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21394A - 전화번호 관리 장치 및 전화 번호 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전화번호 관리 장치 및 전화 번호 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21394A
KR20120021394A KR1020100073460A KR20100073460A KR20120021394A KR 20120021394 A KR20120021394 A KR 20120021394A KR 1020100073460 A KR1020100073460 A KR 1020100073460A KR 20100073460 A KR20100073460 A KR 20100073460A KR 20120021394 A KR20120021394 A KR 201200213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phone
telephone number
phone number
tele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34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소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734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21394A/ko
Publication of KR201200213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139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7/00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between switching centres
    • H04M7/12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between switching centres for working between exchanges having different types of switching equipment, e.g. power-driven and step by step or decimal and non-decimal
    • H04M7/1205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between switching centres for working between exchanges having different types of switching equipment, e.g. power-driven and step by step or decimal and non-decimal where the types of switching equipement comprises PSTN/ISDN equipment and switching equipment of networks other than PSTN/ISDN, e.g. Internet Protocol networks
    • H04M7/128Details of addressing, directories or routing tab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T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ANDARDS FOR 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T2001/00Standards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T2001/209Applications
    • H04T2001/2091Call 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 Forwarding [CF], Cell Barring [C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화번호 관리방법은 특정 전화번호의 착신 또는 발신이 요청되는 단계; 인터넷을 통해 상기 착신 또는 발신이 요청된 전화번호를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결과에 따라 상기 전화번호에 대한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통화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가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전화번호 관리 장치 및 전화 번호 관리 방법{Method of managing a phone number and apparatus thereof}
본 발명은 전화번호 관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화번호부에 미등록된 전화번호의 수/발신시, 인터넷에서 상기 전화번호를 검색하여 상기 검색된 전화번호에 대한 정보를 표시 및 저장할 수 있도록 한 전화번호 관리 장치 및 전화 번호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 단말기에서 발신자 표시 서비스가 시행되면서, '최근 통화 목록'메뉴에는 사용자가 발신한 전화번호 목록과, 상기 이동 단말기로 수신된 전화번호 목록이 시간에 따라 순차적으로 저장되고, 사용자가 상기 최근 통화목록 메뉴를 선택하면 최근 발신하거나 수신된 전화번호 목록을 제공해준다.
특히, 이동 단말기에 따라 발신한 전화번호 목록과, 상기 이동 단말기로 수신된 전화번호 목록이 발신번호 목록과 수신번호 목록으로 분류되어 저장되기도 하고, 상기 이동단말기에 수신되는 전화를 받지 못한 번호는 부재중 수신 번호 목록 등으로 명명된 메뉴에 별도로 저장되기도 한다.
이때, 상기와 같이 최근 통화목록에는 사용자가 발신한 전화번호 목록과, 수신한 전화목록이 표시되는데, 이때 상기 전화번호가 상기 이동 단말기 내부에 구비된 전화번호부에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전화번호뿐만 아니라 상기 전화번호의 상대방 이름 정보도 함께 제공된다.
그러나, 상기 발신한 전화번호나 수신된 전화번호가 상기 전화번호부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최근 통화목록에는 단순히 상기 전화번호만이 표시되며, 이에 따라 사용자는 해당 전화번호가 누구의 전화번호인지 알 수 없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최근에는 전화번호 안내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으며, 사용자는 상기 전화번호 안내 서비스를 이용하여 자신이 원하는 상호의 전화번호를 안내받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방법을 통해 안내받은 전화번호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전화번호부에 저장되지 않으며, 추후 상기 전화번호 안내 서비스를 통해 안내받은 상호에 재발신을 할 경우, 상기 안내받은 전화번호를 기억해야 하거나, 상기 전화번호 안내 서비스를 통해 상기 상호의 전화번호를 다시 안내받아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다.
따라서, 보다 효율적으로 전화번호를 관리할 수 있는 방안이 모색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서는 전화번호부에 미등록된 전화번호의 발신시, 인터넷을 통해 상기 전화번호를 검색하고, 그에 따라 상기 발신한 전화번호를 상기 전화번호부에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서는 전화번호부에 미등록된 전화번호의 수신시, 인터넷을 통해 상기 수신된 전화번호를 검색하고, 그에 따라 상기 수신된 전화번호의 발신자 표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제안되는 실시 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화번호 관리방법은 특정 전화번호의 착신 또는 발신이 요청되는 단계; 인터넷을 통해 상기 착신 또는 발신이 요청된 전화번호를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결과에 따라 상기 전화번호에 대한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통화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가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화번호 관리 장치는 네트워크를 통해 전화번호에 대응되는 사용자 정보를 검색하는 네트워크 검색부; 특정 전화번호에 대해 통화가 요청되는 경우, 상기 전화번호에 대응되는 사용자 정보가 상기 네트워크 검색부를 통해 검색되도록 하고, 상기 검색된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통화 화면이 제공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통화가 요청된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통화화면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 의하면, 전화번호부에 미등록된 전화번호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그에 따라 자동으로 상기 전화번호를 전화번호부에 등록시켜줌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a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전화번호 관리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1b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전화번호 관리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1c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전화번호 관리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착신 전화번호 관리 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착신시 통화화면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착신시 통화화면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발신 전화번호 관리 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6은 종래 기술에 따른 발신시 통화화면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발신시 통화화면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화번호 저장 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화번호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 2 전화번호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화번호 이동 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화번호 리스트를 나타낸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화번호 관리 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제안되는 실시 예에 대해서 기술하여 본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된다고 할 수 없으며, 또 다른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삭제 등에 의해서 퇴보 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하였으므로,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용어가 가지는 의미로서 본 발명을 파악하여야 함을 밝혀 두고자 한다.
즉,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단어 '포함하는'은 열거된 것과 다른 구성요소들 또는 단계들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도 1a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전화번호 관리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b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전화번호 관리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1c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전화번호 관리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화번호 관리 장치는 셀룰라 전화기(cellular phone), 개인휴대통신 전화기(PCS :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복합무선단말기(PDA:Personal Data Assistant), IMT2000(international mobile communication-2000) 단말기, 4세대 광대역시스템(Broadband system) 단말기 등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로 구현 가능하다.
또한,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화번호 관리 장치는 화상 통화 기능이 구비된 디스플레이장치에서 구현 가능하다.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대표적인 예에는 텔레비전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화번호 관리 장치는 상기 이동 단말기와 디스플레이장치의 조합에 의해 구현 가능하다. 즉, 실질적인 통화 기능은 이동 단말기에서 수행되고, 상기 이동 단말기에서 제공되는 통화 화면 등과 같은 동작 상태 화면을 디스플레이장치에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먼저, 제 1 실시 예에 따른 전화번호 관리 장치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단말기는 무선접속망을 통하여 서로 상대방과 음성통화를 수행한다. 여기서, 제 1 단말기를 발신측 단말기로 가정하고, 제 2 단말기를 수신측 단말기로 가정하기로 한다.
제 1 단말기는 무선접속망을 통하여 제 2 단말기와의 음성 통화를 이동통신 교환국으로 요청하며, 통화 요청 후 상기 제 2 단말기가 응답하기 전까지 통화대기음을 수신한다.
상기 무선접속망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동성을 보장하기 위한 지상의 인프라로서, 핸드오프(handoff) 및 무선자원 관리 기능 등을 수행한다. 상기 무선접속망은 기지국 전송기 및 기지국 제어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동기식 시스템이라면 기지국 전송기는 BTS(Base Transceiver Station), 기지국 제어기는 BSC(Base Station Controller)가 되고, 비동기식 시스템이라면 기지국 전송기는 RTS(Radio Transceiver Subsystem), 기지국 제어기는 RNC(Radio Network Controller)가 된다. 물론, 무선접속망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망이 아닌 GSM(Global System for Mobile)망 및 향후 구현될 4세대 이동통신시스템의 접속망일 수 있다.
이동통신 교환국은 기본 및 부가 서비스 처리, 가입자의 착신 및 발신 처리, 위치등록처리 및 핸드오프 절차 처리, 타 망과의 연동 기능 등을 수행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전화번호 관리장치는 제어부(100), 프로그램 메모리(102), 데이타 메모리(104), 불휘발성 메모리(106), 키패드(108), 디스플레이부(110), 코덱(112), 마이크(114), 스피커(116), 안테나(118), RF 모듈(120), 기저대역 처리부(122) 및 네트워크 검색부(12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1을 참조하면, 먼저 제어부(100)는 상기 전화번호 관리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통화 및 데이터 통신을 위한 처리 및 제어를 수행하고, 통상적인 기능에 더하여, 본 발명에 따라 전화번호부에 미등록된 전화번호로의 통화가 요청되는 경우, 상기 미등록된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사용자 정보가 인터넷을 통해 검색되도록 하고, 그에 따라 상기 검색된 전화번호 및 사용자 정보를 상기 전화번호부에 저장하기 위한 기능을 처리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통상적인 제어부(100)의 처리 및 제어에 관한 설명은 생략한다.
메모리는 프로그램 메모리(102), 데이터 메모리(104) 및 불휘발성 메모리(106) 등을 포함한다.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102)는 상기 전화번호 관리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다.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는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메모리(104)는 상기 단말기 동작 중에 발생하는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데이터 메모리(104)는 램(Random Access Memory)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불휘발성 메모리(106)는 시스템 파라미터(system parameter) 및 기타 저장용 데이터(전화번호, SMS 메시지, 화상 데이터 등)를 저장한다. 상기 불휘발성 메모리는 EEPROM을 사용할 수 있다. 실질적으로, 본 발명에 기재되는 전화번호부는 상기 불휘발성 메모리(106)에 저장된다. 또한 상기 불휘발성 메모리(106)에 저장되는 전화번호부는 정상적인 저장 동작에 의해 등록된 전화번호로 이루어진 제 1 전화번호부와 인터넷 검색을 통해 자동 등록된 전화번호로 이루어진 제 2 전화번호부로 분류된다. 상기 제 1 전화번호부 및 제 2 전화번호부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전화번호부를 저장하는 불휘발성 메모리(106)를 생략할 수 있다. 즉, 전화번호 관리 장치에 전화번호부를 저장하지 않고, 특정 서버에 저장하며, 추후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특정 전화번호를 상기 서버로부터 검색하여 통화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키패드(key pad)(108)는 0 ? 9의 숫자키들과, 메뉴 키(menu), 취소 키(지움), 확인 키, 통화 키(TALK), 종료 키(END), 인터넷 접속키, 네비게이션 키들(상/하/좌/우) 등 다수의 기능키들을 구비하며, 사용자가 누르는 키에 대응하는 키 입력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100)로 제공한다. 이때, 상기 키패드(108)는 일반적인 디스플레이장치에 키 데이터를 전달하는 리모트 컨트롤러로도 구현 가능하며, 디스플레이장치의 일측에 구비된 로컬 키 입력부로도 구현 가능하다.
디스플레이부(110)는 전화번호 관리장치의 동작 중에 발생하는 상태 정보, 다양한 동영상 및 정지영상 등을 디스플레이한다. 여기에서, 상기 상태 정보에는 특정 전화번호의 착신시, 상기 착신되는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발신자 정보나, 발신시, 상기 발신되는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착신자 정보를 포함하는 통화화면도 포함된다.상기 디스플레이부(110)는 컬러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LCD : Liquid Crystal Display)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00)에 연결된 오디오 코덱(CODEC : Coder-Decoder)(112)과, 상기 코덱(112)에 접속된 스피커(116) 및 마이크(114)는 음성 통화에 사용되는 음성 입출력 블록이다. 상기 코덱(112)은 상기 제어부(100)에서 제공되는 PCM 데이터를 아날로그 음성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스피커(116)를 통해 송출하고, 상기 마이크(114)를 통해 수신되는 음성신호를 PCM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제어부(100)로 제공한다.
RF모듈(Radio Frequency module)(120)은 안테나(118)를 통해 수신되는 래디오 주파수(RF) 신호를 주파수 하강시켜 기저대역처리부(122)로 제공하고, 상기 기저대역처리부(122)로부터의 기저대역신호를 주파수 상승시켜 상기 안테나를 통해 송신한다.
상기 기저대역처리부(122)는 상기 RF모듈(120)과 상기 제어부(100) 사이에 송수신되는 기저대역 신호를 처리한다. 예를 들어, CDMA통신방식을 사용할 경우, 송신할 데이터를 채널코딩(channel coding) 및 확산(spreading)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수신 신호를 역확산(despreading) 및 채널 복호(channel decoding)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제어부(100)는 전화번호부에 미등록된 전화번호로의 통화가 요청되는 경우, 서버에서 상기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사용자 정보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정보를 토대로 통화 화면이 제공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의 제어부(100)는 특정 전화번호로의 통화가 요청되는 경우, 상기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사용자 정보를 서버에서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정보를 토대로 통화화면이 제공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전화번호 관리 장치는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부(400), 튜너(405), 제어부(410), AV처리부(415), 화상 통화 처리부(420), 저장부(430), 카메라(441), 마이크(442), 디스플레이부(443), 음성 출력부(444) 및 사용자 입력부(445)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b를 참조하면, 통신부(400)는 화상 통신 서비스를 위한 서버 또는 상대방 사용자의 통신 단말기와 연결되어 화상 통신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400)는 사용자로부터 화상 통화가 요청된 전화번호에 대한 사용자 정보를 특정 서버에서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사용자 정보를 제어부(410)에 전달한다.
예를 들어, 통신부(400)는 사용자의 영상 및 음성에 대응되는 AV데이터를 포함하는 송신 스트림을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장치 예를 들어 상대방의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통신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400)는 화상 통화 상대방 사용자의 영상 및 음성에 대응되는 AV데이터를 포함하는 수신 스트림을 상기 상대방 사용자의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통신부(400)는 상대방 사용자의 디스플레이 장치와 이더넷(ethernet) 또는 IEEE 802.3, IEEE 802.11등의 유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해 연결되어 상기 상대방 사용자의 디스플레이 장치와 화상 통화에 따른 AV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400)는 전화번호부가 저장된 서버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며, 그에 따라 통화가 요청된 전화번호에 대응되는 사용자 정보를 상기 서버에서 검색하여 수신한다.
화상 통화 처리부(420)는 상기 송수신되는 화상 데이터, 즉, 카메라(441) 및 마이크(442)를 이용해 획득되는 사용자의 AV 데이터와 통신부(400)를 통해 수신되는 상대방 사용자의 AV데이터를 미리 설정된 화상 통신 방식, 예를 들어 영상 데이터를 위한 H.323, H263 또는 H264표준, 음성데이터를 위한 G723.1, G.711 또는 G.729 등과 같은 화상 통신 표준에 따라 처리하여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상 통화 처리부(420)는 H.323, H.263, 및 H.264 등의 표준에 따라 상기 영상 데이터를 부호화하여 디지털 데이터의 기본 스트림, 즉 엘리먼터리 스트림(elementary stream) 형태의 영상 스트림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화상 통화 처리부(420)는 G.723.1, G.711, 및 G.729 등의 표준에 따라 상기 음성 데이터를 부호화하여 엘리먼터리 스트림(elementary stream) 형태의 음성 스트림을 출력할 수 있다.
AV처리부(415)는 화상 통화 처리부(400)로부터 출력되는 화상 통신 데이터, 예를 들어 화상 통화에 따른 사용자의 영상 및 음성 데이터와 상대방 사용자의 영상 및 음성 데이터를 디스플레이부(443) 및 음성 출력부(444)에서 출력 가능한 형태로 변환할 수 있다.
또한, AV 처리부(415)는 통화가 요청된 전화번호에 대응하여 그에 따른 통화 화면 데이터를 신호처리한다.
즉, AV처리부(415)는 상기 화상 통화 처리부(420)에서 처리된 화상 통신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 및 상대방 사용자 각각의 통화 영상, 그리고 통화화면을 디스플레이부(443)의 화면에 출력 가능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저장부(430)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 또는 사용자정보 등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통신이 연결된 헤드셋 또는 휴대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영상과 음성을 일시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저장부(430)는 적어도 하나의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사용자 정보로 이루어진 전화번호부를 저장한다. 여기에서, 상기 제 1 실시 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저장부(430)에는 전화번호부가 저장되지 않을 수 있으며, 상기 전화번호부는 서버에 저장되고, 그에 따라 상기 서버에 저장된 전화번호부를 이용하여 통화를 수행할 수도 있다.
카메라(441)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주변 영역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를 포함하는 영역을 촬영하여 그에 상응하는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여 출력할 수 있다.
마이크(442)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주변에서 발생하는 음성,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음성을 포함하는 소리를 수집하여 그에 상응하는 음성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443)는 카메라(441)에 의해 획득된 사용자의 영상, 즉 상대방 사용자의 디스플레이 장치로 송신할 통화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며, 또한 통신부(400를 통해 수신되는 상대방 사용자의 통화 영상 및 통화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음성 출력부(444)는 마이크(442)에 의해 획득된 사용자의 통화 음성을 출력하며, 통신부(400)를 통해 수신되는 상대방의 사용자 통화 음성을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445)는 사용자 입력을 위한 복수의 키 버튼들을 구비하거나 또는 터치 패널을 이용해 복수의 키 버튼을 표시하여 사용자로부터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입력을 받을 수 있다.
한편 사용자 입력부(445)는 디스플레이 장치 외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사용자 입력을 위한 복수의 키 버튼을 구비한 리모트 컨트롤러 일 수 있다.
제어부(410)는 상기한 바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예를 들어 화상 통화 처리부(420), AV처리부(415) 및 사용자 입력부(445)를 각각 제어할 수 있다.
특히, 제어부(410)는 사용자로부터 통화가 요청되는 경우, 통화가 요청된 전화번호가 상기 저장부의 전화번호부에 등록되어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전화번호가 미등록된 전화번호라면, 해당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사용자 정보가 상기 서버에서 검색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410)는 상기 서버에서 검색된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통화 요청에 따른 통화 화면을 제공한다.
또한, 다른 실시 예에서의 제어부(410)는 해당 기기에 전화번호부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상기 등록 여부와는 무관하게 무조건적으로 상기 통화가 요청된 전화번호의 사용자 정보를 서버에서 검색되어 그에 따른 통화 화면이 제공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전화번호 관리 장치(디스플레이 장치)는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통신망 등을 통한 인터넷 전화 서비스에 따른 영상 또는 음성 통화를 수신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그 외에 PSTN(Public Switched Telepgone Network) 전화망 등을 이용한 일반 전화 통화 또는 이동 통신망을 이용한 휴대 전화 통화 등을 수신할 수 있다.
도 1c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전화번호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1c를 참조하면, 제 3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제 1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와 제 2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가 조합되어 전화번호 관리 시스템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와 이동 단말기는 블루투스 통신에 따라 서로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여기에서, 블루투스 모듈의 주파수 사용 대역은 2.4~2.4835 GHz로써 전세계 공통적으로 비인가 대역인 ISM(Industrial Scientific medical)을 이용하여 자유롭게 사용한다. 블루투스 모듈은 고체를 무선으로 통과할 수 있다. 블루투스 모듈의 통신 방식은 간섭방지를 위하여 주파수 호핑 방식을 사용하고, 변조방식은 GFSK(Gaussian Frequency Shift Keying)를 사용하고 양방향 통신을 위하여 TDD(Time Division duplex)을 사용하는 무선 디지털 통신으로 통상적인 데이터뿐만 아니라 음성 신호와 영상신호에 대해서도 디지털 변조하여 전송을 한다.
도 1c는 무선의 블루투스 헤드셋(312)과 블루투스 모듈이 구비된 휴대 단말기(314)(사용자 본인의 단말기) 및 디스플레이장치(320)와 영상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 단말기(200)(상기 사용자와 통화를 하는 다른 사용자의 단말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블루투스 헤드셋(312)은 음성을 처리하고, 휴대 단말기(314)로는 영상데이터를 처리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디스플레이장치(320)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존재하더라도 영상통화시 블루투스 통신이 가능한 거리에 존재하는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사용자의 영상을 촬영하고 블루투스 헤드셋(312)을 이용하여 음성 통화를 수행하여 디스플레이장치(320)에 전송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장치(320)는 상대방의 단말기(200)로 영상 및 음성을 전송하여 영상통화를 하게 된다.
다시 말해서, 실질적인 통화 기능은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수행되지만,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수행되는 통화 기능을 휴대 단말기로 전송하여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영상 통화를 수행할 수 있으며, 이와 반대로 실질적인 통화는 휴대 단말기에서 수행되지만, 상기 휴대 단말기의 통화 정보(영상 정보 및 음성 정보)를 디스플레이장치에 전송하여,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상대방의 단말기와 통화를 수행할 수도 있다.
이때, 전화번호 검색 동작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수행될 수 있고, 이와 반대로 휴대 단말기에서 수행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2 내지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화번호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착신 전화번호 관리 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며,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방법을 도 1a에 도시된 장치 블록에 결부시켜 설명하기로 한다. 하지만, 상기 방법이 도 1a에 도시된 블록 이외에도 도 1b 및 도 1c에서 수행될 수 있음은 자명한 사항일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우선 특정 발신자의 발신 요청에 따라 RF 모듈(120)은 상기 발신자에 대응하는 제 1 전화번호로부터의 착신 요청 신호를 전달받는다(100단계). 이때, 상기 RF 모듈(120)은 상기 착신 요청 신호가 전달된 발신자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확인하며, 이에 따라 상기 확인된 전화번호를 제어부(100)에 전달한다.
제어부(100)는 메모리에 기저장된 전화번호부를 확인하여, 상기 RF 모듈(120)로부터 전달된 제 1 전화번호가 상기 전화번호부에 등록된 전화번호인지, 아니면 미등록된 전화번호인지 여부를 판단한다(110단계). 즉, 이전에 상기 제 1 전화번호로의 착신 또는 발신이 요청되어, 사용자가 상기 제 1 전화번호를 상기 전화번호부에 등록하였다면, 상기 제 1 전화번호는 등록된 전화번호일 것이고, 아니면 미등록된 전화번호일 것이다.
제어부(100)는 상기 판단결과 상기 제 1 전화번호가 미등록된 전화번호라면, 네트워크 검색부(124)를 통해 상기 제 1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사용자 정보가 검색되도록 한다(120단계).
이에 따라, 네트워크 검색부(124)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거하여 인터넷에 접속하여, 상기 제 1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사용자 정보를 검색한다(120단계). 이때, 상기 접속되는 인터넷은 현재 상용화되고 있는 엘로우 페이지(Yellow Page)가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정보는 상기 제 1 전화번호를 사용하는 사용자 정보이며, 여기에는 상기 제 1 전화번호를 사용하는 발신자의 이름 또는 업체명이 포함된다. 즉, 상기 제 1 전화번호가 개인이 사용하는 전화번호라면, 상기 사용자 정보는 발신자의 이름이 될 수 있으며, 상기 제 1 전화번호가 특정 업체에서 사용하는 전화번호라면, 상기 사용자 정보는 업체명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정보에는 발신자의 위치(약도 또는 주소), 이메일, 인터넷 홈페이지, 메뉴판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한다.
상기 네트워크 검색부(124)는 상기 제 1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사용자 정보가 검색되면, 상기 검색된 사용자 정보를 제어부(100)에 전달한다.
제어부(100)는 상기 네트워크 검색부(124)로부터 상기 제 1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사용자 정보가 전달되면, 상기 전달된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통화화면에 상기 제 1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발신자 정보가 표시되도록 한다(140단계).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착신시 통화화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착신시 통화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종래 기술에 따른 착신시 통화화면(300)에는 상기 착신을 요청한 발신자의 정보가 표시된다. 이때, 상기 발신자의 전화번호가 상기 전화번호부에 등록되지 않은 전화번호일 경우, 상기 표시되는 발신자의 정보에는 상기 착신을 요청한 발신자의 전화번호(310)만이 포함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착신을 요청한 발신자의 정보를 확인할 수 없으며, 이에 따라 추후 상기 착신 요청을 확인하지 못한 경우(부재중 통화), 상기 착신을 요청한 발신자를 확인할 수 없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착신시 통화화면(400)에는 상기 착신을 요청한 발신자의 정보가 표시된다. 이때, 상기 발신자의 전화번호가 상기 전화번호부에 미등록된 전화번호라도, 상기 네트워크 검색부(124)를 통해 상기 발신자의 사용자 정보를 검색하여 제공하기 때문에, 상기 통화 화면(400)에는 상기 착신을 요청한 발신자의 전화번호(410)와, 상기 발신자의 개인 정보(420)가 포함된다. 이때, 상기 개인 정보(420)는 상기 발신자가 개인인 경우, 상기 발신자의 이름 정보와, 이메일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발신자가 업체인 경우, 상기 발신자의 업체명과, 인터넷 홈페이지 정보, 메뉴판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00)는 상기 검색된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전화번호 및 상기 사용자 정보를 전화번호부에 저장시킴으로써, 상기 제 1 전화번호를 전화번호부에 자동 등록시킨다(150단계).
한편, 제어부(100)는 상기 제 1 전화번호가 전화번호부에 등록된 전화번호라면, 상기 전화번호부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전화번호에 대응한 발신자 정보가 포함된 착신 통화화면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160단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발신 전화번호 관리 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우선 제어부(100)는 키패드를 이용하여 특정 번호를 입력하거나, 전화번호부에 등록된 특정 전화번호를 선택함으로써, 제 1 전화번호로의 발신을 요청한다(200단계). 이때, 상기 제 1 전화번호는 전화번호부에 등록된 전화번호일 수 있고, 미등록된 전화번호일 수도 있다.
제어부(100)는 메모리에 기저장된 전화번호부를 확인하여, 발신이 요청된 제 1 전화번호가 상기 전화번호부에 등록된 전화번호인지, 아니면 미등록된 전화번호인지 여부를 판단한다(210단계). 즉, 이전에 상기 제 1 전화번호로의 착신 또는 발신이 요청되어, 사용자가 상기 제 1 전화번호를 상기 전화번호부에 등록하였다면, 상기 제 1 전화번호는 등록된 전화번호일 것이고, 아니면 미등록된 전화번호일 것이다.
제어부(100)는 상기 판단결과 상기 제 1 전화번호가 미등록된 전화번호라면, 네트워크 검색부(124)를 통해 상기 제 1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사용자 정보가 검색되도록 한다(220단계).
이에 따라, 네트워크 검색부(124)는 상기 제어부(100)의 제어신호에 의거하여 인터넷에 접속하여, 상기 제 1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사용자 정보를 검색한다(230단계). 이때, 상기 접속되는 인터넷은 현재 상용화되고 있는 엘로우 페이지(Yellow Page)가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정보는 상기 제 1 전화번호를 사용하는 사용자 정보이며, 여기에는 상기 제 1 전화번호를 사용하는 발신자의 이름 또는 업체명이 포함된다. 즉, 상기 제 1 전화번호가 개인이 사용하는 전화번호라면, 상기 사용자 정보는 발신자의 이름이 될 수 있으며, 상기 제 1 전화번호가 특정 업체에서 사용하는 전화번호라면, 상기 사용자 정보는 업체명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정보에는 발신자의 위치(약도 또는 주소), 이메일, 인터넷 홈페이지, 메뉴판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한다.
상기 네트워크 검색부(124)는 상기 제 1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사용자 정보가 검색되면, 상기 검색된 사용자 정보를 제어부(100)에 전달한다.
제어부(100)는 상기 네트워크 검색부(124)로부터 상기 제 1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사용자 정보가 전달되면, 상기 전달된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발신 통화화면에 상기 제 1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착신자 정보가 표시되도록 한다(240단계).
도 6은 종래 기술에 따른 발신시 통화화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발신시 통화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종래 기술에 따른 발신시 통화화면(600)에는 상기 발신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착신자 정보가 표시된다. 이때, 상기 착신자의 전화번호가 상기 전화번호부에 등록되지 않은 전화번호일 경우, 상기 표시되는 착신자의 정보에는 상기 발신이 요청된 전화번호(610)만이 포함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발신시 통화화면(700)에는 상기 발신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착신자의 정보가 표시된다. 이때, 상기 착신자의 전화번호가 상기 전화번호부에 미등록된 전화번호라도, 상기 네트워크 검색부(124)를 통해 상기 착신자의 사용자 정보를 검색하여 제공하기 때문에, 상기 통화 화면(700)에는 상기 발신 요청된 전화번호(710)와, 상기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착신자의 개인 정보(720)가 포함된다. 이때, 상기 개인 정보(720)는 상기 착신자가 개인인 경우, 상기 착신자의 이름 정보와, 이메일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착신자가 업체인 경우, 상기 착신자의 업체명과, 인터넷 홈페이지 정보, 메뉴판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00)는 상기 검색된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전화번호 및 상기 사용자 정보를 전화번호부에 저장시킴으로써, 상기 제 1 전화번호를 전화번호부에 자동 등록시킨다(250단계).
이때,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발신 통화화면에 상기 발신이 요청된 제 1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착신자 정보가 표시된 이후에, 실질적으로 상기 제 1 전화번호로의 통화 연결이 시도되도록 한다.
한편, 제어부(100)는 상기 제 1 전화번호가 전화번호부에 등록된 전화번호라면, 상기 전화번호부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발신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착신자 정보가 포함된 발신 통화화면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260단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화번호 저장 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네트워크 검색부(124)는 미등록된 전화번호의 통화가 요청되는 경우, 상기 통화가 요청된 전화번호를 인터넷에서 검색하여, 상기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사용자 정보를 획득한다(300단계). 또한, 상기 네트워크 검색부(124)는 상기 획득된 정보를 제어부(100)로 전달한다.
제어부(100)는 상기 획득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전화번호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종류를 확인한다(310단계). 즉, 제어부(100)는 우선적으로 상기 전화번호가 개인이 사용하는 전화번호인지, 아니면 특정 업체에서 사용하는 전화번호인지 여부를 확인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전화번호가 특정 업체에서 사용하는 전화번호라면, 그에 따라 상기 업체의 업종을 확인한다.
그리고, 제어부(100)는 상기 사용자의 종류가 확인되면, 제 2 전화번호부에 존재하는 복수의 카테고리 중 상기 확인된 사용자 종류에 대응하는 카테고리에 상기 전화번호를 등록한다(320단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화번호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화번호부는 제 1 전화번호부(910)와, 제 2 전화번호부(920)로 분류된다.
여기에서, 상기 제 1 전화번호부(910)는 정상적으로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전화번호 등록 과정을 거친 전화번호와, 상기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사용자 정보를 저장한다.
또한, 상기 제 2 전화번호부(920)는 상기 제 1 전화번호부에 미등록된 전화번호로의 통화 요청시, 상기 미등록된 전화번호와, 상기 인터넷을 통해 검색된 사용자 정보를 저장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 2 전화번호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제 2 전화번호부는 복수 개의 카테고리로 분류된다. 즉, 제 2 전화번호부는 크게 개인 전화번호와 업체 전화번호로 구분되며, 업체 전화번호의 경우, 상기 업체의 업종에 따라 재분류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제 2 전화번호부에 저장된 전화번호는 개인 전화번호와, 업체 전화번호로 분류되며, 상기 업체 전화번호는 업종에 따라 주유소 전화번호, 음식점 전화번호, 카드사 전화번호 및 통신사 전화번호 등으로 분류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화번호 이동 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제 2 전화번호부를 이용하여, 상기 제 2 전화번호부에 포함된 전화번호 리스트를 표시한다(400단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화번호 리스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즉,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00)는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상기 제 2 전화번호부에 저장된 모든 전화번호가 포함된 전화번호 리스트가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제어부(100)는 상기와 같은 전화번호 리스트가 표시된 상태에서 전화번호 이동 명령이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410단계).
제어부(100)는 상기 전화번호 이동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전화번호 리스트상에서 이동을 위해 선택된 전화번호를 확인한다(420단계).
또한, 제어부(100)는 상기 확인된 전화번호를 제 1 전화번호부로 이동시켜 저장한다(430단계). 즉, 제어부는 제 2 전화번호부상에서 상기 확인된 전화번호를 삭제하고, 그에 따라 상기 삭제한 전화번호를 제 1 전화번호부상에 저장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화 번호 관리 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전화 번호 관리 방법은, 우선 전화번호부를 관리하는 서버를 구축한다(400단계). 즉, 일반적으로 전화번호부는 통화를 수행하는 전화번호 관리 장치에 저장되지만, 본 실시 예에서는 전화번호 관리 장치에서 전화번호부를 관리하지 않고, 별도의 서버를 구축하여 상기 서버에서 상기 전화번호부를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제어부(100)는 사용자로부터 특정 전화번호로의 착신 요청 또는 발신 요청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410단계).
상기 착신 요청 또는 발신 요청이 있다면,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요청이 발생한 전화번호에 대한 통화 화면을 제공하기 위하여, 서버에서 상기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사용자 정보가 검색되도록 한다(420단계).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전화번호의 사용자 정보가 검색되면, 상기 검색된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통화화면을 제공한다(430단계).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 의하면, 전화번호부에 미등록된 전화번호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그에 따라 자동으로 상기 전화번호를 전화번호부에 등록시켜줌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을 증진시킬 수 있다.
100: 제어부 102: 프로그램 메모리
104: 데이타 메모리 106: 불휘발성 메모리
108: 키패드 110: 디스플레이부
112: 코덱 114: 마이크
116: 스피커 118: 안테나
120: RF 모듈 122: 기저대역 처리부
124: 네트워크 검색부

Claims (16)

  1. 특정 전화번호의 착신 또는 발신이 요청되는 단계;
    인터넷을 통해 상기 착신 또는 발신이 요청된 전화번호를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결과에 따라 상기 전화번호에 대한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통화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가 포함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번호 관리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하는 단계는 전화번호부에 상기 요청된 전화번호가 미등록된 경우에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번호 관리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된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전화번호부에 상기 전화번호를 등록하는 단계가 더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번호 관리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화면은 상기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발신자 정보 화면이고,
    상기 발신자 정보에는 상기 발신자의 이름 또는 업체명이 포함되며,
    상기 발신자의 위치, 이메일, 인터넷 홈페이지, 메뉴판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번호 관리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화면은 상기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착신자 정보 화면이고,
    상기 착신자 정보에는 상기 착신자의 이름 또는 업체명이 포함되며,
    상기 착신자의 위치, 이메일, 인터넷 홈페이지, 메뉴판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번호 관리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결과에 따라 상기 통화 화면에 착신자 정보가 표시되면, 상기 전화번호로의 통화 연결을 시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번호 관리 방법.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전화번호부는
    사용자 요청에 의해 등록된 전화번호가 저장되는 제 1 전화번호부와,
    상기 인터넷 검색에 의해 등록된 전화번호가 저장되는 제 2 전화번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번호 관리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전화번호부에 등록된 전화번호의 리스트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제공된 리스트 상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전화번호를 상기 제 1 전화번호부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번호 관리 방법.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전화번호는 업체 전화번호이며,
    상기 제 2 전화번호부는 상기 업체의 업종별로 분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번호 관리 방법.
  10. 네트워크를 통해 전화번호에 대응되는 사용자 정보를 검색하는 네트워크 검색부;
    특정 전화번호에 대해 통화가 요청되는 경우, 상기 전화번호에 대응되는 사용자 정보가 상기 네트워크 검색부를 통해 검색되도록 하고, 상기 검색된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통화 화면이 제공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통화가 요청된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통화화면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번호 관리 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전화번호부를 저장하는 저장부가 더 포함되며,
    상기 네트워크 검색부는 상기 통화가 요청된 전화번호가 상기 전화번호부에 미등록된 경우에 상기 검색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번호 관리 장치.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 요청은 착신 요청 또는 발신 요청이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색된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발신자 정보 또는 착신자 정보가 상기 표시부를 통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번호 관리 장치.
  13.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화 요청이 발신 요청인 경우, 상기 표시부에 상기 전화번호에 대한 통화화면이 표시된 이후에 상기 전화번호로 연결을 시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번호 관리 장치.
  14.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전화번호부는
    제 1 전화번호부 및 제 2 전화번호부로 구성되며,
    상기 검색된 사용자 정보는 상기 제 2 전화번호부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번호 관리 장치.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 전화번호부에 등록된 전화번호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고, 그에 따라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전화번호를 제 1 전화번호부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번호 관리 장치.
  16.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정보에는 착신자/발신자의 이름 또는 업체명이 포함되며,
    상기 착신자 또는 발신자의 위치, 이메일, 인터넷 홈페이지, 메뉴판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번호 관리 장치.
KR1020100073460A 2010-07-29 2010-07-29 전화번호 관리 장치 및 전화 번호 관리 방법 KR2012002139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3460A KR20120021394A (ko) 2010-07-29 2010-07-29 전화번호 관리 장치 및 전화 번호 관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3460A KR20120021394A (ko) 2010-07-29 2010-07-29 전화번호 관리 장치 및 전화 번호 관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1394A true KR20120021394A (ko) 2012-03-09

Family

ID=461296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3460A KR20120021394A (ko) 2010-07-29 2010-07-29 전화번호 관리 장치 및 전화 번호 관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2139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43272A (ko) * 2015-10-13 2017-04-21 주식회사 케이티 발신자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43272A (ko) * 2015-10-13 2017-04-21 주식회사 케이티 발신자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96033B1 (en) Mobile apparatus enabling inter-network communication
US9924014B2 (en) Cordless telephone equipment, cordless telephone system, and cordless telephone communication method
US11503151B2 (en) Communication device having base station function of DECT cellular system, and communication system
US8014383B2 (en) Communication system
JP2005159567A (ja) 電話端末の通話モード切替方式
KR20060014296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푸시투토크 방식의 통화 중 전화통화 연결 방법
KR20120021394A (ko) 전화번호 관리 장치 및 전화 번호 관리 방법
US20070178924A1 (en) Apparatus for notifying a mobile user of a push-to-talk communication call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therefor
KR100607703B1 (ko) 듀얼모드 착발신 전화 단말기
KR100640325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푸시투토크 방식의 통화 방법
JP2010511330A (ja) 無線装置間のアドレスブックエントリのシステム及び方法
KR20060071241A (ko) 단문메시지 필터링 장치 및 그 방법과 그를 이용한무선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
JP5370570B2 (ja) 携帯電話機
JPH08139680A (ja) 携帯情報通信装置
JP4477079B2 (ja) 携帯電話装置
KR100574656B1 (ko) 그룹 착신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070074093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대화형 메시징 서비스 방법
KR102014734B1 (ko) 인터넷을 이용한 국제 로밍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20007448A (ko) 자동 발신 방법
KR100634347B1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한 음성/문자 메시지 관리시스템 및그 방법
US20130223601A1 (en) Terminal, service system and control method for providing message communication function while calling
KR100661576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부 등록 및 호처리 방법
JP2005110033A (ja) 電話発信方法及び電話装置
KR100401785B1 (ko) 화상 전송 제어 서비스 방법
KR100917459B1 (ko) 이동통신망에서의 영상 단말 인지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