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18436A - 부싱단자 커버를 구비한 변압기 - Google Patents

부싱단자 커버를 구비한 변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18436A
KR20120018436A KR1020100081235A KR20100081235A KR20120018436A KR 20120018436 A KR20120018436 A KR 20120018436A KR 1020100081235 A KR1020100081235 A KR 1020100081235A KR 20100081235 A KR20100081235 A KR 20100081235A KR 20120018436 A KR20120018436 A KR 201200184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hing terminal
enclosure
secondary side
primary sid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12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민행
Original Assignee
(주)건영통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건영통상 filed Critical (주)건영통상
Priority to KR10201000812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18436A/ko
Publication of KR201200184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843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26Lead-in insulators; Lead-through ins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56Insulating bodies
    • H01B17/58Tubes, sleeves, beads, or bobbins through which the conductor passes
    • H01B17/583Grommets; Bush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02Casings
    • H01F27/04Leading of conductors or axles through casings, e.g. for tap-chang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Housings And Mounting Of Transform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일정크기의 내부공간이 형성된 외함; 상기 외함의 일측면에 배치되며 1차측인출선과 상기 외함의 사이를 절연 또는 밀폐시키는 1차측부싱단자와, 상기 외함의 타측면에 배치되며 2차측인출선과 상기 외함의 사이를 절연 또는 밀폐시키는 2차측부싱단자를 포함하는 부싱단자부; 상기 1차측부싱단자 및 2차측부싱단자의 각 양측방향에서 상기 외함의 모서리 단부에 위치하여 상기 1차측부싱단자 및 2차측부싱단자가 돌출된 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로 형성되며 하나 이상의 체결공A가 형성된 체결판과, 상기 체결판의 일단에서 상기 1차측부싱단자 및 2차측부싱단자를 향해 내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외함의 외부면에 장착되는 지지판을 포함하는 지지부; 상기 1차측부싱단자 및 2차측부싱단자를 둘러싸는 형태로 상기 체결판에 장착되되, 상기 1차측인출선과 2차측인출선이 외부로 연장되는 방향의 일측은 개구되며, 양측에는 상기 체결공A와 대응되는 체결공B가 형성되어, 상기 체결공A와 체결공B를 연속관통하는 체결나사에 의해 상기 체결판에 장착되는 부싱단자 커버;를 포함하는 변압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부싱단자 커버를 구비한 변압기{Transformer Having Bushing Terminal Cover}
본 발명은 부싱커버를 구비한 변압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변압기의 외부로 노출되는 부싱단자를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부싱커버를 구비한 변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변압기는 여러 개의 권선과 공통의 철심으로 구성되어 한 권선에 교류전압을 인가하면 전자유도현상에 의해 권수비에 비례하는 전압을 다른 권선에 유기하는 전압 변환장치를 의미하며, 전압과 전류를 변환시켜 전력의 생산지에서 소비지까지 에너지의 손실이 거의 없이 전력을 공급할 목적으로 송배전 계통에 설치되는 전력 전송기기이며, 그 중에서 전력용 변압기는 대용량의 전력을 생산지에서 소비지로 전송 시 필요한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기기이다.
이러한 변압기의 구조는 크게 권선, 철심, 외함, 절연체, 냉각장치 및 기타 부속기기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전압과 전류를 변환시켜서 전력을 수송하고 소비지의 필요 전압에 맞추어 전력을 사용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설치장소에 따라 지상의 전주에 설치되는 주상변압기와, 지중배선방식에서 지중에 설치되는 지중변압기로 나누는 등 다양하게 분류할 수 있으며, 특별한 용도에 따라 그 구조가 조금씩 상이하지만 기본적 구성은 동일하다.
여기서, 도 1은 종래의 변압기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변압기(10)는, 변압기 본체(권선 및 철심 등)와 절연유 등의 절연체를 내장하는 외함(11)과, 상기 외함(11)의 일측에 장착되어 전력변환 시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방출시키는 냉각장치(18)와, 양측 또는 타측과 상부측에 장착되어 변성시킬 전압이 인가되며 1차측인출선(14)과 외함(11)의 사이를 절연 또는 밀폐시키는 1차측부싱단자(13)와 상기 변압기 본체에 의해 변성된 전압을 외부로 인가시키며 2차측인출선과 외함(11)의 사이를 절연 또는 밀폐시키는 2차측부싱단자를 포함하는 부싱단자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변압기(10)에서는 권선의 인출(引出)을 외함(11)의 외부로 내게 되는데, 상기 1차측부싱단자(13)와 2차측부싱단자는 전압을 전달하는 전달체인 인출선과 외함(11)과의 사이를 절연 또는 밀폐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해 상기 인출선의 단자(도체)를 심(芯)으로 하는 절연애자이다. 이러한 1차측부싱단자(13)와 2차측부싱단자는 변성된 전압을 인가받는 외부기기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기 위해 외부로 돌출되어 형성되기 때문에, 높은 전압이 인가되는 각 부싱단자의 말단부분에 도전성 물체의 접촉으로 인해 단락사고 및 인체접촉에 의한 감전사고 등과 같은 안전사고의 위험이 항상 내포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외부충격에 의해 결합부분이 파손되거나 외부환경이 열악할 경우 이물질 등에 의해 오염되어 합선 및 부식될 가능성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외부환경으로부터 보호되도록 상기 1차측부싱단자(13)와 2차측부싱단자를 둘러싸는 형태로 체결볼트(16a)와 체결너트(17)에 의해 외함(11)에 장착되는 부싱단자 커버(12)가 구비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부싱단자 커버(12)는 각 부싱단자에 연결된 각 인출선과의 접점을 변경하거나 정비 및 교체 등의 소요가 발생할 경우에만 분리하여 해당작업을 진행하며 작업이 완료가 되면 다시 결합하여 커버할 수 있도록 분리와 체결이 용이한 형태로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부싱단자 커버(12)는 상기 외함(11)에 장착되기 위해, 상기 외함(11)의 양측과 상측에 형성된 상기 체결볼트(16a)가 관통삽입되는 나사공(16b)이 형성된 체결판(15)이 부싱단자 커버(12)의 테두리 단부에서 외측으로 절곡된 형태로 구비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상기 체결판(15)의 절곡된 접착면이 외함(11)에 장착되기 위해 외함(11)의 양단부로부터 떨어져야 하는 이격거리(D:도 1 참고)가 상기 각 부싱단자의 상측과 양측에 확보되어야 하며, 상기 각 부싱단자를 구성하는 2개 내지 3개의 개별 부싱단자는 각 개별 부싱단자에 인가되는 전압에 의한 전기적 또는 자기적인 영향이 상호간에 미치지 않도록 각 개별부싱단자 간에는 최소 이격거리(d:도 1 참고)가 유지된 상태로 장착되어야 하므로, 상기 변압기(20)의 외함(11)의 크기가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상기와 같이 외함(11)의 크기가 증대됨에 따라 상기 외함(11)의 내부에 충만되는 절연유의 충전량이나 변압기 본체의 각 구성품의 크기가 함께 증가하게 되므로 변압기(10)를 생산 및 유지하기 위한 비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변압기의 외함 상에 부싱단자 커버를 간단한 방식으로 장착할 수 있고, 협소한 공간에서의 설치 및 운용이 가능하며, 변압기의 소형화를 구현할 수 있는 부싱단자 커버를 구비한 변압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일정크기의 내부공간이 형성된 외함; 상기 외함의 일측면에 배치되며 1차측인출선과 상기 외함의 사이를 절연 또는 밀폐시키는 1차측부싱단자와, 상기 외함의 타측면에 배치되며 2차측인출선과 상기 외함의 사이를 절연 또는 밀폐시키는 2차측부싱단자를 포함하는 부싱단자부; 상기 1차측부싱단자 및 2차측부싱단자의 각 양측방향에서 상기 외함의 모서리 단부에 위치하여 상기 1차측부싱단자 및 2차측부싱단자가 돌출된 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로 형성되며 하나 이상의 체결공A가 형성된 체결판과, 상기 체결판의 일단에서 상기 1차측부싱단자 및 2차측부싱단자를 향해 내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외함의 외부면에 장착되는 지지판을 포함하는 지지부; 상기 1차측부싱단자 및 2차측부싱단자를 둘러싸는 형태로 상기 체결판에 장착되되, 상기 1차측인출선과 2차측인출선이 외부로 연장되는 방향의 일측은 개구되며, 양측에는 상기 체결공A와 대응되는 체결공B가 형성되어, 상기 체결공A와 체결공B를 연속관통하는 체결나사에 의해 상기 체결판에 장착되는 부싱단자 커버;를 포함하는 변압기가 개시된다.
한편,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일정크기의 내부공간이 형성된 외함; 상기 외함의 일측면에 배치되며 1차인출선과 상기 외함의 사이를 절연 또는 밀폐시키는 1차측부싱단자와, 상기 외함의 타측면에 배치되며 2차인출선과 상기 외함의 사이를 절연 또는 밀폐시키는 2차측부싱단자를 포함하는 부싱단자부; 일측은 상기 1차측부싱단자 및 2차측부싱단자의 각 상측에 수평방향으로 장착되며 타측은 상부방향으로 절곡된 형태로 형성된 지지편과, 일측은 상기 지지편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1차측부싱단자 및 2차측부싱단자의 각 양측방향에서 상기 외함의 모서리 단부에 수직방향으로 장착되며 타측은 상기 1차측부싱단자 및 2차측부싱단자의 외측으로 절곡된 형태로 형성된 가이드편을 포함하며, 상기 1차측부싱단자와 상기 2차측부싱단자의 각 양측에 배치되는 지지부; 상기 1차측부싱단자 및 2차측부싱단자를 둘러싸는 형태로 상기 지지부에 장착되되, 상기 1차측인출선과 2차측인출선이 외부로 연장되는 방향의 일측은 개구되고, 내부면의 상부에는 상기 지지편의 지지홈에 삽입되어 지지되는 걸림돌기가 수평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내부면의 양측에는 상기 가이드편의 가이드홈에 삽입되어 가이드되는 안내돌기가 수직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부싱단자 커버를 포함하는 변압기가 개시된다.
더불어,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일정크기의 내부공간이 형성된 외함; 상기 외함의 일측면에 배치되며 1차인출선과 상기 외함의 사이를 절연 또는 밀폐시키는 1차측부싱단자와, 상기 외함의 타측면에 배치되며 2차인출선과 상기 외함과의 사이를 절연 또는 밀폐시키는 2차측부싱단자를 포함하는 부싱단자부; 상기 1차측부싱단자 및 2차측부싱단자의 양측에 위치하여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복수 개의 결합홈부; 상기 1차측부싱단자 및 2차측부싱단자를 둘러싸는 형태로 상기 결합홈부에 삽입되어 장착되되, 상기 1차인출선과 2차인출선이 외부로 연장되는 방향의 일측은 개구되며, 양측단에는 상기 결합홈부에 삽입되어 지지되는 걸림편이 하부방향으로 절곡된 형태로 형성된 부싱단자 커버;를 포함하는 변압기가 개시된다.
여기서, 상기 부싱단자 커버는, 판 형상으로형성되되, 상기 1차인출선 및 2차인출선의 각 인출선과 대응하는 인출선삽입공이 형성되며, 상기 인출선삽입공에 상기 1차인출선 및 2차인출선이 관통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부싱단자 커버의 개구된 일측을 커버하는 덮개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개별 부싱단자 간의 최소 이격거리(d)가 유지된 상태에서 외함의 양측단의 모서리부에 부싱단자 커버를 장착할 수 있으므로, 변압기의 소형화를 구현할 수 있으며 외함 및 변압기 본체의 각 구성품의 크기가 커지지 않으므로 생산 및 유지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외함의 외부에 형성된 결합홈에 걸림편을 삽입거나 부싱단자 커버를 하방으로 슬라이딩하는 원터치 동작으로도 부싱단자 커버를 장착할 수 있으므로, 부싱단자를 정비 및 보수하기 위한 작업이 용이해짐은 물론, 부싱단자 커버를 개폐하기 위한 회동공간이 불필요하므로 협소한 공간에서의 설치 및 운용이 가능한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종래의 변압기에 부싱단자 커버가 장착되는 구성을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변압기에 부싱단자 커버가 장착되는 구성을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부싱단자 커버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변압기의 사각형상 외함에 부싱단자 커버가 장착되는 구성을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변압기에 부싱단자 커버가 장착되는 구성을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변압기의 부싱단자 커버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변압기에 부싱단자 커버가 장착되는 구성을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변압기에 부싱단자 커버가 장착되는 구성을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내지 제4실시예에 따른 부싱단자 커버의 덮개판이 구비된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더불어,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내지 제4실시예에 따른 부싱단자 커버의 전면판이 개폐 가능한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2 내지 도 4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변압기의 구성 및 기능을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변압기(100)에 부싱단자 커버(140)가 장착되는 구성을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부싱단자 커버(140)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변압기(100)의 사각형상 외함(110')에 부싱단자 커버(140)가 장착되는 구성을 나타낸 분리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부싱단자 커버를 구비한 변압기(100)는, 외함(110)과, 부싱단자부와, 지지부 및, 부싱단자 커버(140)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먼저, 상기 외함(110)은, 일정크기의 내부공간이 형성된 케이스로서, 상기 내부공간에는 인가되는 전압을 변환시키는 권선 및 철심 등의 변압기 본체(미도시)가 회로구성되어 장착되며, 상기 변압기 본체와 외부를 전기적으로 이격시키기 위해 절연유 등의 절연체가 내부에 충전된다. 여기서, 외함(110)에는 전력 변환시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방출시키는 냉각장치(150)와, 상기 변압기(100)를 옮길 때 사용되는 들고리(Lifting : 160)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부싱단자부는, 상기 외함(110)의 일측면에 배치되며 1차측인출선(123)과 외함(110)의 사이를 절연 또는 밀폐시키는 1차측부싱단자(121)와, 상기 외함(110)의 타측면에 배치되며 2차측인출선(미도시)과 상기 외함(110)의 사이를 절연 또는 밀폐시키는 2차측부싱단자(미도시)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여기서, 도면에 미도시된 2차측인출선과 2차측부싱단자는 상기 1차측인출선(123) 및 1차측부싱단자(121)과 반대되는 외함(110)의 타측면에 장착되거나, 외함(110)의 상부면에 장착될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외함(110)의 내부에 회로구성되는 변압기 본체가 설계되는 방식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1차측부싱단자(121) 및 2차측부싱단자는, 상기 변압기 본체의 1차 및 2차 권선으로부터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된 단자의 둘레가 절연애자 등의 절연체에 의해 둘러싸인 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단자의 말단에는 상기 1차측인출선(123) 및 2차측인출선이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더불어, 도면에는 상기 1차측부싱단자(121) 및 2차측부싱단자는 3개의 개별 부싱단자로 구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회로설계 구성에 따라 2개 또는 4개 이상의 개별 부싱단자로도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각 개별 부싱단자는 인접한 다른 개별 부싱단자에 의한 전기적, 자기적인 영향이 미치지 않도록 최소 이격거리(d : 도 1 참고)를 유지한 상태로 장착된다.
상기 지지부는, 상기 부싱단자 커버(140)가 상기 1차측부싱단자(121) 및 2차측부싱단자를 둘러싸는 형태로 외함(110)의 외부면에 장착되도록 지지하는 고정부재로서, 상기 1차측부싱단자(121) 및 2차측부싱단자의 양측방향 및 상부방향에 위치하여 상기 1차측부싱단자(121) 및 2차측부싱단자가 돌출된 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로 형성되며 하나 이상의 체결공A(133) 형성된 체결판(131)과, 상기 체결판(131)의 일단에서 각 부싱단자를 향해 내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외함(110)의 외부면에 장착되는 지지판(132)을 포함하여 구비된다. 여기서, 도면에는 상기 1차측부싱단자(121)의 양측과 상측에 3개의 지지부가 각각 장착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1차측부싱단자(121)의 양측에만 구비되어 체결나사(142)에 의해 상기 부싱단자 커버(140)가 장착되도록 구비되는 것만으로도 상기 부싱단자 커버(140)를 충분하게 고정할 수 있으나, 보다 견고한 고정력을 제공하기 위해 부가적으로 상기 1차측부싱단자(121)의 상측에 지지부가 더 설치되거나 상기 1차측부싱단자(121)의 양측과 상측에 위치한 3개의 지지부가 상호 연결된 형태의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지지부는, 상기 1차측부싱단자(121) 및 2차측부싱단자의 각 양측에 배치되어 외함(110)의 외부면에 장착되되, 외함(110)의 수평방향의 양측 모서리부의 단부에 밀착하여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하여, 상기 부싱단자 커버(140)에 의해 커버되는 1차측부싱단자(121) 및 2차측부싱단자의 각 개별 부싱단자 간의 최소 이격거리(d)를 충분하게 유지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외함(110)의 수평 단면이 8각 또는 4각의 형태로 형성될 경우에는, 1차측부싱단자(121) 및 2차측부싱단자가 장착된 외함(110)의 외부면의 양단 모서리부에 밀착하여 장착된다.
상기 부싱단자 커버(140)는, 상기 1차측부싱단자(121) 및 2차측부싱단자를 외부환경으로부터 보호하는 구성요소로서,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1차측부싱단자(121) 및 2차측부싱단자를 둘러싸는 형태로 상기 지지부의 체결판(131)에 장착되되, 상기 1차측인출선(123)과 2차측인출선이 외부로 연장되는 방향의 일측은 개구되며, 양측 및 상측에는 상기 체결공A(133)와 대응되는 체결공B(141)가 형성되어, 상기 체결공A(133)와 체결공B(141)가 상호 연통되도록 중첩된 상태에서 상기 체결공A(133) 및 체결공B(141)를 연속 관통삽입하는 체결나사(142)에 의해 상기 체결판(131)에 장착된다.
다음으로는, 도 5 및 도 6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부싱단자 커버를 구비한 변압기의 구성 및 기능을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변압기에 부싱단자 커버가 장착되는 구성을 나타낸 분리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변압기의 부싱단자 커버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에에 따른 부싱단자 커버를 구비한 변압기(200)는, 외함(210)과, 부싱단자부와, 지지부와, 부싱단자 커버(240)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변압기(200)의 외함(210) 및 부싱단자부의 구성은 상술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변압기(100)의 외함(110) 및 부싱단자부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변압기(200)의 지지부는, 상기 부싱단자 커버(240)가 상기 1차측부싱단자(221) 및 2차측부싱단자를 둘러싸는 형태로 외함(211)의 외부면에 장착되도록 지지하는 고정부재로서, 일측은 상기 1차측부싱단자(221) 및 2차측부싱단자의 상부에 수평방향으로 장착되며 타측은 상부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된 형태로 형성된 지지편(231)과, 일측은 상기 지지편(231)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1차측부싱단자(221) 및 2차측부싱단자의 양측에 수직방향으로 장착되며 타측은 상기 외측으로 절곡된 형태로 형성된 가이드편(232)을 포함하며, 상기 1차측부싱단자(221) 및 2차측부싱단자의 각 양측에 배치된다.
상기 부싱단자 커버(240)는, 상기 1차측부싱단자(221) 및 2차측부싱단자를 외부환경으로부터 보호하는 구성요소로서, 상기 1차측부싱단자(221) 및 2차측부싱단자를 각각 둘러싸는 형태로 상기 지지부에 장착되되, 상기 1차측인출선(223)과 2차측인출선이 외부로 연장되는 방향의 일측은 개구되고, 내부면의 상부에는 상기 지지편(231)의 지지홈(234)에 삽입되어 지지되는 걸림돌기(241)가 수평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내부면의 양측에는 상기 가이드편(232)의 가이드홈(233)에 삽입되어 가이드되는 안내돌기(242)가 수직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지지편(231)의 내측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지지홈(234)과 상기 걸림돌기(241)는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상호 치합되는 형태로 체결되며, 상기 가이드편(232)의 내측에 형성된 가이드홈(233)과 상기 안내돌기(242)는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상호 치합되는 형태로 체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걸림돌기(241) 및 안내돌기(242)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돌기(Bump)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부싱단자 커버(240)는 상기 지지부가 장착된 외함(210)의 외부면의 상측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하부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동작에 의해, 상기 걸림돌기(241)은 상기 지지편(231)의 지지홈(234)에 삽입되어 안착되며, 상기 안내돌기(242)는 슬라이딩되며 상기 가이드편(232)에 의해 안내되며 가이드홈(233)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외함(210)과 부싱단자 커버(240)를 상호 체결된다.
다음으로는,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에 따른 부싱단자 커버를 구비한 변압기의 구성 및 기능을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변압기(300)에 부싱단자 커버(340)가 장착되는 구성을 나타낸 분리사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에에 따른 부싱단자 커버를 구비한 변압기(300)는, 외함(310)과, 부싱단자부와, 결합홈부(330)와, 부싱단자 커버(340)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변압기(300)의 외함(310) 및 부싱단자부의 구성은 상술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에 따른 변압기(100,200)의 외함(110,210) 및 부싱단자부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변압기(300)의 결합홈부(330)는, 상기 부싱단자 커버(340)가 상기 1차측부싱단자(321) 및 2차측부싱단자를 둘러싸는 형태로 외함(310)의 외부면에 장착되도록 지지하는 고정홈부로서, 상기 1차측부싱단자(321) 및 2차측부싱단자의 양측에 위치하여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복수 개의 홈부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결합홈부(330)가 형성되는 위치 및 홈부의 형태는 상기 부싱단자 커버(340)의 개구된 양측단에 형성된 걸림편(341)의 위치 및 형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상기 부싱단자 커버(340)는, 상기 1차측부싱단자(321) 및 2차측부싱단자를 외부환경으로부터 보호하는 구성요소로서, 상기 1차측부싱단자(321) 및 2차측부싱단자를 각각 둘러싸는 형태로 상기 결합홈부(330)에 삽입되어 장착되되, 상기 1차측인출선(323)과 2차측인출선이 외부로 연장되는 방향의 일측은 개구되며, 양측단에는 상기 결합홈부(330)에 삽입되어 지지되는 걸림편(341)이 하부방향으로 절곡된 형태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걸림편(341)의 단부는 상기 부싱단자 커버(340)가 상기 외함(310)의 외부면에 밀착될 때까지 삽입되면, 상기 결합홈부(330)의 하부에 상기 걸림편(341)의 하부가 맞닿으면서 지지되어 상기 외함(310)과 부싱단자 커버(340)가 상호 체결되는 것이다.
다음으로는,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4실시예에 따른 부싱단자 커버를 구비한 변압기의 구성 및 기능을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도 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변압기(400)에 부싱단자 커버(440)가 장착되는 구성을 나타낸 분리사시도이며, 도면부호 S는 상기 부싱단자 커버(440)가 장착되기 위해 접촉되는 부분을 나타낸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4실시에에 따른 부싱단자 커버를 구비한 변압기(400)는, 외함(410)과, 부싱단자부 및, 부싱단자 커버(440)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변압기(400)의 외함(410) 및 부싱단자부의 구성은 상술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내지 제3실시예에 따른 변압기(100,200,300)의 외함(110,210,310) 및 부싱단자부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부싱단자 커버(440)는, 상기 1차측부싱단자(421) 및 2차측부싱단자를 외부환경으로부터 보호하는 구성요소로서, 상기 1차측부싱단자(421) 및 2차측부싱단자를 각각 둘러싸는 형태로 상기 외함(410)의 외부면(보다 정확하게는 장착부분 S)에 용접(Welding) 또는 접착(Bonding)되어 장착되되, 상기 1차측인출선(423)과 2차측인출선이 외부로 연장되는 방향의 일측은 개구된 형태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부싱단자 커버(440)를 외함(410)의 외부면 상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상기 부싱단자 커버(440)와 외함(410)이 접촉된 부위를 용접 또는 접착시킴으로써, 상기 외함(410)과 부싱단자 커버(440)가 상호 체결되는 것이다.
한편,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내지 제4실시예에 따른 부싱단자 커버의 덮개판이 구비된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4실시예에 따른 변압기(100,200,300,400)는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싱단자 커버(140,240,340,440)의 하부 방향에서 상부 방향을 향하여 가해지는 충격 또는 먼지, 오염물 등의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기 위하여, 1차인출선 및 2차인출선이 외부로 연장되는 방향의 개구된 일측에는 상기 충격 및 이물질 등을 커버하는 덮개부(144)이 구비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부싱단자 커버(14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1차측인출선(123,223,323,423) 및 2차측인출선의 각 개별 인출선과 대응하는 인출선삽입공(143)이 형성되며, 상기 인출선삽입공(143)에 상기 1차인출선(123,223,323,423) 및 2차인출선이 관통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부싱단자 커버(140,240,340,440)의 하부방향으로 개구된 일측을 커버하는 덮개판(144)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1차측부싱단자(121,221,321,421) 및 2차측부싱단자에 1차측인출선(123,223,323,423) 및 2차측인출선을 접속하기 이전에 상기 1차측인출선(123,223,323,423) 및 2차측인출선의 각 개별 인출선을 대응하는 인출선삽입공(143)에 각각 관통삽입한 후, 상기 1차측인출선(123,223,323,423) 및 2차측인출선을 상기 1차측부싱단자(121,221,321,421) 및 2차측부싱단자에 각각 접속시킨 후, 상기 부싱단자 커버(140,240,340,440)를 외함(110,210,310,410)에 장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출선삽입공(143)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1차측부싱단자(121,221,321,421) 및 2차측부싱단자가 형성된 방향으로 개구된 'U'자 형의 홈형태로 형성될 수 있는데, 이로 인하여, 상기 1차측부싱단자(121,221,321,421) 및 2차측부싱단자에 1차측인출선(123,223,323,423) 및 2차측인출선이 각각 접속된 상태에서도 상기 인출선삽입공(143)의 개구된 방향으로 각 인출선을 삽입함으로써 상기 외함(110,210,310,410)에 부싱단자 커버(140,240,340,440)를 고정시킬 수도 있다.
더불어,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내지 제4실시예에 따른 부싱단자 커버의 전면판이 개폐 가능한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내지 제4실시예에 따른 변압기(100,200,300,400)는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함(110,210,310,410)의 외부면에서 부싱단자 커버(140,240,340,440)를 체결 및 분리하지 않은 상태에서, 보다 용이하게 부싱단자부의 각 개별 부싱단자를 정비, 교체 및 접점 변경 등의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부싱단자 커버(140,240,340,440)의 전면판(146)을 개폐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부싱단자 커버(140,240,340,440)의 전면판(146)의 일단에는 상기 부싱단자 커버(140,240,340,440)의 일측과 체결되어 상기 전면판(146)을 회동 가능하게 장착시키는 경첩(145)이 구비되며, 상기 전면판(146)이 닫힌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전면판(146)의 타단과 상기 부싱단자 커버(140,240,340,440)의 타측을 접촉한 상태에서 고정시키는 잠금부a(144a) 및 잠금부b(144b)가 구비됨으로써 상기와 같은 전면판(146)의 개폐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부싱단자 커버(140,240,340,440)의 양측에는 상기 전면판(146)의 양측단이 슬라이딩되며 삽입되는 전면판 안내홈(147)이 형성되며, 상기 전면판(146)의 상단에는 상기 전면판 안내홈(147)의 상부와 접촉하며 지지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돌출턱(148)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전면판(146)을 전면판 안내홈(147)에 하방 삽입하거나 상방 탈거하는 동작을 통해서 상기와 같은 전면판(146)의 개폐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부싱단자 커버를 구비한 변압기의 각 구성에 따르면,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개별 부싱단자 간의 최소 이격거리가 유지된 상태에서 외함(110,210,310,410)의 양측단의 모서리부에 부싱단자 커버(140,240,340,440)를 장착할 수 있으므로, 변압기의 소형화를 구현할 수 있으며 외함(110,210,310,410) 및 변압기 본체의 각 구성품의 크기가 커지지 않으므로 생산 및 유지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외함(310)의 외부에 형성된 결합홈에 걸림편을 삽입하거나, 외함(210)의 상부에서 부싱단자 커버(240)를 밀착시켜 슬라이딩하는 원터치 동작으로도 부싱단자 커버(240,340)를 장장착할 수 있으므로, 부싱단자를 정비 및 보수하기 위한 작업이 용이해짐은 물론, 부싱단자 커버를 개폐하기 위한 회동공간이 불필요하므로 협소한 공간에서의 설치 및 운용이 가능한 효과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00,200,300,400...변압기 110,210,310,410...외함
121,221,321,421...1차측부싱단자 123,223,323,423...1차측인출선
140,240,340,440...부싱단자 커버

Claims (4)

  1. 일정크기의 내부공간이 형성된 외함(110);
    상기 외함(110)의 일측면에 배치되며 1차측인출선(123)과 상기 외함(110)의 사이를 절연 또는 밀폐시키는 1차측부싱단자(121)와, 상기 외함(110)의 타측면에 배치되며 2차측인출선과 상기 외함(110)의 사이를 절연 또는 밀폐시키는 2차측부싱단자를 포함하는 부싱단자부;
    상기 1차측부싱단자(121) 및 2차측부싱단자의 각 양측방향에 위치하여 상기 1차측부싱단자(121) 및 2차측부싱단자가 돌출된 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로 형성되며 하나 이상의 체결공A(133)가 형성된 체결판(131)과, 상기 체결판(131)의 일단에서 상기 1차측부싱단자(121) 및 2차측부싱단자를 향해 내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외함(110)의 외부면에 장착되는 지지판(132)을 포함하는 지지부;
    상기 1차측부싱단자(121) 및 2차측부싱단자를 둘러싸는 형태로 상기 체결판(131)에 장착되되, 상기 1차측인출선(123)과 2차측인출선이 외부로 연장되는 방향의 일측은 개구되며, 양측에는 상기 체결공A(133)와 대응되는 체결공B(141)가 형성되어, 상기 체결공A(133)와 체결공B(141)를 연속관통하는 체결나사(142)에 의해 상기 체결판(131)에 장착되는 부싱단자 커버(140);를 포함하는 변압기.
  2. 일정크기의 내부공간이 형성된 외함(210);
    상기 외함(210)의 일측면에 배치되며 1차인출선(223)과 상기 외함(210)의 사이를 절연 또는 밀폐시키는 1차측부싱단자(221)와, 상기 외함(210)의 타측면에 배치되며 2차인출선과 상기 외함(210)의 사이를 절연 또는 밀폐시키는 2차측부싱단자를 포함하는 부싱단자부;
    일측은 상기 1차측부싱단자(221) 및 2차측부싱단자의 각 상측에 수평방향으로 장착되며 타측은 상부방향으로 절곡된 형태로 형성된 지지편(231)과, 일측은 상기 지지편(231)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1차측부싱단자(221) 및 2차측부싱단자의 각 양측방향에서 상기 외함(210)의 모서리 단부에 수직방향으로 장착되며 타측은 상기 1차측부싱단자(221) 및 2차측부싱단자의 외측으로 절곡된 형태로 형성된 가이드편(232)을 포함하며, 상기 1차측부싱단자(221)와 상기 2차측부싱단자의 각 양측에 배치되는 지지부;
    상기 1차측부싱단자(221) 및 2차측부싱단자를 둘러싸는 형태로 상기 지지부에 장착되되, 상기 1차측인출선(223)과 2차측인출선이 외부로 연장되는 방향의 일측은 개구되고, 내부면의 상부에는 상기 지지편(231)의 지지홈(234)에 삽입되어 지지되는 걸림돌기(241)가 수평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내부면의 양측에는 상기 가이드편(232)의 가이드홈(233)에 삽입되어 가이드되는 안내돌기(242)가 수직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부싱단자 커버(240);를 포함하는 변압기.
  3. 일정크기의 내부공간이 형성된 외함(310);
    상기 외함(310)의 일측면에 배치되며 1차인출선(323)과 상기 외함(310)의 사이를 절연 또는 밀폐시키는 1차측부싱단자(321)와, 상기 외함(310)의 타측면에 배치되며 2차인출선과 상기 외함(310)과의 사이를 절연 또는 밀폐시키는 2차측부싱단자를 포함하는 부싱단자부;
    상기 1차측부싱단자(321) 및 2차측부싱단자의 양측에 위치하여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복수 개의 결합홈부(330);
    상기 1차측부싱단자(321) 및 2차측부싱단자를 둘러싸는 형태로 상기 결합홈부(330)에 삽입되어 장착되되, 상기 1차인출선(323)과 2차인출선이 외부로 연장되는 방향의 일측은 개구되며, 양측단에는 상기 결합홈부(330)에 삽입되어 지지되는 걸림편(341)이 하부방향으로 절곡된 형태로 형성된 부싱단자 커버(340);를 포함하는 변압기.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싱단자 커버(110,210,310)는,
    판 형상으로형성되되, 상기 1차인출선(123,223,323) 및 2차인출선의 각 인출선과 대응하는 인출선삽입공(143)이 형성되며, 상기 인출선삽입공(143)에 상기 1차인출선(123,223,323) 및 2차인출선이 관통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부싱단자 커버(110,210,310)의 개구된 일측을 커버하는 덮개판(144)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압기.
KR1020100081235A 2010-08-23 2010-08-23 부싱단자 커버를 구비한 변압기 KR2012001843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1235A KR20120018436A (ko) 2010-08-23 2010-08-23 부싱단자 커버를 구비한 변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1235A KR20120018436A (ko) 2010-08-23 2010-08-23 부싱단자 커버를 구비한 변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8436A true KR20120018436A (ko) 2012-03-05

Family

ID=461276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1235A KR20120018436A (ko) 2010-08-23 2010-08-23 부싱단자 커버를 구비한 변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1843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7769B1 (ko) * 2020-06-29 2021-12-10 한국전력공사 변압기 2차 단자 보호캡 장치
KR20230004020A (ko) 2021-06-30 2023-01-06 한국전력공사 지상변압기의 저압 단자부 절연구조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7769B1 (ko) * 2020-06-29 2021-12-10 한국전력공사 변압기 2차 단자 보호캡 장치
KR102337766B1 (ko) * 2020-06-29 2021-12-10 한국전력공사 변압기 2차 단자 보호캡 장치
KR102337768B1 (ko) * 2020-06-29 2021-12-10 한국전력공사 변압기 2차 단자 보호캡 장치
KR102337767B1 (ko) * 2020-06-29 2021-12-10 한국전력공사 변압기 2차 단자 보호캡 장치
KR102338277B1 (ko) * 2020-06-29 2021-12-14 한국전력공사 변압기 2차 단자 보호캡 장치
KR20230004020A (ko) 2021-06-30 2023-01-06 한국전력공사 지상변압기의 저압 단자부 절연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97998B2 (en) Electrical junction box
CN108630395B (zh) Ac电抗器
TWI360145B (ko)
US10347417B2 (en) Three-phase AC reactor capable of reducing leakage of magnetic flux
CN103119668B (zh) 干式配电变压器、抽头面板和用于插头面板的电绝缘方法
CN102754533A (zh) 用于屏蔽电子模块的装置
CN104769795A (zh) 用于电气开关设备的致动装置
WO2017141422A1 (ja) 電力変換装置
KR20120018436A (ko) 부싱단자 커버를 구비한 변압기
JP6257267B2 (ja) 電気機器接続装置及び当該装置を使用した縮小形受配電設備
US11610716B2 (en) Transformer
JP5638726B1 (ja) ガス絶縁スイッチギヤ
JP2018143039A (ja) 固体絶縁型開閉器ユニットの放熱装置、固体絶縁型開閉器ユニット、および、鉄道車両
KR100823228B1 (ko) 변압기용 고압측 케이블 인출단자
CN108768128A (zh) 一种直线电机霍尔元件的环氧塑封结构及其制作方法
US11610717B2 (en) Potting box and transformer
EP2850624B1 (en) Transformer with bushing compartment
JP7123705B2 (ja) 乾式変圧器
KR200439071Y1 (ko) 영상변류기의 고정구조체
CN201015159Y (zh) 用于高压放电灯的灯座
KR101854149B1 (ko) 일체형 특고압 수전설비
US11610729B2 (en) Transformer and assembling method thereof
JP2020021907A (ja) モールド形静止誘導機器
KR101549930B1 (ko) 가스절연형 변류기
CN101877273A (zh) 电压互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