily tolerance accumulated distance, Daily tolerance distance information calculation step (S36) to calculate and store the daily tolerance distance as the total tolerance travel distance will be performed.

또한 매일 24시 00분(00초)을 기준으로 하여, 측정데이터베이스(30)에서는 저장된 해당 차량(11)의 일일영차누적거리의 데이터정보를 리딩하고, 일일영차누적거리의 데이터정보로부터 해당 일자의 전체 영차운행거리로 하는 일간영차거리를 연산하여 저장하도록 하는 일간영차거리정보연산단계(S37)가 수행될 것이다.In addition, on the basis of 24: 00 (00 seconds) every day, the measurement database 30 reads data information of the daily zero-vehicle accumulation distance of the vehicle 11 stored therein, and from the data information of the daily zero-vehicle accumulation distance, The daily zero-vehicle distance information calculation step (S37) for calculating and storing the daily zero-vehicle distance as the total zero-vehicle driving distance will be performed.

이와 같이 매일 24시 00분을 기준으로 하여 매일 매일에 대한 일간의 공차운행거리정보, 영차운행거리정보가 연산되어 저장될 것이다.As such, on the basis of 24:00 every day, the daily distance travel distance information and the zero distance travel distance information for each day will be calculated and stored.

이렇게 연산된 일간공차거리정보 및 일간영차거리정보를 통하여 주간, 월간, 년간 등으로 하여 해당 차량의 운행의 이동거리를 살펴볼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공차운행거리율의 연산, 톤-킬로미터의 연산, 톤-킬로미터 당 탄소배출량의 연산 등의 과정을 수행하게 될 경우, 해당 이동거리의 데이터를 불러와 연산할 수 있을 것이다.
Through the calculated daily tolerance distance information and daily zero distance information, it will be possible to examine the moving distance of the operation of the vehicle by day, month, and year. In addition, when the process of calculating the tolerance distance distance, the calculation of ton-km, the calculation of carbon emissions per ton-km, etc., the data of the corresponding moving distance may be loaded and calculated.

이와 같이 차량단말기(13)에서 단말기서버(20)를 통하여 측정데이터베이스(30)측으로 차량(11)의 운행에 대한 정보가 전송되어 저장되는 것으로, 이후 본 발명에 따른 측정시스템(10)에서는 저장된 데이터를 리딩하여 다양한 내용의 연산처리를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차량관리의 효율을 기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As described above, information about the operation of the vehicle 11 is transmitted and stored from the vehicle terminal 13 to the measurement database 30 through the terminal server 20. The data stored in the measurement system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hen stored. By reading and performing arithmetic processing of various contents, it may be possible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vehicle management.

즉 도 12 내지 도 13 등에서와 같이, 통제단말기(40)에서 해당 차량(11)에 대한 차량정보, 영차운행정보, 공차운행정보, 영차운행 시의 적재된 화물의 적재량(톤) 정보, 위치정보, 이동거리(킬로미터) 정보 등, 차량의 운행에 따른 다양한 데이터정보를 측정데이터베이스(30) 측으로 요청하여 해당 데이터정보를 전송받고, 해당 차량(11)에 대한 영차운행거리, 공차운행거리, 화물의 적재량(톤)과 운행이동거리(킬로미터) 등에 따른 차량운행상태정보를 연산하도록 하며, 연산된 차량운행상태정보가 통제단말기(40)에서 측정데이터베이스(30) 측으로 전송되어 저장되도록 하는 차량운행상태정보연산단계(S04)가 수행될 것이다.That is, as shown in FIGS. 12 to 13, vehicle information, zero-vehicle operation information, tolerance operation information, loading amount (ton) information of the loaded cargo at the time of zero-vehicle opera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for the corresponding vehicle 11 in the control terminal 40. Request various data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vehicle, such as moving distance (km), to the measurement database 30 and receive the corresponding data information, and the zero-vehicle driving distance, the tolerance driving distance, and the cargo of the vehicle 11. Vehicle driving status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load (ton) and travel distance (km), etc., and the vehicle driving status information is transmitted so that the calculated vehicle driving status information is transmitted from the control terminal 40 to the measurement database 30 side and stored. The calculation step S04 will be performed.

그리고 이렇게 연산된 해당 차량(11)의 차량운행상태정보가 통제단말기(40)의 화면에 표시되도록 하는 차량운행상태정보표시단계(S05)가 수행될 것이다. 따라서 통제단말기(40)의 운영자가 표시된 차량운행상태정보를 보고 내용을 쉽게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And the vehicle driving state information display step (S05) to display the vehicle driving state information of the vehicle 11 calculated in this way on the screen of the control terminal 40 will be performed. Therefore, the operator of the control terminal 40 can easily check the contents by looking at the displayed vehicle driving status information.

이러한 상기 차량운행상태정보연산단계(S04) 중에서, 우선 도 12에서와 같이, 해당 차량(11)에 대해서, 차량(11)에 화물이 적재되어 운행된 영차운행 상태의 영차운행이동거리와, 화물이 적재되지 않은 상태인 공차운행 상태의 공차운행이동거리의 합에 대하여, 공차운행 상태의 공차운행이동거리와의 비율인 공차운행거리율을 연산하도록 하는 공차운행거리율정보연산단계(S410)가 수행될 것이다.In the vehicle driving state information calculation step (S04), first, as shown in FIG. 12, the zero-vehicle travel distance and the cargo of the zero-vehicle driving state in which the cargo 11 is loaded and operated on the vehicle 11. Tolerance travel distance rate information operation step (S410) to calculate the tolerance travel distance ratio, which is a ratio with the tolerance travel distance of the tolerance travel state, with respect to the sum of the tolerance travel distances of the tolerance travel state in the unloaded state Will be performed.

이에 공차운행거리율정보연산단계(S410)는, 통제단말기(40)에서 측정데이터베이스(30) 측으로, 해당 차량(11)에 대한 해당 일자의 공차운행 상태의 일간공차거리 정보, 영차운행 상태의 일간영차거리 정보를 요청하여 전송받는 일간운행거리정보요청단계(S411)가 수행될 것이다.The tolerance distance distance information operation step (S410), from the control terminal 40 to the measurement database 30 side, the daily tolerance distance information of the tolerance operation state of the corresponding date for the vehicle 11, the daily operation state of the zero vehicle operation state Daily operation distance information request step (S411) to request and receive the zero-car distance information will be performed.

그리고 측정데이터베이스(30)로부터 일간공차거리 정보 및 일간영차거리 정보를 전송받은 통제단말기(40)에서,And in the control terminal 40 received the daily tolerance distance information and daily zero distance distance information from the measurement database 30,

(공차운행거리율) = (공차운행거리) / (공차운행거리 + 영차운행거리),(Tolerance distance) = (tolerance distance) / (tolerance distance + zero distance),

로 하여 공차운행거리율이 연산되도록 하는 공차운행거리율연산단계(S412)가 수행될 것이다.Tolerance driving distance ratio calculation step (S412) to be calculated so that the tolerance travel distance rate will be performed.

이후 통제단말기(40)에서 연산된 공차운행거리율 데이터가 측정데이터베이스(30)로 전송되어 저장되도록 하는 공차운행거리율저장단계(S413)가 수행될 것이다.
Thereafter, the tolerance travel distance rate storing step (S413) for allowing the tolerance travel distance rate data calculated by the control terminal 40 to be transmitted to and stored in the measurement database 30 will be performed.

다음으로, 도 13에서와 같이 해당 차량(11)에 적재되는 차량적재능력(톤)과, 평균적재율(%)과, 해당 차량(11)의 총 영차운행이동거리(킬로미터)의 곱으로 하여 산출되거나, 또는 직접 리딩된 화물 적재량(톤)과 총 영차운행이동거리(킬로미터)의 곱으로 하여 산출될 수도 있는 톤-킬로미터의 데이터를 연산하도록 하는 톤-킬로미터정보연산단계(S420)가 수행될 것이다.Next, as shown in FIG. 13, it is calculated by multiplying the vehicle loading capacity (ton) loaded on the vehicle 11, the average loading rate (%), and the total zero-vehicle travel distance (km) of the vehicle 11. Tone-km information operation step S420 may be performed to calculate the data of ton-km, which may be calculated by multiplying or directly reading the cargo load (ton) and the total zero travel distance (km). .

이에 상기 톤-킬로미터정보연산단계(S420)는, 통제단말기(40)에서 측정데이터베이스(30) 측으로, 해당 차량(11)의 화물 적재량(톤)(적재 가능한 화물의 차량적재능력(톤) 또는 직접 리딩된 화물 적재량(톤) 등)의 정보, 해당 차량(11)에 대한 해당 일자의 운행에 따른 일간이동거리 정보(특히 총 영차운행 이동거리의 정보)를 포함하는 일간운행정보를 요청하여 전송받는 일간운행거리정보요청단계(S421)가 수행될 것이다.The tone-km information operation step (S420), from the control terminal 40 to the measurement database 30 side, the load capacity (ton) of the vehicle 11 (vehicle loading capacity (ton) of the applicable load or directly Requested and received daily operation information, including information on the amount of cargo loaded (tons), and daily travel distances (especially information on the total zero car travel distance)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corresponding day for the vehicle 11 Daily travel distance information request step (S421) will be performed.

이에 직접 리딩된 화물 적재량(톤)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화물주가 입력하여 등록되어 저장된 적재량(톤), 차량의 운행자가 입력하여 저장된 적재량(톤), 나아가 차량에 장착된 화물무게측정기에서 센싱되고 입력되어 저장된 적재량(톤) 중에서 어느 한 가지의 적재량(톤)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cargo load (tons) directly read is sensed by the cargo owner's input and registered loads (tons), the vehicle's operator inputs and stored loads (tons), and furthermore, by the cargo weighing machine mounted on the vehicle. Any of the loads (tons) of the input and stored loads (tons) may be applied.

또한 이처럼 직접 리딩된 화물 적재량(톤) 정보의 형태로 측정데이터베이스(30)에 저장된 경우에는, 통제단말기(40)에서 '적재량(톤)'의 데이터 요청시, 측정데이터베이스(30)에서는 저장된 '적재량(톤)'정보데이터를 응답신호와 함께 전송하게 될 것이고, 이에 통제단말기(40)에서는 직접 리딩된 형태의 '적재량(톤)' 데이터를 그대로 연산과정에 적용하여 수행하게 될 것이다.In addition, when stored in the measurement database 30 in the form of directly loaded cargo (ton) information in this way, when the request of the 'load (ton)' data from the control terminal 40, the measurement database (30) stored 'load amount (Tone) 'information data will be transmitted along with the response signal, so that the control terminal 40 will be carried out by directly applying the' load (ton) 'data in the form directly read in the calculation process.

반면 이처럼 직접 리딩된 화물 적재량(톤) 정보의 형태로 측정데이터베이스(30)에 저장되지 않고, '차량적재능력(톤)'의 정보형태로 저장된 경우에는, 통제단말기(40)로부터 '적재량(톤)'의 데이터 요청의 신호를 수신받은 측정데이터베이스(30)에서는 '적재량(톤)'에 대응되는 '차량적재능력(톤)'의 데이터를 응답신호와 함께 통제단말기(40) 측으로 전송하게 된다. 이에 통제단말기(40)에서는 측정데이터베이스(30)에서 '적재량(톤)' 대신 '차량적재능력(톤)'의 정보임을 포함한 응답신호와 함께 '차량적재능력(톤)'의 데이터를 수신받음을 판별하게 된다. 따라서 통제단말기(40)에서는 '차량적재능력(톤)'의 데이터임으로 판별한 경우에는, '차량적재능력(톤)'에 해당하는 '평균적재율(%)'과 대응되는 수치값을 저장된 테이블 데이터로부터 리딩하게 되고, 따라서 '적재율(톤) = '차량적재능력(톤)' X '평균적재율(%)'로 하는 추가 연산과정을 더 수행하여 '적재율(톤)'의 데이터를 산출하도록 수행될 수도 있을 것이다.
On the other hand, when not stored in the measurement database 30 in the form of directly loaded cargo load (ton) information in the form of 'vehicle loading capacity (ton)' information, from the control terminal 40 'load (ton) The measurement database 30 receiving the signal of the data request of ')' transmits the data of the 'vehicle loading capacity (ton)' corresponding to the 'loading amount (ton)' together with the response signal to the control terminal 40 side. Accordingly, the control terminal 40 receives the data of the vehicle loading capacity (ton) with the response signal including the information of the vehicle loading capacity (ton) instead of the loading capacity (ton) in the measurement database 30. Will be determined. Therefore, when the control terminal 40 determines that the vehicle load capacity (ton) is the data, the table data storing the numerical value corresponding to the 'average load rate (%)' corresponding to the vehicle load capacity (ton) Leading to a calculation of 'load rate (tons) =' vehicle load capacity (tons) 'x' average load rate (%) 'to yield data of' load rate (tons) '. Could be

그리고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통하여, 측정데이터베이스(30)로부터 일간운행정보를 전송받은 통제단말기(40)에서, 통제단말기(40)에 저장된 해당 차량(11)의 화물적재 가능의 차량적재능력(톤) 정보에 해당하는 평균적재율 테이블 데이터를 리딩하여,And, through such a series of processes, in the control terminal 40 received the daily operation information from the measurement database 30, the vehicle loading capacity (tons) of the cargo load of the vehicle 11 stored in the control terminal 40 By reading the average load factor table data for your information,

(톤-킬로미터) = (차량의 화물 적재량(톤)) X (영차운행 이동거리(킬로미터)),(Ton-kilometers) = (cargo loads in tonnes) X (zero kilometers traveled),

로 하여 톤-킬로미터 데이터가 연산되도록 하는 톤-킬로미터연산단계(S422)가 수행될 것이다.Tone-km operation step (S422) to calculate the ton-km data will be performed.

그리고 여기에서 '적재량(톤)'이 '차량적재능력(톤)'으로 될 경우에는, (톤-킬로미터) = (차량적재능력(톤)) X (평균적재율) X (영차운행 이동거리(킬로미터))으로 하여 연산될 수도 있을 것이다.And here, when the 'toning capacity' becomes 'vehicle loading capacity (tons)', (ton-kilometers) = (vehicle loading capacity (tons)) X (average loading rate) X (zero vehicle travel distance (kilometers) May be computed as

물론 이러한 톤-킬로미터연산단계(S422)는, 해당 화물 차량(11)에 대한 '직접 리딩된 화물적재량(톤)'으로 될 경우에는, 화물 적재량(톤) X 영차운행 이동거리(킬로미터)로 하여 톤-킬로미터 데이터가 연산되어 산출되도록 실시될 수도 있을 것이다.Of course, such a ton-kilometer operation step (S422), when it becomes a 'directly loaded cargo load (tons)' for the cargo vehicle 11, as a cargo load (tons) X zero car operating distance (km) Ton-km data may be implemented to be calculated and calculated.

이후 통제단말기(40)에서 연산된 톤-킬로미터 데이터가 측정데이터베이스(30)로 전송되어 저장되도록 하는 톤-킬로미터저장단계(S423)가 수행될 것이다.
Thereafter, the tone-km storage step S423 for transmitting the tone-km data calculated by the control terminal 40 to the measurement database 30 and storing it will be performed.

다음으로, 도 14에서와 같이 해당 차량(11)의 운행일에 배출된 탄소배출량을 상기 톤-킬로미터의 데이터값으로 나눈 값으로 하는 톤-킬로미터 당 탄소배출량을 연산하도록 하는 탄소배출정보연산단계(S430)가 수행될 것이다.Next, as shown in FIG. 14, the carbon emission information calculation step of calculating the carbon emission amount per ton-kilometer, which is obtained by dividing the carbon emission amount discharged on the driving day of the vehicle 11 by the data value of the ton-kilometer ( S430) will be performed.

이러한 상기 탄소배출정보연산단계(S430)는, 통제단말기(40)에서 측정데이터베이스(30) 측으로, 해당 차량(11)의 화물이 적재된 적재량(톤)(즉 적재 가능한 화물의 차량적재능력(톤)의 정보, 또는 직접 리딩된 화물 적재량(톤) 등으로 하는 정보)의 정보, 해당 차량(11)에 대한 해당 일자의 운행에 따른 일간운행 이동거리 정보를 포함하는 일간운행정보로 주로 총 영차운행이동거리의 정보와, 해당 차량(11)에 대한 해당 일자에 소모된 연료량 정보를 포함하는 일간연료사용정보를 요청하여 전송받는 일간연료사용정보요청단계(S431)가 수행될 것이다.The carbon emission information calculation step (S430), from the control terminal 40 to the measurement database 30 side, the loading amount (ton) of the load of the vehicle 11 (that is, the vehicle loading capacity of the loadable cargo (ton) ), Or information on the directly loaded cargo load (tons), etc., and daily opera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daily operation distance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corresponding date for the vehicle 11, mainly the total zero-car operation. Daily fuel use information request step S431 of requesting and receiving daily fuel use information including information on the moving distance and fuel amount information consumed on the corresponding date for the vehicle 11 will be performed.

그리고 측정데이터베이스(30)로부터 차량적재능력(톤)이 포함된 일간운행정보와 일간연료사용정보를 전송받은 통제단말기(40)에서, 통제단말기(40)에 저장된 해당 차량(11)의 화물적재 가능의 차량적재능력(톤)의 정보에 해당하는 평균적재율 테이블 데이터를 리딩한 경우에는,And in the control terminal 40 received the daily operation information and the daily fuel use information including the vehicle loading capacity (tons) from the measurement database 30, it is possible to load the cargo of the vehicle 11 stored in the control terminal 40 When reading the average loading rate table data corresponding to the information on the vehicle loading capacity of tons,

(톤-킬로미터) = (차량적재능력(톤)) X (평균적재율) X (영차운행 이동거리(킬로미터)), 로 하여 톤-킬로미터 데이터가 연산되도록 실시될 수도 있을 것이다.(Ton-kilometer) = (vehicle loading capacity (ton)) X (average loading rate) X (zero-mile travel distance (kilometer)), may be implemented to calculate the ton-km data.

또한 직접 리딩된 화물 적재량(톤)의 정보를 수신받은 경우에는, In addition, if you receive information on the cargo load (tons) directly read,

(톤-킬로미터) = (화물 적재량(톤)) X (영차운행 이동거리(킬로미터)), 로 하여 톤-킬로미터 데이터가 연산되도록 실시될 수도 있을 것이다.(Ton-kilometers) = (cargo loads (tons)) X (zero-mile travel distance (kilometers)), may be implemented to calculate the ton-kilometer data.

이처럼 상기 연상방식에 의하여 연산된 상기 톤-킬로미터 데이터와 함께 해당 연료에 따른 탄소배출상수데이터를 리딩하여,In this way, along with the ton-km data calculated by the associative method, the carbon emission constant data corresponding to the fuel is read.

(톤-킬로미터 당 탄소배출량)(Carbon emissions per ton-kilometer)

= (사용연료량(리터)) X (탄소배출상수데이터)/(톤-킬로미터 데이터),     = (Fuel quantity (liter)) X (carbon emission constant data) / (ton-km data),

로 하여 톤-킬로미터 당 탄소배출량 데이터가 연산되도록 하는 탄소배출량연산단계(S432)가 수행될 것이다.As such, a carbon emission calculation step S432 for calculating carbon emission data per ton-kilometer may be performed.

이후 통제단말기(40)에서 연산된 톤-킬로미터 당 탄소배출량 데이터가 측정데이터베이스(30)로 전송되어 저장되도록 하는 탄소배출량저장단계(S433)가 수행될 것이다.
Thereafter, the carbon emission amount storage step S433 for transmitting the carbon emission amount data per ton-km calculated by the control terminal 40 to the measurement database 30 is stored.

이와 같이 구비되는 본 발명에 따른 저탄소녹색물류를 위한 톤-킬로미터 당 탄소배출 및 공차운행거리율 측정시스템(10)에 대하여, 도 2를 참조하여 실시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With reference to Figure 2 with respect to the carbon emissions per ton-kilometer for the low carbon green logistic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d as described above and the tolerance distance distance measurement system 10, as follows.

우선 서울 상차지에서 차량(11)에 A화물을 적재하여 출발 한 후, 천안 하차지에서 A화물을 하차하게 된다. 이러한 운행은 화물을 싣고 운행하는 것이므로 영차운행상태로 하여 운행되고, A화물을 싣고 이동한 영차운행의 이동거리는 100Km가 될 것이며, 이에 소모된 연료는 대략 경유 40리터로 측정될 것이다.First, A cargo is loaded onto the vehicle 11 at the Seoul loading site and then A cargo is dropped off at Cheonan. Since this operation is carried with cargo, it is operated in the state of zero-car operation, and the traveling distance of the zero-car operation with cargo A will be 100 km, and the fuel consumed will be measured by approximately 40 liters of diesel.

따라서 차량단말기(13)에서는 상차지인 서울에서 A화물을 적재하면서 이에 대한 적재 정보를 단말기서버(20)로 전송하여 측정데이터베이스(30)에 저장될 것이다.Therefore, the vehicle terminal 13 will load the cargo A in the loading place in Seoul, and transfer the loading information on the terminal server 20 will be stored in the measurement database 30.

그리고 상차지인 서울에서 천안의 하차지로 이동하는 중에 차량단말기(13)에서는 GPS 수단을 통하여 각 시기별로의 현재위치 및 운행에 따른 이동거리를 연산하여 저장하게 될 것이다. 이후 천안의 하차지에서는 A화물의 하차에 대한 정보와 함께, 영차운행 상태의 이동거리 100Km, 소모된 연료소모량 경유 40리터 등의 정보를 단말기서버(20)로 전송하게 될 것이다.The vehicle terminal 13 will calculate and store the moving position according to the current position and operation for each period through the GPS means while moving from the loading place Seoul to the drop-off place in Cheonan. Afterwards, at the stop of Cheonan, along with information on getting off of cargo A, information such as a travel distance of 100 km and a fuel consumption of 40 liters of fuel consumption will be transmitted to the terminal server 20.

이에 단말기서버(20)에서는 측정데이터베이스(30)에 차량단말기(13)로부터 전송받은 A화물에 대한 영차운행 정보를 전송함으로써 저장될 것이다.In the terminal server 20 will be stored by transmitting the zero-car operation information for the cargo A received from the vehicle terminal 13 to the measurement database 30.

또한 측정데이터베이스(30)에서는 저장되어 있던 해당 차량(13)에 대한 그 날의 일간영차누적데이터를 리딩하여, 새로 차량단말기(13)로부터 전송되었던 영차상태의 이동거리를 합산하여 다시 새로운 일간영차누적데이터를 산출한 후 저장하도록 실시될 것이다.In addition, the measurement database 30 reads the daily zero-vehicle accumulated data for the vehicle 13 stored therein, adds the movement distances of the zero-vehicle state newly transmitted from the vehicle terminal 13, and again accumulates the new daily zero-vehicle accumulation. The data will be calculated and stored.

이에 해당 차량(11)에 있어서는 해당하는 날에서는 A화물의 영차 운행이 최초 이므로, 새로운 데이터의 갱신 없이 총 일일영차누적이동거리는 100Km가 될 것이다.Accordingly, in the vehicle 11, since the zero-car operation of A cargo is the first time on the corresponding day, the total daily zero-car cumulative movement distance will be 100 km without updating new data.

이처럼 A화물에 대한 영차운행 상태 이후, 차량은 천안에서 B화물을 적재하게 되므로, B화물에 대해서는 천안은 새로운 상차지가 될 것이다.After the zero-car operation for cargo A, the vehicle will load cargo B in Cheonan, so Cheonan will be a new vehicle for cargo B.

그리고 B화물을 적재한 영차운행의 정보는 다시 단말기서버(20)로 전송되어 측정데이터베이스(30)에 저장될 것이다.And the zero-car operation information loaded with the cargo B will be transmitted to the terminal server 20 and stored in the measurement database 30.

이후 B화물을 적재한 차량(11)은 수원에서 B화물을 하차하게 되는 것으로, B화물에 대해서는 수원은 하차지가 될 것이다.After that, the vehicle 11 loaded with cargo B will get off the cargo B at the water source. For the cargo B, the water source will be disembarked.

그리고 차량단말기(13)에서는 GPS 수단을 통하여 각 시기마다 현재의 위치에 대한 데이터를 제공받고, 아울러 B화물에 대한 영차운행 상태의 이동거리를 연산하게 될 것이다.In addition, the vehicle terminal 13 is provided with data on the current position at each time through the GPS means, and calculates the moving distance of the zero-car driving state for the B cargo.

또한 연료측정모듈(15)로부터 경유 소모의 연료소모량이 20리터로 하는 데이터를 전송받게 될 것이다.In addition, the fuel measurement module 15 will receive data of 20 liters of fuel consumption of diesel fuel consumption.

따라서 차량단말기(13)에서는 B화물에 대한 영차운행 상태 정보, 즉 B화물의 영차운행 상태 이동거리 50Km, 경유의 연료소모량 20리터 등으로 하는 영차운행 정보를 단말기서버(20)로 전송하여 측정데이터베이스(30)에 저장될 것이다.Accordingly, the vehicle terminal 13 transmits zero-car operation state information for the cargo B, that is, zero-car operation information such as 50 km of the zero-car operation state moving distance of the cargo, 20 liters of diesel fuel, and the like to the terminal server 20 to measure the database. Will be stored at 30.

그리고 측정데이터베이스(30)에서는 일일영차누적이동거리의 데이터를 리딩하여, 새로이 B화물에 대한 영차운행의 이동거리를 기존의 일일영차누적이동거리에 합산하여 새로이 갱신된 일일영차누적이동거리로 산출 한 후, 다시 산출된 일일영차누적이동거리의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한다. 즉 최초 A화물에 대한 일일영차누적이동거리 100Km에 더하여, B화물에 대한 영차 이동거리 50Km가 합산된 갱신된 일일영차누적이동거리는 150Km가 되는 것이다.
In addition, the measurement database 30 reads the data of daily zero cumulative cumulative movement distance, and calculates the newly updated daily zero cumulative cumulative movement distance by adding the movement distance of the zero car operation for the B cargo to the existing daily zero cumulative accumulation distance. After that, the data of the calculated daily zero cumulative accumulation distance is stored again. In other words, in addition to the 100Km daily zero accumulation distance for the first cargo, the 50Km zero vehicle movement distance for the cargo B is 150Km.

다음으로 해당 차량(11)은 수원에서 B화물을 하차한 후, 더 이상 화물을 싣지 않은 공차운행의 상태로 하여 서울의 출발지로 운행하게 되는 바, 수원에서 공차운행 상태임에 대한 공차운행 정보를 차량단말기(13)에서 단말기서버(20) 측으로 전송하게 되는 것이다.Next, after the vehicle 11 gets off the cargo at Suwon, the vehicle 11 is operated as a starting point of Seoul in a state of no-load operation, and thus the tolerance operation information for the state of tolerance operation in Suwon. The vehicle terminal 13 is to be transmitted to the terminal server 20 side.

이에 서울로 복귀하던 중, 공차운행 상태의 복귀거리 40Km를 지나는 시점에서 그 날의 24시 00분이 경과됨에 따라, 차량단말기(13)에서는 GPS 수단을 통하여 해당 시기에서의 현위치 및 공차운행 상태의 이동거리를 연산하여 저장하게 된다. 그리고 수원의 경유지로부터 복귀 거리 40Km 까지 운행하면서 소모된 연료소모량 정보를 연료측정모듈(15)로부터 전송받는 바, 이에 소모된 연료는 10리터로 전송받게 된다.Accordingly, when returning to Seoul, the passing distance of 40Km in the tolerant driving state elapsed at 24:00 on the day, the vehicle terminal 13 used the GPS means to determine the current position and the tolerant driving state at that time. The movement distance is calculated and stored. In addition, the fuel consumption information is transmitted from the fuel measurement module 15 while traveling to the return distance of 40 km from the waypoint of the water source, and the consumed fuel is transmitted to 10 liters.

그리고 이러한 공차운행 상태의 정보로, 공차운행 상태의 이동거리 40Km, 소모된 경유의 연료량 10리터 등으로 하는 공차운행 정보가 차량단말기(13)에서 단말기서버(20)로 전송되고, 또한 측정데이터베이스(30)에 저장될 것이다.As the information of the tolerance driving state, the tolerance driving information such as the travel distance of 40Km in the tolerance driving state, the amount of fuel oil consumed 10 liters, etc. is transmitted from the vehicle terminal 13 to the terminal server 20, and the measurement database ( 30).

아울러 측정데이터베이스(30)에서는 일일공차누적이동거리의 데이터를 리딩하여, 새로이 전송된 공차운행 상태의 이동거리 40Km가 합산되는 것인바, 해당 차량(11)의 예에서는 공차운행 상태가 그날에는 처음 있는 것이므로, 총 일일공차누적이동거리는 40Km가 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에 소모된 연료소모량은 10리터가 될 것이다.In addition, the measurement database 30 reads the data of daily tolerance accumulated movement distance, and the newly transmitted movement distance 40Km of the tolerance driving state is added. In the example of the vehicle 11, the tolerance driving state is the first in the day. The total daily tolerance cumulative movement distance is 40 km. And the fuel consumption will be 10 liters.

이후 계속해서 해당 화물 차량(11)은 서울로 복귀하는 것으로, 계속 복귀거리는 10Km, 소모된 연료는 2.5리터 등으로 하는 공차운행 정보는 차량단말기(13)에서 단말기서버(20)로 전송되고 저장될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계속 복귀에 따른 공차운행 상태의 정보는 다음날의 정보로 하여 일일누적계산 및 일간 누적거리로 하여 포함될 것이다.
Afterwards, the cargo vehicle 11 continues to return to Seoul, and the tolerance driving information such that the return distance is 10 km and the consumed fuel is 2.5 liters is transmitted from the vehicle terminal 13 to the terminal server 20 and stored. will be. And the information of the tolerance operation state according to this continuous return will be included as the information of the next day as the daily cumulative calculation and the daily cumulative distance.

이처럼 해당 차량(11)이 운행 중에, 24시 00분이 경과됨으로써, 측정데이터베이스(30)에서는 해당 차량(11)에 대한 일일공차누적이동거리, 일일영차누적이동거리의 데이터를 리딩하여, 해당 날에 이동되었던 일간공차거리 및 일간영차거리의 데이터를 산출하게 되고, 아울러 산출된 데이터가 다시 저장될 것이다.
As such, since the vehicle 11 is in operation, 24:00 has elapsed, the measurement database 30 reads the data of the daily tolerance accumulation distance and the daily zero difference accumulation distance for the vehicle 11, on the day. The calculated daily tolerance distance and daily zero distance data will be calculated, and the calculated data will be stored again.

이후 통제단말기(40)에서는 해당 차량(11)에 대하여, 해당 날짜에 운행되었던 영차운행 정보 및 공차운행 정보를 요청하여 공차운행거리율, 톤-킬로미터, 톤-킬로미터 당 탄소배출량을 연산하게 될 것이다.After that, the control terminal 40 requests the zero-vehicle operation information and the tolerance operation information that were operated on the date for the vehicle 11 to calculate the tolerance distance ratio, the ton-km, and the carbon emission per ton-km. .

우선 공차운행거리율의 연산을 살펴보면, 해당 차량(11)의 일간 영차운행의 이동거리는 150Km가 될 것이고, 일간 공차운행의 이동거리는 40Km가 될 것이다.First, looking at the calculation of the tolerance distance distance, the daily zero-vehicle moving distance of the vehicle 11 will be 150Km, the daily distance will be 40Km moving distance.

따라서 공차운행거리율은 ((40Km) / (40Km + 150Km)) X 100(%) = 21.1%가 될 것이다.
Therefore, the tolerance distance ratio will be ((40Km) / (40Km + 150Km)) X 100 (%) = 21.1%.

다음으로 해당 차량(11)에 대한 톤-킬로미터의 연산을 보면, 해당 차량(11)에 대해서, (톤-킬로미터) = (차량적재능력(톤)) X (평균적재율) X (영차운행 이동거리(킬로미터)), 또는 직접 리딩된 화물 적재량(톤) X (영차운행 이동거리(킬로미터)) 등으로 될 수 있는 것으로, 여기서 차량적재능력(톤)은 차량종류에 따른 적재능력톤수를 말하는 것으로, 최초 해당 차량(11), 차량단말기(13), 운행자의 정보가 등록되는 절차 중에, 통제단말기(40)를 통하여 측정데이터베이스(30)에 저장되도록 실시될 수 있을 것이다.Next, the calculation of tonne-km for the vehicle 11 shows that, for the vehicle 11, (ton-km) = (vehicle loading capacity (tons)) X (average loading rate) X (zero vehicle travel distance). (Kilometers)), or directly read cargo loads (tons) X (zero-mileage travel distance (kilometers)), etc., where the vehicle load capacity (tons) refers to the load capacity tonnage according to the type of vehicle, During the procedure of initially registering the vehicle 11, the vehicle terminal 13, and the driver's information, the vehicle 11, the vehicle terminal 13, and the driver's information may be implemented to be stored in the measurement database 30 through the control terminal 40.

또한 직접 리딩된 화물적재량(톤)이란, 도 13과 같이 화물 차량(11)을 통해 화물을 운송하고자 하는 자(즉 화물주)로부터 운송의뢰 받을 때 화물 적재량을 통지받아 통제단말기(40)를 통하여 측정데이터베이스(30)에 저장되도록 하는 경우, 또는 차량(11) 운행자가 차량단말기(13)에 직접 입력함으로써 측정데이터베이스(30)에 저장되도록 하는 경우, 또는 화물무게를 직접 측정하도록 하는 화물무게측정기(미도시됨)에서 차량단말기(13)로 측정 무게 값을 전송하도록 한 후 차량단말기(13)에서 측정데이터베이스(30)에 저장되도록 하는 경우 등, 실제적으로 화물 차량(11)에 적재되는 화물의 실질 무게를 측정데이터베이스(30)에 저장되도록 한 후, 이러한 실질 화물의 데이터를 직접 리딩하도록 하는 화물 적재량(톤)을 말한다.In addition, the directly loaded cargo load (tons), as shown in Figure 13 when receiving a freight request from the person who wants to transport the cargo through the cargo vehicle 11 (that is, the cargo owner) is notified of the cargo load through the control terminal 40 In the case where it is to be stored in the measurement database 30, or when the operator of the vehicle 11 is directly input to the vehicle terminal 13 to be stored in the measurement database 30, or a cargo weight measuring instrument to directly measure the cargo weight ( (Not shown) to transmit the measured weight value to the vehicle terminal 13, and then to store the measured weight value in the measurement database 30 in the vehicle terminal 13, such as the actual substance of the cargo loaded on the cargo vehicle 11 After the weight is stored in the measurement database 30, it refers to the cargo load (tons) to read the data of the actual cargo directly.

이에 대해 도 2의 예에서, 해당 차량의 차량적재능력(톤)은 25톤으로 하여 정하여질 수 있을 것이다.On the other hand, in the example of FIG. 2, the vehicle loading capacity (ton) of the vehicle may be determined to be 25 tons.

그리고 평균적재율은 차량종류(적재능력톤수) 별로 하여 적재되는 화물의 적재량의 비율로 하여 정하여질 수 있을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차량종류(적재능력톤수) 별로 하여 평균적재율을 일정 상수값으로 하는 테이블 데이터로 하여 통제단말기(40) 또는 측정데이터베이스(30)에 저장되도록 실시될 수도 있을 것이다.The average loading rate may be determined as the ratio of the load of cargo loaded by vehicle type (toning capacity tonnage). Preferably, it may be implemented to be stored in the control terminal 40 or the measurement database 30 as table data in which the average loading rate is a constant value for each vehicle type (loading tonnage).

이에 평균적재율은 해당 차량의 차량종류(적재능력톤수)에 따라 상수값으로 하여 정하여짐에, 본 예시에서는 영차운행 상태일 경우에는 평균적재율(%)이 100%로 하여 적용되어 연산되도록 하고, 공차운행 상태일 경우에는 적재된 화물이 0%이므로 평균적재율이 적용되지 않도록 하여 본 실시예에서 산출하도록 예를 보일 수 있다.Therefore, the average loading rate is determined as a constant value according to the vehicle type (loading capacity tonnage) of the vehicle.In this example, the average loading rate (%) is applied as 100% when the vehicle is in a zero-vehicle operation, and the tolerance is calculated. In the operating state, since the loaded cargo is 0%, an example may be shown to calculate in this embodiment so that the average loading rate is not applied.

따라서 해당 차량(11)에 대해서, A화물 -> B화물 -> 공차 등으로 하는 화물의 운행에 있어서, 톤-킬로미터의 연산은,Therefore, with respect to the vehicle 11, in the operation of a cargo such as A cargo-> B cargo-> tolerance, the calculation of ton-km

(25톤) X (100%, 상수값 적용예) X (100Km + 50Km) = 3,750 톤-킬로미터,(25 tons) X (100%, constant value application) X (100Km + 50Km) = 3,750 tons-km,

로 하여 연산될 것이다. 이에 평균적재율은 100%, 즉 계산값은 '1'이 될 것이다.
Will be calculated. The average loading rate will be 100%, that is, the calculated value will be '1'.

다른 실시예시인 직접 리딩된 실시예를 적용하는 경우로 살펴보면, 직접 리딩된 화물적재량 정보가 25톤으로 될 경우로 하여, (25톤) X (100Km + 50Km) = 3,750 톤-킬로미터가 된다.
In the case of applying another embodiment, a directly read embodiment, the case where the directly loaded cargo load information is 25 tons, (25 tons) X (100 km + 50 km) = 3,750 tons-km.

그리고 톤-킬로미터 당 탄소배출량의 연산을 보면, 상기 톤-킬로미터의 연산값에 더하여, 해당 차량의 운행에 따른 탄소배출량을 연산하도록 하는 것이다.And the calculation of carbon emissions per ton-km, in addition to the calculation value of the ton-km, to calculate the carbon emissions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vehicle.

이에 해당 차량은 경유를 이용하게 되므로, 경유의 경우 1리터당 탄소배출량인 탄소배출상수데이터는 2590g으로 하여 탄소가 배출될 것이다.In this case, the vehicle uses diesel oil, and thus, carbon emission constant data, which is a carbon emission amount per liter, will be 2590g, and carbon will be emitted.

이에 해당 차량의 운행 중 경유 연료 소모량은, A화물 운송시 40리터, B화물 운송시 20리터, 24시 00분까지의 공차 운송시 10리터 등으로 되고,The diesel fuel consumption during the operation of the vehicle is 40 liters for A cargo, 20 liters for B cargo, and 10 liters for tolerancing up to 24:00.

(톤-킬로미터 당 탄소배출량) = (사용연료량(리터)) X (탄소배출상수데이터)/(톤-킬로미터 데이터) = (40리터 + 20리터 + 10리터) X (2590g) / (3,750톤-킬로미터) = 48.3 (g/톤-킬로미터)가 될 것이다.(Carbon emission per ton-kilometer) = (Used fuel (liter)) X (Carbon emission constant data) / (Ton-km / km data) = (40 liters + 20 liters + 10 liters) X (2590 g) / (3,750 tons) Kilometers) = 48.3 (g / ton-kilometers).

여기서 탄소배출량은 해당 연료에 있어서 1리터당 배출되는 탄소배출량에 대한 데이터로, 이러한 탄소배출량의 상수 데이터는 연료별로 하는 상수값으로 하여 테이블 데이터로 통제단말기(40) 또는 측정데이터베이스(30)에 저장되어 이용되도록 실시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러한 탄소배출량의 상수 데이터는 다른 연료 또는 다른 장치에서 탄소배출량을 연산하고자 할 경우에는 이에 따른 분류된 상수값으로 하여 정하여질 수 있을 것이다.
Here, the carbon emission amount is data on the carbon emission amount per liter of the fuel, and the constant data of the carbon emission amount is stored in the control terminal 40 or the measurement database 30 as table data as a constant value for each fuel. It may be implemented to be used. In addition, the constant data of the carbon emissions may be determined as a constant valu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calculation of the carbon emissions from other fuels or other devices.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저탄소녹색물류를 위한 톤-킬로미터 당 탄소배출 및 공차운행거리율 측정시스템(10)에 의하면, 화물을 적재하여 운행하게 되는 차량에 대해, 영차운행 상태, 공차운행 상태에 따른 공차운행거리율을 손쉽게 산출하게 되고, 이로써 공차운행 개선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총 운행 거리 중에서 공차운행 비율을 손쉽게 산출하기 때문에 공차운행 개선 목표를 수립할 수 있을 것이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carbon emission and tolerance distance measurement system 10 per ton-kilometer for the low carbon green logistic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load, the tolerance according to the zero-car operation state, the tolerance operation state It is easy to calculate the mileage ratio, thereby improving the tolerance operation. In other words, it is easy to calculate the tolerance ratio of the total mileage, so it will be possible to establish a tolerance improvement target.

그리고 연료측정모듈로부터 전송받는 해당 차량의 연료소모량을 검출하고, 이러한 연료소모량 및 운행의 이동거리를 통해서 적재된 화물의 톤-킬로미터 당 발생된 탄소발생율을 산출하기 때문에, 화주기업이나 운송사가 화물차의 운영효율을 분석하여 개선목표를 수립, 실천하고, 개선효과를 실시간으로 수치 측정을 통해서 알 수 있으므로 녹색물류에 이바지할 수 있는 것이다.
Since the fuel consumption of the vehicle received from the fuel measurement module is detected, and the fuel consumption and the moving distance of the vehicle are calculated, the carbon generation rate per tonne-kilometer of the loaded cargo is calculated. By analyzing the operational efficiency, it is possible to contribute to green logistics because it can establish and implement improvement goals and know the improvement effect through numerical measurement in real time.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일실시예를 기재한 것이므로, 상기 실시예의 기재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but since the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interpreted limitedly.

10 : 측정시스템 11 : 차량
13 : 차량단말기 15 : 연료측정모듈
20 : 단말기서버 21 : 일일공차거리누적연산부
22 : 일일영차거리누적연산부 23 : 일간공차거리연산부
24 : 일간영차거리연산부 30 : 측정데이터베이스
40 : 통제단말기 41 : 공차운행거리율연산부
42 : 톤-킬로미터연산부 43 : 탄소배출량연산부
10: measuring system 11: vehicle
13: vehicle terminal 15: fuel measurement module
20: terminal server 21: daily tolerance distance calculation unit
22: daily zero distance accumulation operation unit 23: daily tolerance distance operation unit
24: daily zero distance calculation unit 30: measurement database
40: control terminal 41: tolerance distance calculation unit
42: ton-km calculation unit 43: carbon emission calculation unit

Claims (12)

차량(11)의 운행자가 이용하는 차량단말기(13)와, 차량단말기(13)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수신받아 처리하는 단말기서버(20)와, 단말기서버(20)로부터 전송된 데이터가 저장되는 측정데이터베이스(30)와, 측정데이터베이스(30)에 저장된 데이터를 전송받아 정보처리를 수행하는 통제단말기(40)가 구비된 측정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방법에 있어서,
차량(11)에 대한 정보, 차량(11)의 운행자 및 차량단말기(13)에 대한 정보가 통제단말기(40)를 통하여 측정데이터베이스(30)에 전송 및 저장되어 등록절차가 진행되도록 하는 차량정보등록단계(S01);
측정데이터베이스(30)에 저장되어 등록된 차량(11)의 차량단말기(13)가 단말기서버(20)에 접속되고 접속에 대한 정보데이터가 측정데이터베이스(30)에 저장되도록 하여 차량단말기(13)가 단말기서버(20)에 로그인되도록 하는 차량단말기로그인단계(S02);
해당 차량(11)의 운행 시, 화물이 적재되지 않은 상태인 공차운행의 정보 또는 화물이 적재된 상태인 영차운행에 대한 정보, 영차 상태 또는 공차상태로 운행하는 위치정보, 그리고 해당 차량(11)의 운행에 따른 이동정보가 포함된 차량운행정보가 차량단말기(13)에서 단말기서버(20) 측으로 전송되고 측정데이터베이스(30)에 저장되도록 하는 차량운행정보전송단계(S03);
통제단말기(40)에서 해당 차량(11)에 대한 차량정보, 해당 차량(11)의 영차정보, 공차정보, 위치정보, 이동거리(킬로미터) 정보에 대한 데이터정보를 측정데이터베이스(30) 측으로 요청하여 해당 데이터정보를 전송받고, 해당 차량(11)에 대한 화물의 적재량(톤)과 운행이동거리(킬로미터)에 따른 차량운행상태정보를 연산하도록 하며, 연산된 차량운행상태정보가 통제단말기(40)에서 측정데이터베이스(30) 측으로 전송되어 저장되도록 하는 차량운행상태정보연산단계(S04);
연산된 해당 차량(11)의 차량운행상태정보가 통제단말기(40)의 화면에 표시되도록 하는 차량운행상태정보표시단계(S05);
가 포함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탄소녹색물류를 위한 톤-킬로미터 당 탄소배출 및 공차운행거리율 측정시스템의 제어방법.
A vehicle terminal 13 used by the driver of the vehicle 11, a terminal server 20 for receiving and processing data transmitted from the vehicle terminal 13, and a measurement database storing data transmitted from the terminal server 20. 30 and a control method for controlling a measurement system having a control terminal 40 for receiving information stored in the measurement database 30 and performing information processing,
Information on the vehicle 11, information about the operator of the vehicle 11 and the vehicle terminal 13 is transmitted and stored in the measurement database 30 through the control terminal 40 to register the vehicle information to proceed with the registration procedure Step S01;
The vehicle terminal 13 of the vehicle 11 stored and registered in the measurement database 30 is connected to the terminal server 20 so that the information data on the connection is stored in the measurement database 30 so that the vehicle terminal 13 is stored. A vehicle terminal login step (S02) for logging in to the terminal server 20;
When the vehicle 11 is operated, information on the tolerance operation in which no cargo is loaded or information on the zero-car operation in which the cargo is loaded, location information operating in the state of the zero car or the tolerance, and the vehicle 11 Vehicle driving information transmission step (S03) for transmitting the vehicle driving information including the movement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vehicle terminal 13 from the vehicle terminal 13 to the terminal server 20 and stored in the measurement database 30;
The control terminal 40 requests the vehicle information on the vehicle 11, data of the vehicle information of the vehicle 11, tolerance information, location information, moving distance (km) information to the measurement database 30 side Receives the corresponding data information, and calculates the vehicle operation status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load amount (ton) and the moving distance (km) of the cargo for the vehicle 11, the calculated vehicle driving status information is the control terminal 40 Vehicle driving state information calculation step (S04) to be transmitted to and stored in the measurement database (30) at the;
Vehicle driving state information display step S05 of displaying the calculated vehicle driving state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vehicle 11 on the screen of the control terminal 40;
Control method of the carbon emissions per ton-km and tolerance distance measurement system for low carbon green logistic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운행정보전송단계(S03)는,
해당 차량(11)의 운행개시에 따라, 적재시의 위치정보, 해당 차량(11)에 화물이 적재된 영차운행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는 차량운행개시 정보가 차량단말기(13)에서 단말기서버(20)로 전송되고 측정데이터베이스(30)에 저장되도록 하는 차량운행개시정보전송단계(S31);
해당 차량(11)의 운행으로 최종 목적지의 위치정보, 해당 차량(11)에서의 영차정보와, 운행에 따른 이동거리(킬로미터) 정보가 포함된 차량운행최종 정보가 차량단말기(13)에서 단말기서버(20)로 전송되고 측정데이터베이스(30)에 저장되도록 하는 차량운행최종정보전송단계(S33)가 포함되고,
해당 차량(11)의 운행에 대해서, 하나 이상의 중간 목적지의 위치정보, 해당 차량에서 화물이 적재되어 운행된 복수 회의 영차운행에 대한 정보, 복수 회의 영차운행 및 공차운행에 따른 이동거리(킬로미터) 정보가 포함된 하나 이상의 차량운행중 정보가 차량단말기(13)에서 단말기서버(20)로 전송되고 측정데이터베이스(30)에 저장되도록 하는 차량운행중정보전송단계(S32)가 더 포함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탄소녹색물류를 위한 톤-킬로미터 당 탄소배출 및 공차운행거리율 측정시스템의 제어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vehicle driving information transmission step (S03),
According to the start of operation of the vehicle 11, vehicle operation start information including position information at the time of loading and information on a zero-car operation in which cargo is loaded in the vehicle 11 is displayed on the terminal server 20 in the vehicle terminal 13. Vehicle start start information transmission step (S31) to be transmitted to and stored in the measurement database 30;
The vehicle operation final information including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final destination, the zero-car information in the vehicle 11, and the travel distance (km) according to the operation by the operation of the vehicle 11 is the terminal server in the vehicle terminal 13. A vehicle driving final information transmission step (S33) to be transmitted to 20 and stored in the measurement database 30,
Regarding the operation of the vehicle 11, location information of one or more intermediate destinations, information on a plurality of zero-car operation in which cargo is loaded in the vehicle, and a travel distance (km) according to multiple-car operation and a tolerance operation At least one vehicle driving information including the vehicle driving information transmission step (S32) to be transmitted from the vehicle terminal 13 to the terminal server 20 and stored in the measurement database 30,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urther provided Control method of carbon emission and tolerancing distance rate measurement system per ton-kilometer for low carbon green logistic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운행정보전송단계(S03)는,
측정데이터베이스(30)에서 저장된 해당 차량(11)의 공차 상태로 이동된 이동거리 정보를 리딩하고, 해당 차량(11)에 대한 공차 상태에서의 일일 이동거리를 누적하여 연산하여 일일공차누적거리의 데이터정보를 산출하고 산출된 일일공차누적거리의 데이터정보를 저장하도록 하는 일일공차거리누적정보연산단계(S34);
측정데이터베이스(30)에서 저장된 해당 차량(11)의 영차 상태로 이동된 이동거리 정보를 리딩하고, 해당 차량(11)에 대한 영차 상태에서의 일일 이동거리를 누적하여 연산하여 일일영차누적거리의 데이터정보를 산출하고 산출된 일일영차누적거리의 데이터정보를 저장하도록 하는 일일영차거리누적정보연산단계(S35);
매일 24시 00분을 기준으로 하여, 측정데이터베이스(30)에서 저장된 해당 차량(11)의 일일공차누적거리의 데이터정보를 리딩하고, 일일공차누적거리의 데이터정보로부터 해당 일자의 전체 공차거리로 하는 일간공차거리를 연산하여 저장하도록 하는 일간공차거리정보연산단계(S36);
매일 24시 00분을 기준으로 하여, 측정데이터베이스(30)에서 저장된 해당 차량(11)의 일일영차누적거리의 데이터정보를 리딩하고, 일일영차누적거리의 데이터정보로부터 해당 일자의 전체 영차거리로 하는 일간영차거리를 연산하여 저장하도록 하는 일간영차거리정보연산단계(S37);
가 포함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탄소녹색물류를 위한 톤-킬로미터 당 탄소배출 및 공차운행거리율 측정시스템의 제어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vehicle driving information transmission step (S03),
Reading the moving distance information moved to the tolerance state of the vehicle 11 stored in the measurement database 30, and accumulates and calculates the daily movement distance in the tolerance state for the vehicle 11, the data of the daily tolerance accumulated distance A daily tolerance distance accumulation information calculation step of calculating information and storing data information of the calculated daily tolerance accumulation distance (S34);
Reading the moving distance information moved to the zero vehicle state of the vehicle 11 stored in the measurement database 30, and accumulates and calculates the daily movement distance in the zero vehicle state for the vehicle 11 to calculate the daily zero difference accumulated distance data. A daily zero distance accumulation information calculating step of calculating the information and storing data information of the calculated daily zero difference accumulated distance (S35);
On the basis of 24:00 every day, the data information of the daily tolerance accumulated distance of the vehicle 11 stored in the measurement database 30 is read, and the total tolerance distance of the corresponding date is determined from the data information of the daily tolerance accumulated distance. A daily tolerance distance information calculation step of calculating and storing the daily tolerance distance (S36);
On the basis of 24: 00 every day, the data information of the daily zero difference accumulated distance of the vehicle 11 stored in the measurement database 30 is read, and the total zero difference distance of the corresponding day is determined from the data information of the daily zero difference accumulated distance. A daily zero-distance distance information calculation step (S37) to calculate and store the daily zero-distance distance;
Control method of the carbon emissions per ton-km and tolerance distance measurement system for low carbon green logistic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운행상태정보연산단계(S04)는,
해당 차량(11)에 대해서, 차량(11)에 화물이 적재되어 운행된 영차 상태의 운행이동거리와 화물이 적재되지 않은 상태인 공차 상태의 운행이동거리의 합에 대하여, 공차 상태의 운행이동거리와의 비율인 공차운행거리율을 연산하도록 하는 공차운행거리율정보연산단계(S410);
해당 차량(11)에 적재되는 적재량(톤)과, 해당 차량(11)의 총 영차운행이동거리(킬로미터)의 곱으로 되는 톤-킬로미터의 데이터를 연산하도록 하는 톤-킬로미터정보연산단계(S420);
해당 차량(11)의 운행일에 배출된 탄소배출량을 상기 톤-킬로미터의 데이터값으로 나눈 값으로 하는 톤-킬로미터 당 탄소배출량을 연산하도록 하는 탄소배출정보연산단계(S430);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연산단계가 포함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탄소녹색물류를 위한 톤-킬로미터 당 탄소배출 및 공차운행거리율 측정시스템의 제어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vehicle driving state information calculation step (S04),
With respect to the vehicle 11, the travel travel distance of the tolerance state with respect to the sum of the travel travel distance of the zero-car state in which the cargo 11 is loaded and operated, and the travel travel distance of the tolerance state in which the cargo is not loaded. A tolerance traveling distance rate information operation step of calculating a tolerance traveling distance rate, which is a ratio between and (S410);
Ton-km information calculation step (S420) to calculate the data of the ton-km which is a product of the load amount (tons) loaded on the vehicle 11 and the total zero-vehicle travel distance (km) of the vehicle (11) ;
A carbon emission information calculation step (S430) for calculating a carbon emission amount per ton-kilometer by dividing the carbon emission amount discharged on the driving day of the vehicle 11 by the data value of the ton-km;
Control method of the carbon emissions per ton-km and tolerance distance measurement system for low carbon green logistics, characterized in that any one or more information operation step is included.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공차운행거리율정보연산단계(S410)는,
통제단말기(40)에서 측정데이터베이스(30) 측으로, 해당 차량(11)에 대한 해당 일자의 공차 상태의 일간공차거리 정보, 영차 상태의 일간영차거리 정보를 요청하여 전송받는 일간운행거리정보요청단계(S411);
측정데이터베이스(30)로부터 일간공차거리 정보 및 일간영차거리 정보를 전송받은 통제단말기(40)에서,
(공차운행거리율) = (공차운행거리) / (공차운행거리 + 영차운행거리),
로 하여 공차운행거리율이 연산되도록 하는 공차운행거리율연산단계(S412);
통제단말기(40)에서 연산된 공차운행거리율 데이터가 측정데이터베이스(30)로 전송되어 저장되도록 하는 공차운행거리율저장단계(S413)가 포함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탄소녹색물류를 위한 톤-킬로미터 당 탄소배출 및 공차운행거리율 측정시스템의 제어방법.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tolerance travel distance rate information operation step (S410),
From the control terminal 40 to the measurement database 30 side, the daily operating distance information request step of receiving and transmitting the daily tolerance distance information of the tolerance state of the corresponding day, the daily zero distance distance of the zero vehicle state for the vehicle 11 ( S411);
In the control terminal 40 received the daily tolerance distance information and the daily zero distance information from the measurement database 30,
(Tolerance distance) = (tolerance distance) / (tolerance distance + zero distance),
Tolerance traveling distance rate operation step (S412) so that the tolerance travel distance rate is calculated as;
Tone for low-carbon green logistic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tolerance travel distance rate storage step (S413) for allowing the tolerance distance distance data calculated in the control terminal 40 is transmitted to and stored in the measurement database (30) Control method of carbon emission and tolerance distance measurement system per kilometer.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톤-킬로미터정보연산단계(S420)는,
통제단말기(40)에서 측정데이터베이스(30) 측으로, 해당 차량(11)의 화물의 적재량(톤)의 정보, 해당 차량(11)에 대한 해당 일자의 운행에 따른 일간이동거리 정보를 포함하는 일간운행정보를 요청하여 전송받는 일간운행거리정보요청단계(S421);
측정데이터베이스(30)로부터 일간운행정보를 전송받은 통제단말기(40)에서,
(톤-킬로미터) = (차량의 화물 적재량(톤)) X (영차운행 이동거리(킬로미터)),
로 하여 톤-킬로미터 데이터가 연산되도록 하는 톤-킬로미터연산단계(S422);
통제단말기(40)에서 연산된 톤-킬로미터 데이터가 측정데이터베이스(30)로 전송되어 저장되도록 하는 톤-킬로미터저장단계(S423)가 포함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탄소녹색물류를 위한 톤-킬로미터 당 탄소배출 및 공차운행거리율 측정시스템의 제어방법.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tone-km information operation step (S420),
From the control terminal 40 to the measurement database 30 side, the daily operation including the information of the load (tons) of the cargo of the vehicle 11, the daily travel distance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corresponding date for the vehicle 11 A daily mileage information request step of requesting and receiving information (S421);
In the control terminal 40 received the daily operation information from the measurement database 30,
(Ton-kilometers) = (cargo loads in tonnes) X (zero kilometers traveled),
Ton-km operation step so that the ton-km data is calculated (S422);
Per tonne-kilometer for low-carbon green logistic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tone-km storage step (S423) is provided so that the tone-km data calculated by the control terminal 40 is transmitted to the measurement database 30 and stored. Control method of carbon emission and tolerance distance measurement system.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배출정보연산단계(S430)는,
통제단말기(40)에서 측정데이터베이스(30) 측으로, 해당 차량(11)의 화물의 적재량(톤)의 정보, 해당 차량(11)에 대한 해당 일자의 운행에 따른 일간운행 이동거리 정보를 포함하는 일간운행정보와, 해당 차량(11)에 대한 해당 일자에 소모된 연료량 정보를 포함하는 일간연료사용정보를 요청하여 전송받는 일간연료사용정보요청단계(S431);
측정데이터베이스(30)로부터 일간운행정보와 일간연료사용정보를 전송받은 통제단말기(40)에서,
(톤-킬로미터) = (차량의 화물 적재량(톤)) X (영차운행 이동거리(킬로미터)),
로 하여 톤-킬로미터 데이터가 연산되도록 하고,
상기 톤-킬로미터 데이터와 함께 해당 연료에 따른 탄소배출상수데이터를 리딩하여,
(톤-킬로미터 당 탄소배출량)
= (사용연료량(리터)) X (탄소배출상수데이터)/(톤-킬로미터 데이터),
로 하여 톤-킬로미터 당 탄소배출량 데이터가 연산되도록 하는 탄소배출량연산단계(S432);
통제단말기(40)에서 연산된 톤-킬로미터 당 탄소배출량 데이터가 측정데이터베이스(30)로 전송되어 저장되도록 하는 탄소배출량저장단계(S433)가 포함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탄소녹색물류를 위한 톤-킬로미터 당 탄소배출 및 공차운행거리율 측정시스템의 제어방법.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carbon emission information operation step (S430),
From the control terminal 40 to the measurement database 30 side, the daily including the information of the load (tons) of the cargo of the vehicle 11, the daily travel distance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corresponding date for the vehicle 11 A daily fuel use information request step S431 of requesting and receiving daily fuel use information including driving information and fuel amount information consumed on the corresponding date for the vehicle 11;
In the control terminal 40 received the daily operation information and the daily fuel usage information from the measurement database 30,
(Ton-kilometers) = (cargo loads in tonnes) X (zero kilometers traveled),
To calculate the tone-km data,
By reading the carbon emission constant data according to the fuel with the ton-km data,
(Carbon emissions per ton-kilometer)
= (Fuel quantity (liter)) X (carbon emission constant data) / (ton-km data),
A carbon emission calculation step (S432) for calculating carbon emission data per ton-kilometer;
Ton for low-carbon green logistic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arbon emissions storage step (S433) to be stored in the carbon emissions data per tonne-km calculated by the control terminal 40 is transmitted to the measurement database (30). Control method of carbon emission and tolerance distance measurement system per kilometer.
차량(11)의 운행자가 이용하는 차량단말기(13)와,
차량단말기(13)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수신받아 처리하는 단말기서버(20)와,
단말기서버(20)로부터 전송된 데이터가 저장되는 측정데이터베이스(30)와,
측정데이터베이스(30)로부터 저장된 데이터를 전송받아 처리하는 통제단말기(40)가 구비된 측정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방법에 있어서,
해당 차량(11)에 대한 연료소모정보, 해당 차량(11)이 운행되어 이동되는 위치정보, 이동거리정보, 해당 차량(11)의 위치에 따라 화물이 적재된 상태로 운행된 영차운행정보 또는 화물이 적재되지 않은 상태로 운행된 공차운행정보에 대한 데이터가 해당 차량(11)과 관련된 차량단말기(13)에서 단말기서버(20) 측으로 전송되어 측정데이터베이스(30)에 저장되도록 하는 단계와,
측정데이터베이스(30)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은 통제단말기(40)에서, 해당 차량(11)에 화물이 적재되어 운행된 영차 상태의 운행이동거리와 화물이 적재되지 않은 상태인 공차 상태의 운행이동거리의 합에 대해서 공차 상태로 운행된 운행이동거리의 비율인 공차운행거리율의 데이터를 연산하도록 하고, 해당 차량(11)에 적재되는 화물의 적재량(톤)과, 해당 차량(11)의 총 영차운행이동거리(킬로미터)의 곱으로 되는 톤-킬로미터의 데이터를 연산하도록 하며, 해당 차량(11)의 운행일에 배출된 탄소배출량을 상기 톤-킬로미터의 데이터값으로 나눈 값으로 하는 톤-킬로미터 당 탄소배출량의 데이터를 연산하도록 하고, 연산된 공차운행거리율 데이터, 톤-킬로미터 데이터, 톤-킬로미터 당 탄소배출량 데이터가 측정데이터베이스(30)에 전송되어 저장되도록 하는 단계가 포함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탄소녹색물류를 위한 톤-킬로미터 당 탄소배출 및 공차운행거리율 측정시스템의 제어방법.
A vehicle terminal 13 used by the driver of the vehicle 11,
A terminal server 20 for receiving and processing data transmitted from the vehicle terminal 13;
A measurement database 30 in which data transmitted from the terminal server 20 is stored;
In a control method for controlling a measurement system having a control terminal 40 for receiving and processing the data stored in the measurement database 30,
Fuel consumption information for the vehicle 11, location information to which the vehicle 11 is driven and moved, moving distance information, and zero-car operation information or cargo operated with cargo loaded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vehicle 11 Transmitting the data on the tolerance driving information which is operated in an unloaded state from the vehicle terminal 13 associated with the vehicle 11 to the terminal server 20 and stored in the measurement database 30;
In the control terminal 40 receiving the data from the measurement database 30, the travel distance of the zero-car operation state in which the cargo is loaded and operated in the vehicle 11 and the travel movement distance of the tolerance state in which the cargo is not loaded. Compute the data of the tolerance travel distance ratio, which is the ratio of the travel distance operated in the tolerance state with respect to the sum, and the load amount (ton) of the cargo loaded in the vehicle 11 and the total zero vehicle operation of the vehicle 11 Calculate the tonne-km data multiplied by the distance traveled in kilometers, and the carbon emissions per tonne-km divided by the tonne-kilometres divided by the tonne-km data. To calculate the data of the emissions, the calculated tolerance distance rate data, ton-km data, carbon emissions data per ton-km is transmitted to the measurement database 30 to be stored. The control method of the carbon emissions per ton-km and tolerance distance measurement system for low-carbon green logistic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with a step.
제 1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해당 차량(11)에 설치된 연료측정모듈(15)에서 해당 차량(11)의 소모된 연료량의 데이터를 추출하도록 하여 차량단말기(13)로 전송되도록 하고,
해당 차량(11)의 차량단말기(13)에서 단말기서버(20) 측으로 연료소모의 데이터정보를 전송하여 측정데이터베이스(30)에 저장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탄소녹색물류를 위한 톤-킬로미터 당 탄소배출 및 공차운행거리율 측정시스템의 제어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8,
The fuel measurement module 15 installed in the vehicle 11 extracts data of the amount of fuel consumed by the vehicle 11 and transmits the data to the vehicle terminal 13.
Carbon per ton-kilometer for low-carbon green logistics, characterized in that the vehicle terminal 13 of the vehicle 11 is provided to transmit the fuel consumption data information from the terminal server 20 side to be stored in the measurement database 30 Control method of emission and tolerance distance measurement system.
차량(11)의 운행자가 이용하는 차량단말기(13)와,
차량단말기(13)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수신받아 처리하는 단말기서버(20)와,
단말기서버(20)로부터 전송된 데이터가 저장되는 측정데이터베이스(30)와,
측정데이터베이스(30)로부터 저장된 데이터를 전송받아 처리하는 통제단말기(40)가 포함되어 구비되고,
상기 통제단말기(40)는, 해당 차량(11)의 화물 적재량(톤)에 대한 정보, 해당 차량(11)의 연료정보, 해당 차량(11)의 운행자에 대한 휴대전화번호정보, 해당 차량(11)이 이용되는 지역의 위치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가 포함된 차량등록정보가 측정데이터베이스(30) 측으로 전송되어 저장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차량단말기(13)는, 해당 차량(11)에 적재된 화물의 적재량(톤)에 대한 정보, 해당 차량(11)의 위치정보, 해당 차량(11)의 운행에 따른 운행이동거리(킬로미터)에 대한 정보, 해당 차량(11)의 연료소모 정보가 포함된 차량운행정보가 단말기서버(20)로 전송되어 측정데이터베이스(30)에 저장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통제단말기(40)는, 해당 차량(11)과 관련된 차량운행정보를 측정데이터베이스(30)로부터 전송받고, 해당 차량(11)에 화물이 적재되어 운행된 영차 상태의 운행이동거리와 화물이 적재되지 않은 상태인 공차 상태의 운행이동거리의 합에 대해서 공차 상태로 운행된 운행이동거리의 비율인 공차운행거리율의 데이터를 연산하도록 하고, 해당 차량(11)에 적재되는 적재량(톤)과, 해당 차량(11)의 총 영차운행이동거리(킬로미터)의 곱으로 되는 톤-킬로미터의 데이터를 연산하도록 하며, 해당 차량(11)의 운행일에 배출된 탄소배출량을 상기 톤-킬로미터의 데이터값으로 나눈 값으로 하는 톤-킬로미터 당 탄소배출량의 데이터를 연산하도록 하고, 연산된 공차운행거리율 데이터, 톤-킬로미터 데이터, 톤-킬로미터 당 탄소배출량 데이터가 측정데이터베이스(30)에 전송되어 저장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단말기서버(20)는, 차량단말기(13)로부터 전송된 차량운행정보를 수신하여 측정데이터베이스(30)에 저장되도록 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탄소녹색물류를 위한 톤-킬로미터 당 탄소배출 및 공차운행거리율 측정시스템.
A vehicle terminal 13 used by the driver of the vehicle 11,
A terminal server 20 for receiving and processing data transmitted from the vehicle terminal 13;
A measurement database 30 in which data transmitted from the terminal server 20 is stored;
It includes a control terminal 40 for receiving and processing the data stored in the measurement database 30,
The control terminal 40, the load information (ton) of the vehicle 11, the fuel information of the vehicle 11, the mobile phone number information for the operator of the vehicle 11, the vehicle 11 Vehicle registration information including any one or more information of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region is used is transmitted to the measurement database 30 side and stored,
The vehicle terminal 13 may include information on a load amount (ton) of cargo loaded in the vehicle 11, location information of the vehicle 11, and a moving distance (km)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vehicle 11. Vehicle opera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information on the fuel consumption information of the vehicle 11 is transmitted to the terminal server 20 and stored in the measurement database 30,
The control terminal 40 receives vehicle operation information related to the vehicle 11 from the measurement database 30, and loads the moving distance and the cargo in the state of the zero car in which the cargo is loaded and operated in the vehicle 11. Calculating the data of the tolerance travel distance ratio, which is the ratio of the travel travel distance operated in the tolerance state, with respect to the sum of the travel travel distances in the tolerant state, which is not in the idle state, Compute the tone-km data, which is the product of the total zero-vehicle travel distance (kilometers) of the vehicle (11), and the carbon emissions emitted on the operating day of the vehicle (11) as the data value of the ton-km Calculate the data of carbon emissions per ton-km divided by the calculated value, and the calculated tolerance distance rate data, ton-km data and carbon emission data per ton-km are measured database 30 Is provided to be transmitted are stored,
The terminal server 20, receiving the vehicle driving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vehicle terminal 13 to be stored in the measurement database 30, characterized in that the carbon emissions and tolerances per tonne-km for low-carbon green logistics Distance measurement system.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통제단말기(40)에는,
해당 차량(11)에 화물의 적재되어 운행된 영차운행이동거리에 대하여 화물이 적재되지 않고 운행된 공차운행이동거리와의 비율인 공차운행거리율을 연산하여 추출하도록 하는 공차운행거리율연산부(41)와,
해당 차량(11)에 적재된 화물의 적재량(톤)에 따른 영차운행 상태의 이동거리(킬로미터)를 연산하여 추출하도록 하는 톤-킬로미터연산부(42)와,
상기 톤-킬로미터연산부(42)로부터 연산된 해당 차량(11)의 영차운행에 따른 톤-킬로미터의 연산데이터와, 해당 차량(11)의 소모연료량(리터) 당 탄소배출량에 대한 데이터, 그리고 해당 차량(11)에 적재된 화물의 적재량(톤)과 영차운행 이동거리(킬로미터)에 대한 톤-킬로미터 당 탄소배출량의 데이터를 연산하여 추출하는 탄소배출량연산부(43)가 포함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탄소녹색물류를 위한 톤-킬로미터 당 탄소배출 및 공차운행거리율 측정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0,
In the control terminal 40,
Tolerance driving distance calculation unit 41 for calculating and extracting a tolerance driving distance ratio, which is a ratio with the tolerance driving travel distance, in which no cargo is loaded, with respect to a zero-car movement traveling distance loaded with cargo in the vehicle 11. )Wow,
A ton-km calculation unit 42 for calculating and extracting a moving distance (km) in a zero-car operation state according to a load amount (ton) of cargo loaded in the vehicle 11;
Calculation data of tons-kms according to zero-vehicle operation of the vehicle 11 calculated from the tone-km calculation unit 42, data on carbon emissions per liter of fuel consumption (liter) of the vehicle 11, and the vehicle And a carbon emission calculation unit 43 for calculating and extracting data of carbon emissions per ton-kilometer for the loading amount (ton) and the zero-vehicle moving distance (km) of the cargo loaded in (11). Carbon emission and tolerance distance measurement system per tonne-kilometer for low carbon green logistics.
제 10항 또는 제 11항에 있어서,
해당 차량(11)에 설치되어 운행으로 소모된 연료소모량의 데이터를 검출하도록 하는 연료측정모듈(15)이 더 구비되고,
상기 연료측정모듈(15)에서 검출된 소모된 연료소모량에 대한 데이터가 해당 차량(11)의 차량단말기(13)를 통하여 단말기서버(20)로 전송되어 측정데이터베이스(30)에 저장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탄소녹색물류를 위한 톤-킬로미터 당 탄소배출 및 공차운행거리율 측정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0 or 11,
It is further provided with a fuel measuring module 15 installed in the vehicle 11 to detect the data of the fuel consumption consumed by driving,
The data on the consumed fuel consumption detected by the fuel measurement module 15 is transmitted to the terminal server 20 through the vehicle terminal 13 of the vehicle 11 is stored to be stored in the measurement database 30 Features a carbon emission and tolerance distance measurement system per tonne-kilometer for low carbon green logistics.
KR1020100087485A 2010-09-07 2010-09-07 Measuring system of carbon emission volume and empty vehicle trip distance per ton-kilometer for low carbon green logistic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17242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7485A KR101172429B1 (en) 2010-09-07 2010-09-07 Measuring system of carbon emission volume and empty vehicle trip distance per ton-kilometer for low carbon green logistics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7485A KR101172429B1 (en) 2010-09-07 2010-09-07 Measuring system of carbon emission volume and empty vehicle trip distance per ton-kilometer for low carbon green logistics and control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5223A true KR20120025223A (en) 2012-03-15
KR101172429B1 KR101172429B1 (en) 2012-08-10

Family

ID=461316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7485A KR101172429B1 (en) 2010-09-07 2010-09-07 Measuring system of carbon emission volume and empty vehicle trip distance per ton-kilometer for low carbon green logistics and control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2429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2879B1 (en) * 2012-04-25 2014-05-12 전자부품연구원 Method and system for calculating carbon exhaust quantity of traffic means automatically
KR101472041B1 (en) * 2013-04-30 2014-12-15 전자부품연구원 Method for calculating carbon dioxide production of transported goods and system using the same
CN106873453A (en) * 2017-01-24 2017-06-20 东南大学 A kind of carbon emission intelligent monitoring and emission-reducing system with Intelligent logistics fork truck as carri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8155A (en) 2014-12-05 2016-06-15 육상조 Price setting system for goods traffic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0783B1 (en) 2008-02-29 2011-01-25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Carbon dioxide exhaust measure system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2879B1 (en) * 2012-04-25 2014-05-12 전자부품연구원 Method and system for calculating carbon exhaust quantity of traffic means automatically
KR101472041B1 (en) * 2013-04-30 2014-12-15 전자부품연구원 Method for calculating carbon dioxide production of transported goods and system using the same
CN106873453A (en) * 2017-01-24 2017-06-20 东南大学 A kind of carbon emission intelligent monitoring and emission-reducing system with Intelligent logistics fork truck as carrier
CN106873453B (en) * 2017-01-24 2018-12-28 东南大学 A kind of carbon emission intelligent monitoring and emission-reducing system using Intelligent logistics fork truck as carri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72429B1 (en) 2012-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72667B2 (en) System for processing fleet vehicle operation information
US9557207B2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volume of fluid in a tank
RU2566951C2 (en) Fuel feed control device and method
CN201368760Y (en) Vehicle on-load alarming device
US20020059075A1 (en)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a land-based vehicle
JP5695217B1 (en) Mining machine management system and mining machine management system management method
KR102368084B1 (en) Transit Management System
KR101585115B1 (en) Dishonest Receipt Check System of Fuel Subsidies
JP2007207140A (en) Carbon dioxide emission calculator
KR101172429B1 (en) Measuring system of carbon emission volume and empty vehicle trip distance per ton-kilometer for low carbon green logistics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09230740A (en) Carbon dioxide emission measurement system
JP5016458B2 (en) Daily work report creation program
WO2022085362A1 (en) Charging reservation system
KR101010783B1 (en) Carbon dioxide exhaust measure system
JP2017211815A (en) Fuel supply service management system and information processor
US10997801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KR20160068155A (en) Price setting system for goods traffic
CN107730180A (en) A kind of cargo transport monitoring method, equipment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JP7076085B2 (en) Overload status determination device
JP2010159113A (en) Energy consumption calculating device, energy consumption calculating method and program
US11507902B2 (en) System and method for vehicle project tracking
KR20130018434A (en) Method for cargo service
JP7431347B2 (en) Method and management system for generating operating time key performance indicators
EP4273770A1 (en) An environmental impact monitoring system and a computer-implemented method for monitoring the environmental impact of transported goods
JP2007334725A (en) Cargo carrying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