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18470A - 셀프 클리닝 발판 장치 - Google Patents

셀프 클리닝 발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18470A
KR20120018470A KR1020100081311A KR20100081311A KR20120018470A KR 20120018470 A KR20120018470 A KR 20120018470A KR 1020100081311 A KR1020100081311 A KR 1020100081311A KR 20100081311 A KR20100081311 A KR 20100081311A KR 20120018470 A KR20120018470 A KR 201200184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affold
unit
cleaning
self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13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찬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듀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듀공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듀공
Priority to KR10201000813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18470A/ko
Publication of KR201200184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847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005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for pharmaceuticals, biologicals or living parts
    • A61L2/0011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for pharmaceuticals, biologicals or living parts using physical methods
    • A61L2/0029Radiation
    • A61L2/0047Ultraviole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including air-liquid contact proces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1Apparatus for generating biocidal substances, e.g. vaporisers, UV lam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1Apparatus for controlling air treatment
    • A61L2209/111Sensor means, e.g. motion, brightness, scent, contaminant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2Ligh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3Dispensing or storing means for active compounds
    • A61L2209/134Distributing means, e.g. baffles, valves, manifolds, nozz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셀프 클리닝 발판 장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상측에 위치하며 대상물에 의하여 눌려지는 발판; 상기 발판에 탈취액을 분사하는 분사 유니트; 상기 발판 및 상기 분사 유니트를 클리닝하는 셀프 클리닝 유니트;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셀프 클리닝 발판 장치{SELF CLEANING FOOT STEP}
본 발명은 사람의 발이 발판을 누를 경우 탈취액을 분사하여 탈취 또는 소독 작용을 하고 장치 내부의 오염물이 자체적으로 세정되는 셀프 클리닝 발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발을 벗고 출입해야 하는 식당 또는 주택 등의 경우에는 신발을 벗었을 때 사람의 발 냄새에 의해 주위에 거부감을 주는 경우가 종종 있다. 이때, 별도로 마련되는 탈취용 분무기를 이용하여 소독액을 발에 직접 분사할 수도 있지만 사용상 불편함이 있고 손님에게 거부감을 주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좁은 공간에 많은 사람이 출입하는 경우, 땀이 많이 나는 여름의 경우, 손님에게 거부감을 주지 않으면서 자신도 모르는 순간에 자동으로 소독액을 분무하여 자동으로 탈취할 수 있는 발판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편, 이러한 발판 장치는 결국 청결한 위생 환경을 이루고자 하는 것이므로 장시간 사용에 따른 발판 장치 내부의 오염물믈 자체적으로 세정할 수 있는 셀프 클리닝 작용이 가능한 발판 장치의 개발도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필요성을 감안한 것으로서, 사람이 발판을 밟고 지나갈 때 이를 감지하여 탈취액을 자동으로 분무하고 실내 공간에 땀냄새로 인한 악취가 발생하지 않도록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셀프 클리닝 작용을 할 수 있는 셀프 클리닝 발판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셀프 클리닝 발판 장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상측에 위치하며 대상물에 의하여 눌려지는 발판; 상기 발판에 탈취액을 분사하는 분사 유니트; 상기 발판 및 상기 분사 유니트를 클리닝하는 셀프 클리닝 유니트; 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람의 발을 포함한 대상물에 의하여 발판이 눌려지면 발판에 대하여 탈취액을 분사함으로써 대상물에 대하여 정확하게 탈취액이 분사될 수 있게 하며, 발판 장치 내부의 오염물을 자동으로 세정하는 셀프 클리닝 작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셀프 클리닝 발판 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셀프 클리닝 발판 장치의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셀프 클리닝 발판 장치의 일 실시예에 대한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셀프 클리닝 발판 장치의 다른 일 실시예에 대한 측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셀프 클리닝 발판 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셀프 클리닝 발판 장치의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셀프 클리닝 발판 장치의 일 실시예에 대한 측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3을 함께 참조하며 본 발명의 셀프 클리닝 장치의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바이오 발판 장치는 발판(100a,100b), 분사 유니트(200), 제어부(400), 셀프 클리닝 유니트(500)를 포함한다.
발판(100a,100b)은 분사될 대상물인 사람의 신발이나 양말, 맨발이 접촉되는 것으로서, 도시되지 않은 실시예로서 발판은 한 개 설치될 수 있지만, 정확한 위치의 분사와 탈취액(210)의 낭비를 막을 수 있도록 서로 독립적으로 배치되는 제1 발판(100a)과 제2 발판(100b)을 구비할 수 있다.
제1 발판(100a) 및 제2 발판(100b)은 서로 인접한 위치에 최적 거리만큼 이격되며, 여기서 '최적 거리'라 함은 사람의 발 간격에 맞추어 사람이 큰 노력없이 쉽게 올라설 수 있도록 할 수 있을 정도의 이격 거리를 말한다.
탈취액(210)은 시원한 느낌을 줄 수 있는 물, 항균 작용을 위한 소독약, 냄새 제거제, 땀 흘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발한 방지제, 기타 인체에 무해한 항균, 탈취, 소독 기능을 갖는 다양한 약품에 될 수 있다.
분사 유니트(200)는 발판(100a,100b)에 탈취액(210)을 분사하는 것이다. 분사 유니트(200)는 제1 발판(100a) 및 제2 발판(100b) 각각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탈취액(210)을 분사할 수 있다.
분사 유니트(200)의 상세한 실시예는 도 3에 도시된다. 이를 참조하면, 분사 유니트(200)는, 탈취액(210)이 저장되는 탱크(260)와, 탱크(260)에서 공급받은 탈취액(210)을 가압하는 펌프(250)와, 제1 발판(100a)을 향하여 탈취액(210)을 분사하는 제1 노즐열(220a)과, 제2 발판(100b)을 향하여 탈취액(210)을 분사하는 제2 노즐열(220b)을 포함한다.
제1 노즐열(220a) 및 제2 노즐열(220b)에는 다수의 노즐이 일렬로 배열된다. 노즐의 배열 길이는 사람의 발 사이즈에 대응하여 결정되는데 대략 200~300 mm가 바람직하다.
제1 노즐열(220a)은 연결관(225)에 의하여 펌프(250)와 연결되고, 제2 노즐열(220b)도 연결관(225)에 의하여 펌프(250)와 연결된다. 펌프(250)에 의하여 가압된 탈취액(210)은 각 노즐열(220a,220b)을 통하여 독립적으로 탈취액(210)을 분사한다.
접근 감지부(300)는 비접촉식으로 대상물의 접근 여부를 감지하는 광센서, 초음파센서, 열 센서, 온도 센서가 될 수 있다. 접근 감지부(300)는 제1 발판(100a) 및 제2 발판(100b) 사이에 마련되며, 각 발판(100a,100b)별로 구분되는 각각의 노즐열(220a,220b)에 인접하여 배치됨으로써 대상물 접근 감지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고, 간단한 구조와 부품수 절감을 달성할 수 있다.
제어부(400)는 접근 감지부(300)의 신호에 따라 대상물의 접근 여부를 판단하고 노즐 분사에 앞서 미리 펌프(250) 동작을 개시하거나, 분사 시점에 도달시 탈취액(210)의 노즐 분사를 개시한다.
한편, 대상물에 의하여 제1 발판(100a)이 눌려지면 제1 스위치(280a)가 온된다. 대상물에 의하여 제2 발판(100b)이 눌려지면 제2 스위치(280b)가 온된다. 제어부(400)는 제1 스위치(280a)가 온되면 제1 발판(100a)에 대한 분사를 개시하고 제1 스위치(280a)가 오프되면 제1 발판(100a)에 대한 분사를 정지한다. 마찬가지로 제2 스위치(280b)가 온되면 제2 발판(100b)에 대한 분사를 개시하고, 제2 스위치(280b)가 오프되면 제2 발판(100b)에 대한 분사를 정지한다.
한편, 발판(100a,100b)이 정확하게 일직선상에서 승강될 수 있도록 발판(100a,100b)의 승강 운동을 안내하는 수단도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발판(100a,100b)의 내부에 돌출 보스(290)가 돌출된다. 발판(100a,100b)이 사각형이므로 균일한 높이의 승하강을 위하여 돌출 보스(290)는 발판(100a,100b)의 네 꼭지점에 마련되거나, 네 모서리에 마련된다. 발판(100a,100b)이 승강 가능하게 장착되는 베이스(10)에는 돌출 보스(290)가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안내 가이드(292)가 마련된다. 발판(100a,100b)이 눌려지면 돌출 보스(290)가 안내 가이드(292)를 따라 안내됨으로써 발판(100a,100b)이 수직 방향을 따르는 일직선상에서 승강된다. 발판(100a,100b)은 복귀 스프링(295)에 의하여 초기 위치로 복귀된다. 돌출 보스(290)가 원기둥 형상인 경우 안내 가이드(292) 내부에 형성되는 가이드 구멍(294)은 돌출 보스(290)와 형합되는 중공 원통 형상이다.
돌출 보스(290)의 단부 및 안내 가이드(292)의 단부에 전기 접점을 배치하면 돌출 보스(290) 및 안내 가이드(292)를 이용하여 스위치(280a,280b)를 형성할 수 있다.
셀프 클리닝 유니트(500)는 장시간 사용에 따른 발판 장치 내부의 오염물을 제거하고 세균 번식을 억제할 수 있도록 발판(100a,100b) 및 분사 유니트(200)를 클리닝한다.
일 실시예로서, 셀프 클리닝 유니트(500)는 발판(100a,100b)의 표면을 감싸도록 발판(100a,100b)에 착탈되는 실리콘막(510)을 포함한다. 실리콘막(510)의 항균 작용을 높이기 위하여 수분의 흡착이나 세균 번식을 막을 수 있는 코팅층이 입혀진다. 실리콘막(510)은 매우 유연성이 있으므로 발판(100a,100b)의 표면에 잘 흡착되며 일정 기간이 경과되면 새로운 실리콘막(510)으로 교체됨으로써 항균 상태를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와 다른 일 실시예로서, 셀프 클리닝 유니트(500)는 UV 램프(520)를 포함한다. UV 램프(520)는 발판(100a,100b) 및 베이스(10) 사이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거나 분사 유니트(200) 및 베이스(10) 사이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며, 이들 내부 공간에 살균용 광원을 조사하고, 그 동작은 제어부(400)에 의하여 조절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셀프 클리닝 발판 장치의 다른 일 실시예에 대한 측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항균 플레이트(530)가 설치된다. 항균 플레이트(530)는 발판 장치 내부의 세균 번식 또는 오염물 누적에 취약한 부품들을 역방향으로 설치함으로써, 중력 작용에 의하여 오염물 또는 수분이 아래로 떨어지게 함으로써 세균 번식을 막고 항균 작용을 한다.
도시된 예를 보면, 제어부(400), 제1 스위치(280a), 제2 스위치(280b), 탱크(260), 및 펌프(250)가 항균 플레이트(530)의 하측에 설치되어 발판 장치 내부를 셀프 클리닝한다. 항균 플레이트(530)에는 UV 램프(520)가 설치될 수 있으며, 제어부(400)의 제어 동작에 따라 일정 시간 단위로 점등되면서 항균 플레이트(530)에 장착된 각종 부품들을 소독하거나 누수된 액체를 건조시킨다.
한편, 제어부(400)는 미리 프로그램된 제어 루틴대로 작동하는 것은 물론, 외부에서 리모컨으로 동작 가능하게 할 수 있으므로, 발판 장치의 사용 상태에 따라 동작 알고리즘, 예를 들면 UV 램프(520)의 점등 주기 등을 쉽게 변경할 수 있다.
한편, 탱크(260) 내부에는 탈취액(210)이 항상 저장되어 있으므로 세균 번식에 가장 좋은 장소가 된다. 또한, 탈취액(210) 소진시 발판 장치의 내부를 노출시킨 상태에서 탈취액(210)을 보충한다면 매우 번거로운 일이 될 수 있다. 따라서, 탱크(260)는 누수가 발생하더라도 베이스(10) 방향으로 탈취액(210)이 흘러내리고 흘러내린 탈취액(210)은 UV 램프(520)에 의하여 신속 건조될 수 있도록 항균 플레이트(530)의 배면에 탱크(260)가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뿐만 아니라, 탱크(260)는 항균 플레이트(530)에 카트리지 형식으로 탈착 가능하게 마련되어, 필요시 손쉽게 분리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베이스 100a,100b...제1 발판, 제2 발판
200...분사 유니트 210...탈취액
220a,220b...제1 노즐열, 제2 노즐열 225...연결관
250...펌프 260...탱크
280a,280b...제1 스위치, 제2 스위치 290...돌출 보스
292...안내 가이드 294...가이드 구멍
295...복귀 스프링 300...접근 감지부
400...제어부 500...셀프 클리닝 유니트
510...실리콘막 520...UV 램프
530...항균 플레이트

Claims (6)

  1.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상측에 위치하며 대상물에 의하여 눌려지는 발판;
    상기 발판에 탈취액을 분사하는 분사 유니트;
    상기 발판 및 상기 분사 유니트를 클리닝하는 셀프 클리닝 유니트; 를 포함하는 셀프 클리닝 발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셀프 클리닝 유니트는,
    상기 발판의 표면을 감싸도록 상기 발판에 착탈되는 실리콘막을 구비하는 셀프 클리닝 발판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셀프 클리닝 유니트는,
    상기 발판 및 상기 베이스 사이의 내부 공간과 상기 분사 유니트 및 상기 베이스 사이의 내부 공간에 살균용 광원을 조사하는 UV 램프를 포함하는 셀프 클리닝 발판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은 서로 인접한 제1 발판 및 제2 발판을 구비하고,
    비접촉식으로 상기 대상물의 접근 여부를 감지하는 접근 감지부가 상기 제1 발판 및 상기 제2 발판 사이에 마련되며,
    상기 제1 발판 및 상기 제2 발판의 눌림 여부를 각각 감지하는 제1 스위치 및 제2 스위치가 마련되고,
    상기 분사 유니트는, 상기 탈취액이 저장되는 탱크와, 상기 탈취액을 가압하는 펌프와, 상기 제1 발판에 상기 탈취액을 분사하는 제1 노즐열과, 상기 제2 발판에 상기 탈취액을 분사하는 제2 노즐열을 포함하며,
    상기 접근 감지부, 상기 제1 스위치 및 상기 제2 스위치의 신호에 따라 상기 분사 유니트의 분사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가 마련되며,
    상기 제1 발판 및 상기 제2 발판의 내부에는 항균 플레이트가 설치되고,
    상기 제어부, 상기 제1 스위치, 상기 제2 스위치, 상기 탱크 및 상기 펌프가 상기 항균 플레이트의 하측에 설치되는 셀프 클리닝 발판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외부의 리모컨에 의하여 동작되는 셀프 클리닝 발판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탱크는 상기 항균 플레이트에 카트리지 형식으로 탈착되는 셀프 클리닝 발판 장치.
KR1020100081311A 2010-08-23 2010-08-23 셀프 클리닝 발판 장치 KR2012001847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1311A KR20120018470A (ko) 2010-08-23 2010-08-23 셀프 클리닝 발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1311A KR20120018470A (ko) 2010-08-23 2010-08-23 셀프 클리닝 발판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8470A true KR20120018470A (ko) 2012-03-05

Family

ID=461277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1311A KR20120018470A (ko) 2010-08-23 2010-08-23 셀프 클리닝 발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18470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816555A (zh) * 2014-02-27 2014-05-28 山东潍坊烟草有限公司安丘分公司 便携式自动滚刷消毒器
CN103816556A (zh) * 2014-02-27 2014-05-28 山东潍坊烟草有限公司安丘分公司 便携式自动雾化节能消毒器
WO2017078337A1 (ko) * 2015-11-02 2017-05-11 김종우 오염 방지용 발판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816555A (zh) * 2014-02-27 2014-05-28 山东潍坊烟草有限公司安丘分公司 便携式自动滚刷消毒器
CN103816556A (zh) * 2014-02-27 2014-05-28 山东潍坊烟草有限公司安丘分公司 便携式自动雾化节能消毒器
WO2017078337A1 (ko) * 2015-11-02 2017-05-11 김종우 오염 방지용 발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171129A (zh) 自动扶梯扶手带杀菌装置
KR20110063653A (ko) 자동형 손세척장치
CN103041413A (zh) 温水洁身器的喷嘴组件杀菌方法
KR20090098644A (ko) 비데 노즐부 살균장치
KR20120018470A (ko) 셀프 클리닝 발판 장치
KR100970888B1 (ko) 손 소독기
KR200441147Y1 (ko) 소독기능을 겸비한 손 건조기
KR200417522Y1 (ko) 손 소독기
KR200436837Y1 (ko) 발 살균탈취기
KR101468112B1 (ko) 화장솔 자동 세척장치
KR101910817B1 (ko) 살균발판
JP2011162352A (ja) エスカレータおよび動く歩道のハンドレール用の殺菌消毒液噴射装置
KR20160001540A (ko) 자외선을 이용한 살균발판
JP2008018022A (ja) 消毒装置
US2023021103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isinfecting plumbing fixtures and rooms with plumbing fixtures
CN213820901U (zh) 一种智能杀菌脚垫
KR200398316Y1 (ko) 다기능 세정 장치
KR101626850B1 (ko) 살균기능 및 원적외선 방사기능을 갖는 위생 비데
KR101492376B1 (ko) 이동식 절수형 샤워장치
KR20160150408A (ko) 손 소독기
KR101522849B1 (ko) 발소독기
KR20200029142A (ko) IoT 기반 의료용 초음파 세척기
KR20120002912U (ko) 살균 램프가 구비된 손 소독기 및 침상변기 소독기
KR20210034722A (ko) 발냄새 제거 장치
JP3234903U (ja) 靴底消毒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