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19065A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Google Patent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19065A
KR20120019065A KR1020100082177A KR20100082177A KR20120019065A KR 20120019065 A KR20120019065 A KR 20120019065A KR 1020100082177 A KR1020100082177 A KR 1020100082177A KR 20100082177 A KR20100082177 A KR 20100082177A KR 20120019065 A KR20120019065 A KR 201200190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enna
terminal
mobile communication
charging
communic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217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801185B1 (en
Inventor
최재현
한기원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821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1185B1/en
Publication of KR201200190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906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11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118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02J50/12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of the resonant type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F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OR MAGNETIC VARIABLES
    • G05F3/00Non-retroactive 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variables by using an uncontrolled element, or an uncontrolled combination of elements, such element or such combination having self-regulating properties
    • G05F3/02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 G05F3/04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is ac
    • G05F3/06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is ac using combinations of saturated and unsaturated inductive devices, e.g. combined with resonant circui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9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detection or optimisation of position, e.g. align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33Hand-held transceiv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18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apply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microwaves
    • A61B18/1815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apply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microwaves using microwaves
    • A61B2018/183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apply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microwaves using microwave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antenna
    • A61B2018/1853Monopole antenna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310/00The network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its spatial reach or by the load
    • H02J2310/10The network having a local or delimited stationary reach
    • H02J2310/20The network being internal to a load
    • H02J2310/22The load being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bstract

PURPOS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provided to regularly maintain transmitting and receiving performance of an electric wave in wireless charging by selectively operating an antenna in wireless charging with a switching operation. CONSTITUTION: A sensor detects whether a terminal is arranged in a charging pad or not. A first antenna(210) generally operates the terminal in a use mode. A second antenna(220) operates the terminal in a charging mode. A switch(230) selectively operates the first or second antenna with a switching operation according to the sensing result of the sensor. A rectifying part(250) changes a direct current voltage, rectified with an induced electromotive force, into a standard voltage.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Mobile termi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은 무선 충전 중에 전파의 송신 및 수신 성능을 개선시킬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improving transmission and reception performance of radio waves during wireless charging.

이동통신 단말기는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러한 다양한 기능들의 예로 데이터 및 음성통신 기능, 카메라를 통해 사진이나 동영상을 촬영하는 기능, 음성 저장 기능, 스피커 시스템을 통한 음악 파일의 재생 기능, 이미지나 비디오의 디스플레이 기능 등이 있다. 일부 이동 단말기는 게임을 실행할 수 있는 추가적 기능을 포함하고, 다른 일부 이동 단말기는 멀티미디어 기기로서 구현되기도 한다. 더욱이 최근의 이동 단말기는 방송이나 멀티캐스트(multicast) 신호를 수신하여 비디오나 텔레비전 프로그램을 시청할 수 있다.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ay be configured to perform various functions. Examples of such various functions include data and voice communication functions, taking pictures or videos through a camera, storing voices, playing music files through a speaker system, and displaying images or videos. Some mobile terminals include additional functionality to play games, while others are implemented as multimedia devices. Moreover, recent mobile terminals can receive broadcast or multicast signals to watch video or television programs.

최근 이동 단말기를 통해 방송이나 멀티캐스트(multicast) 신호를 수신하여 비디오나 텔레비전 프로그램을 시청할 수 있게 됨에 따라 보다 대용량의 배터리 사용이 요구되고 있다. 하지만 지속적인 연구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만족할 정도의 용량을 갖는 배터리가 개발되지 않고 있다. 그 결과, 배터리 잔량을 근거로 충전시기 및 충전 방법을 적절히 판단하여 충전동작을 수행하지 않는다면 이동 단말기를 통하여 상기 비디오나 텔레비전 프로그램을 시청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간편하게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는 다양한 충전장치 및 관련 방법들이 개발되고 있다. Recently, as a user can watch a video or a television program by receiving a broadcast or multicast signal through a mobile terminal, the use of a larger capacity battery is required. Despite continued research, however, no battery with a satisfactory capacity has yet been developed. As a result, if the charging time is not properly determined based on the remaining battery charge and the charging operation is not performed, the video or television program may not be viewed through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ly, various charging devices and related methods for easily charging a battery have been developed.

일반적으로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해서는 일반 전원과 연결되어 이동 단말기의 배터리에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기 위한 충전유닛(또는 충전모체, 충전장치)이 필요하다. 상기 충전 유닛과 배터리에는 외부에 각각 별도의 접촉단자가 구성되어 있어, 두 접촉단자를 서로 접속시켜 선택적으로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In general, in order to charge a battery, a charging unit (or a charging matrix, a charging device) for supplying electrical energy to a battery of a mobile terminal connected to a general power source is required. The charging unit and the battery are provided with separate contact terminals, respectively, so that the two contact terminals can be connected to each other to selectively charge the battery.

그런데, 상기 충전 유닛과 배터리에 접촉단자를 구비하면 미관상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습기에 노출되어 충전에너지가 소실되거나 접촉불량에 의해 충전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가 발생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충전유닛과 배터리(또는 충전지)에 각각 접촉단자를 구성하지 않고 무선(또는 비접촉식)으로 충전할 수 있는 방법이 개발되었으며, 일부 응용분야에서 이용되고 있다.However, when the charging unit and the battery are provided with a contact terminal, not only does not look aesthetically good, but also may be exposed to moisture, and thus the charging operation may not be performed smoothly due to loss of charging energy or poor contact. Therefore, in order to overcome the above problems, a method of charging wirelessly (or contactlessly) without configuring a contact terminal in each of the charging unit and the battery (or the rechargeable battery) has been developed, and has been used in some applications.

종래의 무선(또는 비접점) 충전방식의 일 예로서 유도결합에 의한 무선 충전방식, 용량결합에 의한 무선 충전방식 및 전파를 이용하여 충전을 수행하는 무선방식 등이 있다. Examples of conventional wireless (or non-contact) charging methods include wireless charging by inductive coupling, wireless charging by capacitive coupling, and wireless charging using radio waves.

도1은 종래의 충전패드에 한 대 이상의 이동 단말기가 수용된 형상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1 is a conceptual view illustrating a shape in which one or more mobile terminals are accommodated in a conventional charging pad.

도1A는 한 대의 이동통신 단말기(11)를 무선 충전할 수 있는 단일 무선 패드(21: Single wirelss pad)로, 상기 패드는 1개의 코일과 1개의 제어 기판으로 구성된다. 도1B는 복수의 이동통신 단말기(12)를 무선 충전할 수 있는 다중 무선 패드(22:Multi wireless pad)로, 상기 패드는 복수의 코일과 1개 또는 복수의 제어 기판으로 구성된다. 도1C는 이동통신 단말기(13)를 공진 무선 패드(23: Resonance wireless pad)로, 상기 패드는 1개의 루프 안테나(loop antenna)와 1개의 제어기판으로 구성된다.FIG. 1A is a single wireless pad 21 capable of wirelessly charging on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 which is composed of one coil and one control board. FIG. 1B is a multi wireless pad 22 capable of wirelessly charging a plurality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12. The pad includes a plurality of coils and one or a plurality of control boards. 1C show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3 as a resonance wireless pad 23, which is composed of one loop antenna and one control board.

그런데, 이러한 무선 충전방식으로 인하여 이동통신 단말기 하단의 안테나와 충전패드(pad)의 코일 또는 제어기판의 금속 성분과의 접촉에 의하여 안테나의 특성이 변화하고, 이는 총 방사전력 (TRP: Total Radiated Power) 및 총 무지향 민감도 (TIS: Total Istropic Sensitvity)의 열화를 가져와 전파의 수신 감도 저하를 수반하였다. 이러한 전파의 수신 감도 저하로 인하여 통신 서비스의 성능 저하가 수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due to such a wireless charging method, the characteristics of the antenna are changed by contact between the antenna at the bottom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coil of the charging pad, or the metal component of the control board, which is the total radiated power (TRP). ) And total istropic sensitivity (TIS) resulted in deterioration of radio wave reception sensitivity. Due to the decrease in the reception sensitivity of the radio wav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performance of the communication service is accompanie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무선 충전 중 패드의 금속 성분과의 접촉으로 인한 전파의 송신 및 수신 성능의 저하를 방지하고, 안테나의 성능을 최적화하기 위한 충전 중 안테나 동작 모드를 지원하는 안테나의 구조 및 스위치 회로를 구현하는데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o prevent degradation of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performance of radio waves due to contact with the metal component of the pad during wireless charging, and to operate the antenna operation mode during charging to optimize the performance of the antenna The purpose is to implement a structure and a switch circuit of the supporting antenna.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해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통신 단말기는, 충전패드로부터 유도기전력에 의해 배터리에 전원을 공급받는데, 상기 단말기가 상기 충전패드에 배치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게 구성된 감지부; 상기 단말기가 상기 충전패드에 배치되지 않은 일반 사용모드에서, 동작할 수 있게 구성된 제1 안테나; 상기 단말기가 상기 충전패드에 배치된 충전모드에서, 동작할 수 있게 구성된 제2 안테나;및 상기 감지부의 감지결과에 따라, 상기 제1 또는 제2 안테나가 선택적으로 동작하도록 스위칭 동작을 수행하는 스위치부;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nsing unit configured to detect whether the terminal is disposed on the charging pad, the battery being powered by an induction electromotive force from a charging pad; A first antenna configured to operate in a normal use mode in which the terminal is not disposed on the charging pad; A second antenna configured to be operable in the charging mode in which the terminal is disposed in the charging pad; and a switch unit performing a switching operation to selectively operate the first or second antenna according to a detection result of the sensing unit. It includes;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유도기전력에 의한 교류 전압을 직류 전압으로 정류하고, 상기 직류 전압을 표준 전압으로 변환하는 정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ay further include a rectifying unit rectifying the AC voltage by the induced electromotive force into a DC voltage and converting the DC voltage into a standard voltage.

상기 감지부는 상기 유도기전력에 의한 교류 전압을 정류한 직류 전압을 감지하여, 상기 단말기가 상기 충전패드 위에 배치되었는지를 감지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The sensing unit may be configured to detect a DC voltage rectified by the AC voltage by the induced electromotive force, to detect whether the terminal is disposed on the charging pad.

상기 제1 안테나 및 제2 안테나는, 제1 주파수 대역; 및 상기 제1 주파수 대역보다 높은 제2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The first antenna and the second antenna, the first frequency band; And a second frequency band higher than the first frequency band.

상기 제2 안테나는, 상기 충전모드에서, 공진주파수가 저주파 대역으로 천이되는 것을 보상하기 위하여 상기 제1 안테나보다 작은 물리적 길이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second antenna may be configured to have a physical length smaller than that of the first antenna to compensate for the resonance frequency shifting to the low frequency band in the charging mode.

상기 제2 안테나는 상기 일반 사용모드에서, 상기 공진주파수가 상기 제1 및 제2 주파수 대역의 중심 주파수보다 높은 주파수 대역에서 형성되고, 상기 충전모드에서, 상기 공진 주파수가 상기 제1 및 제2 주파수 대역의 중심 주파수 부근에서 형성되도록, 상기 제1 안테나보다 크기를 더 작게 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The second antenna is formed in a frequency band in which the resonant frequency is higher than the center frequency of the first and second frequency bands in the normal use mode, and in the charging mode, the resonant frequency is the first and second frequencies. It may be configured to be smaller in size than the first antenna to be formed near the center frequency of the band.

상기 제2 안테나는 상기 단말기 내에 배치되며, 상기 충전모드에서 전자기 신호를 방사하는 방사체;및 상기 충전패드 내에 배치되며, 상기 방사체와 전자기적 결합에 의해 상기 방사체와 일체로서 안테나로 동작할 수 있게 구성된 기생소자;를 포함하되, 상기 방사체는 상기 기생소자와 결합되지 않은 경우보다 물리적 길이를 더 작게 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The second antenna is disposed in the terminal and radiates an electromagnetic signal in the charging mode; and disposed in the charging pad, and configured to operate as an antenna integrally with the radiator by electromagnetic coupling with the radiator. Including a parasitic element, the radiator may be configured to have a smaller physical length than when not coupled to the parasitic element.

상기 제1 안테나 또는 제2 안테나는 상기 단말기 내부의 접지면과 단락될 수 있다.The first antenna or the second antenna may be shorted to the ground plane inside the terminal.

상기 제1 안테나 또는 제2 안테나는,평면형 역F안테나(PIFA) 또는 모노폴 안테나일 수 있다.The first antenna or the second antenna may be a planar inverted F antenna (PIFA) or a monopole antenna.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제1 안테나에 연결된 제1 스위치; 상기 제2 안테나에 연결된 제2 스위치;및 상기 일반 사용모드 또는 상기 충전모드에서, 상기 제1 및 제2 안테나가 선택적으로 동작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스위치를 상보적으로 온 또는 오프 제어하는 인버터를 포함할 수 있다.The switch unit comprises: a first switch connected to the first antenna; A second switch connected to the second antenna; and in the normal use mode or the charging mode, complementarily turning on or off the first and second switches to selectively operate the first and second antennas. It may include an inverter.

상기 충전패드 내부에는 제1 코일이 배치되고, 상기 단말기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코일과 전자기적 결합되는 제2 코일에 의해 상기 유도기전력이 형성될 수 있다.A first coil may be disposed inside the charging pad, and the induction electromotive force may be formed by a second coil disposed within the terminal and electromagnetically coupled to the first coil.

상기 정류부는 배터리의 충전상태를 감지하여 상기 감지 결과를 기저대역부에 보고할 수 있다.The rectifier may detect the state of charge of the battery and report the detection result to the baseband.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 의하면, 무선 충전 시에 안테나를 스위칭 동작에 의해 선택적으로 동작시킴으로써, 전파의 송신 및 수신 성능을 무선 충전시에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안테나의 성능을 복수의 모드에서 최적화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통신 서비스를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by selectively operating the antenna by a switching operation during wireless charging,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performance of radio waves constantly even during wireless charging. Therefore, it is possible to optimize the performance of the antenna in a plurality of modes, there is an effect that can efficiently provide a communication service.

도 1은 종래의 무선 충전패드에 한 대 이상의 이동 단말기가 수용된 형상을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주파수 대역과, 이동통신 단말기의 충전패드 위의 배치 여부에 따른 전압 정재파비 특성을 나타낸 결과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별 블록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가 무선 충전패드에 수용된 경우의 회로도이다.
1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shape in which one or more mobile terminals are accommodated in a conventional wireless charging pad.
2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n exampl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hown in FIG.
5 is a result showing the voltage standing wave ratio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mobile communication frequency b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whether or not disposed on the charging pa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6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ircuit diagram whe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ccommodated in a wireless charging pad.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특별히 중요한 의미 또는 역할을 부여하는 것은 아니다. Hereinafte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uffixes "module" and "unit" for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merely given in consideration of ease of preparation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do not impart any particular meaning or role by themselves.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과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와,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가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기 단말기가 이동통신 단말기인 것으로 가정하고 설명한다. 그러나, 이하의 설명에 따른 구성은 이동통신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scribed herein include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uch as a mobile phone, a smart phone, a notebook computer, a digital broadcasting terminal,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 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a navigation device, and the like. Fixed terminals, such as digital TVs, desktop computers, and the like.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it is assumed that the terminal i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owever, it will be readily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following description may also be applied to fixed terminals such as digital TVs, desktop computers, etc., except when applicable only to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3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부(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다양한 구성요소를 가지고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도시된 구성요소 모두가 필수구성요소인 것은 아니다. 도시된 구성요소보다 많은 구성요소에 의해 이동통신 단말기가 구현될 수도 있고, 그 보다 적은 구성요소에 의해서도 이동통신 단말기가 구현될 수 있다.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ncludes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an A / V (Audio / Video) input unit 120, a user input unit 130, a sensing unit 140, an output unit 150, a memory unit 160, The interface unit 170 may include a controller 180, a power supply unit 190, and the like. 1 illustrate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various components. However, not all illustrated components are require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ay be implemented by more components than the illustrated components,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ay be implemented by fewer components.

이하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The following describes the components in order.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와 다른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의 무선 통신 또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와 이동통신 단말기(100)가 위치한 네트웍간의 무선 통신을 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위치정보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includes one or more components for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nd another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or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nd a network wher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s located. can do. For example,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may include a broadcast receiving module 111, a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12, a wireless Internet module 113, a short range communication module 114, and a location information module 115 .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111 receives a broadcast signal and / or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from an external broadcast management server through a broadcast channel. The broadcast channel may include a satellite channel and a terrestrial channel. The broadcast management server may mean a server that generates and transmits a broadcast signal and / or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or a server that receives a pre-generated broadcast signal and / or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and transmits the same to a terminal. The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may mean information related to a broadcast channel, a broadcast program, or a broadcast service provider. The broadcast signal may include not only a TV broadcast signal, a radio broadcast signal, and a data broadcast signal, but also a broadcast signal having a data broadcast signal combined with a TV broadcast signal or a radio broadcast signal.

한편,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Meanwhile,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may be provided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in this case, may be receiv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12.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The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may exist in various forms. For example, it may exist in the form of Electronic Program Guide (EPG) of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or Electronic Service Guide (ESG) of 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DVB-H).

방송 수신 모듈(111)은, 예를 들어,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방송 수신 모듈(1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방송 신호를 제공하는 모든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111 may include, for exampl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T),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DMB-S), Media Forward Link Only (MediaFLO), and Digital Video Broadcast- (DVB-H). A digital broadcast signal may be received using a digital broadcast system such as handheld) or ISDB-T (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Of course, 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111 may be configured to be suitable for all broadcast systems providing broadcast signals as well as the digital broadcast system described above.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부(160)에 저장될 수 있다.The broadcast signal and / or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111 may be stored in the memory unit 160.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통신 단말기가 충전패드 위에 배치된 무선충전 중에도 이동통신망 상에서 무선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상기 충전패드에의한 전파와 간섭현상이 없어야 한다.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12 transmits and receives a radio signal with at least one of a base station, an external terminal, and a server o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he wireless signal may include various types of data according to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a voice call signal, a video call signal, or a text / multimedia message.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12 should be free of radio waves and interference by the charging pad so tha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n transmit and receive a wireless signal on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even during wireless charging disposed on the charging pad.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The wireless Internet module 113 is a module for wireless Internet access, and the wireless Internet module 113 can be built in or externally. Wireless Internet technologies may include Wireless LAN (Wi-Fi), Wireless Broadband (Wibro), 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DPA), and the like.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The short range communication module 114 refers to a module for short range communication. As a short range communication technology, Bluetooth,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ltra Wideband (UWB), ZigBee, and the like may be used.

위치정보 모듈(115)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확인하거나 얻기 위한 모듈로서,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The location information module 115 is a module for checking or obtaining a loc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s a representative example, the location information module 115 includes a global position system (GPS) module.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은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The A / V input unit 120 is for inputting an audio signal or a video signal, and may include a camera 121 and a microphone 122. The camera 121 processes an image frame such as a still image or a moving image obtained by the image sensor in the video communication mode or the photographing mode. The processed image frame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51.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단말기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The image frame processed by the camera 121 may be stored in the memory 160 or transmit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The camera 121 may be equipped with two or more cameras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terminal.

마이크(1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2)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122)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를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The microphone 122 receives an external sound signal by a microphone in a call mode, a recording mode, a voice recognition mode, etc., and processes the external sound signal into electrical voice data. The processed voice data may be converted into a form transmittable to the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12 and output in the call mode. The microphone 122 may implement various noise removing algorithms for removing noise generated in the process of receiving an external sound signal.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터치 패드가 후술하는 디스플레이부(151)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룰 경우, 이를 터치 스크린이라 부를 수 있다.The user input unit 130 generates input data for the user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terminal. The user input unit 130 may include a key pad dome switch, a touch pad (static pressure / capacitance), a jog wheel, a jog switch, and the like. In particular, when the touch pad has a mutual layer structure with the display unit 151 described later, this may be referred to as a touch screen.

센싱부(140)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이동통신 단말기의 방위, 이동통신 단말기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이동통신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을 센싱할 수도 있다. 한편, 센싱부(140)는 근접 센서(141)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ensing unit 140 i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such as an open / closed stat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 loc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 presence or absence of a user contact, a bearing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n acceleration / deceler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tects the current state of the mobile terminal and generates a sensing signal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For example,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s in the form of a slide phone, it may sense whether the slide phone is opened or closed. In addition, whether the power supply unit 190 is supplied with power, whether the interface unit 170 is coupled to the external device may be sensed. The sensing unit 140 may include a proximity sensor 141.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 모듈(152), 알람부(153), 및 햅틱 모듈(154)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output unit 150 is used to generate an output related to sight, hearing, or tactile sense, and includes a display unit 151, an audio output module 152, an alarm unit 153, and a haptic module 154. Can be.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이동통신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이동통신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The display unit 151 displays (outputs) information process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For example,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in a call mode, a user interface (UI) or a graphic user interface (GUI) related to a call is displayed.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s in a video call mode or a shooting mode, the mobile terminal 100 displays a captured image and / or a received image, UI, or GUI.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The display unit 151 includes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 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a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and a flexible display (flexible). and at least one of a 3D display.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TOLED(Transparant OLED)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 구조 또한 광 투과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는 단말기 바디의 디스플레이부(151)가 차지하는 영역을 통해 단말기 바디의 후방에 위치한 사물을 볼 수 있다.Some of these displays can be configured to be transparent or light transmissive so that they can be seen from the outside. This may be referred to as a transparent display. A representative example of the transparent display is TOLED (Transparant OLED). The rear structure of the display unit 151 may also be configured as a light transmissive structure. With this structure, the user can see the object located behind the terminal body through the area occupied by the display unit 151 of the terminal body.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는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통신 단말기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There may be two or more display units 151 according to the implementation form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For example, a plurality of display units may be spaced apart or integrally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r may be disposed on different surfaces.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함)에,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When the display unit 151 and a sensor for detecting a touch opera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touch sensor) form a mutual layer structur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touch screen), the display unit 151 may be configured in addition to an output device. Can also be used as an input device. The touch sensor may have, for example, a form of a touch film, a touch sheet, a touch pad, or the like.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touch sensor may be configured to convert a change in pressure applied to a specific portion of the display unit 151 or capacitance generated in a specific portion of the display unit 151 into an electrical input signal. The touch sensor may be configured to detect not only the position and area of the touch but also the pressure at the touch.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If there is a touch input to the touch sensor, the corresponding signal (s) is sent to the touch controller. The touch controller processes the signal (s) and then transmits the corresponding data to the controller 180. As a result, the controller 180 can know which area of the display unit 151 is touched.

도 1을 참조하면, 터치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근접 센서(141)가 배치될 수 있다. 근접 센서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 센서는 접촉식 센서보다는 그 수명이 길며 그 활용도 또한 높다. Referring to FIG. 1, a proximity sensor 141 may be disposed in an inner reg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urrounded by a touch screen or near the touch screen. The proximity sensor refers to a sensor that detects the presence or absence of an object approaching a predetermined detection surface or an object present in the vicinity without using a mechanical contact by using an electromagnetic force or infrared rays. Proximity sensors have a longer life and higher utilization than touch sensors.

근접 센서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터치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포인터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포인터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터치 스크린(터치 센서)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도 있다.Examples of the proximity sensor include a transmission photoelectric sensor, a direct reflection photoelectric sensor, a mirror reflection photoelectric sensor, a high frequency oscillation proximity sensor, a capacitive proximity sensor, a magnetic proximity sensor, and an infrared proximity sensor. When the touch screen is capacitive, the touch screen is configured to detect the proximity of the pointer by the change of the electric field according to the proximity of the pointer. In this case, the touch screen (touch sensor) may be classified as a proximity sensor.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칭하고,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칭한다. 터치스크린 상에서 포인터로 근접 터치가 되는 위치라 함은, 포인터가 근접 터치될 때 포인터가 터치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한다.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act of allowing the pointer to be recognized without being in contact with the touch screen so that it is recognized that the pointer is located on the touch screen is referred to as "proximity touch," and on the touch screen The act of actually touching the pointer is referred to as "contact touch". The position where the proximity touch is performed by the pointer on the touch screen refers to a position where the pointer is perpendicular to the touch screen when the pointer is in proximity proximity.

근접센서는, 근접 터치와,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한다.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정보는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될 수 있다. The proximity sensor detects a proximity touch and a proximity touch pattern (eg, a proximity touch distance, a proximity touch direction, a proximity touch speed, a proximity touch time, a proximity touch position, and a proximity touch movement stat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ensed proximity touch operation and the proximity touch pattern may be output on the touch screen.

음향 출력 모듈(152)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이동통신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sound output module 152 may output audio data received from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or stored in the memory 160 in a call signal reception, a call mode or a recording mode, a voice recognition mode, a broadcast reception mode, and the like. The sound output module 152 may also output a sound signal related to a function (for example, a call signal reception sound or a message reception sound) perform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The sound output module 152 may include a receiver, a speaker, a buzzer, and the like.

알람부(153)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3)는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진동으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나 음성 출력 모듈(1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어서, 그들(151,152)은 알람부(153)의 일부로 분류될 수도 있다.The alarm unit 153 outputs a signal for notifying occurrence of an even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Examples of events occurring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e call signal reception, message reception, key signal input, and touch input. The alarm unit 153 may output a signal for notifying occurrence of an event in a form other than a video signal or an audio signal, for example, vibration. The video signal or the audio signal may be output through the display unit 151 or the audio output module 152, so that they 151 and 152 may be classified as part of the alarm unit 153.

햅틱 모듈(haptic module)(154)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4)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택 모듈(154)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제어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The haptic module 154 generates various tactile effects that the user can feel. Vibration is a representative example of the haptic effect generated by the haptic module 154. The intensity and pattern of vibration generated by the haptic module 154 can be controlled. For example, different vibrations may be synthesized and output or may be sequentially output.

햅틱 모듈(154)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와,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o vibration, the haptic module 154 may be configured to provide a pin array that vertically moves with respect to the contact skin surface, a jetting force or suction force of air through an injection or inlet port, grazing to the skin surface, contact of an electrode, electrostatic force, and the like. Various tactile effects can be generated, such as effects by the endothermic and the reproduction of a sense of cold using the elements capable of endotherm or heat generation.

햅틱 모듈(154)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의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The haptic module 154 may not only deliver the haptic effect through direct contact, but also may implement the user to feel the haptic effect through a muscle sense such as a finger or an arm. Two or more haptic modules 154 may be provided according to a configuration aspec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메모리(160)는 제어부(1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16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The memory 160 may store a program for the operation of the controller 180 and may temporarily store input / output data (for example, a phone book, a message, a still image, a video, etc.). The memory 160 may store data regarding vibration and sound of various patterns output when a touch input on the touch screen is performed.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1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The memory 160 may be a flash memory type, a hard disk type, a multimedia card micro type, a card type memory (for example, SD or XD memory), RAM (Random Access Memory, RAM), Static Random Access Memory (SRAM), Read-Only Memory (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EPROM),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 Magnetic Memory, Magnetic It may include a storage medium of at least one type of disk, optical disk.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may operate in association with a web storage that performs a storage function of the memory 160 on the Internet.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통신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통신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170)에 포함될 수 있다. The interface unit 170 serves as a path with all external devices connec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The interface unit 170 receives data from an external device, receives power, transfers the power to each component insid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or transmits data insid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to an external device. For example, a wired / wireless headset port, an external charger port, a wired / wireless data port, a memory card port, a port for connecting a device having an identification module, an audio I / O port, A video input / output (I / O) port, an earphone port, and the like may be included in the interface unit 170.

식별 모듈은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포트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The identification module is a chip that stores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for authenticating the use authority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The identification module includes a user identification module (UIM), a 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SIM), and a universal user authentication module. (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and the like. Devices with identification modules (hereinafter referred to as "identification devices") can be manufactured in a smart card format. Accordingly, the identification device can be connected to the terminal 100 through the port.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이동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이동단말기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이동단말기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도 있다.When the mobile terminal 100 is connected to an external cradle, the interface unit 170 serves as a passage through which power from the cradle is supplied to the mobile terminal 100, or various command signals input from the cradle by a user. May be a passage that is delivered to the mobile terminal. Various command signals or power input from the cradle may be operated as signals for recognizing that the mobile terminal is correctly mounted on the cradle.

제어부(180)는 통상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The controller 180 typically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example, perform related control and processing for voice calls, data communications, video calls,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80 may include a multimedia module 181 for multimedia playback. The multimedia module 181 may be implemented in the controller 180 or may be implemented separately from the controller 180.

제어부(180)는 터치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180 may perform a pattern recognition process for recognizing a writing input or a drawing input performed on a touch screen as text and an image, respectively.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The power supply unit 190 receives an external power source and an internal power sourc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80 to supply power for operation of each component.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2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n exampl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개시된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바 형태의 단말기 바디(101)를 구비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으며, 하나의 바디로만 이루어진 바(bar) 타입, 또는 2 이상의 바디들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 타입, 폴더 타입, 스윙 타입, 스위블 타입 등 다양한 구조에 적용이 가능하다. The disclose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has a terminal body 101 in the form of a bar.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is applicable to various structures such as a bar type consisting of only one body, or a slide type, a folder type, a swing type, a swivel type in which two or more bodies are coupled to be relatively movable. It is possible.

단말기 바디(101)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커버 등)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케이스는 프론트 케이스(102)와 리어 케이스(104)로 구분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02)와 리어 케이스(104)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프론트 케이스(102)와 리어 케이스(104)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가 추가(103)로 배치될 수도 있다.The terminal body 101 includes a case (casing, housing, cover, etc.) forming an external appearance. In this embodiment, the case may be divided into a front case 102 and a rear case 104. Various electronic components are built in the space formed between the front case 102 and the rear case 104. At least one intermediate case may be further disposed 103 between the front case 102 and the rear case 104.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The cases may be formed by injecting synthetic resin or may be formed of a metal material, for example, a metal material such as stainless steel (STS) or titanium (Ti).

단말기 바디, 주로 프론트 케이스(102)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출력부(152), 카메라(121), 제1사용자 입력부(131), 마이크(122), 인터페이스(170) 등이 배치될 수 있다.The display unit 151, the audio output unit 152, the camera 121, the first user input unit 131, the microphone 122, the interface 170, and the like may be disposed in the terminal body, mainly the front case 102. have.

디스플레이부(151)는 프론트 케이스(102)의 전면(front surface)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디스플레이부(151)의 양단부 중 일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음향출력부(151)와 카메라(121)가 배치되고, 다른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사용자 입력부(131)와 마이크(122)가 배치된다. 사용자 입력부(132)와 인터페이스(170) 등은 프론트 케이스(102) 및 리어 케이스(104)의 측면들에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의 상면에는 디스플레이부(151)를 보호하기 위한 윈도우가 설치된다. 윈도우의 상세한 구조에 대하여는 뒤에서 설명한다.The display unit 151 occupies most of the front surface of the front case 102. A sound output unit 151 and a camera 121 are disposed in an area adjacent to one end of both ends of the display unit 151 and a user input unit 131 and a microphone 122 are disposed in an area adjacent to the other end. The user input unit 132, the interface 170, and the like may be disposed on side surfaces of the front case 102 and the rear case 104. The upper surface of the display unit 151 is provided with a window for protecting the display unit 151. The detailed structure of the window will be described later.

사용자 입력부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게 구성되어 있으며, 도 2에서는 단말기바디(101)의 전면에 배치된 제1사용자입력부(131) 및 측면에 배치된 제2사용자입력부(132)를 개시하고 있다. 제1 및 제2사용자 입력부(131,132)는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로도 통칭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 적인 느낌을 가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The user input unit is configured to receive a command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nd in FIG. 2, the first user input unit 131 and the side surface of the terminal body 101 are disposed on the front side of the terminal body 101. The second user input unit 132 is disclosed. The first and second user inputs 131 and 132 may also b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manipulating portions, and may be employed in any manner as long as the user is tactile in a tactile manner.

제1 또는 제2사용자 입력부(131, 132)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사용자 입력부(131)는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고, 제2사용자 입력부(132)는 음향출력부(152)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The contents input by the first or second user input units 131 and 132 may be variously set. For example, the first user input unit 131 receives a command such as start, end, scroll, and the like, and the second user input unit 132 adjusts the volume of the sound output from the sound output unit 152 or displays 151. Command), such as switching to the touch recognition mode.

도 4은 도 2에 도시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4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llustrated in FIG. 2.

도 4를 참조하면, 단말기 바디(101)의 후면에는 제2카메라(125)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제2카메라(125)는 단말기 바디(101)의 전면에 배치된 제1카메라(121)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제1카메라(121)와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지는 카메라일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a second camera 125 may be additionally moun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terminal body 101. The second camera 125 may be a camera having a photographing direction substantially opposite to that of the first camera 121 dispos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terminal body 101 and having different pixels from the first camera 121.

예를 들어, 제1카메라(121)는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 화소를 가지며, 제2카메라(125)는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기에 고 화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카메라(121,125)는 회전 또는 팝업(pop-up) 가능하게 단말기 바디에 설치될 수도 있다.For example, the first camera 121 has a low pixel so that the user's face is photographed and transmitted to the counterpart in case of a video call, and the second camera 125 photographs a general subject and does not transmit it immediately. In many cases, it is desirable to have a high pixel. These cameras 121 and 125 may be installed in the terminal body in a rotatable or pop-up manner.

제2카메라(125)에 인접하게는 플래쉬(127)와 거울(126)이 추가로 배치된다. 플래쉬(127)는 카메라(125)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거울(126)은 사용자가 카메라(125)를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The flash 127 and the mirror 126 are further disposed adjacent to the second camera 125. The flash 127 shines light toward the subject when the subject is photographed by the camera 125. The mirror 126 allows the user to see his / her own face or the like when he / she wants to photograph himself (self-photographing) using the camera 125.

단말기 바디(101)의 후면에는 제2음향 출력부(156)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제2음향 출력부(156)는 단말기 바디(101)의 전면에 배치된 음향 출력부(152)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통화시 스피커폰 모드의 구현을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The second sound output unit 156 may be further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terminal body 101. The second sound output unit 156 may implement a stereo function together with the sound output unit 152 disposed on the front of the terminal body 101, and may be used to implement a speakerphone mode during a call.

단말기 바디(101)의 측면에는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 외에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116)가 추가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방송수신모듈(111)의 일부를 이루는 안테나(116)는 단말기 바디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The antenna body 116 for receiving a broadcast signal may be additionally disposed on the side of the terminal body 101. The antenna 116 constituting a part of 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111 may be installed to be pulled out of the terminal body.

단말기 바디(101)에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190)가 장착된다. 전원공급부(190)는 단말기 바디에 내장되거나, 단말기 바디의 외부에서 직접 탈착되는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는 충전패드 위에 배치되어 무선 충전방식에 의해서도 충전될 수 있다. The terminal body 101 is equipped with a power supply unit 190 for supplying power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The power supply unit 190 may include a battery that is embedded in the terminal body or directly detached from the outside of the terminal body. The battery may be disposed on the charging pad to be charged by a wireless charging method.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주파수 대역과, 이동통신 단말기의 충전패드 위의 배치 여부에 따른 전압 정재파비 특성을 나타낸 결과도이다.5 is a result showing the voltage standing wave ratio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mobile communication frequency b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whether or not disposed on the charging pa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주파수 대역은 저주파수 대역으로 700 ~ 960 MHz에 해당하는 제1 주파수 대역 및 고주파수 대역으로 1710 ~ 2170 MHz와 2500 ~ 2700 MHz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주파수 대역은 720 ~ 820 MHz의 LTE(Long Term Evolution) 서비스와 850MHz, 900 MHz 대역의 셀룰러 폰 서비스를 위한 것이며,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은 1800 MHz, 및 1900 MHz의 셀룰러 폰 서비스와 1.92 ~ 2.17 GHz의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tiple Accees)서비스 및 2.5 ~ 2.7GHz의 블루투스(Bluetooth)와 와이파이(WiFi) 서비스의 제공을 위한 것이다. The mobile communication frequency b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frequency band corresponding to 700 to 960 MHz and a high frequency band of 1710 to 2170 MHz and 2500 to 2700 MHz as low frequency bands. The first frequency band is for a Long Term Evolution (LTE) service of 720 to 820 MHz and a cellular phone service of the 850 MHz and 900 MHz bands, and the second frequency band is a cellular phone service of 1800 MHz and 1900 MHz and 1.92. It is intended to provide Wideband Code Division Mutiple Accees (WCDMA) service at ~ 2.17 GHz and Bluetooth and Wi-Fi services at 2.5 to 2.7 GHz.

도 5에서 가로축은 주파수를 나타내고 세로축은 전압 정재파비 (VSWR: Voltage Standing Wave Ratio)를 나타낸다. 정재파(Standing Wave)는 진행파가 경계면을 기준으로 반사되어 돌아온 파와 합쳐지면서 발생한 정지된 파동을 의미하고, 정재파비는 입력면 정재파의 최소값과 최대값의 비에 해당한다. 따라서 정재파비가 작을수록 안테나가 회로부와 정합이 잘 되었다는 것을 의미하며, 정재파비가 1이면 양 단이 완벽하게 정합되어 반사파가 존재하지 않는 것에 해당한다. 도 5의 기준 정재파비는 VSWR=2를 사용하며, 이는 반사계수(Return loss)로 환산하면 약 10dB에 해당하는 값이다. 즉 입력신호의 약 10%의 전력량이 반사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In FIG. 5, the horizontal axis represents frequency and the vertical axis represents voltage standing wave ratio (VSWR). The standing wave is a stationary wave generated when the traveling wave merges with the returned wave reflected from the boundary, and the standing wave ratio corresponds to the ratio between the minimum and maximum values of the input standing wave. Therefore, the smaller the standing wave ratio, the better the antenna is matched with the circuit part. If the standing wave ratio is 1, both ends are perfectly matched, which means that the reflected wave does not exist. The reference standing wave ratio of FIG. 5 uses VSWR = 2, which is a value corresponding to about 10 dB when converted into a return loss. That is, about 10% of the power of the input signal is reflected.

도 5에서 실선으로 표시된 그래프는 일반 사용모드에서의 안테나의 전압 정재파비를 나타낸 것으로, 제1 및 제2 주파수 대역에서 모두 기준 정재파비 이하의 값을 가짐을 알 수 있다. 반면에 점선으로 표시된 그래프는 무선 충전모드에서의 안테나 전압 정재파비를 나타낸 것으로, 특히 제1 주파수 대역에서 공진 주파수의 천이로 인하여 전압 정재파비의 값이 커짐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무선 충전방식으로 인하여 단말기 하단의 안테나와 충전패드의 코일 또는 제어기판의 금속 성분과의 접촉에 의하여 안테나의 특성이 변화하게 된다. 서비스 주파수대역에서 전압 정재파비의 증가로 인하여 총 방사전력(TRP)이 감소한다. 또한 이동통신 환경에서는 수평(horizontal) 방향으로 무지향성 방사패턴이 바람직하나, 충전모드에서 안테나는 주변의 금속 성분으로 인하여 특정 방향으로 지향성을 갖게 되어 총 무지향 민감도(TIP) 특성이 저하된다.5 shows a voltage standing wave ratio of the antenna in the normal use mode, and it can be seen that the first and second frequency bands have a value less than or equal to the reference standing wave ratio. On the other hand, the graph indicated by the dotted line shows the antenna voltage standing wave ratio in the wireless charging mode. In particular, it can be seen that the value of the voltage standing wave ratio increases due to the transition of the resonance frequency in the first frequency band. Therefore, due to the wireless charging method, the characteristics of the antenna are changed by contact between the antenna at the bottom of the terminal, the coil of the charging pad, or the metal component of the controller board. In the service frequency band, the total radiation power (TRP) decreases due to the increase in the voltage standing wave ratio. In addition, in the mobile communication environment, the omnidirectional radiation pattern is preferabl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but in the charging mode, the antenna has directivity in a specific direction due to the surrounding metal components, thereby degrading the total omnidirectional sensitivity (TIP) characteristics.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무선 충전모드에서도 상기 제1 및 제2 주파수 대역에서 기준 정재파비 이하의 정재파비 값을 갖으며, 안테나의 방사패턴 특성이 변화하지 않도록 하는 안테나 및 제어 회로를 제공하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0) 블록도이다.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제1 안테나(210), 제2 안테나(220), 스위치부(230), 유도기전력 발생부(240), 정류부(250), 송수신 회로부(260), 기저대역부(270)를 포함한다. Accordingl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anding wave ratio value equal to or less than a reference standing wave ratio in the first and second frequency bands even in a wireless charging mode, and provides an antenna and a control circuit to prevent the radiation pattern characteristics of the antenna from changing. 6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ncludes a first antenna 210, a second antenna 220, a switch unit 230, an induction electromotive force generator 240, a rectifier 250, a transceiver circuit unit 260, and a baseband unit. 270.

상기 제1 안테나(210)는 상기 단말기가 상기 충전패드에 배치되지 않은 일반 사용모드에서, 서비스 주파수 대역의 전파를 송수신하여 동작할 수 있게 구성된다. The first antenna 210 is configured to operate by transmitting and receiving radio waves of a service frequency band in a normal use mode in which the terminal is not disposed on the charging pad.

상기 제2 안테나(220)는 상기 단말기가 상기 충전패드에 배치된 충전모드에서, 서비스 주파수 대역의 전파를 송수신하여 동작할 수 있게 구성된다. The second antenna 220 is configured such that the terminal can operate by transmitting and receiving radio waves of a service frequency band in a charging mode disposed on the charging pad.

상기 스위치부(230)는 상기 제1 및 제2 안테나(210, 220)와 상기 송수신 회로부(26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 안테나가 선택적으로 동작하도록 스위칭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 스위치부(230)는 상기 제1 안테나(210)에 연결된 제 1스위치(231), 상기 제2 안테나(220)에 연결된 제2 스위치(232) 및 상기 제1 및 제2 스위치를 상보적으로 온(ON) 또는 오프(OFF) 제어하는 인버터(233)를 포함한다. 상기 인버터(233)는 상기 제1 및 제2 스위치(231, 232)가 동시에 온(ON) 또는 오프(OFF)되지 않도록 하여, 즉 상기 제1 및 제2 안테나(210, 220)에 연결된 신호 경로가 동시에 형성되지 않도록 한다.The switch unit 230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antennas 210 and 220 and the transmit / receive circuit unit 260 to perform a switching operation to selectively operate the first and second antennas. The switch unit 230 complementarily complements the first switch 231 connected to the first antenna 210, the second switch 232 connected to the second antenna 220, and the first and second switches. An inverter 233 that controls ON or OFF. The inverter 233 prevents the first and second switches 231 and 232 from being turned on or off at the same time, that is, a signal path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antennas 210 and 220. Do not form at the same time.

상기 유도기전력 발생부(240)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가 무선 충전패드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무선 충전패드 내부의 코일과의 상호작용에 의해 유도 전류가 생성되고 이에 의해 유도기전력이 발생된다. When the mobile terminal 100 is disposed on the wireless charging pad, the induced electromotive force generation unit 240 generates an induced current by interaction with a coil inside the wireless charging pad, thereby generating induced electromotive force.

상기 정류부(250)는 상기 유도기전력 발생부(240)와 상기 기저대역부(27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유도기전력 발생부(240)에 의해 발생된 교류 전압을 직류 전압으로 정류하고, 상기 직류 전압을 단말기 내부의 소자를 구동시키는데 필요한 표준 전압으로 변환한다. 상기 정류부(250)는 상기 단말기가 충전패드에 배치되었는지를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감지부는 상기 유도기전력에 의한 교류 전압을 정류한 직류 전압을 감지하여, 상기 단말기가 상기 충전패드 위에 배치되었는지를 감지한다. 또한 상기 정류부(250)는 배터리의 충전상태를 감지하여 상기 감지 결과를 상기 기저대역부(270)에 보고한다. The rectifier 250 is disposed between the induction electromotive force generator 240 and the baseband unit 270 to rectify the AC voltage generated by the induction electromotive force generator 240 to a DC voltage, and the direct current. The voltage is converted to the standard voltage required to drive the device inside the terminal. The rectifier 250 may be configured to serve as a detector for detecting whether the terminal is disposed on a charging pad. The detector detects a DC voltage obtained by rectifying the AC voltage by the induced electromotive force, and detects whether the terminal is disposed on the charging pad. In addition, the rectifier 250 detects the state of charge of the battery and reports the detection result to the baseband unit 270.

상기 송수신 회로부(260)는 상기 스위치부(230)와 상기 기저대역부(27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기저대역부(270)로부터 기저대역 신호를 주파수 상향 변환 및 고출력 증폭하는 송신 회로부(261), 상기 제1 또는 제2 안테나(210, 220)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저잡음 증폭 및 주파수 하향 변환하는 수신 회로부(262) 및 송수신 신호를 높은 격리도(isolation)를 가지고 상호 분리하는 듀플렉서(263)를 포함한다. The transmission / reception circuit unit 260 is disposed between the switch unit 230 and the baseband unit 270, and transmit circuit unit 261 for up-converting and high-output amplifying a baseband signal from the baseband unit 270. A reception circuit unit 262 for low noise amplification and frequency down-conversion of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first or second antennas 210 and 220 and a duplexer 263 for separating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signals with high isolation from each other; Include.

상기 송신 회로부(261)는 송신부(264:transceiver), 송신 필터(265) 및 전력 증폭기(266)를 포함한다. 상기 송신부(264)는 상기 기저대역부(270)의 기저대역 신호를 주파수 상향 변환 및 전력 증폭을 수행하며, 상기 주파수 상향 변환은 중간 주파수(IF: Intermediate Frequnecy)대역으로 변환 없이 직접 초고주파(RF: Rdaio Frequency) 대역으로 변환하는 방식과, 상기 중간주파수대역으로 변환 후에 상기 초고주파 대역으로 변환하는 방식으로 나뉜다. The transmitter circuit 261 includes a transmitter 264, a transmitter filter 265, and a power amplifier 266. The transmitter 264 performs frequency upconversion and power amplification of the baseband signal of the baseband unit 270, and the frequency upconversion is performed directly without converting into an intermediate frequency (IF) band. Rdaio Frequency) and a method of converting to the intermediate frequency band after the conversion to the ultra-high frequency band.

상기 송신 필터(265)는 송신 주파수 대역의 신호는 통과시키고, 수신 주파수 대역의 신호는 차단시킨다. 수신 신호는 송신 신호에 비하여 그 신호 크기가 매우 작으므로 상기 송신 신호의 역류 또는 상기 수신회로부(262)로의 커플링에 의해 수신 성능을 저하시킬 수 있기 때문에 수신 성능을 열화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The transmission filter 265 passes a signal of a transmission frequency band and blocks a signal of a reception frequency band. Since the received signal has a very small signal size compared to the transmitted signal, the reception performance can be reduced by the reverse flow of the transmission signal or the coupling to the reception circuit unit 262, so that the reception performance can be prevented from deteriorating.

상기 전력 증폭기(266)는 송신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고출력 증폭하며, 단일 또는 멀티 단(stage)의 증폭기 소자로 구현되는데, 출력값이 입력값에 비례하는 선형성(linearity) 또한 고출력 특성과 함께 요구된다.The power amplifier 266 high power amplifies a signal in a transmission frequency band, and is implemented as a single or multi stage amplifier device. Linearity, in which an output value is proportional to an input value, is also required along with a high output characteristic.

상기 수신 회로부(262)는 저잡음 증폭기(267), 수신 필터(268) 및 수신부(269: receiver)를 포함한다. 상기 저잡음 증폭기(267)는 수신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며, 단일 또는 멀티 단(stage)의 증폭기 소자로 구현되는데, 첫번째 단의 저잡음 특성이 전체 수신 성능의 저잡음 특성에 큰 영향을 미친다.The reception circuit unit 262 includes a low noise amplifier 267, a reception filter 268 and a receiver 269. The low noise amplifier 267 low noise amplifies a signal in a reception frequency band, and is implemented as a single or multi stage amplifier device. The low noise characteristic of the first stage greatly affects the low noise characteristic of the overall reception performance.

상기 수신 필터(268)는 수신 대역의 신호는 통과시키고, 송신 주파수 대역의 신호는 차단시킨다. 수신 신호는 송신 신호에 비하여 그 신호 크기가 매우 작으므로 전술한 바와 같이 수신 성능의 열화를 방지하기 위함이다.The reception filter 268 passes a signal of a reception band and blocks a signal of a transmission frequency band. Since the received signal has a very small signal size compared with the transmitted signal, the reception signal is to prevent deterioration of reception performance as described above.

상기 수신부(269)는 초고주파 대역의 신호를 주파수 하향 변환 및 전력 증폭을 수행하며, 상기 주파수 하향 변환은 중간주파수대역으로 변환 없이 직접 기저대역으로 변환하는 방식과, 상기 중간주파수대역으로 변환 후에 상기 기저대역으로 변환하는 방식으로 나뉜다. The receiver 269 performs frequency downconversion and power amplification of a signal of an ultrahigh frequency band, and the frequency downconversion is performed by converting directly to a baseband without converting into an intermediate frequency band, and after converting into the intermediate frequency band. Divided into band conversion.

상기 기저대역부(270)는 상기 정류부(250)와 상기 송수신 회로부(260)사이에 배치되어 기저대역에서의 신호 처리를 담당하며, 상기 정류부(250)로부터 직류 전압을 제공받아 단말기 내부의 소자의 구동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한다. 상기 기저대역 신호는 대역폭이 Δf이고 중심주파수가 0인 경우에는 -Δf/2에서 Δf/2의 주파수 영역의 신호에 해당한다. 반면에 중심주파수가 Δf/2인 경우에는 0에서 Δf의 주파수 영역의 신호에 해당한다.The baseband unit 270 is disposed between the rectifier 250 and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circuit unit 260 to handle signal processing in the baseband, and receives a DC voltage from the rectifier 250 to provide a Supply the power required to drive. The baseband signal corresponds to a signal in the frequency domain of -Δf / 2 to Δf / 2 when the bandwidth is Δf and the center frequency is zero. On the other hand, when the center frequency is Δf / 2, it corresponds to a signal in the frequency range of 0 to Δf.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0)가 무선 충전패드(300)에 수용된 경우의 회로도이다.7 is a circuit diagram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ccommodated in the wireless charging pad 300.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도 6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안테나(210), 제2 안테나(220), 스위치부(230), 유도기전력 발생부(240), 정류부(250), 송수신 회로부(260), 기저대역부(270)를 포함한다.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6,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ncludes a first antenna 210, a second antenna 220, a switch unit 230, an induced electromotive force generator 240, a rectifier 250, and a transceiver circuit unit. 260, a baseband portion 270.

무선충전패드로부터 유도기전력에 의해 배터리에 전원을 공급받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가 상기 충전패드(300)에 배치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의 감지결과에 의해, 상기 제1 안테나(210)는 상기 단말기가 상기 충전패드에 배치되지 않은 일반 사용모드에서, 상기 제2 안테나(220)는 상기 단말기가 상기 충전패드에 배치된 충전모드에서, 동작할 수 있게 구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 안테나(210, 220)는 도 5에서와 같이 제1 주파수 대역 및 상기 제1 주파수 대역보다 높은 제2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upplied with power to the battery by the induction electromotive force from the wireless charging pad, the first antenna 210 by the detection result of the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whether the terminal is disposed on the charging pad 300 In the normal use mode in which the terminal is not disposed on the charging pad, the second antenna 220 is configured to operate in the charging mode in which the terminal is disposed on the charging pad. The first and second antennas 210 and 220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in a first frequency band and a second frequency band higher than the first frequency band as shown in FIG. 5.

상기 제2 안테나(220)는 상기 충전모드에서, 공진주파수가 저주파 대역으로 천이되는 것을 보상하기 위하여 상기 제1 안테나(210)보다 작은 물리적 길이를 갖도록 구성된다. 도 5의 결과를 참고하면, 상기 제1 및 제2 안테나(210, 220)는 충전모드에서 공진 주파수가 일반 사용모드에서 주파수 대역인 제1 및 제2 주파수대역보다 더 낮은 주파수 대역에서 형성됨을 알 수 있다. 이는 상기 제1 및 제2 안테나(210, 220) 또는 충전패드 (300)주변의 코일을 포함한 충전 회로 또는 금속 성분에 기인한다. 따라서 상기 제2 안테나(220)는 충전모드에서 동작하므로, 그 크기를 작게 하여 저주파 대역으로 천이된 결과 공진 주파수가 서비스 주파수 대역에서 형성되도록 한다. 즉, 상기 제2 안테나(220)는 상기 일반 사용모드에서, 상기 공진주파수가 상기 제1 및 제2 주파수 대역의 중심주파수보다 높은 주파수 대역에서 형성되고, 상기 충전모드에서, 상기 공진주파수가 상기 제1 및 제2 주파수 대역의 중심주파수 부근에서 형성되도록, 상기 제1 안테나(210)보다 크기를 더 작게 할 수 있게 구성된다. The second antenna 220 is configured to have a physical length smaller than that of the first antenna 210 in order to compensate for the transition of the resonance frequency to the low frequency band in the charging mode. Referring to the result of FIG. 5, it is understood that the first and second antennas 210 and 220 are formed in a lower frequency band in the charging mode than in the first and second frequency bands in the normal use mode. Can be. This is due to the charging circuit or the metal component including the coils around the first and second antennas 210 and 220 or the charging pad 300. Therefore, since the second antenna 220 operates in the charging mode, the size of the second antenna 220 is reduced so that the resonance frequency is formed in the service frequency band as a result of the transition to the low frequency band. That is, in the normal use mode, the second antenna 220 is formed in a frequency band in which the resonant frequency is higher than the center frequency of the first and second frequency bands. It is configured to be smaller in size than the first antenna 210 so as to be formed near the center frequency of the first and second frequency bands.

또한 상기 제 2안테나(220)는 상기 충전패드(300) 표면 또는 내부의 금속 성분을 이용하여 그 크기를 더 작게 할 수 있다. 즉 상기 제 2안테나(220)는 상기 단말기 내에 배치되며, 상기 충전모드에서 전자기 신호를 방사하는 방사체(221) 및 상기 충전패드(300)내에 배치되며, 상기 방사체(221)와 전자기적 결합에 의해 상기 방사체(221)와 일체로서 안테나로 동작할 수 있게 구성된 기생소자(222)를 포함하되, 상기 방사체(221)는 상기 기생소자(222)와 결합되지 않은 경우보다 그 크기를 더 작게 할 수 있게 구성된다. In addition, the second antenna 220 may be made smaller by using a metal component on the surface or the inside of the charging pad 300. That is, the second antenna 220 is disposed in the terminal and disposed in the radiator 221 and the charging pad 300 that radiate an electromagnetic signal in the charging mode, and is coupled to the radiator 221 by electromagnetic coupling. And a parasitic element 222 configured to operate as an antenna integrally with the radiator 221, wherein the radiator 221 can be made smaller in size than the case where it is not coupled to the parasitic element 222. It is composed.

상기 제1 및 제2 안테나(210, 220)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 내부의 접지면(212, 222)과 단락될 수 있다. 상기 접지면(212, 222)는 상기 단말기(100)의 전도성을 갖는 금속에 해당하는 기구물 또는 내부 기판의 금속에 의해 구현되며, 초고주파 신호의 기준 전위를 제공한다. 상기 제1 및 제2 안테나(210, 220)는 슬림한 형상을 갖는 소형으로 구현하기 위하여, 평판 형태 또는 접지면과 단락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다중모드 또는 다중대역에서 동작하게 하기 위하여 접지면과 스위칭 동작을 수행하도록 할 수도 있다. The first and second antennas 210 and 220 may be shorted with the ground planes 212 and 222 insid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The ground planes 212 and 222 may be implemented by a device corresponding to a metal having conductivity of the terminal 100 or a metal of an internal substrate, and provide a reference potential of an ultrahigh frequency signal. The first and second antennas 210 and 220 may be configured to have a flat shape or a short circuit with the ground plane in order to realize a compact shape having a slim shape, and in some cases, to operate in a multimode or a multiband. It is also possible to perform a switching operation with the ground plane.

여기서 다중모드는 스위치가 온(ON)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1 및 제2 안테나(210, 220)는 상기 접지면(212, 222)과 단락되어, 평면형 역F안테나(PIFA: Planar Inverted F anteann) 또는 모노폴(monopole) 안테나로 동작하는 제1 모드, 스위치가 오프(OFF)되는 경우에는 패치 안테나 또는 다이폴(dipole)안테나로 동작하는 제2 모드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모드는 안테나의 공진길이가 파장의 1/4정도에 해당하고, 상기 제2 모드는 공진길이가 파장의 1/2정도에 해당하므로, 상기 접지면(212, 222)과의 단락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 안테나(210, 220)의 크기를 소형화할 수 있으며, PIFA의 경우에 다중대역 기법으로 기생소자 또는 슬릿(slit)을 이용하는 방법, L형 또는 U형 슬롯(slot)을 이용하는 방법 등이 있다. 따라서 상기 제2안테나(220)를 상기 방사체(221)와 상기 기생소자(222)로 구현하는 경우에는 상기 방사체(221)의 크기를 소형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안테나의 대역폭 특성도 개선할 수 있다.In the multi mode, when the switch is turned on, the first and second antennas 210 and 220 are short-circuited with the ground planes 212 and 222, and a planar inverted antenna (PIFA) is used. Or a first mode operating with a monopole antenna, and a second mode operating with a patch antenna or a dipole antenna when the switch is turned off. In the first mode, the resonance length of the antenna corresponds to about 1/4 of the wavelength, and in the second mode, the resonance length corresponds to about 1/2 of the wavelength. The size of the first and second antennas 210 and 220 can be reduced, and in the case of PIFA, a method using a parasitic element or a slit in a multi-band technique, an L-type or U-type slot And the like. Therefore, when the second antenna 220 is implemented as the radiator 221 and the parasitic element 222, the size of the radiator 221 can be reduced and the bandwidth characteristics of the antenna can be improved. .

상기 접지면(212, 222)과의 단락은 단락핀(shorting pin) 또는 비아홀(via hole)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다중모드 동작을 위하여 상기 스위치로 구현하는 경우에는 다이오드(diode)로 구현될 수 있다.Short circuits with the ground planes 212 and 222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shorting pin or a via hole. In the case of the switch for a multi-mode operation, a diode may be used. Can be implemented.

상기 스위치부(230)는 제1 및 제2 스위치(231,232) 및 인버터(233)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및 제2 스위치(231, 232)는 단극단상(SPST: Single Pole Single Throw) 스위치에 해당한다. 상기 스위치부(230)는 단극이상(SPDT: Single Pole Double Throw) 스위치를 이용하여 구현할 수도 있다. 상기 단극이상 스위치는 상기 제1 및 제2 안테나(210, 220)에 연결된 제1 및 제2 출력단자와 한 개의 입력단자를 갖는다. 스위치 소자는 방향성을 갖는 소자가 아니므로, 입력 및 출력단자는 고정된 것은 아니며, 송신회로의 입력단자와 출력단은 각각 수신회로의 출력단과 입력단에 해당한다. 상기 단극이상 스위치를 이용하여 상기 스위치부(230)를 구현하는 경우에는 그 크기를 소형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두 단자 간의 고립도(isolation)특성이 상기 단극단상 스위치보다는 좋지 않으며, 고립도 특성 개선을 위해서는 다이오드 등의 스위치 소자를 직렬과 병렬의 조합으로 구현하게 되어 스위칭 온 동작 시 삽입손실(Insertion loss)을 증가시킨다. The switch unit 230 may include first and second switches 231 and 232 and an inverter 233. In this case, the first and second switches 231 and 232 correspond to a single pole single throw (SPST) switch. The switch unit 230 may be implemented using a single pole double throw (SPDT) switch. The monopole switch has a first input terminal and a second output terminal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antennas 210 and 220 and one input terminal. Since the switch element is not a directional element, the input and output terminals are not fixed, and the input terminal and the output terminal of the transmitting circuit correspond to the output terminal and the input terminal of the receiving circuit, respectively. When the switch unit 230 is implemented using the single pole or higher switch, the size of the switch unit 230 may be reduced. However, the isolation property between the two terminals is not as good as that of the single pole switch, and the isolation property may be reduced. In order to improve, switch elements such as diodes are implemented in a combination of series and parallel to increase insertion loss during switching-on operation.

상기 유도기전력 발생부(240)는 상기 충전패드(300) 내부에 배치되는 제1 코일(241) 및 상기 단말기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코일(241)과 전자기적 결합되는 제2 코일(242)을 포함하며, 상기 전자기적 결합에 의해 유도전류가 생성되고 이에 의해 유도기전력이 형성된다. 즉, 상기 제1 및 제2 코일(242)의 권선비를 조정하여, 배터리에 공급되는 충전용 출력전압의 조정이 가능하다. The induction electromotive force generating unit 240 is a first coil 241 disposed inside the charging pad 300 and a second coil 242 disposed inside the terminal and electromagnetically coupled to the first coil 241. ), And an induced current is generated by the electromagnetic coupling, thereby forming an induced electromotive force. That is, by adjusting the turns ratio of the first and second coil 242,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charging output voltage supplied to the battery.

상기 정류부(250)는 교류 전압을 직류 전압으로 정류하기 위한 브리지(Bridge)회로 등의 정류회로와 상기 정류회로를 통과한 직류성분 분에 잔존하는 교류성분을 평활시켜 주는 평활회로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충전용 출력전압의 조정은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 코일(241, 242)의 권선비의 조정 뿐만 아니라, 상기 정류부(250)에서 상기 직류전압을 단말기의 표준 전압으로 변환에 의해서도 가능하다. 상기 표준 전압은 상기 충전용 출력전압에 해당하는 값 또는 상기 송수신 회로부(260) 또는 상기 기저대역부(270)의 소자들을 구동하는 데 필요한 복수의 출력전압 값들일 수 있다. The rectifying unit 250 may include a rectifying circuit such as a bridge circuit for rectifying the AC voltage into a DC voltage and a smoothing circuit for smoothing the AC component remaining in the DC component passing through the rectifying circuit. Can be. In addition, the adjustment of the charging output voltage is not only by adjusting the winding ratios of the first and second coils 241 and 242, but also by converting the DC voltage into the standard voltage of the terminal in the rectifier 250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he standard voltage may be a value corresponding to the charging output voltage or a plurality of output voltage values required to drive elements of the transmission / reception circuit unit 260 or the baseband unit 270.

상기 송수신 회로부(260) 및 상기 기저대역부(270)는 전술한 바와 같으며, 동일한 기판 내에 구현될 수도 있으나, 다른 기판 내에 구현 가능하고 다층 기판 사이의 신호 간 연결은 플렉시블 케이블 또는 비아홀 등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The transmission / reception circuit unit 260 and the baseband unit 270 are the same as described above, but may be implemented in the same substrate, but may be implemented in another substrate and the signal-to-signal connection between the multi-layer substrate through a flexible cable or via hole, etc. Can be done.

따라서 무선 충전방식으로 인하여 단말기 하단의 안테나와 충전패드의 코일 또는 제어기판의 금속 성분과의 접촉에 의하여 안테나의 특성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본 발명의 안테나 및 스위칭 회로에 의하여, 총 방사전력(TRP) 및 총 무지향 민감도(TIS)를 일반 사용모드와 충전모드에서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즉, 전파의 송신 및 수신 성능을 무선 성능을 일정하게 유지하여 통신 서비스를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Therefore, due to the wireless charging method, the antenna and the switching circui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deterio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antenna by contacting the antenna at the bottom of the terminal with the coil of the charging pad or the metal component of the controller board. TRP) and total omnidirectional sensitivity (TIS) can be kept constant in normal use and charging mode. That is,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provide a communication service by keeping the radio performance constant and the radio transmission and reception performance.

상기와 같이 설명된 이동통신 단말기는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The above-describe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and method of the described embodiments, the embodiments may be configured by selectively combining all or part of each of the embodiments so tha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have.

Claims (12)

충전패드로부터 유도기전력에 의해 배터리에 전원을 공급받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가 상기 충전패드에 배치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게 구성된 감지부;
상기 단말기가 상기 충전패드에 배치되지 않은 일반 사용모드에서, 동작할 수 있게 구성된 제1 안테나;
상기 단말기가 상기 충전패드에 배치된 충전모드에서, 동작할 수 있게 구성된 제2 안테나;및
상기 감지부의 감지결과에 따라, 상기 제1 또는 제2 안테나가 선택적으로 동작하도록 스위칭 동작을 수행하는 스위치부;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supplied to the battery by the induction electromotive force from the charging pad,
A detector configured to detect whether the terminal is disposed on the charging pad;
A first antenna configured to operate in a normal use mode in which the terminal is not disposed on the charging pad;
A second antenna configured to be operable in the charging mode in which the terminal is disposed on the charging pad; and
And a switching unit configured to perform a switching operation to selectively operate the first or second antenna according to a detection result of the sensing unit.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기전력에 의한 교류 전압을 직류 전압으로 정류하고, 상기 직류 전압을 표준 전압으로 변환하는 정류부;를 더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rectifying unit rectifying the AC voltage by the induced electromotive force into a DC voltage and converting the DC voltage into a standard voltag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유도기전력에 의한 교류 전압을 정류한 직류 전압을 감지하여, 상기 단말기가 상기 충전패드 위에 배치되었는지를 감지할 수 있게 구성된 이동통신 단말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ensing unit includes:
And a DC voltage obtained by rectifying the AC voltage generated by the induced electromotive force to detect whether the terminal is disposed on the charging pad.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안테나 및 제2 안테나는,
제1 주파수 대역; 및
상기 제1 주파수 대역보다 높은 제2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할 수 있게 구성된 이동통신 단말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antenna and the second antenna,
A first frequency band; An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nfigured to operate in a second frequency band higher than the first frequency band.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안테나는,
상기 충전모드에서, 공진주파수가 저주파 대역으로 천이되는 것을 보상하기 위하여 상기 제1 안테나보다 작은 물리적 길이를 갖도록 구성된 이동통신 단말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econd antenna,
And wherein in the charging mod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configured to have a physical length smaller than that of the first antenna to compensate for the transition of the resonant frequency to the low frequency band.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안테나는,
상기 일반 사용모드에서, 상기 공진주파수가 상기 제1 및 제2 주파수 대역의 중심 주파수보다 높은 주파수 대역에서 형성되고,
상기 충전모드에서, 상기 공진 주파수가 상기 제1 및 제2 주파수 대역의 중심 주파수 부근에서 형성되도록, 상기 제1 안테나보다 크기를 더 작게 할 수 있게 구성된 이동통신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second antenna,
In the normal use mode, the resonant frequency is formed in a frequency band higher than the center frequency of the first and second frequency bands,
And in the charging mod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n be made smaller in size than the first antenna so that the resonance frequency is formed near the center frequencies of the first and second frequency bands.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안테나는,
상기 단말기 내에 배치되며, 상기 충전모드에서 전자기 신호를 방사하는 방사체;및
상기 충전패드내에 배치되며, 상기 방사체와 전자기적 결합에 의해 상기 방사체와 일체로서 안테나로 동작할 수 있게 구성된 기생소자;를 포함하되,
상기 방사체는 상기 기생소자와 결합되지 않은 경우보다 더 작은 물리적 길이를 갖도록 구성된 이동통신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5,
The second antenna,
A radiator disposed in the terminal and emitting an electromagnetic signal in the charging mode; and
And a parasitic element disposed in the charging pad and configured to operate as an antenna integrally with the radiator by electromagnetic coupling with the radiator.
And the radiator is configured to have a smaller physical length than when not coupled to the parasitic element.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안테나 또는 제2 안테나는,
상기 단말기 내부의 접지면과 단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antenna or the second antenna,
And a short circuit to the ground plane inside the terminal.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안테나 또는 제2 안테나는,
평면형 역F안테나(PIFA) 또는 모노폴 안테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8,
The first antenna or the second antenna,
A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 planar inverted-F antenna (PIFA) or monopole antenna.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제1 안테나에 연결된 제1 스위치;
상기 제2 안테나에 연결된 제2 스위치;및
상기 일반 사용모드 또는 상기 충전모드에서, 상기 제1 및 제2 안테나가 선택적으로 동작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스위치를 상보적으로 온 또는 오프 제어하는 인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witch unit,
A first switch connected to the first antenna;
A second switch connected to the second antenna; and
And a inverter configured to complementarily turn on or off the first and second switches to selectively operate the first and second antennas in the normal use mode or the charging mode.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패드 내부에는 제1 코일이 배치되고,
상기 단말기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코일과 전자기적 결합되는 제2 코일에 의해 상기 유도기전력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coil is disposed inside the charging pad,
The induction electromotive force is formed by the second coil disposed inside the terminal and electromagnetically coupled to the first coil.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정류부는,
배터리의 충전상태를 감지하여 상기 감지 결과를 기저대역부에 보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2,
The rectifying unit,
And detecting the state of charge of the battery and reporting the detection result to the baseband.
KR1020100082177A 2010-08-24 2010-08-24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180118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2177A KR101801185B1 (en) 2010-08-24 2010-08-24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2177A KR101801185B1 (en) 2010-08-24 2010-08-24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9065A true KR20120019065A (en) 2012-03-06
KR101801185B1 KR101801185B1 (en) 2017-11-24

Family

ID=461281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2177A KR101801185B1 (en) 2010-08-24 2010-08-24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1185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37108A1 (en) * 2013-03-06 2014-09-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device for power reduction and method thereof
CN111969732A (en) * 2020-07-30 2020-11-20 季华实验室 Wireless energy switching receiving device, method and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73078A (en) * 2003-08-26 2005-03-1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mmunication method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37108A1 (en) * 2013-03-06 2014-09-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device for power reduction and method thereof
RU2663219C2 (en) * 2013-03-06 2018-08-02 Самсунг Электроникс Ко., Лтд. Mobile device for the power reduction and relevant method
US10321404B2 (en) 2013-03-06 2019-06-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device for power reduction and method thereof
US10863440B2 (en) 2013-03-06 2020-12-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device for power reduction and method thereof
US11523344B2 (en) 2013-03-06 2022-12-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device for power reduction and method thereof
CN111969732A (en) * 2020-07-30 2020-11-20 季华实验室 Wireless energy switching receiving device, method and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01185B1 (en) 2017-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9994B1 (en) Mobile terminal
KR102025661B1 (en) Antenna apparatus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KR102013588B1 (en) Mobile terminal
EP2629361B1 (en) Portable Terminal
KR101604759B1 (en) Antenna assembly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KR101977082B1 (en) Mobile terminal
KR101977078B1 (en) Mobile terminal
CN105075006A (en) Antenna module and mobile terminal including same
KR20130050105A (en) Antenna device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KR101708311B1 (en) Antenna apparatus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KR101658088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1728800B1 (en) Antenna for portable terminal
KR101801185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100026653A (en) Pifa antenna and method for transmission of frequency
KR20150014278A (en) Retractable antenna combined with zeroth-order resonant structures
KR101837484B1 (en) mobile/portable terminal
KR102018549B1 (en) Mobile terminal
KR101832961B1 (en) Mobile terminal
KR101698853B1 (en) Antenna, dongle and mobile terminal comprising the same
KR102058948B1 (en) Antenna apparatus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KR102020327B1 (en) Mobile terminal
KR101990041B1 (en) Antenna module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KR20130135646A (en) Antenna apparatus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KR101984099B1 (en) Antenna module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KR101995488B1 (en) Antenna apparatus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