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20236A - Mobile device for providing function of call transfer and call transfer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Mobile device for providing function of call transfer and call transfer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20236A
KR20120020236A KR1020100083544A KR20100083544A KR20120020236A KR 20120020236 A KR20120020236 A KR 20120020236A KR 1020100083544 A KR1020100083544 A KR 1020100083544A KR 20100083544 A KR20100083544 A KR 20100083544A KR 20120020236 A KR20120020236 A KR 201200202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communication terminal
terminal
switching
telephone nu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354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승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000835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20236A/en
Publication of KR201200202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0236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7Wireless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8Arrangements for placing incoming calls on hold
    • H04M3/4285Notifying, informing or entertaining a held party while on hold, e.g. Music On Ho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6Network addressing or numbering for mobility suppo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PURPOSE: A portable terminal with a call switching function and a call switching method using the same are provided to offer the call switching function by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CONSTITUTION: A wireless transceiver(310) receives a call from a first communication terminal for call connection. An input unit(360) receives a command for switching the call to connect with a second communication terminal which is a switching target of the call. A telephone number searching unit(320) searches the database in which a plurality of telephone numbers is stored. The telephone number searching unit confirms whether the phone number of the second communication terminal is a registered number. A connection switching unit(340) switches the call to connect the first communication terminal with the second communication terminal.

Description

호 전환 기능을 제공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를 이용한 호 전환 방법{MOBILE DEVICE FOR PROVIDING FUNCTION OF CALL TRANSFER AND CALL TRANSFER METHOD THEREOF}Mobile terminal that provides call transfer function and call transfer method using same {MOBILE DEVICE FOR PROVIDING FUNCTION OF CALL TRANSFER AND CALL TRANSFER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호 전환 기능을 제공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를 이용한 호 전환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 통신 망을 이용하여 호 전환 기능을 제공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를 이용한 호 전환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terminal providing a call transfer function and a call transfer method us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portable terminal providing a call transfer function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a call transfer method using the same.

현대 사회에서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단말기는 장거리에 있는 사람과 정보를 교환하고 의사 소통을 하기 위한 가장 중요한 커뮤니케이션 수단 중에 하나이다. 특히, 무선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정보 교환은 회사 업무를 하는데 사실상 가장 필요한 수단으로서, 활동이 많은 직장인들이 회사 밖에서도 언제든지 업무를 볼 수 있는 중요한 매체로 자리 잡았다.In modern society,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s are one of the most important means of communication for exchanging information and communicating with people over long distances. In particular, the exchange of information using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is the most necessary means to do the work of the company, and it has become an important medium for active employees to work at any time outside the company.

또한, 유선 통신 단말기는 외부의 발신자로부터 회사 내 전화로 연락이 오는 경우에 주로 사용되는 커뮤니케이션 수단으로서, 대부분의 회사들이 외부에서 걸려 오는 전화를 회사 내 특정인의 전화 번호와 연결시켜주는 호 전환 기능, 즉, 키폰(key telephone) 기능을 제공하는 유선 통신 단말기를 사용하고 있다.In addition, the wired communication terminal is a communication means mainly used when a call comes from an external caller to the company's internal telephone, and most companies connect a call from an outside party with a telephone number of a specific person in the company, In other words, a wired communication terminal providing a key telephone function is used.

도 1은 종래의 구내 유선 통신 단말기의 호 전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all switching function of a conventional wired communication terminal in a premises.

회사의 대표 전화 번호가 할당된 대표 유선 통신 단말기(130)는 외부의 유선 통신 단말기(110) 또는 무선 통신 단말기(120)로부터 통화 요청을 수신하고, 이후, 사내의 특정 직원과의 통화 요청을 수신한다.The representative wired communication terminal 130 assigned to the representative phone number of the company receives a call request from an external wired communication terminal 110 or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120, and then receives a call request with a specific employee in the company. do.

이후, 대표 유선 통신 단말기(130)는 호 전환 기능을 이용하여 구내 교환기(140)로 사내 특정 직원의 유선 통신 단말기(150)와의 통화 연결을 요청한다.Subsequently, the representative wired communication terminal 130 requests a call connection with the wired communication terminal 150 of a specific employee in the company to the premises exchange 140 using the call transfer function.

이때, 외부의 유선 통신 단말기(110) 또는 무선 통신 단말기(120)와 대표 유선 통신 단말기(130)는 일시적으로 통화 대기 상태가 되며, 구내 교환기(140)는 대표 유선 통신 단말기(130)와 사내 특정 직원의 유선 통신 단말기(150)와의 통화 연결을 시도한다.In this case, the external wired communication terminal 110 or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120 and the representative wired communication terminal 130 are temporarily in a call waiting state, and the premises exchange 140 is identified with the representative wired communication terminal 130 in-house. Attempt to make a call connection with the employee's wired communication terminal 150.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전술한 바와 같은 호 전환 기능은 구내 교환기(140)를 통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별도의 비용이 드는 문제점이 있었다.The call transfer function as described above, which is generally used at present, is performed through the premises exchange 140, thereby causing a separate cost.

이에, 한국공개특허 제2003-0019966호(무선 가입자망 시스템의 내선 전환 장치 및 그 방법)에서는 무선 가입자 망(Wireless Local Loop;WWL)을 이용하여 무선 가입자 망 시스템의 내선 전환 서비스에 가입한 사용자 간에 호 전환 기능을 제공하는 기술을 개시하였다.Accordingly,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03-0019966 (a device for converting an extension of a wireless subscriber network system and a method thereof) between users who have subscribed to the extension switching service of a wireless subscriber network system using a wireless local loop (WWL). A technique for providing call transfer function is disclosed.

그러나, 이 경우 역시, 무선 가입자망 시스템을 갖추어야 내선 전환 서비스 가입자 간에 호 전환을 수행할 수 있어 구입 비용이 추가로 부가되는 문제점이 있고, 제한된 구역 안에서만 호 전환이 가능하기 때문에 다양한 지역에서 외근이 많은 업무를 담당하는 사용자에게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is case, a wireless subscriber network system is required to perform a call transfer between subscribers of the extension switching service, thereby additionally incurring a purchase cost. There is a very uncomfortable problem for the user in charge of work.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호 전환 기능을 제공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를 이용한 호 전환 방법을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of the prior ar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obile terminal for providing a call switching function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a call switching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s, and other obj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호 전환 기능을 제공하는 휴대 단말기는 제 1 통신 단말기로부터 통화 연결을 위한 호(call)를 수신하는 무선 트랜시버, 상기 호의 전환 대상인 제 2 통신 단말기와 통화가 연결되도록 상기 호를 전환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 받는 입력부, 복수의 전화 번호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상기 제 2 통신 단말기의 전화 번호가 미리 등록된 전화 번호인지 확인하는 전화 번호 검색부 및 상기 제 1 통신 단말기와 상기 제 2 통신 단말기가 상호 연결되도록 상기 호를 전환하는 연결 전환부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portable terminal providing a call switching function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wireless transceiver for receiving a call (call) for a call connection from the first communication terminal, the second communication terminal that is the target of the call transfer; An input unit for receiving a command to switch the call so that the call is connected to the telephone, a telephone number search unit for searching a database in which a plurality of telephone numbers are stored, and confirming that the telephone number of the second communication terminal is a pre-registered telephone number; And a connection switching unit for switching the call so that the first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terminal are interconnected.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호(call) 전환 방법은 (a) 제 1 통신 단말기로부터 제 2 통신 단말기로의 통화 연결을 위한 호를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제 2 통신 단말기와 통화가 연결되도록 상기 호를 전환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 받는 단계, (c) 복수의 전화 번호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제 2 통신 단말기의 전화 번호를 검색하는 단계, (d) 상기 검색된 제 2 통신 단말기의 전화 번호에 기초하여, 상기 호를 상기 제 2 통신 단말기와 연결되도록 전환하는 단계, (e) 상기 제 1 통신 단말기와 상기 제 2 통신 단말기 간에 상기 호가 연결되었음을 알리는 단계 및 (f) 상기 제 1 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상기 호 연결을 종료하는 단계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call switching method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a) receiving a call for a call connection from the first communication terminal to the second communication terminal, (b) Receiving a command for diverting the call so that a call is connected with a communication terminal; (c) retrieving a phone number of the second communication terminal from a database in which a plurality of phone numbers are stored; and (d) Based on the telephone number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diverting the call to be connected with the second communication terminal; (e) notifying that the call is connected between the first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terminal; and (f) Terminating the call connection received from the first communication terminal.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된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bove and other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which: FIG.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e owner of the scope of the invention.

전술한 본 발명의 호 전환 기능을 제공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를 이용한 호 전환 방법의 과제 해결 수단 중 하나에 의하면, 구내 교환기나 무선 가입자망 시스템을 갖추지 않고,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를 통해 호 전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of the problem solving means of the mobile terminal providing the call transfer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all transfer method using the same, the call transfer function is provided through a mobile terminal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without having an on-premises exchange or a wireless subscriber network system. Can be provided.

또한, 호 전환 기능을 제공하는 휴대 단말기를 이용함으로써, 장소에 대한 제약을 극복할 수 있어 업무용으로 크게 활용될 수 있다.In addition, by using a mobile terminal that provides a call transfer function, it is possible to overcome the restrictions on the place can be greatly utilized for business purposes.

또한, 호 전환 기능을 제공하는 휴대 단말기의 사용이 증가되는 경우, 무선 전화 요금에 따른 사업자의 수익 창출에 기여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use of the mobile terminal providing the call transfer function is increased, it may contribute to the profit generation of the operator according to the wireless telephone fee.

도 1은 종래의 구내 유선 통신 단말기의 호 전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 전환 기능을 제공하는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 전환 기능을 제공하는 휴대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230)의 입력 수단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230)의 호 전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230)에서의 호 전환 이후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230)의 호 전환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all switching function of a conventional wired communication terminal in a premises.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system for providing a call transfer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portable terminal providing a call transfer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nput means of the portable terminal 2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all transfer of the mobile terminal 2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after a call transfer in the mobile terminal 2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all transfer process of the mobile terminal 2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DETAILED DESCRIPTION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and like reference numerals designate like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connected" to another part, this includes not only "directly connected" but also "electrically connected" with another element in between. . In addition, when a part is said to "include" a certain component, which means that it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except to exclude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In addition, when a part is said to "include" a certain component, it means that it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except to exclude other compon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이하, 첨부된 구성도 또는 처리 흐름도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하도록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Reference will now be made in detail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examples of which are illustrat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 전환 기능을 제공하는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system for providing a call transfer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호 전환 기능을 제공하는 휴대 단말기(이하, 휴대 단말기라 칭함)(230)는 유선 통신망 또는 이동 통신망을 통해 외부의 유선 통신 단말기(210) 또는 무선 통신 단말기(220)로부터 특정 인물의 무선 통신 단말기(240)와의 통화를 위한 호를 수신한다.As shown in FIG. 2, a portable terminal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portable terminal) 230 providing a call transfer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external wired communication terminal 210 or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via a wired communication network or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From 220, a call for a call with a specific person's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240 is received.

참고로, 최근에는 업무가 사무실 안에서만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국내 출장, 해외 출장 등 회사 외부에서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으며, 소규모의 사업체를 운영하는 사람들의 경우, 자신의 휴대 단말기를 대표 전화로 사용하는 경우도 많다.For reference, in recent years, work is often performed outside the company, such as domestic business trips and overseas business trips, and many people who operate small businesses often use their own mobile terminals as representative phones.

이하에서는, 휴대 단말기(230)에 회사의 대표 전화 번호를 설정하고, 외부에서 걸려오는 전화를 특정 인물의 무선 통신 단말기(240)로 연결시켜주는 경우를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 case in which the representative phone number of the company is set in the mobile terminal 230 and the external telephone is connected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240 of a specific person will be described.

외부의 유선 통신 단말기(210) 또는 무선 통신 단말기(220)로부터 호를 수신한 휴대 단말기(230)는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해당 호를 특정 인물의 무선 통신 단말기(240)로 연결하는 호 전환 기능, 즉, 키폰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The mobile terminal 230 receiving a call from an external wired communication terminal 210 or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220 may use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o connect a call to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240 of a specific person, That is, the key phone function can be performed.

이때, 휴대 단말기(230)는 외부의 유선 통신 단말기(210) 또는 무선 통신 단말기(220)와 특정 인물의 무선 통신 단말기(240)의 호가 연결되면, 시각 또는 청각적 출력 수단을 통해 이를 휴대 단말기(230)의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으며, 자신(230)과 연결되었던 외부의 유선 통신 단말기(210) 또는 무선 통신 단말기(220)와의 호를 종료할 수 있다.In this case, when the call of the external wired communication terminal 210 or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220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240 of a specific person is connected, the portable terminal 230 transmits the call through the visual or audio output means. 230, the user may be notified, and the call with the external wired communication terminal 210 or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220 which has been connected to the user 230 may be terminated.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 전환 기능을 제공하는 휴대 단말기(230)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mobile terminal 230 that provides a call transfer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230)는 무선 트랜시버(310), 전화 번호 검색부(320), 전화 번호 데이터베이스(330), 연결 전환부(340), 제어부(350), 입력 수단(360) 및 출력 수단(370)을 포함할 수 있다.The mobile terminal 2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ireless transceiver 310, a telephone number search unit 320, a telephone number database 330, a connection switcher 340, a controller 350, and an input means ( 360 and output means 370.

각 구성 요소를 설명하면, 무선 트랜시버(310)는 제 1 통신 단말기로부터 통화 연결을 위한 호를 수신할 수 있으며, 제어부(350)와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면서 정보를 송신 또는 수신할지를 결정할 수 있다.In describing each component, the wireless transceiver 310 may receive a call for a call connection from the first communication terminal, and determine whether to transmit or receive information while transmitting or receiving a signal with the controller 350.

한편, 전화 번호 검색부(320)는 전화 번호 데이터베이스(330)로부터 호의 전환 대상인 제 2 통신 단말기의 전화 번호가 미리 등록된 전화 번호인지를 검색할 수 있다.Meanwhile, the phone number search unit 320 may search from the phone number database 330 to determine whether the phone number of the second communication terminal which is the target of call switching is a registered phone number.

한편, 전화 번호 데이터베이스(330)는 제 2 통신 단말기의 전화 번호를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the telephone number database 330 includes the telephone number of the second communication terminal.

한편, 연결 전환부(340)는 제 1 통신 단말기와 연결된 호를 제 2 통신 단말기와 연결되도록 호를 전환하는 키폰 기능을 수행하며, 이는 휴대 단말기(230)의 입력 수단(360)으로부터 명령 신호가 입력되면 수행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nnection switching unit 340 performs a key phone function to switch the call to be connected to the second communication terminal call connected to the first communication terminal, which is a command signal from the input means 360 of the mobile terminal 230 Once entered, it can be performed.

또한, 연결 전환부(340)는 제 1 통신 단말기의 호를 제 2 통신 단말기로 전환할 수 없는 경우, 제 1 통신 단말기 및 제 2 통신 단말기 중 하나 이상으로 문자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nection switching unit 340 may transmit a text message to one or more of the first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terminal, when the call of the first communication terminal cannot be switched to the second communication terminal.

예를 들어, 제 1 통신 단말기로는 제 2 통신 단말기로의 통화가 연결되지 않았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으며, 제 2 통신 단말기로는 제 1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연결을 요청하였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For example, a message indicating that a call to the second communication terminal is not connected can be transmitted to the first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message indicating that a user of the first communication terminal has requested a connection to the second communication terminal. Can be transmitted.

한편, 제어부(350)는 다양한 명령에 따라 상기한 무선 트랜시버(310), 전화 번호 검색부(320), 연결 전환부(340), 그리고 후술하는 출력 수단(370)을 제어할 수 있다.Meanwhile, the controller 350 may control the wireless transceiver 310, the telephone number search unit 320, the connection switcher 340, and the output means 370 described later according to various commands.

또한, 후술하는 입력 수단(360)에 의해 사용자가 입력한 명령에 따라 제어 신호의 송신 등을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put means 360 to be described later may transmit a control signal or the like according to a command input by the user.

한편, 입력 수단(360)은 휴대 단말기(230)에 각종 명령을 내리거나 설정을 가능하도록 하는 사용자의 선택을 입력받는다. On the other hand, the input unit 360 receives a user's selection to give a variety of commands or settings to the portable terminal 230.

또한, 입력 수단(360)은 키패드, 터치 스크린, 터치 패드, 및 음성 인식 모듈 등이 하나 이상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put means 360 may be used in combination with one or more of a keypad, a touch screen, a touch pad, and a voice recognition module.

참고로, 전술한 연결 전환부(340)의 동작도 입력 수단(360)을 통해 명령이 입력될 수 있다.For reference, a command may also be input through the input means 360 of the above-described operation of the connection switching unit 340.

한편, 출력 수단(370)은 휴대 단말기(230)의 설정이나 동작 결과를 확인할 수 있는 정보를 출력할 수 있으며, 휴대 단말기(230)에 구비된 LCD, 유기 LED, PDP, LED 등 시각적 출력 수단, 벨소리, 컬러링, MP3 등 다양한 음악을 출력할 수 있는 스피커, 이어폰 등 청각적 출력 수단, 및 진동 모터 등을 이용한 촉각적 출력 수단이 하나 이상 사용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output means 370 may output information for confirming the setting or operation results of the portable terminal 230, and visual output means such as LCD, organic LED, PDP, LED, etc. provided in the portable terminal 230, One or more tactile output means using speakers, audio output devices such as earphones, and vibration motors capable of outputting various music such as ringtones, coloring, MP3, and the like may be used.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230)의 입력 수단을 도시한 도면이다.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nput means of the portable terminal 2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를 전환하기 위한 버튼(410)은 휴대 단말기(230)의 터치식 키패드의 여러 키들 중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As illustrated in FIG. 4, the button 410 for transferring a call may be any one of several keys of the touch keypad of the mobile terminal 230.

만일, 휴대 단말기(230)가 제 1 통신 단말기와 호가 연결된 상태에서, 제 1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로부터 호 전환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휴대 단말기(230)는 제 1 통신 단말기와 연결된 호를 제 2 통신 단말기로 전환하기 위한 버튼(410)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If the mobile terminal 230 receives a call transfer request from a user of the first communication terminal while the call is connected to the first communication terminal, the mobile terminal 230 transmits the call connected to the first communication terminal to the second communication. An input of a button 410 for switching to the terminal may be received.

도 4에 도시된 호를 전환하기 위한 버튼(410)이 휴대 단말기(230)의 사용자로부터 선택되면, 휴대 단말기(230)는 제 1 통신 단말기와의 통화가 잠시 보류된 상태에서 전화 번호 데이터베이스(330)에 저장된 전화 번호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When a button 410 for switching a call shown in FIG. 4 is selected from a user of the mobile terminal 230, the mobile terminal 230 is a phone number database 330 in a state in which a call with the first communication terminal is temporarily suspended. You can display the phone number stored on the screen.

이후, 화면에 표시된 전화 번호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휴대 단말기(230)는 선택된 전화 번호에 기초하여 제 1 통신 단말기와의 호를 선택된 전화 번호와 연결할 수 있다.Thereafter, when any one of the telephone numbers displayed on the screen is selected, the mobile terminal 230 may connect the call with the first communication terminal with the selected telephone number based on the selected telephone number.

이에 대한 내용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230)의 호 전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all transfer of the mobile terminal 2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 도시된 도면은, 휴대 단말기(230)가 제 1 통신 단말기와 호가 연결된 상태에서, 제 1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로부터 특정 직원(전화 번호 "010-1234-5678" 사용)과의 통화 연결을 요청받는 경우이다.5 is a diagram in which the mobile terminal 230 connects a call with a specific employee (using the telephone number "010-1234-5678") from a user of the first communication terminal while a call is connected with the first communication terminal. If requested.

휴대 단말기(230)는 제 1 통신 단말기와의 통화를 잠시 보류하고, 전화 번호 데이터베이스(330)로부터 "010-1234-5678" 번호를 검색하여 화면에 표시한다.The mobile terminal 230 temporarily suspends the call with the first communication terminal, retrieves the number "010-1234-5678" from the telephone number database 330, and displays it on the screen.

이후, 사용자에 의해 화면에 표시된 전화 번호 "010-1234-5678"이 선택되면, 휴대 단말기(230)는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된 제 2 통신 단말기의 전화 번호 "010-1234-5678" 로 제 1 통신 단말기의 호를 연결시킬 것인지를 묻는 메시지를 화면 상에 표시할 수 있다.Thereafter, when the telephone number "010-1234-5678" displayed on the screen is selected by the user, the mobile terminal 230 displays the telephone number "010-" of the selected second communication terminal, as shown in FIG. 1234-5678 "may display a message asking whether to connect the call of the first communication terminal on the screen.

사용자에 의해 "예" 가 선택되면 휴대 단말기(230)는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 연결 전환이 진행되고 있음을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If "Yes" is selected by the user, the mobile terminal 230 may display on the screen that call connection switching is in progress, as shown in FIG.

제 1 통신 단말기와 제 2 통신 단말기의 호가 연결된 이후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메시지가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After a call between the first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terminal is connected, a message as shown in FIG. 6 may be displayed on the screen.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230)에서의 호 전환 이후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after a call transfer in the mobile terminal 2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휴대 단말기(230)는 제 1 통신 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제 1 통신 단말기와의 호를 제 2 통신 단말기로 연결시킨 후, 더 이상 제 1 통신 단말기와 제 2 통신 단말기 사이에서 연결을 중계하는 역할을 할 필요가 없으므로 도 6의 (a)와 같이 연결을 종료할 것인지를 묻는 메시지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The mobile terminal 230 connects a call with the first communication terminal to the second communication terminal at the request of the first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n relays the connection between the first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terminal. Since there is no need to do so, a message asking whether to terminate the connection may be displayed on the screen as shown in FIG.

또한, 휴대 단말기(230)는 제 1 통신 단말기와 제 2 통신 단말기와 함께 3자 통화를 시도해야 하는 경우, 도 6의 (b)와 같이 함께 통화를 할지를 묻는 메시지를 화면에 표시할 수도 있다.In addition, when it is necessary to try a three-way call with the first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terminal, the portable terminal 230 may display a message asking whether to make a call together as shown in FIG.

또한, 휴대 단말기(230)는 제 1 통신 단말기의 호를 제 2 통신 단말기로 전환할 수 없는 경우, 제 1 통신 단말기 및 제 2 통신 단말기 중 하나 이상으로 문자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call of the first communication terminal cannot be switched to the second communication terminal, the portable terminal 230 may transmit a text message to one or more of the first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terminal.

예를 들어, 제 1 통신 단말기로는 제 2 통신 단말기로의 통화가 연결되지 않았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으며, 제 2 통신 단말기로는 제 1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연결을 요청하였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For example, a message indicating that a call to the second communication terminal is not connected can be transmitted to the first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message indicating that a user of the first communication terminal has requested a connection to the second communication terminal. Can be transmitted.

따라서, 제 1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는 추후 제 2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와 통화를 시도할 수 있고, 제 2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는 추후 제 1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에게 연락을 취할 수 있다.Thus, the user of the first communication terminal can later try to speak with the user of the second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user of the second communication terminal can later contact the user of the first communication terminal.

뿐만 아니라, 휴대 단말기(230)의 사용자도 제 1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로부터 연락이 왔음을 제 2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에게 알릴 필요가 없으므로 업무를 줄일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user of the mobile terminal 230 does not need to notify the user of the second communication terminal that a contact has been received from the user of the first communication terminal, the work can be reduced.

참고로, 문자 메시지로는 SMS(Short Message Service), MMS(Multimedia Message Service), LMS(Long Message Service), 또는 UMS(Unified Message Service) 중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For reference, the text message may be any one of a short message service (SMS), a multimedia message service (MMS), a long message service (LMS), and a unified message service (UMS).

참고로, 전술한 휴대 단말기(230)의 호 전환 기능은 고객 등 외부에서 걸려오는 경우가 많으므로 요금은 수신자(회사측)가 부담하도록 하여, 고객에게 통화 요금에 대한 부담을 갖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For reference, since the call transfer function of the above-described portable terminal 230 is often received from outside such as a customer, the charge may be borne by the receiver (company side), so that the customer may not have a burden on the call charge. .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230)의 호 전환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all transfer process of the mobile terminal 2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단계(S710)에서, 휴대 단말기(230)는 외부의 제 1 통신 단말기와 호 연결이 이루어진다.In operation S710, the mobile terminal 230 is connected to an external first communication terminal.

예를 들면, 어떤 사업체의 직통 연결 전화 번호가 지정된 통신 단말기가 휴대 단말기(230)라고 할 수 있고, 고객이나 협력업체의 통신 단말기는 제 1 통신 단말기라고 할 수 있다.For example, a communication terminal to which a direct telephone number of a certain business is designated may be referred to as a mobile terminal 230, and a communication terminal of a customer or a partner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munication terminal.

단계(S720)에서, 휴대 단말기(230)는 제 1 통신 단말기로부터 다른 통신 단말기와의 호 연결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In operation S720, the mobile terminal 230 may receive a call connection request with another communication terminal from the first communication terminal.

예를 들면, 회사의 대표 전화 번호가 지정된 휴대 단말기(230)가 회사 내부의 다른 통신 단말기와 연결을 해달라는 요청을 받는 경우가 해당된다.For example, the case where the mobile terminal 230, which is designated as the representative phone number of the company, receives a request for connection with another communication terminal in the company.

여기에서, 다른 통신 단말기는 제 2 통신 단말기가 될 수 있으며, 휴대 단말기(230)는 현재 연결된 통화 상태를 유지하면서 제 1 통신 단말기로부터의 호 전환 요구가 있을 때까지 대기할 수 있다.Here, the other communication terminal may be a second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mobile terminal 230 may wait until a call transfer request from the first communication terminal is maintained while maintaining a currently connected call state.

단계(S730)에서, 휴대 단말기(230)는 제 1 통신 단말기로부터 호 전환 요구를 수신하고 제 1 통신 단말기와의 통화를 잠시 보류할 수 있다.In operation S730, the mobile terminal 230 may receive a call transfer request from the first communication terminal and temporarily suspend a call with the first communication terminal.

즉, 제 1 통신 단말기는 휴대 단말기(230)와 통화 대기 상태로 있게 되며, 통화가 보류되는 동안 제 1 통신 단말기로 연결 중을 알리는 음악 소리나 회사 광고, 특정 정보 등이 출력될 수도 있다.That is, the first communication terminal may be in a call waiting state with the mobile terminal 230, and a music sound, a company advertisement, specific information, etc. indicating that the call is being connected to the first communication terminal may be output while the call is suspended.

단계(S740)에서, 휴대 단말기(230)는 제 1 통신 단말기가 요구한 호가 전환될 예정인 제 2 통신 단말기의 전화 번호를 검색하고 연결을 시도한다.In step S740, the portable terminal 230 searches for the telephone number of the second communication terminal to which the call requested by the first communication terminal is to be switched and attempts to connect.

참고로, 휴대 단말기(230)의 전화 번호 데이터베이스(330)에 제 2 통신 단말기의 전화 번호가 입력되어 있지 않다면 휴대 단말기(230) 사용자가 임의로 입력하여 연결할 수도 있다.For reference, if the phone number of the second communication terminal is not entered in the phone number database 330 of the mobile terminal 230, the user of the mobile terminal 230 may arbitrarily input and connect.

즉, 사내 교환기 등에 등록된 전화 번호만을 연결 전환시켜주는 것이 아니라 이동 통신망 또는 공중 전화 교환망을 통해 연결되는 모든 통신 단말기로 연결 전환이 가능하다.That is, instead of switching only the telephone numbers registered in the internal exchange, the connection can be switched to all communication terminals connected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or the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단계(S750)에서, 휴대 단말기(230)는 제 2 통신 단말기와 연결이 되어 휴대 단말기(230)의 사용자와 제 2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간 대화가 이루어진다.In operation S750, the mobile terminal 230 is connected to the second communication terminal to perform a conversation between the user of the mobile terminal 230 and the user of the second communication terminal.

참고로, 여기에서 이루어지는 대화는, 휴대 단말기(230)의 사용자가 제 2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에게 외부로부터 전화가 왔음을 알리고 전화를 연결해 줄 것인지를 문의하는 내용일 수 있다.For reference, the conversation may be a content of inquiring whether the user of the mobile terminal 230 notifies the user of the second communication terminal that a call is received from outside and connects the phone.

이때, 제 1 통신 단말기에는 통화 대기 중임을 알리는 대기음이 출력될 수 있으며, 제 2 통신 단말기에서 제 1 통신 단말기와의 통화 연결을 승인할 경우, 제 2 통신 단말기에 통화 연결음이 출력될 수 있다.At this time, a standby sound indicating that the call is waiting may be output to the first communication terminal, and when the second communication terminal approves a call connection with the first communication terminal, a call connection sound may be output to the second communication terminal.

단계(S760)에서, 휴대 단말기(230)는 제 1 통신 단말기와 제 2 통신 단말기가 연결되었는지를 확인한다. 만일 제 1 통신 단말기와 제 2 통신 단말기가 연결이 되지 않은 상태라면 다시 단계(S720)로 가서 제 1 통신 단말기가 다른 호 전환 요구를 할 것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In step S760, the portable terminal 230 checks whether the first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terminal are connected. If the first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terminal is not in the connected state, it may go back to step S720 to determine whether the first communication terminal makes another call transfer request.

단계(S770)에서, 제 1 통신 단말기와 제 2 통신 단말기가 연결된 경우, 휴대 단말기(230)는 더 이상 제 1 통신 단말기와의 호 연결 지속할 필요가 없으므로, 제 1 통신 단말기와의 통화를 종료한다.In step S770, when the first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terminal are connected, the portable terminal 230 no longer needs to continue the call connection with the first communication terminal, thus ending the call with the first communication terminal. do.

이때 휴대 단말기(230), 제 1 통신 단말기 및 제 2 통신 단말기가 함께 통화를 하고 싶다면 전술한 바와 같이 3자 통화가 가능하도록 휴대 단말기(230)의 통화 상태를 유지할 수도 있다.In this case, if the portable terminal 230, the first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terminal want to make a call together, the mobile terminal 230 may maintain a call state as described above.

이상에서 설명한 휴대 단말기(230)는 다양한 통신 단말기가 해당될 수 있고 특히 FMC(Fixed Mobile Convergence)기기인 유무선 통합 단말기에 적용되어 앞서 설명한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The mobile terminal 230 described above may correspond to various communication terminals, and in particular, the mobile terminal 230 may be applied to a wired / wireless integrated terminal which is a fixed mobile convergence (FMC) device to maximize the aforementioned effects.

또한, 이 휴대 단말기(230)는 PDC(Personal Digital Cellular)폰,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폰,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폰, CDMA-2000(1X, 3X)폰, WCDMA(Wideband CDMA)폰, 듀얼 밴드/듀얼 모드(Dual Band/Dual Mode)폰, GSM(Global Standard for Mobile)폰, MBS(Mobile Broadband System)폰,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폰, 스마트(Smart) 폰, 핸드폰 등과 같은 통신 기능이 포함될 수 있는 휴대용 기기,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단말기,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 MGCP(Media Gateway Control Protocol), MEGACO(Media Gateway Control),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핸드 헬드 PC(Hand-Held PC), 노트북 컴퓨터, 랩탑 컴퓨터, 와이브로(WiBro) 단말기, MP3 플레이어, MD 플레이어 등과 같은 단말기, 그리고 국제 로밍(Roaming) 서비스와 확장된 이동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단말기,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ervice) 기반의 단말기 등을 포함하는 모든 종류의 핸드 헬드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의미하는 휴대용 전기전자장치로서, CDMA(Code Division Multiplexing Access) 모듈, 블루투스(Bluetooth) 모듈, 적외선 통신 모듈(Infrared Data Association), 유무선 랜카드 및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를 통한 위치 추적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GPS 칩이 탑재된 무선 통신 장치와 같은 소정의 통신 모듈을 구비할 수 있으며, 멀티미디어 재생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탑재함으로써 일정한 연산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단말기를 통칭하는 개념으로 해석된다.In addition, the mobile terminal 230 is a PDC (Personal Digital Cellular) phone, PCS (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 phone, PHS (Personal Handyphone System) phone, CDMA-2000 (1X, 3X) phone, WCDMA (Wideband CDMA) phone, Communication functions such as Dual Band / Dual Mode phones, Global Standard for Mobile (GSM) phones, Mobile Broadband System (MBS) phones,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phones, Smart phones, mobile phones, etc. Handheld devices that may include,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PSTN) terminals,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VoIP), Session Initiation Protocol (SIP), Media Gateway Control Protocol (MGCP), Media Gateway Control (MEGACO), and Personal Digital (PDA) Such as assistants, hand-held PCs, notebook computers, laptop computers, WiBro terminals, MP3 players, MD players, etc., as well as international roaming services and extended mobile communications services. IMT-2000 (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terminal As a portable electric and electronic device, which means all kinds of handheld-base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including UMTS-based terminals, a code division multiplexing access (CDMA) module, a Bluetooth module, In order to enable location tracking through an infrared data module (Infrared Data Association), a wired / wireless LAN card, and a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a predetermined communication module such as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equipped with a GPS chip may be provided. It is interpreted as a concept of collectively a terminal capable of performing a certain arithmetic operation by mounting a microprocessor capable of performing.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recording medium containing instructions executable by a computer, such as a program module executed by the computer. Computer readable media can be any available media that can be accessed by a computer and includes both volatile and nonvolatile media, removable and non-removable media. In addition, computer readable media may include both computer storage media and communication media. Computer storage media includes both volatile and nonvolatile, removable and non-removable media implemented in any method or technology for storage of information such as computer readable instructions, data structures, program modules or other data. Communication media typically includes computer readable instructions, data structures, program modules, or other data in a modulated data signal such as a carrier wave, or other transmission mechanism, and includes any information delivery media.

본 발명의 방법 및 장치는 특정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그것들의 구성 요소 또는 동작의 일부 또는 전부는 범용 하드웨어 아키텍쳐를 갖는 컴퓨터 시스템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Although the methods and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specific embodiments, some or all of their components or operations may be implemented using a computer system having a general purpose hardware architecture.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The forego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for illustration, and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asily modif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type may be implemented in a distributed manner, and similarly, components described as distributed may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by the following claims rather than the above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

310 : 무선 트랜시버
320 : 전화 번호 검색부
330 : 전화 번호 데이터베이스
340 : 연결 전환부
350 : 제어부
360 : 입력 수단
370 : 출력 수단
310: wireless transceiver
320: phone number search unit
330: phone number database
340: connection switching unit
350: control unit
360: input means
370 output means

Claims (8)

호 전환 기능을 제공하는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
제 1 통신 단말기로부터 통화 연결을 위한 호(call)를 수신하는 무선 트랜시버,
상기 호의 전환 대상인 제 2 통신 단말기와 통화가 연결되도록 상기 호를 전환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 받는 입력부,
복수의 전화 번호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상기 제 2 통신 단말기의 전화 번호가 미리 등록된 전화 번호인지 확인하는 전화 번호 검색부 및
상기 제 1 통신 단말기와 상기 제 2 통신 단말기가 상호 연결되도록 상기 호를 전환하는 연결 전환부
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A mobile terminal providing a call transfer function,
A wireless transceiver for receiving a call for a call connection from a first communication terminal,
An input unit which receives a command for diverting the call so that a call is connected to a second communication terminal which is the target of the call transfer;
A telephone number retrieval unit for retrieving a database in which a plurality of telephone numbers are stored and checking whether the telephone number of the second communication terminal is a pre-registered telephone number;
A connection switching unit for switching the call so that the first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terminal are interconnected;
Including, a mobile termina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전환부는 상기 호를 전환할 수 없는 경우, 상기 제 1 통신 단말기 및 제 2 통신 단말기 중 하나 이상으로 상기 호를 전환할 수 없음을 알리는 문자 메시지를 전송하는, 휴대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1,
And the connection switching unit transmits a text message indicating that the call cannot be transferred to at least one of the first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terminal when the call cannot be switch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통신 단말기와 제 2 통신 단말기가 상호 연결되도록 상기 호를 전환하는 동안 미리 정해진 통화 연결음 또는 광고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 수단
을 더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1,
Output means for outputting predetermined ring back tone or advertisement information while switching the call so that the first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terminal are interconnected;
Further comprising, a mobile terminal.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수단은 상기 제 1 통신 단말기와 상기 제 2 통신 단말기 간에 상기 호가 연결된 경우, 상기 호가 연결되었음을 알리는, 휴대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And the output means notifies that the call is connected when the call is connected between the first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terminal.
호(call) 전환 방법에 있어서,
(a) 제 1 통신 단말기로부터 제 2 통신 단말기로의 통화 연결을 위한 호를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제 2 통신 단말기와 통화가 연결되도록 상기 호를 전환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 받는 단계,
(c) 복수의 전화 번호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제 2 통신 단말기의 전화 번호를 검색하는 단계,
(d) 상기 검색된 제 2 통신 단말기의 전화 번호에 기초하여, 상기 호를 상기 제 2 통신 단말기와 연결되도록 전환하는 단계,
(e) 상기 제 1 통신 단말기와 상기 제 2 통신 단말기 간에 상기 호가 연결되었음을 알리는 단계 및
(f) 상기 제 1 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상기 호 연결을 종료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호 전환 방법.
In the call switching method,
(a) receiving a call for a call connection from a first communication terminal to a second communication terminal,
(b) receiving a command for diverting the call so that a call is connected to the second communication terminal;
(c) retrieving a telephone number of the second communication terminal from a database in which a plurality of telephone numbers are stored;
(d) diverting the call to be connected with the second communication terminal based on the retrieved second communication terminal telephone number;
(e) notifying that the call is connected between the first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terminal; and
(f) terminating the call connection received from the first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ing, call transfer method.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통신 단말기와 상기 제 2 통신 단말기가 상호 연결되도록 호를 전환하는 동안 통화 연결음 또는 미리 정해진 광고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호 전환 방법.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Outputting a ring back tone or predetermined advertisement information while switching a call so that the first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terminal are interconnected.
Further comprising, call transfer method.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호를 전환할 수 없는 경우, 상기 제 1 통신 단말기 및 상기 제 2 통신 단말기 중 하나 이상으로 문자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호 전환 방법.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If the call cannot be diverted, sending a text message to at least one of the first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terminal.
Further comprising, call transfer method.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 메시지는 SMS(Short Message Service), MMS(Multimedia Message Service), LMS(Long Message Service) 및 UMS(Unified Message Service) 중 어느 하나인 것인, 호 전환 방법.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text message is any one of a short message service (SMS), a multimedia message service (MMS), a long message service (LMS) and a unified message service (UMS).
KR1020100083544A 2010-08-27 2010-08-27 Mobile device for providing function of call transfer and call transfer method thereof KR20120020236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3544A KR20120020236A (en) 2010-08-27 2010-08-27 Mobile device for providing function of call transfer and call transfer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3544A KR20120020236A (en) 2010-08-27 2010-08-27 Mobile device for providing function of call transfer and call transfer method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0236A true KR20120020236A (en) 2012-03-08

Family

ID=461288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3544A KR20120020236A (en) 2010-08-27 2010-08-27 Mobile device for providing function of call transfer and call transfer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20236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40147278A1 (en) Electronic device with extendable keyboard
US20110158175A1 (en) Wireless Device For Voice Communication
WO2007108086A1 (en) Mobile telephone terminal device, communication server, its control method, and control program
US8108001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 simplified mobile phone
KR20080028265A (en) Remote hanset diagnostics
US20080123580A1 (en) Transferable Wireless Communicator For Data And Voice
JP2004135324A (en) Adapter for portable telephone, and telephone set
KR20110034254A (en) Method and system of power saving, portable device using the same
KR100466859B1 (en) System for Storing Voice over Telephone for Use in Mobile Communication and Method thereof
KR100688292B1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connecting to phone number included in contents of text message
US8385962B1 (en) Push-to-talk voice messages
KR20120020236A (en) Mobile device for providing function of call transfer and call transfer method thereof
US8954036B2 (en) Data arrival control server and method for notifying a communication terminal of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terminals of data arrival at a certain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plurality of communication terminals
JP5361404B2 (en) Mobile radio communication method and mobile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used therefor
KR100736775B1 (en) Method for inform new telephone number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2324391B1 (en) System and method connecting a phone from an IP phone using the caller's registered phone number information
KR20070030459A (en) System for offering mobile messenger service using electronic dictionary and mobile device
KR10059050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Reply of SMS Message by Using Stored SMS Samples
KR101293851B1 (en)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tting message using bulletin board
KR100803952B1 (en)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Caller-Mapped Sound with Text Message
KR20020066032A (en) System and method of automatically ringing up using bluetooth communication
TWI531207B (en) Voice command network telephone and its operation method
CN10168265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reating dynamic phone pages due to triggering events from an external source
JP2006303838A (en) Radio lan system and method for utilizing telephone service used for it
KR20050075569A (en)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nd its method for providing transmitting telephone numb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